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0대 자동차 그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4년 상반기 그룹사별 판매량 순위 | |||
순위 | 국적 | 그룹사명 | 판매량 | |
1위 | [[일본| 일본]] | 토요타 그룹 | 500만 대 | |
2위 | [[독일| 독일]] | 폭스바겐 그룹 | 415만 대 | |
3위 | [[대한민국| 대한민국]] | 현대자동차그룹 | 370만 대 | |
4위 | [[네덜란드| 네덜란드]] |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 320만 대 | |
5위 | [[네덜란드| 네덜란드]] | 스텔란티스 | 308만 대 | |
6위 | [[미국| 미국]] | 제너럴 모터스 | 270만 대 | |
7위 | [[미국| 미국]] | 포드 | 193만 대 | |
8위 | [[일본| 일본]] | 혼다 | 191만 대 | |
9위 | [[일본| 일본]] | 스즈키 | 161만 대 | |
10위 | [[중국| 중국]] | BYD | 142만 대 | |
출처: # | ||||
틀:세계 10대 자동차 브랜드 | 틀:세계 10대 최다 판매 자동차 |
세계 주요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efefe,#202020><tablewidth=100%> | ||
CATL | BYD | LG에너지솔루션 | |
파나소닉 | SK온 | 삼성SDI |
<colbgcolor=#e91b21><colcolor=#fff> 비야디 比亚迪 | BYD Company Ltd[1] | |
설립 | 1995년 2월 10일 ([age(1995-02-10)]주년) |
국가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경영진 | CEO 왕촨푸[2] |
이사회 | 의장 왕촨푸 |
상장 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1211) 선전증권거래소 (002594) |
시가 총액 | 5,732억 위안 (2024년 1월) |
부채 | 4,822억 위안 (2023년 9월) |
자본 | 1,411억 위안 (2023년 9월) |
판매차량 | 302만대 (2023년 연결 / 9위) |
매출 | 4,241억 위안 (2022년 연결) |
순이익 | 166억 위안 (2022년 연결) |
고용 인원 | 약 570,000명 (2022년 연결) |
자회사 | BYD Auto BYD Electronic BYD Semiconductor BYD Transit Solutions FinDreams |
본사 | 중국 광둥성 선전시 핑산구 비야디루 3009 中国广东省深圳市坪山区比亚迪路3009号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BYD는 중국의 기업집단이다. 전기자동차를 비롯하여 이차 전지, 태양광 패널, ESS 등을 생산하고 있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BYD Electronic을 통해 전자제품 OEM 및 ODM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3]이차 전지 시장에서 2023년부터 CATL에 이어 세계 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자사 전기자동차 판매량이 급격하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
2. 역사
역대 로고 | |||
<rowcolor=#ffffff> 2003년 ~ 2005년 | 2005년 ~ 2022년 | 2022년 ~ 현재 | 2022년 ~ 현재 |
중국에서 이동통신이 활성화됨에 따라 휴대폰용 배터리를 제조하며 급격히 성장했으며, 중국을 넘어서 일본 산요전기와 소니에 배터리를 공급했다. 2002년 니켈 - 카드뮴 배터리 점유율 과반 이상을 차지하며 1위 입지를 공고히 했다.
2002년 7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찰리 멍거 주도 하에 버크셔 해서웨이가 자회사 MidAmerican Energy의 자금으로 2008년 2억 2,500만 주를 매입했다.[4]
2010년 무렵에는 각각 니켈 - 수소와 리튬 방식에서 점유율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해 상당한 수혜를 입었다.
중국의 THAAD 보복으로 2016년 가을부터 중국의 자동차 업계들이 한국산이나 한국계 업체의 배터리를 쓰지 않음에 따라 중국 배터리 업체의 약진이 이어지고 있다.
2022년부터 버크셔가 지분을 거듭 매도하기 시작하여 2023년 2분기 기준으로는 8%의 지분만을 남겨두고 있다.[5]
2024년 1월 15일 브라질의 리튬 생산업체 시그마 리튬과의 공급계약 및 합작법인 설립 혹은 인수합병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3. 사업 분야
3.1. 이차 전지
모태 사업이 이차 전지이며, 2010년대에는 스마트폰 등 중소형 배터리 제조로 유명했다. 2010년 중반에 출시된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까보면 삼성SDI가 아니라 BYD가 나오는 경우도 흔했다.왕촨푸 회장이 회사를 방문한 중국 관료가 배터리로 인한 환경오염을 의심하자 그 자리에서 전해질 용액을 원샷하고 "맛은 없다"고 말한 일화가 유명하다.
2020년대 들어 BYD의 자동차 산업이 빠른 속도로 커지면서 전기차 배터리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2023년 상반기 기준 15%대의 점유율로 LG에너지솔루션을 제치고, CATL에 이은 업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3.2. 전기자동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91b21><tablealign=center><tablebgcolor=#e91b21> | }}} | |||
BYD Auto | 덴자 | 양왕 |
4.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1] 다펑 신지구에 위치한 도로명 야디(Yadi)의 중국 병음 비야디(Biyadi)의 머릿글자 BYD로 지어졌으나, 이후 상표명의 의미를 Build Your Dreams의 약자로 변경했다.[2] 王传福, Wang Chuanfu[3] 2007년 동종업계 경쟁사인 Foxconn으로부터 자사 직원 헤드헌팅을 통한 특허침해로 고소를 먹기도 했다.[4] 이후 꾸준히 지분을 늘리며 2022년 기준 25% 수준까지 도달했다.[5] 일부 혐중 커뮤니티에서 버크셔의 매각 건을 두고 워렌 버핏이 BYD의 장래성에 회의적이라서 매각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미 10년 넘게 보유하고 있다가 목표 수익을 초과한 2,000~3,500%의 수익을 실현하고 매각한 것이기 때문에 투자자로서 상식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BYD의 장래성과는 무관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