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06:46:33

삼백안


파일:삼백안.jpg

1. 개요2. 특징3. 관상4. 여담5. 미디어
5.1. 실존 인물5.2. 가상 인물5.3. 대부분의 캐릭터가 삼백안인 작품

1. 개요

| sanpaku

의 흰자가 3면이 보이는 것. 눈동자의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흰자가 보인다.

2. 특징

현실적으로 하삼백안은 가끔 볼 수 있는 편이지만 상삼백안은 만일 일부러 눈을 그렇게 뜨는 것도 아니고 정말 특이한 외모도 아니면 볼 수 없다.[1] 그렇기에 일반적으로 삼백안이라고 하면 대부분 상삼백안보다 하삼백안을 가리키는 편이다.

평범한 눈은 이백안이라고 하고, 상하까지 흰자위가 다 드러난 눈은 사백안이라고 한다. 그리고 눈동자가 한쪽으로 몰려있는 눈은 일백안이라고 하는데, 흔히 사시가 심할 경우 그렇게 보인다.

백인눈썹뼈가 발달해 눈동자가 상대적으로 윗눈꺼풀에 많이 덮여서 삼백안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백안도 고개를 좀 숙이고 앞을 응시하면 눈동자가 전방을 보기 위해 위로 올라가므로 잠시나마 쉽게 삼백안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반항적이고 공격적인 인상이 된다.

3. 관상

  • 관상학에서는 삼백안을 좋지 않은 인상들 중의 하나로 인식한다. 과거에는 계급사회였기 때문에 삼백안을 더 좋지 않게 여겼다.
  • 하삼백안은 도전적이고 반항적인 느낌을 주는 하극상 기질이 있다. 야망이 크고 승부욕이 강하다. 크게 성공할 수도 있지만 크게 실패할 수도 있는 관상으로 여겨진다. 승부욕이 강하거나 열정적인 사람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4. 여담

  • 잦은 피로와 스트레스로 눈꺼풀이 무거워지면 삼백안이 되기도 한다. 또 겁이 많은 사람에게도 나타나는데 눈꺼풀이 무거워서 눈이 잘 감기기 때문에 삼백안이 될 수 있다.
  • 삼백안을 교정하는 수술도 있다.
  • 삼백안에서 더 나아간 게 사백안인데, 동양인에게는 별로 흔하지 않다.
  • 스티브 유가 한국에서 한참 활동할 때 한 연예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강한 인상을 만들려면 고개를 숙이고 눈을 치켜떠서 하삼백안을 만들면 된다고 하며 그 모습을 시연한 적이 있다. 그런데 반대로 깔보는 상대를 쳐다볼 때에는 턱을 치켜들고 내리까는 시선으로 상삼백안을 만든다며 두 삼백안을 모두 보여주었다.

5. 미디어

  • 삼백안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삼백안 캐릭터가 얀데레츤데레, 또는 쿨데레 같이 보여서 선호한다. 대부분의 삼백안 캐릭터들은 츤데레쿨데레이다. 허심탄회해보이거나 도발적이라서 좋아하는 사람들도 꽤 많다. 작중에서 변태 속성과 겹쳐 멀쩡한 눈매였다가 성적인 암시가 걸리는 순간 삼백안이나 사백안이 되는 전개도 자주 등장한다.
  • 과거 창작물에서는 악역들에게 자주 적용되었지만 주인공에게 자주 적용되기도 한다. 만화에서는 일러스트레이터의 취향이나 그림체로 삼백안 속성이 적용되기도 한다.
  • 날카로운 눈매의 삼백안 캐릭터(★)와 처진 눈매의 삼백안 캐릭터(☆)는 상반되는 느낌이 있다. 눈매가 날카로우면 반항적이거나 까칠한 인상, 또는 섹시한 느낌을 준다. 처진 눈매는 겉과 속이 다른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눈꼬리가 올라간 경우도 아예 없지 않다.
  • 한국 아이돌 그룹에서 특정한 매력을 담당하는 멤버들이 대부분이 삼백안을 지니고 있다.

5.1. 실존 인물

5.2. 가상 인물

  • 날카로운 눈매 - ★
  • 처진 눈매 - ☆
  • 상삼백안 - ◒

5.3. 대부분의 캐릭터가 삼백안인 작품


[1] 안검하수를 과하게 교정했을 때에 생기는 부작용으로 상삼백안이 되는데 안검퇴축이라고 한다.[2] 하삼백안 상삼백안 모두 보여주는 특이한 사례다.[3] 최불암 시리즈에서 대놓고 눈이 무섭다고 언급되었을 정도.[4] 미스터 빈 배우.[5] 오징어 게임에서 조상우 역할을 맡은 배우.[6] 전형적인 상삼백안이다.[7] 하마스의 최고실권자.[8] 흔히 알려진 라벤나의 모자이크를 바탕으로 복원한 모습 기준이다.[9] 눈에 힘을 조금 푼 표정을 할 때 특히 드러난다.[10] 맛있슐랭 때 특히 잘 보인다. 맛있는 음식을 접할 때 눈을 크게 뜨면서 삼백안이 드러나는데, 조보아 본인이 웃는 상인데다 상황상 삼백안 특유의 공격적인 면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11] 렌즈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확실하게 보인다.[12] 가끔 사백안일 때도 있으나 평소에는 삼백안이다.[13] 꺼벙이 눈이라 삼백안으로 보일 수 있어도 눈동자가 매우 작다.[14] 평상시에는 점눈에 가까운 좀 멍청한 인상의 삼백안이지만 진지하게 전투에 임할 때에는 눈매가 달라진다.[15] 아버지인 나라 시카쿠도 삼백안인 걸 보면 부계 유전으로 보인다.[16] 특히 나루토 SD 록리 청춘 풀파워 인전에서 더욱 부각된다.[17] 장면에 따라서는 삼백안으로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삼백안 묘사가 많다.[18] 자안 렌즈를 써서 평소에는 삼백안이 부각되지 않지만 렌즈를 빼면 명백한 삼백안이 나타난다.[19] 평소에는 하삼백안이며 상대방을 조롱할 때 상삼백안으로 내려다본다.[20] 날카로운 눈매인 ★에 취소선이 쳐진 이유는, 데스노트를 줍기 이전에는 부드럽고 선한 인상을 주는 둥근 눈매였으나 점점 흑화함에 따라 날카로운 눈매로 바뀌어 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삼백안 또한 더욱 강조되었다.[21] 귀여운 그림체 때문에 부각되지 않지만, 아쿠아 멤버들 중 유일하게 상삼백안이다.[22] 그림체 탓에 가끔 상삼백안으로 보일 때가 있다.[23] 본색을 드러냈을 때 한정. 평상시에는 평범한 눈동자이다.[24] ★은 킬러로서 냉혹한 태도를 취할 때에 눈매가 가끔 날카로워지는 것이다. 그래서 평소의 눈매는 그렇게 사납지 않다.[25] 초기에는 삼백안이 아니었는데 갑자기 삼백안으로 변했다.[26] 주로 게임상의 2등신 개그신에서 이런 눈을 할때가 많다.[27] 2등신 개그신에서 동독군 666중대에 배치받고 식사배급을 받을 때 컬처쇼크를 받고 충격먹을 때 이 눈을 했다.[28] 후속작에서 나오는 초상화에서 나오듯 가족 유전이다.[29] 눈이 워낙 커서 사백안으로 보이기도 한다.[30] 죽은 눈과 삼백안이다.[31] 화낼 때마다 하삼백안이 되지만 전혀 무섭지 않다.[32] 코믹스에서 애니화되면서 속성이 바뀌었다.[33] 광녀모드에서는 눈매가 날카로움을 넘어서 맹수 같다. 하지만 여기서는 사백안이 된다.[34] 하지만 조금 애매하다.[35] 하삼백안. 마지막 결전에서 토라높으신 분들은 내려다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너는 왜 내려다 보지 못하고 올려다 보는 것이냐고 반문하며, 캐릭터의 성격을 설명하는 중요한 소재였음이 드러난다.[36] 무표정일 때 한정.[37] 이 인물은 삼백안과 죽은 눈이다.[38] 다만 이 둘은 사백안에 가깝다.[39] 6 설정집에서는 개발 스탭의 코멘트에서는 '괴짜군사로서의 면모를 돋보이도록 위해서'라고 설명된다.[40] 류즈의 설명에 따르면 '아름다운 흑발 보브헤어에 삼백안이지만 눈동자가 선명한 붉은색'이라고 한다.[41] 시텐호지 선수들의 설명에 의하면 삼백안이라고 한다.[42] 정말 무지 화를 내거나 분노할 때만.[43] 세뇌가 풀리고 나서는 삼백안으로 나올 때가 적다.[44] 화가 날 때만 한정.[45] 황도준 - '눈에 흰자가 너무 많아!'[46] 거의 모든 작품에서 삼백안이나 사백안이다.[47] 인게임 모델링 한정.[48] 김화백의 추종자들 사이에서는 김화백 작품 등장인물들의 눈매를 '근성안'이라 칭한다.[49] 그림체 탓에 상삼백안으로 보인다.[50] 대부분이 상삼백안을 가지고 있다.[51] 캐릭터들의 눈매가 다양하지만 그림체 때문에 인상이 그렇게 나빠보이지 않는다.[52] 이 만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이 몇몇을 제외하고는 다 삼백안 혹은 사백안이다.[53] 전체적으로 눈은 크고 동글동글한 상삼백안으로 그려져서 순한 인상이다.[54] 이쪽은 원본이 미청년이면서 몇 안 되는 이백안이다.[55] 루피, 사보, 델린저는 사백안이다.[56] 미남이고 추남이고 할 것 없이 모두 점눈이다. 동그란 형태의 눈이 아닌 경우 평상시에는 삼백안, 시야를 돌릴때는 눈동자의 위치가 바뀐다.[57] 삼백안 캐릭터들 중에서도 눈동자가 많이 작은 케이스.[58] 1기 한정.[59] 삼백안이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