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23:24:11

M36 GMC

M36B2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미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808000> 제2차 세계 대전
미군기갑차량
전차 <colbgcolor=#808000> 경전차 M1, M2(A1/A2/A3/A4), M3(A1/A3), M5(A1), M22 로커스트, M24
중형전차 M2A1, M3 (A1, A2, A3, A4, A5, A6), M4, M4A1 "터틀백", M4A1 (76) W, M4A1E8, M4A1E9, M4 "컴포지트 헐", M4A2, M4A2 (76) W VVSS, M4A2E8, M4A3, M4A3E4, M4A3 (76) W, M4A3E8, M4A3 (75) W HVSS, M4A4, M4A6
중전차 M6, M26 퍼싱, T26E4-1(M26A1E2) 슈퍼 퍼싱
장갑차 차륜 장갑차 M8 경장갑차, M20 유틸리티 카, M3 스카웃 카, M3A1 스카웃 카, 포드-오스트레일리아 S1 스카웃 카, T18 보어하운드, T24 스카웃 카, M5 중형장갑차, T27 장갑차
궤도형 장갑차 M39 AUV
반궤도 장갑차 M2, M3, M5, M9
상륙장갑차 LVT, LVT(A)-4
자주포 자주박격포 M4 MMC, M4A1 MMC, M21 MMC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 M4 (105) VVSS, M4A3 (105) VVSS, M4 (105) HVSS, M4A3 (105) HVSS, T26E2 시제 중전차P
자주곡사포 M7 HMC M12 GMC, M40 GMC, M43 HMC
대전차 자주포 M6 파고, M3 GMC, M10 GMC, M10A1 GMC, M18 헬캣, M36 GMC, M36B2 GMC, M36B1, M8A1 GMC
자주대공포 M13 MGMC, M14 MGMC, M15 CGMC, M15A1 CGMC, M16 MGMC, M17 MGMC, M19 더스터
차량 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스튜드베이커 US6, M4 포병트랙터, M29 위즐,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M24 1톤 트럭, M25 드래곤 웨건
모터사이클 할리 데이비슨 WLA, 할리 데이비슨 ELA, 인디언 640B, 인디언 741, 인디언 340, 인디언 M1, 인디언 841
프로토타입 T1, T1 경전차, M1, T2, T7, M7, M3A2, M4A1 (T1), M4A4E1,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67, T55E1 GMC, T92, M38 울프하운드
노획 차량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신포탑 치하S, 하고S, 4식 포전차 호로S, 치누S,5식 중전차 치리S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1호 전차 C형E, 2호 전차 F형, 2호 전차 G형,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E, 6호 전차 티거E, 티거 2E,M3 하프트랙E, T-34-76E, T-26E, 7TPE, BT-7E, KV-2E, 르노 FTE, 소뮤아 S35E, 세모벤테 90/53E, 세모벤테 149/40E, 4호 구축전차 (A)E, 게쉬츠바겐 티거E, 로이머 SE, 판터IIE, 세모벤테 149/40E, Sd.Kfz. 231 8 räd, 6호 중구축전차 야크트티거E, Sd.Kfz. 251/8E, Sd.Kfz. 250/9E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 1941년형, KV-1 1941년형
파일:영국 국기.svg 마틸다 II, M4A3 17 Pdr, 처칠 III, 크루세이더 III
※ 윗첨자S: 태평양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E: 유럽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P: 전시 중 프로토타입으로 생산되었으나 전후 제식화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미국의 대전차 자주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2em"
파일:GMCM6누끼.png 파일:GMCM3누끼.png 파일:T48_GMC_누끼이미지_1.png
M6 GMC "Fargo" M3 GMC T48 GMCLR
파일:GMCM10누끼.png 파일:GMCM18누끼.png 파일:GMCM36누끼.png
M10 GMC / M10A1 GMC M18 GMC "Hellcat" M36 GMC / M36B2 GMC
파일:M36B1_누끼.png 파일:SPRRM50누끼.png 파일:SPATM56누끼.png
M36B1 GMC M50 Ontos M56 SPAT
※ 윗첨자LR: 미 본토에서 사용한 차량이 아닌 렌드리스로 타국에 공여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파일:M36_GMC_Thumbnail.jpg
90mm Gun Motor Carriage M36

1. 개요2. 제원3. 내부4. 개발사5. 형식
5.1. M365.2. M36B2
6. 파생형
6.1. 미국
6.1.1. 결합 개조 파생형
6.2. 대한민국
6.2.1. 장비 추가 파생형
6.2.1.1. M36 전차
6.3.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6.3.1. 현대화 개수형
6.3.1.1. SO-90
6.3.2. 장갑 증강 파생형
6.3.2.1. 고무 장갑 SO-90
7. 평가
7.1. 장점7.2. 단점7.3. 총평
8. 실전9. 사용 국가10. 미디어11. 모형12. 참고 문헌13. 둘러보기

1. 개요

M36 GMC 기동 영상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개발된 대전차 자주포. 역대 미국이 만들었던 대전차 자주포 중 가장 성공한 모델로 평가받으며, 전후 미국의 주력 대전차포인 90mm M3이 최초로 탑재된 차량이기도 하다.

이름인 "잭슨"남북 전쟁 당시 남군의 명장 스톤월 잭슨(Thomas Jonathan Jackson)으로부터 따왔는데, 스티븐 잘로가의 2002년 저서에 따르면 "잭슨"은 전후에 붙여진 별칭으로, 실제로는 대전 내에서 사용한 기록이 없었다고 한다.

실제 2차 대전 시기와 한국 전쟁 시기에는 강타자라는 뜻인 "슬러거"라고도 불렸다. 2차 대전 중 미국 대전차 포 중에서 최고의 포를 달았으니 빠따와 관련한 것도 무리가 아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도 M36의 화력은 당대 최강 전차인 T-54 전차와도 동등한 수준이었기에 원 편제인 대전차대대 자체는 1940년대 후반 해체되었지만 M36은 일선 장비로 계속해서 운용되었으며, 1950년에 발발한 6.25 전쟁에서도 실전 투입되어 공산권 전차의 상대는 물론, 높은 보병지원화력으로 자주포 역할도 곧잘 해내어 그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였다.

이후에도 M47 패튼, M48 패튼을 도입하기 어려운 국가에도 다수가 공여되어 1세대 MBT와 동등한 화력을 지닌 M36은 세계 각지에서 각광받았으며, 2000년대까지 대만, 세르비아 등지에서 사용되었다.

2. 제원

<colbgcolor=#808000> 90mm Gun Motor Carriage M36
제원
개발국가 미국
개발기관 미 육군 병기부
개발자 글래디언 M. 반즈
개발 연도 1943년
생산 기간 1943년 3월 ~ 1944년 6월
생산기관 제너럴 모터스(GM)
아메리칸 로코모티브 컴퍼니(ALC)
매시-해리스(Massey-Harris)
몬트리올 기관차 공장 (MLW)
사용 기간 1944년 ~ 현재[1]
사용 국가 미국 포함 도합 19개국
생산 대수 M36: 1,413문
M36B2: 724문
도합 2,137문
전비 중량 M36: 29t
M36B2: 30.9t
전장 7.46m (돌출된 포신 포함)
전폭 3.05m
전고 3.28m
장갑 9mm ~ 108mm
엔진 M36: 포드 GAA V8 가솔린 엔진 (450hp)
M36B2: 제너럴모터스 6046 트윈 디젤 6-71 (410hp)[2]
변속기 싱크로매쉬 변속기 (전진 5단, 후진 1단)
추중비 M36: 15.5hp/t
M36B2: 13.26hp/t
현가장치 수직 벌류트 스프링 현가장치 (VVSS)
항속 거리 240km
최고 속력 전진: 42km/h, 후진: 5km/h
탑승 인원 5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장전수, 무전수)
주무장 90mm M3 전차포 1문 (47발)
부무장 대공/대보병용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 (1,000발)

3. 내부

파일:m36_gmc_cutaway-1.jpg
M36 GMC 내부 도면
M36 잭슨의 내부는 상단의 사진과 같다.

M36의 무장인 90mm M3 대전차포의 화력을 실전에서 테스트한 결과, 독일 전투 차량을 무리없이 상대 가능하다는 결론 하에 M26 퍼싱이 탄생하게 되는 밑바탕 또한 다지게 되었다.

4. 개발사

파일:M10_GMC_with_90mm_gun_at_Aberdeen.png
M10 (T7)
미국 육군의 M10 GMC은 단점인 얇은 장갑과 독일 전차들의 장갑증강으로 인한 화력의 부족이 지적되어 이를 보강하는 대전차자주포 개발이 추가로 필요했다. 미국 육군에서도 1942년 4월에는 90mm 대전차포의 전신인 90mm 대공포 M1을 M10에 탑재한다는 안을 내놓았는데, 개발 초기에는 포탑도 M10의 것을 그대로 썼으나 구조적인 결함이 발견되어 포탑을 새로 설계하기로 결정 하고 T71을 제작하기에 이른다.
파일:external/www.tanks-encyclopedia.com/T71_Gun_Motor_Carriage_1st_pilot.png
시제형 자주포 T71
첫 M36 프로토타입 중 하나인 "T71 GMC"는 1943년 3월에 개발 완료되었는데, 기존 M10 GMC 대전차자주포의 차체에 화력이 강화된 90mm M3 대전차포를 달고 포탑을 개조한 상태였다. 여러 성능 테스트를 무사히 성공적으로 마쳤고 500대 생산 명령이 떨어진다. 1944년 6월 19일 명칭이 'M36 GMC'로 바뀌게 되며 생산되었다. 기본적으로 M36과 다른 점은 크게 없지만, 시제형 시기에는 M18 헬캣에서 사용한 전차장용 M2 중기관총 포탑링이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탈출할때 매우 거추장스러운데다, 내부 용적이 좁아진다는 문제 때문에 양산형에서는 삭제되고 대신 준비탄 적재소 바로 위의 볼마운트로 옮겨졌다.

놀라운 것은 이 작품이 미군 대전차 자주포의 아버지라고 할 앤드류 브루스 소장의 작품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파인 미국 병기국장 글래디언 M. 반즈 중장의 작품이라는 점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브루스 소장은 자신이 생각하기에는 여전히 느린 울버린에 90mm 포를 장착하면 더 느려지니 영 쓸모없다고 생각하고 M4 셔먼의 차대가 아닌 전용 차대를 사용한 자신의 야심작인 88km/h의 속도를 자랑하는 M18 헬캣의 개발에 온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었다.

포탑이 바뀌면서 M10 GMC와 아킬레스에 있던 문제점 하나가 사라졌는데, 포방패가 더 이상 무전수와 조종수 해치를 가리지 않아서 이 둘의 승차가 좀 더 쉬워졌다.

5. 형식

5.1. M36

파일:M36GMC.jpg
90mm Gun Motor Carriage M36
"M36"은 M36 시리즈의 기본 모태로서, M10A1 울버린의 차체와 90mm M3 대전차포 및 피셔 바디에서 제작된 전용 포탑을 장착하였다.

초기에는 포구제퇴기가 존재하지 않는 M3 포를 장비했으나, 이는 운용 인원들에게 포구 화염 탓에 시야 확보가 어렵다는 보고가 들어오면서 중기에는 M26 퍼싱과 동일한 포구제퇴기를 장착한 포를 장비하였다가, 후기형에서는 T-54/55 및 강력한 소련의 기갑전력을 상대하기 위해 M46 패튼과 동일한 M3A1 전차포를 무장으로 장비하였다.

5.2. M36B2

파일:Chengkungling History Museum M36E9.jpg
90mm Gun Motor Carriage M36B2

"M36B2"M10 GMC의 차체를 사용한 형식으로, 기존 사용하던 M10A1의 차체가 전량 소진되자 아이젠하워의 지시로 제너럴 모터스 6046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M10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하였다.

M36B2는 초기 M36이 일선에서 사용될 당시 지적된 단점을 보완하고 난 이후인 후기형식의 개선안을 다수 적용했는데, 그 중 E9식 현가장치와 덕빌 무한궤도를 장비하여 험지에서의 접지력 및 돌파력을 늘리려고 시도했고, 기본적으로 공장에서 출고할 때 포탑 상부의 증가장갑과, 개량형 M3 주포를 장착하였다.

M36과의 구분법은 차체 후방의 경사 각도가 다른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6. 파생형

6.1. 미국

6.1.1. 결합 개조 파생형

6.1.1.1. M36B1
파일:M36B1_Thumbnail_Image.jpg
90mm Gun Motor Carriage M36B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36B1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B1#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B1#|]][[M36B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대한민국

6.2.1. 장비 추가 파생형

6.2.1.1. M36 전차
파일:Seoul_War_Museum_M36_GMC.jpg
M36 전차[3]
전쟁기념관 소장 M36 전차 소개영상
"M36 전차"는 한국 전쟁 시기 제작된 M36/M36B2의 개량형으로, 원래 M36 잭슨에는 공축기관총이 존재하지 않아 대보병전에서 고전을 겪는다는 문제점 탓에 부조종수 좌석에 M4A3E8이 사용하는 차체 기관총구 및 상부 장갑을 증설해 개조한 파생형으로, 전량 대한민국 육군에서만 사용되었다.

특히, 원래 잭슨은 전차가 아니라 자주포이나, 대한민국 육군 편제 한정으로 경전차로 취급되어 "전차"로 분류되어 있는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1959년 1선에서 은퇴 이후, 파주시, 연천군, 철원군, 강릉시, 동해시와 같은 최전방 등지에서 엔진 및 구동계를 탈거하고 전차호 및 해안포로 사용되다 1980년대 즈음 전량 퇴역하였으며, 현재는 육군기계화학교에 1대, 용산 전쟁기념관에 1대가 제53전차중대 표시를 도포한 뒤 전시 중에 있다. 대전 자운대에는 엔진이 없는 한대가 있다

일본에도 1대가 전해지기도 했는데, 이는 90mm 주포를 장착한 전투차량을 일본 땅에서 사용 가능할 최소중량을 확인하기 위해 일본 측에서 요청하여 미국이 대한민국 국군에게 사용될 예정이었던 단차를 보내준 것으로, 해당 단차는 현재 츠치라 자위대 무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6.3.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6.3.1. 현대화 개수형

6.3.1.1. SO-90
파일:15326400302_ab658f02b6_b.jpg
SO-90
"SO-90"은 유고슬라비아에서 공여받은 M36을 개조하여 구동계를 동일 마력의 하르코프 모델 V-55 엔진으로 교체하였고, 크레인 마운트 제거 및 라이트 커버 변경, 적외선 야간 투시경 장착 등의 개수를 한 파생형이다.

이름의 "SO-90"세르보크로아트어로 자주포라는 뜻인 "Samohodno Oruđe"에 주포의 구경인 90mm를 붙여 만들어진 명칭이다.

1970년대 개수를 진행한 이후 각 공화국에서 다수를 사용했고, 현재는 유고슬라비아 구 국가의 여러 군사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으며 일부는 외국 및 개인 소장품에 매각되었다.

6.3.2. 장갑 증강 파생형

6.3.2.1. 고무 장갑 SO-90
파일:RubberM36.jpg
Oklop gume SO-90
"고무 장갑 SO-90"은 SO-90에 유탄 및 대구경 탄환 방어 목적으로 공장 내 컨베이어 벨트를 해체하여 부착한 장갑 증강형이다.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소수의 차량이 이러한 개조를 행하였으며, 현재는 영국 덕스포드 전쟁 박물관에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평화유지군으로 참전한 영국군이 노획한 1문이 동태보존 되어 있다.

7. 평가

다수의 장단점을 선임이었던 M10 GMC와 공유한다.

7.1. 장점

  • 기동성
    M10 GMC의 차체를 사용하며 셔먼과 동등한 기동성을 확보하였는데, 이는 신속함이 생명인 대전차 자주포로써는 기본 소양이라 볼 수 있다.
  • 화력
    이전의 M10과 달리, 90mm M3 대전차포를 주 무장으로 채택하며 확실하게 독일 전차들을 상대로 전투를 치를 수 있었으며, 이 덕에 여러 단점에도 불구하고 일선에서 요청이 끊이질 않았다.
  • 회전 포탑
    M10 GMC의 후계자 답게 360° 전방위로 회전하는 포탑을 채용하여 타국의 자주포 및 대전차차량들이 포각 이외의 목표를 조준 시 차체를 꺾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에 M36은 포탑을 빠르게 회전시켜 적을 조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 넓은 포탑 용적
    포탑 용적이 넓어 작전 수행 중 인원들의 피로감이 상대적으로 덜했으며, 전투 시에도 포탑 내부에서 빠르게 행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했다.
  • 낮은 차체 및 좋은 시야
    M10 GMC의 차체를 사용했기에 셔먼보다 낮으면서도 가시성 및 은닉성이 더 좋다는 장점이 존재하였다.
  • 주요 부품들의 호환성
    셔먼의 구동계와 주요 부품을 활용한 M10A1, M10 울버린의 차체를 사용했기에 높은 정비성과 호환성을 지닌 덕에 셔먼, M10의 부품 다수를 M36에도 사용 가능했기에 보급에도 차질이 없었을 정도였다.
  • 빠른 선회 속도
    포탑 회전 속도가 초당 24°였기에, 전임자인 M10보다 무려 6배 가까이 빠르게 포탑이 돌아가며 난전에서 큰 효용성을 보였다.

7.2. 단점

  • 장애물 돌파력의 부족
    M10 GMC와 같이, 기동성은 좋은 편에 속했지만 VVSS 현가장치의 문제점인 장애물 돌파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변속기 전면에 그라우저를 추가한다면 3피트(90cm)의 벽도 넘을 수 있지만, 보통은 장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1.5피트(45cm) 밖에 넘질 못했다.
  • 얇은 장갑과 상부 개방형으로 인한 단점
    오픈탑 구조 탓에 전임자인 M10 GMC와 동일한 단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바로 포탑 상부의 고폭탄 및 수류탄이나, 기타 파편이 들어가면 운용 인원에게 치명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야전에서 장갑을 증강하여 해결한 M10과 달리, M36에서는 전쟁 후반 및 종전 직후 정식으로 포탑 상부 증가 장갑 겸 여닫이식 지붕을 잔존 개체에 배포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 대보병전 취약
    동축기관총이 없고, M2 중기관총 1정만 배치되어 있어서 적군의 보병들이라도 맞닥뜨리게 되면 전차장이 총탄이 빗발치는 와중에 재빨리 엔진룸 위에 올라타 기총을 잡아야 하는 위험한 상황이 자주 연출되었다. 이 때문에 프랑스군이나, 국군에서 운용하였던 M36의 경우 동축기관총구를 포탑과 차체에 증설하거나, 혹은 임시로 M5 스튜어트의 M1919A4 마운트를 장착하는 개조를 하여 해결하였다.

7.3. 총평

1944년 11월 20일 아침, 나는 76mm 셔먼의 전차장 임무를 수행했다. 독일측은 적어도 3대의 판터 전차와 일개 사단의 보병들로 이루어진 합동 공격을 시작했다.

나는 포수에게 가장 가까운 거리의 전차를 향해 쏘라고 지시했는데, 대략 800야드 거리에서 측면이 노출된 적 전차에 사격을 가했지만 튕겨나갔다. 포수는 적어도 6발 이상을 발사했다. 공격을 받은 독일군 전차는 내 탱크가 다른 대전차자주포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생각했는지 후퇴하기 시작했다. 무려 7발의 직격탄을 맞고도 사라진 독일 전차를 지켜본 나는 매우 큰 충격에 빠졌다.

이 때, 90mm 포를 장착한 대전차자주포 1대가 내 옆에 전속력으로 도착했다. 나는 단차장에게 적의 위치를 알렸고 그는 독일 전차를 향해 정확히 한 발을 발사하여 파괴했고, 왼쪽으로 돌아가서 다른 한 대의 독일 전차를 파괴했다.
프란시스 W. 베이커 병장 (M4 셔먼 전차장)[4]

상단의 기록은 M4 셔먼 전차장이 5호 전차 판터와 조우한 기록으로, 해당 기록에 기술되었듯, M36 잭슨의 화력은 상당히 뛰어난 편이었지만, 태생적으로 장갑이 그 화력에 비해 빈약한데다가[5] 넓은 시야를 위한 오픈탑 포탑을 가졌는데, 이는 미국의 대전차 자주포가 방어진지 등에 숨거나 우회해서 측면을 노려 적 전차를 먼저 보고 먼저 쏘고 물러나 다음 기회를 잡는 것을 기본적인 생각으로 하는 전투교리를 가지고 있어서 자체 방어력보단 기동력과 시야를 중요시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말로는 그럴 듯 했으나 현실은 방어력이 빈약한 M36으로 독일 국방군6호 전차 티거티거 2 등의 중전차들과 정면승부를 벌여 격파된 사례도 많았다.

판터와 티거같은 전차들을 잡을 수는 있지만, 4호 전차로도 해당 자주포나 셔먼 VC, 셔먼 IC, 셔먼 IC 하이브리드와 먼저 맞추는 쪽이 이기는 싸움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어디까지나 철저히 뛰어난 시야와 화력을 이용해야 했던 자주포다.

또한 얇은 측면과 오픈탑 포탑을 가져 매복한 보병의 수류탄이나 경대전차화기에도 격파될 수 있었기에 전차처럼 본격적인 공세에 사용하는 것은 생존을 장담할 수 없었다.[6]

이렇게 빈약한 방어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적의 기갑 전력이나 보병과 정면승부를 벌여야 했던 이유는 실제 전선에서는 미군의 주력 전차인 M4 셔먼이 수비적인 입장으로 충분한 준비를 갖춘 독일군의 대전차포나 중전차에 의해 대량 손실이 일어나면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사단에 배속된 TD 부대들이 격파당한 셔먼을 보충하는 시간을 벌기 위해서 전차 역할을 대신하여 전장 정면에 나서야 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전선에서 요구량이 굉장히 많았는데, 당연한 일이지만 티거, 그리고 특히 많이 만났던 판터 계열들을 확실하게 격파할 수 있는 90mm 포를 갖춘 장갑차량은 1945년에 M26 퍼싱이 대량생산되어 유럽에 등판할 때까지 M36 계열의 전투 차량들이 유일했기 때문이다.

물론 화력만 강하고 그에 비해 방어력은 부실한지라 아쉬운 면도 있었지만, 시야가 뛰어나고 기동성도 좋기 때문에 먼저보고 빨리 조준해서 정확하게 명중시켜도 독일군의 중전차를 격파하지 못하고 당할 가능성이 높던 셔먼보다는 당연하게도 평가가 좋았으며, 이 때문에 전선에서의 수요 폭증으로 M10A1의 차체가 전량 소모되자 아이젠하워의 지시로 잉여로 남아있던 M10 울버린의 차체와, 전선에서 수리를 위해 후방으로 이송된 M10 울버린을 개조하여 M36B2가 추가로 714문이 생산되었다.

총평으로는 현 미국 주력 전차의 시조인 M26 퍼싱, M46 패튼의 개발에 일조하여, 세계 각지에서 사랑받은 가히 2차 대전 최고의 대전차자주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8. 실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36 GMC/실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 GMC/실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 GMC/실전#|]][[M36 GMC/실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사용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36 GMC/사용 국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 GMC/사용 국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 GMC/사용 국가#|]][[M36 GMC/사용 국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36 GMC/미디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 GMC/미디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36 GMC/미디어#|]][[M36 GMC/미디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모형

11.1. 프라모델

11.1.1. 아카데미과학

파일:20230425_055035.jpg
U.S TANK M36 JACKSON
1:35 스케일로 타미야제를 카피하였다.

11.1.2. 유니모델

파일:M36 Tank Destroyer.jpg
M36 Tank Destroyer
1/72 스케일로 1종을 발매하였다.

11.1.3. 에어픽스

파일:1 35 M36 M36B2 BATTLE OF THE BULGE.jpg
1:35 M36/M36B2 'BATTLE OF THE BULGE
1/35 스케일로 1종을 발매하였다.

11.1.4. 타미야 모형

파일:TAMiyaM36.jpg
U.S TANK DESTROYER M36 JACKSON
1/35 스케일로 발매했다.

11.1.5. AFV 클럽

파일:U.S. ARMY 90MM TANK DESTROYER.jpg
M36 JACKSON U.S. ARMY 90MM TANK DESTROYER
1:35 스케일로 1종을 발매하였다.

11.2. 브릭

11.2.1. 브릭매니아

파일:2112-M36-Jackson-Cover__1200__05227.jpg
M36 Jackson 90mm Self-Propelled Tank Destroyer
1종을 출시하였다.

11.2.2. 코비

파일:M36 JACKSON.jpg
M36 JACKSON
1종을 출시하였다.

12. 참고 문헌

13.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자유 프랑스군 기갑장비
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color=#001489> 제2차 세계 대전
자유 프랑스군기갑차량
장갑차 <colcolor=#ef3340> 차륜형 장갑차 <colbgcolor=#fefefe,#393b42>팡하르 165/175, 팡하르 178
전차 경전차 르노 R35, R39, R40
기병전차 오츠키스 H35, H38, H39, 소뮈아 S35
전투전차 르노 B1, B1 bis, B1 ter, 르노 D2 }}} 랜드리스 브렌건 캐리어, 크루세이더 Mk.II, 크루세이더 Mk.III, 밸런타인 Mk.IV, 센토어 Mk.VII, M3A3 스튜어트, M5 스튜어트, M2, M2A1, M3, M3A1, M5, M5A1, M9, M9A1 하프트랙, M8 그레이하운드, M20 스카웃 카, M4A2, M4A3, M4A3(76), M4A3E8, M4A1, M4A4, M8 스콧, M4 (105), M4A3 (105), M10 GMC, M7 프리스트, M36 GMC, M24 채피
노획차량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Sd.Kfz. 251, 4호 전차, 3호 돌격포, 마르더, 헤처, 4호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티거 2, Skoda 76,2mm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치하, 하고, 치로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 ||

한국전쟁기 국군 및 유엔군의 기갑차량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UN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시기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국군 / 파일:UN기.svg 유엔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ff,#1c1d1f>M24 채피, M41 워커 불독
중형전차 M4A1, M4 컴포지트 헐, M4A3 (76) W VVSS,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 A34 코멧, M26 퍼싱, T-34-85C
돌격전차 M4 (105), M4A3 (105), M4 (105) HVSS, M4A3 (105) HVSS, M4 (105) 셔먼 도저, POA-CWS-H5, M4A3 (105) "포큐파인", M45 중형전차
주력전차 센추리온 Mk.3, M46 패튼, M47 패튼
중전차 A22 처칠 크로커다일, A22 처칠
구난전차 M32 TR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 BA-64AC
반궤도 장갑차 M3A1 하프트랙
궤도 장갑차 M39 AUV, M44, M75, 유니버설 캐리어 Mk.I/II
상륙장갑차 LVT-3, LVT(A)-4
구난 및 견인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B1A1, M32B1A2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 M36 GMC, M36B2, M10 GMC, M10 아킬레스, SU-76MC
자주포 M7B1/B2 프리스트, M37 자주곡사포, M40 GMC, M41 고릴라
차량 차량 윌리스 MB, 닷지 M37
트럭 CCKW, 닛산 180IJA, 토요타 BM, GAZ-51C, GAZ-63C, ZIS-150C
자주대공포 M16 MGMC, M19 더스터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 전시 중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사용 기록 실증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 운용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운용무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 운용무기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군 운용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 운용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 운용무기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냉전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갑차량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고슬라비아 국군 (1945~195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jа
기타전차 경전차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PT-76B
중형전차 3호 전차C, 4호 전차C, T-34-85M, T-34BM, Vozilo-AX, M4A3E4
MBT 1세대 T-54A, T-55(A/AI), M47 패튼
3세대 T-72M, M-84(A/AB/ABN), M-90/91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M-100, BTR-152, BTR-60, BRDM-2, OT TAB-71, BOV
궤도장갑차 Sd.Kfz. 251, OT M-5, MT-LB, OT M-60(P/PB), BTR-50, BVP M-80(A/A1)
차량 소형 피아트 1101 · 1107, 핀츠가우어
트럭 TAM-110 · 150 · 260 · 4500 · 5000,
FAP 2026 · 2832, ZiL-131 · 157, MAZ-537
자주포 자주곡사포 Kadilak, SO-105, 2S1, NORA B-52
대전차 자주포 SO-75C, SO-75 M-3A3M, M-44, SO-76M, SO-76 Helkat, SO-90 "Dżecksons", M36B1, SO-122X
대공차량 자주대공포 M15 CGMC, ZSU-57-2, M53/59, BOV-3, BOV-30X, SPAT 30/2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M-90 Sava,
RL-2 프락카M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냉전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45~1991)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기타전차 <colbgcolor=#2A5034> 경전차 M36 전차R/M, M24 채피L/R
중형전차 M4A3 (76) W HVSSR, T-34-85C/R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 M48(A1R/A2C) 패튼, M48(A3K / A5K · K2 · KW) 패튼M
2세대 Tiran-6X, T-72M1X, M60X
3세대 K-1
장갑차 차륜형 M8 LACR, M20 유틸리티 카R, KM900, UR-416X, M706R
궤도형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200(A1), K277, K533 · 534, K-77, KAFV
차량
소형 K-131, K-111, K-100, 새마을 트럭R,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트럭 닛산 1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 K300R, K301R, K311(A1), K511(A1), K711, K800, K409 TEL, K501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 CCKWR,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 M985, M1142)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 M110, K-55(A1), 곡산 170mmX
자주박격포 M106R, M125R, K242(A1), K281(A1), K532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자주대공무기 자주대공포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자주대공
미사일
없음(?)
다연장로켓 K-136 구룡 I/II
대포병 체계 AN/TNS-10
공병 차량 구난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M88(A1) 구난전차, KAAVR7A1
AEV KM9 ACE, M728 X/R/?
교량 차량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기타 K-313, K-512
대테러부대용 차량 없음(?)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전차 경전차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공수전차 M551 셰리든
주력전차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장갑차 차륜장갑차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궤도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차량 소형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트럭 ZIS-150C,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자주포 자주곡사포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자주박격포 M125, M106
대전차 자주포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대공 차량 자주 대공포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미군 (1975~현재)
United States Armed Forces
전차 <colbgcolor=#27408b> 주력전차 M1A1 SA, M1A2 SEP(v2 · v3), M1A3, XM1202 MCS, M1A2 SEP v4 (M1A2D), {M1E3}, {DLP}, T-72OpFor
공수전차 M551 셰리든R, XM8 AGS, M10 부커
경전차 M24C/R, M10 부커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LACC/R, LAV-25, M93A1 폭스, M1126~35 스트라이커, M1296 드래군, M1117 가디언, AGMS, LAV-II 바이슨, {ACV}
궤도장갑차 AAV-7A1, M2 · M3 브래들리, M113(A1 ~ A3), AMPV, FCS MGV, EFV, {XM30 MICV}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6 팔라딘/A7), XM2001 크루세이더, XM1203 NLOS-C, M1299 아이언 썬더, {호크아이 105}, {브루투스 155}
자주박격포 M1064, M1129, {M1287 MCV}, XM1204 NLOS-M, LAV-EFSS
돌격전차 M4A3 (105) HVSSC/R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C/R, M36C/R, M36B1C/R
다연장로켓 M270 MLRS, M142 HIMARS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163 VADSR, 센추리온 LPWS, AN/MSY-2 MADIS, M247 서전트 요크
단거리 대공미사일 M6 라인배커R, LAV-AD, AN/TWQ-1 어벤저, SGT 스타우트 , NASAMS, 아이언 돔, {MRIC}, XM975, MIM-146 ADATS SLAMRAAM
중장거리 대공미사일 MIM-23 호크R, MIM-104 패트리어트, MIM-401 THAAD, GBI
수송 차량 소형 험비, L-ATV, MRAP, M-ATV, M1224 맥스프로, M1288 GMV 1.1, M1161/3 그라울러 ITV, M1301 ISV, IFAV,
LSSV 타호/실버라도, 하이럭스, DPV, GAARV, RSOV, MRZR, MRZR-D, M1030M1, 플라이어 72 · 60, 렌코 베어캣
트럭 2½톤R, M35R, M39 5tR, M939, FMTV(LMTV · MTV), MTVR, LVSR, 건 트럭, M977 HEMTT, M911 HET, M1070 HET
수륙양용차량 LARC-LX, LARC-V, LARC-XVR
지원 차량 구난차량 M984, M88A2 허큘리스, M1 ARV, XM1205 FRMV
교량차량 M60A1 AVLB, M104 울버린, M1074/M1110 JAB, M1975 DSB 런처, M1977 CBT
전투공병차량 M9 ACE, M1150 ABV, 버팔로 MPCV, M1 그리즐리, 캐터필러 D9
지휘차량 M577, M4 C2V
탄약보급차량 M992 FAASV, XM2002 RSV
UGV 드래곤 러너, PackBot 510, XM1216 SUGV, FirstLook 110, Warrior 710, TALON
MARCbot, ANDROS, R-Gator, SMSS, M160 MV-4, S-MET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및 타국에서 회수한 차량
※ 윗첨자OpFor: 대항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국군 (1707~현재)
His Majesty's Armed Forces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빅커스 중형 순항전차E, 키메라, 마틸다 II Mk. II, 마틸다 II Mk. IIIR/P, 셔먼 IIAR, 셔먼 IIIAY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ICR, 셔먼 IC 하이브리드R, T-34-85C/R, T-34-85CZC/R
MBT <colbgcolor=#c8102e> 1세대 A41 센추리온R, 59식 전차T/R
2세대 FV4201 치프틴R, 빅커스 MBT Mk.(1, 2 , 3)E
3세대 FV4030/4 챌린저 1R, 빅커스 MBT Mk.(4E, 7), MBT-80
3.5세대 FV4034 챌린저 2, {챌린저 3}
경전차 키메라, GSR 3301 세터, FV301, FV101 스콜피온R, 채피R
중전차 FV214 컨커러R, FV214SA
장갑차 차륜형 AT105C 색슨R, 험버 피그R, FV701 페렛R, FV721 폭스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훅스 1 NBC, 부시마스터, 쿠거, 마스티프, 릿지백, 울프하운드, {MIV 복서}
궤도형 CVR(T), FV430 불독 / FV432 트로잔, FV510 워리어, FV107 시미터R, FV4333 스토머
{에이잭스, 아레스, 아테나, 아틀라스, 아폴로}, BvS-10 바이킹
차량 소형 핀츠가우어, 벡터, 울프, 핑크 팬더R, 폭스하운드,
MXT-MV / 허스키 TSV, 코요테 TSV / 재칼 2, {MRV-P} {MWMIK}, 판터 CLV, MRZR-D
트럭 MAN HX60 지원 차량, 베드포드 TM 6-6/4-4, FODEN DROPS, 오시코시 MTVR Mk.31,
오시코시 HET 1070F, 모바크 DURO-II/III, 알비스 스톨워트R
자주포 자주곡사포 L131 AS-90 · AS-90 브레이브하트, SP-70, FV215, M777 LIMAWS(G), FV433 애봇R, M107R, M109(A1/A2)R, M110(A2)R, 아처, {RCH 155}
자주박격포 FV432 81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SD-100C/R, FV4101 채리어티어R, M36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434 팔콘, 치프틴 마크맨 대공 시스템
단거리 대공미사일 트랙드 레이피어R, 스토머 HVM
다연장로켓 MLRS
무인 차량 UGV 미션 마스터 SP
기타 FV 시리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T: 테스트용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군 (1945~현재)
Forces armées françaises
중전차 6호 전차 티거G/R, ARL-44R, M4A3E2R
구축전차/대전차 자주포 야크트판터G/R, M10 GMCR, M36 GMCR, M36B2R, SD-100C/R
구난전차 M31 TRVR
중형전차 M4A1R, M4A1 (76) WR, M4A1E8R, M4A1 (CN-105-F1)M/R, M4A1 (FL10)M/R, M4A1E9R, M4A4R, M4A4TM/R, M4A4 (SA50)M/R, M4A2 (76) WR, 5호 전차 판터G/R, M26 퍼싱R, 4호 전차 G형G/R, T-34-85P/R, T-34-85CZC/R
경전차 M24 채피R, AMX-13R, AMX-13 (FL-11)R, AMX-13-90R, AMX-채피M/R, 치로R
MBT <colbgcolor=#008080>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 AMX-30R
3.5세대 르클레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험버 피그R, 코번트리R, 페렛R,
E.B.R. (Mle.51/Mle.54/Mle.63/ETT)R, AML-90R, ERC-90 F1/F4 링스/사가이에R, VBC-90R, AMX-10 RC/RCR,
VBCI, VAB, EBRC 재규어, VBMR 그리폰
궤도장갑차 Sd.Kfz. 251G/R, 유니버설 캐리어R, T16R, LVT-4R, LVT(A)-4R, M113A1C/R, AMX-VCIR, AMX-VTTR, AMX-10P, VHM, BvS 10
차량 오토바이 폴라리스 스포츠맨 400 ATV, 야마하 XTZ660 테네레, 카지바 T4
소형 VBL, PVP, 푸조 P4,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레인저, 포드 에베레스트, 르노 캉구 · 트래픽 III, 아라비스
트럭 포드 V3000G/R, 르노 케락스 · TRM 10000 CLD · GBC 180, VTL G290, CBH 385 막시 CLD,
ACMAT VLRA, 스카니아 R580, 시수 E-테크 480
자주포 자주곡사포 M8 스콧R, M40R, M41 고릴라R, AMX-105 Mk.61R, M4 (105)R, AMX Mk F3R, AU-F1, CAESAR
자주박격포 AML-60R, VTM-120,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T-4 BoforsR, AMX-13 Œil NoirR, VAB VDAA T20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 R-440, AMX-30 롤랑, 롤랑 CAROL
다연장로켓 LRU
페이퍼 플랜 및 프로토타입 FCM 12t, 바티뇰-샤티옹 12t, 바티뇰-샤티옹 25t, ELC 프로젝트, ERAC, MARS 15, 로르 RPX 시리즈
로르 VPX 시리즈, 벡스트라, FCM 50t, AMX-50, 소뮤아 SM, AMX M4, 로렌 40t, AMX-32, AMX-40
AMX CDC, 로렌 CA, 포슈, CDC 앙리, AMX-10M ACRA, MARS 15, AMX-13 DCA 40, AMX-30 자벨로, AMX-30 DCA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G: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C: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 이탈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98019> 이탈리아군 (1946~현재)
Forze Armate Italiane
기타전차 L6/40R, 까로 레체로 M24R, 까로 레체로 M3A3R, 까로 레체로 M5R, 까로 레체로 M5A1R, 까로 메디오 M4A1R, 까로 메디오 M4A1 76/52R, M4 티포 IC 콤포지토R, 까로 메디오 M4A4R, 까로 메디오 셔먼 VCR, 까로 메디오 M4 하이브리드R, 까로 아르마토 M26A1R
MBT <colbgcolor=#198019> 1세대 M47 패튼R
2세대 M60A1R, 레오파르트 1(A2/A5)R, OF-40E
3세대 C1 아리에테
3.5세대 {아리에테 AM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피아트 CM6614/6616R, VBR NBC, 아우토블린도 푸마, B1 첸타우로, VBM 프레치아, VTMM Orso MRAP, {VBA}
궤도장갑차 VCC80 다르도, AAV-7A1, M113 VCCI
차량 소형 VM-90, AR-90, VTLM 린체
트럭 이베코 ACM 80/90 4X4 · ACL 90 4X4 · ACTL 6x6 · HD6
자주포 자주곡사포 M7B1 HMCR, 섹스턴R, M44R, SP-70, 팔마리아E, 오토멜라라 M109L, PzH2000
자주박격포 M106A1, VBM 프레치아 포르타 모르타이오
대전차 자주포 세모벤테 da 76/50 M10R, 세모벤테 콘트로카리 M18 da 76/52R, 세모벤테 da 90/50 M36R, 세모벤테 da 90/50 M36B2R, 세모벤테 da 90/50 M36B1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113 SIDAM-25*, 오토마틱E, 드라코
다연장로켓 M270 MLRS, {M142 HIMARS}
지원 차량 구난차량 M74 TRVR, M32B1 TRVR, BPz 2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
교량차량 밸런타인 가교전차R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M113 위에 4연장 25mm 기관포탑을 단 자주대공포.
{}: 예정 및 계획중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 중화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중화민국 국군(1947~현재)
中華民國 國軍
기타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아식 구돈반전차R, M3A3 스튜어트R, M5A1 스튜어트R, M24A1M, M41 워커 불독R, M41D 워커불독M/R, 64식 경전차M/R
중형전차 M4R, M4A3R, 셔먼 VR, 셔먼 IIR, M4A1 (75) WM
MBT 1세대 M48(A1R/A3H) 패튼, 완 쳉4M
2세대 CM-11 · CM-12 용호M, M60A3 TTS
3.5세대 M1A2T 에이브람스
장갑차 차륜형 M8 그레이하운드R, CM-31, CM-32 운표, V-150S
궤도형 LVT-4R, CM-21(A1/A2) · CM-24 · CM-27A1, M113, LVTP-5A1 · LVTH-6, AAV-7A1
차량 오토바이 야마하 로얄 스타 밴처 군사경찰 오토바이, KYMCO KTR125 정찰용 오토바이
소형 M151R, 험비, 포드 E350, 미쓰비시 아웃랜더, 지프 랭글러
트럭 M35, M923, 나비스타 디펜스 MV 4×4*, 오시코시 FMTV · M977 HEMTT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우니모크, MAN HET, 볼보 FH
히노 500 , 미쓰비시 델리카, 타타대우 노부스
자주포 자주곡사포 M110A2, M109(A2/A5/A6), M107R, M108R, 제8식 75포 전차R, M7 프리스트R, M10 105호미 자행곡사포M/R
자주박격포 CM-22, CM-23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R, M36B2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R
단거리 대공미사일 M1097 어벤저, MIM-72/M48 채퍼럴 · 톈첸-1
다연장로켓 궁펑-IIIR/IV/VI, 뢰정-2000, M142 HIMARS
공병 차량 구난차량 M88A1 허큘리스
교량 차량 M3 자주중문교
개척 차량 M9 ACE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도입 협상중.
}}}}}}}}}


파일:인도 국기.svg 현대 인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인도군 (1947~현재)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M4A1E6C/R, M4A3E4, M4A4R, M4A1E9 (SA50)M/R M4A4 (76)C/R, M4A4 (SA50)M/R, M4A4 (D-56T)M/R
MBT 1세대 센추리온R, T-54BR, T-55(A/1951년형)R, 59식 전차C/R, 인디엔 판처
2세대 T-72A, 비쟈얀타R
3세대 T-90S 비쉬마 Mk.(1, 2) · T-90MS 비쉬마 Mk. 3, T-72M1 아제야 Mk.(1, 2), 아준 Mk.(1, 1A)
경전차 AMX-13R, PT-76, M3A3 스튜어트R, {조라와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 BRDM-2, FV701 페렛, 카스피르, 아디트야, 타타 WhAP
궤도장갑차 BMP-2 사라스, BMP-1R, FV432, 타모르 HAPCM, PRP-3, NAMICA, {FICV}, Sisu NA-201, TOPAS(2A)/FRT TOPAS
차량 소형 마힌드라 550, 마힌드라AXE, 미쓰비시 파제로, 마루티 집시, 윈디 505, 타타 사파리, 토요타 랜드 크루저, 미쓰비시 파제로, 티그르
트럭 KrAZ-6322, 스와라즈 마츠다, 이스즈 F시리즈,
VFJ-LPTA713TC · 스탈리온 Mk.(3/4),
타타 LPTA1615TC/1621 · 프리마 4038S/4938S · 타트라 BEML 시리즈
자주포 자주곡사포 FV433 애봇R, 2S1, K-9 바즈라-T, {MGS}
자주평사포 M-46 캐터펄트R
자주박격포 CMT
대전차자주포 Mk.I 아처R, M36B2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2K22M1 퉁구스카, 소스나-R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9K35 스트렐라-10, 9K33 오사, {BMP-2 아카시M}
다연장로켓 BM-21, 9A52-2T, 피나카 MBRL Mk.(1, 2, 3)
공병 차량 구난차량 VFJ 경구난차, 유크티라스 경구난차, CL-70, ARV-2, ARV-3, VT-72B
AEV AERV, BMP-2 불도저M, OT-62 FV180 C.E.T.
교량 차량 카르틱 ABL, MT-55, T-72 BLT, 살바트라, CEASE
기타 하이드레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현대 파키스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파키스탄군(19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M4A1E6, M4A4R, M4A4 (76)R, T-34-85CZ, 58식 전차
MBT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M47 패튼, T-55, M48A5R, 59식 전차, 알-자라르
2세대 69-IIMP식 전차, 85-IIAP식 전차
3세대 T-80UD, 알-칼리드(I/II)
3.5세대 VT-4, 하이더
경전차 M24 채피, 63식 전차, AMX-13C/R, M3A3 스튜어트R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 BRDM-2, UR-416, 알-파트 IFV, WZ-551, 오토카르 코브라, 오토카 아크리프, 맥스프로, FV701 페렛R, BTR-70, BTR-80
궤도장갑차 M113(A1~A3), 탈하 APC, 사아드 APC, 63식 장갑차
자주포 자주곡사포 M7 프리스트R, M109(A2/A5), M110A2, SH-15
대전차 자주포 M36B2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M19 더스터
단거리 대공미사일 FM-90
다연장로켓 알자르, KRL 122, BM-27, A-100E
※ 윗첨자R: 퇴역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현대 튀르키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기타전차 T-26R, T4R, 5호 전차R, M4 셔먼R, M24 채피R, M3 스튜어트R, 밸런타인R T-34-85CZC/R
MBT <colbgcolor=#e30a17> 1세대 M48A5T2
2세대 M60(A1/A3 TTS), 레오파르트 1A3 · 1T
3세대 M60T 사브라, 레오파르트 2(A4TR/A4T1)
3.5세대 알타이 T1
중형전차 카플란E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80, UR-416, BMC 키르피 I/II MRAP
궤도장갑차 케말 투랄 APCR, M113A3T1/T2, ACV-15, FAARV, ZAHA
차량 소형 오토카르 코브라/ Engerek, ZPT, 디펜더, M151, 지프 랭글러
트럭 벤츠 악트로스 · 악소르 · 유니목 · NG, M977 HEMTT,
BMC 185-09 · 235-16 · 380-26 · Fatih 280 · M35, M939
자주포 자주곡사포 M44TR, M52T, M55 SPHR, M107R, M108TR, M109*, M110A2R, T-155 (프르트나/프르트나 2)
자주박격포 M106A1, M125A1, ACV-AMV-81
대전차 자주포 M36B2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A1 더스터R, ACV-30 코르쿠트
단거리 대공미사일 아틸간 PMADS, Zıpkın PMADS, HISAR-A
다연장로켓 M270A1 MLRS, T-122 사카리아, T-300 카쓸가
구난전차 M74, BPz 2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이란 국기.svg 현대 이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colbgcolor=#99cc99,#336633>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기타 전차 M4A1 (76) WL/R/이란 제국, M4A3 (105) HVSSL/R/이란 제국
MBT <colbgcolor=#99cc99,#336633> 1세대 T-54, T-55, 59식 전차, M47, M48
2세대 FV4201 치프틴 Mk.(2K, 3, 5), 모바레즈M, M60, 천마호 가형, 69식 전차, 사피르-74M*, T-72(M1/S), Sabalan, 줄피카-1/2
3세대 줄피카-3, 카라르M
경전차 M24 채피, FV101 스콜피온, Tosan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TR-40, BTR-60PB, BTR-82, EE-9 Aghareb, Rakhsh, Sarir, Haweize
궤도장갑차 BTR-50PK, OT-62B, BMP-1 · Boragh, BMP-2, M113, FV107 시미터
차량 소형 M38R, KM410, KM414, M151R, 사피르
트럭 MAZ-543, 우랄-4320, ZiL-130 · 131 · 135, M548, KrAZ-5233
벤츠 악트로스 · L 시리즈, Neynava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 M110, M109A3, 알-라으드 2, 곡산포, 2S1, 알-라으드 1
자주박격포 Boragh 자주박격포형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L/R/이란 제국, M36B2L/R/이란 제국, A-36L/R/이란 제국
대공 차량PADAJA 자주대공포 ZSU-57-2 · Bahman, ZSU-23-4 쉴카,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 Herz-9, Shahab Saqeb · Ya Zahra
다연장로켓 63식 다연장로켓, BM-11, BM-21, BM-13, BM-24, M-1989, 파즈르-3/5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참자PADAJA: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공군 소속 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59식 전차, T-54, T-55의 현대화 개수 모델.
※ 윗첨자이란 제국: 1979년 이전까지 이란 제국에서 운용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미사일 전력 }}}
}}}}}}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 일본 자위대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 자위대 (1954~현재)
自衛隊
기타전차 <colbgcolor=#fff> 경전차 M24 특차R, M41 특차R
중형전차 89식 중전차 이고P/R, M4 특차R
MBT 1세대 61식 전차R, M47 패튼L
2세대 74식 전차 (A ~ G형)R
3세대 90식 전차 (改)
3.5세대 10식 전차 {改}
장갑차 차륜형 82식 지휘통신차, 87식 정찰경계차, 화학방호차,
96식 장갑차, NBC 정찰차, 장륜장갑차 (改),
수송방호차, 16식 기동전투차, 파트리아 AMV XP, 24식 장륜전투장갑차, {공통전술장갑차 정찰전투형}
궤도형 {FAT-R}, AAV7A1, 73식 장갑차, 89식 장갑전투차,
73식 견인장갑차R, 73식 탄약급탄차M, 87식 포측탄약차, 99식 탄약급탄차,
자재운반차, 60식 장갑차R, M3A1 하프트랙R
차량 오토바이 가와사키 KLX250 정찰용 오토바이,
혼다 XLR250R · SL250SR · XL250SR · XL250RR 정찰용 오토바이/VFR400 · CB400SF 경무대용 오토바이,
야마하 XJR400 경무대용 오토바이
소형 경장갑 기동차, 고기동차, 73식 소형트럭, 윌리스 MBR, J601R
트럭 토요타 73식 중형트럭, 닛산 사파리 픽업, 닛산 사파리 전력공급차량,
73식 대형트럭, 미쓰비시 74식 특대형트럭, 이스즈 포워드,
히노 레인저, UD 콘도르, M37R, J602R, CCKWR, J603R
트랙터 M5 트랙터R
자주포 자주곡사포 M37 자주 유탄포L/R, 시제 56식 105mm 자주유탄포, M44 자주 유탄포R, M52 자주 유탄포R, 74식 자주 유탄포R,
75식 자주 유탄포R, 75식 改, 99식 자주 유탄포, M110A2 자주 유탄포R, 19식 차륜형 자주 유탄포
자주박격포 60식 81mm 자주박격포R, 60식 107mm 자주박격포R, 96식 120mm 자주박격포, 24식 120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M36 전차L, 60식 자주무반동포R
대함차량 88식 지대함 미사일, 12식 지대함 미사일, 94식 기뢰 부설차
대공 차량 자주 대공포 M15A1R, M16 MGMCR, M19R, M42R, 87식 자주고사기관포
단거리 SAM 8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 93식 근거리 지대공유도탄, 1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
다목적 유도탄 96식 다목적 유도탄, 중거리 다목적 유도탄
다연장로켓 75식 130mm 다연장 로켓 발사기R, M270 MLRS
공병 차량 구난차량 M32 전차회수차R, 도로장해작업차, 70식 장갑회수차R, 78식 전차회수차,
90식 전차회수차, 11식 전차회수차, 중장륜 회수차
AEV 75식 장갑 불도저, 시설작업차, 92식 지뢰 원거리 처리차량
교량 차량 67식 전차교R, 70식 자주부교R, 81식 가주교, 91식 전차교, 92식 부교, 07식 기동지원교
기타 78식 설상차, 10식 설상차, 경설상차
무인 차량 UGV {미션 마스터 SP}L, {테미스}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L: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


파일:이라크 국기.svg 현대 이라크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이라크군 (2003~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اقية
기타전차 T-34-85CZO
MBT 1세대 T-55(AV/QM2)
2세대 T-72(M/M1O)
3세대 M1A1M, {T-90(S/SK)}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TR-60UP, BTR-4, BTR-94IFP,
EE-9, 파나르 M3 · AML, M1117, {M1135 스트라이커}
ILAV 뱃저, 레바 4×4IFP, 무하피즈, 아인-자리아
궤도장갑차 FV103 스파르탄, M113A2, M548A1, {M577A2} , MT-LB,
BMP/BVP-1(K/OstO), 탈하 APC, {M2A2 브래들리}
차량 소형 험비, 랜드로버 디펜더 110, 테크니컬IFP, 홍커 스콜피온-3O, ATF 딩고
트럭 M939O, KrAZ-6322, 나비스타 인터네셔널 7000, 오시코시 M977 HEMTT · MTVR · FMTV · KM250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5/A6), 83식 자주포C
대전차 자주포 M36B2C, M36B1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C,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 M1097 어벤저
다연장로켓 BM-21, Sajil-60, TOS-1 부라티노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O: 타국에서 공여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IFP: 이라크 연방 경찰(Iraqi Federal Police)에서 사용하는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현대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1992~2003)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군 (2003~2006)
Vojska Jugoslavije / Војска Југославије Vojska Srbije i Crne Gore / Војска Србије и Црне Горе
기타전차 T-34BM
MBT 1세대 T-55A
3세대 M-84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OV
궤도장갑차 BTR-50, BVP M-80A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대전차 자주포 M-44RSK, SO-90 "Dżecksons"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53/59 프라가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S-125, 9K35 스트렐라-10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RSK: 크라이나 세르비아로부터 이관됨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현대 크로아티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크로아티아 국군 (1991~현재)
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기타전차 중형전차 T-34-85C/R | M4A3E4 셔먼C/R
'''[[주력전차|
MBT
]]'''
'''[[1세대 전차|
1세대
]]'''
T-55AC/R | M47 패튼C/R
'''[[3세대 전차|
3세대
]]'''
M-84A4 스나이퍼 | M-84AC | M-84(A5/D) | M-95 데그만
'''[[3.5세대 전차|
3.5세대
]]'''
{레오파르트 2A8}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파트리아 AMV | BOV | M1224 맥스프로 | RG-33L HAGA | BRDM-2R | OT TAB-71C/R | M-100C/R
'''[[궤도 장갑차|
궤도형
]]'''
M2A2 ODS 브래들리 | BVP M-80A | OT M-60(P/SAN)C/R | BTR-50C/R | MT-LBC/R
<colbgcolor=#FFF> 차량 <colbgcolor=#FFF> 소형 [[소형 전술차량|
IMV
]] M-ATV | 이베코 LMV | 험비 | 벤츠 G바겐 | 랜드로버 울프
민수용
VW 트랜스포터 |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나바라 | 포드 레인저 | 르노 마스터 | 피아트 두카토
트럭
군용
TAM 110 T7 · 150 T11 | FAP 2026C | 토피도 TK 130 T7 | MAN TGS Mil · KAT1 · HET | DAF YA 시리즈 | 이베코-아스트라 HET
상용
벤츠 악트로스 · 아록스 · SK | 이베코 트래커 · 유로카고 | 포드 카고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PzH2000 | SO-122 그보즈디카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SO-90 잭슨C/R | SO-76 핼캣C/R
다연장로켓 M-92 불칸 | APR-40 | M-94 플라멘-SR | M-87 오르칸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SPAT BOV-20 · BOV-3 | M53/59 프라가C/R | ZSU-57-2C/R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크로아티아 유도무기
지원차량 구난차량 T-55TZI | M1224 구난차
공병차량 DOK-ING MV-4 무인 지뢰제거차
교량차량 MT-55A | KrAZ-255 가교부설트럭 | T-813 · FAP 2026 PMS 부교운반차
건설기계 JCB 4CX 로더 · Fastrac 트랙터
기타 PTS-M 수륙양용 운반차 | GSP-55 자주식 페리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취소선: 개발 취소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슬로베니아에서 피브카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인 SO-90 1문을 행사용으로 운용 중으로, 본국인 미국에서는 1950년대 퇴역하였다.[2] 1938년 개발된 디트로이트 71 디젤엔진 시리즈의 개조형.[3] 현재 해당 사진속 M36은 올리브 계열 녹색으로 재도장 되었다[4] 출처[5] 정면은 60mm 50도 가량으로 셔먼 수준이고 측면은 더욱 얇았다.[6] 어쩌니 저쩌니 해도 이게 보병 입장에선 절대 쉬운 게 아니다. 수류탄이나 보병용 대전차화기의 사정거리는 전차의 그것에 비해 한없이 짧고 총탄이 빗발치는 전투중에 정확히 던져넣는다는 건 굉장히 어렵다. 보병이 직접 접근해서 격파하는 것은 공격측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이 아니라면 자살행위에 가깝고 M36이 전차를 대신하여 돌격에 나섰을 때나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