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3:55:45

354년 크로노그래프



[[고대 로마|
파일:카피톨리노의 늑대.sv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9f0807,#9f0807><colcolor=#FCE774,#FCE774>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살로니카 제국 · 테살리아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 월계관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임페리움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카이트라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카타프락토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 시빌라 예언서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마니아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354년 크로노그래프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아스 · 두폰디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데나리우스 · 안토니니아누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로마-이란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파일:354년 크로노그라프.webp
1. 개요2. 상세

1. 개요

라틴어: Chronographus anni CCCLIIII.
영어: Chronograph of 354.

고대 로마의 서기이자 석판 조각가인 푸리우스 디오니시우스 필로칼루스가 서기 354년에 제작한 연대기 및 달력 텍스트 채식필사본. 서기 4세기 기독교를 신봉하는 로마인들의 생활상이 반영되었고, 로마의 역사에 관한 사료로도 중요하게 취급되는 문헌이다.

2. 상세

푸리우스 디오니시우스 필로칼루스(Furius Dionysius Filocalus)는 서기 4세기에 로마에서 활동한 서기이자 조각가로, 자신을 교황 다마소 1세의 추종자이자 개인적인 친구라고 밝혔다. 그는 354년에 발렌티누스(Valentinus)로 알려진, 자신의 친구이자 부유한 로마 기독교인에게 헌정하고자 이 문헌을 집필했다. 이 문헌은 달력의 각 날에 해당하는 여러 정보를 담은 연감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특정한 달에 대한 우화적 묘사를 포함한 다양한 삽화가 들어 있다. 이 문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부: 이 작품을 의뢰한 발렌티누스에 대한 헌정사.
2부: 로마, 알렉산드리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의 의인화 이미지.
3부: 로마 황제의 이미지와 황제들의 생일을 기록한 연감.
4부: 태양, 지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이미지.
5부: 황도 12궁의 이미지.
6부: 달력과 해당 날짜의 정보.
7부: 역대 집정관 목록.
8부: 서기 312년부터 354년까지의 부활절 날짜.
9부: 서기 254년부터 354년까지 로마 시의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목록.
10부: 서기 255년부터 352년까지 역대 교황들의 기념일.
11부: 순교자들의 기념일.
12부: 베드로부터 354년 당시 현직 교황이었던 리베리오 까지의 역대 교황 목록.
13부: 로마 시의 14개 지역 목록.
14부: 성경 연대기.
15부: 로마의 역대 통치자 목록. 로마 국왕, 독재관[1], 역대 황제들의 목록과 재임 기간이 기술되었다.

이 문헌의 달력에는 미트라 신앙의 핵심인 솔 인빅투스(Sol invictus: 무적의 태양신)의 탄생일이 12월 25일이라고 기재되었으며, 순교자들의 기념일 목록에서도 예수유대 베들레헴에서 12월 25일에 탄생했다고 기재되었다. 이는 현존하는 문헌 중에서 솔 인빅투스 탄생일과 예수의 탄생일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이었다. 또한 다른 역사 문헌에 없는 정보도 여럿 실려 있기 때문에, 역사학자들에게 중요한 기록물로 취급되고 있다.

원본은 현존하지 않지만 8~9세기 카롤루스 왕조 시대까지는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대에 여러 사본이 제작되었다. 이후 고대 로마에 대한 열풍이 본격적으로 일었던 르네상스 시대에 다시 주목을 받아 수많은 사본이 제작되었다. 산드로 보티첼리는 의인화된 도시 트리어가 야만인의 머리카락을 붙잡고 있는 모습을 자신의 그림 <팔라스와 켄타우로스>에 그대로 반영하기도 했다. 가장 완전한 사본은 17세기에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스 클로드 파브리 드 페이레스크(Nicolas-Claude Fabri de Peiresc)가 제작한 뒤 로마의 명문 귀족 가문인 바르베리니 가문의 컬렉션에 들어있던 것으로, 금속 세공품, 프레스코화 및 바닥 모자이크를 포함한 다채로운 삽화와 장식이 곁들어졌다. 현재 바티칸 도서관에 보관 중이다.
[1]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 루키우스 퀸크티우스 킨킨나투스, 퀸투스 파비우스[2], 마르쿠스 리비우스 살리나토르,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순으로 총 10명이 거론되었다. 이중엔 실제로 독재관을 역임하지 않았던 자들도 있는데, 필로칼루스가 착각했거나 그들의 영향력이 독재관처럼 로마에 절대적이었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