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0:17:56

시리아

시리아 아랍 공화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7a3b><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미탄니 · 아람 · 신바빌로니아 · 셀레우코스 제국 · 팔미라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시리아 아랍 왕국 · 시리아-레바논 · 아랍 연합 공화국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바트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자격정지
경제 경제 전반 · 시리아 파운드
국방 시리아군 ·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아람어 ·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가톨릭 · 요리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제노비아 · 이븐 타이미야 · 이븐 카시르 · 라시드 리다 · 미셸 아플라크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샤르 알 아사드 · 수헤일 알 하산 · 마헤르 알아사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골란 고원 · 로자바 · 레반트
민족 시리아인(아르메니아계) · 시리아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멕시코인 · 아시리아인
기타 자유 시리아군
}}}}}}}}} ||
시리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상고대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기독교화 / vs이란
이슬람 제국
이집트 vs 이라크
대십자군 전선
대몽골 전선
근대
오스만 튀르크 제국
[[알리 베이 알 카비르|
알 카비르
]] 제7차 러시아 튀르크 전쟁
오스만 제국
[[이집트 속주|
알리 왕조
]]
현대
내전
}}}}}}}}}}}}

파일:westernasia.png서아시아의 국가와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그리스[1] 튀르키예[A] 압하지야[B] 남오세티야[B] 조지아[B]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키프로스[A] 북키프로스[A] 아크로티리 데켈리아파일:영국 원형.png[A] 아르메니아[B] 아제르바이잔[B]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쿠웨이트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집트[11]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
[1]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A] 튀르키예와 키프로스 섬은 남유럽으로도 분류된다.[B] 캅카스중앙아시아,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며, 대부분 많은 서아시아 국가들과 차이점이 다른 지역으로도 분류된다.[B] [B] [A] [A] [A] [B] [B] [11]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

셈족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북서셈족(서북셈족) 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남서셈족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예멘 흑인(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 무어인(하라틴인)
남셈족 사바인(추정)**†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마간(추정)**†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 동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 남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해당 지리적 인종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언어 및 문화
언어 셈어파
사상 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아랍 연맹|
파일:아랍 연맹 휘장.svg
아랍 연맹
جامعة الدول العربية | League of Arab State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233><colcolor=#fff>회원국
참관국}}}}}}}}}

[[이슬람 협력기구|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정회원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알제리차드이집트기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파일:이란 국기.svg파일:요르단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파일:레바논 국기.svg
인도네시아이란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
파일:리비아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리비아말레이시아말리모리타니모로코
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
니제르파키스탄팔레스타인사우디아라비아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예멘 국기.svg
소말리아수단튀니지튀르키예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파일:오만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바레인오만카타르아랍에미리트시에라리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
방글라데시가봉감비아기니비사우우간다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카메룬코모로이라크몰디브
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베냉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지부티베냉브루나이나이지리아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알바니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모잠비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수리남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수리남토고가이아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회원자격 정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참관국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중앙아프리카 공화국북키프로스태국러시아
탈퇴국
파일:잔지바르 기.svg
잔지바르
회원 가입 시도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벨라루스브라질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인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네팔 국기.svg
인도케냐라이베리아모리셔스네팔
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필리핀세르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스리랑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정회원국
파일:러시아 국기.svg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러시아벨라루스아르메니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참관국
파일:몰도바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쿠바 국기.svg
몰도바우즈베키스탄쿠바
자유무역지대
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이란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
베트남세르비아싱가포르이란중국
유력 가입 후보국
파일:몽골 국기.svg파일:시리아 국기.svg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몽골시리아타지키스탄}}}}}}}}}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colbgcolor=#002664> 연합국
주축 세력
· · ·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레지스탕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제2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폴란드 지하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임시정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필리핀 자치령+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령 팔레스타인+(이슈브 & 트란스요르단)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합중국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연합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 알바니아 민주정부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 파일:베트남 민주 공화국 국기(1945-1955).svg 베트민
추축국
주축 세력
· ·
유럽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프랑스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국+ ·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 파일:이탈리아령 알바니아 국기.svg 이탈리아령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43-1944).svg 독일령 알바니아+ ·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독립국+ · 핀도스 공국+ · 파일:800px-Flag_of_Montenegro_(1905–1918,_1941–1944).svg.pn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 파일:Flag_of_the_Slovene_Home_Guard.png 류블랴나 주+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svg 캄보디아 왕국+ ·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추축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 전쟁 도중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 괴뢰국·정부 / 위성국 / 속령
# : 간접적 지원 / 지원 여부 논란 있음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금지 지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bottom: -20px"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국가
이 국가들은 영주(永住), 취재ㆍ보도, 긴급한 인도적 사유, 공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목적의 여행으로서 외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 받아야 예외적 여권사용 허가를 받고 방문ㆍ체류를 허가할 수 있다.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1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1
2004.4.9 ~
2025.2.28
2006.12.29 ~
2025.2.28
2007.7.21 ~
2025.2.28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2011.6.28 ~
2025.2.28
2011.8.20 ~
2025.2.28
2014.8.4 ~
2025.2.28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2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3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2022.2.13 ~
2025.2.28
2023.4.29 ~
2025.2.28
2024.5.1 ~
2025.2.28
}}}}}}
{{{#!wiki style="margin-bottom: -20px"
일부 지역이 여행금지로 지정된 국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4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5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6
2015.12.1 ~
2025.2.28
2022.3.8 ~
2025.2.28
2022.3.8 ~
2025.2.28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7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9
2023.4.15 ~
2025.2.28
2023.4.15 ~
2025.2.28
2023.8.1 ~
2025.2.28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10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11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2
2023.11.25 ~
2025.2.28
2024.2.1 ~
2025.2.28
2024.8.6 ~
2025.2.28
}}}
{{{#!wiki style="margin-bottom: -20px"
여권법 이외의 법률로 여행이 금지된 지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
《국가보안법》·《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참고 《남극활동 및 환경보호에 관한 법률》 참고 }}}
{{{#!wiki style="margin-bottom: -0px"
윗첨자1: 2007. 8. 7 부터 입국시 처벌 도입.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

시리아[1]
시리아 아랍 공화국[2]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 Syrian Arab Republic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장.svg
국기 국장
وحدة ، حرية ، اشتراكية
연합, 자유, 사회주의[3]
상징
국가 조국의 파수꾼
국화 재스민[4]
국조 [5]
역사
1920년 3월 8일 시리아 아랍 왕국 선포
1924년 12월 1일 프랑스의 식민지로 합병
1946년 4월 17일 독립
1961년 9월 28일 아랍 연합 공화국 탈퇴
1963년 3월 8일 바트당의 쿠데타
2011년 3월 15일 시리아 내전 발발
2012년 2월 27일 현행 헌법 제정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면적 185,180km² / 세계 87위
수도/최대 도시 다마스쿠스(دِمَشقُ / Damascus)
내수면 비율 1.1%
접경국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요르단|]][[틀:국기|]][[틀:국기|]]

[[이라크|]][[틀:국기|]][[틀:국기|]]

[[레바논|]][[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이스라엘]
}}}}}}}}}
인문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총인구 24,348,053명[7](2024년)[8] | 세계 57위
인구밀도 118.3명/km²(2020년) / 세계 70위
민족 구성 아랍인 90.3%, 쿠르드족 6.3%, 기타 3.4%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2.70명(2020년)[9] CIA 자료 2.80명(2022년)[10]
HDI 0.576(2019년) / 세계 151위
공용 언어 아랍어
공용 문자 아랍 문자
종교 국교 국교없음[11]
분포 이슬람 87%(수니파 84%, 시아파 3%), 그리스도교 10% (정교회 8%, 개신교 2%), 드루즈 3%
군대 시리아군 }}}}}}}}}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4개
60개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체제 이원집정부제(사실상 대통령제), 전체주의, 일당제, 군사 정권[12], 과도 정부[13]
민주주의 지수 1.43점, 권위주의 (2023년)
(167개국 중 163위)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
(Bashar al-Assad / بشار الأسد)
부통령 나자 알아타르
(Najah al-Attar / نجاح العطار)
총리 후세인 아르누스
(Hussein Arnous / حسين عرنوس)
인민회의 의장[14] 함무다 사바흐
(Hammouda Sabbagh / حمودة الصباغ)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체제 시장경제
GDP 명목 GDP $155억(2020년) / 세계 167위
GDP(PPP) $502억 8,000만(2015년) / 세계 162위
1인당 GDP 명목 GDP 1,331달러[15]
GDP(PPP) 5,040달러
국부 $210억 / 세계 120위(2019년)
통화 시리아 파운드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간대 UTC+3:00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 미수교[16]
북한 : 1966년 7월 25일[17]
무비자 입국 15일간 도착비자 (USD 33) (여행금지 국가)
주한대사관 6 Chome-19-45 Akasaka, Minato City, Tokyo 107-0052[겸임] }}}}}}}}}
ccTLD
.sy, سوريا.
국가 코드
760, SYR, SY
국제전화 코드
+963
여행경보
여행금지 전 지역[19]
위치
파일:시리아 위치.svg

1. 개요2. 상세3. 상징4. 자연5. 역사6. 정치7. 군사8. 경제9. 문화10. 외교11. 출신 인물12. 교육13. 관광 정보14. 여담

[clearfix]

1. 개요

중동에 위치한 국가. 정식 국명은 시리아 아랍 공화국(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Al-Jumhūriyyah Al-‘Arabīyah As-Sūriyyah). 친서방 반정부 단체 시리아 국민연합도 같은 국명을 사용한다. 아랍어로는 수리야(سُورِيَا / sūriyā 또는 سُورِيَّة‎ / sūriyya)라는 발음으로 불린다.[20] 시리아(Syria)는 라틴어 표기이다.[21]

국명은 아시리아 제국에서 유래했는데 그 의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면적 185,180km², 인구 약 2200만 명 내외였으나 2011년 내전 발발 이후 인구 유출이 많기 때문에 이후 출생자를 합해 2000만 명 미만으로 추산한다. 이 중에 거주지가 확실한 사람은 인구의 50% 정도로, 이들은 비교적 상황이 안정적인 수도 다마스쿠스라타키아, 타르투스 등 서부 지중해 해안지역에서 산다.

2. 상세

2011년 시리아 내전이 발발하기 전까지는 이스라엘과 아랍국가 간의 중동전쟁에서 아랍군 진영으로 이스라엘전쟁을 벌였던 나라 중 하나 또는 이라크요르단, 레바논, 튀르키예 사이에 끼어 있는 여러 아랍 국가들 중 하나로만 기억되던 곳이었지만, 2011년에 내전이 일어나면서 언론 매스컴 등의 영향으로 정부군과 반군, IS와의 잔혹한 전쟁과 독재자 아사드와 바트당의 독재 정치 등으로 인한 혼란이 알려지게 되면서 사담 후세인의 독재 통치, 걸프전쟁, 이라크 전쟁 등 혼란과 내홍을 겪었던 이웃 아랍 국가인 이라크와 함께 일반 대중들의 인지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북쪽에는 튀르키예, 동쪽 - 동남쪽에는 이라크, 남쪽 - 서남쪽에는 요르단, 서남쪽에 이스라엘, 서쪽에 레바논과 육지로 연결되어 있고 서쪽에 지중해와도 접해 있어서 지중해를 건너면 키프로스남유럽 국가들이 나온다.

수도다마스쿠스.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가운데 하나로 유명하며 기독교 신약 성경에서 사도 바울로가 회심했다는 도시이기도 하다.

인기있는 애완동물인 골든햄스터가 이 나라에서 포획되어 이후 실험, 애완용으로 널리 길러지게 된다.

어쌔신이 탄생한 곳이 바로 시리아다. 시리아 암살단의 근거지인 마시아프 성은 아직도 남아있으며 어쌔신 크리드에 등장하며 매우 유명해졌다.

레바논과 더불어 아랍권에서 미인이 많은 나라라는 이미지가 있는데[22] 오스만 제국 시절에 파디샤(황제)들이 시리아 여인들을 데려왔을 정도였다고, 생긴 건 남유럽인들과 비슷하게 생긴 편이다. 애초에 북아프리카와 레반트 지역의 아랍인들은 이탈리아인, 스페인인 등 남유럽 지역의 라틴계와 그리스인, 터키인과 외형적으로 상당히 흡사한 편이다.

참고
그리고 생각 외로 중남미 국가들과 관계가 깊다. 2016 리우 올림픽 개막식을 보면 알 수 있지만 19세기 중순부터 20세기 초까지 이민붐이 일어서 상당수 시리아인들이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등 중남미 국가로 대거 이주했으며[23] 외형상으로는 남유럽 백인들과 차이점이 적기 때문에 나름대로 주류에 진입하는 경우도 많아서 아르헨티나에서 대통령도 배출했을 정도이다(1989~99년 제 50대 대통령 카를로스 메넴[24]). 그리고 마우리시오 마크리(2015~2019) 전 대통령의 영부인 율리아나 아와다도 레바논-시리아계다.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지에 아랍계 주민들이 많이 살고있다는 건 잘 알려져있지만 의외로 중남미에서 주거하는 아랍계 주민들이 상당하다는 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다.

미국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적었기에 미국과의 관계는 그리 깊지는 않지만, 그 유명한 스티브 잡스가 시리아계다. 다만 스티브 잡스는 아주 어렸을 때 미국인 가정으로 입양되었기 때문에 자기가 특별히 시리아계라는 걸 인식하고 다니지는 않았다. 여하튼 그 이후로는 이민은 비교적 적었지만 간헐적으로 학살사건이나 독재등의 문제로 이웃 아랍국가로 이민가는 경우는 있었으며 2010년대 와서는 내전이 벌어져서 튀르키예나 레바논, 이라크,[25] 요르단, 유럽, 캐나다 등 해외로 이민이 급증하여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시기를 훨씬 넘어서는 이민붐이 불고있다. 그렇지만 나름대로 사회에 정착한 중남미에서의 경우와는 다르게 유럽권에서는 쾰른 집단 성폭행 사건 등의 여파로 여러모로 차별을 당하거나 비하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슬람권 국가에 정착했다 해도 사정이 좋은 건 아니라서 레바논이나 튀르키예, 요르단 등지에서도 저임금 노동자 취급받으면서 거지나 범죄자, 테러리스트로 비하되는 경우가 많다.[26]

3. 상징

3.1.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아/국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아/국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국가

4. 자연

중동에 위치한 사막 국가라고[27] 생각하고 입국했다가 꽤 놀라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시리아 사막과 같이 사막성 기후와 지형을 띠는 지역도 있지만 은근히 남유럽 분위기가 나는 초원 지대부터 시작해 이 내리는 지역도 있고 지중해와 맞닿는 곳도 풍광이 매우 아름답고 곡창지대도 풍요로운 편이다. 실제로 한국을 방문한 시리아 여자 대학교수가 한국에 눈이 오자 일절 신기해하지도 않았으며 시리아에도 눈이 오냐는 신문 기자에게 내 고향은 눈이 자주 와서 신기해할 것도 없습니다라고 답변한 적도 있다.

시리아의 북부는 남한과 비슷한 위도(수도인 다마스쿠스가 33°)에 위치한다. 남부는 제주도와 위도가 비슷하다. 위도만으로는 남한과 꽤 많이 겹친다. 그러나 대륙의 서부에 위치하므로 대륙의 동부에 위치하여 시베리아 기단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한국에 비해 기온은 넘사벽으로 높다. 해안 지방은 지중해성 기후 지대며, 내륙 지방은 스텝 기후와 사막 기후 지대에 속한다. 전반적으로 겨울철은 대륙 동부에 비해 기온이 상당히 높아 크게 춥지는 않고 강수량이 많은 편이고, 여름철은 사막의 영향으로 기온이 많이 올라가나 강수량이 매우 적어 건조하다.

북부에 있는 알레포대전광역시와 비슷한 위도[28]에 위치하나, 겨울철 평균기온은 제주도와 비슷하다.

7~8월의 평균 최고기온은 35°C 이상으로 대구광역시보다 훨씬 높다. 대구의 7~8월 평균 최고기온은 30°C ~ 31°C 내외다. 수도인 다마스쿠스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시와 거의 비슷한 위도(정확하게는 다마스쿠스의 위도가 아주 약간 더 높다.)에 위치하고 해발 약 700m의 고지대에 있으나 제주도보다 기온이 훨씬 높다. 다마스쿠스의 겨울 평균기온은 제주도보다 약간 더 높고, 여름철에는 건조하여 최저기온은 낮지만 평균 최고기온은 35°C 이상으로 상당히 덥다.

그런데 시리아의 위도가 대한민국과 비슷할 정도로 높은 편이기 때문에 북쪽의 찬 공기가 종종 내려오기도 하며 이럴 때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고 때때로 까지 내리는 것이다. 그렇지만 다마스쿠스나 알레포에 눈이 자주 오는 것은 아니다. 매년 오는 것은 아니며, 수년에 한차례씩 온다. 다만 지중해성 기후에 가까워 겨울철 강수량이 많고 가끔 폭설이 되어 내려 눈 때문에 큰 소동이 일어나고는 한다. 다마스쿠스에 폭설이 내렸다는 뉴스 보도

중동전쟁 중 이스라엘이 시리아의 골란 고원 일대를 빼앗고 이 지역에 대한 반환을 꺼리는 것은 군사적 요충지라는 문제 외에도 이 지역의 물과 곡창지대가 값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거기다 이스라엘이 이 지역을 차지하면서 이 지역에 이미 10만 명이 넘는 유태인이 이주하여 농장을 짓고 2만여 시리아인과 공존하는데(마즈엘 샴스 지역) 여기서도 이스라엘이 걸핏하면 시리아인들의 반발을 뭉개었다. 일단 이스라엘의 입장에서는 자국민들이 엄청나게 사는 만큼 그냥 주민들의 민의를 무시하고 시리아에게 돌려주긴 껄끄러울 것이다. 이 점을 노렸을 수도 있고 말이다.

그러나 이것도 옛날 이야기다. 중동의 급격한 사막화를 시리아도 피할 수가 없어 극심한 가뭄까지 닥쳐 물부족까지 시작되었다.[29] 특히 내전으로 수도 시설이 많이 파괴되다보니 식수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가뜩이나 내전으로 개막장이 된 시리아를 생지옥으로 만들고 있다.[30] 물부족이 심각해지면서 수도인 다마스쿠스에서조차 제한 급수가 실시되었고 물값이 크게 올랐다고 한다. 또한 물을 불법적으로 밀거래하는 워터 마피아까지 등장해 정부에서 단속에 나서는 상황이다.#

5.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상고대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기독교화 / vs이란
이슬람 제국
이집트 vs 이라크
대십자군 전선
대몽골 전선
근대
오스만 튀르크 제국
[[알리 베이 알 카비르|
알 카비르
]] 제7차 러시아 튀르크 전쟁
오스만 제국
[[이집트 속주|
알리 왕조
]]
현대
내전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정치

서아시아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그리스 i 남오세티야 ii, iii 레바논 바레인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북키프로스 ii, iii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아르메니아 iii 아제르바이잔 iii 압하지야 ii, iii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iv 조지아 iii 카타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쿠웨이트 키프로스iii 튀르키예iii 팔레스타인
i: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ii: 미승인국
iii: 기준에 따라 유럽으로 분류 될 때도 있다.
iv: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

시리아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 13점 2023년, 세계 177위
언론자유지수 17.41점 2024년, 세계 179위
민주주의지수 1.43점 2023년, 세계 163위

아랍의 북한이라고도 불린다. 아랍 사회주의 정당인 바트당의 알 아사드 부자가 50년째 집권하는 국가로, 실질적으로 전제군주제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을 받을 정도로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권위주의적인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세속주의 정권 특성상 문화적 자유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나, 정치적 자유도는 사실상 북한, 에리트레아, 투르크메니스탄과 다를 바 없을 정도로 전무하다. 전체주의적 통치와 더불어 내전때문에 국가 혼란이 지속되며 민주주의 지수는 세계 최하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전 세계 공화국들 중에서 북한에 이어 2번째로 길게 부자세습독재체제가 이어지는 나라다.[31] 아랍권에서 왕국이 아닌 공화국인 나라로서 자식에게 권좌를 물려준 사례는 시리아가 유일하다. 이건 사담 후세인이나 호스니 무바라크, 무아마르 카다피, 압둘라 살레도 실패한 것이다.[32][33]

바트당은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따라서 상당히 세속적인 성향이다. 그래서 그런지 북한, 에리트레아, 투르크메니스탄 다음가는 독재국가인데도 외국 문화에 대한 제재는 딱히 없는 편이다. 바샤르 알아사드(بشار الأسد, -1965~ )는 영국 유학파로 개방적인 사상을 가진 인물로 서구 대중 문화의 유입을 특별히 제재하지 않고 있다.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1930 - حافظ الأسد ,2000)도 종교적으로 꽤나 관대했다.

원래 아랍의 세속 독재자들은 다 이렇다. 사실 유신 정권 시기 박정희를 연상시키는 사법살인을 지속하는 현 시점의 압델 파타 엘 시시 이집트 대통령도 그렇고 대표적 아랍 세속주의자인 무바라크후세인도 자국 정치는 매우 혹독한 수준이었으나 종교적으로는 소수파에게 관대했다. 오히려 정권에 위협되는 다수파를 세속주의와 군사력으로 찍어눌렀다. 이들에 대한 불만으로 1980년 6월 26일 이슬람 과격파의 암살 미수 사건까지 있었다. 하페즈는 위기를 모면하지만 그의 친구이자 2인자인 국방장관이 사망한다.

이에 분노한 하페즈는 동생 리파아트 장군에게 토벌 명령을 내려 1980년 이들의 거점 지역인 하마 시를 불바다로 만든다. 이로 인하여 시리아 내 이슬람 극단주의 강경파는 큰 타격을 입으며 아버지인 하페즈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은 바샤르는 정쟁 끝에 숙부인 부통령 리파아트 알 아사드(رفعت الأسد, 1937~ )를 필두로 한 보수파를 숙청하며 세속 정책을 유지한다. 리파아트는 영국으로 망명하여 2013년 이후 런던에서 거주하며 현 시리아 정권과 조카 바샤르를 비난한다.[34]

시리아 내전 초기 2012년에 유화책으로 개헌을 했다. 대표적인 개정 사항으로 '민중민주적 사회주의 국가', '바트당의 지도적 역할' 등을 삭제하고 대통령 임기 제한(7년 무제한 → 7년 중임)을 둔다.

여담으로 투표 용지가 꽤 특이한데, 투표용지에 후보자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으며, 별다른 기호구분이 없이 무작위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즉, 용지마다 순서가 다르다. 순서에 따라 인식이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7.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경제

시리아/경제 문서 참조.

9.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아/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아/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출신 인물

시라아의 유명 인물이라면 킹덤 오브 헤븐에서 살라흐 앗 딘 역을 맡았던 시리아 배우 겸 영화 제작자인 가산 마수드가 알려져 있다. 더불어 10년간 시리아에서 무대 예술학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고. 또 스티브 잡스의 (생물학적) 아버지인 압둘파타존 잔달리가 이 나라 출신이다. 앤트워스 밀러도 하프 시리안이다. 시리아 내전이 벌어지고부터는 독재 대통령 하페즈 알 아사드-바샤르 알 아사드 부자와 타이거 대령으로 잘 알려진 수헤일 알 하산 소장이 유명해졌다.

12. 교육

  • 이 나라는 중학교 없이 초등학교를 9년 다니고 3년 동안 고등학교에 다닌다. 우리나라의 중1은 현지 초등학교 7학년, 중2는 초등학교 8학년, 중3은 초등학교 9학년이 되는 셈.
  • 아직도 PBT TOEFL이 존재한다.

13. 관광 정보

파일:palmyra.syria.before.civil.war.jpg
팔미라 유적

파일:por-Troels-Myrup-cc.jpg
십자군 전쟁기에 구호 기사단에 의해 지어진 크라크 데 슈발리에

파일:Citadel-by-Watchsmart_big-1.jpg
알레포 성채

파일:다마스쿠스 마스지드.jpg
파일:iconem_mosqueedicule_hd_iconem_0.jpg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모스크

파일:보스라 로마 이집트.jpg
보스라 로마 유적

역사가 오래된 나라이기 때문에 자연 관광 자원과 옛 그리스, 로마 시대 유적, 기독교 유적지들도 많고, 이슬람 제국 전성기때 만들어진 멋들어진 모스크나 성채도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관광 대국의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자유 진영과 적대관계인데다 내정이 워낙 불안정해 이걸 살리지 못하고 있을 뿐인 상황. 팔미라를 위시한 로마 유적지들도 규모가 크고 보존도 잘 된 게 많다. 그 밖에 중세 유적지인 마시아프 요새(어쌔신 크리드의 주요 배경으로 등장) 등 볼 만한 곳들이 많다. 그러나 팔미라 유적은 IS의 반달리즘으로 파괴되었고, 남은 유적들도 내전으로 인해 파괴 위기인 것들이 많다.

알 아사드 정권을 수호하기 위해 깔아놓은 비밀 경찰과 사복 경찰들이 쫙 깔려있어서 오히려 중동 국가 중에 치안이 좋기로 소문이 나있다. 과거의 영광 때문에 이곳에서는 한국어로 말하더라도 아사드라는 단어 자체를 거론하지 않는 게 좋다. 알아듣고 사복 경찰이 따라온다. 그런데 지금 시리아 내전 때문에 치안이 소말리아아프가니스탄급이 되고 말았다.

물가는 요르단, 튀르키예, 이집트에 비해 상당히 싼 편이었다. 거기다 바가지요금으로 악명 높은 이집트에 비해 관광객 바가지도 적고 학생이면 입장 할인 폭도 컸다. 시설 입장 요금이 150 시리아 파운드(한화 1000원)인데 학생증 지참시 10파운드(한화 70원 가량)으로 할인해준다. 또 반미, 친북 국가라는 편견과 다르게 여행하기 좋다. 동양인을 접할 기회가 흔치 않아서 관광하다 보면 시선을 한 몸에 받는 건 기본이요 몰래 사진을 찍거나 아님 같이 찍자고 다가온다. 물론 이는 내전이 일어나기 전의 얘기이고 최근에는 물가가 갈수록 오르고 있다. 특히 물부족이 심해져서 물값이 이전보다 굉장히 많이 올랐다.

특히 2011년 사태 이래 한국인이 절대 여행 가면 안 되는 곳이 되고 말았으니... 게다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때문에 치안막장이다. 이로인해 에미레이트 항공, 카타르 항공 등 시리아 영공을 마음대로 지나다니던 항공사들도 이란 서부 ~ 튀르키예 중부를 거쳐서 유럽, 미주로 향한다. 내전이 터지기 전에는 중동을 여행하는 한국인들이 튀르키예에서 시작해서 시리아를 지나 레바논 요르단 등지로 국경을 넘나드는 여행 루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내전으로 여행금지크리에 국경이 다 폐쇄되었고 난민 수용소가 밀집되어있는 상태라 비행기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내전 중인 상황에서 시리아 관광부가 시리아 관광을 홍보하고 있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한 편 다마스쿠스를 비롯한 정부군이 장악한 지역들은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정부군의 감시가 심하다고 한다. 어느 일본인 기자가 다마스쿠스를 방문하면서 촬영했을 때도 정부군 쪽의 경찰들에게 잠깐 붙잡히다가 자신이 관광객이라고 속인 후에 겨우 풀려났다고 했을 정도였다. 근데 그렇게 해서 풀려나서 다행이지 그러지 않고 돌아다녔다면 일본과 영원히 안녕을 했을 것이다. 게다가 한국과는 미수교국이기 때문에 여행금지령이 가장 늦게 풀릴것으로 보이고 있다.

요약하자면 치안이 매우 나빠 현지에서 사망할 가능성이 높기에 여기를 여행할 생각은 꿈도 꾸지 말아야 한다.

14. 여담



[1] 외교부에서 인지하고 있는 명칭 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87[2]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1의 재외공관 목록에서는 '시리아아랍공화국'으로 명시하고 있다. 해당 시행령에서는 모든 국가의 국호를 일괄적으로 이름 첫 부분부터 끝 부분까지 붙여서 쓴 것으로 표기하고 있다.[3] 바트당 표어[4] 공식적으로 정부가 지정한 국화는 아니지만 시리아인들은 재스민을 사실상의 국화로 본다.[5] 시리아 국장도 매의 모습이다.[이스라엘] 정확하게는 골란 고원에 위치해있는 UN 관할지역이 사이를 가로막고 있다.[7] # 영상은 세계 인구수 ([라이브] 실시간 인구)[8] 내전 이후 인구 수가 확실하지 않다. 특히 내전 발생 전에는 22,000,000명이었으나 많은 수가 사망하거나 난민으로 도피하면서 2016년에 18,000,000명으로 인구가 감소했다. 2022년에 다시 인구가 22,000,000명으로 되돌아 왔다.[9] 출처[10] 출처[11] 종교의 자유는 보장되지만 와하브파에 의한 이슬람 근본주의 신앙 및 유대교는 시리아 헌법에서 불법이다.[12] 1971 ~ 2000년 하페즈 정권 한정.[13] 크게 4가지로 나뉘는데 우선 아사드 정권, 시리아 임시정부, 로자바, ISIS로 나뉘고 있다.[14] 시리아의 국회의장에 해당하는 인물.[15] 원래는 4,000달러 정도였으나 내전 발발으로 급감했다. 1,000달러보다 낮다는 통계가 나오기도 한다.[16] 2024년 2월 14일 쿠바와 수교함에 따라 UN 가입국 중 유일한 미 수교국이다.[17]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북한 단독 수교국이다. UN 미가입국까지 포함한다면 팔레스타인도 포함된다.[겸임] 주일본 대사관 겸임[19] 시리아 내전 진행 중[20] 북한은 이 나라를 '수리아'라고 표기한다.[21] 본래 y는 라틴어에서 현재의 프랑스어의 u와 독일어의 ü 발음과 유사한 발음을 내는 문자였다. 이 때문에 아람어인 수리아를 옮기는 과정에서 Syria라는 표기가 생겼는데 중세 이후 y 발음이 i 발음으로 변하는 바람에 한글 표기 또한 이를 따라 시리아라고 표기를 하였다. 이탈리아어, 에스파냐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에서는 아예 Siria라고 표기한다. y의 /y/ 발음(불어 u나 독일어 ü)은 스웨덴어노르웨이어에도 남아 있다.[22] 모로코나 이라크도 경우에 따라 그렇게 생각할 때가 있는 듯 하다.[23] 남미에서는 이들을 투르코(turco)라고 불렀다. 오스만 투르크 제국에서 왔기 때문. 이들은 주로 장사를 하면서 먹고살았는데 도심지와 오지를 오가며 몇 배의 이득을 보면서 파는 식으로 장사를 했기 때문에 의외로 대성을 한 경우가 많다고 하며 중남미 정재계에서 아랍계의 영향력이 생각외로 센 편이다. 물론 그렇다고 모든 아랍인들이 잘사는 건 아니고 빈민촌에서 어렵게 사는 아랍계 주민들도 있기는 하다.[24] 무슬림이었으나 대선 출마를 위해 형식적으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장례식을 이슬람식으로 해 달라고 한 것으로 볼 때 형식적인 개종이 확실하다) 다만 메넴은 1995년 대통령 재선 직후에 이스라엘 지지로 틀어져서, 현지 아랍계 주민들로부터 불멘소리를 많이 듣는다. 물론 비 아랍계 주민들로부터도 비단 경제난으로 초래한 대통령으로 평가받기에 욕을 많이 먹는다.[25] 이 둘도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공식적으로는 을 끝내는 등 시리아보다는 비교적 사정이 나아진 편이다.[26]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는 내전에 개입해 수니파 반군에 지원국 중 최대 순위권인 막대한 무기와 전쟁 자금을 밀수했음에도 시리아인을 난민으로 전혀 수용하지 않거나 극소수만 받았다.[27] 지리적으로는 사막 비중이 높지만, 시리아 사람들도 사람이니 만큼 당연히 살기 좋은 곳에 밀집해서 산다. 한반도가 산악 지형이라고 한들 한국인이 산골짜기에 살지는 않는 것과 같다.[28] 알레포가 북위 36도 13분, 대전광역시가 북위 36도 21분이다.[29] 사실 시리아는 내전과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기 그 이전부터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었고 인구증가로 인해 물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정부의 수자원 보존 정책이 연달아 실패했기에 수자원 관리 시스템이 붕괴된 상황이었다. 특히 지하수까지 한계에 도달해 고갈 위기에 온 상황이다.[30] 사실 시리아는 원래부터 국토의 75%가 사막인 척박한 땅이다. 특히 경작가능한 땅은 그나마 물이 있는 유프라테스 강 연안과 지중해 해안가, 골란고원밖에 없었다. 그러다보니 시리아는 예나 지금이나 인구의 대부분이 이 지역들에 몰려있다.[31] 가장 길게 이어지는 나라는 북한(75년 이상)이며, 시리아는 52년 이상 세습체제다.[32] 이들도 아들들에게 권좌를 세습하려는 계획 시도가 있었으나 이라크 전쟁아랍의 봄으로 권좌에서 축출되면서 무산되었다.[33] 최근 세습된 국가는 투르크메니스탄, 캄보디아가 있으나 이들은 각각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국가들이다.[34] 아랫나라 요르단에서 현 국왕인 압둘라 2세와 선왕 후세인 1세의 남동생이자 숙부인 하산 왕자의 사이가 나쁘지 않은 것과 대조적이다.[35] 영미권에서도 그렇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