1. 개요
평화를 유지하는 데 있어 군사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개념. 영어로는 peace through strength라고 한다.2. 용례
매파와 보수주의, 내셔널리즘, 정치현실주의 성향의 인물 및 정파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개념이다. 이들이 주장하는 바의 요지는, 자국이 막강한 군사력을 갖추고 있어야 타국이 함부로 침략하지 못해 평화가 지켜진다는 것이다.가령 현대 미국에서 공화당과 보수우파의 정체성을 정립한 인물로 꼽히는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경우, 1980년대 냉전 시대에 '힘에 의한 평화'를 내세우고 군비 확장을 추진했다. 마찬가지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힘에 의한 평화를 주요 외교 방침으로 삼았다. 워싱턴 포스트
대한민국에서도 주로 보수정당과 보수우파 진영이 대북정책에 있어서 이것을 자주 강조한다. 특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신냉전이 격화되고, 대북 강경파인 윤석열이 집권한 이후 언급 빈도가 크게 늘었다. 반면 자유주의와 진보주의를 포괄하는 범좌파 진영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주장하는 '힘에 의한 평화'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드러낸다. 한겨레 경향신문 참여연대
대한민국에서 보수 정권은 '힘에 의한 평화'를, 진보 정권은 '대화와 협력'을 역설하기 때문에 보수가 진보에 비해 더, 혹은 보수만이 힘에 의한 평화를 추구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으나, 실제로는 정권을 막론하고 힘에 의한 평화라는 기조가 유지되어 왔다. 1997년 외환 위기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같은 경제 위기 상황에서도 국방비의 절대 규모는 커졌고, 의외로 진보 정권이 보수 정권보다 더 적극적으로 국방비를 늘려왔다. 일례로 노무현 정부의 연평균 국방비 증가율은 8.4%로, 이명박 정부의 6.1%, 박근혜 정부의 4.2%보다 높았다. 월간중앙 문재인 정부도 국방비를 연평균 6.3%씩 증액했고, 문재인 정부 국민보고에서도 '힘을 통한 평화'를 언급했다. 대통령기록관
이처럼 군비 확장과는 별개로 보수파가 애용하는 개념이지만, 대만에서는 예외적으로 진보파가 더 많이 사용한다. 이는 대만의 보수주의 세력이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고 범중국적 정체성[1]을 중시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원만한 관계와 활발한 교류를 지향하는 반면, 대만의 진보주의 세력은 중국 대륙과는 분리된 대만 본연의 정체성을 중시하며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대만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선 강한 국방력이 필요하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민주진보당 소속 현직 대만 총통인 라이칭더도 중국과의 평화협정에 반대하며, 제1세계 동맹국 네트워크와 자주국방에 기초한 '힘에 의한 평화'를 강조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정권에서도 프로파간다로 애용하는 개념이다. 힘에 의한 평화와 수령결사옹위정신을 강조하면서 북한의 핵개발을 뒷받침하는 논리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힘에 의한 평화를 주제로 한 우리의 총창우에 평화가 있다라는 군가도 존재한다.
3. 대중매체에서
-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메가트론의 모토가 "Peace through tyranny(폭정에 의한 평화)"인데 이 문구를 인용한 것이다.
- 우리의 총창우에 평화가 있다 북한의 군가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의 Nod. "Peace Through Power"로 변형해서 사용한다.
4. 같이 보기
5. 둘러보기
내셔널리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분파 | ||||
에스닉 내셔널리즘 | 문화 내셔널리즘 | 온건 내셔널리즘 | 시민 내셔널리즘 | 진보적 내셔널리즘 | |
좌익 내셔널리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국민자유주의 | 국민공산주의 | |
경제적 내셔널리즘 | 자원 내셔널리즘 | 종교 내셔널리즘 | 퀴어 내셔널리즘 | 호모내셔널리즘 | |
페모내셔널리즘 | 뉴 내셔널리즘 | 민족 볼셰비즘 | 사이버 내셔널리즘 | 울트라내셔널리즘 | |
다원적 내셔널리즘 | 낭만적 내셔널리즘 | 네오내셔널리즘 | 영토 내셔널리즘 |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
민족 아나키즘 | 국가 내셔널리즘 | 애국주의 | ||
정체성별 내셔널리즘* |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 독일 내셔널리즘 | 러시아 내셔널리즘 | 미국 내셔널리즘 | 베트남 내셔널리즘 |
아랍 내셔널리즘 | 이탈리아 내셔널리즘 | 일본 내셔널리즘 | 중국 내셔널리즘 |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
타이완 내셔널리즘 | 팔레스타인 내셔널리즘 | 프랑스 내셔널리즘 | 한국 내셔널리즘 | 홍콩 내셔널리즘 |
지역별 내셔널리즘 | ||||
단군민족주의 | 삼균주의 | 일민주의 | 민중민족주의 | 대한민국주의 |
야마토 민족주의 | 주체사상 | 조선민족제일주의 | 미국 예외주의 | 트럼프주의 |
힌두트바 | 한족 민족주의 | 만주 민족주의 | 대한족주의 | 지방 민족주의 |
아일랜드 공화주의 | 푈키셔 내셔널리즘 | 보우소나루주의 | 시오니즘 | 판차실라 |
페론주의 | 푸틴주의 | 소비에트 애국주의 | ||
범국민주의 | ||||
대독일주의 | 범슬라브주의 | 범튀르크주의 | 범아시아주의 | 범아랍주의 |
스칸디나비아주의 | 대소말리아주의 | 베르베르주의 | 범투란주의 | 범이슬람주의 |
범아프리카주의 | ||||
인종국민주의 | ||||
흑인 민족주의 | 백인 민족주의 | 한민족주의 | ||
분리주의 · 독립운동 | ||||
류큐 독립운동 | 만몽 독립운동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타이완 독립운동 | 티베트 독립운동 |
한국 독립운동 | ||||
관련 이념 | ||||
트랜스내셔널리즘 | 포스트내셔널리즘 | 안티내셔널리즘 | 국가주의 | 정체성 정치 |
자민족중심주의 | 실지회복주의 | 팽창주의 | 패권주의 | 파시즘 |
쇼비니즘 | 선민사상 | 순수혈통주의 | 고립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복지 쇼비니즘 | 반세계화 | 힘에 의한 평화 | ||
관련 개념 및 용어 | ||||
민족 (폴크) | 국민 | 국민국가 (민족국가) | 국유화 | 에스니시티 |
네이션 | 내셔널 아이덴티티 | 민족신화 | 애국 (애국심) | 국뽕 |
네이션 빌딩 | 단일민족국가 | 국가이익 | 민족해방 | 민족주의 테러 |
부흥운동 | 언어순화 운동 | 독립운동 | 통일 | |
* 보통 민족(ethnic)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내셔널리즘인 에스닉 내셔널리즘의 사례가 많지만 미국 내셔널리즘, 프랑스 내셔널리즘, 싱가포르 내셔널리즘,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같은 국적자/시민권자(citizen)를 중심으로 한 시민 내셔널리즘의 사례도 있다.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타이완 내셔널리즘 · 독립운동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기초 개념 | 대만인 · 반제국주의(자결권 · 탈중국화) · 진보주의 · 포르모사 | ||
이론 | 대만공식 · 대만 주권 미정론 · 두 개의 중국화독 · 일중일대 | |||
분파 | 대만가치 · 타이완 독립운동*(대독좌파) · 타이완 본토화 운동 · 화독 | |||
역사 | 2.28 사건 · 다두 왕국 · 대만의 민주화 운동(메이리다오 사건) · 대만일치시기 당시 항일 독립운동 · 동녕국 · 타이완 민주국 · 타이완섬/역사 · 해바라기 운동 | |||
주요 정당 | 범록 계열 | 녹색당 · 대만기진 · 대만단결연맹 · 민주진보당 · 사회민주당 | ||
비범록 계열 | 국제사회주의발전 · 시대역량 | |||
사라진 정당 | 건국당 · 대만혁명당 · 일변일국행동당 | |||
대만일치시기 | 대만공산당 · 대만문화협회 · 대만민중당 | |||
인물 | 라이칭더 · 리덩후이 · 뤼슈롄 · 샤오메이친 · 스밍 · 장웨이수이대만일치시기 · 정난룽 · 차이잉원화독 · 천수이볜 | |||
언론 | ||||
그 외 | 대만중국 일변일국 · 대만취청 · 범록연맹 · 탈장화 | |||
* '화독'과 대조적으로 '대독'이라고도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