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미니어처 게임}}}에 대한 내용은 [[Warhammer: The Horus Heresy]]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Warhammer: The Horus Heresy#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Warhammer: The Horus Heresy#|]]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미니어처 게임: }}}[[Warhammer: The Horus Heresy]]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Warhammer: The Horus Heresy#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Warhammer: The Horus Heresy#|]]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22222><tablebgcolor=#B22222> | 호루스 헤러시 타임라인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통합 전쟁 | |||
대성전 | ||||
울라노르 성전 | ||||
니케아 공의회 | ||||
다빈의 달 전투 | ||||
웹웨이 전쟁 | ||||
프로스페로의 몰락 | ||||
헤러시의 시작 | ||||
이스트반 III 전투 | ||||
화성의 분열 | ||||
이스트반 V 강하지점 학살 | ||||
파라마르 전투 | ||||
칼스에서의 배신 | ||||
그림자 성전 | ||||
트라마스 성전 | ||||
베타-가몬 전투 | ||||
크토니아 공성전 | ||||
태양계 전쟁 | ||||
테라 공성전 | ||||
사자의 문 우주공항 전투 | ||||
영원의 문 전투 | ||||
복수의 영령 전투 | ||||
주요 인물 | 주요 배경 | |||
인류의 황제 | 홀리 테라 | |||
충성파/반역파 프라이마크 | 이스트반 행성계 | |||
에르다 | 아바돈 | 울라노르 | 다빈 | |
카발 | 에레부스 | 베타-가몬 | 칼스 | |
호루스 헤러시 보드게임 | ||||
호루스 헤러시 소설 시리즈 |
|
|
{{{#D7DF01 {{{-1 복수의 영령에서 대치 중인 호루스 루퍼칼과 인류의 황제[1]호루스 루퍼칼에게 맞서싸우다 패배하고 살해당한 생귀니우스. 호루스 주변에 검은 갑주를 찬 마린들은 호루스 휘하의 마린들로 추측된다. 황제 주변에 황금 독수리 문양이 있는 병사들은 커스토디안 가드의 사지타룸 커스토디안들이다. 에이드리언 스미스가 그린 이 삽화는 워해머 40k를 통틀어 가장 인지도 있는 삽화이며, 팬들이 뽑는 가장 40k스러운 삽화, 최고의 삽화 등으로 회자되는 등 인기가 높다.]}}}}}} |
호루스 헤러시 Horus Heresy | ||||||||||||||||||||||||||||||||||||||||||||||||||||||||||||||||||||||||||||||||||||||||||||||||||||||||||||||||||||||||||||||||||||||||||||||||||||||||||||||||||||||||||||||||||||||||||||||||||||||||||||||||||||||||||||||||||||||||||||||||||||||||||||||||||||||||||||||||||||||||||||||||||||||||||||||||||||||||||||||||||||||||||||||||||||||||||||||||||||||||||||||||||||||||||||||||||||||||||||||||||||||||||||||||||||||||||||||||||||||||||||||||||||||||||||||||||||||||||||||||||||||||||||||||||||||||||||||||||||||||||||||||||||||||||||||||||||||||||||||||||||||||||||||||||||||||||||||||||||||||||||||||||||||||||||||||||||||||||||||||||||||||||||||||||||||||||||||||||||||||||||||||||||||||||||||||||||||||||||||||||||||||||||||||||||||||||||||||||||||||||||||||||||||||||||||||||||||||||||||||||||||||||||||||||||||||||||||||||||||||||||||||||||||||||||||||||||||||||||||||||||||||||||||||||||||||||||||||||||||||||||||||||||||||||||||||||||||||||||||||||||||||||||||||||||||||||||||||||||||
일시 | 31번째 천년기[M31] | |||||||||||||||||||||||||||||||||||||||||||||||||||||||||||||||||||||||||||||||||||||||||||||||||||||||||||||||||||||||||||||||||||||||||||||||||||||||||||||||||||||||||||||||||||||||||||||||||||||||||||||||||||||||||||||||||||||||||||||||||||||||||||||||||||||||||||||||||||||||||||||||||||||||||||||||||||||||||||||||||||||||||||||||||||||||||||||||||||||||||||||||||||||||||||||||||||||||||||||||||||||||||||||||||||||||||||||||||||||||||||||||||||||||||||||||||||||||||||||||||||||||||||||||||||||||||||||||||||||||||||||||||||||||||||||||||||||||||||||||||||||||||||||||||||||||||||||||||||||||||||||||||||||||||||||||||||||||||||||||||||||||||||||||||||||||||||||||||||||||||||||||||||||||||||||||||||||||||||||||||||||||||||||||||||||||||||||||||||||||||||||||||||||||||||||||||||||||||||||||||||||||||||||||||||||||||||||||||||||||||||||||||||||||||||||||||||||||||||||||||||||||||||||||||||||||||||||||||||||||||||||||||||||||||||||||||||||||||||||||||||||||||||||||||||||||||||||||||||||
장소 | 우리 은하 전체 | |||||||||||||||||||||||||||||||||||||||||||||||||||||||||||||||||||||||||||||||||||||||||||||||||||||||||||||||||||||||||||||||||||||||||||||||||||||||||||||||||||||||||||||||||||||||||||||||||||||||||||||||||||||||||||||||||||||||||||||||||||||||||||||||||||||||||||||||||||||||||||||||||||||||||||||||||||||||||||||||||||||||||||||||||||||||||||||||||||||||||||||||||||||||||||||||||||||||||||||||||||||||||||||||||||||||||||||||||||||||||||||||||||||||||||||||||||||||||||||||||||||||||||||||||||||||||||||||||||||||||||||||||||||||||||||||||||||||||||||||||||||||||||||||||||||||||||||||||||||||||||||||||||||||||||||||||||||||||||||||||||||||||||||||||||||||||||||||||||||||||||||||||||||||||||||||||||||||||||||||||||||||||||||||||||||||||||||||||||||||||||||||||||||||||||||||||||||||||||||||||||||||||||||||||||||||||||||||||||||||||||||||||||||||||||||||||||||||||||||||||||||||||||||||||||||||||||||||||||||||||||||||||||||||||||||||||||||||||||||||||||||||||||||||||||||||||||||||||||||
교전 세력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 파일:231f34f3a3188d9b040eb0b023656149e5a4816b86c60ec2d2c4dc23928b961a5e0e803604a0c6af1ee7288f0b22c9ce8f02a8784c98cd1f099c3d6ccfecb0f066d3eb260ac6b873d8340897b669c601b89f93402841769e8cf22059f1aba284.png 레기오네스 아스타르테스[3]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000> | }}}}}} | |||||||||||||||||||||||||||||||||||||||||||||||||||||||||||||||||||||||||||||||||||||||||||||||||||||||||||||||||||||||||||||||||||||||||||||||||||||||||||||||||||||||||||||||||||||||||||||||||||||||||||||||||||||||||||||||||||||||||||||||||||||||||||||||||||||||||||||||||||||||||||||||||||||||||||||||||||||||||||||||||||||||||||||||||||||||||||||||||||||||||||||||||||||||||||||||||||||||||||||||||||||||||||||||||||||||||||||||||||||||||||||||||||||||||||||||||||||||||||||||||||||||||||||||||||||||||||||||||||||||||||||||||||||||||||||||||||||||||||||||||||||||||||||||||||||||||||||||||||||||||||||||||||||||||||||||||||||||||||||||||||||||||||||||||||||||||||||||||||||||||||||||||||||||||||||||||||||||||||||||||||||||||||||||||||||||||||||||||||||||||||||||||||||||||||||||||||||||||||||||||||||||||||||||||||||||||||||||||||||||||||||||||||||||||||||||||||||||||||||||||||||||||||||||||||||||||||||||||||||||||||||||||||||||||||||||||||||||||||||||||||||||||||||||||||||||||||||||||
지휘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 황제 말카도르† 생귀니우스† 로갈 돈 자가타이 칸 리만 러스 불칸 코르부스 코락스 페러스 매너스† 라이온 엘 존슨 로부테 길리먼 콘스탄틴 발도르 자그레우스 케인 제네티아 크롤†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000> 호루스 루퍼칼† 로가 아우렐리안 마그누스 더 레드 앙그론 펄그림 페투라보 콘라드 커즈† 모타리온 알파리우스† 오메곤 켈보르 할 | }}}}}} | ||||||||||||||||||||||||||||||||||||||||||||||||||||||||||||||||||||||||||||||||||||||||||||||||||||||||||||||||||||||||||||||||||||||||||||||||||||||||||||||||||||||||||||||||||||||||||||||||||||||||||||||||||||||||||||||||||||||||||||||||||||||||||||||||||||||||||||||||||||||||||||||||||||||||||||||||||||||||||||||||||||||||||||||||||||||||||||||||||||||||||||||||||||||||||||||||||||||||||||||||||||||||||||||||||||||||||||||||||||||||||||||||||||||||||||||||||||||||||||||||||||||||||||||||||||||||||||||||||||||||||||||||||||||||||||||||||||||||||||||||||||||||||||||||||||||||||||||||||||||||||||||||||||||||||||||||||||||||||||||||||||||||||||||||||||||||||||||||||||||||||||||||||||||||||||||||||||||||||||||||||||||||||||||||||||||||||||||||||||||||||||||||||||||||||||||||||||||||||||||||||||||||||||||||||||||||||||||||||||||||||||||||||||||||||||||||||||||||||||||||||||||||||||||||||||||||||||||||||||||||||||||||||||||||||||||||||||||||||||||||||||||||||||||||||||||||||||||||
사망: † | ||||||||||||||||||||||||||||||||||||||||||||||||||||||||||||||||||||||||||||||||||||||||||||||||||||||||||||||||||||||||||||||||||||||||||||||||||||||||||||||||||||||||||||||||||||||||||||||||||||||||||||||||||||||||||||||||||||||||||||||||||||||||||||||||||||||||||||||||||||||||||||||||||||||||||||||||||||||||||||||||||||||||||||||||||||||||||||||||||||||||||||||||||||||||||||||||||||||||||||||||||||||||||||||||||||||||||||||||||||||||||||||||||||||||||||||||||||||||||||||||||||||||||||||||||||||||||||||||||||||||||||||||||||||||||||||||||||||||||||||||||||||||||||||||||||||||||||||||||||||||||||||||||||||||||||||||||||||||||||||||||||||||||||||||||||||||||||||||||||||||||||||||||||||||||||||||||||||||||||||||||||||||||||||||||||||||||||||||||||||||||||||||||||||||||||||||||||||||||||||||||||||||||||||||||||||||||||||||||||||||||||||||||||||||||||||||||||||||||||||||||||||||||||||||||||||||||||||||||||||||||||||||||||||||||||||||||||||||||||||||||||||||||||||||||||||||||||||||||||||
원인 | 호루스 루퍼칼을 비롯한 아홉 명의 프라이마크들의 반역[5] | |||||||||||||||||||||||||||||||||||||||||||||||||||||||||||||||||||||||||||||||||||||||||||||||||||||||||||||||||||||||||||||||||||||||||||||||||||||||||||||||||||||||||||||||||||||||||||||||||||||||||||||||||||||||||||||||||||||||||||||||||||||||||||||||||||||||||||||||||||||||||||||||||||||||||||||||||||||||||||||||||||||||||||||||||||||||||||||||||||||||||||||||||||||||||||||||||||||||||||||||||||||||||||||||||||||||||||||||||||||||||||||||||||||||||||||||||||||||||||||||||||||||||||||||||||||||||||||||||||||||||||||||||||||||||||||||||||||||||||||||||||||||||||||||||||||||||||||||||||||||||||||||||||||||||||||||||||||||||||||||||||||||||||||||||||||||||||||||||||||||||||||||||||||||||||||||||||||||||||||||||||||||||||||||||||||||||||||||||||||||||||||||||||||||||||||||||||||||||||||||||||||||||||||||||||||||||||||||||||||||||||||||||||||||||||||||||||||||||||||||||||||||||||||||||||||||||||||||||||||||||||||||||||||||||||||||||||||||||||||||||||||||||||||||||||||||||||||||||||||
결과 | 충성파의 승리[6] 반역파의 아이 오브 테러 도주 | |||||||||||||||||||||||||||||||||||||||||||||||||||||||||||||||||||||||||||||||||||||||||||||||||||||||||||||||||||||||||||||||||||||||||||||||||||||||||||||||||||||||||||||||||||||||||||||||||||||||||||||||||||||||||||||||||||||||||||||||||||||||||||||||||||||||||||||||||||||||||||||||||||||||||||||||||||||||||||||||||||||||||||||||||||||||||||||||||||||||||||||||||||||||||||||||||||||||||||||||||||||||||||||||||||||||||||||||||||||||||||||||||||||||||||||||||||||||||||||||||||||||||||||||||||||||||||||||||||||||||||||||||||||||||||||||||||||||||||||||||||||||||||||||||||||||||||||||||||||||||||||||||||||||||||||||||||||||||||||||||||||||||||||||||||||||||||||||||||||||||||||||||||||||||||||||||||||||||||||||||||||||||||||||||||||||||||||||||||||||||||||||||||||||||||||||||||||||||||||||||||||||||||||||||||||||||||||||||||||||||||||||||||||||||||||||||||||||||||||||||||||||||||||||||||||||||||||||||||||||||||||||||||||||||||||||||||||||||||||||||||||||||||||||||||||||||||||||||||||
영향 | 인류제국의 쇠퇴기 시작 황제의 황금 옥좌 안치 황제의 웹웨이 계획 좌절 수많은 행성의 정화 및 파괴 여러 프라이마크들의 사망 및 실종 코덱스 아스타르테스 편찬 제국교의 촉발 및 세력화 이단심문소의 창설 아이 오브 테러 재활성화 호루스 루퍼칼의 소멸 반역파 군단들의 세력화 | |||||||||||||||||||||||||||||||||||||||||||||||||||||||||||||||||||||||||||||||||||||||||||||||||||||||||||||||||||||||||||||||||||||||||||||||||||||||||||||||||||||||||||||||||||||||||||||||||||||||||||||||||||||||||||||||||||||||||||||||||||||||||||||||||||||||||||||||||||||||||||||||||||||||||||||||||||||||||||||||||||||||||||||||||||||||||||||||||||||||||||||||||||||||||||||||||||||||||||||||||||||||||||||||||||||||||||||||||||||||||||||||||||||||||||||||||||||||||||||||||||||||||||||||||||||||||||||||||||||||||||||||||||||||||||||||||||||||||||||||||||||||||||||||||||||||||||||||||||||||||||||||||||||||||||||||||||||||||||||||||||||||||||||||||||||||||||||||||||||||||||||||||||||||||||||||||||||||||||||||||||||||||||||||||||||||||||||||||||||||||||||||||||||||||||||||||||||||||||||||||||||||||||||||||||||||||||||||||||||||||||||||||||||||||||||||||||||||||||||||||||||||||||||||||||||||||||||||||||||||||||||||||||||||||||||||||||||||||||||||||||||||||||||||||||||||||||||||||||||
피해 상황 | 통계 추산 불가능 |
1. 개요
<nopad> |
Let the galaxy burn! 은하계를 불태워라! |
{{{#!folding [ 대사 전문 ▼ ] |
처음에는, 그저 배반으로 보였다. 자신의 권력욕 때문에 형제들에게 등을 돌리고 그들을 살해한다고 말이지. 하지만 이제 우리는 저들의 육신과 신념이 어떻게 썩어갔는지를 똑똑히 보았다. 저들의 신앙은 워프에 의해 뒤틀렸다. 이것은 더이상 호루스의 배반이 아니다. 호루스의 이단이다.
It was treachery at first. To turn against brothers, to kill for personal advancement and power. But we have seen them, how their minds and bodies have been corrupted. Their very belief systems have been warped. This is no longer Horus's treachery. It is his heresy.
울트라마린 군단의 프라이마크, 로부테 길리먼
It was treachery at first. To turn against brothers, to kill for personal advancement and power. But we have seen them, how their minds and bodies have been corrupted. Their very belief systems have been warped. This is no longer Horus's treachery. It is his heresy.
울트라마린 군단의 프라이마크, 로부테 길리먼
Warhammer 40,000의 대규모 내전. 본작에서 보통 다루고 있는 시대인 41번째 천년기(즉 4만 년대)보다 훨씬 과거인 약 1만 년전인 31번째 천년기에 일어난 일로, 워마스터인 호루스 루퍼칼을 중심으로 몇몇 프라이마크들과 휘하 스페이스 마린 군단원들 및 제국 내 여러 군사력들이 카오스 신들의 꾀임에 넘어가 황제를 배신하고 인류제국의 제위를 찬탈하기 위해 쿠데타를 일으켜 내전을 촉발한 사건이다.
대한민국에서는 40K가 정발되지 않았으므로 원명칭인 Horus Heresy를 음역해서 '호루스 헤러시'라고 쓰는 경우가 많으며, '호루스의 이단', '호루스의 반역', '호루스의 난' 등으로 의역하기도 한다. 일본판에서는 '호루스의 대역(ホルスの大逆)'으로 번역했다.
스페이스 마린에서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이 분리되어 나온 것이 이 시기이며, 여러 프라이마크들이 죽거나 실종되고 황제가 황금 옥좌에 들어가게 된 것도 호루스 헤러시 때문이고, 황제교와 이단심문소가 등장하여 제국민들을 수호함과 동시에 들들 볶게 되었으며, 인류제국이 쇠퇴의 길을 걷게 된 것도 호루스 헤러시와 관련이 있는 등 사실상 현재 Warhammer 40,000의 세계관을 만들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가장 중요하면서 거대한 사건이며, 이 때문에 각종 소설과 미니어처 게임 등 여러 부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인류제국이 반으로 갈라진 내전은 9년간이나 지속되었고, 이 사태의 결과로 인류제국은 수도인 홀리 테라가 초토화되었고, 수많은 행성들이 황폐화되었거나 익스터미나투스를 당했으며, 배반한 프라이마크들은 데몬 프린스가 되었으며 그 휘하의 스페이스 마린들도 타락하여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포지 월드, 임페리얼 가드 및 여러 행성과 단체 중에도 그들의 꾀임에 넘어가 배신한 자들이 적지 않아 그야말로 제국이 반으로 쪼개졌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심각한 최악의 사태로 번졌다.
그리고 대부분의 정보가 검열되거나 왜곡된 1만년 후의 인류 제국의 신민들은, 이 사건을 황제의 아들들이자 반신인 9명의 프라이마크들이 워프의 가장 기괴한 피조물들인 9명의 대악마들[7]의 침략에 맞서 싸워 인류 제국을 지켜낸 성전이자 신화로 알려지고 있다.
프렌차이즈 타임 라인
호루스 헤러시 연표와 은하계 지도
2. 교전 세력
2.1. 충성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성파 군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성파 군단#|]][[충성파 군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임페리얼 피스트
블러드 엔젤
화이트 스카
샐러맨더
스페이스 울프
레이븐 가드
아이언 핸드
다크 엔젤
울트라마린
...제국군
메카니쿰
임페리얼 나이트
레기오 쿠스토데스
시스터즈 오브 사일런스
2.2. 반역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반역파 군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반역파 군단#|]][[반역파 군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블랙실드
블랙실드는 호루스 헤러시 기간 중 등장한 소속이나 출신이 불확실한 아스타르테스 부대를 포괄하는 용어이다.호루스 헤러시의 혼란스러운 상황 탓에 최초로 블랙 실드가 등장한 시기는 불분명하며, 수많은 이들이 각기 다른 이유로 검은 갑옷을 입고 싸우고 죽었다. 누군가는 제국을 배신한 자신의 군단을 극도로 증오하며 복수를 위해 싸웠고, 누군가는 제국과 군단을 등지고 반역파에 합류했으며, 누군가는 혼란을 틈 타 자신만의 왕국을 세웠으며, 심지어 제국이 쪼개진 현실을 부정하고 은하 변방에서 꿋꿋하게 외계인 세력을 소탕하며 자신만의 성전을 벌인 이들도 있었다.
블랙실드는 이름 그대로 대부분이 회색이나 검은색 도색을 하고 소속을 감추었는데, 이는 주군에 대한 충성을 포기한 전사들이 문장이 새겨진 방패를 검은 색으로 칠하거나 천으로 감싸 충성의 대상을 감추던 고대 테라의 관습에서 비롯되었다. 소속 군단의 배신을 치욕스럽게 여긴 자들, 각자의 이유로 군단에서 이탈한 자들, 혹은 소속 군단이 전멸하고 프라이마크도 사망했다고 여겼던 자들은 이러한 고대의 관습을 따라 갑주에 회색이나 검은색 도색을 하고 그저 일개 전사로 싸웠다. 물론 모두가 소속을 지우고 갑주에 검은 칠을 한 것은 아니며, 자신이 모군단의 진정한 계승자라는 의미로 본래 군단의 상징과 색상을 유지하던 이들도 있었다.
큰 피해를 입은 군단의 생존자들인 섀터드 리전과는 규모와 활동 형태 면에서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묶어서 분류하지는 않는다. 섀터드 리전은 이름 그대로 군단에 대한 소속감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규모는 작을지언정 군단의 계급체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다른 섀터드 리전 무리나 군단 본대와 조우하면 합류하는 경우가 보통이었다. 그러나 블랙실드는 리더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구성원이 수평적인 관계였으며, 다른 지휘체계에 종속되는 일이 드물었고 자신의 군단의 입장을 철저히 따라간 섀터드 리전과는 다르게 블랙실드들은 자신의 군단을 배신하거나 제국과 아예 등지는 등 다양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블랙실드 워밴드는 대부분 수십-수백명 규모로 활동했으며, 가장 흔하게 목격된 규모는 500여명 수준이라고 한다. 그러나 산산조각난 부대의 생존자들이 합류하여 규모가 불어나거나, 격렬한 교전 끝에 전멸하거나, 내부 갈등으로 쪼개지는 등 규모가 변동하는 일이 잦았다.
몇몇 그룹은 일반인 보조병단 등의 여타 세력과 같이 행동하기도 했으나 대다수는 아스타르테스만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보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형편이니 편제와 무장은 그룹마다 모두 제멋대로였다. 이 탓에 드랍 포드나 기갑 등 보급과 정비소요가 많은 장비들은 잘 사용하지 못했으며, 지상 배치는 아스타르테스 건쉽에, 화력은 대부분 보병화기에 의존하는 구성이었다.
헤러시 도중 등장한 블랙실드 그룹들은 헤러시 종결 이후 거의 모두 사라졌다. 충성파로 활동하던 이들은 제국군 정규 편제에 흡수되었고, 반역파나 해적으로 활동하던 이들은 반역자들을 따라 아이 오브 테러로 도망쳤거나 제국군에게 토벌당해 소멸했다. 40K 시대까지도 헤러시 당시의 명맥을 유지하는 그룹이 없진 않으나,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그렇다고 40K 시대엔 블랙실드라는 관습이 사라졌냐 하면 그건 또 아니다. 어떠한 이유로 혼자가 된 아스타르테스는 블랙실드로서 데스워치에 몸을 의탁할 수 있다. 때문에 이따금 멸망한 챕터의 마지막 생존자, 배반자 챕터 출신의 충성파, 출신 불명의 고대의 전사들이 모든 문양을 지운 검은 갑주를 입고 워치 포트리스의 문을 두드리곤 하며, 데스워치는 이러한 전사들의 출신과 과거를 캐묻지 않고 기꺼이 형제로 받아들인다.
아래에서 대표적인 블랙실드 그룹들을 소개한다. 편의상 충성파, 반역파, 독립파로 분류했지만 이 사이 어딘가에 걸쳐 있거나, 일시적으로 한쪽 진영의 편을 들었으나 진정한 목적은 따로 있던 이들도 많다.
- 충성파
- 나이트 에런트
말카도르의 직속 특수부대. 이스트반 III의 생존자들을 비롯한 초기 구성원 20명은 말카도르가 직접 선발하였고, 이후 초기 멤버들과 말카도르의 요원들이 추가로 실력자들을 스카웃하여 최대 30-40명 규모까지 늘어났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호루스 헤러시 내내 은하를 누비며 말카도르의 밀명을 수행했고, 대다수가 작전 수행 중 전사했다. 이들 중 사이킥 적성이 있던 9명은 태양계 방어전 직전에 황제의 특명을 받고 타이탄으로 향해 그레이 나이트를 창립, 초대 그랜드 마스터가 된다.
나타니엘 가로, 가비엘 로켄, 메이서 바렌, 이악톤 크루즈, 틸로스 루비오 등 헤러시에서 활약한 수많은 충성파 네임드들이 나이트 에런트에 소속되어 있었다. - 사우전드 선의 다섯 번째 펠로우쉽
마현학자 술 콘텝이 이끄는 3천여 명 규모의 분견대로[8], 프로스페로의 몰락 당시 마그누스 더 레드에게 버려진 인원들이었다. 폐허가 된 프로스페로에서 탈출한 뒤, 어떻게 한 것인지 사우전드 선을 잡아죽이려 혈안이 된 징벌함대의 감시를 전부 돌파해 테라에 도착했고, 말카도르의 시험을 거쳐 충성파의 일원으로 인정받았다. 이후 임페리얼 피스트와 합류하여 크토니아 공성전에 참전했고, 호루스 루퍼칼에게 힘을 더해주기 위한 워드 베어러의 카오스 대의식을 파훼하는 등 크게 활약했고 의식을 파훼하는 과정에서 다수가 전사했지만, 술 콘텝을 비롯한 적잖은 인원들이 헤러시 이후까지도 생존했고 남은 잔당들은 에반더 가리우스의 임페리얼 피스트 로그함대에 흡수되었다고 하며[9] 아흐리만의 지시문 이후에 어떻게 되었는지는 불명이다.[10] - 레서 다만틴 행성의 아이언 워리어 분견대
워스미스 바라바스 단티오크가 지휘하는 분견대로, 시간조작 능력을 가진 외계종 흐루드를 상대로 패전한 책임으로 별볼일 없는 황무지 행성을 수비하라고 좌천된 이들이었다. 호루스 헤러시 발발 이후, 다른 워스미스가 이끄는 아이언 워리어 함대가 찾아와 반역파에 합류하라 제안하자 단칼에 거부하고 장장 1년 간 수비전을 벌였으며, 끝내 요새가 함락되자 반역파 지휘함에 텔레포트 강습을 감행해 함선을 빼앗아 탈출하여 임페리움 세쿤두스에 합류했다. - 팽 오브 디 엠퍼러
엔드리드 하르가 이끈 혼성 블랙실드 그룹으로, 무려 천 명 이상의 규모를 자랑하는 거대한 워밴드였다. 드랍 포드도 아껴가며 쓸 정도로 가난했던 대다수의 블랙실드 그룹과 달리 이들은 전함과 초중전차까지 운용할 정도로 부유했기에 테라의 디비시오 밀리타리스와 커넥션이 있다는 소문도 있으며, 심지어 블랙실드 그룹 중 유일하게 오디나투스를 운용한 기록까지 있다. 충성파 함대와 연합하여 Xana Incursion[11] 등의 대규모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으며, 최종적으로는 베타-가몬 전역을 거쳐 테라 공성전에 참전하였다. - 엠퍼러스 칠드런 제34밀레니얼 '데스 이글스'
군단의 반역을 치욕스럽게 여겨 프라이마크에게 반기를 들었으나, 자신들이 진정한 황제의 아들들이라 여겨 본래 군단의 도색과 문양을 유지하고 싸웠던 자들이다. 코로니드 심연의 레보르테 요새에서 배반자 엠퍼러스 칠드런과 격전을 벌인 것이 기록되어 있으나 그 이후로는 행방이 묘연하다.
그리고 참으로 공교롭게도, 헤러시 종결 이후 얼마 뒤에 데스 이글스라는 이름을 쓰는 창립시기 불명, 모군단 불명 챕터가 등장하여 40K 시점까지도 충성파 소속으로 싸우고 있는데, 정황상 데스 이글스의 생존자들이 모여 창립한 챕터일 가능성이 있다.[12] - 크리소스 모르투르그의 블랙실드 그룹
리더인 모르투르그는 데스 가드의 디스트로이어 서전트 출신으로, 이스트반 III에서 살생부에 올라 행성 표면으로 내려보내졌으나 한 때 동료라 믿었던 이들과 격전을 벌인 끝에 악착같이 살아남았고, 기계교의 칼렙 데시마와 합류하여 함께 행성을 탈출했다.
이후 다양한 출신을 가진 생존자 마린들의 구심점이 되어 블랙실드 그룹을 이끌고 반역파에 맞섰으나 헤러시 도중의 상세한 행적은 불분명하다. 모르투르그의 블랙실드 그룹은 호루스 헤러시 종결까지 살아남아 제108 독립중대로 재편되었고, 모르투르그는 캡틴으로 진급하여 부하들을 이끌고 구울 스타즈 인근의 감시 기지에 주둔하게 된다.[13] 마지막 행적은 애신 클로가 구울 스타즈 일대에서 '제2차 대성전'을 수행하고 있다는 아스트로패스 메세지 파편을 입수한 것이었으나, 비슷한 다른 이들과 마찬가지로 제108 독립중대의 최후는 불명확하다. - 아이언 워리어 제77대중대
워스미스 키르 발렌이 이끄는 2,800명 규모의 분견대로, 대성전 도중 은하 곳곳으로 파견되었던 수많은 군단 분견대 중 하나였다. 이들은 본대에서 워낙 멀리 떨어져 있어 호루스 헤러시의 발발과 이스트반 III, 이스트반 V에서 벌어진 참극도 모르고 있었으나, 충성파 메카니쿰의 보급 행성인 파라마르 V의 궤도에서 우연히 배반자 알파 리전 함대와 마주치며 군단의 배신을 알게 되었다.
이들은 반역에 동참하기를 거부하고 파라마르 V의 메카니쿰과 연합하여 배반자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으나, 압도적인 수적 열세로 인해 결국 패배했고 파라마르 V는 호루스의 손에 넘어가 반역자들의 보급기지로 쓰이게 된다. 중상을 입은 키르 발렌을 비롯한 소수의 충성파 생존자들이 행성 지하시설로 후퇴하여 저항을 이어갔다고 하나 이들의 이후 행적과 최후는 불분명하다. - 모르칸 사일의 블랙실드 그룹
모르칸 사일은 레이븐 가드의 스트라이크 센추리온 출신으로, 레이븐 가드가 주축이 된 블랙실드 그룹을 이끌고 이스트반 V의 충성파 생존자들을 추격하던 선 오브 호루스 함대를 기습 공격했다. 전장이 되었던 10만여 명의 주민을 수용하던 궤도 하이브는 전투 끝에 바다 행성에 추락했으며, 모르칸 사일을 포함하여 블랙실드 구성원의 절반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태양계 시간 기준 수십년 이후에도 모르칸 사일을 비롯한 이들이 전투 이후로도 살아서 활동했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어 정확한 최후는 불확실하다. - 진정한 불꽃
빈사카르라는 출신 불명의 리더가 이끄는 블랙실드 워밴드로, 검은색과 청동색 갑주 도색과 불꽃이 타오르는 성배 문양을 썼다. 베타-가몬 전역 중 116 미노리스-가몬 행성에서 충성파와 연합해 싸워 승리를 거뒀다. 그러나 이후 제국군 본대에 합류하는 것은 거절하고 생귀니우스의 허가를 받아 116 미노리스-가몬의 방어를 위해 주둔했는데, 얼마 뒤에 홀연히 사라졌으며 이후로는 행적이 묘연하다. 제국군을 돕기는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자신만의 대의를 추구하던 무리로 보인다. - 명칭 불명의 데스 가드 블랙실드 그룹
상세한 기원과 행적은 불명이며, 키브론 행성 전역과 '말린체의 함락' 전투에서 데스 가드 군단의 전신인 더스크 레이더즈의 도색과 상징을 달고 아이언 워리어 반역자들과 맞서 싸운 이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 명칭 불명의 선 오브 호루스 블랙실드 그룹
전사자에게서 벗겨낸 갑주를 도색도 지우지 않고 입고 다녔던 것이 특징이던 이들로, 감마-드발린 행성에 봉인되어 있던 금지된 스테이시스 무기들을 탈취하여 란타나-마이너 행성에서 반역파 소속 선 오브 호루스 제38중대에 대한 자살공격에 사용했다. 고대의 스테이시스 무기는 행성의 한 대륙 전체를 찢어버렸으며, 무기를 사용한 이들과 무기의 표적이 된 이들 모두가 그 자리에서 죽었다.
- 반역파
- 스카이라의 다크 울프즈
카드레 캡틴 스카이라가 이끄는 스페이스 울프 제6 대중대였던 이들로, 알 수 없는 이유로 호루스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고 일부 선 오브 호루스 부대와 통합해 카오스 세력으로 전향했다. 처음에는 호루스에게 복속한 은하 서부의 몇몇 행성들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네오 카디스 행성에서 거주민들을 남김없이 학살한 뒤로는 학살과 약탈에 맛들려 반역파의 기치에서 반쯤 벗어났다. 심지어 호루스의 테라 집합 명령도 무시하고는 주변 행성계들을 돌며 학살을 이어갔으며, 헤러시 이후 제국의 토벌에도 불구하고 일부 잔당이 수 천년을 살아남아 M38 후반기까지도 제국과 충돌한 기록이 남아있다. - 하시크를 비롯한 화이트 스카 본대 내 반역파
에레부스가 화이트 스카 내에 심어둔 사조직에 가입했던 이들로, 군단원의 거의 반수 가량이 여기에 속했을 정도로 숫자가 많았다. 이들은 자가타이 칸이 호루스에게 합류하기를 원하여 내분을 일으켰으나 자가타이 칸이 직접 하시크를 처단하자 항복하고 프라이마크를 따르기로 한다. 이후 테라로 향하던 화이트 스카 함대가 반역파 대함대와 맞닥뜨리자, 이전에 내분을 일으켰던 이들이 지휘하던 함선들은 속죄를 위해 반역파 함대에 돌격하여 처절한 싸움을 벌이다 모두 격침되었고, 이들이 벌어준 시간 덕에 화이트 스카 본대는 추격을 뿌리치고 테라로 향할 수 있었다. - 화이트 스카 분견대 '깨진 방패의 형제단'
호루스의 대의에 동참하여 트라마스 성전 당시 콘라드 커즈와 나이트 로드 측에 합류했던 이들로, 화이트 스카답게 독재자이자 폭군인 황제보단 호루스의 대의가 더 낫다 여겨 반역파에 합류한 자들이었다.
그러나 트라마스 성전 과정에서 이들이 본 것은 나이트 로드가 민간인이건 포로건 닥치는 대로 고문하고 살육하는 것이었고, 나이트 로드를 뜯어말리며 민간인과 포로를 보호하며 호루스가 주창한 대의는 온데간데 없다는 것을 깨달아 전향을 결심한다. 이후 트라마스 성계에 다크 엔젤이 도착하여 나이트 로드와 큰 전투가 벌어지자, 전투 도중에 나이트 로드의 뒤통수를 치고 라이온 엘 존슨에게 항복하여 충성파로 전향했다.
이후 트라마스 성계 수복 과정에서 스스로를 거대한 기계로 개조한 다크 마고스와 싸우던 라이온이 위기에 처하자, 반역을 속죄하기 위해 스스로를 희생하여 행성의 발전기 시스템을 파괴해 마고스를 무력화시키고 모두 전사했다. - 명칭 불명의 레이븐 가드 블랙실드
호루스의 눈을 새긴 특징 없는 Mk.VI 코르부스 파워 아머를 입고, 잿빛 피부와 검은 눈을 가진 이들이었다고 한다. 'The Ash-Blind of Euros' 캠페인에서 가스 행성 궤도에 위치한 충성파의 궤도 요새들을 추락시켜 2천만 명이 넘는 민간인을 살해한 기록이 남아있다. - 게라센 호스트
헤러시 중반에 등장한 대규모 블랙실드 그룹으로, 금지된 진 시드 조합의 결과로 탄생한 이들로 추정된다. 이들 본인들도 스스로의 기원을 몰랐으며, 풍화되어 까진 파워 아머 도색 아래에는 어떠한 군단의 문양이나 도색도 발견되지 않았다. 어찌되었든 반역파의 대의를 따라 활동했으며, 사용하는 전략은 엠퍼러스 칠드런과 데스 가스 군단의 것이었다고 한다. 트리브 성계 전역에서 학살과 약탈을 벌이다 샐러맨더 군단의 대규모 병력이 나서 패퇴시켰다. - 제3의 언약
은하계 북부에서 활동했던 블랙실드 그룹으로, 비밀주의 컨셉에 잡아먹힌 이들이다. 표면적으로는 호루스의 대의를 따르는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다른 주인을 섬기며 자신만의 목적을 위해 행동했다. 테라에서도 이들의 정체와 목적을 밝히기 위해 조사를 진행했으나 구성원들이 각자의 출신을 감추기 위해 이름도 갈아치우는 등 온갖 노력을 다 기울였기에 끝내 실패로 돌아갔다. 호루스 헤러시 말엽에 은하에서 사라졌는데 정확한 경위는 불명확하다.
- 독립
- 다크 브라더후드 - 다크 엔젤 출신으로 추정되는 '네메아의 약탈자'가 이끄는 혼성 블랙실드 그룹으로, 페일 스타즈[14]의 Eridayn Cataract 삼중성계의 빽빽한 소행성단을 거점으로 삼고 해적 왕국을 세웠다.
한동안 다른 해적 세력을 일소하고 주변 행성계를 털어먹으며 잘 사는가 싶었지만, 이윽고 찾아온 호루스의 사절이 제안한 반역파 합류를 거절하자 성계 복속에 방해되는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알파 리전이 파견된다. 알파 리전은 인근 행성들의 거주민들을 선동하고 징집하여 대규모 민병대를 조직했고, 다크 브라더후드는 철저한 게릴라전과 대량 살상 전략으로 대응한다. 이로 인한 수없이 많은 죽음은 안 그래도 루인스톰의 영향권에 있던 페일 스타즈를 워프에 완전히 잠기게 만들었으며, 페일 스타즈의 수많은 거주 행성들이 갑자기 나타난 악마들과 광기에 휩싸인 폭도들에 의해 피바다가 되었다. 여기에 더해 워프 폭풍에서 표류하다 흘러들어온 블러드 엔젤과 화이트 스카 분견대가 다크 브라더후드와 연합해 알파 리전에 맞서며 전황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런 와중에 네메아의 약탈자를 나이트 에런트에 영입하라는 말카도르의 밀명을 받은 나타니엘 가로가 워프 폭풍을 뚫고 찾아왔다. 가로에게 대강의 사정을 들은 블러드 엔젤과 화이트 스카 분견대는 끝까지 반역자들과 싸우기로 결정하고 먼저 자리를 떠났고, 네메아의 약탈자는 나이트 에런트에 합류하기로 결정한다. 이후 다크 브라더후드는 내분 끝에 여러 부관들이 이끄는 워밴드로 쪼개져 워프 폭풍 속에서 알파 리전과 교전을 벌이다 실종되었고, 네메아의 약탈자는 가로와 합류하여 테라로 향한다.[15] - 애신 클로
본래 레이븐 가드 군단의 18챕터였던 이들로, 대다수가 테라 출신의 군단병이라는 특징이 있었다. 코르부스 코락스는 테라 출신 군단원들의 흉포한 성향 때문에 이들을 몹시 싫어했는데, 대성전 도중 '42번 관문 전투'로 테라 출신 군단병 대다수가 몰살당하자 남은 테라 출신 군단병 4천여 명을 18챕터에 몰아넣고는 은하 변방의 인외마경인 구울 스타즈로 유배에 가까운 원정을 보내버린다.
가서 싸우다 죽으라고 치워버린 것에 가깝지만, 이들은 극도로 적대적인 환경 속에서도 어떻게든 외계 세력을 몰아내고 '아타르가티스 프라임' 행성을 개척해 모성으로 삼았다. 호루스 헤러시 발발 이후에는 황제와 호루스 모두를 혐오하여 충성파와 반역파 양측 모두를 공평하게 약탈했는데,[16] 세력이 상당히 강성했는지 그 노스트라모를 약탈하고 나이트 로드의 대규모 분견대를 박살내버린 전적도 있을 정도다.
호루스 헤러시 이후에는 은하계 변방에서도 제일 변방에 처박혀[17] 있던 덕에 레니게이드 챕터로 찍히긴 했어도 제국에게 거의 잊혀졌으며, 덕분에 헤러시 전후의 대규모 반역파 사냥에서도 살아남았다.
{{{#!folding [ 애신 클로의 40K 시점 현황 펼치기 · 접기 ]
헤러시 종전 이후론 자신들만의 '제2차 대성전'을 벌여 모성을 포함해 총 5개 행성계를 영토로 삼았으며, 그 뒤로는 거의 현상 유지에 주력하고 있다. 외부 활동은 제국 행성들을 소소하게 약탈하는 정도에 그쳤기 때문에 제국군과 별다른 큰 충돌은 없었으며, 카르카로돈스 챕터를 비롯한 몇몇 충성파 세력과도 오래 전부터 비밀리에 거래를 트고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나름대로 원만하게 지내는 편이다.[18]
레니게이드기는 하지만 제국과 그런대로 원만하게 지낼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이들이 무려 만 년 동안이나 현실 우주에서 버티면서도 카오스에는 전혀 타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들이 쫒겨난 계기가 된 42번 관문 전투부터가 호루스가 레이븐 가드를 총알받이로 쓴 전투이며, 호루스 헤러시 당시 배반자들이 어떻게 망가지는지를 다 지켜봐서 그런지 제국보다 카오스를 더 싫어하고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을 노예나 괴물로 여기며 극도로 혐오한다.
41번째 천년기에 이르러선 여전히 수 천명 규모에 달하기는 하지만 철저한 고립주의 기조와 구울 스타즈의 적은 인구로 인해 전성기에 비해 숫자가 줄었다고 한다. 제국을 두려워하여 최근 한동안은 십일조를 내는 제국 행성을 아예 건들지도 않았다고. 현지인들과 동화되어 문화도 크게 바뀌었는데, 사람이 귀한 변방 행성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며 아스타르테스 우월주의도 없어져 민간인들을 자신들과 동등한 존재로 대하고, 정치와 사회, 군사에 이르는 다양한 의사결정 과정에 아타르가티스의 주요 부족들이 참여하며, 챕터 마스터와 함께 행성을 공동 통치하는 여성 지도자가 있을 정도라고 한다.
800, M41에는 카르카로돈스와 합의하여 신병 후보인 소년 3,000 명과 군사적 지원(진스틸러 소탕 공동작전)을 제공하는 대가로 기술과 무기, 진 시드를 받았다. 형편이 아주 넉넉한 것은 아니지만 이 정도면 현실 우주에 있는 비제국 인간 세력 중에서는 상당히 사정이 괜찮은 편에 속한다.}}} - 코락의 데스 가드 블랙실드 그룹
코락(Khorak)은 데스 가드 군단의 베테랑 서전트이자 데스슈라우드의 일원으로, 이스트반 III 숙청과 이스트반 V 학살까지도 반역파로서 모타리온을 따랐다. 그러나 몰렉 전투 이후 모타리온이 그렇게 싫어하던 사이킥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큰 배신감을 느꼈고, 자신에게 동조하는 무리를 이끌고 군단에서 이탈해 모타리온을 죽이겠다고 맹세했다. 이후로도 사이킥 금지라는 원칙을 지키는 자신들이 14군단의 진정한 후계자라고 여겨 갑주의 도색을 바꾸지 않았다고. 이렇게 배반자 군단에 반기를 들기는 했으나, 그저 데스 가드를 적대할 뿐 충성파는 아닌 애매한 이들이다.
이후 모군단과 몇번 충돌하며 우여곡절을 겪은 뒤, 지나가다 만난 미상의 블랙실드 함대를 무턱대고 추격하다가 아가비안 행성 궤도에서 역공을 당해 함선이 격침당하고 행성에 불시착한다. 그가 조우했던 함대는 크리소스 모르투르그의 충성파 블랙실드 그룹이었는데, 이후 모르투르그가 대화를 위해 사이킥 환영을 보낸 것을 보자 이스트반 III에 생존자가 있을 리 없고 모르투르그는 유령이라고 결론짓고는 공격을 재개했다가 전원이 아가비안 행성에서 최후를 맞았다. - 나인 블레이드
기원 불명의 블랙실드 워밴드로, 물자를 약탈하고 노예를 구하는 데에만 관심이 있던 자들이라고 한다. 트루안 시스템에서 벌인 대규모 약탈이 기록에 남아 있으며, 테라 의회에서 살인자이자 해적으로 선언되었다. - 엄브랄 헌드레드
나인 블레이드와 유사하게 약자를 착취하고 물자를 약탈하는 것을 즐기던 자들이다. 촌마 섹터 남부에 위치한 12개의 행성계를 휩쓸었던 것이 이들이 벌인 주요 사건이다. - 컴퍼니 오브 더 선더드
상세한 교전 기록은 없으나 '분열된 이들의 중대'라는 이름 그대로 제국에서 독립하기를 원하며 약탈과 해적질을 하던 이들이다. 테라 의회에서 살인자이자 해적으로 선언되었다.
3. 헤러시의 전조
3.1. 통합 전쟁
|
Unification Wars 통합 전쟁 시기 보병[19] |
결과적으로 온갖 군벌이 난립하며 혼란스럽던 테라가 통일되고 재건되었으며, 화성 조약(Treaty of Mars)이 체결되어 기계교단이 제국의 든든한 뒷배가 되었고, 황제는 이를 기반으로 은하 정복을 시작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통합 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통합 전쟁#|]][[통합 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대성전
|
Great Crusade 스페이스 마린들 앞에서 연설하는 황제 |
황제가 인류제국을 통해 전 은하의 인류를 하나로 규합하고 외계종족들을 소거하기 위한 전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성전(Warhammer 40\#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성전(Warhammer 40\#|]][[대성전(Warhammer 4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울라노르 성전
|
Ullanor Crusade 오크 군대와 싸우는 황제와 호루스 |
M30 초기, 울라노르 성계에서 벌어진 오크들과의 대규모 전쟁.
이 전쟁의 승리로 호루스 루퍼칼은 워마스터(Warmaster)에 임명되고, 그의 군단은 '루나 울프(Luna Wolevs)'에서 '선 오브 호루스(Sons of Horus)'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라노르 성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라노르 성전#|]][[울라노르 성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니케아 공의회
|
Council of Nikaea 군중들 앞에서 항변하는 마그누스[20] |
대성전 후기인 M31, 001년. 라이브러리안 병과와 제국 내 사이커들을 둘러싼 대 회의.
마그누스와 사우전드 선에 대한 기소 사건이기도 하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니케아 공의회(Warhammer 40\#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니케아 공의회(Warhammer 40\#|]][[니케아 공의회(Warhammer 4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5. 다빈의 달 전투
<colbgcolor=#DDDDDD><colcolor=#004a17> |
Battle of Davin's Moon 너글의 좀비떼와 교전 중인 선 오브 호루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빈의 달 전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빈의 달 전투#|]][[다빈의 달 전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6. 웹웨이 전쟁
<nopad> |
Webway War 친위대 '탈론 오브 디 엠퍼러'를 이끌고 웹웨이를 방어하는 황제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웹웨이 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웹웨이 전쟁#|]][[웹웨이 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7. 프로스페로의 몰락
<nopad> |
Burning of Prospero 프로스페로의 티즈카 시로 진군하는 리만 러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스페로의 몰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스페로의 몰락#|]][[프로스페로의 몰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헤러시의 전개
대표 전투 사례4.1. 이스트반 III 전투
|
Heresy Unbound |
이스트반III 전투를 재현한 디오라마 |
프로스페로의 몰락이 널리 알려지기도 전, 이스트반 III 행성의 통치자가 갑작스레 제국에서 분리독립을 선언했다. 황제는 이를 처벌하지 않으면 주변의 다른 항성계에도 그 영향이 미치리라고 판단했고, 호루스에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반란을 진압하라고 명했다. 그러나 이 때까지도 황제는 카오스가 워마스터를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은 알지 못했다.
호루스는 이스트반 III의 반란을 이용해 반역을 결의한 군단 내부의 충성파들을 쓸어버리기로 작정했고, 이스트반(Isstvan) 항성계는 그렇게 반란의 서막이 오른 장소가 되었다. 숙청 명단을 작성한 결과, 데스 가드의 9만 5천명 중 1/3보다 약간 못 미치는 수를, 이스트반 III로 향한 월드 이터의 3/4 중 1/3을, 충성파가 가장 많았던 엠퍼러스 칠드런의 프라이토르 11명 중 5명과 엠퍼런스 칠드런 군단의 11만명 중 4만명이 살생부에 올랐고, 그렇게 충성파로 선별된 병력만이 행성에 내려보내졌다.
100개가 넘는 엠퍼러스 칠드런, 데스 가드, 월드 이터 그리고 선 오브 호루스의 중대들은 압도적인 수와 화력으로 이스트반 III의 반란군을 순식간에 밀어붙였고, 행성 수도의 왕궁까지 제압했다. 그렇게 승리 선언만을 남겨둔 순간, 행성 궤도에 있던 호루스의 함대에서 갑작스럽게 바이러스 폭탄을 투하했다. 생명포식자(life-eater) 바이러스는 땅 위에 있는 모든 유기물을 집어삼켰고, 곧이어 화염 폭풍이 행성을 휩쓸면서 모든 대륙과 도시가 불에 타 폐허가 되었다. 80억의 영혼들이 단말마와 함께 죽었고, 이는 순간적으로 아스트로노미칸보다도 더 밝은 파문을 일으켰다. 이제 호루스가 카오스 신들의 소유가 되었다는 신호였다.
하지만 행성 궤도 상의 호루스의 함대에도 소수의 충성파 마린들이 잔존해 있었고, 이들이 다급히 보내준 경고 덕에 지상에 있던 군단병의 2/3 정도가 벙커나 지하시설 등으로 제때 대피하여 살아남았다. 호루스는 지상전을 벌이지 않고 재차 궤도 폭격을 가해 살아남은 충성파 병력들까지 완전히 제거할 계획이었으나, 앙그론이 돌발적으로 50여 중대 규모의 월드 이터 배반자 마린들을 이끌고 행성에 강하해 지상전을 벌이기 시작하여 이는 무산되었으며, 앙그론을 따라 다른 군단들도 병력을 내려보내어 본격적인 지상전이 시작되었다.
지상의 충성파 마린들은 자신들을 공격하는 앙그론의 존재를 보고 이것이 사고가 아니라 배신임을 확신하게 되었고, 엠퍼러스 칠드런의 사울 타비츠를 중심으로 뭉쳐 밀려오는 반역자들에게 맞선다. 이들은 병력과 화력, 보급 등 압도적인 열세 속에서도 배반자들의 무기를 노획해가며 처절하게 싸웠고, 반역파 군세에게 큰 피해를 입히며 무려 3개월 간 저항을 이어나갔다. 결국 인내심이 바닥난 호루스는 앙그론을 비롯한 반역파 병력들을 다시 함대로 불러들이고 바이러스 폭탄을 재차 투하해 이스트반 III에 잔존한 충성파 병력을 완전히 제거한다.[21] 이것을 도화선으로 인류제국은 거대한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앙그론이 지상으로 갑작스럽게 강하하고 궤도의 함대가 지상의 충성파 마린들을 향해 폭격을 퍼붓는 사이, 지상으로 배치되지 않았던 데스 가드의 나타니엘 가로과 월드 이터의 메이서 바렌, 선 오브 호루스의 이악톤 크루즈 등 소수의 충성파 마린들이 추격대를 따돌리고 함선을 탈취해 호루스의 함대에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호루스의 반란을 경고하기 위해 즉시 테라로 향했으나, 다가오는 잔혹한 행위를 막을 수는 없었다.
초기 인류제국 도처에서, 호루스와 비밀리에 결탁한 수많은 병력들이 지휘관의 결정에 따라 돌변하여 과거의 동료들을 공격하였다. 화성에서는 테크프리스트들이 금지된 무기를 서로에게 겨누며, 권력을 위한 처절한 투쟁을 시작하였다. 이로써 제국의 오래된 불화가 되살아났고, 야심찬 행성지배자들에게는 분리 독립의 기회가 되었다.
호루스의 반란이 전해지자 황제는 경악을 금치 못하였고, 최소한 7개의 군단이 워마스터를 체포하고 반란군을 처부술 것을 명하였다. 황제의 주저함은 그에게 엄청난 대가로 돌아왔고, 충성파 프라이마크들은 중요한 몇 달을 반격을 준비하는데 소모하였으며, 호루스와 반란군들은 제국의 동부 변경(Eastern Fringe)를 점령하여 자신들의 수중에 놓고 테라로 진군하기 시작하였다.
이스트반 III의 죽음
4.2. 화성의 분열
워마스터 호루스 루퍼칼의 조력으로 화성 내의 권력 중심부, 올림푸스산의 포지 마스터이자 화성의 제조장관으로 등극한 켈보르 할이 황제와 옴니시아의 일치성을 부정하며 인류제국으로부터 화성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화성의 분열 Schism of Mars'이라 일컬어지는 이 사건은 켈보르 할을 중심으로 한 다크 메카니쿠스 반역파 진영과 충성파 기계교 진영, 그리고 충성파와 함께하는 임페리얼 피스트 부대 간의 잔혹한 내전의 서막이었다.시기상 헤러시 내전 초기에 발생한 사건이었으나 그 자체로 엄청난 고가치 목표물이었던 화성을 둔 내전은 호루스 헤러시 말미까지도 지속되었다가 이후 테라 내부에서 벌어진 기계교 충성파 측의 무력시위 이후 인장관 말카도르의 중재로 인해 인류 제국 정부는 화성 내의 반역에 대한 전폭적인 진압을 실시하였고 끝내 반역파 진영의 도주로 화성 내전은 끝을 맞이한다. 해당 내전에선 그 커스토디안 가드들도 100명 가량의 중대 단위로 파병되며 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켈보르 할이 유용한 온갖 전쟁 병기들, 그리고 악마 들린 생산장치들이 만들어낸 사악한 데몬 엔진들과의 전투에서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했다.
4.3. 이스트반V 강하지점 학살
|
The Dropsite Massacre Of Isstvan V |
이스트반V 학살을 재현한 디오라마 |
타락한 워마스터의 군세는 이스트반 V를 지휘소로 선택하고 집결하여 행성을 요새화하기 시작했다. 이스트반 V 상공에서 작전 회의에 참가한 세바타는 충성파를 규탄하는 로가의 웅변을 듣고 분위기에 동해 “거짓된 황제에게 죽음을. (Death to the False Emperor.)”이라는 말을 나즈막히 하였고, 이 말은 해당 시점부터 반역파 전체의 구호가 되었다.
이윽고 충성파 군단 연합군의 대함대가 이스트반 V 궤도에 집결했고, 아이언 핸드, 샐러맨더, 레이븐 가드가 선발대로 행성에 강하했다. 그러나 어째서인지 호루스는 이들의 강하 지점을 정확히 알고 있었고, 기습 공격을 가하여 막 강하한 세 충성파 군단에게 큰 피해를 입힌다.
특히 이 때 아이언 핸드는 엠퍼러스 칠드런에게 공격을 당했는데, 프라이마크 페러스 매너스는 과거의 절친이었던 펄그림에게 극도로 분노하여 적진 깊이 파고들어 일기토를 벌였으나 결국 패하여 목이 잘려 죽었고, 호루스 헤러시에서 처음으로 사망한 프라이마크가 되었다. 프라이마크를 잃은 아이언 핸드 군단은 분노와 좌절 속에서 대다수가 사망하였고, 극소수만이 프라이마크의 시신도 수습하지 못한 채 후퇴하였다. 이후 페러스 매너스의 머리는 호루스에게 전리품으로 바쳐진다.[24]
강하 지점을 미리 알고 있던 반역파 군단의 기습에 큰 피해를 입은 3개의 선발대 군단은 예비대인 아이언 워리어, 나이트 로드, 워드 베어러 그리고 알파 리전이 구축한 방어선으로 후퇴한다. 그러나 예비대라고 생각했던 이들 4개 군단은 호루스와 사전에 결탁한 반역자들이었고, 후퇴해오는 충성파 군단에게 총구를 겨누고 포화를 쏟아냈다. 즉, 애초에 이스트반 V에 집결한 11개 군단 중 충성파는 셋 밖에 없었던 것이다. 앞뒤로 적들에게 포위당한 3개의 충성파 군단은 몰살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고, 페러스 매너스가 전사한데 이어 샐러맨더 군단의 프라이마크 불칸마저 전술 핵무기 폭발에 휘말려 포로로 잡히고 만다.
우주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아군이라고 생각했던 함선들이 갑자기 영거리에서 포화를 쏟아내자 충성파 군단의 함선들은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격침당했다. 인류제국의 가장 큰 함급인 글로리아나급 전함 중 레이븐 가드 군단의 기함인 황제 폐하의 그림자(Shadow of The Emperor)가 이 때 격침되었으며, 샐러맨더 군단의 기함 염화(Flamewrought)와 아이언 핸드 군단의 기함 철권(Fist of Iron)도 이 때 격침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상에서 다급히 퇴각하는 충성파 병력을 회수하여 탈출할 수 있었던 함선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이스트반V 집결 당시 충성파 3개 군단의 병력은 도합 30만에 가까운 규모였으나, 이들 중 이스트반V를 살아서 탈출한 자들은 3개 군단을 합쳐 고작 2만 명 남짓한 군단병과 레이븐 가드의 프라이마크 코르부스 코락스 뿐이었다. 군단 편제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가 된 이들 3개 군단은 호루스 헤러시가 종결될 때까지도 전성기 규모의 반의 반만큼도 회복하지 못하였으나, 분노와 증오로 가득 차 '벤전스 포스'라는 소규모 부대 단위로 흩어져 반역파 군단의 보급선과 분견대를 공격하고 호루스에게 가담한 행성에 익스터미나투스를 날리는 등 게릴라전과 사보타주를 통해 반역파를 괴롭힌다.[25]
이윽고 인류제국은 본격적인 내전에 휩싸이게 된다. 모든 곳에서 충성파와 반란군은 서로를 파괴하려 하였고, 인류 전체의 몰락으로 향할 갈등이 절정에 달했다. 호루스는 3개의 충성파 군단을 무력화시켰으며 자신의 스페이스 마린들, 카오스의 악마 동맹들, 그리고 타이탄 군단의 절반이 그의 뒤에 있는 지금이 결정적인 시기(time was of the essence)라고 느꼈다. 테라로 향하는 탄탄대로가 열린 듯 보였고, 그는 인류제국을 영원히 파괴하기 위해 모든 힘을 집결하여 테라로의 진군을 시작한다.
출처 : < Mythos Angelica Mortis >
4.4. 파라마르 전투
태양계 구역 북부 외곽에 위치한 파라마르(Paramar) 행성계는 제국 원정함대의 집결지이자 보급 주요 거점으로, 이스트반 대학살 직후 반역파 진영에 의해 습격당하였다. 고도의 전략과 전문성, 정숙함이 요구되는 작전에 제격인 알파리우스가 이끄는 알파 리전이 주축이 된 파라마르 전투는 알파 리전 특유의 정밀함과 전문성이 빛을 발하였다.파라마르 행성계를 오가는 여러 함선들을 나포하고 매수하며 반역에 대한 소식을 듣지 못 한 채로 대성전을 수행 중이던 여러 군함들은 어느새 반역의 전초가 되어 타락을 제국 곳곳에 실어날랐다. 이후 알파 리전은 파라마르 행성계에 도착하여 워프 속에서의 난류에 휘말리는 바람에 이스트반 V로 향하던 제국 징벌함대에서 분리되었으며 재보급과 지원을 요청, 대규모의 알파 리전 함대가 파라마르 V로 향했다.
4.5. 칼스에서의 배신
이스트반 행성 학살극 이후, 호루스 루퍼칼은 충성파 군단 중 가장 큰 규모를 지닌 울트라마린과 로부테 길리먼을 가장 위험한 방해물이라고 선언하였다. 그리고 모나키아 사건[26]으로 인해 그들에게 복수의 칼을 갈고 있던 로가 아우렐리안과 워드 베어러에게 울트라마린을 공격할 것을 명령한다.이 때까지도 로부테 길리먼은 호루스의 반역 소식을 전해듣지 못하고 있었으며, 호루스는 이를 이용해 워마스터의 자격으로 길리먼과 그의 군단들을 울트라마 섹터의 행성들 중 하나인 칼스에 집결하도록 명령한다. 길리먼과 울트라마린 군단은 베리디안 행성계(Veridian System)의 잔존 오크 무리들을 처리하기 위해 부른 워마스터의 명령을 순전히 권위를 내세우기 위한 정치적 쇼이며, 워드 베어러 군단과 자신들을 한데 모은 것은 모나키아 사건 이후 서로 간의 앙금이 쌓인 관계를 원만히 하고 명예를 회복시키기 위함이라고 좋게 생각하였다. 울트라마린 군단의 22개 챕터 중 20개 챕터가 칼스로 총집결하였다.
칼스에 먼저 도착한 로가 아우렐리안과 그의 병사들은 행성계 외곽에 위치한 통신망들을 파괴하고 자신들을 밀고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이들을 도륙하였다. 칼스 행성에 울트라마린들이 착륙하였고, 워드베어러 군단은 잔혹한 인신공양 의식을 실시하며 울트라마린 군단원들을 도륙할 준비를 하였다. 이를 감지한 울트라마린의 사이커들은 대부분 두통을 느꼈고, 복스망 너머에서는 사악한 기도소리가 들려왔으나 니케아 칙령에 의해 사이킥 감지 능력을 차단하게 된 사이커들은 단순히 두통이라 생각하였고, 기도소리는 그저 항성의 플레어 폭발에 의한 잡음 정도로 생각하였다.
울트라마린 순양함 사모트레이스Samothrace 호에 탑승한 소롯 츄레Sorot Tchure 휘하의 워드베어러 병력들이 전투 직전, 호노리우스 루시엘(Honorius Luciel)과 그의 병사 17명들을 사살하며 첫번째 희생양이 되며, 곧 워드베어러와 울트라마린 사이의 대규모 난전이 펼쳐지기 시작하였다. 칼스 전투의 시작이었다. 곧장 울트라마린 함대를 향한 대규모 포격과 악마 소환을 이용한 승함 공격에 글로리아나급 전함 마크라그의 영예를 포함한 함선 대다수가 크고작은 피해를 입어 마비되었다. 갑작스러운 공격에 크게 당황한 로부테 길리먼은 처음에는 울트라마린 군단에게 자기방호를 위한 응사 명령만을 내렸으나, 곧이어 날아온 로가의 조롱으로 이것이 처음부터 계획된 완벽한 기습공격이라는 사실을 깨닫고는 욕설과 저주를 퍼붓곤 워드베어러와의 제한없는 교전을 허가하며 아래와 같은 통신을 보낸다.
"콜키스의 로가여. 내 결정을 말해주마."
"첫 번째: 이제 나는 엄숙하고 진지하게 선언하노니, 네놈과 네놈의 애미없는 호로새끼들과의 휴전을 영구히 취소하는 바이다."
"두 번째: 이제 네놈은 더 이상 나의 형제가 아니다. 나는 너를 찾아내서, 죽여버린 다음, 네놈의 썩은 시체를 지옥의 아가리에다가 처박아버릴 것이다."[27]
로가에 대한 최후통첩
로가와 워드베어러 군단은 초반의 기습에 성공하였으나, 울트라마린 군단은 이런 사건에 쉽게 무너질 군단이 아니었고, 길리먼 역시 혼란과 분노에 이성을 잃지 않고 로가에게 최후 통첩을 날린 이후, 로가가 마크라그의 영예 호 함교에 소환한 악마를 소탕하고 워프 우주에서 복귀하였다. 로가는 울트라마린 군단의 발이 묶인 틈을 타 군단의 주력을 이끌고 울트라마 섹터 심층부로 향하였으며, 이들의 처리는 코르 파에론과 그의 참모들이 대신 하게 되었다."첫 번째: 이제 나는 엄숙하고 진지하게 선언하노니, 네놈과 네놈의 애미없는 호로새끼들과의 휴전을 영구히 취소하는 바이다."
"두 번째: 이제 네놈은 더 이상 나의 형제가 아니다. 나는 너를 찾아내서, 죽여버린 다음, 네놈의 썩은 시체를 지옥의 아가리에다가 처박아버릴 것이다."[27]
로가에 대한 최후통첩
기습 초기의 인상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대對 스페이스 마린 전술을 연구하였던 서전트 에오니드 티엘과 마리우스 게이지를 주축으로 한 울트라마린 지휘부는 우주에서 악마와 워드베어러 병력들을 소탕한 이후 마크라그 영광의 통신 및 지휘 능력을 복구한 뒤 칼스 지표면과 연락한다. 지표면에 있는 울트라 마린 병력들과 보조군, 기계교 병력들은 워드베어러의 대대적인 기습공격에 의해 고립되어 적들에게 압도되고 있던 상황이었으나, 함선들의 파괴보단 나포를 중심으로 한 워드베어러의 전술과 코른 파에론의 지리멸렬한 지휘로 인해 우주전의 상황을 기적적으로 역전시키는 것에 성공한다.
이후 로부테 길리먼은 코른 파에론이 점거한 우주 정거장에 50여명의 마린들과 함께 텔레포트 강습을 행했고, 코른 파에론의 사악한 요술에 의해 잠시 무력화되나 곧장 이를 파훼하고 코른 파에론의 심장 중 하나를 파괴하며 코른 파에론과 그의 친위대 갈 보르박 부대들을 물러나게 만들었다. 코른 파에론은 자신의 기함인 거짓된 황제(Infidus Imperator) 호를 타고 도주하였으나, 마크라그의 영예 호가 곧바로 추격을 시작하여 워프 우주와 현실 우주를 넘나드는 끈질긴 전투 끝에 끝내 거짓된 황제 호를 격침시켰다. 그러나 코른 파에론은 아테임을 통해 공간을 찢고 워프 우주 속의 행성인 시카루스로 도주하였다.
마크라그의 영예 호 전투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워드 베어러에 의해 노획된 칼스의 무기들과 부정한 마술은 곧 베리디아 행성계의 항성을 폭주시켰으며, 끝내 베리디아 항성은 파괴적인 항성 플레어를 발생시켜 칼스를 비롯한 행성들을 뒤덮었다. 이에 칼스의 지하계로 충성파와 반역파 모두 도주하게 되니 이는 곧 악명높은 칼스 지하 전쟁의 시작이었다.
워드 베어러는 칼스의 민간인들을 재료로 인신공양 주술을 행하여 수많은 악마들을 소환했고, 붙잡은 울트라마린 포로들과 자진한 희생양들에게 악마를 빙의시켜 포제스드 마린들을 만들어내었다. 이에 군단의 특색이었던 신중함을 버리고 무차별적인 파괴를 선택한 네메시스 디스트로이어 챕터가 반격에 나서니, 칼스 지하 전쟁은 호루스 헤러시 전쟁사 중 가장 처절하고 비극적인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 # #
4.6. 그림자 성전
울트라마린을 일시적으로 무력화시켰다 판단한 로가 아우렐리안과 워드 베어러 군단들은 코르 파에론들에 합류한 일파들과 다른 길로 나아가 앙그론이 지휘하는 월드 이터 군단과 합류, 울트라마의 500세계를 향해 진격하였다. 이후 울트라마린과 길리먼 휘하의 모병행성 아마투라(Armatura)를 비롯한 여러 영지 행성들을 초토화시키면서 진군하였으나 앙그론의 요청으로 잠시 들르게 된 앙그론의 고향 행성 누세리아에서 앙그론과 로가는 칼스 전투 이후 길리먼에 의해 지휘되는 울트라마린 군단과 정면충돌하였으며, 예상치 못 한 울트라마린들의 거센 반격에 크게 고난을 겪는다.그러나 월드 이터 측 함장 로타라 사린이 지휘하는 글로리아나급 전함 컨커러 호는 압도적인 열세임에도 노련하게 울트라마린 휘하 함선들을 무력화시키고 철저히 각개격파하였으며, 길리먼과 앙그론 사이의 일기토 중 발생한 카오스 의식으로 인해 끝내 앙그론은 데몬 프라이마크로 타락, 그와 함께 칸 더 비트레이어를 비롯해 투입된 월드 이터 군단들이 모두 코른 버저커로 변해 울트라마린 군단들을 도륙해버렸으며, 끝내 누세리아 전투는 월드 이터와 워드 베어러로 이뤄진 반역파의 승전으로 종결되었다.
이런 승리에도 불구하고 길리먼은 살아남아 치료받고 있었고 울트라마린 군단들은 모두 파괴된 것이 아니었다. 워마스터 호루스는 반역파들을 모두 홀리 테라로 집결시켜 황궁을 향한 진격을 지시하며 그림자 성전은 끝나게 된다.
4.7. 트라마스 성전
호루스는 이스트반 III 학살이 실행되기도 이전, 반역 계획을 구상하던 시기부터 로부테 길리먼의 울트라마린 군단, 생귀니우스의 블러드 엔젤 군단, 라이온 엘 존슨의 다크 엔젤 군단을 충성파의 가장 큰 전력이라 판단했다. 오랜 기간 철저히 반역을 준비하면서 호루스는 이들 세 군단을 제국군의 전열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각각의 계획을 준비했다.울트라마린 군단을 위한 계획은 워드 베어러를 이용해 칼스에서 시작하여 그림자 성전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전역이었고, 위 문단에서 볼 수 있듯 이 작전은 성공적으로 실현되어 울트라마린 군단의 병력 절반을 날려버리고 한동안 발을 묶어두는 성과를 거뒀다.
블러드 엔젤 군단을 위한 계획은 카오스 데몬들을 이용한 것이었다. 먼저 은하계 동부 변경(Eastern Fringe)에 있는 시그너스 성단(Signus cluster)에 카오스 신앙을 퍼뜨리고, 성단 전체가 악마 소굴이 되고 그레이터 데몬까지 소환되자 외계 종족 토벌을 핑계로 생귀니우스와 블러드 엔젤 군단 전체를 시그너스 성단으로 보내버렸다. 블러드 엔젤은 끝내 성단을 정화하고 탈출했으나,[28] 병력 손실도 상당했고 블랙 레이지의 첫 증세가 이 때 발현되었으며, 즉시 테라로 향하지 못하고 한동안 발이 묶이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다크 엔젤 군단을 위한 계획이 바로 트라마스 성전이었다. 호루스는 반역이 본격적으로 개시되기 전에 다크 엔젤 군단을 미리 은하의 동부 변경으로 보내 두었고, 이스트반 V에서 승리를 거둔 직후에 콘라드 커즈와 나이트 로드 군단을 보내어 다크 엔젤 군단을 공격하게 했다.
사실상의 버림패로 쓰인 것이지만, 커즈와 나이트 로드 군단은 군말 없이 호루스의 명령을 따랐다. 두 군단의 충돌은 주로 트라마스(Thramas) 섹터에서 이뤄졌는데, 이 곳에 제국의 주요 포지 월드들이 다수 존재하여 라이온으로서는 방어하지 않을 수가 없는 구역이었기 때문이다. 나이트 로드 군단은 전력에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선제적으로 트라마스 섹터를 장악하여 현지 방어군을 무력화하고,[29] 반역파 기계교와 레니게이드 사이커, 식인종 등의 반 제국 세력을 규합하여 다크 엔젤과의 전면전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더해 반역파 화이트 스카 분견대인 깨진 방패 형제단이 커즈에게 합류하면서 나이트 로드의 전력은 더욱 강화되었다.
본디 다크 엔젤이 나이트 로드보다 전면전에 강한 군단이긴 했으나, 다크 엔젤은 칼리번에 병력이 나눠져 있었고 뒤늦게 도착하는 입장이었다. 반면 나이트 로드는 거의 대부분의 군세가 트라마스 섹터에 집결하여 규모 면에서 월등히 우세한데다 사전준비까지 마치고 싸울 수 있어 커즈는 이런 상황에선 전면전도 충분히 해볼만한 싸움이라 판단했다.
그리고 몇 개월 뒤, 뒤늦게 도착한 다크 엔젤 본대는 나이트 로드 지휘관 하나를 붙잡아 상황을 파악하고는 빠르게 섹터의 주요 행성 6개를 탈환하고 방어선을 구축했다. 커즈는 이 소식을 듣자 흩어져 있던 병력을 끌어모아 아스타르테스만 10만 명에 달하는 대군을 동원하여 공세를 개시했고, 곧이어 6개 행성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침공이 시작되었다. 나이트 로드의 제1파는 숫적 우위와 기습의 이점을 이용해 다크 엔젤의 방어선을 빠르게 무너뜨렸고, 지상의 다크 엔젤 병력들은 진내사격까지 요청하며 처절하게 저항했으나 4개 행성이 얼마 버티지 못하고 함락되고 만다.[30] 4개 행성을 함락시킨 뒤, 나이트 로드는 곧바로 제2파를 구성해 라이온 엘 존슨이 직접 지휘하는 크루시블 행성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곧이어 콘라드 커즈와 12,000여명의 나이트 로드 마린들이 크루시블에 강하했고, 이어진 맹공에 크루시블의 다크 엔젤 방어선은 거의 무너지기 직전까지 몰렸다. 그러나 최전선에서 싸우던 콘라드 커즈가 가장 중요한 순간에 광증이 도지면서 아트라멘타르를 데리고 전선을 이탈해 버렸고, 이로 인해 나이트 로드는 방어선을 완전히 무너뜨리고 교두보를 확보하는데에 실패하고 만다.
라이온은 이 잠깐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병력을 체계적으로 철수시켜 재편하였고, 몸소 데스윙을 이끌고 역공에 나선다. 여기에 호응하여 모든 방어선의 병력들이 일제히 진지를 버리고 나이트 로드에게 돌격하기 시작했으며, 승리했다 여겨 방심하고 자기들끼리 슬슬 알력다툼을 시작하던 나이트 로드는 갑작스러운 반격에 공황에 빠져 도주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더해 나이트 로드의 학살과 만행에 질린 화이트 스카 분견대까지 등을 돌리고 라이온에게 합류해버렸고, 커즈는 크루시블에 강하했던 병력의 3/4을 잃고 간신히 도망쳐 나왔다.
라이온은 즉각 병력을 휘몰아 트라마스 섹터 깊숙히 전진하며 반역자들을 처단하고 행성들을 해방시키기 시작했고, 일부 행성들은 숨죽이고 있던 충성파들이 커즈가 패퇴했다는 소식을 듣자 봉기를 일으켜 자력으로 행성을 탈환해 라이온에게 넘기기도 했다. 그러나 완전히 카오스에 타락해버린 행성에선 다크 엔젤도 적잖은 피해를 보았는데, 개중 포지 월드 울란 후다의 다크 마고스는 라이온 본인이 직접 나섰음에도 크게 고전할 정도로 강대한 존재였다. 이에 반역을 속죄하고자 했던 화이트 스카 분견대가 나섰고, 이들은 다크 엔젤 병력을 후퇴시키고는 스스로를 희생하여 울란 후다 심부에 위치한 발전기 어레이를 파괴했다. 이로써 다크 마고스는 무력화되었고, 라이온이 직접 마고스를 베어내 끝장을 낼 수 있었다.
한편, 크루시블 행성에서 후퇴한 커즈는 치구알사 행성에 다시 거점을 차려 나이트 로드를 불러모음과 동시에 라이온에게 각기 두 명의 부하만 데리고 만나자고 도전장을 내민다. 라이온은 이에 응해 콜스웨인과 알라호스를 데리고 회담장으로 향했고, 커즈는 야고 제바타리온과 섕을 대동하고 나왔다. 회담은 처음에는 대화로 풀리는 듯 했으나, 이윽고 커즈가 라이온을 비방하고 분노한 라이온이 커즈에게 주먹을 날리면서 싸움이 시작되었다. 라이온은 이 때 커즈에게 목이 졸려 죽기 직전까지 갔다가 콜스웨인이 커즈의 등에 칼을 박아 간신히 풀려났으며, 알라호스는 그 동안 지원을 요청하면서 제바타리온과 섕을 동시에 상대하다가 목숨을 잃었다. 이윽고 양측 모두의 지원군이 도착해 치구알사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여기서도 패배한 나이트 로드는 뿔뿔히 흩어져 도주하기 시작했다.
이 이후로 나이트 로드는 한동안 전면전은 완전히 포기하였으나, 성전 시작부터 불어닥친 초대규모 워프 폭풍인 파멸풍(Ruinstorm)의 영향으로 다크엔젤이 대규모 워프기동을 하기 어려웠던 점을 이용하여 특기인 게릴라전과 무차별 파괴 작전을 펼치며 장장 1년 동안 다크 엔젤 군단을 붙들고 늘어졌다. 이들의 전투 방식은 다크 엔젤에게 도망치면서 한 행성에서 대량 학살과 약탈을 벌이고, 바로 다음 행성으로 건너가 또 학살과 약탈을 벌이는 그야말로 분탕질이라고 할만한 지저분한 방식이었는데, 치구알사에서 뿔뿔히 흩어져 도망친 이들을 하나하나 쫒아가 잡아죽이기가 어렵자 다크엔젤은 나이트 로드가 약탈'할' 행성을 모조리 불태워버리는 것으로 대항했다. 그러던 와중, 라이온은 한 행성에서 투출차라는 고대의 워프 유물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3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가 선객이던 타이퍼스를 쫒아내고 투출차를 입수하였다.
라이온이 투출차를 챙기러 자리를 비운 사이, 다크 엔젤의 전력 공백을 감지한 나이트 로드 군단은 다시금 커즈를 중심으로 결집하였고 라이온이 돌아올 즈음에는 대함대 수준까지 규모를 불렸다. 그러나 이어진 두 번째 회전에서, 나이트 로드는 라이온의 함정에 보기 좋게 걸려들고 만다. 다크 엔젤이 굴고라드라는 행성에서 반역파 세력이 기회를 잡았다는 내용의 미끼 정보를 흘리자, 투출차의 능력으로 대규모 함대 워프가 가능해진 것을 모르는 나이트 로드는 이 떡밥을 덥썩 물고 만 것이다. 그렇게 주력함 200척과 지원함 600척으로 구성된 나이트 로드 대함대가 굴고라드 인근에 도착한 그 순간, 투출차의 순간이동 능력으로 주력함만 300척에 달하는 다크 엔젤 대함대가 허공에서 나타나 나이트 로드 함대에게 일제사를 가했다.
기습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당하는 입장이 된 나이트 로드는 삽시간에 군단 함대의 1/4를 잃고 기함 일몰(Nightfall)도 대파되었으며, 보조 타이탄 군단 레기오 울리콘(Legio Ulricon)도 소멸해버리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그 와중에 커즈는 아트라멘타르를 이끌고 무적의 이성(Invincible Reason)에 승함 공격을 시도했다가 실패, 아트라멘타르는 12명만 남고 몰살당했고 커즈 본인도 포로로 잡히는 등[31] 막대한 피해를 입어 완전히 산산조각이 나고 만다. 잡혀간 커즈를 구출하기 위해 야고 제바타리온이 건곤일척의 승부로 두 번째 승함 공격을 감행하였으나, 그마저도 실패하고 제바타리온마저 포로로 잡히면서 나이트 로드는 구심점을 완전히 상실해버리고 만다.
결국 나이트 로드가 섹터에서 도주하며 트라마스 성전은 다크 엔젤의 승리로 마무리되었으나, 라이온 엘 존슨은 트라마스 섹터의 대부분의 행성들이 초토화된데다 군단의 병력과 함선도 상당히 손실한 피로스의 승리라 여기고 실의에 빠졌다. 이후 다크 엔젤은 병력을 나누어 라이온의 본대는 불온한 소문이 들리던 울트라마로 향했고, 청지기 콜스웨인이 이끄는 분견대는 타이퍼스를 추격하다가 결국 잡지 못하자 칼리번에서 재보급을 받고 테라 공성전에 합류했다.
한편 프라이마크와 2인자를 동시에 잃고 붕 떠버린 나이트 로드 본대는 권력다툼 끝에 겐도르 스크라이복이 섕을 죽이고 지휘권을 잡았고, 호루스의 소집령이 떨어지자 테라 공성전 참여를 위해 집결하게 된다.
4.8. 베타-가몬 전투
베타 가몬 성단은 홀리 테라와 화성이 있는 세그멘툼 솔라로 가는 주요 길목에 위치하여 기술의 암흑기 당시부터 인류 교역의 중심지로 번성했던 요충지로, 호루스 헤러시 시기에서도 태양계로 진입하려는 반역파와 이들을 저지하려는 충성파 모두에게 전략적 중심지로 취급되었다.그리고 태양계의 마지막 관문에서 호루스의 군세를 막고자 했던 충성파의 사령관 로갈 돈과, 태양계 진입의 교두보를 확보함과 동시에 충성파의 기세를 확실히 꺾고 들어가기를 바랬던 호루스 루퍼칼의 이해관계가 묘하게 일치하면서 두 군세 모두 베타 가몬에 대규모의 타이탄과 나이트, 기갑 전력을 투입하였고, 기계 신(Machine-God)들이 벌이는 전무후무한 규모의 회전이 벌어지게 된다.
- 타이탄데스 (1): 베타-가몬 전쟁, 베타-가몬 성단
- 타이탄데스 (2): 베타-가몬 성단의 행성들
- 타이탄데스 (3): 타이탄데스 연표
- 타이탄데스 (4): 레기오의 망치,니르콘 시티 이차전,공허의 끝자락에서
- 타이탄데스 (5)(완): 타이탄데스,하늘에 열린 구멍,바늘이 끊어지다
- 베타-가몬 성단 지도
너무나 많은 타이탄들이 쓰러져 후일 타이탄데스(Titandeath)라고 불리게 된 이 전투는 결국 반역파의 승리로 끝났다. 베타-가몬 전역에서 발생한 사상자 수는 대성전의 마지막 5년 간의 사상자 총합을 뛰어넘는 수준이었다고 한다. 충성파와 반역파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지만, 반역파는 자신들의 창끝 전력인 레기오 모르티스(Legio Mortis)를 온존하는데에 성공했으며, 쓰러진 타이탄과 나이트의 잔해에 카오스 데몬을 빙의시켜 '좀비 타이탄'으로 일으켜 태양계 공략에서 활용하였다.
4.9. 트리솔리안 전투
베타 가몬 전투가 한창일 무렵, 호루스 루퍼칼과 선 오브 호루스의 함대는 잠시 베타 가몬을 떠나 대부분이 포지 월드로 구성된 트리솔리안 성단으로 향했다. 트리솔리안 성단에서는 본래 내전 끝에 충성파 기계교 세력이 승기를 잡았으나, 당시 충성파 기계교 세력의 지도자였던 마고스 도미나 헤스터 에스퍼시아[32]가 갑작스레 워마스터에게 항복해버렸고, 호루스는 이 항복 서약과 충성 맹세를 받으러 행차한 것이었다.[33]허나 호루스의 기함 복수의 영령(Vengeful Spirit)에는 이악톤 크루즈를 비롯한 나이트-에런트의 공작으로 위치 추적용 룬이 설치되어 있었고, 프라이마크 리만 러스는 이를 통해 복수의 영령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전부터 호루스를 쓰러뜨리는 것이 반역파를 와해시키는 최선의 길이라 생각했던 리만 러스는 호루스의 기함과 호위함대가 반역파 본대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 파악되자 즉각 스페이스 울프 군단을 이끌고 움직였다.
군단 전력 거의 전부를 끌고 온 스페이스 울프는 중력 우물을 이용해 엄청난 속도로 가속하고, 태양 복사선을 이용해 자신들의 존재를 끝까지 숨기면서 트리솔리안 A-4 행성 궤도에 있던 호루스의 함대에 들이박다시피 돌격하여 혼란스러운 난전이 시작되었다. 이 때 다른 함대는 시선끌기에 충실했고, 호루스를 찌른다는 본 목적을 위해 스페이스 울프의 기함 흐라픈켈(Hrafnkel)이 복수의 영령에 최대한 접근하여 대규모 승함 공격을 실시했다. 곧이어 리만 러스를 비롯한 수천의 스페이스 울프가 복수의 영령에 성공적으로 승함해 대규모 백병전이 벌어진다.
러스는 복수의 영령에 가득 찬 반역파 군세를 뚫고 함교에 도달하여 호루스와 대면한다. 러스는 호루스의 회유를 일언지하에 거절했고, 두 프라이마크의 일기토가 벌어진다. 격전 끝에 러스는 황제가 하사한 창[34]으로 호루스에게 치명타를 입힐 기회를 잡았으나, 마지막 순간에 주저하여 호루스의 심장 대신 옆구리를 찔렀다. 그 순간 창의 힘으로 인해 호루스를 감싸던 카오스 신들의 힘이 걷혔고, 러스는 처음으로 카오스의 괴물이 아닌 '호루스 루퍼칼'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타락이 일시적으로 걷혔음에도 호루스는 당장 생각을 바꿔먹지 않았고, 테라로 돌아가 황제에게 치료받게 해주겠다는 러스의 제안을 거절하고 싸움을 재개한다. 이 때부터는 러스가 일방적으로 밀리기 시작했고, 결국 러스는 호루스의 파워 클로에 중상을 입고 쓰러진다. 그리고 호루스가 파워 마울 '월드브레이커'로 쓰러진 러스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하려던 찰나, 한 스페이스 울프가 몸을 내던져 호루스의 공격을 막아내고 쓰러졌고, 그 뒤로 수십이, 그 뒤로는 수백의 스페이스 울프가 필사적으로 달려와 망설임 없이 희생하며 호루스의 공격을 막아내며 러스를 지켰다.
스페이스 울프가 목숨을 내던지며 시간을 끄는 동안 비요른을 비롯한 몇몇 측근들이 의식을 잃은 러스를 끌어내어 흐라픈켈로 간신히 귀환했다. 때맞춰 복수의 영령에서 탄약고 유폭이 일어나며 일시적으로 공격이 중단된 덕에 스페이스 울프는 남은 함대를 추슬러 퇴각할 수 있었으나, 무모한 돌격과 혼란스러운 퇴각 끝에 스페이스 마린 총원의 8할에 달하는 병력을 상실하여 이후 군단 편제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피해를 입었고, 테라 방어전에도 제대로 참여하지 못했다.
호루스는 전투에서는 승리했지만 러스가 주저하지 않았다면 그의 창에 죽었을 것이라는 사실에 공허함을 느꼈다. 그리고 당장은 몰랐지만 러스의 창으로 인해 호루스의 내면에서 충성심을 가진 자아가 깨어났는데, 몇 달 뒤인 베타 가몬 전역의 막바지에 이 선한 자아와 카오스 신들의 힘이 호루스의 내면에서 충돌하면서 호루스는 갑작스럽게 쓰러져 혼수상태에 빠진다.[35]
베타 가몬 전투 이후, 태양계로 퇴각한 충성파 병력이 재편할 시간을 주지 않고 반역파가 신속하게 공세를 이어갔다면 헤러시의 마지막 전개가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그러나 호루스가 혼수상태에 빠져 반역파의 지휘체계가 일시적으로 마비되었고, 이때다 싶어 쿠데타를 계획하던 로가 아우렐리안이 다시 깨어난 호루스에게 얻어터지고 쫒겨나는 등 반역파 내에서 큰 혼란이 빚어지면서 충성파는 후퇴한 부대를 수습해 태양계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을 벌었다.
4.10. 태양계 전쟁
|
태양계 전쟁 당시의 배치도 |
황제가 웹웨이 전쟁에 온 신경을 쏟아붓고 말카도르가 그림자 전쟁을 일으킨 사이 테라와 태양계의 방어에 대한 감독은 임페리얼 피스트의 프라이마크 로갈 돈에게 맡겨졌다. 황궁의 방어가 매우 강화되었으며 전술적 방어를 위해 심미적 요소가 상당히 파괴되었다. 화성의 분열 당시 켈보르 할의 다크 메카니쿠스가 승리하여 붉은 행성을 차지하였으나 제국의 포위망이 그들을 화성에 묶어두었다.
호루스의 군대가 테라로 접근하자 돈은 연속된 구역(Sphere)을 설정하여 방어를 구성하였다. 각각의 구는 임페리얼 피스트만으로 구성된것이 아닌 충성파 임페리얼 아미와 메카니쿰도 동원 되었다. 전투의 최종 단계가 다가오자 돈은 그의 아스타르테스 대부분을 테라로 퇴각시켜 공성전에 대비했다.
제1 구는 가장 외부의 방어구역으로 명왕성과 해왕성에 걸쳐있었으며 명왕성엔 만데빌 포인트(Mandeville Point)[36]인 크토닉 게이트가 위치한 위치해 있었다. 제1 구는 퍼스트 캡틴 지기스문트가 지휘했으며 또다른 만데빌 포인트인 엘리시안 게이트가 위치한 제2 구 천왕성은 플릿 마스터 헬브렉트(Halbrect)가, 제3 구 목성은 에프리드(Efried)가, 제4 구인 화성은 시즈 마스터 캄바 디아즈가 지휘했으며 배신자들이 점령한 화성을 봉쇄했다. 이 구역은 외부의 4개 구역중 가장 큰 규모의 방어선이 구축되었으며 테라만이 이를 능가했다. 마지막으로 제5 구인 테라와 달은 로갈 돈이 직접 지휘했다.
방어군은 파죽지세로 밀려오는 배신자 군단들의 공습에 점점 뒤로 밀리기 시작했고 수많은 제물을 공양해 거행한 카오스의 의식을 동원해 우회한 함대와, 함정으로 인해 악마들의 공격을 받게 된 팔랑크스를 뒤로 물리게 되는등 온갖 거듭된 악재에 테라는 결국 배신자 군단의 공격권에 들고 만다.
4.11. 테라 공성전
|
The Invasion of Terra |
|
호루스의 군세는 계속해서 늘어났고, 그의 거대한 무리들은 Segmentum Solar로 거침없이 압박해 들어갔다. 다시 한번 전술적 명석함을 빛내보인 호루스는 황제의 군대들을 계속해서 앞서 나갔으며, 급기야 황궁으로 공격을 가한다. 이 공성전은 인류 역사상 가장 어두운 시기였다. 하늘은 카오스 드랍 포드와 드레드클로 어썰트 포드로 새까맣게 뒤덮였다. 배반자들이 수 마일에 걸친 탑들과 벽들 그리고 보루를 향해 공격하였고, 죽은 자들이 산더미처럼 쌓였다. 충성파들은 초기의 공격을 버텨냈지만, 적들이 공성준비를 마치는 것은 막지 못하였다. 기간틱 드롭쉽이 "사자의 문(Lion Gate)" 에 강하하였고 이어 다른 스타포트들이 도착하면서,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들의 제2진이 증원군으로 도착하였다. 월드 이터 군단이 첫 총공격을 감행하였으나, 며칠간의 혈투끝에 겨우 후퇴하였다.
|
황궁을 공격하는 레기오 모르티스의 디에스 이레와 좀비 타이탄[37], 배신자 나이트 무리들 |
초기 공격이 지체되자, 호루스는 그의 전사들을 대기시키고는 그가 가진 모든 종류의 무기를 동원하였다. 한달이 넘도록 아이언 워리어의 공성무기들과 "타이탄 군단 레기오 모르티스(Legio Mortis Titan Legion)"같은 기간틱 캐논들은 성벽을 두드려 댔다. 마침내 외벽이 부셔져 내리기 시작하였고, 반역자 군단들은 벽의 균열을 통해서 내궁으로 쏟아져 들어갔다. 전투의 심장부에는 프라이마크들이 서있었다. 임페리얼 피스트를 이끄는 불굴의 로갈 돈과 블러드 엔젤의 고귀한 생귀니우스는 수비군을 지휘하면서 균열을 통해 쏟아져 들어오는 적들과 절망적인 전투를 치렀다. 모타리온이 플레이그 마린을 격전지로 이끌동안, 월드 이터의 앙그론은 10여명의 충성파 마린들을 살해하였다. 반란의 군세들이 충성파 군대를 거의 몰아붙였을 때쯤, 황제는 마지막 전투가 다가옴을 스스로 알수 있었다. 인류의 마지막 시간은 다가오고 있었고, 얼마 남지 않은 용맹한 방어자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있었다. 호루스의 군단들은 막을수 없는 파도처럼 인류제국의 궁전으로 밀려들어왔다. 최후의 방어선에서 배반자들은, 카오스 신들의 구호를 외치며 그 자신들을 내던졌다. 수백 명의 타락한 공격자들이 죽어갔지만, 그들은 더이상 진군할 수 없었다.
이 와중에 엠퍼러스 칠드런은 황궁 공략보다는 민간인 납치와 학살과 고문, 약탈에 더 열중했다고 한다[38].
4.11.1. 사자의 문 우주공항 전투
4.11.2. 영원의 문 전투
4.11.3. 복수의 영령 전투
|
The Final Battle |
그러나 충성파들 또한 백척간두의 상황이었다. 황벽이 돌파당하여 반역자들이 최후의 공세를 앞둔 상황이었으며, 웹웨이 전쟁과 테라 공성전으로 인해 충성파 세 군단과 커스토디안 가드의 전력도 한계에 달했다. 이 때문에 테라 공성전의 향방은 미지수인 상태였다.
언제나 타고난 예지력에 의지하던 황제였지만, 그는 전쟁의 판세를 최종적으로 바꿀 방법을 확신하지 못하고 있었다. 호루스도 승리에 단 한 발자국을 남겨둔 상황이었지만, 진행이 너무 더디었고, 상대는 완강하게 저항했다. 결국 호루스는 자신이 직접 황제를 꺾어야만 승리할 수 있다는 생각 하에 최후의 도박으로 기함 벤지풀 스피릿의 사이킥 보호막을 해제했다. 이를 감지한 황제 또한 호루스의 죽음만이 이 전쟁을 승리로 끝낼 수 있다는 판단 하에, 황금 옥좌를 말카도르에게 맡기고 마지막 전력을 짜내어 벤지풀 스피릿으로 텔레포트한다.[39]
황제와 그의 수행원들은[40] 호루스의 사이킥으로 인해 배 안에 흩어졌지만, 곧 호루스의 대규모 반란군들과 맞닥뜨렸다. 워마스터는 카오스 신들이 직접 빙의한 최강의 카오스 챔피언이 되어있었고, 그와 그의 배는 암흑 신들의 힘으로 인해 뒤틀려 있었다. 악몽과 같은 적들에 의해 수많은 충성파 마린들이 희생당했다. 황제는 함교로 향하여, 워마스터를 찾아갔다.
황제가 함교의 장갑문을 파괴하였을때, 그는 마침내 그의 타락해버린 아들과 마주하게 되었다. 호루스는 빙의한 카오스 신들의 힘으로 커졌고, 시체를 지켜보고 있었으며, 천사 생귀니우스의 부서진 육체가 있었다. 황제와 호루스, 둘은 즉시 전투를 펼쳤다. 그들은 힘이 주입된 검과 철퇴, 클로, 사이킥으로 맞섰으며, 죽음을 향한 싸움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호루스는 황제에게 네 다섯개의 심각한 부상을 입혔고, 인류의 주인은 워마스터의 공격에 용감하게 맞서고 있었으나 무리였고 황제의 패배가 확정되기 직전 호루스에게 가비엘 로켄이 앞을 가로막고 카오스 신의 노예가 되지 말라고 간청하자 호루스가 자신의 몸에서 카오스 신의 영향력을 밷어냈으며 호루스가 카오스 신들의 영향력이 사라지고 나서야 이성을 되찾았고, 그제서야 자신이 한 행동을 깨달은 호루스는 고통과 죄책감에 몸부림치며 황제에게 자신을 죽여달라 부탁한다. 황제는 잠깐 망설이지만, 이내 결심을 굳히며 워마스터를 끝장낸다.
이렇게 전투는 인류제국의 승리로 끝났으나 황제는 너무나도 큰 대가를 치렀고, 호루스에 의해 입은 상처로 인해 그의 몸에 어둠이 몰려오고 있었다.
워마스터의 죽음과 카오스 신들의 도주로 인해, 악마들은 일순간에 모두 워프로 송환되었으며 테라를 집어삼킨 워프 폭풍도 걷혔다. 반역자들은 자신들의 영혼까지 뿌리내렸던 카오스의 축복을 갑작스레 상실했고, 그 여파로 혼비백산해 도주하거나 가만히 서서 최후를 맞았다. 충성파들은 승리했지만, 황제는 치명적인 부상으로 생명유지 장치인 황금 옥좌에 올라 자신의 죽음을 지연시키고 있었다. 테라는 황폐화되었고, 도시들은 파괴되었고, 사람들은 충격에 빠졌으며, 배반자들의 끈질긴 폭격으로 인해 판상의 표층조차 뒤틀리고 말았다.
배반자 군단들은 사분오열하여 아이 오브 테러로 후퇴했으나, 오랜 시간에 걸쳐 깊은 상처를 회복하고 다시금 은하계를 불태우기 위한 기회만을 노리고 있다[41]. 선 오브 호루스의 1중대장 아바돈이 그들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복수를 맹세하며[42], 워마스터의 시체를 가져간 것으로 알려졌다[43].
아이 오브 테러에서 배반자 프라이마크와 그들의 군단들은 악몽같은 데몬 월드에 안식처를 세웠다. 그들은 군단이 워밴드 단위로 갈라질때까지 지배권과 영역을 위해 싸워댔지만, 황제에 대한 반감은 잊지 않았다[44][45]. 호루스 헤러시는 아직도 인류제국을 괴롭히고 있으며 카오스의 위협은 여전하다. - 오랜 전쟁이 지속되고 있다[46].[47]
해당 전투의 세부사항은 구판 설정과 약간 다르게 진행되었는데 이는 워해머 세계에서 전설로 남겨져 민간에 알려젔다. 호루스와 황제의 대결 전설(구판 설정)은 올라니우스 피우스 문서 참조
5. 이후
6. 2차 창작
워해머 세계관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인 만큼 이 호루스 헤러시를 기반으로 한 2차 창작물들은 소위 '대체역사 시나리오'라고 불리며 가장 많이 창작되는 '워해머 40K' 2차 창작물들이다.대표적으로 반역파와 충성파의 입장이 뒤바뀐 즉, 반역파가 충성파가 되고 충성파가 반역파가 돼서 서로 싸우게 되는 평행세계의 4만년대를 그리고 있는 도르니안 헤러시가 있다. 그 외에도 헤러시의 주역들을 바꾼 여러 가지 팬픽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길리먼이 헤러시를 일으킨 굴리만 헤러시, 라이온이 헤러시를 일으킨 라이오넬 헤러시등이 있으며 세미나에서 작가진들이 If 헤러시 시나리오에서 말을 했는데 앙그론과 마그누스가 헤러시를 일으키면 단시간에 진압되고 길리먼의 경우 워마스터가 되었으면 카오스는 그의 몸을 차지해 그를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었을 거라고 했으며[48] 알파리우스의 경우라면 가장 성공적인 헤러시가 이루어졌을 것이라 했다. 출처1, 출처2.
인장관 말카도르가 일으키는 말카도르 헤러시 또한 존재한다. 본판의 시리어스물이 아닌, 황제 밑에 2인자였던 말카도르가 대성전이 성공적으로 끝나고 황제와 프라이마크들, 스페이스 마린들이 물러난 이후 워마스터로 행정옥좌에 반강제로 집권한 호루스를 상대로 벌이는 정신나간 개그물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blacklibrary&no=59549
그리고 밝고 희망찬 4만년대의 은하계를 다루는 Brighthammer 40,000의 경우, 워프가 깨끗하고 카오스 신들이 질서의 신들로 바뀌었기에 호루스 헤러시가 아예 일어나지 않았다. 이 세계에서 대성전은 초기에는 인류제국이 은하 재규합을 위한 성전을 진행했으나 질서의 신들의 추종자들이 이끄는 신도 무리와 유혈사태를 겪은 후 서로 전쟁을 벌였던 것으로 대체되었는데 1천 년간 이어진 전쟁에 워프가 오염되어 질서의 신들이 타락할 위기에 처하자, 원작의 반역파 프라이마크들이 스스로를 희생해 워프 크리처로 승천해 워프를 정화함으로서 워프와 제국 사이의 전쟁을 끝냈다.
7. 여담
- 이 큰 사건도 사이버네틱 반란의 규모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한다. 당시의 인류가 훨씬 번영했다 보니, 기술 수준이 차원이 달랐기 때문. 문제는 호루스 헤러시는 눈앞의 반신이 악마에게 타락하고 황제가 간신히 쌓아놓은 이성이 몰락하는-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의 최악의 사건인 건 여전했고, 여기에 전 인류를 사이킥 종족으로 승천시키겠다는 황제의 급진적인 빅픽처까지 잘못된 방향으로 터진 결과 까딱 잘못했으면 은하 전체가 초자연적으로 붕괴할 뻔했다.
하여간 호루스 헤러시처럼 우주를 뒤흔드는 내전이 근본적으로 만들어진 이유는, 타이타니쿠스 게임을 만들던 당시에 게임용 타이탄 금형을 만드는 데 엄청난 돈이 들어서 금형을 한 세트밖에 못 만들어서입니다. 게임으로 만들기 위해서, 같은 금형에서 색만 다르게 한 채 뽑아냈죠. 왜 똑같은 것들끼리 싸우냐는 물음에 서로 싸운 치열한 내전이다, 이런 식으로 설명한 겁니다. 그게 다였어요. 왜 똑같은 모델끼리 싸우는지 설명하기 위한 이야기였죠. 아주 초창기 이야기입니다. 그렇게 처리해야 했죠. 그러다가 누군가 그 전쟁의 이름이 뭐냐고 물었고, 또 누군가가 그걸 호루스 헤러시라고 부른 겁니다. 그 뒤에 추가되고, 추가되고, 무슨 내리막에서 구르는 바위처럼 무언가가 계속 쌓여서 신화의 영역으로 이어진 거고요. 책 뒷장의 컬러 텍스트가 되고, 여기저기서 마구 언급되고. 본질적으로 호루스 헤러시는 클론 전쟁처럼 그냥 이런 일이 있었다더라, 하는 수준의 버려지는 발언일 뿐이었어요. 약간의 생생함 때문에. 그런데 지금은? 소설만 67권이죠.
- 워해머 40k의 오래된 설정들이 종종 그렇듯, 처음에는 주먹구구로 만들어진 설정이었다. 타이타니쿠스 게임을 만드는 중 금형이 비싸서 종족을 나눠서 발매하기 곤란해지자, 내전이여서 같은 병종을 쓴다는 땜빵 설정을 만들고 누군가 거기에 호루스 헤러시란 그럴듯한 명칭을 붙인게 시초. 댄 애브넷 인터뷰 번역
- 바그너 그룹 반란 당시 프리고진 헤러시로 패러디되기도 했다.
7.1. 관련 문서
- 인류제국
- 황제
- 프라이마크
-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스페이스 마린)
- 아뎁투스 메카니쿠스 (기계교)
- 임페리얼 나이트
- 타이탄
- 헤러틱
- 해러틱 아스타르테스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
- 다크 메카니쿠스
- 카오스 나이트
7.2. 외부 링크
[1] 좌측 하단에서 날개가 달린 남성의 시체는[M31] [3] 굵은 글씨로 표시된 군단은 테라 공성전에 공식적으로 참전한 군단이다.[4] 굵은 글씨로 표시된 군단은 테라 공성전에 공식적으로 참전한 군단이다.[5] 오메곤의 존재로 인해 실제로는 열 명의 반역이었다.[6] 다만 완벽한 승리는 아닌 것이 우선 이스트반 대학살을 통해 상당수의 충성파 스페이스 마린 챕터들이 궤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고, 이들의 상당수는 로부테 길리먼이 귀환하여 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을 전달해 주기 전까지는 챕터 유지 조차도 힘들었을 정도였다. 게다가 충성파측 프라이마크 2명이 사망했으며, 나머지 프라이마크들 역시 행방불명이거나 생사여부가 불투명하다. 그나마 로부테 길리먼, 라이온 엘 존슨이 귀환하였고, 아울러 자가타이 칸 역시 생존이 확인되었다는 점이 지금까지 얻어진 것 가운데 가장 큰 수확이다. 무엇보다 인류제국의 구심점이면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현재 살았으나 죽은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이고 인류제국은 근본인 임페리얼 트루스가 상실되고 황제교와 같은 종교적인 색채가 강해지는 부작용이 일어났다.[7] 반역파 프라이마크 아홉 명. 결과적으로 이들 중 여섯이 실제로 악마가 되었으니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1만 년 만에 돌아온 길리먼은 제국이 이렇게 정보를 왜곡하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연설에서 '18명의 프라이마크'를 언급해서 청중들을 당황하게 만든다.[8] 본래 발렉 우티자르라는 인물이 지휘했으나, 발렉은 마그누스의 대효도 직후 마그누스의 기억을 엿보고 그가 젠취와 거래한 사실을 알게 되어 마그누스에게 입막음으로 살해당했다. 다섯번째 펠로우쉽이 마그누스에게 버려진 것도 발렉이 지휘했던 부대였기 때문으로 보인다.[9] 이때문에 가리우스의 함대는 임페리얼 피스트 소속이나 크토니아의 노래(크토니아에서 모병한 인덕티)와 프로스페로의 노래(사우전드 선 출신 병합파.)가 들리는 희한한 함대였다고 한다.[10] 일부 유저들은 임페리얼 피스트 세컨 파운딩중 극심한 워프 변이를 겪었지만 충성파로 남아 전멸한 소울 드링커가 이들의 후예가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11] 다크 엔젤, 배틀플릿 솔라와 연합해 반역파 포지 월드 Xana를 공격한 캠페인으로, 글로리아나급 전함 한 척이 격침됐을 정도로 치열했던 전장이었다.[12] 검은색과 흰색 도색, 까마귀 해골과 검은 날개 문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관만 보면 레이븐 가드 후계 챕터처럼 보이나, 이름도 그렇고 첫 교전 기록이 M32에 있는 챕터인데도 모군단과 창립 시기가 모두 불명인 점이 상당히 의미심장하다.[13] 헤러시 종결 이후, 반역파 군단 출신 충성파들은 이렇게 독립중대로 묶여 치안이 불안정한 은하 외곽으로 배치되어 오랜 전투 끝에 소멸한 케이스가 많았다. 정황상 배반자 군단 출신 충성파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는 챕터들도 몇몇 있기는 하나, 하나같이 파운딩 시기와 출신을 감추고 있어 오피셜로 밝혀진 사례는 없다.[14] 마엘스트롬 남서부에 위치한 동네로, 당시 로가 아우렐리안이 소환한 워프 폭풍 '루인스톰'으로 인해 아스트로노미칸의 빛이 가려져 큰 혼란에 빠져 있었다.[15] 네메아의 약탈자의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테라의 성벽에서 반역자들과 맞서 싸우다 최후를 맞았다는 설이고, 둘째는 그레이 나이트 창립 멤버 중 하나인 '에피메데우스'가 바로 이 사람이라는 설이다.[16] 일례로 나이트 로드와 싸우는 울트라마린 함대를 도운 적이 있었는데, 우주 함대전을 도와 승리로 이끈 뒤 이어진 지상전에서 좀 싸우다가 무기와 물자만 챙기고 슥 빠져버려서 울트라마린이 상당한 피해를 입은 일이 있었다.[17] 구울 스타즈가 있는 헤일로 성단은 아스트로노미칸의 불빛이 희미하거나 아예 닿지 않는 곳이라 워프 항해가 어려우며, 별의별 워프적 이상현상이 빈번하고, 초자연적이라고 표현할만한 강력한 외계종들도 여럿 존재하는 곳이라 제국도 관리를 포기한 동네다.[18] 웃긴 건 카르카로돈스도 정말 어지간한지, 약탈과 노예 무역으로 먹고 사는 애신 클로마저도 카르카로돈스를 지나치게 잔인하고 비인간적이라고 내심 경멸한다는 것이다.[19] 다만 삽화에는 인포서라고 기재되어 있고 모습 역시 아뎁투스 아르비테스 소속 사이버 군견과 샷건을 들고 있는 등 아르비테스의 인포서에 더 가까운 형상이다. 실제 통합 전쟁 시기를 묘사한 그림인지는 불명.[20] 해외 워해머 커뮤니티에 올라온 팬아트로 현재 니케아 공의회를 묘사한 공식 아트워크는 존재하지 않는다.[21] 오직 폐허에 파묻혀 있던 가비엘 로켄과 지하 격납고로 내려가 있던 라일라너만이 살아남았다.[22] 아이언 핸드, 샐러맨더, 레이븐 가드, 아이언 워리어, 알파 리전, 워드 베어러, 나이트 로드[23] 선 오브 호루스, 데스 가드, 엠퍼러스 칠드런, 월드 이터[24] 페러스의 죽음을 목격한 군단원들은 거의 전부가 죽었고, 살아남은 자들은 프리아마크가 어떻게든 살아남아 탈출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기도 했으나 헤러시 종결 이후 호루스의 기함에서 페러스의 해골이 회수되며 이러한 희망도 산산조각이 났다.[25] 배반자 군단들 중 아이언 워리어와 나이트 로드는 군단 내 충성파 숙청을 하지 않아 충성파 마린들이 상당수 남아있었는데, 이들은 이스트반V 사건 이후 군단을 이탈했고, 대다수가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었던 코락스의 휘하로 들어가 게릴라와 사보타주 활동을 벌였다. 테라 공성전이 임박하자 코락스는 이들 배반자 군단 출신 충성파들을 테라로 보냈으나, 호루스 헤러시 종전 이후 돌아갈 곳이 없어진 이들은 레이븐 가드에 그대로 잔류했다.[26] 대성전 당시, 워드 베어러는 임페리얼 트루스를 무시하고 황제 숭배를 지속했으며, 포교에 과하게 집중하느라 정복 속도도 모든 군단 중 가장 느렸다. 황제는 이를 경고하고자 울트라마린과 로부테 길리먼을 대동하고 워드 베어러가 가장 완벽한 도시라 칭했던 모나키아를 잿더미로 만들었으며, 울트라마린 군단 앞에서 로가 아우렐리안과 워드 베어러 군단 전원을 사이킥으로 강제로 무릎꿇리고 그들의 행적을 비판했다.[27] "Lorgar of Colchis. You may consider the following. One: I entirely withdraw my previous offer of solemn ceasefire. It is cancelled, and will not be made again, to you or to any other of your motherless bastards. Two, you are no longer any brother of mine. I will find you, I will kill you, and I will hurl your toxic corpse into hell’s mouth."[28] 블러드 엔젤 군단이 대악마를 죽이고 카오스 성소를 파괴하여 시그너스 성단의 악마들은 모두 없어졌지만, 거주지대들이 워낙 심하게 망가지고 오염된 터라 이후 'Mortae Perpetua'(영원한 죽음)으로 선언되어 40K 시점까지도 아무것도 없는 무인지대로 남아있다.[29] 호루스는 트라마스 섹터를 점령한 뒤에 생산시설을 그대로 활용하기를 원하여 커즈에게 행성들을 온존하라고 명령했으나, 현지의 제국군과 메카니쿰, 나이트 가문들이 의외로 격렬하게 저항하여 계획이 틀어졌다. 개중엔 나이트 로드 본대를 상대로 무려 6개월 간 저항을 이어나간 행성도 있었고, 심지어 함락당할 위기에 처하자 나이트 로드에게 점령당할 바엔 죽는게 낫다며 포스펙스 폭탄으로 자폭한 행성도 있었다. 이렇게 예상 외의 저항이 이어지자 꼭지가 돈 커즈는 점령한 행성의 주민들을 닥치는대로 고문하고 학살하기 시작했다.[30] 나이트 로드는 이후 포로가 된 다크 엔젤 마린들의 가죽을 벗기려 했으나, 기사도를 잊지 않은 반역파 화이트 스카 마린들이 이를 뜯어말려 포로들을 구했다.[31] 커즈는 그 와중에도 얌전히 잡히지 않고, 다크 엔젤의 기함 무적의 이성(Invincible Reason) 내에서 한동안 숨어다니며 사람들을 죽이고, 어찌저찌해서 마크라그 행성에 내려가게 되자 거기서 사람들을 또 죽이고 다니다가 이를 갈며 찾아온 라이온과 두 번째 일기토를 벌인 끝에야 제압되어 붙잡혔다.[32] Hester Aspertia Sigma-Sigma. 영생에 대한 집착이 강해 복제인간을 이용해 불멸자가 되려는 연구를 진행하던 마고스였는데, 내전에서 승리해도 이후 반역파의 본대를 상대로는 승산이 없으며, 그러면 자신도 죽고 연구도 물거품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항복해버린 것이었다.[33] 리즈 시절의 벨리사리우스 카울이 이 때 헤스터 에스퍼시아 밑에 있었다. 카울은 어쩔 수 없이 상관을 따라 항복했으나 타락한 호루스와 반역파 군세의 모습에 질색했고, 이후 에스퍼시아를 죽이고 그녀의 지휘권을 빼앗아 리만 러스를 도운 뒤 에스퍼시아의 연구 데이터를 탈취해 도주했다.[34] 디오니소스의 창. 콘스탄틴 발도르의 '아폴론의 창'과 함께 황제가 직접 만든 무기로, 찔린 자를 찌른 자의 기억으로 감화시키는 능력이 있다. 아폴론의 창은 정 반대로 찌른 자가 찔린 자의 기억을 읽을 수 있다.[35] 호루스가 시간이 지나도 깨어나지 않고, 러스가 찌른 상처가 벌어지며 상태가 더 악화되자, 말로구르스트가 호루스의 심상세계로 들어가 자신의 영혼을 대가로 호루스의 선한 자의식을 살해하였다. 호루스는 깨어나기는 했으나 대신 완전한 카오스의 노예가 되었고, 카오스 4대신의 지나치게 강력한 축복으로 인해 정신은 오락가락하는 치매노인 상태에 몸은 시한부 신세가 되었다.[36] 워프에 진입/퇴출 시 행성, 천체 등으로부터의 중력의 간섭을 받지 않을 최소 안전거리.[37] 베타 가몬에서 회수한 타이탄의 잔해와 악마들을 융합하여 만들어냈다.[38] 이걸 제국측을 대상으로 행했다면 좋았는데 심해지다보니 같은 반역파를 대상으로도 이짓을 감행했다가 실상을 보고받고 열이 받힌 에제카일 아바돈에게 패쳐맞고는 쪼개져버렸다.[39] 이때 호루스는 슬라네쉬가 엘다를 삼키고 탄생했던 것 처럼 인류를 삼켜 5번째 카오스 신인 어두운 왕으로 승천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사실 다섯번째 카오스 신인 어둠의 왕이 될 운명이었던건 호루스가 아니라 황제였다. 황제가 힘을 훔쳐옴으로서 신성을 얻게 된 결과물이 어둠의 왕이었던 것. 하지만 올라니우스 페르손의 목숨을 건 간청으로 인해 황제는 자신이 얻은 완성되기 전의 신성을 인간성과 함께 분리하여 워프에 표류시킴으로서 스스로 힘을 포기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류에게 있어서 최악의 상황인 어둠의 왕의 탄생은 완전히 저지되고 대신 훼손자가 인류제국을 괴롭힐 새로운 대적자로 운명 지어졌다.[40] 이때 황제의 수행원들로 생귀니우스와 로갈 돈이 직접 나섰고 커스토디안 가드, 임페리얼 피스트, 블러드 엔젤에서 가장 뛰어난 대원들을 선발해서 보냈다.[41] 문제는 서로 팀킬을 해대는 통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도 모자란 판국에 오히려 사분오열시키는데 더 열을 올린다는 것. 특히 엠퍼러스 칠드런은 피아구분 없이 사람들을 닥치는대로 잡아다 고문해댄 통에 아바돈이 집중공격을 가해 아예 넝마로 만들어 버렸고, 나이트 로드는 독자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악명높아 아바돈이 합류해 공통의 목적으로 일하라고 다그쳤으나 오히려 니따위의 명령을 왜 들어야하냐며 반발해서 아바돈에게 완전 아작날뻔 했으나 오히려 역으로 뒤통수를 날렸을 정도였다. 이것은 케디아의 몰락으로 어느 정도 카오스에게 상황이 유리해진 지금에도 전혀 변하지 않았다.[42] 아바돈은 인류제국과 황제를 대적한다는 헤러시의 원래 목적을 지향할 뿐 카오스의 축복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다. 그래서 현재도 모든 카오스 신들의 축복을 거부 중에 있다.[43] 아바돈은 호루스의 사망소식을 확인하고는 그대로 잠수를 탄 후, 거의 폐인이 되다시피하며 지냈다. 그나마 호루스의 시신을 도난당했다는 소식을 받지 못했었다면 지금까지 찌그러져 살고 있었을 위인이다.[44] 카오스측에서는 황제를 시체 황제, 혹은 거짓 황제라고 부른다.[45] Warhammer 40,000: Dawn of War - Dark Crusade에서 데비안 툴과 계승자 엘리파스간의 설전에서도 나오는데 툴이 어떻게 황제가 너같은 쓰레기를 신뢰했냐고 묻자 오히려 왜 우리가 그런 자를 믿었는지 궁금해하라고 응수한다.[46] 인류제국에게도 희소식은 있었는데 우선 전사해서 스태시스 포드에 영면해있던 로부테 길리먼이 다시 돌아왔으며, 더 록 깊은 곳에서 잠들어 있었던 라이온 엘 존슨도 오랜 기간의 잠에서 깨어나 그의 군단인 다크 엔젤로 다시 복귀하였다. 뿐만 아니라 스페이스 울프의 룬 프리스트에 의해 자가타이 칸의 생존까지도 확인된 상태라, 자가타이 마저 귀환할 가능성이 높다.[47] 그리고 카오스측도 그다지 긍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닌게 카디아의 몰락과 더불어 카오스의 준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인류제국 뿐 아니라 타종족들 역시도 이들의 활동을 경계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먼저 네크론의 툼월드가 활성화 되면서 네크론도 덩달아 긴 잠에서 깨어나 활동을 시작했고 아엘다리 역시 인류제국과 더불어 카오스에 가장 민감한 종족들이라 인류제국과 적과의 동침을 맺고 있는 중이고(게다가 여기는 그들의 궁극의 신인 인니드가 드디어 나타났다.), 타우 제국 역시 카오스의 위협에 대해 심각하다고 인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전 종족을 통틀어 가장 증오스럽고 위험하기 짝이 없는 타이라니드 조차도 카오스에 대해 확실한 위협이 된다는 사실을 감지하기 시작하면서 아예 대카오스 전담을 맡은 크로노스 함대까지 조직, 구성하여 움직일 정도로 카오스에 확실하게 대처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48] 작가진들은 호루스를 포함한 프라이마크들은 누구도 카오스에 대한 대비가 돼 있지 않았다고 했는데. 로부테는 칼스 참사를 통해 카오스에 대한 저항력과 증오심을 쌓아올렸지만 호루스는 그런 대비가 돼 있지 않아서 타락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