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5:58

사환(삼국지)

위서(魏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9d9f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181818,#e5e5e5
1권 「무제기(武帝紀)」 2권 「문제기(文帝紀)」
조조 ,조등 왕준, 조비
3권 「명제기(明帝紀)」 4권 「삼소제기(三少帝紀)」
조예 ,학소 진랑 맹타, 조방 ,장특, · 조모 · 조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181818,#e5e5e5
5권 「후비전(后妃傳)」
무선황후 · 문소황후 · 문덕황후 · 명도황후 · 명원황후
6권 「동이원유전(董二袁劉傳)」 7권 「여포장홍전(呂布臧洪傳)」 8권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동탁 ,이각 곽사 마등 한수,
원소 ,저수 전풍 원담 원희 원상, · 원술
유표 ,유종 부손 괴월 한숭 채모,
여포 ,장막 진궁 진등, · 장홍 공손찬 ,유우, · 도겸 · 장양
공손도 ,공손연,
장연 · 장수 · 장로
9권 「제하후조전(諸夏侯曹傳)」 10권 「순욱순유가후전(荀彧荀攸賈詡傳)」
하후돈 ,하후무 한호 사환, · 하후연 ,하후패, · 조인 ,조순, · 조홍 · 조휴 ,조조(肇),
조진 ,조상 이승 환범 하안, · 하후상 ,하후현 이풍 허윤,
순욱 ,순의 예형, · 순유 · 가후
11권 「원장양국전왕병관전(袁張凉國田王邴管傳)」 12권 「최모서하형포사마전(崔毛徐何邢鮑司馬傳)」 13권 「종요화흠왕랑전(鍾繇華歆王朗傳)」
원환 · 장범 ,장승, · 양무 · 국연
전주 · 왕수 · 병원 · 관녕 ,왕렬 장천 호소,
최염 ,공융 허유 누규, · 모개 · 서혁
하기 · 형옹 · 포훈 · 사마지
종요 ,종육, · 화흠 · 왕랑 ,왕숙,
14권 「정곽동류장류전(程郭董劉蔣劉傳)」 15권 「유사마량장온가전(劉司馬梁張溫賈傳)」 16권 「임소두정창전(任蘇杜鄭倉傳)」
정욱 ,정효, · 곽가 · 동소
유엽 ,유도, · 장제 · 유방 ,손자,
유복 ,유정, · 사마랑 · 양습 ,왕사,
장기 ,유초 장집, · 온회 ,맹건, · 가규 ,가충,
임준 · 소칙 · 두기(畿) ,두서 악상,
정혼 ,정태, · 창자 ,안비 영호소,
17권 「장악우장서전(張樂于張徐傳)」 18권 「이이장문여허전이방염전(二李藏文呂許典二龐閻傳)」
장료 · 악진 · 우금 · 장합 · 서황 ,주령, 이전 · 이통 · 장패 ,손관, · 문빙 · 여건 ,왕상,
허저 · 전위 · 방덕 ·방육 ,조아, · 염온
19권 「임성진소왕전(任城陳蕭王傳)」 20권 「무문세왕공전(武文世王公傳)」
조창 · 조식 ,양수 정의 정이, · 조웅 조앙 · 조삭 · 조충 ·조거 · 조우 ·조림(林) · 조곤 · 조현 ·조간 ·조표 ·조정 ·조림(霖)
21권 「왕위이유부전(王衛二劉傳)」 22권 「환이진서위노전(桓二陳徐衛盧傳)」 23권 「화상양두조배전(和常楊杜趙裴傳)」
왕찬 ,진림 완우 유정, · 위기 · 유이 · 유소 · 부하 환계 · 진군 ,진태, · 진교 · 서선 · 위진 · 노육 화흡 · 상림 ,시묘, · 양준 ·두습 · 조엄 · 배잠 ,배수,
24권 「한최고손왕전(韓崔高孫王傳)」 25권 「신비양부고당륭전(辛毗楊阜高堂隆傳)」 26권 「만전견곽전(滿田牽郭傳)」
한기 · 최림 · 고유 · 손례 · 왕관 신비 ,신헌영, · 양부 ,왕이, · 고당륭 ,잔잠, 만총 · 전예 · 견초 · 곽회
27권 「서호이왕전(徐胡二王傳)」 28권 「왕관구제갈등종전(王毌丘諸葛鄧鍾傳)」
서막 · 호질 ,호위, · 왕창 · 왕기 왕릉 ,선고 영호우, · 관구검 ,문흠, · 제갈탄 ,당자, · 등애 ,주태, · 종회 ,장창포 왕필,
29권 「방기전(方技傳)」
화타 · 두기(夔) ,마균, · 주건평 · 주선 · 관로
30권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오환 · 선비 ,가비능, · 부여 ·고구려 · · 읍루 · 예맥 · 동옥저 · 마한 · 진한 · 변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bgcolor=#fff> 관련 틀:
촉서
오서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8b><tablebgcolor=#00008b>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史渙
? ~ 209년

[clearfix]

1. 개요

후한조조 휘하의 무장. 는 공유(公劉). 조조의 동향 예주 패국 초현 사람이다.

2. 정사 삼국지

젊어서부터 협기와 용맹을 지닌 충의로운 인물로 이름을 얻었고, 조조의 거병 당시부터 부하로 따랐다. 행중군교위 직책을 맡아서 원정을 떠날 때마다 제장들을 감찰했으며 조조에게 두터운 신뢰를 받았다.

199년 사견에 주둔해서 원소와 손잡으려던 수고조인, 악진, 서황 등과 함께 공격해 죽이고 그 군세를 아울러 왔다.

관도대전에서는 순유의 기습책에 따라 서황과 함께 한맹이 수송하던 군량을 급습해 불태워 원소군의 보급에 타격을 주는 공을 세웠다.

207년 조조가 유성으로 원상을 추격할 때, 원정을 나가 적지에 깊이 들어가는 것을 옳지 않다고 여겨 함께 중군을 맡고 있던 한호에게 조조더러 간하는 게 어떻냐고 했지만 한호는 '우리 둘은 중군의 질서를 책임지는 지휘관이니 사기를 꺾는 말을 해선 안된다' 고 거꾸로 사환을 설득했으며, 열후에 오르고 중령군까지 봉해지다가 209년 병사했다.

그의 아들로는 사정(史靜)[1], 손자로는 사익, 사중화가 있다.

3. 삼국지연의

소시적 협기와 용맹을 지닌 충의의 명사였으며 단독으로 돋보이는 공을 세운 전적은 없어도 다른 장수들과 협력하고 원정군의 기강을 유지하는 것에 노력했다는 기술로 미뤄보면 상당히 능력있는 장수였다고 추측되는데, 삼국지연의에서는 최후가 매우 왜곡되어 영 좋지 않게 원상일기토를 벌이던 중 원상의 거짓 퇴각에 속아 왼눈에 화살을 맞고 말에서 떨어져 전사한다. 충분히 삼국지연의의 피해자로 간주할 만하다.

4. 기타 창작물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0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가 일반 잡장 수준이다. 이후 쭉 정규 시리즈에 등장하지 못했다.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오랜만에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원상보다 좋다.

삼국지 13 PK에서 25년 만에 정규 시리즈에 복귀했다.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68/지력 72/정치력 41로 연의에서 원상에게 패한 것 때문인지 용맹해보이는 일러스트와는 별개로 능력치는 지장형이다. 눈에 띄는 특징은 웬만한 지력 80대 문관들에게도 없는 귀모가 1이지만 있다는 점. 그래서 특기는 훈련 3, 순찰 3, 신속 1, 견수 3, 일기 1, 귀모 1이다. 전수특기는 견수이고 전법은 창병도발이다. 자세히 보면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들고 소리치며 원상과 맞서고 있다. 7~10때의 수고를 방불케 할 정도. 조조가 막 거병한 190년 반동탁연합군 시나리오부터 조조군 소속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71, 지력 56, 정치 38, 매력 50으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3 상승한 대신 통솔력과 정치력이 각각 3, 지력이 16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주의는 패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급습, 업화, 매성, 친애무장은 서황, 조조, 혐오무장은 없다.

4.2. 삼국전투기

라이더 맨으로 등장한다. 하비 전투 (2)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는 것으로 선행 등장. 다른 장수들을 보좌하는 데 능한 보좌의 달인으로 묘사되며 정의감이 강하고 용맹하다고 언급된다.

하비 전투 편에서는 서황팽성 공략을 시도할 때 서황의 부장으로 첫 등장. 서황의 뒤를 잡은 이추갈고리로 발을 걸어 쓰러트리며 서포트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패2 전투 편에서는 창희우금과 친분이 있음을 안 건지 창희를 조조에게 보내 사면받게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하지만 역으로 우금이 거절하면서 불발된다.

관도 전투 편에서는 또 서황의 부장으로 참전했다. 서황과 한맹이 이끄는 치중대를 개발살낸 뒤 서황에게 보급품인 초코파이(!?) 몇 상자를 챙겨갈 것을 제의하지만 욕심내면 적들에게 다시 역습을 당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사환이 들고 있던 두 상자만 가져가기로 한다.

창정 전투 편에서는 언제나 후방에서 지원을 맡았었던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본인이 선봉을 자원한다. 그러나 원상을 도련님이라고 얕봤다가 원상에게 당해서 원상과의 일기토에서 패배, 정수리에 칼을 맞고 끔살당해 사망한다.

사망한 뒤에는 아들 사정이 후사를 이었다고 언급된다.


[1] 사환의 아들 사정은 史靜이고 오나라의 장수 사정은 謝旌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