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6:56:47

김한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영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왕주이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영요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주칭란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추푸청 천리푸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줴
황현 후쭝난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 황상규
단원
강세우 강인수 고인덕 곽재기
권정필 권준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병현 김상옥 김상윤
김성숙 김시현 김익상 김지섭
김철호 나석주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박재혁 박차정 박희광
배동선 배중세 배치문 서상락
송천흠 신악 신영삼 신채호
신철휴 오성륜변절 유자명 윤세주
윤치형 이구연 이병철 이병희
이성우 이수택 이육사 이종암
이태준 정이소 최수봉 황옥불확실
최용덕 한봉근 한봉인 홍가륵
유시태 이원대 이원기 윤병구
유석현 정율성불확실 문시환 이춘암
공약 10조
[ 펼치기 · 접기 ]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 펼치기 · 접기 ]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 펼치기 · 접기 ]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파일:독립운동가 김한.jpg
출생 1887년 11월 16일
한성부 서부 용산방 마포계
(現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1]
사망 1938년 7월 13일 (향년 50세)
소련 러시아 SFSR 프리모리예 지방
본관 안동 김씨
초명 김상엽(金相燁)
제관(霽觀)
가족 아버지 김동헌[2]
배우자 배명원
장녀 김원정
차녀 김인정
삼녀 김례정
외아들 김담
외손자 우원식[3]
학력 호세이대학 (정치경제과 / 졸업)
이명 김판관(瓣觀), 김자홍(子弘)
상훈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경력 대한제국 공무원
변호사
광복단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부 비서국장
조선공산당원
고려공산청년회
국제당
혁명자후원회(МОПР)
태평양노동조합 비서부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2. 생애

1887년 11월 16일 한성부 서부 용산방(성외) 마포계(現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 296번지)에서 아버지 김동헌(金東憲)의 아들로 태어났다. 1904년부터 대한제국 통신원 주사, 탁지부 주사, 세무 주사 등을 지낸 뒤 1905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호세이대학 정치경제과에 입학해 졸업한 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1910년 국권피탈 이후 1912년 만주로 망명했으며 상하이, 톈진, 봉천, 지린, 하얼빈 등지에서 대한독립단 단원으로 항일 활동에 참가했다. 1916년 비밀결사 광복단의 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으며 그 해 7월 임시정부 사료편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대한적십자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12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법부장을 맡았고, 1920년 2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부 비서국장으로 선임되었다.

1923년 1월 12일 김상옥 의사의 종로경찰서 투탄 의거에 연루돼 1923년 1월 28일 체포 되어 옥고를 치렀다.# 1927년 4월 24일 일본 도쿄 도요타마형무소에서 형기를 모두 마치고 옥문을 나섰다. 철창에서 되돌아온 김한은 동료들에게 깊은 존경을 받았다. 사회주의 비밀결사 운동을 개시한 사람이었을 뿐 아니라, 엄혹한 경찰의 취조 속에서도 조직의 비밀을 단 하나도 누설하지 않은 투사였기 때문이다. 그는 조선의 비밀결사 조선공산당(일명 중립당)의 창립 멤버이자 지도부 성원이었다.

경찰 기록과 공판 문서에는 그에 관한 단 하나의 정보도 기록되어 있지 않았다. 그는 자신에게 들씌워진 혐의를 폭탄 문제 하나로 귀일시키는 데 성공했다. 국외 반일 단체 의열단과 손잡고 국내에 폭탄을 반입하려 했으며, 폭탄을 보관하고 있다가 김상옥이나 박열처럼 필요한 혁명가에게 분배하는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출감하자마자 비밀결사 운동 복귀를 비밀스럽게 모색했다. 출감 이듬해인 1928년 8월, 마침내 고려공산청년회 위상을 가지는 비밀결사를 설립하게 되었다. 단체는 중립당 계열의 과거 동료들을 재결속한 것이었다. 수감 생활을 마치고 되돌아온 옛 동료들과 새로이 운동에 참여한 신진 인사들이 합류했다. 이 단체는 다른 계열의 사회주의자들에게 화요파 공산그룹의 부활로 간주되었다.

이듬해인 1929년, 이 비밀결사는 경찰의 억압이 아닌 구성원들 스스로의 결정으로 해산했다. 그리고 코민테른이 직접 지도하는 새로운 사회주의 비밀결사에 합류했다. 국제공산당의 지시와 노선을 실지에서 수행하는 사회주의자들과 결합했던 것이다. 국제선이라고 알려진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각파 공산그룹이 운동 발전에 유해한 역할을 끼쳤다고 보았다. 기존 파벌 관계를 단절하고 국제당의 지도 아래 조선공산당을 재건한다는 노선을 천명했다.

국제선의 국내사업 지도부는 3인인데, 김단야, 김정하, 조두원이었다. 모스크바의 국제당 집행위원회가 임명한 사람들이었다. 비밀리에 비합법적으로 활동하는 환경 속에서 곧잘 채택되던 트로이카(삼두마차) 조직 형태를 염두에 둔 결정이었다. 그들은 1929년 8~9월 국내에 잠입했다. 이들에 더하여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졸업한 모스크바 유학생들도 잇따라 입국했다. 권오직(權五稷)을 비롯한 공산대학 졸업생 9명이 국제선의 일원으로서 비밀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입국했다.

본격적으로 활동한 지 2개월 만에 당과 공청 조직의 근간을 세웠다. 그해 11월 5인으로 구성된 공산당조직준비위원회를 발족했고, 10월에는 3인 지도부로 이뤄진 공청 트로이카를 결성했다. 하부조직도 바로바로 구축됐다. 서울을 비롯해 평양, 원산, 부산, 목포, 함흥, 마산, 청진, 웅기, 신의주 등 도시 지역에 지방 당기관을 설치했다.

김한은 직접 국제선 그룹에 가담했다. 그는 모플 사업을 전담했다. 모플(МОПР)이란 혁명가후원회를 뜻하는 러시아 외래어였다. 옥중에 수감된 혁명가와 그 가족을 돌보는 구호 사업이었다. 당과 공청의 비밀 조직 사업을 20~30대 젊은 세대가 주로 맡고 있는 현실에 비춰보면 적절한 역할 분담이었다. 김한은 옥중 생활을 오래 했기에 그 방면의 실정을 꿰뚫고 있었고, 변호사들과 지면도 넓었다. 적임자였다. 그는 국제선 그룹에서 상당한 금액을 받아, 그 돈을 수감자 차입비, 출옥자 치료비, 피검자 가족 구호비 등으로 썼다.

자신이 제공했던 도화동 은신처가 수사의 초점이 되고 있었다. 경찰이 최상급 간부라고 지목한 김단야가 그곳을 근거지로 활동했다는 사실이 이미 저들에게 탐지됐다. 그뿐인가. 공산당과 공청 지도부에 다 소속된, 김단야 탈출 이후 가장 중요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던 권오직이 바로 그 집에서 체포됐다. 공청 3인 지도부의 한 사람인 김응기도 떡장수로 분장해 그 집을 방문했다가 잠복 중이던 경찰에게 체포되고 만다. 도화동 은신처를 둘러싸고 중요 인물들이 거푸 검거되었던 만큼 경찰은 그 집을 아지트로 알선한 김한을 반드시 잡아들여야 할 인물로 보았다.

그리하여 김한은 국외로 탈출하기로 결심했고, 3월16일, 김단야의 아내이자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졸업한 여성 사회주의자 고명자가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목적지는 소련이었다.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것은 1930년 4월 초순경이었다. 그는 괜찮은 대우를 받았다. 그는 태평양노동조합 비서부에서 근무했다. 1930~31년 조선의 적색노동조합운동을 후원하고 독려하는 일을 했다.

망명 2년이 지나고, 1932년, 김한은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나 모스크바로 향했는데, 모스크바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불행이었다. 그는 소련으로 부터 일본 제국주의의 밀정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받았다. 국제선 검거 사건이 대규모로 터진 이유가 김한에게 있지 않으냐는 혐의였다. 그는 내무인민위원부 경찰에게 체포됐다. 이 기관은 1934년부터 1941년까지 스탈린 대숙청을 앞장서서 수행하던 비밀경찰이었다. 결국 스탈린의 숙청으로 내무인민위원부 관료들의 손에 사형당해 1938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1] #[2] 金東憲.[3] 22대 국회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