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2:47:38

KIA 타이거즈/기록 및 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IA 타이거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tablebg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a0029> 기본 정보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파일:기아 로고.svg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기아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1~2003).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4~2009).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7~2020).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1~2003).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4~2009).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7~2020).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2군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96~2001).svg 해태 타이거즈
선수단 선수단 명단선수단 등번호
유니폼 KIA 타이거즈 유니폼
경기장 1군 파일: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로고.svg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무등 야구장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2군 기아 챌린저스 필드전남 야구장
타이거즈 역사 해태 타이거즈 역사KIA 타이거즈 역사감독해태 왕조김씨 왕조(김씨 타선)KKK포이강철-조계현-이대진SKYCK포-LCK포양현종-헥터 원투펀치박전문전장정(JJJ 라인)
타이거즈 기록 해태-KIA 타이거즈 기록 및 인물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1호 기록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공사 현장 변천사홈런존 저주
우승 기록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3 V11986 V21987 V31988 V41989 V51991 V61993 V71996 V81997 V92009 V102017 V112024 V12
현재 시즌 2025 시즌
응원단 응원단장 서한국장내 아나운서 김영호치어리더치어리더 팀장 김한나호돌이호걸이호야
응원 구단 응원가선수 응원가남행열차목포의 눈물고래사냥무등골 타이거즈어이! 어이! 어이!노란 응원 막대(단무지)무등 아재아재콘삐끼삐끼 춤
팬덤 갸티비전설의 타이거즈호랑이 사랑방V13을 위하여 응원하는 타이거즈디시인사이드 KIA 타이거즈 갤러리호랑이 가족 한마당
지역 연고 광주광역시 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진흥고등학교광주동성고등학교
전라남도 순천효천고등학교화순고등학교광남고등학교
전라북도 군산상일고등학교전주고등학교인상고등학교
라이벌전 달빛 시리즈 | 헤리티지 시리즈 | 단군 매치
기타 이야깃거리사건·사고동열이도 없고, 종범이도 없고빵 사건광주광역시 스포츠해태 타이거즈 특징타이거즈 러브투게더일레븐타어강엘롯기헬로키티한롯기기롯삼한기나쌩·기상바 클럽이의리 챌린지잔루 타이거즈
틀 문서
역대 시즌역대 구단주역대 사장역대 감독2군 역대 감독역대 단장역대 주장역대 응원단장역대 장내 아나운서역대 1차 지명역대 지명역대 외국인 선수2009 레전드 올스타2020 레전드 올스타영구 결번프런트코칭 스태프응원단1군 엔트리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파일:KIA 타이거즈 워드마크.svg파일:KIA 타이거즈 원정 워드마크.svg 파일:KIA2023캐치프레이즈.jpg
압도하라! ALWAYS KIA TIGERS
}}}}}}}}}}}} ||



1. 개요2. 역대 기록
2.1. 구단 성적
2.1.1.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2.2. 개인 성적
3. 역대 인물
3.1. 역대 구단주3.2. 역대 사장(대표이사)3.3. 역대 단장3.4. 역대 감독3.5. 역대 2군 감독

[clearfix]

1. 개요

KIA 타이거즈의 역대 기록과 관련 인물을 정리한 문서.

2. 역대 기록

2.1. 구단 성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Black).svgKIA 타이거즈
역대 시즌
(해태 타이거즈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4위 '''1위
[[1983년 한국시리즈|
]]'''
5위 3위 '''1위
[[1983년 한국시리즈|
]]'''
'''1위
[[1987년 한국시리즈|
]]'''
'''1위
[[1988년 한국시리즈|
]]'''
'''1위
[[1989년 한국시리즈|
]]'''
3위
'''1위
[[1991년 한국시리즈|
]]'''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3위
'''1위
[[1993년 한국시리즈|
]]'''
3위
4위 '''1위
[[1996년 한국시리즈|
]]'''
'''1위
[[1997년 한국시리즈|
]]'''
5위 드림 4위 드림 4위 5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3위
3위
4위
8위 4위
8위 6위 '''1위
[[2009년 한국시리즈|
]]'''
5위 4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5위 8위 8위 7위 5위
'''1위
[[2017년 한국시리즈|
]]'''
5위
7위 6위 9위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5위
6위 '''1위
[[2024년 한국시리즈|
]]'''
: 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 ||

범례
­ ­우승
­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KIA 타이거즈 역대 성적
연도 정규시즌 순위 최종 순위 경기 수 승률 감독
해태 타이거즈
1982 4위/6팀[1] 4위 80 38 0 42 0.475 김동엽, 조창수, 김응용
1983 2위/6팀[2] 우승 100 55 1 44 0.556 김응용
1984 5위/6팀[3] 5위 100 43 3 54 0.443
1985 3위/6팀[4] 3위 110 57 1 52 0.523
1986 2위/7팀[5] 우승 108 67 4 37 0.644
1987 2위/7팀[6] 우승 108 55 5 48 0.532
1988 1위/7팀[7] 우승 108 68 2 38 0.639
1989 2위/7팀 우승 120 65 4 51 0.558
1990 2위/7팀 3위 120 68 3 49 0.579
1991 1위/8팀 우승 126 79 5 42 0.647
1992 2위/8팀 3위 126 71 1 54 0.567
1993 1위/8팀 우승 126 81 3 42 0.655
1994 3위/8팀 3위[8] 126 65 2 59 0.524
1995 4위/8팀 4위[9] 126 64 4 58 0.524
1996 1위/8팀 우승 126 73 2 51 0.587
1997 1위/8팀 우승 126 75 1 50 0.599
1998 5위/8팀 5위 126 61 1 64 0.488
1999 드림 4위/4팀 드림 4위 132 60 3 69 0.465
2000 드림 4위/4팀 드림 4위 133 57 4 72 0.442 김응용, 김성한
KIA 타이거즈
2001[10] 5위/8팀 5위 133 60 5 68 0.469 김성한
2002 2위/8팀 3위 133 78 4 51 0.605
2003 2위/8팀 3위 133 78 5 50 0.609
2004 4위/8팀 4위 133 67 5 61 0.523 김성한, 유남호
2005 8위/8팀 8위 126 49 1 76 0.392 유남호, 서정환
2006 4위/8팀 4위 126 64 3 59 0.520 서정환
2007 8위/8팀 8위 126 51 1 74 0.408 서정환, 조범현
2008 6위/8팀 6위 126 57 0 69 0.452 조범현
2009 1위/8팀 우승 133 81 4 48 0.609
2010 5위/8팀 5위 133 59 0 74 0.444
2011 4위/8팀 4위 133 70 0 63 0.526 조범현, 선동열
2012 5위/8팀 5위 133 62 6 65 0.488 선동열
2013 8위/9팀 8위 128 51 3 74 0.408
2014 8위/9팀 8위 128 54 0 74 0.422 선동열, 김기태
2015 7위/10팀 7위 144 67 0 77 0.465 김기태
2016 5위/10팀 5위 144 70 1 73 0.490
2017 1위/10팀 우승 144 87 1 56 0.608
2018 5위/10팀 5위 144 70 0 74 0.486
2019 7위/10팀 7위 144 62 2 80 0.437 김기태, 박흥식,
맷 윌리엄스
2020 6위/10팀 6위 144 73 0 71 0.507 맷 윌리엄스
2021 9위/10팀 9위 144 58 10 76 0.433 맷 윌리엄스, 김종국
2022 5위/10팀 5위 144 70 1 73 0.490 김종국
2023 6위/10팀 6위 144 73 2 69 0.514
2024 1위/10팀 우승 144 87 2 55 0.613 김종국[11], 이범호
KBO 통산 43시즌 V12 5491 2800 105 2586 0.520

1980~90년대의 해태 타이거즈 시절에는 15년[12]간 무려 9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해태 왕조'라고 불린 당대 최강팀이었다. 그러나 KIA로 바뀌고 나서는 장기간의 비밀번호와 암흑기만 없다 뿐, 대부분의 시즌에서 중하위권을 전전하는 약체로 전락하고 말았다. 특히 그나마 성적이 나쁘지 않았고 우승도 맛봤던 2016~2018년을 제외하면, 2010년대에 들어선 이후로는 사실상 매 시즌 암흑기의 연속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기복이 심한 성적이라고는 하나 잘할 때보다는 못할 때가 훨씬 많았다. 그나마 7~8년에 한 번 꼴로 세 번의 우승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반대로 해태 시절에 경험해본 적이 없는 꼴찌도 두 차례나 경험했다. 또한 V12를 달성한 2024년에는 KBO 리그 역대 1경기 최다 실점 및 최다 점수차 패배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외 사항은 KBO 리그/역대 팀 스탯 문서 참고.

2.1.1.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KIA 타이거즈 역대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구단 개별 경기 합계
LG 트윈스 1983 KS: 4승 1무
1997 KS: 4승 1패
2002 PO: 2승 3패
2016 WC: 1승 1패
WC 1패
PO 1패
KS 2승

개별 경기 합계: 11승 1무 5패
삼성 라이온즈 1986 KS: 4승 1패
1987 KS: 4승
1990 PO: 3패
1993 KS: 4승 1무 2패
2024 KS: 4승 1패
PO 1패
KS 4승

개별 경기 합계: 16승 1무 7패
두산 베어스 1987 PO: 3승 2패
2004 준PO: 2패
2017 KS: 4승 1패
준PO 1패
PO 1승
KS 1승

개별 경기 합계: 7승 5패
한화 이글스 1988 KS: 4승 2패
1989 KS: 4승 1패
1991 KS: 4승
1994 준PO: 2패
2006 준PO: 1승 2패
준PO 2패
KS 3승

개별 경기 합계: 13승 7패
현대 유니콘스 1989 PO: 3승
1996 KS: 4승 2패
PO 1승
KS 1승

개별 경기 합계: 7승 2패
롯데 자이언츠 1992 PO: 2승 3패 PO 1패
개별 경기 합계: 2승 3패
SSG 랜더스 2003 PO: 3패
2009 KS: 4승 3패
2011 준PO: 1승 3패
준PO 1패
PO 1패
KS 1승

개별 경기 합계: 5승 9패
키움 히어로즈 2018 WC: 1패 WC 1패
개별 경기 합계: 1패
kt wiz 2022 WC: 1패 WC 1패
개별 경기 합계: 1패

2024년 기준 NC 다이노스와 지금은 해체한 쌍방울 레이더스를 제외한 모든 구단과의 포스트시즌 맞대결 경험이 있다.

준플레이오프와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는 전패를 기록했으나 한국시리즈에서는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준플레이오프 전패와 한국시리즈 전승은 KIA가 유일하다.

심지어 10개 구단 체제로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탄생한 이후에는 5위로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13]이나 1위로 한국시리즈 직행[14]만 하고 있다. 이 또한 와일드카드 전패[15]와 한국시리즈 전승이라는 기이한 대목을 연출하고 있다.

2.2. 개인 성적

구단 역사상 최고의 통산 성적과 단일 시즌 최고의 기록을 정리한 문단이다.

2.2.1. 통산

  • KIA 타이거즈 현역 선수인 경우 또는 기록이 KBO리그 역대 1위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
KIA 타이거즈 투수
부문 이름 기록 소속 기간
등판 경기 이강철 575경기 1989~1999
2001~2005
선발 등판 양현종 412경기[16] 2007~2020
2022~
완투 선동열 68완투 1985~1995
완봉 선동열 29완봉[17] 1985~1995
평균자책점[18] 선동열 1.20[19] 1985~1995
승리 양현종 179승 2007~2020
2022~
패전 양현종 118패 2007~2020
2022~
세이브 선동열 132세이브 1985~1995
홀드 전상현 84홀드 2016~
이닝 양현종 2503.2이닝 2007~2020
2022~
탈삼진 양현종 2076개[20] 2007~2020
2022~
실점 양현종 1163실점 2007~2020
2022~
자책점 양현종 1066자책점 2007~2020
2022~
피안타 양현종 2465개 2007~2020
2022~
피홈런 양현종 210개 2007~2020
2022~
볼넷 양현종 934개 2007~2020
2022~
사구 이강철 180개[21] 1989~1999
2001~2005
KIA 타이거즈 타자
부문 이름 기록 소속 기간
출장 경기 이종범 1706경기 1993~1997
2001~2011
타율 최형우 0.306 2017~
출루율 최형우 0.402 2017~
장타율 최형우 0.504 2017~
타석 이종범 6921타석 1993~1997
2001~2011
타수 이종범 6060타수 1993~1997
2001~2011
안타 이종범 1797안타 1993~1997
2001~2011
2루타 이종범 340개 1993~1997
2001~2011
3루타 이용규 34개 2005~2013
홈런 나지완 221개 2008~2022
타점 장성호 882타점 1996~2010
득점 이종범 1100득점 1993~1997
2001~2011
도루 이종범 510도루 1993~1997
2001~2011
볼넷 장성호 863볼넷 1996~2010
사구 나지완 181개 2008~2022
삼진 나지완 1115개 2008~2022
병살타 김선빈 141개 2008~

2.2.2. 단일 시즌

KIA 타이거즈 투수
부문 이름 기록 해당 시즌
등판 경기 이강철 79경기 2004
선발 등판 강만식 37경기 1985
완투 선동열 19완투 1986
완봉 선동열 8완봉[22] 1986
평균자책점 선동열 0.78[23] 1993
승리 선동열 24승 1986
패전 윤석민 18패 2007
세이브 임창용 34세이브 1998
정해영 2021
홀드 장현식 34홀드 2021
이닝 선동열 262⅔이닝 1986
탈삼진 선동열 214개 1986
실점 헨리 소사 111실점 2013
자책점 헨리 소사 100실점 2013
곽현희 1999
피안타 헥터 노에시 221개 2017
피홈런 곽현희 31개 1999
볼넷 이강철 105개 1994
사구 다니엘 리오스 28개 2003
KIA 타이거즈 타자
부문 이름 기록 해당 시즌
타율 이종범 0.393 1994
출루율 홍현우 0.453 1996
장타율 김도영 0.647 2024
타석 최원준 668타석 2021
타수 최원준 589타수 2021
안타 이종범 196안타 1994
2루타 이종범 43개 2003
3루타 김도영 10개 2024
홈런 트레이시 샌더스 40개 1999
타점 김상현 126타점 2009
득점 김도영 143득점[24] 2024
도루 이종범 84도루[25] 1994
볼넷 트레이시 샌더스 105개 1999
사구 나지완 23개 2017
삼진 나성범 137개 2022
병살타 이순철 20개 1995
황대인 2022

2.2.3. 타이틀 홀더

2.2.3.1. 타자
KIA 타이거즈 역대 타격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90 한대화 3루수 .335
1994 이종범 유격수 .393
2002 장성호 1루수 .343
2007 이현곤 유격수 .338
2017 김선빈 유격수 .370
2020 최형우 지명타자 .354
KIA 타이거즈 역대 최다안타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5 김성한 1루수, 투수 133
1988 김성한 1루수 131
1992 이순철 외야수 152
1994 이종범 유격수 196
2006 이용규 외야수 154
2007 이현곤 유격수 153
KIA 타이거즈 역대 홈런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2 김봉연 지명타자 22
1985 김성한 1루수, 투수 22
1986 김봉연 지명타자 21
1988 김성한 1루수 30
1989 김성한 1루수 26
2009 김상현 3루수 36
KIA 타이거즈 역대 타점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2 김성한 1루수, 투수 69
1986 김봉연 지명타자 74
1988 김성한 1루수 89
2009 김상현 3루수 127
KIA 타이거즈 역대 득점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2 김봉연 지명타자 55
1985 이순철 3루수 67
1988 이순철 외야수 81
1989 김성한 1루수 93
1993 이종범 유격수 85
1994 이종범 유격수 113
1996 이종범 유격수 94
1997 이종범 유격수 112
2004 이종범 외야수 100
2009 최희섭 1루수 98
2012 이용규 외야수 86
2017 로저 버나디나 외야수 118
2024 김도영 3루수 143
KIA 타이거즈 역대 도루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2 김일권 외야수 53
1983 김일권 외야수 48
1984 김일권 외야수 41
1986 서정환 2루수 43
1988 이순철 외야수 58
1991 이순철 외야수 56
1992 이순철 외야수 44
1994 이종범 유격수 84
1996 이종범 유격수 57
1997 이종범 유격수 64
2002 김종국 2루수 50
2003 이종범 외야수 50
2012 이용규 외야수 44
2019 박찬호 유격수 39
2022 박찬호 유격수 42
KIA 타이거즈 역대 출루율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9 한대화 3루수 .409
1990 한대화 3루수 .432
1994 이종범 유격수 .452
1996 홍현우 3루수 .453
2000 장성호 1루수 .436
2002 장성호 1루수 .445
2017 최형우 외야수 .450
KIA 타이거즈 역대 장타율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5 김성한 1루수, 투수 .575
1986 김봉연 지명타자 .514
1988 김성한 1루수 .577
1989 김성한 1루수 .512
2009 김상현 3루수 .632
2024 김도영 3루수 .647
2.2.3.2. 투수
KIA 타이거즈 역대 다승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6 선동열 투수 24
1989 선동열 투수 21
1990 선동열 투수 22
1991 선동열 투수 19
1993 조계현 투수 17
1994 조계현 투수 18
2002 마크 키퍼 투수 18
2004 다니엘 리오스 투수 17
2009 아킬리노 로페즈 투수 14
2011 윤석민 투수 17
2017 양현종
헥터 노에시
투수 20
KIA 타이거즈 역대 평균자책점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5 선동열 투수 1.70
1986 선동열 투수 0.99
1987 선동열 투수 0.89
1988 선동열 투수 1.21
1989 선동열 투수 1.17
1990 선동열 투수 1.13
1991 선동열 투수 1.55
1993 선동열 투수 0.78
1995 조계현 투수 1.71
2008 윤석민 투수 2.33
2011 윤석민 투수 2.45
2015 양현종 투수 2.44
2019 양현종 투수 2.29
2024 제임스 네일 투수 2.53
KIA 타이거즈 역대 탈삼진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6 선동열 투수 214
1988 선동열 투수 200
1989 선동열 투수 198
1990 선동열 투수 189
1991 선동열 투수 210
1992 이강철 투수 155
1995 이대진 투수 163
1998 이대진 투수 183
2002 김진우 투수 177
2011 윤석민 투수 178
KIA 타이거즈 역대 세이브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93 선동열 투수 31
1995 선동열 투수 33
1998 임창용 투수 34
2024 정해영 투수 31
  • 원년부터 2003 시즌까지는 구원승+세이브를 합하고 세이브포인트로 계산해서 구원왕을 선정했다. 1993, 1995 시즌의 선동열과 1998 시즌의 임창용은 각 시즌 세이브 1위이며 세이브포인트 1위도 동시에 기록하며 구원왕에 올랐다.
KIA 타이거즈 역대 홀드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2021 장현식 투수 34
KIA 타이거즈 역대 승률왕
연도 이름 포지션 기록
1987 선동열 투수 .875
1989 선동열 투수 .875
1990 선동열 투수 .786
1991 선동열 투수 .826
2011 윤석민 투수 .773
2017 헥터 노에시 투수 .800

2.2.4. 수상

2.2.4.1. KBO MVP
KIA 타이거즈 역대 KBO MVP 수상자
연도 이름 포지션
1985 김성한 1루수, 투수
1986 선동열 투수
1988 김성한 1루수
1989 선동열 투수
1990
1994 이종범 유격수
2009 김상현 3루수
2011 윤석민 투수
2017 양현종 투수
2024 김도영 3루수
1982년부터 2024년까지 총 7명, 10회 수상했다.
2.2.4.2. KBO 신인상
KIA 타이거즈 역대 KBO 신인상 수상자
연도 이름 포지션
1985 이순철 3루수
2021 이의리 투수
1982년부터 2022년까지 총 2명, 2회 수상했다.
2.2.4.3. KBO 한국시리즈 MVP
KIA 타이거즈 역대 KBO 한국시리즈 MVP 수상자
연도 이름 포지션
1983 김봉연 내야수
1986 김정수 투수
1987 김준환 외야수
1988 문희수 투수
1989 박철우 내야수
1991 장채근 포수
1993 이종범 내야수
1996 이강철 투수
1997 이종범 내야수
2009 나지완 외야수
2017 양현종 투수
2024 김선빈 내야수
1982년부터 2024년까지 총 11명, 12회 수상했다. 특히 양현종은 2017년에 KBO 리그에서 유일하게 정규 시즌 MVP와 한국시리즈 MVP를 동시에 수상했다.
2.2.4.4. KBO 골든글러브
KIA 타이거즈 역대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연도 이름 포지션
1982 차영화 2루수
김준환 외야수
1983 김종모 외야수
1984 김종모 외야수
1985 김성한 1루수
이순철 3루수
1986 선동열 투수
김성한 1루수
한대화 3루수
김종모 외야수
김봉연 지명타자
1987 김성한 1루수
한대화 3루수
김종모 외야수
1988 선동열 투수
장채근 포수
김성한 1루수
한대화 3루수
이순철 외야수
1989 선동열 투수
김성한 1루수
한대화 3루수
박철우 지명타자
1990 선동열 투수
한대화 3루수
1991 선동열 투수
장채근 포수
김성한 1루수
한대화 3루수
이순철 외야수
1992 장채근 포수
이순철 외야수
1993 선동열 투수
이종범 유격수
이순철 외야수
1994 이종범 유격수
1995 홍현우 3루수
1996 홍현우 3루수
이종범 유격수
박재용 지명타자
1997 이대진 투수
홍현우 3루수
이종범 유격수
박재용 지명타자
2002 김종국 2루수
이종범 외야수
2003 홍세완 유격수
이종범 외야수
2006 이용규 외야수
2009 아킬리노 로페즈 투수
김상훈 포수
최희섭 1루수
김상현 3루수
2011 윤석민 투수
안치홍 2루수
이용규 외야수
2012 이용규 외야수
2016 김주찬 외야수
최형우 외야수
2017 양현종 투수
안치홍 2루수
김선빈 유격수
최형우 외야수
로저 버나디나 외야수
2018 안치홍 2루수
2020 최형우 지명타자
2022 나성범 외야수
2024 김도영 3루수
박찬호 유격수
최형우 지명타자
1982년부터 2024년까지 투수는 5명이 10회, 포수는 2명이 4회, 1루수는 2명이 7회, 2루수는 3명이 5회, 3루수는 5명이 11회, 유격수는 4명이 7회, 외야수는 9명이 20회, 지명타자는 4명이 6회 수상했다. 총 34명, 70회 수상했다.

3. 역대 인물

3.1. 역대 구단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a0029><tablebg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구단주
}}} ||
{{{#!wiki style=""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50403
초대 2대 3대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svg
박건배
(1982~2001)
정몽구
(2001~2021)
송호성
(2022~ )
}}}}}}}}}}}}}}}}}} ||

KIA 타이거즈 역대 구단주
순서 이름 직책 기간
초대 박건배 해태그룹 회장 1982~2001
2대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 회장 2001~2021
3대 송호성 기아 사장 2022~

3.2. 역대 사장(대표이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a0029><tablebg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대표이사 사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박건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3)
강남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91)
노주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5)
마의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8)
정기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익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5)
조남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8)
서영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2010)
이삼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4)
박한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svg
허영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이화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최준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 ||

KIA 타이거즈 역대 사장
순서 이름 기간
초대 박건배 1982~1983[26]
2대 강남형 1984~1991
3대 노주관 1992~1995[27]
4대 마의웅 1996~1998[28]
5대 정기주 1999~2001
6대 김익환 2001~2005
7대 조남홍[29] 2006~2008
8대 서영종[30] 2009~2010
9대 이삼웅[31] 2011~2014
10대 박한우[32] 2015~2017
11대 허영택 2018
12대 이화원[33] 2019~2021
13대 최준영[34] 2021~

1982년 창단 이후 박건배 구단주가 사장까지 겸임을 했으나 이후 강남형 사장에게 사장직을 물려주며 구단주로 한 발 물러선다. 강남형 사장[35]이 부회장으로 승진하고 동시에 노주관 단장[36]을 구단 대표이사로 내부 승진시켰다. 일을 잘한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1995 시즌이 끝난 후 선동열의 일본 이적 협상을 문제삼아 경질햤다.

노주관 사장 후임으로 들어온 마의웅 사장은 해태그룹 기획조정실 부사장 출신으로 단장직 없이 1996 시즌을 보내고 1997 시즌부터 사장 - 단장 체제로 다시 환원되는 일을 겪었으며 2번의 우승을 거뒀다. 전반적으로 무난무난하다는 평가였다. 정기주 사장은 해태 원년부터 단장 및 팀 내 여러 보직을 거치며 고생하면서 두 번의 우승을 경험했다. 이후 모기업으로 이동하여 일했고 1998년부터 해태그룹 구조조정본부장을 맡다가 타이거즈 사장으로 복귀했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무너져 가는 해태 타이거즈를 어떻게 손 쓸 도리도 없이 구단이 무너져 가야하는 걸 지켜봐야 했다. 2001 시즌 중반 기아자동차의 타이거즈 인수가 확정되자 인수를 며칠 앞두고 자진 사임했다.

정기주 사장이 모기업이 바뀌면서 용퇴하고 현대그룹 출신[37] 김익환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단장 겸 현대기아자동차그룹 홍보실장(상무이사)이 새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김익환 대표는 야구단 인수를 총괄했고 협상을 했다. 대표이사 선임과 함께 전무이사로 승진했고 홍보실장을 겸임했다. 이후 2003년에 부사장, 2005년에 사장 승진 및 국내영업판매본부장을 겸임하게 됐지만 KIA 타이거즈 대표이사직은 그대로 유지했다. 그러나 그룹 인사에서 김익환 사장을 1년 만에 경질했고[38] 조남홍 사장이 새롭게 취임했다. 이 시기의 구단 대표는 전무이사 내지 사장급이었다.

김익환 구단 대표이사가 기아자동차 사장을 겸임하기 시작한 2005년부터 허영택 구단 대표이사가 취임하는 2018년까지, 조남홍, 서영종, 이삼웅, 박한우 사장 시기에는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과 비슷하게 기아자동차 국내 판매부문 사장이 KIA 타이거즈의 사장도 겸했다. 같은 산하 스포츠 구단인 전북 현대 모터스현대자동차 국내 판매부문 사장이 구단 대표이사도 겸하고, 나머지 현대자동차그룹 산하의 구단은 계열사 CEO가 구단주를 맡고 있다.

하지만 회사 업무만으로도 업무량이 막중한 회사 대표이사 입장에서 회사 산하 스포츠구단의 운영에 간섭할 여력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프로야구 제10구단 관련 논란과 관련해서 이사회에 2번 연속으로 KIA 사장이 불참한 것을 놓고 억측기사가 나오기도 했는데, 사실 KBO 윈터미팅 등 오래 전부터 KBO 이사회 관련해서는 한화 이글스 사장에게 결정권을 위임한 상태였다. 따라서 한화 이글스 구단의 의견 곧 KIA 타이거즈의 의견인 셈이었다.

그러다가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전임 구단 대표이사를 두는 것으로 변경해 KIA 구단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즉 전임 대표이사로서는 초대. 그 첫 타자는 바로 3대 단장이었던 허영택이다. 그리고 공석이 된 단장에 조계현 전 수석 코치를 내정했다. 이후 2018 시즌에는 허영택 단장이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함과 동시에 구단의 대표이사를 맡아 지휘했다.

하지만 임명한 지 1년 정도가 지난 2019년 3월 말, 그룹 인사에 따라 허영택 대표가 물러나고 신임 대표이사인 이화원 전무이사가 부사장 승진과 함께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성적은 신통치가 않았다. 2021년 11월, 맷 윌리엄스 감독 퇴진과 동시에 이화원 사장, 조계현 단장이 동반 퇴진했다. 그룹에서는 후임으로 최준영 기아 부사장을 내정했다. 사실상 전임대표이사제를 폐지하고 모기업인 기아의 등기 임원이 구단 대표이사를 겸임하는 구조이며 그룹 내에서의 대우는 부사장이다.

3.3. 역대 단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a0029><tablebg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단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
박종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
정기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6)
노주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1991)
이상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5)
미운영
(1996)
<rowcolor=#ffffff> 5대 6대
7대
8대
9대
김철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최윤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정재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7)
김조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13)
허영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17)
10대 11대 12대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svg
조계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1)
장정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2023)
직무 대행
최준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심재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

KIA 타이거즈 역대 단장
순서 이름 기간
초대 박종세 1982
2대 정기주 1982~1986
3대 노주관 1987~1991
4대 이상국 1992~1995[39]
- (미운영)[40] 1996
5대 김철규 1997~1998
6대 최윤범 1999~2001
7대 정재공 2001~2007
8대 김조호 2008~2013
9대 허영택 2014~2017
10대 조계현 2018~2021[41]
11대 장정석 2022~2023.03.[42]
직무 대행 최준영 2023.03.~2023.04.
12대 심재학 2023.04.~

초대 단장은 동양방송 아나운서이자 아나운서계의 대부 박종세가 맡았다. 그러나 명예직에 가까운 단장이었으며, 1982년 9월부터는 새로운 단장으로 정기주 단장이 맡게 된다. 그러나 박종세 단장은 해임하지 않아서 팀에 단장이 2명이 있는 신기한 모양새가 됐다.[43]

정기주 단장은 해태의 초석을 다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게, “박건배 구단주가 당신을 원한다”며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김응용에게 팀을 맡아줄 것을 부탁했고, 김응용이 승낙하면서 1983 시즌부터 전설의 김응용 체제의 해태가 시작되었다.[44]

정기주 단장 후임 자리는 노주관 단장이 맡게 됐고 5년간의 단장직을 거쳐[45] 1992 시즌부터 이상국 단장이 맡게 된다. 이상국 단장은 1975년 해태제과에 입사하여 바로 판매왕에 오를 만큼 영업 수완이 뛰어난 사람이었으며 창단과 함께 야구단으로 자리를 옮겼고 여러 요직을 거쳐 단장까지 올랐다. 프로야구 최초 억대 연봉을 시작한 선동열의 1억 5천만 원의 연봉도 그의 작품. 그러나 1995 시즌 종료 후 선동열 일본 진출 관련 협상 문제로 모기업과 마찰 후 노주관 사장과 함께 경질됐다.[46]

이상국 단장을 경질한 이후 1996년은 마의웅 대표이사 혼자 구단을 이끌었다. 결국 1997년부터 김철규 해태 타이거즈 관리본부장이 단장으로 승진하여 새롭게 부임하였다. 김철규 단장이 물러난 1999년부터 최윤범 구단 운영부장이 신임 단장으로 영전했다. 이후 모기업이 교체되면서 정기주 사장과 같이 용퇴를 선언했다. 이후 모기업인 현대기아자동차그룹에서 신임 단장이 내려오는데 그 사람이 당시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부단장이었던 정재공이었다.

정재공 단장은 부산 KIA 엔터프라이즈 시절의 경험을 살려 적극적으로 프런트가 현장에 개입하도록 하는 스타일이었다. 이 시기에 모기업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많이 얻어내고 FA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등 구단 운영에 대한 열정만은 진짜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지나친 현장 개입으로 김성한 前 감독이 알력다툼 끝에 옷을 벗는 일이 있었고 FA로 영입한 선수들이 먹튀가 되면서 평가가 급락하기 시작, 2007년에 팬들과의 충돌과 사상 최악의 성적인 구단 창단 이래 최초 꼴찌를 하게 되며 퇴진 압박을 받으면서 경질 당하고 말았다.

김조호 단장의 경우 정재공과는 달리 현장 개입을 최대한 자제하고 내부 행정에만 신경쓰는 스타일이라[47] 비난의 목소리가 크지는 않은 편이었다. FA 영입에 소극적인 편이지만 현장에서 꼭 필요로 한다면 과감히 영입했다. 다만 2013년 전라북도 연고지 문제[48]로 많은 욕을 먹기도 했다. 타어강이라는 희대의 사태가 벌어지자 2013년 시즌 종료 후 단장직에서 물러나면서 상근 자문직을 맡게 되었다.

기아자동차 슬로바키아 공장 관리직에 있었다가 단장으로 들어온 허영택 기아자동차 상무는 2005년 10월부터 2007년 1월까지 타이거즈 부단장으로 있었던 경력이 있다. 선동열 감독의 2014년 시즌 이후 재신임 관련 인터뷰에서 무책임한 발언으로 KIA 팬들의 미움을 사고 있어서 부단장 시절 정재공 단장에게 안 좋은 것을 배웠다는 반응이 거셌다. 게다가 정재공 단장 밑에서 배웠다면 적극적인 트레이드 시도나 FA 영입을 시도할 만한데, 그런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김조호 단장처럼 조용히 있다가 과감히 한 번씩 데려오는 스타일도 아니라 아무것도 안하는 이미지로 비춰지고 있어서 팬들의 불만이 많았었다. 하지만 현실은 모기업 지원 하에 인프라 개선과 육성시설 강화에 힘을 쓰면서 팀 체질 개선에 힘을 쓰고 구단 비전 목표를 세우는 등 기조를 재건하려는 시도를 했고 2017 시즌 전에는 최형우를 데려오는 등 김조호 단장이 보여준 모습과 비슷한 행보를 걸었다. 그리고 2017 정규 시즌 우승으로 이끈 공로로 시즌 후 구단 대표이사로 영전했다.

전반적으로 프런트의 영향력이 작은 구단으로 좋게 말하면 터치가 적어서 현장과의 트러블이 적은 편이고 현장에서 추구하는 자유로운 구단 운영을 보장한다. 반면 나쁘게 말하면 프런트가 현장에 관심이 없어 현장의 운영 방향이 잘못됐어도 견제를 하지 않는다. 대신 결코 뒤지지 않는 모기업의 자금력에 힘입어 구단 성적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과감한 투자를 하는 편이다. FA 영입이나 인프라 구축(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기아 챌린저스 필드 건립, 재활센터 구축) 역시 현장의 강한 요구보다는 성적 및 기량 향상을 목적으로 구단 모기업의 판단에서 추진한 사업이 강하다.

이후 허영택 단장이 대표이사로 영전하면서 조계현 수석코치도 신임 단장으로 영전했다. 그러나 단장 임기 4년간 부족한 모습을 많이 보이며 팬들에게 매우 많은 비판을 받았고 결국 그룹은 이화원 대표이사, 맷 윌리엄스 감독과 같이 동반 경질했다.

2022 시즌부터 타이거즈를 이끌 신임 단장으로 장정석키움 히어로즈 감독을 내정했다. 그러나 1년도 채 안 돼서 2022년 말 겨울 이적 시장까지 NC 다이노스 임선남 단장과 최악의 단장 자리를 놓고 자웅을 다퉜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종국 감독과 함께 타이거즈 팬의 신임을 거의 다 잃었다.
장정석 단장이 2023년 3월 박동원 선수와 FA협상관련 비위로 전격 해임 되었다.

3.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감독
{{{-3 {{{#fff
(해태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초대 2대 3대
김동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
감독 대행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
김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2000)

김성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4)
감독 대행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rowcolor=#fff> 4대 5대
6대
7대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감독 대행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조범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11)
선동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4)
<rowcolor=#fff> 8대
9대
10대 11대
김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9)
감독 대행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1)
김종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2023)
이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KIA 타이거즈 역대 감독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성적 승률 우승 횟수
초대 김동엽 1982.01.05.~1982.04.28. 5승 0무 8패 .385[49] -
감독 대행 조창수 1982.04.29.~1982.10.17. 33승 0무 34패 .493 -
2대 김응용 1982.10.18.~2000.10.30. 1164승 49무 934패 .555[50] 9회[V1~V9]
3대 김성한 2000.10.30.~2004.07.26.[52][53] 257승 18무 212패 .548 -
4대 유남호 2004.07.27.~2005.07.25.[54] 60승 2무 67패 .472 -
5대 서정환 2005.07.26.~2007.10.17. 130승 4무 159패 .450 -
6대 조범현[55] 2007.10.18.~2011.10.18. 267승 4무 254패 .511 1회[V10]
7대 선동열 2011.10.18.~2014.10.25. 167승 9무 213패 .439[57] -
8대 김기태 2014.10.28.~2019.05.16.[58] 307승 3무 310패 .498 1회[V11]
감독 대행 박흥식 2019.05.17.~2019.10.15. 49승 1무 50패 .495 -
9대 맷 윌리엄스 2019.10.15.~2021.11.01. 131승 10무 147패 .471 -
10대 김종국 2021.12.05.~2024.01.29.[60] 143승 3무 142패 .502 -
11대 이범호 2024.02.13.~ 87승 2무 55패 0.613 1회[V12]
  • 감독 대행 체제로 시작해서 정식 감독이 될 때까지 그 사이의 전적도 포함한 기록이다.

김응용 감독의 장기 집권으로 코치나 2군 감독들이 기를 펴지 못한다는 소문이 있지만 실제로 김응용 감독이 코치와 2군 감독을 꽤나 돌봐 줬고 김응용 감독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한다. 실제로 훗날 쌍방울 레이더스, OB-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 감독을 거쳤던 김인식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해태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4년 연속 제패 당시 김응용 감독과 호흡을 맞췄고 그 경험을 기반으로 그 또한 야구계의 존경 받는 명장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아무튼 간에 한 감독이 징하게 오래한 건 사실이다.

몇 경기만에 짤린 김동엽을 제외하곤, 우승을 11번이나 했지만 전부 비(非)타이거즈 출신 감독이 이뤄냈다. 물론 해태 시기에는 김응용의 장기집권이 있었으니 당연히 이 기간동안 해태 출신 선수가 감독이 되는일이 아예 없었기도 했지만. 오히려 해태 출신들은 김성한을 제외하곤 전부 성적이 좋지 않다. 더구나 김성한도 정규 시즌 성적은 좋았지만 포스트 시즌에서는 항상 무기력했고 오히려 훈련하던 선수의 머리를 방망이로 때리는 사건을 일으키거나 야구와 무관한 선수단 단체 행군을 시키는 등[62] 똥군기만 강조하던 구시대적 야구관에서 나온 행동들로 인해 결코 좋은 감독으로 기억되진 않는다.

또한 역대 감독 명단을 보면 타이거즈가 순혈 출신 지도자를 선호한다는 선입견과는 달리 생각보다 순혈 출신 감독 수는 적은 편이다. 연고지인 호남 출신 감독은 역대 11명의 감독 중 김성한, 선동열, 김기태, 김종국 등 단 네 명에 불과하다. 또 타이거즈 선수 출신 감독으로 범위를 좁혀도 김성한, 서정환, 선동열, 김종국, 이범호 등 5명이 전부이다. 물론 실향민 출신의 김응용 감독이 워낙 오래 부임한 덕분에 다른 전직 감독들의 근속 연수가 적어서 그렇기는 하다. 과거 올드 팬들의 성향을 따라 과거에 쌓아 올렸던 타이거즈의 영광을 타이거즈 출신이 다시 세우길 바라는 여론이 있긴 했으나 타이거즈 순혈 출신 지도자들의 결과물이 그다지 좋지 않게 흘러감에 따라 오히려 타이거즈 출신 지도자를 배척하려는 분위기다. 선동열 이후 선임된 김기태 감독과 윌리엄스 감독 모두 타이거즈와 연을 맺지 않은 사람이고 이종범의 감독 선임 소문이 나왔을 때 팬들이 정말 극렬하게 반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팀 성적에 비해 김응용 감독 이후로는 감독들의 평이 썩 좋지 않다. 그나마 조범현이 가장 나은 축에 들고, 선술했듯 김성한은 똥군기로 인해 까이며 김기태는 혹사로 인해 까인다. 나머지 감독들은 승률도 육성도 잘 못한 종신감독 취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똑같이 감독 평가가 박하기로 유명한 삼성보다도 평균적인 평가가 더 낮을 정도.

3.5. 역대 2군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정유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91)
방수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4)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8)
김봉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
장채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09)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rowcolor=#fff> 16대 [1] 17대 [1] 18대 [1] 19대 20대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한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용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정회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rowcolor=#fff> 21대 [1] 22대 23대 [1] 24대 25대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이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명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손승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2024)
<rowcolor=#fff> 26대
진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1]: '총괄 코치'라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 2002년은 공석
}}}}}}}}} ||


[1] 전기 4위, 후기 4위[2] 전기 1위, 후기 4위[3] 전기 5위, 후기 3위[4] 전기 3위, 후기 3위[5] 전기 2위, 후기 2위[6] 전기 3위, 후기 2위[7] 전기 1위, 후기 1위[8] 한화 이글스와 공동 3위.[9] 3위인 롯데 자이언츠와 3경기 이상 차가 벌어져 당시 규정에 의해 준플레이오프가 생략됐기 때문에 4위를 기록하고도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10] 7월 31일까지는 해태 타이거즈의 이름으로 참가[11] 스프링캠프 때 기소되며 퇴진[12] 1983~1997년.[13] 2016년, 2018년, 2022년.[14] 2017년, 2024년.[15] 단, 와카 5위 팀 중 4위를 넘은 팀은 2024년 KT가 처음이다.[16] KBO 역대 선발 등판 1위[17] KBO 역대 완봉 1위[18] 1000이닝 이상[19] KBO 역대 평균자책점 1위[20] KBO 역대 탈삼진 1위[21] KBO 역대 사구 1위[22] KBO 단일시즌 최다 완봉 기록[23] KBO 단일시즌 최저 평균자책점 기록[24] KBO 단일시즌 최다 득점 기록[25] KBO 단일시즌 최다 도루 기록[26] 구단주 겸 사장. 1983 시즌이 끝나고서 해태그룹 명예회장 및 구단주로 한 발 물러섰다.[27] 선동열 일본 진출 관련 협상으로 모기업과 마찰 후 이상국 단장과 같이 경질되었다.[28] 대표이사 1996년 취임, 사장 취임은 1997년 취임.[29] 1977년 현대정공 입사,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장(부사장) 역임[30] 1977년 현대정공 입사, 현대모비스 부사장, 현대파워텍 부사장 역임[31]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특수전사령부 장교로 복무 후 소령 전역, 1985년 현대자동차에 입사했다. 노무, 생산, 마케팅 부서를 거쳤다.[32] 1982년 현대자동차서비스 입사 후 현대자동차로 옮겨 현대차 인도법인장, 기아차 재경본부장을 역임했다.[33] 1988년 기아자동차 입사, 현대기아차그룹 홍보실과 기획조정실에서 근무했다.[34] 1990년 현대자동차 입사, 2022년 기준 기아 대표이사 부사장 겸 경영지원본부장[35] 2009년 별세.[36] 2018년 별세.[37] 1977년 한라건설에 입사해 현대그룹과 연을 맺었다. 이어 1986년 현대정공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어 고려산업개발, 현대산업개발 사업개발·홍보담당 이사 및 상무를 맡다가 2000년에 기아자동차로 자리를 옮겼다.[38] 이후 2006년에 현대기아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장으로 복귀했고 2007년 10월에는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이후 2008년 12월을 끝으로 용퇴했다.[39] 선동열 일본 진출 관련 협상으로 모기업과 마찰 후 노주관 사장과 같이 경질했다.[40] 단장 없이 시즌을 치렀다.[41] 2021년 11월, 맷 윌리엄스 감독, 이화원 사장과 동반 퇴진[42] 2023년 3월, 박동원에게 금전 요구를 한 사건으로 인해 해임[43] 사실상 고문 정도의 위치에 그쳤을 가능성이 크다.[44] 이후 정기주 단장은 물러난 후 모기업에서 일하다가 1999년에 구단 사장으로 복귀하지만 이미 재정난으로 구단이 무너진 상황이어서 손을 쓸 수가 없었다.[45] 이 시기 다섯 시즌 중 무려 네 번이나 우승을 했다. 그 공로로 구단 대표이사로 승진했다.[46] 이후 이상국 단장은 경질된 후 2000년부터 6년간 한국야구위원회에서 사무총장을 지낼 정도로 팀을 벗어나서도 여러 곳에서 신임이 두터웠던 사람이다. 타이거즈 OB 모임에서도 여러 선수단과 연락할 정도로 사이가 두터우며 선동열은 일본에 보내준 이상국 단장에게 항상 감사한다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47] 본래 대우자동차에서 일하다가 2001년 기아자동차로 넘어온 인사로 2005년경에 이사대우 승진, 2007년 11월에 이사승진과 함께 단장으로 취임했다. 이후 2010년에 상무로 승진했다. 모기업에서는 주로 경영, 기획, 마케팅 등의 일을 하던 인물이었다.[48] 1차 지명이 부활하면서 지역 연고 고교 5개를 선정할 수 있게 되었는데 타이거즈의 뿌리와도 같은 군산상고가 빠지면서 논란이 되었다. KIA에서 선정한 고등학교는 광주일고, 광주동성고, 광주진흥고, 순천효천고, 화순고. 프런트 측에서는 어떻게든 군산상고의 지명권을 지키려 했으나 결국 군산상고는 NC 다이노스가 가져갔다.(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1차 지명 권한 행사와 제2 홈구장 홈경기는 엄연히 별개의 사안이다.) 대신이라고 하긴 뭐하지만 KIA는 신생 야구단이 있는 전북 정읍의 인상고를 가져갔다.[49] 역대 최저 승률. 다만 이쪽은 13경기만 치르고 잘렸다는건 감안해야한다.[50] 역대 최고 승률.[V1~V9] 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6, 1997 한국시리즈 우승[52] 2001년 시즌 도중 모기업 KIA로 교체[53] 2004년 중도 사퇴. 이후 유남호 KIA 타이거즈 2군 감독이 감독 대행.[54] 2005년 정식 감독으로 2년 계약을 맺었으나 그 해 중도 사퇴. 이후 서정환 KIA 타이거즈 2군 감독이 감독 대행.[55] 김응용 이후로는 처음으로 선임한 비(非)해태 출신 감독. 2008년부터 뛰라고 계약을 했으나 2007년 시즌 일정이 꼬이는 바람에 KIA 감독으로의 데뷔전을 2007년 마지막 경기로 맞이했다. 근데 본의 아니게 타이거즈를 우승시킨 감독 3명 모두 비해태 출신이고 해태 출신 감독들은 모두 이렇다 할 성적을 못 냈다. 그나마 김성한이 2위 두 번으로 선방했다. 자세한 내용은 KBO 슈퍼 한국시리즈 문서 참조.[V10] 2009 한국시리즈 우승[57] 1시즌 이상 재임한 감독들 중 최저 승률.[58] 2019 시즌 중 사퇴 후 박흥식 KIA 타이거즈 2군 감독이 감독 대행.[V11] 2017 한국시리즈 우승[60] 2024 시즌 전 배임수재 혐의로 수사기관의 수사를 받고 있다는 것이 드러나 1월 28일 직무정지 조치를 당했다. 이후 1월 29일, 구단은 이를 품위손상행위로 판단해 계약해지되었다.[V12] 2024 한국시리즈 우승[62] 호남지역 프랜차이즈 팀으로서의 상징성을 높이고 타이거즈 특유의 근성과 정신력을 결집시키겠다는 미명 하에 2004년 초 군산 월명 야구장부터 광주 무등 야구장까지 100km가 넘는 거리를 걷는 '한마음 종주' 행사를 직접 기획해서 진행했다. 의도는 좋았겠으나 결국 이종범, 김진우, 홍세완, 박재홍 등 주축 선수들이 그 해 1년 내내 부상을 달고 살거나 체력 저하로 고생했는데 이 행군과 결코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김성한 본인도 그 해 여름 지휘봉을 내려놓게 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