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KTX
, 경의선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운행계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고속철도 | |||
경부고속선 계통 | 경부고속철도[a] | 서대구 경유 KTX, SRT | 구포 경유 KTX | | |||
호남고속선 계통 | 호남고속철도[b] | 서대전 경유 KTX | | |||
경인지방 경유 | 행신발 KTX | 수원 경유 KTX | | |||
준고속철도 | ||||
중앙선 계통 | 강릉선 KTX[c] | 중앙선 KTX[d] | 부전발 KTX[e] | |||
경인지방 경유 | 행신발 KTX | 중부내륙선 KTX | |||
신설 예정 | ||||
수서발 KTX | 수원발 KTX | 인천발 KTX(고속선) | 경강선 KTX(송도/수서~원주/강릉) | 춘천속초선 KTX 동해선 KTX | 서해선 KTX | 경전선 KTX | 남부내륙선 KTX, SRT | 충북선 KTX | ||||
추진 중 | ||||
인천국제공항발 KTX(제2) | ||||
일러두기 취소선은 폐지된 운행계통. 단독 문서가 있는 운행계통만 표기함. 참고[a] 진주행(경전선)·포항행(동해선) 포함 | [b] 전주행(서대전 경유)·여수행(전라선) 포함 | [c] 경강선, 영동선 이용. 경강선의 열차는 맞지만, 중앙선의 성격이 더 강한 열차. (경강선은 노선 구간에 한해서 쓰이지만, 영동선은 따로 쓰이지 않는 용어임.) | [d]: 복합열차 | [e]: 단편성 |
| 고양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02574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행신(행신발 KTX) · | |
무궁화호 | 대곡 · 원릉 | ||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 |||
| |||
킨텍스 · 대곡 · | |||
교외선 | 능곡 · 대곡 · 대정 · 원릉 · 삼릉 · 벽제 | ||
도로 | 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선 · 평택파주선 · 인천국제공항선 · | |
국도 | 1(통일로) · 39(호국로) · 77(자유로) | ||
지방도 | 78 · 98 · 356 · 357(제2자유로) · 359 · 363 · 367 | ||
버스 | 고양종합터미널 · | ||
고양 BRT · 고양시 시내버스 · 고양시 마을버스 | |||
공유자전거 | 쏘카일레클 · 카카오 T 바이크 · 지쿠 · | ||
공유킥보드 | Beam · Lime · SWING · 씽씽 · 지쿠터 | ||
경기도의 교통 |
<colbgcolor=#003da5><colcolor=#ffffff> 행신 착발 KTX 幸信 着發 KTX KTX trains which stop at Haengsin Station | |
정보 | |
운행 국가 | 대한민국 |
종별 | 한국고속열차 |
현황 | 운행중 |
운행 지역 | 행신 ↔ 부산/목포/여수/진주/포항/강릉 |
운행개시일 | 2004년 4월 1일[1] |
운영자 | 코레일 |
노선 | |
기점 | 행신역 |
종점 | 부산역, 목포역, 여수엑스포역, 진주역, 포항역, 강릉역 |
운행거리 | 행신~서울: 13.2km 행신~용산: 16.4km 행신~청량리: 29.1km |
경유노선 | 고양기지선, 경의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경강선 |
기술 | |
차량 | SRT를 제외한 모든 고속열차가 운행한다. 100000호대 110000호대 140000호대 150000호대 160000호대 |
궤간 | 1,435mm |
전력 공급 | 교류 25000V 50/60Hz 가공전차선 |
최고 속도 |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305km/h 경강선: 250km/h 호남선, 전라선: 230km/h 동해선, 중앙선: 200km/h |
[clearfix]
1. 개요
- 한국고속철도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위치한 행신역에서 착발하는 KTX에 대한 설명이다. 열차시간표나 열차 출발 안내판에서 종착역이 서울/행신, 용산/행신인 열차가 바로 이 행신역까지 가는 열차이다.
2. 역사
2004년 KTX 개통 후 열차를 정비할 정비기지인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부지가 고양시 행신동 일대로 선정되면서 고양시에서 거센 반발이 있었다. 행신역과 차량사업소 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사업소는 혐오시설 중 하나인지라[2] 고양시민, 국회의원, 시의원들이 모두 결사 반대를 외치고 무력 시위까지 해서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그래서, 국토부는 고양시 반발을 달랠 겸 차량사업소 안에 KTX 플랫폼을 하나 놓아서 일부 KTX를 정차시키겠다는 제안을 했고, 이를 고양시가 받아들이며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부산행 2왕복, 광주/목포행 각 1왕복씩 총 4왕복이 행신역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결론적으로 고양시와 철도공단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고[3], 님비현상도 없어진 것.[4][5]
2004년 개통 이후 이용객 급증으로 인해 열차도 그 당시보다는 많이 증편된 편이다. 그리고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전철역사가 지어졌고, KTX 승강장 개량을 거쳐서 2021년 12월에는 KTX 이용객들을 위한 전용 역사가 크게 완공되어 현재는 꽤 큰 규모를 자랑한다.
3. 운행계통
2004년 개통 당시에는 부산행 2회, 광주/목포행 각 1회씩 해서 상/하행 각 4회씩 정차했다. 그러나 서울역이나 용산역까지 가지 않고 시간을 맞춰 행신역에서 열차를 타면 소요시간도 꽤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으며, 일산신도시, 덕양구 일대와 가깝고,[6] 파주시, 김포시 등 인접한 지역에서도 행신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 왔기에 열차 운행횟수도 그에 맞춰 몇 년마다 소폭씩 증편되어 왔다. 아직 현재 운행횟수는 전체적인 KTX 횟수에 비하면 많이 적지만, 2004년 개통 당시보다는 많이 늘어난 편이다. 강릉행 KTX-이음 1왕복을 제외하면 모든 계통이 경부고속선을 경유해 간다.기존에는 경부선/호남선 열차만 있다가, 2012년 추석 명절 기간부터 전라선 KTX가 한시적으로 운행하다 동년 11월부터 정규 편성되어 다니기 시작한 이래로, 2014년 6월 말부터 인천국제공항발 KTX 운행과 동시에 경부/호남선, 전라선 열차가 일부 증편되었다. 그리고 경전선 계통으로도 운행을 시작한 후[7] 포항행 KTX를 운행 개시했다.
2017년 2월 28일부터는 서대동부 편성 열차가 운행을 개시했고,[8] 서광대동부 등 일부 열차도 끼어 있어서 행신~부산도 2시간대로 오갈 수 있게 되었다.
2022년 3월 31일부터는 강릉행 KTX-이음 열차가 1왕복씩[9] 운행을 시작하게 되어 고양시에서도 강릉을 기차로 갈 수 있게 되었고,[10] 2024년부터는 5월부터 새로 운행을 개시한 KTX-청룡이 경부선 계통으로 상/하행 각 1회씩 운행을 시작했다.[11][12]
2024년 현재 수원 경유, 중앙선, 중부내륙선, 영동선 등 일부 계통을 제외하고는 전 계통을 운행한다.[13] 아래 표는 행신역을 출발하여 가거나 행신역으로 도착하는 KTX 정차역에 대한 표이다.
행신역을 정차하는 KTX | ||||||
준고속철도 | 경부고속철도 | 호남고속철도 | ||||
행신 | ||||||
서울 | 서울 | |||||
(통과) | 용산 | |||||
청량리 | 광명 | |||||
양평 | 천안아산 | |||||
경강선 입선 한정 운행중 | 오송 | |||||
만종 | 대전 | 호남고속선 | 서대전 경유 | |||
횡성 | 김천구미 | 공주 | 서대전 | |||
둔내 | 경전선 | 구포 경유 | 경부고속선 | 동해선 | 계룡 | |
평창 | 서대구 | (통과) | 논산 | |||
강릉 | 동대구 | 호남선 | 전라선 | |||
(통과) | 경산 | 경주 | 포항 | 익산 | ||
밀양 | 밀양 | 울산 | 김제 | 전주 | ||
진영 | 구포 | 정읍 | 남원 | |||
창원중앙 | 부산 | 장성 | 곡성 | |||
창원 | 광주송정 | 구례구 | ||||
마산 | 나주 | 순천 | ||||
진주 | 목포 | 여천 | ||||
여수엑스포 |
- 행신역 출발(하행) 열차 목록 [펼치기 · 접기]
- * 2024년 11월 개정 기준이다.
- 비고칸에 내용이 없는 열차는 매일 운행한다.
구분 열차번호 행신 출발 주요 정차역 종착역 비고 호남 405 06:00 익산(07:51) 광주송정(08:29 목포(09:06) 경부 7 06:11 대전(07:40) 동대구(08:28) 부산(09:21) 전라 503 06:41 전주(08:56) 순천(09:57) 여수엑스포(10:19) 경부 11 07:11 대전(08:32) 동대구(09:21) 부산(10:02) 호남 407 07:18 익산(09:05) 광주송정(09:43) 목포(10:20) 전라 4051 전주(09:25) 순천(10:23) 여수엑스포(10:45) [금토일] 경강 805 07:33 양평(08:46) 만종(09:09) 강릉(10:04) 동해 235 07:46 대전(09:20) 동대구(10:04) 포항(10:39) 경부 17 08:30 대전(09:52) 동대구(10:35) 부산(11:15) 9017 [주말] 전라 507 09:24 전주(11:40) 순천(12:41) 여수엑스포(13:03) 9507 [금토일] 동해 239 10:21 대전(11:54) 동대구(12:37) 포항(13:12) 경전 4021 밀양(13:13) 마산(13:51) 진주(14:15) 호남 415 11:47 익산(13:41) 광주송정(14:13) 목포(14:50) 전라 511 전주(14:01) 순천(15:02) 여수엑스포(15:21) 호남 417 12:17 익산(14:02) 광주송정(14:40) 목포(15:13) 전라 543 전주(14:22) 순천(15:21) 여수엑스포(15:43) 경전 211 12:26 진영(15:26) 창원중앙(15:37) 마산(15:51) 225 13:15 서대구(15:21) 마산(16:40) 진주(17:04) [월~목] 경부 183 13:27 대전(14:50) 동대구(15:38) 부산(16:24) 83 [금토일] 85 13:53 대전(15:14) 동대구(16:03) 부산(16:43) 동해 245 14:11 대전(15:39) 동대구(16:28) 포항(17:03) 경부 41 14:36 대전(16:10) 동대구(16:54) 부산(17:47) 105 16:51 밀양(19:36) 구포(20:02) 부산(20:15) 경전 219 17:40 밀양(20:33) 창원중앙(21:00) 마산(21:10) 경부 57 18:03 대전(19:37) 동대구(20:20) 부산(21:13) 전라 519 18:21 전주(20:27) 순천(21:29) 여수엑스포(21:51) 경부 63 19:36 대전(21:09) 동대구(21:51) 부산(22:37) 호남 439 21:57 익산(23:45) 정읍(+1 00:02) 광주송정(+1 00:21)
- 행신역 도착(상행) 열차 목록 [펼치기 · 접기]
- * 2024년 12월 개정 기준이다.
- 비고칸에 내용이 없는 열차는 매일 운행한다.
구분 열차번호 출발역 주요 정차역 행신 도착 비고 전라 502 여수엑스포(05:06) 순천(05:27) 전주(05:26) 08:43 호남 404 목포(08:43) 광주송정(06:01) 익산(06:46) 474 익산(06:25) 서대전(07:24) 천안아산(07:49) 08:57 동해 234 포항(07:15) 동대구(07:57) 대전(08:44) 10:15 경전 204 진주(06:12) 마산(06:37) 밀양(07:19) 전라 504 여수엑스포(07:09) 순천(07:31) 전주(09:32) 10:50 542 여수엑스포(07:48) 순천(08:10) 전주(09:13) 11:27 호남 408 목포(08:10) 광주송정(08:48) 익산(09:33) 경부 16 부산(08:40) 동대구(09:33) 대전(10:16) 11:45 전라 512 여수엑스포(13:04) 순천(13:23) 전주(14:19) 16:27 경전 212 진주(12:51) 마산(13:17) 서대구(14:40) 16:48 경부 36 부산(14:00) 동대구(14:48) 대전(15:36) 17:07 40 부산(14:31) 동대구(15:25) 대전(16:13) 17:37 호남 424 목포(15:50) 광주송정(16:28) 익산(17:13) 19:05 전라 4052 여수엑스포(15:28) 순천(15:50) 전주(16:53) [금토일] 경부 52 부산(17:50) 동대구(18:14) 대전(18:56) 20:26 호남 482 목포(16:26) 장성(17:15) 김제(17:48) 20:45 [월~목] 488 [금토일] 전라 4054 여수엑스포(16:27) 익산(18:08) 서대전(19:07) 동해 4034 포항(18:32) 동대구(19:10) 대전(19:53) 21:18 [월~목] 4032 [금토일] 전라 520 여수엑스포(18:05) 순천(18:27) 전주(19:30) 21:41 경부 58 부산(19:13) 동대구(19:54) 대전(20:37) 21:56 [월~목] 182 [금토일] 9182 194 부산(19:38) 동대구(20:32) 대전(21:14) 22:43 [월~목] 100 [금토일] 호남 434 목포(19:52) 광주송정(20:30) 익산(21:08) 23:03 전라 544 여수엑스포(19:26) 순천(19:48) 전주(20:48) 경강 826 강릉(21:34) 둔내(22:04) 만종(22:20) 23:49 경부 66 부산(21:00) 동대구(21:53) 대전(22:35) +1 00:06 동해 254 포항(21:36) 동대구(22:17) 대전(22:59) +1 00:28 경전 222 마산(21:08) 창원중앙(21:20) 천안아산(23:23) 호남 440 목포(21:52) 광주송정(22:30) 익산(23:02) +1 00:41 전라 524 여수엑스포(21:55) 순천(22:16) 전주(23:12) +1 01:07
4. 상세
2004년 개통 때부터 행신역 KTX 플랫폼은 임시승강장 형태로 경의선 본선이 아닌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부지 내에 위치한다.[28] 당시에는 간이역 개념으로 운행되었기 때문이었는지 현재도 1면 2선의 단촐한 섬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고, 2021년 전용 역사 완공 전까지는 2009년경에 완공된 경의·중앙선 역사와 육교로 연결된 구조였다. 그래서 육교를 한참 건너가야 했기에 이용객들의 불편도 있었다.그러다가, 이용객이 대폭 늘어나면서 2016년 승강장 전 구간의 지붕 설치를 시작으로[29] 2019년부터 승강장 개량 공사에 들어갔다. 이후에는 출/도착선을 분리하는 개선 공사를 진행하면서 배차간격을 단축할 수 있게 해 운영 효율을 높이면서 추후 열차 증편의 여지를 마련했고, 전용역사 공사와 동시에 1면 2선인 승강장을 2면 4선으로 확장할 수 있게 부지도 잡아 놓았다.
그리고, KTX 전용 역사가 2020년 9월부터 착공에 들어갔고, 플랫폼 길이를 서측으로 120m 늘려 이용객의 동선이 줄어들 수 있게 했다. 공사가 다 끝난 2021년 12월부터 전용 역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30][31] 완공 이후에는 전용 역사로 바로 들어가 에스컬레이터 한 번만 타면 KTX 플랫폼에 도착하기 때문에 이용객들의 이동 동선도 대폭 줄어들었지만,[32] 중련편성 열차나 KTX-1 이용 시 호차번호에 따라 동선이 길어질 수 있다.[33][34]
현재 행신역의 KTX 이용객은 연 평균 5,000명대 정도다. 고양시와 인접 지역의 수요가 행신역으로 상당히 오는 것을 암시하기도. 서울역, 용산역으로 가서 타는 게 운행횟수가 더 많긴 하지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본선과 서울역행 열차 배차 간격이 길고 선로용량 포화로 배차간격 단축도 힘들기도 하는 등 단점이 있고,[35] 행신역으로 와서 시간을 맞추면 바로 KTX를 이용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상당히 크기에 KTX 수요가 2004년 당시보다 대폭 늘어난 것이다.
추후 수요에 따라 지금보다 더 증편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2004년 200명대였던 이용객이 2020년대 들어와 4,000명대, 2024년 현재는 5,000명대를 돌파했기 때문. 그리고 2024년 중반부부터는 6,000명을 넘겼기 때문에, 향후 추이에 따라 추가 증편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36]
참고로, 수색-광명 고속철도 개통 시에는 행신 착발 열차 횟수가 대폭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행신역에서 직결은 되지 않지만, 고속선이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가좌역 사이에서 시작되면서 수색-서울 간의 선로 용량 포화를 완화시키기 때문에 정차 횟수를 크게 늘릴 수 있기 때문. 물론 증편을 하려면 행신역 구내의 1면 2선 플랫폼 구조를 2~3면 구조로 늘려야 할 것이다.[37]
5. 여담
이 때문에 행신역은 경기 북부와 고양시의 유일한 KTX 정차역이기도 하며,[38][39] 현재는 이용객도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주말이 되면 대합실이 북적이는 편이다.홍성역 또는 익산역으로 향하는 서해장항선 KTX가 개통하면 대곡역이 행신역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고양시의 두 번째 KTX 정차역이 된다.
[1] KTX가 개통한 역사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2] 철로는 많은데 정작 열차를 이용할 수 없으며, 고용 창출 효과도 그다지 크지 않다는 점 때문에 차량사업소는 혐오시설 중 하나다.[3] 고양시 입장에서는 차량기지를 받는 대신 고양시 내에 KTX 정차역이 생기니 반대할 이유가 없어지고, 시민들의 불만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행신역에서 KTX 이용이 가능해지기 때문. 덕분에 고양시는 2004년 개통과 동시에 KTX 시대가 열렸다.[4] 운영기관인 한국철도공사 입장에서도 출고하면서 빈 열차로 나오는 것보다 출고 준비와 함께 행신역에서 승객을 일부 태워서 나오는 게 수익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5] 그래서인지, 차량사업소 조성 시 행신역의 사례처럼 차량사업소 부지 안에 역을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님비현상도 해소할 수 있고 그 근방의 주민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6] 파주시, 일산신도시에서는 경의중앙선을 타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7] 1일 1회로 다니다가 현재는 수요 증가로 1일 3회로 증편됐고, 일부 열차는 진주역까지 운행한다.[8] 하행 #017⌹, 상행 #058/#182⏞[9] 805 열차와 826 열차가 해당된다.[10] 기존에는 고양-강릉 간 고속버스를 타야 했으나 열차라는 이용 루트가 하나 더 생긴 셈. 다만 강릉선 KTX답게 매진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표를 미리 예매해야 한다.[11] 열차번호 017, 182 열차가 해당된다. 서대동부 편성으로 운행한다.[12] 017 열차는 2017년부터 행신역에서 출발하며 KTX-1이 투입되다가 2024년 5월부터 KTX-청룡으로 바뀌었고, 주말에는 KTX-청룡 9017 열차가 중련 연결되어 운행한다. 상행인 KTX-청룡 182 열차는 금,토,일에만 운행하며, 중련으로 9182 열차와 함께 중련으로 운행한다. 월~목요일에는 58 열차로 운행하며 KTX-1이 투입되는데, 시간과 정차역은 182+9182 열차와 같다.[13] 주 수요가 수원역인 수원 경유 KTX와 연결되지 않는 중부내륙선을 제외하면 운행 요구가 있을 시 협의를 거쳐서 운행할 확률이 상당히 높다.[금토일] [주말] [금토일] [월~목] [금토일] [금토일] [월~목] [금토일] [월~목] [금토일] [월~목] [금토일] [월~목] [금토일] [28] 그 때문에 KTX 플랫폼 뒤로는 차량정비단 건물이 위치하며, 선로들이 엄청 많이 깔려있고 주박 중이거나 운행 준비 중인 KTX를 볼 수 있다.[29] 기존에는 특실 구간에만 지붕이 있었다.[30] 이 때, 행신역 내/외부 리모델링 공사도 시행하면서 역명판이 KTX 행신역으로 바뀌어 KTX가 정차한다는 것을 어필하고 있다.[31] 전용역사 사용과 동시에 기존의 육교는 철거되었다.[32] 기존에 있던 엘리베이터도 위치를 옮겨 운행 중이다.[33] 맨 앞쪽이 18호차(KTX-청룡 중련연결 시 16호차)라 13~18호차로 좌석을 끊은 사람이라면 플랫폼 거의 끝부분까지 걸어가야 한다. 되도록 1~10호차 사이로 좌석을 예매하자. 그리고 복합열차 예매 시 행선지와 호차번호를 꼭 확인할 것.[34] 여담으로 행신역 공사는 김상균 국가철도공단 전 이사장의 공이 컸다. 김상균 이사장이 덕양구에 살았기에 행신역에서 KTX를 많이 이용했는데, 대전으로 출퇴근하기가 많이 불편했다고.. 이용객도 늘어났지만, 김상균 이사장의 강력한 추진으로 인해 행신역 승강장 확장 공사가 잡힌 것.[35] 그나마 서울역은 1000번, 1200번, M7119번, 700번을 타고도 갈 수 있긴 하다.[36] 애초에 경기 서북부 쪽 유일한 KTX 정차역이기도 하고, 위에 서술한 메리트가 있기도 하며, 파주시 등 인접 지차체의 수요도 있지만, 고양시는 인구가 100만을 넘기는 대도시이기 때문에 고양시 안의 자체적인 수요도 상당하다.[37] 출/도착선 분리로 정차횟수가 소폭이나마 늘긴 했지만, 플랫폼이 1면 2선 구조인지라 구조적인 문제로 정차 횟수를 많이 늘리기 어렵다. 승강장 확장 부지를 잡아 놓았기에 선로와 승강장 공사는 크게 어렵지는 않다.[38] 다만, 문산 방향으로 행신 출발 기준 달랑 두 정거장 떨어진 대곡역에 서해선 KTX-이음이 정차할 예정이라 유일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장항선을 타고 익산역까지 운행할 예정이라 행신역을 이용해 익산에서 내리는 승객들의 분산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39] GTX-A 개통 후에는 상황을 봐야 하는 게, 서울역은 KTX 운행 횟수가 행신보다는 많지만, GTX 특성상 요금도 비싸고 역이 대심도에 있어(다만 이부분은 고속엘리베이터가 있기에 생각보다 큰 문제가 되지 않을수도 있다.)시간과 돈이 좀 들기에 시간 맞춰 행신역에서 KTX 타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