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우리말
1.1. 연결어미 '-고'의 방언
북한과,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사용된다. 표준어 구어체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표준어가 아니다. '-도'가 '-두'로, '-으로'가 '-으루'로 변한 것 또한 북부, 중부에서 사용된다.2. 1자 한자어
2.1. 구(九), 9
2.2. 구(溝), 10^32
2.3. 구(球), 공
공처럼 둥근 도형을 말한다.
2.4. 구(區), 행정구역
2.5. 구-(舊): 옛날에 쓰던
옛 구'구-'라고 접두사로 쓰면 현재는 통용되지 않는 과거의 물건 또는 제도를 가리키는 말이 된다. 국명 중에서 '구-'가 붙은 것으로는 구소련이 유명하다. 그러나 정식 국명은 아니었다. 정식 국명에 舊가 붙은 사례로 마케도니아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FYROM)이 있었다.
반대말은 신(新)이다.
2.6. 구(句): 문장 성분
Phrase문장의 구성 성분 중 완전한 문장의 형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지칭한다. 완전한 문장을 이루는 것은 절(節, clause)이라고 부른다.
다음은 구의 예다.
이곳은 나무위키 내 구 항목이다.
"나무위키 내 구 항목" 부분을 따로 떼어 놓으면, 의미상으로는 이상하지 않지만, 서술어가 없기 때문에 완전한 문장이 아님을 알 수 있다.3. 한자
|
[1~10위] 사32 수27 기25 구 도 상20 경 유 장 정19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 중 한국 한자음으로 '구'라고 읽는 글자는 20자로 4번째로 많다.
- 久 (오랠 구)
- 九 (아홉 구)
- 口 (입 구)
- 句 (글귀 구)
- 救 (건질 구)
- 求 (구할 구)
- 究 (궁구할 구)
- 舊 (예 구)
- 丘 (언덕 구)
- 俱 (함께 구)
- 具 (갖출 구): '도구'(道具)가 이 글자를 쓴다. 1자 한자어로 '구'는 시체를 세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 區 (지경 구)
- 懼 (두려워할 구)
- 拘 (잡을 구)
- 構 (얽을 구)
- 狗 (개 구): 백구, 황구, 흑구 등. 이 한자가 들어간 대표적인 사자성어의 예로 토사구팽, 계명구도, 양두구육이 있다.
- 球 (공 구)
- 苟 (진실로 구)
- 驅 (몰 구)
- 龜 (땅 이름 구)
3.1. 鉤, 무기
사진은 호수쌍구
고대 중국에서 쓰였던 무기. 갈고리가 주 칼날이고, 손잡이 앞에는 월아라고 해서 초승달 모양의 보호장치가 있다. 당연히 모두 강철로 만들어져 있으며 손에 쥐이는 부분은 잡기 편하게 천 혹은 가죽으로 감겨져 있다. 앞뒤 모두 공격과 방어에 사용할 수 있지만, 그만큼 단련이 어렵고 세 방향이 무기로 되어 있는 위험한 구조 특성상 자칫 자신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물론 연병기에 비하면 훨씬 쉽다.
한 손이나 양 손으로 쓰는 경우가 있는 무기이기도 하다. 생김새에 따라서 호수쌍구(護手雙鉤), 매화구(梅花鉤), 녹각구(鹿角鉤), 구겸자(鉤鎌子) 등으로 나뉜다.
- 영화 와호장룡에서 양자경이 장쯔이를 상대로 다채로운 무기로서 승부하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에서 등장한다. 갈고리끼리 서로 걸어서 풍차처럼 휘두른다.[1]
- 모탈 컴뱃의 카발과 마바도가 이 무기를 쓴다.
- 영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에서 텐 링즈 병사들의 주무기 중 하나로, 전기충격이 가능하다.
- 삼국전기 5스테이지 보스 여몽이 쓰는데 끝부분이 다르다.
- 쿵후보이 친미의 원작 코믹스 후반부의 천람무도회 편에서, 을조(무기부문)의 결승전까지 올라간 조연 시바가 호수쌍구를 썼다.
- 귀곡가의 쌍둥이 외가권사 중 형인 위엔 거잉(元家英)이 이 무기를 쓴다.[2]
- 진삼국무쌍의 악진도 이 무기를 쓴다. 특정 차지기에서 와호장룡의 풍차 패턴을 사용한다.
- 포 아너의 여협(女侠, Nuxia)도 호수쌍구를 사용한다.
- 아바타 아앙의 전설에서 제트가 비벤더로써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형지물과 호수쌍구를 사용한다.
- 웹소설 삼국지에서 살아남기의 주인공 서준의 주무기다.
- 풍종호의『경혼기(驚魂記)』의 등장인물 청마군이 마혼구를 쓴다.
4. 외국어
4.1. Goo
점성이 있는 물체를 가리키는 영어 표현. 게임 매체에서는 슬라임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루이지 맨션 3에서는 젤리형 루이지를 '구이지'라고 불렀다.
4.2. 𒄞
gu4, gud, /gu/수메르어로 소를 뜻한다.
5. 이름
5.1. 구씨(具·丘·仇·邱), 한국의 성씨
6. 기타
6.1. goo, 일본의 포털 사이트
グー홈페이지
NTT그룹의 계열사인 NTT 레저넌트(NTTレゾナント)에서 운영하는 포털사이트. goo라는 이름은 ‘global network가 무한대(∞)로 확대돼 이어지는’ 것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Google과 철자가 비슷하지만 goo가 더 오래되었다.
6.2. Goo, 소닉 유스의 앨범
6.3. Goo, 게임 그레이 구의 등장 종족
6.4. 단위
6.4.1. 계란을 세는 단위
계란 1개를 계란 1구라 하기도 한다.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계란 또는 마카롱을 셀 때 '개'보다 '구'를 더 많이 쓴다.
6.4.2. 시신을 세는 단위
시신을 세는 말.
보통 '시신 ㅡ구가 있네'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