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zooka Antitank Rocket Launcher 바주카 | |||
M1 바주카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대전차 로켓 | ||
원산지 | 미국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42년~현재 | ||
개발 | 에드워드 울 | ||
개발년도 | 1942년 | ||
생산 | 제너럴 일렉트릭 등 | ||
생산년도 | 1942년~1966년 | ||
생산수 | 112,790정 (M1) 59,932정 (M1A1) 6,087정 (M9) 277,819정 (M9A1) 1,500정 (M25) | ||
사용국 | 미국 등 |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국공내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6.25 전쟁 알제리 독립전쟁 베트남 전쟁 피그만 침공 제4차 중동전쟁 포클랜드 전쟁 | ||
기종 | |||
파생형 | M1/M1A1 M9/M9A1 M18 M20/M20A1/M20B1/M20A1B1 M25 RL-83 M65 | ||
세부사항 | |||
탄약 | 60mm 성형작약 90mm (M20/25) | ||
급탄 | 단발 3발 (M25) | ||
작동방식 | 전기식 발화 | ||
전장 | 1,400mm (M1/M1A1) 1,500mm (M9/M9A1/M20A1/M20A1B1) | ||
중량 | 6kg (M1) 5.8kg (M1A1) 6.5kg (M9/M9A1/M20A1) 5.9kg (M20A1B1) | ||
탄속 | 265m/s | ||
유효사거리 | 140m (M1/M1A1) 110~460m (M9/M9A1) 180~270m (M20A1/M20A1B1) | ||
최대사거리 | 370m (M1/M1A1) 370~460m (M9/M9A1) 910m (M20A1/M20A1B1) | }}} |
[clearfix]
1. 개요
1943년에 배포된 교육용 동영상 | 발사 영상 |
2. 개발
기본적 원리를 구성한 로버트 고다드 박사.[1] |
원래 미국은 대전차 수류탄을 개발해서 보병의 대전차 화력으로 사용하려고 했다. 하지만 M10 대전차 수류탄은 1.6kg의 중량을 가져서 보병이 휴대하기도 불편하고 투척하기도 어렵고 심지어 총류탄으로 사용하기에도 힘들 지경이라서 당시 기준으로 60mm의 관통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일선에서 광속으로 밀려났으며 보병용 소총에 장착하는 총류탄 발사기로 발사가능한 M9 총류탄으로 대체되었다.
바주카를 개발하게 된 계기는 1942년에 미합중국 육군 대령인 레슬리 스키너(Leslie Skinner)가 에드워드 울(Edward Uhl) 중위에게 M10 대전차 수류탄을 전달해주면서 해당 수류탄을 보병이 발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보라고 한 것이었다. 에드워드 울은 해당 수류탄에다가 작은 로켓을 달아서 발사할 수 있게 만들었지만 발사시 발생하는 화염과 연기로부터 사수를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 우연하게 고철더미 옆을 걷던 에드워드 울이 우연하게 M10 대전차 수류탄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파이프를 본 후 로켓탄을 파이프 안에 넣고 발사하면 보병은 파이프만 어깨에 들고 있으면 되고 배기가스와 화염이 보병에게서 좀 더 멀리 떨어진 포구로부터 발생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발상을 얻은 것이다.
1942년 5월 애버딘 시험장에서 열린 경쟁 시험에서 급조한 바주카 프로토타입은 심지어 조준기도 없어서 현장에서 철사로 된 옷걸이를 사용해서 간이조준기를 장착하는 등의 해프닝이 있었으나 경쟁작중에서 유일하게 움직이는 전차를 상대로 사격이 가능한 무기였다. 그래서 육군참모총장인 조지 C. 마셜 앞에서 보인 시연에서 즉시 5,000개를 주문받는 등 호평을 받았다. 바주카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3. 명칭
일반인들에게는 사람이 어깨에 메고 쏘는 커다란 로켓포를 통틀어 부르는 경향이 있지만, 원래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때 개발한 대전차 로켓 런처 M1A1에 붙은 별명이었다. 당시 미국의 인기 코메디언 밥 번즈(Bob Burns)가 들고다니던 소품용 변형 트럼펫의 이름이 'Bazooka'였는데 미군 병사들이 신무기를 보고 형태가 비슷하다고 붙인 별명이었다.저 깔때기가 바주카 | 대조 사진 |
4. 종류
자세한 것은 영어 위키백과 바주카 문서를 참고. 그리고 공통적으로 사수가 장전이 되었는지 모르기 때문에 부사수가 장전이 완료되면 사수의 방탄헬멧을 툭툭 쳐줘서 발사준비가 끝났음을 알려준다.4.1. 일반 바주카(60mm 구경)
- M1
Rocket Launcher, M1 "Bazooka" |
일단 노획한 3호 전차의 정면 장갑을 관통할 정도로 위력은 좋은 편이었으나 바주카 포탄인 M6이 신뢰성이 극도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했고 바주카 사수에 대한 훈련도 전혀 없었기에 제대로 된 위력을 전혀 발휘할 수 없었다.
실제로 횃불 작전 전날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자신의 부하들 중 누구도 바주카 훈련을 받지 않았다는 사실에 경악할 지경이었고 튀니지 전투가 마무리 된 후 미군의 조사가 벌어졌을 때 바주카로 성공적으로 독일 전차를 격파한 사람을 찾을 수 없는 지경이었다. 그래서 1943년 5월에 바주카의 생산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기본적으로 프로토타입이라고 볼 수 있는 물건으로 뭔가 나사가 빠진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오히려 북아프리카 전역과 독소전쟁에서 미군이나 무기대여법으로 바주카를 공여받은 소련군에게서 바주카를 노획한 나치 독일군이 아이디어를 얻어서 라케텐판처뷕세를 개발하게 되는 요인을 제공하였다.
- M1A1
Rocket Launcher, M1A1 "Bazooka" |
이 때부터 바주카 사수의 훈련 및 노련한 바주카 사수의 행동으로 독일군 전차를 격파가능했다. 심지어 6호 전차 티거도 격파당했는데 조종수 관측창을 정타로 때리는 위업에 가까운 전과로 가능했다. 그리고 이 시기 쯤 해서 미국의 국민들에게 바주카가 공개되었는데 155mm 화포의 귀싸대기를 때릴 수준의 위력이라는 말도 안되는 과장을 2년간이나 했다.
초기형 바주카인 M1과 M1A1은 전지를 이용한 전기식 발화 장치로 로켓 연료를 점화, 추진시킨다. 방아쇠를 당기면 좌측에 전기가 공급되어 있다는 신호로 불빛이 들어오는 것으로 전기공급이 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탄두는 먼로-노이만 효과를 이용하는 성형작약탄을 사용한다.
- M9
Rocket Launcher, M9 "Bazooka" |
바주카 포탄도 명중시 도탄 현상이 줄어들도록 탄두의 전면 형상을 뭉툭하게 만든 M6A3이 도입되었으며 관통력도 89mm ~ 102mm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독일 전차와 정면승부는 불가능했으며 숙련된 바주카 사수들이 높은 곳에 올라가서 전차의 상면장갑을 사격해서 관통하거나 전차가 차체 하부를 드러내는 순간을 노려서 사격하는 등의 행동이 없다면 전차를 제대로 격파시키지 못했다.
태평양 전쟁에서는 일본군의 전차 장갑이 빈약해서 바주카로 정면 승부가 가능했다. 그러나 열대 지방이라는 특성과 바다의 소금기와 진흙이라는 가혹한 환경때문에 종종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바주카는 전차 격파보다는 벙커나 참호 같은 고정된 진지를 공격할 때 더 효율이 높았으며 종종 모래주머니나 코코넛 나무같은 부드러운 물질로 벙커나 참호가 덮여있을 경우에는 바주카 포탄이 불발탄이 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했다. 이런 경우에는 화염방사기를 사용해서 토벌했다.
조지 S. 패튼이 바주카는 전차를 공격적으로 사냥하는 무기가 아니라 전차에게 보병이 압도당하지 않도록 하는 최후의 수단이라고 할 정도로 바주카의 위력을 탐탁치 않게 여겼지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연합군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할 수 있게 한 4가지의 승리의 도구 중 하나로 언급할 정도로 가치가 높았다.
- M9A1
Rocket Launcher, M9A1 "Bazooka" |
북한군의 T-34-85 전차를 정상적인 교전에서는 절대로 격파하지 못하는 낮은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훈련이 미흡한 한국군은 물론이거니와 긴급 투입된 주일미군도 북한군 전차를 격파하지 못해서 엄청나게 고생한다. 실제로 미국의 한 대전차팀은 오산 전투에서 22발의 2.36인치 로켓탄을 전차 1대에 모두 명중시켰지만 정작 전차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보고도 있었다.
- M18
Rocket Launcher, M18 "Bazooka" |
4.2. 슈퍼 바주카(89mm 구경)
- M20
Rocket Launcher, M20 "Super Bazooka" |
M9과 M20의 크기 비교. 당연히 큰게 M20. |
M20 슈퍼 바주카(Super Bazooka)는 나치 독일군의 판처슈렉을 보고 위력 증강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여 개발된 개량품이다. 개발 자체는 1944년에 완료되었고 1944년 후반에 M20으로 제식화까지 되었지만 이듬해 전쟁이 끝나면서 대량생산까지 이어지지 못했다.
새로운 3.5인치(약 89mm)구경의 탄두를 사용하여 관통력은 균질압연장갑 기준 280mm 였다. 그 외에도 기존의 바주카의 단점인 바주카 포탄이 습기와 열약한 환경에 민감하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습기 방지 포장이 추가되었으며 탄약 보관 및 사용시의 매뉴얼과 도구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압전 방식의 전기 발화가 부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세정제도 준비되었다.
6.25 전쟁 이전에 시제품이 완성되었고, 본격적으로 운용하기 시작한 것은 6.25 전쟁부터였다. 전쟁이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서 항공수송을 통해 전선에 등장했기 때문에 기존의 바주카로 조선인민군의 T-34를 상대할 수 없어서 개발된 물건이라는 설이 있지만 사실무근이다. 판처슈렉보다도 위력과 편의성이 크게 증대된 대전차 무기는 수요 발생 후 2달 안에 뚝딱 만들어낼 수 있을만한 물건이 아니며, 대대적인 군축이 이루어진 한국전쟁 시기면 말 할것도 없다.
6.25 전쟁 당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대전 전투에서 미24사단이 최초로 운용하였으며 한국군은 낙동강 방어선 전투 중 최전선에 위치한 제1보병사단이 최초로 소량을 운용하였다.
기존의 M9 바주카로는 쉽게 상대할 수 없었던 조선인민군의 T-34 전차를 어느 방향에서든 맞추기만 하면 격파할 수 있어서,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서 국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다. 미디어에서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뭔가 두툼하며 무거워 보이는 크고 아름다운 로켓포를 들고 나온다면 바로 이 물건으로 봐도 무방하다.
베트남 전쟁 초반까지 사용되었다가 M67 무반동포와 M72 LAW가 등장하면서 서서히 퇴역하였고 1960년대 후반까지 베트남 공화국군과 민병대가 사용했다.
오히려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노획 및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복제품을 생산해서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의 전차에 사격하기도 했고 이후에는 약간의 개량을 거친 51식 화전통까지 만들었다. 베트남 인민군에서도 1947년에 자체적으로 바주카포를 개발하기도 했고 1964년에는 중국의 원조로 51식 화전통을 대량으로 공여받아서 베트콩이 사용하기까지 했다.
자세한 것은 (영문) 링크 참고.
새로운 3.5인치(약 89mm)구경의 탄두를 사용하여 관통력은 균질압연장갑 기준 280mm 였다. 그 외에도 기존의 바주카의 단점인 바주카 포탄이 습기와 열약한 환경에 민감하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습기 방지 포장이 추가되었으며 탄약 보관 및 사용시의 매뉴얼과 도구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압전 방식의 전기 발화가 부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세정제도 준비되었다.
6.25 전쟁 이전에 시제품이 완성되었고, 본격적으로 운용하기 시작한 것은 6.25 전쟁부터였다. 전쟁이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서 항공수송을 통해 전선에 등장했기 때문에 기존의 바주카로 조선인민군의 T-34를 상대할 수 없어서 개발된 물건이라는 설이 있지만 사실무근이다. 판처슈렉보다도 위력과 편의성이 크게 증대된 대전차 무기는 수요 발생 후 2달 안에 뚝딱 만들어낼 수 있을만한 물건이 아니며, 대대적인 군축이 이루어진 한국전쟁 시기면 말 할것도 없다.
6.25 전쟁 당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대전 전투에서 미24사단이 최초로 운용하였으며 한국군은 낙동강 방어선 전투 중 최전선에 위치한 제1보병사단이 최초로 소량을 운용하였다.
기존의 M9 바주카로는 쉽게 상대할 수 없었던 조선인민군의 T-34 전차를 어느 방향에서든 맞추기만 하면 격파할 수 있어서,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서 국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다. 미디어에서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뭔가 두툼하며 무거워 보이는 크고 아름다운 로켓포를 들고 나온다면 바로 이 물건으로 봐도 무방하다.
베트남 전쟁 초반까지 사용되었다가 M67 무반동포와 M72 LAW가 등장하면서 서서히 퇴역하였고 1960년대 후반까지 베트남 공화국군과 민병대가 사용했다.
오히려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노획 및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복제품을 생산해서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의 전차에 사격하기도 했고 이후에는 약간의 개량을 거친 51식 화전통까지 만들었다. 베트남 인민군에서도 1947년에 자체적으로 바주카포를 개발하기도 했고 1964년에는 중국의 원조로 51식 화전통을 대량으로 공여받아서 베트콩이 사용하기까지 했다.
자세한 것은 (영문) 링크 참고.
- M20B1 / M20A1 / A1B1
M20A1B1 소개영상 |
- M25
Rocket Launcher, M25 "Three Shot Bazooka" |
- RL-83
RL-83 Blindicide |
- M65
스페인군이 운용할 목적으로 Instalaza가 개발한 바주카포로 슈퍼 바주카의 개량된 버전. 향상된 점화 방식과 새로운 탄약 유형을 사용했다. 사용 가능한 탄약은 CHM65 (성형작약탄), MB66 (다목적) 및 FIM66 (연막탄)이다. 구 버전은 M53과 M58으로 불렸다.
5. 유사품과의 비교
나치 독일이 개발한 판처슈렉은 노획한 미군의 바주카를 참고하여 만든 물건이다. 초기형의 경우 발사 시 사수에게 로켓탄의 화염이 그대로 날아왔으므로, 단순한 안면 마스크로는 어림도 없어서 사수의 안전을 확보 하려면 방화복과 방독면을 착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미군의 M1A1과 M9은 2.36인치(약 60mm)구경이며, 판처슈렉은 88mm로 판처슈렉 쪽이 더 크고 무겁지만, 그만큼 위력은 더 강했다. 바주카의 경우 M6 ~ M6A1(탄약이름)까지는 80mm, M6A3는 126mm 정도의 관통력을 보이지만, 판처슈렉은 160mm ~ 200mm의 관통력을 자랑했다.
다만, M20 슈퍼 바주카보다는 위력이 떨어진다. 당장 슈퍼 바주카는 판처슈렉보다 가볍고, 이동시 운반편의를 위해 본체를 분리할 수 있으며, 관통력도 90˚각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판처슈렉은 210mm, M20은 280mm으로 M20이 우월하다. 탄약의 구경이 겨우 1mm 커졌는데 M20 슈퍼 바주카가 위력이 강해진 이유는 탄체 형상이 동일할 경우 구경이 커질수록 1mm 커지면 더 많은 포탄 내부 작약을 넣을 수 있는데다가 사용하는 작약의 차이 및 기술발전의 효과가 작용한 것 때문이다.
6. 위력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바주카로 독일 전차를 격파하곤 했던 미군은 한반도에서 병력을 철수시키면서 바주카를 국군에 넘겨주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국군은 가지고 있던 유일한 휴대용 대전차 화기인 2.36인치 바주카로 북한군의 소련제 T-34-85에 대항하려 했으나 완전히 실패했다. 일단 탄이 아까워서 실탄사격을 하지 못한 관계로 병사들이 장비 다루는데 숙달되지 않았고, 기본적인 교육조차 되어있지 않아 장갑이 가장 두꺼운 전차의 전면에다가 20여 발 이상을 쏟아붓는 등 운용도 좋지 못했다. 바주카의 성능도 문제라서 애초에 전면이 아니더라도 전차의 궤도를 끊거나, 해치가 열렸을 때를 노리는 정도밖에 할 수 없는 관통력이었다. 그래서 정상적으로 직격탄을 내더라도 전차에 전혀 영향이 없는 일도 자주 발생했다.바주카로 T-34를 잡지 못한 것은 미군 역시 마찬가지였다. 일단 급하게 참전한 주일미군도 훈련상태가 엉망이라 아예 잘못 쏘거나, 제대로 발사하더라도 탄약관리가 엉터리여서 로켓탄이 불발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미군의 훈련상태가 이렇게 안좋았던 이유는 당시의 주일미군은 2차대전을 경험한 역전의 용사들은 거의 대부분 제대하고 신병들이 태반이었으며, 전쟁은 상상도 못하고 일본의 치안유지임무에만 주력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투훈련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았다고 한다.
게다가 구조적으로 4호 전차나 6호 전차 티거 등 수직장갑이 많았던 독일제 전차에 비해서 경사장갑을 가진 T-34는 착탄시 신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바주카 포탄이 튕겨나갈 확률이 높았다.
나중에 노획한 T-34-85 전차를 대상으로 60mm M9A1 바주카를 사격하는 실험을 할 때 최대한 90도 각도로 정타를 때리도록 후방에서 사격한 경우를 제외하면 전차보다 4.5m (15피트)나 높은 곳에서 사격하는 비실전적인 실험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포탑은 90도 정타로 명중한 것이 아니면 포탄이 다 튕기며 90도 정타의 경우에도 포탑에 관통구멍만 뚫고 끝났고 차체 전면장갑은 아예 관통불가 판정이 났으며 차체 후부를 정타로 명중시키거나 보기륜 사이의 차체 측면 하단을 노려야 격파가 가능했는데 그나마 후방 공격은 변속기 파손 정도로 마무리되었으며 측면 하단도 보기륜이나 크리스티 현가장치에 명중하면 관통불가 상태가 된다는 참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1 종합하자면 60mm M9A1 바주카로 T-34-85 전차를 격파하는 것은 정상적인 교전 상황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소리다.
여기에 더해서 2차대전 당시의 연합군은 독일군 전차면 다 6호 전차 티거나 5호 전차 판터로 생각하고 있어서 4호 전차 같은 것을 바주카로 잡아도 티거로 기록하는 일이 흔했다. 더군다나 포탑에 쉬르첸을 두른 4호 전차의 실루엣은 티거와 아주 흡사하다. 크기야 티거가 훨씬 크지만 거리를 두고 검은 실루엣만 보면 착각하기 쉽다.
4호 전차의 경우 전면 수직 장갑이 80mm로 2.36인치 바주카로 충분히 관통시킬 수 있었지만 차체 전면 100mm 장갑과 포탑 전면에 120mm의 장갑을 두르고 있던 티거와 수직 장갑으로 128mm에 준하는 효과를 가지는 55도 80mm 경사장갑을 두르고 있던 판터를 전면에서 격파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티거와 판터에 대한 기존 2.36인치 바주카의 위력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슈퍼 바주카가 개발되게 된 것이다. 궤도에 쏘았다고 해도 M4 셔먼보단 현가장치가 몸빵해주는 피격면적이 넓으므로 잘 맞춰지겠지만, 실제 위력은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와 같은 대전 후기 독일 전차들의 현가장치에서 더욱 떨어졌다. 일단 이 전차들의 현가장치는 큰 보기륜을 2 ~ 3개 겹쳐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독일제 전차에 비해 T-34를 대단히 허접하게 보고 있던 미군 지휘부는 이 전차를 바주카로 충분히 상대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실제로 소련이 북한에 보내준 T-34-85는 수직 장갑 90mm에 준하는 경사장갑을 채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75mm 채피와 함께 2.36인치 바주카로는 전면에서 격파가 불가능했다. 당연히 국군은 바주카로는 격파가 불가능하다고 보고했지만, 한국군의 훈련부족을 지적하면서 최초로 전쟁에 투입된 스미스 특임대가 오산 전투에서 직접 바주카로 T-34를 공격하였다. 결과는 역시 격파 불가. 이러다보니 스탈린이 한국에 보낸 T-34는 기존에 비해 장갑을 더 두껍게 해서 보낸 것이라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 이에 깜짝 놀란 미국은 부랴부랴 슈퍼 바주카를 공수해오며 한국전쟁에서 T-34-85는 그 이전과 같은 위력을 보이지 못하게 된다.
7. 파생 및 운용
포에 걸린 안전핀을 뽑고 포구에 꽂은 뒤, 포 뒤에 달린 전선을 발화 장치에 감으면 격발할 수 있다. 발사 시 발생하는 가스가 사수에게 덮치는 위험이 존재하므로 안면 마스크가 지급되었다.일반적으로 보병이 운용하는 대전차화기로 사용했으며, 대전차병도 자주 사용했다. 그리고 꼭 전차만 잡은 것은 아니고, 벙커같은 진지를 직사하는 용도에도 사용되었다.
이외에도 특이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무기가 부족하거나 아예 없었던 한국 공군은 연락기에 바주카를 설치해서 지상 공격기로 쓰기도 했다. 없는 것보다 낫겠지 싶어서 만들었는데 제압 효과는 생각보다 좋았다고.
2차대전 당시 미군의 경우에는 L-4 그래스호퍼 정찰기에 바주카를 장착한 경우가 있다. 미 육군 항공대 소속인 찰스 카펜터 소령, 일명 "바주카 찰리"로 불렸던 그는 자신의 정찰기 날개에 각각 바주카를 3개식 달아(총 6개) 독일 전차 6대(2대는 티거)를 격파하는데 성공했다. 이런 성과를 거둘 수 있던 이유는 당시 정찰기들은 간단한 기관총도 없는 비무장 상태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은폐가 전략적으로 중요한 상황이 아니면 공격순위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많았다. 제대로 된 조준도 없이 탱크를 명중 가능한 거리까지 초근접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참고 자료(영문 위키백과)
미 육군 제40보병사단이 바주카 4대의 포격을 테스트하는 사진 |
터키군 또한 바주카를 가지고 다연장로켓을 만들었다. |
중국 인민지원군 또한 1950년 운산 전투에서 미군의 M20 슈퍼 바주카를 노획한 후, 심양의 제 52 조병창에서 "51식 화전통"이라는 제식명칭을 붙이고, 총 4800문을 복제 생산해서 6.25 전쟁 내내 써먹었다.
8. 에어소프트건
- 에플 에어서프트에서 BB 샤워를 발사할 수 있는 유탄발사기 방식의 모형총기를 발매했다.
9.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바주카/대중매체 문서 참고하십시오.10. 둘러보기
브루투스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브루투스 작전 2506여단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903A1, M1903A4 | |||
M1 Garand, M1941, M1 Carbine, M1A1 Carbine | |||||
M1918A2, M2 Carbine | |||||
기관단총 | M1A1, M3A1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41, M1919A4, M1919A6, M2HB | |||
대전차화기 | M9A1, M18, M20 | ||||
화염방사기 | M2 | ||||
박격포 | M2, M29, M30 | ||||
수류탄 | Mk.2 | ||||
냉병기 | 총검 | OSS Stilett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SMLE No. III, No. 4 Mk.I, Ross Mk.III, M1917 Enfield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 ||||
레버액션 소총 | Winchester M1894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III, Mk.V, M50 Reising | ||||
산탄총 | M1897, M37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M1911A1, S&W Victory Model, S&W Triple Lock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III Mk.IV, Bren Mk.III Mk.IV, Browning M1918, M1941 Johnso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M9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SB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e86722> 2차 세계대전 네덜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e86722> 소총 | <colbgcolor=#e86722> 볼트액션 소총 | M.95, 리-엔필드, Vz.24 | |||
반자동소총 | M1941 존슨 소총K,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K, MP28K, 스텐 기관단총K, 오웬 기관단총K | |||||
권총 | M1903, M1910/22, 하이파워, C96K, M.73, M.91K,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20,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K | |||
중기관총 | M.8, M.18, M.25 | |||||
대전차화기 | PIAT, M1, S-18/1100 | |||||
박격포 |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K | |||||
※ 윗첨자K : 네덜란드령 동인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남아프리카 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Lee-Enfield No.3, No.4 Mk.I | ||
기관단총 | Sten Mk.II, Mk.V | |||
권총 | Webley Mk.IV | |||
지원화기 | 기관총 | Rieder Automatic Rifle, Vickers Mk.I, Bren Mk.I, Mk.II | ||
대전차화기 | M1, PIAT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아공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1/30, M1938, М1944 | |||
레버액션 소총 | M1895 | |||||
반자동소총 | SVT-38, SVT-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 |||||
기관단총 | PPD-34, PPD-38, PPD-40, PPK-41, PPSh-41, | |||||
권총 |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 |||||
지원화기 | 기관총 |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ShKAS, DShK, DS-39, | ||||
대전차화기 | RPG-40, PTRD-41, PTRS-41, VPGS-41, RPG-43, | |||||
화염방사기 | ROKS-2, ROKS-3 | |||||
박격포 | 37mm VM-37, 50mm RM-38/40, 82-BM/PM-36/37/41/43 | |||||
유탄 | F-1, RG-14/30, RGD-33, RG-42 | |||||
지뢰 | PMD-6M, PMD-7, PMD-57, POMZ-1 | |||||
냉병기 | M1927, M1942 | |||||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룩셈부르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룩셈부르크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a1de> 개인화기 | <colbgcolor=#00a1de> 볼트액션 소총 | M/96, Gew98, Kar98k, 리-엔필드, P14, 로스 소총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M1A1 톰슨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a1de> 경기관총 |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9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M1 바주카, PIAT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룩셈부르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및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 ||||
자동소총 | StG44C | |||||
기관단총 |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 |||||
권총 |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 |||||
화염방사기 | 플라멘베르퍼 42C | |||||
유탄 | M24C, M39C | |||||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09c3b> 2차 세계대전 브라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9c3b> 볼트액션 소총 | M1908, M1903, Vz.24, Vz.33, FN M24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톰슨 기관단총, M50, M3 | ||||
산탄총 | M1897, Auto-5, M37 | ||||
권총 | P08, M1911, M191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9c3b>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M1918 | ||
중기관총 | MG08, M1914,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M1, M18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멕시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2차 세계대전 멕시코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95, Gew98, Vz.24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5 | |||
반자동소총 | 몬드라곤 M1908 | |||
기관단총 | EMP35, M1A1, M3 | |||
권총 | M1911, 오브레곤 권총, S&W M&P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C-1934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M1914, M1919A4 | |||
대전차화기 | M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멕시코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42, M3 | ||||
산탄총 | M1897, M1912, Auto-5 | ||||
권총 |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 ||
중기관총 |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바주카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 ||||
박격포 | M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12169>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4 Mk.I, C3, C3A1 | ||
반자동소총 | C1, C1A1 | ||||
자동소총 | C7, C7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 II, C1 SMG | ||||
권총 | Webley Mk IV, Colt "New Service", FN M1910, M1911A1, S&W Victory Model, Inglis Hi-Power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AR, Bren, C2A1 SAW, C9 LMG | ||
다목적기관총 | C5 GPMG, C6 GPMG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M2 HMG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M72 | ||||
미사일발사기 | Blowpipe, Javelin | ||||
무반동총 | M40A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inch mortar, C3, Ordnance ML 3-inch mortar, M19 | ||||
폭발물 | 수류탄 | No.36M, V40, M61, C13 | |||
화학탄 | M7A3 | ||||
폭약 | Bangalore torped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호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AR-7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M1928A1 | |||||
권총 | Webley Mk IV,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4, L2A1 LMG, F89 | |||
다목적기관총 | MAG58, M60, MG3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9 | |||||
미사일발사기 | FIM-43, Milan | |||||
무반동총 | L6, L14A1 | |||||
화염방사기 | No.2, M2A2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 ||||
자동소총 | M16A1, IW Steyr | ||||
산탄총 | L32A1, L74A1 | ||||
기관단총 | Sten Mk.II, L2A1 SMG, Lanchester Mk I*, M1928A1, MP5 | ||||
권총 |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3, L2A1 LMG, C9 | ||
다목적기관총 | L7A2, L43A1, M60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L3A4,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1 | ||||
무반동총 | M40, L4, L14A1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L16A2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67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파나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나마 방위군(1952~1989) Fuerzas de Defensa de Panamá | ||||
개인화기 | 권총 | M10-2, 콜트 오피셜 폴리스, M1911A1, 하이파워, TEC-9 | |||
기관단총 | M1928A1, M3A1, M50, UZI, MAC-10 | ||||
산탄총 | M870 | ||||
소총 | 자동소총 | M2 카빈, AK-47, AKM, M16A1, T65, FAL, MPi-KMS-72 | |||
반자동소총 | 브레다 PG,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SVD | ||||
볼트액션 소총 | M1893, M1903, M1917 엔필드, M24 | ||||
지원화기 | <colbgcolor=#072357> 기관총 | <colbgcolor=#072357> 경기관총 | M1918A2, MG42, MAG,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1919A4, M2 브라우닝, ZB-53 | ||||
유탄 발사기 | M79, M203, HK69 | ||||
대전차 화기 | 무반동포 | 52식 무반동포, M67 | |||
대전차 로켓 | RPG-2, RPG-7, RPG-18, M20A1B1, LRAC F1 | ||||
박격포 | M2, M29, M30, MO-120-RT | ||||
유탄 | Mk.2,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나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로디지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로디지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F4B32>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4 Mk.I, Kar98k | ||
반자동소총 | L1A1, M21, Mini-14 | ||||
자동소총 | FN FAL, R1A1, G3A3, M16A1 | ||||
기관단총 | Lanchester Mk.I, Sten Mk II, Austen Mk I, GM15, Sanna 77, LDP, Cobra, CH9/25, R-76, Rhogun, Owen Mk.I, L2A1, American-180, UZI | ||||
산탄총 | Greener GP, Auto-5, M37, M870 | ||||
권총 | Enfield No.2 Mk I, S&W M49, Browning Hi-Power, Mamba, P1, Star M1920, B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III, L4A4, FN FAL HBAR | ||
다목적기관총 | M1919, MAG-58 | ||||
중기관총 | M2HB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ENERGA, MILAN | ||||
박격포 | M-4 Patmor, L16 | ||||
유탄 | No.36, Mk.2, M962, M26, M963 | ||||
지뢰 | M18A1 | ||||
노획무기 | 반자동소총 | SKS, SVD | |||
자동소총 | AK-47, AKM | ||||
권총 | PP | ||||
기관총 | DP-28, RPD, RPK, PKM. KPV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B-11 | ||||
대공포 | ZPU-4, ZU-23-2 | ||||
대전차화기 | 9K3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로디지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91/38, SMLE No. 4 Mk I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BM59, AR70/223, AR-10, M16A1 | |||||
기관단총 |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 |||||
산탄총 | RS-202, SPAS-12 | |||||
권총 |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 |||||
유탄발사기 | M7, GLF-40,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 |||||
맨패즈 | FIM-92A | |||||
화염방사기 | M41, T148 | |||||
박격포 | M62 | |||||
지뢰 | VS-DAFM 7 | |||||
유탄 | M35, OD82, Mk.2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위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위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K31 | |||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KMO, MKPS, MP41, MP 41/44, MP 43/44 | |||||
권총 | P06/29, P49, P7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 11, Lmg 25, S2-200, Mg 51, Mg 51/71, | ||||
대전차화기 | Tb 40, Tb 41, Rr 58, Rr 80, PAL Bb 77 | |||||
박격포 | 6cm Werfer 87, 12cm Minenwerfer 74 | |||||
유탄 | HG 43, HG 85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위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페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페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3, M1916, FR7, M43, FR8 | ||
자동소총 | CETME 모델 B/모델 C/모델 L | ||||
기관단총 | MP28, EMP35, Z-45, CETME C2, Z-62, Z-70B, Z-84, MP5A3 | ||||
권총 | 아스트라 300/400, 발레스테르-몰리나, 스타 모델 A/B | ||||
지원화기 | 기관총 | 호치키스 M1914, Vz.26, ALFA M44, MG42/59, CETME Ameli | |||
대전차화기 | M65, TOW LWL | ||||
박격포 | 발레로 M33, 발레로 M41/4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그리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그리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4C98>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만리허-쇠나우어 M1903,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FN FAL, G3A3, M16A1 | ||||
기관단총 | 스텐 Mk.II, M1928A1, M1A1, M3A1, MP5 | ||||
권총 | M1911A1, P7M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브렌 Mk.III, M1918A2, FN FALO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HK11, FN MAG, M60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M203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1, E44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E30A17>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Gew88/05, 마우저 M1938, Kar98k,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2 카빈, G1, G3A3, G3A4, HK33, M16A1, M16A2, CAR-15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A1, MP5 | ||||
산탄총 | M1912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FN 미니미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M60 | ||||
중기관총 | MG08,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HK79, M203, Mk.19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2, M19, M29, M30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M26, M67 | |||
화학탄 | M14, M18 | ||||
지뢰 | M14, M16, M18A1, M1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웨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004b87> 볼트액션 소총 | Gevär m/96, Karbin m/94, Gevär m/38, Gevär m/41, Gevär m/41B, Karbin m/40 | ||
반자동소총 | AG m/42, AG m/42B | ||||
자동소총 | AK4, AK4B, AK5, AK5B, AK5C, | ||||
기관단총 | MP18, Kpist m/37, Kpist m/39, Kpist m/40, Kpist m/45, m/45B, m/45C | ||||
권총 | m/39, m/40, Pist 88 | ||||
지원화기 | <colbgcolor=#ffcd00> 기관총 | 경기관총 | Kg m/37, Kg m/40, Ksp 90 | ||
중기관총 | Ksp m/39, Ksp m/41, Ksp 58, Ksp 58B, Tksp 12,7 mm | ||||
유탄발사기 | M203, Grsp 40 mm | ||||
대전차화기 | Raketgevär 46, Grg m/48, Pskott m/68, Pskott m/86, Pvpj 1110, RBS 56 | ||||
박격포 | m/84 | ||||
맨패즈 | RBS 69, RBS 70 | ||||
화염방사기 | Esp m/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자위대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자위대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호와 골든베어, 호와 M1500 | |||
반자동소총 | 7.62mm 소총 M1, 7.62mm M1 기병총 | |||||
자동소총 | 64식 소총, 89식 소총 | |||||
기관단총 | ||||||
권총 | 남부 권총, | |||||
조명총 | 53식 신호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로켓 발사통 M9, 89mm 로켓 발사통 M20, M20 무반동포, M4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M72 LAW, 84mm 무반동포 | |||||
화염방사기 | 휴대용 방사기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박격포 | M2 60mm 박격포, 64식 81mm 박격포, M2 107mm 박격포 | |||||
유탄 | Mk2,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31 총류탄 | |||||
냉병기 | 총검 | M1 총검, 64식 총검, 89식 다용도 총검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자위대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6.25 전쟁기의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
기관단총 | M3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M1911A1, M1917,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 |||||
냉병기 | 군도 | 구군도,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베트남전기의 호주·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베트남 전쟁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 1 Mk. III* (HT),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XM177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 |||||
권총 |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2A1 LMG, M60 | ||||
유탄발사기 | M79, XM148, M203 | |||||
대전차화기 | L4, L6, M20, M72 | |||||
화염방사기 | M2A7-7 | |||||
박격포 | L16 | |||||
폭발물 | 수류탄 |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냉병기 | 총검 |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 운용장비 | 뉴질랜드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무반동포 | M18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 ||||
화염방사기 | M2, LFP 54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 ||||
유탄 | F1, OF-37, DF-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소총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 |||||
기관단총 |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 |||||
화염방사기 | M9A1-7, XM202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 |||||
냉병기 | 총검 | M1905, M1, M6,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해외전쟁 포르투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886/89,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1917, m/931, m/942, m/946, P14, M1917 | ||
자동소총 | AR-10 m/961, G3 m/961, G3 m/963, m/962 | ||||
기관단총 | m/942, m/943, Z-45, m/948, 비뉴롱 m/961, 스털링 m/961, 우지 m/961, MPL | ||||
권총 | m/878, m/886, M10, S&W 보디가드, m/943, m/96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930, m/940, m930-41, m/938, m/943, m/963, m/968 | ||
다목적기관총 | m/944 보르지히, m/944, m/952, m/962, FN MAG | ||||
중기관총 | 브레다 m/938, m/955 | ||||
로켓발사기 | m/952, m/955, M53 | ||||
무반동총 | m/952, M20, M40 | ||||
박격포 | m/937, m/951, 브랑 m/952, , M2 m/952, FBP m/68, L65/60 | ||||
폭발물 | 수류탄 | m/963 | |||
지뢰 | M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히론 전투 당시의 쿠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히론 전투 쿠바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CE1126> 개인화기 | <colbgcolor=#CE1126> 소총 | <colbgcolor=#CE1126>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896,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Vz.57 | ||||
자동소총 | FAL, AK-47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PPS-43, Vz.23, Vz.25 | ||||
권총 | 아스트라 60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DP-28, RP-46,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Vz.26, MAG-58 | ||||
중기관총 | M1917A1, ZB-53, DShK | ||||
대전차화기 | M1 | ||||
유탄 | F1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쿠바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욤 키푸르 전쟁 당시의 이스라엘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욤 키푸르 전쟁 이스라엘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리-엔필드, Kar98k | ||
자동소총 | ROMAT, M14, M16A1, CAR-15, AKM | ||||
기관단총 | UZI, m/45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M1951 | ||||
지원화기 | 기관총 | FN MAG, M2HB | |||
대전차화기 | M20 슈퍼 바주카, RL-83, M40 무반동포, M72 LAW, SS.11, BGM-71 TOW | ||||
유탄 | M26A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엘살바도르 내전 당시의 엘살바도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엘살바도르 내전 엘살바도르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47ab>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SG 69, M24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D, M1 카빈, M21 | ||||
자동소총 | M2, M14, G3, M16A1, 갈릴, HK33, CAR-15, XM177E2, M653, M16A2, M733, T65 | ||||
기관단총 | UZI, FMK-3, MP5, MP5SD | ||||
권총 | M1911A1, FN35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34, M1951, FN 미니미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FN MAG, HK21 | ||||
중기관총 |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M72, M18, M20, M40A1, M67 | ||||
박격포 | M1, M19, M29, M-52, M74 | ||||
유탄 | Mk.2, M26, M61, M67, M18, M34 | ||||
지뢰 | M14,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엘살바도르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란-이라크 전쟁 이라크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Vz.24, Vz.33, Kar98k,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SKS, FN-49, Vz.52, 바그다드, 알 카데시, 타부크 저격소총 | ||||
자동소총 | G3, AK-47, AKM, PM md. 63, M70, 56식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P40, PPSh-41, M56, Vz.61, PM-63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3, PM, 타리크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DP-28, SGM, RPD, RPK, PK, 67식 기관총, M72, DShK, 54식 중기관총, NSV | |||
대전차화기 | M20, BGM-71, B-10, B-11, RPG-7, 69식 화전통, RPG-16, RKG-3, SPG-9, 9K111, 9M14, 밀란 | ||||
맨패즈 | FIM-92, 9K32, 9K38 | ||||
화염방사기 | LPO-50 | ||||
대공포 | KS-19, ZU-23, ZPU-4 | ||||
유탄 | F1 수류탄,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말비나스 전쟁 당시의 아르헨티나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373a3c> 말비나스 전쟁 아르헨티나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SG 69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SAFN | ||||
자동소총 | FAL, M16A1, BM-59E | ||||
기관단총 | PAM-1, PAM-2, FMK-3, ML-63, L34A1, UZI | ||||
권총 | M1911A1, Mod.192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FAP, MAG, M2HB | |||
로켓발사기 | M65 | ||||
미사일발사기 | 블로우파이프 지대공미사일, 9K32 | ||||
무반동총 | M67, M1968 | ||||
박격포 | 60mm 박격포, 81mm 박격포, 120mm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스위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스위스군 (1991~현재) Schweizer Armee | |||
<colbgcolor=#DA291C> 개 인 화 기 | <colbgcolor=#DA291C><colcolor=#FFF> '''[[소총| 소총 ]]''' | <colbgcolor=#DA291C><colcolor=#FFF> '''[[돌격소총| 돌격소총 ]]''' | Stgw 90 | Stgw 57R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SSGw 90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SSGw 04 | |||
기관단총 | MP9-N | MP5A5 | |||
산탄총 | MzGw 91 | |||
권총 | Pist 12 Kurz | Pist 12/15 Standard | Pist 75 |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2| 경기관총 ]]''' | Lmg 05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g 51/71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g 07 | Mg 63/03 | |||
유탄발사기 | MZW 10 | GwA 97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로켓 | RGW90 HH | Pzf 3 | M72 EC Mk.2 | Rak Rohr 80R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스위스 유도무기 | |||
맨패즈 | ||||
박격포 | Hirtenberger M6C-210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Stgw 07 | Stgw 04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Zf Stgw 20 | Zf Stgw 12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PSg 04 | |||
기관단총 | M4 | MP5SD3 | |||
권총 | Pist 03 | |||
'''[[폭발물| 폭 ]]''' 발 물 | '''[[수류탄| 수류탄 ]]''' | 살상탄 | HG-85 | HG-43R | |
지뢰 | 대인 | Ri Ladg 96 | ||
''' 대전차 ''' | Pzaw Mi 88 | |||
※ 윗첨자R: 퇴역 화기 ※ ※ {중괄호}: 도입 예정 화기 | ||||
※둘러보기 : 스위스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멕시코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006847> 현대의 멕시코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6847> 소총 | <colbgcolor=#006847> 돌격소총 | FX-05, M4, G3, HK33, IAR | |||
저격소총 | PSG1, M82 | |||||
산탄총 | 레밍턴 M870, M1100, M1014 | |||||
기관단총 | MP5, UMP, P90 | |||||
권총 | P7, P226, FN Five-seveN, 베레타 92FS, FNP-9 | |||||
지원화기 | 다목적기관총 | MG3, HK21, FN 미니미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M-134 | |||||
유탄발사기 | M203, MGL, AG-C/GLM, Mk.19 | |||||
대전차화기 | RPG-7, RPG-29, 칼 구스타프 84mm, SMAW, M40 무반동포, MILAN, RL-83 | |||||
박격포 | 모르테로, 브랑 60mm, M29, 120mm 박격포 RT | |||||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 윈체스터 모델 54, 몬드라곤 F-0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멕시코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colbgcolor=#CE1126> 현대의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돌격소총 | FN FAL, CQ-A 카빈*, M16A1*, T65K2, M4A1 | |||
저격소총 | M24 SWS, M107A1 | ||||
기관단총 | MP5, UZI, KRISS Vector^ | ||||
권총 | 브라우닝 HP35, 베레타 92, PT92, VP70Z | ||||
지원화기 | 기관총 | 네게브, FN MAG, HK21E, M1919A4, M2 브라우닝, Vz.26 brno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40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72 LAW, M18 무반동포, M20 | ||||
박격포 | 브랑 Mle 27/31, M30, M120 BMS | ||||
예비용 화기 | G3 | ||||
*: 소수만 채용되어 운용중 ^:경찰특공대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라과이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과테말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과테말라군 보병장비 Armed Forces of Guatemala | |||
개인화기 | 소총 | 자동소총 | AKM, CAR-15, Vz.58, 갈릴, AR-10, M4A1, TAR-21, T65 소총 | |
저격소총 | M82 | |||
기관단총 | 우지, 미니 우지, FMK-3, MAC-10, M3 기관단총, 베레타 M12 | |||
산탄총 | 베넬리 M4 | |||
권총 | M1911A1,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92, 발터 P38, 글록, P226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K3 경기관총, FN MAG | ||
중기관총 | M1919A4, M1919A6, M2HB | |||
유탄발사기 | M203, M79 | |||
대전차화기 | M20 슈퍼 바주카, M72 LAW | |||
박격포 | M224 | |||
무반동포 | M40 무반동포 | |||
곡사포 | M101 | |||
※둘러보기 : 과테말라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볼리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word-break: keep-all" | 볼리비아군 (1945~현재) Fuerzas Armadas de Bolivia | |||
''' 개 ''' 인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갈릴 AR | M16A1 | M16A2 | AUG A1 | SG542 | FN FAL | 56식S | 56-2식 | SG510-4S | G3(A3/A4)S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갈릴 SR | SVD | NDM-86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SSG 69 P1 | |||
기관단총 | 우지 · 미니우지 | FMK-3 | MAT-49 | |||
산탄총 | M870 | M11-87 | |||
권총 | 브라우닝 GP-35 | 타우러스 PT-111 | 베레타 92F | TT-33 | M1911A1 | |||
<colbgcolor=#F4E400> ''' 지 ''' 원 화 기 | <colbgcolor=#F4E400> '''[[기관총| 기관총 ]]''' | <colbgcolor=#F4E400>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AG 60-20 | M60D | MG710-3 | 56식 기관총 | M1919A4 | HK21S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HB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QLZ-87 | M203 | M79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총 ]]''' | C90-CR | 65식 | 87식 | M67 | M40A1 | ||
로켓 | RPG-7V | M72A3 LAW | M20 슈퍼 바주카S | |||
미사일 | HJ-8A | |||
맨패즈 | HN-5 | |||
박격포 | M120 | M224 | M29A1 | M30 | |||
견인포 | M101A1 | M116 | 54식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M4A1 | SA80 | SG540-1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HS.50 | SSG 04 | AWP | 마우저 86SR | |||
권총 | 글록 17 | |||
유탄발사기 | 밀코 MGL | |||
의장용 화기 | vz. 24 | FN 24-30 | |||
※ 윗첨자S: 비축 화기 | ||||
※둘러보기 : 볼리비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후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후티 (1994~현재) حوثيون | |||||
<colbgcolor=#fff> 개인화기 | <colbgcolor=#fff> 권총 | TT-33, PM, 카라칼 권총C, PPK, 웨블리 리볼버 | ||||
기관단총 | PPSh-41, Vz.23 | |||||
소총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Kar98k, 모신나강,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SKS | |||||
자동소총 | AR-10C, M4A1, MPi-KM, F2000C, SG556C, SCARC, G3, G36C, AK-47, AKM, AK-74, 56식 자동소총, AKS-74U, AK-74M, AK-103C | |||||
저격소총 | M107C, LRT-3C, SVD, SVU, HS.50, M76 | |||||
지원화기 | 기관총 | PKM, MG3C, 73식 대대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DP-28, FN 미니미C, DShK, M1919 브라우닝, FN MAGC | ||||
유탄 발사기 | GL-1C | |||||
대전차화기 | 대전차 로켓 | RPG-7, M20 | ||||
대전차 미사일 | Metis-M, 현궁C, 9M133 | |||||
무반동포 | SPG-9 | |||||
대공포 | ZU-23, ZPU-4, KS-19 | |||||
※ 윗첨자C: 노획 장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후티 반군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미국의 로켓개발의 기초를 다진 사람이기도 하다. 무려 1926년에 세계 최초로 액체연료 로켓을 발사했다. 51m밖에 못날고 추락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훌륭한 성과였다. 그래서인지 보통 바주카보다는 액체연료 로켓으로 더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