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양평역(서울) 문서 참고하십시오.
양평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방면청량리 ← 47.9 ㎞ | 안동 방면 | |||
서원주 38.5 ㎞ → | |||||
강릉·동해 방면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청량리 방면덕 소 ← 30.7 ㎞ | 안동 방면 용 문 10.6 ㎞ → | |||
중앙선 무궁화호 | 부전 방면 | ||||
용 문 10.6 ㎞ → | |||||
태백선 무궁화호 | |||||
동해 방면 | |||||
청량리 방면청량리 ← 47.9 ㎞ | A-train | 아우라지 방면원 주 46.8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문산 방면오 빈 ← 2.2 ㎞ | 경의·중앙선 (K135) | 지평 방면원 덕 5.8 ㎞ → | |||
수색 방면양 수 ← 16.7 ㎞ | 경의·중앙선 중앙선 급행 | 용문 방면용 문 10.6 ㎞ → |
역명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앙선 | 양평 Yangpyeong 楊平 / 杨平 / [ruby(楊平, ruby=ヤンピョン)] | |||
경의·중앙선 | }}}}}}}}} | ||||
주소 |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역전길 30 (양근리 130-37)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1] / 2급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 기관 | |||||
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경북부선 | 1939년 4월 1일 | |||
경경선 | 1941년 7월 1일[2] | ||||
중앙선 | 1948년 1월[3] | ||||
2017년 12월 22일 | |||||
2022년 11월 5일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중앙선 | 2009년 12월 23일 | ||||
경의·중앙선 | 2014년 12월 27일 | }}}}}}}}}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4면 10선 4섬식 승강장(횡단 불가) | |||||
철도거리표 | |||||
청량리 방면오 빈 ← 2.2 ㎞ | 중앙선 양 평 | 모량 방면원 덕 5.8 ㎞ → |
역 전경[4]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35번,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역전길 30 (양근리 130-37) 소재.양근군과 지평군이 하나 되어 탄생한 양평
양평역은 1939년 4월 1일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70년~80년대 사무관역(5급)과 주사역(6급)을 오르락내리락하며 발전해왔다. 역명이 유래한 양평군은 1908년 양근군과 지평군이 합쳐지면서 탄생한 지명으로 대한민국 경기도 중동부에 위치, 비록 군이지만 경기도 내에서 가장 넓은 지역으로 풍부한 관광자원을 자랑한다. 1996년 개통한 지하철 5호선의 양평역보다 한참 선배라고 할 수 있다. 옛 양평역사는 삼각지붕의 모습에서 1989년 네모반듯한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층 역사로 신축, 지역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역할하였으며 2009년 중앙선 복선전철화를 겪으면서도 그 자리 그대로 새로운 출발을 맞이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양평역은 1939년 4월 1일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70년~80년대 사무관역(5급)과 주사역(6급)을 오르락내리락하며 발전해왔다. 역명이 유래한 양평군은 1908년 양근군과 지평군이 합쳐지면서 탄생한 지명으로 대한민국 경기도 중동부에 위치, 비록 군이지만 경기도 내에서 가장 넓은 지역으로 풍부한 관광자원을 자랑한다. 1996년 개통한 지하철 5호선의 양평역보다 한참 선배라고 할 수 있다. 옛 양평역사는 삼각지붕의 모습에서 1989년 네모반듯한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층 역사로 신축, 지역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역할하였으며 2009년 중앙선 복선전철화를 겪으면서도 그 자리 그대로 새로운 출발을 맞이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2. 역 정보
양평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현 역사는 중앙선 복선전철화 당시 구 역사를 허물고 새 역사 완공 이전 북쪽 공터(현 주차장 자리)에 가건물로 지은 임시역사를 사용하다가 새로 건축한 역사이다. 지상 2층 건물이며, 1층으로 들어간 뒤 2층에서 표를 찍고 다시 1층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방식이다. 2층에는 분식점, 고객대기실, 스토리웨이, 카페, 양평군 관광안내소[5]가 있다. 관광안내소 바로 옆에는 매표소와 교통카드 발급기가 있으며, 교통카드 발급기는 고객대기실 옆(2번 출구 방향)에도 있다.
2.1. 정차 열차
중앙선, 영동선, 태백선의 모든 무궁화호, ITX-새마을 열차와 일부 KTX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한다. 정선아리랑열차 A-train은 2021년 1월 20일부로 정차한다.중앙선 전철이 개통된 뒤에도 일반열차 취급이 용문역, 덕소역과 함께 유지되었으며 아직도 모든 무궁화호와 ITX-새마을 열차가 정차할 정도로 이용객 수는 많은 편이다. 양평군 내에서 이용객 수 1위 역이다. 다만 주로 관광객들이 대부분인 용문역과는 다르게 여기는 연선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2017년 12월 22일부터 KTX 열차가 정차한다. 왕복 26회 정차하며, 왕복 2회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서울역과 강릉역 간을 운행하게 된다. 서울역행 첫차는 6시 36분, 강릉역행 막차는 21시 51분이다. 강릉까지 소요 시간은 약 70분.
2021년 1월 5일부터 중앙선 KTX-이음 열차가 선택 정차한다. 양평역보다도 수요가 적은 영주역이나 안동역이 필수 정차인데 선택 정차역이 되어 버린 건, 서울 방면으로 가는 장거리 승객이나 근방 지역인 덕소역쪽 주민들을 타깃으로 한 게 클 것이다.[6] 실제로 출퇴근 시간대 양평 정차 열차는 양평, 덕소역에서 온 이용객이 거의 반일 정도니 말이다.
2.2. 역명 중복 문제
수도권 전철 5호선 양평역이 있는 상태에서 중앙선 양평역에도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는데, 문제는 5호선 양평역의 이름이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역 명칭의 중복이 발생했다.[7]중앙선 양평역이 1939년부터 운영되고 있었지만 1996년에 5호선 양평역을 개통할 당시 신규 역은 지하철역이고 기존의 양평역은 기차만 운행하던, 당시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는 서로 완전히 다른 용도의 역이어서 명칭 중복이 별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5호선의 신규 역에 양평역이라는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2009년부터 중앙선 양평역에도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혼동이 시작되었다.
역명이 중복되기 때문에 이용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양평군에 있는 숙박업소에서 고객이 픽업을 요청해서 차를 몰고 가보니 아무도 없어서 다시 확인해봤더니 그 고객이 영등포구의 양평역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대답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1회용 교통카드를 구매할 때도 어느 양평역을 고르느냐에 따라 요금 차이가 심해진다. 요금을 덜 내게 되는 경우라면 내릴 때 추가로 지불하면 되는데, 문제는 더 내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8]
중앙선 양평역에서 수도권 전철이 막 운행하기 시작했을 때는 중앙선 양평역에서 5호선 양평역까지 가면 탈 때 당시 기본요금 900원에 내릴 때 추가요금 900원이라는 오묘한 상황이 발생했다. 현재는 기본요금이 1400원으로 인상되어 두 역간의 요금은 2400원이다.
네이버 검색에서는 경의·중앙선 양평역이 상단, 5호선 양평역이 하단, Daum에서는 5호선 양평역이 먼저 나오며, 구글에서는 중앙선 양평역이 상단에 온다. 검색시에는 양평역 앞에 5호선 또는 경의중앙선 혹은 KTX라는 말을 붙여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다.
양평군이나 영등포구나 역명 변경과 관련된 언급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도 바꿀 예정이 없는 것 같다.
2.3. 역대 역사
초대 역사 (1939년 준공, 1989년 철거) |
2대 역사 (1989년 준공, 2008년 철거) |
3대 역사 (2008년 준공) |
양평역 맞이방 |
3. 승강장
경의·중앙선 및 중앙선 승강장 |
↑ 오빈 | |||||||||||||||||
ㅣ | ㅣ | ㅣ | 8 | 7 | ㅣ | 6 | 5 | ㅣ | ㅣ | 4 | 3 | ㅣ | 2 | 1 | ㅣ | ㅣ | ㅣ |
원덕 ↓ |
1 2 | 경의·중앙선 | 완행 급행 | 원덕·용문 방면 |
3 4 | 강릉선 | 서원주·강릉·동해 방면 | |
중앙선 | [[무궁화호| 무궁화 ]] | 원주·안동·부전 방면 | |
태백선 | [[무궁화호| 무궁화 ]] | 제천·태백·동해 방면 | |
정선선 |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 | 영월·정선·아우라지 방면 | |
5 6 | 강릉선 중앙선 태백선 정선선 | [[무궁화호| 무궁화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 | 덕소·청량리·서울 방면 |
7 8 | 경의·중앙선 | 완행 급행 | 청량리·용산·문산 방면 |
4월 기준 2, 7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1, 8번 승강장은 난간이 있으며, 그 사이를 쇠사슬로 막아놨다. 8번 승강장은 평일 오전 7시에 한정하여 딱 한번 완행열차가 급행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정차한다.
이 역은 경사가 평지(0퍼밀)이다.
2023년 12월 28일 강릉선 KTX와 중앙선 KTX의 복합열차 운행이 시작되면서 이 역에도 12량 KTX-이음 복합열차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승강장 유효장이 그리 길지 않다 보니 복합열차 정차 시 승강장 펜스 끝에서 끝까지 열차가 공간을 전부 차지한다.
4. 역 주변 정보
양평읍의 중심에 있으며, 주변에 양평군청이나 양평시장 등이 있다. 양평시외버스터미널과의 거리는 약 1.2km이다.중앙선 양평역을 중심으로 양평읍의 시가지가 발달 되어 온 역사로 인하여, 시가지와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양평시장이나 양평군청, 양평경찰서 등의 주요 관공서와도 가깝고 주변에 아파트 단지들도 많다. 여기서 조금 떨어져 있는 강상면이나 백안리에 있는 아파트 단지들도 자체적으로 양평역까지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1번 출구로 나가면 양평군청, 양평시장, 양평경찰서, 경기도양평교육지원청, 양평초등학교 등등 대부분의 시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양평군청 쪽으로 쭉 가다보면 던킨도너츠, 롯데리아, 버거킹 등의 프랜차이즈 업체도 볼 수 있다. 좀 더 걷다 보면 남한강이 있고, 군청 사거리에서 서쪽 방향으로 700m 정도 이동하면 양평군민회관, 여성회관, 실내체육관, 군립미술관, 스타벅스 더양평DTR점이 나온다. 전술했던 아파트 단지들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셔틀버스들은 모두 1번 출구 앞 버스정류장에 선다. 1번 출구에서 나와서 볼 수 있는 주거 시설은 현대성우오스타코아루아파트, 양평 센트럴파크 써밋 아파트가 있다.
2번 출구로 나가면 주택과 아파트들 위주이다. 1번 출구와는 다른 조용한 분위기. 양일중/고등학교와 가깝고 좀 더 북쪽으로 가다 보면 양평중학교가 있다. 시내 쪽으로 가다 보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양평지사가 나오며 더 가다 보면 양평시외버스터미널과 스타벅스[9], 농협 하나로마트, 롯데마트 경기양평점이 나온다.
5. 일 평균 이용객
5.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bgcolor=#77c4a3> 비고 ||
2009년 | 5,687명 | [10] |
2010년 | 6,156명 | |
2011년 | 7,035명 | |
2012년 | 7,424명 | |
2013년 | 7,728명 | |
2014년 | 8,090명 | |
2015년 | 7,990명 | |
2016년 | 8,002명 | |
2017년 | 7,937명 | |
2018년 | 7,381명 | |
2019년 | 7,227명 | |
2020년 | 4,745명 | |
2021년 | 5,107명 | |
2022년 | 5,893명 | |
2023년 | 6,409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8,000여 명으로 덕소역 동쪽 구간 중에서 압도적인 1위, 전국 군 소재 전철역 2위[11]를 차지한다. 이유야 당연히 양평군의 중심지인 만큼 배후 인구가 많고 상업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 개통 초기부터 이용률이 높았기 때문인지 수요의 성장이 더딘 편이다. 서울과의 거리도 제법 있는 편이고 대체 교통 수단이 풍부해서 일반열차와 수요를 분산하는 것이 큰 이유이다.
- 군 전체의 중심지인지라 양평군 곳곳으로 가는 승객들이 여기서 갈아타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강 건너의 강상면에서는 양평읍 못지 않게 의존도가 높다.
- 용문역과 마찬가지로 장이 열릴 때마다 이용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역 중 하나이다. 장이 열리지 않는 날에는 하루에 6,000여 명 정도 이용하다가 장이 열리면 하루에 9,000명 가까이 되는 이용객 수를 보여준다.
5.2. 일반·고속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2004년 | 1,627명 | 114명 | 1,741명 | ||
2005년 | 1,909명 | 130명 | 2,039명 | ||
2006년 | 1,919명 | 137명 | 2,056명 | ||
2007년 | 2,067명 | 미운행 | |||
2008년 | 2,256명 | ||||
2009년 | 1,908명 | ||||
2010년 | 859명 | 298명 | 1,157명 | ||
2011년 | 1,390명 | 82명 | 1,472명 | ||
2012년 | 1,765명 | 100명 | 1,865명 | ||
2013년 | 2,036명 | 128명 | 2,164명 | ||
2014년 | 2,230명 | 139명 | 2,369명 | ||
2015년 | 2,208명 | 143명 | 2,351명 | ||
2016년 | 2,095명 | 185명 | 2,280명 | ||
2017년 | 651명 | 2,129명 | 88명 | 2,868명 | [12] |
2018년 | 618명 | 2,063명 | 37명 | 2,718명 | |
2019년 | 839명 | 2,222명 | 44명 | 3,105명 | |
2020년 | 638명 | 1,386명 | 29명 | 2,053명 | |
2021년 | 901명 | 1,134명 | 28명 | 2,063명 | [13] |
2022년 | 1,257명 | 1,399명 | 42명 | 2,698명 | |
2023년 | 1,562명 | 1,256명 | 314명 | 3,132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6. 사건 사고
2017년 9월 13일 4시 50분쯤 이 역 인근에서 시운전 중인 기관차끼리의 추돌 사고가 일어났었다. 이 사고로 기관사 1명이 안타깝게 사망했으며, 양 방향 열차의 운행도 중단되어 출근하는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7시 35분경부터 운행을 재개하였다. 관련 기사.7. 연계 교통
양평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양평역 (46711) | <colcolor=#ffffff> 시내 | |
양평군청사거리.양평역 (45022) | 시내 | |
맞춤형 | ||
직행좌석 | ||
양평군청사거리.양평역 (45023) | 시내 | |
맞춤형 | ||
직행좌석 |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3c7a6> 경의선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수색 - 가좌 - 신촌 - |
용산선 | 가좌 - 서강대 - 효창공원앞 - | |
경원선 |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 |
중앙선 | 중랑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명† - 삼곡† - 도담† - - - - - - - - - - - - 옹천† - - - - - - - - - - - - - - - - - - - - - 북영천† - - - - - - 모량†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308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08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양수(K130), 신원(K131), 국수(K132), 아신(K133), 오빈(K134), 양평(K135), 원덕(K136), 용문(K137), 지평(K138) | ||
양평 | |||
매곡, 삼산, 석불, 양동, 용문, 일신, 지평 | |||
}}}}}}}}} |
[1] 양수역, 신원역(KN), 국수역, 아신역(KN), 오빈역(KN), 양평역, 원덕역(KN), 용문역, 지평역, 석불역, 일신역을 관할한다.[2]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3] 1948년 1월 하순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4] 2024년 기준 왼쪽 표지판을 철거하고, 오른쪽 사진에서 빈 유리판(?)에 표지판을 설치했다.[5] 과거 스토리웨이가 있던 자리에 생겼다.[6] 덕소역에 KTX가 정차하기는 하나 금, 토, 일에만 정차하고 행선지도 강릉, 동해만 갈 수 있어서 덕소쪽 주민들도 KTX를 타기 위해 지하철을 타고 양평역으로 온다.[7] 한자는 각각 楊平과 楊坪으로 다르다.[8] 도농역, 양정역 출발일 경우에만 요금이 같고, 덕소~지평에서는 경의중앙선 양평역 방향이 더 싸며, 나머지 모든 역에서는 5호선 양평역 방향이 더 싸다.[9] 터미널 근처의 경기양평점, 군립미술관 건너편의 스타벅스 더양평DT점이 있다.[10] 개통일인 12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1] 1위는 기장역.[12]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3] ITX-새마을의 자료는 1월 1일부터 운행 마지막일인 1월 4일까지 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