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7 14:26:25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8B0000 0%, #AC0D0A 20%, #AC0D0A 80%, #8B0000); color: #FED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아케메네스 테이스페스 키루스 1세
제4대 제5대 제6대
캄비세스 1세 키루스 2세 캄비세스 2세
비정통 제7대 제8대
바르디야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소그디아누스
제12대 제13대 제14대
다리우스 2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제15대 제16대 비정통
아르세스 다리우스 3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5세
추존
아리아람네스 · 아르사메스
아르게아스 · 페르시스 · 사산
이란: 셀레우코스 · 파르티아 · 사산 · 사파비 왕조 · 아프샤르 왕조 · 잔드 왕조 · 카자르 왕조 · 팔라비 왕조 · 이란 라흐바르 · 이란 대통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하이집트 <colbgcolor=#fff,#1f2023>헤주호르 니호르 흐세큐 카유 티우 테시 네헵 와즈너 하트호르 니네이스 | 메크 더블팔콘 워시
상이집트 | 핑거 스네일 피시 엘리펀트 스톡 전갈왕 1세 크로커다일 아이리 호르 전갈왕 2세 나르메르 메네스
제1왕조 나르메르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제트 메르네이트 아네지브 세메르케트 카아 스네페르카 호루스 바
제2왕조 헤텝세켐위 네브라 니네체르 누브네페르 호루스 사 웨네그 와제네스 세네지 세트 페리브센 세케리브 페렌마아트 네페르카레 1세 네페르카소카르 후제파 카세켐위
제3왕조 조세르 세켐케트 사나크테 네브카 카바 세제스 카하제트 후니
제4왕조 스네프루 쿠푸 제데프레 카프레 비케리스 멘카우레 솁세스카프 탐프티스
제5왕조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네페레프레 솁세스카레 니우세르레 멩카우호르 제드카레 우나스
제6왕조 테티 우세르카레 페피 1세 메렌레 1세 페피 2세 메렌레 2세 니토크리스 네체르카레 네페르카 네페르
제7왕조 멩카레 네페르카레 2세 네페르카레 3세 제드카레 셰마이 네페르카레 4세 메렌호르 네페르카민 니카레 네페르카레 5세 네페르카호르
제8왕조 네페르카레 6세 네페르카민 아누 카카레 이비 네페르카우레 네페르카우호르 네페리르카레 와지카레 쿠이케르 쿠이 이체누
제9왕조 케티 1세 네페르카레 7세 네브카우레 케티 세투트 임호텝
제10왕조 메리하토르 네페르카레 8세 와카레 케티 메리카레
제11왕조 멘투호테프 1세 인테프 1세 인테프 2세 인테프 3세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4세
누비아 왕조 세게르세니 카카레 이니 이이브켄트레
제12왕조 아메넴헤트 1세 세누스레트 1세 아메넴헤트 2세 세누스레트 2세 세누스레트 3세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4세 소베크네페루
제13왕조 소베크호테프 1세 손베프 네리카레 세켐카레 아메니 케마우 호테피브레 이푸니 아메넴헤트 6세 세멘카레 네브누니 세헤테피브레 세와지카레 네제미브레 소베크호테프 2세 렌세네브 호르 세켐레쿠타위 카바우 제드케페레우 세브카이 세제파카레 웨가프 켄제르 이미레메샤우 세헤테프카레 인테프 세트 메리브레 소베크호테프 3세 네페르호테프 1세 시하토르 소베크호테프 4세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와히브레 이비아우 메르네페르레 아이 이니 1세 상켄레 세와지투 메르세켐레 이네드 세와지카레 호리 소베크호테프 7세 이니 2세 세와헨레 세네브미우 메르케페레 메르카레 세와자레 멘투호테프 세헤켄레 산크프타히
제14왕조 야크빔 세카엔레 야아무 누부세르레 카레흐 아아호테프레 셰시 네헤시 카케레우레 네베파우레 세헤브레 메르제파레 세와지카레 3세 네브제파레 웨벤레 아위브레 2세 헤리브레 네브센레 셰케페렌레 제드케레우레 산키브레 2세 카케무레 네페리브레 카카레 아카레 아나티 제드카레 베브눔 아페피 누야 와자드 셰네흐 셴셰크 카무레 야카레브 야쿠브-하르
제15왕조 샤렉 셈켐 아페라나트 살리티스 사키르-하르 키얀 야나시 아페피 카무디
제16왕조 제후티 소베크호테프 8세 네페르호테프 3세 멘투호테피 네비리라우 1세 네비리라우 2세 세멘레 베비앙크 세켐레 셰드와스트 데두모세 1세 데두모세 2세 몬투엠사프 메란크흐레 멘투호테프 세누스레트 4세 페피 3세
아비도스 왕조 세네브카이 웨프와웨템사프 판트제니 스나아이브
제17왕조 라호테프 네브마아트레 소베켐사프 1세 소베켐사프 2세 인테프 5세 인테프 6세 인테프 7세 세나크텐레 아모세 세케넨레 타오 카모세
제18왕조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2세 투트모세 4세 아멘호테프 3세 아케나톤 스멘크카레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아이 호렘헤브
제19왕조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메르넵타 아멘메세스 세티 2세 십타 투스레트
제20왕조 세트나크테 람세스 3세 람세스 4세 람세스 5세 람세스 6세 람세스 7세 람세스 8세 람세스 9세 람세스 10세 람세스 11세
제21왕조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제22왕조 셰숑크 1세 오소르콘 1세 셰숑크 2세 타켈로트 1세 오소르콘 2세 셰숑크 3세 셰숑크 4세 파미 셰숑크 5세 오소르콘 4세
제23왕조 하르시에세 A 타켈로트 2세 페디바스테트 1세 셰숑크 6세 오소르콘 3세 타켈로트 3세 루다멘 이니
제24왕조 테프나크트 바켄레네프
제25왕조 피이 셰비쿠 샤바카 타하르카 타누타멘
제26왕조 네코 1세 프삼티크 1세 네코 2세 프삼티크 2세 와히브레 아흐모세 2세 프삼티크 3세
제27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캄비세스 2세 바르디야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소그디아누스 다리우스 2세
제28왕조 아미르타이오스
제29왕조 네파루드 1세 하코르 프삼무테스 네파루드 2세
제30왕조 넥타네보 1세 테오스 넥타네보 2세
제31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세스 카바쉬 | 다리우스 3세
아르게아스 왕조 알렉산드로스 3세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4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1세 프톨레마이오스 2세 · 아르시노에 2세 프톨레마이오스 3세 · 베레니케 2세 프톨레마이오스 4세 · 아르시노에 3세 프톨레마이오스 5세 · 클레오파트라 1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 클레오파트라 1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복위) · 프톨레마이오스 7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클레오파트라 2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클레오파트라 3세 · 베레니케 3세 프톨레마이오스 9세 (복위) 베레니케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 클레오파트라 5세 베레니케 4세 · 클레오파트라 6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13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아르시노에 4세 프톨레마이오스 14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프톨레마이오스 15세 · 클레오파트라 7세
세소스트리스 · 아이깁투스 · 사산 · 정통 칼리파
우마이야 · 아바스 · 파티마 · 아이유브
맘루크 · 오스만 · 무함마드 알리 · 대통령
}}}}}}}}}}}}}}}

아케메네스 제국 제5대 황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𐎠𐎼𐎫𐎧𐏁𐏂
파일: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jpg.webp
<colbgcolor=#941517><colcolor=#fff,#fff> 제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Artaxerxes I)[1]
출생 불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5px-Standard_of_Cyrus_the_Great_%28Achaemenid_Empire%29.svg.png 아케메네스 왕조
사망 기원전 424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5px-Standard_of_Cyrus_the_Great_%28Achaemenid_Empire%29.svg.png 아케메네스 왕조 수사
재위 기간 아케메네스 왕조 샤한샤
기원전 465년 ~ 기원전 424년 (42년)
전임자 크세르크세스 1세
후임자 크세르크세스 2세
부모 아버지 : 크세르크세스 1세
어머니 : 아메스트리스
배우자 다마스피아
종교 조로아스터교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아케메네스 왕조의 제9대 샤한샤. 부황 크세르크세스 1세가 살해된 후 황위에 올라 수많은 위기를 극복하고 나라를 안정시킨 명군이다.

2. 생애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들로, 다리우스 1세의 치세 때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465년 부황이 신하 아르타바누스에게 암살된 후 황위에 올라 아르타바누스의 꼭두각시 노릇을 하였다. 하지만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기회를 노렸고 정변을 일으켜 실권을 장악한 뒤 아르타바누스와 그의 아들들을 체포하여 사형에 처했다. 황권을 되찾았지만 당시 제국은 페르시아 전쟁 실패의 여파로 심각한 혼란에 휩싸인 상태였다. 아테네, 스파르타 등의 그리스 도시국가들은 에게 해 섬들과 해안지대를 연이어 습격했고, 아나톨리아의 안보를 위협했다. 또한 이집트에서 반란의 조짐이 일었으며, 각지의 사트라프들은 중앙 정부의 명령에 불복종하며 독자적인 행보를 꾀하는 등 총체적 난국이었다. 그는 이 혼란스러운 상황을 수습하고자 갖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가 한 노력으론 우선 테미스토클레스의 포용이 있다. 기원전 471년 아테네에서 추방당한 테미스토클레스는 아르고스로 도망쳤다가 나중에 아나톨리아 서부 지역인 이오니아로 이동했다. 그는 아테네로 복귀할 가망이 없다는 걸 알게 되자 페르시아의 수도 수사로 향하여 막 즉위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와 대면했고 테미스토클레스는 그가 부친의 패배를 설욕하고 그리스를 정복하는 걸 기꺼이 도와주겠다며, 페르시아어와 관습을 배우고 샤한샤를 충실히 섬길 수 있는 준비를 갖출 수 있도록 1년의 시간을 달라고 부탁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처음엔 그를 불신했으나 그의 능력을 보고는 신뢰하며 아버지의 원수였음에도 용서하고 기꺼이 받아줬다. 3개 도시의 총독에 앉혔으며, 그의 아내와 자식들이 아테네에서 몰래 빠져나와서 그와 합류하는 걸 허락했다. 이후 테미스토클레스는 마그네시아 총독을 맡다가 66세의 나이로 자연사했다.

샤한샤는 그리스의 도시국가들과 정면 대결하는 건 무익하다고 판단했다. 그 대신, 그는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를 이간질하기로 하고, 비밀리에 스파르타에게 거액의 금화를 제공하였다. 당시 스파르타는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지속하고자 델로스 동맹을 창설한 뒤 점점 더 강력해지고 부유해지는 아테네를 두려워하고 있었다. 그는 이 점을 잘 활용해, 스파르타가 아테네와 더 이상 협조하지 않고 아테네를 견제하도록 부추겼다. 이런 공작은 효과를 꽤 본 것으로 보이는데 기원전 460년, 스파르타는 헤일로타이 반란 진압을 위해 아테네에 군대 파병을 요청했고 이에 아테네는 기꺼이 군대를 파병했는데 오히려 스파르타인들의 야유만 잔뜩 받다가 돌아온 통에 당시 아테네의 지도자였던 키몬이 실각하기까지 했을 정도다.

기원전 460년, 리비아 왕자 이나로스 2세가 이집트에서 아테네의 지원을 받으며 반란을 일으켰고 아르티크세르크세스 1세는 메가비조스 장군이 지휘하는 페르시아 함대를 이집트로 파병해 이집트의 사트라프인 아크헤메네스와 협력해 반란군을 상대하게 했다. 초기에는 아크헤메네스가 멤피스에서 축출당하고, 페르시아 해군 역시 아테네 해군에게 고전하는 등 밀리는 양상이었지만 기원전 454년, 메가비조스 장군이 이끄는 함대가 아테네 해군을 상대로 델타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며 아테네의 지원을 끊는데 성공했고 아크헤메네스는 이 틈을 타 기세가 꺾인 반란군을 상대로 공세를 개시해 대승을 거두고 이나로스 2세를 사로잡았다.

그리스 역사가 크테시아스에 따르면, 이나로스 2세와 50명의 그리스 장군들은 수사로 끌려갔는데, 아르타크세르크세스의 어머니 아메스트리스는 당장 저들을 처형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진압군 사령관 메가비조스는 그들을 해치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며 선처를 호소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그의 약속을 존중하려 했지만, 아메스트리스의 강압에 못이겨 이나로스 2세와 그리스 장군들을 모조리 처형하게 하였다. 메가비조스는 이 일에 분노하여 이집트로 돌아가 반란을 일으켰고, 자신을 진압하러 온 페르시아군을 물리쳤지만 사로잡은 장수들을 후대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어머니가 포함된 사절들을 보내 사과하면서 화해하자고 제안했다. 메가비조스는 자신의 명예가 회복되었다고 여기고 이를 받아들이고 샤한샤의 사트라프로 돌아갔다고 한다.

기원전 450년경, 아테네는 코린토스와 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르는 와중에도 키프로스를 공략하기 위한 함대를 파견했다. 그러나 그리스 함대는 메가비조스에게 격퇴되었고, 지휘관 키몬은 전사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아테네에 사절을 파견해 평화 협약을 맺자고 제안했고, 아테네는 양면 전쟁을 지속하는 건 어리석은 짓임을 확실히 깨닫고 칼리아스를 수사로 보내 협상하도록 했다. 그 결과 그리스는 아나톨리아, 특히 이오니아 해안에 대한 페르시아의 권위를 인정, 페르시아는 에게 해의 무역 장려 및 이오니아 신민들에게 자치권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정전에 합의하였고, 양자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의 남은 통치 기간 동안 전쟁을 재개하지 않았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그리스와의 전쟁을 종결한 뒤 토목 공사를 대대적으로 벌였다. 다리우스 1세의 궁전이 대화재로 파괴된 뒤 재건 사업을 주도하였으며, 수사에 여러 기념비와 신전들을 세웠고, 페르세폴리스에서 부친에 의해 시작된 100개 기동의 건축물을 완성했다. 한편, 성경에 따르면 에즈라가 예루살렘에서 유대인 공동체를 재건하고 모세의 율법을 규범화하는 걸 허락하였으며, 술잔을 바치는 신하 느헤미야가 유대의 총독으로서 예루살렘의 성벽을 건축하여 유대인들을 보호하게 해줬다고 한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다마스피아 왕비와 결혼하여 크세르크세스 2세를 두었고, 첩실을 통해 소그디아누스, 다리우스 2세, 파르사티스를 포함한 많은 자녀를 별도로 낳았다. 424년경 자연사했고 적자 크세르크세스 2세가 새 샤한샤로 등극했다.

3. 여담

고대 기록에 따르면, 그는 오른팔이 왼팔보다 길어 '롱기마누스(긴 팔)'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현대 학자들은 유전병인 신경섬유종증의 결과로 신체 차이가 발생했을 거라고 추정한다.

이탈리아의 극작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는 그의 이야기를 담은 오페라 <아르타세르세(Artaserse)>를 만들었다.

이 대본을 바탕으로 작곡가 레오나르도 빈치, 요한 아돌프 하세,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등이 오페라를 써내려왔다.


[1] 고대 페르시아어로는 '아르타흐샤싸' 정도로 발음한다. 크세르크세스에 '아르타' 만 붙은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그리스식 발음으론 그렇고 고대 페르시아어 원어로는 크세르크세스는 '흐샤야르샤' 로 발음하기 때문에 다르다. 참고로 '흐샤싸' 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국호로 여겨지는 단어이기도 한데, 아케메네스 왕조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아르타흐샤싸' 는 '진실을 통해 통치하는 이' 정도의 뜻으로 번역된다. 구약성서에서는 '아닥사스다'로 음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