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개국공신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좌명개국공신 (1등) | ||||||||
김사형 | 남은 | 남재 | 배극렴 | |||||
| 이제 | 이지란 | 이화 | |||||
장사길 | 정도전 | 정총 | 정탁 | |||||
정희계 | | 조인옥 | 조준 | |||||
김인찬 | | 이방원 | 이방의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협찬개국공신 (2등) | |||
정지 | 유창 | 윤호 | 이민도 | |||||
황희석 | 정용수 | 조기 | 조반 | |||||
조영규 | 조온 | 홍길민 | 조견 | |||||
| | |||||||
익대개국공신 (3등) | ||||||||
고여 | 김균 | 김로 | | |||||
| 안경공 | 오사충 | 유원정 | |||||
| 이백유 | 이부 | 이서 | |||||
이직 | | 함부림 | | |||||
민여익 | 임언충 | | 조영무 | |||||
한상경 | 한충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 조선 개국1등공신 가문 宜寧 南氏 의령 남씨 | }}} | |
<colbgcolor=#000> 관향 | 경상남도 의령군 | |||
시조 | 남민(南敏)[1] | |||
중시조 | 남군보(南君甫)[2] | |||
파조 | 충경공계(忠景公系) 충간공파(忠簡公派)[3] 남윤(南倫)[4] / 감사공파(監司公派) 남칭(南偁)[5] / 부정공파(副正公派)[6] 남구(南俅)[7] / 간성공파(杆城公派)[8] 남휴(南休)[9] / 별좌공파(別坐公派) 남의(南儀)[10] / 참판공파(參判公派) | |||
충경공계(忠景公系)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11] 남준(南俊)[12] / 감찰공파(監察公派)[13] 남척(南倜)[14] / 목사공파(牧使公派) 남건(南健)[15] / 호군공파(護軍公派) 남급(南伋)[16] / 군수공파(郡守公派) | ||||
충경공계(忠景公系) 의산위공파(宜山尉公派)[17] 남빈(南份)[18] / 부사공파(府使公派) 남붕(南倗)[19] / 소간공이자붕파(昭簡公二子倗派) | ||||
강무공계열(剛武公系列)[20] 남경우(南景祐)[21] / 안호공파(安胡公派) 남경복(南景福)[22] / 판사공파(判事公派) 남경지(南景祉)[23] / 부정공파(副正公派) | ||||
남실(南實)[24] / 보문각제학공파(寶文閣提學公派) | ||||
사천백계열(沙川伯系列)[25] 남근(南瑾)[26] / 정랑공파(正郎公派) 남이(南珥)[27] / 목사공파(牧使公派) 남규(南珪)[28] / 사간공파(司諫公派) | ||||
남을경(南乙敬)[29] / 좌찬성공파(左贊成公派) | ||||
남천명(南天命)[30] / 시중공파(侍中公派) | ||||
양정공계열(良靖公系列)[31] 남상명(南尙明)[32]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남상치(南尙治)[33] / 쌍청헌공파(雙淸軒公派) | ||||
집성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동[34] 경기도 가평군·부천시·성남시·양주시·용인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충청북도 청주시·영동군·음성군·진천군 충청남도 논산시·아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정읍시 전라남도 고흥군·담양군·순천시·신안군·여수시 경상북도 구미시·상주시·안동시·영양군·울진군·청도군 경상남도 밀양시·의령군·진주시·창녕군·창원시·하동군 | |||
황해도 연백군 평안남도 대동군 함경북도 경흥군·부령군·종성군 | ||||
인구 | 162,729명(2015년) 130,179명(1985년) | |||
링크 | 남씨대종회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의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자, 경남여객 등의 사업체를 운영하며 수원시, 용인시 일대에 막대한 영향력을 누리고 있는 토호다.2. 역사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남씨의 시조는 당나라 현종 때 이부상서를 지낸 김충(金忠)이다. 당 조정은 755년(천보 14년) 안녹산의 난이 일어나자 낙양과 수도인 장안을 내주고 김충은 황제를 따라 옛날 촉한의 수도였던 성도로 파천하였다. 이후 김충은 왕명을 받아 군사원병을 청하러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풍랑을 만나 신라 영해부에 정착하였는데 본국의 정세가 어지러워 신라 국왕에게 귀화를 요청하였다. 이에 경덕왕이 이러한 사실을 현종에게 알리자 “십생구사지신(十生九死之臣)을 신례(臣禮)로 부를 수 없으니 소원(所願)대로 하라”는 조서를 내렸다. 그 후 경덕왕은 그의 출생지가 당나라 여남(汝南)이라하여, 남씨(南氏) 성을 내리고 이름을 민(敏)으로 고쳐 부르게 하였으며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내렸다. 이로써 영양남씨(南氏)의 시조가 되었다.[35]다만, 의령 남씨의 시조에 대한 배경은 당대의 소중화 및 숭화 사상의 영향으로 각색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36] 안록산의 난은 물론, 그 뒤이어 발발한 사사명의 난 당시에도 당나라는 일본에 사절단을 보내 지원군을 요청한 바 없고[37], 일본 측 사료에서도 당나라의 지원 요청을 접수했다는 기록이 전해지지 않는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남씨는 김충(남민)이 아닌, 당나라에서 관직을 역임한 고구려 유민 출신의 남단덕(南単徳)[38]이다. 즉, 전술한 근거들로 보았을 때 남씨의 시조 배경은 각색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그 유래가 중원이 아닌 고구려에 있었음이 되려 개연성이 있어 더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39][40]
이처럼 족보상으로는 남민(南敏)이 시조가 되겠지만, 전술했다시피한 이유들[41] 때문에 실질적인 시조는 고려 무신정권 때 대장군을 지낸 남진용(南鎭勇)에 더 가깝다. 남민의 7세손이 남진용이라 히지만 시조의 유래가 맞다는 것을 전제로 8세기 중후반의 남민으로부터 13세기 중후반의 남진용까지는 약 500년 가까이 되기 때문에 약 20대 이상으로 추정되고 해당 인물들을 알 수 없다.[42]
여하튼 원종-충렬왕대의 대장군 남진용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이중 차남 남군보(南君甫)는 원간섭기인 고려 충렬왕 때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를 지냈으며, 이후 의령 남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하며, 그 밖에 장남 남홍보(南洪甫)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지냈으며, 영양 남씨의 중시조가 되었고, 3남 남광보(南匡甫)는 고성 남씨(固城南氏)의 시조가 되었다고한다.
남군보의 후손은 영양남씨의 밀직공파로 남기도 하였다. 이에 영양남씨이기는 하지만 남군보의 5대손인 남휘주(南暉珠)는 1356년 친원파 기철, 권겸, 노책 등의 역모를 진압한 공으로 중랑장에 발탁되어 전리판서에 이르렀다.
의령남씨는 1세인 남군보가 추밀원부사[43]를 지낸 이래로 풍저창사[44]를 지낸 2세 남익지와 지영광군사[45]를 지낸 3세 남천로 이후 4세 남을번, 남을진 형제가 각각 밀직부사[46]와 참찬문하부사[47]를 지내면서 고려말에 두 형제가 모두 재추의 반열에 올랐다. 특히 남을번의 경우 이성계와 교분이 깊어 그의 네 아들이 모두 조선개국에 큰 공을 세우게 되는데 장남 남재와 차남 남은이 조선 태조를 도와 조선 개국에 큰 공을 세워 개국공신에 녹훈되면서부터 그의 후손들은 조선조 시작과 더불어 중앙 정계의 중추에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조선시대 정승 6명[48], 대제학 6명[49][50], 판서 24명[51]을 배출했다. 그리고 종묘배향공신 4명[52]을 배출하였다. 사실상 개국공신[53] 가문들 중 조선후기까지 가장 오래 버틴 가문이라고 보면 되겠다.# 남이 장군, 남이흥 장군과 생육신 남효온,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 등도 의령 남씨이다.
의령 남씨는 당파적으로 크게 노론/소론/소북(小北)[54]으로 나뉘었다.
먼저, 노론의 감찰공파 [55] 는 개국1등공신 남재의 손자로 세종 때 예문관의 직제학과 사간원의 차관인 지사간원사를 지내고 대사헌에 추증된 7세손 남간의 장자인 8세손 남준 [56] 으로부터 시작된다. 파조 남준의 손자인 10세 남효의가 생육신인 남효온의 사촌동생이라는 이유로 한때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하다가 중종 때 대사헌·한성부판윤·형조판서를 지내면서 이후 감찰공파는 중앙 정계에서 계속 활동을 하게되는데 이를 통해 파조 남준의 고조인 4세 남을번부터 증조 5세 남재, 부친 7세 남간으로 부터 남준을 거쳐 26세 남기창에 이르기까지 모두 중앙정계에 진출해 있었으며 8세 남준 [57], 12세 남맹하 [58] 를 제외하고는 4세 남을번부터 26세 남기창까지는 모두 3품이상의 관직에 있으면서 조선조 명문가의 반열에 있었다. 특히 이 기간에 대제학을 4명이나 배출하고 안동 김씨와 혼맥관계를 맺으며 노론 벽파 무리를 조정에서 쫓아내었고 노론 시파의 명문가로서 순조~철종 시기 최고의 경화사족 세도가문의 일원으로 승승장구하였다. 특히 남효의의 5세손인 15세손인 남득붕과 아들 16세손 남용익은 당상의 반열에서 서인세력의 중진으로 있었고 그의 아들인 17세 남정중 역시 대사헌, 대사간, 경상관찰사 (이상 종2품) 등을 역임하며 노론의 중진인사인 김창집⋅김창협⋅조태채 등과 가깝게 교유하였다. 그러나 남정중은 노론에 속하였으나, 숙종 후기에 노론과 소론이 치열한 당파 싸움을 벌일 때에, 그는 가능한 한 중립을 지키려고 노력하였고 이러한 가문적 배경이 남정중의 증손자인 영의정 남공철로 하여금 강경파인 노론 벽파가 아닌 시파를 선택하게 한 것 같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4세 남을번 [59] - 5세 남재 [60] - 6세 남경문 [61] - 7세 남간 [62] - 8세 남준 [63] - 9세 남회 [64] - 10세 남효의 [65] - 11세 남경춘 [66] - 12세 남맹하 [67] - 13세 남복흥 [68] / 남복시 [69] - 14세 남진 [70] / 남선 [71] - 15세 남득붕 [72] - 16세 남용익 [73] - 17세 남정중 [74] - 18세 남한기 [75] - 19세 남유상 [76] / 남유용 [77] - 20세 남공필 [78] / 남공철 [79] - 21세 남인구 [80] / 남지구 [81] - 22세 남주헌 [82] / 남정헌 [83] - 23세 남태순 [84] / 남구순 [85] - 24세 남병선 [86] /남병철 [87] /남병길 [88] - 25세 남일우 [89] - 26세 남기창 [90] 으로 4세부터 26세까지 조선조 내내 중앙정계에 있었던 가문이다.
둘째로, 소론의 간성공파는 개국1등공신인 남재의 장손이자 남간의 형인 좌의정 남지의 후손인데 남구만이 서인의 온건파로써 윤증, 박세채, 나양좌 등과 함께 소론을 창당하였다. 이들도 역시 소론의 명문대가로서 잘 나간 것으로 보이나, 영조 때 이인좌의 난을 거쳐 나주괘서사건의 여파로 소론 자체가 크게 위축되었다. 흥선대원군과 고종 시절 탕평책으로 남정철(후의 친일반민족행위자)의 집안을 크게 키워준 걸 보아, 소론의 명문가로서의 위세가 그때까지 남아있었던 것 같다.
셋째로, 소북(小北)의 부정공파는 역시 문종·단종 때 좌의정을 지낸 남지의 후손인데 소북의 영수인 남이공의 형 남이신의 후손이 크게 번창하였다. 소북은 이후에 근기남인으로 탈바꿈 하였는데 사색당파(북인 중 대북은 인조반정 때 멸문되었다. 따라서 실록에서 북인이라 함은 근기남인으로 전향한 소북을 가르킨다) 중 영남남인과 더불어 소수파에 속했다. 영조~정조기의 당상관 배출 인원 비율은 노론 81%, 소론 14%, 소북(근기남인) 4%, 영남남인 1%이었다. 소북(근기남인)이 비록 4%에 불과했지만 부정공파 가문이 판서를 8명이나 배출하면서 4%에 기여했고, 사실 따지고 보면 순조~철종때의 세도정치 시기에도 소북으로서 당상관을 배출한 명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흥선대원군 시절 탕평책을 천명하면서 구한말의 남씨 인물들이 부정공파에서 많이 중용되었다.
한편 3세 남천로의 차남이자 남을번의 동생인 4세 남을진(南乙珍)은 고려 말 도당 회의에 참석하는 재신이자 중서문하성의 재상 서열 3위에 해당하는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91]를 지내다가 조선이 개국하자 양주의 남선굴(南仙窟)에 들어가 은거한 불사이군(신하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의 충신으로 숙종과 영조 년간에 서원에 배향되었고, 1841년(헌종 7) 남을진의 신도비를 세우면서 풍양조씨의 우의정 조인영이 비문을 짓기도 하였다.
또한, 남군보의 또다른 후손 남효원(南孝元)은 조선 중종 때 충청도 수군절도사를 지냈으며, 의령 남씨의 한 파를 이루었다고 증보문헌비고에서 전한다.
남군보의 후손으로서 조선시대 봉군(封君)된 사람은 다음과 같다.
● 남재 - 태종 때 영의정에 올랐으며,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은 - 태조 때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에 올랐으며, 의성부원군(宜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지 - 세종 때 우의정, 문종/단종 때 좌의정을 지냈으며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졌다.
● 남휘(南暉) - 태종의 4녀 정선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다.
● 남치원(南致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4녀 경순옹주(慶順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다.
● 남섭원(南燮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9녀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천위(宜川尉)에 봉해졌다.
● 남찰(南巀) - 남은의 5대손으로 선조 때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에 올랐으며,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의계군(宜溪君)에 봉해졌다.
● 남이흥(南以興)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올랐으며,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서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다.
● 남이웅(南以雄)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좌의정에 올랐으며, 진무공신으로서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두북(南斗北) - 남재의 9대손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으로서 의풍군(宜豊君)에 봉해졌다.
● 남연년 - 양정공 남좌시의 후손으로 청주영장을 지냈고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다가 전사하였다. 충장공 시호를 받았고 숭선군에 추봉되었다.
별록 고려시절(양정공파 계열)● 남은 - 태조 때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에 올랐으며, 의성부원군(宜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지 - 세종 때 우의정, 문종/단종 때 좌의정을 지냈으며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졌다.
● 남휘(南暉) - 태종의 4녀 정선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다.
● 남치원(南致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4녀 경순옹주(慶順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다.
● 남섭원(南燮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9녀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천위(宜川尉)에 봉해졌다.
● 남찰(南巀) - 남은의 5대손으로 선조 때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에 올랐으며,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의계군(宜溪君)에 봉해졌다.
● 남이흥(南以興)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올랐으며,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서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다.
● 남이웅(南以雄)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좌의정에 올랐으며, 진무공신으로서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두북(南斗北) - 남재의 9대손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으로서 의풍군(宜豊君)에 봉해졌다.
● 남연년 - 양정공 남좌시의 후손으로 청주영장을 지냈고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다가 전사하였다. 충장공 시호를 받았고 숭선군에 추봉되었다.
남효윤: 남군보의 아들로 조의대부 신호위대장군을 지내고 봉익대부 판도판서, 선력좌리공신에 추증되고 의산군에 봉해졌다.
남훈: 남효윤의 아들로 봉익대부 밀직부사 판도판서를 지내고 익조공신 중대광에 증직되고 의춘군에 봉해졌다.
남대번: 남훈의 아들로 첨의부 좌정승[92]을 지내고 시호는 충질공, 장함부원군에 봉해졌다. 시를 잘하였고 금을 다룰 줄 알았다.
남좌시[93]: 남대번의 아들로 정당문학, 진현관 대제학을 지내고 시호는 양정공, 의성군에 봉해졌다. 양정공파 파조.
3. 인구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의하면, 의령 남씨는 162,729명으로 집계되었다.다만, 2018년 12월 28일 조선일보 기사를 참조하면 잘못 기재된 성씨와 본관이 상당히 많다는 걸 알 수 있는데, 2015년 인구조사에서도 조사원 또는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 집계된 본관들이 상당히 많다.
의령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본관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의령(宜寧)의 의(宜)를 선(宣)으로 잘못 판독한 것으로 추정. 寧은 녕, 령, 영 등으로도 읽힘. - 선녕 1,583명, 선령 766명, 선영 2,452명
● 동남 방언의 영향으로 의령을 소리나는 대로 읽은 것을 본관에 집계한 것으로 추정. - 어령 19명, 어룡 6명, 어영 15명, 을녕 75명, 을량 12명, 을령 43명, 을영 106명
● 의령의 령(寧)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 - 의녕 7,955명, 의룡 14명, 의영 1,206명
● 의령의 고려 때 이름 의춘(宜春) - 의춘 56명
● 성씨 남(南)의 한자를 잘못 기재 - 의령 남(男)씨 7명
※ 이들 본관을 의령 남씨에 합산하여 집계하면 총 177,044명이다. 남씨의 본관이 대개 의령, 영양, 고성, 남원 등 4개가 있는 것으로 보는 반면 2015년 통계에는 139개의 본관이 나타났으므로 잘못 집계된 의령 남씨의 숫자는 훨씬 더 많을 수도 있을 것이다.
4. 분파
의령남씨(宜寧南氏)는 크게 충경공파(忠景公派), 강무공파(剛武公派), 보문각제학공파(寶文閣提學公派), 사천백공파(沙川伯公派), 좌찬성공파(左贊成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양정공파(良靖公派)로 나뉜다.◎ 충경공파(忠景公派) - 파조는 좌명개국공신 1등(佐命開國功臣 一等, 1392)이자 태종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남재(南在)
- 충간공파(忠簡公派) - 파조는 세종 때 우의정(右議政), 문종/단종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남지(南智).[94]
감사공파, 부정공파, 간성공파, 별좌공파, 참판공파로 나뉨 -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 파조는 세종 때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를 지내고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된 남간(南簡).[95]
감찰공파, 목사공파, 호군공파, 군수공파로 나뉨 - 의산위공파(宜山尉公派) - 파조는 세종 때 판한성부사(한성부판윤)을 지냈으며, 태종의 부마(사위)인 의산군(宜山君) 남휘(南暉).[96]
부사공파, 소간공이자붕파로 나뉨
- 안호공파(安胡公派) - 파조는 세종 때 병조판서(兵曹判書), 단종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세조 때 판중추원사 겸 병조판서(判中樞院事兼兵曹判書)를 지낸 의성군(宜城君) 남경우(南景祐).[98]
- 판사공파(判事公派) - 파조는 판사(종1품)를 지낸 남경복(南景福).
- 부정공파(副正公派) - 파조는 부정(종3품)을 지낸 남경지(南景祉).
◎ 보문각제학공파(寶文閣提學公派) - 파조는 태종/세종 때 집현전학사(集賢殿學士),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지낸 남실(南實)
◎ 사천백공파(沙川伯公派) - 파조는 공양왕 때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낸 남을진(南乙珍)[99][100]
- 정랑공파(正郎公派) - 파조는 형조정랑(刑曹正郞)을 지낸 남근(南瑾).
- 목사공파(牧使公派) - 파조는 세종 때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지낸 남이(南珥).
- 사간공파(司諫公派) - 파조는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남규(南珪).[101]
◎ 좌찬성공파(左贊成公派) - 파조는 의정부 좌찬성(종1품)을 지낸 남을경(南乙敬)
◎ 시중공파(侍中公派) - 파조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남천명(南天命)
◎ 양정공파(良靖公派) - 파조는 우왕 때 정당문학(政堂文學),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을 지낸 남좌시(南佐時)[102]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 파조는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낸 남상명(南尙明).
- 쌍청헌공파(雙淸軒公派) - 파조는 단종 때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남상치(南尙治).
5. 집성촌
5.1. 경기
5.2. 강원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장평리
5.3. 충청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범화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신천리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원덕리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하도리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검천리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남산리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시전리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용두리
5.4. 전라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삼담리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호덕리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가산리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삼다리
- 전라남도 여수시 오림동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월계리
-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압곡리
-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운월리
-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황학리
-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대기리
- 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송학리
-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신도리
5.5. 경상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문암리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서부리
-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신사리,신구리,금학리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매화면
- 경상북도 청도군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안법리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하리
-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칠곡리
- 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성황리[103]
-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대사리
-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구산리·학포리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104]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금암리[105]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
5.6. 북한
- 황해도 연백군 괘궁면 생금동
- 평안남도 대동군 율리면 추빈동
- 함경북도 경흥군 신안면 명호동
- 함경북도 부령군 관해면 소청동
- 함경북도 종성군 용계면 연산동·봉산동
6. 인물
6.1. 조선시대 인물
- 남재(南在) - 영의정(정1품), 개국공신 1등 - 이색의 제자로 학문을 배웠으며 20세인 1371년(공민왕 20) 진사시[106]에 5등으로 급제하여 좌부대언까지 지냈다. 정몽주, 정도전, 조준 등과 친하게 지냈으며 이후 동생 남은과 함께 이성계(李成桂)의 세력에 가담해 고려 조정의 신진 사류로서 구 세력과 대립했다. 1390년(공양왕 2) 판전교시사 겸 집의(判典校寺事兼執義)가 되었고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했을때 윤소종(尹紹宗)과 함께 비록 행군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나, 사직(社稷)의 대계(大計)를 의논하고 계책을 도왔다. 그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봉해졌다. 조선이 개국되자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고 전지(田地) 170결(結)과 노비 20구를 하사받았다. 1392년 중추원학사로 대사헌을 겸했고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졌다. 1393년(태조 2) 주문사(奏聞使)가 되어 사이가 좋지 않던 조선과 명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해 명나라 주원장으로부터 3년에 한 차례씩 조공할 것을 허락받았다. 1396년 예문관춘추관태학사(藝文館春秋館太學士)로서 도병마사가 되어 도통처치사(都統處置使) 김사형(金士衡)을 따라 이키도(壹岐島)·대마도를 정벌했다. 1398년 정당문학(政堂文學)이 되어 하륜과 함께 정안군이 왕위에 오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태종이 즉위하자 세자의 서연관(書筵官)에 빈객(賓客)이 되었다. 1404년 찬성사(贊成事)에 임명되었고, 1408년 대사헌이 되었다가, 1414년 우의정·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에 제배(除拜)되고,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서 과거를 관장해 권도(權蹈)·성개(成槩) 등을 시취(試取)했다. 또 하륜(河崙)과 함께『고려사』를 개수했다. 그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1415년 좌의정에서 물러나고 수문전대제학 겸 세자부(修文殿大提學兼世子傅)가 되었다. 1416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사면했다. 1419년 12월 14일에 죽으니, 나라에서 조회(朝會)와 저자를 정지하고 부의를 내리고 세종이 직접 조문하였다.
- 남은(南誾) - 삼사좌복야(정2품), 영의정(정1품) 추증, 개국공신 1등 - 20세인 1374년(공민왕 23) 성균시에 급제하였다. 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조정의 신진 사류로서 이성계(李成桂) 일파의 중심 인물이 되어 구 세력과 대립했으며,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가담하였다.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를 따라 종군했으며, 조인옥(趙仁沃) 등과 이성계에게 회군할 것을 진언했고, 회군 뒤 이성계의 왕위 추대 계획에 참여했다. 1392년 정몽주가 살해되자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가 되어 정도전·조준·조인옥 등 52인과 함께 이성계를 왕위에 추대, 조선의 개국에 공을 세웠다. 조선 건국 뒤 판중추원사 의흥친군위 동지절제사(判中樞院事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가 되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 의령군(宜寧君)에 봉해졌으며, 전(田) 200결과 노비 25구를 하사받았다. 1394년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를 거쳐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가 되어 새 도읍지인 한양의 종묘와 궁궐 터 등을 정했다. 1396년 정조사(正朝使)의 표문(表文)이 명나라 태조의 비위를 거슬려 사신 정총(鄭摠)이 살해되고 글의 초안자인 정도전을 명나라에 압송하라는 압력이 가해 왔다. 이에 정도전과 은밀히 의논, 군량을 비축하고 진도(陣圖)를 작성하는 등 요동정벌을 계획하기도 했다. 태조를 도와 이방석(李芳碩)을 세자로 책봉하는 데 적극 간여했다가,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심효생(沈孝生)과 함께 살해당했다. 이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1421년(세종 3)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강무(剛武)이다.
- 남지(南智) - 우의정(정1품), 좌의정(정1품) - 17세 때 음서로 사헌부 감찰(정6품)이 되었고, 세종 즉위 후 영남의 경력(經曆)을 지냈다. 이 때 훗날 영의정이 되는 관찰사 하연(河演)[107]에게 재주를 인정받아 사헌부 지평(정5품)에 임명되고 왕실로부터 의성군(宜城君)에 책봉되었다. 1428년(세종 10)에 사헌부 집의(종3품), 이듬해 동부대언(정3품)이 되었다. 1435년 형조참판(종2품)으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39년 사헌부 대사헌(종2품)·호조참판(종2품)을 거쳐 경상도관찰사(종2품)로 나갔다. 이어 형조판서·호조판서(정2품)를 역임하고, 1446년 소헌왕후 심씨가 승하하자 자청하여 수릉관(守陵官)이 되었다. 1449년 판중추원사(정2품)로 재직 중 우의정(정1품)에 임명되었고, 문종이 즉위하자 사직할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1451년(문종 1) 좌의정(정1품)이 되어 영의정 황보인(皇甫仁)·우의정 김종서(金宗瑞)와 함께 단종을 잘 보필해달라는 문종의 고명(顧命)을 받았으나 1452년 풍질(風疾)로 사직을 청하였다. 1453년(단종 1) 영중추원사(정1품)로서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고, 계유정난 때 사돈인 안평대군(安平大君)과 사위 이우직(李友直) 부자가 죽음을 당하였으나 병으로 화를 면하였다.
- 남간(南簡) - 예문관직제학(정3품), 사헌부 대사헌(종2품) 추증 - 19세인 1419년(세종 1)에 진사가 되고 음서로 등용되어 형조좌랑(정6품)에 올랐다. 1427년 친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사간원 좌정언(정6품)이 되었다. 1430년 호조좌랑(정6품)으로 다시 기용되어 공법(貢法) 제정에 관여, 전품(田品)을 9등으로 구분하여 징세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해 사헌부 지평(정5품)이 되고 1432년 병으로 강화도에 휴양 중 정포만호(井浦萬戶) 도대평(都大平)으로부터 생선을 선물로 받은 것이 문제가 되었으나, 좌대언 김종서(金宗瑞)의 변호로 불문에 붙여졌다. 그 해 바로 사간원 좌헌납(정5품)으로 부름을 받았으며 1433년에는 이조정랑(정5품), 1436년 사헌부 장령(정4품)을 역임하고 예문관직제학(정3품)을 거쳐, 1439년 지사간원사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직무수행의 불능함을 들어 사직을 청하였다. 이에 세종은 남간의 아부할 줄 모르는 절조와 청렴하고 성실한 성품을 가상하게 여겨 오히려 대사헌(종2품)에 임명되었다 전해진다.
- 남휘(南暉) - 판한성부사(정2품), 태종의 4녀인 정선공주의 남편 - 태종의 넷째딸인 정선공주(貞善公主)와 결혼,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다. 1418년(태종 18) 동지총제(同知摠制)를 거쳐 이듬해 한성부판사(정2품)가 되고, 1425년(세종 7) 평양선위사(平壤宣慰使)로 갔다가 1426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었다. 1428년에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고 이천(利川)으로 귀양갔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433년 다시 기용되어 황주선위사(黃州宣慰使)로 나갔다가, 이듬해 사은사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52년(문종 2)에는 불심(佛心)이 지극하여 사사로이 불상(佛像)을 만들었다는 이유로 사헌부(司憲府)의 탄핵을 받았으나, 문종이 받아들이지 않아 처벌받지 않았다.
- 남금(南琴) - 병조판서(정2품)
- 남경우(南景祐) - 병조판서(정2품)
- 남이(南怡) - 병조판서(정2품), 적개공신 1등 - 17세인 1460년(세조 6) 무과에 급제하고, 세조의 총애를 받으면서 선전관(宣傳官)을 역임했으며, 1466년 다시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했다. 1467년 세조의 명을 받아 포천(抱川)·영평(永平) 등지에서 도적을 토벌했고,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키자 대장(大將)이 되어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조석문(曺錫文)·허종(許琮)·강순(康純)·어유소(魚有沼) 등과 토벌에 참가했으며, 군중에서 당상관(정3품)에 초계(超階)되어 행부호군(行副護軍)을 거쳐 행호군이 되었다. 이시애의 난을 토벌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책록되고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다. 이어 서북변(西北邊)의 건주위(建州衛) 여진을 토벌하자 평안도선위사(平安道宣慰使) 윤필상(尹弼商)의 지휘 하에 우상대장(右廂大將)이 되어 주장(主將) 강순, 좌상대장(左廂大將) 어유소와 함께 만포(滿浦)로부터 파저강(波猪江)을 공격해 이만주(李滿住)를 참살했다. 이러한 공로로 이등군공(二等軍功)을 받았으며, 그 뒤 공조판서(정2품)에 임명되었다. 1468년에는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겸했으며, 26세의 나이에 병조판서(정2품)에 발탁됐다. 그러나 그 해 신숙주(申叔舟)·한명회(韓明澮) 등 원상(院相) 세력에 의해 구성군·강순 등 이시애의 난 평정으로 등장한 신 세력이 제거될 때 형조판서 강희맹(姜希孟)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한계희(韓繼禧)에게 남이의 사람됨이 군사를 장악하기에는 마땅치 않다고 말한 것을, 한계희가 예종에게 아룀으로써 병조판서에서 해직되어 겸사복장(종2품)으로 밀려났다. 이때 궁궐 안에서 숙직을 하고 있던 중 혜성(彗星)이 나타나자 “혜성이 나타남은 묵은 것을 없애고 새 것을 나타나게 하려는 징조다.”라고 말했는데, 이를 엿들은 병조참지(兵曹參知) 유자광(柳子光)이 역모를 꾀한다고 모함함으로써 국문 끝에 처형당했다. 그 뒤 1818년(순조 18) 우의정 남공철(南公轍)의 주청으로 강순과 함께 관작이 복구되었다.
- 남효온(南孝溫) - 생육신, 이조판서(정2품) 추증
- 남곤(南袞) - 대제학(정2품), 영의정(정1품) - 사림파인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18세인 1489년(성종 20) 생원시(生員試)·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494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檢閱)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홍문관 부제학(정3품)·좌부승지(정3품)를 지냈다. 개혁적인 성향의 신하였으며 성종 때 윤필상(尹弼商)을 탄핵하였다가 투옥되었고 류순정(柳順汀), 성희안(成希顔)의 비리를 탄핵하였다가 또다시 투옥되기도 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직언을 하다가 서변(西邊)에 유배되었다. 1506년(중종 1) 박경(朴耕) 등이 모반하였다고 고변한 공으로 이조참판(종2품)·사헌부 대사헌(종2품)·중추부지사(정2품)를 지냈다. 이어 호조·병조·이조판서(정2품)를 역임하고, 다시 우참찬(정2품)이 되어 대제학(정2품)을 겸임하였다. 뒤에 찬성(종1품)을 지내고, 1518년 주청사(奏請使)로 명(明)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하고 귀국하였다. 종계변무란 태조 이성계가 고려의 왕 4명을 살해하여 조선의 왕이 되었다고 《대명회전(大明會典)》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내용을 수정하도록 요구하는 일이었다. 이후 예조판서(정2품)가 되었다. 남곤은 당시 으뜸가는 문장가로 사장(詞章)의 중요성을 역설했지만 신진세력으로 분류되는 조광조(趙光祖)는 성리학(性理學)과 수신(修身)을 강조했다. 이때부터 두사람은 이견이 대립되어 갈라서게 되었다. 조광조가 주도하는 젊은 신진세력들은 사간원과 사헌부, 홍문관을 장악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남곤은 소인으로 내몰리게 되었다. 1519년 중종이 기묘사화를 꾸며, 집권자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를 숙청하였다. 이후 좌의정(정1품)이 되었다가, 1523년 영의정(정1품)에 올랐다.
- 남효의(南孝義) - 형조판서(정2품)
- 남이웅(南以雄) - 우의정(정1품), 좌의정(정1품) - 1606년(선조 39)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왕자의 사부(師傅)가 되었고, 세마(洗馬)·위수(衛率)·통례(通禮)를 거쳐 1613년(광해군 5)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좌랑(정6품)·병조좌랑(정6품)·사간원 정언(정6품)·홍문관 수찬(정6품)·홍문관 응교(정4품) 등을 지냈다. 당시의 북인의 권신 이이첨(李爾瞻)이 보자고 청할 때 응하지 않아 미움을 사기도 했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오위장(五衛將)·황해도관향사(黃海道管餉使)·안악군수·의주부윤 등을 역임했다. 이듬해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황주수성대장(黃州守城大將)으로 도원수 장만(張晩)을 도와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 3등에 춘성군(春城君)으로 봉해졌다. 1626년(인조 4) 형조참판(종2품)에 부총관을 겸했다. 그 뒤 호조참판(종2품)·형조판서(정2품) 겸 지의금부도총관을 역임했다. 1636년 병자호란으로 남한산성까지 왕을 호종했고, 그 공으로 좌찬성(종1품)에 올랐다. 이듬해 소현세자가 볼모로 심양에 잡혀갈 때 세자를 극진히 호위했으며, 돌아온 뒤 춘성부원군에 봉해졌다. 1646년(인조 24) 우의정(정1품)이 되어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의 사사(賜死)에 반대하고 사직했다가, 1648년 좌의정(정1품)이 되었다.
- 남이공(南以恭) - 이조판서(정2품), 소북의 영수, 청소북의 영수 - 25세인 1590년(선조 23) 증광 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1593년 세자시강원사서(世子侍講院司書)가 되고, 이듬해 평안도 암행어사를 거쳐 사간원 정언(정6품)·사헌부 지평(정5품)·홍문관 교리(정5품) 등을 역임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체찰사(體察使) 이원익의 종사관이 되었으며, 이어서 이조정랑(정5품)을 거쳤다. 1598년 이발(李潑)·정인홍(鄭仁弘) 등과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 당쟁에 가담,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 왜와 화의를 주장했다 하여 탄핵, 파직시켰다. 뒤에 집권에 성공한 북인은 대북(大北)·소북(小北)으로 분열되었다. 이때 유영경과 함께 소북을 영도했으나 다시 남당(南黨: 청소북)과 유당(柳黨: 탁소북)으로 나뉘었다. 선조 말년 소북과 대북 사이에 왕위계승 문제로 치열한 싸움 끝에 대북이 지지하던 광해군이 즉위함에 따라 류영경(柳永慶)과 함께 파직당했다가 다시 기용되었다. 1609년(광해군 1) 형조참의(정3품)·사간원 대사간(정3품)·예조참의(정3품)·이조참의(정3품)를 거쳐 이듬해 홍문관 부제학(정3품), 1613년 도승지(정3품)·예조참판(종2품)·호조참판(종2품)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병조참판(종2품)이 되었다. 1615년 이원익(李元翼)과 더불어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파직되어 평산(平山)·해주(海州)·송화(松禾) 등지에서 유배 생활을 하다가 1621년 풀려나와 전감군접반사(田監軍接伴使)에 이어 체찰사 이경전(李慶全)의 부사(副使)가 되었으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다시 파직당했다. 1624년 관향사(管餉使)로 기용되었으며, 이어서 사헌부 대사헌(종2품)·함경도관찰사(종2품)를 거쳐 1627년 가도(椵島)에 주둔한 명나라장수 모문룡(毛文龍)의 접반사가 되었다. 이 때 용전(用錢)의 편리함을 깨닫고 주전(鑄錢)을 건의하였다. 1637년 절친한 사이인 좌의정 최명길(崔鳴吉)의 천거로 이조판서(정2품)에 올랐고, 이듬해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겸했다. 1639년 다시 대사헌(종2품)을 거쳐 공조판서(정2품)가 되었으나, 앞서 청나라에 인질로 보낸 왕제(王弟)와 대신을 다른 사람으로 바꾸어 보낸 사건으로 파직되었다가 1640년 죽음과 함께 복직되었다.
- 남이흥(南以興) - 평안도 병마절도사(종2품), 영의정(정1품) 추증, 진무공신 1등 - 자는 사호(士豪), 호는 성은(城隱).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남응룡(南應龍)이고, 아버지는 목사 남유(南瑜), 어머니는 형조판서 유훈(柳壎)의 딸이다. 26세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 · 부총관(副摠管) · 포도대장, 충청도 · 경상도의 병마절도사, 구성부사(龜城府使) · 안주목사(安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광해군의 총애를 받던 와중, 1623년 인조반정으로 탄핵받았으나 장만(張晩)의 변호로 무사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도원수 장만의 휘하에서 관군을 이끌고 난을 평정, 인조의 특명으로 연안부사(延安府使)가 되고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에 책록되었으며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다. 이어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영변부사(寧邊府使)를 겸임하였다.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후금의 정예군 3만여 명이 불과 6일만에 의주성과 능한산성(凌漢山城)을 차례로 함락한 뒤 평서지방 최대의 병력집결지이자 평안병사의 본영이 있는 안주성(安州城)에 이르렀다. 이에 안주성에서 결사항전으로 싸웠으나 앞서 이괄의 난 이후로 변방지역에 대한 기찰 강화, 군사 훈련 제한으로 인해 중과부적(衆寡不敵: 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으로 패배가 짙어졌다. 이에 그는 “조정에서 나로 하여금 마음대로 군사를 훈련하고 기를 수 없게 하였는데 강한 적을 대적하게 되었으니, 죽는 것은 내 직분이나 다만 그것이 한이로다.” 라며 적을 유인한 뒤 화약고에 불을 지르고 뛰어들어 자결하였다. 당시 구성부사(龜城府使) 전상의가 “병기나 화약을 불지르면 적의 세력만 증강하는 일이요, 우리에게 유익할 바가 하나도 없다”며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안병사(平安兵使) 남이흥과 안주목사(安州牧使) 김준이 화약고에 불을 질러 장렬하게 순절한 것은 칼과 활이 없어 자결하지 못한 이유에서가 아니며, 화약고가 후금군에게 넘어가는 것마저도 막으려는 현실적인 판단에서 나온 것이다. 이후 영의정에 추증, 의춘부원군(宜春府院君)에 추봉되고 안주의 충민사(忠愍祠)에 배향되었다. 충민사는 훗날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도 살아남았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 남선(南銑) - 이조판서(정2품)
- 남구만(南九萬) - 대제학(정2품), 영의정(정1품), 서인(西人), 소론의 영수 - 송준길(宋浚吉)의 문하에서 수학, 22세인 1651년(효종 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6년(효종 7)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가주서·전적·사서·문학을 거쳐 이듬해 사간원 정언(정6품)이 되었다. 1659년(효종 10) 홍문록에 오르고 곧 홍문관 교리(정5품)에 임명되었다. 1660년(현종 1) 이조정랑(정5품)에 제수됐고, 이어 홍문관 응교(정4품)·의정부 사인(정4품)·사헌부 집의(종3품)·승지(정3품)·사간원 대사간(정3품)·이조참의(정3품)·성균관 대사성(정3품)을 거쳐, 1668년(현종 9) 안변부사(종3품)·전라도관찰사(종2품)를 역임했다. 1662년 영남에 어사로 나가 진휼 사업을 벌였다. 1674년(현종 15) 함경도관찰사(종2품)로서 유학(儒學)을 진흥시키고 변경 수비를 튼튼히 했다. 숙종 초 형조판서(정2품)를 거쳐 1679년(숙종 5) 한성부 좌윤(종2품)이 되었으며, 같은 해 서인으로서 윤휴(尹鑴)·허견(許堅) 등의 방자함을 탄핵하다가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복귀하여 도승지(정3품)·홍문관 부제학(정3품)·사간원 대사간(정3품) 등을 역임했으며, 1680년(숙종 6)과 1683년(숙종 9) 두 차례 대제학(정2품)에 올랐다. 이 시기에 병조판서(정2품)가 되어 폐한 사군(四郡)의 재설치를 주장해 무창(茂昌)·자성(慈城) 2군을 설치했으며, 군정(軍政)의 어지러움을 많이 개선했다. 1684년(숙종 10) 우의정(정1품), 이듬해 좌의정(정1품), 1687년(숙종 13) 영의정(정1품)에 올랐다. 이즈음 송시열(宋時烈)의 훈척비호를 공격하는 소장파를 주도해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강릉에 유배되었으나 이듬해 풀려났다. 1694년(숙종 20)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다시 영의정(정1품)에 기용되고, 1696년(숙종 22) 영중추부사(정1품)가 되었다. 1701년(숙종 27) 희빈장씨(禧嬪張氏)의 처벌에 대해 중형을 주장하는 김춘택(金春澤)·한중혁(韓重爀) 등 노론의 주장에 맞서 경형(輕刑)을 주장하다가 숙종이 희빈 장씨의 사사를 결정하자 사직, 낙향했다. 그 뒤 부처(付處)·파직 등 파란을 겪다가 다시 서용되었으나, 1707년(숙종 33) 관직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가 기로소에 들어갔다.
- 남용익(南龍翼) - 이조판서(정2품), 좌참찬(정2품), 대제학(정2품) - 18세인 인조 24년(1646)에 진사가 되었고, 2년 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효종 초에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여러 벼슬을 지냈고, 효종 6년(1655) 통신사의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와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1656년 문과중시에 장원급제를 하여 예문관제학(종2품)·좌참찬(정2품)을 거쳐 숙종 9년(1683)에 예조판서(정2품)가 되고, 1687년 대제학(정2품)에 이어 이조판서(정2품)가 되었다. 그러나 1689년 희빈장씨(禧嬪張氏)가 왕자를 낳아 숙종이 그를 원자로 삼으려 하자, 여기에 극언으로 반대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명천에 유배되어 숙종 18년(1692)에 배소에서 죽었다. 효종 · 현종 · 숙종 3대에 걸쳐 40여 년 동안 조정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며 한 번도 실수가 없었다고 전한다. 문장에 특히 능하였으며, 글씨에도 뛰어나 문명을 날렸으나 늘 근신하고 근면하였다.
- 남유용(南有容) - 형조판서(정2품), 대제학(정2품) - 23세인 1721년(경종 1) 진사(進士)가 되어 강릉참봉(康陵參奉)·종묘서부봉사·세자익위사시직(世子翊衛司侍直)·군자감주부·형조좌랑·영춘현감(永春縣監)을 지내고, 1740년(영조 16)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사간원 정언(정6품)으로 있을 때 영조에게 간관(諫官)은 필요하다면 시비를 끝없이 따져야 한다는 상소를 올려 해남으로 찬배되었다. 1743년 홍문관에 등용된 후 부수찬(종6품)·부교리(종5품)·교리(정5품)·응교(정4품) 등과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문학·필선·보덕 등의 직을 거쳤으며 1747년(영조 23) 홍문관 응교(정4품)로 있을 때 군덕10조(君德十條)를 진언하여 군주의 성실을 강조하였다. 1748년에 통정(通政)으로 승진하고 승지(정3품)·판결사(정3품)·형조참의(정3품)를 거쳐 승문원제조·성균관 대사성(정3품)·예조참판(종2품)·예문관제학(종2품)·홍문관제학(종2품) 등을 역임하였다. 1754년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이 되어 세손이었던 정조를 무릎에 앉혀놓고 글을 가르쳤으며, 이듬해《천의리편(闡義理編)》의 찬집당상(纂輯堂上)을 겸직하였다. 예문관제학·비변사제조·세자좌부빈객(世子左副賓客)·병조참판(종2품)·사헌부 대사헌(종2품)을 거쳐 1757년 원손사부(元孫師傅)가 되었다. 이어 호조참판(종2품)·대제학(정2품)·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를 역임하고 1765년에 형조판서(정2품)가 되었으며 이듬해 정헌(正憲)으로 승진한 뒤 사직소를 올려 1767년에 봉조하(奉朝賀)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 남이성(南二星) - 예조판서(정2품)
- 남태제(南泰齊) - 이조판서(정2품)
- 남태회(南泰會) - 병조판서(정2품)
- 남태기(南泰耆) - 예조판서(정2품)
- 남공철(南公轍) - 대제학(정2품), 영의정(정1품), 노론(老論) 시파 - 1792년 식년시에 장원급제를 하고,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선발되었으며, 김조순(金祖淳) · 심상규(沈象奎)와 함께 패사소품체(稗史小品體)를 일신하여 문체를 정통 고문(古文)으로 돌리려 한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동참하였다. 순조가 즉위한 후 아홉번이나 이조판서에 임명되었고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하였으며《정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817년에 병조판서가 되고, 이조판서 · 홍문관 대제학 · 예문관 대제학을 거쳐 7월에 우의정, 1821년에는 좌의정이 되었다. 1823년에 영의정이 되고, 10년을 재임 후 1833년에 퇴임하였다.
- 남이익(南履翼) - 병조판서(정2품)
- 남헌교(南獻敎) - 사헌부 대사헌(종2품), 병조판서(정2품)
- 남병철(南秉哲, 1817~1863)[108] - 이조판서(정2품), 대제학(정2품), 판의금부사(종1품) -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종손. 남구순(南久淳)의 장남이며,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김조순(金祖淳)의 2녀(장녀는 순조의 비인 순원왕후 김씨이다)가 그의 어머니이다. 이후 남병철은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김조근(金祖根)의 장녀(2녀는 헌종의 비인 효현왕후 김씨이다)와 혼인하였다. 사촌이자 매제(매부)인 김병기(金炳冀)와 함께 철종의 국구(國舅)인 김문근(金汶根)의 조카로서 문근의 총애를 받았으며,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다. 20세인 1837년(헌종 3)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고, 안동김씨 세도 때 중용되어 1845년 동부승지를 거쳐 좌부승지가 되었으며, 이어서 대사성 · 예조 참의 · 부제학이 되었다. 1851년(철종 2) 다시 승지가 되었고, 1856년 예조 판서 · 공조 판서를 시작으로, 이후에는 이조 판서 · 대제학 등의 요직을 지냈다. 특히 수학과 천문학에 뛰어나 관상감제조(觀象監提造)를 겸하면서 수륜(水輪) · 지구의(地球儀) · 사시의(四時儀)를 제작하였다. 1857년 의정부 우참찬 · 형조 판서 · 좌참찬을 지냈으며, 1858년 병조 판서 · 판의금부사 · 규장각 제학 · 이조 판서를 지냈다. 이듬해에는 대제학 · 한성부판윤 · 수원부유수(水原府留守)를 지냈고, 1860년 형조 판서 · 예조 판서를 지내는 등 철종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말년에는 철종의 지원을 바탕으로 안동김씨의 세도 정치에 분격하여 그 일파를 눌러보려고 하였고, 도리어 그들에게 억압당하여 서화(書畵)로 소일하며 지냈지만 세도정권의 핵심인물인 탓으로 죽을때까지 판서(判書)의 관직은 유지하였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 남병길(南秉吉, 1820~1869) - 이조판서(정2품), 좌참찬(정2품), 판의금부사(종1품) - 이조판서 겸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남병철(南秉哲)의 아우로, 남구순(南久淳)[109]의 차남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인 김조순(金祖淳)의 2녀이다. 1850년(철종 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수찬(修撰)·병조참의·황해도관찰사·이조참판(吏曹參判)·형조판서·한성부판윤을 지내고, 1862년(철종 13) 좌참찬(左參贊)에 이르렀다. 1865년(고종 2) 다시 한성부판윤에 제수되었고, 1866년 예조판서가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판의금부사를 지냈다. 1869년(고종 6) 이조판서·한성부판윤을 지내던 중 숨을 거두었다. 수학과 천문학의 천재라고 불리었으며, 특히 천문은 당시의 제1인자라고 알려졌다. 저서로는 시헌기요(時憲紀要), 성경(星鏡), 양도의도설(量度儀圖說), 추보첩례(推步捷例), 칠정보법(七政步法), 태양출입표(太陽出入表), 산학정의(算學正義), 선택기요(選擇紀要), 중성신표(中星新表), 춘추일식고(春秋日食攷) 등이 있다.
- 남성원(南性元) - 이조판서(정2품)
- 남정철(南廷哲, 1840~1916) - 성균관 대사성(정3품), 승정원 도승지(정3품), 평안도관찰사(종2품), 사헌부 대사헌(종2품), 형조판서(정2품), 한성부판윤(정2품), 예조판서(정2품)
- 남정순(南廷順, 1819~?) - 사간원 대사간(정3품), 규장각 직제학(정3품), 호조참판(종2품), 이조참판(종2품), 평안도관찰사(종2품), 한성부판윤(정2품), 공조판서(정2품), 형조판서(정2품), 이조판서(정2품)
- 남정익(南廷益) - 이조참의(정3품), 이조참판(종2품), 황해도관찰사(종2품), 공조판서(정2품), 한성부판윤(정2품), 이조판서(정2품)
- 남일우(南一祐, 1837~?) - 성균관 대사성(정3품), 이조참의(정3품), 홍문관 부제학(정3품), 충청도관찰사(종2품), 사헌부 대사헌(종2품), 이조참판(종2품), 경상도관찰사(종2품), 공조판서(정2품)
- 남규희(南奎熙, 1859~1937) - 사헌부 집의(종3품), 형조참의(정3품), 동부승지(정3품), 우부승지(정3품), 병조참의(정3품), 좌부승지(정3품), 공조판서(정2품)
6.2. 조선 왕실의 인척
- 성종 후궁 귀인 남씨
- 안평대군(세종의 삼남) 사돈 남지
- 임영대군(세종의 사남) 부인 군부인 의령 남씨(좌의정 남지의 딸)
- 금원군(중종의 서자) 사위 남관
- 정선공주(태종의 사녀) 부마 남휘
- 휘정옹주(성종의 서녀) 부마 남섭원
- 경순옹주(성종의 서녀) 부마 남치원
- 진남군(정종의 서자) 부인 의령 남씨(상호군 남심의 딸)
- 오천군(중종의 3손)중종의 2자의 3남) 군부인 의령남씨
6.3. 근·현대 인물
신분과 직위를 넘어서 나열하며, 특정 인물의 강조 표기를 금지한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는 사람은 기재를 금지한다.
6.3.1. 22세 (종(鍾), 정(廷) 항렬)
6.3.2. 23세 (연(淵), 희(熙) 항렬)
6.3.3. 24세 (상(相) 항렬)
- 남상덕 - 독립운동가
- 남상도 - 독립운동가
- 남상돈 - 국회의원
- 남상수 - 프로게이머
- 남상수 - 국내 란제리 브랜드 남영비비안 창업주
- 남상태 - 기업인
- 남상미 - 배우
- 남태령 - 개그맨
- 남상훈 - 국가유공자, 기업인
6.3.4. 25세 (우(祐) 항렬)
- 남형우 -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부장[111]
- 남진우 - 코미디언
- 남석우 - 란제리 기업 비비안의 2대 회장. 2020년 사퇴
- 남상우 - 구청장
- 남덕우 - 대한민국 국무총리[112]
- 남동우(1950)
- 남보라 - 배우
- 남영우 - 한국투자저축은행사장
- 남일우 - 원로 탤런트, 탤런트 남성진의 부친
- 남칠우 - 더불어민주당 대구광역시당위원장
- 남평우 - 한나라당 14•15대 국회의원, 남경필의 부친
- 윤다훈 - 배우, 본명 남광우
- 남현우 - 배우
- 남선우 - 경제학박사(파리10대학), 공정거래위원회 공보관, 직접판매공제조합 이사장
6.3.5. 26세 (기(基) 항렬)
- 남경필 - 경기도지사
- 남성진 - 배우
- 남희석 - 코미디언
- 남기춘 - 검사장[113]
- 남현준 - 안무가
- 남기웅 - 프로게이머
- 남기인 - 유튜버[풍수지리 수맥전문]
- 남기명 - 법제처장
- 남경표 - 성우
- 남유정 - 가수
- 남호연 - 코미디언. 본명 남기영
- 남기청 - 前 경남 지방의원
- 남기남 -現SSG랜더스 파트너
6.3.6. 27세 (현(鉉) 항렬)
- 남동현 - 전 프로게이머, 리그오브레전드 선수
- 남동현(가수) - 99년 생 가수, 아이돌 남태현의 친동생
- 남우현 - 아이돌
- 남재현 - 내과 의사, 연세대 외래교수 및 프렌닥터내과의원 원장, 2014년 SBS 예능 자기야 - 백년손님 고정출연
- 남재현(변호사) - 연세대 출신 로펌 율촌 변호사
- 남승현 - 탄소산업진흥원 연구원
- 남지현 - 아역 출신 여배우
- 남태현 - 아이돌, WINNER의 전 멤버
- 남석호 - 물리학 박사. 핵융합 연구원
- 남광현 - 4급 서기관
6.3.7. 28세 (택(擇), 윤(潤) 항렬)
- 남택화 - 경찰, 전 치안감
- 남택서 - 육군 소장, 전 국군의무사령관
- 남윤성(야구) - 야구인, SSG 랜더스 스카우터
- 남윤성(NOIR) - 아이돌
- 남윤성(기자) - 데일리 e스포츠 기자
- 남윤수 - 모델 겸 배우
- 남윤재 - 프로축구선수
- 남윤재(2001) - 프로축구선수, 국가대표(U-20)
- 남윤호(큐비스트) - 루빅스 클락 세계기록 보유자
- 남윤호(컬링) - 컬링 선수 출신 지도
- 에릭 남 - 가수, 본명 남윤도
- 남택민 - 공공기관 근무
- 남윤서 - 회사원
6.3.8. 세수 미상
- 남승룡 - 마라톤선수
- 남인순 - 국회의원
- 남주혁 - 배우
- 남주홍 - 정무직공무원
- 남규희 - 배우
- 남윤정 - 여자 중견 탤런트
- 남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부수상 겸 외무상
- 남정선 - 여 세무사, 메가공무원 세법 강사
- 남정수 - 프로농구선수 출신 지도자
- 남정열 - 소방공무원, 전 목포소방서장
- 남정우(기업인) - 수의사 출신 기업인, (주)쿨펫 대표&(주)펫퍼블릭 대표
- 남하준 - 프로야구 선수, 기아 타이거즈 소속
7. 관련 항목
[1] 시조 설화가 각색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점을 들어 실존 인물이었어도 중국계는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2] 영양 남씨 밀직공파의 파조이기도 하다.[3] 파조는 영의정 충경공(忠景公) 남재(南在)의 장남인 남경문(南景文)의 장남 남지(南智).[4]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장남.[5]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차남.[6] 부정공파(副正公派) 15세이자 효종 때 경상감사(慶尙監司)를 지낸 남훤(南翧)공의 아들 7명이 모두 영달하였고 그의 자손에서 현관(顯官)이 많이 나와 판서(判書)만 8명으로, 남훤의 호를 따서 창명공파(滄溟公派)로 일컬어졌다.[7]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3남.[8]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남구만이 간성공파이다. 남구만 가문의 혼인 관계를 살펴 보면 노론과 소론의 주요 인물들이 두루 망라되어 있어 소론의 영수로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의 감찰공파(監察公派)와는 달리 주로 소론의 길을 걸었다고 볼 수 있겠다.[9]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4남.[10]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5남.[11] 파조는 영의정 충경공(忠景公) 남재(南在)의 장남인 남경문(南景文)의 차남 남간(南簡).[12]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장남.[13] 현달한 인물로는 생육신 남효온, 숙종 때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남용익(南龍翼), 영조 때 형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남유용(南有容), 순조 때 영의정과 대제학을 지낸 남공철(南公轍), 철종 때 이조판서 겸 대제학을 지낸 남병철(南秉哲), 철종 때 이조판서와 좌참찬을 지낸 남병길(南秉吉) 등이 있다. 대제학공파 충간공파(忠簡公派)의 간성공파(杆城公派)와는 달리 정치적으로 노론 → 노론 시파의 길을 걸었으며 순조와 헌종의 국구인 김조순, 김조근 일가 그리고 김좌근과 혼맥관계를 맺었다.[14]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차남.[15]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3남.[16]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4남.[17] 파조는 영의정 충경공(忠景公) 남재(南在)의 장남인 남경문(南景文)의 3남 남휘(南暉).[18] 의산위 소간공(昭簡公) 남휘(南暉)의 장남.[19] 의산위 소간공(昭簡公) 남휘(南暉)의 차남.[20] 검교문하시중 경렬공(敬烈公) 남을번(南乙蕃)의 차남인 남은(南誾)이 파조이다.[21] 삼사좌복야 증 영의정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차남.[22] 삼사좌복야 증 영의정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3남.[23] 삼사좌복야 증 영의정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4남.[24] 검교문하시중 경렬공(敬烈公) 남을번(南乙蕃)의 3남. 남재(南在)의 둘째 동생. 여담으로 막내동생인 4남 우상절제사 남지(南贄)는 증손대에서 절손되었다.[25] 지영광군사 남천로(南天老)의 차남인 남을진(南乙珍)이 파조이다.[26] 문하평리 사천백(沙川伯) 남을진(南乙珍)의 장남.[27] 문하평리 사천백(沙川伯) 남을진(南乙珍)의 차남.[28] 문하평리 사천백(沙川伯) 남을진(南乙珍)의 3남.[29] 지영광군사 남천로(南天老)의 3남. 남을번(南乙蕃)의 막내 동생.[30] 풍저창사 남익지(南益胝)의 차남. 남천로(南天老)의 동생.[31] 첨의부좌정승 남대번(南大蕃)의 장남인 남좌시(南佐時)가 파조이다.[32] 정당문학 양정공(良靖公) 남좌시(南佐時)의 장남인 남심(南深)의 장남.[33] 정당문학 양정공(良靖公) 남좌시(南佐時)의 장남인 남심(南深)의 3남.[34] 자하동(백운동)의 현재의 지명은 청운동이다. 조선 후기 영·정조 시기에 형조참의를 지낸 유한준(1732~1811)은 문집인 <자저>에 이런 글을 남겼다. “서울의 북쪽은 사대부로서 세거하는 자들이 많았는데, 청풍계에 세거한 안동 김씨, 자하동(백운동)에 세거한 의령 남씨, 옥류동에 세거한 기계 유씨가 가장 오래 됐다.” 하지만 현재의 지명은 전부 다른데 당시 청풍계는 현재의 서울 종로구 청운동 남쪽, 자하동(백운동)은 청운동 북쪽, 옥류동은 옥인동을 말한다. 조선의 청풍계와 자하동(백운동)은 합해져 현재 청운동이 됐고, 옥류동은 인왕동(수성동)과 합해져 옥인동이 됐다. ‘붉은 노을 속에 잠긴 마을’이라는 뜻의 자하동(紫霞洞)은 본래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의 자하동과 같은 이름으로 불렸다. 조선 후기 남공철 가문이 자하동(백운동)에서 세거하였다.[35]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남병철의 묘지명 중 일부를 발췌[36] 앞서 언급된 철종 대의 이조판서 남병철의 묘지명처럼, 고대 삼국의 유민들의 묘지명은 이런식으로 중국계 조상을 창조하는 수준으로 각색을 자주하였다. 일례로, 당나라로 넘어간 고구려 고씨 왕족 출신들의 경우 중국의 후손을 자처하며 발해 고씨에 뿌리를 찾으려고 하였다. 이는 당나라의 주류 사회에 녹아들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작제건 설화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고려 왕실인 개성 왕씨도 비슷한 수법으로 조상 바꿔치기 수준으로 가문의 배경을 윤색하는데 거리낌이 없었다.[37] 정확히 말해서는 기록이 일절 없다.[38] 공교롭게도 안사의 난 당시 반란군 측에서 싸우다 정부군에 투항하여 요양군왕(饒陽郡王)에 책봉되었다. 또한 현재 확인된 인물 중 이정기와 함께 고구려 유민 출신 중 유이하게 당나라로부터 군왕의 칭호를 받은 인물이기도 하다.[39] 이는 중국계를 자처하지만 실상은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은 강릉 유씨나, 기자조선의 왕실을 자처하지만 사실과는 거리가 멀어보이는 행주 기씨의 경우처럼 별다를 바 없다. 이외에도 남양 방씨, 남양 홍씨, 의령 옥씨, 진주 형씨, 노씨 등 중국인의 후손을 자처하는 한국의 성씨 전반에는 이런식으로 각색된 내용들이 태반이다. 이들의 시조 설화들을 자세히 보면 기록이 일절 없는 풍랑, 사신, 망명, 한림학사(8학사) 설이 주요 패턴이다.[40]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와 관직을 제수하고 눌러앉은 중국인들에 대한 기록은 사료상 전해지지 않을 뿐더러, 고구려 멸망 직후 신라에 대거 흘러들어간 고구려 유민들의 존재를 감안하면 의령 남씨는 중국계보다는 한국계(고구려계) 성씨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고대 삼국의 기록이 고려나 조선 대의 것에 비해 부실하다는 점은 유효하면서도 말이다.[41] 시조 남민(김충)은 강릉 유씨의 도시조인 유전이나 다른 자칭 중국계 성씨계의 여타 시조들처럼 그 존재가 불명확하고 미상이다.[42] 조선 초기 5세 개국공신 남재부터 대한제국 무렵 26세 남기창까지 총 22대가 흘러갔다.[43] 중추원부사, 정3품[44] 정5품[45] 지군사는 훗날의 군수를 의미, 종4품[46] 추밀원사, 종2품[47] 참지정사, 종2품[48] 1위 전주이씨(22명), 2위 동래정씨(16명), 3위 안동김씨(신)(15명), 4위 청송심씨(13명), 5위 청주한씨(12명), 6위 파평윤씨, 여흥민씨(이상 11명), 8위 대구서씨, 연안이씨(이상 9명) 10위 안동권씨, 경주이씨, 청풍김씨, 문화류씨, 양주조씨(이상 8명), 15위 남양홍씨(당), 평산신씨, 덕수이씨, 풍양조씨, 반남박씨(이상 7명), 20위 의령남씨, 연안김씨, 해평윤씨, 경주김씨(이상 6명), 24위 창녕성씨, 광주이씨, 풍산홍씨, 광산김씨, 진주강씨, 양천허씨, 연일정씨(이상 5명)[49] 문형(文衡)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의 최고 책임자로 정2품직이며 전임직(專任職)이 아니라 타관이 겸임하는 겸직이다. 관직은 둘이지만 실제로는 한 사람이 두 관서(官署)의 대제학(大提學)을 겸하는 것이 상례였으며, 국가의 모든 문한(文翰)을 장악하여 사령(辭令), 과거시험(科擧試驗) 등을 통괄하고 학문과 관계되는 제반 일을 관장하였다. 대제학(大提學)은 정2품의 관계이지만 학문과 도덕이 뛰어나고 가문에도 하자가 없는 석학(碩學), 석유(碩儒)만이 오를 수 있는 지위로서 정승 3명과도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학자와 인격자로서의 최고 지위라 할 수 있어 본인은 물론 일문의 큰 명예로 여겼다. 대제학 후보 선정은 전임 대제학이 후보자를 천거하면 이를 3정승, 좌우찬성, 좌우참찬, 육조판서가 모여 다수결로 정하게 된다. 대제학의 임기는 본인 의사에 따라 결정하며 종신직이었다. 이와 같은 위상으로 볼 때 관직 중에서 최고의 꽃이라 말할 수 있다. 또한 온 나라의 학문을 바르게 평가하는 저울이라는 뜻으로 문형(文衡)이라고 평가되기도 한 대제학은 학문의 권위가 높다고만 해서 오를 수 있는 관직이 아니었다. 원칙적으로 문과의 대과 급제자이면서도 임금의 특명을 받아 문신들이 공부하던 호당(湖堂) 출신만 가능하였고, 또한 문형(文衡)의 별칭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은 한정되어 있었는데, 반드시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과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및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등 나라 전체의 학문 관련 3가지 최고 직위를 모두 겸직하는 경우에 한하였다.[50] 1위 연안이씨, 광산김씨, 전주이씨(이상 7명), 4위 대구서씨, 의령남씨, 안동김씨(신)(이상 6명), 7위 덕수이씨(5명), 8위 풍양조씨(4명), 9위 해주오씨, 경주이씨, 청풍김씨, 안동권씨, 고령신씨, 연일정씨 3명, 해평윤씨, 양주조씨, 풍산홍씨, 여흥민씨(이상 3명)[51] 1위 연안이씨(45명), 2위 안동김씨(신)(35명), 3위 여흥민씨(33명), 4위 대구서씨(29명), 5위 청송심씨(28명), 6위 풍양조씨, 경주이씨(이상 27명), 8위 반남박씨(25명), 9위 의령남씨(24명), 10위 동래정씨(19명), 11위 청주한씨(18명), 파평윤씨(18명) (전주 이씨 제외)[52] 1위 안동김씨(신)(6명), 2위 안동권씨, 풍양조씨(이상 5명), 4위 의령남씨, 여흥민씨(이상 4명), 6위 광산김씨, 평산신씨, 동래정씨, 청풍김씨(이상 3명), 10위 연안이씨, 연안김씨, 한양조씨, 진주하씨, 경주이씨, 청주한씨(이상 2명) (전주 이씨 제외)[53] 정도전의 봉화정씨, 조준의 평양조씨 등[54] 근기남인이라고도 불린다.[55] 충경공계 직제학공파[56] 사헌부 감찰 역임[57] 사헌부 감찰[58] 동교처사[59] 밀직부사, 정3품[60] 정1품, 영의정[61] 26세 요절. 정4품 봉정대부 병조의랑[62] 정3품 예문직제학[63] 사헌부 감찰, 정6품[64] 남준의 3남, 정3품 제주목사[65] 남회의 장남, 정2품, 자헌대부, 형조판서[66] 정3품, 통례원 좌통례[67] 종8 수의부의, 동교처사[68] 종2품하 가선대부[69] 정3품 통훈대부, 영의정 김명원의 사위[70] 5품, 의빈부도사[71] 남복시의 3남, 정2품 우참찬, 이조판서[72] 남진의 장남, 우참찬 남선의 조카, 통정대부 정3품상[73] 정1품 보국숭록대부, 대제학, 형조판서, 이조판서[74] 종2품 대사헌, 대사간, 관찰사[75] 종2품 오위도총부 부총관, 동지돈녕부사[76] 이조정랑, 1727년 성균시 장원[77] 정2품 대제학, 형조판서[78] 정3품하 통훈대부, 남유상의 장남[79] 정1품 영의정, 남유용의 차남[80] 남유용의 장손, 남공철의 조카, 정3품 돈녕부 도정, 광주목사[81] 종2품 가선대부[82] 정3품상 통정대부, 승지[83] 정3품하 통훈대부[84] 종3품하 중훈대부[85] 판관, 영의정 김조순 사위[86] 정3품상, 승지[87] 종1품상 숭록대부, 대제학, 이조판서[88] 종1품하 숭정대부, 예조판서[89] 종1품 판사, 대사성, 대사헌, 관찰사[90] 3품, 시종무관, 대한제국 육군 참령, 일본육사 15기, 1908년 사망[91] 문하시중 - 문하시랑평장사(문하찬성사) - 참지정사(참지문하부사) 순서[92] 고려사 등에는 기록이 없다. 아들인 남좌시가 현달하여 추증된 것으로 보인다.[93] 위의 양정공파 계열 인물들 중 유일하게 고려사에 기록이 있다.# 고려사에는 첨서밀직, 강릉도부원수, 정당상의 등을 역임하고, 의성군에 봉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94] 세종의 3남인 안평대군과 사돈관계이다.[95] 여담으로 젊은시절 영양남씨 목사공파의 파조인 남회(南薈) 등과 함께 동주계를 만들었다. 동주계는 태종 16년(1416년) 함께 과거를 준비한 11명의 성균관 유생들이 서울에서 영남으로 내려오면서 서로 우의와 선비 정신을 갈고 닦기 위한 모임이었다.[96] 세조 때 최연소 병조판서를 지낸 남이(南怡)의 할아버지이다.[97] 사후 영의정에 추증[98] 1457년(세조 3) 2월 20일 의성군(宜城君)에 봉작[99] 평소 정몽주·길재 등과 교유하였고 형제인 남을번(남재·남은의 아버지), 남을경과는 달리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았다. 조선 건국 후 이성계의 부름을 피하고자 감악산에 은거하였다.[100] 1369년(고려 공민왕 18)에 도첨의부(都僉議府)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로 바뀌었다가, 1372년(고려 공민왕 21) 6월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문하평리(門下評理)로 개칭되었다.[101] 손자가 중종대에 영의정을 역임한 남곤(南袞)이다. 또한 임사홍의 외할아버지이다.[102] 판군부사사(判軍府司事), 좌우위상호군(左右衛上護軍), 첨의부좌정승(僉議府左政丞)을 지낸 장함부원군(獐含府院君) 남대번(南大蕃)의 장남[103] 독립유공자 남상순·남병우·남종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104] 독립유공자 남경명이 이 마을 출신이다.[105] 독립유공자 남병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106] 고려의 진사와 중국의 진사는 조선과 달리 과거시험(문과) 최종합격자(대과합격자)를 의미한다.[107] 하연이 영의정으로 있을 때 남지가 우의정으로서 함께 하였다. 하연은 1376년생으로 남지와는 약 20살 가까이 차이가 난다.[108] 할아버지인 남주헌은 남공철의 아버지인 남유용의 장증손이며, 남주헌의 2남이자 남병철의 아버지인 남구순이 남유용의 형인 남유상의 종가에 양자로 입적하였다.[109] 딸은 장인인 김조순의 손자이자 김좌근의 장남인 이조판서 김병기에게 출가하였다.[110] 대한제국 내부대신, 친청파, 친일반민족행위자.[111] 보성전문학교 법과 교수[112]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박사.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113] 윤석열 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