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3:26:56

인명이 아닌 지명, 단체명 등의 개명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개명
1. 개요2. 목록
2.1. 개명을 한 동물2.2. 개명을 한 장소들2.3. 개명을 한 기업2.4. 기타
2.4.1. 스포츠 구단2.4.2. 학교
2.4.2.1. 대학교2.4.2.2. 고등학교2.4.2.3. 중학교2.4.2.4. 초등학교
2.4.3. 시설2.4.4. 제도2.4.5. 교과목2.4.6. 게임 캐릭터
3. 관련 문서

1. 개요

인명이 아닌 지명, 단체명 등의 개명 사례를 다루는 문서이다.

2. 목록

2.1. 개명을 한 동물

2.2. 개명을 한 장소들

2.2.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명이 바뀐 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1.1. 대한민국
2.2.1.1.1. 수도권 전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노선별 보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373a3c,#ddd> 노선명 현재 역명 구 역명
<rowcolor=#ddd> 1호선 양주 주내
(2006.12.15.~2007.12.27.)
<rowcolor=#ddd> 가능 의정부북부
(1987.10.5.~2006.12.14.)
<rowcolor=#ddd> 광운대 성북
(1974.8.15.~2013.2.24.)
<rowcolor=#ddd> 외대앞 휘경
(1974.8.15.~1995.12.31.)
<rowcolor=#ddd> 가산디지털단지 가리봉
(1974.8.15.~2005.6.30.)
<rowcolor=#ddd> 금천구청 시흥
(1974.8.15.~2008.12.28.)
<rowcolor=#ddd> 의왕 부곡
(1974.8.15.~2004.6.24.)
<rowcolor=#ddd> 성균관대 율전
(1979.2.1.~1983.12.31.)
성대앞
(1984.1.1.~1994.11.30.)
<rowcolor=#ddd> 평택지제 지제
(2006.6.30.~2020.11.23.)
2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서울운동장
(1983.9.16.~1985.10.23.)
동대문운동장
(1985.10.24.~2009.10.28.)
건대입구 화양
(1980.10.31.~1985.2.28.)
잠실나루 성내
(1980.10.31.~2010.5.26.)
잠실새내 신천
(1980.10.31.~2016.12.14.)
구로디지털단지 구로공단
(1984.5.22.~2004.9.30.)
용답 기지
(1980.10.31.~1992.3.19.)
3호선 경복궁 중앙청
(1985.10.18.~1987.4.30.)
4호선 불암산 당고개
(1993.4.21.~2024.10.30.)
미아사거리 미아삼거리
(1985.4.20.~2013.12.25.)
한성대입구 삼선교
(1985.4.20.~1985.10.23.)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서울운동장
(1985.10.18.~1985.10.23.)
동대문운동장
(1985.10.24.~2009.10.28.)
총신대입구
(이수)
이수 → 총신대입구 → 이수
이수역/역명 논란 문서 참조.
경마공원 경마장
(1994.4.1.~1999.12.31.)
정부과천청사 제2종합청사
(1994.4.1.~1998.5.14.)
평촌 벌말
(1993.1.15.~1996.12.15.)
초지 공단
(1994.1.10.~2012.6.29.)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운동장
(1996.12.30.~2009.10.28.)
청구 광희문
(1996.12.30.~1997.3.25.)
개롱 개농
(1996.3.30.~2000.4.30.)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 수색
(2000.12.15.~2009.5.27.)
<rowcolor=#eee> 7호선 자양 뚝섬유원지
(2000.8.1.~2024.2.28.)
<rowcolor=#eee> 가산디지털단지 가리봉
(2000.2.29.~2005.6.30.)
<rowcolor=#eee> 광명사거리 광명
(2000.2.29.~2004.3.28.)
<rowcolor=#eee> 8호선 산성 남한산성
(1996.11.23.~1998.9.30.)
<rowcolor=#eee> 남한산성입구 단대
(1996.11.23.~1998.9.30.)
경의·중앙선 한국항공대 화전
(2009.7.1.~2023.11.20.)
서강대 서강
(2012.12.15.~2014.3.16.)
응봉 성수
(1978.12.9.~1980.7.9.)
수인·분당선 가천대 경원대
(1994.9.1.~2011.12.27.)
수내 초림
(1994.9.1.~2002.9.24.)
정자 백궁
(1994.9.1.~2002.9.24.)
서해선 시우 원곡
(2018.6.16.~2020.11.23.)
}}}}}}}}}
서술기준
  • 현재 역명을 기준으로 가나다순으로 기재.
  • 최초 역명에서 타 역명으로 변경되었다가 환원된 경우는 포함. 예) 동두천→동안→동두천
  • 수도권 전철 노선 개통 이전의 역명은 제외. 예) 소사부천
  • 공식 개통 이전의 임시역명은 제외. 예) 문래신도림
  • 부역명, 병기역명의 추가/삭제/변경은 제외.
  •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eoulmetro7_icon.svg 가산디지털단지역: 원래는 가리봉역이었으나 가산동이 디지털산업단지로 변모하자 이에 맞추기 위해 2005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가능역: 원래 의정부북부역이라는 임시역으로 개통되었으나 2006년 경원선 전철의 소요산역 연장과 동시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SBLine_icon.svg 가천대역: 본래는 경원대역이었다. 경원대학교가천의과학대학교와 통합하여 가천대학교가 되면서 2011년 가천대역으로 개명하였다.
  •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eoulmetro7_icon.svg 건대입구역: 본래는 화양역이었다가 1985년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4_icon.svg 경마공원역: 경마장역으로 개통 후 2000년 1월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3_icon.svg 경복궁역: 원래 인근의 중앙청에서 유래한 중앙청역이었다가 1987년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7_icon.svg 광명사거리역: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구간 개통 당시(2000년 2월)부터 원래 이름은 광명역이었으나 2004년 KTX 광명역의 개통을 앞두고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광운대역: 본래는 성북역이었으나 성북구가 아닌 노원구에 있어서 2013년에 광운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사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는 성북구였으나, 이 일대가 도봉구를 거쳐 노원구로 분구되면서 문제가 생겼다.
  • 파일:Seoulmetro2_icon.svg 구로디지털단지역: 구로공단역이었으나 공단이 디지털산업단지로 변화하자 이에 맞추기 위해 2004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천구청역: 본래는 시흥역이었는데, 이 시흥이 경기도 시흥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을 뜻해서[1] 시흥시를 찾는 사람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꽤 있었다. 그래서 금천구의 이름도 알릴 겸 해서 마침 금천구청 신청사가 옮겨 오면서 2008년 말에 금천구청역으로 바꿨다. 개명되기 이전에도 명칭을 바꾸기 위해 서명운동을 했었다.
  • 파일:Seoulmetro8_icon.svg 남한산성입구역: 1996년 11월 개통 당시에는 단대역이었으나 1998년 10월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eoulmetro4_icon.svg파일:Seoulmetro5_icon.svg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983년 서울운동장역으로 개통, 1985년 4호선 개통 직후 동대문운동장역으로 개명하였다가 2009년 동대문운동장 철거로 현 역명으로 바뀌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두천역: 본래 동두천역이었으나 1984년에 동안역으로 변경되었고, 2006년에 1호선 전철이 들어옴과 동시에 동두천역으로 환원되었다. 동시에 (구)동두천역(1984~2006)은 동두천중앙역으로 바뀌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두천중앙역: 본래 어수동역이었건 것을 1984년에 동두천역으로 바꾸었고[2] 2006년에 1호선 전철 연장개통과 동시에 동두천중앙역으로 재변경하였다.
  • 파일:Seoulmetro6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AREX_icon.svg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본래 수색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수색역 역명이 쓰이게 되면서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2009년 개명되었다. 광명사거리역과 비슷한 맥락.
  • 파일:Seoulmetro4_icon.svg 미아사거리역: 본래 미아삼거리역이었으나 정작 역명의 유래가 된 교차로는 삼거리가 사거리로 바뀐지 오래여서 2013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파일:Seoulmetro4_icon.svg 불암산역: 본래 당고개역이었으나 2024년 10월 31일 불암산역으로 개명하였다.
  • 파일:Seoulmetro8_icon.svg 산성역: 본래 산성역은 남한산성역이었다. 1998년 10월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성균관대역: 원래는 율전역이었으나 1984년 1월 1일 성대앞역을 거쳐 1994년 12월 1일 지금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파일:GJLine_icon.svg 서강대역: 본래 서강역이었으나 서강대 학생들의 요구로 인해 2014년 3월 17일부터 지금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파일:SBLine_icon.svg 수내역: 본래 수내역은 초림역이었다. 성남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2002년 초림역은 수내역으로 개명하였다.
  • 파일:SeohaeLine_icon.svg 시우역: 본래 원곡역이었으나 2020년 시우역으로 바뀌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양주역: 본래 주내역이었으나 2007년 양주역으로 바뀌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외대앞역: 원래 휘경역이었으나 휘경동이 아닌 이문동에 위치하며 옆의 회기역이 휘경동에 위치하여 인근 한국외국어대학교의 명칭을 붙였다.
  • 파일:Seoulmetro2_icon.svg 용답역: 처음 개통될 당시의 이름은 군자차량기지에서 유래한 기지역이었으나, 지역명을 반영하지 못하는데다 양천구새로운 차량기지(신정차량기지)를 설치하게 됨에 따라 혼동을 줄 우려가 제기되어 1992년 3월 20일부로 이 역이 위치한 행정동인 용답동을 따라 용답역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GJLine_icon.svg 응봉역: 처음 개통될 당시의 이름은 성수역이었으나, 개통을 앞두고 있던 2호선성수역과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1980년 7월에 응봉역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왕역: 본래 부곡역이였으나 의왕시의 유일한 역임을 강조하기 위해 2004년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의왕역이었던 화물역은 오봉역으로 바뀌었다.
  • 파일:Seoulmetro7_icon.svg 자양역: 개통 이전 임시역명이 자양역이었으나 정식 개통은 뚝섬유원지역으로 하였다. 2024년 2월 29일에 자양역으로 변경되며 24년만에 비로소 공식 역명이 되었다.
  • 파일:Seoulmetro2_icon.svg 잠실나루역: 성내역에서 2010년에 역명을 바꾸었다. 성내역이라는 이름은 이 근처를 흐르는 성내천에서 유래되었으나, 역이 강동구 성내동과 전혀 관계없는 잠실동에 위치하여 문제가 되었다.
  • 파일:Seoulmetro2_icon.svg 잠실새내역: 본래 신천역이었으나, 신촌역과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워 2016년 12월 15일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신천역은 2018년, 서해선이 가져갔다.
  • 파일:Seoulmetro4_icon.svg 정부과천청사역: 제2종합청사역이었으나 제2종합청사가 정부과천청사로 바뀌면서 1998년에 개명했다.
  • 파일:SBLine_icon.svg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정자역: 1994년 개통 당시 백궁역이었으나 2002년 9월 행정구역 개편에 맞추어 정자역으로 개명되었다.
  • 청구역: 광희문역이었으나 정작 광희문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당시에는 동대문운동장역)에서 가까운데다가 같은 노선에 광화문역도 있어 혼동의 여지가 있어서 1997년에 청구역으로 개명하였다.
  • 파일:Seoulmetro4_icon.svg파일:SBLine_icon.svg파일:SeohaeLine_icon.svg 초지역: 처음 이름은 공단역이였다. 역명과 지역의 괴리감 문제로, 2012년 6월 30일부로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파일:Seoulmetro4_icon.svg파일:Seoulmetro7_icon.svg 총신대입구(이수)역: 이수역으로 개통했다가 총신대의 요청으로 총신대입구(이수)역이 되었다. 2000년 7호선 개통으로 총신대와 가까운 남성역이 생겨 이수역으로 바뀌었으나 이수역/역명 논란 때문에 6개월 만에 4호선만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환원되었다.(7호선은 이수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평촌역: 1993년 개통 당시에는 경전선 평촌역과의 역명 중복 문제로 벌말역으로 개통되었는데, '벌말' 의 어감이 촌스럽다는 이유로 이유로 1996년 말 한자 역명인 평촌으로 바뀌었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 평택지제역: 2006년 지제역으로 개통했다가 2020년에 평택지제역으로 변경되었다.
  • 파일:GJLine_icon.svg 한국항공대역: 개통 당시에는 화전역으로 개통했다가 2023년 11월 21일 한국항공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역명 변경 전에도 부역명에 한국항공대가 있긴 했다. 부역명이 주역명으로 바뀐 사례.
  • 파일:Seoulmetro4_icon.svg 한성대입구역: 1985년 4월 삼선교역으로 개통했다가 그해 10월 전 구간 개통에 맞추어 총신대입구역과 같은 이유로 한성대입구(삼선교)역이 되었다.
2.2.1.1.2. 부산 도시철도
  • 동(洞)앞이 들어가는 1호선 17개역 : 본래는 노포동역, 동대신동역, 교대앞역, 부산대학앞역 등 '동' 자가 들어간 역명들이 많았고 '앞'이 들어간 대학 역명도 있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동과 앞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과 '앞'을 삭제하는 것으로 일괄 개정되었다. 외자 동인 중동역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1년 후 개통한 4호선의 서동역도 외자라 동명을 넣었다.
  • 시청역 : 본래는 연제역이었으나, 1998년 1월 2일에 부산광역시청이 시청역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한 동안 연제(시청)역으로 쓰이다 이후 주역명과 부역명을 바꿔서 시청(연제)역으로 개명되었다.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 본래는 문전역이었으나, 부근에 문현금융단지가 개발되고 역명을 바꾸자는 여론이 일어남에 따라, 2014년 11월 5일 현재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벡스코(시립미술관)역 : 2호선 한정. 본래는 시립미술관역이었으나, 이역과 환승통로로 직접연결되는 동해선 광역전철역이 벡스코역으로 확정됨에 따라 2016년 11월 22일 현재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거제해맞이역 : 본래는 거제역으로 도시철도 3호선 거제역과 중복역명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거제역 : 코레일측 역은 과거 동해남부선의 남문구역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센텀역 : 본래는 수영역으로 도시철도 2, 3호선 수영역과 중복역명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신해운대역 : 본래는 과거 동해남부선의 해운대역이었고 지금의 위치로 이설 이후에도 한동안 해운대역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과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개운포역 : 선암역에서 이름을 바꿨다.
  • 윗반송역 : 본래는 동부산대학역이었으나 인근의 동부산대학교폐교됨에 따라 혼동의 여지를 막고자 2021년 1월 1일경 윗반송역으로 개명하였다. 이는 국내 최초로 대학이 폐교되어 역명이 변경된 사례이다. 동부산대학역 시절에는 윗반송역이 부역명이었으며, 동부산대학교 폐교 이후 주역명이 된 케이스.
2.2.1.1.3. 대구 도시철도
2.2.1.1.4. 일반철도
  • 계룡역: 본래는 두계역이었으나 계룡시의 역이라는 것이 알려지지 않아 계룡역으로 개명되었다.
  • 광주송정역: 본래는 송정리역이었으나 호남선의 경우는 광주광역시의 역이라는 것이 알려지지 않아 광주송정역으로 개명되었고,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경우는 먼저 개명된 호남선의 역명을 따라 개명되었다.
  • 굴봉산역: 본래 서천역이었으나 장항선의 서천역과 중복된다고 경강역으로 바꾸었고,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 굴봉산역으로 고쳤다.
  • 금곡역: 본래 금곡리역이었으나 미금시 승격 이후 리를 떼고 금곡역으로 고쳤다.
  • 김유정역: 본래는 신남역이었으나 이 역 인근에 김유정 문학촌이 있어서 2004년 김유정역으로 개명되었다.
  • 단성역: 초기에는 충북단양역이었으나 후에 단양역으로 바뀌고, 충주댐으로 인해 구단양 일대가 수몰되어 단양역이 신단양으로 옮겨 가면서 구단양역이 되었다가 단양군 단양읍 구단양출장소가 단성면으로 승격되면서 단성역으로 개명되었다.
  • 도담역: 본래는 매포역이었으나 1946년 경부선매포역이 신설되고 이 역은 도담역으로 개명되었다.
  • 동백산역: 본래는 태백신호장역이었으나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개칭되면서 동백산역으로 개명되었다.
  • 동익산역: 원래 이리의 구시가지에 있어서 구이리역이라고 하였다가 동이리역으로 개명한 후, 이리역이 익산역으로 개명할 때 동시에 동익산역으로 개명하였다.
  • 동해역: 본래는 북평역이었으나 소재지인 삼척군 북평읍이 명주군 묵호읍과 함께 동해시로 승격하면서 시의 이름을 따서 동해역으로 개명되었다.
  • 무안역: 본래는 사창역이었으나 호남선 철도가 무안군 무안읍을 지나지 않아 '무안'이라는 이름을 쓸 역이 없어서 그나마 무안읍에서 가까운 사창역이 무안역으로 개명되었다.
  • 미호역: 본래는 월곡역이었으나 1955년에 개명하였다.
  • 민둥산역: 2009년 증산역에서 바꾸었다.
  • 봉화역: 본래는 경북내성역이었으나 소재지인 봉화군 내성면을 봉화면[3]으로 개칭하면서 면의 이름을 따라 봉화역이 되었다.
  • 부전역: 본래는 서면역이었으나 1943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 상동역: 본래는 유천역이었으나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 서경주역: 본래는 금장역이었으나 동대구에서 포항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경주역에 서지 않게 되면서 경주의 역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개명되었다.
  • 서울역: 본래 남대문역, 이후 경성역이었으나 일제 패망 이후 서울역으로 바뀌었다.
  • 센텀역 : 동해선 기차역 시절에는 수영역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되면서 부산 지하철 2.3호선 수영역과 역명이 중복되고, 역세권의 센텀파크 주민들이 행정구역의 불일치 및 역명 중복으로 인해 개명을 요구하게 되면서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센텀역으로 개명되었다.
  • 신해운대역 : 구 역사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과 인접하여 철도 역명도 해운대역이었고, 동해선 복선전철화와 함께 역이 좌동으로 이설되고 나서도 역명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인해 도시철도 역과의 중복방지를 위해 신해운대역으로 개명되었다.
  • 여수엑스포역 : 본래는 여수역이었으나 2012 여수 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여수엑스포역으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여수엑스포가 끝났는데도 도로 여수역으로 돌아가지 않고 있다.
  • 영등포역 : 일제 시대 말기에 잠시 남경성역이었던 적이 있었다.
  • 왕십리역: 1911년 경원선 개통과 동시에 개업한 왕십리역의 당시 명칭은 '뚝섬'의 한자 표기인 독도에서 유래된 '독도역'이었다. 이후 1914년 현재의 역명인 왕십리역으로 개명하였다.
  • 익산역: 본래 이리역이었으나 이리시와 익산군이 익산시로 통합되면서 익산역으로 개명되었다.
  • 일신역, 삼산역 : 본래 구둔역, 판대역이었다. 소재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설 후 개명하였다.
  • 정읍역: 초기에는 정읍역이었으나 정읍군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정주역(井州)이 되었다가 정주시와 정읍군을 정읍시로 통합하면서 정읍역으로 환원되었다.
  • 죽림온천역: 개통 당시에는 죽림역이었으나 얼마 후 남관역이 되었다가 전라선 이설과 함께 죽림온천 인근으로 옮기면서 죽림온천역으로 개명하였다.
  • 증평역: 청안역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본래 이 지역이 청안군 근서면이었으나 여러 번 행정구역 변경 끝에 증평군 증평읍으로 되고, 새 행정구역명을 따라 개명되었다.
  • 청량리역 : 일제 말기에 잠시 동경성역이었던 적이 있었다.
  • 청소역: 본래 진죽역이었으나 진주역과 혼동되기 쉬워 청소역으로 개명되었다.
  • 청주역: 본래 정봉역이었으나 정봉역과 오근장역 사이를 직선화하면서 그 사이에 있던 청주역이 없어지자 청주역으로 개명하였다(일단 공식적으로는 '청주역의 이전'으로 보긴 한다).
  • 탄부역: 1996년 두평역에서 바뀌었다.
  • 태백역: 본래 황지역이었으나 삼척군 황지읍, 장성읍이 태백시로 승격되면서 태백역으로 개명하였다.
  • 태화강역 : 본래 울산역이었으나 경부고속선의 울산 소재 역이 울산역을 쓰게 됨에 따라 현재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평내호평역 : 본래 평내역이었으나 역이 평내동이 아닌 호평동에 있는 데다 호평동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면서 평내역에 호평을 붙여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함평역: 본래는 학교역이었으나 호남선 이설에 따라 함평역으로 개명되었다.
2.2.1.2. 그 외 국가
2.2.1.2.1. 일본
2.2.1.2.2. 홍콩
  • 야우마테이역: 본래 워털루역(Waterloo)이었다.
  • 몽콕역: 본래 아가일역(Argyle)이었다.
  • 몽콕이스트역: 본래는 이 역이 몽콕이었고 몽콕역은 아가일이었다. MTR 개통 이후에도 이름을 유지하다가 KCR이 MTR에 합병되면서 몽콕이스트가 되었다.
  • 센트럴역: 본래 체이터역(Chater)이었다.
2.2.1.2.3. 대만
  • 쑤아오신역: 본래 난성후(南聖湖)였으나 1982년 북회선 개통 이후 쑤아오신역이 되었다.
  • 스펀역: 본래 스펀랴오(十分寮)였으나 1962년 스펀역이 되었다.

2.2.2. 공항

  • 원주(횡성)공항
    원래는 원주공항 였으나 활주로가 횡성에 있다는 횡성군의 주장을 근거로 괄호에 횡성을 집어넣었다.
  • 포항경주공항
    인근 도시인 경주시의 반발로 포항공항에서 포항경주공항으로 개명하였다.

2.2.3. 국가

  • 고구려: 장수왕 시기에 나라 이름을 '고려'로 바꾸었다.
  • 고조선: 본래는 '조선'이었으나 1392년 조선이 건국되면서 후세 사람들이 1392년에 건국된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이전의 조선을 '고조선'으로 바꿨다.[6]
  • 말레이시아 : 본래는 말라야였으나 1963년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에 가입하면서 섬을 뜻하는 -sia를 넣어 '말레이시아'로 고쳤다.
  • 백제: 성왕 이후 나라 이름을 '남부여'로 바꿨다.
  • 부르키나파소: 본래는 오트볼타였으나 1984년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토마스 상카라를 위시한 장교들에 의한 국가개혁에 착수해 토마스 상카라가 오트볼타의 대통령직에 올랐는데 이 때 토마스 상카라는 국가명을 '정직한 사람들의 나라'라는 뜻의 부르키나 파소로 바꿨다.
  • 북마케도니아: 본래는 마케도니아였으나, 국호 문제로 그리스와 갈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양국의 합의로 2019년부터 북마케도니아로 바꾸었다.
  • 에스와티니: 2018년 독립 50주년을 맞아 스와질란드에서 이름을 고쳤다. 여기에 이 나라가 스위스(Switzerland)와 혼란이 있다는 이유도 있었다.
  • 영국: 본래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였는데 아일랜드의 독립으로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가 되었다.
  • 이란: 대내 명칭은 이란, 대외 명칭은 페르시아였다가 1933년 대외 명칭까지 '이란'으로 고쳤다.
  • 청나라: 본래 금나라(후금)이었다.
  • 캄보디아: 프랑스에서 독립할 당시에는 지금과 같은 캄보디아였으나 크메르 공화국을 거쳐 캄푸치아로 바꿨다. 공산주의 퇴진 이후 캄푸치아를 캄보디아로 개명했다.
  • 타이: 본래 시암이었으나 1933년 국명을 태국어로 '자유'라는 뜻의 타이로 고쳤다.
  • 태봉 : 본래 고구려의 장수왕이 개명한 이름을 따라 고려였으나, 궁예가 마진을 거쳐 태봉으로 나라 이름을 바꿨다.
  • 튀르키예 : 본래 영문 국호는 '터키(Turkey)'였지만 2022년 자국어 명칭인 '튀르키예'를 대외 국호로도 활용하기로 했다. 한국어 명칭 역시 변경되었다.
  • 콩고민주공화국 : 독립 당시에는 지금과 비슷한 콩고 공화국으로 불렀으나, 1971년에 자이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7] 그러다가 1997년에 반군들이 국가를 장악하면서 콩고민주공화국로 이름이 고쳐졌다.

2.2.4. 정당

참고로 대한민국/정당들은 지지율이 떨어지고 선거에서 질 때마다 이미지 세탁 겸 쇄신을 이유로 정당명과 정당색을 자주 바꾼다.

2.2.5. 지역

개명/지명 참고.

2.3. 개명을 한 기업

법인명을 바꾸기도 하고, 법인명은 유지한 채 브랜드만 바꾸기도 한다. 인수합병이나 역합병 문서도 참조할 수 있다.
  • Apple Inc.
    iPhone을 발표하면서 원래의 'Apple Computer Inc.'에서 '컴퓨터' 부분을 떼어내고 'Apple Inc.'로 개명하였다. 컴퓨터만 취급한다고 보기에는 사업 영역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 테슬라
    Tesla Motors 였으나 소프트웨어, 에너지 사업, 배터리 생산도 하기 때문에 Motors 를 뺐다.
  • 알파벳(기업)
    구글과 같은 기업을 A부터 Z까지 채워넣겠다는 의미에서 구글을 산하회사였던 알파벳에 종속시켜 개명했다.
  • 메타 플랫폼스
    원래 페이스북이 였으나 플랫폼 확장으로 메타 플랫폼스로 개명했다.
  • 기아
    테슬라와 유사한 케이스. 기아자동차였으나 모빌리티 기업으로 나가기 위해 테슬라와 동일하게 자동차를 사명에서 빼고 로고까지 교체했다.
  • SK쉴더스
    초창기에는 '한국보안공사'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가 'ADT캡스'를 거쳐 중간에 SK텔레콤에 매각되어 SK 계열이 된 후 3년 뒤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KT
    공기업 출신 기업이었다시피 원래는 '한국전기통신공사'였다가 '한국통신'을 거쳐 민영화 된 뒤 현재의 이름인 'KT'로 변경하였다.
  • KG모빌리티
    1954년 하동환자동차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신진자동차 계열사에서 독립한 뒤 동아자동차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가 쌍용그룹에 매각하면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쌍용자동차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여러 기업을 거치면서 KG그룹에 매각한 뒤 사명을 쌍용자동차에서 KG모빌리티로 변경하였다.

2.4. 기타

2.4.1. 스포츠 구단

2.4.1.1. 축구
2.4.1.2. 야구
  • 두산 베어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OB 베어스였으나 현재 구단명으로 이름을 바꿨다.
  • 키움 히어로즈: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우리 히어로즈였다. 이후 히어로즈, 서울 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를 거쳐 2018년 12월 현재의 키움 히어로즈로 개명하였다.[9]
  • KIA 타이거즈: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해태 타이거즈였으나 경제난으로 인수했다.
  • 마이애미 말린스: 미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플로리다 말린스였다.
  • 한화 이글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빙그레 이글스에서 이름을 바꿨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일본의 야구단. 창단 초기에는 고쿠테츠 스왈로즈였으나 산케이 스왈로즈, 산케이 아톰즈, 아톰즈, 야쿠르트 아톰즈,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거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총 6번 이름을 바꿨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일본의 야구단. 창단 초기에는 난카이 호크스였으나 후쿠오카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2번 이름을 바꿨다.
2.4.1.3. 농구
  • 브루클린 네츠 : 미국의 농구단. 본래 뉴저지 네츠였다가 뉴욕주 브루클린으로 연고를 이전하면서 팀명도 같이 바꾸었다.
  • 워싱턴 위저즈 : 미국의 농구단. 본래 워싱턴 불리츠였지만 총알이라는 이름의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2.4.1.4. 미식축구
  • 시카고 베어스 : 창단 당시 디케이터 스털리스였다. 이후 시카고 스털리스를 거쳐 현재의 시카고 베어스로 고쳤다.

2.4.2. 학교

2.4.2.1. 대학교
2.4.2.2. 고등학교
2.4.2.3. 중학교
  • 중학교 입시 폐지 이후 교명을 변경한 일부 명문중들.
  • 동광중학교: 본래 성일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바뀌면서 교명도 바뀌었다.
  • 솔샘중학교 : 본래 미양중학교였다.
  • 신화중학교: 본래 화곡여자중학교였다.
  • 세연중학교: 본래 황지여자중학교였다.
  • 은성중학교: 본래 은광여자중학교였다.
  •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중학교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창성중학교: 영성여자중학교, 창곡여자중학교, 창곡중학교(남중)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초연중학교: 본래 초읍여자중학교였다.
  • 한울중학교: 본래 대림여자중학교였다.
2.4.2.4. 초등학교
  • 1995년 이전에 설립된 국내의 모든 초등학교: 본래는 XX국민학교였다. 1996년 3월 1일부터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개칭하면서 모든 국민학교들이 'XX초등학교'와 같이 개명했다. 물론 용암초등학교와 같이 이후에도 한 번 더 개명한 케이스도 있다.[12]

2.4.3. 시설

  • 에버랜드: 개장 당시에는 용인자연농원이었다. 1996년 4월 개장 20주년을 맞아 에버랜드로 개명.
    • 에버랜드 롤링 엑스 트레인: 본래는 환상특급이었으나 락스빌이 조성되면서 2004년에 롤링 엑스 트레인으로 개명되었다.
    • 에버랜드 舊 크레이지 리모: 본래는 샤크였다가 락스빌의 조성으로 롤링 엑스 트레인과 함께 크레이지 리모로 이름이 바뀌었다.
    • 에버랜드 챔피언쉽 로데오: 본래 이름은 브레이크 댄스였으며 2006년에 개명되었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롯데월드 어드벤처 정글탐험보트: 본래는 지하탐험보트였다. 리뉴얼 이후 정글탐험보트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햇님달님: 본래는 후로그 호퍼였다. 리뉴얼 이후 트리블 호퍼로 개명했다가 어린이날에 맞춰 다시 햇님달님으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범퍼카 (실내): 본래는 크레이지 범퍼카였다. 2층으로 이전하면서 범퍼카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쁘띠빵빵: 본래는 자동차 경주였으나 리뉴얼 이후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서울랜드
  •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본래는 냉천자연원이었으나, 2005년 허브힐즈, 2015년 힐크레스트, 2018년 에코테마파크 대구숲으로 바뀌었다.
  • 이월드: 본래는 우방타워랜드였으나, 2011년 개명되었다.
    • 이월드 레인저: 본래는 하늘마차였으나 2017년경에 개명되었다.
  • 경주월드: 본래는 도투락 월드였으나 개명하였다.

2.4.4. 제도

2.4.5. 교과목

  • 초등학교 수학: 본래 산수였으나 6차 교육과정 시기에 수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같은 시기 초등학교 자연 교과도 과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 기술·가정 - 본래 남학생만 배우는 기술, 여학생만 배우는 가정이라는 2개의 과목이었으나, 7차 교육과정부터 기술·가정으로 통합되었다. 즉, 엄밀히 보면 개명이 아닌 과목 통합이다.
  • 기하: 본래 기하와 벡터였다. 차기 교육과정에서 공간벡터 내용을 삭제한 이후 기하로 이름을 바꿨다. 다만 평면벡터는 남아있다.
  • 고등학교 과학: 본래 공통과학이었으나 7차 교육과정에서 공통과학을 과학으로 바꿨다. 비슷한 이유로 사회 역시 공통사회에서 이름을 바꿨다.
  • 물리학Ⅰ/물리학Ⅱ: 본래 물리Ⅰ/물리Ⅱ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물리를 물리학으로 바꿨다.
  • 생명 과학Ⅰ/생명 과학Ⅱ: 본래 생물Ⅰ/생물Ⅱ였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생물을 생명과학으로 바꿨다.
  • 법과 정치: 별도의 사회탐구 영역이었던 법과 사회/정치가 통합해서 생긴 과목이다. 즉, 엄밀히 말하면 개명은 아니다.
  • 정치와 법: 2015 교육과정에서 법과 정치에서 이 이름으로 바꿨다.
  • 한국사: 본래 국사였으나 민족주의적 성격을 약화하기 위해 한국사로 이름을 바꿨다. 중학교 국사는 사회에서 세계사 파트를 끌어 와서 역사로 이름을 바꿨다.

2.4.6. 게임 캐릭터

  • 크랭키콩: 본래는 이 캐릭터가 동키콩이었으나 손자에게 동키콩을 물려 주고 해당 캐릭터는 '크랭키콩'으로 고쳤다.
  • 깔깔깔마녀: 본래 까르게모나였다.
  • 마자: 무인편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래용으로 나왔다. 비슷한 사례로 연꽃몬은 원래 로토, 에나비는 원래 스키티, 켈리몬은 원래 숨을래몬으로 나왔다가 이후 변경되었다.
  • 슈륙챙이: 2세대 골드/실버 버전까지는 '수륙양용'에서 따온 수륙챙이였으나, 4세대 DP 디아루가/펄기아의 한글판이 발매될 때[13] 어째선지 슈륙챙이로 개명되었다

[1] 물론, 역 건립 당시에는 이곳이 시흥군이었기 때문에 지명과 맞기는 했다. 이후 일제강점기부군면 통폐합을 하면서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 거다.[2] 동시에 원래 동두천역이었던 역은 동안역으로 변경되었다.[3] 현재의 봉화읍[4] 그래서 홋카이도 마츠마에선(폐선)의 시리우치역은 오시마시리우치(渡島知內)였다.[5] 그런데 정작 케네디는 뉴욕과는 연이 없고 매사추세츠 기반이었다. 그나마 1960 대통령 선거에서 뉴욕주를 가져가기는 했다.[6] 엄밀히 따지면 개명은 아니다. 그저 후대에 와서 후대의 조선과 구분하기 위한 별칭 내지 이칭이라.[7] 이 과정에서 수도의 이름도 킨샤사로 바꿨다.[8] 합병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통합LG텔레콤'이라는 명칭을 잠깐 사용했다.[9] 명명권을 가진 메인 스폰서가 어디냐에 따라 구단 명칭이 달라진다.[10] 현존하고 있는 2/3년제 부산여자대학교와는 다르다.[11]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있는 성일여자고등학교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12] 대변초등학교에서 개명.[13] 3세대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버전은 한글판이 발매되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0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관련 문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