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 용원 - 고성 - 통영 노선 관련 틀 | ||||||||||||||||||||||||||||||||||||||||||||||||||||||||||||||||||||||||||||||||||||||||||||||||||||||||||||||||||||||||||||||||||||||||||||||||||||||||||||||||||||||||||||||||||||||||||||||||||||||||||||||||||||||||||||||||||||||||||||||||||||||||||||||||||||||||||||||||||||||||||||||||||||||||||||||||||||||||||||||||||||||||||||||||||||||||||||||||||||||||||||||||||||||||||||||||
|
| |
남마산계통 차량 | 용원계통 차량 |
1. 개요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에서 용원시외버스센터을 경유해 진동, 배둔, 고성시외버스터미널을 거쳐 통영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2. 노선정보
시외버스 해운대 ↔ 통영 | |||||
기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종점 |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 (통영종합버스터미널) | ||
통영행 | 첫차 | 14:00 | 해운대행 | 첫차 | 06:00 |
막차 | 16:00 | 막차 | 11:35 | ||
운수사명 | 거제현대고속 | 운행횟수 | 일 2회 | ||
상세 노선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광안대교 ↔ 황령터널 ↔ 동서고가로 ↔ 서부산I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가락IC ↔ 용원시외버스센터 ↔ 진동 ↔ 배둔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
시외버스 해운대 ↔ 통영(마산남부 경유) | |||||
기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운동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 (통영종합버스터미널)[1] | |||||
남마산행 | 첫차 | 06:50 | 해운대행 | 첫차 | 09:23(통영발)[2] |
막차 | 16:30 | 막차 | 19:00 | ||
운수사명 | 거제현대고속 | 운행횟수 | 1일 3회[3] | ||
상세 노선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광안대교 ↔ 황령터널 ↔ 동서고가로 ↔ 서부산I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장유IC ↔ 남산시외버스정류소 ↔ 마창대교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진동 ← 배둔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
3. 역사
- 과거에는 해운대-통영계통은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는 계통 하나만 있었으며, 그마저도 국도를 경유해서 요금도 비쌌고 상당히 오래 걸렸었다.
- 2017년 11월 1일 남마산경유 통영행 시외버스의 벡스코 승하차가 폐지되면서 벡스코에 정차하지 않는다.
- 2025년 7월 1일 용원경유 계통이 신설되었다. 이로인해 남마산경유 계통의 통영발착 시간표가 대폭 감회되었고, 용원경유 계통은 기존 남마산 계통보다 빠르게 통영과 해운대를 오갈 수 있게 되었다.#
4. 특징
4.1. 남마산경유 계통
- 거제현대고속이 운행하는 노선으로 해운대 출발 노선 중 유일하게 남해고속도로제2지선[4]을 경유한다. 이로 인해 광안대교와 동서고가로도 같이 경유하여 승용차로 가는 경로와 매우 비슷하다. 단, 부산불꽃축제 등으로 인해 광안대교가 통제될 경우 동래 쪽으로 가거나, 아니면 동해고속도로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서낙동로 쪽으로 가는 경우가 있다.
- 현재 통영노선의 경우 용원경유 계통이 따로 생김에 따라, 해당 노선은 통영발 09:23분차량만 남마산경유 해운대행으로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대는 전부 마산남부 종착또는 마산남부 시발로 운행하는 상태다. 다만, 이전에도 이 노선이 통영행으로 운행했을땐 첫 차만 통영까지 운행했었으며, 심지어 광안대교등 국도로 돌아가서 운임도 매우 비쌌던데다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대기도 오래 했었던 상태였다.
- 뿐만 아니라 해운대 ~ 사상IC까지의 구간과 장유IC ~ 마산남부까지가 전부 국도 구간이라 운임이 매우 비싸다. 특히나 부산 구간은 동서고가로와 광안대교를 통해 부산 끝에서 끝까지 가로지르는데, 해당 구간이 전부 국도 구간이기 때문에 비싼 것이다. 그래서인지 한때 서비스 우등[5]을 넣는다면 십중팔구 이 노선에 넣었다.
- 남산시외버스정류소 정차 노선 중 유일하게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착발 노선이 아니다. 시외버스 해운대-창원도 남산정류소에서 해운대를 운행하지만 제2만덕터널, 동래를 경유하는 창원발 노선과 다르게 동서고가로, 황령터널, 광안대교를 이용해 직통 운행한다. 그러나 배차간격이 창원발 노선 대비 극히 적어 걸릴 확률이 낮은데다가 동서고가로나 황령터널 정체로 복병에 걸리는 케이스도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우회하는 경로가 있긴 한데, 이게 부산항대교를 비롯한 해안순환도로 ~ 낙동강하굿둑 ~ 1030번 지방도이다. 하지만 통행료 폭탄을 맞게 될 가능성이 커서 그렇게 우회하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 부산불꽃축제 기간에는 광안대교 통과가 불가능하므로 동래 쪽으로 우회한다. 동해고속도로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초정IC ~ 서낙동로로 우회하는 경우도 있으며, 시간에 따라 결행되는 경우도 있다.
- 만덕-센텀간 고속화도로가 개통될 경우 운행 경로가 그쪽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될 경우 똑같이 장유IC에서 고속도로를 타는 시외버스 해운대-창원 노선과 경로가 비슷해질 거라는 것. 차이점은 지상 구간으로 다니냐 지하 구간으로 다니냐의 차이 뿐일 것이다.
4.2. 용원경유 계통
- 동아여객 시외버스 노선이 정차하는 용원사거리 정류소가 아닌, 시외버스 서울남부-용원 노선과 같은 용원시외버스센터에 정차한다.
- 해운대와 용원에서 통영, 고성 쪽이 목적지인 경우 용원에서 시외버스 진해-고현으로 환승한 후 목적지로 가는 것이 더 빠르다. 해운대에서는 부산 버스 3006 이용 후 부산, 거제 버스 2000 이용해서 갈 수 있다.
- 막차 시간이 빨라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타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한다. 용원에서 진동~통영으로 가는 경우 시내버스를 이용해 남마산으로 이동해야 하고, 해운대에서는 앞선 방법으로 고현을 경유하거나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이용해 사상에서 탑승하면 된다. 용원에서 해운대로 갈 때는 경제자유구역청으로 가는 노선 중 부산 버스 58-1만 용원사거리에 정차하고, 그 외 용원 정류장에 정차하는 부산 버스 55, 부산 버스 58-2, 부산 버스 520을 이용한 후 부산 3006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6]
- 부산 구간의 경우 해안순환도로를 경유한다. 이에 주간 노선으로서는 1970년 충무동 터미널[7]이 조방 앞으로 옮겨간 이후 55년 만에 부산 원도심에 진입, 그리고 영도구에 최초로 진입한 시외버스이다. 그러나 영도고가도로를 경유하고 난 뒤 부산 원도심 구간에 정차하지는 않는다.
- 진동이후부터는 시외버스 마산남부-통영·장승포노선과 동일한 경로를 지나가게 된다.
- 이 노선을 바탕으로 고현행도 신설을 추진했으나 경상남도청의 불허가로 개통이 불발됐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 |
시내 | ······· |
시외 | ·· ·· ·· |
공항 | · |
각 지자체간 광역환승할인제 미도입으로 창원 - 부산 상호 간 대중교통 환승 시 할인 되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