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6 08:17:55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1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
{{{#!wiki style="margin:-8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파일:logoHomeSc-removebg-preview (1).png '''''' }}}
급수별 배정한자
8급
50字
7급Ⅱ
100字
7급
150字
6급Ⅱ
225字
6급
300字
5급Ⅱ
400字
5급
500字
4급Ⅱ
750字
4급
1,000字
3급Ⅱ
1,500字
3급
1,817字
2급
2,355字
1급
3,500字
특급Ⅱ
4,650字
특급
5,978字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문제 유형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목록
2.1. ㄱ2.2. ㄲ2.3. ㄴ2.4. ㄷ2.5. ㄹ2.6. ㅁ2.7. ㅂ2.8. ㅅ2.9. ㅇ2.10. ㅈ2.11. ㅊ2.12. ㅌ2.13. ㅍ2.14. ㅎ
3. 총합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를 기준으로 1급에 추가되는 한자 목록이다. 쓰기 한자는 인명용 한자를 제외하고 2급 한자까지 배정되었다.

}}} 대부분 일상에서 한 두 번 들어봤을 법한 단어들인데 "아, 그 단어에 쓰인 게 이 한자였군."하면서 깨닫게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에 해당하는 한자는 그 일부를 주석으로 안내하였다. 고유명사용 한자가 잔뜩 배정된 2급에 비해 쉽게 느낄 수도 있다. 물론 모든 한자가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것은 아니고 한의학에서만 쓰는 (산증 산), 불교에서만 쓰는 (가사 가) 등과 같이 특정한 분야에서만 쓰이거나 생활에서 잘 안 쓰이는 글자, 특정한 단어 한두 개 정도에만 쓰는 한자도 많긴 하지만 그래도 각종 매체에서 한 번씩은 들어봤을 법한 단어들에 이 급수 한자들이 많이 등장한다. 극히 예외로 , , , , , , , 처럼 여러 단어에 널리 쓰이는 1급 한자도 있다.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에서도 심심찮게 1급 한자들이 등장하므로 1급을 공부한다면 내용 이해가 수월해지는 것은 사실이다. 일본어에서는 아래 1급 한자들 가운데 260자 정도만이 상용한자에 실려 있다.

또한 사자성어나 고사성어에도 자주 포함된다.(구, 정맹어호, 갑론을, 견지간, 계, 굴묘시, 토중래, 만신, 곡곡, 수방관, 십일반, 아비규, 연실색, , 오이어, 와상담, 여곡절, 우후죽, 적반하, 지처, 주객도, 진, 산중, 칠팔기, 폐월화, 허랑방, 가호위, 호시, 혼비산, 연일체, 화룡점 등.)

2. 목록

2.1.


아름다울 가

꾸짖을 가:

시집갈 가

심을 가

가혹할 가:

가사 가[33]

멍에 가(:)[34]

성 가

삼갈 각

껍질 각

간사할 간

개간할 간

산골물 간:[35]

간질 간(:)[36]
竿
낚싯대 간

어려울 간

간할 간:[37]

가릴 간:

꾸짖을 갈[38]

다할 갈

갈색/굵은베 갈

견딜 감

귤 감

감질 감[39]

굽어볼 감

감색/연보라 감[40]

헤아릴 감

갑 갑[41]

수문 갑[42]

속빌 강

슬플 강:

겨 강

생강 강

성낼 개:

물댈 개:

개선할 개:[43]

낱 개(:)[44]

겨자 개

국 갱:

추렴할 거:
추렴할 갹[45]

개천 거

거만할 거:

수건 건

힘줄 건

공경할 건:

겁낼 겁

위협할 겁

불시 게:[46]

격문 격[47]

가슴 격

박수 격[48]

고치 견:

꾸짖을 견:

두견새 견

굳셀 경

고래 경

깨달을/동경할 경:

목 경

줄기 경

정강이 경

경쇠 경:[49]

경련 경

줄기/막힐 경:

두근거릴 계:

두드릴 고

허물 고

바지 고:[50]

칠 고

두드릴 고

넓적다리 고

울 고[51]

기름 고

고질 고

막을 고

수갑 곡

고니/과녁 곡/혹

맏 곤

몽둥이 곤

곤룡포 곤:[52]

골몰할 골
물이름 멱

굳을 공

팔짱낄 공:

낱알 과

둘레 곽
클 확

외관 곽[53]

콩잎/미역 곽

널 관[54]

광대뼈 관

물댈 관

긁을 괄

묶을 괄

빌 광:

뫼구덩이 광:

바룰 광[55]

오줌통 광

줄 괘

점괘 괘

후릴 괴

괴수 괴

어그러질 괴

팔뚝 굉

울릴/수레소리 굉

클 굉

흔들 교

물/새소리 교

높을 교

교만할 교

가마 교

교룡 교[56]

달밝을 교

교활할 교

아리따울 교

모날/법 구

망아지 구

비둘기 구

시아비/외삼촌 구

구기자 구

마구 구[57]

도적 구

게울 구(:)[58]

원수 구[59]

때 구[60]

네거리 구

갈고리 구

절구 구

때릴 구

도랑 구[61]

뜸 구:

몸 구[62]

널 구[63]

노래 구

험할 구

군색할 군:[64]

몸 궁

하늘 궁

돌볼 권:

거둘/말 권

게으를 권:

일어설/넘어질 궐[65]

무너질 궤:

속일 궤:

안석 궤:

궤짝 궤:

책상 궤:[66]

길거리 규

아욱/해바라기 규

엿볼 규

규소 규

귤 귤

틈 극

이길 극[67]

창 극

가시 극

주릴 근:

뵐 근

옷깃 금:

사로잡을 금

이불 금:

거둘 급
꽂을 삽

물길을 급

자랑할 긍:

뻗칠 긍:
베풀 선[68]

비웃을 기

살 기

비단 기

구기자 기

돌 기[69]

험할 기

기생 기:

재간 기

굴레/나그네 기

즐길 기

뙈기밭/불구 기[70]

일할 길
ㄱ: 174자

2.2.


먹을 끽
ㄲ: 1자

2.3.


잡을 나:

나약할 나:

잡을 나:

푸닥거리 나[71]

더울 난:[72]

꾸밀 날[73]

누를 날

기울 납[74]

주머니 낭

비빌 년

열반 녈
검은물들일 날[75]

쇠뇌 노[76]

둔한말 노[77]

고름 농

휠 뇨[78]:

말더듬거릴 눌

맺을 뉴

숨길 닉
ㄴ: 18자

2.4.


새알 단:

소쿠리 단

비단 단

때릴 달

황달 달[79]

참담할 담

흐릴 담

맑을 담

가래 담:

클/말씀 담[80]

뒤섞일 답

칠 당

아가위 당[81]

버마재비 당[82]

들 대

자루 대

찧을 도

도금할 도:

밟을 도

내기 도

포도 도

빌 도

볼 도

물결 도

죽일 도

쌀일 도

흔들 도

담 도

물넘칠 도
禿
대머리 독

도랑/더럽힐 독

엉길 돈

아플 동:

눈동자 동:

큰창자/몸통 동

동경할 동:

투구 두
도솔천 도[83]

역질 두

볼기 둔

숨을 둔:

귤/걸상 등
ㄷ: 41자

2.5.


순라 라[84]

소라 라[85]

게으를 라:

문둥이 라:[86]

낙타 락

지질 락

쇠젖 락

물결 란

난새 란[87]

발랄할 랄[88]

매울 랄

대바구니 람

밀 랍

섣달 랍

이리 랑:

재주 량

기장 량[89]

짝 려:

어그러질 려:

거를 려:

마을 려

검을 려

스밀 력

조약돌 력

가마 련

거둘 렴:

염할 렴:[90]

발 렴[91]

나이 령

옥 령[92]

쾌할 령

방울 령

사로잡을 로

노략질할 로

건질 로

산기슭 록

푸른돌 록

밭두둑 롱:

귀먹을 롱

옥소리 롱

뇌물 뢰

돌무더기 뢰

우리 뢰

꼭두각시 뢰:

횃불 료

밝을 료

애오라지 료[93]

쓸쓸할 료[94]

동관 료

보루 루[95][96]

더러울 루:

유리 류

처마물 류

혹 류:

죽일 륙

빠질 륜

벼리 륜

떨릴 률[97]

갈빗대 륵

굴레 륵[98]

찰 름[99]

모날 릉

비단 릉[100]

업신여길 릉

마름 릉

영리할 리

울타리 리[101]

다스릴 리[102]

속될 리:

속 리:

이질 리:

걸릴 리[103]

아낄 린

비늘 린

도깨비불 린[104]

짓밟을 린

임질 림[105][106]

삿갓 립[107]

낟알 립
ㄹ: 79자

2.6.


고요할 막

끌/애도할 만:

만두 만

덩굴 만

뱀장어 만

만 만:[108]

굽을 만

당길 만:

속일 만

지울 말

물거품 말

버선 말

까끄라기 망[109]

멍할 망

그을음 매

꾸짖을 매:

갈 매

어리석을 매

어두울 매

잘 매:

움 맹[110]

목화 면

곁눈질할 면:

멀 면(:)[111]

국수 면[112]

바다 명

그릇 명:[113]

멸구 명[114]

저물 명

술취할 명:

소매 몌[115]

더듬을 모

수컷 모[116]

모호할 모[117]

소모할 모
歿
죽을 몰

고양이 묘:

그릴 묘:

아득할 묘[118]

아득할/물질펀할 묘:[119]

무당 무:

거칠 무

이랑 무:
이랑 묘:

말 무[120]

어루만질 무(:)[121]

엄지손가락 무:

어루만질 무:[122]

속일 무::

모기 문

쓰러질 미

장미 미

아첨할/예쁠 미[123]

답답할 민

고요할 밀
ㅁ: 54자

2.7.


팔뚝 박

두드릴 박

얽을 박

발 박

칠 박

벗길 박

호박 박[124]

순박할 박

지게미 박[125]

논박할 박[126]

쟁반 반[127]

아롱질 반[128]

백반 반[129]

얽어맬 반

밭두둑 반[130]

서릴 반

나눌 반

더위잡을 반[131]

버릴 반

밟을 발

노할 발

가물 발

술괼 발

물뿌릴 발

다스릴 발

헤맬 방(:)[132]

삽살개 방

헐뜯을 방:

동네 방

오줌통 방

도울 방[133]

밝을 방

기름 방

방붙일 방:[134]

다목 방[135]

모실 배:

아기밸 배

물결칠 배

어정거릴 배

넋 백

비단 백

울타리 번

불을 번

돛 범:

불경 범:

넘칠 범:

뜰 범:

버릇 벽

쪼갤 벽

열 벽

엄지손가락 벽

구슬 벽

자라 별

눈깜짝할 별

병 병[136]

떡 병:

보살 보

작은성 보:

보 보
스며흐를 복[137]

전복 복

종 복[138]

길 복[139]

바퀴살 복
바퀴살 폭

칼날 봉

봉화 봉

받들 봉

막대 봉

부의 부:

부마 부:[140]

부고 부:

연꽃 부

육부 부[141]

도끼 부[142]

부두 부:

분부할/불 부

쪼갤 부:

구부릴 부:

알깔 부

꾸밀 분

눈날릴 분

동이 분[143]

불사를 분

분부할 분:

뿜을 분
忿
성낼 분:

똥 분
彿
비슷할 불

사다리 붕

붕사 붕

묶을 붕

헐뜯을 비

비상 비:

죽은어미 비[144]

더러울 비:

비유할 비:

도울 비

팔 비:

지라 비(:)[145]

물총새 비:

사립문 비

쭉정이 비:

저릴 비

비파 비

끓을 비:
용솟음할 불[146]

고단할 비:[147]

비수 비:

바퀴/날 비

덮을 비:

비단 비:

빈소 빈

물가 빈

궁녀벼슬이름 빈

찡그릴 빈

물가/가까울 빈

비길 빙
ㅂ: 115자

2.8.


적을 사

사향노루 사:

사당 사

비단 사

이을 사:

사치할 사

춤출/사바세상 사

옮길 사:

쏟을 사(:)[148]

사자 사(:)[149]

도롱이 사[150]

산증 산[151]

산호 산

깎을 산

뿌릴 살

죽일 살[152]

보살 살

스밀 삼

떫을 삽

시원할 상:

날 상[153]

잔 상[154]

홀어미 상

옥새 새

아낄 색

희생 생

생질 생

풀 서:

깃들일 서:[155]

무소 서:

서로 서

감자 서:

기장 서:

섬 서(:)[156]

새벽 서:

쥐 서:

사위 서:

개펄 석

부채질할 선

무쇠 선

선물/반찬 선:

부러워할 선:
무덤길 연:

부채 선[157]

샘 선[158]

가루 설

샐 설

샐 설
퍼질 예

파낼 설

번쩍일 섬

다죽일 섬

깰 성[159]

퉁소 소

흙빚을 소

거스를 소

노닐 소

쓸쓸할 소

피부병 소

성길 소

깨어날 소[160]

얼레빗 소[161]

밤 소

긁을 소

속죄할 속

겸손할 손:

두려울 송:

부술 쇄:

뿌릴 쇄:[162]

모을 수

형수 수

수자리 수[163]

뼛골 수

갚을 수

소매 수

부끄러울 수

사냥할 수

수놓을 수:

순수할 수

세울 수[164]

이삭 수

여윌 수

원수 수[165]

이를 숙

콩 숙

글방 숙

전국술 순

죽순 순

길들일 순

무릎 슬

정승 승

감 시:

숟가락 시:

시집 시[166]

윗사람죽일 시:

시기할 시

시호 시:

승냥이 시:

불꺼질 식

좀먹을 식

씻을 식

섶 신

빠를 신

큰조개 신

불탄끝 신:

대궐 신

아이밸 신

읊조릴 신

물을 신:

다 실[167]

열사람 십
세간 집[168]
ㅅ: 109자

2.9.


의심할 아

마을 아

벙어리 아(:)[169]

아까 아[170]

흰흙 악

놀랄 악

턱 악

늦을 안:

안장 안:

누를 안(:)[171]

돌 알

삐걱거릴 알

숨을 암:[172]

암자 암[173]

높을 앙[174]

원망할 앙

모 앙

원앙 앙

언덕 애

희미할 애

좁을 애

아지랑이 애:

잡을 액

겨드랑이 액

목맬 액

앵두 앵[175]

꾀꼬리 앵

야유할 야:

풀무 야:[176]

아비 야

꽃밥 약[177]

물리칠 양:

병/근심할 양:

술빚을 양

가려울 양:[178]

헐 양

옥 어[179]

막을 어:

어혈질 어:[180]

가슴 억

둑 언

언문/속담 언:

가릴 엄:

문득 엄:

엄연할 엄

풀 역

솔개 연[181]

버릴 연:

대자리 연

서까래 연[182]

불꽃 염[183]

고울 염:

어린아이 영

이를 예:[184]

끌 예:

더러울 예:

후손 예:

깊을 오(:)

한할 오:

다섯사람 오:[185]

잠깰 오

쌓을 온:

막을 옹

그릇될 와:

소용돌이 와

달팽이 와

순할/아름다울 완:

완연할 완

즐길 완:

팔뚝 완(:)[186]

성 완:[187]

완고할 완[188]

굽을 왕:

난쟁이 왜

높고클 외

외람할 외:

시끄러울 요

고요할 요:[189]

기와가마 요[190]

맞을 요

넉넉할 요

요행 요

오목할 요

우길 요

일찍죽을 요:[191]

뛸 용:

연꽃 용[192]

풀날 용:
버섯 이:

솟을 용:

물솟을 용:[193]:

염려할/나라이름 우

에돌 우

부칠 우:

산굽이 우

모퉁이 우[194]

김맬 운

죽을 운:

떨어질 운:

원통할 원(:)[195]

원숭이 원[196]

원앙 원

시들 위

야유할 유

유자 유

헤엄칠 유

놋쇠 유

병나을 유

아첨할 유[197]

타이를 유

밟을 유

깨우칠 유

즐거울 유

너그러울 유

가는베 융

병장기/오랑캐 융

그늘 음

읍할 읍[198]

가슴 응:

굳셀 의

의자 의

비길 의:

정 의[199]

미끼 이:

이모 이

상처 이

너 이:

늦출 이:[200]

다음날 익

지렁이 인

질길 인

목구멍 인
목멜 열
삼킬 연

묻힐 인

넘칠 일

편안 일
질탕 질

남을 잉:

아이밸 잉:
ㅇ: 136자

2.10.


허물 자

자세할 자

사탕수수 자

구울 자
구울 적

삶을 자(:)[201]

깔/핑계할 자:

사기그릇 자

터질 작

구기 작[202]

불사를 작

너그러울 작

씹을 작

함박꽃 작

참새 작

까치 작

잔 잔[203]

사다리 잔

경계 잠[204]

비녀 잠

돛대 장

장미 장
漿
즙 장

장 장:[205]

지팡이 장(:)[206]

장인 장[207]

의장 장

재계할/집 재

찌끼 재[208]

쇳소리 쟁

원숭이/엿볼 저:

돼지 저[209]

젓가락 저

씹을 저:

저주할 저:

머뭇거릴 저

집 저::

씨름 저:

정실 적

귀양갈 적

오랑캐 적

자취 적

메울 전[210]

기록할 전

보낼 전:

떨 전:

엎드러질/이마 전:

사람가릴 전(:)[211]

돌아누울 전:

얽을 전

마개 전

살 전:[212]

가게 전:

미칠 전:[213]

달일 전(:)[214]

앙금 전:

가위 전(:)[215]

담 전:[216]

고칠 전:

전자 전:

정할/제사 전:[217]

끊을 절

젖을 점

붙을 점

덩이 정[218]

빼어날 정

밭두둑 정[219]

눈동자 정

닻 정

함정 정

못 정

편안할 정(:)[220]

그림족자 정[221]

술취할 정

울 제

사다리 제

공손할 제:

굽 제[222]

조서 조:[223]

마름 조:

조급할 조

막힐 조

시들 조

비웃을 조

무리 조[224]

대추 조

거칠 조[225]

비롯할 조:

만날 조

구유 조[226]

고치켤 조[227]

지게미 조

빽빽할 조

배로실어나를 조

손톱 조[228]

볼 조:

가는대 족

갑자기 졸

발꿈치 종

권할 종

종기 종':

자취 종

꺾을 좌:

머뭇거릴 주:

몰려들 주

벨 주

지을 주[229]

자손 주[230]

빌 주:

부추길 주

부엌 주

주임금 주[231]

명주 주

글뜻풀 주:[232]

마칠 준:

술통 준

꾸물거릴 준:

빗 즐

기울 즙[233]

즙 즙

여덟치 지

잡을 지

탱자 지
탱자 기

복 지

팔다리 지

성낼 진

마마 진

책권차례 질[234]

차꼬 질

음도 질

꾸짖을 질

거꾸러질 질[235]

갈마들 질[236]

미워할 질[237]

나 짐:[238]

짐작할 짐

맑을 징
ㅈ: 136자

2.11.


갈래 차

탄식할 차:[239]

미끄러질 차

짤 착[240]

좁을 착

뚫을 착

지을 찬:

모을 찬:

반찬 찬:

빼앗을 찬:[241]

문지를 찰

구덩이 참

역마을 참(:)[242][243][244]

주제넘을 참:

뉘우칠 참

참소할 참[245]

예언 참

창 창[246]

부을 창:

창녀 창(:)[247]

미쳐날뛸 창

공장 창

부스럼 창

광대 창:

부두 창

창포 창[248]

슬플 창:[249]

넘칠 창:

목책 채

울타리 책

쓸쓸할 처

여윌 척

씻을 척

등마루 척[250]

던질 척

밝힐 천:
穿
뚫을 천:

멋대로할 천:

숨찰 천:

바퀴자국 철

엮을 철

볼록할 철[251]

제비 첨[252]

다/여러 첨

아첨할 첨:

문서 첩

붙일 첩

거듭 첩

편지 첩

빠를 첩[253]

눈물 체

살필 체

담비 초

암초 초

화약 초

파리할 초

초 초[254]

파초 초[255]

나무할 초

나무끝 초

점점 초

볶을 초

부탁할 촉

헤아릴 촌:

떨기/모일 총[256][257]

무덤 총[258]

사랑할 총:

모을/사진찍을 촬[259]

칠 추
방망이 퇴[260]

지도리 추[261]

꼴 추[262]

떨어질 추

미꾸라지 추

쇠망치 추[263]

우두머리 추

송곳 추

저울추 추

쇠몽치/등골 추

내칠 출[264]

혹 췌:

파리할 췌:

췌장 췌:

모을 췌:

장가들 취:

푸를/물총새 취:

연할 취:

슬플 측

기 치

비웃을 치

치질 치

사치할 치

성할 치

어리석을 치[265]

빽빽할 치

달릴 치[266]

칙서 칙[267]

침 침[268]

다듬잇돌 침:

숨을 칩

저울 칭[269]
ㅊ: 100자

2.12.


낙타 타

길고둥글 타:[270]

게으를 타:

침 타:

비탈질/부처 타

키 타[271]

뽑을 탁

방울 탁

삼킬 탄

평탄할 탄:

꺼릴 탄

터질 탄:

노려볼 탐

탈 탑[272]

호탕할 탕:

방탕할 탕:

볼기칠 태

이끼 태

밟을 태
[[汰|]]
일 태[273]

버틸 탱[274]

펼 터:[275]

서러워할 통:[276]

통 통[277]

통 통[278]

무너질 퇴

쌓을 퇴:

바랠 퇴:

넓적다리 퇴:

씌울 투

샘낼 투

사특할 특[279]
ㅌ: 32자

2.13.


꼬리 파

긁을 파

비파 파

파초 파[280]

절름발이 파
비스듬히설 피:[281]

할미 파, 음역자 바

힘들일 판

비쏟아질 패:

패 패

거스를 패:

염불소리 패:

찰 패:[282]

피 패:[283]

불을 팽

물소리 팽

강퍅할 퍅[284]

채찍 편

속일 편

낮출 폄:

부평초 평[285]

죽을 폐:[286]

대궐섬돌 폐:[287]

물집 포:

부엌 포

도망갈 포

기릴 포

도포 포

길 포[288]

포 포

거품 포

채마밭 포[289]

먹일 포:

고함지를 포

부들 포

사나울 폭
포할 포

폭포 폭
소나기 포

표범 표

급할 표

나부낄 표

겁박할 표

여쭐 품:

풍자할 풍

헤칠 피

필 필[290]

핍박할 핍

모자랄 핍
ㅍ: 46자

2.14.


노을 하

멀 하

두꺼비/새우 하

허물 하

구렁 학[291]

희롱할 학

학질 학[292]

드물 한:

사나울 한:

빨래할/열흘 한

다스릴 할

봉할 함

젖을 함

난간 함:[293]

소리칠 함:

함 함[294]

재갈 함

짤 함[295]

합 합[296]

조개 합

항아리 항[297]

항문 항

화할 해

뼈 해

본보기 해

함께 해

놀랄 해

게으를 해:

기침 해

우연히만날 해:

꾸짖을 핵

길잡을 향:

잔치할 향:

불 허[298]

터 허

쉴 헐

자랑할 현:

어지러울 현:

무늬 현:

의기로울 협[299]

낄 협

좁을 협

뺨 협

가시 형

살별 혜:[300]

식혜 혜

풀칠할 호

활 호

여우 호

산호 호

호박 호:[301]

흐릴 혼:

홀 홀[302]

황홀할 홀

떠들썩할 홍

어지러울 홍

무지개 홍

벼슬 환:

홀아비 환[303]

부를 환

기뻐할 환[304]

교활할 활

넓을 활

빛날 황

헤맬 황

급할 황

황홀할 황

어리둥절할 황

봉황 황[305]

두려울 황

재물/뇌물 회:

가르칠 회:

회충 회[306]

회 회:[307]

그림 회:

그믐 회

머뭇거릴 회

넓을 회

울릴 효

사귈/가로그을 효

삭힐 효:

성낼 효

만날 후:

썩을 후:

맡을 후:

울부짖을 후:

무리 훈[308]

지껄일 훤

부리 훼

풀 훼

기 휘

무리 휘

숨길/꺼릴 휘[309]

불쌍할 휼

흉악할 흉

용솟음칠 흉

기쁠 흔[310]

흔적 흔

흠향할 흠

하품 흠:[311]

흡족할 흡

흡사할 흡

희생 희

꾸짖을 힐
ㅎ: 104자

3. 총합

총 1,145자
[1] 2~3음절 중 하나라도 틀리게 적으면 다른 음절을 제대로 적어도 오답 처리된다. 또 1급부터는 서로 비슷한 부분을 공유하지만 변·방·발·머리(亻, 阝, 忄, 訁, 扌, 禾 , 糹 / 冖, 宀 / 艹, ⺮, 罒 / 灬, 心 / 又, 大 / 夭, 矢 / 尸, 戶)의 차이에 따라서 변별해야 하는 한자가 급격하게 추가되므로, 밑 급수보다 훨씬 더 차이점에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고, 실제로 쓰면서도 헷갈리기 시작한다.[2] 단순하게 두 조합 수로만 쳤을 때 2급의 2.2배, 3급의 3.7배 정도의 단어 학습 부담량이 가중된다.[3] 이 수치는 결시자(미응시자/노쇼)를 제외한 기준이다. 즉 공부를 해서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은 사람들만 응시했는데도 저렇게 저조한 합격률을 보인다는 뜻이다. 게다가 비싼 응시료(2023년 기준 1급·준특급·특급 5만원)와, 선택지마저 협소한 고사장 수를 감내하면서 온 사람들이니 허투루 공부한 것도 아닐 것이다. 참고로 평년 결시율은 30%, 많으면 40%까지도 발생하는데 1급부터는 위와 같은 디메리트 때문에 결시율이 10%대로 저조한 편이다(2급 이하 결시율은 30~40%).[4] 급수별 평균 합격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은 다양한 변수가 작용할 수 있지만, 1급은 중장년층, 노인 대학생(주로 방통대) 응시층이 그 요인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시험은 한자 지식에 아무리 해박하더라도 유형별로 공략해내지 못하면 대부분 불합격하는 시험이기 때문이다. 정보 불균형으로 인해, 중장년층이 이런 부분에서 약한 편이다. 한편, 3급의 경우, 주로 태어나서 한자와 인연이 없어 왔던 취준생, 중고생들에 의해 평균 합격률이 깎였을 가능성이 크고, 한자 덕후 중에서도 청년층이 많이 치르는 2급의 합격률은 준3급, 3급보다 높게 형성되기도 한다.[5] 최근 기출문제 10회분만 풀어도 무난하게 합격할 수 있다는 얘깃거리를 불식시켰고, 생소한 동의자·상대자를 쓰도록 요구하거나, 자주 나오는 훈·음 쓰기 한자들도 1급 시행 이래 한 번도 출제된 적 없는 한자를 대거 박아놓는 등 빅데이터 자체를 리셋시켰다. 다만, 100회 기념 특집이었을 수도 있다.[6] 다만 여기에도 없는 각국의 고유한자들도 있기는 하다.[7] 2급에 배정된 한자 중에는 교육용 한자에 배정되어 있었다가 2000년 개정 당시 제외된 한자의 대다수가 있고, 준특급과 특급에 있는 한자 중 3급 이하로 배정된 한자의 이체자나 본자(鄰, 茲, 鐘, 豐)가 교육용 한자에 배정되어 있다. 심지어 급수 미배정 한자도 이체자의 본자로 배정된 한자(姊, 絕)가 있다. 다만 교육용에만 배정되지 않았을 뿐이지 면봉(綿棒), 수건(手巾), 이모(姨母) 등 기초적인 단어에 쓰이는 1급 한자도 꽤 많다.[8] 간사한 신하를 뜻하는 신(臣),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했다는 뜻의 신(辛) 모두 해당하며, 후자의 경우 주로 '간신히 ~하다'로 많이 쓴다.[9] 掌甲도 가능.[10] 고래를 잡는 어업의 일종인 포(捕), 음경이 귀두에 싸여있는 상태인 포(包) 모두 해당하며, 후자는 포경을 제거하는 수술인 포경수술이라는 단어로 많이 쓰이는데 전자와 동음이의어인 데서 유래한 '고래잡이'라는 별칭이 있다.[11] 죄가 없음.[12] 얼굴의 아래뼈를 뜻하는 하(下), 시신을 묻을 때 관을 무덤의 구덩이 아래로 내리는 것을 뜻하는 하(下) 모두 해당.[13] 廣野도 가능.[14] 珪素도 가능.[15] 1급 한자인 (흐릴 혼)을 써서 渾沌으로도 쓰지만 4급 한자인 (섞일 혼)을 써서 混으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16] 돈이나 물건 따위를 거두어들인다는 뜻의 수렴(收), 발을 드리운다는 뜻의 수렴(垂) 모두 해당.[17] 錄錄도 가능.[18] 영(, 영리할 령) 자는 준특급 한자이며, 특급 한자인 (똑똑할 리) 자를 써서 怜俐로도 쓴다.[19] 아래의 '척추(脊椎)'와 합쳐진 '척추측만증(脊椎側彎症)'이라는 단어로 주로 쓰인다. 후술하듯이 척추에 쓰인 두 한자(脊(등마루 척), 椎(쇠뭉치 추)) 역시 1급 한자이다.[20] 없던 일을 거짓으로 꾸며서 고발함.[21] 半指도 가능.[22] 유기 화합물 지(脂), 제사에 쓰이는 지(紙) 모두 해당.[23], 漏 모두 가능.[24]도 가능.[25] 리(, 유리 리) 자는 준특급 한자이다.[26] 국(, 누룩 국) 자는 준특급 한자이다.[27] , 모두 가능.[28] 염(, 비틀 념) 자는 준특급 한자이다.[29], 更 모두 가능.[30] 눈부시도록 찬란하다는 뜻의 爛, 정신을 차리기 어려울 정도로 어수선하다는 뜻의 亂 모두 가능.[31] , 모두 가능.[32], 唐 모두 가능.[33] '가사'는 승려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걸쳐입는 법의(法衣)다. 대중문화 속의 예시로는 게토 스구루가 입고 있는 옷이 바로 가사이다.[34] 駕轎(가교) 빼고 다 단음이다. 능가(凌駕)에 이 한자를 쓴다.[35] 10³⁶을 뜻하기도 한다.[36] 癎氣(간기), 癎癖(간벽) 빼고 장음이다. 간질(癎疾)에 이 한자를 쓴다.[37] '간하다'는 웃어른이나 왕의 잘못을 지적하다라는 뜻이다. 사간원(司諫院), 간쟁(諫爭)에 이 한자를 쓴다.[38] 침팬지가 화내는 짤에 쓰여 있는 한자가 바로 이것이다.[39] 감질(疳疾)은 '바라는 정도에 못미쳐 애가 타는 마음'을 말한다.[40] 좀 더 어두운 남색을 말한다.[41] 물건을 담는 작은 상자를 말한다. 지갑(紙匣), 수갑(手匣), 우유갑(牛乳匣) 등에 이 한자를 쓴다.[42] 수문은 물의 깊이나 유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하는 문이다. 댐이랑 용도가 비슷하다.[43] '개선(凱旋)하다'는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다는 뜻이다. 개선문(凱旋門), '개가(凱歌)' 등에 쓰는 한자다.[44] 를 참고하자.[45] '거'만 장음이다. 다만 이 한자가 들어간 단어는 두 음 둘 다 발음 가능하다. 예를 들어 醵出은 갹출만이 아니라 거출로도 발음될 수 있는데 이렇게 단어의 발음이 애매하게 나오기 때문에 장단음 유형에 나올 일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46] 불시는 불경을 한시처럼 만든 것을 말한다.[47] 격문(檄文)은 조급히 여러 사람에게 보내는 문서를 말한다.[48] 남자 무당을 뜻한다.[49] 경쇠는 악기의 일종이다.[50] 이 한자를 어디서 많이 본 거 같은 느낌이 든다면 절대로 기분 탓이 아니다. 이 한자의 완성형 코드가 다름아닌 0xCDCD이기 때문으로, 한글 바이오스를 켠 상태에서 Mdir과 같이 이중 괘선을 쓴 TUI 환경에 진입했다면 이 글자가 반드시 나타났다.[51] 요즈음에는 쓰지 않는 말이지만 갓난아기의 울음소리를 '고고(呱呱)'라고 한다. 2018 수능 기출로도 나온 유치환의 <출생기>를 보면 '고고(呱呱)의 곡성(哭聲)을 지른 것이 아니련만'과 같은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52] 곤룡포(袞龍袍)는 '임금이 입던 정복'을 뜻한다.[53] '외관'은 을 담는 매장 시설을 말한다. 순우리말로는 '덧널'이라고 부른다.[54] 시신을 담는 관(coffin)을 뜻한다.[55] 훈을 혼동할 수가 있는데, '바르다'가 아니라 '바루다'이다.[56] 교룡은 용과 비슷한 상상의 동물 중 하나다.[57] 마구간(馬廏間)에 쓰인다. 준특급으로 배정된 廐와는 같은 글자다. '마구'와 '간'이 각각 한자어라는 사실을 모르면 '마굿간' 이렇게 실수하기 십상이다.[58] 구토(嘔吐)만 장음이다.[59] 讎(=讐)의 간체자로도 쓰인다.[60] 여기서 때는 시간이 아니라 기름때 같은 노폐물을 의미한다. 순진무구(純眞無垢) 등의 용례가 있다.[61] 1032을 뜻하기도 한다.[62] 시신을 세는 단위이기도 하다.[63] 시신을 담는 을 뜻한다. 영구차에 들어가는 구(柩)가 이거다.[64] 뜻은 '궁색(窮塞)하다'와 비슷하다. 둘 다 표준어이다.[65] 일어서다란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66] (틀 기)의 간화자로도 쓴다.[67] 보통은 克을 많이 쓰지만 '하극상'에서는 剋으로 쓴다.[68] '긍'음은 장음 '선'음은 단음이다. 본래 '뻗칠 긍'은 亙으로 썼지만 점차 亘으로 흡수되었다. 이 한자를 성부로 하는 한자인 (항상 항) 자 역시 본자는 恆이다.[69] 여기서 '돌'은 '돌잔치'할 때 돌이다.[70] 뙈기밭은 "큰 토지에 딸린 조그마한 밭"을 말한다. 기형아(畸形兒)할때 쓰는 한자다.[71] '푸닥거리'는 무당이 하는 굿의 일종이다.[72] (따뜻할 난)과 동자(同字)이다.[73] 반죽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한다.[74] '기울'은 옆으로 '기울다'가 아니라 깁다(繕), 즉 무언가를 꿰맨다는 의미다.[75] 컴퓨터에서는 '열'로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눌러야 涅이 나온다. '녈'이 원음이지만 한국어에서 涅이 '녈'로 표기되는 단어는 없다.[76] '쇠뇌'는 '여러 개의 화살이나 돌을 잇따라 쏘는 큰 활'을 말한다.[77] 2급라는 한자가 있는데, 이것 역시 미련하고 둔하다는 뜻을 담고있으므로 魯鈍하다라고 써도 맞다.[78] 컴퓨터에서는 '요'로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눌러야 나온다.[79] 원래 음은 (아침 단)을 따른 '단'이었다. 그러나 활음조 현상으로 '황단'의 발음이 '황달'로 바뀌었고 덩달아 이 한자의 음 역시 '단'에서 '달'로 바뀌었다. 활음조 현상이 한 한자의 음을 바꾼 사례다.[80] 민담(民譚), 영웅담(英雄譚)에 이 한자를 쓴다. (말씀 담)과는 쓰임새가 다르니 주의해야 한다.[81] 아가위나무의 열매를 말한다.[82] 버마재비는 사마귀의 이명이다. 제 분수에 맞지 않는 일에 무모하게 덤벼듦을 이르는 사자성어 '당랑거철(螳螂拒轍)'에 이 한자가 쓰이며 여기서 '당랑'이 사마귀를 뜻한다. 다만 (사마귀 랑) 자는 준특급 한자이다.[83] 투구는 군인들이 쓰는 머리 보호구다.[84] 과거 조선시대에 순찰하는 사람을 의미한다.[85] 간혹 이 한자 때문에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한자의 훈은 먹는 소라에서 따온 것이 맞지만 '소라'라는 단어 자체는 순우리말이다. 마치 소라처럼 생긴 나사(螺絲), 나선(螺線), 나전칠기(螺鈿漆器) 등에 쓰이는 한자이기도 하다.[86] 문둥이는 한센병 환자를 비하하는 멸칭이다. 한센병의 한자명인 나병(癩病)에 쓰인다.[87] 총 30획으로 1급 내에서 가장 획순이 많다. 난새는 중국 전설의 상상의 새를 의미한다.[88] 刺(찌를 자)와는 별개의 한자이지만, 모양이 비슷해서 가끔 통용된다.[89] 기장은 식물 이름으로, 잡곡밥에 넣어 먹는 노란 알갱이다.[90] '염(殮)하다'는 시신을 수의로 감싸는 것을 이른다.[91] '발'은 햇빛을 가릴 때 쓰는 블라인드를 의미한다.[92] 감옥(prison)이란 뜻인데, 보통 (옥 어)와 함께 '영어(囹圄)'의 꼴로 쓴다.[93] 애오라지는 '겨우'란 단어를 강조하기 위해 쓰는 단어다.[94] 컴퓨터에서 '요'를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눌러야 이 한자가 나온다.[95] '보루'란 적의 침입을 막는 구조물이다.[96] 1루(一壘), 2루(二壘), 3루(三壘), 귀루(貴壘), 도루(盜壘), 만루(滿壘), 잔루(殘壘), 주루(走壘), 진루(進壘) 등 야구 용어에서 이 한자를 많이 쓴다. 모양으로 보면 위의 밭 전(田) 3개가 1루, 2루, 3루, 아래쪽의 흙 토(土)가 홈 베이스다.[97] '전율'(戰慄)이라는 단어와 조선 중기의 장군 권율(權慄)이 이 한자를 쓴다. 이 때문에 간혹 이 한자의 음을 '율'로 착각하기도 한다.[98] '굴레'는 마소의 머리에 씌워 고삐에 연결한 물건을 뜻한다.[99] tripleS(본명: 카와카미 린 川上 凜) 등 일본에서 여자 이름으로 자주 쓴다.[100] 일본에서 여자 이름의 구성자로 자주 볼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성우 사쿠라 아야네(佐倉 綾音)가 이 한자를 쓴다.[101] 울타리의 '리'가 籬인 것은 아니며, 순우리말이다.[102] (다스릴 리)의 본자(本字)이다.[103] '병에 걸리다' 할 때 '걸리다'란 뜻이다.[104] 화학 원소 (燐)에 이 한자를 쓴다.[105] 임질(淋疾)은 성관계를 통해 임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남성 및 여성 생식기의 감염증을 뜻한다.[106] 설레임을 한자로 雪來淋이라 쓴다.[107]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笠北洞),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笠場面)에 이 한자를 쓴다.[108]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를 비롯한 인도 계통의 종교에서 종교적 상징물로 사용되는 문양에 이 한자를 사용한다.[109] 까끄라기는 식물학에서 털같은 부속물이다.[110] 모에 할 때 쓰이는 한자다.[111] 緬羊, 緬然, 緬甸 빼고 다 장음이다.[112] 麵(준특급)이 더 많이 쓰인다.[113] 일본에서는 학년별한자배당표 3학년 단계에 배우는 기초 한자이다.[114] 멸구는 매미목 멸구과의 곤충이다.[115] 8급에서 특급까지 통틀어 유일한 음이며, 용례로는 이별을 의미하는 '몌별(袂別)'이 있긴 하나 오늘날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116] 꽃의 일종인 모란(牡丹)에 이 한자를 쓰며, 모란봉, 모란시장, 모란역의 '모란'도 마찬가지이다. 牡丹은 원래는 '모단'으로 읽는 한자이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이 표기를 쓰지만, 한국으로 전파되면서 '목단'(牧丹)으로 잘못 표기한 것이 활음조 현상으로 지금의 '모란'으로 읽게 되었다.[117] 模의 본자다.[118] 어문회에서는 이 글자를 단음으로만 보지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杳然(묘연)에서 유래한 단어에서만 어두의 杳가 단음이다. (杳然 자체는 어근이고 단독으로 쓰이는 단어가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杳로 시작하는 다른 단어들이 있으며, 이들은 어두의 杳가 장음이다.[119] 10-11이라는 뜻도 있다.[120] (어미 모)랑 모양이 비슷하다. 동물의 일종 이 아니라 '하지 마라' 할 때의 '말다'라는 뜻이다. 곧, (말 물)과 같은 뜻.[121] 撫摩(무마) 빼고 다 장음이다.[122] 撫와 유의자다.[123] '예쁘다'라는 뜻도 있지만 어문회에서는 반영하지 않았다.[124] 먹는 호박이 아니라 광물의 일종인 호박(琥珀)을 뜻한다.[125] 지게미는 술찌꺼기에 물을 넣어 탁주를 만들고 남은 찌꺼기를 의미한다.[126] 부수가 (말 마)인데, 얼룩말이라는 뜻도 있다.[127] 정작 '쟁반'이라는 단어에는 준3급의 (소반 반)'을 쓴다(...).[128] 아른거리는 무늬가 생긴다는 뜻이다.[129] '백반'은 화합물 명반의 다른 표현이다. 알루미늄을 반소(礬素)라고 부르기도 한다.[130] 밭두렁과 같은 뜻이다.[131] '더 높은 곳을 잡고 오르다'라는 뜻이다. 등반(登攀)에 이 한자를 쓴다.[132] 彷佛(방불)만 장음이다.[133] 중국에서는 HSK 1급 과정에 들어 있는 기초 한자이다.[134] '방붙이다'의 방은 방문(榜文)을 말한다.[135] 문지방(門地枋)에 이 한자를 쓰며, 다목은 콩과의 식물 이름이다.[136] 맥주병, 물병, 보온병, 유리병, 젖병, 페트병, 호리병 등 무언가를 담아 보관하는 그릇인 ''을 뜻한다.[137] 수리 시설 중 하나인 (洑)를 의미하며, '봇물 터진다'의 어원이 이 시설이다. 보평역(洑坪驛)에 이 한자를 쓴다.[138] 신하의 옛 표현인 '신복(臣僕)', 사내종을 이르는 노복(奴僕), 계집종과 사내종을 통틀어 이르는 비복(婢僕)과 같이 옛글투에 용례가 많다. 일본어의 1인칭 대명사 중 하나인 보쿠에 이 한자를 쓴다.[139] '기다'라는 뜻이다.[140] 부마는 임금의 사위를 말한다.[141] 육부(六腑)는 뱃속의 여섯가지 기관을 말한다.[142] 몬스터 헌터 시리즈를 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해하기 쉽다. 슬래시액스차지액스가 한자로 각각 검부(斧), 순부(斧)이기 때문이다.[143] 동이는 그릇 일종 중 하나다. 일상적으로는 분지(盆地), 화분(花盆) 등에 쓰이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盆唐區)에 쓰이는 한자이기도 하다.[144] 제사에서 쓰는 지방에서 돌아가신 어머니를 표현할 때 쓰인다.[145] 脾髓만 장음이다.[146] '비'음만 장음이다.[147] 몸이 지쳐 느슨하다는 뜻이다.[148] 瀉材, 瀉劑, 瀉血만 장음이다.[149] 獅子(사자)만 장음이다. 그런데 국어사전에는 단음으로 표기되어 있다.[150] 으로 만든 옛날 우비를 뜻한다.[151] 산증(疝症)은 한의학에서 '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픈 병'을 말한다.[152] (죽일 살)과 동자이다. 주로 액운 등의 흉한 기운과 관련된 단어에 쓰이며 흔히 살풀이나 역마살을 쓸 때에 이 한자를 쓴다.[153] '날다(飛)'라는 뜻이다.[154] '잔'이란 술이나 물 따위를 따르는 잔(, )을 뜻한다.[155] 준특급의 '捿' 자와는 같은 글자다.[156] 사실 장단음인데 이 한자로 시작하는 단어가 없다. 이 한자를 쓰는 단어로는 '크고 작은 온갖 섬'을 이르는 말인 '도서(島嶼) 정도 빼곤 없다. 옛날에는 서초라는 단어가 쓰이기도 했다.(네이버 한자사전)[157] 선풍기(扇風機)에 바로 이 한자를 쓴다. 실제로 선풍기와 부채 모두 영어로 'fan'이다. (부채질할 선)과 쓰임새가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158] 은 '체내에서 특정 물질을 분비하는 세포들의 집합체'를 말한다. '갑상선(甲狀腺)', '전립선(前立腺)', '편도선(扁桃腺)' 등의 용례가 있다.[159] '술이 깨다', '정신이 깨어나다'라는 뜻이다.[160] (되살아날 소)와 동자다.[161] 얼레빗은 '빗살이 굵고 성긴 큰 빗'을 말한다.[162] 간화자인 洒는 특급이다. 이 둘을 같은 글자로 본다면, 이 글자를 쓰는 유명한 곳으로 소쇄원(瀟灑園)이 있다.[163] (열한째지지 술)과는 별개의 한자이다. 戊를 제외한 한 획이 곧으면 열한째지지 술, 비뚤어 있으면 수자리 수이다.[164] 더벅머리라는 뜻도 있다.[165] 이체자로는 '讐(준특급)'가 있다.[166] 대한민국에서만 쓰이는 훈음이다.[167] '다', '전부'라는 뜻이다.[168] (열 십)의 갖은자로 쓰인다.[169] 啞鈴(아령)만 장음이다.[170] 러시아의 음역어 중 하나인 아라사(俄羅斯)에 이 한자를 쓴다. 오늘날엔 아관파천(俄館播遷) 이외에는 거의 쓰지 않는다.[171] 按摩(안마), 按酒(안주) 빼고 장음이다.[172] 어둠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173] 석굴암(石窟庵)의 암이 바위 암(巖)이 아니라 이 한자다.[174] (준특급)과 동자(同字)다.[175] 일본에서 벚꽃(사쿠라)을 표기하는 데에 이 한자를 쓴다. 참고로 신자체 桜를 사용하는데 인명 등에서는 구자체를 쓰는 경우도 남아있다.[176] 풀무는 대장간에서 불에 바람을 넣을 때 쓰는 것이다. '야(冶/野)하다'에도 이 한자를 쓴다.[177] 의 간체자로도 쓰이며, 정확히는 药이다.[178] 痒(준특급)과 동자(同字)다.[179] (옥 령)과 함께, '감옥'이라는 뜻의 영어(囹圄)에 이 한자를 쓴다.[180] '어혈'은 한의학에서 쓰는 단어로, 타박상 따위로 살 속에 피가 맺히는 증세를 이르는 말이다. 고전 시가 '두꺼비 파리를 물고'에서도 나오는 말이다.[181] 솔개는 새의 일종이다. 하늘에 날리는 장난감을 뜻하는 연(鳶)도 이 한자를 쓰는데, 재미있게도 영어에서도 kite가 솔개와 연 두 가지를 의미한다.[182] 서까래는 목조 건축물에서 지붕을 받쳐주는 갈비뼈 모양의 구조물로서 마룻대를 기준으로해서 지붕을 이루는 가로대를 의미한다.[183] (불꽃 염)과는 뜻이 다른 글자다. 화염(火焰)에 이 한자를 쓴다.[184] (이를 지)와 같이, '다다르다'라는 뜻이다.[185] (다섯 오)의 갖은자이기도 하다.[186] 腕力(완력) 빼고 장음이다.[187] 베트남의 가장 흔한 성씨인 응우옌(阮, Nguyễn)이 이 한자이다.[188] 일본에서 '힘내'를 뜻하는 간바레(頑張れ)에 이 한자를 쓴다.[189] 정작 '고요하다'에는 窈를 쓰지 않으며, '고요하다'는 순우리말이다.[190] 기와가마는 말그대로 '기와를 굽는데 쓰는 가마'다.[191] (하늘 천)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 한자는 天과 달리 맨 위 획이 왼쪽 아래로 삐친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요절(夭折)에 이 한자를 쓴다.[192] 연꽃을 한자투로 이르는 '부용(芙蓉)'에 이 한자를 쓴다. 부용이 연꽃을 일컫는 것도 사실이지만 한편 연꽃부용은 별개의 식물이다. 문서 참고.[193] (물솟을 용)와 동자(同字).[194]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沙隅洞), 화성시 석우동(石隅洞),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隅川面)에 이 한자를 쓴다.[195] 冤痛(원통) 빼고 장음이다.[196] (소라 라)와 마찬가지로 이 한자 때문에 혼동할 수 있는데, 원숭이는 순우리말이다. 견원지간(犬猿之間), 유인원(類人猿)에 이 한자를 쓴다.[197] 조선시대의 실학자 연암 박지원이 지은 소설 호질에 '유(儒)는 유(諛)라더니'라는 구절이 나온다. 는 '선비 유'이므로, '선비는 맨날 아첨이나 한다더니' 정도의 뜻이다. 두 한자의 음이 '유'로 같은 점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양반의 행태를 꼬집는 언어유희이다.[198] '읍'은 인사 종류 중 하나이다.[199] '정'은 (뜻 정)이란 뜻이다.[200] 이완(弛緩), 해이(解弛)에 이 한자를 쓴다.[201] 煮繭, 煮沸 빼고 장음이다.[202] 구기는 기름이나 술 따위를 풀 때 쓰는 국자와 비슷한 기구를 뜻한다.[203] 말 그대로 술이나 물 따위를 따르는 '잔'을 말한다. 등잔(燈盞)에 이 한자를 쓴다.[204] 원래는 바늘이라는 의미였는데 의미가 전이돼서 경계(警戒)라는 뜻이 되었다. 잠언(箴言)에 이 한자를 쓴다.[205] 고추장, 간장, 된장 등을 의미한다. 1급 한자 중에서 드물게 사용례가 넓은 한자이다.[206] 杖鼓빼고 다 장음이다.[207] 물건을 만드는 '장인(匠)'을 뜻한다.[208] 찌끼는 찌꺼기를 뜻한다.[209] 준특급의 猪로도 쓴다.[210] 가스, 총알, 교통카드 잔액 등을 채운다는 뜻의 충전(充塡)에 이 한자가 쓰인다. 종종 '충진'으로 틀리게 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교통카드 충전'이라는 용례로 쓰일 경우 돈을 채우는 것이다 보니 '돈 전(錢)' 자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211] 銓衡빼고 장음이다.[212] 화살을 의미한다.[213] 일부 자전에서는 "지랄 전" 내지는 "지랄병 전"(...)으로 등록되어 있다.[214] 煎餠 빼고 장음이다.[215] 剪裁 빼고 장음이다.[216] 털을 평평하게 만든 조각인데 담요할 때 담이다.[217] 제사에 제물로 올린다는 뜻도 있다.[218] '알약 1정' 할 때의 한자다.[219] 일본에서는 학년별한자배당표 1학년 과정에 들어 있는 기초 한자이다.[220] 靖國만 장음이다.[221] '탱'이라는 음으로도 쓸 수 있으며, 이러한 용례로는 '탱화'가 있다.[222] 구제역(口蹄疫), 벽제역(碧蹄驛)에 이 한자를 쓴다.[223] 임금의 명령을 알릴 목적으로 쓴 문서다.[224] 曹(1급, 위쪽이 卄)와 曺(2급, 위쪽이 十)는 동자이다. 하지만 한국 성씨에는 曺만 쓰인다. 삼국지의 조조, 초한지의 조참의 성이기도 하다.[225] 굵다라는 뜻도 있다.[226] 구유는 가축에게 먹이를 담아주는 그릇이다.[227] 고치나 목화에서 실을 뽑아낸다는 뜻이다.[228] 대한민국에서는 '손톱'과 '발톱'이라는 단어로 고유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爪 자가 들어간 단어가 거의 없지만. 중국과 일본에선 爪 자가 일상적으로 사용된다.[229] 중국어에서 "하다"의 뜻으로 사용된다.[230] 준특급에 冑(투구 주, 아래쪽이 冂+二)라는 생김새가 매우 비슷한 한자가 있다.[231] '껑거리끈'이라는 훈도 있다. 여기서 껑거리는 '길마를 얹을 때에, 소의 궁둥이에 막대를 가로 대고 그 양 끝에 줄을 매어 길마의 뒷가지에 좌우로 잡아매게 되어 있는 물건'을 말한다.[232] 당신이 지금 보고 있는, 각주(脚註)에 이 한자를 쓴다.[233] 여기서 기운다는 풀이나 기와로 지붕을 덮는 것을 뜻한다.[234] 책을 차례로 넣어 둘 수 있게 만든 주머니다.[235] 거꾸로 넘어진다는 뜻이다.[236] 서로 번갈아든다는 의미다.[237] 질투(嫉妬)에 이 한자를 쓴다.[238] 황제가 자신을 칭하는 호칭이다. 짐(대명사) 문서 참고. 한편, 조짐(兆朕)에 이 한자를 쓴다.[239] '아!'와 같이 감탄하거나 탄식하는 소리로 쓰인다.[240] 맛이 짜다는 게 아니라 액체가 나오도록 손으로 뭔가를 꽉꽉 짠다는 뜻이다.[241] 이체자로는 簒이 있다.[242] 站運 빼고 장음이다.[243] 말 그대로 역(驛)이 있는 마을이다. 중국어에서는 아예 역이라는 뜻으로 쓴다.[244] 모양이 언뜻 보면 '팜'과 비슷하다. 그래서 인터넷 상에서 뭔가를 판다는 뜻으로도 쓰인다.[245] '참소하다'는 남을 죄가 있는 것처럼 꾸며 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246] 찌르는 데에 쓰는 무기를 뜻한다.[247] 娼女, 娼婦만 장음이다.[248] 창포(菖蒲)는 식물의 일종이다.[249] 비창 교향곡(悲愴 交響曲), 비창 소나타(悲愴 Sonata)에 이 한자를 쓴다. 비창(悲愴)은 '마음이 몹시 상해 슬픔'을 뜻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위의 두 곡은 '비창(悲愴)'이 아니라 '비장(悲壯)'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비창(悲愴)'으로 번역된 부분은 원제목에는 pathétique로 써있는데 이 단어는 프랑스어로 '비장(悲壯)하다'라는 뜻이기 때문이다.[250] 등의 두두룩한 부분을 의미한다.[251] 손가락 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으로 쓰기도 한다.[252] 새의 일종이 아니라 제비뽑기 할 때 제비다. 당첨(當籤), 추첨(抽籤)에 이 한자를 쓴다.[253] '이기다'라는 의미도 있다.[254] 빙초산(氷醋酸), 식초(食醋) 등에 이 한자를 쓴다.[255] 파초(芭蕉)는 식물의 일종이다.[256] 떨기는 한 뿌리에서 줄기가 여러 개가 나와 된 무더기를 의미한다.[257] 간체자로는 '丛'이라고 쓰는데, 한글 '쓰'와 닮아서 야민정음으로 자주 쓰이고 있다.[258] 천마총(天馬塚)과 같이 유적이 된 무덤 이름에 이 한자를 쓴다. 이체자로 土 없는 이 있으며, 특급에 속해 있다. 중화권에서는 冢 형태가 표준이다.[259] 어문회가 분류한 한자 중에서 음이 '촬'인 한자는 이것밖에 없다.[260] 컴퓨터에는 '추'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퇴'로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눌러야 이 한자가 나온다.[261] 여닫이 창문의 경첩 부분을 뜻한다.[262] '꼴'은 '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을 말하며, '목초'의 순우리말이다. 되새김질의 한자어인 반추(反芻)가 이 한자를 쓴다.[263] (저울추 추)와 동자(同字)이다.[264] (날 출)과 헷갈리기 쉬운데, 내쫓는다는 뜻이다.[265] 痴(준특급)로도 쓴다.[266] 일본에서 "잘 먹었습니다"를 뜻하는 고치소 사마데시타(ご馳走様でした)에 이 한자가 들어간다.[267] '칙서'는 '임금이 특정인에게 훈계하거나 알릴 내용을 적은 글이나 문서'를 말한다. 敕으로 쓰면 틀린다.[268] 몸에 놓는 침을 의미한다.[269] (4급)의 속자(俗字).[270] 원래는 가운데에 가 들어간 橢의 형태이다.[271] 여기서 키는 신장(身長)이 아니라 배의 방향을 조종하는 장치를 뜻한다. 대표적인 용례로 키잡이를 이르는 한자어 '조타수(操舵手)'가 있다.[272] 탑승(搭乘), 탑재(搭載)에 이 한자를 쓴다.[273] 단소를 배울 때 태황무임중이라는 것으로 친숙할 한자이다.[274] 撑(준특급)으로 쓰기도 한다.[275] 8급~특급에서 당연히유일하게 음이 '터'인 한자이며, '터득(攄得)'에 사용된다.[276] 비통(悲慟), 통곡(慟哭)에 이 한자를 쓰는데, (아플 통)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277] 저금통(貯金桶), 휴지통(休紙桶)처럼 무언가를 담는 '통'에 이 한자를 쓴다.[278] 옆에 있는 桶과의 차이라면 筒의 원래 뜻은 '대나무로 만든 통'이라는 뜻이며 사전에서 桶은 '무엇을 담기 위하여 나무나 쇠, 플라스틱 따위로 깊게 만든 그릇', 筒은 '둥글고 긴 동강으로서 속이 빈 물건'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수통(水筒), 필통(筆筒), 우체통(郵遞筒) 등에 쓰인다.[279] '사특(慝)하다'는 사악하고 간사하다는 뜻이다.[280] 파초는 감초와 같은 식물 이름이다.[281] 跛蹇, 跛行같이 '파'음은 단음 跛立, 跛倚 같이 '피'음은 장음이다.[282] 몸에 무언가를 '차다', 곧 착용한다는 뜻이다. 패용(佩用)에 이 한자를 쓴다.[283] 피는 잡초의 일종이다. 혈액과는 무관하다.[284] 8급에서 특급까지 통틀어 당연히 유일하게 음이 '퍅'인 한자이다. 참고로 '괴팍하다'고 할 때 역시 이 한자를 쓰는데, 활음조 현상이 적용되어 '괴팍하다'할 때만 음이 '팍'이다. '괴퍅하다'고 하면 틀린다.[285] 부평초는 개구리밥을 한자어로 이르는 말이다.[286] 악인이나 역적의 죽음에 이 한자를 쓰며, 현대에서는 폐사(斃死)에 이 한자를 쓴다.[287] 대궐의 섬돌, 즉 대궐의 계단을 의미한다. 폐하(陛下)에 이 한자가 쓰인다.[288] road가 아니라 기어간다는 뜻이다. 군대 가면 하게 되는 포복(匍匐)에 이 한자를 쓴다. 포복절도(抱腹絶倒)와는 관계없다.[289] '채마'를 심어 가꾸는 밭을 말하는데, 여기서 채마는 '먹을거리나 입을 거릴 심어서 가꾸는 식물'을 말한다.[290] '필'은 '일정한 길이로 말아 놓은 피륙을 세는 단위'다. '베 한 필'할 때 그 필이다.[291] 구렁은 움푹 들어간 땅을 의미한다.[292] 학질(瘧疾)은 말라리아를 의미하며 '학(瘧)을 떼다'라는 관용구에 쓰이기도 한다.[293] 우리(pen)를 뜻하기도 한다.[294] 함은 물건 같은 것을 담는 상자를 뜻하며, 수학 용어 '함수(數)'에 이 한자를 쓴다.[295] '계획을 짜다' 혹은 '쥐어짜다'가 아니라 부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맛이 짜다는 뜻이다.[296] 파일:external/dicimg.naver.net/na562sy.jpg 이런 밥그릇을 '합'이라 부른다.[297] '항아리'는 '缸아리'이며, 따라서 순우리말이 아니다![298] '입으로 불다'라는 뜻이며, 일본에서 거짓말이라는 의미로 널리 쓰이지만 상용한자 2136자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299] 적극적이라는 뜻이다.[300] 살별은 빛나는 꼬리를 끌고 태양을 초점으로 타원 궤도를 도는 별, 즉 혜성(彗星)을 뜻한다.[301] 먹는 호박이 아니라 광물의 일종인 호박(琥珀)을 뜻한다.[302] 참고.[303] ''환어'(鰥魚)라는 뜻도 있으며, 환어는 전설적인 큰 물고기로 상상의 동물 중 하나다.[304] (4급)과 통자(通字)이다.[305] 봉황(鳳凰)에 쓰는 한자인데, 봉(鳳)은 수컷, 황(凰)은 암컷을 뜻한다.[306] '거위 회'라고 나와 있는 책도 있는데, 여기서의 거위는 'Goose'가 아닌 회충의 순우리말이다. '회가 동하다'라는 관용구에도 쓰인다.[307] 먹는 를 뜻하며, 날것과 구운 것이라는 뜻에서 발전하여 사람들 입에 칭찬이 오르내리는 것을 뜻하는 회자(膾炙)에 이 한자를 쓴다.[308] 가 아니라 Halo의 의미다.[309] (諱)는 왕이나 제후 등의 높은 사람이 생전에 쓰던 이름을 뜻한다.[310] NewJeans하니(范玉欣)가 이 한자를 쓴다.[311] (이지러질 결)의 약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결함이 있다는 의미로 '흠이 있다.'와 '흠집(欠-)' 등에 이 한자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