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확률형 아이템”이란 게임물 이용자가 직접적ㆍ간접적으로 유상으로 구매하는 게임아이템[유상으로 구매하는 게임아이템(게임의 진행을 위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말한다. 이하 같다)과 무상으로 얻는 게임아이템을 결합하여 얻는 게임아이템을 포함한다] 중 구체적 종류, 효과 및 성능 등이 우연적 요소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11항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11항
내용물이 취득 후 확률에 따라 결정되는 게임 아이템을 말한다. 온라인 게임, 특히 모바일 게임 중에서 과금구조의 핵심이 가챠인 경우가 매우 흔하다. 일본어에서 유래한 '가챠'라고도 한다. 무작위 제품이 들어있는 현실 제품은 랜덤박스라고 부른다.
2. 특징
모티브가 된 가챠퐁 기계와 같이 1회 시도에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고 테마를 갖춘 목록 상의 경품을 1회 시도 당 무작위로 1개씩 얻는 구조인 상품이라는 특징이 있으며, 원하는 상품을 반드시 얻는다는 보장이 없고 시도 비용도 매우 비싼 대신 물욕을 자극하는 휘황찬란한 경품 라인업으로 소비자를 빠져들게 만드는 시스템이다. 가챠 대신 랜덤박스라고 하기도 한다.여러 아이템을 무작위로 묶어서 파는 방식으로 보통 흔한 아이템이 나오지만, 운이 좋으면 비싸게 팔 수 있는 아이템이 뽑힐 수도 있다는 것이다. 어떤 아이템이 나올지 모르지만 보통 게임머니 상품보다 현금 상품이 좀 더 확률이 높거나 더 좋은 보상을 준다.[1] 게임의 사행성 논란의 원인이자 게임 규제의 원인 중 하나로 볼 수도 있다.
아예 대놓고 룰렛 모양으로 만들어서 운영하는 게임도 있는데, 외형상 차이만 있을 뿐 결과적으로는 같은 방식이므로 이 문서에 같이 기재돼 있다.[2] 확산성 밀리언아서를 위시한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이 흥한 뒤에는 소위 가챠라고 불리는 뽑기를 표방한 경우도 많이 늘었다. 사실 요즘의 부분유료화 게임들은 거의 대부분 이 시스템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모바일 게임, 국산 온라인 게임,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방식이며, 심지어 이것이 게임의 유일한 수익원인 경우도 많다. 한국 온라인 게임의 대다수는 아바타와 같은 꾸미기 아이템과 더불어 주 수입원으로 돌아가는 상황. 이 둘을 섞어 꾸미기 아이템들 중에서도 희귀한 것을 랜덤박스에 넣어서 파는 게임도 흔해진 상황이다. 기형적으로 성장한 온라인 게임 시장의 돈 버는 방식 또한 기형적으로 나타난 셈인데, 게임사들은 이러한 랜덤박스에 철퇴가 가해지면 게임사가 돈을 못 벌어서 망한다며 국내 게임 시장이 죽을 거라고 반발한다.[3]
2.1. 확률
다만 온라인 게임의 랜덤박스와 실물 가샤폰은 그 성질이 크게 다르다. 실제 가챠 기계는 내용물의 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아무리 운이 없어도 특정 상품이 일정 확률로 기계 안에 존재하도록 패키지가 구성되어 있다는 특성상 기계를 전부 다 털면 100% 확률로 나온다. 피규@메이트가 이런 가챠 시스템을 정확하게 구현한 예이다. 패키지 하나를 정직하게 털어넣는 일본의 가챠 시스템 특성상 돈을 많이 벌어서 기계 하나를 털면 레어 피규어를 순번에 맞게 구할 수 있다.이것도 사실 확률 조작을 하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카탈로그상으로는 있는 경품이지만 실제로는 넣어두지 않거나, 특정 제품을 좀 적게 넣는 등 조작할 수는 있지만, 재고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재고품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 돈을 투입하면 내용물을 전부 빼낼 수 있고, 그 즉시 속임수를 써뒀다면 그 사실이 금방 들통난다.
그렇지만 게임에 구현된 랜덤박스는 디지털 컨텐츠라 내용물 수가 한정된 것도 아니고, 심지어는 확률 조작을 가하기도 더 쉽기 때문에 외견만 비슷할 뿐 내용물의 실상은 완전히 다르다고 봐야 한다. 게다가 현실의 가챠는 기계 안의 내용물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꽝을 뽑을 때마다 당첨의 확률이 증가하는 반면, 디지털상의 가챠는 독립시행이므로 꽝을 뽑는다고 꽝의 절대적인 수가 줄어들지 않으니 몇 번을 뽑든간에 원래의 확률이 계속 유지된다.[4] 이에 따른 지나친 사행성과(정확히는 사행성에 따른 공권력의 철퇴) 유저들의 꼬접을 방지하기 위해 나온 시스템이 '천장'이다. 위험한 수준까지 돈을 넣었는데도 원하는 경품이 뽑히지 않는 유저들에게 높은 등급의 뽑기권이나 혹은 경품을 주는 것.
꽝일 확률이 90%, 당첨이 10%인 가챠의 경우를 가정하고, 현실 가챠 기계에 재고가 10개 들어있다 치면 현실의 가챠는 뽑을 때마다 첫번째는 1/10, 2번째는 1/9 등으로 점점 확률이 높아지고 재고품의 수만큼 시도하면 100% 당첨을 획득할 수 있는 반면, 디지털 가챠는 몇 번을 뽑아도 계속 1/10이다. 경우의 수가 적으면 확률에서 벗어날 확률이 크기 때문에(큰 수의 법칙) 운이 좋다면 1번만 해도 당첨될 수 있지만, 운이 없다면 몇십 번을 반복해도 뽑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는 것. 확률을 계산해보면 해당 조건으로 10번 이내로 뽑을 확률은 65%, 20번 이내로 뽑을 확률은 89%이다. 디지털 컨텐츠 가챠는 독립시행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아무리 많이 시도해도 절대 100% 확률에 도달할 수 없다. 물론 현실적으로 엄청나게 도전했는데 안 뽑힐 리는 없겠지만...
여기서 비즈니스 모델을 더 심화시키는 경우 기간 한정 가챠를 도입하여 기간 안에 과금을 하지 않으면 한정 캐릭터를 얻을 기회 자체를 놓친다는 압력, 즉 FOMO를 가하기까지 한다. 개발사는 이 기간 한정 가챠를 여러번 실시하는 방식으로 대량의 매출을 마치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처럼 안정적으로 뽑아낼 수 있게 된다.
2.2. 비즈니스 모델
욕을 먹겠지만 쉽게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전세계 국가의 많은 게이머들이 싫어하는 시스템이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게임엔 가챠가 있으며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은 특히 더더욱 가챠 시스템이 많으며 이중 과금 방식[5] 또한 많다.[6] 이 때문에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 유저들은 가챠는 싫지만 게임은 하고 싶다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하므로, 어떻게든 돈 지르는 액수를 줄이고 게임을 편하게 하고자 리세마라나 계정구매 등을 하거나 심하면 게임 해킹 프로그램에 손을 대기도 하고 자신이 거르지 않고 뽑은 캐릭터의 성능이 더 좋다며 정신승리식 갈드컵을 벌이기도 한다. 물론 이것도 초기에나 가능할 뿐, 게임을 장기적으로 하다보면 결국에는 가챠를 하며 돈을 지르게 될 수밖에 없다.이 때문에 과금 유저는 울며 겨자먹기로 돈을 지르게 되어 매몰비용을 만들고, 무과금 유저는 시간을 갈아넣어서 게임 내에서 무료로 뿌리는 재화를 받아 가챠를 하면서 게임에 강제로 붙잡힌다. 이 때문에 언뜻 커뮤니티를 보면 가챠를 질색하는 사람이 대다수인 양 보이지만, 실상은 유저들 스스로 가챠를 거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반해 게임사 입장에선 돈을 타 과금보다 백배 천배 더 많이, 더 쉽게 벌 수 있고[7], 대충 이쁜 캐릭터 찍어내며 사료 좀 뿌리면 유저가 떠나질 못하게 되어 유저도 붙잡는 일석이조의 과금방식인 셈이다.
다만 게임사가 가챠에 대한 유저들의 인식을 모르는 것은 아니기에 게임 자체의 퀄리티 상향, 가챠 확률 공개 및 증가, 게임 내 배포 재화량 증가, 간담회 등 유저와의 소통, 가챠로 번 돈을 이용한 미디어믹스 및 굿즈 제작, 콜라보[8], 배틀패스 등의 저비용 고효율 과금 모델 도입 등 나름대로 팬덤이 다방면으로 컨텐츠를 즐기게 하는 한편 지속적으로 신규 유저 유입을 촉진하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수익성 때문이다. 특히 패키지 게임의 가격은 물가 상승률에 기초했을 때 낮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사용자가 게임 가격에 느끼는 부담감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반면에 가챠 게임은 사용자의 금전 감각을 도박과 동일한 원리로 마비시키기 때문에 돈을 벌기가 훨씬 쉽다. 가장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50만원이면 5만원짜리 게임을 10개 살 수 있지만[9] 보통 가챠 게임에서는 캐릭터 하나를 정가로 얻는 것과 같은 가치로 여겨지게 된다. 금전 감각을 마비시키기 위해 진짜 돈과 재화(다이아, 금 등)을 교환시켜 헷갈리게 하며, 고전적인 방법으로 첫 구매 보너스 등으로 더 효율적인 거래라 착각하게 만든다.[10] 대부분의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의 정가는 40~60만원 등 6자리 수가 기본이기에 게임을 하지 않는 사람이 해당 유저들과 혜자의 기준을 논하기는 어렵다.
또한 실시간으로 서버가 운영되는 게임이라면 가챠가 반쯤 필수인 경우도 있다. 이런 게임은 서버비나 개발비로 지속적으로 금액이 유출되는데 반면하여 지속적으로 돈을 얻을 수단이 적기 때문이다. 때문에 현대의 서버가 운영되는 대부분의 게임은 캐릭터/무기 가챠 혹은 못해도 스킨 가챠 등으로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꾀한다.
랜덤박스는 2010년대 들어 대부분의 게임이 반쯤, 혹은 반 이상 온라인화 되면서 필연적으로 나타난 수익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F2P 게임은 말할 것도 없고, 북미에서는 데스티니, 오버워치, 피파 18, 그리고 심지어 포르자 모터스포츠 7 같은 레이싱 게임에도 랜덤박스 요소가 들어가는 추세다. 이제 게임이라는 매체가 (풀프라이스 게임을 제외하고는) 한번 출시하면 그걸로 끝나는 게 아닌, '지속적'인 운영과 사후 관리를 해 주어야 하는 일종의 서비스로 변하다 보니 회사가 벌어들이는 수익 또한 '지속적'이어야 하게 된 것. DLC나 자잘한 캐시 아이템을 파는 걸로는 한계가 있으니 그것들을 랜덤박스에 집어 넣어서 파는 것이다. 물론 게임 업체는 이러한 랜덤박스 아이템들이 게임 내 밸런스에 직접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균형을 맞추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유저 역시 밸런스를 망가뜨리는 랜덤박스 아이템이 있다면 소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초에 그런 아이템을 사지 않으면 정상적인 게임도 진행되지 않게끔 만드는 사람들이 훨씬 문제겠지만.
swvre report 등을 보면 유저의 0.19%가 매출의 48%를 발생시킨다는 리포트가 있다.# 결국 이런 게임들은 극소수 유저가 돈을 갖다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유저들의 과금 행태에 직접적인 영향이 가지 않는 이상 어떤 변화가 생길 가능성은 낮다.
대다수의 랜덤박스와 다르게 다이렉트 게임즈에서는 최신 AAA 게임들[11]로만 구성된 랜덤박스를 3만원에 판매해서 사람들을 끌어모으기도 했다. 심지어 2017년 5월에는 최신 AAA까지는 아니지만 양질의 게임으로 채워넣은 랜덤박스를 1만원에 내놓기도 했다.
2.3. 제작 과정
랜덤박스를 만드는 과정에는 고객의 니즈 분석을 제외하면 초보 수준의 기댓값 계산과 게임 관련 법 지식만이 필요하다.잘 팔리는 랜덤박스를 구상하는 데 가장 복잡한 부분은 니즈 분석(과 그에 따른 아이템 기획)이다.
- 우선 1등~2등 상품을 정한다.
소위 말하는 '대박'. 새로운 아이템, 사람들이 원하는 아이템, 고성능 아이템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또는 개발력이나 기획력이 떨어진다든지, 해외에서 수입해서 내놓기만 하는 등, 게임 컨텐츠에 손을 대기 어려운 게임이라면 신규 아이템은 죄다 랜덤박스를 통해서 게임에 풀게 된다. 판도라의 상자에서 '희망'이라고 불리는 게 이 녀석이자 천장 시스템이 도입된 게임에서는 언젠가는 나올 상품.
- 그 외 2~3등 상품을 정한다.
여기엔 보통 대체 화폐 수준으로 유저들 사이에서 오고가는 아이템이나 꾸준히 소모되는 아이템, 또는 쓸 만은 한데 잘 팔리지 않는 유료 아이템 등이 들어간다. 사실 이 목록을 정하는 것이 다른 것보다 더 힘들기 때문에, 한번 정해지고 나면 거의 고정되는 편. 1번 뽑기(통칭 단차)가 아닌 10번 뽑기 등등(xx연차)같이 한번에 거액의 가공재화를 통해 다중뽑기를 하는 경우엔 이런 등급 이상의 캐릭터나 아이템을 1개 확정으로 주지만 반대로 말하면 1개를 확정으로 줄 뿐 뽑기 확률 자체는 변동한 게 아니어서 나머지는 드랍테이블 최하등급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 나머지 아이템, 꽝을 정한다.
이 아이템 테이블 선정에도 좀 고려가 필요한데, 꽝이라고 정말 꽝 그 자체인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아이템을 집어넣으면, 랜덤박스 자체 가격보다 더 가치가 낮은 아이템이 나올 수 있는 랜덤박스가 되어 법에 저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아이템이 중복으로 나와서 한계돌파가 가능하다면 간지는 낮을지언정 명함이라고 불리는 상술한 1등 아이템보다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사실 예전엔 그런 것 없이 정말 쓰레기 아이템들을 뿌려댔지만 법의 철퇴를 맞은 후 그나마 나아지는가 싶었으나, 편법으로 인해 흐지부지된 상태이다. 아래의 꼼수 외에도 캐시샵에서만 판매되고 교환이 불가능해 현실 가격이 측정되지 않는 쓰레기 아이템[12] 가격을 비싸게 책정해놓아 랜덤박스의 가치보다 높게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수표정세트 1달권이 캐시샵에서 사면 현금 6000원 정도인데 현실은 1개 300원짜리 랜덤박스를 까면 주구장창 나오는 꽝 아이템인 식이다.
- 아이템을 다 정했으면 가치를 산정한다.
아이템 당첨 확률을 조절하는 작업으로, 보통 매니아 등지에서 인게임 화폐 대 현금 환율을 구해서 계산한다.
- 박스의 가격과 아이템 별 당첨 확률을 정한다.
여기서 어떻게 수치 놀음을 하느냐에 따라 돈벌이가 결정되는데, 포인트는 각 아이템 별 기대값을 합산한 결과값과 박스 자체의 값을 비교해서 조율하는 것. 기대값의 합이 박스보다 높을수록 박스를 까서 유저가 얻는 이득이 늘어나는, 쉽게 말해서 깔 만한 박스가 되는 것이고, 그 반대라면 창렬박스가 된다. 하지만 위에서 적었듯이 1~2등이 아니면 사실 살 필요가 없거나 별로 살 생각이 없는 아이템을 떠안는 형국이 되므로 유저로서는 손해를 보게 되는 셈이라 웬만한 확률로는 거기서 거기.[13] 여기서 위의 법을 우회하는 편법이 나왔는데, 바로 박스의 개당 가격을 엄청나게 내려버리는 것. 당연히 1~2등 당첨 확률도 안드로메다로 가서 0.n퍼센트는 우습게 찍는다. 이렇게 되면 박스 자체 가격이 낮으니 쓰레기 아이템을 끼워줘도 법적으로 태클을 걸 수가 없게 되지만 산술적으로 따져보면 손해는 나지 않게 되며, 오히려 박스 가격이 낮아져서 랜덤박스를 짜는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단순히 가격 비교만 하는게 아니라 UV와 ARPU 등을 고려하여 이 박스를 출시하면 이 아이템이 서버에 몇 개 풀릴 것인가 하는 예측 지표도 짠다. 이런 것을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풀었다가 밸런스나 게임 경제가 파탄이 나기 때문. 이 와중에 확률을 0%로 조작하기도 한다.#
2.4. 박스 가챠
이러한 도박성 요소를 보완하기 위해 '박스 가챠'라는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한다. 실제 가챠처럼 내용물을 정해두고 가챠로 뽑은 아이템이나 카드는 목록에서 제거해버리는 것. 국내에서는 2018년 서비스를 종료한 큐라레: 마법 도서관의 한정인쇄가 대표적이었다.이러면 운 요소가 덜하다고 유저들이 착각하기 때문에 과금률을 올리는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그만큼의 페널티를 부과하는 게 보통이다. 박스 가챠 내용물의 전체 가치가 확 낮아지거나, 처음부터 배수를 높게 잡아서 원하는 내용물을 뽑는데 드는 가성비가 매우 낮아지는 식.
또한 원하는 아이템이 가장 마지막에 나오거나 나중에 뜬금없이 나오는 것을 체감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위는 뱅드림 걸파피코 곱빼기에서 박스 가챠를 풍자한 영상이다.[14]
2.5. 천장
자세한 내용은 천장(게임 용어) 문서 참고하십시오.박스 가챠처럼 도박성을 어느 정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요소다. 물론 도박성의 일부분을 보완하는 것일 뿐, 돈을 안 질러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천장을 찍을 때까지 돈을 쓰게 만들도록 유도하려는 의도도 있다.
2.6. 컴플리트 가챠
자세한 내용은 컴플리트 가챠 문서 참고하십시오.3. 역사
위키피디아를 비롯한 사전과 그 외 웹진 등에서 랜덤 박스에 대한 정의를 내리면서, 지금의 랜덤박스 시스템을 만들어낸 역사적 게임들을 목록으로 뽑아냈는데 하나같이 랜덤박스 논란으로 이름을 날린 적 있던 게임들이다.- 랜덤박스의 탄생: 메이플스토리
- 랜덤박스의 도입: ZT 온라인
- 랜덤박스의 확장: 팀 포트리스 2
- 랜덤박스의 전환: 매스 이펙트 3
- 랜덤박스의 해악: 모바일 가챠 게임의 유행
현재 국내 게임 업체들의 대부분이 그저 돈 벌기 쉬운 도박 요소에만 얽매여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그런 새로운 시도를 했던 게임들은 거의 다 망했기 때문에 게이머들의 책임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이러한 게임들보다 어차피 랜덤박스를 넣더라도 망할 게임은 망할 수준의 게임들이 훨씬 많았다.
과거에 바다이야기 등으로 오락기들이 엄청난 역풍을 맞아 말아먹었는데, 거기서 정신 못 차리고 PC 게임과 모바일 게임도 고스란히 그 전철을 밟는 중이다. 실제로 요즘 서비스하는 게임들의 랜덤박스와 그에 돈을 퍼붓는 유저들의 상태를 보면 카지노나 온라인 불법 도박 사이트랑 크게 다르다고 느끼기 어려울 정도다. 참신한 아이디어와 새로운 시스템이 항상 물 흐르듯 도입되어야 하는데 게임 시스템부터 수익 모델까지 안정성만 추구하다 보니 결국 게임은 거기서 거기인 것만 나오고, 새로 나오는 게임마다 캐시 아이템 1순위는 랜덤박스로 치장되는 판이 꾸며진 것. 이 부분은 게임사들 스스로가 자정하고 개혁을 이뤄내거나, 외부에서의 거센 역풍을 맞아 강제로 뒤집어 엎어지지 않는 이상 변할 수 없는 지경까지 왔다.[17]
4. 규제
상술되어있는 도박성의 문제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는 가챠를 비즈니스 모델로 사용하는 게임을 도박으로 규정하고 아예 불법화하였다.4.1. 한국
욕 먹으면서 장사하는 시스템들이 으레 그렇듯 안 그래도 평가가 안 좋았는데 결국 도박성 짙은 성격 때문에 2012년 들어서 이에 대한 규제에 들어간다고 했고 대부분의 게임 커뮤니티에서도 이 규제를 찬성할 정도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으나 어째서인지 흐지부지되었다. 사실 정확하게는 캡파에서 레어캡슐 이벤트 때 사행성 문제로 소비자보호원에 신고한 적이 있었고 그래서 교환 쿠폰제로 바뀐 전적이 있다. 그런데 그거 말고는 이것과 관련해서 시정 조치가 제대로 이뤄진 게 단 한 건도 없다.황금알 낳는다던 日 소셜게임, 알고보니 도박판
캡슐형 유료 아이템 자율준수 규약의 역사
도박 요소가 들어가야 비로소 게임에 돈을 쓴다.
별로 체감은 안 되지만 현행 랜덤박스 시스템은 이미 한 번 철퇴를 맞고 수정된 결과다. 랜덤박스 초창기에는 정말 말도 안 되는 꽝 아이템이나 아예 아무것도 안나오는 결과값에도 아무런 제재가 없었다. 랜덤박스가 문제가 되자 랜덤박스에서 나오는 결과값은 랜덤박스 구매가보다 가치가 낮은 결과물이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 생겨났는데, 이를 회피하고자 국내 게임사들은 아예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가치를 알 수 없는 아이템'이나 '있으면 좋지만 그래도 굳이 돈내고 구매할 만큼 매력적이지는 않은 비싼 아이템' 같은 걸 만들어내 랜덤박스 결과값을 그런 부류로 가득 채우거나 아예 구매 가격 자체를 매우 낮게 설정해서 매우 구린 아이템을 넣는 등의 꼼수를 쓰기 시작했다.
게임물등급위원회(現 게임물관리위원회) 출범 초기에는 랜덤박스 같은 사행성 아이템이 있는 게임들을 청소년이용불가로 판정하는 일도 있었지만, 지금은 12~15세 이용가나 전체이용가로 판정하는 일이 더 많아졌다. 그 예로 2007년 게등위 출범 당시에는 랜덤박스 요소가 있었던 군주 온라인이 청소년이용불가 판정을 받았지만, 최근에 서비스를 시작하는 게임들은 랜덤박스 요소가 있어도 일부 웹게임을 제외하고는 청소년이용불가로 판정받는 일이 드물다는 것을 보면 된다.[18]
결국 한국 국회에서도 규제법안을 발의했다. 자세한 내용은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 문서에서 볼 수 있다.
4.2. 일본
(부당한 표시의 금지)
不当な表示の禁止
제5조 사업자는 자기가 공급하는 상품 또는 역무의 거래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표시를 하지 말아야 한다.
事業者は、自己の供給する商品又は役務の取引について、次の各号のいずれかに該当する表示をしてはならない。
一 상품 또는 역무의 품질, 규격 및 그밖의 내용에 관하여, 일반 소비자에 대해, 실제의 것보다 현저히 우량하다고 보이거나 또는 사실과 달리 해당 사업자와 동종 또는 유사한 상품이나 역무를 공급하고 있는 다른 사업자와 관련된 것보다 현저히 우량하다고 보이는 표시로, 부당하게 고객을 유인하여, 일반 소비자의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
商品又は役務の品質、規格その他の内容について、一般消費者に対し、実際のものよりも著しく優良であると示し、又は事実に相違して当該事業者と同種若しくは類似の商品若しくは役務を供給している他の事業者に係るものよりも著しく優良であると示す表示であつて、不当に顧客を誘引し、一般消費者による自主的かつ合理的な選択を阻害するおそれがあると認められるもの
二 상품 또는 역무의 가격 및 그밖의 거래조건에 관하여, 실제의 것 또는 해당 사업자와 동종 또는 유사한 상품이나 역무를 공급하고 있는 다른 사업자와 관련된 것보다 거래의 상대방에게 현저히 유리하다고 일반 소비자에게 오인되는 표시로, 부당하게 고객을 유인하여, 일반 소비자의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
商品又は役務の価格その他の取引条件について、実際のもの又は当該事業者と同種若しくは類似の商品若しくは役務を供給している他の事業者に係るものよりも取引の相手方に著しく有利であると一般消費者に誤認される表示であつて、不当に顧客を誘引し、一般消費者による自主的かつ合理的な選択を阻害するおそれがあると認められるもの
三 앞의 두 호에 열거하는 사항 외, 상품 또는 역무의 거래에 관한 사항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오인될 우려가 있는 표시로, 부당하게 고객을 유인하여, 일반 소비자의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 (경품류의 제한 및 금지, 그리고 부당한 표시의 금지의 지정에 관한 공청회 및 고시)
前二号に掲げるもののほか、商品又は役務の取引に関する事項について一般消費者に誤認されるおそれがある表示であつて、不当に顧客を誘引し、一般消費者による自主的かつ合理的な選択を阻害するおそれがあると認めて内閣総理大臣が指定するもの(景品類の制限及び禁止並びに不当な表示の禁止に係る指定に関する公聴会等及び告示)
「부당 경품류 및 부당 표시 방지법」 (1962년 법률 제134호)
일본에서 유료 가챠로 획득하는 확률형 아이템은 '부당 경품류 및 부당 표시 방지법不当景品類及び不当表示防止法'(소위 경품표시법景品表示法)의 규제를 받는다. 5조의 1호와 2호는 소위 각각 '우량 오인 표시優良誤認表示', '유리 오인 표시有利誤認表示'로 불리며, 3호는 이후 고시에 의해 컴플리트 가챠 규제로 이어진다.不当な表示の禁止
제5조 사업자는 자기가 공급하는 상품 또는 역무의 거래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표시를 하지 말아야 한다.
事業者は、自己の供給する商品又は役務の取引について、次の各号のいずれかに該当する表示をしてはならない。
一 상품 또는 역무의 품질, 규격 및 그밖의 내용에 관하여, 일반 소비자에 대해, 실제의 것보다 현저히 우량하다고 보이거나 또는 사실과 달리 해당 사업자와 동종 또는 유사한 상품이나 역무를 공급하고 있는 다른 사업자와 관련된 것보다 현저히 우량하다고 보이는 표시로, 부당하게 고객을 유인하여, 일반 소비자의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
商品又は役務の品質、規格その他の内容について、一般消費者に対し、実際のものよりも著しく優良であると示し、又は事実に相違して当該事業者と同種若しくは類似の商品若しくは役務を供給している他の事業者に係るものよりも著しく優良であると示す表示であつて、不当に顧客を誘引し、一般消費者による自主的かつ合理的な選択を阻害するおそれがあると認められるもの
二 상품 또는 역무의 가격 및 그밖의 거래조건에 관하여, 실제의 것 또는 해당 사업자와 동종 또는 유사한 상품이나 역무를 공급하고 있는 다른 사업자와 관련된 것보다 거래의 상대방에게 현저히 유리하다고 일반 소비자에게 오인되는 표시로, 부당하게 고객을 유인하여, 일반 소비자의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
商品又は役務の価格その他の取引条件について、実際のもの又は当該事業者と同種若しくは類似の商品若しくは役務を供給している他の事業者に係るものよりも取引の相手方に著しく有利であると一般消費者に誤認される表示であつて、不当に顧客を誘引し、一般消費者による自主的かつ合理的な選択を阻害するおそれがあると認められるもの
三 앞의 두 호에 열거하는 사항 외, 상품 또는 역무의 거래에 관한 사항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오인될 우려가 있는 표시로, 부당하게 고객을 유인하여, 일반 소비자의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 (경품류의 제한 및 금지, 그리고 부당한 표시의 금지의 지정에 관한 공청회 및 고시)
前二号に掲げるもののほか、商品又は役務の取引に関する事項について一般消費者に誤認されるおそれがある表示であつて、不当に顧客を誘引し、一般消費者による自主的かつ合理的な選択を阻害するおそれがあると認めて内閣総理大臣が指定するもの(景品類の制限及び禁止並びに不当な表示の禁止に係る指定に関する公聴会等及び告示)
「부당 경품류 및 부당 표시 방지법」 (1962년 법률 제134호)
가챠를 통해 획득하는 아이템의 성능을 사실과 다르게 표시한 경우는 우량 오인 표시에 해당한다. 판매 이후 성능을 하향한 경우는 소비자청이 개입한 사례가 없어서 '악의적이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수준이다. 예컨대 캐릭터를 너프하여 소비자청이 움직인 사례는 없으나, 가챠가 끝난 직후 너프하는 등의 악질적인 사태가 발생한다면 소비자청이 개입할 개연성이 있다. #
가챠를 통해 획득하는 아이템의 확률을 오인하도록 표시한 경우에는 유리 오인 표시에 해당한다. 캐릭터의 출현 확률을 잘못 표기한다든지, 배너 등지에 해당 가챠로 등장하지 않는 캐릭터를 표기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1. 이 고시에서 '현상'이란 다음에 열거하는 방법으로 경품류를 제공하는 상대 혹은 제공하는 경품류의 가액을 정하는 것을 말한다.
この告示において「懸賞」とは、次に掲げる方法によつて景品類の提供の相手方又は提供する景品類の価額を定めることをいう。
一 추첨 등의 우연성을 이용하여 정하는 방법
くじその他偶然性を利用して定める方法
二 특정한 행위의 우열 또는 정오답으로 정하는 방법
特定の行為の優劣又は正誤によつて定める方法
(중략)
1.#5 앞의 세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 이상의 문자, 그림, 기호 등을 표시한 부표 중 다른 종류의 부표의 특정 조합을 제시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한 현상에 의한 경품류의 제공은 하지 말아야 한다.
前三項の規定にかかわらず、二以上の種類の文字、絵、符号等を表示した符票のうち、異なる種類の符票の特定の組合せを提示させる方法を用いた懸賞による景品類の提供は、してはならない。
「현상에 따른 경품류 제공에 관한 사항의 제한」 (1978년 공정거래위원회 고시 제3호)
この告示において「懸賞」とは、次に掲げる方法によつて景品類の提供の相手方又は提供する景品類の価額を定めることをいう。
一 추첨 등의 우연성을 이용하여 정하는 방법
くじその他偶然性を利用して定める方法
二 특정한 행위의 우열 또는 정오답으로 정하는 방법
特定の行為の優劣又は正誤によつて定める方法
(중략)
1.#5 앞의 세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 이상의 문자, 그림, 기호 등을 표시한 부표 중 다른 종류의 부표의 특정 조합을 제시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한 현상에 의한 경품류의 제공은 하지 말아야 한다.
前三項の規定にかかわらず、二以上の種類の文字、絵、符号等を表示した符票のうち、異なる種類の符票の特定の組合せを提示させる方法を用いた懸賞による景品類の提供は、してはならない。
「현상에 따른 경품류 제공에 관한 사항의 제한」 (1978년 공정거래위원회 고시 제3호)
1.#4 고시 제5항(카드 맞추기)에 관하여
告示第五項(カード合わせ)について
(1) 다음 같은 경우는 고시 제5항의 카드 맞추기 방법에 해당한다. 휴대전화 단말기나 PC 단말기 등을 통하여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게임 속에서, 게임의 이용자에 대해, 게임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등을, 우연성으로 제공하는 아이템 등의 종류가 정해지는 방법에 의해 유료로 제공하는 경우로, 특정 둘 이상의 다른 종류의 아이템 등을 갖춘 이용자에 대해, 예를 들면 게임 상에서 적과 싸우는 캐릭터나 플레이어의 분신이 되는 캐릭터(이른 바 '아바타'라고 불리는 것)가 가상 공간 상에서 거주하는 방을 장식하기 위한 아이템 등, 게임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및 기타 경제 상의 이익을 제공할 때.
次のような場合は、告示第五項のカード合わせの方法に当たる。携帯電話端末やパソコン端末などを通じてインターネット上で提供されるゲームの中で、ゲームの利用者に対し、ゲーム上で使用することができるアイテム等を、偶然性を利用して提供するアイテム等の種類が決まる方法によって有料で提供する場合であって、特定の二以上の異なる種類のアイテム等を揃えた利用者に対し、例えばゲーム上で敵と戦うキャラクターや、プレーヤーの分身となるキャラクター(いわゆる「アバター」と呼ばれるもの)が仮想空間上で住む部屋を飾るためのアイテムなど、ゲーム上で使用することができるアイテム等その他の経済上の利益を提供するとき。
「현상에 따른 경품류 제공에 관한 사항의 제한」의 운용 기준 (2012년 소비자청장관 통달 제1호)
2012년 7월부터 소비자청에서 경품표시법에 근거해 컴플리트 가챠에 대한 행정처분 명령을 내렸다. 고시 제5항의 소위 카드 맞추기는 기만성(당첨률과 관련하여 착각에 빠지게 만듦)이 현저히 높아 1969년에 전면금지됐었는데, 컴플리트 가챠가 이것에 해당한다고 해석한 것이다.告示第五項(カード合わせ)について
(1) 다음 같은 경우는 고시 제5항의 카드 맞추기 방법에 해당한다. 휴대전화 단말기나 PC 단말기 등을 통하여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게임 속에서, 게임의 이용자에 대해, 게임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등을, 우연성으로 제공하는 아이템 등의 종류가 정해지는 방법에 의해 유료로 제공하는 경우로, 특정 둘 이상의 다른 종류의 아이템 등을 갖춘 이용자에 대해, 예를 들면 게임 상에서 적과 싸우는 캐릭터나 플레이어의 분신이 되는 캐릭터(이른 바 '아바타'라고 불리는 것)가 가상 공간 상에서 거주하는 방을 장식하기 위한 아이템 등, 게임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및 기타 경제 상의 이익을 제공할 때.
次のような場合は、告示第五項のカード合わせの方法に当たる。携帯電話端末やパソコン端末などを通じてインターネット上で提供されるゲームの中で、ゲームの利用者に対し、ゲーム上で使用することができるアイテム等を、偶然性を利用して提供するアイテム等の種類が決まる方法によって有料で提供する場合であって、特定の二以上の異なる種類のアイテム等を揃えた利用者に対し、例えばゲーム上で敵と戦うキャラクターや、プレーヤーの分身となるキャラクター(いわゆる「アバター」と呼ばれるもの)が仮想空間上で住む部屋を飾るためのアイテムなど、ゲーム上で使用することができるアイテム等その他の経済上の利益を提供するとき。
「현상에 따른 경품류 제공에 관한 사항의 제한」의 운용 기준 (2012년 소비자청장관 통달 제1호)
2016년 일본 온라인게임 협회와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협회가 "랜덤형 아이템 제공방식에 대한 운영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흔히 말하는 천장(어느 수준의 랜덤박스를 구매할 시 해당 보상으로 등장하는 확률형 아이템을 주는 것)의 설정, 확률형 게임 아이템의 등장 확률 공개를 권고하고 있으나 법적 효력을 지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4.3. 중국
중국도 당연히 규제에 들어갔다. 2019년 4월 22일에 판호 규정을 개정하면서 "뽑기의 확률을 백분율로 표기하면 안되고 '몇 번 하면 나온다'는 식으로 표시해야 한다."는 조항이 들어갔다.# [19] 조금 결이 다르지만 중국의 게임규제는 굉장히 강력한 편이다.4.4. 북미
최근 북미에서 출시된 패키지 게임들이 너도나도 랜덤박스 시스템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게 되어 소비자들이 "랜덤박스를 도박으로 지정해 달라"고 항의했으나, 북미의 게임등급분류기관 ESRB는 '랜덤박스는 도박으로 볼 수 없다'라는 입장을 밝혀 이에 대한 갑론을박이 진행 중이다. # 사용자의 반발이 심해지자 미국 의회 차원에서도 이를 약탈적 도박으로 규정하여 금지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영문기사 2025년 1월 17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원신의 미국 퍼블리셔에게 과징금을 부과하고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뽑기(루트박스) 판매를 제한하라고 결정했다.#애플에서는 앱스토어 심사 가이드라인을 개정하며 랜덤박스의 확률 공개를 의무화하는 사항을 추가했다. 소리소문없이 추가돼서 아는 사람들이 적을 정도. 앱스토어 한정 최소한 확률공개가 100% 보장된다는 건 전보단 나아진 점으로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은 플레이 스토어와 앱스토어 동시서비스를 하기 때문. 한국은 관련규제가 있지만 유럽, 미국, 혹은 그냥 글로벌 서비스를 하는 게임은 해당 사항이 없어서 확률공개를 하지 않고 있다.
4.5. 유럽
네덜란드의 게임 규제 기관에서 이런 loot box가 네덜란드의 도박금지법을 위반하는지 검토했는데 검토보고서 (PDF) "Study into loot boxes: A treasure or a burden" 검토대상 게임 10종 중 4종은 해당법을 위반했다는 결론이 나서 이를 수정하도록 한다고한다. 다른 보도에 따르면 그 4가지 게임은 FIFA 18, Dota 2,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Rocket League(RC 레이싱 카로 하는 축구+레이싱 게임)이라고 한다. 즉 Dota 2 류의 유료 랜덤박스는 공식적으로 법으로 금지된 도박이라고 결정한 것이므로 이런 형식을 거의 같이 따르는 수많은 게임들도 같은 기준으로 검토하면 도박으로 판정된다는 것이고 도박금지법 위반이 된다는 것이다.벨기에에서도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도박이라 간주했고 해당 법이 2018년 4월에 통과하였다. 이후 계도기간동안 서비스하는 모든 게임의 수정을 강제했으며 10월 들어 이에 따르지않은 게임사를 제소하는 상황. 블리자드나 밸브등의 게임은 이에 따라 랜덤박스를 아예 삭제했지만 EA는 따르지 않았고 EA에 대해 법적조치에 들어간 상황. 이걸 본 중소 가챠류 게임들은 2018년 11월 이후로 벨기에에서 그대로 서비스 종료를 하고 있다.
현재 유럽 국가들 중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는 유료 가챠 시스템이 불법이다. 돈을 지불하지 않고 인게임 재화로만 얻을 수 있는 가챠 또는 루트박스는 규제 대상이 아니나, 가챠를 구입하기 위해 현질할 수단이 생기는 순간 불법으로 규정된다.
5. 이 시스템을 채용한 게임들
5.1. 대다수의 모바일 게임
확률형 아이템은 대부분의 라이브 서비스 모바일 게임에서 핵심 BM으로 차용되고 있다. 마구마구/프로야구 매니저/피파 온라인 3 등과 같이 선수 덱을 구성하는 스포츠 카드 트레이딩 게임들도 여기에 포함되며, 영웅의 군단과 같은 응용형 카드 덱 게임 또한 여기에 해당된다. 하스스톤,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 같은 모바일 트레이딩 카드 게임 역시 확률형 아이템을 차용하고 있다.- 모두의마블, 모두의마블 for kakao: 이벤트 랜덤박스 시리즈, 합성, 큐브. 다이아 구매 시 카드팩이나 큐브 등등을 추가로 지급하는 결재 이벤트는 애교 수준. 각종 시즌 이벤트나 출시 이벤트 등이 전부 랜덤박스이다. 대표적인 예가 할로윈 이벤트인데, 헤비과금러들은 할로윈 이벤트 때 베아트리체 하나 뽑으려고 심장 나올 때까지 다이아 골드를 다 털었다 카더라. 그런데도 PC판은 18세인데 모바일 판은 전체이용가.
-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 비밀코드, 시간의 상점, 행운의 빙고, 실버기어, 골드기어가 모두 랜덤이다. 매 시즌의 하이라이트 차량들은 모두 빙고로 나올 전망인데 빙고는 비용이 비용이다보니 더 큰 문제다. 그나마 비밀코드 말고는 천장이 있긴 하다.
5.1.1.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에서 코레류 게임을 제외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나 , 신격의 바하무트, 확산성 밀리언아서, 데빌 메이커 도쿄, 그랑블루 판타지, 페이트 그랜드 오더 등 소위 가챠나 부스터라는 이름이 붙은 시스템은 대다수가 이것에 해당한다.특히 수집형 게임에서 이런 요소가 강조된다. 가챠 게임이라 불리기도 하며, 게임 시작하자마자 SSR을 뽑으라고 선전하는 게임이라면 십중팔구 그런 게임이라 할 수 있다.
- 소녀전선: 스킨은 사실상의 캐시 아이템으로 뽑는데 히든 스킨은 확률이 0.2%이다. 현질로만 구매할 경우 천장은 55만원이며 천장까지 현질보다는 보통 그 이하에서 뽑거나 무료로 얻은 재화를 더해서 손실을 줄이거나 다른 시즌 때 모아놓은 블랙티켓[20]을 더해서 한정 스킨을 얻는다. 다만 무료 획득 수단으로 보정해도 히든 스킨을 뽑으려면 몇십만원 깨질 각오는 해야한다.
- 붕괴3rd: 위의 소녀전선보다 더 심하다. 소녀전선의 경우에는 스킨 가챠를 제외한 나머지는 쉽게 얻을 수 있는 인게임 자원(인력, 탄약, 식량, 부품)을 통해서 가챠를 할 수 있지만 붕괴의 경우는 정말로 가끔씩 열리는 이벤트 재화를 이용한 이벤트 보급과 우정 보급을 제외하면 모든 가챠를 수정과 보급 카드라는 자원을 이용해서 가능하다. 수정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많긴 하지만 현질을 하지 않으면 1달안에 1만 수정도 모으기 쉽지 않다. 보급 카드는 대규모 이벤트를 통해서 얻을 수 있으나 이벤트가 없다면 수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붕괴에는 랭킹전 요소(심연, 기억 전장)가 존재하는데, 랭킹전 고득점이나 상위 몇% 도달에 관심이 없는 플레이어들을 제외하면 가챠를 통한 S급 발키리나 그에 맞는 성흔과 무기를 맞추는게 필수다. 그나마 다행인건 보급 중에 S급 발키리를 뽑을 수 있는 확장 보급에는 천장시스템이 존재하는데, 이는 100회 안에 보급란에 명시되어 있는 S급 발키리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해준다.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그랑블루 판타지와 동일한 개발사이다. 발렌타인, 여름, 할로윈, 크리스마스, 신년 때에 격주로 신규 캐릭터를 내놓는다. 3성의 확률은 3%이고 픽업을 뽑을 확률은 0.7%[21]이다. 한정캐를 확실히 뽑으려면 45000쥬얼을 써야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현금 가치로는 70만원에 달한다. 많이 퍼준다라고 하지만 그만큼 쓸 곳이 많아서 사실상 없다고 보면 된다. 꾸준한 결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한정캐릭터를 얻기 매우 힘든 구조로 되어있다.
일본에서도 워낙에 악명이 높다 보니 위 컴플릿 가챠 규제의 직격탄을 한 번 얻어맞았으며, 현재는 꽤나 이를 의식한듯 게임 내 캐쉬 재화를 푸는 식으로 꽤 완화해서 무마하고 있다.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의 경우 아이돌 마스터처럼 캐릭터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서 한정 캐릭터에 눈이 돌아가, 나올 때까지 지르다가 수백만 엔을 쏟아붓고도 못 얻는 일이 빈번해지자 가챠를 일정 횟수 이상 지르면 원하는 재화로 교환해주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이 늘고 있다. 이전까지는 적당히 지르다가 포기했을 소과금러들이 그 교환의 기회를 믿고 과금 규모를 늘리게 되기 때문에 유저에게 반드시 이득은 아닐 지도.
5.2. 대다수의 3N 게임
세계 최초의 온라인 게임 랜덤박스가 메이플스토리 출신.[22] 마비노기와 마비노기 영웅전은 당초 게임의 컨셉과는 전혀 상관없이 과도하게 커진 랜덤박스 컨텐츠의 비중 때문에 기존의 팬층을 거의 대부분 떠나보내야 했으며, 던전앤파이터/카트라이더/메이플스토리 등은 끊임없이 현거래와 해킹의 부작용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넥슨 게임에서 이 시스템을 채용하지 않은 걸 세는 게 더 빠를 정도.넥슨에서 서비스하는 게임 중 랜덤박스가 없는 게임은 다음과 같다. 이 둘은 2020년 시점에는 둘 다 장사를 포기한 상태. 랜덤박스를 채택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라, 근본적인 게임 구조 때문이다.
- 트리 오브 세이비어: 헤어 악세서리를 뽑는 랜덤박스 비스무리한 것이 나왔으나 게임 성능 자체엔 영향을 끼치지 않는 뽑기. 이 게임은 토큰이라는 일종의 정액제 과금과 스킨으로 과금을 유도한다.
채널링까지 따지면 파이널 판타지 14도 없는 쪽에 속한다.
넷마블의 게임은 PC로 플레이하는 게임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잘 못느끼지만[23] 아래에 언급된 SD 건담 캡슐 파이터만 봐도 랜덤박스를 도입한 게임이 있었고 특히 모바일 게임들은 없는 게임을 찾기 힘들정도로 넷마블 게임이면 거의 랜덤박스가 있다고 생각하는 게 좋다. 온라인 게임의 랜덤박스의 시초가 넥슨이라면 모바일 게임의 랜덤박스의 시초는 넷마블이라고 봐도 될 정도다. 다만, 스페셜 포스 2처럼 현재 넷마블에서 서비스중인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랜덤박스에 의한 현질유도가 적은 게임도 있다. 물론 이 게임도 총기개조 시스템에 의한 벨런스 붕괴 문제로 욕을 먹고 있긴 하지만 넷마블이 서비스중인 PC게임 중에선 그나마 나은 편.
엔씨소프트의 게임은 대부분이 정액제였지만 어느시점부터 정액제 게임인데도 랜덤박스가 꾸준히 출시되어 이중과금이라는 비판도 받아왔다. 엔씨소프트의 랜덤박스는 확률이 극악인 경우가 많은데 특히 리니지m의 일부 상품이 로또 2등과 맞먹는 확률이어서 논란이 생긴 바 있다.
5.3. 대다수의 한국산 FPS 게임
피망에서 서비스하는 모든 FPS들, 그리고 서든어택과 AVA에 이르기까지 온갖 종류의 현질 전용 랜덤박스를 앞다투어 내놓은 대표적인 랜덤박스 장르. 종류로만 따지자면 이쪽이 가장 악랄하지만 타 게임보다 비교적 컨텐츠 비중이 낮은 편이어서 은근슬쩍 묻혀 가는 중이다.하지만 FPS 게임에서 랜덤박스는 유일한 운영비 충당 방식이라 어쩔 수 없다는 것이 현실. 물론 정액제나 부스터 판매 등으로 충당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지만... 한국 FPS 최초로 정액제를 도입한 카르마 온라인은 시원하게 망했고[24] 배터리 온라인 개발진은 이러한 랜덤박스 시스템을 넣지 않는다고 했으나, 단순히 부스터 아이템 판매로는 운영비 충당이 되지 않아 국내 서버는 종료되었다. 워페이스 또한 국내 서비스 초창기에 랜덤박스 시스템을 넣지 않는다고 했다가 결국엔 운영비 충당을 못해서 서버 종료 직전에야 랜덤박스를 넣었고[25], 헤쎈 온라인도 부스터 아이템 판매로 운영을 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회사까지 사라졌다.
FPS 게임, 특히 여러 스킬과 여러 캐릭터들이 난무하는 하이퍼 FPS도 그렇지만 어느 정도 현실감에 맞춘 게임성을 보여주는 밀리터리 FPS 게임은 여타 MMORPG류의 게임과 달리 계급장이 백날 높아봐야 데미지 강력한 총으로 머리를 맞으면 장성에서 일반병까지 공평하게 원샷킬이라 계급은 그냥 오래 했다는 증거 및 장식에 불과하고 게임머니 또한 오래 하면 할수록 자연스럽게 넘쳐나는 구조이니 단순히 부스터 아이템만으로 운영비 충당은 매우 힘든 일이다. 그렇다고 게임머니 획득 조건을 까다롭게 한다면 초보 유입이 더 힘들어진다. 그렇기에 FPS 게임에서 랜덤박스를 무조건 결사 반대를 외치는 것은 서비스 종료를 하라는 말과 다름이 없다. 이게 한국 부분 유료화 FPS 게임의 현실이며, 카스 글옵의 스킨상자나 워페이스의 워박스, 오버워치의 전리품 상자를 보면 외국이라고 별 다를 바 없는 것도 매한가지다.
한편으로는 그렇다 해도, 게임 내 밸런스를 고려하지 않고 마구 출시할 경우 다른 장르 게임들과 똑같이 헬게이트가 열리는 건 마찬가지이다. 이런 식으로 '밸런스를 고려하지 않고 막 내다 망한' 게임의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서든어택도 현질 요소로 악명이 매우 높다. 서든어택 2에서 볼 수 있었던 과금 요소는 모두 원조가 형의 것들인 것이 굉장히 많다. 캐릭터 뽑기 랜덤박스라던가, 무한탄창 무기 기간 랜덤 랜덤박스라던가. 그나마 후속작인 서든2보단 비교적 과금이 양심적인 편이긴 하다. AVA같은 경우도 초창기 총들은 현실의 캡슐 시스템과 비슷한 시스템[26]을 사용해서 어느 정도 유저들이 묵인해줬다.
이렇듯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아왔지만 서든어택 2라는 한국 온라인 게임 역사에 길이 남을 작품이 등장하면서 이야기가 달라졌다. 모든 면에서 최악의 랜덤박스를 포함한 P2W 시스템들을 대거 채용한 것. 애초에 게임 자체도 매우 허술하여 총체적 난국이라 폭풍처럼 까이고 침몰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
5.4. 그 외 랜덤박스로 악명 높은 게임들
위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게임들 중[27] 랜덤박스 문제로 악명 높은 게임들을 따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볼드 처리된 게임은 랜덤박스 관련 사건사고가 터졌거나 랜덤박스 관련 세계 최초 타이틀을 보유한 게임이다.- 기본 컨텐츠 전체가 랜덤박스인 게임들
- Gacha World: 게임 제목부터 가챠를 표방한다. 심지어 이 게임의 제작자는 출시하는 게임마다 대놓고 이름에 Gacha를 넣어서 뽑기가 컨텐츠임을 증명하는(...) 위업을 달성하고 있다. Neko Gacha, Anime Gacha,
Gacha World 2[28] 다만 타겜들과 달리 컨셉이 가챠인 게임이라 그런지 게임에서 큰 노가다 없이 맘껏 50회 뽑기를 할 수 있다. -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2015년 5월 29일 서비스 종료): 일단 기본적으로 플레이에 들어가는 기체들이 전부 뽑기. 그리고 게임 중 사용하는 아이템도 뽑기이며 강화 확률도 상당히 낮은 편이다.[29] 그런데다가 서비스 종료 시점까지 질리지도 않고 현질 랜덤박스 시스템을 계속해서 냈었다. 아예 이에 대해서 따로 문서를 분리해 놨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으며, 결국 서비스 종료 시점까지 도합 130여종에 달하는 랜덤박스[30]를 도입하는 전무후무한 넘사벽급 기록을 달성하기까지 했다. 유료 랜덤박스의 경우, 13년 7월부터 14년 말까지 피크를 찍고 질리지도 않고 계속 냈었는데, 참고 질러 주던 유저들도 소맥이 유저들의 의견을 끝까지 무시하자 13년 12월 즈음에서 여론이 폭발하여 지갑 닫겠다고 선언하는 과금전사들이 늘어났고, 실제로 지르는 숫자가 현격히 줄어들어버렸다.[31] 결국 이 상황이 14년 4월까지 지속되고 게임 외적으로도 불리하게 돌아가자[32] 소맥도 랜덤박스를 중단하고 현질 패키지를 파는 식으로 다른 활로를 찾았고, 이마저도 유저들의 반응이 적대적이자[33] 항복선언하고 12년도처럼 무료 랜덤박스를 내놓는 운영으로 돌아갔다. 게임사가 랜덤박스로 횡포를 부리면 유저들이 지갑을 닫는게 가장 좋다는 것을 증명한 좋은 사례일 듯하다.
- 능력자X: TPS 게임이지만 모든 기본 컨텐츠가 랜덤박스이고, 거기에 강화 도박까지 복합적으로 가미되어 있다. 다만, 능력자X 의 경우엔 랜덤박스의 영향이 비교적 적은편이긴 하다. 왜냐하면 본질적으로 FPS게임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아무리 사기템을 끼고있어도 핵급의 실력을 가진 고인물들이 들고다니는 기본템 앞에서 탈탈 털리기 때문이다. 특히 고인물들이 엔비같은 스나이퍼 캐릭터를 사용하면 장비차이는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다.
- 코즈믹 브레이크(2016년 10월 21일 국내 서비스 종료): 래빗머신(해외명 가라폰/가챠) 이외의 방법으로 신규 기체를 얻을 수단이 거의 없으며, 설상가상으로 래빗머신의 경우는 기간 한정이다. 다시 말해서 랜덤박스 없이는 초보 티조차 벗지 못한다는 것. 비슷한 방식의 기간 한정인 강철전기 C21의 가챠는 그나마 유저 간 거래가 가능해서 확률 장난이 상쇄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쪽은 얄짤없다. 만약 머신 이외에 기체를 얻을 수단이 전무했다면 캡슐파이터보다 더욱 악랄한 상술이 될 뻔했다. 그리고 후속작인 코즈믹 아레나는 그것을 현실화했다.
- 코즈믹 아레나(2017년 5월 22일 국내 서비스 종료): 위에 언급된 코즈믹 브레이크의 후속작. 이쪽은 정말 기본 기체와 일부 언락 기체를 제외한 거의 모든 기체를 오로지 가챠로만 획득해야 한다. 그나마 일부 기체들은 로이드 언락이나 코스모피스 교환, 리그 리워드 보상으로 얻을 수 있지만 이 경우 랭크 성장 제한이 걸려 있거나 획득 조건이 엄청 빡세거나[34] 성능이 부족한 라이트 기체인 경우가 대부분.[35] 그래도 로봇 로이드 쪽은 사정이 약간 나은 편이다. 흄 로이드 쪽은 기본 기체 3종(키 미션 수행과 랭크 업 보상을 포함할 경우 공짜로 얻을 수 있는 기종이 2개 더 있긴 하다)과 언락 기체 4종(그 중 2종은 원판의 열화 버전인 라이트 기종들이다)을 제외하면 전 기종들을 과금 가챠를 통해서만 입수할 수 있다.
- 건쉽배틀:토탈워페어
- 군주 온라인 : 사행성으로 인한 19금 판정을 받았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 그랑블루 판타지: 신년 가챠에서 확률 조작 의혹이 터졌다.# 거기다 일본 내에서 불법인 컴플릿 가챠까지 겹치며 논란이 불거졌다. 그리고 심지어 지상파 TV에도 나오게 됐고 결국 경품표시법 개정에 이르게 됐다.[36]
- 그라나도 에스파다: 매직 룰렛 → 린든상자. 처음엔 매직 룰렛이라는 이름으로 나왔다가 린든상자라는 새로운 이벤트로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이름만 바뀌었을 뿐 시스템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 대한민국 MMORPG 최초로 랜덤박스를 도입한 게임이자 세계 최초로 이중 랜덤박스를 구현한 게임이기도 하며, 상위 아이템이 뽑혔을 경우 해당 서버에 자동 공지되는 시스템을 채택하기도 했다. 이 시스템이 특정 아이템과 특정 레어/고난이도 캐릭터들을 수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벤트라서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이미 게임 시스템의 일부로 자리잡은 거나 마찬가지 상황이다. 특히 일본/대만제 기간 한정 코스튬이 역수입될 경우 100% 랜덤박스로만 구할 수 있으며, '보라색 테두리'라 불리는 한정판 캐릭터들의 경우도 시즌 이벤트 같은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오직 랜덤박스를 통해서만 구할 수 있다. 심지어는 원 캐릭터에 있던 컨셉을 린든상자 전용 캐릭터로 억지로 분리해서 내놓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리스키(그라나도 에스파다) 문서 참고.
- 겟앰프드 : 상자 구매시 일정 메달을 지급하고, 메달로 내용물을 구매 가능하다. 금액도 대충 수십만원에서 끝나니 다른 게임에 비하면 그나마 돈이 덜 드는 편. 문제는 랜덤박스로 나오는 악세사리들의 성능이 하나같이 사기급이라 나올때마다 밸런스가 박살난다는 것이다. 이후 욕을 엄청 들어먹은 후에야 너프 → 또 다시 랜덤박스로 사기악 배출 → 너프라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 귀혼: 귀혼상점 복주머니
- 대항해시대 온라인: 트레져박스. 캐시 선박과 조인트빌드 재료, 강화된 장비 외 다수의 캐시 소모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져박스에 손을 대지 않을 경우 PvP에서 넘사벽의 스펙 차이가 나며, PvP를 적극적으로 피한다 해도 플레이의 쾌적도 자체의 차이가 크다. 그나마 트레저박스 아이템들은 거의 대다수가 게임 내에서 거래가 되는데다 버프형 아이템 이외에는 기간제가 없기 때문에 다른 게임보다는 조금 나은 편.
- 대항해시대 5: 스카우트 티켓, 장비 티켓. 강화된 배와 강화된 장비, 그리고 게임 진행에 필수적인 일부 허가서 아이템 등을 전부 여기에서 구해야 한다. 심지어는 항해에 필수적인 선원마저 뽑기로 뽑게 되어 있어 랜덤박스 없이는 하수 레벨에서 영원히 고통받아야 한다.
- 라그나로크 온라인: '행운의 알' 이라는 확률성 아이템을 이벤트 기간동안 판매한다. 일정 확률로 좋은 옵션의 모자가 나오고 그 모자의 좋은 옵션이 발동하기 위해서는 고제련을 해야 한다. 그 고제련을 위해 제련확률을 올리는 캐시템이 필요하다.
- 라테일: 라덱 → 혼돈의 상자 → 로얄상자 시리즈→그외 도박 아이템들. 다양한 랜덤박스 컨텐츠가 나왔고. 그것도 죄다 사행성 논란으로 슬그머니 빼 놓고 다음 컨텐츠로 이전하면서 이름만 바꾸고 도박성을 더욱 올려놓은 조삼모사식 진행이어서 많은 원성을 샀다. 결정적으로 좋은 아이템이 뜰 경우 서버 전체에 자랑할 수 있는 옵션까지 들어 있어서 중독성을 대놓고 부채질하고 있다.당연히 랜덤박스가 아니면 공급조차 힘든 신규펫&아이템들이 나오며 이것이 나올 확률은 아무도 모른다.[37] 최근 출시한 도박성 스펙업 장비 아이스 플라워 챰 출시도 포함해서 라테일의 도박성은 현재진행형이다.[38]
- 엘더스크롤 온라인 정액제를 필수에서 선택으로 전환하면서 추가된 유료 캐시샵에서 크라운 크레이트 라는 이름으로 판매 중. 당첨 아이템은 치장 아이템들이고, "꽝" 아이템들은 경험치나 연구 주문서를 제외하면 별로 쓸데가 없는 아이템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필요 없는 아이템은 젬이라는 일종의 쿠폰으로 돌려받아서 원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는 있는데, 가격이 매우 비싼것이 함정. (당첨 아이템을 받으려면 보통 픽업을 200회 정도 돌려야 하는데, 이 젬이라는게 보통 픽업당 20~50, 고급 아이템을 환급하거나 중복이 뜰 경우에는 200 정도로 받을 수 있다. 일종의 천장 시스템.) 소위 "대박"으로 불리는 아이템의 드롭률은 픽업당 약 0.25~0.3%대에 형성되어 있고 모든 아이템들이 교불이다.
- 던전앤파이터 - 신 컨텐츠가 나온다 하면 랜덤 보상을 하는 데다, 봉인된 자물쇠는 이미 악명이 높다. 다만 헤비하게 즐기지 않을 경우 봉자 내용물은 경매장에서 사는 게 합리적이라, 봉자 자체가 유저들의 주 공격 대상은 아니다. 진정으로 욕 먹고 있는 건 헬 파밍 시스템. 유저가 직접 헬 던전으로 들어가서 몹 잡고 네임드 잡고 원하는 에픽템이 뜨기를 기도해야 한다. 너무 운빨이 심하다 항의했더니 나온 게 에픽 조각 시스템이었는데 이 또한 초기엔 계정 공유가 아니어서 욕을 푸짐하게 먹었다. 이것도 비틀린 랜덤박스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진정한 문제 지점. 이후 에픽 장비 초월[39] 비탄의 탑 히든 항아리, 제작가능한 90제 에픽 무기, 제국 투기장을 통한 단일 에픽 방어구 업그레이드 등 운에 따른 템 파밍 격차를 해소하려 노력하고 있으나, 이 컨텐츠들도 헬파밍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다만 할렘 업데이트 이후 헬 파밍의 랜덤성을 거의 지워버리다시피 했으며 95제 에픽부터는 정가시스템의 변화를 통해 누구나 시간만 투자하면 풀셋을 모을 수 있도록 되었다.100제 아이템이 추가되면서 다시 옛날 헬 파티 파밍으로 돌아갔다. 한술 더 떠 '신화' 등급을 추가하면서 랜덤성은 더 커졌다. - 던전 앤 파이터 혼(2017년 12월 21일 서비스 종료) - 상점에서 파는 모든 무기와 방어구, 장신구. 자신이 원하는 것을 살 수 없고 랜덤박스를 구입해야 한다. 이는 카트라이더의 폐해를 그대로 답습한 것이나 마찬가지.
- 마비노기 영웅전: 각종 키트 시리즈. 원조 격인 마비노기와 마찬가지로 이 분야의 대가 수준으로 미칠 듯이 낮은 가성비도 가성비지만, 서비스 초창기부터 줄곧 확률 조작 의혹이 있어 왔다가 그것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큰 사단이 난 적이 있다. 마비노기 영웅전 키트 확률 조작 의혹 사건 문서 참고. 다만, 마영전의 키트는 초창기부터 가격 대 성능비가 나쁘지 않아 평가가 좋은 편이었다. 개당 현금 1900원이지만 최악의 꽝도 그 1900원의 값어치는 하는 캐시템이었던 데다 캐시템이라 거래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골드에 미치는 영향도 거의 없었다. 한마디로, 못해도 본전은 뽑는 랜덤박스였다. 그러나 점점 꽝으로 애완동물 사료 같은 값어치 못하는 아이템들이 등장하더니, 최근에 나온 바니퐁에 이르러서는 키트에서 나온 캐시템들마저도 포장된 상태로 나오면서 거래소 거래가 가능해짐에 따라 사행성이 부쩍 높아진 상태가 되어 버렸다.
- 매스 이펙트 3 : 최초로 패키지 게임에서도 게임플레이로 노가다를 뛰어 돈을 번 다음에 그 게임 머니로 랜덤박스를 열어 무작위로 컨텐츠를 언락하는 골때리는 방법을 개발한 게임이다. 노가다 뛰기 싫으면 직접 현질로 랜덤박스를 사면 되는데, 언락 컨텐츠는 무작위라 언제 다 해금할지는 완전히 운빨이다.
- 메이플스토리: 부화기를 시작으로 수많은 랜덤박스 아이템이 탄생했다.[40] 참고로 메이플스토리는 랜덤박스 시스템을 처음 만들고 도입한 게임. 즉 만악의 근원. 세계 최초의 랜덤 박스는 2004년 6월에 JMS(일본 메이플)에서 출시된 '가챠포 티켓'이고 국내 최초는 2005년 7월 KMS에 출시된 '부화기'다.
- 메탈슬러그 어택: 2016년 초기에 서비스를 시작하고 난 후, 현재도 전작과 같이 파워인플레로 인해 초창기에 등장한 유닛들은 모두 메타에서 밀려나게 되었는데, 소위 말하는 '최근 메타' 유닛들의 대부분이 랜덤박스로만 얻을수 있다. 킹 오브 파이터즈와의 콜라보레이션 논란이 있었던 전작이 랜덤박스 시스템을 철저히 배제하면서 운영한것과는 매우 반대되는 행보. 자세한 사항은 항목의 '비판' 단락 참고.
- 라인 플레이: 랜덤박스 게임의 끝판왕. 특히 현질유도가 심해서 기본적으로 무료로 획득할 수 있는 재화로 뽑을 수 있는 가챠의 퀄리티도 낮고, 가챠 시스템의 확률이 별로여서 낮은 등급의 아이템과 중복 아이템이 많이 나온다.
- 블레이드 앤 소울: 각종 상자 시리즈, 보물창고 시리즈. 정액제 유료 게임이었는데도 박스를 출시했다. 게다가 블소의 박스는 박스를 까면 적은 확률로 또 박스가 나오고 그걸 까면 적은 확률로 또 나온다. 다시 말해서 세 번에 걸친 낮은 확률을 뚫어야 고가의 물건이 나오는 3중 랜덤박스를 세계 최초로 구현한 것으로, 그라나도 에스파다에 이은 또 하나의 부끄러운 세계 최초가 탄생해 버렸다.
- 사이퍼즈: 부스터, 코스튬 랜덤 박스들. 부스터에서는 아이템이, 코스튬 랜덤 박스에서는 코스튬이 나온다. 기간 한정으로 판매되는 코스튬 랜덤 박스는 적어도 코스튬이 보장되지만, "액토 꾸러미", "에이스 박스", "의대생 상자"처럼 부스터와 한통속 취급을 받는 코스튬은 없다. 그나마 장비 아이템은 이벤트를 통해서 부스터나 재화, 패키지 등을 자주 지급하는 편이지만 소비품은 희망이 없다.
-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2017) : 잘만든 게임의 평가를 나락으로 떨어트린 원인이 되었으며 하와이주 내에선 관련 규제 법안까지 만들겠다는 움직임 마저 일어나고 있다. 결국 랜덤박스 시스템을 삭제하고 시간을 투자하면 보상을 얻을 수 있게 바뀌면서부터 다시 호평.
- 아이돌 마스터 모바일 게임 시리즈 : 반다이 남코의 사이버 아이돌 게임이다. 격주마다 새로운 폼의 캐릭터가 나오고 여름 할로윈 신년주기로 한정카드를 출시한다. 또 페스티벌이라고 SR의 확률을 2배로 높이고 그때만 뽑을 수 있는 한정캐를 내놓는 주기적인 이벤트도 있다. 확률은 고정3%지만 게임이 오래되다보니 캐릭터와 의상이 매우 많아졌고 자기가 원하는걸 뽑을 확률은 0.035%에 달한다 보면 된다. 10번의 필요재화는 2500쥬얼이다. 90만원에 달하는 돈을 줘야만 확정적으로 뽑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콘솔 게임 시리즈(본가)가 과금독성이 없냐고 하면 이쪽은 무자비한 수준의 유료 DLC가 존재하며, 이마저도 점점 모바일 게임 쪽으로 비중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다.
- 이터널시티 시리즈 - 무기 상자 그나마 3편에서는 게임 내 재화로도 구할 수 있지만 캐시로 뽑는 게 빠르고 편하기 때문에...효과는 그닥. 1에서는 불법 무기, 3에서는 희귀 제조사가 나온다. 일반 무기와 비교를 거부하는 넘사벽 성능이기에 사실상 필수 컨텐츠. 였지만 CL무기 도입으로 인해 불법무기보다 강력한 CL무기를 어설트를 통해 획득하는 포인트로 구매 가능하게 되었고 사실상 몇가지를 제외한 불법무기는 사양됐다.
- 최강의 군단(2017년 10월 31일 서비스 종료): 럭키백, 제3세계의 상자, 베누스 상자. 기본적인 아이템 수급 상자인 럭키백도 뽑기이고, 코스튬을 얻을 수 있는 제3세계의 상자와 베누스 상자 모두 뽑기다. 그나마 코스튬 상자 2종의 경우 오프너 아이템인 베누스의 키를 무료로 뿌리고 있기 때문에 일종의 추가 과금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럭키백의 경우는 얄짤없다.
- 타이니팜: 타이니 알. 현금의 대용품인 '벨'로 살 수 있으며, 이것을 까면 일정 확률(33%)로 은빛 타이니알로 바뀌고, 은빛 알을 까면 일정 확률(33%)로 금빛 타이니 알로 바뀐다. 그리고 금빛 타이니 알을 까면 일정 확률(3%)로 보석빛 타이니 알이 나오는데 이것이 일정 확률로 전설급 동물이 나오는 최종목표 알이다. 다시 말해서 4중 랜덤박스라는 전무후무한 병맛 랜덤박스를 실체화시켜 버린 것. 게다가 이벤트로 나오는 다른 알들도 그 알에서 나오도록 설정된 동물이 100% 나오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청룡의 알을 열어 보면 대부분 양이나 펭귄 같은 흔한 동물이 나온다. 또한 애정포인트와 골드를 내고 만드는 장난감 뽑기는 목표물이 9개라고 해서 확률이 1/9인 것이 절대로 아니다. 룰렛이 멈출 듯 하면서 쪼르르 미끄러져 장난감 울타리 한 개(들인 돈만 해도 이걸 8개 사고도 남는다)에 멈추는 페이크가 일품.
- 테라(MMORPG)[41]: 의복 수집함을 비롯한 각종 수집함 시리즈. 부분 유료 전환 이후 추가된 요소들이 전부 랜덤박스와 관련되어 있다. 특히 첫 랜덤박스 최상위 경품이었던 메이드복 시절부터 엄청나게 말이 많았다.
- 테일즈런너: 이벤트 랜덤박스 및 의상 상자 시리즈.2018년에 캐시로 사는 상자가 TR로 판매되는 엄청난오류가발생했다. 저연령층을 노린 캐쥬얼 게임이지만 마트료시카 기법과 덜떨어진 가성비 등이 웬만한 성인 전용 게임 뺨친다.천장보상이 없어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이 나올때까지 랜덤박스를 사야한다.
- 테일즈위버: 2008년부터 도입된 화분을 시작으로 각종 가챠를 찍어냈다. 최근에는 가챠자율규제를 비웃기라도 하듯 기존아이템에 확률형 옵션 부여하는 편법가챠를 만들고 있다. 역시 넥슨답다.
- 팡야(2016년 8월 29일 서비스 종료): 카드 팩, 스크래치 아이템.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대놓고 카드 게임의 가챠와 복권 모양새를 하고 있다.
- 퍼즐앤드래곤: 레어 에그. 레어 머신에서만 나오는 몬스터가 무엇이냐에 따라 이후 후반기 강림 던전 돌파 난이도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다.
- 피싱마스터: 랜덤박스가 게임의 알파부터 오메가까지를 결정하는 게임.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무조건 어신의 보물 종류와 '행운의 카드'로 스펙업을 해야 하는데, 이 때 드는 비용은 정말 장난이 아니다. 게다가 어신의 보물 종류는 가끔 이벤트라며 11만 원짜리로 출시되는데, 구성품은 3만 원어치의 값어치도 없는 것들이 쏟아져 나온다. 노력으로 뭔가 성취할 수 있는 콘텐츠가 아예 없고, 무조건 어신의 보물과 행운의 카드에 의존해야만 강해질 수 있으니 그야말로 게임빌의 막장 운영 행태의 대표격인 게임이다.
- FIFA 시리즈: 매번 나오는 카드팩을 거의 모든 게이머들은 랜덤박스 취급한다. AAA 게임계에서 이러한 소액결제형 랜덤박스의
안 좋은 의미로선구자가 된 것은 바로 FIFA 09에서 처음 등장한 얼티밋 팀 모드다. - 오버워치: 전리품 상자. 캐릭터 별로 나뉘어 있는 스킨, 스프레이, 모션 등의 수집 요소를 랜덤하게 드랍시켜주는 랜덤 박스이다. 2개에 2400원(개당 1200원), 50개 묶음은 48000원(개당 960원)이라는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원하는 물건을 얻기가 꽤나 까다롭다. 다만 현질로만 구매 가능한건 아니고, 레벨업을 할 때마다 1개씩 지급이 되기 때문에 구입하지 않고 성실하게 레벨업만 해도 얻을 수 있으며, 후 패치로 '아케이드' 모드에서 3회 승리하면 1개씩 지급되도록 패치했다. 그리고 수집 요소들 외에 '크레딧'을 확률적으로 지급하거나, 이미 가지고 있는 중복된 수집 요소에서 소량을 지급하는 등으로 해서 차곡차곡 모아뒀다가 원하는 것을 구매할 수도 있다. 스킨이나 스프레이 같은 단순 치장 아이템이라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주는건 아니지만, 게임의 가격도 결코 낮은 편이 아닌데 별도의 캐시 아이템을 판다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는 유저들이 있는 편. 평가 내 해당 문단과 흰흰파흰 문서 참조.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팀 포트리스 2와 비슷한 시스템이다. 대신 무기가 나오는 게 아니라 무기 스킨만 나온다. 스킨은 5가지의 등급으로 나뉘어 있고, 각 등급마다 도색 상태가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등급의 스킨을 얻으려고 상자만 수십개를 까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 카드크래프트 : 인게임에서 3가지 속성x9가지 직업 = 27장의 카드로 덱을 구성하는데 카드등급 4단계 전설>영웅>희귀>일반등급 중 희귀, 일반카드는 전설, 영웅카드의 하위호환이며 전설카드의 능력치를 상승시켜 주는데 쓰인다. 전설카드의 능력치와 고유스킬이 넘사벽이라 좋은 덱을 짜려면 다이아 뽑기로 10~27장의 전설카드를 뽑아야 게임 진행이 원만하다. 확률/과금이벤트를 가끔 하는데 확률업 이벤트시 전설카드를 얻을 확률이 3.8%대로 증가되며 확률 공개했다. 과금업 이벤트 때는 과금 10만원 기준 다이아 1155개로 뽑기횟수 50% 증가된다. (다이아 10개당 카드뽑기 1번. 기존 10만원 과금 770개에서 이벤트시 1155개로 증가) 문제는 27장의 카드 덱이 직업, 속성별로 나뉘어져 있어서 기존에 뽑은 전설 카드를 다시 뽑으면 중첩되어 버리기 때문에 원하는 카드를 얻기가 힘들 다는 점.
- 쿠키런: 펫, 보물의 획득처가 뽑기다. 그래도 펫 뽑기의 경우에는 만렙 펫은 중복으로 나오지 않지만, 보물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문제. 또한 특정 기간에 '다람쥐 상점'이라는 이벤트를 열었는데, 마법가루가 하도 흔하게 나와서 한정 보물을 뽑으려고 크리스탈을 쏟아붓는 유저들을 물먹였다. 때문에 붙은 별명이 발암쥐 상점(...).
후속작에서 이 랜덤박스 요소가 더욱 심해졌다. - 파이널 판타지 브레이브 엑스비어스 : 게임을 처음 할 때 리세마라를 해야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5성 유닛이 희박하게 나온다. 급기야 소환 확률이 올라간다고 큰소리 쳐놓고는 많이 올라가지도 않는다. 게다가 밸런스도 좋지 않아 필수적인 캐릭터가 있어야 컨텐츠를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것도 문제점이다.
- 팀 포트리스 2도 이 분야에 있어 굉장히 악명 높은 게임이다. 초기에는 유료 게임에 랜덤박스를 도입한다는 개념 자체가 굉장히 문제가 많았으나, 초기에는 그래도 아이템을 랜덤박스 아니어도 구할 수 있고 주로 랜덤박스에서 얻을 만한 아이템도 치장용 물건이 끝이었는데, 랜덤박스 아니면 얻을 수 없는 등급 또는 유형의 아이템이 마구잡이로 추가되기 시작했으며 랜덤박스 때문에 최적화에 영향을 미쳐 게임 그래픽의 다운그레이드를 유발하기까지 해 국내에선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게임으로, 해외에선 악질 랜덤박스의 대표격인 게임으로 언급될 만큼 완전히 타락해버렸다. 미국 상원에 올라간 랜덤박스 금지법안이 정의하는 'Gambling Mechanics'(도박 기법)이 게임 곳곳에 악질적으로 설계된 게임으로 팀포 2가 당당하게 이름을 올리고 있다.
- 하운즈 : 매달 말즈음 꾸준히 랜덤박스를 업데이트한다. 과거 랜덤박스의 경우 까더라도 재료아이템이 나와서 욕을 먹었는지, 최근 랜덤박스들은 무기의 경우 최소 3티어 공용제품이 무조건 나오며, 방어구는 3티어 유니크 방어구가 최소한으로 드랍되게 변경해놓았다. 하지만 무기의 경우 3티어를 4티어로 올리기 위해서는 동일제품 10정을 보유해야하며, 방어구는 유니크 종류가 COOP를 포함해서 나오기 때문에 드랍테이블이 심각하게 늘어나서 3티어 레전드하나 뽑기도 힘든 상황.이에 더해서 COOP 보조장비로 랜덤박스로 판매하는데, 이경우 1개당 만원이 넘어가는 가격에 최소 기간제 1일 ~ 최대 영구제 드랍이라서 이것도 테이블 범위가 넓다. 심지어 보조장비도 영구제를 강화하려면 동일 영구제모델 2개를 소지하여야한다. 가장 충격적인건 넷마블 게임중에서 가장 양심적인 확률이라고 평된다는 점이다. 사실 이 게임에서 제일 문제되는건 랜덤박스 보다도 장비성능 차이가 너무 심각하다는 점이다. 초보유저들은 단 1킬조차 절때 불가능하며, 고인물들에게 계속 킬을 헌납하다가 게임을 접어버리기 때문.
-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 원래 PC와 마찬가지로 랜덤박스가 없었고 골탱을 이것저것 붙여서 패키지로 판매하는 정도였었는데 블리츠 페어라는
P2W이벤트를 하면서 부터 하나둘씩 생기기 시작했다. 구성만 보면 7~8티 골탱 종류가 다양하고 골드도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나름 손해보지는 않을것 같지만 실상은 부스터+크레딧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혀 그렇지않다. 거기에 가면 갈수록 내용 구성품도 창렬해지고 있는데다가 상자값도 비싸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상자깡 전차를 내놓을때마다 유저들의 비난이 높아지고있는 중이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고티어 골탱을 상자깡으로 내놓는 것으로 덕분에 게임 3000판도 안한 눕눕이가 운좋게 전차를 뽑은 뒤에 10탑방에 출몰해서 트롤링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고 그 결과 고티어 물이 심각하게 흐려졌기 때문에 고티어 골수유저들이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문제점을 참고. - 아스팔트 9: 레전드 : 원래 전작인 아스팔트 8: 에어본은 현질유도를 많이 하면서 연료 시스템등 게임 플레이 할때 싱글 플레이랑 일부 차량만 연료 시스템이 없었으나, 이번작 부터는 현질없이는 게임하기가 매우 힘들어졌으며, 일부는 15만원을 현질하고도 고작 상급차량 1대 얻을수 정도로 현질유도가 매우 심하다.
6. 예외 사례
- 길드워 2의 경우 무기 스킨을 랜덤박스로 팔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상자는 일반 드랍으로 나오고, 젬으로 열쇠를 사서 상자를 까면 이런저런 잡템들과 함께 무기 스킨 티켓이 가끔 하나씩 나오고 이걸 수십 개 모으면 스킨을 하나 살 수 있는 상당히 노가다스런 방식. 일단 정상적으로 플레이해도 드물게 열쇠를 얻을 수 있고, 무기 스킨은 경매장에서 거래가 가능하므로 여기까지는 그래도 별 불만이 없었는데 패스 오브 파이어 확장팩에서 탈것이 나오면서 본격적 랜덤박스가 도입되었다. 마운트 스킨을 랜덤박스에 넣고 팔았는데, 유저층이 이를 좋게 보지 않아서 엄청난 비판에 직면하자 이미 나온 건 계속 팔겠지만 앞으로 나오는 스킨은 일반 판매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하필 그 직후 배틀프론트 2가 발매되며 랜덤박스에 대한 엄청난 논란이 일어났기 때문에 적절히 지뢰를 피한 경우다.
- 워게이밍넷의 월드 오브 탱크와 월드 오브 워쉽은 오히려 2016년 연말부터 2017년 연시에 기간 한정으로 랜덤박스를 도입해 호평을 얻고 있다.[42] 그 이유인 즉슨 원래 월드 오브 시리즈의 게임 화폐인 골드와 프리미엄 전차 등은 현금으로 상당히 가격이 높은 편인데 이 가챠 시스템은 기존 상품 +a로 상당한 가치의 부가 상품을 랜덤으로 주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가격이 높은 건 특정 리스트에서 무조건 당첨되는 식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2021년 연말 가챠에는 확정 획득 천장 시스템까지 도입하여 더욱 호평을 받는 중이다. 다만 한국 서버에서는 팔지 않는데 유저들은 관련 법규로 인한 것이 아닌가 추측중.
블리츠와는 매우 대조적이다.2018년 연말에 판매된 상자는 더욱 좋아져 중복된 장식이 등장하지 않게 되어 스타일 상자별 콜렉션을 수집하는 것이 더 원활해졌다. 더불어 연말연시 혜택으로 경험치, 크레딧, 자유 경험치, 승무원 경험치가 한달 내내 +50%를 받을 수 있었다. 이후 법이 바뀌어서 랜덤박스는 확률을 명시해야 되기 때문에 2019년 출시된 소비에트 상자는 한국 지역에서 구입이 되지 않았지만 연말연시 랜덤박스는 판매되었으며 2020년과 2021년의 경우 워게이밍의 규정 변경으로 확률을 표기하기 때문에 연말연시 랜덤박스의 경우 확률을 고지하여 출시하고 있어서 한정 기간동안 구매가 가능하다.
- 리그 오브 레전드의 경우엔 마법공학 상자를 현금으로 판매한다. 가격은 1개당 125RP. 챔피언이나 스킨을 파편 형태로 제공하며, 이것을 실제 상품으로 획득하려면 다른 파편을 갈아넣어 정수로 만든 뒤 파편과 정수를 소모하면 된다. 낮은 확률로 보석이라는 희귀 아이템을 주기도 하는데, 이것을 10개 모으면 상점에서 구매할 수 없는 특별한 신화급 스킨 1개를 선택해 받을 수 있다. 이벤트로 특정 상품의 등장 확률을 높인 상자를 팔기도 한다. 이런 상자들은 모두 구체형이고 이름에 말장난이 들어가 있으며, 항상 '구'로 끝난다. 게임이 오랜 시간동안 인기를 끌고 있는 만큼, 대부분의 챔피언이 상시 판매하는 고퀄 스킨쯤은 가지고 있다 보니 사행성은 거의 거론되지 않는다. 리메이크나 비주얼 업데이트로 좋지 못했던 스킨의 퀄리티가 상승하기도 한다.
- 배틀필드 4의 배틀팩은 무기 부착물, 위장, 도색, 엠블렘 도형, 경험치 부스트가 들어 있고 낱개 또는 묶음으로 팔고 있지만 레벨이 올라갈때와 이벤트 등으로 증정하기 때문에 100 레벨이 넘어갈 때면 거의 모든 위장, 도색, 도형이 풀려 있고 무기 부착물은 해당 무기로 킬수를 올리다 보면 전부 해금할 수 있다!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랜덤 박스는 보통 게임사가 추가 수익을 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고, 이에 따라 유저들은 추가로 돈을 질러야 하는 소위 말하는 '도박성' 혹은 '창렬'에 가까운 시스템이다. 그런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은 랜덤박스가 오히려 게임의 수익성을 깎아먹은 드문 케이스에 속한다. 히오스의 주 수익 수단은 스킨이나 탈것 등의 장식품인데, 처음에는 정가 유료 구매였지만 스킨의 질에 비해 가격이 너무 비싸 유저들이 거의 구매하지 않았다.[43] 이 때문인지 2017년 2.0 버전 패치로 기존 스킨을 무료화한 대신 랜덤박스에서 뽑을 수 있게 했는데, 이번에는 너무 혜자로 만들어 놔서[44] 아무도 랜덤박스를 돈 주고 사지 않았다. 그래서 랜덤박스로 얻는 추가 수익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유료 스킨을 구매하던 일부 유저들에게서 기대할 수 있던 수익이 대폭 감소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고 말았다. 결국 히오스는 돈 안 되는 게임으로 전락했고, 나중에는 랜덤박스에서 나오지 않는 한정 스킨 추가 등으로 회생을 꾀해 봤으나 최종적으로는 도박 관련 법률을 의식해 게임 내 화폐인 골드로 전리품 상자를 살 수 있게 되면서 사실상 무료 게임이 되었다. 이처럼 수익성을 완전히 날려먹은 것이 히오스 업데이트 중단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7. 싱글 플레이어 게임의 경우
드물게 싱글 플레이어 게임 중에서도 랜덤박스 같은 무작위 당첨 시스템이 있는 게임들도 있다. 다만 온라인 게임과는 달리 게임 내의 이벤트성, 혹은 파고들기 요소로 존재하며 당첨되는 것도 제한되어 있고 확률도 미리 짜여져 있기 때문에 악의적인 잠수함 패치가 아닌 이상 차원이 다르고 오프라인이라는 특성상 현질의 가능성도 매우 낮다.[45]카드형 amiibo도 엄연히 말하자면 랜덤박스에 해당된다. 앵간한 카드팩은 무작위로 3장, 5장[46]이 들어있기 때문. 또한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 amiibo+ 패키지 자체도 랜덤한 아미보 플러스 카드가 1장 들어있기 때문에 엄연한 랜덤박스이다.
Nintendo Switch로 나온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2 의 경우는 별다른 과금 시스템은 없지만 게임 내에서 획득 가능한 코어 크리스탈이라는 재화로 블레이드라는 무기 겸 캐릭터를 획득 가능한 구조이다. 별도의 과금 시스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악랄한 확률을 보여줘서 유저들의 원성이 심한 편이다.
요시 크래프트 월드에서는 코스튬을 얻으려면 랜덤으로 뽑기를 해야 한지만, 코인벌이가 수월한 데다가 한 번 나온 코스튬은 두 번 나오지 않아 뽑기 기계를 털어버리는 짓이 가능하다. 또 같은 등급의 코스튬은 외형만 다르고 성능은 완전히 똑같다.
마인크래프트에서는 LuckyBlockMod를 깔아서 랜덤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에서는 게임내에서 플레이하며 모은 재화인 오리칼쿰으로 배 장식이나 아이템 등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타듀 밸리에서는 박물관 컬렉션을 완성하기 위해 정동석과 유물 상자를 까야 하는데, 총 95종의 컬렉션 중 최대 72종, 최소 41종의 광물과 유물을 컴플리트 가챠로 뽑아내야 한다. 물론 과금 시스템은 없고, 가챠 비용 자체도 25g밖에 하지 않는다. 반대로 말하자면 현찰 박치기가 불가능하여 광산을 계속 돌며 정동석을 모아 노가다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이다. 스팀 도전과제 달성률도 매우 낮다.
레드 데드 리뎀션 2의 경우 담배 카드란 아이템이 있다. 담배 카드에는 레데리 세계관의 유명인사나 동식물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찍혀서 나와 수집하는 재미가 있는 편이다. 진엔딩을 보기 위한 업적 달성에도 필요하다. 담배 카드 자체는 맵 전역에서 얻을 수 있지만 수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나머지 카드를 채우기 위해 잡화점에서 프리미엄 담배를 사 반강제로 가챠를 하게 된다. 모든 담배카드를 모아야되지만 소유하지 않은 담배 카드에 확률 보정이 붙어서 꽤 할만한 편이고 보통 모든 담배 카드를 얻는데 1000달러 정도가 필요한데 보상으로 1000달러 가량을 다시 얻을 수 있어 불합리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 편이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에서는 게임 올클리어 조건 중 하나가 패널이라는 특수 아이템을 12 캐릭터마다 12 종류씩, 총 144개 수집하는 것이다. 중복 획득이 가능하지만 스페셜 월드에 지정 캐릭터의 아직 얻지 못한 패널을 확정적으로 주는 상점이 있어서 100% 클리어를 도전하는 플레이어들에게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8. 여담
- 가챠에서 뽑을수록 대량으로 나오는, 가치 낮은 상품은 꽝카드로 네타 캐릭터화 되기도 한다. 신데마스의 야오 페이페이, 도묘지 카린이나 스쿠페스의 레어카드, 확밀아의 멀녹선이 대표적.
- 2015년 8월 15일 오사카 지방법원에서 게임에 관한 개인파산을 두고 개인파산은 면책사항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해당 기사는 가챠 시스템이 지나친 상술을 동원하여 개인 결제가 늘어나고 그에 따른 극단적인 상황(개인파산)은 면책사항이 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
- 실제로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유저가 315만엔(원화 약 3147만원)을 지불하면서 개인파산을 신청한 사례가 있다. 이외에도 일본어로 '가챠, 파산신청, (가챠로 악명높은)게임명'으로 검색하면 수많은 사례가 나온다.
- 가챠겜이 원작인 애니도 절망적인 고레어 확률을 패러디했다.
- 함대 컬렉션에서 '원하는 캐릭터의 일러스트를 투고하고 함선을 건조하면 해당 캐릭터를 획득한다.'는 루머가 있어서 pixiv등지에 일러스트를 투고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화는 '조공짤' 등의 이름으로 여기저기로 수입되어 가챠를 앞두고 뽑고 싶은 캐릭터의 팬아트를 그려서 나오길 기도하는 문화로 정착되었다.
- Fate/Grand Order에서 서번트와 관련이 있는 성유물을 촉매로 사용해서 특정 서번트를 소환하는 것에 빗대어 촉매 소환이라 칭하며 원하는 캐릭터와 관련이 있는 물품을 마련해두고 가챠를 돌리기도 한다.
-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은 2010년대만 하더라도 캐릭터 + 배경 구조 일러스트를 널리 채용했다. 하지만 2010년 후반~2020년대로 가자 점점 배경은 치우고 캐릭터 + 이펙트만 있는 일러스트를 채용한 게임이 많이 나오기 시작했다.[47]
- 대부분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들의 밸런싱은 상향평준화로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캐릭터들이 너무 강해져서 사기적인 성능을 보이면 너프를 진행하는 기존 게임들과는 달리 차라리 비교적 약했던 캐릭터들을 강하게 버프하는 방식을 택한다.[48]
- 라이트 노벨 시대가 거의 끝난 2020년대 초중반,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들이 워낙 많아졌다 보니 다른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상당히 외형이 비슷한 캐릭터들이 많아졌다. 그래서 구 세대 씹덕들은 개개인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할 정도.
- 일본의 인터넷 유행어로 부모 가챠(親ガチャ)라는 말이 있다. 가챠의 결과를 고를 수 없는 것처럼 아이는 부모를 고를 수 없는데, 부모의 경제적 능력이나 정서에 따라서 아이의 인생이 크게 좌우되는 걸 뜻한다. 한국의 수저 계급론과 비슷하다. 인터넷 유행어 치고는 널리 알려져 있어 기시다 후미오나 오토다케 히로타다 등 유명인들이 이에 대해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다.
- Escape from Tarkov에서도 스캐브 캐이스라는 가챠가 있다. 차이점이 있다면 순수하게 인 게임에서 벌 수 있는 재화로 가챠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2023년 6월 약 1주일 동안 에어드롭에서 나오는 "무장 가챠"[49] 이벤트를 진행한 적이 있다. 이후 일부 추가 구매 요소들이 등장하였고, '컬티스트 희생대'가 추가됐다. 여기서는 귀중품, 무기, 방어구, 기타 아이템 등을 희생해 다른 아이템을 얻는 구조.
- 해외에서도 똑같이 Gacha Game이라고 부른다. 랜덤 상자가 비즈니스 모델인 게임은 대충 Loot Box라고 표현하는 모양. 해외에서는 가챠라는 일본어의 늬앙스가 있어서 캐릭터 가챠 게임만 가챠로 오해하곤 하는데, 확률형 시스템이 들어가는 모든 PC 게임이나 모바일 게임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일본과는 관련 없는 미국에서 만든 피파도 확률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크게 보면 가챠 게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주로 동아시아 권역(일본/한국/중국)에서 만든 캐릭터 스타일의 게임에만 주로 Gacha라는 용어를 붙이고[50], 서양권이나 비-오타쿠형 게임에서는 주로 Lootbox를 쓰는 것으로 보인다. 앞에 언급한 FIFA도 루트 박스가 언급된 인터넷 내용이 더 많다.
- 2017년 12월 21일 "애플 앱스토어 리뷰 가이드라인"에 유료 루트박스(랜덤박스)의 아이템 획득 확률을 공개할 것을 요구하는 항목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해당 항목 캡쳐본, 관련 기사(영문) 추가된 문구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Apps offering “loot boxes” or other mechanisms that provide randomized virtual items for purchase must disclose the odds of receiving each type of item to customers prior to purchase. 구매로 랜덤화된 가상 아이템을 제공하는 “루트 박스”나 기타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앱들은 반드시 각 아이템 타입의 획득 확률을 구매 전 고객에게 공개하여야 한다.[출처] |
- 2025년 1월 게임 아이템 확률 정보를 공개하고 이를 무료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게임너드(Gamenerd):게임 아이템 확률 정보 공개 및 무료 통합 관리 서비스가 한국모바일게임협회의 지원을 받아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9. 관련 문서
[1] 더 증오스러운 것은 정확한 확률을 기업 비밀이라느니, 기획 의도라느니, 내부 지침이라느니 해서 절대 공개를 하지 않았다는 점인데(그냥 '높은 확률, 가끔' 식으로 때웠다) 결국 게임 회사들이 자율적으로 조금씩 확률 공개를 하기 시작하면서 그 폐단이 점점 드러나고 있다.[2] 겉으로 보이기에 같은 면적이라도 실제로 처리할 때는 확률이 전혀 다르다. 오히려 이쪽이 유저를 기만하는 측면이 더 크다고도 할 수 있다.[3] 이 주장은 완벽히 개소리인 것이 게임사가 망해서 게임시장이 죽는다는 주장은 애초에 말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단기수익에만 눈이 멀어 유저들을 힘들게 해왔던 게임사가 없어지면 게임시장이 살아날 것이다. 그리고 한국 게임사가 게임 운영으로 번 돈을 올바른 곳에 쓴다면 한국 게임시장이 살아나겠지만 그렇게 벌어온 돈을 망작 게임을 만드는 데에 쓰거나 넥슨 게이트처럼 번 돈을 뇌물로 주는 데에 사용한다면 그것이야말로 한국 게임계에 대한 수많은 불신 조장 및 한국 게임계가 쇠락하거나 죽는 결정타가 된다고 할 수 있다.[4] 다만 듀얼 링크스의 가챠 시스템은 현실의 가챠 시스템과 일치한다. 팩의 수가 정해져있고, 뽑을 수 있는 레어 카드의 수가 정해져있으므로 돌리면 돌릴수록 나올 확률은 높아진다. 이는 현실의 TCG 팩 뽑기를 반영한 것.[5] 페그오를 예로 들면, 게임 내 유료 재화인 성정석을 구매 후, 이를 가챠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분명 돈을 질렀는데도 내가 원하는 캐릭터를 못 뽑는 경우가 종종 있다. 천장이 있다곤 하나 그 천장 시스템이 기괴하여 유명무실 하다는게 문제.[6] 원신, 우마무스메, 페이트 그랜드 오더, 블루 아카이브, 이외 모든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의 중추는 가챠와 컬렉션이다. 가챠 게임들 중에서도 타 게임들과 비교하여, 내 게임이 상대적 과금 효율이 좋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긴 하다. 하지만 가챠라는 시스템의 절대적 특성 상 유저는 매우 높은 확률로 손해를 보고 들어가게 된다.[7]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과 리니지라이크 게임들이 항상 매출 순위 상위권에 있는 이유가 이것이다. 게임 내 재화/캐릭터 패키지가 가챠의 매출을 따라가려면 적어도 패키지가 하나에 50만 원은 넘어야 할뿐더러, 이를 대다수 유저가 패키지 출시 때마다 매 번, 여러 번 구매해야 한다. 게임 정보 유튜버인 깨스통 대폭발에 의하면 2023년 6월 기준 대표적인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인 우마무스메의 한 달 매출이 약 67억 원을 달성했다고 한다. 이런 매출을 50만 원짜리 패키지를 팔아서 달성하려면 한 달에 1만 3460개를 팔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50만 원쯤 되는 고비용 패키지는 엄청나게 재화를 확정 공급해주기 때문에 호구 에디션이거나 1회 구매 제한이 달려있거나 한 번만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50만 원은 결코 푼돈이 아니다. 이런 비싼 패키지를 사는 유저는 핵과금 유저 이외엔 없다. 리니지라이크 게임 외엔 초고과금 유저가 적은 것을 감안하면 50만 원짜리 패키지를 팔아도 안 팔려서 해당 매출을 따라 잡을 수 없게 될 것이다. 패키지를 사지 않으면 게임을 진행할 수 없을 정도로 레벨 디자인을 한다면 일시적으로 판매량을 늘릴 수 있겠지만 무과금 유저가 다 사라질 것이기에 게임의 운영에 있어서 큰 문제가 생긴다.[8] 위에서 언급한 원신은 애니메이션 제작이 확정되었으며, 블루 아카이브는 2024년 2분기 애니메이션이 나왔다. 우마무스메는 게임보다 애니메이션이 먼저 만들어졌고 페그오 또한 TVA, 극장판 등의 애니메이션을 방영하였다. 굿즈는 따로 말할 필요도 없고 원신은 공차, 하나카드, 블루 아카이브는 프랭크버거와 콜라보를 하는 등 게임 외 현실에서 많은 행사를 하고 있다. 물론 이런 콜라보를 모두가 좋아하지는 않으므로 그 씹덕 하나 내줘, 좋아 아주 활기차군 등 자조적인 밈이 나오기도 했다.[9] 물론 할인이나 저가형, 인디 게임을 포함하면 더 많아진다.[10] 경제학적으로 사람은 실득과 별개로 더 효율적인 거래라면 사는 경향이 있다. 2배 가격으로 행사하는 1+1 이벤트가 그 예시인 격.[11] 마피아 3,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일반판, 레거시 에디션), Grand Theft Auto V, NBA 2K17, 문명 6, 풋볼 매니저 2017, 디스아너드 2.[12] 단순한 이펙트나 특수감정표현 같이 게임 밸런스에 영향을 전혀 끼치지 않는 장식품들 등.[13] 원하는 아이템을 사기 위해 확률적으로 더 많은 돈을 지출하는 구조상 테이블 내에 있는 모든 아이템을 원하고 확률 분포를 구할 수 있을 만큼 다량 구매를 할 유저 외에는 모두 불만족할 수밖에 없다. 거꾸로 말하면 같은 아이템을 팔아도 랜덤박스로 팔면 이익이 수십 배로 뛰어오르는 것.[14] 하나조노 타에(기타)와 레이야(베이스)가 길거리 공연을 하는데 정작 드러머는 안오고 기타 2명, 키보드 2명, DJ가 오면서 드럼 없이 길거리 공연을 했다가 끝난 후에야 드러머인 우다가와 토모에가 왔다.[15] 메이플스토리가 한국 게임이기 때문에 한국이 게임계에 랜덤박스 시스템을 고착화시킨 원인이라며 비난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러나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더욱이 일본에서는 메이플스토리보다도 훨씬 이전부터 가챠퐁이나 파칭코,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무려 에도시대부터 유래를 찾을 수 있는 후쿠부쿠로(福袋)같은 랜덤박스와 사실상 같은 시스템이 이미 사회적, 대중적으로 널리 자리잡고 있었으며 가챠폰만 하더라도 첫 등장이 최소 1980년대이기 때문에 일본의 이런 상술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한국에서는 일본과 달리 이런 판매방식이 흔하지 않았기 때문.[16] 어디까지나 명목상 그렇다는 것이다. 랜덤박스를 도입한 게임은 당시에도 메이플스토리의 프리미엄 부화기가 이미 먼저 존재 했었다. 하지만 시즌이 종료 될 때마다 상품 구성을 꾸준히 리뉴얼 하면서 상시 판매했다. 당시 전체이용가 게임의 사행성 논란에 대한 심의등급 분류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즌 종료와 함께 기존 구성의 상품 판매를 종료한다는 말장난을 이용한 꼼수였다. 특히 그 당시 시스템 과도기 시절 법리적 제도의 미비를 이용해 랜덤박스 아이템 자체는 인게임 내에서 무료로 획득이 가능하며 이를 개봉하기 위한 부가 재료를 유료로 판매하는 방식을 택한 것도 다분히 노림수였다.[17] 비관적이지만 게임사 스스로 고친다는 것은 현재로선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데, 게임사들 스스로 뭔가 변화하는 '척'은 하지만 결국 변화하지 않으려 해서 유저들의 반발은 더 심해지고, 더불어 정부의 어그로도 최선을 다해서 끄는 상황이다.[18] 참고로 예시에 언급된 군주 온라인은 청소년이용불가 판정을 계기로 전체이용가 버전과 청소년이용불가 버전을 나눠놓고, 일부 요소에 차이를 두었다. 차이점은 성인 전용 필드(게임상에서는 구리댁월드로 불린다.) 입장 가능 여부와 랜덤박스 판매 여부.[19] 해석하면 뽑기는 천장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이 천장이 몇인지 표시하란 뜻이다. 확률 공개와는 다르다.[20] 스킨을 중복으로 획득할 경우 얻을 수 있는 교환권으로, 블랙티켓 8장을 모으면 히든 스킨 1개로 교환이 가능하다.[21] 프라이즈 가챠일 때에는 절반인 0.35%, 3성 확률 2배일 경우에는 1.4%가 된다. 프린세스 페스 신규 캐릭터일 경우에는 0.7%.[22] 영어권 위키에서는 중국산 F2P 게임이었던 ZT Online(征途)이 최초라 보고 있으나, 해당 게임은 2007년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고 메이플스토리 일본서버의 가챠포 티켓은 2004년에 처음 개시되었다. 심지어 이중 랜덤박스 기법이 최초로 등장한 그라나도 에스파다의 정식 서비스 개시일마저 ZT보다 앞이다.[23] 넷마블이 보드, 캐쥬얼류의 게임을 제외하고 대부분 서비스 종료한 상태다.[24] 물론 운영의 문제도 있긴 했으나 수익 모델의 문제도 컸다.[25] 그런데 이쪽은 랜덤박스보단 오픈 후 1년동안 캐시 아이템을 아예 출시하지 않았던 부분이 더 컸을 것이다.[26] 판매되는 캡슐머신에 들어있는 캡슐 개수가 줄어들 수록 당첨확률이 상승한다. 만약 캡슐이 전부 소진되거나 당첨자가 나타날 경우 리셋되며, 캡슐이 다 떨어지기 직전의 단 1개 캡슐은 100% 확률로 당첨 캡슐이다.[27] 단, 랜덤박스 관련해서 큰 사건이 터지거나 세계 최초에 해당될 경우는 따로 표기. 메이플스토리와 마비노기 영웅전, 그리고 카트라이더가 이에 해당된다.[28] 아직 제작중인 게임이다. 그러나 역시 뽑아야 한다는 건 거의 확실하다.[29] 그래도 강화문제는 무과금으로도 어떻게든 가능한 수준이었고, 화력인플레와 밸런스 문제에 염증을 느낀 유저들이 강화금지방을 만들어버렸다. 문제는 소맥이 대격변 패치당시 선심쓴답시고 강화에 확률요소를 없애더니 그 강화의 효과를 보려면 무조건 캐시를 지르게 함으로써 유저들의 빈축을 샀다. 이후 후술할 현질 랜덤박스 대란이 터지면서 결국 유저들이 폭발해버렸다.[30] 이벤트 랜덤박스 포함, 그 중 유료 랜덤박스 약 30여종[31] 11월 랜덤박스 기체까지는 정확히 나온지 하루만에 킬랭킹 100위가 꽉 찰 정도였다. 하지만 12월 랜덤박스 기체는 이벤트 시작 후 1달이 지나도록 킬랭킹 100위가 안채워질 정도였다. 일부 핵과금 유저들을 제외한 대부분 유저들이 실제로 과금하지 않았다는 증거다. 물론 12월 랜덤박스 기체의 성능이 구려서 지를 필요성을 못느끼기도 했지만, 11월 기체는 더한 똥기체였다. 성능 문제가 아니라 유저들이 랜덤박스 염증에 질려버린게 더 결정적인 이유였던 셈이다. 사실 성능기체를 내놓고 파워인플레를 진행해서 상술을 부리려고 해도 원래도 소맥이 싸놓은 똥이 심해서 기존 기체중에서도 대적할만한 사기기체가 너무 많았고, 설령 강한 기체가 나와도 등급전을 위주의 게임이 아니라 방을 개설해서 플레이하는게 주 컨텐츠였기 때문에 유저가 방제에 축약어를 써서 금지시키는 문화가 있었고, 여기에 무력화되기 일쑤였다. 7월 랜덤박스 사기기체였던 안크샤가 이런식으로 무력화됐다. 이 문제를 인식했는지 12월에 등급전이 나오긴 했는데 이마저도 서버 문제 & Elo 레이팅에서 조잡한 완성도를 보이며 폭망해버렸고, 유저들의 불매운동에 도저히 버틸수 없었던 것. 자업자득인 셈.[32] 그나마 여유가 있었다면 천천히 창렬스럽게 만들어서 세뇌시킬 수 있었겠지만, 급한건 신작을 개발하던 소맥이었다. 이상황에서 유일한 돈줄이던 유저들이 불매운동하거나 아예 꼬접해버리니...[33] MD. chol의 패키지를 구입하지 않으면 신기체를 못얻는 식으로 기만하려 들었으나, 유저들은 그 정신나간 미친새끼 잘라버려라는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확히 말하면 현질기체는 패키지를 구입해야 먼저 써볼 수 있고, 안지르면 나중에 이벤트나 상시 게임머니 판매로 얻을 수 있는 좀 치사하긴 하지만 의외로 흔하고 적당한 강도의 과금유도 방식이었지만... 이미 랜덤박스로 인한 막장 운영 때문에 유저들이 회사에 대한 신뢰를 완전히 잃어버린 최악의 타이밍에서 저런 짓을 한게 타격이 컸다. 그냥 기만으로밖에 안보이는 것.[34] 피스 교환의 먼스피스 중 오메가피스를 40개 이상 모아야 하는데 문제는 이 오메가피스가 잘 안나온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한달간격으로 먼스피스가 갱신되기 때문에 한달안에 40개를 모아야한다.[35] 성장 제한 없는 기종들도 없지는 않지만 거의 캡슐머신 은볼 수준 성능의 기체밖에 없다.[36] 식품 쪽에서 시작됐다는 말도 있다.[37] 확률 표기는 해놨으나 신빙성이 없다.[38] 다만 아이스플라워 참의 경우는 패션샵에서 상시판매중이며, 이벤트를 통해서 자주 뿌려주는 편이기 때문에 자신이 강화운에 확신을 가졌다면 현금 한 푼도 안 들이고 풀강을 만들 수 있다. 정말 큰 문제는 아이스 참보다도 로얄 상자를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는 레어 젬을 9강까지 만들라는 정신나간 패치다.[39] 에픽 소울을 어마어마하게 요구하지만, 무기만큼은 방어구,악세서리의 2/3만큼만 요구한다. 그래도 100개가 넘어가는게 문제.[40] 큐브, 환생의 불꽃(강력한, 영원한), 위습의 원더베리, 메이플 로얄, 골드애플, 로얄 헤어&성형쿠폰, 믹스 염색쿠폰, 마스터피스가 현존중이다.[41] 2016년 경에 넥슨으로 이관되었다. 물론 랜덤박스는 한게임에서 이관하기 전부터 있었다.[42] 다만, 월드 오브 탱크의 경우 서비스 초창기부터 온갖 욕을 먹어온 그 악명높은 자주포를 10년의 서비스 기간동안 삭제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데다가 병과 밸런스 부분에서 악명이 높기에 그리 좋은평가는 듣지 못한다. 사실 자주포는 옆동네 아머드 워페어처럼 상시 PvE를 추가하고 리스폰 가능한 PvP 한정(월탱에선 전선 대격돌)으로 운용 가능하게만 변경하면 어느정도 해결된다. 그나마 모던 아머 모드에서는 결국 자주포가 빠졌고, 월드 오브 워쉽이나 월드 오브 워플레인의 경우 병과 밸런스에 문제가 있는 편이지만 그나마 아직까진 월탱보단 덜하다.[43] 히오스의 초기 스킨을 보면 '감히 이런 걸로 돈을 벌 생각을 했어?'라고 물어보고 싶을 정도로 스킨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 많았다. 그런데 가격은 7000원 ~ 14000원으로 생각보다 비쌌다.[44] 한 두어판 하면 상자 하나를 받을 수 있는 수준이었다. 게다가 오버워치 1과 유사하게 중복 아이템은 파편으로 환급도 해 주고, 게임을 플레이할 때마다 쌓이는 재화인 골드로도 스킨을 살 수 있었다.[45] 물론 싱글게임 이라고 해서 현질이 반드시 필요없는것은 아니다. NPC들을 때려잡거나 AI와 교전시 소모되는 소모성 아이템들이 대량으로 필요한 경우엔 이 것을 랜덤박스를 통해 획득하는 경우도 종종있다. 보통 스팀 게임 같이 온라인 연동이 된 싱글 게임이 그렇다.[46] 동물의 숲 amiibo 카드의 유럽판/북미판은 5장이 든 대신 가격이 비싸다.[47] 사실 이런 캐릭터 + 이펙트 구성 가챠겜도 역사가 깊다. 2012년 출시 퍼즐앤드래곤 가챠 캐릭터들 일러부터 그렇다.[48] 특히 일본에서는 경품법의 영향이 크다. 경품법으로 꼬투리 잡혀 클레임이 걸리려는 상황을 피하려는 업계의 풍조 때문.[49] 총, 부품, 철갑탄, 기타 의약품 및 전투식량이 내용물.[50] 주로 캐릭터 스타일 모바일 게임의 대한 얘기를 다루는 레딧의 게시판은 r/gachagaming라는 명칭을 쓴다.[출처] https://developer.apple.com/app-store/review/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