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7:08:26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6c35>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사우드 왕조 · 네지드 토후국 · 헤자즈 왕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와하비즘 · 사우드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G20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사회 사우디아라비아/사회
경제 경제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 사우디아라비아/교통
국방 사우디아라비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전략로켓군
문화 문화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성문화 · 사우디아라비아/관광 · 요리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 아랍어(사우디 방언) · 케피예
인물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지리 헤자즈 · 네지드 · 알 하사 · 아라비아반도 · 페르시아만 · 네옴
민족 사우디인(방글라데시계) · 히자즈인
기타 사우디 아라비아 관광청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 3/14~1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멜버른)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파일:호주서킷ㅇ.png
2 3/21~2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상하이서킷ㅇ.png
3 4/4~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즈카)
스즈카 서킷
파일:스즈카서킷ㅇ.png
4 4/11~14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사키르)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바레인서킷ㅇ.png
5 4/18~2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제다 코니쉬 서킷
파일:제다서킷ㅇ.png
6 5/3~5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마이애미 가든스)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파일:마이애미서킷ㅇ.png
7 5/16~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밀리아로마냐 (이몰라)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파일:이몰라서킷ㅇ.png
8 5/23~25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서킷 드 모나코
파일:모나코서킷ㅇ.png
9 5/30~6/1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몬트리올)
서킷 질 빌뇌브
파일:캐나다서킷ㅇ.png
10 6/14~16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바르셀로나)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파일:카탈루냐서킷ㅇ.png
11 6/27~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슈필베르크)
레드불링
파일:레드불링ㅇ.png
12 7/4~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실버스톤)
실버스톤 서킷
파일:실버스톤서킷ㅇ.png
13 7/25~27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파일:스파프랑코샹ㅇ.png
14 8/1~3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헝가로링
파일:헝가로링ㅇ.png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5 8/29~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잔드보르트)
서킷 잔드보르트
파일:잔드보르트ㅇ.png
16 9/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몬차)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파일:몬차서킷ㅇ.png
17 9/19~2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바쿠)
바쿠 시티 서킷
파일:바쿠서킷ㅇ.png
18 10/3~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파일:싱가포르서킷ㅇ.png
19 10/18~2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오스틴)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
파일:코타ㅇ.png
20 10/25~2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파일:멕시코서킷ㅇ.png
21 11/7~10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
파일:브라질서킷ㅇ.png
22 11/21~23 파일:미국 국기.svg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파일:라스베이거스ㅇ.png
23 11/28~12/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카타르서킷ㅇ.png
24 12/5~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야스 섬)
야스 마리나 서킷
파일:아부다비ㅇ.png
}}}}}}}}} ||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Saudi Arabian Grand Prix
جائزة السعودية الكبرى
파일:sagp-new-logos.webp
대회 정보
F1 첫 개최 년도<colbgcolor=#ffffff,#191919> 2021년
개최 횟수 4회
개최 서킷 제다 코니쉬 서킷[1]
총 주행 거리 308.450 km
(191.662 miles, 50랩)
최다 우승자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2회)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3회)
2024년 폴 포지션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1:27.472
2024년 순위 1위 -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1:20:43.273

2위 -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 13.643s
3위 -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스쿠데리아 페라리)
+ 18.639s
랩 레코드[2] 1:30.73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AMG F1 W12 E 퍼포먼스)
1. 개요2. 역사
2.1. 2020년대
3. 논란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2024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스타트.jpg
2024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위치한 제다 코니쉬 서킷에서 매년 개최하는 프로 레이싱 대회이다. 이후, 키디야 스피드 파크가 완공되면 키디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2. 역사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의 일환으로 2019년 키디야에 서킷 건설을 발표했다.

2020년 1월, 그랑프리 개최를 예고했다.

2.1. 2020년대

12월 5일, 첫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가 개최되었다.
카를로스 사인스가 충수염으로 인해 이후 일정에 참여할 수 없게 되면서 FP3부터 올리버 베어먼[3]이 대신 소화하게 됐다.
퀄리파잉에서는 올리버 베어먼이 매우 아쉽게 Q3 진출에 실패하면서 P11이라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뒀다.
레이스에서는 피에르 가슬리가 차량 문제로 DNS했고, 초반에 랜스 스트롤이 벽에 충돌하면서 DNF 및 세이프티 카가 발령되었다. 10랩 때 4번 코너에서 케빈 마그누센알렉산더 알본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컨택을 유발해 10초 페널티, 얼마 후 같은 4번 코너에서 츠노다 유키를 숏컷으로 추월한 뒤 자리를 돌려주지 않아 10초, 총 20초 페널티를 받았다. 그러고는 뒤따르는 드라이버들을 꽁꽁 묶는 마그누센 트레인을 선보이며 니코 휠켄베르크의 포인트 피니시에 기여했다.[4] 상위권은 막스 베르스타펜의 크루징이 계속되는 가운데, 중위권에서는 올리버 베어먼이 한명씩 추월하며 순위를 올려가는 놀라운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국 7위로 완주하면서 6점을 획득하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낸 베어만은 48%라는 압도적인 차이로 DOTD를 수상했다.

3. 논란

스포츠워싱 사례로 꼽히고 있는데 여성 인권 단체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내에서 여성 인권 운동가를 구금하고, 이러한 사실을 알리던 언론인을 살인과 폭행을 일삼고 있다는 이유로 개최를 반대하고 있으며 평소 인권에 대해 목소리를 내던 루이스 해밀턴에게도 보이콧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2021년 2월 펼쳐진 포뮬러 E 사우디아라비아 개막전 당시 서킷을 목표로 한 후티의 미사일 공격이 요격되는 일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일반 팬들 사이에서도 안전을 이유로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F1과 FIA는 주최 측과 GP 스폰서들 및 이해관계자들과 협의했다는 이유로 죽어도 끝내 취소하지 않고 개최를 강행하였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WeRaceAsOne 운동을 이용한 #WeRaceAsMoney, #WeRaceForMoney 등의 비판이 있다.

4. 여담

  • 싱가포르, 바레인, 카타르에 이은 4번째 나이트 레이스이다.
  • 4번의 그랑프리 모두 세이프티 카가 나왔다.

5. 관련 문서


[1] 2021~현재 개최[2] 레이스 도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3] 프레마 소속 F2 드라이버이자 스쿠데리아 페라리하스의 리저브 드라이버이다.[4] 이 '마그누센 트레인'은 하스의 감독 코마츠 아야오의 지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