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에 대한 내용은 사상역(도시철도) 문서 참고하십시오.
사상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대구 방면구 포 ← 5.1 ㎞ | 부산 방면부 산 11.4 ㎞ → | |||
서울 방면 | 경부선 무궁화호 | 부산 방면 부 산 11.4 ㎞ → | |||
구 포 ← 5.1 ㎞ | |||||
경전선 무궁화호 | 부전 방면 부 전 7.3 ㎞ → | ||||
목포 방면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전 방면 부 전 ← 6.8 ㎞ | 순천 방면 강서금호 하저터널 통과 → 3.4 ㎞ → [1] | |||
태화강 방면 부 전 ← 6.8 ㎞ | 마산 방면 강서금호 하저터널 통과 → 3.4 ㎞ → | }}}}}}}}} | |||
도시철도·경전철로 갈아타기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사상 Sasang 沙上 / [ruby(沙上, ruby=ササン)] | ||||
가야선 | |||||
주소 |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장로 108 (괘법동)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143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3급 (구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가야선 | |||||
개업일 | |||||
경부선 | 1921년 2월 11일 | ||||
가야선 | 1944년 6월 10일 | ||||
2025년 1월 1일 | |||||
무궁화호 | 1987년 10월 12일 | ||||
| 2026년 상반기 예정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구 포 ← 5.1 ㎞ | 경부선 사 상 | 부산 방면 부산진 9.6 ㎞ → | |||
기점 | 가야선 사 상 | 범일 방면 주 례 1.9 ㎞ → | |||
가 야 ← ㎞ | 사 상 (미개통) | 강서금호 ㎞ → |
[clearfix]
1. 개요
사상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1921년 개업한 화물운송의 중요역사
사상역은 1921년 2월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44년 가야선이 개통하였으며 1959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는데 당시 역사는 134㎡ 규모로 큰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다. 화물운송의 중요역사로 1978년부터 2001년까지 한일 시멘트 전용선이 부설되어 사용되었으며, 컨테이너 관련 시설들이 설치, 이용되었다. 역사는 편리한 교통과 낙동강 서습지를 통해 1975년 사상공업단지가 완공되면서 함께 성장, 1980년대에는 부산시의 대중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역을 사상역으로 이전하는 계획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오늘날 부산-마산 간 복선전철사업과 지하철, 시외버스 터미널이 함께 조성되며 서부산권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사상역은 1921년 2월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44년 가야선이 개통하였으며 1959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는데 당시 역사는 134㎡ 규모로 큰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다. 화물운송의 중요역사로 1978년부터 2001년까지 한일 시멘트 전용선이 부설되어 사용되었으며, 컨테이너 관련 시설들이 설치, 이용되었다. 역사는 편리한 교통과 낙동강 서습지를 통해 1975년 사상공업단지가 완공되면서 함께 성장, 1980년대에는 부산시의 대중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역을 사상역으로 이전하는 계획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오늘날 부산-마산 간 복선전철사업과 지하철, 시외버스 터미널이 함께 조성되며 서부산권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과 가야선의 철도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장로 108(괘법동) 소재.
2. 역 정보
현 역사(2022년 준공) |
구 역사(1958년 준공, 2018년 철거) |
임시역사(2018년 준공, 2022년 철거) |
1921년 2월 1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44년 6월 10일 가야선의 개통으로 분기역이 되었다.
1958년 10월 30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고 1967년 7월 1일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가 1968년 9월 11일에 재개되었다.
1978년 2월 2일 한일시멘트 인입선이 개통되었고 1997년 10월 11일 한국물류의 컨테이너 야드가 조정되었다.
2001년 11월 1일 한일시멘트 전용선 운행이 중지되었고 2002년 12월 2일에 동서통근열차가 폐지, 2006년 11월 15일에 화물 취급이 다시 중지되었다.
1980년대에 부산역의 기능을 사상역으로 이전하려던 계획이 있었다. 당시 기사
2.1. 환승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과 환승이 가능하나, 경전철 역까지 200m, 2호선 역까지는 300m를 걸어가야 하는 막장환승이다. 근처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도 있고, 앞으로 부마선과 5호선도 생길 예정이다 보니 앞으로 이 역 일대가 중요한 환승 거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현 역사 건설 당시 조감도 |
지나가기만 가는 138-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회차지로 사용하는 중이다.
2.2. 승강장
2.2.1. 경부선
구포 방향 |
부산 방향 |
승강장에 육교가 없는 관계로 통로 개설 전 가좌역처럼 철도 건널목을 직접 건너가야 승강장이 있다. 그런데 통로 개설 전 하양역과 달리 승강장 출입구에는 차단기가 없다. 따라서 열차 도착 시간이 임박했을 때만 역무원 지시에 따라 들어갈 수 있다. 이는 경부선 특성상 열차들이 빠르게 지나다니기 때문이다. 구포 방면 열차는 대부분 출발 시간 1~2분 전부터 출입할 수 있다. 차단기가 없기 때문에 이외의 시간에는 역무원이 승강장으로 가는 문에 빗장을 걸어 놓는다. 열차가 도착해서 사람들이 내릴 때도 마찬가지로 역무원 지시에 따라서 나가야 한다.
승강장으로 가는 문에서 볼 때 기준으로 정면에 있는 승강장이 상행(1, 2번)이다.
그 중 1번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는지 2, 3, 4번 승강장에만 방면 표식이 있다. 상행은 2번만 이용 중이다. 3번과 4번이 하행인데 부산역 종착 열차는 3번에 정차하고 가야선 및 부전선으로 진입하는 부전 방면 열차는 4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사상역 신역사로 역무를 이전하면 현재 임시역사 자리까지 신역사를 확장시킬 계획이 있는데, 확장 계획에 따르면 육교 설치를 할 것으로 보이기에 사고 위험성을 감축시킬 것 같다.
2024년 7월 현재 사상역사에서 선로 반대편으로 이어지는 육교가 설치 중이다.
↑ 구포 | |||||||||
ㅣ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ㅣ |
부산진 · 가야 ↓ |
1·2 | 경부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동대구·대전·서울 방면 |
경전선 | 마산·순천·목포 방면 | ||
3 | 경부선 | 부산 방면 | |
4 | 경전선 | 부전 방면 |
2.2.2. 경전선
↑ 부전 | |||
| | 1 | 2 | | |
↓ 강서금호 |
1 | | 부전 방면 |
2 | 마산·진주·순천 방면 |
3. 역 주변 정보
- 도보로 11분 거리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위치한다.
- 북쪽으로 직선거리 약 1㎞ 지점에 한일시멘트 부산공장과 직원 기숙사가 위치해 있었던 터라 시멘트 화물을 담당하기도 했었다.
- 역사 남쪽으로는 컨테이너 야적장(CY)이 있어서 컨테이너도 취급했는데 화물취급 중단 후 주차장으로 사용하다가 지금은 부마선 공사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343명 | |
2005년 | 256명 | |
2006년 | 220명 | |
2007년 | 174명 | |
2008년 | 187명 | |
2009년 | 192명 | |
2010년 | 173명 | |
2011년 | 186명 | |
2012년 | 184명 | |
2013년 | 204명 | |
2014년 | 210명 | |
2015년 | 200명 | |
2016년 | 201명 | |
2017년 | 198명 | |
2018년 | 185명 | |
2019년 | 184명 | |
2020년 | 141명 | |
2021년 | 148명 | |
2022년 | 166명 | |
2023년 | 170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기타
- 현재 사상역 앞 광장은 과거 회산이라는 산이 있었다. 1970년대 사상공단 조성을 위해 흙과 돌이 필요하여 산을 모두 없애 현재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 현재 건설 중인 부전마산선 승강장은 지하로 건설되고 있는데, 경전선이 낙동강 아래를 지나야하는데다 승강장 위치가 현재 무궁화호 같은 열차가 지나는 경부선 바로 밑이기 때문에 깊게 건설될 예정이다. 층수로만 따지자면 지하 3층에 있지만, 실제 깊이는 지하 6층 정도에 버금가기 때문에, 환승할 때 마냥 편리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섬식 승강장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동해선과 경전선, 두 노선 모두 섬식 승강장이 거의 없는데[3] 또한 경부선을 제외한 사상역을 지나는 4개 노선은 이 역에서 오른쪽 출입문이 열리며, 경부선만 유일하게 왼쪽 출입문이 열린다.
- 부전마산선 승강장에 KTX-이음 대응 스크린도어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다.
- 2022년 1월 기준 역명판이 신역사에 설치되었다.
6. 연계교통
- 코레일사상역(정류장 번호: 15-249)
- 부산 버스 8 - 서부터미널행
- 부산 버스 33-1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161 - 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86 - 서부터미널행
- 부산 버스 1005 - 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7. 둘러보기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5007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고속철도 | 경부고속선 | ||
일반철도 |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 |||
탑승 | ||||
<rowcolor=#fff> 행선지 | 등급 | 행선지 | ||
부산역 | · | 서울 | ||
수서 | ||||
서울 | ||||
동대구 | ||||
무궁화호 | 서울 | |||
부전역 | 서울 | |||
무궁화호 |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목포 | |||
구포역 | 서울 | |||
동대구 | ||||
무궁화호 | 서울 · 목포 | |||
신해운대역 | 서울 | |||
무궁화호 |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
사상역 | 무궁화호 | 서울 · 목포 | ||
화명역 | ||||
센텀역 | 무궁화호 |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
기장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