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6:49:00

오릉

숭덕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오릉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colbgcolor=#315288> 경주 오릉
慶州 五陵
Five Royal Tombs\, Gyeongju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67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면적 185\,129㎡
지정연도 1969년 8월 27일
건축시기 신라시대(서기 3~111년경)
소유단체 경주시
관리단체 경주시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Zones historiques de Gyeongju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경상북도 경주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976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ⅱ)[1], (ⅲ)[2] }}}
파일:external/www.gyeongjuimage.or.kr/w_%EC%98%A4%EB%A6%8903(%EC%A0%84%EA%B2%BD)_%EB%8F%84%EB%A1%9D148P.jpg
<colbgcolor=#4a2d5b> 오릉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五陵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67-1에 있는 신라왕릉 5기. 사적 제172호.

입장료는 성인 2천원.[3]

2. 상세

신라 초대 국왕 혁거세 거서간알영부인, 2대 국왕 남해 차차웅, 3대 유리 이사금, 5대 파사 이사금 다섯 명의 능이라고 전한다. 네 왕들의 공통점은 모두 박씨라는 것. 가운데 하나를 두고 나머지 네 무덤이 한쪽 면에 자리하였다.

다만 삼국유사에는 이 다섯 왕릉이 4왕 1왕비 다섯 명이 묻힌 게 아니라, 5곳 모두 박혁거세의 신체 일부를 따로 묻은 것이라는 설화가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박혁거세가 하늘로 승천한 후 시체가 다섯으로 나뉘어 공중분해 땅에 떨어졌다. 나라 사람들이 시신들을 온전히 모아 무덤을 쓰려고 하자 큰 이 방해하므로 결국 다섯 부위를 따로 묻어 장사지내어 오릉(五陵)이라 하는데, 사릉(蛇陵 뱀 릉)이라고도 부른다고 서술하였다. 당연히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날 수는 없으니, 설화 속에서 시신을 모으기를 방해한 뱀이 어떤 세력을 상징하지 않는가 해석하기도 한다.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서기 4년) 만에 왕이 하늘로 올라갔는데 이레 뒤에 유해가 땅에 흩어져 떨어졌으며 왕후도 역시 죽었다고 한다. 국인(나라 사람)들이 합장을 하려고 했더니 큰 뱀이 나와서 내쫓아 못하게 하므로 5체(五體)를 5릉(五陵)에 각각 장사지내고 역시 이름을 사릉(蛇陵)이라고도 하니 담엄사 북쪽 왕릉이 바로 이것이다. 태자 남해왕(南解王)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 제1

오릉은 마립간 시대의 대표적 무덤 양식인 돌무지덧널무덤이라고 추측한다. 마립간 시대보다 몇백년 이전인 신라 건국 초기의 무덤은 돌무지덧널무덤이 아니라 널무덤이나 덧널무덤이므로 오릉은 신라 초기의 왕릉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4] 돌무지덧널무덤, 즉 적석목곽묘로 추정하는 이유는 이러하다. 돌무지덧널무덤은 나무로 관곽을 만든 뒤 돌을 잔뜩 쌓고 그 위를 흙으로 덮어 만든다. 그런데 세월이 지나 목곽이 썩으면 위에 쌓인 돌과 흙의 무게 때문에 붕괴되어 봉분의 정상부가 살짝 내려앉아 편평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다만 봉분 윗부분이 이처럼 평평해지는 것이 꼭 목곽이 썩어야만 생기진 않기 때문에, 실제로 발굴조사를 하지 않는 이상 추측으로 남을 뿐이다.

물론 박씨 가문의 성지와 같은 곳이라 여길 발굴조사하기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무덤을 파헤쳐 열어봄은 세계적으로 터부이지만, 특히 유교의 영향을 받은 대한민국에서는 그것이 어떤 정당한 이유이든 간에, 가령 학술적인 이유라도 후손들이 결사반대할 일이다. 지금까지 발굴된 왕릉급 신라 고분들은 누가 묻혔는지 명확하지 않았던 황남대총, 천마총 등이지, 특정 왕릉으로 비정된 곳을 발굴한 사례는 거의 없다.[5] 대한민국박씨는 본관을 막론하고 모두가 계보상 박혁거세의 후손이므로, 그냥 문화재 정도 대우만 받는 다른 대부분 신라 왕릉들에 비해[6], 시조가 묻힌 것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성지로서 중요시 한다.

아무튼 발굴조사는 못 해도 겉으로 보기에 무덤 양식이 고고학과 일치하지 않는 이런 모순을 설명하고자 눌지 마립간대의 치트키 "수즙역대원릉(修葺歷代園陵, 역대 왕들의 무덤을 수리하고 보완하다)" 기록을 근거로 원래 있던 무덤을 눌지 마립간 당시 신라에 유행하던 적석목곽묘 스타일로 개축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설도 있다.

오릉 경내에 알영부인계룡에 의해 탄생한 전설상의 장소인 알영정 우물과, 혁거세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당 숭덕전, 조선시대에 세운 왕릉비가 있으며, 능원 서남쪽 소나무숲에는 숭덕전 남쪽에 있던 담암사지에서 출토된 석재를 옮겨 놓았다. 멀지 않은 거리에 박혁거세 탄생설화의 배경인 나정이 있다. 나정 자리에 있었다고 드러난 신라 신궁 역시 박혁거세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 왕들은 즉위하면 1년 안에 신궁에 크게 제사를 지내는 관례가 있었다. 그리고 혁거세부터 사용한 신라 최초의 궁궐 금성도 아직 터를 찾지 못했고 위치에 대해 여러 설이 있지만 일단 삼국유사 기록상으론 오릉 바로 근처에 있는 창림사 절터 자리에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오릉과 후대의 모든 박씨 왕의 왕릉은 거의 천 년 뒤에 즉위한 신덕왕 등이 묻힌 배동 삼릉, 경애왕릉 등을 포함해 전부 경주 시가지 서남쪽, 남산 서쪽에 줄지어 있다. 그래서 경주 시가지 서남쪽, 남산 서북쪽의 이 구역이 서라벌 내에서도 박씨 세력과 특히 밀착된 지역이 아닐까 추측되고 있다.

왕릉 외에 지금 남은 건물들은 조선시대 초반인 1429년 혹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다시 지은 것들이다. 또한 매년 춘분에 신라 역대 박씨왕을 기리는 숭덕전에서 춘향대제(春享大祭)를 여는데, 박씨는 본관에 상관없이 모두 박혁거세 계열에 근간을 두므로 범박씨가 모두 참여한다. 실제 고령 박씨박근혜도 대통령 당선 전에는 여기에 매년 참석했다.

오릉 주위로 숲이 울창하게 조성되었는데, 별로 넓지도 않은데도 능역에 고라니가 살아 가끔 관람하다 마주친다.[7]

3. 둘러보기

신라 왕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혁거세왕릉(오릉)

파사왕릉(오릉)

지마왕릉

일성왕릉

아달라왕릉(배동 삼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미추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내물왕릉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다수설)

황남대총(소수설)

천마총(소수설)

천마총(통설)

법흥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진평왕릉

선덕여왕릉

진덕여왕릉

무열왕릉

문무대왕릉(대왕암)

신문왕릉

효소왕릉

성덕왕릉

효성왕릉

경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원성왕릉(괘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덕왕릉

흥덕왕릉

희강왕릉

민애왕릉

신무왕릉

문성왕릉

헌안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강왕릉

정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효공왕릉

신덕왕릉(배동 삼릉)

경명왕릉(배동 삼릉)

경애왕릉

경순왕릉
수장급 능묘

대릉원(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
금척리 고분군 ·서악동 고분군
구정동 방형분 · 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
}}}}}}}}}}}}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hEgtBOyW_400x400_nobg.png 경주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경주읍성동궁과 월지국립경주박물관(성덕대왕신종)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분황사월정교일정교황룡사지황리단길 ‧ 경리단길 ‧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북부 유교문화권 양동마을옥산서원 ‧ 운곡서원
송화산 김유신장군묘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소금강산 백률사소금강산탈해왕릉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남산 남산나정망덕사지배동 삼릉오릉포석정서출지배동 삼릉용장사곡 삼층석탑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낭산 사천왕사지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토함산 토함산불국사(다보탑, 석가탑)석굴암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배반동 효공왕릉수오재
동해안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이견대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보문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경주월드(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경주세계문화엑스포(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강동워터파크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교통 경주역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시외버스터미널
기타 골굴사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진덕여왕릉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혁거세 거서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탄생 설화
관련 장소 나정 · 오릉
관련 문서 금척
}}}}}}}}} ||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3] 2021년 9월 기준.[4] 이근직 《신라왕릉연구》 학연문화사, 2012년.[5] 그 외에 신덕왕릉처럼 도굴 피해를 입은 뒤 수습하는 과정에서 내부 구조가 드러나는 경우는 있었다.[6] 이곳 외에 후손들이 중요시하는 신라왕릉으로는 경주 김씨의 중시조인 경순왕이 묻힌 경순왕릉이 있다.[7] 오릉 안내판에도 고라니가 출몰할 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