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트루먼'''{{{#!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미국의 영화}}}에 대한 내용은 [[트루먼 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트루먼 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트루먼 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미국의 영화: }}}[[트루먼 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트루먼 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트루먼 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D164A 20%, #0D164A 80%, #0D1635); color: #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조지 워싱턴 |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제임스 매디슨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제임스 먼로 | 존 퀸시 애덤스 | 앤드루 잭슨 | 마틴 밴 뷰런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존 타일러 | 제임스 K. 포크 | 재커리 테일러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밀러드 필모어 | 프랭클린 피어스 | 제임스 뷰캐넌 | 에이브러햄 링컨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앤드루 존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러더퍼드 B. 헤이스 | 제임스 A. 가필드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체스터 A. 아서 | 그로버 클리블랜드 | 벤저민 해리슨 | 그로버 클리블랜드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윌리엄 매킨리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우드로 윌슨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워런 G. 하딩 | 캘빈 쿨리지 | 허버트 후버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해리 S. 트루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존 F. 케네디 | 린든 B. 존슨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지미 카터 | 로널드 레이건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조지 H. W. 부시 | 빌 클린턴 | 조지 W. 부시 | 버락 오바마 | |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
도널드 트럼프 | 조 바이든 | 도널드 트럼프 | ||
}}}}}}}}}}}} |
<colcolor=#0d1635,#0d163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에런 버 | 조지 클린턴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엘브리지 게리 | 대니얼 D. 톰킨스 | 존 C. 칼훈 | 마틴 밴 뷰런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리처드 멘터 존슨 | 존 타일러 | 조지 M. 댈러스 | 밀러드 필모어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윌리엄 R. 킹 | 존 C. 브레킨리지 | 해니벌 햄린 | 앤드루 존슨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스카일러 콜팩스 | 헨리 윌슨 | 윌리엄 A. 휠러 | 체스터 A. 아서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토머스 A. 헨드릭스 | 리바이 P. 모턴 | 애들레이 E. 스티븐슨 | 개릿 A. 호바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찰스 W. 페어뱅크스 | 제임스 S. 셔먼 | 토머스 R. 마셜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캘빈 쿨리지 | 찰스 G. 도스 | 찰스 커티스 | 존 낸스 가너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헨리 A. 월리스 | 해리 S. 트루먼 | 앨번 W. 바클리 | 리처드 닉슨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린든 B. 존슨 | 휴버트 험프리 | 스피로 애그뉴 | 제럴드 포드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넬슨 록펠러 | 월터 먼데일 | 조지 H. W. 부시 | 댄 퀘일 | |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앨 고어 | 딕 체니 | 조 바이든 | 마이크 펜스 | |
제49대 | 제50대 | |||
카멀라 해리스 | JD 밴스 | |||
}}}}}}}}}}}} |
<nopad> |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출생 | 1884년 5월 8일 | ||
미주리 주 바튼 카운티 라마 | |||
사망 | 1972년 12월 26일 (향년 88세) | ||
미주리 주 캔자스시티 연구 의료 센터 | |||
묘소 | 미주리 주 잭슨 카운티 인디펜던스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도서관 & 박물관 | ||
재임기간 | 제34대 부통령 | ||
1945년 1월 20일 ~ 1945년 4월 12일 | |||
제33대 대통령 | |||
1945년 4월 12일 ~ 1953년 1월 20일[1]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부모 | 아버지 존 엔더슨 트루먼 (1851 ~ 1914) 어머니 마사 엘런 영 트루먼 (1852 ~ 1947) | |
형제자매 | 2남 1녀 중 첫째 | ||
배우자 | 베스 트루먼 (1885 ~ 1982)[2] | ||
자녀 | 마거릿 트루먼 (1924 ~ 2008) | ||
학력 | 인디펜던스 고등학교[3] (졸업) 스폴딩 상과대학교[4] (중퇴) 캔자스시티 대학교 법학대학원[5] (중퇴) | ||
복무 | 주방위군 | ||
1905년 ~ 1911년 | |||
미국 육군 | |||
1917년 ~ 1919년 | |||
예비군 | |||
1920년 ~ 1953년 | |||
최종 계급 | 대령 (미국 육군)[6] | ||
종교 | 개신교 (침례회) | ||
신체 | 키 175cm[7], O형 | ||
정당 | |||
의원 선수 | 2 (상원) | ||
별명 | HST | ||
의원 대수 | 74, 77 (상원) | }}}}}}}}} |
|
백악관 공식 초상화[8] |
1. 개요
제33대 미국 대통령 취임 선서[9] |
대통령 재임 중 그의 책상 위에 놓인 명패에 적힌 글 |
34대 부통령 임기 도중,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4선으로 연임한 지 한 달여 만에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바람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에 다다른 시점, 트루먼 개인으로서는 부통령이 된 지 단 82일 만에 미국의 33대 대통령이 되었다.
재임 당시에는 미국 역사에 손꼽히는 대통령이었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쟁 영웅인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에 가려 평범한 대통령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12],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서 냉전기로 이어지는 급격한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냉철한 판단력으로 전후 세계의 질서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이 재평가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고평가 되고 있는 대통령 중 한 명이다. 한국 입장에서도 매우 인연이 깊은 미국 대통령인데, 그가 바로 6.25 전쟁 당시 미군을 파병한 대통령이기 때문이다.[13]
전임자들과는 달리 시골로 평가받는 미주리주 출신이며, 20세기 미국 역사상 유일한 고졸 대통령이다. 앤드루 잭슨과 비슷한 아웃사이더 출신이라고 볼 수 있지겠만 잭슨은 자수성가한 어마어마한 재력가(미국 대통령 보유 자산 순위 4위지만 트루먼은 꼴찌다)[14]였다.[15] 여기에 초임 '러닝메이트'가 아닌 후임자 부통령, 대통령직 승계, 재임 당시의 낮은 인기 등 제럴드 포드와도 흥미로운 공통점이 많다. 중서부 출신 대통령도 그 자신과 포드 이 두 명 밖에 없다. 다만 재선에 실패한 포드와 달리 트루먼은 재선에도 성공했고, 굵직한 정치적 결단들을 통해 미국 역사, 더 나아가 세계사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는 차이가 있다.
2. 이름
퍼스트 네임인 해리는 해리 S. 트루먼의 외삼촌이자 어머니 마사 엘런 영 트루먼(Martha Ellen Young Truman)의 오빠인 해리슨 "해리" 영(Harrison "Harry" Young)에게서 따왔다. 외삼촌은 해리슨이 정식 이름이고 해리는 애칭이었지만, 해리 S. 트루먼은 해리 자체가 정식 이름이다. |
트루먼 대통령의 친필 서명. 미들네임 S 뒤의 점이 선명하다. |
이름을 두고 트루먼은 "할아버지가 내 출생신고를 하면서 서류 위에 국수 한가닥을 흘렸어."라고 농담하거나, 트루먼의 대통령 취임식 선서를 진행한 할런 F. 스톤(Harlan Fiske Stone) 연방 대법원장은 트루먼의 풀네임을 오해하여 그에게 "나 해리 십 트루먼은(I Harry Shipp Truman)"이라고 말하게 시켰는데 트루먼 본인은 알아서 "나 해리 S. 트루먼은(I Harry S. Truman)"으로 고쳐서 선서한 일화가 있다.
3. 약력
- 1905. 미주리 주방위군
- 1918? 제1차 세계대전 승리 메달 수훈
- 1935. 제74대 상원의원 (미주리 제1부)
- 1941. 제77대 상원의원 (미주리 제1부)
- 1945.1. 제34대 미국 부통령
- 1945.4. 제33대 미국 대통령
- 1964.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
- 1984. 의회 명예 황금 훈장 추서
4.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S. 트루먼/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S. 트루먼/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S. 트루먼 행정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평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S. 트루먼/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S. 트루먼/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선거 이력
<rowcolor=#ffc224>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선거인단 수) | 당선 여부 | 비고 |
1934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미주리 | | 787,110 (59.55%) | 당선 (1위) | 초선 |
1940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930,775 (51.17%) | 당선 (1위) | 재선 | ||
1944 | 미국 부통령 선거[18] | 미국 | 25,612,916 (53.39%, 432명) | 당선 (1위) | 초선[19] | |
1948 | 미국 대통령 선거 | 24,179,347 (49.55%, 303명) | 당선 (1위) | 재선 |
7. 어록
"만약 독일이 승리하는 것처럼 보이면 우리는 러시아를 지원하고, 러시아가 이기는 것처럼 보이면 우리는 독일을 지원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이 가능한 서로 더 많이 죽이게 할 수 있다"
"If we see that Germany is winning the war, we ought to help Russia; and if that Russia is winning, we ought to help Germany, and in that way let them kill as many as possible."
1941년 6월 상원의원 시절, 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한 것을 보고 한 발언#
"If we see that Germany is winning the war, we ought to help Russia; and if that Russia is winning, we ought to help Germany, and in that way let them kill as many as possible."
1941년 6월 상원의원 시절, 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한 것을 보고 한 발언#
"일본의 군 병력이 궤멸되기 전까지, 세계 평화란 없습니다."
"No peace in the world, until the military power of Japan is destroyed."
#
"No peace in the world, until the military power of Japan is destroyed."
#
"딘, 우리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저 개새끼들을 막아야 하오. 그게 전부야."
"Dean, we’ve got to stop the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 and that’s all there is to it."
"Dean, we’ve got to stop the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 and that’s all there is to it."
"한국은 미국에서 수천 마일 떨어진 곳에 있는 작은 나라지만, 그곳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든 미국인들에게 중요합니다. 1950년 6월 25일 공산주의자들이 한국을 공격했습니다. 이는 공산주의자들이 독립국가들을 정복하기 위해 군사력을 사용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북한의 남침은 유엔헌장 위반이고 평화를 침해한 것입니다. 우리는 이 도전에 정면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강대국의 책임은 세계에 봉사하는 것이지, 세계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다."
"The responsibility of the great states is to serve, and not to dominate, the world."
"The responsibility of the great states is to serve, and not to dominate, the world."
"손에 피를 묻혔다고, 젠장! 그 녀석은 내 손에 묻은 피의 절반도 손에 묻히지 않았어! 저 울보를, 다신 여기 들이지 말게나!"[20]
"Blood on his hands, dammit! He hasn't half as much blood on his hands as I have! Don't let that crybaby back in here!"
"Blood on his hands, dammit! He hasn't half as much blood on his hands as I have! Don't let that crybaby back in here!"
8. 기타
로렌 바콜과 피아노를 연주하는 트루먼
피아노가 취미였으며 실력도 제법 괜찮았다. 트루먼이 부통령 시절 유명한 할리우드 여배우인 로렌 바콜이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 그녀를 피아노 위에 앉혀 놓고 피아노를 치는 위 사진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이 사진을 본 트루먼의 친구이자 동료가 "자네 혹시 그 사진 보고 부인이 뭐라고 안 했나?"라고 묻자 트루먼은 "아내가 '당신 피아노를 치는 거예요? 아니면 그 여자랑 노는 거예요?'라고 묻던데?"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영어로는 (피아노 등을) 연주하는 거나 노는 거나 둘 다 to play다. 이를 이용해 트루먼이 말장난을 한 것이다. 그 뒤로 별 말이 안 나온 걸 보면 이걸로 부부관계에 불화가 생겼다거나 하진 않았던 모양이다.
- 또 다른 취미로는 볼링이 있었다. 미국 대통령중 최초로 볼링이 취미였으며, 아예 백악관의 웨스트 윙에다 볼링장까지 만들었다. 이를 따서 백악관 옆에 있는 아이젠하워 행정동 빌딩의 볼링장은 해리 트루먼 볼링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 소꿉친구와 결혼해서 백년해로한 인물인데 영부인 베스 트루먼을 6세 때 교회에서 처음 만났다고 하며 그 이후 고등학교에 가서 사귀었는데 둘의 결혼은 트루먼이 그럭저럭 안정을 찾은 1919년(35세)에야 이루어졌다. 결혼 전인 1910년부터 1959년까지 부부는 매번 편지를 교환하곤 했는데, 이 편지를 따로 묶은 서간첩인 <베스에게(Dear Bess)>가 따로 책으로 나왔을 정도이다. 이 서간첩은 576페이지에 이른다고 한다. 이 부부 사이에 자녀는 딸인 마거릿뿐이었지만 트루먼이 만난 지 84년만인 1972년 사망할 때까지 글자 그대로 백년해로했다. 베스 트루먼은 남편이 죽은 지 딱 10년 뒤인 1982년 영면했다. 사족으로 장모 마거릿 게이츠 월리스(Margaret Gates Wallace)(애칭은 매지Madge)는 사위를 못마땅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 20세기에서는 유일한, 또 아직까진 미국 최후의 고졸 대통령인데, 21세기에도 이 기록은 쉽게 깨지지 않을 것 같다.[21]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근대 이후로 미국 대통령들은 거의 다 명문대 출신들이었다.[22]
- 독서는 죽을 때까지도 즐겨서 은퇴 후 70대에 들어서도 어떤 기자가 트루먼의 자택을 찾자 책이 수북이 쌓여있었으며, 기자가 "대통령님께서는 주무시려고 책들을 읽으시는 겁니까?"라고 묻자 "아니오. 깨어 있기 위해 책을 읽는 것이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 현역 시절 스트레스가 많아 그랬는지, 개새끼!(Son of a bitch!)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달고 살았다고 한다.[23] 실제 역대 미국 대통령 중 한성깔하기로 손에 꼽히는 인물이었다고 한다. 맥아더를 해임하고 나서도 "난 딱히 맥아더가 멍청한 개새끼라서 해임한 것이 아니다. 다만 그가 대통령의 권위를 존중하지 않아서 그를 해임한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고. 35대 대통령인 존 F. 케네디와 논쟁을 하다가도 이 욕을 사용한 적이 있다. 그 후 케네디는 이렇게 말했다.전 트루먼 대통령께서 저에게 개새끼라고 부른 것에 대해 사과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 제가 개새끼인 것에 대해 사과할 생각입니다.
또한 케네디가 대통령 선거를 할 무렵 지원유세를 하기도 했는데, 연설하러 온 곳에 공화당원들이 온 것을 보고 별안간 "지옥에나 떨어져라!(Go to hell!)"라고 욕설을 내뱉어서 케네디가 트루먼에게 직접 '자제 좀 해주세요'이라고 편지까지 보내기도 했다. 트루먼은 처음에는 조셉 케네디를 싫어해서 그의 아들인 존도 별로 좋아하지 않았으나 나중에는 케네디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어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주었다고 한다.
- 그의 성질머리를 보여주는 일화 중 하나로, 1950년 12월, 워싱턴에서 열린 외동딸 마거릿 트루먼의 공연에 대해 음악평론가 폴 흄은 "노래는 잘 못하며 전문 성악가로 남기는 힘들 것이다"라는 혹평을 내렸다. 그러자 트루먼은 흄에게 다음과 같은 격한 내용의 편지를 썼다."방금 당신(폴 흄)의 형편없는 평론을 봤소. 나는 한 번도 당신을 만난 적 없지만, 만약 만나게 된다면 당신은 새로운 코가 필요할 것이며, 눈에 멍이 들 줄 아시오."
이 사실을 알게 된 딸 마거릿은 아버지에게 정치적으로 어렵게 될 것이라며 우려했지만 트루먼은 되레 "국민들의 80%는 내 편일 테니 넌 너무 걱정마라"고 여유있게 넘겼다고 한다. 그리고 일주일 뒤에 백악관에 많은 편지가 도착했는데, 트루먼의 장담대로 대부분은 트루먼의 행동을 지지했으며, 특히 여성들한테서 "제 남편도 우리 딸을 대통령님이 하신 것처럼 지켜줬으면 좋겠어요"란 내용이 많았다. 세간에선 '인간미가 느껴져서 좋다'라는 평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국의 대통령이 취하기엔 부적절한 행동이었던건 맞는지라[24]그의 비판자들은 '도량이 좁고 비루한 인물'로 혹평하기도 했다. 참고로 딸 마거릿은 그 평론가의 평론처럼 성악가로서는 별 활약을 보이지 못했지만, 훗날 미스터리 작가로 꽤나 성공했다고 한다.[25]
- 해리 트루먼 사후 3년 후에 발매된 시카고(밴드)의 1975년 싱글 'Harry Truman'에서 묘사하는 인물로서 직접적으로 언급되는데, 노래의 내용은 과거에 직설적인 말을 자주 했던 해리 트루먼은 미국이 필요로 한다는 내용의 트루먼에 대한 긍정적인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 많이 알려진 사실은 아니지만 암살 위기를 겪기도 했었다. 1950년 푸에르토리코의 민족주의자인 오스카 코아조와 그라젤리오 트레솔라에게 워싱턴의 블레어 하우스[26]에서 암살당할 뻔했으나 경호원들의 대응으로 토레솔라는 사살되고 코아조는 체포되었다. 다음 날 어떤 기자가 트루먼에게 "만일 대통령님께서 암살범들과 맞닥뜨렸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란 질문을 던지자 트루먼은 주저없이 "그 자의 손에서 총을 빼앗아 목구멍에 처박은 후 방아쇠를 당길 거요(I would have taken the gun from him, shoved it up his gullet and pulled the trigger.)."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다만 이는 아무래도 언론에서 대통령으로서 약한 모습을 피하기 위한 언론플레이인 측면이 있었는지 트루먼이 재선[27]을 포기할 때 이 암살 사건이 자신에게 영향을 많이 끼쳤다고 고백했다. 체포된 코아조는 1979년 지미 카터 대통령에 의해 사면되었고 이후 푸에르토리코에서 1994년 80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 미국 중앙정보국 CIA가 그의 재임 시절인 1947년 설립되었다.
- "당신 이웃이 일자리를 잃으면 불황이고, 당신이 일자리를 잃으면 공황이다."(It's a recession when your neighbor loses his job; it's a depression when you lose yours)라는 말을 한 대통령으로도 나름 유명하다. 정작 한국에서는 레이건의 어록으로 아는 사람도 있는데, 트루먼이 원조다. 레이건은 선거운동 중에 트루먼의 이 말에 정적 카터를 까는 표현을 추가했을 뿐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베트남의 호찌민으로부터 "독립 후 당신들과 친구가 되고 싶다"는 내용의 편지를 받았다고 한다. 허나 당시 호찌민은 트루먼에게 낯선 인사라 트루먼은 크게 신경쓰진 않았다고 한다. 호찌민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민족주의라고 본 수정주의에서는 이때 트루먼이 큰 관심을 가졌으면 역사가 달라졌을 것이라고 보기도 했지만, 이런 드립은 옌안 시절의 마오쩌둥도 쳤던 것이고 수정주의와 달리 근래의 연구들에서 지적하듯이 북베트남의 공산주의적 이념성은 확고했던 것이니 당연히 미국이 남베트남의 반공세력을 버리고 북베트남의 공산주의자들을 선택하게 됐을 가능성은 없다.
- 트루먼의 자서전은 오늘날 2차 대전 말기와 냉전에 관한 정책적 결정 연구에 중요 자료 중 하나로 남아있는데, 자서전답지 않게 의외로 진솔하고 호방한 점이 있다고 한다. 심지어 그렇게 싫어했던 맥아더에 대해서도 칭찬을 아끼지 않을 정도이다.
- 후임자인 아이젠하워에 대해서는 그가 당선되기 전에 “아이젠하워는 이 자리에 앉을 거야. 그리고 이렇게 말하겠지. 이걸 해라! 저걸 해라! 하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거야.” 라고 단언했다고 한다.[28]
- 리처드 닉슨에 대해서도 평가한 적이 있었는데, (태평양 전쟁의 전리품으로 트루먼이 얻어낸 오키나와를 1972년 사토 에이사쿠에게 반환한) 닉슨을 뽑는 인간은 지옥에나 떨어지라고 공개적으로 저주를 퍼부었다.
- KKK 멤버였던 적도 있었는데, 본인 스스로도 이 사실을 상당히 부끄러워 했다고 한다. 본인 말로는 1924년에 미주리주 잭슨 카운티의 판사 재선에 성공하게 되면서, 당시 잭슨 카운티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던 KKK의 제안을 받아 한 번 참석했던 적이 있다고 한다. 일단 10달러를 주고 가입했다고는 하나 공개적으로 활동하진 않았다고 하며 본인 스스로 당시 이야기를 말하는걸 꺼렸다고 한다. 이후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노력한 대통령이라 더 묘한 부분이다.
- 부통령이 되기 전에는 "백인 하딩'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기도 했다. 부정부패에 연루되었다는 의혹 때문인데, 하딩의 one drop rule에 따르면 흑인인 연고로 인해 저런 별명이 붙었다고 한다. 근데 하딩 흑인설도 이미 사장된 설이다.
- 대통령 재임 시절 예산위원장을 만나면 늘 직접 나와서 악수로 맞아주었다. 그래서 "늘 뵙는 건데 이렇게 직접 나오셔서 악수로 맞아주실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예산위원장이 말하자 트루먼 대통령 왈, "아니오, 언론을 모르셔서 그런데 내가 이렇게 나와서 맞아주지 않으면 신문에 '대통령이 예산위원장에게 화났다'라고 나올 거요."
- 대통령 재임 당시 백악관에서 폴터가이스트 현상을 겪기도 했다. 화장실 다녀온 사이에 만년필이 엉뚱한 곳으로 가있거나, 잠을 자려고 할 때 옆에서 사람이 혼잣말 하는게 들린다던가, 에이브러햄 링컨 귀신을 마주쳤다던가 하는 일이 일어났는데 한성깔 하시는 분답게 백악관 내부를 모두 불도저로 밀어버렸고, 그후에는 귀신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29] 사실 과학적으로 귀신 이야기가 말이 안 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백악관의 보수공사를 위한 예산을 타내려고 귀신 이야기를 꺼냈을 가능성이 크다. 그냥 다짜고짜 보수공사 얘기를 꺼낸다면 치적 쌓기용 혈세낭비 운운하는 소리가 나왔을 테니까, 귀신 핑계를 댄 것이다. 2층에 놓아둔 피아노 다리가 바닥을 뚫고 1층 천장에 삐죽이 나왔을 정도였으니, 폴터가이스트 핑계로 일부를 밀어내고 재건하지 않았다면, 백악관 전체가 무너지는 참사가 났을지도 모른다. 이 때 백악관은 외벽만 남기고 내부는 싸그리 철거한 뒤, 철근 콘크리트로 다시 만들었다.
- 트루먼의 외손자가 정전 60주년을 기념해 2013년 한국을 방문, 미국의 6.25 참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한 적이 있었다. 트루먼 외손자 "할아버지 참전결정 자랑스럽다".
- 부통령-하원의장-상원 임시의장[31]-국무장관 순으로 이어지는 현재의 미국 대통령 승계서열을 확립한 장본인이다. 그전까지는 하원의장과 상원의장이 승계서열에 없고 부통령 다음이 바로 국무장관이었다.
- 남북 전쟁 이후 민주당 대통령 중에서는 처음으로 살아생전에 후임 민주당 대통령을 맞이한 인물이다. 남북전쟁의 저주 탓인지 민주당 대통령들은 거의 살아생전에 후임 민주당 대통령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32] 그가 살아있는 동안 존 F. 케네디와 린든 B. 존슨이 대통령이 되었다. 케네디도 임기 중 암살당하고, 존슨 역시 지미 카터 당선 이전에 사망하여 징크스가 유지되는듯 했으나 지미 카터가 역대 최장수 대통령이 되면서 빌 클린턴, 버락 오바마, 조 바이든의 당선까지 지켜보게 되었다. 다만 여전히 정상적으로 취임-정상적으로 퇴임-정상적으로 취임한 후임자-정상적으로 퇴임한 후임자는 여전히 없다. 하필 프랭클린 루즈벨트와 JFK 모두 임기중 사망했고 카터, 클린턴은 후임자가 공화당이었다. 만일 바이든 후임자가 민주당 소속이 되면 남북전쟁 직전인 피어스-뷰캐넌 이래로 160년 정도만에 민주당은 전임자와 후임자가 정상적으로 취임 및 퇴임하게 된다. 그러나 하필이면 전임자인 공화당 소속 도널드 트럼프가 재선되어 좀 더 지켜봐야 할 듯하다.
- 한국의 미국 전문가인 김지윤(정치학자) 박사는 역대 미국 대통령 중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을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평범함", "상식적인 것"이 위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람이라 좋아한다고. 트루먼 대통령은 현직일 때는 인기가 없었지만 현재는 재평가되어 위대한 대통령을 뽑으면 5, 6위 안에 들어간다고 한다.
8.1. 지지율
미국 역사상 최저 지지율과 최고 지지율을 동시에 기록한 대통령이다.[33] 이 때문에 평균 지지율은 45%로 미국 대통령 중 3번째로 낮다.[34]- 최저 지지율: 1951년 11월 16일, 1952년 2월 14일 갤럽 지지율 조사에서 22%를 기록한 적이 있다. 이는 미국 대통령 지지율 중 최저 기록인데[35], 어느 정도냐면 리처드 닉슨의 사임 직전 지지율이 24%, 대침체 당시 조지 워커 부시의 최저 지지율이 25%였다! 부정평가 최대치도 1952년 1월 6일 기록한 67%였는데, 이 역시 사임 직전의 닉슨의 66%,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당시 도널드 트럼프의 62%보다 높았고, 오직 대침체 당시 조지 워커 부시의 부정평가 최고치 71%만이 트루먼을 이길 수 있었다. 임기 후반의 트루먼은 가히 말년의 닉슨, 대침체 당시 부시 2세까지 능가하는 허버트 후버 이래 미국 역사상 가장 인기 없는 대통령이었던 셈이었다. 트루먼은 무려 17개월(1951년 2월~1952년 7월)이나 20%대 지지율을 기록함은 물론 부정평가는 긍정평가의 3배에 육박했다. 퇴임 1년 전이던 1952년 기준 트루먼의 지지율은 30% 안팎 수준을 맴돌았는데 부정평가는 50%를 넘겼다. 지지율이 득표율의 2/3을 밑돌았던 기간은 2년[36]으로 미국 역사상 최장이었다. 트루먼 2기 행정부가 미국 역사상 최악의 레임덕을 겪었던 이유로는 높은 인플레이션[37], 한국정책의 고착화[38]와 매카시즘 광풍 속에서 트루먼이 공산주의를 제대로 막지 못한다는 대중적 인식과 2차 행정부 시기 터진 고위층들의 부패 스캔들[39], 민주당의 텃밭이던 남부 지역 지지자들이 트루먼의 흑인 민권운동 지지에 실망한 것, 20년에 육박하는 민주당의 장기집권[40]에 대한 피로감 등이 꼽힌다.
- 최고 지지율: 1945년 6월 5일 조사에서는 87% 지지율(당시 부정평가 3%)을 기록해 부시 부자[41]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그 다음 조사인 1945년 10월 5일 조사에서는 긍정평가 82%, 부정평가 9%를 기록했으나 그 사이 제2차 세계대전이 완전히 종결되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비공식적으로는 트루먼도 90%대 지지율을 찍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면 트루먼은 임기 극초반에는 FDR 이래 미국 역사상 가장 인기 높은 대통령이었던 셈이다.
9. 대중매체에서
- <맥아더>(1977년 더글라스 맥아더의 전기영화)에서는, 6.25 전쟁의 수행 방식을 둘러싸고 맥아더(그레고리 펙)와 대립하는 모습이 부각되어 나온다. 이건 실제 역사이긴 하지만, 영화의 주인공이 맥아더인 관계로 트루먼은 맥아더의 승리에 열폭하거나 사사건건 발목잡는 인물처럼 묘사되었다.
- Hearts of Iron IV에서는 FDR 서거 이후 대통령이 된다.
- Hearts of Iron IV/카이저라이히에서는 44년 대선에서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민주당이 민주당과 입헌당으로 분열할 경우 다음 1948년 선거 경선때 입헌당 거르고 민주당쪽 후보에서 선택 가능한 대통령 후보로 등장한다.
- Hearts of Iron IV/카이저리덕스에서는 독재자가 된 더글라스 맥아더를 국회 연설 중 저격하여 암살하는 하원의원으로 등장하고 맥아더를 암살해도 미국은 혼란에 빠져 지옥도가 된다.
- Hearts of Iron IV/TNO에서는 필립 하트가 대통령에 당선될 시 국무부 장관으로 등장한다. 참고로 이 세계관에서 트루먼은 대통령이 되지 못했다.[42] 현실과 같이 대외 강경파 성향으로 나오며, 고령의 나이 때문인지 현실처럼 1972년에 죽고 헨리 키신저로 대체된다.
- 아버지의 깃발에 등장한다. 아이라 헤이즈, 존 브래들리, 레니 개그넌과 악수를 나누며 모금 활동을 독려한다. 배우는 데이비드 패트릭 켈리[43]인데 꽤 싱크로율이 좋은 편이다. 캐스팅을 제법 잘한 편.
- 에이틴 어게인(1988년 영화)에서 손자 데이비드의 몸으로 들어간 81세 잭은 해리 S. 트루먼에 대해 배우는 미국사 수업에서 직접 만나기도 했던 트루먼에 대해서 줄줄히 읊는다. 영화상 설정이지만 잭은 심지어 미들 네임인 S가 실제로는 그냥 S가 아니라 세르게이였고 이를 개인적으로 들었다는 이야기를 한다. 여자친구 로빈이 데이비드(사실은 잭이 몸에 들어갔지만)에게 관심을 크게 가지는 계기가 된다.
- 울펜슈타인 시리즈(나치가 세계를 지배한다는 대체역사게임)에서는 마지막 미국 대통령으로 등장한다. 신문기사에서 더는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없어서 항복했다고 한다. 생사는 불분명하나 로스웰 UFO 추락사건이 패색이 짙은 연합국을 돕기 위해 다트 이슈드라는 비밀결사 집단에서 미국측에 기술을 전수해주려는 눈속임으로 보아 정황상 미국 저항군측 지도자가 이 사람으로 추정된다. 최신작 뉴 콜로서스 기준 미국이 나치에게서 해방된 만큼 고전시간대의 FDR 포지션을 트루먼이 이어받을 듯 하다.
-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스웨덴 소설)에선 주인공인 알란 엠마누엘 칼손과도 친분을 쌓는다. 영화판에도 당연히 등장하는데 실제 나이보다 좀 젊은 인상에 허영에 찬 인간으로 등장한다. 하원 의원이 아니라 칼손과 술을 마시다가 루스벨트의 죽음을 듣고 칼손에게 미합중국 대통령에겐 어울리지 않는 물건이라며 자신의 라이터를 주곤 퇴장하는데 원작 소설에서의 후일의 행보는 다 편집됐다. 영화 버전 자체가 소설에 비해서는 재현을 많이 포기한 부분이 많다.
- 트루먼 전기(HBO에서 방영된 미니시리즈 <존 애덤스>의 원작자 데이비드 매클로가 쓴 전기)는 퓰리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폰더 씨의 위대한 하루>(앤디 앤드루스가 쓴 "우화의 탈을 쓴 자기계발서")에서 천사장, 링컨 대통령, 솔로몬 왕보다 더 먼저 등장한 트루먼은, 주인공이자 60년 뒤의 미래에서 타임슬립해 온 40대 백수인 데이비드 폰더에게 자기의 좌우명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45]에 바탕한 충고를 해주어 책임감을 북돋워준다.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3선 중에 사망하는 바람에 헨리 A. 월리스가 대통령이 되어 대통령과 인연이 없을 줄 알았는데[46] 조셉 P. 케네디 주니어[47]의 부통령 후보로 나왔다가 케네디가 암살되면서 대통령이 되지만 임기 직전에 터진 아프간 전쟁의 스트레스와 이미 나이가 80세의 고령이라 얼마 안 가 죽는다.
- 히틀러가 되었다에서는 검머대처럼 루스벨트가 3선 중에 사망해 월리스가 대통령이 되었고, 그 대신 195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지만 맥아더에게 밀려 낙선하면서 진짜로 대통령과 인연이 없어졌다.
- 퓨처라마에서 머리가 아니라 몸이 나온 몇 안 되는 미국 대통령 중 하나인데 로스웰에서 어떤 외계인이 발견되자[48] 이 외계인을 51구역으로 보내고, 때문에 거기서 찍던 달착륙 조작영상을 못찍게 되자 NASA를 만들고 진짜로 달에 사람을 보내라고 지시한다. 이후 조이드버그를 구출하러 온 프라이와 릴라를 보고 루즈벨트의 유령 맙소사를 외치며 기겁한다. 게다가 구출 과정에서 조이드버그의 방광을 얼굴에 맞는 굴욕을 당한다.
- <히로시마>(199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50주년을 맞아 일본, 캐나다가 공동 제작한 TV영화)에서는 케네스 웰시가 트루먼 역을 맡아 매우 높은 싱크로율을 보여주었다. 루스벨트의 갑작스런 사망 직후 대통령직을 승계하고, 이후 원자폭탄 투하에 이르는 과정을 잘 재현한 작품이다.
- 2023년 영화 오펜하이머에서는 게리 올드먼이 연기했다. 실제 성격을 반영해서 오펜하이머를 백악관에서 만났을 때 오펜하이머가 "피를 손에 묻히는 것"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자 오펜하이머를 "울보(crybaby)"라고 평가했으며, 다시는 백악관에 오펜하이머를 초대하지 말라고 말하면서 경멸한다.[49]
- 왓치맨에서는 로어셰크가 이상적인, 정직하게 벌어먹고 노동하는 인간을 묘사할때 자신의 아버지[50]와 함께 예시로 든 인물이다. 로에셰크가 비정상적이고, 극우에 반공주의자이지만, 마음 한편에는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는 인간이란걸 생각하면 의미심장한 부분.
- 바탈리언(영화)에서 전화를 해서 사람들을 속이는 좀비들이 나오자 인간쪽에서 지금 미국 대통령이 누구냐고 묻자 이미 죽은지 한참된 좀비들은 해리 트루먼이라고 답변한다.
- 빌리 조엘의 노래 We Didn't Start The Fire의 가사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다.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 해리 S. 트루먼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 생애 | |
역대 선거 |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
정책 | 냉전자유주의 | ||
외국 정상 | 아돌프 히틀러 · 윈스턴 처칠 · 이오시프 스탈린 · 마오쩌둥 · 장제스 · 김일성 | ||
기타 |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남조선국방경비대 · 평가 | ||
트루먼 행정부 | |||
외교 | 페이퍼클립 작전 · 트루먼 독트린 · 마셜 플랜 · 베를린 봉쇄 · 북대서양 조약,(NATO),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미일안전보장조약 | ||
사건사고 | 제독들의 반란 ·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 | ||
군정 | 미군정 · 평양시정위원회 | ||
| }}}}}}}}} |
해리 S. 트루먼 관련 틀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부통령 | <colbgcolor=#fff,#1f2024> 존 낸스 가너 → 헨리 A. 월리스 → 해리 S. 트루먼 | |
국무장관 | 코델 헐→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 | |
재무장관 | 윌리엄 H. 우딘 → 헨리 모겐소 주니어 | |
전쟁장관 | 조지 던 → 해리 하인즈 우드링 → 헨리 L. 스팀슨 | |
법무장관 | 호머 스틸 커밍스 → 프랭크 머피 → 로버트 H. 잭슨 → 프랜시스 비들 | |
체신장관 | 제임스 팔리 → 프랭크 C. 워커 | |
해군장관 | 클로드 A. 스완슨 → 찰스 에디슨 → 프랭크 녹스 → 제임스 포레스탈 | |
내무장관 | 해럴드 L. 이커스 | |
농무장관 | 헨리 A. 월리스 → 클로드 R. 위커드 | |
상무장관 | 다니엘 C. 로퍼 → 해리 홉킨스 → 제시 H. 존스 → 헨리 A. 월리스 | |
노동장관 | 프랜시스 퍼킨스 | }}} }}}}}}}}} |
[1] 그전과 같다면 그의 임기는 한달 보름 뒤인 3월 4일에 끝나야 했다. 그러나 그의 임기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 이는 1933년 2월 6일에 발효된 수정헌법 20조에 따라 조지 워싱턴이 퇴임 이래(1797~1933) 136년간 계속 같은 날(3월 4일)로 유지되던 대통령, 부통령의 취임식은 이로서 모두 1월 20일 정오가 되면서 그도 마찬가지로 부통령 취임을 1월 20일에 했기 때문이다. 존 낸스 가너가 수정헌법 20조에 따라 1941년 1월 20일 퇴임하면서 루스벨트의 2, 3선 러닝메이트 헨리 A. 월리스와 트루먼 모두는 1월 20일에 취임하고, 퇴임했다. 즉, 트루먼 이후로 모든 미국 대통령들은 1월 20일에 취임과 퇴임을 하게 되었다.[2] 역대 미국 영부인 중 가장 장수한 영부인이다, 향년 97세 247일.[3] 현재 명칭은 William Chrisman High School.[4] Spalding's Commercial College.[5] 현 미주리 대학교 캔자스시티 캠퍼스 법학대학원,[6]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대위까지 진급하고 예비역으로 전환 후 대령까지 진급[7] 고령으로 인해 말년에는 172cm 정도로 줄었다.[8] 1945년 제작[9] 2번째 취임선서 영상이다. 1번째 취임선서는 음성 기록이 없어 2번째 취임선서가 트루먼의 공식 취임식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10] 직역하면 “모든 책임은 여기(집무실 책상)에서 멈춘다.” 트루먼의 좌우명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소설이나 영화에서도 자주 인용되는 표현이다.[11] 어린 시절부터 포커를 좋아했던 해리 트루먼은 포커 용어를 좌우명으로 사용하였다. Buck은 미국의 옛 포커 테이블에서 누가 딜러인지 표시하기 위해 테이블에 돌아가며 꽂아 두던 사슴뿔 나이프를 말한다.#[12] 후술하겠지만 오히려 임기 후반 트루먼은 끔찍하게 인기가 없었는데, 어느 정도였냐면 최저 지지율이 워터게이트 당시 닉슨보다도 낮았다.[13] 정확히 말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파병 결의안을 상정해서 통과시켰다.[14] 그러나 이 정보는 트루먼이 대통령으로 부임하기 전 이야기다. 그는 1953년 백악관을 떠난 이후로 $650,000의 재산 소유한다고 전해진다. 지금 가치로 환산하면 약 $730,000으로 결코 적지 않은 수준의 재산을 보유했다. 링크[15] 여담으로 트루먼은 젊은 시절 모자 가게를 하다가 빚을 지기도 했다.링크[16] 아일랜드 섬에 정착한 스코틀랜드계 주민. 현재도 북아일랜드의 개신교도들 상당수가 스코틀랜드에서 이주한 사람의 후손이다. 이들 중 일부가 다시 미국에 이주해서 상당수가 정착했는데 이들을 Scotch-Irish American이라고 한다. 해리 트루먼도 Scotch-Irish American이다. 참고로 스카치 아이리시라는 표현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구닥다리 표현이라 쓰이지 않고 대신 Ulster Scots라고 부른다. 현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Scotch를 스카치 위스키나 버터스카치 등 스코틀랜드와 관계된 먹을거리에 한정해서 쓰는 경우가 많고 스코틀랜드계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는 드물어졌다. 반면 미국에서는 옛 용법이 남아 Scot(s)나 Scottish와 동일한 의미로 쓰는 경우가 아직도 많다.[17] 사적인 편지 등에서는 S 뒤에 점을 찍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소년 시절 트루먼을 존경해 그와 편지를 주고 받았던 사람이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기고한 글 중에 트루먼에게 이에 관해 편지로 질의한 결과 '점은 찍어도 되고 안 찍어도 됩니다.'라는 답변을 받았던 경험을 공개한 바 있다. 물론 그 역시 트루먼의 미들네임이 S임을 알고 있었기에 그의 글에서는 단 한 번도 트루먼의 S 뒤에 점을 찍지 않았다.[18] 대통령 후보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 1945. 4. 12. 전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병사로 대통령직 승계[20]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10월, 맨해튼 계획의 총 책임자였던 오펜하이머가 트루먼에게 "대통령님, 나는 내 손에 피가 묻어있음을 느낍니다.(Mr.President, I feel I have blood on my hands.)" 라고 말하자, 이에 대한 반응으로 이렇게 말했다고 알려져 있다. 즉 '핵무기를 만든 사람은 너지만 투하 지시는 내가 했으니 더 큰 죄인인 나에게 죄책감으로 찡찡대지 마라'. 더구나 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으로 수많은 젊은이들을 사지로 몰아야 했던 트루먼의 중압감은 당연히 훨씬 무거웠다.[21] 그 이전 세대인 19세기에는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이 고졸 출신이다. 흥미롭게도 그 역시 민주당 출신이며 변호사를 땄다. 또 밀러드 필모어도 고졸 대통령이다. 항목 참조. 다만 이들 세대에서는 고졸도 엄청난 고학력이었고, 더 과거에는 에이브러햄 링컨처럼 고졸은커녕 아예 정규 교육도 못 받은 대통령도 있긴 했다. 물론 당대에도 정치인들은 대졸자들이 절대다수였으니 어디까지나 특수한 케이스일 뿐이지만.[22] 그렇지 않은 경우는 린든 B. 존슨, 로널드 레이건 정도다.[23] 지금도 당연히 심한 욕설이지만, 이 때 당시는 정말 쌍욕 중의 쌍욕이었다. 이 당시에는 '제기랄!'이라고 번역되는 "Damn!"도 욕설로 간주되던 시절이었으니 이건 대통령이 "개새끼"란 육두문자를 쓴 것이나 마찬가지 수준이었다. 하다못해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레트 버틀러가 스칼렛 오하라의 곁을 떠나기 전, 자기는 어떻게 하냐고 한 물음에 했던 “Frankly, my dear, I don’t give a damn”이란 대사도 이 ”damn”때문에 검열에 걸릴 정도였다.[24] 아무리 부성애로 인해 나온것이라지만 그래도 일국의 대통령이란 사람이 국민의 한사람에게 ‘피떡이 될줄 알아라‘고 한것은 경솔한 행동인건 분명하다.[25] 마거릿 트루먼이 쓴 추리소설 가운데 한글로 번역된 것이 하나 있다. '스미소니언 박물관 살인사건'(원제: Murder in the Smithsonian)인데, 1987년에 출판된 것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중고책으로도 구하기 어렵다. 저자명의 국문 표기는 '마가렛 투루먼'으로 되어 있다.[26] 당시 백악관은 수리중이었다.[27] FDR의 4선 이후 제정된 연임 제한 헌법은 트루먼의 경우에는 소급적용이 되지 않아서 이론적으로 트루먼은 루즈벨트처럼 여러 번 재선에 출마할 수 있었다.[28] 실제 아이젠하워는 재임 중에 대통령직 못해먹겠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아이젠하워가 국민들의 지지 속에 상당히 권력이 강했던 대통령이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대통령이란 자리가 얼마나 어렵고 막중한 자리인지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발언이었다.[29] 이전에 링컨의 유령을 만났다는 이들의 일화는 대개 평범했다. 윈스턴 처칠은 그냥 아무렇지도 않게 말을 걸었고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과 그 보좌관들은 보고 놀랐으며 네덜란드의 빌헬미나 여왕은 아예 기절했다.[30] 1953년 기준 트루먼은 $650,000의 재산을 소유한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약 $730,000이며,이는 사실이 아니다.링크1링크2[31] 정식 상원의장은 부통령이 겸임.[32] 그로버 클리블랜드는 시어도어 루스벨트 재임기에 죽었고, 우드로 윌슨은 퇴임 후 3년만에 사망했다. 윌슨이 죽었을때 대통령은 캘빈 쿨리지였다.[33] 이는 조지 워커 부시도 마찬가지다. 사실 알란 가르시아, 김영삼, 지우마 호세프처럼 역사상 최저 지지율과 최고 지지율을 모두 기록한 대통령은 은근히 흔한 편이다.[34] 트루먼보다 평균 지지율이 낮은 대통령은 조 바이든(42%), 도널드 트럼프(41%) 2명이 전부다. 비교하자면 지미 카터의 평균 지지율이 46%였다. 참고로 저 셋은 모두 단임 정권교체를 당했지만 트루먼은 재선에 성공했다.(후술할 바닥을 기던 인기도 재임 시 이야기다)[35] 다만 전문가들은 현대식 여론조사가 실시되었더라면 대공황 당시 허버트 후버의 지지율이 가장 낮았을 거라고 추측하고 잇는데, 당시 후버의 지지율은 15~20% 미만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이에 따라 최대 부정평가도 75~80% 이상으로 추정된다. 갤럽이 대통령 지지율 여론조사를 시작한 해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2기 행정부 시기인 1937년이다.[36] 1950년 12월~1952년 12월[37] 1950~1951년 경제성장률은 8.7%/8%로 종전 후 미국에서 가장 높긴 했지만 이와 함께 물가상승률도 높아져 2년 연속 6% 물가상승률을 찍었다. 참고로 (아이젠하워 시기인) 1955년, 1959년에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7% 가량 됐고, 1962, 1965, 1966년에도 경제성장률이 6%를 넘겼으며, 이후 미국 경제성장률이 6%를 넘긴 해는 7.2%를 찍은 1984년밖에 없다.[38] 1951년 1.4 후퇴 이후 한국전쟁은 오늘날의 휴전선 인근에서 밀고 당기는 고지전&소모전 위주로 2년 넘게 지속되었다. 또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을 해고한 것은 미국인 대다수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덤으로 미국인들에게 6.25 전쟁은 제3차 세계대전의 시발점으로 인식되었고, 이는 매카시즘의 확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오죽했으면 당시 미국의 유행어 중 하나가 "한국에 간다(go to Korea)."였을 정도였다. "난제를 정면 돌파하다/맞닥뜨려 해결하다."라는 뜻. 사실 미국인 입장에선 고통스런 1차대전, 대공황, 2차대전이 끝나고 이제 평화를 누리나 싶었는데, 듣도보도 못한 작은 신흥독립국에서 내전이 발생했다고 다시 수년간 전쟁하는 건 원치 않았을 것이다.[39] 160명이 넘는 국세청 관리들이 뇌물 수수(모피 코트와 당시에는 고급 물건이던 급속냉장고도 포함), 연장 자금 횡령, 부하들의 부패 행위 묵인, 사기업 운영 등의 갖가지 비리를 저질렀다는 내용이다. 미국 국세청에 대한 미국 국민들의 인식이 거의 저승사자 이상 수준인 만큼(애초에 미국 독립 전쟁의 이유 중 하나가 세금 문제였다) 국세청 직원들의 비리가 어떻게 받아들여졌을지는 안 봐도 뻔한데, 이 사태 이후 부패에 연루된 직원 166명이 사임하거나 해고되었고, 트루먼은 국세청을 대폭 개혁하며 이름도 'the Bureau of Internal Revenue'에서 'the Internal Revenue Service'로 바꾸어야 했다. 이 사건은 '트루먼 급속냉장고 스캔들'로 불리며 트루먼 행정부에 대한 대중적인 이미지 악화에 기여했다. 1951년에는 트루먼의 오랜 친구이자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의장을 지낸 윌리엄 보일이 부정 대출 의혹으로 건강 문제를 핑계대며 사임해야 했다.[40] 트루먼 이후 특정 정당의 3연속 집권을 성사시킨 사람은 로널드 레이건의 현직 부통령 신분으로 당선된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가 전부다.[41]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89%, 조지 워커 부시 90%[42] 당대 미국인들은 독소전의 패배를 야기한 부하린의 신경제정책과 FDR의 뉴딜이 본질적으로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해 FDR은 3선에 도전하지 않았고, 그 때문인지 아이젠하워가 민주당으로 편입되어 경선조차 이기지 못했다.[43] 이후 존 윅 시리즈에서 ‘청소부’란 이름의 시체처리업자인 찰리역으로 나온 배우. 이 영화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젊었을 적 출연한 영화 워리어, 48시간, 코만도에서는 양아치스러운 범죄자 역을 맡았다.[44] 포레스트 검프에서 댄 중위 역, CSI : NY의 맥 테일러를 연기한 배우다.[45] 국내 번역판에서는 직역하여 '공은 여기서 멈춘다' 라고 번역되었다.[46] 본인 스스로 나라가 망할 위기가 아닌 이상 대통령 될 일이 없다고 말한다.[47] 원래 역사에서는 아프로디테 계획으로 인해 전쟁 중 사망했다.[48] 극비리에 공군 기지를 방문하기 위해 수송기 안 통조림 상자 속에 숨어서 왔다.[49] 손수건을 꺼내 오펜하이머 앞에서 두 손가락으로 들고 흔들면서 비아냥거린다. 정확히 말하자면 본인도 핵 투하에 대해서 죄책감을 느꼈으며, 이를 결정한 것은 자신인데 단순히 기술개발을 했던 뿐인 오펜하이머에게 분노를 느낀 것이다.[50] 로에셰크는 폭력적인 미혼모 집안에서 태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