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4:30:01

사고 공화국

사고공화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3990> 파일:YS투명.svg김영삼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3990,#ddd> 일생 일생 · 평가
공약 금융실명제 · 역사바로세우기(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하나회 숙청
발언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 개가 짖어도 기차는 간다 · 대도무문
가족 조부 김동옥 · 아버지 김홍조 · 아내 손명순 · 아들 김은철, 김현철 · 손자 김인규
역대 선거 제13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YH 사건 ·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 김영삼 단식 농성 사건 · 김영삼 보름달 사건 · 3당 합당 · 1997년 외환 위기
기타 문민정부 · 상도동계/YS키즈 · 삼김시대/양김 ·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 사고 공화국 · YS는 못말려 · YS는 잘맞춰 · 사상과 신념 · 여담 · 어록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문민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문민정부 참고
}}}}}}}}} ||

1. 개요2. 원인3. 관련 사고
3.1. 문민정부3.2. 국민의 정부
4. 외국의 비슷한 사례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사고 공화국(事故 共和國)은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김영삼 前 대통령이 집권하던 문민정부[1] 시절까지 안전불감증에 의한 각종 사건사고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면서 당시에 생겼던 문민정부를 조롱하는 표현. 이 시기에 사망한 피해자의 수가 총 1,488명이다.

2. 원인

성수대교 붕괴 사고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등 대부분 대한민국 역사상으로도 봐도 꽤나 큰 규모의 사고들이 짧은 간격으로 연달아 터지다 보니 워낙 임팩트가 커서 사고 공화국이라는 표현이 생겨나고 널리 퍼졌다.

사실 문민정부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억울하다고 할 수 있는 면이 있는데 사고라는 게 특정 정부 시기에 몰아서 난다고 해도 꼭 그 정부 탓만은 아니다. 특히 건물이나 구조물 붕괴 사고는 대부분 아무리 날림으로 지어져도 몇 개월도 못 버티고 무너지는 경우는 드물다. 당장 성수대교박정희 정부 말기인 1979년에 완공된 교량이고 삼풍백화점전두환 정부 말기인 1987년에 착공했으며 붕괴 원인으로 지목받는 부실 시공은 당시 날림에 가까웠던 건축 방식과 이를 묵인한 담당 공무원들, 그리고 말도 안 되는 관리가 겹쳐서 일어난 참사였음에도 노태우 정부 시절인 1989년에 정식 개장 후 무려 6년씩이나 버틴 끝에야 무너졌다. 사고의 본질적 원인은 대체적으로 5공화국이나 그 전 시기빨리빨리 문화를 바탕으로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된 일처리 관행에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며, 그것이 쌓여 시간이 흐른 후에 폭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아무리 이전 정부 시절 심어진 시한폭탄이 하필 재수없게 문민정부에 터졌다고 하더라도 관리 등의 면에서 보면 정부 책임을 완전히 피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성수대교 붕괴 사고 당시 과거 정부에 시공된 건축물이 무너진 것을 두고 김영삼이 23일 "부실기업 인수"나 "5000년 쌓인 부정의 결과" 등 책임을 이전 정부에 돌리는 발언을 했다가[2] 국회의원이던 박지원에게 '그럼 경복궁이 무너지면 흥선대원군 책임이냐?'라는 일갈을 들어야 했다. 즉, 그게 사실이든 아니든 억울해도 어쩔 수 없이 참고 그냥 전 정부 탓 없이 국민에게 사과하고 대책마련 등에만 집중했다면 욕을 덜 먹었을지도 모른다. 시간이 지나면 알아서 자연스레 '문민정부 문제보다는 그동안 쌓인 폐단이 터진 것이지 않느냐.'는 의견이 나왔을 것이고 말이다.

게다가 연이은 사고에 대한 문민정부의 대처는 빈말로도 옳다고 하기 어려웠다.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때는 애꿎은 소방관들에게 책임을 돌렸고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때는 철로 근처에서 통보도 없이 발파라는 테러나 다름없는 짓을 저지른 삼성종합건설과 한진건설의 운영진에게 면죄부나 다를 바 없는 솜방망이 처벌만 했으며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때는 앞에서는 최선의 조치를 약속했으나 뒤로는 정부 관계자가 유가족을 협박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심지어 백서도 일부를 빼고 편찬되지 않거나 내부 보고용/지방자치단체 홍보용으로 쓰여졌다.

3. 관련 사고

3.1. 문민정부

파일:우암붕괴.jpg
1993년 1월 7일, 청주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29명 사망, 48명 부상)[3]
파일:external/pds20.egloos.com/a0002301_4c621b6f526d3.jpg
1993년 3월 28일,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78명 사망, 140여명 부상)
1993년 6월 10일,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20명 사망)
파일:/pds/201008/11/01/a0002301_4c621b7213dff.jpg
1993년 7월 26일, 목포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68명 사망, 5명 부상)
파일:attachment/seoferry03.jpg
1993년 10월 10일,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292명 사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94%EC%84%B1%EC%88%98%EB%8C%80%EA%B5%90_%EB%B6%95%EA%B4%B4_%EC%82%AC%EA%B3%A001.jpg
1994년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 사고 (32명 사망, 17명 부상)
파일:20230904_165754.jpg
1994년 10월 24일, 충주 제5호 화재사고 (25명 사망, 33명 부상, 1명 실종)
파일:external/danmee.chosun.com/2013121002985_11.jpg
1994년 12월 7일, 서울특별시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12명 사망, 65명 부상, 1명 실종)
파일:/pds/201008/11/01/a0002301_4c621bedeea9b.jpg
1995년 4월 28일,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101명 사망, 202명 부상)
파일:attachment/삼풍백화점 붕괴사고/sampoongc.jpg
1995년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502명 사망, 937명 부상, 20명 실종)[4]
파일:korean 801.jpg
1997년 8월 6일,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5] (228명 사망, 26명 부상)

3.2. 국민의 정부

파일:지리산 폭우 참사.jpg
1998년 7월 31일~8월 1일, 지리산 폭우 참사 (103명 사망, 부상자, 실종자 인원수 미상)
파일:attachment/inchon_hof_01.jpg
1999년 10월 30일,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56명 사망, 78명 부상)

위 사례들을 보면 알겠지만 저 7년밖에 안 되는 시간에, 그것도 거의 1년에 1번씩 이상 일어난 (사망자수 20명 이상 기준) 참사들로 인한 사망자 수만 1,629명에 이른다. 애초에 재산피해만 났거나 인명피해가 저렇게 절망스러운 정도가 아니었다면 사고 공화국이란 말이 안 생겼을지도 모른다. 오죽하면 1994년 연말 건배사가 "내년에 살아서 만납시다"였을 정도였다. 이는 20세기가 끝날 때까지도 방송사들이 사용하였으며 21세기 카운트다운에서는 "사고공화국이라는 누명을 쓴 지난 세기를 발판 삼아 이제 21세기에서는 우린 더 이상 큰 참사가 나지 않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나가야 한다"라는 말까지 나왔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00년대 들어서 사망자수 20명 이상의 대형 참사들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후에도 대구 지하철 참사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이태원 압사 사고, 화성 일차전지 제조공장 화재 사고,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등 미흡한 대비나 안일함으로 발생했거나 피해가 커진 크고 작은 사건들이 여전히 자주 터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4. 외국의 비슷한 사례

비슷하게 대형 사건사고가 짧은 시기에 여러 번 일어난 사례를 서술한다.

5. 기타

1995년경에 건대노래패연합이 낸 민중가요 음반 <아침햇살 3집>에도 동명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808080,#ddd><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
여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정책 및 방향 신경제 5개년 계획 · 금융실명제 · 고용보험제 · 역사바로세우기 (12.12 군사반란 · 5.18 민주화운동 재조사 ·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하나회 숙청 · 지방자치제 재실시 · 농어촌특별전형 · 대학수학능력시험 · 금모으기 운동
평가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 논란이 있는 평가
타임라인
1993년 역사바로세우기 운동 · 하나회 숙청 · 신경제 100일 계획 발표 ·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 한총련 출범 ·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 한강 영화촬영 헬기 추락 사고 · 소말리아 평화유지군 파병 · 신경제 5개년 계획 확정 시행 · 율곡사업 비리 사건 ·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 1993 대전 엑스포 · 금융실명제 실시 · 우리별 2호 위성 발사 · 제1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 · 정부 제3청사 착공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 쌀 시장 개방 파동
1994년 1994년 재보궐선거 · 교육개혁위원회 구성 · 북미 제네바 합의 · 서울불바다 망언 · UR비준 반대시위 · 1994년 주사파 파동 · 1994년 폭염 ·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 지존파 사건 ·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 · 성수대교 붕괴 사고 · 충주호 유람선 화재 사건 ·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분당선 개통 · 환경부 개청
1995년 WTO 가입 · 도농복합시 제도 실시 · 쓰레기 종량제 실시 · KEDO 설립 · 영광 원전 3, 4호기 가동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출범 ·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 1995년 한국통신 파업 사태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 · 부동산 실명제 실시 · 고용보험제 실시 · 씨 프린스호 좌초사고 · 무궁화 1호 위성 발사 · 조선총독부 철거 ·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 중앙고속도로 일부 개통 · 광주비엔날레 개최 · 노태우 비자금 사건 · 앙골라 평화유지군 파병 ·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 민주노총 출범 · 도로명주소 시범사업 · 금산분리 도입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5.18 특별법 국회 통과
1996년 무궁화 2호 위성 발사 · 일산선 개통 · 국민학교초등학교 명칭 변경 시행 · 중소기업청 설립 · 노수석 사망 사건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이철수 대위 미그기 귀순 · 산아제한 인구정책 공식 폐지 의결 · 2002 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 확정 · 무함마드 깐수 간첩 사건 · OECD 가입 · 해양수산부·해양경찰청 개청 · 연세대 사태 · 페스카마호 선상 살인 사건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 최덕근 영사 피살 사건 · 막가파 사건 · 노동법 날치기 · 전두환 사형, 노태우 무기징역 선고
1997년 당산철교 철거 ·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 · 신창원 탈옥 사건 · 한보 사태 ·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 황장엽 망명 사건 · 이한영 암살 사건 · 청소년보호법 제정 · 이태원 살인 사건 · 공덕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청주국제공항 개항 · 이종권 치사 사건 · 이석 치사 사건 · 울산 광역시 승격 ·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 1997년 재보궐선거 · 청소년보호법 파동 · 박초롱초롱빛나리 유괴 살인 사건 · 한일어업협정 · 최정남·강연정 부부간첩 사건 · 외환 위기 발생 · IMF 구제 금융 신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제15대 대통령 선거 · 전두환, 노태우 특별사면
1998년 금 모으기 운동 · 노사정위원회 출범 · 금속노조 출범 · 김훈 중위 사건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김영삼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김영삼 참고
}}}}}}}}}}}}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colcolor=#000>사망사건명
2024년 12월 29일
179
2024년 6월 24일
23
2022년 10월 29일
159 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 韓 25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51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7년 3월 31일
22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
2014년 12월 1일
27 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12월 13일
22 제1인성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 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 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 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9월 11일
2,996 韓 28 9.11 테러
2001년 7월 24일
20 진주 관광버스 추락 사고
2000년 10월 27일
22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99년 10월 30일
56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1999년 6월 30일
23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1998년 10월 29일
27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
1998년 7월 31일~8월 1일
103
1997년 9월 3일 65 韓 21 베트남항공 815편 추락 사고
1997년 8월 6일 228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1996년 7월 26일
20 철원 군부대 산사태
1996년 4월 4일
21 양평 버스 추락 사고
1995년 8월 21일
37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1995년 6월 29일
502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4월 28일
101
1994년 10월 24일
29 충주 제5호 화재사고
1994년 10월 21일
32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3년 10월 10일
292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7월 26일
68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1993년 6월 10일
20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1993년 4월 19일
34 논산 정신병원 화재
1993년 3월 28일
78
1993년 1월 7일
28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1992년 10월 22일
28 대양하니호 침몰 사고
1991년 11월 3일
22 인제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11월 4일
21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9월 1일
25 영동고속도로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 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8년 3월 25일
22 안양 봉제공장 화재
1987년 11월 29일
115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 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3월 24일
29 영덕 시루봉 CH-53 추락 사고
1984년 1월 14일
38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 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
53 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 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
53 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 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 경산 열차 추돌사고
1981년 2월 28일
24 대림호 침몰 사고
1980년 6월 5일
23 광주 지하살롱 화재 사고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 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 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 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 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 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 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6월 28일
28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년 2월 22일
159 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 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4일
30 파크로버호 침몰 사고
1972년 12월 2일
53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 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191 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 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 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 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 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 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 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37 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 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0월 30일
48 산청 버스 추락 사고
1968년 1월 8일
41 함양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10월 16일
42 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 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9일
39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년 1월 14일
93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 서문시장 화재
1966년 1월 18일
22 중구 남산동 판자 아파트 화재
1964년 7월 29일
95+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 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 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 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 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 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 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 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7년 2월 22일
21 한강 미 공군 C-124A 추락 사고
1956년 1월 12일
66 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 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 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 행운환 침몰 사고
1953년 1월 9일
330 창경호 침몰 사고
1952년 11월 16일
25 강릉 공항 미 공군 C-46D 추락 사고
1952년 10월 16일
44 양평 미 공군 C-119C 추락 사고
1951년 7월 11일
94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 제13호 침몰 사고
1950년 6월 30일
23 부산 미 공군 C-54G 추락 사고
[ 194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 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8년 6월 8일
150 미군 독도 오폭 사건
1947년 8월 19일
23 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6년 10월 22일
59 어청도 기뢰 폭발 사고
1945년 9월 29일
73 대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000+
우키시마호 사건
}}} ||


[1] 90년대 전체로 보면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를 포함하지만 문민정부가 육해공 모두에서 사고가 나서 임팩트가 큰 것에 비하면 국민의 정부에서 발생한 사건사고는 대부분 화재사고로 인한 참사로 집중되어 있는 편이다.[2] 한겨레신문 1994년 10월 23일자에 "잘되면 문민 덕 못되면 과거 탓"[3] 사건 자체는 아직 신임 대통령 취임식 전, 즉 노태우 정부 말기의 일이지만 김영삼이 14대 대선 이후 당선자 신분이라 사고 공화국의 시발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취임식 전의 대형사고의 비슷한 예로 참여정부 출범 직전 국민의 정부 말기에 일어난 대구 지하철 참사이명박 정부 출범 직전 참여정부 말기에 일어난 숭례문 방화 사건 등이 있다.[4] 1953년 6.25 전쟁 정전 협정 체결 이후 지금까지 한국에서 일어난 사고들 중에서 가장 사망자가 많은 사고다. 두 번째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사고는 창경호 침몰 사고의 사망자 330명이다.[5]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사건은 아니지만 대한민국 국적기가 에서 추락해 많은 인명 피해가 났던 사건이다.[6] 덤으로 12월 29일에는 KLM 1204편 활주로 이탈 사고에어캐나다 익스프레스 2259편 동체 착륙 사고도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