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21:50:54

롤랑 대공 미사일

1. 개요2. 제원3. 개발
3.1. 미군의 도입 시도
4. 상세5. 파생형6. 시스템 플랫폼
6.1. AMX-30R6.2. AMCAT VLRA 6×6 트럭6.3. FlaRakPz 16.4. MAN KAT 15톤 트럭6.5. XM9756.6. XM812 플랫배드 트럭
7. 운용국8. 실전9. 대중매체에서의 등장10. 둘러보기

1. 개요

프랑스독일이 공동 개발한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독일과 프랑스 외에도 아르헨티나, 브라질, 나이지리아, 카타르, 스페인베네수엘라에서 도입하였고, 650개 이상의 발사대 시스템과 2만 5천개 이상의 미사일이 팔렸다.

2. 제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Xmim-115a-1.jpg
프랑스어 : Le Missile Roland [1]
독일어 : Das Waffensystem Roland [2]
영어 : MIM-115 Roland
롤랑 대공 미사일 제원
개발사 에어로스파시알-마르타
다임러 크라이슬러 에어로스페이스
MBB[3]
제조사 EADS 유로미사일 ➡ MBDA
발사 중량 67kg
76kg (VT-1)
길이 2.4m
2.35 (VT-1)
직경 0.16m
0.165 (VT-1)
날개폭 0.5m
속력 마하 1.6
마하 3.5 (VT-1)
사거리 6.3km (롤랑 2)
8km (롤랑 3)
11km (VT-1)
최고 상승 한계 5.5km
최저 요격 가능 고도 20m
탄두 고폭 파편탄두
폭풍 파편탄두 (VT-1)
탄두 중량 6.5kg
13kg (VT-1)
유도 시선지령/레이다유도
시선지령/레이다/광학추적 유도 (VT-1)
추진 기관 2단 고체연료 로켓

3. 개발

롤랑은 기동하는 기갑부대 및 비행장과 같은 고정된 고가치 목표를 보호하기 위해 프랑스와 독일의 공동 요구 사항에 맞게 설계된 저고도 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롤랑의 개발은 프랑스의 Nord Aviation社와 독일의 뵐코프(Bölkow)社가 1963년에 선행 개발을 하면서 시작되었는데, 독일에선 P-250, 프랑스에선 SABA라고 불렸다.
1964년 프랑스의 에어로스파시알과 독일의 MBB 두 회사는 공동 개발 프로그램을 위해 유로미사일 컨소시엄을 설립했고, 에어로스파시알은 주간용인 롤랑 1의 개발과 미사일의 후방동체/추진 기관을 주로 맡았으며, MBB社는 전천후 버전인 롤랑 2 의 개발과 MBB는 탄두 및 유도부를 장착한 미사일의 전면부를 담당했다. 1968년 첫 시험 사격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대량 생산 시기는 1970년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시험 평가 단계에서 예기치 못한 문제들로 인해 시간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래 걸렸는데, 1977년에야 롤랑 1이 프랑스 육군에 배치되었었고, 전천후 롤랑 2는 1978년 독일 연방군에 처음 배치되었으며, 1981년에 프랑스군이 수령하였다. 롤랑은 장기간의 개발 지연과 계속 증가하는 비용 때문에 원래 도입 댓수만큼 조달되지 못했다.

3.1. 미군의 도입 시도

1975년, 미 육군은 롤랜드 2를 MIM-72 채퍼럴 및 M163 VADS를 대체하기위한 SHORADS(SHOrt Range Air Defense System, 단거리 방공 시스템) 사업의 최종 승자로 선정했었다. XMIM-115로 명명된 이 시스템은 총 500대 이상의 발사 시스템이 제작될 예정이었는데, 유로미사일 컨소시엄은 휴즈社와 보잉 항공우주(Boeing Aerospace)는 M109를 개조한 XM975 차체에 탈착식 모듈을 장착한 아메리칸 롤랜드를 개발하기로 계약했다. 아메리칸 롤랜드는 유럽산 사격통제장치를 사용하되, 더 넓은 탐색 범위와 강화 된 ECCM 능력을 갖춘 미국제 탐지 레이다를 사용했다.
1978년 10월에 4개 대대 분량의 발사차량과 1,000기의 미사일[4]을 위한 초도 생산이 승인되었지만, 그 후 기술 이전, 통합 및 군수지원상의 어려움과 개발 기간의 장기화로 인한 비용 상승 및 외산 무기를 고깝게 보는 미국내 시선 등으로 인해 도입 물량이 점점 줄어서 나중에는 단 1개 대대 분량으로 줄어들었다. 주방위군 1개 대대만이 27대의 발사대 탑재 트럭과 600개의 미사일을 수령했고, XMIM-115는 결국 정식 형식명도 수령받지 못하고 테스트만 하다가 10년만인 1988년에 퇴역되었다.
이후 M247 서전트 요크가 실패하자 미 육군은 독일에게서 5개의 롤랑 발사기를 리스하여 테스트하였다.

4. 상세

롤의 사격통제장치는 광학추적 또는 레이다 모드를 선택 할 수 있으며, 교전 중에도 모드를 전환 할 수 있다. 교전시에는 15~18km 범위의 펄스-도플러 탐색 레이다가 목표를 탐지하면, 추적 레이다 또는 광학 추적기로 목표를 추적한다. 다만 광학 채널은 일반적으로 주간에 매우 낮게 비행하는 목표물이나 심한 전파 방해 환경하에서 만 사용하고 보통은 추적 레이다 모드를 사용한다.

5. 파생형

  • 롤랑 1
    롤랑 1은 주간/호천후 환경에서만 쓸 수 있으며, 프랑스군과 스페인군이 도입하였다.
  • 롤랑 2
    롤랑 2는 전천후형으로, 고정 포대나 AMX-30R, 마르더, 트럭 등에 탑재 될 수 있다.
  • 롤랑 3
    원래 운용되던 롤랑 1/2를 현대화한것으로, 새 BBKS 지휘통제 시스템과, 기존의 광학추적장치를 대체하는 Safran社의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장착된 GLAIVE 통합 열상 조준 시스템을 장착하였다. 덕분에 다중 채널 자동 조준과 야간 또는 악천후 상황에서도 레이더 유도 없이 작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 롤랑 M3S
    롤랑 M3S 차세대 시스템은 터키와 태국의 방공 무기 사업에서 제안된 수출형이다. 이 프로토타입은 MLRS의 차대에 발사대를 설치한 형태였으며 당시 다쏘 일렉트로닉社의 Rodeo 4 또는 톰슨-CSF社의 탐지 레이더를 통합했었다. 롤랑 M3S는 최소 2명이 운용에 필요하고 조종수가 레이더, TV 또는 FLIR을 통한 광학 추적 모드 등을 선택 할 수 있었다. 롤랑 M3S는 원래의 2개의 미사일 발사관 대신 4개가 있지만, 2개의 하부 발사관만 자동으로 재장전 할 수 있었다. 상부 발사관 2개는 2연장 미스트랄 발사관으로 교체되거나, 표준 롤랑 미사일 발사관 1개당 4개의 스팅어를 탑재하여 파상 공습 상황에서 여러 대상을 빠르게 공격 할 수있었다. 롤랑 M3S 시스템은 맨패즈 외에도 롤랑 3 미사일, RM5 미사일 또는 크로탈의 VT-1 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양국 다 M3S를 선택하지 않아서 프로토타입만 남게 되었다.
  • 롤랑 VT-1
    1991년에 유로미사일 컨소시엄과 톰슨-CSF (現 Thales)社는 크로탈 NG의 VT-1 미사일을 현존하는 프랑스와 독일의 롤랑 발사차량들을 개조하여 롤랑 3 시스템에 통합하는 것에 동의했고, 현재는 통합이 완료되어 롤랑 시스템은 롤랑 2, 3 또는 VT-1 미사일을 발사 할 수 있게 되었다. 롤랑의 최신 버전은 낮은 RCS값을 가진 포탄(대구경 로켓탄 등)도 제한적으로 요격 할 수 있다.

6. 시스템 플랫폼

6.1. AMX-30R

AMX-30R 차대를 사용해서 프랑스군이 사용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AMX-30 롤랑문서 참조.

6.2. AMCAT VLRA 6×6 트럭

파일:vlra_roland_carol.jpg

지상 고정식 발사대를 기반으로 개발된 롤랑 CAROL을 트레일러에 탑재하고, VLRA 군용 트럭이 견인하는 형식이다. 무게가 가벼워 C-130 또는 C-160으로 공중 수송이 가능하다.

6.3. FlaRakPz 1

파일:SPz Marder Roland.jpg

Fla-Raketen Panzer (FRP) Roland

마르더 IFV 차대에 롤랑 미사일 시스템을 올려놓은 차량.

6.4. MAN KAT 15톤 트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affensystem_Roland_auf_Lkw_15_t_%28FlaRakRad%29.jpg

Fla-Raketen Rad (FRR) Roland

6.5. XM97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land_tank_01.jpg

M109 자주곡사포 차대를 활용하여 만든 미국제 플랫폼.

6.6. XM812 플랫배드 트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Xmim-115a.jpg

7. 운용국

  • 프랑스 : 총 144기의 롤랑 1과 70기의 롤랑 2 및 10,400발의 미사일을 요구하였으나 최종적으로 83기의 롤랑 1과 93기의 롤랑 2를 획득했으며, AMX-30의 차체를 이용한 AMX-30R 롤랑과 지상 발사기 포대를 개조한 트럭 견인형 롤랑 CAROL을 배치하였다. 이중 롤랑 CAROL은 공중수송이 가능하여 프랑스군의 신속대응 여단에 배치되었다.
  • 독일 : 독일 육군은 당초 군단급 방공 여단용 Contraves Super Fledermaus 사격통제 시스템과 견인식 보포스 40mm 기관포를 대체할 목적으로 340기의 FRP 롤란드 2와 미사일 12,200발의 미사일을 구매할 예정이었으나, 180기만 획득 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3개의 방공 여단에 배속 후 각 군단에 배치되었다. 루프트바페는 호크 대공미사일의 간극을 매꾸고자 200대의 FRR 롤란드를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총 95대를 획득하게 된다. 독일 해군도 기지 방어용으로 20기를 운용했다. 이후 독일 정부는 2003년에 롤란드 개량 계획을 취소하여 2005년에 전량 퇴역하였고, LFK NG로 대체될 예정.
  • 미국 : 미합중국 주방위군에서 5대를 테스트용으로 리스함.
  • 스페인 : 18기 도입.
  • 아르헨티나 : 지상 발사기 포대를 4기 도입하였고, 포클랜드 전쟁에서도 사용되었으나 이후 운용하지 않음.
  • 이라크 : 지상 포대형 100여기[5] + 자주식 15기 도입. 걸프전 이후 운용하지 않음.
  • 나이지리아 : 16기 도입
  • 카타르
  • 브라질 : 4기 도입, 전량 퇴역
  • 슬로베니아
  • 베네수엘라 : 8기 도입

8. 실전

9.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월드 인 컨플릭트에서 NATO의 헤비 AA로 등장한다. 플랫폼은 마르더 IFV.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프랑스서독의 주요 대공장비로 등장한다. 프랑스는 AMX-30을 플랫폼으로 쓰고, 독일은 위의 월컨에서도 나온 마르더 IFVMAN KAT 15톤 트럭을 플랫폼으로 쓴다.
  • 워 썬더에서 독일과 프랑스 트리의 6랭크 대공전차로 등장한다. 독일은 마르더 IFV 차체에, 프랑스는 AMX-30 차체에 올렸다. 전차도 때려잡는 미국과 소련 대공전차와는 달리, 롤랑은 대공 미사일만 갖고 있기 때문에 순전히 대공 임무 외엔 할 수 있는 게 없다. 여기에 업데이트 1.93에서 사거리 10km짜리 대전차 미사일을 쏴대는 Ka-50이 등장하면서 평가가 더 떨어졌다. 하지만 2020년 11월에 신규 7랭크 대공차량인 MAN KAT 15톤 트럭 기반형 롤랑 자주대공포가 나와버렸다. 심지어 롤랑 3가 기본탄에 VT-1 미사일이 업그레이드 탄으로 들어가 있다! 그간 카모프 시리즈 공격헬기에 머리 터져나간 것을 갚아줄 때가 왔다. 2021년 12월 윙드 라이언 패치에서 미국에도 ADATS 바로 아래에 M109차대에 롤랑발사대를 얹은 XM975가 추가되었다.
    다만 23년도 미사일 항력패치를 했는데, 이로 인해 미사일이 매우 낭창거려 대 CAS 시대에 유일하다시피한 저항법이 사라지게 됐다.
  • DCS World에 마르더 차대에 올린 형식이 대공미사일 전력으로 등장한다. 별 인기가 없는 Combined Arms 모듈이 있어야만 직접 조종할 수 있는 데다 대부분의 멀티 서버에서는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사실상 99%를 차지하는 항공기 플레이어들의 적으로만 남는다. 사거리는 짧지만 표적획득을 보조하는 탐색 레이더가 있든 없든 단독으로 임무수행이 가능한 데다, 근처에 날아오는 미사일을 요격까지 해 버리는 악랄한 짓을 해서 비록 성능이 떨어지는 자주포대일지라도 무시할 수 없는 위협이다.

10.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군 (1945~현재)
Forces armées françaises
중전차 6호 전차 티거G/R, ARL-44R, M4A3E2R
구축전차/대전차 자주포 야크트판터G/R, M10 GMCR, M36 GMCR, M36B2R, SD-100C/R
구난전차 M31 TRVR
중형전차 M4A1R, M4A1 (76) WR, M4A1E8R, M4A1 (CN-105-F1)M/R, M4A1 (FL10)M/R, M4A1E9R, M4A4R, M4A4TM/R, M4A4 (SA50)M/R, M4A2 (76) WR, 5호 전차 판터G/R, M26 퍼싱R, 4호 전차 G형G/R, T-34-85P/R, T-34-85CZC/R
경전차 M24 채피R, AMX-13R, AMX-13 (FL-11)R, AMX-13-90R, AMX-채피M/R, 치로R
MBT <colbgcolor=#008080>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 AMX-30R
3.5세대 르클레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험버 피그R, 코번트리R, 페렛R,
E.B.R. (Mle.51/Mle.54/Mle.63/ETT)R, AML-90R, ERC-90 F1/F4 링스/사가이에R, VBC-90R, AMX-10 RC/RCR,
VBCI, VAB, EBRC 재규어, VBMR 그리폰
궤도장갑차 Sd.Kfz. 251G/R, 유니버설 캐리어R, T16R, LVT-4R, LVT(A)-4R, M113A1C/R, AMX-VCIR, AMX-VTTR, AMX-10P, VHM, BvS 10
차량 오토바이 폴라리스 스포츠맨 400 ATV, 야마하 XTZ660 Ténéré, 카기바 T4
소형 VBL, PVP, 푸조 P4,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레인저, 포드 에베레스트, 르노 캉구 · 트래픽 III, 아라비스
트럭 포드 V3000G/R, 르노 케락스 · TRM 10000 CLD · GBC 180, VTL G290, CBH 385 막시 CLD,
ACMAT VLRA, 스카니아 R580, 시수 E-테크 480
자주포 자주곡사포 M8 스콧R, M40R, M41 고릴라R, AMX-105 Mk.61R, M4 (105)R, AMX Mk F3R, AU-F1, CAESAR
자주박격포 AML-60R, VTM-120,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T-4 BoforsR, AMX-13 Œil NoirR, VAB VDAA T20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 R-440, AMX-30 롤랑, 롤랑 CAROL
다연장로켓 LRU
페이퍼 플랜 및 프로토타입 FCM 12t, 바티뇰-샤티옹 12t, 바티뇰-샤티옹 25t, ELC 프로젝트, ERAC, MARS 15, 로르 RPX 시리즈
로르 VPX 시리즈, 벡스트라, FCM 50t, AMX-50, 소뮤아 SM, AMX M4, 로렌 40t, AMX-32, AMX-40
AMX CDC, 로렌 CA, 포슈, CDC 앙리, AMX-10M ACRA, MARS 15, AMX-13 DCA 40, AMX-30 자벨로, AMX-30 DCA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G: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C: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 독일 연방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독일 연방군 (1991~현재)
Bundeswehr
<colbgcolor=#808080><colbgcolor=#808080>MELLS (스파이크-LR) | 밀란-(2/2T/ER)
탑재형
기갑차량
MELLS | BGM-71D TOW-2R | HOT-(2/3)R
공대지
회전익기
HOT 3 | PARS-3LR
고정익기
AGM-65(B/D)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DM702 (155mm, PzH2000) | 불카노 155 (155mm, PzH2000) | {아세가이} (155mm, PzH2000)
함대지
불카노 127 (127mm, F125급)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ARS II)
공대지 (ALCM)
{AGM-158(B/B-2) JASSM-ER} | 타우러스 KEPD 350
지대지 (GLCM)
{JFS-M}
MGM-52 랜스R
함대함
{NSM} | RBS 15 Mk.3 | RGM-84D 하푼 블록 1C | RGM-84A 하푼 블록 1AR | MM38 엑조세R
공대함
시스쿠아R | AS.34 코모란 2R
대잠 미사일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54 Mod 0 | Mk.46 Mod (2/5) | DM4A1R
중어뢰
DM2(A3/A4) 제헥트 | DM2A1 제알R | DM1 제슐랑에R
보병
FIM-92(C/E) "플리거 파우스트 2 스팅어"
차량
FIM-92E (LeFlaSys 오젤롯)
단거리
FRP/FRR 롤란드 3R
중거리
{IRIS-T SLM} | MIM-23B I-호크 | MIM-23C I-호크 HEOSR
장거리
MIM-104A 패트리어트 | MIM-104C PAC-2 | MIM-104(D/E) PAC-2 GEM(-T) | MIM-104F PAC-3 (CRI/MSE)
대탄도탄{애로우-3}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B RAM 블록 I
개함방공 RIM-162B ESSM | RIM-66A SM-1MR 블록 IVR | RIM-7(M/H/P) 시스패로우R
함대방공 RIM-66M-2 SM-2MR 블록 IIIA
단거리
IRIS-T |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2E 스팅어
중장거리 미티어 | AIM-120(B/C-5/C-7) AMRAAM
잠대공 미사일
{IDAS}
{AGM-88E AARGM} | AGM-88B HARM 블록 IIIB
유도폭탄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8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냉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냉전기
미군기갑차량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M4A1R, M4R, M4A2R, M4A3R, M4A4R, T-34-85C/R, M26 퍼싱R, M103R,
T42, T95, T57, T110, T54, T69, 크라이슬러 K, TV-8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M48 패튼R, M48A1 패튼R, M48A2 패튼R, M48A3 패튼R, M48A5 패튼R
2세대 M60, M60A1, M60A2, M60A3 TTS
3세대 XM815P · XM1P · IPM1 · M1 에이브람스, M1A1 (HA · HC) 에이브람스, MBT-70
경전차/공수전차 경전차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T49, HSTV-L
공수전차 T71, T92, RDF/LT, M551 셰리든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V-100, V-150, LAV-25, XM800W
궤도형 장갑차 LVT(A)-4R, LVT(A)-5R M113(A1 ~ A3), M114(A1 ~ A2)R, M59, M75, M2 브래들리, M3 브래들리, AAV-7A1, LVTP-7, LVTP-5(A1), LVTH-6R, LVT-6, XM800T, COMVATP
차량 소형 M151, 험비, M1009 CUCV
트럭 건 트럭, M602, M35, M37, M39 M715, M809R, M939R, M977 HEMTT
자주포 자주곡사포 M37 자주곡사포R, M41 고릴라R, M44 자주포R, M52 자주곡사포, M53/M55,
M107, M108, M109(A1 ~ A5), M110(A1/A2), SU-76MC/R,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R, M4 (105)R, M4A3 (105)R, M4 (105) HVSSR, M4A3 (105) HVSSR, M4 (105) 셔먼 도저R, POA-CWS-H5R, M4A3 (105) "포큐파인"R, M45 중형전차R
자주박격포 M125A1, M106A2, LAV-M
대전차 자주포 SU-76MC/R,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 M163 VADS, M6 라인베커, T249 비질란테, XM246, Phòng không T-34C
대공미사일 M1097 어벤저, M48 채퍼럴, XM975 롤랜드, MIM-46 마울러
다연장 로켓 M270 MLRS
※ 윗첨자R: 냉전 중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P: 냉전 당시 프로토타입(냉전 이후 운용)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냉전기의 이라크군 기갑차량
파일:이라크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냉전기
이라크군(1958~2003) 기갑차량
기타전차 T-34-85CZ, M4A3 (105) HVSSC, 처칠~1958
MBT 1세대 센추리온~1958, T-54, T-55(QM/M1/M2/이니그마)M, 59식 전차, M47 패튼C, M48 패튼C
2세대 빅커스 MBT Mk.1C, FV4201 치프틴C, M60C, 69식 전차(69-2식/QM/M1/M2)/이니그마M, T-62, T-72M1/아사드 바빌, M-84(AB/BN/BK)C
경전차 M24 채피~1958, PT-76, FV101 스콜피온C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C/2A), BRDM-1, BRDM-2, BTR-60,
BTR-152, BTR-40, AMX-10(P · SAO), FV601 살라딘, LAV-300C,
EE-9/EE-11, 파나르 M3, PSzH-IV, PSzH D-442 FÚG, AT105C 색슨,
V-150S, Fhad, AML-(60/90)
궤도장갑차 M113A1C/R, BMP-1 · 사담, BMP-2, BMD-1, OT-62 TOPAS, MT-LB
M113, AMX-VCI, YW531 · YW750, OT-M60, PTS-2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M109A5, M110, M-1978 (S-23)C/M, AU-F1, 150mm sFH13/1(Sf) LrS
대전차 자주포 M36B1C, M36B2C, ISU-15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ZSU-57-2, M53/59 프라가
대공미사일 9K31, 9K35, 9K33M, AMX-30 롤랜드2/FRR 롤랜드
다연장로켓 BM-11, BM-13, BM-16, BM-21, BM-27, BM-30,
63식 기반 MRL, M-87 오르칸, ASTROS II · Sajeel, 아바빌-100,
APR-40, 9K55 GRAD-1, 81 mm 테크니컬 MRL(GAZ-66 트럭 기반)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1958: 1958년 이전까지 이라크 왕국(Kingdom of Iraq)에서 운용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현대 슬로베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슬로베니아군 (1991~현재)
Slovenska Vojska
스파이크-(MR/LR) | 9K111 파곳R | 9K11 말륫카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L-ATV)
소형함정
9K120 아타카 (트리글라브급)
<colbgcolor=#0000FF><colcolor=#FFF><colbgcolor=#0000FF><colcolor=#FFF>9K338 이글라-S | 9K32 스트렐라-2R
단거리
롤란드 2R (FRR 롤란드) | 9K31 스트렐라-1MR
중거리
{IRIS-T SLM}
'''
CIWS
'''
9K310 이글라-1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르 미실(르) 홀렁'에 가깝게 발음한다.[2] '다스 바펜쥐스템 롤란트'에 가깝게 발음한다.[3] Messerschmitt-Bölkow-Blohm (메서슈미트-볼코프-블롬)[4] 최대14,000기가 생산 될 예정이었다.[5] 수량 불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