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0:27:56

한동훈계

친한동훈에서 넘어옴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파일:1px 투명.svg 계파 분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친윤 비윤
윤핵관
이철규
정진석
윤한홍
장제원
친윤 중진
원희룡
권영세
윤재옥
추경호
비윤 중진
안철수
나경원
오세훈
유승민
범친윤
조정훈
유상범
정점식
박수영
민주계
김한길
김영환
조배숙
민영삼
첫목회
김재섭
이재영
박상수
박은식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기후민생 · 개혁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민주당계 · 보수정당) }}}}}}}}}

한동훈계
친한동훈계
<colbgcolor=#E61E2B> 형성 <colbgcolor=#fff,#191919>2023년
수장 한동훈
주요 정치인 김경율[참여연대][비대위]
김영주[구민주계]
김예지[친유][비대위]
김형동[비대위]
장동혁[비대위]
정성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민의힘
}}}}}}}}} ||

1. 개요2. 역사3. 주요 인사
3.1. 수장 및 간부급3.2. 원내3.3. 원외
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친윤2인자로 전 법무부장관이자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이던 한동훈이 영입하거나 그를 따르는 사람들을 속칭하는 계파이다. 약칭은 '친한(親韓)'이다.[8]

2. 역사

한동훈은 본래 윤석열 사단 출신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매우 가까운 사이였으나 김경율 비상대책위원의 발언, 국민의미래 공천과 관련하여 윤석열과의 갈등이 불거졌다.

이후 국민의힘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참패에 따라 한동훈은 비상대책위원장에서 사퇴했다.

추후 한동훈의 행보에 따라 한동훈계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다. 우선 22대 총선에서 장동혁 전 사무총장이 재선이 되어 돌아오게 되었고, 김예지 의원 역시 지역구는 아니지만 비례대표로 재선을 했다. 원외에서는 김경율 전 비대위원이 주로 한동훈계의 핵심인물로 뽑힌다.

총선 백서 작성을 둘러싸고 장동혁 의원이 앞장서서 한동훈을 두둔하는 발언을 하면서 조정훈과 대립각을 세우는 등 전당대회를 앞두고 점차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3. 주요 인사

3.1. 수장 및 간부급

3.2. 원내

  • 고동진[영입인재] (서울 강남구 병[10] 당선인)
    삼성전자 사장 출신으로, 한동훈이 직접 저서까지 읽어가며 영입한 인사이다. 총선 이후에도 한동훈 책임론은 잘못되었고 기회를 더 줘야 한다며 옹호했다. # #
  • 장동혁[비대위] (충남 보령시·서천군 국회의원, 전 국민의힘 사무총장)
    가장 대표적인 한동훈계 정치인으로 꼽힌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재임 시기에 사무총장을 맡았다. 총선 때 한동훈이 내세웠던 이조심판론에 대해서도 옹호 입장을 밝혔다. # #
  • 한지아[비대위] (비례대표 당선인)
    의사 출신으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위원을 맡았다.

3.3. 원외

  • 김경율[참여연대][비대위] (전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위원을 맡았다. 사실상 한동훈과 가장 가깝다고 평가받는다.
  • 호준석[비대위] (서울 구로구 갑 당협위원장, 국민의힘 대변인)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대변인을 맡았고, 총선 참패 이후에도 종편에서 한동훈에 대해 호평하기도 했다. #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61e2b> 파일:한동훈_투명.png한동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ddd> 생애 <colbgcolor=#fff,#1f2023>생애 · 법무부장관 시절
관계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가족 아버지 한명수 · 어머니 허수옥 · 배우자 진은정
활동 정책 · 사상 및 견해 · 법무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 검수완박 권한쟁의 심판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조직도
사건사고 채널A 기자 취재윤리 위반 · KBS 검언유착 의혹 녹취록 허위 보도 · 유시민의 노무현재단 계좌 추적 허위 발언 · 정진웅에 대한 독직폭행 고소 · 미행 · 김의겸의 술자리 허위 의혹 제기 · 더탐사 자택 무단 침입 · 휴대전화 분실 · 흉기 협박 · 윤석열-한동훈 갈등 · 문재인 만남설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검사 시절 · 법무부장관 시절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 본인과 가족)
기타 여담 · 어록 · 별명 · 여론조사 · 윤석열 사단 · 비윤 · 한동훈계 · 조국 사태 ·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한동훈줌한동훈x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위드후니
}}}}}}}}} ||



[참여연대] 참여연대 출신.[비대위]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주요 당직자 출신[구민주계] 민주당계 출신.[친유] 친유 출신.[비대위]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주요 당직자 출신[비대위] [비대위] [8] 대한민국에 우호적인 사람을 뜻하는 친한과 한자까지 동일하다.[영입인재] [10] 한동훈의 거주지인 도곡동 타워팰리스가 이곳에 속해있으므로, 한동훈이 고동진 본인의 지역구민이기도 하다.[친유] 친유 출신.[비대위] [비대위] [비대위] [영입인재] [비대위] [영입인재] [비대위] [참여연대] 참여연대 출신.[비대위] [구민주계] 민주당계 출신.[첫목회] [영입인재] [24] 패배 기여도 1순위는 이종섭, 2순위는 황상무, 3순위는 윤석열로 꼽았다.[첫목회] [영입인재] [비대위] [28] 한동훈과 친분이 있는 사람들로만 구성된 것은 아니나, 대체로 한동훈을 옹호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