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9px; word-break: keep-all" {{{#000,#999 | <colbgcolor=#536349> 연표 | 사건 |
1936년 | 3월 라인란트 재무장 | 7월 스페인 내전 발발 | 12월 방공 협정 | |
1937년 | 7월 중일전쟁 발발(루거우차오 사건) · 제2차 국공합작 | 8월 상하이 전투 | 12월 난징 전투(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 |
1938년 | 3월 오스트리아 병합 | 6월 1938년 황허 홍수 | 7월 하산 호 전투 | 9월 뮌헨 협정 | |
1939년 | 4월 스페인 내전 종결 | 5월 할힌골 전투 | 8월 독소 불가침조약 | 9월 폴란드 침공(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가짜 전쟁 | 11월 겨울전쟁 | |
1940년 | 4월 노르웨이 침공 | 5월 프랑스 침공 · 됭케르크 철수작전 | 7월 영국 본토 항공전 | 9월 삼국 동맹 조약 | 10월 그리스 침공 | |
1941년 | 5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 6월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발발) · 계속전쟁 | 9월 레닌그라드 공방전 | 10월 모스크바 공방전 |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 말레이 해전 · 남방작전 | |
1942년 | 4월 둘리틀 특공대 | 6월 청색 작전 · 미드웨이 해전 | 7월 엘 알라메인 전투 | 8월 스탈린그라드 전투 · 과달카날 전역 | 11월 과달카날 해전 · 횃불 작전 · 노르웨이 중수 사건 | |
1943년 | 1월 카사블랑카 회담 | 2월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 4월 바르샤바 게토 봉기 | 7월 쿠르스크 전투 ·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 9월 이탈리아 왕국의 항복(이탈리아 내전 발발) | 11월 카이로 회담 · 테헤란 회담 | |
1944년 | 4월 대륙타통작전 | 6월 바그라티온 작전 · 노르망디 상륙 작전 · 필리핀해 해전 · 사이판 전투 | 7월 브레턴우즈 회의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8월 바르샤바 봉기 | 9월 마켓 가든 작전 | 10월 레이테 만 해전 | 12월 벌지 전투 | |
1945년 | 2월 얄타 회담 · 드레스덴 폭격 · 이오지마 전투 | 3월 도쿄 대공습 ·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 4월 베를린 공방전 · 오키나와 전투 | 5월 나치 독일의 항복 | 7월 포츠담 회담 |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 일본 제국의 항복 | 9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 |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 }}}}}}}}}}}} |
Operation Torch
L'opération Torch
알제리에 상륙하는 미군, 1942년 11월 8일.
1. 개요
1942년 11월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를 미국, 영국 연합군이 침공한 작전. 독소전쟁 개전 이래 이오시프 스탈린이 강력하게 주장했던 제2전선을 형성하기 위해 입안되었다. 원래는 유럽 대륙으로 그대로 직행하는 '슬레지해머 작전'이 의논되었으나 영국의 강력한 반대로 무산되었고, 대신 먼저 북아프리카에서 추축군을 축출하기로 결정되었다. 작전이 성공한다면 연합군은 지중해를 통제할 수 있으며, 1943년에 예정된 남유럽 침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었다.1.1. 연합군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이 연합군 총사령관을 맡았다. 조지 S. 패튼 장군이 지휘하는 미 육군 제2기갑사단, 육군 제3보병사단, 제9보병사단을 포함한 3만 5천명의 서부군은 카사블랑카에 상륙하며, 로이드 프레덴달 장군 휘하의 미 육군 제1기갑사단, 제1보병사단, 제509공수연대를 포함한 1만 8천 5백명의 중부군은 오랑에, 케네스 앤더슨 장군 휘하 영국 육군 제78보병사단 휘하 2개 대대와 미 육군 제34보병사단 및 코만도 부대를 포함한 동부군은 알제에 상륙하기로 계획되었다.1.2. 비시 프랑스 주둔군
비시 프랑스군은 해군원수 프랑수아 다를랑 제독[1] 지휘 하에 북아프리카에 12만 5천명의 병력, 해안포, 210대의 구식 전차, 500여기의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거기에 카사블랑카에 주둔한 10여척의 전투함과 11척의 잠수함을 고려하면 무시할 수는 없는 전력이었다.연합군은 옛 동맹이었던 비시 프랑스군이 저항하지 않으리라 기대[2]했고, 실제로 여러 차례 잠수함을 이용한 물밑작업을 벌여 상당수의 프랑스 지휘관들을 전향시키기도 했다. 미군은 프랑스군이 먼저 발포하지 않는 한 공격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다.
2. 전투
2.1. 카사블랑카 해전
서부군은 1942년 11월 8일 모로코의 사피, 페달라, 케니트라에 상륙했다. 미군은 프랑스군의 무저항을 기대했기 때문에 포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작전 시작 전날에 프랑스군에서는 연합군에게 항복하기 위한 쿠데타 시도가 있었으나 좌절되었고 프랑스 해안 방어선만 더 견고해지는 결과만 낳았다.미군의 기대와는 달리 해안에 상륙하자마자 비시 프랑스군의 포탄이 날아왔다. 대부분 전투경험이 전무한 미군 장병들은 즐겁게[3] 상륙했다가 날벼락을 맞았다. 미군은 비시 프랑스군의 선제공격에 상당한 피해를 입었고, 전투함과 항공기들이 지원을 시작한 후에 공세를 개시하여 애당초 전투의지가 열악했던 비시 프랑스군을 항복시켰다.
미군은 매사추세츠, 위치타, 터스칼루사, 아구스타, 브루클린, 레인저, 스와니 그리고 14척의 구축함을 포함한 함대로 공격을 감행하였다.
카사블랑카의 프랑스 해군 군함들은 짱박혀 있던 중 헨리 헤위트 제독이 지휘하는 미 해군의 습격을 받아 순양함 1척, 구축함 4척, 잠수함 7척이 수장당했다. 리슐리외급 전함 2번함 장 바르(Jean Bart)가 하나뿐인 주포탑으로 저항했지만 매사추세츠의 포격에 의해 하나뿐인 주포탑이 통제를 잃고 레인저급 항공모함 레인저의 공습으로 화재와 침수가 발생하면서 완전히 무력화당했다.
2.2. 오랑
미군의 경험 미숙과 프랑스 해군의 저항으로 작전이 지연되긴 했지만 상륙작전 자체는 성공적이었고, 9일까지 프랑스 포대와 포탄을 주고받은 후 오랑을 포위한 뒤 영국 해군 전함들의 포격으로 프랑스군의 항복을 받아냈다.미군이 처음으로 공수부대를 투입하기도 했다. 두 비행장을 제압하기 위해 509 공수대대가 투입되었는데, 기상악화로 수송기 37대중 30대가 불시착하는 불상사가 벌어졌다. 그래도 결국엔 비행장을 제압하는데 성공했다.
2.3. 알제
400여 명의 프랑스 레지스탕스가 봉기한 데다 대다수의 프랑스군 지휘관들이 전향하여 별다른 문제 없이 상륙에 성공했다. 영국군 구축함 2척과 프랑스 포대가 교전한 것이 유일한 전투인데 사상자는 없었다.3. 결과
애초에 프랑스군 내부에서 무저항파와 저항파로 나뉘어 내분이 벌어졌고, 사기도 대체로 낮았던데다 병기의 질도 떨어졌고 수적으로도 압도당했기 때문에 사실상 승산은 없었다. 연합군은 500여 명이 전사하고 720명이 부상당했으며 프랑스군 사상자는 3,500여 명에 달했다.[4]프랑수아 다를랑 제독은 항복의 대가로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의 정치 및 군사분야를 총괄하는 고등판무관 자리를 보장받았는데, 항복 얼마 후 고등판무관에 취임했으나 이에 분노한 현지 프랑스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프랑스군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비시 정권의 자치권을 인정받던 프랑스 남부를 바로 점령해버렸다. 이것이 안톤 작전이며, 명목상으로는 남프랑스로의 연합군 상륙을 방어한다는 목적이었다. 그 와중에 프랑스 함대는 나치에게 자신들 배를 내줄 수 없다며 툴롱 항에서 자침해 버리거나 도주하여 연합군에 합류하였다.[5]
횃불 작전의 성공으로 연합군은 이집트와 리비아를 넘어 진격해온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병력과 연계하여 북아프리카의 추축군을 튀니지로 몰아넣은 뒤 소멸시킬 수 있었다.
[1] 본래 정식 지휘 계통엔 없었으나, 본토에서 아들을 만나고자 잠시 이곳에 왔다 졸지에 현지 최선임자가 됐다.[2] 그러나 캐터펄트 작전으로 영국에게 엄청난 악감정을 가진 프랑스군이 대부분이었다. 동지라고 생각했는데, 엄청난 뒤통수를 쳤으니 당연하다고 볼수 있다. 이들은 회유하러온 미국 공작원에게 미군이 아닌 그 입에도 담기 더러운 겁쟁이, 사기꾼인 영국놈들이 온다면 제네바 조약이고 뭐고 그 개자식들을 하나도 남김없이 숨통을 끊어버리고 우리는 최후의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3] 몇몇 증언에서는 일부 미군이 상륙전에 "쏘지 마시오 우리는 미군이고 당신의 친구다"라는 프랑스어를 반복했다고 한다.[4] 그나마 외인부대는 제대로 싸웠는데, 상부에서 항복하라고 명령이 내려오자 그냥 항복하긴 싫다며 미군 앞에서 가지고 있던 탄약을 죄다 허공에다 쏴버린 뒤 항복했다.[5] 프랑스 해군에서 리슐리외급 다음으로 강력했던 됭케르크급 전함 2척이 이때 자침했다. 이 시기 됭케르크급 2척중 됭케르크는 1940년 메르스 엘 케비르에서 영국 해군에게 크게 파손된 후 장기간 수리 상태였으므로 실질적으로 가동 상태에 있었던 것은 스트라스부르 1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