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차적지(면허지)를 1정류장 이상 관통하지만, 양측 기종점이 면허지에 존재하지 않는 노선을 의미한다. 아웃 노선과의 완전한 반의어는 아니다.[1] 버스 동호인 사이의 은어다.
폐선되거나 변경된 노선은 (♨) 표시.
아웃 ○○ 노선도 같이 참고할 것.
2. 김포시
인김포 노선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원래 검단이 김포시 지역이었으나 인천으로 넘어가면서 인 김포 노선이 많이 늘어났으며, 특히 김포시가 선진그룹 독점 지역이고 옆동네 인천광역시의 북부도 선진의 세력이 막강한지라 인 김포 노선이 인천 북부(부평구/계양구/서구/강화군)와 서울특별시 강서구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60: 인천(검단) - 김포 - 서울. 일반좌석노선 시절부터 입석노선으로 형간전환하기까지 인 김포노선으로 현재까지 이어져온 노선.
- 88: 인천(강화) - 김포 - 서울. 노선 신설 당시(김포대학~영등포역)에는 그냥 김포노선이었으나, 강화로 연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인 김포노선으로 전환.
- 90: 인천(강화) - 김포 - 인천(검단 - 계양 - 부평). 기종점이 모두 인천이다.
- 1002: 인천(검단) - 김포 - 서울.
3. 안양시
인 안양 노선은 그 주변 지역이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 광명시, 서울특별시의 금천구 등이 안양과 이웃하던 옛 시흥군과 관련이 있다. 이들이 시흥군의 공중 분해에 따라 과거 이 업체가 1988년 본사를 안산시로 이전하면서 아웃안양 노선과 비교하면 사뭇 다를 수도 있다. 이들 모두 독과점 지역으로 봐야 한다. 그래서 이 지역은 경기남부의 인김포 버스 노선 격으로 봐야 한다.- 1-1: 의왕(월암) - 안양(호계) - 의왕(백운) - 안양(평촌) - 과천 - 서울. 도시 구조 때문에 안양에 두 번 들어갔다 나온다.
- 1-5: 의왕(월암) - 안양(호계) - 의왕(백운) - 안양(평촌) - 의왕(청계). 이쪽 역시 도시 구조 때문에 안양에 두 번 들어갔다 나오는 구조이다.
- 5: 의왕 - 군포 - 안양 - 서울.
- 20: 군포 - 안양 - 서울. 원래는 경인교대 경기캠퍼스까지 가는 일반 안양 노선이었으나, 난곡동을 지나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연장되었다.
- 22: 군포 - 의왕(오전) - 안양 - 의왕(청계). - 군포에서 안양으로 가기 전 오전공단을 경유한다.
- 33: 의왕(청계) - 안양 - 의왕(백운). 원래 평촌차고지에서 출발하는 그냥 안양노선이었으나 노선이 연장되었다.
- 917: 군포 - 안양 - 과천 - 서울. 위의 11-5번처럼 평촌 쪽을 경유한다.
4. 용인시
광교영업소의 위치는 수원시지만, 노선들이 모두 용인시 수지구와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삼고 있으며 공공버스 노선으로 전환돼서 인 용인 노선이 상당히 늘어났다.- 6900: 수원 - 용인 - 성남 - 서울. 원래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던 아웃광주 노선이었다가, 대원버스로 이관되어 인 성남 노선이 되었고, 다시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인 용인 노선이 되었다.
5. 광명시
- 1: 시흥 - 광명 - 서울. 39번과 달리 이쪽은 은계, 시화 쪽으로 간다.
- 2: 시흥 - 부천 - 광명 - 안양. 신설 당시에는 평범한 광명시 노선이었으나, 차례대로 부천 옥길지구로 연장, 시흥 은계지구로 연장되면서 완벽한 인 광명 노선이 되었다.
6. 수원시
- 64: 화성 - 수원 - 의왕 - 안양.
- 300: 평택 - 오산 - 수원 - 의왕 - 안양.
- 301: 평택 - 오산 - 수원 - 의왕 - 안양. 300번의 지선화 노선으로, 300번은 수원시청 쪽으로, 이 노선은 수원역 쪽으로 운행한다.
- 7000: 용인 - 수원 - 서울.
7. 구리시
경기여객 소속 노선들은 대부분 남양주나 아웃광주 출신 노선들로, 남양주시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이 대부분 인 구리 노선이 되었으며, 갈매동 기점 노선들을 신설하면서 그냥 구리 노선들도 늘어나긴 했다.- 15: 남양주 - 구리 - 서울. 본래는 경기고속의 아웃광주 노선이었으나, 2019년부터 구리시 면허인 경기여객과 공동배차를 하다가 완전히 경기여객으로 이관되면서 인 구리 노선으로 전환.
- 51 : 남양주 - 구리 - 서울. 본래는 수택동 출발이었으나 2020년부터 다산신도시 지금지구로 연장되었다.
- 92: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15번처럼 원래는 경기고속의 아웃광주 노선이었다가, 2008년 경기여객으로 양도하면서 인 구리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 93: 가평 - 남양주 - 구리 - 서울. 신설 초기에는 그냥 남양주 노선이었는데, 대성리로 연장운행하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가, 경기여객으로 양도하면서 인 구리 노선이 되었다.
- 95: 남양주 - 구리 - 서울. 과거에는 구리 농수산물시장까지 운행되는 아웃광주 노선이었는데, 노선이 분리되고 빙그레 공장까지 연장되면서 같은 회사 대원운수로 양도하여 그냥 남양주 면허가 되었다가, 구리시 면허인 경기여객이 신설되면서 양도되면서 인 구리면허로 전환된 노선이다. 롯데백화점 대신 인창동을 경유하는 형제 노선 96번도 있었으나 수요가 적었던 터에 계속해서 배차가 줄어들며 막판에는 농어촌버스급 배차간격으로 다니다 2024년 4월부로 완전히 폐지되었다.
8. 남양주시
- 11: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 23: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개통 초기에는 남양주에서 서울 길동을 잇던 평범한 남양주 노선이었으나, 연장에 연장을 거듭하면서 시도 경계를 2번이나 넘고 기초자치단체만 4개를 지나는 근성노선이 되어 버렸다. 2024년 노선 단축, 하남시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88: 포천 - 남양주 - 구리 - 서울.
9. 의정부시
- 7: 양주 - 의정부 - 서울.
- 36: 동두천 - 양주 - 의정부 - 서울.
- 39: 연천 - 동두천 - 양주 - 의정부 - 서울. 원래 영종여객이 출범할 당시에는 의정부시 소속 버스였으나, 분사 이후로 연천군(연천교통)을 거쳐 KD 운송그룹에게 인계 후 다시 의정부시(평안운수)로 환원되었다. 39-1번, 39-4번은 인 양주였던 시절도 있었다.
- 133: 양주 - 의정부 - 서울.
10. 고양시
- 66: 파주 - 고양 - 서울.
- 1500: 파주 - 고양 - 서울.
11. 동두천시
- 53: 연천 - 동두천 - 양주.
12. 화성시
- 116-2, 116-5: 수원 - 용인 - 화성 - 오산. 원래 아웃광주였다가 화성시 면허 업체인 화성여객으로 넘겼다.
- G6010: 오산 - 화성 - 용인. 경기도 공공버스의 영향을 받는 노선인데도 불구하고 인 화성 노선이다.
- H19: 오산 - 화성 - 오산. 오산대역에서 출발해 동탄신도시를 한 바퀴 돌고 다시 오산대역으로 돌아오는 노선인데, 기종점이 모두 오산대역으로 인가되어 있다.
- M4449: 오산 - 화성 - 서울.
13. 안산시
- 30-2: 시흥(목감) - 안산 - 시흥(시화). 원래 기점은 안산시 수암동이었으나 목감지구까지 연장되어 인 안산 노선이 되었다.
- 350: 안양 - 시흥(목감) - 안산 - 시흥(시화). 일반좌석시절부터 현재까지 쭉 이러한 노선이었다.
- 5609: 화성 - 안산 - 시흥 - 안양 - 서울. 원래 기점은 안산시 사동 그랑시티자이였으나 화성시 새솔동으로 연장되었다.
14. 시흥시
- 40: 안산 -시흥 - 안산. 안산시 능길역에서 시흥시 군자동을 거쳐 다시 능길역으로 돌아오는 순환 노선.
- M6410: 인천 - 시흥 - 서울. 원래는 아웃 안산 노선이었지만 2023년 2월 시흥시 면허로 이관되면서 인 시흥 노선이 되었다.
15. 그 외 지역 업체의 인 ○○ 노선
- 세종 B2, B4, 1003: 대전 - 세종 - 청주. 인 세종.
- 이천 20-9: 여주 - 이천 - 안성. 인 이천.
- 광양 35-1: 하동(하동) - 광양 - 하동(화개). 인 광양이자 인 전남.
- 청주 42, 43[3]: 대전 - 청주 - 세종. 인 청주 이자 인 충북 노선이다.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되기 이전에는 아웃청주였다.
- 함안 버스 113-1: 득소, 두곡, 남지로 가는 지선 한정. 의령군 지정면 또는 창녕군 남지읍을 출발해 함안군 칠원읍을 거쳐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마산시외버스터미널까지 가는 인 함안 노선.
- 광주 119: 용인 - 광주 - 성남 - 서울. 인 광주노선.
- 화순 217, 217-1,218번(광주-주암,광주-다곡): 광주 - 화순 - 순천.담양.(구산삼거리),나주.'(행산경계)인 화순'''.
- 카츠라기 버스 301, 302: 나라현 카시하라시 야마토야기역에서 와카야마현 신구시 신구역까지 운행하는 인 카츠라기 노선.
- 경산 399(갈고개), 990(갈고개): 청도 - 경산 - 대구. 인 경산.
- 함평 500 광주-영광, 광주-상무대 노선: 광주 - 함평 - 장성 - 영광. 인 함평.
- 아산 530, 531: 평택 - 아산 - 천안. 인 아산.
- 전주 820: 완주(이서) - 전주 - 완주(소양). 인 전주 노선으로, 이서면이 전주, 김제와 둘러쌓여 있는 월경지인지라 이러한 선형이 되었다.
- 전주 300 전주순환 노선: 완주(고산) → 전주 → 완주(고산)의 순환 노선. 일 2회 운행하나 운영사인 시민여객의 차량 부족으로 결행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 양산 2100, 2300: 부산(노포) - 양산(동면) - 부산(기장) - 양산(웅상) - 울산. 양산에 두 번 들어 갔다 나오는 형태의 인 양산 노선.
- 공항버스 6014: 광명 - 서울 - 인천. 인 서울 공항리무진 노선으로, 특별시 및 광역시는 공항리무진을 시내버스 한정면허로 발부하므로 이 노선은 인가 상으론 시내버스다.
- 공항버스 6200: 하남 - 서울 - 인천. 6014번과 같은 사례다.
- 고흥여객 벌교-동강-마륜-대서-장선포-조성: 보성(벌교) - 고흥 - 보성(조성). 인 고흥 노선. 참고로 이 노선이 경유하는 동강면, 대서면의 생활권은 벌교 쪽이다(...).
- 영양 버스 진보-재산: 청송 - 영양 - 봉화. 인 영양.
- 함평 버스 500(광주-영광): 광주 - 함평 - 영광. 인 함평 노선. 함평읍내를 지나는 것도 아니고 이 노선이 지나는 함평 땅인 문장이 영광 생활권인 것도 아닌 특이한 케이스에 속한다.
16. 과거에 있었던 사례
- 안양 버스 1: 원래 평촌차고지부터 출발하는 그냥 안양노선이었으나, 폐쇄 후 의왕시 포일동 출발로 변경되어 안양시를 거쳐 서울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운행되다가, 다시 평촌차고지 출발로 단축되었다.
- 대원운수의 남양주 버스 1-4: 개설 초기부터 그냥 남양주 노선이었는데, 가평군 대성리로 연장하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가, 차산리로 단축하여 도로 그냥 남양주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대신 23번처럼 회차구간을 하남시로 연장.
- 대일교통의 성남 버스 3: 애매한 경우에 속한다. 이 노선은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을 출발해 미금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미금역에서 용인시계로 들어갔다가 다시 성남시계로 넘어갔다 용인시계에 들어가서 운행이 끝나는 노선이다.
- 안양 버스 3-1: 원래는 의왕시에 군포시, 안양시를 거쳐 광명역까지 간 인 안양 노선이었지만, 후에 수요부족으로 군포공영차고지로 단축되고, 주 52시간 근무제로 인한 운수사원 부족으로 폐선되었다.
- 과거 명진운수 시절의 남양주 버스 8: 신설하기 이전에 남양주시 와부/덕소지역 일대에 인 남양주 노선이 하나도 없었다. 이게 생기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는데, 회사사정이 어려워지자, 금강고속에게 양도한 시점부터 그냥 양평 노선으로 전환되었지만,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양평군으로 연장되면서부터 수요급감은 물론 을씨년스러운 배차간격으로 운행되다 쓸쓸하게 폐선.
- 경남여객의 용인 버스 10: 과거 수원시 수원역으로 시작하여 용인시를 걸쳐서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까지 운행되어 배차간격이 다소 짧으면서 장거리로 자랑했던 천하의 버스노선이 어느새 노선이 죽산까지 잘리고, 다시 용인 백암면까지 단축되어 가장 유일했던 인 용인노선이 사라졌으니, 현재 백암에서 죽산까지 용인 버스 10-1, 101, 죽산에서 광혜원은 안성 버스 17로 분리 운행중이다.
- 화영운수의 광명 버스 11-2: 과거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서 시흥시 월곶까지 운행했었는데, 광명역 이후의 구간의 수요부족과 배차간격 때문에 여의도-광명역과 광명역-월곶을 운행하는 광명 버스 11-3으로 분리했다. 그래서 그냥 광명노선이 되었다.
- 안양 버스 11-6: 군포시 산본동에서 잠실운동장까지 운행되었던 노선.
- 부천 버스 12: 원래는 인 부천 노선이었지만 2016년 4월 6일 운행사가 시흥교통으로 바뀌면서 아웃시흥에 가장 근접한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몇년후에 120번과 통합해 삼미시장까지 연장되어서 그냥 시흥 노선이 되었다.
- 양산 버스 13: 2010년 11월 1일 신설당시에는 12번의 KTX울산역 연장판이었으나, 2016년 3월 1일 개편으로 기점이 양산역환승센터로 단축되었다가 2021년 12월 1일 개편으로 다시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로 단축되었다.
- 시흥 버스 25: 애매한 인 시흥 노선이지만, 정왕역으로 단축되어서 더이상 안산시를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 안양 면허 시절 경원여객의 안양 버스 31-1, 31-8: 과천시 서울대공원에서 안양시, 시흥시등을 거쳐 부천역까지 갔던 노선. 안산 면허로 넘어오면서 아웃안산이 되면서 얼마 못가 폐선.
- 신성운수 시절의 34, 360: 서울 불광동에서 고양시 효자동 일대와 양주시를 거쳐 의정부시로 가던 인 고양 노선이었지만 신성운수의 재정난으로 2015년 7월 14일부터 KD 운송그룹 소속의 명진여객으로 이관하면서 그냥 의정부 노선이 되었다.
- 소신여객의 부천 버스 50/550, 51, 52, 53: 과거 월미도부터 출발하여 김포공항, 방화동까지 운행했던 아스트랄하면서 인 부천노선이자 장거리노선들이었는데, 51번, 52번, 53번은 90년대 후반에 폐선되었다. 550번은 2000년대 초반부터 부평역(?)부터 단축을 해오다가 경기 성민버스으로 넘어가면서 50번으로 바뀌고 송내역으로 단축.
- 동두천 버스 51: 동두천 버스 60번과 노선이 분리되기 이전에는 양주시 신산리를 출발하여 동두천시를 지나 양주시 덕정역으로 향하는 노선이었으나[4], 60번과 노선이 분리되면서 동두천으로 단축, 이후 2021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5]
- 안양 버스 51: 원래 의왕시 대원아파트에서 출발하는 인 안양 노선이었으나 평촌차고지로 연장되면서 그냥 안양 노선이 되었다. 다만 여전히 중간에 의왕시를 경유하는 형태이지만, 등재조건에는 맞지 않다.
- 수원 버스 53: 이것도 동부차고지에서 상현역을 들려 수원으로 들어갔다 용인으로 들어가는 애매한 인 수원 노선이지만 운휴크리.
- 구미 버스 55: 칠곡군 석적읍을 출발하여 구미시를 지나 김천시까지 운행하는 인 구미 노선이었으나, 2019년 5월 1일부로 석적읍에서 구미시 오태1동으로 단축되어 더 이상 인 구미 노선이 아니다.
- 양주 버스 55-2: 파주시 기산리에서 양주시를 거쳐 의정부역까지 가는 노선. 2015년 5월 1일 폐선.
- 삼영운수의 안양 버스 60: 과거에는 의왕시 고천차고지에서 안양시 인덕원역, 범계역을 거쳐 군포시 당동까지 갔던 인 안양 노선이었으나, 2011년 말에 동편마을 경유로 변경되면서 노선이 60번과 60-1번으로 분리되어 두 노선 모두 그냥 안양 노선이 되었다.
- 과거 김포운수의 김포 버스 60-2: 인천시 강화군 화도터미널에서 김포시를 거쳐 송정역까지 가는 인김포노선이었는데 인천 면허로 넘기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강신도시-송정역 구간이 단축되어 특이한 아웃인천노선이 되었다.
- 경기 선진버스의 김포 버스 70: 이것도 90번과 마찬가지로 엄연한 인 김포 노선였다가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냥 인천 면허로 전환되었다.
- 고양 버스 73: 원래 그냥 파주노선이었으나 신성교통이 고양시 면허인 신성운수에게 넘겨서 인 고양 노선이었으나. 2015년 4월 중 강선마을~신촌구간이 대폭 잘려나가 그냥 고양시 노선이 되었다.
- 전주 버스 73: 완주군 이서면 이서회차지에서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까지 가는 노선으로, 2022년 2월 19일 폐선되었다. 대체 노선인 220-1번과 220-2번, 이서27은 모두 평범한 전주/완주 면허 노선이다.
- 고양 버스 76: 역시 고양 73번이랑 마찬가지의 이유지만 회사 사정때문에 무기한 운행 중단중이다가 2015년 2월 2일 결국 최종 폐선되었다.
- 안산 버스 99: 과거엔 아웃안양이었으나 안산 면허로 바뀌고, 2015년 10월 1일일부터 대야미역으로 연장되어 인 안산 노선이 되었다가 2018년 10월에 다시 반월역으로 재단축되어 다시 그냥 안산 노선이 되었다.
- 고양 버스 100(폐선): 신성여객에서 운행하였던 노선이 2017년 6월 1일부터 서현운수로 이관되면서 고양시 면허로 바뀌어 인 고양이 되었다. 소리소문없이 운행중단되더니 폐선.
- 성남 버스 101: 과거에 경기교통 시절에 직행좌석버스 노선이자 성남시 면허로 시작하여, 경남여객 인계운행후 그냥 용인시 면허로 되었으나, 대원버스로 인수 후 환원되어서 인 성남노선이었지만, 2019년 8월 26일부터 오리역으로 잘리면서 그냥 성남 노선이 되었다.
- 용인 버스 102(대원버스): 용인시 단국대학교에서 성남시를 거쳐서 건대입구역까지 가는 노선. 원래는 인 성남 노선이었지만,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시 노선이 되었다.
- 청주 버스 105, 105-1: 충북 청원군 남이면 석판리 석판종점에서 청주시내, 청원군 내수읍을 거쳐 증평군 증평읍 미암리 형석중고교(105)/송산리 증평인삼판매장(105-1)까지 운행하는 좌석버스 노선이었지만, 청원군이 청주시로 통합되면서 평범한 청주시 노선이 되었다.
- 성남 버스 231, 232: 서울특별시 복정역에서 위례신도시를 거쳐 복정역까지 되돌아오는 노선이었지만 노선이 231번으로 통합되고 기업성장센터로 연장되면서 그냥 평범한 성남시 노선이 되었다.
- 전주 버스 300: 완주군 북부지역 농어촌버스 노선(동상, 화산, 운주, 대둔산 등) 운행 후 고산면을 출발하여 전주시내와 완주군 상관면을 지나 임실군 관촌면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전주~관촌 구간이 단축되었다.
- 고양 버스 333: 위 고양 버스 100(폐선)과 동일하게 인 고양 노선이었으나 2021년 10월 15일 폐선.
-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던 용인 버스 550: 경희대를 출발해 신갈, 구성, 수지를 경유해 양재역으로 가던 노선. 지금은 광교- 강남역으로 단축된데다가 아웃광주가 되었다.
- 청주 버스 405: 청원군 남이면 석판리 석판종점에서 청주시, 청원군 현도면을 거쳐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역까지 운행하던 좌석버스였으나, 2011년 4월 15일부로 비하종점으로 단축되면서 평범한 청주 노선이 되었다. 청원군 폐지 이후 2015년에 청주국제공항-신탄진 간 급행으로 변경되었으나 폭망하고 407번에 통합되면서 2018년에 폐선.
- 청주 버스 407: 청원군 내수읍 입상리 청주국제공항에서 청주시, 청원군 현도면을 거쳐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신탄진과선교까지 운행하는 좌석버스로, 노선 변경 없이 청주시-청원군 통합으로 인해 105번처럼 평범한 청주시 노선이 되었다.
- 서울 버스 570: 고양시 삼송동 ~ 광명시 노온사동 간 운행했던 간선버스. 유일무이한 서울특별시의 인 서울 노선이었으며, 범일운수와 신성교통 소속이었다. 그러나 장거리 운전으로 인한 피로에 버틸 수가 없었는지 범일운수에서 백기를 들고 사실상 폐선되어, 현재는 신성교통이 금촌 ~ 영등포로 단축과 동시에 일부 구간을 손질해서 서울 버스 760이 되었으나, 2017년 노선분할로 서울 버스 775, 서울 버스 761로 쪼개졌다. 775번은 아웃 서울 노선에 가장 근접한 노선이라는 타이틀을 남기고 2018년 4월 30일 폐선.
- 경기광주 버스 660: 2009년 3월까지는 광주-죽전 구간이 60번과 비슷했으나 43번 국도 경유로 바뀌어 그냥 광주 노선이 되었다. 광교 단축 이후 오산리~문형리 구간이 60번과 비슷해졌지만 종점이 광주 관내이기에 등재기준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 고양 버스 733: 서울 진관공영차고지에서 구파발역, 고양시 원흥지구, 화전동을 자나 다시 서울 상암동, 홍대입구역으로 가는 인 고양이다. 그러나, 수요저조라는 이유로 현재 무기한 휴업중이다.
- 청주 버스 747: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조치원역에서 청원군 오송읍, 청주시를 거쳐 청원군 내수읍 입상리 청주국제공항까지 운행했던 좌석버스 노선으로, 조치원역에서 석판종점까지 단축되었을 때에도 인 청주 노선이었으나, 2011년 4월 15일부로 405번과 함께 비하종점까지 단축되며 평범한 청주 노선으로 바뀌었다.[6]
- 고양 버스 830: 2011년 3월 23일 1500번 신설 전까지는 인 고양 버스였으며, 단축 이전의 노선은 교하 - 탄현, 중산 - 마두역 - 영등포 노선으로 운행했었다. 2015년 12월 현재는 덕이지구 - 탄현, 중산 - 마두역 - 영등포로 운행 중이다.
- 예전 김포 버스 959: 고양시를 거쳐서 김포시를 거쳐 강화도까지 운행하는 버스였으나, 고양시 면허로 전환되었다. 이후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 후 2014년 1월까지 운행한 뒤 96번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운행중인 95번과는 무관.
- 예전 김포 버스 960: 959번과 동일한 구간을 달렸으나, 현재는 이 노선이 본선이 되어 고양시 면허가 되면서 시내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 성남 버스 1002: 과거에 수원(광교)영업소에서 출발해 광교신도시와 수지구를 거쳐 판교신도시를 경유해 건대입구역까지 이어진 인 성남노선[7]. 원래는 아웃 광주 노선이었으나 2015년 5월 1일부로 대원버스로 면허 이관이 되었고 2019년 5월 7일부로 광교영업소~수지구 구간이 짤리고 판교제2테크노밸리로 기점이 변경돼서 그냥 평범한 성남시 버스 노선으로 바뀌었다가 폐선되었다.
- 김포 버스 1004: 원래 기점이 완정사거리라 인 김포였으나, 대광위 준공영제에 편입되면서 연장되면서 평범한 김포 버스 노선이 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005: 겉만 보면 아웃광주로 오해할 수 있겠지만, 엄연히 오포읍 양벌리를 경유하는 인 광주노선이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 노선이 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117: 역시 이것도 겉만 봐도 아웃광주로 오해할 수 있겠지만, 경기 광주시내도 걸치면서 양벌리도 경유하는 인 광주 노선이 되시겠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 노선이 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150: 용인시 모현읍 - 광주시 오포읍 - 성남시 분당구 - 서울역 간 노선. 오포읍 신현리도 거쳐가는 인 광주 노선이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 노선이 되었다.
- 성남 버스 1151: 용인시 모현읍 - 광주시 오포읍 - 성남시 분당구 - 강남역 간 노선. 본래 노선은 인 광주였다가 성남시 계열사인 대원버스로 넘어가면서 인 성남 노선이 되었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 노선이 되었다.
- 성남 버스 1241: 용인시 청덕지구에서 정자역, 서현동을 거쳐서 강남역까지 가는 노선. 원래 간선급행버스 8241로써 성남시 정류장이 정자역뿐이었던지라 아웃성남에 근접하였으나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고 성남시 정류장를 추가적으로 정차하게 되는 인 성남 노선으로 탈바꿈하였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시 노선으로 바뀌었다.
- 성남 버스 1251: 용인시 기흥구청에서 성남시 궁내동을 거쳐서 강남역까지 가는 노선. 역시 간선급행버스 8251번이었지만 예전 8241보다 한 술 더 떠서 성남시 정류장이 아예 없었다. 형간전환되고 성남시 정류장을 정차하게 되면서 인 성남 노선으로 전환되었으나 폐선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303: 광주 면허 시절에는 오포읍 문형2리를 경유하는 인 광주노선이었다. 현재는 그냥 용인 노선이며, 외대에서 능원리를 가다가 오포읍 문형리를 경유하긴 하지만, 토론기준상 인 용인 노선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 경기광주 버스 1500: 이것도 역시 오포읍 신현리를 거치는 인 광주노선이었으나, 신분당선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할 거라고 판단한 덕에 폐선.
- 경기광주 버스 1500-2: 외대에서 사당역으로 가는 도중에 오포읍을 거쳐서 가므로 인 광주 노선이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평범한 용인 노선이 되었다.
- 김포 버스 2000(선진상운): 3100번이 부활한 노선이었는데 폐선되었다.
- 성남 버스 2003: 본래 마북-분당신도시-강남역인 인 성남 노선이었으나, 노선이 단축되어 그냥 성남노선이 되었다가 폐선되었다.
- 안양 버스 3030: 군포시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안양시, 과천시, 서울 양재역, 강남역를 거쳐 신사역까지 가는 인 안양 노선이었으나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으로 그냥 군포 노선이 되었다.
- 김포운수의 김포 버스 3100: 과거에 화도-신촌구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였는데 형간전환되고 양곡-신촌역으로 단축되다가 폐선되었다가 이후 김포 버스 2000으로 부활했는데 또 다시 폐선되었다.
- 안산 버스 3102: 화성 송산그린시티가 조성되어, 노선이 연장됨에 따라 인 안산 노선이었으나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으로 그냥 화성 노선이 되었다.
- 경원여객의 안산 버스 5601: 원래 시흥시-안산시-시흥시-안양시-광명시-금천구-구로구-영등포구까지 갈 정도로 초장거리 좌석버스였으나 안산역으로 단축후 다시 경원여객 본사로 연장되었다가, 형간전환되면서 광명역 이후의 구간과 중앙역 이후의 구간이 전부 짤리면서 그냥 안산노선이 되었다.
- 남양주 버스 7007: 포천시 내촌에서 강남역을 잇던 인 남양주 노선이었으나 광릉내차고지로 단축되어 그냥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
- 수원 버스 7790: 화성시 수원대학교를 출발해 와우리, 수원시 호매실지구, 성균관대역을 거쳐 서울시 사당역까지 가는 버스였으나, 2020년 2월에 수원시 구간 미경유와 화성 면허로 이관되면서 그냥 화성 노선이 되었다.
- 수원 버스 7800: 7790번과 동일하지만 와우리 대신 봉담택지지구를 경유했다. 역시 2020년 2월에 서부공영차고지로 단축되면서 화성시를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그냥 수원 노선이 되었다.
- 남양주 버스 8012: 포천시 내촌차고지에서 잠실역을 잇는 노선이긴 한데, 포천시 정류소가 내촌차고지뿐이라 사실상 그냥 남양주 버스로 보는 게 옳았지만 광릉내로 단축되어 그냥 남양주 노선으로 전환. 물론 7007과 8012 모두 처음에는 광릉내에서 운행을 시작하다 차고지 계약 문제로 잠시 이전한 것일 뿐 원래는 그냥 남양주 버스였다.
- 화성 버스 8471, 화성 버스 8472: 수원시 수원역에서 화성시 봉담, 발안을 거쳐 평택시 안중읍까지 가는 노선. 원래 시외완행버스라 그냥 경기 노선이었지만,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어서, 인 화성 직행좌석 노선이었지만, 경기도 공공버스 편입으로 그냥 수원 노선이 되었다.
- 성남 버스 9414: 용인시 단국대학교에서 성남시를 거쳐 삼성역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 시외버스 9800: 원래 인 경기 시외버스였으나 인천 면허 광역버스로 변경. 삼화고속의 광역버스 면허는 인천광역시, 시외면허는 경기도 수원시 면허를 써서 그렇다.
- 청주 버스 407: 청원군 청주국제공항에서 청주시 상당공원을 거쳐 대전시 신탄진과선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나 청원군이 2014년에 청주시로 통합되었다.
- 제주 버스 38: 2006년 7월 1일(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전까지는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하귀리에서 '신제주-구제주' 제주 시내를 경유하고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함덕리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북제주군이 제주시로 통합되었다.
- 양산 버스 12: 운행경로가 무려 부산 동래구, 금정구 - 양산시 - 울산 울주군, 아름다운 지역경로로 통하여 운행되는 지방 시내버스 중 장거리이자 인 양산 노선이었으나 2021년 12월 1일 부로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로 단축되었다.
- 서귀포 버스 120, 130: 위에 제주 버스 38이랑 비슷하게 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대평리에서 '서귀포시내(중문관광단지와 서귀포 1호광장)' 경유하고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위미3리까지 운행했으나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남제주군이 서귀포시로 통합되었다.
- 시외버스 부산-울산: 운행경로는 무려 부산금정구 - 양산시 - 기장군(월평) - 양산시(웅상) - 울산 울주군(웅촌) - 남구 지역경로로 운행하는 지방 시외버스 인 양산이자 인 경남 노선이었으나 통신사로와 이예로 경로가 변경되면서 운행하였으나 이용객 감소로 2023년 5월 1일 폐선되었다.[8]
- 김포 버스 1004: 원래 1002번과 기종점은 똑같고 김포한강로를 통해 이어줘 장거리 수요를 노린 급행 성격의 인 김포 노선이었지만 대광위 이관 이후 인허가권 문제로 인해 이 노선만 따로 기점이 김포시 양촌읍으로 연장되었다. 그래서 김포를 출발해서 인천으로 들어온 뒤 다시 김포로 들어가고 서울로 나가는 부천 88번과 비슷한 양상의 노선이 되었다.
- 김포 버스 3000: 원래 강화군 - 김포시 - 서울특별시 형태로 운행하던 인 김포 노선이었으나, 대광위 준공영제의 규정에 위배되어(기점이 경기도에 위치하지 않음) 2024년 7월 1일에 기존 3000번은 월곶공영차고지로 단축과 동시에 3000-1번으로 변경하고 8대를 차출하여 강화군에서 출발하는 인천 면허 3000번을 신설하여 인 김포 노선이 아니게 되었다.
17. 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업체명 가나다순. 전환시외를 제외한 고속면허 버스는 전국구를 사업단위로 하므로 여기서는 적지 않는다. 차적지는 도(道) 단위로 하며 남북도 모두 중간에 걸치는 노선은 특별히 표기한다.- 경기고속의 동서울-인천(1801번) 노선: 원래 아웃경기 노선이었으나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가천대를 경유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인경기 노선이 되었다.
- 경기고속의 인천공항-동송(철원) (7600번) 노선: 원래는 포천에서 종착했지만 2024년 복행과 함께 동송으로 연장되면서 인 경기 노선이 되었다.
- 경기고속의 시외버스 원주-천안 노선: 중간에 경기도 안성시를 경유한다.
- 경일여객의 시외버스 인천-진천 노선: 중간에 경기도 안산시(일부 시간대에는 안양시), 수원시, 안성시를 경유한다.
- 금아여행의 시외버스 거진-부산 노선: 중간에 경상북도를 경유한다. 일부 시간 포항시, 울진군을 경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 전북고속의 대구서부-여수 완행 노선: 중간에 전북 남원을 경유한다. 대구서부에서는 구례까지, 여수, 순천에서는 남원까지만 발권 가능하다.
- 전북여객의 시외버스 대전복합-광주 완행 노선: 중간에 남원시-무주군구간 사이 연선 경유지를 모두 경유한다.
단 광주에서는 무주까지, 대전에서는 남원까지만 발권 가능하다.
-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시외버스 성남-김해 노선: 중간에 경상북도 구미시를 경유한다.
- 푸른교통의 시외버스 언양-부산 노선: 중간에 경상남도 양산시의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 서울고속의 시외버스 춘천-대전복합(청주 경유): 중간에 충청북도 청주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 새서울고속의 시외버스 강릉-전주, 강릉-군산 노선: 중간에 충청북도 청주북부터미널을 경유한다.
18. 항공
일반적으로 항공 노선은 외국과 외국 사이에 자국을 경유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버스의 인 노선이 성립할 수 없다. 같은 항공사끼리 환승이 되기 때문에 굳이 이런 식의 노선을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굳이 인 노선과 유사한 패턴을 찾자면 자국 - 외국 - 자국 노선이 있겠다. 버스로 치면 서울-성남-서울 노선인 452번과 같은 패턴.그러나 예외로 아에로플로트가 있는데, 런던 - 나리타, 파리 - 나리타, 로마 - 나리타의 3개 항공편이 모스크바를 경유하는 단일 항공편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기체는 모스크바에서 교체되는 방식이다.
자국 - 외국 - 자국 노선의 경우 인 미국, 인 프랑스 노선이 대표적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인 영국 노선이 홍콩에 들렸던 사실도 있다.
- 에어 오스트랄, 프렌치비, 에어 타히티 누이, 에어 카라이브, 에어 프랑스 등 프랑스의 해외영토와 본토를 잇는 항공사들의 경우 중간에 외국 영공을 지난다, 또 타히티와 프랑스는 거의 지구 반대편이기 때문에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를 경유하는 인 미국 노선이 생긴다.
-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을 거친 미국행 항공편을 굴러다니던 항공사는 겉으로 봐도 인 미국 노선으로 보이지만 이 구간에는 다른 나라 1곳이 끼이는 경우가 있어 애매한 사례에 해당되며, 반대급부로 호놀룰루의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을 경유하고 있는 일부 나라 소속 항공사들이 미국으로 거쳤을 때에도 물론 인 미국 노선에 해당되고, 한 때 대만의 에바 항공이 시애틀을 거쳐 뉴욕으로 가는 항공편을 띄워서 인 미국 항공 노선 역시 존재한다.
캐세이퍼시픽의 밴쿠버 경유 뉴욕 노선은 아니지만한국의 야간 통행 금지 이전 시절 앵커리지는 대한항공의 거점 도시 역할을 했었지. 나중에 냉전 시즌 2가 오면 다시 쓸 지도 모르고 - 과거 사례: 캐세이퍼시픽 항공이 영국령이던 홍콩 시절 장거리 국내선 취급을 하였던 영국 노선이 있었지만 중간 상공을 외국들이 많이 끼었던 것으로 보이며 한국에서 출발한 영국항공도 1990년대 초반부터 진짜 인 영국 노선을 굴러다녔다.
19.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교통공사 전동차가 인천~의정부(일부시간대는 양주역 까지) 또는 서동탄~광운대 구간을 운행할 경우 서울교통공사 구간인 서울역~청량리역 구간을 지나가므로 인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의정부 - 서울 - 광명 - 서울 - 부천 - 인천의 인 서울 노선.[9]
- 수도권 전철 8호선: 별내선 연장으로 인한 남양주 - 구리 - 서울 - 성남 의 인 서울 노선.
- 분당선: 서울(왕십리) - 성남(분당) - 용인(신갈) - 수원(매탄). 인 분당 노선이다.
- 신분당선: 서울(강남) - 성남(분당) - 용인(수지) - 수원(광교). 마찬가지로 인 분당 노선이다.
- 과천선: 서울 - 과천 - 안양 - 군포의 인 과천 노선.
- 안산선: 군포 - 안산 - 시흥의 인 안산 노선.
- JR 서일본 산요-큐슈 신칸센: 신오사카역에서 가고시마츄오역를 잇는 노선인데, 기점역인 신오사카역은 재래선은 JR 서일본 관할구역이지만, 신칸센 JR 도카이 관할구역이므로 자사 구간이 아니고 종점역인 가고시마츄오역은 JR 큐슈 관할구역이다. 인 JR 서일본.
-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JR 츄오 본선의 미타카역을 출발해 나카노역, 오테마치역, 니시후나바시역을 거쳐 JR 소부 본선의 츠다누마역이나 토요 고속선의 토요카츠타다이역까지 운행하는 인 도자이 노선
-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도큐 메구로선의 히요시역을 출발해 메구로역, 코마고메역, 아카바네이와부치역을 거쳐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우라와미소노역까지 운행하는 인 난보쿠 노선
-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도부 토죠 본선의 신린코엔역이나 세이부선의 한노역을 출발해 코타케무카이하라역, 이케부쿠로역,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 시부야역, 도큐 도요코선 요코하마역을 거쳐 미나토미라이선의 모토마치·츄카가이역까지 운행하는 인 후쿠토신 노선
- 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의 쿠키역이나 미나미쿠리하시역을 출발해 오시아게역, 오테마치역, 시부야역을 거쳐 도큐 덴엔토시선의 츄오린칸역까지 운행하는 인 한조몬 노선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 JR 조반선의 토리데역을 출발해 아야세역, 니시닛포리역, 오테마치역,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 요요기우에하라역을 거쳐 오다큐 오다와라선의 이세하라역까지 운행하는 인 치요다 노선
- 도에이 아사쿠사선: 케이큐선을 출발해 시나가와역, 센가쿠지역, 다이몬역, 신바시역, 오시아게역을 거쳐 케이세이선까지 운행하는 인 아사쿠사 노선
- 도큐 전철 도요코선: 도부 토죠 본선의 신린코엔역이나 세이부선의 한노역을 출발해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코타케무카이하라역, 이케부쿠로역,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 시부야역, 도큐 도요코선 요코하마역을 거쳐 미나토미라이선의 모토마치·츄카가이역까지, 혹은 도큐 신요코하마선 신요코하마역을 거쳐 사가미 철도 쇼난다이역까지 운행하는 인 도큐 노선
- 도큐 전철 메구로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의 우라와미소노역이나 도에이 미타선의 니시타카시마다이라역을 출발해 도쿄메트로 난보쿠선과 도에이 미타선의 공용 구간인 시로카네타카나와역, 도큐 메구로선 메구로역, 무사시코스기역, 히요시역, 도큐 신요코하마선 신요코하마역을 거쳐 사가미 철도 에비나역까지 운행하는 인 도큐 노선
20. 인 ○○ 노선이 아닌 경우
- 부천 버스 88: 행선지에는 '계산동 - 부천 - 여의도' 이렇게 쓰여있지만, 실제 기점은 부천 대장공영차고지이다. 차고지를 빠져나가 인천광역시 계양구, 부평구를 지나고 부천시를 다시 경유한 후 서울로 진입한다. 따라서 인 부천이 아니다.[10]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출발해 서울특별시를 거쳐 경기도 양평군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노선과 차량이 모두 영업을 전국단위로 하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이라 인 서울이 아니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역(또는 중랑구 상봉역)에서 출발해 경기도를 거쳐 강원도 춘천시 춘천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노선과 차량이 모두 영업을 전국단위로 하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이라 인 경기가 아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에서 출발해 경기도를 거쳐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또는 동대문구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노선과 차량이 모두 영업을 전국단위로 하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이라 인 분당이 아니다.
- 케이힌토호쿠선: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오미야역에서 출발해 도쿄도를 거쳐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요코하마역에서 네기시선과 직결해 가마쿠라시의 오후나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노선과 차량이 모두 영업을 혼슈 동부로 하는 JR 동일본 소속이라 인 도쿄가 아니다.
[1] 인 노선과 아웃 노선은 양측 기종점이 모두 면허지 바깥에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단지 면허지 안에서 해당 노선이 지나가는 정류장이 있느냐(인 노선) 아니냐(아웃 노선)의 여부 차이만 있다.[2]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규정으로는 주 수요처와 관계없이 차고지만 기점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부 기점이 있는 지자체의 면허가 되었는데, 이 두 노선만은 예외. 당시에는 수원시 구간도 용인시에서 지원을 해줬다.[3] 문의행 제외[4] 특이한 점이라면, 양주시를 2번이나 경유했다는 것이다.[5] 운행이 중단된 51번과는 달리, 60번은 롯데마트와 장림을 오가는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6] 이후 다시 오송읍으로 연장되었으나, 청원군이 청주시에 통합된 이후이다.[7] 대원버스의 일부 차량이 용인시 면허인 경기 78 아로 되어 있다. 이 노선에서도 일부 차량이 용인시 번호판을 달고 다니긴 한다.[8] 심야노선 한정으로, 주간 노선은 아웃 경남에 해당했다.[9] 하지만 거의 3대중 2대의 비율로 도봉산행이 오고, 2대중 1대의 비율로 온수행이 오는 데다가, 까치울역 ~ 석남역 구간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로부터 위탁관리를 하기 때문에 애매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운행되는 열차는 모두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이므로 인 서울교통공사 자체는 성립한다.[10] 사실 기점에서 한 정거장만 가면 바로 계양구다. 대장동(차고지) - 부천 - 여의도 행선지는 동사의 83번이 쓰고 있기 때문에 차별성을 위해서 이렇게 운행하는 것으로 추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