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대한민국의 사적 | |
<colbgcolor=#315288> 서울 효창공원 서울 孝昌公園 Hyochang Park\, Seoul | ||
소재지 | <colbgcolor=#fff,#1f2023> 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134 | |
분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근대인물 / 광복운동 | |
수량/면적 | 123\,303㎡ | |
지정일 | 1989년 6월 28일 | |
소유단체 | 서울시 등 | |
관리단체 | 서울 용산구 | |
링크 | }}}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에 위치한 시립공원. 지리적으로는 효창동 외에도 청파동2가, 마포구 공덕동과 신공덕동까지 영역이 있다.본래는 조선의 22대 임금 정조의 장남인 문효세자의 묘가 있는 자리라 하여 '효창원(孝昌園)'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효창원과 100보 정도 가까운 위치에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의 묘소인 의빈묘가 함께 있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호국·보훈 관련 시설 및 유적지들이 있다. 대표적인 시설로는 삼의사묘, 임정요인묘역을 비롯한 독립유공자들의 묘역과 백범 김구 기념관 등이 있다. 1989년 6월 28일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
2. 연혁
2.1. 조선 ~ 일제강점기
효창공원의 역사는 정조의 장남인 문효세자와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가 사망하며 시작된다. 당시 정조는 이들의 묘소를 궁궐 가까운 곳에 두고 싶어했다. 도성 주위에 여러 후보지를 보던 중 소나무가 울창하고 한강이 보이는 언덕을 보게 되는데, 이곳이 바로 지금의 효창공원이다. 정조는 이곳이 풍수지리적으로 좋다고 판단하여 묘소를 조성하고 이곳에 ‘효성스럽고 번성하다’라는 의미의 '효창(孝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조선 시대까지는 소나무 숲이 우거진 곳으로 인적이 꽤 드물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었고, 묘역도 광활했다.이후 일제강점기가 되자 이러한 효창원 분위기를 이용하여 일본군에 의해 '구용산고지'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그 당시 일본군은 소나무숲이 우거지고 인적이 드물다는 점을 이용해 이곳을 숙영지로 삼기도 했으며, 동시에 비밀 병참기지로도 활용하여 숙적이었던 독립군 토벌 및 소탕 작전을 비밀리에 펴기도 했다. 해방 후 일본군이 사용했던 숙영지 및 병참기지는 일본군이 한반도에서 모두 철군한 뒤에야 공식 철거되었다.
1921년 6월에는 이곳에 경성 최초의 골프장이 개설, 3년간 운영되었다. 9홀 규모로 영국인이 설계를 맡았다고 한다. 주 고객 층은 원정역(현재의 효창공원앞역) 주변 호텔에 머물던 투숙객이었다고 한다.
1924년 경기도 경성부(지금의 서울특별시)가 효창원 일부를 공원으로 조성하여 순환도로, 공중변소까지 갖추면서 8월 일반에 공개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는 놀이시설이 들어서고 벚나무, 플라타너스 등의 외래 식물들이 심어져 유원지로 조성되었다.
이후 1944년 효창원이 현재의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서삼릉 권역으로 이장되면서 이름만 남게 되었다.
2.2. 독립유공자의 묘소 조성
해방 후인 1946년 박열, 이강훈 등 아나키스트계 독립 운동가들이 백정기·이봉창·윤봉길, 즉 삼의사(三義士)의 유해 수습을 촉구하여 '3의사국민장봉장위원회'를 발족하고 그 유해가 국내에 공식적으로 운구되어 삼의사묘(三義士墓)에 안장되었다.이후 1948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출신인 이동녕·조성환·차이석의 유해가 안장되었으며 1949년에는 백범 김구가 서울 경교장에서 암살당함에 따라 국민장을 통해 그의 시신이 운구되어 안장되기도 했다.
2002년에는 김구의 생애와 항일 업적 등을 기념하는 백범 김구 기념관이 설립되었다.
2.3. 민족공원 및 국립공원화 시도
효창민족공원 조감도 |
이후 20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이해서 애국선열들이 모셔져 있는 효창공원을 국립공원화 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이에 서울시와 문화재청, 국가보훈처, 용산구는 2019년 4월 10일 '효창독립 100년공원 조성 기본구상 계획'을 발표하고 효창공원을 정비하여 국가에서 관리하는 공원으로 만들겠다고 공표했다.
효창독립 100년공원(가칭) 조감도 |
국무회의에서 2020년 9월부터 국가보존묘지로 지정하기로 의결되었다. 효창공원뿐만이 아닌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안장된 국립현충원 외 묘역을 관리묘지로 지정한 것이다.
서울시는 효창공원을 독립기념공원으로 재조성하는 효창독립 100년 공원 조성 사업에 대한 시민 공론화를 위해 <효창독립100년 메모리얼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의 일환으로 2020년 네이밍&슬로건 공모전, 작품공모전, 전시회 등의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2021년에는 시민홍보단을 구성해 효창공원 재조성을 시민들이 직접 알리는 효창독립 100년 공원 시민홍보단을 운영하고 있다.
3. 주요 시설
3.1. 독립유공자 관련 시설
3.1.1. 의열사
효창공원에 안장된 네 명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과 삼의사를 모시는 사당이다.3.1.2. 삼의사묘역
삼의사묘(三義士墓) |
실제 삼의사묘에 가보면 유골이 없는 가묘(假墓)가 있는데,[2] 그 묘소에는 1909년 중국 하얼빈 기차역에서 일본의 정치가이자 한국 침략의 원흉으로 불렸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의 유골이 안장될 묘소라고 한다. 안중근 의사는 사형되기 전 유언에서 "내가 죽으면 내 유골을 하얼빈 공원에 묻었다가 대한의 독립이 되거든 조국으로 나의 유골을 운구해달라" 라고 남겼지만... 순국한 지 [age(1910-03-26)]년이 지나고 해방된 지 [age(1945-08-1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안중근 의사의 시신은커녕 유골의 행방도 찾지 못해 표류하고 있는 중이다. 시신을 못 찾는 이유 중 하나가 안 의사가 묻힌 지역이 1930년대에 한번 재개발이 이루어졌는데, 그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현재까지 정설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도 안 의사를 영웅으로 칭송하고 있기에 유골 수색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문제는 안 의사의 고향이 황해도, 즉 북한이라서 남북 양측이 함께 해야 하는 상황이다. 2019년 3월, 안중근 의사의 가묘 표지석이 정식 묘비로 교체되었다. 묘비로 교체되었을 뿐, 현재도 유해가 안장되지 않은 가묘 상태이다.
만약 안중근 의사의 유골을 찾게 되어 삼의사묘에 안장될 경우 묘소 명칭이 '사의사 묘(四義士墓)'로 바뀔 듯 싶다.
3.1.3. 임정요인묘역
따로 묘역이 조성된 김구 선생을 제외한 세명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의 묘역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1·2·5·6·7대 국무회의 주석직을 지낸 석오 이동녕 선생,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비서장 등을 역임한 차이석 선생,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을 역임하였고 한국광복군을 창설하는데 지대한 공을 세운 조성환 선생이 모셔져 있다.3.1.4. 백범 김구 묘역
3.1.5. 백범 김구 기념관
자세한 내용은 백범김구기념관 문서 참고하십시오.백범 김구 기념관 중앙홀, 김구 좌상 |
3.2. 일반 시설
3.2.1. 대한노인회 중앙회
자세한 내용은 대한노인회 문서 참고하십시오.3.2.2. 효창운동장
자세한 내용은 효창운동장 문서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규격 축구 경기장이다.
3.2.3. 자연생태 학습원
양서류가 굉장히 많이 서식하며 특히 두꺼비의 개체수가 굉장히 많은 곳이다. 밤에 산책을 온 사람들은 가로등 밑에서 사냥하는 두꺼비들을 볼 수 있으며 비가 온 날 밤이면 어디든 바닥에 넘처나는 두꺼비 떼를 볼 수가 있다. 그 밖에도 참개구리와 청개구리 등 역시 마음만 먹으면 꽤나 많이 찾아볼 수가 있다. 양서류들의 천국이며 특히 두꺼비가 제일 번성한 이유는 한국의 거의 유일한 두꺼비의 천적 유혈목이를 비롯한 뱀들이 일절 서식하지 않는 영향이 큰 듯하다.4. 여담
- 공원 계단 위쪽으로는 신라의 고승(古僧)이었던 원효의 동상이 있었는데 오늘날 서울특별시 원효로의 '원효'도 원효의 법명을 본떠 지었다.[3]
- 공원 옆에는 효창운동장이 위치해 있어 '공원 옆 운동장'이라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조화로운 분위기를 보이기도 한다. 인근에 숙명여자대학교도 있다. 이봉창 의사의 경우 고향이 효창공원 근처다. 용산구 효창동 118-1번지에 생가 표지석이 있으며 효창공원에서 유일하게 고향에 안장된 독립운동가.[4] 이봉창 의사의 생가는 원래 자리에 복원이 예정돼 있다.
- 효창공원앞역과 공원 간 거리가 다소 떨어져 있는 편이다.
- 한때 효창공원 내의 애국선열들의 묘소가 이장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2013년 효창공원을 국립묘지로 지정함으로써 관리주체를 지자체가 아닌 국가로 바꾸고자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그런데 효창공원 내의 묘소가 국립묘지가 되면 공원 이용 시간에 제한을 받게 되고, 묘지라는 명칭 때문에 주변 집값이 떨어지는 등 주민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며 용산구의회에서 이 법안 제정을 반대하고 나선 것. 그러다 한 술 더 떠 국립묘지화 반대를 주장하는 주민들 사이에서 '차라리 묘지를 이장해가라'는 요구까지 나온 것이다.관련뉴스 그러나 이 같은 내용은 여론의 뭇매를 맞고 흐지부지 되었다. 사실 저 주장 하는 사람들 대부분 토박이가 아니었다.[5]
- 다만 효창공원 성역화를 주장하는 측에서는 애국선열들의 묘소가 있는 효창공원이 유원지화되는 것을 볼 수 없으니 그에 맞는 예우를 하여야 하고, 원래 조선 시대부터 정조의 아들인 문효세자의 묘소가 있던 곳으로 효창원(孝昌園)으로 불리던 곳이었으므로[6] 원래의 명칭인 효창원으로 되돌려야 한다며[7] 효창공원이라는 명칭을 거부하고 있다.
- 2011년 6월 3일 스펀지에 따르면 문정역부터 효창공원까지의 지하철 노선을 그리면 고래 모양이 나타난다고 한다.
- 서울청파초등학교가 바로 옆에 인접해 있다. 북문에서부터 효창공원까지 뛰어가면 5~7분, 걸어서 가거나 천천히 가면 10분~15분 걸린다. 또한 정문과 멀지 않은 거리에는 서울금양초등학교가 있다.
- 주변에 기사식당이 많아 택시 기사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효창공원에서 용산역, 서울역, 숙대, 공덕역 등지로 금방 넘어갈 수 있는지라 식사를 많이 해결하곤 한다고.
- 제104주년 3·1절을 기념해 나무에 태극기를 꽂은 '태극기 거리'를 만들었는데, 꽃이 핀 것처럼 예쁘다고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었다. 관련 기사
- 임시정부수립 86주년 기념행사를 이곳에서 상하이와 동시에 열렸는데 이 때 이곳에서 크라잉넛이 독립군가와 압록강 행진곡을 리메이크 해서 불렀다.
- 현재 캣맘들의 극성으로 고통받고 있다.123 캣맘들뿐만 아니라 쓰레기 문제로 고통받는 중이다.#
5. 외부 링크
6. 사적 제330호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시는 곳이다. 원래는 효창원으로, 정조의 큰아들인 문효세자·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숙의 박씨의 자녀인 영온옹주의 무덤이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문효세자의 묘를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삼릉(西三陵)으로 옮기면서 효창원은 효창공원이 되었다.
광복 후에는 김구·이동녕·이봉창·윤봉길·안중근을 비롯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무덤을 모시게 되었으며, 매년 이 분들을 위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무덤지역이 넓고 소나무숲이 울창하며, 무덤 주위로 산책로가 있다.
※(효창공원 → 서울 효창공원)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 (2011.07.28 고시)
광복 후에는 김구·이동녕·이봉창·윤봉길·안중근을 비롯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무덤을 모시게 되었으며, 매년 이 분들을 위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무덤지역이 넓고 소나무숲이 울창하며, 무덤 주위로 산책로가 있다.
※(효창공원 → 서울 효창공원)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 (2011.07.28 고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서울 삼전도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부여 정림사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3 포천 반월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2 경주 불국사 1.#539 부산 연산동 고분군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1] 처음 지정될 당시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문화유산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 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음을 고려해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고 있다.[2] 위 사진에서 가장 왼쪽, 비석 글귀가 유독 하얀 묘소이다.[3] 정확히는 일제강점기 시기 이 지역에 일본인 거주지가 조성되어 모토마치(元町, 원정)로 불렸는데, 해방 이후 일본식 지명 순화 과정을 거치면서 모토마치의 한자의 원(元)자를 살리면서 신라의 고승인 원효의 이름을 따와서 바꾼 것. 이와 관련해서는 일제강점기 이 지역에 있던 용산선의 역인 원정역(용산선) 문서 참조.[4] 생가에서 묘소까지 약 500m 정도 된다.[5] 성저십리에 오래 살던 서울토박이들은 자부심이 커서 웬만하면 이사 자체를 안가려고 하므로 세금 올라갈 일이나 재개발 문제 빼면 부동산 가격이 별 의미가 없다. 그리고 효창공원 앞이 상술한 것처럼 이봉창 의사의 고향이다. 그래서 당시에도 나라를 위해 목숨까지 바친 의사들을 늦게나마 고국에 모신 곳을 함부로 손대려 드냐며 반대 의견도 많았고, 굴러온 돌 주제에 박힌 돌 빼냐는 비난이 꽤 있었다.[6] 문효세자의 묘인 효창원은 1944년 서삼릉으로 이장하였다.[7] 비슷한 예로,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이 있던 곳은 명성황후 능이 현재의 홍릉(홍유릉)으로 이장한 후에도 홍릉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