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서역 (스타필드수원) | |||||
광운대 방면 성균관대 ← 2.6 ㎞ | 1호선 (P154) | 서동탄·신창 방면 수 원 2.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B08정거장[1] | ||||
SB07정거장 ← 2.2 ㎞ | 신분당선 건설 중 | 구운 정거장 1.5 ㎞ → | }}}}}}}}}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화서 Hwaseo 華西 / 华西 / [ruby(華西, ruby=ファソ)] | ||||
1호선 | |||||
주소 |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692 (화서동 464)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수원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
경부선 | 1974년 8월 15일 | |
1호선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승강장 구조 | ||
3면 4선 쌍상대식 승강장[2]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성균관대 ← 2.6 ㎞ | 경부선 화 서 | 부산 방면 수 원 2.1 ㎞ → |
[clearfix]
1. 개요
현 역사(1974년 준공) |
1974년 수도권전철 개통과 함께 영업개시
화서역은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경부선 철도역으로 1973년 역사 착공에 이어 1974년 8월 수도권전철이 개통하며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1981년 경부선 서울-수원간 복복선이 개통하며 승강장을 한차례 이전하였으며 1989년 4월 역사를 개축하였다. 당시 역사는 109㎡ 규모의 116㎡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상 2층 건물로, 3개의 여객 승강장 고상홈이 있었다. 이후 1997년 무배치간이역[3]으로 격하되어 오늘에 이른다. 승강장과 철로 사이에 화단이 단정하게 조성되어 있고, 봄이면 활짝 핀 철쭉꽃이 매력적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P154번.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692 (화서동 464) 소재.화서역은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경부선 철도역으로 1973년 역사 착공에 이어 1974년 8월 수도권전철이 개통하며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1981년 경부선 서울-수원간 복복선이 개통하며 승강장을 한차례 이전하였으며 1989년 4월 역사를 개축하였다. 당시 역사는 109㎡ 규모의 116㎡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상 2층 건물로, 3개의 여객 승강장 고상홈이 있었다. 이후 1997년 무배치간이역[3]으로 격하되어 오늘에 이른다. 승강장과 철로 사이에 화단이 단정하게 조성되어 있고, 봄이면 활짝 핀 철쭉꽃이 매력적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맞이방 |
평소에는 한가한 역으로 보이지만, 출퇴근시간 및 주말에는 호매실지구와 정자지구같은 택지지구에 사는 주민들이 많이 이용해 역이 붐빈다.
오래된 벽돌 모양의 가장 바깥 승강장의 벽면과 조화가 잘 되어 있다. 역사가 승강장 북편 끝에 있어 각각 10번 칸(하행 기준), 1번 칸(상행 기준)에 내리면 편리한 이용을 할 수 있다.
선상역사로, 원래 승강장으로 들어가려면 반드시 계단을 올라가 2층에 있는 대합실을 거쳐서 이용해야 했는데, 2010년 7월 31일부로 수원역 방면 하선 승강장에 바로타 형식으로 게이트가 추가되었고, 얼마 후 성균관대역 방면 상선 승강장도 1층에 게이트가 추가되었다. 원래 화서역에 부본선 노반이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1번 출구 방면은 하행선 승강장으로, 2번 출구 방면은 상행선 승강장으로 바로 연결된다. 단, 1~4번(舊 1번) 출구 쪽에서 상행선 승강장을 가거나, 5~6번(舊 2번) 출구 쪽에서 하행선 승강장을 갈 경우에는 계단을 올라가 2층 대합실을 거쳐 가야 한다. 대합실 대신 화산지하차도 쪽 보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역에는 현재에는 쓰이지 않고 화단으로 쓰이는 섬식 승강장이 있다.[4] 이 승강장이 있는 이유는 경부선 1호선 전철의 변천사까지 올라가야 한다. 현재는 경부선이 2복선이지만, 1974년 8월 15일 개통 당시에는 복선만 있었고, 일반열차와 전동차가 선로를 공유했다.
때문에 전동차의 운전 시격도 30분 이상으로 길었다. 그때도 15~20분 간격이었는데, 수원역의 회차 문제 때문에 일반 열차보다 길 정도로 운전 시격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철을 한번 놓치면 한참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는 했다. 구로역에서 전철을 한 번 놓치면 인천 방면 열차가 3~4번 올 때 한 번 올까 말까였을 정도였다. 경인선의 경우 복선인 건 마찬가지였지만 1호선이 개통하면서 일반 여객열차를 폐지하여 전철을 자주 굴릴 여유가 있었다.
경부선을 2복선으로 확장하기 시작하면서 승강장도 확장을 해야 했다. 확장 방식은 다음과 같았는데,
상대식 역 | 바깥쪽에 복선을 추가하여 방향별 쌍섬식 승강장으로 확대 |
섬식 역 | 선로를 양쪽에 추가하고 다시 그 가장자리에 상대식 승강장을 추가 |
전매청 전용선 철문의 흔적이 오래 남아 있었다.[5] 2020년에 스타필드 수원 공사를 시작하면서 없어졌다. |
또한, 하행 승강장 바깥쪽에 선로를 설치했었던 흔적이 보인다. 상행 전철홈은 벽으로 막혀 있지만 하행 전철홈은 선로를 깔았다가 걷어낸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는데, 이는 1980년대 말까지는 전매청(현 KT&G) 수원공장 인입선(정식 명칭: 전매선)이 분기하는 분기역이었기 때문이다. 1990년대 초반 운행이 중지되고 선로가 모두 걷혀나갔다. 물론 넓고 황량한 들판만 있던 화서역 인근의 당시와는 달리 지금은 개발이 되어 전매선의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관련 자료도 찾기 어렵다.[6]
하행 승강장뿐만 아니라 상행 승강장 쪽에도 선로를 한 개 더 놓을 만한 부지가 남아 있다. 이 노반을 활용했다면 화서역에 대피선 설치가 가능했겠지만, 이 역사의 바로타 통로가 이 노반의 일부를 차지해버려 선로 설치할 수 없게 되었다. 수원역에 대피선이 있어서 크게 필요가 없는 것도 있다. 이 부지는 현재까지 방치되어 있다. 바로타 게이트를 개통할 즈음해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었다. GTX C선의 경부1선 공용으로 인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선로를 조정해야 해서 화서역도 개량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가끔 이 역에서 수원역까지 가는데 신호대기로 인해 6~7분씩 걸리는 경우가 있다. 정상적인 소요 시간은 3분이다. 특히 출퇴근 시간에 이럴 때가 많다.
화장실이 수원 방면 승강장에 위치해 있으며 2018년 7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수원스타필드)[7]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화서 역명만 방송한다.
3. 역 주변 정보
출구 번호 | 호선 | 연계 장소 | 비고 |
① | 경부선 | KT&G,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방면 | |
② | KT&G,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방면 | ||
③ | 화서주공아파트, 숙지초등학교, 숙지중학교, 숙지고등학교 방면 | 엘리베이터 설치 | |
④ | 화서주공아파트, 숙지초등학교, 숙지중학교, 숙지고등학교 방면 | 에스컬레이터 설치 | |
⑤ | 서호꽃뫼공원, 농민회관, 서호공원, 여기산공원 방면 | 엘리베이터 설치 | |
⑥ | 서호꽃뫼공원, 농민회관, 서호공원, 여기산공원 방면 | 에스컬레이터 설치 |
1~4번 출구(구 1번 출구): 정자2, 3동(수성로 북쪽), 화서2동(수성로 남쪽) 방면이다. KT&G 경기지역본부 수원지점이 있고, 화서역 먹거리촌, 공영환승주차장이 있다. 또한 상가와 아파트가 밀집해 있어 이용객이 많다. 출퇴근시간에 화서역 1번 출구 앞 횡단보도는 미어터진다. 2013년까지는 출구 앞에 분식 노점상이 영업했으나 그 후 없어지고 야구공 모양의 대형화분이 설치되어 있다. 2020년 기준 타코야끼 트럭이 가끔씩 와서 영업을 한다. 에스컬레이터 설치를 완료해 2015년 12월 14일 완공 및 운행 예정이었지만 2015년 12월 30일로 연기되었고, 2016년 1월 10일까지 연기되려 했다가 2016년 1월 5일에 에스컬레이터 운영을 시작했다.
5~6번 출구(구 2번 출구): 화서2동 주민센터, 서호공원과 하수처리시설인 서호생태수자원센터가 있다. 가깝게는 화서2동 꽃뫼양지마을이나 버들마을, 멀게는 구운동과 탑동 등의 아파트 밀집지역에서 주민들이 버스를 타고 2번 출구를 통해 화서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한산하지는 않다.
구 KT&G 공장부지였던 대유평지구가 개발 중이다. 화서역 파크 푸르지오가 21년 8월 준공해 입주되었고, 현재 입주는 마친 상태이며 저층부 상가, 대평로의 도로정비공사가 진행 중이다. 화서역 푸르지오 브리시엘도 23년 준공 예정이다. 화서역에 가장 가까운 부지에 지어질 스타필드 수원은 유상증자가 결정되어 2020년 내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4년 1월 26일 지상 8층, 지하 8층의 규모로 개장한다.
신세계가 이 부지에 눈에 불을 켜고 대규모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는 만큼 경부선 화서역과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사도 함께 계획되어 있는데, 지금은 공영환승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는 나대지를 활용해 화서역복합환승센터를 스타필드 개장에 맞춰 지을 예정이었지만 해당 계획이 현재 지연된 상태이다. 신분당선 화서역의 위치도 복합환승센터가 지어질 공영주차장 지하에 접하는 수성로 지하에 지어질 예정이다. 화서역복합환승센터가 완공이 된다면 스타필드 건물의 2층 ~ 복합환승센터 2층 ~ 화서역 대합실이 있는 지상 2층의 높이에 맞춰 수성로와 덕영대로 위를 통과하는 공중보행로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다만 계획이 늦어진 관계로 현재는 육교없이 화서역에서 스타필드를 왕래해야 한다. 스타필드 수원의 개장 이후로 대부분의 도보 이용자들은 4번출구에서 빠져나와 건널목을 건너는 방식으로 이동하고 있다. 화서역부터 스타필드까지 공중보행로를 통한 동선은 230m 정도로 예상된다. 또한 이 복합환승센터에는 청년창업지원센터와 같은 주민편의시설과 상층부에 청년창업지원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사실상 이는 대유평 지구 개발 이익 공공 환수 차원이다. 다만 환승센터 부지가 화서역 증축 사업과 연계해 다른 형태의 상업시설[8]로 개발될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향후 개발 계획이 수정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역에서 서남쪽으로 서호가 있고 농촌진흥청 본청이 있었으나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해 농촌진흥청 중부작물부와 수원시시설관리공단이 구 농촌진흥청 본청 건물로 들어왔다. 성균관대역 방향 승강장 철길 바로 아래로 화산지하차도가 지나간다. 또한 경기대학교 스쿨버스가 이 역에 정차한다.
수원 1호선 수원종합운동장역이나 수원 1호선, 동탄인덕원선 수원야구장역, 신분당선, 수원 1호선 107정거장, 신분당선 호매실역이 생기기 전까지는 수원시 연고 프로스포츠단의 경기장 수원종합운동장,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수원실내체육관,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에서 가장 가까운 전철역이 이 곳이다. 이 역 앞에서 16-2, 19번을 타면 종합운동장까지 15분 정도 소요된다.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의 경우 19번 버스뿐이다. 단, 1호선 천안급행이나 신창급행을 타고 오는 경우에는 급행 정차역인 수원역 또는 성균관대역에서 내려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4년 | 517명 | [9] | ||
1975년 | 703명 | ||||
1976년 | 1,084명 | ||||
1977년 | 1,256명 | ||||
1978년 | 1,706명 | ||||
1979년 | 2,213명 | ||||
1980년 | 2,307명 | ||||
1981년 | 2,417명 | ||||
1982년 | 2,638명 | ||||
1983년 | 2,874명 | ||||
1984년 | 3,274명 | ||||
1985년 | 3,585명 | ||||
1986년 | 4,114명 | ||||
1987년 | 4,838명 | ||||
1988년 | 4,899명 | ||||
1989년 | 4,727명 | ||||
1990년 | 5,653명 | ||||
1991년 | 7,418명 | ||||
1992년 | 7,174명 | ||||
1993년 | 6,994명 | ||||
1994년 | 6,539명 | ||||
1995년 | 6,995명 | ||||
1996년 | 7,663명 | ||||
1997년 | 9,341명 | ||||
1998년 | 11,843명 | ||||
1999년 | 13,640명 | ||||
2000년 | 15,928명 | 비고 | |||
2001년 | 18,827명 | ||||
2002년 | 25,548명 | ||||
2003년 | 25,457명 | ||||
2004년 | 18,558명 | [10] | |||
2005년 | 19,207명 | ||||
2006년 | 18,630명 | ||||
2007년 | 18,932명 | ||||
2008년 | 18,572명 | ||||
2009년 | 17,565명 | }}}}}}}}} | |||
2010년 | 17,426명 | ||||
2011년 | 17,766명 | ||||
2012년 | 17,376명 | ||||
2013년 | 17,532명 | ||||
2014년 | 18,234명 | ||||
2015년 | 17,597명 | ||||
2016년 | 17,293명 | ||||
2017년 | 16,764명 | ||||
2018년 | 16,599명 | ||||
2019년 | 16,821명 | ||||
2020년 | 11,598명 | ||||
2021년 | 12,204명 | ||||
2022년 | 14,448명 | ||||
2023년 | 15,937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택지지구가 밀집한 지역이지만 이용률이 크게 높지는 않은 역이다. 실제로 통계 정보가 불확실한 2002~2003년을 제외하면 하루 평균 이용객이 2만 명을 넘은 적은 없다.
이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정역 이남 구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강남으로 가기 위해서는 1호선-4호선-2호선을 거쳐야 하는 경부선 특성상 광역버스에게 승객이 흡수되기 쉽다. 실제로 화서역의 주 이용지역인 화서/정천지구, 구운동 등지에는 수원 버스 7780, 수원 버스 3003등의 다양한 광역버스들이 사당역까지 빠르게 잇는다.
2024년 1월에 스타필드 수원점이 오픈을 하게 되었고, 지역 주민들의 강남 방향으로 수월히 이동할수 있는 신분당선 연장선이 현재 착공 중에 있으며, 이외에도 화서역사 리모델링 및 복합환승센터와 대유평지구 등 주변 지역이 한창 개발 중이며 향후 전망이 매우 밝은 역이다.[11] 실제로 개장 초기부터 화서역 이용객이 크게 늘어났다고 하며, 일평균 약 3만명 정도로 성균관대역과 수요로 경쟁하게 될 수도 있다.[12] 이 스타필드의 경우 자차가 아닌 대중교통 편의성이 높아서, 천안시나 평택시 뚜벅이 방문객들도 상당히 있다고 한다. 대부분 일반열차나 급행 전동열차를 타고 수원역에 하차하여 화서역까지는 1호선 일반전동열차로 이동하는 셈. 귀찮긴 해도 이 지역까지 버스나 택시를 이용하는 것보다 월등히 빨라서 이 역의 승하차객 수는 한동안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단, 신분당선이 개통하면 출입구가 더 늘어나 1호선 게이트 이용객이 분산될 전망이다.
스타필드 개장이후 월간 평균 승하차 3만명 안밖으로 기존보다 이용객이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에 화서역 증축 사업 규모가 재검토 되어 착공을 앞두고 있다. 참고로 1호선 특성상 급행이 정차하지 않는 서울 시외 역사가 3만명대 승하차량을 보이는 경우는 화서역을 제외하면 없다. 서울 시내만 봐도 독산역이 유일하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화서역 승강장 |
3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이다. 위에서 얘기한 대로, 가운데의 승강장은 수원역까지만 운행하던 복선 시절에 이용하던 승강장으로 2복선이 끝난 현재는 이용하지 않고 화단으로 꾸며놓았다.
↑ 성균관대 | 성균관대 ↓ | ||||||
2 | ㅣ | ㅣ | ㅣ | ㅣ | 1 | ||
↑ 수원 | 수원 ↓ |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서동탄·천안·신창 방면 |
2 | 성균관대·안양·금천구청·구로 방면 |
2018년 7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이 역은 구배가 평지(0퍼밀)이다.
5.2. 신분당선(공사중)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신분당선은 2024년 6월 17일 착공, 2029년에 개통 예정으로, 개통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일단 이곳을 동서로 관통하는 수성로의 화산지하차도가 있고 경부선 대합실이 북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지하-지상 간 동선과 원거리 조합의 막장환승역이 된다. 게다가 신분당선 환승통로도 지금 화서역의 북쪽 방향으로 붙을 것이기에 환승 동선과 나가는 동선이 겹치게 될 것이고, 지하에 환승 게이트까지 설치되며 거리도 길 것으로 예상된다.
KDI 20/3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환승 주차장에 신분당선 정거장이 들어간다. 신분당선이 연장 개통되면 강남역까지 40분, 판교역까지 26분 만에 갈 수 있게 된다.
2024년 6월 17일 기준으로 실시계획이 승인되어 실 착공 상태이다.
6. 연계 교통
화서역을 지나가는 버스 노선은 많지만, 성균관대역 방향 철길 바로 아래로 지나는 화산지하차도 때문에 버스정류장 위치와 역 건물이 꽤 떨어져 있다. 수성로를 지나는 버스를 타려면 1번 출구 기준 약 350m, 2번 출구 기준 약 230m를 걸어가야 한다. 역 바로 앞 덕영대로를 지나가는 노선은 1번 출구 가까운 곳에서 탈 수 있다.화서역 정류장별 정차 버스 | |
분류명을 클릭하면 세부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20년 6월 1일 기준 자료로, 노선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
{{{#!folding 수성로 정류장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화서역.화서주공3단지.스타필드수원 (01-079) |
화서역.화서2동주민센터 (03-001) | |
화서역.화서주공3단지.스타필드수원 (01-082) | |
화서역.화서2동주민센터 (03-002) | |
{{{#!folding 덕영대로 정류장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화서역 (03-176) |
화서역 (03-175) | |
7.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수원 여고생 강간 살인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
1988년 1월 4일, 화서역 인근 논밭 볏짚 속에서 당시 19세 여고생 김 모 양이 성폭행을 당한 후 교살된 채로 발견되었다. 수원 지역의 불량배였던 명노열 등이 이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떠올랐으나,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였고 수사관들도 고문치사의 책임으로 직위 해임되면서 흐지부지 끝났다. 프로파일러들은 이 사건을 화성 연쇄살인 사건과 수법이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화성 연쇄살인 사건의 연장선으로 보고 있었고, 2019년 10월 경찰에서 이춘재의 소행임이 공식 발표되었다.
2013년 5월 31일 오전 11시 30분경 이 역에서 자살사고가 발생했다.[13]
2016년 12월 4일 오후 12시 29분경 서울 방향으로 출발한 지하철 1호선 전철이 50여m 지점에서 갑자기 멈췄다. 이 사고로 해당 전철에 타고 있던 승객 400여명 가운데 250여명이 걸어서 이동하는 불편을 겪었다. 승객 1명은 전철에서 내리다가 넘어져 부상을 입기도 했다.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신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사 - 논현 - 신논현 - 강남 - 양재 - 양재시민의숲 - 청계산입구 - 판교 - 정자 - 미금 - 동천 - 수지구청 - 성복 - 상현 - 광교중앙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수원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164194,#164194> 철도 | 간 선 철 도 | 수원역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
광 역 철 도 | 수원 |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
청명 · 영통 · 망포 · 매탄권선 · 수원시청 · 매교 · 수원 · 고색 · 오목천 | |||||||
광교중앙 · 광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동수원 · 화서 · 호매실 | |||||||
파장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아주대입구 · 원천 · 영통 | |||||||
일반철도 | 경부선 | ||||||
도로 | 고속도로 | 경부 (수원신갈IC†) · 영동 (북수원IC / 동수원IC) · 용인서울 (광교상현IC) · 평택파주 (금곡IC / 동안산·당수IC) | |||||
국도 | 1 · 42 · 43 · 수원북부순환 | ||||||
지방도 | 84 · 98 · 309 · 315 | ||||||
버스 | 버스 목록 | 광역급행 | 경기순환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
일반시내 | 마을버스 | 시외버스 고속버스 | 공항버스 | ||||
버스 터미널 | 수원시의 버스 터미널 | ||||||
<rowcolor=#ffffff> † 용인시에 소재하고 있지만 편의상 이곳에 서술한다. |
[1] 국토교통부고시제2021-1388호(신분당선 광교~호매실 건설사업 기본계획), 국토교통부, 2021-12-29[2] 가운데에 있는 섬식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는다.[3] 현재는 배치간이역으로 재승격.[4] 해당 이미지, 출처: 네이버[5] 네이버 지도 2010년 4월 로드뷰 사진 참고: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성로157번길 63 반대편[6] 관련 영상(일본어), 출처: 유튜브[7] 스타필드 수원의 개점에 따라 2024년 1월 부역명이 추가되었다. 역명판 등 문자로 안내할 때와 전동차 방송 등 음성으로 안내할 때의 표기가 다른데, 문자로 쓸 때는 신세계그룹 측과 비슷한 방식인 "스타필드수원"으로 표기하는데 반해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안내방송은 순서가 뒤집힌 "수원 스타필드"로 한다. 신세계 측 표기를 그대로 따르면 뒷말만 듣고 수원역으로 오인해서 하차할 수 있어 바꿔서 표기했다 알려졌다.[8] 백화점[9] 개통일인 8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3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11] 이렇게 되면 바로 다음 역의 수원역의 이용객 수에 영향을 받게 될지도 모른다.[12] KT&G 부지에 화서역 파크 푸르지오와 화서역 푸르지오 브리시엘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화서역에서 내리고 승차하는 승객이 눈에 띄게 늘어나더니 스타필드 수원이 개장한 날 이후로 이례적으로 많은 방문객들이 몰려오면서 엄청난 인파가 생겼다. 과거의 한산했던 동네역과는 상당히 대비되는 모습이다.[13] 「70대 노인 전철역 선로로 뛰어들어 열차에 치여 사망」, 경기일보, 201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