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한현희]]#!if 문서명3 != null
, [[노진혁]]#!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5px" | <tablebordercolor=transparent>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기본 정보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 ||
| 구단 |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츠 2군 | |||
| 롯데 자이언트(실업 시절) | ||||
| 프런트 | 선수단 | ||||
| 경기장 | 1군 메인 사직 야구장(재건축) 과거 | |||
|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1호 기록) 과거 마산 야구장 | ||||
| 2군 상동 야구장 | ||||
| 현재 시즌 | 2026 시즌 | |||
| 역사 정보 | ||||
| 통합 역사 | 역사 | |||
| 우승 | 1984(V1) | 1992(V2) | |||
| 역대 한국시리즈 | 1984 | 1992 | 1995 | 1999 | |||
| 암흑기 | 암흑기(8888577, 5788, 7A788777) | |||
| 선수단 |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 |||
| 영구 결번 | 11 최동원 | 10 이대호 | |||
| 기타 |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 |||
| 주요 정보 | 특징 | 팀 컬러 | 유니폼(얼터너티브) | 트레이드 | ||
| 라이벌리 | 상대 전적 | |||
| vs vs vs vs vs | ||||
| 팬덤 정보 | 유튜브 | Giants TV(자티비) | ||
| 응원 | 응원단장 | 응원단 | 응원도구 | 마스코트 | |||
|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 ||||
| 팬덤 |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 |||
| 기담 | 팀 관련 |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야구는 경상도 | ||
| 선수 관련 |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 |||
| 성적 관련 | 봄데 | 8치올 | 기세 | 데이비슨의 저주 | |||
| 라인업 관련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박트리오 | 나나랜드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롯데 육상부 | |||
| 매직 |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 |||
| 기타 | 여담 | 이야깃거리 | ||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사고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 |||
| 작품 |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 |||
| 주관 대회 | 롯데기 야구대회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
| 틀 문서 | ||||
|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암흑기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 | |||
| |
| 좌측부터 유강남(유), 한현희(돈), 노진혁(노) |
1. 개요
2023년 스토브리그에서 3명 총합 170억에 롯데 자이언츠로 영입된 유강남, 한현희, 노진혁 3인을 함께 부르는 말이다.2. 상세
| |
| 입단식 사진 |
성민규 체제 당시 2023 시즌을 앞두고 영입된 세 명을 합쳐서 부르는 용어로 유강남과 노진혁은 성을, 한현희는 별명인 한돈의 돈을 따서 무한도전에서 사용되었던 유돈노를 붙여 부르는 두문자어이다. 이들은 도합 170억이라는 거액에 영입되며 대단한 수준의 기대를 받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유돈노는 팀을 넘어 KBO 리그 역사에 남을 먹튀 트리오로 전락해버렸다. 무려 계약 2년차부터 전원이 KBO 리그를 대표하는 먹튀가 된 것도 모자라 노쇠화의 징조를 너무 심하게 보여주며 향후 반등 가능성도 높지 않다고 평가받고 있다. 게다가 한현희야 옵션 금액이 절반 이상 그렇다 쳐도 유강남과 노진혁의 계약은 후반부에 연봉이 몰려있는 기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해가 갈수록 샐러리 캡에 악영향이 커지고, 그로 인해 팀의 전력 보강 계획에도 민폐가 되고 있다. 그 결과 롯데는 유돈노에 김태형 감독까지 데려오며 윈나우를 노리려 했으나 실상은 최소 148억을 그대로 매몰비용으로 쓴 채 강제로 리빌딩을 해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놓였고, 윤나고황을 필두로 젊은 선수들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되던 유격수, 포수, 불펜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으며 페이롤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윈나우탱킹팀이 되어버렸다. 팀 성적 역시 유돈노 영입 이후 3년 연속 7위로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이 얼마나 먹튀냐면, 이대호가 롯데로 복귀한 이후 받은 FA 금액만큼의 돈을 3명이 비슷하게 받아먹는데 롯데의 대표적인 먹튀였던 민병헌이나 윤길현과 견줄 정도로 돈값을 못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기준 3년간 셋의 sWAR 총합은 8.49로, 단순 계산으로[1] WAR 1당 13.6억이라는 절망적인 가성비를 자랑한다.[2] 가히 롯데 자이언츠판 쿠뎀그라고 볼 수 있다.[3]
성민규 단장의 여러 실책 중 유돈노의 영입은 단연 최악으로 꼽히며, 2023 시즌을 끝으로 단장 자리에서 경질당한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그만큼 KBO 리그에서 이 트리오의 영향력과 인지도가 막대하며 이들이 동반 2군에 갔었을 때 시그니엘[4] 한 채를 2군에 쳐박았다는 밈이 생기기도 했었다.
그리고 이 실패는 팀의 2026 FA 시장에도 악영향을 끼쳤는데, 당초 박찬호와 강백호 등 외부 FA 참전이 유력한 구단으로 꼽혔고 현장에서도 전력 보강을 위한 FA 영입을 강력히 요청했으나 모기업에서 유돈노의 실패로 인해 지원에 난색을 표했고 실제로 오퍼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며 사실상 FA 시장에서 일찍 철수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3명 모두 타 팀 출신으로[5] 활약은 다른 데서 하고 돈은 롯데에서 받으며 먹튀짓을 하고 있다.
3. 멤버
3.1. 유강남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 | 관련 문서 유강남 Yoo Kang-na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선수 경력 | |
| 아마추어 경력 | ||
| | LG 트윈스 LG Twins | |
| 2011년 ㆍ 2012년 ㆍ 상무 피닉스 야구단 ㆍ 2015년 2016년 ㆍ 2017년 ㆍ 2018년 ㆍ 2019년 2020년 ㆍ 2021년 ㆍ 2022년 | ||
| FA | ||
| | 롯데 자이언츠 Lotte Giants |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기록 | ||
| 연도별 주요 성적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
| 기타 | ||
| 여담 · 유돈노 · 분류 | ||
4년 총액 80억으로 계약한 LG 트윈스 출신 포수이다. 영입 당시만 하더라도 2018년을 정점으로 조금씩 내려오던 타격 성적과 도루저지에서 약점이 있지만, 그래도 0.250 타율에 두자릿 수 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타격과 프레이밍에서의 압도적인 능력을 포함한 수비에서의 장점, 그리고 LG에서 2년 연속으로 포수 수비를 1000이닝 넘게 소화한 금강불괴라는 점 때문에 기대를 받았다.
유강남의 보상선수로 김유영이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1년차에는 시즌 초반엔 굉장히 심각한 타격을 보여주었지만, 롯데의 성적이 어느 정도 결정이 난 9월 이후에는 좋은 타격감을 선보이며 LG에서의 마지막 시즌보다 좋은 타격 기록을 기록하며 체면치레는 했다.
문제는 2년차 시즌인 2024년부터 시작되었는데, ABS가 도입되며 프레이밍이라는 무기를 잃어버린 상태에서, 도루저지 능력과 다른 수비력을 향상시키며 수비에서는 그나마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타격에서는 작년 초반과 같이 1할대 타율에 머물렀는데, LG 시절 혹사의 여파인지 전반기를 마무리하기도 전 반월판 부상으로 1군에서 빠졌고, 7월 중순에 시즌아웃당하며 먹튀가 확정됐다. 이로 인해 롯데는 유강남 영입 효과를 하나도 누리지 못하며 다시 팀을 정보근과 손성빈이라는 주전으로 나서긴 아쉬운 선수들을 기용하게 만들었다.
3년차인 2025년은 그래도 사람다운 노릇이라도 하면서 최악은 면한 상태이다. 개막전인 LG전에서 심각할 정도의 친정 사랑을 보여줬으나 이후로 조금씩 나은 타격을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늦게나마 만회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작년을 통으로 날린 대신 선수 커리어 최초로 긴 휴식을 보낸 덕인지 항상 체력에 부치던 모습도 사라진 것이 컸다. 12연패 기간 동안 거의 혼자만 공을 치던 수준이라 여론도 꽤나 부드러워졌다.
그러나 유강남을 원래 데려온 이유인 '유망주들을 백업으로 키우면서 즉시전력감으로 버텨줄 포수가 필요하다'는 점에선 의문이 제기되는 중으로, 다름이 아니라 김태형 감독이 직접 '올릴 사람이 없었다'고 대놓고 발언했을 정도로 수비 면에선 한때 감독의 신뢰를 잃었을 정도로 평이 좋지 못하다. 실제로도 문책성 2군행 이후 약 보름만에 콜업되고도 한동안 대타로만 나서고 배터리코치의 1, 2군 교체가 있을 정도로 그 불신이 심했다. 게다가 그 유망주인 손성빈이 도통 성장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정보근은 백업 포수의 한계를 깨지 못하고 성장이 정체되면서 애매한 주전 포수 유강남을 계속 봐야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주전 포수로 다시 출장하게 된 6월 중순 이후로는 전반기까지 평범한 중위권 포수 정도의 스탯은 유지하였으나, 도루 저지 측면에선 여전히 약점을 보였다. 김태형 감독의 포수 수비를 중요시하는 특성상 투수들이 고전하는 경우 경기 중반에 종종 교체되기도 했는데, 포수 교체 여부와 상관없이 맞아나가는 투수들로 인해 감독이 유강남에게 과도한 압박을 주는게 아니냐는 옹호여론도 일부 생겼다. 다만 타석에선 8번 타순이 아니면 거의 안타를 못치고 7월 초 1할대 타율로 부진하며 타격에서의 부진으로 비난받는 일이 많아졌다.
3.2. 한현희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 | 관련 문서 한현희 Han Hyun-he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 아마추어 시절 | 프로 지명 | |
| 프로 경력 | ||
| | 넥센-키움 히어로즈 Nexen-Kiwoom Heroes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 롯데 자이언츠 Lotte Giants |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 <rowcolor=#fff> | ||
| 평가 | ||
| 피칭 스타일 | ||
| 논란 및 사건 사고 | ||
| 원정 숙소 무단이탈 및 코로나19 방역수칙 위반 | ||
| 기타 | ||
| 연도별 주요 성적 · 여담 · 유돈노 · 조한손 · 분류 · 분류/선수 경력 | ||
3+1년 총액 40억, 옵션 22억으로 사실상 4년 18억에 계약한 키움 히어로즈 출신 우완 사이드암 투수이다. 나머지 유, 노는 부상과 부진으로 아예 게임에 나오지도 못하는 와중에 기대이하의 성적이라도 꾸준하게 나왔기에 그나마 민심이 좋은 편이다.
한현희의 보상선수로 이강준이 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했다.
1년차에는 이인복의 수술로 인한 5선발의 공백을 메우길 기대했지만 계속하여 아쉬운 모습만 보여주다 결국 시즌 막바지 불펜으로 전환되며 기대 이하의 모습만을 보여주었다.
2년차에는 시즌 시작부터 사실상 불펜으로 나서며 작년에 비해서는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후반기 막바지 흔들리며 또 다시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그렇지만 팀의 이상한 불펜 기용 속에서 선발, 롱릴리프, 필승조를 돌아다니며 마당쇠 역할을 했기에 그나마 밥값은 했다. 또한 ABS의 도입 이후 사이드암 계열 선수들의 성적이 대부분 하락한 점에서 힘든 시즌을 보냈다고 볼 수 있다.
3년차에는 5월 기아전에 오랜만에 선발에 등판하여 준수한 투구기록을 보이면서 기대를 모으기도 했으나, 그 이후 대체선발로 등판하며 시원하게 털렸고 2군에서도 여전히 부진하며 4년차까지의 전망 또한 부정적이다. 그나마 꾸준히 경기를 나오며 재기를 노리고 구속까지 줄여가며[6] 살아나려고 노력하는 점에서 아예 출전 자체가 불가능한 노진혁보다는 나은 평가를 받는 중.
3.3. 노진혁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 | 관련 문서 노진혁 Noh Jin-hyuk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fff> 선수 경력 | |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 |
| 아마추어 시절 | |||
| | NC 다이노스 | ||
| 2012 · 2013 · 2014 · 2015 · 상무 야구단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 FA | |||
| | 롯데 자이언츠 | ||
| 2023 · 2024 · 2025 | |||
| 평가 | 플레이 스타일 | ||
| 기록 | 연도별 주요 성적 | ||
| 기타 | 여담 · 유돈노 | }}}}}}}}} | |
4년 총액 50억원에 계약한 NC 다이노스 출신 우투좌타 유격수이다. 1년차에는 그래도 부상으로 인한 부진이라고 생각했지만 2년차에 돈값 못하는 부진에 제대로 빠지며 민심이 유강남과 함께 최악을 달리며 사실상 전력 외로 분류되는 중이다. 심지어 유강남은 아예 1년을 통으로 날린 대신 재활과 몸 만들기에 집중하여 다음 해 화려하게 복귀한 반면 노진혁은 반등의 가능성도 없는 수준이다.
노진혁의 보상선수로 안중열이 NC 다이노스로 이적했다.
1년차에는 시즌 초반 팀의 맹활약에 큰 기여를 하며 OPS는 기대 이하지만 원했던 득점권에서의 장점을 많이 보여주며 기대를 받았다. 이후 5월을 지나며 맹활약을 보여주어 3명 중 유일하게 돈값을 하고 있었으나 6월부터 부진과 부상으로 팀의 DTD의 큰 원인 중 하나가 되어 아쉬움을 남겼다. 그래도 시즌 막판 다시 좋은 타격을 보여주며 내년 시즌에 대한 기대를 남겼다.
하지만 2년차에는 허리 부상, 노쇠화, ABS 도입 등이 겹치며 말 그대로 허수아비 수준의 타격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결국 2군으로 강등되었고 이후로도 주전자리를 사실상 뺏겨버리며 악질 먹튀의 모습을 보였다. 박승욱에게 주전을 뺏긴 뒤로 유격수는 아예 포기했는지 1루수로 나오는 지경.
3년차에는 또 초반부터 부상을 당했고 또 워크에식 논란으로 팬들이 기대를 완전히 저버렸고 심지어 전민재, 이호준 같이 유격수 자원들이 나왔고 박승욱과 한태양이라는 내야 백업 자원들이 1군에서 자리를 잡은 상황이라 위의 둘과는 달리 아예 언급조차 되지 않는 상황이다. 3명 중 현재 평가가 가장 좋지 않다. 그나마 2군에만 머물러서 주급 삭감이 이뤄지는 건 그나마 나은 부분. 그러다 8월에 와서야 겨우 1군으로 콜업되어 경기에 나오기 시작했으며, 주로 지명타자로 나오며 간혹 1루수를 볼 때도 있다. 이마저도 전준우의 햄스트링 부상 이탈로 지명타자 자리가 비게 되자 콜업된 것이다. 하지만 그간의 한심한 성적과 베테랑으로서 부족한 워크에식 때문인지 김태형 감독에게 제대로 찍혀서 그냥이라는 이유로 2군으로 수납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4. 역사
4.1. 2023 시즌
- 유강남
| <rowcolor=#fff>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병살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 121 | 403 | 92 | 13 | 0 | 10 | 45 | 55 | 1 | 37 | 64 | 13 | 0.261 | 0.342 | 0.384 | 0.726 | 100.9 |
- 노진혁
| <rowcolor=#fff>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병살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 113 | 390 | 86 | 26 | 1 | 4 | 43 | 51 | 7 | 45 | 84 | 3 | 0.257 | 0.347 | 0.377 | 0.724 | 103.2 |
- 한현희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38 | 104 | 6 | 12 | 0 | 3 | 5.45 | 123 | 11 | 55 | 74 | 69 | 63 | 1.61 |
4.2. 2024 시즌
- 유강남
| <rowcolor=#fff>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병살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 52 | 155 | 26 | 3 | 0 | 5 | 11 | 20 | 0 | 9 | 25 | 4 | 0.191 | 0.275 | 0.324 | 0.599 | 48.7 |
- 노진혁
| <rowcolor=#fff>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병살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 73 | 157 | 30 | 6 | 0 | 2 | 13 | 13 | 0 | 15 | 39 | 1 | 0.219 | 0.297 | 0.307 | .604 | 51.0 |
- 한현희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57 | 76.1 | 5 | 3 | 0 | 8 | 5.19 | 92 | 7 | 34 | 70 | 45 | 44 | 1.52 |
4.3. 2025 시즌
- 유강남
| <rowcolor=#fff>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병살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 110 | 350 | 83 | 18 | 0 | 5 | 35 | 38 | 0 | 26 | 66 | 11 | 0.274 | 0.352 | 0.383 | 0.735 | 101.6 |
- 노진혁
| <rowcolor=#fff>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병살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 28 | 69 | 17 | 1 | 2 | 1 | 11 | 5 | 0 | 5 | 20 | 0 | 0.270 | 0.333 | 0.397 | .730 | 55.5 |
- 한현희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3 | 8.2 | 0 | 0 | 0 | 1 | 6.23 | 13 | 2 | 2 | 8 | 6 | 6 | 1.73 |
5. 여담
- 2024년 엘 꼴라시코로 묶이는 LG 트윈스에도 트리플 먹튀즈인 오김박이 등장해서 비교되고 있는데, 일단 전체적으로 LG의 FA 트리오가 최소한 유돈노보단 성적이 좋고[7],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인 오지환, 오랫동안 팀의 중심타선을 맡아온 김현수, 주전 중견수로 2023 시즌 통합 우승에 기여한 박해민과는 달리 이 3명은 딱히 롯데에서 뭔 업적을 쌓은 게 없다. 무엇보다도 오김박의 경우 다음 해인 2025년 모두 부활해 또 한 번의 통합 우승을 달성했기에 이제는 비교조차 실례다.
- 유강남과 같은 해에 FA로 시장에 나온 부산 출신 박동원은 유+노의 절반 금액인 65억에 LG로 이적해 첫 해부터 최다 홈런 포수가 되었고, 한국시리즈에서 2경기 연속 역전 투런을 때려내 소속팀을 29년 만에 우승시켜 버리면서 롯데팬을 더욱 비참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2025년에도 한국시리즈 4차전에 흐름을 뒤집는 홈런을 때려내며 LG의 우승에 기여하게 되면서 롯데를 더욱 비참하게 만들었다. 이럴 줄 알았으면 박동원을 데려오는 게 더 나았을 거라는 여론도 많다.[8]
- 세 선수 모두
공공의 적리코스포츠에이전시 소속이다.
- 유강남과 노진혁은 생일이 7월 15일로 같다.
6. 관련 문서
[1] 유강남과 노진혁은 4년 총액 중 3년치만 반영한 60억과 37.5억, 한현희는 옵션을 전부 제외한 18억으로만 계산했다.[2] 특히 노진혁은 3년간 sWAR이 1.98으로 WAR 1당 18.9억이다. 참고로 윤길현은 롯데에서의 4년간 sWAR이 음수고, 민병헌은 4.54로 WAR 1당 17.6억을 기록해 노진혁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다.[3] 쿠뎀그도 바르셀로나 역대 최악의 회장 바르토메우가 영입하며 국가의 제 2의 도시를 연고로 하는 팀을 완전히 망쳐버렸다는 공통점이 있다.[4] 참고로, 시그니엘이 언급된 이유는 시그니엘이 롯데 그룹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즉 롯데가 시그니엘을 팔아서 번 돈을 유돈노에게 생으로 날려먹은 셈이다.[5] 이들 중에서 한현희는 부산 출신의 로컬보이다.[6] 나름 장점이었던 구속이 통하지 않아 대부분의 공을 130 후반대로 낮추고 제구를 잡아가는 듯 하다.[7] 이 셋은 오지환 빼면 차라리 부상으로 빠져라 정도의 민심이지만, 셋 다 한 번에 빠져버리면 그건 또 그거대로 문제인 게 사실인지라 일단 경기에 제대로 나오지도 않는 유, 노보단 한참 낫다.[8] 물론 롯데 자이언츠가 비수도권 팀임을 감안했을 때, 롯데가 박동원을 영입하려고 했다면 65억보다는 더 많은 돈을 지출해야 했을지도 모른다.[9] 전 세계 스포츠판에서 가장 유명한 먹튀 트리오로 꼽힌다. 종목은 다르지만 유돈노의 원조격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