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4:54:19

비잔틴 미술

비잔티움 양식에서 넘어옴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마우레타니아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바르다리오타이 · 투르코폴레스 · 불사 부대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문화 라틴어 ·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서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수다 · 알렉시아스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매체 동로마 제국/매체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서양 미술사의 시대 · 사조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D1D1D,#e2e2e2
<colbgcolor=#777,#888888> 원시 미술
~ 기원전 12세기
선사 미술 | 메소포타미아 미술 | 이집트 미술
고대 미술
기원전 12세기 ~ 서기 4세기
그리스 고졸기 미술 | 그리스 고전기 미술 | 헬레니즘 미술 | 로마 미술
중세 미술
4세기 ~ 14세기
비잔틴 미술 | 로마네스크 | 고딕
근세 미술
14세기 ~ 19세기
르네상스 | 매너리즘 | 바로크 | 로코코 | 신고전주의 | 낭만주의 | 아카데미즘
근대 미술
19세기 ~ 20세기
모더니즘 | 리얼리즘 | 인상주의 | 탈인상주의 | 라파엘 전파 | 미술공예운동 | 보자르 | 아르누보 | 아르데코 | 탐미주의 | 분리파 | 표현주의 | 다리파 | 청기사파 | 더 스테일 | 바우하우스 | 추상회화 | 야수파 | 미래주의 |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 | 기하학적 추상 | 아방가르드 | 구축주의 | 구조주의 | 절대주의 | 상징주의 | 입체주의 | 구성주의 | 퇴폐미술 | 권위주의 예술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 브루탈리즘
현대 미술
탈근대 미술
20세기 ~
포스트모더니즘 | 행위예술 | 대지 예술 | 개념미술 | 설치예술 | 추상표현주의 | 미니멀리즘 | 스큐어모피즘 | 팝 아트 | 옵아트 | 키네틱 아트 | 해프닝 | 서정적 추상 | 앵포르멜 | 아르테 포베라 | 상황주의 | 제도비평 | 페미니즘 미술 | 소수자 미술 | 탈식민주의 미술 | 신표현주의 | 전유미술 | 극사실주의 | 플럭서스 | 비디오 아트 | 사운드 아트 | 미디어 아트
}}}}}}}}}}}} ||


파일:Empress_Zoe_mosaic_Hagia_Sophia.jpg

파일:Monreale_BW_2012-10-09_09-52-40.jpg

팔레르모에 위치한 몬레알레 대성당의 비잔틴 모자이크.

1. 개요2. 회화3. 건축4. 참고 자료

1. 개요

5~15세기 후반까지 동로마 제국, 우크라이나, 러시아, 불가리아, 세르비아정교회 국가에서 발생한 건축과 회화 등의 시각예술을 가리키는 용어로, 동로마의 수도이자 정교회의 총본산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옛 이름이 비잔티움이었던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4세기 이전 세속적이며 쇠퇴한 로마 미술을 대신 비잔틴 예술은 거의 다 종교적인 표현, 더 구체적으로는 조심스럽게 통제된 교회 신학을 비인격적인 예술 용어로 바꾸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하기아 소피아가 비잔티움 예술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교회에서 오늘날까지 성물로 사용되는 이콘의 기본적인 구도는 모두 이 시대에 완성되어 바뀌지 않은채 여전히 그 구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비잔틴 미술을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이콘을 보는 것이다.

2. 회화

3. 건축

비잔틴 건축은 하기아 소피아의 재건을 전후로 종교 건축물에 한해 기존의 고대 로마의 건축과는 달라졌다.이전까지 종교 건축물의 구조는 고대 그리스 신전 양식을 계승한 바실리카였으나 532년 니카의 반란으로 전소된 하기아 소피아를 재건하면서 로마의 판테온을 모델로 하되 팡데온의 보다 더 큰 돔으로 계획되었으며, 그렇기에 이러한 돔을 지탱하기 위해 네 개의 아치가 돔을 지탱해야 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볼트의 일종인 역삼각꼴의 구조체인 팬덴티브를 네 개의 아치를 연결시켰다.

콘스탄티노플에서 시작해 이 새로운 건축 양식은 이후 동남부 유럽 전역에 뿌리내렸으며, 이탈리아 라벤나에도 산 비탈레 성당이 남아있다. 동로마의 건축 양식은 후대 러시아로 전해져 네오비잔틴 양식으로 계승되었다. 물론 오스만 제국도 이 양식을 받아들여 오늘날 터키를 대표하는 건축양식이 되었다.

4. 참고 자료

미술대사전(용어편) - 비잔틴 미술
네이버캐스트 서양 건축사 - 비잔틴 건축
영문 위키백과 - 비잔틴 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