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21:46:22

보덴플라테 공세

보덴플라테 작전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1. 개요2. 당시 상황3. 경과4. 영향5. 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서부전선전투 중 하나인 아르덴 대공세 말기에 독일 국방군공군 루프트바페가 펼친 공세. 연합군 비행장을 공습해 성공적인 전적을 올렸으나 공군력의 열세를 뒤집진 못했고 이후 루프트바페의 궤멸을 불러왔다. 독일 육군의 숨통을 끊어 버린 것이 독소전쟁소련군바그라티온 작전이라면, 독일 공군의 숨통을 끊은 것은 이 보텐플라테 공세라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2. 당시 상황

당시 독일군은 1944년 12월 중순부터 개시된 벨기에 아르덴 지방을 공격해 서부전선에 큰 돌출부를 뚫고 있었다. 작전 초기에는 북부의 제6기갑군과 남부의 제5기갑군ㆍ7군이 빠르게 전진하기는 했으나, 문제는 항공 전력이었다. 당시 독일 공군은 잔존 항공 전력이 거의 남아 있지 못했다. 이유는 영국 본토 항공전 직후 서부전선의 공군이 대거 동부전선에 배치됐는데, 1943년 이후로 육군이 그렇듯 공군도 완전히 박살나 사실상 대규모 항공전을 벌이기 힘들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 오히려 전투기는 없는데 공군 사병들이나 놀고 있는 신입 조종사들이 더 많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공군 정예 조종사들이 44년도쯤엔 거의 바닥을 칠 정도의 숫자만 유지되고 있어 이 시기의 공군조종사는 겨우 항공기를 이착륙 시킬 정도의 능력만 가진 신참 조종사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이들은 육군에 대한 지상지원이고 뭐고 다 필요없다는 듯이 어떤 트집이라도 잡아서 빨리 복귀하고자 했다.

그리고 날씨도 한몫을 해줬다. 12월이 겨울인 데다가 벨기에는 유럽에서도 추운 지역에 해당하다 보니 눈이 자주 내려 항공기들이 출격하기 좋은 날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실제로 독일 공군이 아르덴 대공세 기간 중에 출격한 횟수 중에서는 공세 첫날에는 겨우 170회 남짓한 주간 출격에, 17일에 운 좋게 600회 주간 출격을 달성하였다. 또한 연합군 공군의 출격 횟수는 독일 공군과 비슷하게 제대로 근접 지상 지원을 할 수가 없었다. 이들은 겨우 공세 첫 주 동안 450회의 출격만 기록했다. 하지만, 12월 23일에 날씨가 개자마자 연합군 공군은 미친 듯한 출격 횟수를 보여주었는데, 이들의 출격 횟수는 아르덴 전투 내내 약 34,100회를 달성했다. 반면, 독일 공군은 겨우 7,500회 남짓이었다. 그리고 위에 서술했듯이 신참조종사들이 한몫 해주어 날씨가 풀린 12월 23일 이후부터도 항공기의 지상지원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독일 공군은 기상 탓으로 인해 최전방의 정예 부대에게도 항공기 지원은커녕 보급도 제대로 하지 못했고, 이러다 보니 독일군의 기계화 부대들은 곳곳에서 정지하고 난리가 아니었다.[1] 그래서 독일군은 유일하게 항공 보급만이 최전방 부대에게 보급을 전달해 줄 수단이었는데, 끝내 공군의 보급이 없다 보니 공세 기간 중 북부의 공세를 맡은 파이퍼 전투단[2]은 제대로 보급도 받지 못한 채 포위되어 공격받았고, 그 외의 다른 부대들도 연합군의 물량 공세에 버티지 못하고 각개격파당했다. 결국, 독일 공군은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1945년 1월 1일에 공습 부대에서도 최정예 KG 51(51폭격항공단)와 JG 3(3전투항공단)을 투입하게 됐다.

3. 경과

1945년 1월 1일 09시 30분, 독일 공군은 오랫동안 연기되어 왔던 연합군 비행장에 대한 대규모 공습 작전, 암호명 "보덴플라테(Bodenplatte, 쟁반) 작전을 개시했다. 이 작전에는 아돌프 히틀러의 비밀 병기 중 하나인 Me 262 2a 제트 전폭기를 장비한 제51폭격항공단(KG51:Kampfgeschwader)[3]도 투입되었다. 총 21기의 Me 262 전폭기가 네덜란드에인트호번[4]과 헤이스(Heesch)의 영국 공군 비행장 공격에 참가했다.

그중 에인트호번 공격은 제3전투비행단(JG3:Jagdgeschwader) 소속 Bf109Fw190의 합동으로 이루어졌다. 에인트호번 공격은 헤이스에 대한 공격보다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에인트호번 비행장에 있던 총 3개 비행대의 타이푼(Typhoon)스핏파이어(Spitfire) 50여 대를 파괴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제6전투비행단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 헤이스 공격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오히려 1대의 Me 262대공포에 격추당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독일 공군은 여기서 1,035대 이상의 항공기를 투입하였고,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연합군 공군 기지를 기습해 지상에서 144대의 미국ㆍ영국 항공기를 격파, 62대에 손상을 입혔으며 70대를 공중전으로 격추시켰다.

그러나 연합국 항공기 200여대를 파괴할 동안 독일 공군은 총 304대를 상실했으며, 또한 214명의 독일 조종사가 전사ㆍ포로가 됐고, 그 가운데는 3명의 비행단 사령관, 6명의 비행대 지휘관 전원, 11명의 비행중대장 등 다수의 편대장급 베테랑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게다가 연합군의 항공기는 대부분 출격 전 지상파괴에, 아래 서술된 Y-29 비행장 사례처럼 기체의 견고함으로 파일럿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었지만, 독일 공군은 그나마 남은 베테랑에, 그나마 비행훈련 과정을 겨우마친 신병들을 긁어모아 공세를 펼쳤지만 다수의 기체와 파일럿을 공중전에서 잃어버려 물적 손실 뿐만 아니라 인적 손실도 막대했다.[5]

4. 영향

발악 중에서도 최후의 발악에 불과한 작전이었다. 영국 공군은 애초에 1941년부터 독일 본토 항공전을 개시해 후방의 공장이고 뭐고 다 박살내고, 미 공군이 일선에서 지상군과 공군을 깨부수고 남은 게 없던 독일 공군은 육군에 병사를 보내는 상황[6]이었는데, 영국 공군 비행장을 공습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었다.

결국, 아돌프 갈란트의 말마따나 작전 이후 독일 공군의 묘비명이 되어 버렸다. 없는 항공기들을 모조리 끌어다가 썼는데, 이제 그마저도 거의 다 없어져 버렸으니[7] 한마디로 타격을 받는 와중에도 공세했다가 피해만 더 입은 희대의 오판이다.

5. 매체에서의 등장

히스토리 채널실전최강 전투기 대전에서 보덴플라테 작전 당일 Y-29와 Y-32 및 Maastricht 일대 비행장들의 상황을 묘사했다. 이날 Y-29에 블루노즈와 함께 주둔중 지상지원을 위해 머스탱들보다 먼저 폭장하고 출격했다 둥지인 Y-29 기습을 위해 이동 중이던 독일공군 전투기 대편대를 마주친 비행대대 소속 P-47 8기와[8] 352비행전대의 블루노즈 머스탱들이 분전하며 해당 방면의 독일군은 공세에 실패했다. 특히 폭격기 호위와 더불어 "오늘 독일기들이 여길 칠것이다." 라는 블루노즈 소속 비행대대 지휘관이던 존 마이어의 촉으로 인해 일찍 출격요청을 하였으나 거부당해, 활주로에서 공회전하며 대기하던 블루노즈 소속 연합군 4위의 격추기록 보유자인 존 마이어가 9:20분에 전방 약간 좌측에서 비행장 인접 부대의 대공포가 격렬하게 쏴대는 것을 보고 자신들이 적기의 습격을 받고있음을 직감, 본능적으로 부대 전체를 무허가 출격시킨 걸로도 모자라 활주로에서 뜬지 몇초 되지도 않아서 포케볼프 하나를 스팟해 랜딩기어를 넣음과 동시에 바로 선회해 격추시키며 본전을 시작했다. 이때 격추된 독일기가 활주로 바로 옆에 떨어져서 마이어 바로 뒤의 후속 머스탱들이 활주 도중 충돌할 뻔했다.


[1] 당시, 벨기에는 러시아처럼 땅이 얼어붙었다가 해동되면 상태가 영 좋지 않게 되어 보급 차량이 이동하기 매우 곤란한 상황이 되어 버리곤 했다.[2] Kampfgruppe Peiper. 무장친위대요아힘 파이퍼 대령이 창설한 부대이다.[3] 제51폭격항공단: 1944-1945년 당시 Me 262를 운용하던 주요 부대였는데,1944년 말의 Me 262 출격 횟수의 대부분을 기록했다. 51폭격항공단은 1939년에 창설됐고, 1945년 4월 24일에 해체되었다.[4] Eindhoven, 마켓 가든 작전 당시 제101공수사단이 투입됐던 그곳.[5] 139대를 격추한 독일 공군의 에이스 호르스트-귄터 폰 파송과 56기를 격추한 하인츠 하클러도 보텐플라테 작전에서 전사했다.[6] 육군도 병력이 없어 아르덴 공세 직전에 독일 전역에서 어른, 아이를 긁어모았고, 노르웨이의 해군과 곳곳에 남아 있던 공군 잉여 병사들을 끌어와 부대 편성을 마친 상태였는데도 부대 정원이 미달인 부대가 주구장창이었다.[7] 아르덴 공세 직전에 육군 부대 정원을 채운다고 놀고 있는 공군 병사들을 끌어와 사단 정원을 채우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에리히 브란덴베르거(Erich Brandenberger)의 7군 소속의 제5낙하산병사단이었다.[8] 출연한 참전용사 왈 "그날 날아다니는 독일기를 처음 봤다."라고. 또한 P-47중 한기는 피격당해 우측 주익 연료탱크에 불붙은 채 튀어서 살아남는 행운도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