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18:18:05

도련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도련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도련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도련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 }}}[[도련님(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도련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도련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작품에서 도련님
2.1. 도련님 캐릭터2.2. 남자를 도련님으로 부르는 사이2.3. 실존 인물

1. 개요

언어별 명칭
영어 Young master[1]
중국어 哥子, 哥儿, 大少爷
일본어 坊(ぼっ)ちゃん(저연령)[2], 若旦那[3](성년), 御曹子[4]

총각을 대접하여 이르는 말인 도령의 높임말로, 한자를 빌려 ‘道令(도령)’으로 적기도 한다. 아직 미혼시동생을 높여 이르는 말이기도 하며, 시동생이 기혼자라면 아주버님이라고 호칭한다. 여성에게 대응되는 단어는 아가씨이다. 도련님, 아가씨라는 호칭은 하인이 자신의 주인의 아들, 딸을 부를 때 썼던 말이므로 존중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한국 수어로는 왼손으로 엄지를 세우고 그 주위를 오른손으로 한 바퀴 돌리면 된다.

2. 작품에서 도련님

오죠사마 컨셉 캐릭터의 남성 버전. 엘리트인 경우도 있지만, 흔히 오죠사마와 더불어 세상물정을 모르는 부잣집 캐릭터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서 애송이로 의역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이미지를 굳힌 것이 아래에 나오는 샤아의 명대사.
기렌 자비: 나의 동생, 제군이 사랑하던 가르마 자비는 죽었다. 어째서인가! (연설)
샤아 아즈나블: 도련님이니까(坊やだからさ。).[5] (연설 중계를 보면서 혼잣말)
개념 넘치고 세상물정 잘 아는 도련님도 없진 않으며, 장기 연재물일 경우 처음엔 세상 물정 모르는 도련님도 의젓하게 성장하는 경우가 많다. 캬스발 렘 다이쿤이나[6] 하도우 카네사다, 사카모토 다츠마 같은 인물이 대표적.

부잣집 도련님으로 집사메이드와 동행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리치 리치가 있다. (☆) 아가씨 캐릭터가 집사나 메이드와 커플링이 된다는 클리셰처럼 이쪽도 BL 장르면 집사, HL물이면 메이드와 연인이 된다는 설정의 작품이 여럿 있다.

또한 애칭으로 잘 쓰이는데, 특히 연상의 여자가 연하의 남자를 부를 때 쓰기도 한다. 이 경우는 연하남이 헤타레에 연상녀가 육식녀인 경우가 많아서 연애관계도 연상녀가 일방적으로 리드하는 경우가 많으며 연하남이 둔감, 숙맥 등을 이유로 진도가 잘 안 나가는 경우도 많다. 그런 이유로 연상의 여자가 연하의 남자 기를 세워주려는 뜻으로 일부러 존칭을 쓰는 것. 이러한 애칭은 현실에서도 도련님 내지는 도령으로 불린다.

언행/품행이 어울리지 않거나 가진 돈이 없거나, 여러 가지 사유로 전혀 예상하지 못했지만 알고보니 부잣집 도련님이더라 하는 클리셰도 흔하다. 대표적으로 로이(로켓단 삼인방)후안 리코가 있고 이 분야 끝판왕은 마커스 피닉스제임스 도미닉 피닉스 부자[7]

비슷하게, 험한 경쟁의 무대에 던져진 귀한 집 자식이라는 캐릭터로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 신생팀이나 약체팀에 대학시절 승승장구하던 유망한 신인이 드래프트 전체 1위 같은 이유로 홀로 입단했을 때. 팀이 약하니 상대팀의 집중견제로 프로 적응과정에서 이리 구르고 저리 구르는 걸 다른 팀이 보면서 세상물정 모르는 도련님이라고 놀려먹는 것.[8]

일본 문화권에서는 당장 저 가르마 자비만 봐도 은근히 마마보이 속성도 자주 엮이는 듯하다.

악의 조직 보스의 아들이 보통 보스의 부하들에게 도련님이라 불리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초전자 바이오맨프린스, 공룡전대 쥬레인저카이, 얏타맨의 도쿠본 등.

2.1. 도련님 캐릭터

2.2. 남자를 도련님으로 부르는 사이

2.3. 실존 인물


[1] 구글 번역에 '도련님'을 치면 이쪽으로 나온다.[2] 봇(보오)쨩.[3] 와카단나. 더 줄여서 (お)若 ((오)와카)라고도 한다.[4] おんぞうし、온조시. 명문가 자제라는 의미가 강하다.[5] 더빙판에선 "부모를 잘 만나서지."로 적절히 번안되었다.[6] 다만 캬스발은 어릴 때 이미 어른들의 권력 암투를 체감하여 의젓했지만 어머니의 죽음 이후 샤아 아즈나블로 살면서 폭주한다.[7] 아예 게임 진행 중에 그들의 집을 방문하고, 주요 등장인물들이 주인공을 보고 금수저냐고 깜짝 놀라는 것이 시리즈마다(1편, 4편) 있다.[8] 가장 자주 보이는 스포츠가 미식축구다. 전체 1순위 쿼터백인데 팀은 밑바닥이라 팀이 그에 맞춰질 때까지 고생을 많이 하는 편.[9] 샤아 역시 캬스발이라 불리던 시절 도련님이었으나 그때부터 이미 가르마와 그 방향이 너무나 달랐다.[10] 원본 한정.[11] 집안 자체가 귀살대를 창설하고 오랜 시간 귀살대를 이끌고 있는 당주 가문이자 귀족 출신이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금수저다.[12] 생전에 귀족 집안의 도련님이었다.[13] 전생 한정.[14] 아빠가 예술단이고 유명한데다가 집이 이층집이고 집에 없을 거 없는 연습실까지 있으며, 예술학교까지 잠깐 다녔을 형편인 것을 보면 확실한 부자인 듯 하다.[15] 아빠인 가마돈이 인간이었을 때에 지냈던 시즌 3에 나온 개인 소유의 도장, 자신과 삼촌 마스터 우가 지낸 수도원 저택 내부 규모, 수도원 곳곳에 설치된 훈련 및 보안장비들만 봐도 아빠와 삼촌이 친할아버지인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의 아들들답게 닌자고의 땅을 반반씩 갖고도 남을 정도의 재력이 있는 듯 하다.[16] 본명은 제이 고든(Jay Gordon)으로, 행방불명된 친부가 배우인 클리프 고든(Cliff Gordon)이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 캐릭터인 프리츠 도니건을 연기하는 유명 배우라고 한다. 시즌 6에서 58화에서 본인이 자신이 니야에게 잘 보이기 위해 부모님이 고물상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소원과 함께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클리프 고든의 저택으로 향하는 모습을 보인다.[17] 실제로 시라카바파의 구성원들 대부분이 부유한 상류층 출신이었다. 시라카바의 필두격인 무샤노코우지 사네아츠는 화족 가문 출신이었고, 아리사마 타케오사토미 톤 형제는 귀족원 출신, 시가 나오야는 아버지가 부유한 사업가였고 집안도 옛 오미국(시가현)의 성주를 지낸 가문이었다.[18] 실제의 톨스토이가 귀족 가문 출신이었고, '죄와 벌' 이벤트 스토리에서 기억을 잃은 톨스토이가 책 속의 세계에서 도스토옙스키를 만나 그의 소설이 실린 책들을 하나도 빠짐없이 다 읽었다고 하자 도스토옙스키가 돈 많은 집 아들이 아니고서야 그렇게는 못 한다고 언급한다.[19] 금성, 테리보다는 못하지만 집이 굉장히 으리으리하다.[스포일러] 사실 시바 가문의 진짜 당주가 아니라 당주를 지키기 위해 내세워진 카게무샤다. 시바 가문의 진짜 당주이자 신켄 레드는 이 쪽.[21] 꽃꽂이 가문의 도련님이지만 본인은 집을 나와 한동안 니트 생활을 했기 때문에 재산이 얼마 없다. 도련님 중에서는 희귀한 케이스.[22] 남국 이벤트 스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23] 명가 출생이지만 전 세대부터 이미 그 가세가 기울고 있었고 현 시점에선 낭인이 되었다[24] 이 쪽은 집사 대신 비서를 대동한다.[25] 아버지 Dr. 페이커하트랜드 시티의 사실상의 지배자이며, 본인 역시 개인 연구실을 소유하고 있다.[26] 부모님을 잃기 전까지는 대저택에 살던 도련님이었다.[27] 클로티드 크림 쿠키의 당조카이자 그 양부의 종손자다. 한술 더 떠서 왕가의 방계후손이기까지 하다.[28] 첫 등장 당시 황제의 애동으로 나와서 묻히는 감이 있지만 상당히 부유한 집안 출신이다. 아버지가 골든레너드 제국 외무대신이며, 1부에서 나온 수혁의 회상 중 동국에서 살던 집이 꽤 크고, Q&A 영상에서 잘 사는 집안이기에 온 가족이 골든레너드로 이주해 올 수 있었다고 작가들이 언급한다.[29] 어릴 때부터 도련님이라 부른다.[30] 최고 간부들, 바이올렛은 도피라는 애칭으로 부른다.[31] 타카하루와 야쿠모, 나기는 요시타카의 손자들이고 킨지는 제자이기 때문. 덧붙여 킨지는 후우카와 카스미를 '오죠짱'라고 부른다.[32] 이쪽은 도령이라고 부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