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9 01:06:49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축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외국인 선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리그/외국인 선수
,
,
,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존에 분류되어 있던 국가에서 이중 국적/복수 국적자를 모두 복수 국적자 문단을 만들어 이동한다. }}}}}}}}}

1. 개요2. 아시아(AFC)3. 아프리카(CAF)4. 유럽(UEFA)5. 북아메리카(CONCACAF)6. 남아메리카(CONMEBOL)7. 오세아니아(OFC)8. 복수 국적

[clearfix]

1. 개요

K리그1K리그2에서 활동한 역대 외국인 선수를 국적별로 정리해 놓은 문서다. 현역 K리그 선수는 이름을 굵게 표시했으며 사망이 확인된 선수는 이름 앞에 †를 표시했다. 필요시 등록명은 본명과 역대 소속 구단의 가운데에 쓴다. 역대 외국인 선수를 시즌별로 정리한 내용은 K리그/시즌별 외국인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아시아(AFC)[1]

2.1. 대만

2.2. 레바논

2.3. 말레이시아

2.4. 베트남

2.5. 북한조선적[3]

2.6. 사우디아라비아

2.7. 시리아

2.8. 우즈베키스탄

2.9. 이라크

2.10. 이란

2.11. 인도네시아

2.12. 일본

2.13. 중국

2.14. 타지키스탄

2.15. 태국

2.16. 호주

3. 아프리카(CAF)

3.1. 가나

3.2. 기니

3.3. 기니비사우

3.4. 나이지리아

3.5. 남아프리카 공화국

3.6. 말리

3.7. 모리셔스

3.8. 세네갈

3.9. 시에라리온

3.10. 이집트

3.11. 카메룬

3.12. 코트디부아르

3.13. 콩고민주공화국

3.14. 토고

3.15. 튀니지

4. 유럽(UEFA)

4.1. 네덜란드

4.2. 노르웨이

4.3. 덴마크

4.4. 독일

4.5. 라트비아

4.6. 러시아

4.7. 루마니아

4.8. 리투아니아

4.9. 몬테네그로

4.10. 몰도바

4.11.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4.12. 벨라루스

4.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4.14. 북마케도니아

4.15. 북아일랜드

4.16. 불가리아

4.17. 세르비아

4.18. 스웨덴

4.19. 스페인

4.20. 슬로바키아

4.21. 슬로베니아

4.22. 아르메니아

4.23. 아제르바이잔

4.24. 알바니아

4.25. 에스토니아

4.26. 우크라이나

4.27. 잉글랜드

4.28. 오스트리아

4.29. 조지아

4.30. 체코

4.31. 크로아티아

4.32. 코소보

4.33. 키프로스

4.34. 튀르키예

4.35. 포르투갈

4.36. 폴란드

4.37. 프랑스

4.38. 핀란드

4.39. 헝가리

5. 북아메리카(CONCACAF)

5.1. 파일:마르티니크 기.svg 마르티니크

5.2. 멕시코

5.3. 미국

5.4. 자메이카

5.5. 캐나다

5.6. 코스타리카

5.7. 트리니다드 토바고

5.8. 파나마

6. 남아메리카(CONMEBOL)

6.1. 베네수엘라

6.2. 볼리비아

6.3. 브라질

6.4. 아르헨티나

6.5. 에콰도르

6.6. 우루과이

6.7. 칠레

6.8. 콜롬비아

6.9. 파라과이

7. 오세아니아(OFC)


8. 복수 국적



[1] 2009년 아시아 쿼터제를 도입한 이후 AFC에 가입한 국가의 외국인 선수는 기존 외국인 쿼터뿐만 아니라 아시아 쿼터를 사용해 외국인 선수로 등록할 수 있다.[2] 제주 태생의 화교로서 대한민국대만의 이중 국적이다.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택했지만, 일상 언어는 한국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내국인으로 봐도 무방하다.[3] K리그에서 북한 및 조선적 출신 축구 선수는 외국인 쿼터 선수 제한에 포함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도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북한 사람도 대한민국 시민권자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아시아 쿼터로 간주되었다가 이제는 외국인 쿼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외국인 선수 문서에 있지만 외국인 선수는 아닌 것이며 단지 여기에서는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및 각급 북한 대표로 뛰었던 선수를 편의상 따로 분류한 것의 일종에 지나지 않는다.[4] 2018년에는 등록명이 뚜르스노프였으나, 2019년에는 구단직원의 실수로 산자르로 변경했다.[5]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이라크, 협회등록 국적은 호주이다.[6]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이라크, 협회등록 국적은 스웨덴이다.[7] 재일교포 3세로 일본국적. 한국명 강일성[8] 아버지가 아일랜드인. 2005년 J리그 신인왕.[9] 서울 이랜드로 이적하면서 형인 아츠키와 같이 뛰기 때문에 혼동을 방지하고자 이름인 토모키로 바꿨다.[10] 전북 시절 등록명.[11] 2016시즌에는 난송, 18시즌 부터는 등록명을 남송으로 변경했다.[12] 2000년 대한민국 국적 취득. 이후 신의손으로 등록명 변경.[13]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기니비사우, 협회등록 국적은 프랑스이다.[14]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기니비사우, 협회등록 국적은 포르투갈이다.[15]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협회등록 국적은 네덜란드이다.[16] 통칭 Nicolas Noudjeu로 활동했다. 99년 세군다에 있던 CD 로그로녜스 출신이다.[17] 카메룬 국가대표 공격수 출신[18]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콩고민주공화국, 협회등록 국적은 벨기에이다.[19]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콩고민주공화국, 협회등록 국적은 프랑스이다.[20] 2003년 대한민국 국적 취득. 이후 이성남으로 등록명을 변경했다가 2006년 수원 이적 이후 다시 데니스라는 등록명 사용.[21] 참고로 연맹에는 Archire(아르레)으로 기록되어 있다...[22] 1년간 32경기 42실점을 기록했다. 외국인 골키퍼 제한에 엄청난 불만을 드러내며 한국을 떴다. 자신은 유고에 유명한 선수를 많이 안다면서 이적에 큰 자신감을 보이기도.[23] 광주 FC 소속 당시 복이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수원 FC 이적 이후 보그단으로 등록명 변경. 여담으로 역대 K리거 중 최장신이다.[24]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몬테네그로, 협회등록 국적은 스웨덴이다.[25] 영입 당시[26]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세르비아이다.[27]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세르비아이다.[28]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크로아티아이다.[29] 인천 유나이티드 소속 당시 바조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강원 FC 이적 이후 바제로 등록명 변경.[30] 2005년 대한민국 국적을 얻었지만 그해 9월 포기했다.[31] 전북 현대 모터스 소속 당시 알렉스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전남 드래곤즈 이적 이후 알렉산더로 등록명 변경.[32]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세르비아, 협회등록 국적은 크로아티아이다.[33]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아제르바이잔, 협회등록 국적은 우크라이나이다.[34] 2004년 대한민국 국적 취득. 이후 이싸빅으로 등록명 변경.[35]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크로아티아, 협회등록 국적은 독일이다.[36]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마르티니크, 협회등록 국적은 프랑스이다.[37] 재미교포. 한국명 유지영[38] http://news.joins.com/article/1984413[39] 현재 연맹에는 베리발두로 기록되어 있으나 당시 등록명도 페리발두였음[40] 당초 산드로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전남 드래곤즈 이적 이후 같은 팀에 동명의 선수가 있었던 관계로 구분을 위해 산드로C로 등록명 변경.[41]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당시 에니오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대구 FC 이적 이후 에닝요로 등록명 변경.[42] 울산 현대 호랑이 소속 당시 카르로스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 이적 이후 제칼로로 등록명 변경.[43] 전북 현대 소속 당시 루이스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포항 스틸러스 이적 이후 고메즈로 등록명 변경.[44] 일본계 3세[45]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었던 파비우와 동명이인.[46] 2021년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47] 폴란드계[48]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당시 호세모따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부산 아이파크 이적 이후 모따로 등록명 변경.[49] 대전 시티즌 소속 당시 박은호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FC 안양 이적 이후 바그너로 등록명 변경.[50] 전남 시절에는 플라비오, 대전 시절에는 루시오를 사용했다.[51] 일본계 2세.[52] 브라질 태생의 브라질인이나 조상이 시리아인이라 시리아 여권도 받았다며 시리아 국적으로 등록해 아시아 쿼터 혜택을 누렸지만 가짜로 드러나 추방되었다.[53] 2015시즌에는 국적을 브라질로, 2016~2017 시즌에는 국적을 시리아로 등록했다.[54] 영입당시 팔레스타인 국적으로 등록했으나 2018년부터 브라질 국적으로 등록[55] 경남시절에서는 등록명을 프랭크 안산에서는 파우벨을 사용한다[56] 등록명을 광주에서는 완델손, 전남에서는 마쎄도를 썼다.[57] 2019년 여름 방출 후 2020년 겨울 재계약[58] 등록명을 2018년에는 안토니오 2021년에는 파투를 썼다.[59] 전북 시절 등록명[60]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포르투갈이다.[61]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라트비아, 협회등록 국적은 러시아이다.[62]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타지키스탄, 협회등록 국적은 우크라이나이다.[63]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벨기에, 협회등록 국적은 브라질이다.[64]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크로아티아이다.[65]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크로아티아이다.[66]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포르투갈이다.[67]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포르투갈이다.[68]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아르헨티나, 협회등록 국적은 브라질이다.[69]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아르헨티나, 협회등록 국적은 스페인이다.[70]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나이지리아, 협회등록 국적은 프랑스이다.[71]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이탈리아이다.[72]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가나, 협회등록 국적은 잉글랜드이다.[73] 대전 시절에는 디오고, 강원 시절에는 산토스를 사용했다.[74]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동티모르이다.[75] 2017년 3월 22일 AFC에서 11명의 브라질 축구 선수들이 동티모르 국적을 부정취득 하여 동티모르 국적을 박탈시켰다.[76]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시리아이다.[77] 2015시즌에는 국적을 브라질로, 2016시즌에는 국적을 시리아로 등록했다.[78]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이탈리아이다.[79]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니제르, 협회등록 국적은 프랑스이다.[80]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크로아티아이다.[81]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브라질, 협회등록 국적은 동티모르이다.[82] 2017년 3월 22일 AFC에서 11명의 브라질 축구 선수들이 동티모르 국적을 부정취득 하여 동티모르 국적을 박탈시켰다.[83]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뉴질랜드, 협회등록 국적은 호주이다.[84]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미국, 협회등록 국적은 노르웨이이다.[85]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러시아, 협회등록 국적은 독일이다.[86]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가나, 협회등록 국적은 이탈리아이다.[87]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감비아, 협회등록 국적은 스웨덴이다.[88]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우루과이, 협회등록 국적은 스페인이다.[89]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크로아티아이다.[90]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우크라이나, 협회등록 국적은 불가리아이다.[91]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협회등록 국적은 크로아티아이다.[92] 대중적으로 알려진 국적은 나이지리아, 협회등록 국적은 스웨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