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브레첸 전투 러시아어: Дебреценская операция[1] 독일어: Debrecener Operation 영어: Battle of Debrecen | ||
제2차 세계 대전중 동부전선의 일부 | ||
| ||
▲ 1944년 10월 데브레첸 도심의 독일군의 5호 전차 판터 | ||
날짜 | ||
1944년 10월 6일 ~ 10월 29일 | ||
장소 | ||
헝가리 왕국 동부, 오라데아, 데브레첸, 니레지하저 | ||
교전국 |
| |
지휘관 |
(제2우크라이나전선군 사령관)
(플리예프 기병-기계화 집단 사령관)
니콜라에 마치치(루마니아 제1군 사령관)
게오르게 아브라메스쿠(루마니아 제4군 사령관) |
(남부군집단 사령관)
막시밀리안 프레터-피코(프레터-피코 집단군 사령관) |
결과 | ||
소련군의 사실상 승리 소련군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이 상당한 피해를 입음 | ||
영향 | ||
소련군과 루마니아군이 헝가리 동부를 점령. 부다페스트의 방어가 취약해져 부다페스트 공방전으로 이어짐 | ||
전력 | 84개의 사단 및 여단
698,200명
167,306명전차 825대 야포 10,238문 항공기 1,216기 | 31개의 사단 및 여단
240,925명전차 및 돌격포 293대 야포 3,500문 항공기 741기 |
피해 규모 |
전사/실종 19,713명부상 64,297명
전사 및 부상 33,500명총 인명피해 117,360명[2] 전차 약 500여대 격파 야포 1,656문 파괴 |
전사/부상 약 15,000명총 인명피해 53,000명[3] 전차 약 200여대 격파 야포 490문 손실 |
1. 개요
데브레첸 전투는 소련군이 데브레첸 공세 작전이라 부르는 전투[4]로, 제2차 세계대전 중 헝가리 동부에서 1944년 10월 6일 부터 10월 29일까지 벌어졌던 전투이다.2. 배경
1944년 8월 23일, 루마니아는 쿠데타 이후 같이 전쟁했던 헝가리와 독일에게 선전포고를 한다. 이후 소련군의 표도르 톨부힌이 이끄는 제3우크라이나전선군이 루마니아로 들어와 조직적인 방어선을 모두 파괴했다. 9월 8일에는 불가리아마저 독일에 대한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 무렵에 톨부힌과 말리놉스키는 추축국의 13개 사단을 격파하여 10만 명 이상을 포로로 잡았고, 이 공로로 말리놉스키와 톨부힌은 각각 9월 10일, 9월 12일에 소련군 원수로 진급한다.이로인해 요하네스 프리스너의 군집단에 650km의 격차가 생긴다. 1944년 9월 24일, 프리스너의 남부 우크라이나 집단군은 남부집단군으로 재편되었다. 프레터-피코 장군의 제6군은 헝가리 제2군과 함께 남부군집단의 중심이 되었다. 독일과 헝가리의 군대는 프레터-피코 집단군으로 일시적으로 재편되었다. 반면에, 소련군은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와 베오그라드 공세로 지쳐있었고, 무엇보다도 루마니아에서 사용되는 철도궤간의 차이로 인해 보급의 어려움을 겪고있었다.
3. 전투 이전
포위당할 것을 우려한 남우크라이나 집단군의 사령관 요하네스 프리스너 상급대장은 히틀러에게 철수 허가를 요청했다. 히틀러는 이를 거부했지만 프리스너의 집단군에 추가 병력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히틀러는 프리스너에게 말리놉스키의 두 부대, 제27군과 제6근위전차군을 격파하는 것을 목표로 새로운 공세를 시작하라고 명령했다. 또한, 남부 카르파티아 산맥의 주요 고갯길 두 곳을 탈환하라는 명령도 내렸다.1944년 9월 14일, 말리놉스키는 제3우크라이나전선군과 함께 베오그라드 공세를 개시했다. 프리스너는 자신의 공세를 위해 병력을 집중하고 있었고, 말리놉스키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은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일주일 동안 이무런 성과도 없는 공격 끝에 말리놉스키는 공세를 중지시키고 지친 제6근위전차군, 이사 플리예프와 세르게이 고르시코프의 기병-기계화 집단을 오라데아 근처로 이동시켰다.
1944년 9월 말까지 말리놉스키와 프리스너는 새로운 명령을 받았다. 말리놉스키는 아라드 주변의 남쪽 돌출부에서 부다페스트를 향해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말리놉스키는 성공적인 돌파가 이루어 졌을 경우 전과 확대를 위해 플리예프 기병-기계화 집단과 함께 제46군과 루마니아 제1군을 활용 할 예정이었다. 제6근위전차군, 제53군, 고르시코프 기병-기계화 집단을 포함한 말리놉스키의 나머지 병력들은 북쪽 오라데아 근처에서 데브레첸을 향해 공격할 예정이었다. 이 계획은 두 선봉대가 연합하여 독일군을 포위하는 것이었다. 프리스너의 명령에는 프레터-피코 집단군과 함께 오라데아 공격이 포함되어 있었다.
4. 전투서열
4.1. 독일군[5]
- 남부집단군 ( 사령관 : 요하네스 프리스너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군 ( 사령관 : 막시밀리안 프레터-피코 포병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기갑군단 ( 사령관 : 울리히 클레만 기갑병 대장[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4기갑사단
}}} - 제62군단 ( 사령관 : 베르너 슈미트-하머 중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6보병사단
}}} - 헝가리 제7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헝가리 제8예비사단
- 헝가리 제12예비사단
}}} - 제3기갑군단 ( 사령관 : 헤르만 브라이스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기갑사단
- 제13기갑사단
- 제23기갑사단
- 펠트헤른할레 기갑척탄병사단
- 제22SS기병사단 '마리아 테레지아'
- 제46보병사단
- 제503중전차대대
}}}
}}} - 헝가리 제2군[7] ( 사령관 : 베레시 러요시 대령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헝가리 제2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헝가리 제2기갑사단
- 헝가리 제25보병사단
- 독일 제15보병사단
}}} - 헝가리 핀타 집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헝가리 제7보충사단
- 헝가리 제1보충산악여단
- 헝가리 제2보충산악여단
}}} - 육군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헝가리 제9보충사단
}}}
}}}
}}}
4.2. 소련군
- 제2우크라이나전선군 ( 사령관 : 로디온 말리놉스키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근위군 ( 사령관 : 미하일 슈밀로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4근위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2근위소총사단
- 제81근위소총사단
- 제6소총병사단
}}} - 제25근위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근위공수사단
- 제36근위소총사단
- 제53소총사단
}}} - 육군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27소총사단
}}}
}}} - 제27군 ( 사령관 : 세르게이 트로피멘코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5근위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근위공수사단
- 제93소총사단
- 제180소총사단
- 제202소총사단
}}} - 제33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8소총사단
- 제337소총사단
}}} - 제104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근위공수사단
- 제163소총사단
- 제206소총사단
}}} - 육군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1포병사단
- 제27근위전차여단
- 루마니아 제2산악사단
- 루마니아 제3산악사단
- 루마니아 제18보병사단
- 루마니아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사단
}}}
}}} - 제40군 ( 사령관 : 필리프 즈마젠코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0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40소총사단
}}} - 제51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8소총사단
- 제133소총사단
- 제232소총사단
}}} - 육군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2근위소총사단
}}}
}}} - 제46군 ( 사령관 : 이반 슐료민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0근위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6근위소총사단
- 제59근위소총사단
- 제86근위소총사단
- 제109근위소총사단
}}} - 제31근위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근위소총사단
- 제34근위소총사단
- 제40근위소총사단
}}} - 제37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08근위고총사단
- 제320소총사단
}}} - 육군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돌파포병사단
}}}
}}} - 제53군 ( 사령관 : 이반 마나가로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7근위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97소총사단
- 제409소총사단
}}} - 제49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근위공수사단
- 제110근위소총사단
- 제375소총사단
}}} - 제57소총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3소총사단
- 제228소총사단
- 제243소총사단
}}} - 육군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8전차군단
- 제5근위돌파포병사단
}}}
}}} - 제6근위전차군 ( 사령관 : 안드레이 크라브첸코 소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근위기계화군단
- 제5근위전차군단
- 제6자주포여단
- 루마니아 기병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기병훈련사단
- 제1보병훈련사단
}}}
}}} - 플리예프 기병-기계화 집단 ( 사령관 : 이사 플리예프 소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근위기병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근위기병사단
- 제10근위기병사단
- 제30기병사단
}}} - 제6근위기병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8근위기병사단
- 제13근위기병사단
- 제8기병사단
}}} - 제7기계화군단
}}} - 고르시코프 기병-기계화 집단 ( 사령관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소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근위기병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1근위기병사단
- 제12근위기병사단
- 제63기병사단
}}} - 제23전차군단
}}} - 루마니아 제1군 ( 사령관 : 니콜라에 마치치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보병사단
- 제4보병사단
}}} - 제7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보병사단
- 제19보병사단
}}}
}}} - 루마니아 제4군 ( 사령관 : 게오르게 아브라메스쿠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산악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산악사단
- 제3보병사단
- 제6보병사단
}}} - 제2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8기병사단
}}} - 제20보병사단
- 제6군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보병사단
- 제9보병사단
- 제21보병사단
}}} - 제11보병사단
- 기갑집단[8]
- 육군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기병사단
}}}
}}} - 전선 예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근위기계화군단
- 제25근위소총사단
- 제303소총사단
}}}
}}}
5. 전개
5.1. 작전 시작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작전은 1944년 10월 6일부터 시작되었고, 말리놉스키의 남부 협공군이 아라드 부근을 공격하여 헝가리 제3군을 궤멸시켰다. 남부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선봉부대와 플리예프 기병-기계화 집단은 작전 개시 이후 하루만에 거의 60km를 전진했다. 북부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공격은 독일 제3기갑군단의 제1기갑사단과 제23기갑사단과 충돌해 진격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하루가 끝날때까지 10km밖에 전진하지 못했다.프레터-피코는 신속하게 대응하여 제76보병사단에게 오라데아 인근 전선으로 진격을 명령했다. 이로써 제23기갑사단은 아라드 근처의 돌파에 대응하기 위해 남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메죄쾨베스드에서 재정비 중이던 독일 펠트헤른할레 기갑척탄병사단은 진격해 오는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에 맞서 티서 강을 건널 수 있는 잠재적인 도하 지점을 방어하기 위해 작전에 투입되었다.
1944년 10월 7일 저녁, 남부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은 티서 강을 향해 더 진격했지만, 북부에서는 여전히 오라데아에서 교착상태에 빠져있었다. 이곳의 독일군과 헝가리군들은 제6근위전차군의 측면 공격 시도를 여러차례 저지했다.
5.2. 티서 강을 건너
10월 10일까지 말리놉스키의 군대는 티서강 서쪽 기슭에 있는 여러 교두보를 점령했고 제46군과 제18전차군단 일부가 부다페스트에서 불과 70km 떨어진 케치케메트로 진격하고 있었다. 그러나 말리놉스키는 티서 강 반대편에 있는 플리예프의 군대의 진격을 지원하기 위해 이 병력들 중 일부를 재배치해야 했다. 이 선봉대의 나머지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은 헝가리 기병대와 독일 대공포부대의 공격을 받아 10월 11일에 티서강으로 후퇴해야했다. 같은날, 헝가리군의 제1기갑사단과 제23보병사단이 민츠젠트 교두보에서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제243소총병사단을 상대로 반격을 가하자 루마니아 제7군단이 급파되어 교두보 방어를 강화해야 했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이후 루마니아 제2보병사단과 제4보병사단은 솔노크 아래 티서 강에 있는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교두보를 인계받았다. 제4사단의 교두보는 10월 19일에 헝가리 제1기병사단과 제1보병사단의 공격을 받았고, 제4사단은 독일의 제24기갑사단,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제503중전차대대가 우익을 공격할때까지 헝가리군의 공격을 버텨냈다. 루마니아 제4보병사단의 우익이 무너졌고 독일의 기갑부대가 제4사단의 뒤로 진격해 포위하고 10월 20일까지 항복을 강요했다. 10월 25일, 헝가리군의 3개 사단[9]이 교두보에 있는 루마니아 제2보병사단을 공격했다. 공격에 당황한 루마니아 제2보병사단은 티서 강을 건너 철수했다. 하지만 헝가리군은 10월 26일~29일 사이에 알파르에 있는 루마니아 제19보병사단의 교두보를 공격하는데에는 실패했다.
1944년 10월 8일, 플리예프 기병-기계화 집단은 북동쪽으로 공격 방향을 변경했다. 플리예프 부대는 솔노크와 데브레첸을 잇는 고속도로를 따라 빠르게 진군했다. 하이두소보슬로에서 집단의 선두 부대인 제9근위기계화군단과 제6근위기병군단은 남부에서의 공세를 저지하기 위해 남쪽으로 이동중이던 독일의 제23기갑사단을 마주쳤다. 1944년 10월 9일, 제5항공군의 지원을 받은 플리예프 부대는 하이두소보슬로를 점령했다. 독일군은 데브레첸으로 후퇴하여 도시 동남쪽에 참호를 파기 시작했다.
5.3. 계속되는 전투
1944년 10월 11일, 플리예프의 제4근위기병군단 일부가 데브레첸 외곽에 도달했다. 이 군단은 소련군 주력부대와 단절되었지만, 포위당하는 것은 피했다. 오라데아 인근 전선은 제6근위전차군의 공격으로 계속해서 밀려났으며 대규모 전차전이 발생하기도 했다. 10월 12일까지 플리예프의 부대는 이미 약 200대의 장갑차량을 잃은 상태였다. 전선은 오라데아에서 14km 밀려났고 오라데아는 말리놉스키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북쪽의 프레터-피코 집단군도 위기가 찾아왔다. 제4우크라이나전선군이 오토 뵐러의 제8군을 공격했기 때문이었다.말리놉스키의 군대와 플리예프의 군대는 서로 연결되었다. 10월 19~20일 동안 독일과 헝가리군의 저항을 뚫고 진격하던 루마니아의 3개 사단[10][11]이 소련의 제27군이 제6근위전차군의 우측을 공격하는 일환으로 데브레첸을 공격하고 점령했다. 10월 22일에는 플리예프 집단이 니레지하저를 점령했다. 독일군은 오토 뵐러의 제8군과 통신이 끊어지자 프리스너가 뵐러에게 니레지하저 북서쪽으로 후퇴해 방어선을 형성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러한 움직임은 플리예프 기병-기계화 집단이 제8군의 통신선을 끊기 전부터 이미 움직이고 있었다.
커져가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독일의 제503중전차대대의 티거 II가 이끄는 제23기갑사단과 제1기갑사단은 동쪽을 공격했다. 파울 클라트의 제3산악사단, 제15보병사단,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는 서쪽을 공격하는 군대를 형성했다. 10월 24일에는 제23기갑사단이 제3산악사단이 이미 점령중이던 너지칼로에 도착했다.
10월 26일, 제23기갑사단은 니레지하저를 탈환했다. 뵐러는 니레지하저의 탈출로를 통해 제8군을 이동시키기 시작했다. 28일까지 제8군은 포위망에서 벗어났다. 플리예프 집단은 대부분의 차량과 중화기를 파괴하고 남쪽으로 이동해 소련군과 합류했다. 독일군의 파괴 시도에도 불구하고 플리예프의 기병-기계화 집단은 11월 10일 소련군이 세게드로 진격 중 일때 다시 전투에 복귀했다.
6. 결과
말리놉스키가 지휘하는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3개 군단이 큰 피해를 입었고,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부다페스트를 향한 공세는 지연되었다. 독일군은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의 공세를 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선을 유지할 수 있었고 소련군의 공세가 뵐러의 제8군에게 재앙이 되는 것을 막았다. 그러나 독일군의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고, 10월 30일에 니레지하저가 소련군에게 넘어갔다. 이후 다시 남쪽으로 소련군의 부다페스트를 목표로한 강력한 공세가 진행되었고 소련군은 11월 7일에 부다페스트 근방에 도달했다. 루마니아군의 제1보병사단과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사단은 수많은 독일군과 헝가리군의 반격시도에도 불구하고 10월 20일, 데브레첸을 함락시켰다.7. 여담
이 전투로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은 헝가리 서쪽으로 60~120마일을 진격하여 자신들과 제3우크라이나전선군이 부대페스트 공세를 재개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니레지하저에서의 반격은 독일군이 전력을 갖춘 소련군을 상대로 호각으로 싸워 승리했던 마지막 전투였다.
데브레첸에서의 전차전은 독일군 기갑부대들이 부다페스트 진입로의 방어선을 벗어나도록 했고, 결국 부다페스트의 방어가 취약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소련군은 헝가리 동부의 3분의 1을 점령하여 카르파티아 산맥의 장애물을 제거했고, 독일군이 카르파티아 산맥을 겨울철 방어 거점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았다.
데브레첸을 함락시켰던 루마니아군의 2개 사단 중 하나인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사단은 이후 스탈린의 요청으로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데브레첸사단으로 개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