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6:05:20

심야버스(서울)

올빼미버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 심야A21
}}}}}}}}} ||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Night Bus
<colbgcolor=#3d5bab><colcolor=#fff> 노선 수 14개
정류소 수 6,451개
업체 수 30개
차량 수 <colbgcolor=#3d5bab><colcolor=#fff> 총량 139대
정규
(일반/저상)
예비
(일반/저상)
운행시간 23:10~익일 06:00
운임제도 단일요금제, 구간요금제, 환승할인제
운영제도 준공영제, 차량총량제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서울시 교통정보 시스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한국노총 서울시버스노동조합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서울지부

1. 개요2. 역사
2.1. 심야좌석버스, 심야도시형 (1992~2004)2.2. 심야전용버스 (2001~2004)2.3. 올빼미버스
2.3.1. 2013년 이후
3. 요금4. 운행 노선
4.1. 심야 자율주행 버스
4.1.1. 2023년4.1.2. 2024년
4.2. 심야 공항버스
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서울 심야 노선도(2022_12).svg파일:서울 심야 노선도(2022_12)_dark.svg
심야버스의 운행 노선(2023. 9. 기준)
서울특별시2013년 9월 12일에 신설한 심야버스 등급 시내버스. 바탕색은 짙은 파랑이며 노선번호 앞에 N이 추가된다. 별명은 올빼미버스.

번호체계는 N+기점권역+종점권역으로 한다.

2. 역사

2.1. 심야좌석버스, 심야도시형 (1992~2004)

90년대에 이미 서울에 심야좌석버스가 있었고, 번호는 900번대를 사용했다. 물론 지금은 일반버스 첫차가 출발할 즈음까지도 심야버스 막차가 움직이지만 그 때는 그 정도는 아니었고, 새벽 1~2시 즈음에 회차지를 통과하는 정도였다.

당시에는 심야좌석의 불법 운행이 심했다. 사람들이 많은 곳을 골라 다니기 위해 버스가 고장났다는 핑계로 승객을 태우지 않고 불법 회차를 했다. 또한 당시 심야버스는 일반버스보다 요금을 2배[1]로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불법으로 일반 좌석버스를 심야버스로 위장해 버스 번호를 마음대로 바꿨다. 이런 불법 버스 운행이 자행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버스 회사와 서울시는 발뺌했다.
  • 1992년 12월 14일, 심야좌석버스 운행을 개시했다. 오전 4시 30분 ~ 다음 날 오전 2시 00분 사이에 운행했고 운임은 평소에는 500원, 오전 12시~2시 사이에는 심야 할증으로 1000원이었다.
  • 그 뒤 경기도의 개발 등으로 인한 이주 증가로 심야좌석버스 열풍이 불었으나 신도시의 인구 증가로 인한 구간 수요 증가에 따른 단거리 이동 시 좌석버스 요금의 부담과 지하철 개통으로 수요가 감소하자 심야좌석버스 운행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2001년 2월 4일 심야좌석 907번(일산신도시 월마트 ~ 서울역)의 도시형 전환을 시작으로 수요 부족으로 몰락한 심야좌석버스들이 속속 도시형으로 전환하며 수요가 높아져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시간이 흘러 6년 뒤인 2007년 5월 15일 부산시 버스 준공영제 때 주간에는 좌석버스, 심야에는 심야좌석버스였던 노선이 도시형버스 심야운행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생겨 도시형버스 심야운행 체계가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동남권에도 도입되었다.

2.2. 심야전용버스 (2001~2004)

  • 심야 시간 택시의 승차거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기존 심야좌석버스의 수요가 늘어 종전 노선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게 되자, 지하철이 끊긴 심야 시간에 심야좌석버스를 이용하기 힘든 취약 지역의 편의를 위해 심야버스가 필요한 지역에 심야전용버스를 신설했다. 이 버스는 주간 노선을 바탕으로 주간 노선이 끊긴 후에 운행했고, 주간 노선과 노선이 다른 경우도 있었고, 같은 경우도 있었다.
  • 시행은 2001년 9월 27일부터였으나, 그 이전인 2000년 12월 6일 6006번[2] 직행좌석버스가 분당 지역을 위해 심야 노선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
  • 이 때 선정된 노선은 도시형은 32번(서울시청 → 상계역), 55번(구리시 - 서울역), 412번(방화동 - 영등포역), 555-2번(마천동 - 강남역), 좌석버스는 68번(방화동 - 미도파), 129-1번(양천구청 - 신촌), 797번(의왕시 고천동 - 신세계), 917번(성남시 금광동 - 혜화동), 1007번(하남시 - 광화문)이었고, 이후 2001년 12월 3일 좌석 760번(김포공항 - 제일생명사거리), 좌석 765번(남양주시 마석 - 경동시장)이, 2002년 4월 1일 도시형 83-1번(수서역 - 광화문), 좌석 72-2번(일산신도시 - 미도파)이 추가 지정되었다.
  • 심야전용버스와 별개로 2002년 9월에는 좌석 3030번(군포공영차고지 - 논현역)이, 2002년 11월에는 좌석 1000번(일산신도시 - 서울역)이, 2004년 4월에는 좌석 2000번(탄현ㆍ중산 - 서울역)이 심야 운행을 개시했다.[3]

2.3. 올빼미버스

2.3.1. 2013년 이후

2013년 1월 서울특별시의 교통 공백 시간대인 자정~5시 사이에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을 만들겠다는 서울시의 발표가 있었다. 관련 기사 5월부터 2개 노선을 시범 운영 후 7월부터 8개 노선으로 확대 실시하고, 신설 심야 노선에는 밤(Night)을 뜻하는 N이 붙는다.

심야 시간 통신 사용량을 분석해 주 수요처를 찾고, 이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빅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계획적인 노선 덕분에 심야 운행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많다.

4월 10일 구체적인 시범 운영 계획이 발표되었는데, 4월 19일부터 약 3개월간 시범 운영하고, 시범운영 노선은 N26번(중랑공영차고지~강서공영차고지), N37번(송파공영차고지~진관공영차고지)으로, 각각 6대로 운행하고 배차 간격은 35~40분으로, 첫 · 막차 시각은 각각 00:00/03:10으로 설정되었다. 시범 기간 동안엔 당시 일반버스와 같은 운임(당시 성인 교통카드 기준 1,050원)을 받았다.

그리고 N26과 N37의 이용객이 증가하자, 동년 7월 초 정식 도입을 결정했고, 원래 7월 중순에 정식 운행 예정이었으나, 택시업계의 반발에 부딪히는 등 차질을 빚어 9월 9개 노선을 확정해 9월 12일 정식 운행을 시작했고, 이때부터는 별도의 심야버스 운임을(당시 성인 교통카드 기준 1,850원) 받게 되었다.

이 노선들이 만들어질 때도 차량총량제의 예외는 없었고 평시 노선에 있던 차량을 차출했다. 이때 예비차가 아닌 평시 운행하던 차량들도 차출했기 때문에, 일부 노선들은 운행 횟수가 줄어 배차 간격이 길어지는 영향을 받았다. 비록 일반인들은 신경을 잘 쓰지 않는 부분[4]이긴 했으나, 상세 내용을 알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다시금 차량총량제에 관한 비판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심야버스는 상업 광고 방송을 하지 않는다. 이와 별개로 일부 정류장은 정류장 간 거리가 짧아 교통이용정보 방송 후 다음 정류장 방송이 제대로 안 나오는 경우도 있다.

여러 업체가 공동 배차를 하는 노선이 많다 보니 업체의 원래 소재지와 노선의 본거지가 다른 노선도 있다.[5]

N30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은 출발지별로 인가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동일한 노선이어도 기점이 다른 차량으로 갈아타면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N37번은 한국brt 측 노선은 전산상 "N37송파", 제일교통 측 노선은 전산상 "N37진관"으로 되어 있다는 것. 이 때문인지 한때 N30번을 제외한 모든 심야버스 노선이 서울 버스 전산상에서 2312번, 4318번과 함께 기점에 따라 분할된 적이 있었고, 티머니교통카드를 사용하고 해당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사용 내역을 조회하면 노선번호 란에 노선번호와 출발지명이 함께 나온다. (예시 - N31강동)

심야버스는 주로 버스 회사에서 퇴직한 촉탁직 운전사들이 운행하며, 젊은 기사들은 거의 스페어(예비) 기사들이다.

버스 터미널(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터미널, 서울남부터미널)로 가는 노선이 없었으나, 노선 신설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센트럴시티를 경유하는 N75번서울남부터미널을 경유하는 N61번이 생겼다. 동서울터미널은 아직 직접 경유하는 노선이 없으나, 도보 10분 거리에 있는 '잠실대교북단' 정류소에 N73번이 지나게 되면서 심야버스 이용 자체는 가능하게 되었다.

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대상 업체에서 운행하는 노선이라도, 심야버스는 예외로 현금 승차가 가능하다.

3. 요금

2024년 기준이다.
현금 카드
성인 2,500원 2,500원
청소년 1,800원 1,600원
어린이 1,400원 1,400원

4. 운행 노선

이 노선들은 시내버스로 환승할인이 가능하다.
번호 기점 종점 주요 경유지 배차(분)
N13 상계주공7단지 복정역환승센터 태릉입구역ㆍ석계역ㆍ청량리역ㆍ동대문ㆍ약수역ㆍ강남역ㆍ잠실역 20~30
N15 우이동 남태령역 수유역ㆍ성신여대ㆍ종로2~6가ㆍ서울역버스환승센터ㆍ노량진역ㆍ신림역ㆍ사당역 15~30
N16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온수공영차고지 수유역ㆍ성신여대ㆍ충무로역ㆍ서울역(서부)ㆍ공덕역ㆍ여의도환승센터ㆍ영등포역ㆍ개봉역 20
N26 중랑공영차고지 강서공영차고지 청량리역ㆍ종로1가~6가ㆍ아현역ㆍ홍대입구역ㆍ당산역ㆍ염창역ㆍ송정역 20~25
N30 강동공영차고지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고덕역ㆍ천호역ㆍ군자역ㆍ신설동역ㆍ동대문ㆍ을지로2~6가ㆍ남대문시장 35~40
N31 강동공영차고지 국민대학교 상일동역ㆍ암사역ㆍ잠실역ㆍ삼성역ㆍ강남역ㆍ한남동ㆍ이태원ㆍ롯데영프라자ㆍ혜화동ㆍ아리랑고개 35~40
N37 복정역환승센터 진관공영차고지 수서역ㆍ대치역ㆍ강남역ㆍ종로2가ㆍ독립문역ㆍ녹번역ㆍ연신내역 30
N51 시흥동 하계동 구로디지털단지역ㆍ신도림역ㆍ영등포역ㆍ홍대입구역ㆍ광화문ㆍ동대문ㆍ고려대ㆍ인덕대 30
N61 양천공영차고지 상계주공7단지 개봉역ㆍ신림역ㆍ사당동ㆍ남부터미널ㆍ강남역ㆍ삼성역ㆍ건대입구역ㆍ군자교ㆍ중화역ㆍ태릉입구역ㆍ상계백병원 10~20
N62 양천공영차고지 면목8동(중화중학교) 목동역ㆍ염창역ㆍ홍대입구역ㆍ아현역ㆍ서소문ㆍ종로2가~6가ㆍ동대문역사문화공원ㆍ왕십리역ㆍ건대입구역ㆍ군자역 15~20
N64 강서공영차고지 염곡공영차고지 화곡역ㆍ영등포역ㆍ신길역ㆍ노량진역ㆍ숭실대ㆍ서리풀터널ㆍ강남역ㆍ구룡사 25~30
N72 은평공영차고지 중랑공영차고지 DMCㆍ월드컵경기장ㆍ홍대입구역ㆍ공덕역ㆍ신당역ㆍ동묘앞ㆍ청량리역ㆍ전농로터리ㆍ사가정역ㆍ상봉역ㆍ양원리 25~40
N73 구산동 선진운수종점 복정역환승센터 응암역ㆍ성산2동ㆍ홍대입구역ㆍ아현역ㆍ서소문ㆍ을지로ㆍ왕십리역ㆍ건대입구역ㆍ잠실역ㆍ오금역ㆍ위례신도시 35
N75 진관공영차고지 신림2동차고지 연신내역ㆍ명지대ㆍ아현역ㆍ광화문ㆍ서울역ㆍ삼각지역ㆍ고속터미널ㆍ강남역ㆍ남부터미널ㆍ사당역ㆍ신림역 25~30

4.1. 심야 자율주행 버스

4.1.1. 2023년

2023년 12월 4일 서울시에서 세계 최초 자율주행 심야버스가 개통했다.
번호 기점 종점 주요 경유지 배차(분)
심야A21 합정역 동대문역.흥인지문 홍대입구역ㆍ신촌역ㆍ이대역ㆍ아현역ㆍ충정로역ㆍ서대문역ㆍ 광화문ㆍ 종로1가~6가 평일, 공휴일 70분

4.1.2. 2024년

2024년 10월 160번도봉산역 ~ 영등포역 구간을 160번 첫차보다 이른 시간에 운행하는 자율주행 노선인 새벽A160번이 개통했다.
번호 기점 종점 주요 경유지 배차(분)
새벽A160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영등포역
방학역ㆍ미아역ㆍ돈암사거리ㆍ혜화역ㆍ광화문ㆍ충정로역ㆍ 공덕역ㆍ 여의도환승센터 || 평일 1회 ||

4.2. 심야 공항버스

아래 노선들은 심야 공항버스 노선으로, 공항버스라 환승 할인이 안 되고, 아래에 나온 정류장에만 정차하며, 흑석역신용산역은 공항으로 갈 때만 정차한다.

요금은 목적지 관계 없이 송정역을 뺀 다른 곳에서 타면 N6000ㆍN6001ㆍN6002번은 어른 17,000원ㆍ어린이 10.000원, N6701ㆍN6703번은 어른 18.000원ㆍ어린이 12.000원이고, 송정역에서 타면 노선 관계 없이 어른 10,000원ㆍ어린이 6,000원이다.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간격
N6000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인천공항T1 흑석역[A]ㆍ염창역ㆍ송정역 50~60
N6001 서울역 인천공항T1 신용산역[A]ㆍ염창역ㆍ송정역 50~55
N6002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역 인천공항T2 시간에 따라 다르므로 홈페이지 참조
1차(서울고속버스터미널발)
2차(서울역발)
-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간격
N6701 인천공항T2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마포역서울역을지로입구역 115~130
N6703 인천공항T2 잠실역, 롯데호텔 월드 반포종합운동장ㆍ코엑스삼성역 115~125
===# 맞춤버스 #===
====# 2017년 #====
아래 두 노선은 2017년 12월 8일부터 2018년 1월 1일까지 새벽에만 운영되었던 맞춤 심야버스이다. 운영 요일은 수요일에서 일요일까지였다. 단, 공휴일인 12월 25일(성탄절)과 1월 1일 새벽에는 운행했다. 이후에는 폐선되었다.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분)
N854 전원마을 건대입구역 사당역이수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강남역역삼역학동역 35~45
N876 은평공영차고지 여의도환승센터 디지털미디어시티역새절역홍대입구역합정역당산역영등포역 35~45
====# 2018년 #====
2018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행하며, 12월 25일은 화요일이지만 심야버스의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추가 운행한다. 2017년과의 차이점은 N854를 N824와 N854의 두 노선으로 분할했고, N876은 홍대입구 이후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구로구 지역에 N866이 신설되었다.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분)
N824 성수동 강남역 건대입구역청담역강남구청역학동역논현역신논현역역삼역 25
N854 신림동 강남역 신림역서울대입구역사당역방배역교대역신논현역역삼역 25
N866 구로동 여의도환승센터 남구로역구로디지털단지역신풍역ㆍ신길동ㆍ영등포역여의도역 25
N877 새절역 홍대입구역 북가좌동ㆍ응암동ㆍ명지대ㆍ연희동ㆍ연남동 25
====# 2019년 #====
2019년 12월 18일부터 2020년 1월 12일까지 수요일부터 일요일에 운행하며 기존에 심야버스가 들어가지 않던 이태원 일원에 심야버스를 한시적으로 운영했다.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분)
N850 대학동차고지 이태원역 서울대입구역사당역이수역내방역강남역역삼역학동역신사역 25~35
====# 2020년 #====
2020년에는 2020년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연말 모임 자제령이 내려짐에 따라 심야맞춤버스가 운행되지 않았다.
====# 2021년 #====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2년만에 다시 맞춤 심야버스가 신설되었으며 당해 12월 한 달동안 한시적으로 운행되었다. 관련 게시물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분)
N840 남태령역 이태원역 사당역ㆍ강남역ㆍ이태원역 35~45
N852 대학동차고지 건국대학교 사당역ㆍ강남역ㆍ건대입구역
N876 은평공영차고지 영등포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새절역홍대입구역합정역당산역영등포역

5. 기타

  • 2018년 7월 21일 KBS 다큐멘터리 3일에서 심야버스를 다뤘다. 이 방송에 따르면 노선마다 주 승객이 다르다고 한다. 예로 N30번은 심야나 새벽에 동대문시장으로 출근하여 장사를 시작하려는 상인 및 일찍 물건을 사러 나가는 사람들이나 강동 지역의 인력업체로 가려는 일용직 노동자들이 많다.
  • 한적한 새벽의 이미지와는 달리 대부분의 노선들이 터져 나간다. 새벽에 이동하는 수요가 적진 않은데, 심야버스를 제외하면 요금이 비싼 택시밖에 없는데다가 노선 수가 적고 배차간격이 길기 때문. 대리운전 기사들도 이동 시 유용하게 쓰고 있다.
  • 일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가 시계 밖 경기도 구간을 운행하는 반면, 심야버스 노선은 준공영제 이후에 정책적으로 신설된 신규노선들이라서 그런지 모든 노선이 전부 서울특별시 안에서 끊긴다. 때문에 안양시, 의왕시, 과천시, 광명시, 군포시, 부천시, 성남시, 하남시, 남양주시, 구리시, 의정부시, 양주시, 고양시, 파주시 등과 같이 평시에 서울특별시 시내버스가 들어오는 지역도 심야버스 신설의 직접적 수혜로부터는 소외되었다. 그렇지만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 몇 개는[8] 서울 심야버스의 신규 운행 한참 전부터 01시대 또는 02시대에 서울 내에서 회차하여 경기도로 나가는 식으로 심야운행을 하고 있었고, 여기에 2019년 김포시와 성남시에서 자체 심야버스의 운영을 시작하고 2022년엔 경기도 차원에서 직접 지정·관리하는 심야 광역버스가 몇 개 신설되는 등 환승연계를 통한 심야 이동은 서울 심야버스 운행 초창기에도 어느정도 가능했고, 이후에도 계속 서울-경기 심야이동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었던 끝에 현재에 이른다. 서울의 심야버스 신설이 훗날 행해진 경기도의 심야 대중교통 확충 움직임에 아무 영향이 없었을 것으로 보지 않는 이상, 서울시계 바깥 지역도 간접적 수혜는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e1932><tablewidth=100%>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순환 간선 지선 광역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심야
]]
마을 맞춤 공항
0~50번 51~99번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400번대 500번대 600번대
700번대 800번대 900번대 1000번대~
맞춤 마을
관련 문서
역사 /1970년 개편 이전 /2026년 개편 계획비판 및 문제점노선 조정 내역업체 목록 /공항버스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EA2> 파일:박원순-투명파일.svg박원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EA2,#008CCD> 생애 생애
가족 아버지 박길보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자질 및 행보)
사건 사고 성폭력 사건 · 사망 사건 (논란) · 텔레그램 메시지 공개 사건
정책 아름다운가게 · 희망제작소 · 제로페이 · 전국민고용보험 · 서울디자인거버넌스 · 서울로7017 · 서울식물원 · 문화비축기지 · 따릉이 · 올빼미버스 · 서울시50플러스재단 · 서울밤도깨비야시장 · 국제교류복합지구 · 노들꿈섬 · 서울혁신파크 · 서울기록원 · 서울함 공원 · 백년다리 · 서울케어 · 서울교통공사 · 희망서울ㆍ함께서울 · I·SEOUL·U · 여성안심마을 · 여성안심보안관
기타 박원순계 · 스나이퍼 박 · 피해호소인 · 안이박김 · '씨발련아' 드립 · 박원순 폭행녀 · 박원순 죽이기 · 마로니에 립싱크 사건 · 실사판 타요 버스 · 첫 변론
}}}}}}}}} ||



[1] 1993년 서울 좌석버스 요금은 550원, 심야버스 요금은 1000원이었다.[2] 같은 날 66-1번 시내버스에서 형간전환되었다.[3] 다만 2000번은 903-1번 시내버스가 업체 사정으로 심야 운행을 못 하게 되자, 신성교통이 자사 노선인 912, 922번을 감차해 만든 노선이다.[4] 버스 동호인이 아닌 이상 노선별 차량 배속 대수 등을 아는 일은 거의 없고, 노선버스에 대한 인허가 내용을 담은 관련 공문을 열람하는 것에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5] 제일교통/흥안운수/선진운수 - 장지동, 우신운수 - 우이동, 관악교통/한국brt/영인운수 - 상계동, 경성여객/삼화상운 - 신정동, 양천운수 - 도봉동, 범일운수 - 하계동, 삼성여객/메트로버스 - 개화동, 도원교통(양천) - 면목동, 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보광교통 - 신내동, 북부운수 - 수색동, 대원여객 - 정릉동, 대진여객 - 강일동, 공항버스 - 염곡동 등[A] 인천공항 방면만 정차[A] [8] 대표적인 예시로 안산 320번, 부천 700번, 군포 3030번, 하남 9301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