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4:16:07

프리드리히 횔덜린

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대 초기 희랍 문학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희랍 희곡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헬레니즘 문학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로마 문학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중세 문학 영국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이탈리아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독일/게르만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기타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영국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프랑스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스페인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고전주의 이탈리아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영국 새뮤얼 존슨 · 조너선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알렉산더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기타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낭만​주의 독일 낭만주의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영국 낭만주의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미국 낭만주의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프랑스 낭만주의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기타 낭만주의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사실주의 발자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마크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자연주의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상징주의/유미주의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근대극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근현대 문학 모더니즘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표현주의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나보코프
사회주의 리얼리즘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하인리히 만
신시(新詩)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실존주의/부조리극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포스트모더니즘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사변소설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마술적 사실주의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기타 근현대 문학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
<colbgcolor=#000000> 프리드리히 횔덜린
Friedrich Hölderlin
<nopad>파일:Johann Christian Friedrich Hölderlin.jpg
본명 요한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횔덜린
Johann Christian Friedrich Hölderlin
출생 1770년 3월 20일
신성 로마 제국 뷔르템베르크 공국 라우펜[1]
사망 1843년 6월 7일 (향년 73세)
뷔르템베르크 왕국 튀빙겐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뷔르템베르크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뷔르템베르크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뷔르템베르크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
직업 시인, 작가, 철학자
서명
파일:프리드리히 횔덜린 서명.svg

1. 개요2. 생애3. 어록4. 주요 작품

1. 개요

시가 어떻게 탄생하는지, 왜 시가 시원으로 향하는 언어인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시인으로서 시인 중의 시인.

마르틴 하이데거
독일시인.

독일 문학의 정점이자 현대시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생전에는 괴테실러의 그늘에 가려져 인정받지 못했으며 반평생을 가난과 정신 착란에 시달리며 불운한 삶을 살았다. 그러나 20세기 초 그의 시들이 발굴되며 프리드리히 니체, 라이너 마리아 릴케, 헤르만 헤세, 마르틴 하이데거, 발터 벤야민, 모리스 블랑쇼를 위시한 후대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2. 생애

1770년 슈바벤 지방 네카 강변의 작은 마을 라우펜에서 수도원을 담당했던 관리 하인리히 횔덜린의 아들로 태어났다. 2살 때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세상을 떠나자, 어머니는 뉘르팅겐 시의 시장[3]과 재혼하며 뉘르팅겐에서 부유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1779년 독감으로 인한 폐렴으로 새아버지마저 사망하자, 어머니는 절망과 비탄에 몸부림쳤고, 그걸 지켜보던 어린 횔덜린은 "나의 어머니가 그 짐을 질 수 있도록 도와주옵소서"라고 신께 기도할만큼 불안과 슬픔의 시기가 찾아왔다. 다행히도 두 명의 남편은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지 않을 만큼의 유산을 남겼으며 이 덕분에 부족하지 않은 유년시절을 보낼 수 있었으나, 횔덜린은 이때부터 자주 비감에 젖는 자신의 성격이 싹트기 시작했음을 훗날 밝혔다.

1788년, 수도원 학교를 졸업하고 개신교 기숙사 장학생으로 튀빙겐 신학교에 진학했다. 그가 성직자가 되길 원하던 어머니의 바람과는 달리 헤겔, 셸링 등과 교류하며 임마누엘 칸트의 비판철학과 고대 그리스 고전에 심취했다. 이 무렵 발생한 프랑스 대혁명을 지켜보며 혁명의 이상에 고취되기도 했지만 급진파인 자코뱅파의 공포 정치에는 반대한다. 석사학위를 따낸 후에는 성직자의 길을 걷는 대신 독일 각지를 떠돌며 작품 활동에 매진했다. 1793년, 횔덜린은 당시 유명한 작가였던 프리드리히 실러를 만나 얘기를 나눴다. 이를 계기로 이후 실러는 횔덜린에게 가정교사직을 소개시켜주고 자신의 간행물에 그의 작품들을 실어주는 등 여러 방면으로 횔덜린을 지원해줬다.[4] 또한 횔덜린은 실러를 통해 괴테, 피히테, 노발리스와 같은 대문호들과 만나 영향을 받으면서 그의 문학적 소양을 더 성숙시키는데 매진했다. 이때 그의 유일한 소설인 휘페리온을 쓰기 시작한다.

그러나 1795년, 횔덜린은 프랑크푸르트의 부유한 은행가의 집에 가정교사로 들어가는데, 하필 그곳 안주인 주제테 공타르와 사랑에 빠져버렸다. 주제테는 온화하고 감수성이 넘치는 인물이었는데, 그녀는 그녀와 닮은 면이 많은 횔덜린의 심성에 끌려 그와 교제를 나누게 된 것이다. 횔덜린은 그녀를 '디오티마'라 부르고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는 등 깊은 애정을 표현했다. 허나 그들의 밀회는 발각되었고 횔덜린은 곧 가정교사직에서 쫒겨났다. 이때부터 횔덜린은 가난과 이별이라는 이중고를 겪으면서 정신착란의 징후를 보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럴수록 그의 창작욕은 불타올라 수많은 작품을 한순간에 써나갔다. 1800년에서 1802년까지 2년이라는 짧은 시기에 신이 축복이라도 내린듯 그의 대표작들이 쏟아졌으며, 이시기를 횔덜린 문학의 절정기라 부른다.

1802년, 주제테가 병으로 사망하자 그의 정신착란 증세는 더욱 심각해졌다. 결국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가족과 친구들의 도움을 받으며 요양을 했지만, 상태는 잠시 나아지는듯 싶다가도 증세는 점점더 악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신분열증세를 보이는 와중에서도 그는 자신을 돌보지 않고 주제테의 죽음을 잊기위해 미친듯이 일에 몰두했다. 송시들을 쓰고 그리스 비극들을 완역해서 출판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벌였다. 그럼에도 정신착란 때문에 정상적인 일을 하지 못해 먹고살기가 힘들어지자, 이 무렵 친구가 된 이자크 폰 싱클레어가 그에게 도서관 사서직을 마련해주며 겨우겨우 생계를 이어나갔다. 그러나 1805년, 그러던 싱클레어마저 반체제활동을 했다는 무고를 당하며 구속되었고, 심지어 횔덜린 역시 공모자로 조사받게 되었다. 그리고 횔덜린은 조사받는 도중에 정신착란 증세를 들켜서, 튀빙겐의 정신병원에 강제로 이송되었다. 이때의 이송 광경을 보고 귀족부인 카로리네는 자신의 딸에게 이렇게 적어 보냈다.
불쌍한 횔덜린이 오늘 아침 그의 가족에게 돌려보내려고 이송되었단다. 그는 마차에서 뛰어내리려고 온 힘을 다했지만, 그를 책임진 사람들이 그를 안으로 밀어 넣었어. 횔덜린은 소리 내어 외치고 무장된 사람들이 그를 넘어뜨리고 있었다. 그는 다시 맞서 싸웠고, 엄청나게 긴 그의 손톱으로 그 사람을 할퀴어서 그의 얼굴은 온통 피투성이가 되었단다. [5]

8개월만에 퇴원이 결정났지만 횔덜린은 더이상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했다. 이 때 그의 소설 『휘페리온』을 감명깊게 읽은 목수 에른스트 치머가 "그렇게 아름답고 찬란한 영혼이 파멸해야 한다는 것을 몹시 애석해" 하면서 후견인을 자처하고는 횔덜린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왔다. 치머 집안의 친절한 보살핌 덕에 횔덜린은 의사로부터 3년을 못 넘길 것이라는 진단과는 달리 36년이라는 세월을 더 보낸다.[6] 그리고 1843년 6월 7일 밤 11시, 횔덜린은 평온하게 세상을 떠났다. 장례식은 6월 10일 튀빙겐 공동묘지에서 거행되었으며, 백여명의 신학교 학생들이 장례 행렬을 뒤따랐다. 그의 의붓동생 카를이 세운 묘비에는, 그의 시 《운명》의 마지막 연 첫 4행이 새겨져 있다.
폭풍 중 가장 성스러운 폭풍 가운데
나의 감옥 벽 무너져 내리기를,
또한 내 영혼 한층 찬란하게
그리고 한층 자유롭게 미지의 세계로 물결쳐 가기를!

3. 어록

궁핍한 시대에 시인은 무엇을 위하여 사는가. [7]
지구상에 지옥이 만들어졌던 것은 항상 인간이 자신들의 천국을 만들려고 할 때였다. [8]
희망이 없다면 인생은 무엇이란 말입니까? [9]
거기, 세상의 한 봄에서 다른 봄까지, 마치 제비처럼 날아다니던 우리, 떠돌아다니던 우리. [10]
벽은 서 있다. 말 없이 그리고 차갑게, 바람 속 깃발들은 쇳소릴 내고. [11]
삶 속에서 예술을 배우고, 예술 속에서 삶을 배워라. [12]
그러나 위험 있는 곳에서 구원 또한 생겨나리니. [13]

4. 주요 작품


[1] 라우펜(Lauffen): 독일 서남부 슈투트가르트 북쪽, 네카 강변의 작은 마을이다.[2] 본래 공국이었으나 1806년 왕국으로 승격했다. 뷔르템베르크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구성국이었으나 나폴레옹 전쟁 중에 제국이 해체되었고 전쟁이 끝난 1815년에는 독일 연방의 구성국이 되었다.[3] 요한 크리스토프 고크(Johann Christoph Gock): 죽은 횔덜린의 아버지와 절친한 친구이자 포도주상 동업자이기도 했다.[4] 실러의 소개로 횔덜린은 샤를로테 폰 칼프 집안의 가정교사로 들어가는데 샤를로테가 독일에 체류하던 중이라 샤를로테와 가까이 지내던 22세의 과부 빌헬미네 키름스가 여러 일을 처리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키름스는 이듬해 딸을 낳고 사망하는데 그 아버지가 횔덜린이라는 설이 있다.[5] 1806년 9월 11일, 가족의 동의하에 정신병원으로 이송되는 장면. 《궁핍한 시대의 시인, 횔덜린》 장영태 저. p.496 에 나온다.[6] 현재 치머의 집에는 횔덜린이 거주하던 방과 각종 기록물이 보존되어 있다.[7] Weiß ich nicht, und wozu Dichter in dürftiger Zeit. (Brot und Wein)[8] Immerhin hat das den Staat zur Hölle gemacht, daß ihn der Mensch zu seinem Himmel machen wollte. (Hyperion)[9] Was wäre das Leben ohne Hoffnung? (Hyperion)[10] Da flogen wir, da wanderten wir, wie Schwalben, von einem Frühling der Welt zum andern. (Hyperion)[11] Die Mauern stehn / Sprachlos und kalt, im Winde / Klirren die Fahnen. (Hälfte des Lebens)[12] Lern im Leben die Kunst, im Kunstwerk lerne das Leben. (Epigramm)[13] Wo aber Gefahr ist, wächst / das Rettende auch. (Patmos)[14] 프랑스의 영화 감독 듀오인 스트로브-위예가 두 차례 영화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