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200 49%, #FFFFFF 4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49%,#5eb6e4 49%)"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0><colbgcolor=#FFF200> 수장 | 교황 |
역사 | 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교황령 · 바티칸 포로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바티칸 헌병대 · 교황청 국무원장 · 교황청 | |
외교 | 외교 전반 · 유럽안보협력기구 · 바티칸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유로 | |
문화 | 문화 전반 · 성 베드로 대성당 (주요 건축) · 시스티나 경당 · 성 베드로 광장 · 바오로 6세 알현실 · 사도 궁전 · 바티칸 선정 위대한 영화 · 바티칸 미술관 · 바티칸 시국 축구 국가대표팀 · 라틴어 · 이탈리아어 | |
지리 | 이탈리아 반도 · 바티칸 시 | |
기타 | 가톨릭 · 종교 간 대화 평의회 · 바티칸 우취 및 주화국 |
상위 문서: 성 베드로 대성당
1. 개요
수많은 저술가들이 성 베드로 대성당의 내부를 두고 엄청나게 거대하다고 표현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심지어 이곳이 건물의 내부인지조차 헷갈린다고. 그렇게 거대한 이 성당의 내부에는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를 비롯해 수많은 성상들이 있고, 벽화도 많이 있다. 그야말로 대성당의 한구석 한구석 모두 예술품이라고 할 만하다.이 성당의 실내 장식은 원래 르네상스 양식에 따라 지금보다는 덜 화려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조각과 모자이크 등이 추가되어 바로크 양식으로 변화하였다.
2. 성 베드로 광장
사진 | 설명 |
성 베드로 광장(Piazza San Pietro / St. Peter's Square)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1656~1667년에 걸쳐 설계, 완성한 넓은 광장으로 최대 30만 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광장에 운집한 군중들이 사도 궁전에서 거행되는 교황의 강복 장면을 볼 수 있도록 원 2개를 겹친 타원형으로 평면을 만들었다. 성 베드로의 상징물이 열쇠이기 때문에 광장의 모양이 열쇠 구멍 모양이다. 광장의 북서쪽에는 1981년 5월 13일 성 요한 바오로 2세가 저격당한 위치에 교황의 문장과 함께 저격 일자가 로마 숫자 XIII V MCMLXXXI로 새겨진 블록이 깔려 있다. 로마 시내의 좁은 골목길을 지나다가 광활한 광장이 갑자기 시야에 펼쳐지게 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 베르니니의 의도였으나, 1929년 체결된 라테라노 조약으로 교황청과 이탈리아 정부가 화해한 것을 기념해 베니토 무솔리니가 카스텔 산탄젤로에서 성 베드로 대성당까지 이어진 화해의 길(Via della Conciliazione)이라는 대로를 개통하면서 그 길목에 있던 궁전과 성당 및 여러 고택들을 모두 철거해 베르니니의 의도가 빛을 바랬다. | |
대회랑(Colonnato / Colonnade) 베르니니의 설계로 1656~1667년에 걸쳐 만들어진 광장 주변을 둘러싼 타원형 열주 회랑이다. 마데르노가 설계한 대성당의 화려한 정면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기둥 양식 중 가장 단순한 도리아식 중 토스카나식을 사용했다. 16 m 높이의 토스카나식 대리석 기둥 284개와 벽에서 돌출된 기둥 88개가 4개의 열을 이루며 회랑을 형성하고 있다. 대회랑 위에는 난간과 함께 베르니니의 제자들이 제작한 역대 교황과 성인들의 3.24 m 높이 성상 140개가 늘어서 있다. 회랑 위에 설치된 성상에 대해서는 아래쪽에 있는 표를 참고. 광장에서 보는 시선을 기준으로 회랑의 좌우를 나누었으며, 성상의 순서는 성당 건물에서 가까운 배치에 따라 정리했다. 성 베드로 광장 바닥에는 '회랑의 중심(Centro del Colonnato)'라고 새겨진 원판이 깔려 있는데 이곳에 서면 4개씩 늘어선 대회랑의 기둥들이 겹쳐져 하나로 보인다. | |
분수대(Fontana / Fountains) 원래 대회랑이 건설되기 전에는 오벨리스크 오른쪽에 마데르노가 설계한 바로크 양식의 화강암 분수대 하나만 있었지만, 좌우대칭의 균형미와 조화를 살리기 위해 카를로 폰타나가[1] 오벨리스크 왼쪽에 마데르노의 분수대와 똑같은 디자인으로 설계해 완성했다. 대성당 앞에 설치한 분수는 성전에 들어가기 전 흐르는 물로 신체를 정화한다는 의미를 상징화한 것이었다. 뒷날 베르니니가 설계한 대회랑이 들어서면서 마데르노와 폰타나의 분수대는 오벨리스크와 함께 광장을 장식하게 되었다. | |
오벨리스크(Obelisco / Obelisk) 광장 중앙에 있는 높이 25.5 m(기단부까지 합친 높이는 41 m), 무게 320 t인 이 오벨리스크는 원래 기원전 20~19세기 이집트 제12왕조의 어느 파라오가 헬리오폴리스에 세운 것이다. 그러다가 기원전 1세기 말 아우구스투스의 명을 받아 이집트 총독 코르넬리우스 갈루스(Cornelius Gallus)가 알렉산드리아의 포룸 율리움(Forum Julium)으로 옮겼으며, 이후 37년 칼리굴라가 로마 시의 테베레 강 서안에 마련한 개인용 전차 경기장에 재차 옮겨 세웠다. 이때 오벨리스크를 자르지 않고 통째로 운반하기 위해 길이 105 m, 너비 20 m짜리 대형선을 건조했다. 이 같은 사실은 1세기에 활동한 로마의 정치가·군인인 대(大) 플리니우스(Gaius Plinius Secundus)가 저술한 백과사전 《박물지(Naturalis Historia)》 제36권 제14~15장에 실려 있다(라틴어 원문)(영어 번역문). 이후 이 경기장에서 베드로가 처형당했다고 하며, 그곳에 있던 이 오벨리스크는 베드로 순교의 증인으로써 성 베드로 대성전의 앞에 세워졌다. 여기서 플리니우스는 이 오벨리스크를 '세소시디스(Sesosidis)의 아들 넨코레우스(Nencoreus)'가 '태양신에게 바쳐진 도시'에 세웠다고 기록했는데, '태양신에게 바쳐진 도시'가 헬리오폴리스라는 건 쉽게 알 수 있지만 건립자 '넨코레우스'가 정확히 누구를 가리키는지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유력한 후보로는 세누스레트(Senusret) 1세의 아들 아메넴헤트(Amenemhat) 1세, 세누스레트 3세의 아들 아메넴헤트 3세가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즉 히에로글리프라도 있었으면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앞에 세워진 오벨리스크처럼 건립자를 알 수 있었겠지만, 특이하게도 히에로글리프가 전혀 새겨지지 않았으며, 그 이유도 불명확하다. 이 때문에 이 오벨리스크가 이집트의 것을 본떠 로마에서 만들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나, 현대에는 대체로 이집트인들이 만들었다고 본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주변이 황폐화되면서 오벨리스크는 옛 대성당 옆에 그대로 방치되었고, 1500년 뒤 식스토 5세의 명령에 따라 도메니코 폰타나가 1586년 약 4개월에 걸쳐 인부 9백여 명과 말 140여 필 등을 동원해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왼쪽 아래 그림). 오벨리스크 위에 올진 청동제 십자가는 이교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를 상징하며, 그 내부에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가 예루살렘 성지순례 때 발견해서 가져온 성 십자가[2]의 일부가 안치되었다. 1817년 이 오벨리스크의 길쭉한 그림자를 이용해 태양이 황도에 들어가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주변에 둥근 돌들을 설치하였으므로 초대형 해시계 역할을 하기도 했다. 오벨리스크 기단부 4면과 상단부에 새겨진 라틴어 명문은 아래와 같다. | |
2.1. 오벨리스크의 명문
오벨리스크에 새겨진 라틴어 명문 | |
방위 | 명문 |
서쪽면 (대성당 정면쪽) | CHRISTVS VINCIT・CHRISTVS REGNAT・CHRISTVS IMPERAT・ CHRISTVS AB OMNI MALO PLEBEM SVAM DEFENDAT・ (Christus vincit christus regnat christus imperat christus ab omni malo plebem suam defendat: 그리스도 승리하시고, 그리스도 군림하시며, 그리스도 지배하신다.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악으로부터 자기 백성을 지키신다.) |
남쪽면 (자니콜로 언덕쪽) | SIXTVS・V・PONT・MAX OBELISCVM VATICANVM DIS GENTIVM IMPIO CVLTV DICATVM AD APOSTOLORVM LIMINA OPEROSO LABORE TRANSTVLIT ANNO M・D・LXXXVI PONT・II・ (Sixtus quintus pontifex maximus obeliscum vaticanum dis gentium impio cultu dicatum ad apostolorum limina operoso labore transtulit anno millesimo quingentesimo octogesimo sexto pontificatus secundo: 한때 불경한 미신에 바쳐졌던 바티칸의 오벨리스크를 많은 어려움을 헤치고 교황 식스토 5세가 12사도의 앞으로 이동시켰다. 교황 재위 제2년, 1586년.) |
동쪽면 (화해의 길쪽) | ECCE CRVX DOMINI・ FVGITE PARTES ADVERSAE・ VINCIT LEO DE TRIBV IVDA・ (Ecce crux domini fugite partes adversae vicit leo de tribu iuda: 보라, 주님의 십자가로다. 반역의 무리들은 물러들 가라. 유다 지파의 사자가 승리하셨도다.)[3] |
북쪽면 (사도 궁전쪽) | SIXTVS・V・PONT・MAX CRVCI INVICTAE OBELISCVM VATICANVM AB IMPVRA SVPERSTITIONE EXPIATVM IVSTIVS, ET FELICIVS CONSECRAVIT ANNO M.D.LXXXVI PONT・II・ (Sixtus quintus pontifex maximus cruci invictae obeliscum vaticanum ab impura supersririone expiatum iustius et felicius consecravit anno millesimo quingentesimo octogesimo sexto pontificatus secundo: 교황 식스토 5세가 바티칸의 오벨리스크를 불경한 미신으로부터 해방시켜 정당하고 순조롭게 불패의 십자가에 바쳤다. 교황 재위 제2년, 1586년.) |
상단부 (대성당 정면쪽) | SANCTISSIMAE CRVCI SYXTVS・V・PONT・MAX・ CONSECRAVIT・ E PRIORE SEDE AVVMLSVM ET CAESS・ AVG・ AC TIB・ I・ L・ ABLATVM M・D・LXXXVI・ (Sanctissimae cruci syxtus quintus pontifex maximus sacravit e priore sede avulsum et caesaribus augusto ac tiberio iure licitio ablatum millesimo quingentesimo octogesimo sexto: 이 오벨리스크는 아우구스투스와 티베리우스 황제 치세 동안에 이집트에서 로마로 옮겨졌다. 1586년 식스토 5세가 예전의 자리에서 지금의 자리로 이동시키고 성 십자가에 봉헌했다.) |
2.2. 오른쪽 회랑의 성상
순서 | 성인 | 신분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제작 | 조각가 |
오른쪽 회랑의 성상 | ||||||||
01 | 토마스 아퀴나스 | 신부·신학자·교회학자 | 1224. | 1274.03.07. | # | 1월 28일 | 1702~1703. | 지롤라모 프로토파파 |
02 | 제르바시오 | 순교자 | 2세기 경 | # | 6월 19일 | 1702~1703. | 주세페 라파엘리 | |
03 | 프로타시오 | 순교자 | 2세기 경 | # | 6월 19일 | 1702~1703. | 시모네 조르지니 | |
04 | 루포 | 사도들의 제자·순교자 | 1세기 말 | 107.경 | # | 10월 17일 | 1702~1703. | 마테오 토마시니 |
05 | 조시모 | 사도들의 제자·순교자 | 1세기 말 | 107.경 | # | 10월 17일 | 1702~1703. | 안니발레 카셀라 |
06 | 고스마 | 의사·순교자 | 3세기 경 | 287.경 | # | 9월 26일 | 1702~1703. | 안토니오 판타시아 |
07 | 다미아노 | 의사·순교자 | 3세기 경 | 287.경 | # | 9월 26일 | 1702~1703. | 주세페 나폴리니 |
08 | 요한 | 궁중시종·순교자 | 4세기 경 | 362.경 | # | 6월 26일 | 1702~1703. | 빈센초 펠리체 |
09 | 바오로 | 궁중시종·순교자 | 4세기 경 | 362.경 | # | 6월 26일 | 1702~1703. | 안드레아 푸치냐 |
10 | 사라고사의 빈첸시오 | 부제·순교자 | 3세기 경 | 304. | # | 1월 22일 | 1702~1703. | 프란체스코 핀첼로티 |
11 | 아나스타시오 | 수도승·순교자 | 6세기 | 628.01.22. | # | 1월 22일 | 1702~1703. | 주세페 리카르디 |
12 | 첼소 | 소년·순교자 | 3세기 경 | 304.경 | # | 1월 9일 | 1702~1703. | 피에로 크리스텔리 |
13 | 율리아노 | 순교자 | 3세기 경 | 304.경 | # | 1월 6일 | 1702~1703. | 안토니오 가바니 |
14 | 니코메디아의 율리아나 | 동정 순교자 | 3세기 경 | 305.경 | # | 2월 16일 | 1702~1703. | 안토니오 알리니 |
15 | 아빌라의 테레사 | 설립자·신비가·교회학자 | 1515.03.28. | 1582.10.04. | # | 10월 15일 | 1702~1703. | 발레리오 프루고니 |
16 |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 주교·설립자·교회학자 | 1622.12.28. | 1567.08.21. | # | 1월 24일 | 1702~1703. | 파올로 레지아니 |
17 | 프란치스코 보르자 | 신부·총장 | 1510.10.28. | 1572.09.30. | # | 9월 30일 | 1702~1703. | 빈센초 마리오티 |
18 | 톨렌티노의 니콜라오 | 사제·은수자·증거자 | 1245.경 | 1305.09.10. | # | 9월 10일 | 1702~1703. | 니콜라 아르투시 |
19 | 미라의 니콜라오 | 주교 | 270.03.15. | 343.12.06. | # | 12월 6일 | 1703. | 파비오 카누시 |
20 | 마르티나 | 동정 순교자 | 3세기 초 | # | 1월 30일 | 1702~1703. | 알레산드로 팔마 | |
21 | 수산나 | 동정 순교자 | 3세기 말 | # | 8월 11일 | 1702~1703. | 알레산드로 론도니 | |
22 | 파치의 마리아 막달레나 | 수녀 | 1566.04.02. | 1607.05.25. | # | 5월 25일 | 1703. | 줄리오 코시아 |
23 | 제오르지오 | 순교자 | 4세기 초 | # | 4월 23일 | 1703. | 로렌초 오토니 | |
24 | 로마의 프란치스카 | 설립자 | 1384. | 1440.03.09. | # | 3월 9일 | 1703. | 장 밥티스트 테오동 |
25 | 체칠리아 | 동정 순교자 | 3세기 초 | # | 11월 22일 | 1703. | 장 밥티스트 테오동 | |
26 | 유스티노 | 교부·순교자·호교론자 | 100.경 | 165. | # | 6월 1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27 |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 동정 순교자 | 4세기 초 | # | 11월 25일 | 1662~1665. | 라자로 모렐리 | |
28 | 아녜스 | 동정 순교자 | 291.경 | 304.경 | # | 1월 21일 | 1661~1662. | 라자로 모렐리 |
29 | 제네시오 | 공증인 | 4세기 초 | # | 8월 25일 | 1662~1666. | 바르톨로메오 첸니니 | |
30 | 폰시아노 | 순교자 | 156.경 | 175.01.14. | # | 1월 19일 | 1667~1668. | 안드레아 바라타 |
31 | 골룸바 | 동정 순교자 | 4세기 초 | # | 12월 31일 | 1667~1668. | 안드레아 바라타 | |
32 | 마마 | 소년·순교자 | 259. | 279. | # | 8월 17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33 | 말코 | 수도승·은수자 | 4세기 초 | 390.경 | # | 10월 21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34 | 베니뇨 | 신부·순교자 | 2세기 경 | # | 11월 1일 | 1667~1668. | 프란체스코 마리 | |
35 | 바르바라 | 동정 순교자 | 3세기 경 | # | 12월 4일 | 1667~1668. | 미상 | |
36 | 파우스타 | 부인 | 3세기 | # | 12월 19일 | 1667~1668. | 미상 | |
37 | 칸디다 | 동정 순교자 | 미상 | # | 10월 3일 | 1667~1668. | 미상 | |
38 | 아폴로니오 | 신부·순교자 | 3세기 | # | 4월 10일 | 1667~1668. | 프란체스코 마리 | |
39 | 디디모 | 순교자 | 3세기 | 304. | # | 4월 28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40 | 마리노 | 노인·순교자 | 4세기 | # | 8월 8일 | 1667~1668. | 미상 | |
41 | 에우시니오 | 군인·순교자 | 252. | 362. | # | 8월 5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42 | 마르치아노 | 순교자 | 4세기 | # | 6월 5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
43 | 닐람몬 | 은수자 | 3세기 | 403. | # | 6월 6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44 | 파비올라 | 과부 | 4세기 | 399. | # | 12월 27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45 | 페브로니아 | 동정 순교자 | 284. | 305. | # | 6월 25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46 | 마르코 | 복음사가·주교·순교자 | 1세기 | 68. | # | 4월 25일 | 1661~1662. | 라자로 모렐리 |
47 | 이집트의 마리아 | 은수자 | 5세기 경 | # | 4월 2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
48 | 에프렘 | 부제·교회학자·성서학자 | 306.경 | 378.06.09. | # | 6월 9일 | 1662~1667. | 미상 |
49 | 테오도시아 | 동정 순교자 | 290. | 307. | # | 4월 2일 | 1666. | 안드레아 바라타 |
50 | 마크리나 | 동정녀 | 330.경 | 379.07.19. | # | 7월 19일 | 1668. | 미상 |
51 | 도미니코 | 신부·설립자·설교가 | 1170. | 1221.08.06, | # | 8월 8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52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 부제·설립자 | 1181. | 1226.10.03. | # | 10월 4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53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 수도원장·교회학자·신학자 | 1090. | 1153.08.20. | # | 8월 20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54 |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 수도원장·설립자 | 480.경 | 543.03.22. | # | 7월 11일 | 1667~1668. | 미상 |
55 | 이냐시오 데 로욜라 | 신부·설립자 | 1491.10.23. | 1556.07.31. | # | 7월 31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56 | 레미지오 | 주교 | 437.경 | 530.경 | # | 10월 1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57 | 아폴로니아 | 동정 순교자 | 3세기 초 | 250.경 | # | 2월 9일 | 1668. | 필리포 카르카니 |
58 | 발비나 | 동정 순교자 | 2세기 경 | # | 3월 31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
59 | 루치아 | 동정 순교자 | 283.경 | 304.경 | # | 12월 13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60 | 올림피아 | 과부·여부제 | 361. | 408.07.25. | # | 7월 25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61 | 클라라 | 설립자 | 1194.07.16. | 1253.08.11. | # | 8월 11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62 | 우르술라 | 동정 순교자 | 4세기 경 | # | 10월 21일 | 1754. | 아고스티노 코르나키니 | |
63 | 아가타 | 동정 순교자 | 231. | 251. | # | 2월 5일 | 1667~1668.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64 | 포르투갈의 엘리사벳 | 왕비·3회원 | 1271. | 1336.07.04. | # | 7월 4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65 | 예루살렘의 알베르토 | 총대주교 | 1149. | 1214.09.14. | # | 9월 17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66 | 테클라 | 바오로의 제자·동정 순교자 | 1세기 경 | # | 9월 23일 | 1666. | 미상 | |
67 | 비탈리스 | 순교자 | 1~2세기 경 | # | 4월 28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
68 | 베드로닐라 | 동정 순교자 | 3세기 경 | # | 5월 31일 | 1666. | 미상 | |
69 | 노블락의 레오나르도 | 은수자·수도원장 | 6세기 경 | 559.경 | # | 11월 16일 | 1666. | 미상 |
70 | 갈리카노 | 순교자 | 3세기 경 | # | 6월 25일 | 1670~1673. | 라자로 모렐리 |
2.3. 왼쪽 회랑의 성상
순서 | 성인 | 신분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제작 | 조각가 |
왼쪽 회랑의 성상 | ||||||||
01 | 보나벤투라 | 추기경·신학자·교회학자 | 1221.경 | 1274.07.15. | # | 7월 15일 | 1702~1703. | 피에트로 파올로 캄피 |
02 | 마르코 | 순교자 | 3세기 | 304.경 | # | 10월 4일 | 1702~1703. | 프란체스코 갈레시니 |
03 | 카르타고의 마르첼리노 | 순교자 | 4세기 | 413. | # | 9월 13일 | 1702~1703. | 아고스티노 제나 |
04 | 비토 | 소년·순교자 | 290.경 | 303.경 | # | 6월 15일 | 1702~1703. | 지롤라모 그라미뇰리 |
05 | 모데스토 | 순교자 | 303.경 | # | 6월 15일 | 1702~1703. | 주세페 페레티 | |
06 | 프락세데스 | 동정녀 | 2세기 | 165.경 | # | 7월 21일 | 1702~1703. | 프란체스코 마리아 브루네티 |
07 | 푸덴시아나 | 동정 순교자 | 2세기 | # | 5월 19일 | 1702~1703. | 파올로 모렐리 | |
08 | 파비아노 | 교황·순교자 | 200.경 | 250. | # | 1월 20일 | 1702~1703. | 피에트로 멘티노베세 |
09 | 세바스티아노 | 군인·순교자 | 256.경 | 288.경 | # | 1월 20일 | 1702~1703. | 미켈레 말리아 |
10 | 티모테오 | 바오로의 제자·주교·순교자 | 17.경 | 97.경 | # | 1월 26일 | 1702~1703. | 조반니 마리아 바라타 |
11 | 파우스토 | 군인·순교자 | 2세기 | 190.경 | # | 8월 7일 | 1702~1703. | 조반니 바티스타 치올리 |
12 | 프리모 | 순교자 | 3세기 | 297.경 | # | 6월 9일 | 1702~1703. | 도메니코 아미치 |
13 | 펠리치아노 | 순교자 | 3세기 | 297.경 | # | 6월 9일 | 1702~1703. | 베르나르디노 카메티 |
14 | 히폴리토 | 교부·순교자·대립교황 | 170. | 235. | # | 8월 13일 | 1702~1703. | 안토니오 프레디아니 |
15 | 바실리사 | 동정 순교자 | 3세기 | 304.경 | # | 5월 20일 | 1702~1703. | 조반니 바티스타 안토니니 |
16 | 바오로 | 순교자 | 3세기 | 270.경 | # | 8월 17일 | 1702~1703. | 미켈레 마우리 |
17 | 율리아나 | 동정 순교자 | 3세기 | 270.경 | # | 8월 17일 | 1702~1703. | 조반니 피에트로 마우리 |
18 | 네레오 | 군인·순교자 | 2세기 경 | # | 5월 12일 | 1703. | 로렌초 오토니 | |
19 | 아킬레오 | 군인·순교자 | 2세기 경 | # | 5월 12일 | 1702~1703. | 로렌초 오토니 | |
20 | 펠릭스 | 순교자 | 1세기 | 68. | # | 9월 19일 | 1702~1703. | 로렌초 오토니 |
21 | 콘스탄시아 | 순교자 | 1세기 | 68. | # | 9월 19일 | 1702~1703. | 실라노 실라니 |
22 | 안드레아 코르시니 | 주교 | 1302.11.30. | 1374.01.06. | # | 1월 6일 | 1702~1703. | 프란체스코 마르키오니 |
23 | 크레센시오 | 소년·순교자 | 292.경 | 303.경 | # | 9월 14일 | 1703. | 장 밥티스트 테오동 |
24 | 펠라지아 | 동정 순교자 | 3세기 | 304.경 | # | 6월 9일 | 1703. | 피에르 에티엔 모노 |
25 | 판크라시오 | 소년·순교자 | 289,경 | 304.경 | # | 5월 12일 | 1702~1703. | 프란체스코 모데라티 |
26 | 디오니시오 | 순교자 | 3세기 | 220.경 | # | 9월 20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27 | 라우렌시오 | 부제·순교자 | 225.경 | 258.경 | # | 8월 10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28 | 스테파노 | 순교자·부제 | 1세기 | 34.경 | # | 12월 26일 | 1662~1665. | 라자로 모렐리 |
29 | 로마노 | 군인·순교자 | 3세기 | 258. | # | 8월 9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30 | 베르첼리의 에우세비오 | 주교·순교자 | 283.03.02. | 371.08.01. | # | 8월 2일 | 1668~1670. | 라자로 모렐리 |
31 | 스피리디온 | 주교·증거자 | 270. | 348. | # | 12월 12일 | 1668~1670. | 라자로 모렐리 |
32 |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 주교·순교자·교부 | 35.경 | 107.경 | # | 10월 17일 | 1669~1670. | 에르콜레 페라타의 공방 |
33 | 알렉산데르 | 주교·순교자 | 2세기 경 | # | 11월 21일 | 1669~1670. | 에르콜레 페라타의 공방 | |
34 | 레오 1세 | 교황·교회학자 | 400.경 | 461.11.10. | # | 11월 10일 | 1669~1670.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35 | 아타나시오 | 주교·교부}·교회학자 | 296. | 373.05.02. | # | 5월 2일 | 1669~1670.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36 | 요한 크리소스토모 | 총대주교·교회학자·교부 | 349.경 | 407.09.14. | # | 9월 13일 | 1668~1669.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37 | 우발도 | 주교 | 1084.경 | 1160. | # | 5월 16일 | 1669~1670.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38 |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오 | 주교·교회학자·교부 | 329. | 389.01.25. | # | 1월 2일 | 1669~1670. | 조반니 마리아 데 로시 |
39 | 레오 4세 | 교황 | 790. | 855.07.17. | # | 7월 17일 | 1669~1670. | 미상 |
40 | 클레멘스 1세 | 교황·교부·순교자 | 30.경 | 101.경 | # | 11월 23일 | 1669. | 필리포 카르카니 |
41 | 첼레스티노 5세 | 교황 | 1215. | 1296.05.19. | # | 5월 19일 | 1668~1670. | 라자로 모렐리 |
42 | 마르첼로 1세 | 교황·순교자 | 255. | 309.01.16. | # | 1월 16일 | 1668~1670. | 라자로 모렐리 |
43 | 마르티노 1세 | 교황·순교자 | 7세기 | 655.09.16. | # | 4월 13일 | 1668~1670. | 라자로 모렐리 |
44 | 실베스테르 1세 | 교황 | 3세기 | 335.12.31. | # | 12월 31일 | 1668~1670. | 라자로 모렐리 |
45 | 마르첼리노 | 교황·순교자 | 3세기 | 304. | # | 4월 26일 | 1668~1670. | 라자로 모렐리 |
46 | 갈라 | 과부 | 6세기 | 550. | # | 4월 6일 | 1666. | 미상 |
47 | 시에나의 카타리나 | 수녀·교회학자·신비가 | 1347.03.25. | 1380.04.29. | # | 4월 29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48 | 베아트릭스 | 순교자 | 3세기 | 302. | # | 7월 29일 | 1666. | 미상 |
49 | 테오도라 | 순교자 | 2세기 | 120.경 | # | 4월 1일 | 1662~1667. | 자코모 안토니오 판첼리 |
50 | 히야친토 | 신부·선교사 | 1185.경 | 1257.08.15. | # | 8월 15일 | 1667~1668. | 라자로 모렐리 |
51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 신부·선교사 | 1506.04.07. | 1552.12.03. | # | 12월 3일 | 1669~1670. | 라자로 모렐리 |
52 | 카예타노 | 신부·설립자 | 1480.10.01. | 1547,08,07, | # | 8월 7일 | 1671. | 라자로 모렐리 |
53 | 필립보 베니시오 | 신부·총장 | 1223.08.15. | 1285.08.22. | # | 8월 22일 | 1671. | 라자로 모렐리 |
54 | 필립보 네리 | 신부·설립자 | 1515.07.21. | 1595.05.25. | # | 5월 26일 | 1671. | 라자로 모렐리 |
55 | 가롤로 보로메오 | 추기경 | 1538.10.02. | 1584.11.03. | # | 11월 4일 | 1671. | 라자로 모렐리 |
56 | 파도바의 안토니오 | 신부·교회학자·설교가 | 1195.08.15. | 1231.06.13. | # | 6월 13일 | 1671. | 라자로 모렐리 |
57 | 파올라의 프란치스코 | 은수자·설립자 | 1416.03.27. | 1507.04.02. | # | 4월 2일 | 1670~1673. | 안토니오 폰타나 |
58 | 안토니오 | 수도원장·수도승 | 251.경 | 356. | # | 1월 17일 | 1792-1793. | 주세페 안젤리니 |
59 | 이집트의 바오로 | 은수자 | 228.경 | 343.경 | # | 1월 10일 | 1672. | 라자로 모렐리 |
60 | 베드로 놀라스코 | 설립자·증거자 | 1189. | 1256.05.06. | # | 5월 6일 | 1672~1673. | 라자로 모렐리 |
61 | 나자렛의 요셉 | 마리아의 남편 | 1세기 경 | # | 3월 19일 | 1671~1672. | 라자로 모렐리 | |
62 | 로무알도 | 은수자·수도원장 | 951.경 | 1027.06.19. | # | 6월 19일 | 1672. | 라자로 모렐리 |
63 | 마타의 요한 | 신부·설립자 | 1160.06.23. | 1213.12.17. | # | 12월 17일 | 1672~1673. | 라자로 모렐리 |
64 | 루도비코 베르트란도 | 신부·설교가·선교사 | 1526.01.01. | 1581.10.09. | # | 10월 9일 | 1672~1673. | 라자로 모렐리 |
65 | 브루노 | 신부·설립자 | 1030.경 | 1101.10.06. | # | 10월 6일 | 1670~1673. | 프란체스코 안토니오 폰타나 |
66 | 힐라리온 | 수도원장 | 291. | 371. | # | 10월 21일 | 1662~1667. | 미상 |
67 | 예로니모 | 신부·교회학자·성서학자 | 347.경 | 420. | # | 9월 30일 | 1662~1667. | 미상 |
68 | 아마시아의 테오도로 | 군인·순교자 | 3세기 | 306.경 | # | 2월 17일 | 1665~1667. | 라자로 모렐리 |
69 | 테오발도 | 신부·은수자 | 1033. | 1066.06.30. | # | 6월 30일 | 1662~1667. | 미상 |
70 | 노르베르토 | 대주교·설립자 | 1080.경 | 1134.06.06. | # | 6월 6일 | 1670~1673. | 라자로 모렐리 |
3. 성 베드로 대성당
3.1. 마데르노의 정면
사진 | 설명 |
정면(Facciata / Facade) 대성당의 정면은 마데르노의 설계안에 따라 1608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1612년 대부분 마무리했다. 미켈란젤로의 그리스 십자가 설계안이 라틴 십자가 형태로 바뀌면서 신랑의 길이가 늘어나자 바오로 5세는 우선 정면부터 짓도록 해, 공사가 끝난 1612년 기준으로 로마 시민들은 성가대석과 멀찌감치 떨어진 곳에 선 정면의 얇은 벽체를 봤을 것이다(…). 정면의 높이는 45.44 m, 너비는 114.69 m이고, 여기에는 높이 27 m, 직경 3 m짜리 대리석 기둥 8개가 세워졌다. 어지간한 궁전 못지 않은 장려한 규모를 자랑하지만 그 규모 때문에 미켈란젤로가 설계한 돔을 가리게 되었다. 그 때문에 건설 당시부터 오늘날까지 "미켈란젤로의 돔은 성당 정면을 제외한 로마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는 빈정거림이 끊이지 않았으며, 프랑스의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는 "정면 자체는 아름답지만 돔과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 성당 건물의 진짜 목적은 돔이었는데 그것이 가려지고 말았다"고 혹평했다. 1985년부터 1986년까지 1년여에 걸쳐 보수 공사가 있었다. | |
정면의 프리즈에는 "IN・HONOREM・PRINCIPIS・APOST・PAVLVS・V・BVRGHESIVS・ROMANVS・PONT・MAX・AN・MDCXII・PONT・VII(In honorem principis apostolorum paulus quintus burghesius romanus pontifex maximus anno millesimo sescentesimo duodecimo pontificatus septimo: 사도들의 으뜸의 영예로 선출된 바오로 5세 보르게세 교황, 교황 재위 제7년, 1612년)"이라는 라틴어 명문이 새겨졌다. 지붕 위에는 유다 타대오#, 마태오#, 필립보#, 토마스, 대 야고보#, 세례자 요한#, 예수 그리스도#, 안드레아#, 사도 요한, 소 야고보#, 바르톨로메오#, 시몬#, 마티아#의 순서로 6m 높이의 성상 13개가 세워졌다. 베드로 성상은 바오로 성상과 함께 대성당 정면 앞 좌우에 있기 때문에 베드로의 자리에는 세례자 요한이 대신 위치하고 있다. 박공벽 가운데에는 바오로 5세의 출신 가문 보르게세 가의 문장인, 왕관을 쓴 독수리와 그 독수리 아래에 있는 드래곤이 새겨져 있다. 사진 | |
발코니(Loggia / Balcony) 대성당의 정면 2층에는 모두 3개의 발코니가 광장을 향해 돌출되었는데, 그중 중앙부 발코니는 '강복의 발코니(Loggia delle Benedizioni)'로 불리며 원로 추기경단이 콘클라베에서 새로운 교황이 선출되었음을 선언하는 장소이자, 새 교황이 성 베드로 광장에 운집한 군중 앞에서 첫 강복을 하는 우르비 에트 오르비(Urbi et Orbi)가 열리는 장소로 유명하다. 이외에도 매년 주님 성탄 대축일과 주님 부활 대축일 정오에 교황이 전세계에 보내는 우르비 에트 오르비 또한 여기에서 이뤄진다. 강복의 발코니 아래에는 조각가 암브로지오 부온비키노(Ambrogio Buonvicino, 1552-1622)의 작품인 '베드로에게 열쇠를 주는 그리스도'가 있다. 사진 | |
종탑(Campanile / Bell Tower) 마데르노는 성당의 정면을 설계하면서 그 양쪽 끝부분에 종탑을 세우고자 했으나 지반이 침하되고 1621년 바오로 5세가 사망해 공사가 중단되었다. 20여 년이 지난 1646년 베르니니가 훨씬 큰 규모로 재공사에 들어갔지만 거의 다 완공된 상황에서 기대한 것만큼 종탑이 웅장하지 않다며 우르바노 8세가 마땅찮은 반응을 보이자 공사가 잠정 중단되었다. 여기에 재공사 시작 전 20년 넘게 방치된 왼쪽 종탑 기단부에 균열이 발생하자 이것이 종탑의 하중을 잘못 계산한 베르니니의 잘못인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진 끝에 베르니니에게 비판적이었던 프란체스코 보로미니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해당 부분을 모두 철거했다. 지금의 종탑은 1790년 주세페 발라디에르(Giuseppe Valadier)의 설계에 따라 마데르노의 계획보다 대폭 축소한 규모로 지었다. 정면 양쪽의 종탑 중 왼쪽은 1931년부터 전자식으로 작동한다. 종탑에 걸린 종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옛 대성당에서 사용하던 종으로 1288년에 주조되었다. 콘클라베에서 교황 선출이 확정되었을 때 시스티나 경당에서 피워올린 흰 연기의 색깔이 불분명해져 성 베드로 광장에 모인 사람들이 혼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4] 베네딕토 16세가 선출된 2005년 콘클라베부터는 시스티나 경당의 굴뚝에서 흰 연기를 피운 후 이 종탑의 종도 함께 타종해 새 교황이 선출되었음을 알린다. | |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성상(Statue di San Pietro e San Paolo / Statue of Sts. Peter and Paul) 두 성인의 성상은 성 베드로 광장에서 봤을 때 각각 정면부 좌우에 위치해 있다. 옛 성 베드로 대성당이 존재하던 비오 2세(1458-1464 재위) 때 처음 설치되었으며 파올로 디 마리아노(Paolo di Mariano)와 그의 공방이 1461~1462년에 걸쳐 조각했는데, 당시에는 지금보다 크기가 작았다. 이때 만든 작품은 사도 궁전 내부 식스토 4세 도서관에 보관 중이다. 16~17세기에 옛 성당보다 훨씬 큰 규모로 성당이 신축되자 정면부에 놓여졌던 이 성상들은 더욱 왜소하게 보이게 되었다. 1849년, 비오 9세가 이를 대신할 더 큰 성상을 세우기로 결정하면서 그레고리오 16세가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에 갖다 놓기 위해 제작을 의뢰했던 성상을 사용했다. 원래는 성 바오로 대성당 내부에 세우려 했지만 너무 커서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 결과 1847년 주님 부활 대축일 성 베드로 대성당 앞에 대신 세워졌다. 성상을 받치는 대좌에는 PIVS・IX・P・M・(교황 비오 9세)라는 명문과 비오 9세의 문장이 장식되었다. 성 베드로 성상(좌측 사진 중 위쪽)은 베네치아 출신 조각가 주세페 데 파브리스(Giuseppe De Fabris)가 1840년에 제작했으며 성상의 높이는 5.55 m이고, 좌대의 높이는 4.91 m이다. 오른손은 베드로의 지물인 천국 열쇠 1쌍을 들었고, 왼손은 두루마리를 쥐었다. 늘어뜨려진 두루마리에는 라틴어로 'ET TIBI / DABO / CLAVES / REGNI / CAELORUM'이라고 새겨졌는데 "또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마태 16,9) 라는 뜻이다. 성 바오로 성상(좌측 사진 중 아래쪽)은 볼로냐 출신 조각가 아다모 타돌리니(Adamo Tadolini)가 1838년에 제작했으며 성상의 높이는 5.55 m이고, 좌대의 높이는 4.91 m, 바오로가 든 칼의 길이는 2.79 m이다. 오른손은 바오로의 지물인 칼을 비껴들고, 왼손에는 두루마리를 펼쳐들었다. 늘어뜨려진 두루마리에는 히브리어로 "나에게 힘을 주시는 분 안에서 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필리 4,13) 하는 구절이 새겨졌다. | |
3.2. 나르텍스
3.2.1. 현관
사진 | 설명 |
열주랑(Portico) 길이 71 m, 폭 13 m, 높이 20 m인 길다란 열주 회랑으로 된 현관의 대리석 바닥에는 클레멘스 10세(1670-1676 재위), 요한 23세(1958-1963 재위), 레오 13세(1878-1903 재위)의 문장이 있다. 가장 왼쪽에 있는 죽음의 문 앞에는 클레멘스 10세의 문장이, 정가운데에 있는 필라레테 문(중앙문) 앞에는 성 요한 23세의 문장이, 가장 오른쪽에 있는 성문 앞에는 레오 13세의 문장이 설치되었는데, 성 요한 23세의 문장은 조각가 자코모 만추가 디자인했기 때문에 다른 두 교황들의 고전적인 문장과는 달리 현대적이다. 상층부에는 조토 디 본도네가 1298년 옛 대성당에 만든 나비첼라(Navicella)[5]라는 이름의 모자이크 작품의 17세기 복제품이 있다(사진). 천장에는 바오로 5세의 문장(왼쪽 아래 사진)과 함께 베드로의 생애를 나타낸 부조 46개가 있고, 뤼네트(lunette)에는 초대 교회의 시성된 교황 38명[6][7]의 성상이 배치되었다. 열주랑의 벽면에는 성상들과 함께 여러 교황들이 남긴 비문이 있으며, 현관의 왼쪽과 오른쪽 끝에 있는 공간에는 각각 대리석 기마상이 놓여 있는데 왼쪽은 아고스티노 코르나키니(Agostino Cornacchini)가 1670년에 제작한 카롤루스 대제 기마상, 오른쪽은 베르니니가 1725년에 제작한 콘스탄티누스 1세 기마상이다. 현관에서 신랑으로 통하는 청동문은 모두 5개가 있는데 왼쪽부터 오른쪽의 순서로 다음과 같다. | |
3.2.2. 5개 문
현관에 있는 5개의 문 | ||||
죽음의 문 | 선악의 문 | 필라레테 문 | 성사의 문 | 성문 |
- 죽음의 문(Porta della Morte / Door of Death)
장례행렬이 통과하는 문으로 1950년 희년(禧年)을 맞아 비오 12세(1939-1958 재위)가 설계안을 공모해 입찰에서 선정된 자코모 만추(Giacomo Manzu)가 1961년부터 제작에 들어가 1964년 완성했다. 청동 패널에는 예수, 성모 마리아, 아벨, 성 베드로, 성 요한 23세, 스테파노, 그레고리오 7세 등의 죽음이 묘사되었다. - 선악의 문(Porta del Bene e del Male / Door of Good and Evil)
바오로 6세(1963-1978 재위)의 80세 생일을 기념해 대성당에 기증된 문으로 루치아노 민구치(Luciano Minguzzi)가 1977년 완성했다. 청동문의 오른쪽 패널에는 비둘기를 포함한 선(善)을 나타내는 상징물들이, 왼쪽 패널에는 매를 포함한 악(惡)을 나타내는 상징물들이 묘사되었다. - 필라레테 문(Porta del Filarete / The Filarete Door)
현관의 다섯 문 중 가운데에 있으며, 옛 대성당에 있었던 가장 오래된 '중앙 문'이다. 에우제니오 4세(1431-1447 재위)가 '필라레테'라 불린 피렌체 출신 안토니오 디 피에트로 아베를리노(Antonio di Pietro Averlino)에게 제작을 의뢰해 1445년 완성했다. 청동 패널에는 중세 때 널리 사용된 성미술의 주제인 예수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 베드로와 바오로를 찬미하는 내용이 묘사되었다. - 성사의 문(Porta dei Sacramenti / Door of the Sacraments)
일반적으로 대성당 출입에 사용하는 문으로 높이 7.43 m, 너비 3.80 m이다. 베난치오 크로체티(Venanzio Crocetti)가 1965년에 완성했으며 가톨릭의 7성사를 주제로 했다. 왼쪽 청동 패널에는 천사가 성사의 은총을 알리는 장면ㆍ세례성사ㆍ견진성사ㆍ고해성사가, 오른쪽 청동 패널에는 병자성사ㆍ성품성사ㆍ혼인성사ㆍ성체성사가 묘사되었다. - 성문(Porta santa / The Holy Door)
다섯 문 중 가장 오른쪽에 있으며, 높이 3.65 m, 너비 2.30 m 크기이다. 1749년에 만든 나무 패널로 장식되었으나 1949년 비코 콘소르티(Vico Consorti)가 청동 패널로 교체하여 1950년 스위스 가톨릭교회에서 기증했다. 원래는 100년마다 문을 열었으나 그 간격이 50년으로, 다시 25년으로 줄었다. 25년마다 돌아오는 희년의 첫 날, 교황이 은망치로 벽돌 벽을 두들기는 개문의식을 거행한 후 이 문을 열고 순례자들이 출입할 수 있게 한다. 가장 최근에 개폐된 일시는 교황 프란치스코가 자비의 희년을 기념하여 개문한 2015년 12월 8일이다.
3.3. 마데르노의 신랑
사진 | 설명 |
신랑(Navata / Nave, 身廊) 마데르노가 설계한 신랑은 미켈란젤로의 설계안보다 길이를 늘려 6만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바닥에는 붉은색 원형 대리석이 박혀 있는데, 이는 800년 옛 대성당에서 카롤루스 대제의 대관식이 거행된 장소를 나타내는 표시다. 또한 이 성당부터 미국의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에 이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성당 31곳의 길이가 바닥에 새겨져 있다. 그리고 남쪽 측랑과 북쪽 측랑의 금빛으로 장식된 프리즈에는 아래와 같은 복음서의 구절이 검은색 글씨의 라틴어로 새겨졌다. EGO ROGAVI PRO TE, O PETRE, VT NON DEFICIAT FIDES TVA: ET TV ALIQVANDO CONVERSES VS CONFIRMA FRATERS TVOS; "그러나 나는 너의 믿음이 꺼지지 않도록 너를 위하여 기도하였다. 그러니 네가 돌아오거든 네 형제들의 힘을 북돋아 주어라."(루카 22,32) QVAODCVMQVE LIGAVERIS SVPER TERRAM, ERIT LIGATVM ETIN COELIS: ET QVODCVMQVE SOLVERIS SVPER TERRAM, ERIT SOLVTVM ET IN COELIS; "그러니 네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고, 네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릴 것이다."(마태 16,19) 맨발의 가르멜회를 설립한 아빌라의 데레사 성상(측랑 남쪽)과 '알칸타라의 성 베드로의 프란치스코회'를 설립한 알칸타라의 성 베드로 성상(측랑 북쪽)의 아래에는 아기 천사 1쌍으로 장식된 성수반이 각각 설치되었다. 대성당 자체가 워낙 광대하고 내부의 시설물도 하나같이 거대한지라 이에 비하면 성수반은 상대적으로 왜소하게 보이지만, 그래도 보통 성당에 있는 것보다는 월등하게 커서 성수반을 장식하는 아기 천사의 높이가 2 m에 육박한다. | |
성 베드로 청동상(Statua bronzea di san Pietro / Statue of St. Peter) 신랑의 북쪽 측랑 끝부분에는 아르놀포 디 캄비오(Arnolfo di Cambio)가 제작한 것으로 알려진 성 베드로 청동상이 있다. 대성당 내의 유일한 고딕 양식 유산으로, 왼손에 열쇠를 들고 오른손을 세운 채 의자에 앉은 베드로의 모습을 나타냈다. 이 청동상은 이미 중세 때부터 유명세를 탔기 때문에, 오랜 세월 동안 대성당을 찾은 수많은 순례자들이 베드로의 오른쪽 발에 입을 맞추고 손으로 만지며 기도하기를 수도 없이 반복하다보니 발가락이 닳아서 밋밋하게 변해버렸다. 청동상의 배경에 있는 벽면의 무늬는 벽지가 아니라 모자이크로 된 장식이다. 청동상의 위쪽에는 살레시오 수도회의 설립자 성 요한 보스코와 1857년 임시 희년을 선포하면서 이 청동상의 발에 입을 맞춰야 대사를 받을 수 있다고 한 비오 9세(1846-1878 재위)의 모자이크 초상화가 장식되었다. 성 베드로의 축일인 6월 29일에는 만툼을 이 청동상에 입히고 교황관을 씌운 후 미사를 집전한다. |
3.3.1. 북쪽 측랑
사진 | 설명 |
피에타 경당(Cappella della Pietà / Chapel of the Pieta) 피에타 경당은 대성당 내부에 들어섰을 때 오른쪽에 있는 북쪽 측랑의 첫 번째 경당이다. 여기에는 1499년 당시 24세였던 미켈란젤로가 교황청 주재 프랑스 대사 랑그로사이오 추기경의 의뢰를 받아 조각한 피에타가 있다. 피에타란 그리스도교 예술에서 다루는 주제 가운데 하나로, 이탈리아어로 슬픔이나 비탄을 뜻한다. 주로 성모 마리아가 십자가에서 내려진 예수 그리스도의 시체를 안고 비통에 잠긴 모습이 묘사되는 작품을 피에타라고 하나, 미켈란젤로의 피에타가 넘사벽으로 유명해 일반적으로 피에타라고 하면 이 성상을 가리키게 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모 마리아의 얼굴은 예수보다 젊게 묘사되었다. 이에 대해 미켈란젤로는 그의 전기를 쓴 제자 아스카니오 콘디비(Ascanio Condivi)에게 '순결한 여자들이 순결하지 않은 여자들보다 젊음을 더 잘 유지하는데, 티끌만큼도 추잡한 욕망의 때가 묻지 않은 육체를 가진 동정녀라면 말할 것도 없다'고 이유를 밝혔다. 특히나 피에타가 유명한 이유는 미켈란젤로가 남긴 수많은 조각들 중에서 그의 서명이 남아 있는 유일한 작품이기 때문으로, 성모 마리아의 어깨띠에 "MICHAEL・ANGELVS・BONAROTVS・FLORENT・FACIEBAT(피렌체의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가 만들었다)"라고 새겨져 있다. | |
세계적인 걸작 예술품이다보니 파괴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는데, 결국 1972년 헝가리 출신 지질학자 라슬로 토트가 "내가 죽음에서 부활한 예수 그리스도다!" 하고 외치며 10여 차례나 망치를 휘둘러 성모 마리아의 얼굴과 한쪽 팔을 박살낸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전문가들이 바닥에 흩어진 작은 부스러기까지 수거해 7개월만에 복원했지만, 그 이후로는 두께 19 mm, 높이 4.5 m, 너비 5.4 m 크기 방탄유리에 둘러싸여 엄중하게 보호받고 있다. 이 때문에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는 성 베드로 대성당 내부에 보관된 수많은 예술품들 중 유일하게 방탄유리의 보호를 받는다. 복원작업에 대한 1973년 1월 17일 동아일보 기사 복원과정은 다음과 같다. 대리석 가루와 조각을 붙일 접착제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했고, 절단된 팔은 산화 방지 철근을 끼워 넣어 몸체와 접합시켰다. 또한 1749년 피에타를 지금의 자리로 옮길 때 깨져 절단면을 갈아 붙였다가 1972년에 다시 깨진 손가락은 최초 조각 당시의 길이와 관절 모양을 확인하기가 불가능하므로 대리석보다 가벼운 재료를 사용해 복원 사실이 드러나게 처리했다. 토트가 휘두른 망치에 입혀진 녹 방지 물질이 성모 마리아의 눈썹에 묻어 생긴 얼룩은 화학 용제로 녹여내거나 칼로 긁어낼 경우 대리석에 더 큰 타격이 가해질 수 있었지만, 스카치테이프를 붙였다가 떼어내 쉽게 제거했다. 아래쪽 사진은 범행 직후 토트가 체포되는 장면으로, 자세히 보면 성모의 왼팔이 부서져 있다. 피에타 경당의 왼쪽 벽감에는 레오 12세(1823-1829 재위)의 기념물이 있다.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자비와 용기를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
성 세바스티아노 경당(Cappella di San Sebastiano / Chapel of St. Sebastian) 성 세바스티아노 경당의 제대 윗부분을 장식하는 성화는 3세기 로마 제국의 군인이었다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후 발각되어 화살형에 처해졌다가 죽지 않고 살아남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앞에서 그리스도교 박해를 비판해 처형당한 성 세바스티아노의 순교 장면을 도메니코 참피에리(Domenico Zampieri)가 1628~1631년에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이를 다시 피에트로 파올로 크리스토파리(Pietro Paolo Cristofari)가 1730~1736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의 아래쪽에는 본디 인노첸시오 11세(1676-1689 재위)의 유해가 유리관 내부에 안치되어 있었다. 그는 원래 대성당 지하 무덤에 안장되었지만 1956년 10월 7일 비오 12세 때 시복되면서 관을 열었는데 사후 267년이 지났음에도 유해가 부패하지 않았다. 2011년 5월 3일 요한 바오로 2세의 시복을 기념해 사람들이 좀 더 가까이에서 기도 드릴 수 있도록 여기에 대리석 석관을 마련하고, 대성당 지하무덤에 있던 요한 바오로 2세의 유해를 이장했다(사진1사진2복자(BEATVS)에서 성인(SANCTVS)으로 묘표가 바뀐 사진#1#2). 이에 따라 기존에 모셨던 인노첸시오 11세의 유해는 변용 제대로 이장되었다. 제대의 양 옆에는 20세기에 제작된 교황의 동상 2개가 있다. 왼쪽은 비오 12세, 오른쪽은 비오 11세(1922-1939 재위)로 제2차 세계 대전 때 나치즘에 반대했던 교황들이다. 성 세바스티아노 제대의 왼쪽 벽감에는 인노첸시오 12세(1691-1700 재위)의 기념물이, 오른쪽 벽감에는 왕위를 포기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한 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 아우구스타 바사(1626-1689)의 기념물이 있다.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관용과 지조를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
성체 경당(Cappella del Santissimo Sacramento / Blessed Sacrament Chapel) 성체 경당은 북쪽 측랑 가장 안쪽의, 방으로 독립된 공간이다. 이곳의 내부 장식은 베르니니가 1676년 대성당에서 맡은 마지막 작품이었다. 성체가 봉안된 작은 금속 성막(tabernacle)은 도금한 청동으로 제작했으며, 그 형태는 1502년 도나토 브라만테가 로마의 산 피에트로 인 몬토리오 성당 중정에 세운 작은 건축인 '템피에토'(The Tempietto)를 축소한 것이다. 템피에토는 성 베드로가 거꾸로 십자가에 매달려 처형되었던 위치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건물은 후대의 돔 건축 외형에 큰 영향을 준 유명한 것이다. 아무튼 이 템피에토를 본떠 만들어진 작은 성막의 돔 꼭대기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올려져 있고 그 둘레의 지붕에는 12사도의 성상이 놓여 있다. 왕관을 쓴 천사 16위가 경당을 장식하는데 큰 성상 8개는 팀파눔(tympanum)을, 작은 성상 8개는 코벨(corbel)을 꾸민다. 경당의 양 옆에는 무릎을 꿇은 두 천사가 손을 모으고 감실을 향해 경배하는 자세를 취했다.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Pietro da Cortona)가 삼위일체를 주제로 그렸는데, 현재 대성당 내부에 있는 그림 중 유일하게 모자이크화가 아닌 유화다. 성체 경당 왼쪽 감실에는 그레고리오 13세(1572-1585 재위)의 무덤이, 오른쪽 감실에는 카노사의 굴욕 때 성 그레고리오 7세를 지지했던 카노사의 마틸데(Matilda of Canossa) 여백작의 무덤이 있다.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순수와 평화를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3.3.2. 남쪽 측랑
사진 | 설명 |
주님 세례 경당(Cappella del Battesimo / Baptistery Chapel) 주님 세례 경당은 도메니코 폰타나의 종손인 카를로 폰타나(Carlo Fontana)가 설계했다. 여기에 놓인 지름 4 m 자색 반암 세례대는 카스텔 산탄젤로에서 옮겨온 것으로 전해지는데, 그 위에 덮인 도금한 청동 덮개 장식은 카를로 폰타나가 설계한 것을 조반니 지아르디니(Giovanni Giardini)가 완성했다. 세례대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요단강에서 세례자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세례를 주는 장면으로 카를로 마라타(Carlo Maratta)가 1696~1698년에 그린 것을 1722년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경당의 스펜드렐(spandrel) 4곳은 프란체스코 트레비사니(Francesco Trevisani)가 디자인한 것으로 의인화된 아프리카ㆍ아메리카ㆍ아시아ㆍ유럽 4대륙이 장식되었다. 경당 오른쪽 벽감에는 영국 왕 제임스 2세의 아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의 아내인 마리아 클레멘티나 소비에스카(Maria Clementina Sobieska)의 무덤이 있다.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정의와 용기를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
성모 자헌 경당(Cappella della Presentazione / Presentation Chapel) 경당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성모 마리아의 부모인 요아킴과 안나가 어린 딸 마리아를 하느님에게 바치는 장면을 조반니 프란체스코 로마넬리(Giovanni Francesco Romanelli)가 1638~1642년에 그린 것으로 파비오 크리스토파리(Fabio Cristofari)가 1726~1728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 아래쪽에는 성 비오 10세(1903-1914 재위)의 유해가 유리관 내부에 안치되었는데 얼굴과 손에 은으로 만든 가리개를 덮어 놓았다. 제대 왼쪽에는 베네딕토 15세(1914-1922 재위)의 기념물이, 오른쪽에는 요한 23세의 기념물이 있다. 제대의 왼쪽 벽감에는 영국 왕 제임스 2세의 아들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8]와 그의 두 아들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추기경의 기념물이 있다. 제대의 오른쪽 벽감에는 성 비오 10세의 기념물이 있다.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겸손과 인내를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
무염시태 제대(Altar of Immaculate Conception) 무염시태 제대는 성체 경당은 남쪽 측랑 가장 안쪽의, 방으로 독립된 공간이다. 바오로 5세의 명에 따라 1477~1479년에 만들어져 같은 해 12월 8일 성모무염시태 축일에 축성되었다. 제대 아래쪽에는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 때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탈취해 온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었으나, 2004년 요한 바오로 2세가 정교회에 유골을 반환해 지금은 이스탄불의 성 게오르기오스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제대의 뒷배경에는 성모 마리아가 원죄 없이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하심을 나타낸 성화가 있다. 이는 피에트로 비앙키(Pietro Bianchi)가 1740년에 그린 것을 1744~1747년 모자이크화로 교체한 것이다. 성화에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와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가 왕관을 쓴 성모 마리아를 경배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성모의 머리에 얹혀진 왕관은 1854년 12월 8일 비오 9세가 봉헌한 황금관에 1904년 다이아몬드 장식 12개가 추가로 봉헌된 것이다. 이곳에서는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는 성무일도가 행해지며, 무염시태 제대와 함께 있는 성가대 경당(Cappella del Coro / Chapel of the Choir)의 파이프오르간은 1626년에 설치된 것으로 상당히 오래된 편에 속한다.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정결과 순명[9]을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3.4. 중앙 건물
3.4.1. 중앙부
사진 | 설명 |
교황 제대(Altare Papale / Papal Altar) 베드로의 무덤 바로 위에 있는 교황 제대는 오직 교황만이 미사를 집전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자리에는 1123년 갈리스토 2세(1119-1124 재위)가 축성한 제대가 있었으며, 1594년 클레멘스 8세(1592-1605 재위)가 지금의 제대를 축성하였다. 제대에 올라설 수 있도록 하는 7층 계단은 포로 로마노의 네르바 포룸에 있던 거대한 대리석을 옮겨와 조각한 것이다. 세월이 지나면서 제대를 보수하거나 새로 만들기도 했지만, 제대의 위치만큼은 옛 대성당과 지금의 대성당 모두 현 위치에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채 오늘날에 이른다. | |
발다키노(Baldacchino) 교황 제대를 덮은 발다키노는 천개(天蓋)라고도 불리며, 우르바노 8세가 20대 청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에게 명해 1625년부터 1633년까지 8년에 걸쳐 청동을 주재료로 금박을 입혀 제작된 바로크 양식의 걸작품이다. 높이 29m, 무게 37t에 달하는 발다키노의 제작을 위해 이탈리아 전역은 물론 베네치아에서도 청동을 끌어모았지만 그래도 부족하자 판테온에까지 손을 뻗쳤다는 이유로 로마 시민들의 조롱거리가 된 걸로도 유명하다. 완성 당시에는 기존의 발다키노와는 매우 다른 모습이라 이도저도 아닌 키메라를 만들었다는 비판이 나오는가 하면, 로스트왁스법(lost wax process)을 이용해 실제 동식물을 밀랍 속에 넣고 청동 주물을 만들어 '실물을 모방해야 할 예술가가 실물 자체를 이용해 효과를 내 예술가답지 못하다'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주문자 우르바노 8세는 결과물에 매우 만족해하면서 베르니니를 더욱 신임했다. 주물 작업에는 프란체스코 보로미니가 큰 역할을 담당했는데, 극적인 효과를 추구해 발다키노 꼭대기에 부활한 예수 그리스도의 성상을 올리려던 베르니니의 계획대로 진행할 경우 기둥이 하중을 지탱하지 못할 것이라고 계산해 십자가를 얹은 원구를 올리도록 하기도 했다. 기둥을 지탱하는 네 기단부에는 우르바노 8세의 문장이 새겨졌다. 지붕을 떠받치는 물결무늬 나선형 기둥 4개는 옛 대성당에 있던 같은 모양의 대리석 원기둥을[10] 본떠 만든 것으로 인간의 영혼이 천상에 도달하는 것을 형상화했는데 기둥의 굵기를 가늘고 날렵하게 처리해 미사를 집전하는 교황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했다. 발다키노의 천장 내부 중앙에는 성령을 상징하는 비둘기가 조각되었다. 이외에도 화관을 들어올린 천사 4위가 천사가 있으며, 우르바노 8세의 출신 가문인 바르베리니 가문의 상징인 벌, 베드로를 상징하는 교황관과 열쇠 및 바오로를 상징하는 칼과 복음서를 든 천사들도 함께 장식되었다. | |
콘페시오(Confessio) 교황 제대 밑에는 베드로의 무덤이 자리해 있어 대성당 내에서 가장 성스러운 장소로 손꼽힌다. 베드로가 순교한 이래 2천 년 가까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진짜 매장지인지는 알 수 없었는데, 오랜 탐사와 연구를 거쳐 1950년 비오 12세가 성당 지하실의 기저 공간에서 성 베드로의 무덤을 확인했다고 공표했다. 이곳으로 내려가는 대리석 계단과 주변을 두른 난간에는 청동제 램프 100개가 장식되어 불을 밝히고 있다. 교황 제대 아래쪽의 벽감에는 성 리노(64/67-76/79 재위)가 사용했다는, 성녀 아녜스 축일에 봉헌된 양털을 축성한 뒤 그것을 실로 만들어 제작한 영대(Pallium)가 봉헌되었다. 베드로의 무덤을 기점으로, 대성당의 지하 무덤에 내려갈 수 있다. 한때 이곳에는 이탈리아의 신고전주의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Antonio Canova)가 제작한 비오 6세 기념물이 놓여져 있었다. 카노바가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작업했던 조각상으로, 비오 6세가 교황관을 발치에 내려놓고 무릎을 꿇고 고개를 든 채 두 손을 모아 기도하는 자세를 취했다. 현재는 성 베드로 대성당의 지하 성당으로 옮겨졌다. | |
돔(Cupola / Dome)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는 자신이 설계한 돔의 기단부만 완성되는 걸 보고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설계안을 이어받은 자코모 델라 포르타가 원안을 약간 수정해 식스토 5세의 마지막 치세인 1590년에 완공했다. 돔의 내부 둘레에는 "TV ES PETRVS ET SVPER HANC PETRAM AEDIFICABO ECCLESIAM MEAM. TIBI DABO CLAVES REGNI CAELORVM(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마태 16,18-19)라는 구절이 2 m 크기로 새겨졌다. 채광 정탑 아래쪽에는 그레고리오 14세가 식스토 5세를 기념한 "S・PETRI GLORIAE SIXTVS PP・V・A・M・D・XC・PONTIF・V・(Sancti petri sixtus papa quintus anno millesimo quingentesimo nonagesimo pontificatus quinto: 성 베드로의 영광을 위하여, 식스토 5세, 교황 재위 제5년, 1590년)"라는 라틴어 명문이 가장자리를 둘러 새겨졌다. 돔의 벽면에는 창문 16개, 돔의 이중벽 내부에는 계단 537개가 있어서, 이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채광 정탑으로 향할 수 있다. 돔을 지탱하는 네 모서리 기둥벽 위쪽은 사복음서의 저자 마태오ㆍ마르코ㆍ루카ㆍ사도 요한과 이들을 상징하는 사람ㆍ사자ㆍ소ㆍ독수리가 묘사된 원형 모자이크로 장식되었다. 기둥벽 아래쪽의 벽감에는 대성당에 봉안된 성유물과 그에 연관된 성인들, 즉 성 십자가의 파편과 성녀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중앙부 북서쪽), 성창과 성 론지노(중앙부 북동쪽), 성 안드레아의 두개골[11]과 성 안드레아(중앙부 남동쪽), 예수의 얼굴이 찍힌 수건과 성녀 베로니카(중앙부 남서쪽)의 대리석 성상이 있다. 기둥벽 위쪽에 있는 원형 모자이크와 기둥벽 아래쪽에 있는 성상의 사진과 위치, 성상 상단부 둘레에 새겨진 라틴어의 의미, 조각가와 조각연도에 관한 사항은 아래쪽을 참조 바람. |
기둥벽 위쪽 | |||
북서쪽 | 남서쪽 | 북동쪽 | 남동쪽 |
마태오(사람) | 사도 요한(독수리) | 마르코(사자) | 루카(소) |
기둥벽 아래쪽 | |||
예루살렘의 성녀 베로니카 (SANCTA VERONICA IEROSOLYMITANA) | 성녀 헬레나 황태후 (SANCTA HELENA AVGVSTA) | 성 론지노 순교자 (SANCTVS LONGINVS MARTYR ) | 성 안드레아 사도 (SANCTVS ANDREAS APOSTOLVS) |
HINC VNA FIDES | MVNDO REFVLGET | HINC SACERDOTII | VNITAS EXORITVR |
여기에서 하나의 믿음은 세상에 빛난다 (HINC VNA FIDES MVNDO REFVLGET) | 여기에서 사제의 단일성이 탄생한다 (HINC SACERDOTII VNITAS EXORITVR) | ||
프란체스코 모치(1629) | 안드레아 볼기(1635) | 잔 로렌초 베르니니(1635) | 프랑수아 뒤케누아(1635) |
3.4.2. 왼쪽 익랑
왼쪽 익랑 상단부는 금빛으로 장식된 프리즈에 검은색 글씨로 "DICIT TER TIBI PETRE IESVS DILIGIS ME CUI TER O ELECTE RESPONDENS AIS O DOMINE TV OMNIA NOSTI TV SCIS QVIA AMO TE(예수님께서 3번째로 베드로에게 물으셨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베드로는 예수님께서 3번이나 “나를 사랑하느냐?” 하고 물으시므로 슬퍼하며) 대답하였다. “주님, 주님께서는 모든 것을 아십니다. 제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을 주님께서는 알고 계십니다.”)"라는 요한 복음서 21장 17절이 라틴어로 새겨져 있다. |
사진 | 설명 |
성 요셉 제대(Altare di San Giuseppe / Altar of St. Joseph) 성 요셉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아킬레 푸니(Achille Funi)가 1961년에 그린 것으로 1963년 모자이크화로 교체되었다. 성모 마리아의 남편이자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며 전세계 교회의 주보성인 나자렛의 성 요셉이 아기 예수를 안은 모습을 무릎을 꿇은 천사와 하늘에 떠 있는 천사가 경배하는 내용으로, 1963년 요한 23세가 축성했다. 원래 이 자리에는 처음부터 아킬레 푸니의 그림이 걸려 있던 게 아니라 구이도 레니(Guido Reni)가 그린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의 모자이크 복제화가 있었지만 1822년 성 요셉 제대의 왼쪽에 있는 제대(현재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제대)로 위치가 옮겨졌다. 성 요셉 제대의 아래쪽에는 12사도 중 시몬과 유다 타대오의 유해가 안장되었으며, 제대의 양 옆에는 각각 시몬과 유다 타대오의 원형 초상화가 모자이크화로 장식되었다. | |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제대(Altare di crocefissione di Pietro / Altar of the Crucifixion of St. Peter)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구이도 레니의 작품으로 베드로가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하는 장면을 표현했다. 전설에 따르면 이 제대가 위치한 곳이 바로 베드로가 순교한 칼리굴라 경기장의 한복판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베드로의 순교지에 대성당이 세워졌음을 나타냈다. 이 성화는 1779년 8월 21일부터 1784년 4월 10일까지 모자이크화로 교체되었다. 본래 성 요셉 제대에 걸려 있었으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성화가 걸리게 되면서 지금의 제대 자리로 옮겨졌다. 제대 왼쪽에는 필리핀 출신으로 일본에서 순교한 성 라우렌시오 루이스(Lorenzo Ruiz)의 원형 초상화가, 오른쪽에는 알폰소 리구오리 수도회와 마리아 수녀회의 설립자 성 안토니오 마리아 지아넬리의 원형 초상화가 모자이크화로 장식되었다. | |
사도 성 토마스 제대(Altare di San Tommaso / Altar of St. Thomas the Apostle) 사도 성 토마스 제대는 대성당 내의 제대들 가운데서도 가장 이른 시기인 1621년에 완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성 토마스 사도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지 못하다가 예수의 손바닥 난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서야 제대 왼쪽에는 애덕의 딸 카노사 수녀회의 설립자 카노사의 성녀 막달레나(Maddalena Gabriella)의 원형 초상화가, 오른쪽에는 살레시오 수녀회의 설립자 성녀 마리아 도미니카 마자렐로(Maria Dominica Mazzarello)의 원형 초상화가 모자이크화로 장식되었다. |
3.4.3. 오른쪽 익랑
오른쪽 익랑 상단부에는 금빛으로 장식된 벽면에 검은색 글씨로 O PETRE DIXISTI TE ES CHRISTVS FILIVS DEI VIVI AIT IESVS BEATVS ES SIMON BARIONA QVIA CARO ET SANGVIS NON REVELAVIT TIBI (베드로가 “스승님은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드님 그리스도이십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시몬 바르요나야, 너는 행복하다! 살과 피가 아니라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그것을 너에게 알려 주셨기 때문이다.") 하는 구절(마태 16, 16-17)을 라틴어로 새겼다. |
사진 | 설명 |
성 프로체소와 마르티니아노 제대(Altare di Santi Processo e Martiniano / Altar of Sts. Processus & Martinian) 1628년 우르바노 8세가 축성한 이 제대는 성 프로체소와 성 마르티니아노에게 바쳐진 것이다. 원래 두 사람은 베드로가 로마의 마메르티노 감옥에 갇혀 있을 때 그를 감시하던 간수였으나 베드로로부터 세례를 받아 그리스도교로 개종했고 이 사실이 발각되어 고문을 당하다가 처형되었다.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두 성인이 순교하는 장면을 발렌틴 데 볼로뉴(Valentin de Boulogne)가 1630년에 그린 것을 1712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는데 이 과정에서 원화보다 색상과 분위기가 더 어둡게 바뀌었다. 클레멘스 8세는 이 자리에 바오로에게 봉헌할 제대를 만들고자 세부적인 계획까지 세웠으나 백지화 되는 바람에 지금의 제대가 자리잡게 되었다. 제대의 양 옆을 떠받치는 옅은 황색의 기둥은 지알로 안티코(giallo antico)라는 희귀한 대리석으로 제작되었는데, 이는 클레멘스 8세가 계획했던 바오로 제대의 흔적 중 일부다. 제대의 아래쪽에는 옛 대성당에서 이장한 성 프로체소와 성 마르티니아노의 유해가 있다. | |
성 에라스모 제대(Altare di Sant'Erasmo / Altar of St. Erasmus) 1628년 우르바노 8세가 축성한 이 제대는 성 에라스모[13]에게 바쳐진 것으로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3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체포되어 권양기로 내장을 끄집어내 뽑히는 고문을 받다가 처형당한 포르미아의 성 에라스모의 순교 장면을 나타냈다. 기존의 성화가 너무 낡아서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이 1628~1629년에 새로 그린 것을 1739년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는데, 푸생이 17세기 프랑스 회화의 거장이자 프랑스 근대 회화의 시조라는 유명세 때문인지 이 성화의 원본은 교황령을 점령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프랑스 파리로 가져갔다가 파리조약에 따라 나중에 반환된 흑역사가 있다. 푸생이 그린 원본은 현재 바티칸 미술관에 소장중이다. 제대의 아래쪽에는 옛 대성당에서 이장한 성 에라스모의 유해가 안장되었다. | |
성 벤체슬라오 제대(Altare di San Venceslao / Altar of St. Wenceslaus) 성 벤체슬라오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독일에 대한 타협 정책과 함께 국내에서의 그리스도교 진흥을 통해 슬라브인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여기에 반발한 동생 볼레슬라프의 부하에게 피살당한 뒤 순교자로서 공경받은 성 벤체슬라오(907-929/935)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안젤로 카로셀리(Angelo Caroselli)가 1627~1630년에 그린 것을 1740년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 아래쪽에는 이집트의 성녀 마리아 등의 유해가 안치되었다. 제대 왼쪽에는 성 치릴로(Kyrillos)의 원형 초상화가, 오른쪽에는 성 치릴로의 형인 성 메토디오(Methodius)의 원형 초상화가 모자이크화로 장식되었는데, '슬라브인의 사도'로 불린 이들은 모라비아의 슬라브인 선교에 종사했다. 슬라브인의 구어를 적을 수 있도록 키릴 문자를 창안해 성서와 기도서를 번역하고 이를 교황으로부터 인정받는 성과를 거두었다. |
3.4.4. 계상랑
사진 | 설명 |
성 베드로의 의자(Cattedra di San Pietro / Chair of Saint Peter) 중앙 제대 뒷부분에 있는 성 베드로의 의자는 베드로가 로마에서 선교할 때 앉았던 나무 의자라는 전설이 있어 그 조각들을 모아 5세기에 상아로 장식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875년 서프랑크의 샤를 2세가 로마에서 서로마 황제로 대관식을 거행할 때 교황청에 기증한 의자다. 1968년부터 1974년까지 진행된 과학 조사 결과 의자를 구성하는 부분 중 가장 오래된 것이 6세기를 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이 의자가 베드로를 상징하는 중요한 성유물로 간주됨에 따라 순례자들이 경배를 바쳤기 때문에 이미 그런 건 아무래도 상관없게 된 듯. 로마 보편 전례력상 2월 22일을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로 기념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베르니니는 알렉산데르 7세(1655-1667 재위)의 의뢰에 따라 1647년부터 1653년까지 6년 동안의 작업을 거쳐 기존의 의자에 약 75 t에 달하는 청동을 입히고 금박과 아름다운 조각으로 장식했다. 무게 39 t, 높이 5 m에 육박하는 청동상 4개가 의자의 네 다리를 잡고 서 있다. 앞쪽의 두 사람은 서방교회의 교부 성 암브로시오와 성 아우구스티노이고, 뒤쪽의 두 사람은 동방교회의 교부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와 성 아타나시오이다. 이는 동서교회의 통합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주교관을 쓴 서방 교부를 앞에 배치함으로써 서방교회가 동방교회보다 우위에 있음을 나타냈다. 의자 위쪽에 있는 황금빛 타원형 창은 스테인드 글라스가 아니라 대리석의 일종인 설화석고(Alabaster)를 얇게 깎아서 유리처럼 비치게 만든 것이다. 한가운데에 묘사된 길이 1.75 m짜리 비둘기는 성령을 상징하고, 비둘기를 둘러싼 3겹 타원은 삼위일체를 상징하며, 12 부분으로 나뉜 창은 12사도를 상징한다. 사진 그 주변에는 구름에 둘러싸인 천사들의 성상이 배치되었다. 의자를 중심으로 그 뒤쪽 왼편에는 O PASTOR ECCLESIAE TU OMNES CHRISTI PASCIS AGNOS ET OVES라는 라틴어가, 오른편에는 ΣΥ ΒΌΣΚΕΙΣ ΤΑ ΑΡΝΙΆ ΣΥ ΠΟΙΜΑΊΝΕΙΣ ΤΑ ΠΡΟΒΑΤΙΑ ΚΡΙΣΤΟΥ라는 그리스어가 새겨졌다. 둘 다 '교회의 목자여, 그대는 모든 어린 양과 양떼를 목장으로 넣으라.'는 뜻이다. 이는 예수가 베드로에게 "내 양들을 돌보아라."(요한 21,15-17)라고 말한 것과 의미가 통한다. 계상랑의 좌우 벽감에는 각각 바오로 3세(1534-1549 재위)의 무덤과 우르바노 8세(1623-1644 재위)의 무덤이 있다. | |
3.4.5. 중앙부 남동쪽
클레멘티나 경당(Cappella Clementina)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교도권과 신성한 정의를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사진 | 설명 |
변용 제대(Altare della Trasfigurazione / Altar of Transfiguration)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의 내용은 이러하다. 예수 그리스도가 수난을 당하기 전 베드로ㆍ야고보ㆍ요한을 데리고 산에 올라가 그들 앞에서 모습이 변해 얼굴과 옷이 눈부시게 빛나며 모세와 엘리야와 대화하자, "주님, 저희가 여기에서 지내면 좋겠습니다. 원하시면 제가 초막 셋을 지어 하나는 주님께, 하나는 모세께, 또 하나는 엘리야께 드리겠습니다."라고 베드로가 청했다. 하지만 빛나는 구름 속에서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어라." 하는 하느님의 음성이 들리자 제자들이 엎드려 두려워했다는 복음서 내용(마태 17, 1-6)을 나타냈다. 이 작품은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 라파엘로 산치오의 유작이다. 1517년 작업에 착수해 그가 사망한 1520년에 제자 줄리오 로마노(Giulio Romano)와 조수 지안프란체스코 펜니(Gianfrancesco Penni)가 완성한 것을 1767년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성화의 원본은 니콜라 푸생이 그린 '성 에라스모의 순교'의 원본처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797년 프랑스 파리로 가져가 루브르에 전시되었고, 1815년 파리 조약에 따라 바티칸으로 반환되었다. 제대의 맞은편에는 인노첸시오 11세의 무덤이 있지만 유해는 성 세바스티아노 경당의 제대 아래쪽에 안장되어 있었다. 2011년 5월 3일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유해가 성 세바스티아노 경당으로 이장됨에 따라 원래 그곳에 있던 인노첸시오 11세의 유해는 변용 제대로 이장되었다. | |
대교황 성 그레고리오 제대(Altare di San Gregorio Magno / Altar of St. Gregory the Great)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서방 교회의 4대 교부 중 1명이자 뛰어난 학식을 바탕으로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그레고리오 성가를 편찬하고 598년 롬바르드족의 위협으로부터 로마를 지켜내 '교회의 구세주', '로마의 보호자'로 불린 '하느님의 종들의 종'[14] 그레고리오 1세(590-604 재위)가 성유물을 요청하는 황제의 대리인에게 순교자의 유골을 닦은 천을 건네줬지만 그것이 하찮다며 받지 않자, 그레고리오 1세가 몸소 그 칼로 그 천을 찌르니 피로 얼룩졌다는 기적을 나타냈다. 안드레아 사키(Andrea Sacchi)가 1625년에 그린 것을 1772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사망 즉시 시성되어 대교황이란 칭호를 받은 성 그레고리오 1세의 유해는 옛 대성당에서 이장해 이곳 제대의 아래쪽에 안장되었다. 제대의 왼쪽에는 비오 7세(1800-1823 재위)의 무덤이 있다. | |
거짓 제대(Altare della Bugia / Altar of the Lie)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의 내용은 이러하다. 하나니아스가 땅을 팔아 생긴 돈을 감추고 아내 사피라도 이를 아는데, 남편 하나니아스가 돈의 일부만 사도에게 바쳤다. 베드로는 "하나니아스, 왜 사탄에게 마음을 빼앗겨 성령을 속이고 땅값의 일부를 떼어 놓았소? 그 땅은 팔리기 전에도 그대 것이었고, 또 팔린 뒤에도 그 돈은 그대 마음대로 할 수 있었던 것 아니오? 그런데 어쩌자고 이런 일을 하려는 생각을 마음속에 품었소? 그대는 사람을 속인 것이 아니라 하느님을 속인 것이오."라고 말하자 하나니아스가 그 자리에서 죽었다. 사람들이 시신을 메고 장사지내러 나간 사이, 남편의 죽음을 알지 못한 사피라가 들어오자 베드로는 역시 돈이 이것뿐이냐고 물었다. 하지만 사피라 역시 거짓말을 하자 "어쩌자고 그대들은 서로 공모하여 주님의 영을 시험하는 것이오? 보시오, 그대 남편을 묻은 이들이 바로 문 앞에 이르렀소. 그들이 당신도 메고 나갈 것이오."라고 말하기 무섭게 사피라 또한 그 자리에서 죽어버렸다(사도 5,1-11). 크리스토포로 론칼리(Cristoforo Roncalli)가 1599~1604년에 그린 것을 1725~1727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의 맞은편에는 비오 8세(1829-1830 재위)의 기념물이 있으며, 기념물 밑에는 성구소 및 보물실(Sacristy and Treasury Museum)로 향하는 문이 자리하고 있다. 성 베드로 대성당과 성구소 및 보물실을 연결하는 이 통로에는 대성당에 안장된 교황들의 명단이 있다. |
3.4.6. 중앙부 남서쪽
원주의 성모 마리아 경당(Cappella della Madonna della Colonna / Our Lady of the Column Chapel) | |
사진 | 설명 |
원주의 성모 마리아 제대(Altare di Madonna della Colonna / Altar of Our Lady of the Column)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그린 것으로, 옛 대성당 입구 옆에 있던 원기둥 위에 그려져 있었기 때문에 '원주의 성모 마리아'라는 이름이 붙었다.사진 1581년에 지금의 대성당으로 옮겨졌으며, 1607년 자코모 델라 포르타가 설계한 희귀한 대리석과 설화석고 장식이 성화 주변에 덧붙여졌고, 1645년 성화 속 성모자의 머리 위에 금관이 봉헌되었다. 1964년 11월 21일 2차 바티칸 공의회가 끝났을 때 바오로 6세는 원주의 성모 마리아를 '교회의 어머니(Mater Ecclesiae)'라 선언하고, 1981년 성 요한 바오로 2세가 모자이크화로 복제해 성 베드로 광장에서 잘 보이는 외벽에 설치했다. 제대의 아래쪽에는 성 레오 2세(681-683 재위), 성 레오 3세(795-816 재위), 성 레오 4세(847-855 재위)의 유해가 안장되었다. | |
성심 제대(Altare del Sacro Cuore di Gesù / Altar of the Sacred Heart)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프랑스 수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 성녀 앞에 발현한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나타냈다. 이 성화는 카를로 무치올리(Carlo Muccioli)가 1923년에 그렸다. 원래 여기에는 프란체스코 바니(Francesco Vanni)가 그린 '시몬 마구스의 추락'이 걸렸으나 그림의 상태가 악화되어 무치올리의 작품으로 대체되었다. 제대의 맞은편에는 베르니니가 완성한 알렉산데르 7세(1655-1667 재위)의 무덤이 있다. 바로크 양식으로 된 걸작 조각으로 평가받는 이 무덤을 장식하는 여인상 4개 중 중 '진실'을 상징하는 조각상은 지구를 밟고 있는데, 이 여인상의 발치에 놓인 지역은 성공회를 내세워 가톨릭과 갈라선 영국이다. 사진 | |
대교황 성 레오 1세 제대(Altare di San Leone Magno / Altar of St. Leo the Great)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조각은 대교황 성 레오 1세가 452년 로마 코앞에까지 침입한 훈족을 저지하고자 아틸라를 만나기 위해 병력 없이 성직자 차림으로 로마 교외에 나갔는데, 성 레오 1세의 뒤쪽에서 칼을 든 베드로와 바오로 두 사도가 나타난 환시를 본 아틸라가 군대를 퇴각시켜 로마를 구원했다는 전설을 나타냈다. 대성당 내의 제대를 장식하는 성화 중 프레스코화나 모자이크화가 아닌 유일한 조각 작품으로, 알렉산드로 알가르디(Alessandro Algardi)가 1645~1653년에 대리석으로 제작했다. 제대의 아래쪽에는 그 이름에 걸맞게 성 레오 1세의 유해가 안장되었다. | |
성 베드로의 불구자 치유 제대(Altare di San Pietro che guarisce un paralitico / Altar of St. Peter Healing the Cripple)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태어날 때부터 걷지 못하는 불구자를 성 베드로가 기적으로 치유했다는 내용(사도 3,1-10)을 표현했다.[15] 처음에는 토마소 라우레티(Tommaso Laureti)에게 작업을 맡겼으나 1602년에 사망하자 루도비코 카르디(Lodovico Cardi)가 남은 부분을 맡아 1606년에 완성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림의 상태가 나빠져 훼손되었고, 결국 프란체스코 만치니(Francesco Mancini)가 1748년에 그린 것을 1751~1758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
3.4.7. 중앙부 북동쪽
그레고리아나 경당(Cappella Gregoriana) 경당의 아치 윗부분 좌우에는 자애와 신앙을 의인화한 조각상이 있다. | |
사진 | 설명 |
성 예로니모 제대(Altare di San Girolamo / Altar of St. Jerome)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서방 교회의 4대 교부 중 한 사람이자 교회학자이며 성서를 라틴어로 번역한 성 예로니모를 주제로 했다. 죽어가는 성 예로니모의 손에 입을 맞추기 위해 허리를 굽힌 바오로와, 화면 왼쪽에 앉아 있는 성 예로니모의 발치에 머리를 대고 있는 사자의 모습이 묘사되었다. 도메니코 참피에리가 1614년에 그린 것을 1744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의 아래쪽에는 요한 23세의 유해가 유리관 내부에 안치되었다. 요한 23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개최해 교회 쇄신과 현대화에 공헌했고, 권위주의에서 벗어나 항상 소탈한 모습을 유지했기에 '선하신 교황(Il Il Papa Buono) 요한'으로 불리며 많은 존경을 받았다. 1963년 사망한 뒤 대성당 지하 무덤에 매장되었다가 2000년대에 들어와 시복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석관을 열었는데, 30여년이 지났음에도 유해가 부패하지 않은 상태였다. 이에 따라 요한 바오로 2세는 요한 23세를 2000년 시복하면서 새로운 매장처로 이 제대를 선택해 그의 거룩함을 기렸다. | |
도움의 성모 제대(Altare della Madonna del Soccorso / Altar of Our Lady of Succour) 도움의 성모 제대를 장식하는 성화는 왕관을 쓴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나타낸 것이며 나무판에 프레스코화로 그려졌다. 이는 대성당 내의 얼마 남아 있지 않은, 모자이크화가 아닌 그림들 가운데 하나이다. 12세기에 그려진 이래 오늘날까지 800년이 넘도록 보관된 귀중한 유물로 원래는 옛 대성당에 있었으나 1578년 그레고리오 13세가 지금의 대성당으로 옮겨 지롤라모 무치아노(Girolamo Muziano)가 설화석고, 자수정과 같은 준보석, 아프리카산 대리석, 초록색 반암을 사용해 성화가 걸린 벽면을 장식했다. 제대의 아래쪽에는 카파도키아의 교부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나지안주스의 성 그레고리오의 유해가 안장되었고, 제대의 오른쪽에는 그레고리오 16세(1831-1846 재위)의 무덤이 있다. | |
성 바실리오 제대(Altare di San Basilio / Altar of St. Basil)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한 성화는 카파도키아의 교부이자 교회학자 성 대 바실리오가 372년 1월 6일 주님 공현 축일을 맞아 신하들을 대동하고 카파도키아 교회를 방문한 발렌스 황제(Valens)를 거들떠보지도 않은 채 신자들에게 의식을 집전하는 장면을 나타냈다. 위 장면은 당시 로마 제국에 퍼진 아리우스파에 대해 발렌스 황제는 아리우스파를 신봉한 반면 성 바실리오는 아리우스파에 반대한 것과 관련이 있다. 황제는 한때 그를 죄주려 했으나 조금도 겁을 먹지 않고 당당하게 나서자 그 용기에 감탄해 카이사레아 인근의 영지를 하사하고 그가 벌이던 자선 활동을 재정적으로 도왔다. 이 성화는 세속의 권력에 대한 기독교회의 우위를 나타냄과 동시에 아리우스파에 대한 아타나시우스파의 우위를 상징하며, 피에르 쉬블레라스(Pierre Subleyras)가 1745년에 그린 것을 1748~1751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 아래쪽에는 동유럽 지역에서 가톨릭과 정교회의 교회일치를 위해 노력하다가 분리파 주교들에 의해 순교한 폴로츠크 대주교 성 요사팟 쿤체빅(St. Josaphat Kuncevyc)의 부패하지 않은 유해가 안치되었다. 제대의 맞은편에는 베네딕토 14세(1740-1758 재위)의 무덤이 있다. |
3.4.8. 중앙부 북서쪽
사진 | 설명 |
나비첼라 제대(Altare della Navicella / Altar of the Navicella) 나비첼라(Navicella)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배'를 뜻하는 단어로, 종교미술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를 상징한다.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자들이 탄 배가 호수에서 풍랑에 휩싸이자 불안해하였다. 이들의 안전을 걱정하여 예수가 물 위를 걷는 기적으로 배를 향해 가까이 다가갔다. 베드로가 이를 보고 자기도 물 위를 걸을 수 있게 해달라고 해 예수처럼 물 위를 걸었으나, 시선을 돌려 파도치는 호수를 보고 겁이 나자 물에 빠져 허우적거렸다. 예수가 베드로를 구해주며 그의 믿음이 약함을 꾸짖었다는 이야기(마태 14,22-33)를 표현하였다. 이 내용을 주제로 한 조토의 작품이 이미 대성당 현관에 있었지만 클레멘스 8세는 제대를 장식하기 위해 베르나르도 카스텔로(Bernardo Castello)에게 작업을 맡겨 1604~1605년에 그림을 그렸으나 그의 작품은 채택되지 못했고, 조반니 란프란코(Giovanni Lanfranco)가 1627년에 다시 그리기 시작해 1628년 9월 17일에 완성했다. 하지만 그림의 상태가 악화되어 1640년, 1662년, 1687년, 1684년 네 차례에 걸쳐 보수했으며, 최종적으로 1726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의 맞은편에는 클레멘스 13세(1758-1769 재위)의 무덤이 있다. | |
대천사 성 미카엘 제대(Altare di San Michele Arcangelo / Altar of St. Michael the Archangel) 처음 이 제대는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 및 성녀 안나에게 바쳐져 그 뒷배경을 장식한 성화 또한 이들을 그린 것이었으나 1606년 4월 14일에 걸렸다가 이틀 만에 내려지고 말았다. 그 뒤로 이곳은 대천사 미카엘에게 바쳐진 제대로 바뀌어 산타 마리아 델라 콘체치오네 데이 카푸치니 성당에 있던 구이도 레니의 작품을 1627~1628년에 모자이크화로 복제해 1628년 우르바노 8세가 축성하면서 제대 위에 설치했지만 1756년에 내려져 1772년 클레멘스 14세(1769-1774 재위)의 명으로 다른 성당에 걸리게 되었다. 이후 1757~1758년에 새로 모자이크화를 만들어 다시 제대를 장식했다. 처음에는 벽화로 그려졌다가 나중에 모자이크화로 교체된 대성당 내부의 다른 그림들과 달리, 이 성화는 처음 제작할 때부터 모자이크화로 만들어져 제대에 설치된 유일한 작품이다. | |
성녀 베드로닐라 제대(Altare di Santa Petronilla / Altar of St. Petronilla) 성녀 베드로닐라는 베드로에게 세례를 받은 뒤 그의 영적인 딸이 되었고, 이후 로마 귀족 플라쿠스의 청혼을 거부하고 3일간 단식하다가 사망했다는 전승이 있다. 유해는 도미틸라 카타콤에 매장되었다. 프랑크 왕국의 국왕 피핀 3세는 베드로닐라가 베드로의 딸이라고 믿고 750년 바오로 1세(757-767 재위)에게 유해를 베드로의 무덤과 가까운 곳으로 이장해달라고 요청하여, 베드로닐라의 유해를 옛 대성당 지하묘지에 안장하고 성녀를 위한 제대를 세웠다. 이 제대는 1606년 옛 대성당을 허문 뒤 지금의 자리로 옮겨 1623년 축성되었다. 피핀 3세의 역할과 함께 781년 카롤루스 대제가 아들 카를 1세로 하여금 이 제대에서 세례를 받게 했던 것이 맞물려 역대 프랑스 국왕들은 이 제대를 '프랑스 왕국의 경당'이라고 여겼으며 성녀 베드로닐라는 적어도 16세기까지 프랑스의 수호성녀로 공경받았다.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성녀 베드로닐라의 순교와 그녀가 천국에 이르러 예수 그리스도에게 환대받는 장면을 나타냈는데, 조반니 프란체스코 바르비에리(Giovanni Francesco Barbieri)가 1623년에 그린 것을 1730년에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지금도 성녀 베드로닐라의 축일인 5월 31일에는 프랑스인들이 이곳을 순례해 미사를 드린다. | |
성 베드로의 다비다 소생 제대(Altare di San Pietro che risuscita Tabita / Altar of St. Peter raising Tabitha) 이 제대의 뒷배경을 장식하는 성화는 내용이 이러하다. 평소 착한 일을 많이 하던 야포의 다비다라는 여인이 병들어 죽자 사람들은 시신을 염하여 다락방에 모셨다. 마침 인근에 있던 베드로가 이 소식을 듣고 야포로 와서 다비다의 집을 방문해 다락방에 올라가 죽음을 슬퍼하던 과부들을 모두 내보낸 뒤 무릎을 꿇고 기도하고 시체를 향해 "다비다야 일어나라." 하자 다비다가 소생해 눈을 뜨고 일어나 자리에 앉았다. 신자들과 과부들이 이를 목격하고 많은 야포 사람들이 그리스도교를 믿게 되었다(사도 9,36-44)는 내용이다. 이 성화의 원본은 조반니 발리오네(Giovanni Baglione, 1566~1643.12.30)가 1604~1606년에 그렸으나 18세기 중엽에 이르자 너무 낡아서 닳아 훼손될 지경에 이르자 이를 대체하기 위해 플라치도 콘스탄치(Placido Costanzi, 1688~1759)가 1757년에 새로 그린 것을 1758~1760년 모자이크화로 교체했다. 제대 맞은편에는 클레멘스 10세의 무덤이 있다. |
3.5. 수도회 설립자 39명의 성상
대성당 내부에는 수도회들을 설립한 성인 39명의 성상이 늘어서 있다. 각각의 성상들은 한꺼번에 설치된 게 아니라 1706년부터 1954년까지 순차적으로 설치되었다.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을 방문한 말시오르 드 폴리냑 추기경[16] |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17] |
이탈리아의 화가·건축가인 조반니 파올로 판니니(Giovanni Paolo Panini)가 그린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을 방문한 말시오르 드 폴리냑 추기경(Le cardinal Malchior de Polignac visite Saint-Pierre-de-Rome)'을 보면 측랑 남쪽 아랫부분 벽감에만 성상이 있고 그 윗부분 벽감은 빈 상태인데, 화폭 가장 오른쪽에 있는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18] 성상을 이탈리아 바로크, 신고전주의 조각가 필리포 델라 발레(Filippo della Valle)가 제작하여 1754년에 설치했기 때문에, 이 그림이 그려진 연대를 1754년 이후부터 화가가 사망한 1765년 이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덧붙여서 위 그림에는 건물 내부의 프리즈가 흰 대리석으로 되어 있다. 오늘날 보듯이 금색 바탕에 라틴어 성경 구절이 모자이크로 장식된 때는 19세기 중반 비오 9세 때였다.
3.5.1. 측랑 북쪽
설립자 | 국적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수도회 | 제작 | 조각가 |
위쪽 | ||||||||
#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 | IT | 1672.01.13. | 1732.03.25. | # | 3월 25일 | 자비로운 교사회 | 1949. | 실비오 실바 |
# 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 FR | 1673.01.31. | 1716.04.28. | # | 4월 28일 | 마리아 선교회 | 1948. | 자코모 파리시니 |
# 성 안토니오 즈카르야 | IT | 1503. | 1539.07.05. | # | 7월 5일 | 성 바오로회 | 1909. | 체사레 아우렐리 |
# 성 베드로 푸리에 | FR | 1565.11.30. | 1640.12.09. | # | 12월 9일 | 노트르담 수도회 | 1899. | 루이 노엘 리콜리 |
아래쪽 | ||||||||
# 알칸타라의 성 베드로 | ES | 1499. | 1562.10.18. | # | 10월 19일 | 알칸타라의 성 베드로의 프란치스코회 | 1713. | 프란체스코 베르가라 |
# 성 가밀로 데 렐리스 | IT | 1550.05.25. | 1614.07.14. | # | 7월 14일 | 병자들의 봉사자회 | 1753. | 피에트로 파실리 |
#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 ES | 1491.12.24. | 1556.07.31. | # | 7월 31일 | 예수회 | 1733. | 카밀로 루스코니 |
# 파울라의 성 프란치스코 | IT | 1416.03.27. | 1507.04.02. | # | 4월 2일 | 가장 작은 형제회 | 1732. | 조반니 바티스타 마이니 |
3.5.2. 측랑 남쪽
설립자 | 국적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수도회 | 제작 | 조각가 |
위쪽 | ||||||||
# 성 요한 보스코 | IT | 1815.08.16. | 1888.01.31. | # | 1월 31일 | 살레시오 수도회 | 1936. | 피에트로 카노니카 |
# 성 요한 세례자 드 라 살 | FR | 1651.04.30. | 1719.04.07. | # | 4월 7일 | 그리스도 교육 수도회 | 1904. | 체사레 아우렐리 |
# 성 요한 에우데스 | FR | 1601.11.14. | 1680.08.19. | # | 8월 19일 | 예수 마리아 수도회 | 1932. | 실비오 실바 |
# 성녀 막달레나 소피아 바라 | FR | 1779.12.12. | 1865.05.25. | # | 5월 25일 | 성심수녀회 | 1934. | 엔리코 콰트리니 |
아래쪽 | ||||||||
# 성 필립보 네리 | IT | 1515.07.22. | 1595.05.25. | # | 5월 26일 | 오라토리오회 | 1737. | 조반니 바티스타 마이니 |
#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 | FR | 1581.04.24. | 1660.09.27. | # | 9월 27일 | 빈첸시오 아 바오로회 | 1754. | 피에트로 브라치 |
#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 | ES | 1515.03.28. | 1582.10.15. | # | 10월 15일 | 맨발의 가르멜회 | 1754. | 필리포 델라 발레 |
3.5.3. 서쪽 익랑
설립자 | 국적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수도회 | 제작 | 조각가 |
위쪽 | ||||||||
# 베르첼리의 성 빌리암 | IT | 1085. | 1142.06.25. | # | 6월 25일 | 몬테베르지네 수도회 | 1878. | 주세페 프린치 |
# 성녀 안젤라 메리치 | IT | 1474.03.21. | 1540.01.27. | # | 1월 27일 | 우르술라회 | 1866. | 피에트로 갈리 |
# 십자가의 성 바오로 | IT | 1694.01.03. | 1775.10.18. | # | 10월 19일 | 예수 고난회 | 1876. | 이냐치오 야코메티 |
# 성 보니필리오 모날디 | IT | 1040. | 1115.09.27. | # | 2월 17일 | 성모의 종 수도회 | 1906. | 체사레 아우렐리 |
아래쪽 | ||||||||
# 성 노르베르토 | DE | 1080. | 1134.06.06. | # | 6월 6일 | 프레몽트레회 | 1767. | 피에트로 브라치 |
# 성녀 율리아나 팔코네리아 | IT | 1270. | 1341.06.12. | # | 6월 19일 | 성모의 종 수도회 | 1740. | 파올로 캄피 |
# 쾰른의 성 브루노 | DE | 1035. | 1101.10.06. | # | 10월 6일 | 카르투시오회 | 1744. | 미켈란젤로 슬로트 |
# 성 요셉 데 갈라산즈 | ES | 1558.07.31. | 1648.08.25. | # | 8월 25일 | 그리스도교 교리 형제회 | 1755. | 인노센초 스피나치 |
3.5.4. 동쪽 익랑
설립자 | 국적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수도회 | 제작 | 조각가 |
위쪽 | ||||||||
# 성녀 요안나 앙티드 투레 | FR | 1765.11.27. | 1826.08.24. | # | 8월 24일 | 성녀 요안나 앙티드의 애덕의 딸 수녀회 | 1949. | 엔리코 콰트리니 카를로 콰트리니 |
# 성녀 프란치스카 카브리니 | US | 1850.07.15. | 1917.12.22. | # | 11월 13일 | 성심의 전교 수녀회 | 1947. | 엔리코 타돌리니 |
# 성녀 마리아 펠레티에 | FR | 1796.07.31. | 1868.04.24. | # | 4월 24일 | 착한 목자 수녀회 | 1942. | 조반니 니콜리니 |
# 성녀 루도비카 드 마리약 | FR | 1591.08.12. | 1660.03.15. | # | 3월 15일 | 빈첸시오 아 바오로 사랑의 딸회 | 1954. | 안토니오 베르티 |
아래쪽 | ||||||||
# 성 예로니모 에밀리아니 | IT | 1486. | 1537.02.08. | # | 2월 8일 | 소마스카의 성직 수도회 | 1757. | 피에트로 브라치 |
# 티에나의 성 카예타노 | IT | 1480.10.01. | 1547.08.07. | # | 8월 7일 | 테아티노회 | 1738. | 카를로 모날디 |
# 천주의 성 요한 | PT | 1495.03.08. | 1550.03.08. | # | 3월 8일 |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 | 1745. | 필리포 델라 발레 |
# 성 베드로 놀라스코 | FR | 1189. | 1258.05.31. | # | 1월 28일 | 속량의 성모회 | 1742. | 파올로 캄피 |
3.5.5. 계상랑 남쪽
설립자 | 국적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수도회 | 제작 | 조각가 |
위쪽 | ||||||||
# 성녀 프란치스카 로마나 | IT | 1384. | 1440.03.09. | # | 3월 9일 | 토르 데 스페키의 오블라티회 | 1850. | 피에트로 갈리 |
#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 IT | 1696.09.27. | 1787.08.01. | # | 8월 1일 | 구속주회 | 1839. | 피에트로 테네라니 |
아래쪽 | ||||||||
# 누르시아의 성 베네딕토 | IT | 480. | 547.03.21. | # | 7월 11일 | 베네딕도회 | 1735. | 안토니오 몬타우티 |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 IT | 1182. | 1226.10.03. | # | 10월 4일 | 프란치스코회 | 1727. | 카를로 모날디 |
3.5.6. 계상랑 북쪽
설립자 | 국적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수도회 | 제작 | 조각가 |
위쪽 | ||||||||
# 성 프란치스코 카라치올로 | IT | 1563.10.13. | 1608.06.04. | # | 6월 4일 | 작은 수행 성직자 수도회 | 1834. | 프란체스코 라부레 인노센초 프라카롤리 |
# 성 프란치스코 드 살 | FR | 1567.08.21. | 1622.12.28. | # | 1월 24일 |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 | 1845. | 아다모 타돌리니 |
아래쪽 | ||||||||
# 성 도미니코 | ES | 1170. | 1221.08.06. | # | 8월 8일 | 도미니코회 | 1706. | 피에르 르 그로 |
# 엘리야 | - | - | - | # | 7월 20일 | 가르멜회 | 1727. | 아고스티노 코르나키니 |
3.6. 신랑 바닥에 새겨진 31개 대성당의 길이
대성당의 신랑 바닥에는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부터 미국 뉴욕의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에 이르는 31개 대성당이 길이 순으로 새겨져 있다.순위 | 소재지 | 대성당 | 길이 |
01 | 바티칸 | 성 베드로 대성당(TEMPLVM VATICANVM) | 186.36m |
02 | 영국 런던 | 세인트 폴 대성당(LONDINENSIS・S・PAVLIS・FANVUM・) | 158.10m |
03 | 이탈리아 피렌체 |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FLORENTINA・METROPOLITANA) | 149.28m |
04 | 벨기에 브뤼셀 | 사크레쾨르 대성당(ECCLESIA SS. CORDIS JESV BRVXELLIS) | 140.94m |
05 | 미국 워싱턴 D.C. |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SANCTVARIVM IMMACOLATAE CONCEPT. WASHINGTON.) | 139.14m |
06 | 프랑스 랭스 | 랭스 대성당(ECCLESIA CATHEDRALIS RHEMENSIS) | 138.69m |
07 | 이탈리아 밀라노 | 밀라노 대성당(PRIMARIVM・TEMPLVM・MEDIOLEANENSE) | 134.94m |
08 | 독일 쾰른 | 쾰른 대성당(TEMPLVM・CATHEDRALE・COLONIENSE) | 134.94m |
09 | 독일 슈파이어 | 슈파이어 대성당(ECCLESIAS CATHEDRALIS SPIRENSIS) | 134m |
10 | 이탈리아 볼로냐 | 산 페트로니오 대성당(BASILICA・S・PETRONII・BONONIAE) | 132.54m |
11 | 스페인 세비야 | 세비야 대성당(TEMPLVM・METROP・HISPALEN・SEVILLA) | 132m |
12 | 프랑스 파리 | 노트르담 대성당(BASILICA METROP・B・.M・V・PARISIEN) | 130m |
13 | 이탈리아 로마 |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BASILICA・S・PAVLI・VIA・OSTIENSI) | 127.36m |
14 | 체코 프라하 | 성 비투스 대성당(ECCLESIA CATHEDRALIS S・VITI PRAGAE) | 124m |
15 | 스페인 톨레도 | 톨레도 대성당(PRIMITIALIS ECCLESIA TOLENTANA) | 122m |
16 | 이탈리아 로마 |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S・S・ECCLESIA・LATERANENSIS) | 121.84m |
17 | 미국 LA | 천사들의 모후 대성당(ECCLESIA CATHEDRALIS B.V.M. ANGELORVM) | 120.62m |
18 | 아르헨티나 라플라타 | 라플라타 메트로폴리타나 대성당(ECCLESIA CATHEDRALIS METROPOLITANA PLATENSIS) | 120m |
19 | 멕시코 멕시코시티 | 멕시코시티 메트로폴리타나 대성당(ECCLESIA CATHEDRALIS METROPOLITANA MEXICANA) | 119.55m |
20 | 벨기에 안트베르펀 | 안트베르펀 대성당(ECCLES.CATHED.B.M.V.ANTVERPIENSIS) | 118.60m |
21 | 이탈리아 파도바 | 산타 주스티나 대성당(ECCL・S・IVSTINAE・V・M・PATAVIN) | 118.50m |
22 | 헝가리 에스테르곰 | 에스테르곰 대성당(BASILICA CATHEDRALIS ESZTERGOM) | 118m |
23 | 이탈리아 페라라 | 페라라 대성당(ECCLESIA CATHEDRALIS FERRARIENS.) | 118m |
24 | 이탈리아 아시시 | 천사들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BASILICA ASSISIEN・S・MARIAE ANG・) | 114.76m |
25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세인트 메리 대성당(BASILICA CATHEDRALIS SYDNEYENSIS) | 114.61m |
26 | 브라질 브라질리아 | 메트로폴리타나 대성당(CATH・METROP・ SANCTI PAVLI BRASILIA) | 111.45m |
27 | 영국 런던 | 웨스트민스터 대성당(ECCLESIA CATHEDRALIS WESTMONASTERIENSIS)[19] | 110m |
28 | 터키 이스탄불 | 하기아 소피아(CONSTANTINOPOLITANA DIVAE SOPHIAE ECCLESIA) | 109.57m |
29 | 미국 보스턴 | 홀리 크로스 대성당(CATHEDRALIS SANCTA CRVCIS BOSTONIENSIS) | 109.14m |
30 | 폴란드 그단스크 | 동정녀 마리아 대성당(BASILICA GEDANENSIS BEATISSIMAE VIRGINIS MARIAE) | 103.50m |
31 | 미국 뉴욕 |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ECCLESIA METROPOL・S・PATRITII NEO EBORACEN) | 101.19m |
3.7. 무덤
요한 바오로 2세의 무덤 변천사 | |
BEATVS IOANNES PAVLVS PP.II (2011.5.3.~2014.4.27.) | |
IOANNES PAVLVS PP.II (2005.4.2.~2011.5.3.) | SANCTVS IOANNES PAVLVS PP.II (2014.4.27.~현재) |
3.7.1. 지하 무덤
대성당 지하에는 역대 교황의 무덤이 있는데, 가장번호 | 안장자 | 번호 | 안장자 |
1 | 성 베드로(?-64)# | 3 | 가경자 비오 12세(1876-1958)# |
11 | 비오 6세(1717-1799)# | 14 | 비오 11세(1857-1939)# |
15 | 성 요한 바오로 2세(1920-2005)# | 16 | 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1626-1689)# |
17 | 키프로스 여왕 샤를로트(1444-1487) | 18 | 제임스 스튜어트(1688-1766.1.1) 찰스 스튜어트(1720-1788) 헨리 스튜어트(1725-1807)# |
19 | 베네딕토 15세(1854-1922)# | 20 | 인노첸시오 9세(1519-1591)# |
21 | 인노첸시오 13세(1655-1724)# | 22 | 요한 바오로 1세(1912-1978)# |
23 | 마르첼로 2세(1501-1555)# | 24 | 우르바노 6세(1318-1389)# |
25 | 바오로 6세(1897-1978)# | 27 | 요한 7세(650경-707) |
28 | 비오 3세(1439-1503)# | 29 | 바오로 2세(1417-1471)# |
30 | 하드리아노 4세(1100-1159)# | 31 | 인노첸시오 7세(1336-1406)# |
32 | 니콜라오 5세(1397-1455)# | 33 | 그레고리오 5세(972-999) |
34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2세(955-983)# | 35 | 율리오 3세1487-1555)# |
37 | 니콜라오 3세(1210/1220-1280)# | 38 | 보니파시오 8세(1235-1303)# |
39 | 갈리스토 3세(1378-1458)# |
3.7.2. 교황들의 무덤
대성당 지하 무덤이 아니라 대성당 지상부에 무덤이 있거나 유해가 안치된 교황은 음영표시로 나타냈다(참고). 링크된 석판은 성 베드로 대성당과 성구실을 연결하는 통로에 걸려 있으며, 여기에 새겨진 교황 중 가장 최근에 안장된 사람은 2023년 베네딕토 16세(BENEDICTUS XVI 2023)이며, 2023년 기준으로 교황 37명이 새겨질 공간이 남았다.3.7.3. 고대 성 베드로 대성당과 바티칸 네크로폴리스
교황들의 무덤보다 더 밑으로 내려가면 고대의 대성당의 기단부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 부분은 비오 11세의 무덤을 조성하던 중 발견된 것이다. 여기서 더 밑으로 내려가면 고대 네크로폴리스가 있다. 고대 로마의 명문가(파트리키)들의 무덤이 있던 곳이 시대가 지나면서 빈민층의 무덤으로도 전용되었는데 여기 사도 베드로가 묻히면서 이 위에 고대 베드로 대성당이 세워졌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베드로의 무덤을 제대로 감싸고 나머지 무덤들은 흙으로 덮은 채 이 위에 성당을 지었다. 현재는 발굴 중이다.3.8. 외벽의 벽감에 설치된 성인들의 성상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성상 설치 과정 | |||
설치(2005년 8월 30일) | 축복(2005년 9월 14일) | 성상 세부 |
성 베드로 대성당 내부에 있는 벽감 39개에는 수도회를 설립한 성인들의 성상이 안치되었다. 1706년 성 도미니코부터 시작해 1954년 성녀 루도비카 드 마리약을 끝으로 대성당 내부에는 벽감이 모두 찼다. 이렇듯 만원이 된 내부의 벽감과는 달리 외벽에 있는 벽감 30여 개는 3세기 넘도록 빈 상태였으나, 교황청에서 1999년부터 이곳에도 성상을 안치하였다.
1) 성상의 대상이 된 성인을 교황이 승인할 것
2) 대성당 관리소가 디자인을 감수할 것
3) 석재는 이탈리아 카라라산 대리석을 사용할 것
4) 성상 설치 제안자가 모든 비용을 부담할 것
교황청은 위와 같은 조항들을 설치 조건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한편 2010년에 나온 다른 기사에 따르면 성상 설치에 비용이 약 25만 달러(2010년 기준 약 2억 5천만 원) 이상이 필요하다고 한다. 대성당의 외벽에는 아직까지도 빈 벽감이 많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성상이 설치될 때마다 이 문서에 관련 정보가 추가될 예정이다.
3.8.1. 요한 바오로 2세 때 축복
성인 | 출신 | 신분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성상 | 성상 축복일 | 조각가 |
<colbgcolor=#DDF1B2>스웨덴의 비르지타 | 과부·설립자 | 1303. | 1373.07.23. | # | <colbgcolor=#fff> 07.23. | # | 1993.11.13. | ||
시에나의 카타리나 | 수녀·교회학자 | 1347.03.25. | 1380.04.29. | # | 04.29. | # | 2000.10.28. | 에릭 아만 | |
마르첼리노 샴파냐 | 사제·설립자 | 1789.05.20. | 1840.06.07. | # | 06.06. | # | 2001.09.20. | 호르헤 히메네스 마르티네스 | |
예수 성심의 마리아 요세파 | 수녀원장·설립자 | 1842.09.07. | 1912.03.20. | # | 03.20. | # | 2002.05.18. | 로마노 코시 | |
마리아 솔레다드 | 수녀원장·설립자 | 1826.12.02. | 1887.10.11. | # | 10.11. | # | 2002.11.13. | ||
로스 안데스의 데레사 | 수녀 | 1900.07.13. | 1920.04.12. | # | 07.13. | # | 2004.10.06. | 후안 에두아르도 페르난데스 콕스 | |
예수 요르넷 이바르스의 데레사 | 수녀·설립자 | 1843.01.09. | 1897.08.26. | # | 08.26. | # | 2004.10.20. | 알레산드로 로마노 | |
아르메니아의 그레고리오 | 주교·증거자 | 257. | 331. | # | 06.09.[28] 09.30.[29] | # | 2005.01.19. | 가치크 카잔드장 |
3.8.2. 베네딕토 16세 때 축복
성인 | 출신 | 신분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성상 | 성상 축복일 | 조각가 |
<colbgcolor=#DDF1B2>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 사제·설립자 | 1902.01.09. | 1975.06.26. | # | <colbgcolor=#fff> 06.26. | # | 2005.09.14. | 로마노 코시 | |
마리아나 데 파레데스 | 동정녀·은수자 | 1618.10.31. | 1645.05.26. | # | 05.26. | # | 2005.10.19. | 마리오 타피아 | |
제노베바 토레스 모랄레스 | 수녀원장·설립자 | 1870.01.03. | 1956.01.05. | # | 01.05. | # | 2006.10.04. | 알레산드로 로마노 | |
십자가의 데레사 베네딕타 | 수녀·철학자·순교자 | 1891.10.12. | 1942.08.09. | # | 08.09. | # | 2006.10.11. | 파울 나겔 | |
호세 마냐네트 이 비베스 | 사제·설립자 | 1833.01.07. | 1901.12.17. | # | 08.26. | # | 2007.05.23. | 알레산드로 로마노 | |
요한 레오나르디 | 사제·설립자 | 1541. | 1609.10.09. | # | 10.09. | # | 2008.04.30. | 파올로 카발로 | |
루이지 오리오네 | 사제·설립자 | 1872.06.23. | 1940.03.12. | # | 03.12. | # | 2008.06.25. | 알레산드로 로마노 | |
라파엘라 마리아 포라스 | 수녀·설립자 | 1850.03.01. | 1925.01.06. | # | 01.06. | # | 2010.01.21. | 마르코 아우구스토 두에냐스 | |
안니발레 마리아 디 프란차 | 사제·설립자 | 1851.07.05. | 1927.06.01. | # | 06.01. | # | 2010.07.07. | 주세페 두크로 | |
마론 | 수도원장 | ? | 410. | # | 02.09. | # | 2011.02.23. | 마르코 아우구스토 두에냐스 |
3.8.3. 프란치스코 때 축복
성인 | 출신 | 신분 | 출생 | 사망 | 생애 | 축일 | 성상 | 성상 축복일 | 조각가 |
<colbgcolor=#DDF1B2>김대건 안드레아 | 사제·순교자 | 1821.08.21. | 1846.09.16. | # | <colbgcolor=#fff> 07.05. | # | 2023.09.16. | 한진섭 요셉 |
4. 인접 건물
4.1. 시스티나 경당
외부 전경, 내부 전경교황을 선출하는 선거인 콘클라베가 열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문서 참조 바람.
4.2. 사도 궁전
공중에서 본 전경, 성 베드로 광장에서 본 전경아비뇽 유수 이후 현재까지 600년 넘게 교황의 거처로 사용된 궁전으로, 바티칸 궁전 또는 교황궁전이라고도 불린다. 2013년에 선출된 프란치스코가 교황청 내부의 성녀 마르타 호텔(게스트 하우스)에 머물면서 2018년 기준으로는 교황이 거주하지 않는다. 물론 외교 사절 접견, 삼종기도 때 광장에 모인 군중에게 강복하는 것과 같은 공식 업무는 사도 궁전에서 수행한다. 문서 참조 바람.
4.3. 바티칸 미술관
역대 교황들이 오랜 세월 동안 수집한 방대한 소장품과 여러 차례에 걸친 증개축을 통해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세계적인 미술관이다. 성 베드로 대성당의 신축 공사가 시작된 해인 1506년에 바티칸 미술관도 그 역사가 함께 시작되어 5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졌다. 문서 참조 바람.4.4. 제의방 및 성물실
제의방 및 성물실(Sacristy and Treasury Museum)은 성당 남쪽에 붙어있는 건물이다. 카를로 마르키오니(Carlo Marchionni)가 설계하였다. 성당의 거짓 제대 주변에 이곳으로 통하는 입구가 있다. 성물이나 보물 등을 보관하고 미사 전 교황과 성직자들, 전례봉사자들이 제의로 갈아입는 건물이다. 작은 건물이지만 성 베드로 대성당의 양식을 따라 설계되었다.4.5. 독일인 묘지
독일어 : Campo Santo Teutonico이탈리아어 : Cimitero Teutonico
영어 : Teutonic Cemetery
공중에서 본 전경, 묘지 세부
성 베드로 대성당과 바오로 6세 알현실 사이에 있는 건물이다. 8세기 후반 카롤루스 대제의 후원을 받아 지금의 자리에 교육기관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늘날과 같은 모습은 15세기 중반 무렵에 완성되었다. 19세기 후반 이곳에 교회사와 그리스도교 고고학을 연구하는 교육기관 '콜레지오 테우토니코(Collegio Teutonico)'가 설립되었고 이에 따라 학원에 부속된 기숙사와 도서관이 추가되었다. 독일어권 사람들의 무덤으로, 성당 내부에는 사코 디 로마 때 전사한 스위스 근위대가 매장되었다.
그리스도인들이 박해받아 순교한 네로 황제의 전차경기장 자리 위에 세워졌다는 점, 성 베드로 대성당 바로 옆에 있다는 점 때문에 독일인 묘지(Campo Santo Teutonico)에 매장되고자 하는 사람은 많지만 이를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 피장자가 대신심회(Archconfraternity) 소속이거나, 독일에 기원을 둔 수도회 소속이거나, 로마에 있는 독일인 대학 '폰티피치오 콜레지오 테우토니코 디 산타 마리아 델 아니마(Pontificio Collegio Teutonico di S. Maria dell’ Anima)' 또는 '콜레지오 테우토니코 델 캄포 산토(Collegio Teutonico del Campo Santo)' 소속이어야 매장 자격이 주어진다. 이 때문에 종교, 정치, 외교, 예술 등 분야의 거물급 인사들이 주로 안장되었는데 2015년 교황 프란치스코가 바티칸에서 사망한 벨기에 출신 노숙자를 여기에 매장하도록 허락함에 따라 한 세기 넘게 이어진 전통을 깼다.
4.6. 바오로 6세 알현실
이탈리아어 : Aula Paolo VI영어 : Paul VI Audience Hall
외부 전경, 알현실 내부
1971년 이탈리아의 건축가 피에르 루이지 네르비(Pier Luigi Nervi)가 설계한 건물로 63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다. 건물이 차지하는 영역은 바티칸과 이탈리아 양국에 걸쳐 있다. 건물의 이름은 바오로 6세의 교황명을 따서 붙였다. 알현실 바로 옆에는 캄포 산토 학원이 붙었다.
성 베드로 광장 이외에 교황이 일반 알현을 하는 공간으로, 알현실 내부에 있는 <그리스도의 부활(La Resurrezione)>이라는 대형 조각 작품이 유명하다. 이 작품은 1965년 발주되어 이탈리아의 조각가 페리클레 파치니(Pericle Fazzini)가 1977년에 황동과 청동을 이용해 완성하였으며, 냉전 시대 핵전쟁의 위협 아래 살고있는 인류의 고통을 표현하였다.
2007년 5월 25일 알현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독일 기업 솔라월드(SolarWorld)가 태양광발전용 전지판 2,400장을 기증해 알현실 지붕에 설치했고, 2008년 11월 26일부터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4.7. 성녀 마르타 호텔
라틴어 : Domus Sanctae Marthae이탈리아어 : Casa di Santa Marta
영어 : Saint Martha's House
공중에서 본 전경, 호텔 입구
1996년 성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기존의 순례자 숙소 자리에 세워진 건물이다. 투숙객은 고위 성직자, 콘클라베에 참석하는 추기경 등으로 제한된다. 2013년 콘클라베에 참석했던 아르헨티나 출신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료 추기경이 교황으로 선출된 후에도 거처를 사도 궁전으로 옮기지 않고 성녀 마르타 호텔에서 머물 것이라고 2013년 바티칸이 발표한 후 줄곧 거주해 청빈과 검소를 지향하는 교황의 행보가 주목받았다. 이후 매일 호텔의 부속 경당에서 교황이 미사를 집전하고 있으며, 매일의 강론이 바티칸 뉴스를 통해 방송된다.
[1] 도메니코 폰타나와는 다른 인물. 도메니코 폰타나는 마데르노의 분수가 완성된 1613년에는 이미 사망한 뒤였다(1607년 사망).[2] 예수 그리스도가 못 박힌 십자가.[3] 이 구절은 13세기 초, 프란치스코회의 초기 인물인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가 만든 기도문을 살짝 바꾼 것이다. 성 안토니오의 원문에서는 ecce crucem Domini (주님의 십자가를 보라)라고 했지만, 여기서는 ecce crux Domini (보라, 주님의 십자가로다)라고 했다. 오벨리스크 꼭대기에 성 십자가 보목이 있기 때문에 구절을 약간 바꾸었을 것이다. 성 안토니오가 만든 기도문은 가톨릭 엑소시즘에서도 십자가를 내보이며 읊는 구절로도 사용한다.[4] 성 요한 23세가 선출된 1958년 콘클라베 때 젖은 짚이 제대로 연소되지 않으면서 이런 사태가 실제로 벌어졌다.[5] '작은 배'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단어지만, 예수가 물 위를 걸을 때 이를 의심했던 베드로가 물에 빠지는 장면(마태 14:24-32)을 묘사한 조토의 모자이크화가 워낙 유명해 나비첼라라고 하면 보통 이 작품을 가리킨다.[6] 리베리오(36대), 실베스테르 1세(33대), 멜키아데(32대), 리노(2대), 클레토(=아나클레토), 클레멘스 1세(4대), 아나클레토(3대), 에바리스토(5대), 알렉산데르 1세(6대), 식스토 1세(7대), 텔레스포로(8대), 히지노(9대), 비오 1세(10대), 아니체토(11대), 소테르(12대), 엘레우테리오(13대), 빅토르 1세(14대), 제피리노(15대), 레오 1세(45대), 바오로 1세(93대), 다마소 1세(37대), 그레고리오 1세(64대), 갈리스토 1세(16대), 우르바노 1세(17대), 폰시아노(18대), 안테로(19대), 파비아노(20대), 고르넬리오(21대), 루치오 1세(22대), 디오니시오(25대), 펠릭스 1세(26대), 에우티키아노(27대), 카이오(28대), 마르첼리노(29대), 마르첼로 1세(30대), 에우세비오(31대), 마르코(34대), 율리오 1세(35대).[7] 요한 23세 때인 1961년 클레토와 아나클레토를 동일인물로 보아 축일을 하나로 통합하기 이전까지는 두 사람을 다른 인물로 파악했기 때문에 이곳에는 클레토와 아나클레토의 성상이 각각 놓여졌다.[8] 1688-1766. 명예 혁명 이후 자코바이트는 그를 영국의 정당한 왕위계승권자라고 주장했으나, 결국 왕위에는 오르지 못했다. 그래서 별칭이 '늙은 왕위 요구자'(Old Pretender)였다.[9] 청빈과 함께, 가톨릭의 성직자와 수도자가 성품성사/수도서원 때 서약하는 덕목. 이 청빈, 정결, 순명을 '복음삼덕(福音三德)'이라 한다. 단 정결과 순명은 성직자와 수도자뿐 아니라, 모든 가톨릭 신자가 지켜야 할 사항이다. 가톨릭 신자들은 부부관계를 벗어난 혼외 성행위, 자위행위, 음란물 이용 등의 성적 음행을 하지 말아야 하며,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에 순명해야 한다.[10] 해당 나선형 기둥 8개는 현재 성녀 베로니카, 성녀 헬레나, 성 론지노, 성 안드레아의 성상이 모셔진 벽감 위쪽에 각각 2개씩 놓였다. 이 기둥을 두고 중세 때 예루살렘 성전에서 가져왔다는 전설이 전하지만, 실제로는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증한 것이었다.[11]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성유물로 봉안되었다가 357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의 명령으로 그리스 파트라이로 옮겨졌다. 오스만 제국이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키자 콘스탄티노스 11세 황제의 동생이자 모레아의 전제군주였던 토마스 팔라이올로고스는 1461년 로마로 망명하면서 두개골을 챙겨 비오 2세에게 선사했다. 그때부터 줄곧 성 베드로 대성당에 모셨던 두개골은 1964년 바오로 6세가 정교회와의 공존과 화해를 위해 그리스 파트라이로 반환해 500년 만에 원 위치로 돌아갔다.[12] 여기서 유래된 말이 a doubting Thomas이다.[13] 과거 지중해를 항해하던 선원들은 폭풍우가 칠 때 마스트 꼭대기에서 반짝거리는 불꽃을 보고 '성 에라스모의 불'이라고 불렀는데, 여기에 나오는 성 에라스모가 바로 이 사람이다.[14] Servus servorum Dei.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스스로를 '세계 총대주교'라고 지칭했을 때 그레고리오 1세가 사용한 칭호. 교황에게 덧붙여지는 여러 가지 칭호들 가운데서 후대의 교황들이 자주 애용했다.[15] 사람들이 예루살렘 성전 앞 미문(美門)에 갖다놔 구걸하던 불구자가 있었는데, 이 사람이 성전에 들어가려는 베드로와 사도 요한에게 구걸하였다. 베드로가 "나는 은도 금도 없습니다. 그러나 내가 가진 것을 당신에게 주겠습니다. 나자렛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말합니다. 일어나 걸으시오." 하고 말하며 일으키자 그가 자리에서 일어나 걷고 뛰며 성전으로 들어가 하느님을 찬미했다고 한다.[16]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을 방문한 말시오르 드 폴리냑 추기경, 조반니 파올로 판니니, 1754년 이후, 캔버스에 유채, 150 x 225cm,
프랑스 파리 루브르 미술관[17]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 필리포 델라 발레, 1754년, 대리석,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18] 십자가의 요한과 함께 가르멜 수도회를 개혁한 수도자. 소화(小花) 데레사 성녀와 구분하여 '대(大) 데레사'라고도 한다.[19] 웨스트민스터 사원 문서에도 적혀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것은 'Westminster Cathedral'로 웨스트민스터 대성당과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은 지하철로 두 정거장 떨어져 있다.[20] 요한 바오로 2세의 유해는 시복을 기념해 2011년 5월 3일 지하에서 올라와 대성당 내부의 성 세바스티아노 경당으로 이장되었다.[21] 산타 마리아 인 아라코엘리 성당(Basilica di Santa Maria in Aracoeli)으로 이장.[22] 산 살바토레 인 라우로 성당(Chiesa di San Salvatore in Lauro)으로 이장.[23] 산타 마리아 인 몬세라토 델리 스파뇰리 성당(Chiesa di Santa Maria in Monserrato degli Spagnoli)으로 이장.[24]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Basilica di San Pietro in Vincoli)으로 이장.[25] 산타 마리아 인 몬세라토 델리 스파뇰리 성당으로 이장.[26] 산탄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Basilica di Sant'Andrea della Valle)으로 이장.[27]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으로 이장.[28]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29] 정교회, 가톨릭
프랑스 파리 루브르 미술관[17]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 필리포 델라 발레, 1754년, 대리석,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18] 십자가의 요한과 함께 가르멜 수도회를 개혁한 수도자. 소화(小花) 데레사 성녀와 구분하여 '대(大) 데레사'라고도 한다.[19] 웨스트민스터 사원 문서에도 적혀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것은 'Westminster Cathedral'로 웨스트민스터 대성당과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은 지하철로 두 정거장 떨어져 있다.[20] 요한 바오로 2세의 유해는 시복을 기념해 2011년 5월 3일 지하에서 올라와 대성당 내부의 성 세바스티아노 경당으로 이장되었다.[21] 산타 마리아 인 아라코엘리 성당(Basilica di Santa Maria in Aracoeli)으로 이장.[22] 산 살바토레 인 라우로 성당(Chiesa di San Salvatore in Lauro)으로 이장.[23] 산타 마리아 인 몬세라토 델리 스파뇰리 성당(Chiesa di Santa Maria in Monserrato degli Spagnoli)으로 이장.[24]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Basilica di San Pietro in Vincoli)으로 이장.[25] 산타 마리아 인 몬세라토 델리 스파뇰리 성당으로 이장.[26] 산탄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Basilica di Sant'Andrea della Valle)으로 이장.[27]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으로 이장.[28]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29] 정교회, 가톨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