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투싼'''{{{#!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차 이름의 유래인 애리조나 주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투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투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투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스타크래프트의 맵}}}에 대한 내용은 [[투싼(스타크래프트)]]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투싼(스타크래프트)#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투싼(스타크래프트)#|]]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차 이름의 유래인 애리조나 주의 도시: }}}[[투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투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투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스타크래프트의 맵: }}}[[투싼(스타크래프트)]]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투싼(스타크래프트)#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투싼(스타크래프트)#|]]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4년 브랜드 차종별 판매량 순위 | ||||
순위 | 국적 | 브랜드명 | 차종 | 판매량/전년 대비 판매율 | |
1위 | [[일본| | 토요타 | 코롤라/레빈 | 104만 대 -1.3% | |
2위 | [[미국| | 테슬라 | 모델 Y | 97만 대 -4.2% | |
3위 | [[일본| | 토요타 | | 92만 대 +12.3% | |
4위 | [[미국| | 포드 | F-150 | 81만 대 +0.6% | |
5위 | [[일본| | 혼다 | CR-V | 66만 대 +5.7% | |
6위 | [[미국| | 쉐보레 | 실버라도 | 57만 대 +0.3% | |
7위 | [[대한민국| | 현대 | 투싼 | 55만 대 -2.6% | |
8위 | [[일본| | 토요타 | 캠리 | 53만 대 -7.9% | |
9위 | [[중국| | BYD | 송 | 50만 대 +47.4% | |
10위 | [[대한민국| | 기아 | 스포티지 | 49만 대 +4.1% | |
출처 162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공식 당국에서 제공하는 등록 수치를 기반으로 조사됨. | |||||
틀:세계 10대 자동차 그룹 | 틀:세계 10대 자동차 브랜드 |
|
|
TUCSON |
HYUNDAI TUCSON[1] / ix35[2] / JM[3] 北京现代 途胜[4] 현대 투싼 홈페이지 현대 투싼 하이브리드 홈페이지 |
1. 개요
2004년부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모노코크 바디 전륜구동/사륜구동 준중형 SUV이다. 1세대는 아반떼 XD의 플랫폼을 사용했고, 2세대부터는 쏘나타의 플랫폼을 사용한다.[5]2024년 3월 부로 2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아반떼와 함께 꾸준한 판매량을 자랑하는 현대자동차의 베스트셀링카로, 2024년 4월 기준으로 누적 900만대 이상의 판매량을 달성했다. SUV의 높아지는 인기 덕분에 유럽[6]과 미국[7] 시장에서 연간 10만대 이상을 팔아치울 정도로 대단해서 세계 900만대 달성 속도가 쏘나타보다 빠르다. 그리고 쏘나타를 추월하고 현대차의 3번째 1,000만 대 판매량 달성 모델이 될 것임이 확실시된다. #
2. 모델별 설명
한 편의 투싼 역사 |
2023년 12월 기사에 의하면 해치백의 수요 급감으로 울산 3공장에서 생산하던 i30을 체코 공장에서만 생산하기로 결정한 이후, 투싼이 전 세계적으로 만성적으로 물량 공급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자 울산 3공장에도 투싼을 대타로 투입해 생산한다. #
2.1. 1세대 (JM, 2004~2009[9])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외관 추가 이미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자유본능 SUV
내안의 자유본능
질주하라, 자유본능, 투싼!
2004년 3월 23일에 출시됐다. 개발 프로젝트명은 JM으로, 아반떼 XD의 플랫폼으로 개발된 SUV이다. 2.0L D 엔진(WGT, 115ps)과 베타 엔진, 수출형의 V6 2.7L 델타 엔진을 탑재하며, 변속기는 M5GF1 수동 5단과 F4A42 자동 4단이 채용된다. 선택 사양으로 보그워너사의 제어시스템을 얹은 4륜구동 모델도 판매됐다.내안의 자유본능
질주하라, 자유본능, 투싼!
먼저 출시된 싼타페의 디자인 흐름을 일부 이어받아 곡선을 강조하면서도 부분적으로 디자인에 머슬이 부각된 차체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으며,[10][11] 플라스틱 가니쉬와 각이 살아있어 오프로더 느낌도 났다. 하지만 견고하고 다부진 휠 디자인과 듀얼 머플러팁을 통해 세련된 느낌을 더하기도 하는 등, 전체적으로 투박한 오프로더용 SUV와 도시적인 컴팩트 SUV 사이의 과도기적인 디자인이라는 평이 많았다. 다만 얼마 뒤에 출시된 형제차 뉴 스포티지와 디자인이 지나치게 유사하여, 두 차종을 헷갈려 하거나 아예 네임밸류가 좀 더 있는 스포티지로 이탈해버리는 소비자 역시 적지 않았다.[12]
인테리어 역시 단정하고 삼삼한 V자형 센터페시아로 직관적이었고 개방감도 훌륭했지만 다소 투박한 느낌도 있었다. 대신에 고급형은 우드그레인을 사용하여 고급감을 높였고, 반대로 하위트림은 메탈 소재를 주로 사용하여 신세대적인 느낌을 주기도 했다. 특히 계기판의 형상을 속도계와 타코미터가 정렬되어 있는 보편적인 배치가 아닌, 속도계가 중앙에 자리잡은 3써클 타입 배치를 통해 젊은 감각을 더했다. 또한 뉴 카렌스나 그랜드 스타렉스 같은 MPV처럼 변속기 레버가 최대한 센터페시아에 가깝게 자리잡게 하여 센터 콘솔의 높이를 낮추면서 실용성을 높이기도 했다. 한편 인테리어의 경우에는 뉴 스포티지와 꽤 차별화가 이루어지긴 했으나, 얇고 긴 센터 패널과 동일하게 규격화된 오디오 유닛 때문에 형제차 느낌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었다.
연식에 따라 자동차의 배출가스 등급제에 의해 운행제한이 발생한다. CRDi WGT 엔진일 경우 5등급으로 수도권 진입제한 차량이며(단, DPF를 달면 진입이 가능하다.), 2006년형 모델부터 바뀐 VGT 엔진(143ps)은 4등급으로 운행에 제한이 없다. VGT 엔진부터는 수동변속기가 M6GF2 6단으로 변경되었으나, 변속기 성능의 문제인지 자동변속기 모델은 더이상 4륜구동 선택이 불가능해졌다. 때문에 이 년식의 4륜구동 모델은 모두 수동변속기 밖에 없기 때문에, 거의 팔리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당시 기준으로 판매량이 미미했던 가솔린 모델[13]은 디젤모델과는 달리 듀얼머플러가 적용되지 않았다. 형제모델인 스포티지도 마찬가지로 VGT모델의 4륜구동은 수동변속기만 선택 가능하다.
동급 일본차인 토요타 라브4나 혼다 CR-V보다 우수한 연비와 주행성능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일본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투싼으로 판매했고, 일본에서는 JM[14]으로 판매했다.[15] 2004년 9월~2010년 12월까지 판매됐으며, 2008년에 마이너체인지 모델을 판매했다.[16]
|
동년 10월에는 투싼 2009 업그레이드가 출시됐다. 17인치 알루미늄 휠, 인조가죽 시트 등이 적용됐으며 USB & iPod 단자, 패닉 기능 등의 편의사양이 추가로 적용됐다.
배우 이서진이 투싼 1호차의 소유주다. 특히 지역 번호판이 달린 투싼이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17]
2.1.1. 라인업
- 2.0 CRDi/2.0 VGT
- 2.0 VVT[AT]
- MX
- STYLE PACK
- MXL
2.1.2. 중국형 모델
| |
2.2. 2세대 (LM, 2009~2015[24][25])
2.2.1. 초기형: 투싼 ix (2009~2013)
|
Sexy Utility Vehicle.
Drive the One.
2009년 8월 25일에 투싼 ix라는 이름으로 풀 모델 체인지됐다. 개발 프로젝트명은 LM. 현대자동차 독일 뤼셀하임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제시한 컨셉트카 HED-6 'ix-onic'의 디자인을 토대로 양산됐다. 아반떼의 플랫폼을 사용했던 1세대와 다르게 이 모델부터 쏘나타의 플랫폼을 채택했다.[26][27] 싼타페와 쏘렌토에 얹힌 2.0L 184마력 R 엔진[28]과 2.0L 166마력 세타 엔진을 현대위아, 현대파워텍의 6단 수동/자동변속기와 조합하여 출중한 동력성능을 자랑한다. Drive the One.
|
수출형 모델인 ix35 |
론칭 초기 TV광고의 내용이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집행됐으며, 배경음악은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If U Seek Amy가 사용됐다.
2.2.2. 페이스리프트: 뉴 투싼 ix (2013~2015)
|
SUV는 SUV답게.
2013년 5월에는 싼타페 DM과 비슷한 스타일의 그릴이 적용되고 LED 테일램프가 추가된 뉴 투싼 ix로 페이스리프트됐으며, 가솔린 모델의 엔진은 세타Ⅱ MPI 엔진에서 2.0L 누우 GDI 엔진으로 변경됐고 세타 엔진이랑 비슷하게 세팅됐다.생산 연도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역대 투싼 중 가장 오래 생산된 모델이었다.
2.2.2.1. 투싼 FCEV (2013~2018)
| |
투싼 ix FCEV (ix35 Fuel Cell)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 ix FCEV#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 ix FCEV#|]][[현대 투싼 ix FCEV#|]]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3세대 (TL, 2015~2020[29])
<nopad>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3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3세대#|]][[현대 투싼/3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4세대 (NX4, 2020~현재)
| |
초기형 | 페이스리프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4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4세대#|]][[현대 투싼/4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5세대 (NX5, 2026~예정)
2026년 상반기에 아반떼와 더불어 풀 체인지 모델을 내놓는다는 기사가 나왔다.전기차 캐즘과 환경 규제 완화에 따른 시장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 이후까지 내연기관차 수명을 연장, 전기차 전환 속도 조절에 착수한 것으로 해석된다. #
스포티지 NQ5 PE와 마찬가지로 출시 22년만에 디젤 단종이 확실시되며, 동시에 AAOS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Pleos Connect가 적용될 것으로 유력하다. 스포티지는 순수 내연기관 완전배제가 확정되었는데, 투싼 역시 순수 내연기관엔진이 배제될 것인지가 관건이다.
3. 제원
===# 1세대 #===TUSCON/1세대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 생산지 |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
코드네임 | JM |
차량형태 | 5도어 준중형 SUV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325mm |
전폭 | 1,800mm |
전고 | 1,680mm |
축거 | 2,630mm |
윤거(전) | 1,540mm |
윤거(후) | 1,540mm |
공차중량 | 1,510 ~ 1,520kg (가솔린) 1,524 ~ 1,710kg (디젤) |
연료탱크 용량 | 58L |
타이어 크기 | 215/65R16 235/60R16 235/55R17['08] |
플랫폼 | 현대 J3 플랫폼 |
구동방식 | 앞엔진-앞바퀴굴림(FF) 앞엔진-4바퀴굴림(F4)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듀얼링크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제동장치 | 드럼 브레이크 / 디스크 브레이크+DIH |
인포테인먼트 | 표준형 1세대 |
파워트레인 | ||||||
<rowcolor=#fff>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가솔린 | ||||||
현대 베타 (G4CG) | 2.0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975cc | 142ps | 18.8kgf·m | 4단 자동변속기 |
디젤 | ||||||
현대 D (D4EA) (WGT) | 2.0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1,991cc | 115ps | 26kgf·m | 5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
현대 D (D4EA) (VGT)[31] | 143 → 151['08]ps | 32kgf·m | 5 → 6['08]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
3.1. 2세대
3.1.1. 초기형: 투싼 ix
TUSCON/2세대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 생산지 |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
코드네임 | LM |
차량형태 | 5도어 준중형 SUV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410mm |
전폭 | 1,820mm |
전고 | 1,655mm |
축거 | 2,640mm |
윤거(전) | 1,585mm |
윤거(후) | 1,586mm |
공차중량 | 1,410kg (가솔린) 1,515 ~ 1,625kg (디젤) |
연료탱크 용량 | 55L |
타이어 크기 | 225/60R17 225/55R18 |
플랫폼 | 현대 N1 플랫폼 |
구동방식 | 앞엔진-앞바퀴굴림(FF) 앞엔진-4바퀴굴림(F4)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 + DIH |
인포테인먼트 | 표준형 2세대 |
파워트레인 | ||||||
<rowcolor=#fff>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가솔린 | ||||||
현대 세타Ⅱ (G4KD) | 2.0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998cc | 166ps | 20.1kgf·m | 6단 자동변속기 |
디젤 | ||||||
현대 R (D4HA) | 2.0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1,995cc | 184ps | 39kgf·m | 6단 수동변속기 |
40kgf·m | 6단 자동변속기 |
3.1.2. 페이스리프트: 뉴 투싼 ix
TUSCON/2세대(F/L)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 생산지 |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
코드네임 | LM |
차량형태 | 5도어 준중형 SUV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410mm |
전폭 | 1,820mm |
전고 | 1,655mm |
축거 | 2,640mm |
윤거(전) | 1,585mm |
윤거(후) | 1,586mm |
공차중량 | 1,452kg (가솔린) 1,548 ~ 1,643kg (디젤) |
연료탱크 용량 | 55L |
타이어 크기 | 225/60R17 225/55R18 |
플랫폼 | 현대 N1 플랫폼 |
구동방식 | 앞엔진-앞바퀴굴림(FF) 앞엔진-4바퀴굴림(F4)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DIH |
인포테인먼트 | 표준형 3세대 |
파워트레인 | ||||||
<rowcolor=#fff>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가솔린 | ||||||
현대 누우 (G4NC) | 2.0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999cc | 166ps | 20.9kgf·m | 6단 자동변속기 |
디젤 | ||||||
현대 R (D4HA) | 2.0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1,995cc | 184ps | 39kgf·m | 6단 수동변속기 |
41kg·m | 6단 자동변속기 |
3.2. 3세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3세대#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3세대#|]][[현대 투싼/3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4세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4세대#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4세대#|]][[현대 투싼/4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마케팅
| |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에 등장한 투싼 1세대(우측)와 드라마 워킹 데드에 등장한 2세대(좌측) |
|
투싼 워킹 데드 에디션 |
- 워킹 데드 협찬을 하며 자사 차들을 좀비 파이터 카로 개조하여 각종 모터쇼에 전시했고, 투싼 워킹 데드 에디션을 한정 판매하기도 했다.
-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2012)의 거의 마지막 부분에서 존 블레이크(조셉 고든레빗)가 동굴로 이동할때 사용하는 차로 1세대 모델이 출연한다. 너무 잠깐 나오는 탓에 눈치채기 힘들다. 다만 이는 마케팅이라고 볼 수 없는데 현대자동차측의 도움 없이 구형 차량을 제작진이 직접 구해서 사용한 것이기 때문. 고아원 출신의 가난한 처지를 묘사하는 소품으로 쓰인 것이다.
- LMFAO의 Party Rock Anthem 뮤비에 1세대 JM 은색차량이 자주 등장한다. 뮤비 1분 경에 LMFAO 일행이 숨은 차량이 투싼이다.
- MBC GAME 팀리그의 4차 시즌[34] 스폰서였다. 참고로 우승팀[35]에게 투싼 차를 지급했고, 이 대회 공식 맵으로 스폰서 이름을 맵 이름으로 내걸었다. 대회 오프닝은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최악의 오프닝으로 꼽히며, 게다가 결승전도 챔피언스 데이로 열렸다.[36]
- 2021년에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드라마들과 연계해 투싼을 홍보했으며, 완다비전, 팔콘과 윈터 솔져, 로키, 왓 이프...?와 연계해 홍보가 이루어졌다. 실제 영화에서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부터 등장한다.
|
영화 언차티드에 등장한 투싼 |
- 2022년 2월 16일, 플레이스테이션 인기 게임 기반의 영화 언차티드에 등장한다. 오프로드 콘셉트로 개조한 투싼 비스트가 등장하며,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배경으로 다양한 주행 장면을 선보인다.
5. 논란 및 문제점
5.1. 1세대
- 정상주행 중에 액셀이 부러지는 사고도 있었다.
- 내수용 한정으로 트라제 XG와 마찬가지로 심각한 하체 부식 문제가 불거져 논란이 됐다. 부식 내수, 수출차이
5.2. 2세대
충돌사고에서 에어백이 미전개되어 운전자가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 현대기아차의 에어백 이슈 중 가장 크게 논란이 되는 사건 중에 하나다.5.3. 3세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3세대#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3세대#|]][[현대 투싼/3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4. 4세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4세대#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투싼/4세대#|]][[현대 투싼/4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모형
1~4세대 모두 모형이 존재한다. 1세대는 CM토이스, 미카, 크로바월드가 제품을 발매하였다. 특히 미카의 경우 싸이렌 시리즈도 있었으며 경찰과 소방 뿐만 아니라 도로공사 차량도 있었다는 게 나름 포인트. 그리고 중국의 이름 미상 제조사에서 1/24 스케일의 플레이캐스트가 발매되었으며, 다른 제조사에서는 1/18 스케일 제품도 발매했다. 2세대는 크로바월드의 풀백미니카와 부라고의 1/43 스케일(F/L모델) 제품, 1/38 스케일 현대브랜드컬렉션 웰리 제품[37]이 나왔으며, 크로바에서는 경찰과 소방 버전도 나왔다. 또한 중국 업체에서 제작한 1/18 스케일 제품이 나왔다. 3세대는 현대브랜드컬렉션을 통해 내놓은 1/38 스케일 웰리 제품과 중국 업체에서 제작한 중국 사양 투싼의 1/18 스케일 제품이 존재한다. 4세대는 처음에는 중국 업체가 제작한 1/18 스케일의 제품만 있었으나, 2022년 9월에 HK COGO가 제작한 1/38 스케일 제품도 추가로 출시됐다.7. 매체에서
7.1. 드라마
- 미국 드라마 워킹 데드 시즌 1부터 3까지 주인공 일행이 주력차량으로 2세대 모델을 이용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 2011년 드라마 시티헌터에서 김영주 검사(이준혁 분)의 차량으로 2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2016년 드라마 시그널에서는 차수현(김혜수 분)의 차량으로 3세대 모델이 등장하는데, 색상은 페퍼 그레이 색상이다.
- 2016년 드라마 태양의 후예에서 남자주인공 유시진 대위(송중기 분)의 차량으로 3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색상은 아라블루 색상이다.
- 2020년 드라마 18 어게인에서 지훈의 형(임지규 분)의 차량으로 1세대 모델이 등장했으나 트럭에 받힌후 폭발한다.
- 2020년 드라마 경이로운 소문 시즌 1에서 김정영 형사(최윤영 분)의 차량으로 2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2021년 드라마 지리산에서 강현조(주지훈 분)의 차량으로 4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색상은 아마존그레이 색상이다.
- 2021년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에서 효산고등학교 정문에 방치된 차량으로 1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2022년 드라마 군검사 도베르만에서 군검사인 차우인 대위(조보아 분)의 차량으로 2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2022년 드라마 기상청 사람들: 사내연애 잔혹사 편에서 진하경(박민영 분)의 차량으로 4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2022년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 은색 2세대 모델이 주인공 문동은(송혜교 분)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 2023년 드라마 딜리버리맨에서는 지창석(김승수 분) 팀장의 차량으로 4세대 모델 아마존그레이 색상이 등장한다.
- 2023년 드라마 소방서 옆 경찰서 그리고 국과수에서 공명필 형사(강기둥 분)의 차량으로 2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2023년 드라마 우아한 제국에서 나승필(이상보 분)의 차량으로 4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2023년 드라마 스틸러에서 최민우(이주우 분) 경위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 2024년 드라마 커넥션에서 장재경(지성 분) 경감의 차량으로 4세대 후기형 모델이 등장한다.
- 2025년 드라마 나의 완벽한 비서에서 유은호(이준혁)의 차량으로 4세대 후기형이 등장한다.
7.2. 영화
- 흑사회 2 : 1세대 모델이 주역 중 하나인 지미의 차로 나온다.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 4세대 모델이 MIT 대학총장의 차량으로 등장하며, 하이브리드 사양이다. 현대차가 제작비 투자를 해서 PPL 광고로 등장한 것.
- 언차티드 : 오프로드 튠이 적용된 4세대 모델이 클로에 프레이저의 차로 나온다.[38]
-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2012)의 거의 마지막 부분에서 존 블레이크(조셉 고든레빗)가 동굴로 이동할때 사용하는 차로 1세대 초기형 모델이 등장한다.
- 칩과 데일: 다람쥐 구조대에서 주차된 차량들 중 일부로 등장한다. 칩과 데일의 목욕탕 잠입수사중 엘리의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주변에 와인색의 3세대 페이스리프트 버전이 주차되어 있다.
- 꾼 : 2세대 모델(초기형)이 영화 초반 추격전에 유지태, 배성우가 탄 차량으로 나온다.
- 로지에서는 3세대 전기형이 주차된 차량으로 잠깐 등장한다.
- 사바하에서는 영월경찰서 강력반 수사용 차량으로 1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신세계에서는 1세대 모델이 조폭들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는 1세대 모델이 황궁아파트에 주차된 차량으로 등장한다.
- 우리 동네에서 형사인 재신(이선균)의 차량으로 1세대 전기형 모델이 등장한다.
- 영화 라스트 드라이버에서는 주인공이 몰고 다니는 차로 등장한다.여담으로 초반 장면에선 엑센트가 나오기도 했다.
8. 경쟁 차량
- 기아 - 스포티지
- KG모빌리티 - 코란도, 토레스
- 르노 - QM6[39], 오스트랄
- 토요타 - 라브4
- 스바루 - 포레스터
- 폭스바겐 - 티구안, 테이론
- 혼다 - CR-V
- 닛산 - 로그, 엑스트레일
- 마쓰다 - CX-5, CX-50
- 포드 - 이스케이프, 쿠가
- 지프 - 컴패스
- 푸조 - 3008
- 시트로엥 - C5 에어크로스
- 오펠 - 그랜드랜드 X
- 쉐보레 - 이쿼녹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세단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준중형 | 아반떼 (N) |
중형 | 쏘나타 (택시) · 아이오닉 6 (N)예정 | ||
준대형 | 그랜저 | ||
SUV | 경형 | 캐스퍼 | |
소형 | 캐스퍼 일렉트릭 · 베뉴 · 코나 | ||
준중형 | 투싼 · 아이오닉 5 (N) | ||
중형 | 싼타페 · 넥쏘 | ||
준대형 | 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 | ||
MPV | 스타리아 (전기차)예정 | ||
버스 | 소형 | 쏠라티 | |
준중형 | 카운티 (일렉트릭) | ||
중형 | 일렉시티 타운 | ||
준대형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
대형 |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 모바일 오피스)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굴절형) | ||
트럭 | 소형 | 포터 (일렉트릭) · ST1 | |
준중형 | 마이티 | ||
중형 | 파비스 | ||
준대형 | 뉴파워트럭 | ||
대형 |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c5f><tablebgcolor=#002c5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002c5f> 단종 차량 | ix20 · i25 · ix25 · i35 · ix35 · i40 · i45 · ix55 · i800 | |||
시판 차량 | i10 · i20 · i30 · i30 세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회색 글씨: 단종 차량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 승용 · SUV · RV · 승합 | 버스 | 트럭 | |||||
1960년대 | 코티나 · 포드 20M | R버스 | 포드 D 시리즈 | |||||
1970년대 |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 | 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 |||||
1980년대 |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 | 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 | 포터 · 마이티 | |||||
1990년대 |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 | 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
2000년대 |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쏘나타 모인카 · 기아 천리마 | 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 | 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 |||||
2010년대 |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
2020년대 |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인스터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9 | 모던 PU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 | ST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02c5f><rowcolor=#fff><colcolor=#fff>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
승용차 | ||||||||
경차 | i10 · 아우라 | 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 ||||||
소형차 | 엑센트 · i20 · HB20 | 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 ||||||
준중형차 | 아반떼 · i30 | 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 라페스타 | ||||||
중형차 | 쏘나타 · 아이오닉 6 | 포드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 ||||||
준대형차 | 그랜저 | 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 ||||||
대형차 | - | 에쿠스 | ||||||
스포츠카 | - | 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 ||||||
SUV | ||||||||
경형 SUV | 캐스퍼 · 엑스터 | - | ||||||
소형 SUV | 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 인스터 | - | ||||||
준중형 SUV | 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 - | ||||||
중형 SUV | 싼타페 · 넥쏘 | 갤로퍼 | ||||||
준대형 SUV | 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 ||||||
픽업트럭 | ||||||||
소형 픽업트럭 | 싼타크루즈 | 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 ||||||
MPV | ||||||||
소형 MPV | - | 라비타 · ix20 | ||||||
준중형 MPV | 스타게이저 | 싼타모 | ||||||
중형 MPV | 쿠스토 | 트라제 XG | ||||||
준대형 MPV | - | 앙트라지 | ||||||
대형 MPV | 스타리아 | 스타렉스 | ||||||
캠핑카 | - | 포레스트 | ||||||
상용차 | ||||||||
소형버스 | 쏠라티 | 그레이스 · HD1000 | ||||||
준중형버스 | 카운티 · 모던 PUV | D버스 · 코러스 | ||||||
중형버스 | 일렉시티 타운 | 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 ||||||
준대형버스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
대형버스 | 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 ||||||
소형트럭 | 포터 · H350 · ST1 | HD1000 · 리베로 | ||||||
준중형트럭 | 마이티 | - | ||||||
중형트럭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 ||||||
준대형트럭 | 뉴파워트럭 | - | ||||||
대형트럭 | 엑시언트 | 마루 · 트라고 | }}}}}}}}} }}} | |||||
|
[1] 미국 애리조나의 휴양도시인 투손에서 따왔다.[2] 2세대 한정으로 유럽/남태평양 등지에서 사용된 수출명. 3세대부터는 투싼으로 통합됐다.[3] 1세대 일본 수출형 한정[4] 3세대(TL)[5] 현재는 코나가 아반떼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6] 2022년 15만 8,831대로 전체 13위[7] 2023년 20만 9,624대로 전체 기준 15위, 컴팩트 SUV 기준 5위(라브4 - CR-V - 로그 - 이쿼녹스 - 투싼 순)다.[8] 한동안 울산 2공장에서도 병행 생산한 적이 있었다.[9] 내수 시장에서는 2009년에 단종됐으나, 해외에서는 2019년까지 생산 및 판매됐다.[10] 사실상 싼타페의 축소판 느낌으로 디자인됐으며, 이는 2, 3세대도 비슷하다. 특히,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기형이 더욱 그렇다.[11] 출시 초기인 2004년 10월에 일본에서도 굿디자인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12] 당시에는 플랫폼 공유라는 개념 자체가 확실하게 적립되지 않았던 시기였다보니, EF 쏘나타와 옵티마처럼, 아예 벳지 엔지니어링 모델인 것 마냥 똑같이 출시하거나, 모기업인 현대차의 디자인 및 상품성이 조금이라도 우세한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생긴 기아의 서자 이미지는 이후 정의선이 기아 회장으로 부임하며 디자인 경영을 내세우면서부터 차츰 나아지기 시작한다.[13] 대한민국 시장에서 SUV에 가솔린이 선호되기 시작한 시점이 2015년 디젤게이트 사태 부터이다.[14] JM은 Joyful Mover의 머리 글자에서 따온 개발 코드로 일본에서 쓰였다.[15] 일본의 상표 제도는 2002년부터 지명의 상표를 신청이 불가능하게 개정됐다. 다만 2023년 11월부터 일본에서 판매를 시작한 코나 일렉트릭의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는지 일본에서도 코나라는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다.[16] |트림 목록| 2004년 9월~2008년 4월: 2.0GL, 2.0GLS, 2.7GLS | 2008년 11월~2010년 12월: 2.0GLS, 2.7GLS[17] 단, 2006년 10월까지 있었던 투싼 렌터카는 예외. 2006년 10월까지 렌터카 번호판도 지역번호판으로 등록됐으나 이후 2006년 11월부터 렌터카 번호판이 하얀색 전국번호판으로 모두 통합됐으며 2021년 기준, 차종을 불문하고 초록색 번호판이 달린 차량 자체를 보기 힘들다.[MT] [AT] [MT] [AT] [AT] [AT] [24] 내수 시장에서는 2015년에 3세대 모델이 출시되면서 단종됐으나, 해외에서는 2022년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다.[25] FCEV 모델은 2018년 초까지 판매되다 동년 3월 넥쏘가 출시되면서 단종됐다.[26] 당시에 한참 개발 중이던 C세그먼트 세단인 아반떼 MD가 i20의 플랫폼을 늘려 사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고출력 디젤 엔진인 R 엔진을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아반떼의 플랫폼 대신 쏘나타의 플랫폼을 사용했다.[27] 같은 플랫폼을 쓰는 YF 쏘나타의 출시일이 9월 17일이라 투싼이 양산차량으로서 먼저 사용한 것은 맞지만 쏘나타 기반이다.[28] 이 디젤 엔진이 탑재된 차량부터 DPF가 장착되어 있고 배출가스 3등급이다.[29] 한국 내수 시장에서는 2020년에 단종됐으나, 해외에서는 2025년 현재까지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08] 2008년 마이너체인지[31] 2006년형부터 변경['08] ['08] [34] 2005년 온게임넷의 프로리그와 통합됐다.[35] 이 대회 우승팀은 SKT T1이다.[36] '광안리 10만 관중'이라는 말이 도는 옆 동네 대회와는 대조적.[37] 차명은 투싼 ix와 ix35 둘 다 적용되었는데, ix35는 해외사양으로 적용.[38] 이와 관련해서 네이트가 등장하는 콜라보 CM이 있으며, 4세대 모델에 일반 버전이다. 그런데 얼마나 험하게 굴렸는지 차가 꽤 지저분하다. 덕분에 세차요원들이 보자마자 "또 쟤야?"라면서 학을 뗀다. 그래도 어떻게 말끔하게 세차를 해준다. 비하인드 신.[39] QM6는 투싼과 동급 모델은 아니지만 투싼의 크기가 커져 어느 정도 경쟁망에 서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