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7:33:39

종로구

서울 종로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서울특별시청|
시청
]] 중구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df00>
파일:종로구 CI.svg
}}}
{{{#!wiki style="color:#1d1d1b;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ffdf00> 청운효자동 청운동 | 신교동 | 궁정동 | 효자동 | 창성동 | 통인동 | 누상동 | 누하동 | 옥인동 | 세종로
사직동 통의동 | 적선동 | 체부동 | 필운동 | 내자동 | 사직동 | 도렴동 | 당주동 | 내수동 | 세종로 | 신문로1가 | 신문로2가
삼청동 팔판동 | 삼청동 | 안국동 | 소격동 | 화동 | 사간동 | 송현동
부암동 부암동 | 신영동 | 홍지동
평창동 구기동 | 평창동
무악동 무악동
교남동 교남동 | 평동 | 송월동 | 홍파동 | 교북동 | 행촌동
가회동 가회동 | 재동 | 계동 | 원서동
종로1.2.3.4가동 세종로 | 청진동 | 서린동 | 수송동
구청
| 중학동 | 종로1가 | 공평동 | 관훈동 | 견지동 | 와룡동 | 권농동 | 운니동 | 익선동 | 경운동 | 관철동 | 인사동 | 낙원동 | 종로2가 | 훈정동 | 묘동 | 봉익동 | 돈의동 | 장사동 | 관수동 | 종로3가 | 인의동 | 예지동 | 원남동 | 종로4가
종로5.6가동 연지동 | 효제동 | 종로5가 | 종로6가 | 충신동
이화동 이화동 | 연건동 | 동숭동
혜화동 와룡동 | 혜화동 | 명륜1가 | 명륜2가 | 명륜3가 | 명륜4가
창신1~3동 창신동
숭인1, 2동 숭인동
}}}}}}}}} ||
서울특별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0;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鐘路區
Jongno-gu[1]
}}}
<colbgcolor=#ffdf00><colcolor=#000> 구청 소재지 종로1길 36 (수송동)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하위 행정구역 17[2]
면적 23.91㎢
인구 138,336명[3]
인구 밀도 5,795.77명/㎢[4]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문헌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5]

파일:zsdkl3gasdg.svg
5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7]

파일:zsdkl3gasdg.svg
1석[8]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곽상언 (초선)
상징 <colbgcolor=#ffdf00><colcolor=#000> 구화 철쭉꽃
구목 은행나무
구조 까치
지역번호 0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역 특징
4.1. 거주 환경4.2. 인구
5. 교통
5.1. 관내 철도 목록
6. 경제
6.1. 금융
7. 관광8. 생활·문화
8.1. 교육8.2. 공공도서관8.3. 영화관8.4. 의료기관
9. 주요 시설 및 기업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여담13. 출신 인물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 중심부에 있는 자치구. 중구와 함께 서울의 도심을 이룬다. 원도심이라고도 불린다. 동쪽으로 동대문구, 서쪽으로 서대문구은평구, 남쪽으로 청계천을 맞대고 중구, 북동쪽으로 성북구와 접해있고 북한산을 경계로 북쪽으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과도 접한다.[9][10] 구청은 수송동에 있으며, 광화문역 2번 출구에서 가깝다. '종로'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 한양의 도성문의 개폐 시각을 알려주는 큰 종을 매달았던 종루[11]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종이 있는 거리라는 뜻에서 '종로'가 되었다. 전통적으로 한반도의 최중심이었지만 이름은 중구(中區)가 아닌데, 종로'구'가 탄생한 일제강점기경성부의 중심은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번화가였던 명동 일대였고, 그래서 조선인들이 많이 살던 종로구는 '중구'라는 이름을 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수도 서울특별시의 중심인 정치 1번지[12]로 불렸고 인구유출과 고령화로 예전만 못하지만, 여전히 정치적 상징성과 중요성이 큰 곳이다.[13] 행정안전부행정구역 코드 상으로 대한민국의 모든 기초자치단체 중 선두에 서 있는 곳이다.[14]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거결과를 발표할 때도 이 순서에 맞춰서 부른다. 1996년~2003년 자가용 차량 번호판도 이 순서에 따라 배정되었다. 종로구는 서울 30, 중구는 서울 31 하는 식으로 한다. 다만, 종로구의 학군은 서울특별시교육청 5학군으로 분류가 된다.[15]

역사적으로는 조선시대 궁궐인 경복궁창경궁,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 세계문화 유산인 창덕궁종묘 등도 이 종로구에 속해 있어 전통과 문화가 잘 보존된 지역이다.

2. 상징

||<-2><tablealign=center><tablewidth=780><bgcolor=#ffdf00>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휘장 ||

3. 역사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행정구역 변천사
조선 (1394 ~ 1910)
한성부
(漢城府, 1394)
한성군
(漢城郡, 1895)
한성부
(漢城府, 1896)
일본제국령 조선 · 해방 후 군정기 (1910 ~ 1949)
경기도 경성부
(京畿道 京城府, 1910)
게이키도 게이조부 쇼로구
(京畿道 京城府 鐘路區, 1943)
서울특별자유시 종로구
(서울特別自由市 鐘路區, 1946)
대한민국 (1949 ~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特別市 鐘路區, 1949)

현 종로구의 핵심 지역은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내(사대문안) 지역으로 한성부의 중추 지역이었고, 상평방에 속하던 부암동, 구기동, 평창동과 숭신방에 속하던 창신동, 숭인동, 반송방에 속하던 무악동 등은 성저십리의 일부였다.

1943년 조선총독부령 163호로 경성부에 구제를 실시함에 따라 쇼로구([ruby(鍾, ruby=ショウ)][ruby(路, ruby=ロ)][ruby(區, ruby=ク)])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고 그 구역이 책정되었으며,[16] 1944년 7월에 성북정이 동대문구로 편입되었다. 1975년 서대문구에서 구기동·평창동, 부암동, 교남동, 무악동 등을, 동대문구에서 창신동, 숭인동을 편입하면서 현재의 행정구역이 완성되었다. 이 때문에 흥인지문 역시 동대문구 관할이었다가 종로구 관할로 바뀐 것이다.

조선시대 중앙 관아(나 궁궐) 이름에서 유래한 궁정동(칠궁 ← 육상궁), 체부동, 내수동, 도렴동, 사직동, 묘동이나 유교(성리학) 이념을 반영한 동명인 효자동, 돈의동, 충신동, 예지동, 견지동, 권농동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도시 구조를 바꾸면서 일본식으로 이름이 바뀐 도로가 매우 많다. 따라서 서울시의 구 경성부 지역에 자리한 도로 중 종로를 제외하고 을지로, 퇴계로, 원효로는 모두 광복 후에 왜색을 없애기 위하여 제정된 이름이다.

4. 지역 특징

파일:external/file2.instiz.net/5abb4f59bf04ce60d6a0adef67c43515.jpg
경복궁
파일:external/www.hyulimbook.co.kr/%EA%B4%91%ED%99%94%EB%AC%B807(%EC%97%AC%ED%96%89%ED%8E%B8%EC%A7%80).jpg
광화문
파일:external/www1.president.go.kr/landscape01.jpg
청와대

조선 시대부터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 궁궐이 있었고, 종묘, 성균관, 사직, 의정부, 훈련도감 등이 있었다. 청와대[17], 국무총리 관저, 헌법재판소, 정부서울청사, 감사원 등을 비롯해 외교부, 통일부, 서울선관위, 서울특별시경찰청 등 정부기관들, 각 국가들의 대사관[18]이 밀집해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대한민국의 외교적 중심지 및 서울의 행정적 중심지인 것은 틀림없다.

세종대로사거리도로원표가 있어 서울을 기준으로 하는 전국 이정표가 모두 이 도로원표를 기점으로 거리측정을 하는 중심지 역할도 한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 중 이 지역이 조선 시대부터 서울의 중심지였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19]

이렇듯 명실상부한 서울의 중심가임에도 불구하고 중구라는 이름이 붙지 않은 이유는, 이러한 구 이름이 일제강점기 때 정해졌기 때문이다. 종로구는 당시에 북촌(북쪽마을)이라고 불렸으며 조선인 명망가[20]의 집이라거나 각종 주요 건물들도 이곳에 모여있었다.

당시 일본인들이 주로 거주했던 충무로 일대는 남촌(남쪽마을)이라 불렸으며, 요즘으로 치면 강남과 같은 번화를 누렸으며 북촌 여인들이 쇼핑하러 왔다. 야인시대에 나오는 번화가인 혼마치(本町)가 대표적이다.[21] 남촌은 일본인들이 살면서 중구로 이름이 정해졌다.[22]

4.1. 거주 환경

"강남보다 살기 좋은 동네"…서초·종로가 앞지른 비결은

2023년 한 조사에서 종로구의 주거환경 수준은 서울에서 가장 높게 평가받은 적이 있다. 머니투데이, 성신여대 데이터사이언스센터, 케이스탯 공공사회정책연구소,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소가 공동으로 수행한 2023년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종로구는 서울 전체에서 서초구 다음으로 2위, 대한민국 전체에서 과천시, 세종시, 서초구 다음으로 4위를 차지했는데, 세부항목을 살펴볼 때 주거환경 항목은 종로구가 서울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23]

종로구의 높은 주거환경은 주로 다채로운 문화시설과 풍부한 공원면적, 사대문안 CBD(서울 도심)로 이어지는 직주근접의 3가지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첫째로, 종로구는 본래 사대문안을 이루며 대한민국 역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오래된 도심으로서 수많은 조선의 궁궐문화재, 박물관미술관이 즐비한 문화의 도시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문화재로 경복궁(광화문), 창덕궁, 창경궁 등 4대 궁궐 중 3곳이 종로구에 있으며, 그 외에 경희궁 등 소규모 궁궐도 널리 자리잡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립고궁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공예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등 셀 수 없는 박물관과 미술관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해외관광객들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궁궐 주변에 여러 박물관들이 개발된 것으로, 추후 관광객들의 동선과 접근성을 감안하여 이건희미술관 등 더 많은 박물관과 미술관이 종로에 건설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공연시설 역시 세종문화회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학로의 여러 소극장들도 종로의 문화적 자산을 고취하고 있다.

둘째로, 종로구는 위와 같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역사와 문화의 관광지로서 단순히 녹지(도시숲)가 넓은 것이 아니라 접근성이 높은 도시공원이 다수 발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로구의 1인당 공원면적은 서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24]

셋째로, 종로구는 사대문안 CBD를 품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직주근접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본래 종로구의 장점인 풍성한 문화재와 공원면적은 뒤집어 말하면 신도시식 재개발에 어마어마한 장애가 된다는 점이었는데, 서울시와 종로구는 이를 일차적으로 교남동 돈의문뉴타운무악동 등 궁궐로 인한 고도제한 규제를 피할 수 있는 위치에 대규모 아파트 지역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이에 종로구 전체의 인구는 감소하고 있으나, 교남동과 무악동은 인구가 증가했으며 그 중에서도 20~40대 인구가 늘고 있는 독특한 도심회귀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25] 이러한 경향은 2010년대 중반 박원순 시정 중에 잠시 주춤하여 창신동, 숭인동 등의 낙후로 이어졌으나, 2020년대 재선된 오세훈 시정 아래에서 서울 도심의 전면적인 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26]

다만 전통적인 CBD 지역에서 경기남부로의 일자리 이동과 고령화 문제, 주택과 도로의 노후화 문제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주거환경 수준이 높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제로는 인구가 계속 줄고 있으며 특히 젊은층 인구 유출이 심각해서 안그래도 적은 학교들이 폐교될 위기에 처해 있다.

4.2. 인구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24,761명
1970년 215,971명
1975년 서대문구동대문구의 일부 편입
1975년 333,049명
1980년 291,960명
1985년 265,342명
1990년 242,891명
1995년 203,086명
2000년 186,378명
2005년 169,315명
2010년 170,578명
2015년 154,986명
2020년 149,384명
2024년 12월 138,33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각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평창동 17,464명
혜화동 16,080명
청운효자동 11,517명
교남동 9,759명
숭인제2동 9,754명
부암동 9,133명
사직동 9,104명
무악동 8,000명
창신제2동 7,598명
이화동 7,031명
종로1·2·3·4가동 6,722명
창신제3동 6,417명
숭인제1동 5,768명
종로5·6가동 5,426명
창신제1동 4,611명
가회동 3,926명
삼청동 2,291명
2023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창신동 18,317명
숭인동 15,704명
평창동 11,635명
무악동 7,988명
구기동 5,738명
명륜3가 4,596명
명륜1가 4,222명
행촌동 4,180명
부암동 4,068명
동숭동 3,591명
신영동 3,433명
혜화동 3,190명
누상동 3,177명
사직동 3,166명
명륜2가 3,020명
충신동 2,982명
내수동 2,632명
청운동 2,274명
옥인동 1,854명
원서동 1,769명
이화동 1,717명
연건동 1,596명
평동 1,563명
홍파동 1,554명
홍지동 1,549명
신교동 1,341명
삼청동 1,257명
인의동 1,062명
계동 1,041명
익선동 1,012명
필운동 981명
가회동 977명
교북동 924명
송월동 910명
연지동 875명
낙원동 846명
효제동 829명
명륜4가 816명
누하동 780명
돈의동 779명
신문로2가 723명
통인동 708명
체부동 683명
효자동 568명
교남동 558명
원남동 511명
종로6가 454명
창성동 404명
관수동 382명
통의동 323명
당주동 287명
팔판동 278명
경운동 256명
안국동 250명
수송동 243명
관철동 241명
견지동 230명
종로5가 225명
궁정동 217명
화동 202명
운니동 167명
소격동 136명
권농동 131명
사간동 127명
종로3가 124명
종로1가 107명
관훈동 106명
와룡동 94명
재동 85명
내자동 82명
인사동 82명
신문로1가 75명
장사동 71명
봉익동 56명
종로2가 55명
청진동 54명
적선동 38명
예지동 35명
묘동 34명
종로4가 22명
중학동 4명
도렴동 2명
서린동 2명
공평동 1명
세종로 0명
송현동 0명
훈정동 0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 수,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인구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종로구의 상당수 지역이 서울특별시의 원도심 지역이어서 도심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종로구의 주거지 대부분이 매우 오래되어 주거 환경이 좋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시 차원에서 경관 보존을 명목으로 개선은커녕 규제에만 열을 올리는 상황이라 주민들이 불편을 견디지 못하고 점차 떠난다는 이유도 있다. 이는 중구도 마찬가지. 이 때문에 종로구는 종로, 인사동, 창신동, 숭인동 일대에 빈집이 굉장히 많아서 골칫거리로 전락한 상태다.

다만 서울특별시 시정 권력이 대거 교체되었고, 오세훈표 '신속통합기획'이 탄력을 받으면서 창신동·숭인동 등 노후지역이 재개발지역으로 선정되었기에 종로구의 주거환경은 예전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종로구 인구 약 14만명 중 절반 이상인 55% 가까이가 1975년에 서대문구와 동대문구에서 편입해온 지역에 거주한다.[27]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df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df00>
파일:종로구 CI.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로
세종대로 | 삼일대로
통일로 | 동호로 | 무교로 | 보문로 | 새문안로 | 세검정로 | 수표로 | 지봉로 | 창경궁로 | 김상옥로 | 대학로 | 돈화문로 | 북촌로 | 사직로 | 삼봉로 | 삼청로 | 성균관로 | 우정국로 | 율곡로 | 인왕산로 | 자하문로 | 종로 | 창의문로 | 청와대로 | 효자로 | 난계로 | 북악산로 | 진흥로 | 청계천로 | 혜화로 | 평창문화로 | 필운대로
{{{#!folding [ 펼치기 · 접기 ]경교장길
경교장1길 | 경교장길
경희궁길
경희궁1가길 | 경희궁1길 | 경희궁2길 | 경희궁3가길 | 경희궁3길 | 경희궁3나길 | 경희궁4길 | 경희궁길
계동길
계동2길 | 계동4길 | 계동6길 | 계동길
낙산길
낙산1길 | 낙산2길 | 낙산3길 | 낙산4길 | 낙산5길 | 낙산길
낙산성곽길
낙산성곽1길 | 낙산성곽길
낙산성곽동길
낙산성곽동길
낙산성곽서길
낙산성곽서1길 | 낙산성곽서길
난계로
난계로25길 | 난계로27길 | 난계로29가길 | 난계로29길
대명길
대명1길 | 대명길
대학로
대학로10길 | 대학로11길 | 대학로12길 | 대학로14길 | 대학로1길 | 대학로2길 | 대학로3길 | 대학로5가길 | 대학로5길 | 대학로7길 | 대학로8가길 | 대학로8길 | 대학로9가길 | 대학로9길
돈화문로
돈화문로10가길 | 돈화문로10길 | 돈화문로11가길 | 돈화문로11길 | 돈화문로11길 | 돈화문로11나길 | 돈화문로11다길 | 돈화문로2길 | 돈화문로4길 | 돈화문로5가길 | 돈화문로6가길 | 돈화문로6길 | 돈화문로6나길 | 돈화문로8길 | 돈화문로9가길 | 돈화문로9길
동망산길
동망산1길 | 동망산길
동순라길
동순라길
동숭길
동숭1길 | 동숭2길 | 동숭3길 | 동숭4가길 | 동숭4길 | 동숭4나길 | 동숭4다길 | 동숭4라길 | 동숭길
동호로
동호로38길
명륜길
명륜10길 | 명륜1길 | 명륜2길 | 명륜3길 | 명륜4가길 | 명륜4길 | 명륜4나길 | 명륜5길 | 명륜6길 | 명륜7길 | 명륜8길 | 명륜9길 | 명륜길
백석동길
백석동1가길 | 백석동1길 | 백석동2길 | 백석동3길 | 백석동길
보문로
보문로1길 | 보문로3길 | 보문로5길 | 보문로7길 | 보문로9길
북촌로
북촌로11가길 | 북촌로11길 | 북촌로11나길 | 북촌로11다길 | 북촌로11라길 | 북촌로12길 | 북촌로15길 | 북촌로1길 | 북촌로2길 | 북촌로4길 | 북촌로5가길 | 북촌로5나길 | 북촌로6길 | 북촌로7길 | 북촌로8길 | 북촌로9길
비봉길
비봉1길 | 비봉2길 | 비봉4길 | 비봉5길 | 비봉길
사직로
사직로10길 | 사직로12길 | 사직로1가길 | 사직로1길 | 사직로1나길 | 사직로1다길 | 사직로1라길 | 사직로1마길 | 사직로2길 | 사직로5길 | 사직로6길 | 사직로7길 | 사직로8길 | 사직로9가길 | 사직로9길
삼일대로
삼일대로15길 | 삼일대로17길 | 삼일대로19길 | 삼일대로20길 | 삼일대로26길 | 삼일대로28길 | 삼일대로30길 | 삼일대로32가길 | 삼일대로32길
삼청로
삼청로10길 | 삼청로11길 | 삼청로2길 | 삼청로4길 | 삼청로5길 | 삼청로7가길 | 삼청로7길 | 삼청로7나길 | 삼청로9길
새문안로
새문안로2길 | 새문안로3길 | 새문안로5가길 | 새문안로5길 | 새문안로7길 | 새문안로9길
서순라길
서순라길
성균관로
성균관로10길 | 성균관로10길 | 성균관로13길 | 성균관로14길 | 성균관로15가길 | 성균관로15길 | 성균관로15나길 | 성균관로16길 | 성균관로17길 | 성균관로1길 | 성균관로3길 | 성균관로4길 | 성균관로5가길 | 성균관로5길 | 성균관로6길 | 성균관로7길 | 성균관로9길
세검정로
세검정로6가길 | 세검정로6길 | 세검정로6나길 | 세검정로6다길 | 세검정로6라길 | 세검정로7가길 | 세검정로7길 | 세검정로7나길 | 세검정로9길
세종대로
세종대로21길 | 세종대로23길
송월길
송월1길 | 송월길
수표로
수표로18가길 | 수표로20길 | 수표로22길 | 수표로26길 | 수표로28길
숭인동길
숭인동1가길 | 숭인동1길 | 숭인동1나길 | 숭인동1다길 | 숭인동2길 | 숭인동길
옥인길
옥인1길 | 옥인2길 | 옥인3길 | 옥인4길 | 옥인5길 | 옥인6가길 | 옥인6길 | 옥인길
와룡공원길
와룡공원길
우정국로
우정국로2길
윤보선길
윤보선길
율곡로
율곡로10길 | 율곡로13가길 | 율곡로13길 | 율곡로14길 | 율곡로16길 | 율곡로17길 | 율곡로19가길 | 율곡로19길 | 율곡로1길 | 율곡로20길 | 율곡로22가길 | 율곡로22길 | 율곡로22나길 | 율곡로23가길 | 율곡로23길 | 율곡로25길 | 율곡로27길 | 율곡로29길 | 율곡로2길 | 율곡로30길 | 율곡로3길 | 율곡로4길 | 율곡로4길 | 율곡로5길 | 율곡로6길 | 율곡로8길
이화장길
이화장1가길 | 이화장1길 | 이화장1나길 | 이화장2길 | 이화장길
인사동길
인사동10길 | 인사동11길 | 인사동12길 | 인사동14길 | 인사동16길 | 인사동1길 | 인사동3길 | 인사동4길 | 인사동5길 | 인사동6길 | 인사동7길 | 인사동8길 | 인사동9길 | 인사동길
인왕산로
인왕산로1가길 | 인왕산로1길
자하문로
자하문로10길 | 자하문로11길 | 자하문로12길 | 자하문로13길 | 자하문로14길 | 자하문로15길 | 자하문로16길 | 자하문로17길 | 자하문로19길 | 자하문로1가길 | 자하문로1길 | 자하문로1나길 | 자하문로1다길 | 자하문로1라길 | 자하문로21길 | 자하문로23길 | 자하문로24길 | 자하문로26길 | 자하문로28가길 | 자하문로28길 | 자하문로2길 | 자하문로30길 | 자하문로33가길 | 자하문로33길 | 자하문로33길 | 자하문로33나길 | 자하문로33다길 | 자하문로35길 | 자하문로36길 | 자하문로37길 | 자하문로38길 | 자하문로40가길 | 자하문로40길 | 자하문로41길 | 자하문로42길 | 자하문로43길 | 자하문로45길 | 자하문로4길 | 자하문로5가길 | 자하문로5길 | 자하문로6길 | 자하문로7길 | 자하문로8길 | 자하문로9길
종로
종로10길 | 종로11길 | 종로12길 | 종로14길 | 종로16길 | 종로17길 | 종로18길 | 종로1길 | 종로20길 | 종로22길 | 종로24길 | 종로26길 | 종로28가길 | 종로28길 | 종로30길 | 종로31가길 | 종로31길 | 종로32길 | 종로33길 | 종로34길 | 종로35가길 | 종로35길 | 종로36가길 | 종로36나길 | 종로38길 | 종로39가길 | 종로39길 | 종로3길 | 종로40가길 | 종로40길 | 종로40나길 | 종로41가길 | 종로41길 | 종로41나길 | 종로43길 | 종로44길 | 종로46가길 | 종로46길 | 종로48길 | 종로50가길 | 종로50길 | 종로50나길 | 종로50다길 | 종로50라길 | 종로51가길 | 종로51길 | 종로51나길 | 종로52길 | 종로53길 | 종로54길 | 종로56길 | 종로57길 | 종로58가길 | 종로58길 | 종로5길 | 종로60길 | 종로62길 | 종로63가길 | 종로63길 | 종로63나길 | 종로63다길 | 종로63라길 | 종로63마길 | 종로65가길 | 종로65길 | 종로66가길 | 종로66길 | 종로67길 | 종로7길 | 종로8길 | 종로9길
지봉로
지봉로10길 | 지봉로10길 | 지봉로11길 | 지봉로12가길 | 지봉로12길 | 지봉로12나길 | 지봉로13가길 | 지봉로13길 | 지봉로14길 | 지봉로16길 | 지봉로17길 | 지봉로2길 | 지봉로4가길 | 지봉로4길 | 지봉로5길 | 지봉로7길 | 지봉로8길
진흥로
진흥로21길 | 진흥로22가길 | 진흥로22길 | 진흥로22나길 | 진흥로23길 | 진흥로25길
창경궁로
창경궁로11길 | 창경궁로12길 | 창경궁로13길 | 창경궁로16가길 | 창경궁로16길 | 창경궁로16나길 | 창경궁로18길 | 창경궁로20길 | 창경궁로21가길 | 창경궁로21길 | 창경궁로22길 | 창경궁로26길 | 창경궁로27길 | 창경궁로29길 | 창경궁로31길 | 창경궁로33길 | 창경궁로34길 | 창경궁로35가길 | 창경궁로35길 | 창경궁로35나길
창덕궁길
창덕궁1가길 | 창덕궁1길 | 창덕궁3가길 | 창덕궁3길 | 창덕궁3나길 | 창덕궁4길 | 창덕궁5길 | 창덕궁7길 | 창덕궁길
창신길
창신10가길 | 창신10길 | 창신11길 | 창신12길 | 창신1길 | 창신2길 | 창신3길 | 창신4가길 | 창신4길 | 창신4나길 | 창신5가길 | 창신5길 | 창신5나길 | 창신5다길 | 창신5라길 | 창신5마길 | 창신6가길 | 창신6길 | 창신6나길 | 창신6다길 | 창신7가길 | 창신7길 | 창신8길 | 창신9길 | 창신길
창의문로
창의문로10길 | 창의문로11가길 | 창의문로11길 | 창의문로12길 | 창의문로1길 | 창의문로3길 | 창의문로5가길 | 창의문로5길 | 창의문로5나길 | 창의문로5다길 | 창의문로7길 | 창의문로9가길 | 창의문로9길
충신길
충신1길 | 충신2길 | 충신4가길 | 충신4길 | 충신4나길 | 충신6길 | 충신길
통일로
통일로12길 | 통일로14길 | 통일로16길 | 통일로18가길 | 통일로18길 | 통일로18나길 | 통일로8길
팔판길
팔판길
평창길
평창10길 | 평창11길 | 평창12길 | 평창13길 | 평창14길 | 평창15길 | 평창16길 | 평창17길 | 평창1길 | 평창20길 | 평창21길 | 평창22길 | 평창23길 | 평창24길 | 평창25길 | 평창26길 | 평창2길 | 평창30길 | 평창31길 | 평창32길 | 평창33길 | 평창34길 | 평창35길 | 평창36길 | 평창3길 | 평창40길 | 평창42길 | 평창44길 | 평창4길 | 평창5길 | 평창6길 | 평창7길 | 평창8길 | 평창길
피마길
피마길
필운대로
필운대로10길 | 필운대로11길 | 필운대로13길 | 필운대로1길 | 필운대로2길 | 필운대로3길 | 필운대로5가길 | 필운대로5길 | 필운대로5나길 | 필운대로5다길 | 필운대로6길 | 필운대로7길 | 필운대로9가길 | 필운대로9길 | 필운대로9나길
혜화로
혜화로10길 | 혜화로11가길 | 혜화로11길 | 혜화로12길 | 혜화로14길 | 혜화로16길 | 혜화로2길 | 혜화로3가길 | 혜화로3길 | 혜화로5길 | 혜화로6가길 | 혜화로6길 | 혜화로8길 | 혜화로9길
홍지문길
홍지문1길 | 홍지문2가길 | 홍지문2길 | 홍지문3길 | 홍지문4길 | 홍지문길
효자로
효자로13길 | 효자로7길 | 효자로9길
덕수궁길
덕수궁길 }}}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지나가고 있다. 신설동 끝자락에 있는 동대문구와의 경계에 우이신설선이 지나간다. 그 외에도 종로구에 있는 신설동역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이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노선 수 자체는 서울의 중심부에 자리하고 도심인 특성에 비하면 많지 않다. 사실 종로구보다 수도권 전철 노선이 많이 경유하는 자치구는 서울역을 먹은 중구와 대중교통을 첨병으로 하여 개발된 강남3구 뿐이고, 함께 중구와 서울역을 반 나눠 먹은 용산구를 경유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 수가 4개(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경의중앙선)라는 점을 감안하면 문제라고 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진짜 문제는 따로 있는데, 종로구의 철도 대부분이 횡축으로 지나간다는 것이다. 종로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은 서울 지하철 3호선 하나뿐이고 그나마도 서북 - 동남으로 지나가면서 종로3가역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종로구 관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은 없다. 이 때문에 역들이 종로 연선과 도심지역에 조밀하게 배치되어있고, 철도 음영지역 비율이 44%로 서울 25개 자치구관악구 다음으로 높다.

특히 청와대가 있는 청운효자동, 북촌한옥마을이 있는 가회동, 성균관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있는 명륜동, 삼청동 공관촌, 감사원통일부 남북회담본부가 있는 삼청동 쪽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 평창동, 상명대학교 등 과거 서대문구로부터 가져온 지역들도 대부분 철도 음영 지역이고 북한산 입구인 구기동[28]은 말할 것도 없이 교통 환경이 열악하다.

그리고 웃긴 것은 광화문역 서쪽의 내수동부터 서울특별시경찰청이 있는 내자동까지의 지역 역시 철도 음영지역이다. 관악구종축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개통되면 상당수의 철도 음영 지역에 철도가 보급되는데 종로구는 여전히 종축 갈증이 심각한 수준이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의 광화문역-시청역 복합역사 제안이 있었다. 실현된다면 종로구와 중구를 남북으로 잇는 역이 지어져 종축 노선이 생길 뻔했지만 결국 서울역에 정차하고 종로구 구간은 통과하기로 하면서 무산되었다.

도로는 동서로 관통하는 종로에 의해 서울특별시 내에서도 중요성이 크다. 그 위쪽으로는 사직로 - 율곡로가 경복궁 앞을 지나면서 동서로 관통하고 있으며, 경복궁 앞에서 세종대로가 남쪽을 향한다. 말 그대로 서울의 도심 지구이기 때문에 서울 강북이나 경기북부에서 종로로 향하는 수요가 많으며, 이것 때문에 많은 광역버스 노선이 광화문을 비롯한 종로구 곳곳을 경유한다.

강북에서 많은 정부기관, 기업들과 업무 단지가 입주한 지역인 만큼 같은 서울 내에서도 도로망이 대단히 복잡한 데다가 지나다니는 버스택시가 굉장히 많이 돌아다니고, 특히 통근 시간에는 차량 교통량도 대단히 많아 차량 운전에 특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 쉽다. 교통량도 교통량이지만 도로망이 대단히 복잡하여 이 곳의 찻길에 밝지 않은 운전자라면 차선을 헷갈리기도 매우 쉽다.

이 곳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은 집이 가까운 동네에 있지 않은 이상 대부분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하며, 자가용 운전을 대단히 꺼린다. 뿐만 아니라 아무래도 서울의 오래된 주요 시가지인 만큼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서 그나마 직선 도로가 많은 편인 강남 일대나 서울보다 도로가 넖고 직선 도로가 대부분인 경기남부 신도시들에 비해 구불구불한 곳이 많아서 초보운전이라면 특히 운전 체감 난이도를 매우 높인다.

5.1. 관내 철도 목록

6. 경제

파일:종로 야경.jpg
서울의 원도심으로 대표되는 종로의 모습

정치 면에서는 정치 1번지라는 별칭이 상징하듯 용산구와 더불어 서울에서 탑이지만[29] 경제적 위상은 정치적 위상만큼 압도적이지는 않다. 경제 면에서는 기업도 많고 주민도 많은 강남구서초구가 서울에서 1, 2위를 차지하기 때문에 그렇다.[30] 또한 도심권에서도 정치의 중심지가 종로인 반면 경제 중심지는 을지로로 대표되는 중구이기 때문이기도 하다.[31] 그래도 종로구 역시 서울특별시 내에서 경제력이 상위권에 속한다. 종로구청의 재정자립도는 50% 중반대를 꾸준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지금도 서울시 25개 구청 중 재정자립도 탑 4에는 랭크된다.[32] SK, 현대그룹, 현대건설, GS건설 등 대기업 및 중견기업들의 본사 소재지이다.

종로구는 총리 공관, 정부서울청사, 헌법재판소정부 기관들,[33]이 밀집한 정치·행정 중심지이기 때문에 공무원들이 많으며[34] 내국인과 외국인 관광객들이 자주 방문하기 때문에 이들 수입으로 인해 경제력이 상위권인 것이다. 기업 본사들도 있으며, 서울특별시의 업무지구 중 하나이므로 여기에 직장을 둔 사람들도 많아 이들이 쓰는 돈도 있다. 주로 3차 산업으로 벌어 들이는 곳이다.

6.1. 금융

종로구에 있는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6)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 (12)
시중은행
우리은행 (20) 국민은행 (17) 신한은행 (14) 하나은행 (12)
SC제일은행 (5) 한국씨티은행 (1)
제2금융권 [괄호]
우체국예금보험
서울우체국 (8) 광화문우체국 (1)
농업협동조합
서서울농협 (2) 동서울농협 (1) 한국양봉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목포수협 (1)
새마을금고
종로제일새마을금고 (1) 종로중앙새마을금고 (4) 종로3.4가새마을금고 (1) 종로광장새마을금고 (1)
종로동부새마을금고 (1) 종로서부새마을금고 (1) 종로숭인새마을금고 (1) 종로중부새마을금고 (1)
광화문새마을금고 (1) 삼청새마을금고 (3) 교남동새마을금고 (2) 대학로새마을금고 (2)
명륜새마을금고 (1) 사직동새마을금고 (1) 세검정새마을금고 (1) 인사동길새마을금고 (1)
청운효자동새마을금고 (1) 서울대학교병원새마을금고 (1) 동대문상가새마을금고 (1) 현대건설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종로신용협동조합 (1) 연동신용협동조합 (1) 두산신용협동조합 (1) 서울보증보험신용협동조합 (1)
서울적십자병원신용협동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OK저축은행 (1) SBI저축은행 (1) 푸른상호저축은행 (1) 한국투자저축은행 (1)
OSB저축은행 (1)

7.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종로구/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서울독립문초등학교
서울매동초등학교 서울명신초등학교 서울세검정초등학교 서울재동초등학교
서울창신초등학교 서울청운초등학교 서울혜화초등학교 서울효제초등학교
운현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신중학교 대신중학교 덕성여자중학교 동성중학교
배화여자중학교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중학교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여자중학교 중앙중학교
청운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기상업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신고등학교 덕성여자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서울과학고등학교 서울국제고등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일반고이면서 남녀공학인 학교는 한 곳도 없다. 특성화고예술고등학교는 있어도, 일반고 남녀공학은 0개이기 때문에 종로구에 거주하는 중학생들은 남녀공학 진학을 위해 강제로 특목고를 위해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중학교마저도 남녀공학이 딱 한 곳 뿐이며, 이 중학교사립학교이기 때문에 남녀분반으로 운영되어 왔다.[38][39] 2021년부터는 남녀 합반으로 운영되는 중이다.

사실 종로구의 교육 환경이 이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종로구는 온갖 유적지와 문화물들이 있는 동네이며, 또한 대한민국에서 개교 역사가 가장 오래된 학교인 경신고등학교가 있는 지역이니[40], 남녀공학은 있어봐야 특목고나 특성화고 뿐이지 일반고는 있을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경신고를 비롯한 경복고, 중앙고, 동성고, 대신고, 덕성여고, 배화여고, 경기상고, 대동세무고 등 관내 고등학교 상당수가 구한말 ~ 일제강점기 때 설립된 학교들인데, 이때 유교적인 사회 분위기상 남녀를 분리하는 단성학교가 대세였던 것도 또다른 이유이다.

또한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전에는 서울고·경기고와 같은 공립고등학교들 뿐 아니라 휘문고, 중동고, 숙명여고, 풍문고, 동덕여고 등 현재도 강남 8학군으로 유명한 학교들과 양정고, 진명여고 등 목동 학군의 일익으로 자리 잡은 학교들이 위치한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학군이었으나, 강남8학군 개발과 함께 경복고나 중앙고, 동성고 정도를 제외한 많은 학교들이 강남으로 이전하면서 현재는 도심공동화와 함께 학령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고, 또한 학교들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

8.2. 공공도서관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공공도서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 심볼.svg 서울특별시교육청
종로도서관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 심볼.svg 서울특별시교육청
어린이도서관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 심볼.svg 서울특별시교육청
정독도서관
4.19혁명기념도서관 기타 구립 도서관 }}}}}}}}}
서울특별시의 공공도서관 목록 둘러보기

8.3. 영화관




90년대 말까지만 해도 단성사, 피카디리극장, 서울극장이 종로3가 한 군데에 몰려서, 중구의 국도극장-대한극장과 함께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중심을 자랑하던 지역이었다. 그러나 CGV를 필두로 한 멀티플렉스 체인점이 전국 각지에 들어서면서 도심지에 있던 단관 극장들이 몰락하기 시작했다.

단성사는 2000년대에 극장 건물을 새로 지으면서 씨너스 간판을 달았다가 얼마 못 가 건물 내 소유권 문제로 그대로 폐점했고, 피카디리극장은 역시 건물을 새로 지으면서 멀티플렉스 체인점이 되었다. 처음에는 프리머스시네마 간판을 달았다가 롯데시네마를 거쳐 지금은 CGV에 완전히 넘어가서 CGV 피카디리1958이 되었다. 가장 마지막까지 버티던 서울극장도 2021년 8월에 문을 닫았다.

이 외에도 도심 곳곳에 독립영화 위주로 상영하는 중소규모 극장이 몇 군데 있다.

8.4. 의료기관

종합병원급 이상으로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 종합병원은 아니지만 국군서울지구병원(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10길 13)이 삼청동에 있는데, 기본적으로 국가원수를 위한 병원이다.

9. 주요 시설 및 기업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df00>
파일:종로구 CI.svg
}}}
{{{#!wiki style="color:#1d1d1b;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청 |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종로구의회 | 파일:보건소 CI.svg 종로구보건소
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 헌법재판소 파일:감사원 로고.svg 감사원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파일:정부상징.svg 여성가족부* 파일:정부상징.svg 금융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국가교육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국민통합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금융정보분석원* 파일:정부상징.svg 정부종합민원센터*
파일:정부상징.svg 서울청사관리소* 파일:정부상징.svg 이북5도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남북관계관리단 파일:정부상징.svg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국가건축정책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파일:정부상징.svg 국민경제자문회의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어린이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인사정보관리단 파일:정부상징.svg 청와대관리활용추진단
파일:정부상징.svg 국립민속박물관 파일:MMCA_logo.jpg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파일:정부상징.svg 국립고궁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 파일:정부상징.svg 경복궁관리소 파일:정부상징.svg 창덕궁관리소 파일:정부상징.svg 창경궁관리소
파일:정부상징.svg 종묘관리소 파일:정부상징.svg 서울기록정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서울지방국세청 파일:정부상징.svg 종로세무서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서울지방우정청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광화문우체국 파일:정부상징.svg 서울농학교 파일:정부상징.svg 서울맹학교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서울지구병원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CI.svg 서울특별시선거관리위원회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CI.svg 종로구선거관리위원회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역사박물관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공예박물관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휘장.svg 서울특별시교육청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휘장.svg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서울특별시경찰청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서울종로경찰서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서울혜화경찰서 파일:소방청 마크.svg 종로소방서
* 정부서울청사 입주기관 }}}}}}}}}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종로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종로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여담

근래 창신동의 산동네 부근에서 은근히 드라마가 많이 찍히는데, 가난한 주인공의 거주지 포지션으로 많이 나온다.[43] 반면, 평창동은 부촌의 이미지로 등장한다.[44]

선술했듯 빈부격차를 직·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동네다. 굳이 평창동까지 갈 것도 없이 숭인동(낙산) 부근을 봐도 알 수 있는 것이, 동묘앞역 앞에 바로 있는 웅장한 롯데캐슬과 그 뒤로 펼쳐져 있는 숭인동의 낡은 주택들을 비교해보면 그 격차가 실감나게 느껴진다.[45] 종로3가 및 낙원상가 주변[46]에는 이태원동과 더불어 대표적인 게이바나 술집들이 많이 모여 있다.[47]

관내에 경찰서가 2개 있는데, 돈화문로를 기준으로 서울종로경찰서가 서쪽을, 서울혜화경찰서가 동쪽을 담당한다.

옆 동네 중구와 통합해야 한디는 여론도 가끔 있다.

종로구는 서울의 중심인 만큼 3대 이상 대를 이어 살고 있는 서울토박이가 8% 정도로 거주한다. 서울특별시 전체에서 가장 비율이 높으며, 특히 평창동, 사직동, 삼청동, 가회동, 청운효자동 쪽에 토박이들이 많이 사는 걸로 추정되며, 이들은 어느 정도의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나, 젊은 청년들일수록 오히려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를 2명이나 배출한 기초자치단체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내 이희호, 문재인 전 대통령의 아내 김정숙이 있다.

대한축구협회한국프로축구연맹 건물이 종로구에 있다.

13. 출신 인물

14. 관련 문서


[1] 지명으로서의 종로는 Jongno, 도로명으로서의 종로는 Jong-ro로 표기한다.[2] 87개 법정동, 17개 행정동[3]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4] 2024년 11월 기준[5] 종로구 가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무악동, 교남동): 이응주
종로구 나선거구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가회동): 김하영
종로구 다선거구 (종로1·2·3·4가동, 이화동, 혜화동): 이광규
종로구 라선거구 (종로5·6가동, 창신1동,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2동): 라도균, 이시훈
종로구 비례대표: 박희연
[6] 종로구 가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무악동, 교남동): 여봉무
종로구 나선거구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가회동): 정재호
종로구 다선거구 (종로1·2·3·4가동, 이화동, 혜화동): 이륜구
종로구 라선거구 (종로5·6가동, 창신1동,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2동): 김종보
종로구 비례대표: 이미자
[7]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윤종복 (초선)[8] 종로구 제2선거구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1동,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2동): 임종국 (재선)[9] 행정구역상으로는 북한산에 접하지만, 도로가 없으므로 서로 왕래할 수는 없다. 그리고 일반적인 등산로를 따라가면 다시 은평구도봉구를 통하여 서울로 돌아온다(...).[10] 게다가 고양시와 접한 것도 1975년에 서대문구 평창동을 편입했기 때문이며, 그 전에는 종로구는 경기도와 접한 적이 없다. 즉 순수한 종로는 서울에 둘러싸인 셈이다. 또한 종로구와 인접한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또한 말만 고양시 관할이지 실제로는 성저십리에 들어간다(...).[11] 지금의 종로1가[12] 선관위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선거구이며 청와대가 있었고 이 선거구와 이 선거구를 일부 포함한 지역구에서 역대 대통령이 4명이 나왔다. 이승만(선거구상으로는 동대문 갑이었으나 그 당시 동대문 갑의 관할 구역은 종로구와 성북구 일대였다.), 윤보선, 노무현, 이명박.[13] 예전에는 청와대에 대통령도 거주하였지만 윤석열 정부 시기에 용산구대통령실로 옮겨 가면서 청와대의 상징성은 예전보다 줄었다.[14] 즉, 전국 모든 기초단체 중 종로구가 ‘직제상 서열’이 제일 앞선다. 따라서 공문 등에 여러 기초단체를 명시할 때도 직제상 서열에 따라 나열하므로 무조건 맨 앞에 언급된다. 전국 각 기초단체(정확히는 여권발급 대행기관)에 배부된 외교부 인장의 일련번호마저도 종로구청에 배부된 것이 일련번호가 제일 앞선다.[15] 1학군은 동대문구·중랑구이며, 별개로 8학군은 그 유명한 강남·서초다.[16] 에이도호구, 류잔구, 츄구, 쇼로구, 세이다이몬구, 토다이몬구, 조토구. 따라서 이들 7개 구청의 설립근거를 따지자면 고이소 구니아키가 발포한 조선총독부이다. (그 후 미군정이 발포한 서울시헌장으로 계승)[17]대통령 관저[18] 주한미국대사관, 주한일본대사관, 주한호주대사관, 주한브라질대사관, 주한 대만 대표부, 주한오스트리아대사관 등[19] 세종대왕과 정조대왕도 모두 종로구 소재 경복궁, 창덕궁에서 태어났다.[20] 송진우, 김성수, 여운형, 한용운 등이 다 이곳에 살았다.[21] 현재의 마른내로 일부 등 법정동 충무로 일대. 명동성당 넘어 백병원이 있는 그 길이다.[22] 사실 중앙구는 상업 중심지에 할당되고, 정치 중심지는 다른 이름을 가진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런던의 상업 중심지는 시티 오브 런던이고, 정치 중심지는 버킹엄 궁전, 웨스트민스터 궁전 등이 위치한 웨스트민스터이다. 도쿄 역시 이와 비슷하게 긴자니혼바시 등의 역사 깊은 상업지구가 주오구에 속하며, 황거일본 국회의사당 등이 치요다구에 속해 있어 일본 정치는 대부분 치요다구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도쿄도청신주쿠구로 이전하기 전 위치해있던 곳도 치요다구. 다만 그 연원은 종로구와 다르다. 이 둘은 과거 계급 사회 시절 정치에 참여하는 계층과 상업에 종사하는 계층이 나뉘어져 서로 다른 지역에 살았던 것에서 기인한다.[23] 이 동네 뜬다더니…"살기 좋은 동네 1위, 강남 아니었네" 기사 참조[24] [빅 데이터로 본 강남] 살기 좋은 강남? 공원은 종로의 6분의 1 기사 참조[25] 이낙연 55.3% vs 황교안 30.6%… 이낙연-교통, 황교안-교육 공약에 초점 기사 참조[26] 오세훈 "서울 도심 낙후지역 방치는 상상할 수 없어"(종합) 기사 참조[27] 이는 중구도 마찬가지인데 오히려 중구의 경우 새로 편입해온 지역에 80%(!)의 사람이 산다.[28]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의 사택이 있었던 곳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경상남도 양산시의 29만 평 본가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의 80평 사택까지 2채를 보유중이었다. 문재인이 2016년에 구기동 대신 서대문구로 이사갔는데 그 이유가 서울 사택의 교통이 불편해서였다.[29] 대통령실은 용산으로 이전했지만, 전통적인 인식 및 보수텃밭인 용산과 달리 비교적 경합지역에 가깝다는 점에서 아직 정치 1번지라는 인식이 남아 있다. 다만 젊은층 인구의 급감으로 정치 1번지로서의 위상도 예전보다 낮아지고 있디.[30] 이로 인해 특히 재산세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31] 실제로 4대 시중은행 중 KB국민은행을 제외한 의 본점이 중구에 위치해 있으며, 국민은행 역시 2018년 이전까지는 명동에 현 Apple 명동 위치에 본점이 있었다. 시중은행 이외에도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역시 중구에 본점이 있는 등 금융권은 여전히 영등포구와 중구가 양분하고 있다.[32] 1위 강남구, 2위 중구, 3위는 서초구다.[33] 과거에는 청와대도 대통령 집무실 및 관저로 사용되었다.[34] 다만 명색이 수도인데도 정부부처와 공무원들의 수는 오히려 정부세종청사, 정부대전청사, 정부과천청사에 비해 밀리고 있어서 존재감이 낮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8] 서울은 공립학교 기준으로 중학교가 남녀분반 하는 일은 절대 없다. 사립중학교여야만 남녀분반을 한다.[39] 심지어 중앙중마저도 원래는 남자중학교였다.[40] 다른 한 곳은 강동구에 있는 배재고등학교.[41] 병상수로의 1위는 서울아산병원.[42] 현대자동차그룹 본사는 서초구에 있다.[43] 대표적으로 시크릿 가든과 과거 방영했던 인어 아가씨다.[44] 그래서 드라마 그저 바라보다가는 부잣집 출신 연예인인 여자 주인공의 동네 장면은 청운동에서, 평범한 집안 출신 대기업 직원인 남자 주인공의 동네 장면은 삼청동에서 촬영했다. 청운동과 삼청동은 찰싹 붙어있다.[45] 이들 모두 숭인1동주민센터가 관할하며, 이 탓에 숭인1동은 관내 소득격차가 꽤 크다.[46] 과거에는 사창가가 즐비한 곳이었고, 사창가가 철거된 후에도 슬럼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지역이었다. 이곳을 아우르던 이름은 종삼.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군부 독재 시절 여러 대안 문화가 출현하는 하나의 스팟이 되었고, 현재는 대한민국 초기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발상지로 평가받는다. 후술된 게이바나 술집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생겨난 것이다.[47] 이 인근에 떡집이 많은 이유는 옛날 이 주변에 고급 요리집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기생들이 바쁘다 보니 식사 때에도 밥 대신 간단히 먹을 수 있는 떡을 사먹곤 했고, 그 때문에 떡장수들이 모여들었다.[48] 한양에서 출생하지 않은 국왕은 총 5명이다. 태조, 정종, 태종고려 시대에 현재의 함경도에서(그 당시 동북면), 인조임진왜란 시기 황해도 해주에서, 현종청나라 심양에서 태어났다. 간혹 강화도령이라는 별명때문에 철종강화도에서 태어난 것으로 간혹 오인되나, 철종은 연좌제로 인한 유배로 인해 어린 시절에 강화도로 쫓겨난 것이다.[49] 한동안 경기도 광명시 출생으로 알려졌으나, 1theK 본인등판 영상에서 종로구가 출생지라고 밝혔다. 다만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은 광명에서 보냈다.[50] 이대동대문병원에서 태어났다가 돌이 지나기도 전에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로 이주했다.[51] 평동 164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