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西 | 土 | 墨 | 阿根廷 | 巴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盛頓 | 莫斯科 | 伯林 | 羅馬 | 倫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馬 말 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馬,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バ, マ, メ | ||||||
일본어 훈독 | うま, (ま), むま | ||||||
马 | |||||||
표준 중국어 | mǎ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馬는 '말 마'라는 한자로, 동물 '말'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말 |
음 | 마 | |
중국어 | 표준어 | mǎ |
광동어 | maa5 | |
객가어 | mâ | |
민동어 | mā | |
민남어 | bé / bée / má | |
오어 | mo (T3); ma (T3) | |
일본어 | 음독 | バ, マ, メ |
훈독 | うま, むま | |
베트남어 | mã |
유니코드에는 U+99AC[1]에 배당되어 있으며, 주음부호로는 ㄇㄚ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SQSF(尸手尸火)[2]로 입력한다.
馬는 다음과 같은 이체자들이 있다 : 𫠉, 傌, 𢒗, 𢒠, 𢒧, 𩡬, 𩡮 등등. 일부 웹환경에서는 글자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바람.
馬는 말의 모습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다음은 馬자의 변천과정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bigseal.svg.png
첫번째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말의 모습이 확연하게 눈에 띈다.
한국어에서 뜻과 소리가 비슷한 이유는 같은 말을 서로 다른 시점에 들여왔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뜻인 "말"은 만주어 ᠮᠣᡵᡳᠨ(morin), 몽골어 морь(mor'), 상고한어 馬(*mraːʔ) 등과 유관한 것으로 보이는 고대 외래어가 기원이고,[3] 소리인 "마"는 상고한어 馬(*mraːʔ)가 변형된 중고한어 馬(mˠa)에서 유래했다.
고대 일본어[4]에서는 馬(むま)가 확실하지는 않겠지만, 헤이안 시대의 차용어였을 확률이 높았을것이라는 추측이다.#
2.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馬의 부수형태로는 변, 방, 발 등이 있다. 말마부는 강희자전에서 187번째로 분류되어있는 부수로, 그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472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옛날에 주로 말이 탈것으로 많이 이용되다 보니 車와 혼용해서 말과 관련이 있거나 아니면 탈것을 나타낼때 쓰인다. 이 부수를 쓰는 한자의 예시로 驛(역 역)[5], 驅(몰 구), 騷(떠들 소), 驚(놀랄 경)[6], 駒(망아지 구), 騎(말탈 기), 騰(오를 등), 驗(시험할 험), 駁(논박할/얼룩말 박)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거마(車馬)
- 경마(競馬)
- 기마(騎馬)
- 대마(大馬)
- 도마(跳馬)
- 마각(馬脚)
- 마구(馬廏)
- 마력(馬力)
- 마록(馬鹿)
- 마인(馬印)
- 마차(馬車)
- 마패(馬牌)
- 건마패(揵馬牌)
- 대비전마패(大妃殿馬牌)
- 대전마패(大殿馬牌)
- 마패령(馬牌嶺)
- 마패방(馬牌房)
- 목마패(木馬牌)
- 발마패(發馬牌)
- 빈궁마패(嬪宮馬牌)
- 세손궁마패(世孫宮馬牌)
- 세손빈궁마패(世孫嬪宮馬牌)
- 세손빈마패(世孫嬪馬牌)
- 쌍마패(雙馬牌)
- 중전마패(中殿馬牌)
- 마한(馬韓)
- 목마(木馬)
- 발마(發馬)
- 백마(白馬)
- 승마(乘馬)
- 에마(絵馬)
- 죽마(竹馬)
- 준마(駿馬)
- 출마(出馬)
- 하마(河馬)
- 해마(海馬)
- 흑마(黑馬)
3.2. 고사성어/숙어
- 견마지심(犬馬之心)
- 노마식도(老馬識途)
- 마각노출(馬脚露出)
- 마이동풍(馬耳東風)
- 새옹지마(塞翁之馬)
- 융마지간(戎馬之間)
- 죽마고우(竹馬故友)
- 지록위마(指鹿爲馬)
- 천고마비(天高馬肥)
- 토우목마(土牛木馬)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성씨를 제외한 인명에서의 馬는 불용한자[7]는 아니나, 사람의 지위를 격하시킨다고 하여 권장하지 않는 한자이기 때문에 한국 이름에서는 쓰이는 예가 별로 없다.[8] 그나마 馬자를 이름으로 쓰는 경우로는 접미사처럼 쓰는 일본 남자 이름들(유마, 쇼마, 케이마, 토우마, 타쿠마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시. 馬자가 포함되는 성씨를 가진 인구가 좀 있는 편이다.
- 성이 마씨인 인물 99% 이상[9]
- 마광수(馬光洙)
- 마낙길(馬樂吉) - 1, 2번 항목 인물 모두 한자표기가 馬樂吉이다
- 마등(馬騰)
- 마량(馬良)
- 마령(馬靈)
- 마린(馬麟)
- 마속(馬謖)
- 마부팡(馬步芳)
- 마일영[10](馬一英)
- 마잉주(馬英九)
- 마재윤(馬在允)
魔做作 - 마종기(馬鍾基)
- 마초(馬超)
- 성이 사마(司馬)씨인 인물 전원
- 사마경(司馬冏)
- 사마광(司馬光)
- 사마광덕(司馬廣德)
- 사마기(司馬岐)
- 사마륜(司馬倫)
- 사마방(司馬防)
- 사마부(司馬孚)
- 사마안(司馬晏)
- 사마염(司馬炎)
- 사마의(司馬懿)
- 사마정국(司馬定國)
- 사마제(司馬濟)
- 사마천(司馬遷) - 이 쪽의 두 후손은 성으로 司馬가 아닌 각각 同와 馮을 쓴다.
- 사마혁(司馬奕)
- 사마휘(司馬徽)
- 사마휼(司馬遹)
-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 - 본명은 아님.
- 성이 바바(馬場)인 인물 전원.
- 이름에 馬가 들어가는 인물
3.4. 지명
3.4.1. 국내
한국에 馬가 쓰이는 지명이 상당히 많은데, 이름의 유래가 해당 지역의 지리가 말의 어떤 신체 부위와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경우가 많다.- 개마고원(蓋馬高原)
- 갈마동(葛馬洞)
- 경마공원역
- 금마면(金馬面)
- 대마도(大馬島)
- 대마면(大馬面)
- 마두역
- 마라도(馬羅島)
- 마산(馬山)
- 마식령(馬息嶺)
- 마이산(馬耳山)
- 마장동(馬場洞)
- 마천동(馬川洞)
- 세마동(洗馬洞)
- 용마산역
- 철마면(鐵馬面)
- 청천마차로(淸川馬車路)
3.4.2. 국외
3.5. 창작물
3.6. 기타
4. 여담
- 馬를 두 개 합치면 騳(달릴 독) 또는 𩥋[⿱馬馬](어지러이달릴 우), 세 개 합치면 驫(떼지어달릴 표) 또는 𩧢[⿲馬馬馬](달릴 빙)[11]이 된다.
- 말이라는 동물이 없고 우마무스메라는 유사인류가 존재하는 세계관의 게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는 아랫부분 다리 네 개 중 두 개를 뗀 한자를 쓴다. 말은 사족보행이고 우마무스메는 이족보행이기 때문.
[1] 马는 U+99AC[2] 马는 NVSM(弓女尸一) 또는 NLVM(弓中女一) 또는 NPM(弓心一)[3] 원래 어느 언어에 속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말이라는 동물이 처음 길들여진 중앙아시아 어디쯤의 언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 단어는 꽤 유명한 '방랑어'로 심지어 영어에서 '암말'을 뜻하는 mare에서까지 발견된다.[4] 3세기~8세기[5] 원래 역은 말을 먹이고 기르면서 사람이 숙박하는 시설이었다.[6] 실제로 말은 겁이 많은 동물이다.[7] 不用漢字. 이름에 쓸 수 없는 한자.[8] 馬뿐만 아니라 가축을 뜻하는 牛, 羊, 猫, 狗 등의 한자도 같은 이유로 이름에 쓰는 걸 매우 기피한다. 이는 한중일 공통이다.[9] 麻를 쓰기도 하나 극소수다.[10] 전 야구선수[11] 騁(달릴 빙)의 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