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3:25:06

카를 게프하르트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스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나치독일 피해자 만들기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친위대의 장성급 지휘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친위대(나치 독일)/국가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Reichsf%C3%BChrer-SS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국가지도자
Reichsführer-SS
]]
일반
친위대
율리우스 쉬렉 | 에어하르트 하이덴 | 하인리히 힘러 | 카를 항케
[[친위대(나치 독일)/최상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Oberst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상급대장
Oberst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쿠르트 달루게질서경찰 총수 | 프란츠 슈바르츠
무장
친위대
파울 하우서 | 요제프 디트리히기갑
[[친위대(나치 독일)/상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Ober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대장
Ober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P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루돌프 헤스 | 오토 디트리히 | 발터 부흐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P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마르틴 보어만 | 막스 아만 | 구스타프 아돌프 셸P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알베르트 포르스터 | 우도 폰 보이르슈P | 울리히 그라이펠트P | 율리우스 샤우프 | 빌헬름 슈투카르트 | 빌헬름 케플러 | 프리츠 자우켈 | 필리프 보울러 | 카를 필러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콘라트 헨라인 | 한스 라머스 | 헤르베르트 바케
무장
친위대
에른스트 칼텐브루너P | 고틀로프 베르거 | 아르투어 플렙스 |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P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P | 마티아스 클라인하이스터캄프 | 베르너 로렌츠P | 베노 마르틴P | 막시밀리안 폰 헤르프 | 발터 슈미트 | 발터 크뤼거 | 프리드리히 크뤼거P | 아우구스트 프랑크P | 아우구스트 하이스마이어P | 알프레트 뷔넨베르크질서경찰 총수 | 에르빈 뢰제너P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P | 에리히 폰 뎀 바흐-첼레프스키P | 오스발트 폴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P | 테오도어 아이케 | 파울 샤르페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루스커이 예뇌 | 펠릭스 슈타이너 | 프리드리히 예켈른P | 빌헬름 레디스P | 빌헬름 비트리히 | 빌헬름 코페P | 카를 구텐베르거P
카를 볼프 | 카를 오베르크P | 카를 폰 에버슈타인P | 카를 헤르만 프랑크P | 한스 라우터P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P | 한스 위트너 | 헤르베르트 오토 길레
[[슈츠슈타펠/계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중장
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하인리히 뮐러P | 아우구스트 폰 마이츠너P | 야코프 슈포렌베르크P | 오딜로 글로보츠닉P | 요한 라텐후버P | 빌헬름 그림P | 카를 클라우베르크
무장
친위대
그러시 요제프 | 게오르크 뢰르너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헤르만 페겔라인 | 헤르만 프리스 | 카를 겐츠켄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카를 프리드리히 그라프 폰 퓌클러-부르크하우스P |리하르트 글뤽스 | 베르너 오스텐도르프 | 위르겐 슈트로프P | 하인츠 라이네파르트P | 하인츠 라머딩 | 헬무트 폰 판비츠
특수
작전집단
아르투어 네베P | 오토 올렌도르프P
[[슈츠슈타펠/계급#여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Brigade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소장
Brigadeführer
]]
일반
친위대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요제프 뷜러 | 율리우스 쉬렉 | 발터 셸렌베르크P | 울리히 그라프 | 프란츠 요제프 후버P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P | 카를 마리아 빌리구트
무장
친위대
구스타프 롬바르트 | 레옹 드그렐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질베스터 슈타들러 | 오토 쿰 | 이반 코노노프 | 쿠르트 마이어 | 빌헬름 몽케 | 프리츠 비트 | 하인츠 하르멜
특수
작전집단
에리히 나우만P | 오토 라슈P |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P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P | 프란츠 직스 | 하인츠 요스트P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P : 질서경찰 계급 겸임
{{{#!wiki style="margin: -6px -5px; font-size: 0.8em; color: #FFF" ※ 둘러보기 }}}
}}}}}}}}} ||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급대장 OF-9
Generaloberst / General admiral
파일:Si_4a.png / 파일:130px-WMacht_Lw_OF9_GenOberst_1945.png / 파일:AA-2A.png
육군
상급대장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 게오르크 린데만 | 베르너 폰 프리치 | 루트비히 베크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프리드리히 프롬 | 하인츠 구데리안 |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쿠르트 하제 | 에리히 회프너 | 프란츠 할더 | 헤르만 호트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알프레트 요들 | 로타르 렌둘릭 | 에르하르트 라우스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요하네스 프리스너 |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에두아르트 디틀 | 카를 힐페르트 |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공군
상급대장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해군
상급대장
알프레트 잘베히터 | 오스카 쿠메츠 |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빌헬름 마르샬 |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병과대장 OF-8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Si_4b.png / 파일:200px-WMacht_Lw_OF8_GenWaGtg_h_1945.svg.png / 파일:AA-3A.png
육군
병과대장
보병대장
프란츠 마텐클로트 | 안톤 도슈틀러 |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 |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 테오도어 부세 | -한스 크렙스 | 빌헬름 부르크도르프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 디트리히 폰 콜티츠 | 카를 에두아르트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 | 프리드리히 올브리히트 | 요아힘 폰 코르츠플라이슈
명예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
기갑대장
핫소 폰 만토이펠 | 발터 벵크 | 빌헬름 리터 폰 토마 | 발터 네링 | 발터 크뤼거
포병대장
발터 폰 자이틀리츠-쿠르츠바흐 | 헬무트 바이틀링 | 에두아르트 바그너 | 에리히 마르크스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 프리츠 린데만
통신대장
에리히 펠기벨 | 알베르트 프라운
산악대장
카를 에글제어 | 프란츠 뵈메
공병대장
발터 쿤체
공군
병과대장
브루노 브로이어공수 | 오이겐 마인들공수 | 울리히 케슬러조종
해군
대장
빌헬름 카나리스 | 오토 칠리악스 | 귄터 뤼첸스
중장 OF-7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파일:Si_5a.png / 파일:1256px-WMacht_Lw_OF7_GenLt_h_1945.svg.png / 파일:AA-4A.png
육군
중장
한스 폰 보이네부르크-렝스펠트 |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 헬무트 폰 판비츠 | 한스 슈파이델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호이징거 |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 | 에밀리오 에스테반 인판테스
공군
중장
발터 베버 | 아돌프 갈란트 | 테오도어 오스터캄프
해군
중장
-
소장 OF-6
Generalmajor / Konteradmiral
파일:Si_6a.png / 파일:200px-WMacht_Lw_OF6_GenMaj01_h_1945.svg.png / 파일:AA-5A.png
육군
소장
발터 도른베르거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하인리히 크라이페 | 하인리히 폰 베어 | 한스 오스터 | 오토-에른스트 레머 | 루돌프-크리스토프 폰 게르스도르프
공군
소장
디트리히 펠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준장 계급은 독일 국방군 해군, 즉 크릭스마리네에만 존재.
※ 윗 첨자 : 전사
{{{#!wiki style="margin: -6px -5px; font-size: 0.8em; color:#FFF" ※ 둘러보기 }}}
}}}}}}}}}
파일:게프하르트.jpg
이름 Karl Franz Gebhard
카를 프란츠 게프하르트
출생 1897년 11월 23일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하그 인 오버바이에른
사망 1948년 6월 2일 (향년 50세)
연합군 점령하 독일 란츠베르크
복무 슈츠슈타펠 (1933년 ~ 1945년)
독일 국방군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무장친위대 중장 (집단지도자)
독일 국방군 육군 의사소장
1. 개요2. 생애
2.1. 출생과 성장2.2. 악마적 행각2.3. 체포2.4. 전범 재판과 최후
3.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카를 게프하르트.png
카를 프란츠 게프하르트 (Karl Franz Gebhardt)

나치 독일의 의학자. 친위대 집단지도자 및 무장친위대 중장이다.

하인리히 힘러(Heinrich Himmler)의 개인 주치의이자 라벤스브뤼크(Ravensbrück)와 아우슈비츠(Auschwitz) 강제 수용소에서 수감자들에게 인체 실험을 자행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전범 재판을 받고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2. 생애

2.1. 출생과 성장

바이에른 왕국의 하그 인 오버바이에른에서 의사였던 부친, 프란츠 게프하르트의 아들로 태어난 카를 게프하르트는 란츠프트의 고교를 통학했는데, 이 학교는 하인리히 힘러의 아버지인 게프하르트 힘러가 교장이어서 하인리히 힘러도 이 학교에 다녔고 1916년 졸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졸업 후 1916년 3월 1일에 바이에른 왕국 육군 제4 보병연대에 입대한 게프하르트는 1918년부터 1919년 3월까지 영국군의 포로가 되기도 했다. 전후 1920년까지 자유군단에 참가한 그는 루르 지방에서 공산주의자와 싸웠다. 1919년부터 뮌헨 대학 의학부에서 의학을 배워 1922년에 의사 시험에 합격해 1923년에 의사면허를 취득했다.

1924년에 뮌헨 대학에서 의학박사를 수여받은 게프하르트는 1926년에 호엔아샤우에서 의사양성소를 설립한 후 독일체육의학협회 스포츠 의사로도 활동했다. 나치당 정권이 탄생한 후인 1933년 5월 1일에 나치당에 입당한 게프하르트는 동시에 아돌프 히틀러가 지휘하던 친위대에 입대했다.
파일:external/ww2gravestone.com/IMG_20150627_0002-260x300.jpg
하인리히 힘러와 게프하르트

1933년부터 1934년까지 호엔아샤우의 제국의사시설 장관으로 일하며, 1935년부터 베를린의 샬롯텐부르크의 체육의학연구소 장관이 된 게프하르트는 1936년의 베를린 올림픽에서 의사협회장으로 일했다. 1937년에는 베를린 대학의 교수가 되었으며 레벤스보른의 일원이 된다. 그는 힘러가 관리한 의사들 중 한 명으로 선발되어 1938년 4월 20일에 친위대 전국지도자 주치의가 되어 힘러의 주치의가 되었다.
파일:슈툼페거, 콘티, 게프하르트.jpg
왼쪽부터 루트비히 슈툼페거[1], 레오나르도 콘티[2], 게프하르트.
게프하르트는 친위대의 의사들 중에서 가장 지위가 높았는데, 국제적으로도 지명도가 높은 의학자이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인 1939년 10월 26일부터 친위대의 병원이 된 호엔류헨 병원의 부장의사로 취임하여 부상당한 무장친위대 대원을 진료한 게프하르트는 1940년부터 제국체육연구소 의료부문 부장으로 일했다.
파일:게프하르트 중장.jpg
친위대 집단지도자 및 무장친위대 중장 게프하르트
1940년 5월 15일에 무장친위대 총 책임군의관(국군의무사령관에 해당하는 직책이다. 최종계급은 친위대 중장)에 오른 게프하르트는 독일의 패전시까지 이 지위를 유지했다. 1942년 5월 하순에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프라하에서 게릴라에게 습격당해 혼수상태에 빠졌다는 보고를 받은 힘러는 바로 게프하르트를 데리고 프라하로 이동해 하이드리히의 치료에 매달렸다. 그러나 게프하르트의 수술은 하이드리히를 살리지 못했다.

하이드리히의 죽음에는 게프하르트가 손상된 비장의 적출을 하지 않았다는 소문이 흘렀는데, 더욱이 내무상의 자리를 둘러싸고 라이벌이던 하이드리히를 위험시한 힘러가 게프하르트를 시켜 고의로 하이드리히를 죽게 했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히틀러의 주치의였던 테오도어 모렐 박사가 "내가 처방한 설파제(sulfa劑=술폰아미드)를 투여했다면 하이드리히를 살릴 수 있었다"라고 술회하여 암묵적으로 게프하르트를 비판했기에, 히틀러는 게프하르트를 신용하지 않아 그와의 면담을 거부하기도 했다. 테오도어 모렐이 특유의 약물남용 처방으로 악명높긴 했지만 이 처방은 정상적이었다.[3]

게다가 하이드리히가 죽고 난 후 알베르트 슈페어가 피로를 느끼고 무릎이 붓는 증상이 나타나자 카를 게프하르트는 알베르트 슈페어를 치료했는데, 이상하게도 치료를 하면 할수록 알베르트 슈페어의 건강 상태는 나빠지기 시작했다. 결국 도저히 안 되겠다고 판단한 알베르트 슈페어는 카를 게프하르트 대신에 프리드리히 코흐로 치료의사를 교체했는데, 그 당시 알베르트 슈페어는 거의 반죽음 상태에 이를 정도였다고 한다. 이에 대해 하인리히 힘러가 자신의 경쟁자 알베르트 슈페어를 제거하기 위해 게프하르트를 이용했다는 주장도 있다.

2.2. 악마적 행각

파일:external/forum.axishistory.com/file.php?id=228007&sid=ff90ff58e776d4442fae1afddf0fced2.png
희생자를 생체실험 중인 게프하르트

나치 독일의 생체실험
혐오사진 주의.

하이드리히의 죽음 이후 게프하르트가 제국 내에서 영향력을 잃자 하인리히 힘러는 "술폰아미드로 상처를 치료할 수 없다"는 것을 입증해보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했다.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치료를 위해 술폰아미드를 투여해야 한다는 테오도어 모렐의 권고를 게프하르트가 거부했고, 이로 인해 하이드리히는 패혈증으로 사망했다. 이렇게 된 이상 게프하르트 입장에서는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게 술폰아미드를 투여했어도 술폰아미드로는 상처를 치료할 수 없기 때문에 어차피 하이드리히는 감염으로 인해 죽었을 것이다. 고로 술폰아미드를 사용하지 않은 나(게프하르트 본인)는 잘못된 수술과 치료를 한 것이 아니며 라인하르트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 했다.'를 입증해서 자신의 손상된 명예를 회복해야 했다. 게프하르트가 어떤 이유로 하이드리히의 수술 및 치료에서 술폰아미드 사용을 거부한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힘러의 조언을 받아들인 게프하르트는 술폰아미드로 상처를 치료할 수 없다는 실험 성과를 얻기 위해 강제수용소에 수용된 수용인들의 신체를 이용한 외상 인체실험을 실시했다. 나치의 다른 생체실험들은 명목상으로나마 병이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라는 허울이라도 있었지만, 게프하르트의 술폰아미드 생체실험은 병을 치료할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한 실험이라 그나마도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이었다. 문제는 치료를 위한답시는 실험의 대상자들도 전부 다 죽거나 엄청난 후유증을 입어서 그게 그거였지만....

게프하르트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생체실험을 실시하기도 했지만 호엔류헨 병원에 가까운 장소에 있던 라펜스브뤼크 강제수용소의 수용인들을 주요 실험 재료로 사용했다.*

게프하르트는 자신의 조수였던 프리츠 에른스트 피셔(Fritz Ernst Fischer)와 함께 주로 소녀들을 해부하면서 근육과 신경, 뼈를 추출한 후 뼈와 근육의 신경을 재생시키거나 뼈를 이식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 실험은 외과 시술을 위해 특히 육군의 부상병들을 위하여 실험되었다. 한편 게프하르트는 다른 실험자들의 근육이나 뼈를 살아있는 채로 뜯어내는가 하면, 팔이나 다리와 같은 부위들을 잘라냈다. 그리고 이렇게 잘라낸 부위들을 다른 피해자들에게 강제로 이어 붙이는 미친 실험을 자행했다.

물론 이 실험이 성공할 리는 없었다. 실패이유는 생체실험을 당하는 사람들의 DNA(유전자)와 혈액형이 다르기 때문. 그리고 이식 거부반응(이식받은 조직이나 기관을 몸이 거부하는 반응)을 무시하고 생체실험을 했기 때문에 이식부위가 썩어들어가 당연히 실패할 수밖에 없다. 심지어 대부분의 실험에 마취를 하지 않고 진행했기 때문에 피실험자는 극심한 고통에 몸부림치다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허다했다.

당연히 실험자들은 영원히 장애가 되거나 몸의 일부가 절단돼서 평생동안 엄청난 고통을 겪게 되었지만 오히려 이게 천만다행 수준이었다. 이 실험에서 심한 경우, 아니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는 신체가 게프하르트에게 마취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잘라져서 온 몸이 갈가리 찢기게 되거나 혈액형이나 이식 거부반응 문제로 강제로 접합한 부위에서 상처가 썩어들어가거나 곪아버렸고, 세균 감염으로 인해서 사망하거나 잘라낸 부위에서 피가 너무 많이 나와서 과다출혈로 사망해갔다. 끔찍한 사실은 게프하르트는 이렇게 잘라낸 신체부위를 모아서 전시하는 미친 짓을 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때로는 이렇게 절개한 상처 부위의 곪아가는 상태를 보고 세균 배양액을 주입하기도 했는데, 이 상처를 치료한다는 목적으로 술폰아미드를 투여하는 술폰아미드 실험을 실시했다. 이 실험은 특별한 화학 물질인 술폰아미드의 효과를 실험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는데, 외부적으로는 술폰아미드가 육군에게 어떤 도움을 줄지를 목적으로 실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술폰아미드에 다른 화학물질을 첨가해 상처를 치료할 수 없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이였다.

게프하르트는 피해자에게 술폰아미드를 투여하기 전 다양한 박테리아와 연쇄상구균, 가스 괴저, 파상풍균을 실험대상자들에게 주입하였다. 또한 실험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유리조각, 철 조각, 나무 조각으로 실험 대상자들에게 상처를 낸 후, 또는 상처가 난 이후에도 이러한 물질들을 비비다가 상처가 난 곳에다가 술폰아미드를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측정했다. 당시 사진.

나중에는 아예 사람의 발이나 신체를 절단시킨 다음 근육이나 장기를 빼내고 그곳에다가 술폰아미드를 투여하는 극악무도한 실험을 자행하기까지 했다. 당시 이 실험에 동원되었던 사람이 뉘른베르크 의사 재판에 나와서 증언했는데 그녀는 엄청난 고통을 겪으면서 실험을 당했고, 다음 날 자신이 정신을 차렸을 때 자신의 신체를 꿰멘 곳에서 이상한 약물이 줄줄 흘러나왔다고 증언했다. #

게프하르트는 그 외에도 다른 다양한 약물들도 사용했는데, 대표적으로 페릿 가스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기도 했다. 페릿 가스란 제1차 세계 대전 때 사용되던 독가스의 일종으로 전장에서 이 독가스가 사용되었을 때 어떻게 방어해야 할지를 위한 연구였다. 이 실험에서도 술폰아미드 실험과 마찬가지로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험 대상자들의 몸에 못, 톱밥, 철 조각 등의 다양한 물질들로 몸을 비벼 일부러 상처를 낸 후에 독가스를 상처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이 실험을 그의 조수였던 헤르타 오버호이저(Herta Oberheuser, 1912~1978)에게 명령하여 생체실험을 하게 했다. 그리고 이렇게 상처들에 독가스를 투입한 결과 피해자들은 상처 부위가 썩어들어가며 처참하게 사망했다.

오버호이저는 이런 생체실험 연관으로 유일하게 법정에 선 여성이다. 10년형을 살다가 나왔지만 적어도 조수로서 하라는 대로 했다는 점으로 정상참작을 받았고, 석방 이후 의사로 살다가 제 명을 누리고 숨을 거뒀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1942년 8월에 라펜스뷔크 강제수용소의 폴란드인 처녀 75명(일설에는 500명 이상)을 이용한 인체실험에서 어떤 종류의 약이 총탄으로 인한 감염에 효과적인가를 입증하는 데 성공하여, 1943년 5월에 군사의학회 총회에서 이 실험 결과를 발표해 히틀러가 그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공적으로 게프하르트는 히틀러가 직접 수여하는 전공 십자훈장을 받았다. 게다가 그의 조수 헤르타 오버호이저는 아이들에게 이페린이나 기름을 강제로 투입시키거나 심지어 아이를 산채로 끓는 기름에 넣어 죽게 만드는 천인공노할 만행을 저질렀다.

독일의 패전 직전에 자살한 독일 적십자사 부총재인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를 대신하여 단기간 이 자리를 맡았던 게프하르트는 패전이 다가오자 책임 추궁을 두려워했다. 때문에 자신의 인체실험 대상수용인을 모두 처형하라고 명령해 증거인멸을 꾀했고, 자신이 정리해 놓았던 여러 자료들을 뒤져서 파기해 버림으로써 증거인멸을 꾀했다.

게프하르트의 이런 실험은 하이드리히 죽음 때문에 자신의 치료방식이 틀리지 않았던 것을 입증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어떻게 보면 요제프 멩겔레이시이 시로의 실험보다도 더 쓸모없는 실험이었다. 물론 쓸모 있는 실험이라 하더라도 위의 일이 용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게프하르트는 생체실험을 하던 친위대의 의사들 중에서도 가장 높은 자리에 있던 의사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 외에도 나치의 여러가지 다양한 생체실험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을 수 있고, 게프하르트가 현재까지 저질렀다고 드러난 여러 생체실험들이 일부에 지나지 않느냐는 주장도 있다.

2.3. 체포

1945년 4월 말, 히틀러가 결국 총통벙커에서 자살하고, 그를 대신해 국가수상이 된 파울 요제프 괴벨스, 마그다 괴벨스 부부 역시 모든 것을 포기하고 자녀들을 모두 죽인 후 자신들도 자살하려고 했다. 이에 카를 게프하르트는 괴벨스에게 자신의 약물로 아이들을 편안하게 사망하게 해주겠다며 그에게 접근했고 실제로 실행하려고 했지만, 괴벨스는 현명하게도 그 미친인간의 말을 씹고 청산가리를 사용했다.

나치가 패망하고 1945년 5월에 하인리히 힘러와 함께 도망친 나치당원 중 하나였던 게프하르트는 하인리히 힘러와 함께 적발되어 영국군에게 검거되었고 결국 힘러와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 이때까지 영국군은 게프하르트가 어떤 인간인지 몰랐다고 한다.

2.4. 전범 재판과 최후

파일:external/ww2gravestone.com/tumblr_lq4uc0NTas1qbzq4yo1_500.jpg
전범 재판장에서의 게프하르트
파일:external/ww2gravestone.com/gebhardt_2.jpg
처형되는 게프하르트

전후 미군이 개최한 뉘른베르크 연속재판에서 의사재판의 피고인으로 출두한 게프하르트는 1947년 8월 20일 생체 실험을 실행하고 계획했던 것으로 기소되었고, 전쟁범죄와 인도주의에 반한 죄로 사형 판결을 받았지만 끝까지 자신의 죄를 후회하지 않았다.

판결 이후 게프하르트는 카를 브란트발데마르 호펜, 루돌프 브란트, 빅토어 브라크 등등의 매드 사이언티스트와 사이좋게 란츠베르크 형무소로 끌려갔다. 재판 이후 카를 브란트와 카를 게프하르트 2명은 사형 집행 전날까지 얼굴을 제외하고 동료 수감자와 연합군 헌병(군사경찰)들에게 얻어터진다음(파울 하우서 문서의 종전 부분 참조.) 1948년 6월 2일에 란츠베르크 형무소에서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3. 기타



[1] 히틀러의 주치의[2] 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 및 국가보건지도자 역임[3] 현대 외과의사들도 저런 외상 환자를 치료할 때는 항생제를 반드시 투여한다. 언제 어떤 식으로 감염이 이뤄졌는지 모르기 때문에 항생제를 쓰지 않을 경우 잘못하면 패혈증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 또한 모렐이 술폰아미드를 쓰자고 한 이유는 독일에서 구하기 가장 쉬운 항생제여서였다.[4] 1959년작 흑백영화를 리메이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