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20:55:14

삼국지 시리즈/장수(ㅇ)

1. 개요2. 아귀3. 아단4. 아차새5. 아하소과6. 아회남7. 악진8. 악취9. 악침10. 악환11. 안량12. 안명13. 양강14. 양관15. 양기16. 양도17. 양령18. 양릉19. 양무20. 양민21. 양밀22. 양백23. 양봉24. 양봉25. 양부26. 양서27. 양송28. 양수29. 양습30. 양씨31. 양앙32. 양의33. 양임34. 양정35. 양제36. 양조37. 양조38. 양직39. 양추40. 양추41. 양평42. 양표43. 양호44. 양홍45. 양홍46. 양회47. 양휘유48. 양흔49. 양흥50. 양희51. 어부라52. 엄강53. 엄백호54. 엄씨55. 엄안56. 엄여57. 엄정58. 엄준59. 여개60. 여거61. 여건62. 여건63. 여공64. 여광65. 여대66. 여령기67. 여몽68. 여백사69. 여범70. 여상71. 여상72. 여예73. 여위황74. 여일75. 여패76. 여포77. 염상78. 염온79. 염우80. 염유81. 염포82. 염행83. 영수84. 영제85. 영호우86. 예형87. 오강88. 오거89. 오경90. 오경91. 오광92. 오국태93. 오돈94. 오란95. 오반96. 오범97. 오부98. 오석99. 오씨100. 오습101. 오언102. 오연103. 오연104. 오의105. 오자란106. 오질107. 오찬108. 온회109. 올돌골110. 옹개111. 완우112. 완적113. 왕경114. 왕관115. 왕광116. 왕기117. 왕기118. 왕도119. 왕도120. 왕돈121. 왕동122. 왕랑123. 왕련124. 왕루125. 왕릉126. 왕매127. 왕모128. 왕문129. 왕방130. 왕보131. 왕사132. 왕사133. 왕상134. 왕상135. 왕수136. 왕숙137. 왕식138. 왕쌍139. 왕업140. 왕열141. 왕원희142. 왕위143. 왕윤144. 왕융145. 왕이146. 왕자복147. 왕준148. 왕진149. 왕찬150. 왕창151. 왕창152. 왕충153. 왕칙154. 왕침155. 왕평156. 왕필157. 왕함158. 왕항159. 왕해160. 왕혼161. 왕후162. 요립163. 요주164. 요화165. 우금166. 우금167. 우길168. 우독169. 우돌170. 우미171. 우번172. 우보173. 우사174. 우전175. 원담176. 원상177. 원소178. 원술179. 원요180. 원유181. 원윤182. 원춘경183. 원환184. 원희185. 월길186. 위강187. 위관188. 위막189. 위소190. 위속191. 위연192. 위월193. 위유194. 위자195. 위진196. 위풍197. 유괴198. 유기199. 유기200. 유대201. 유도202. 유략203. 유리204. 유모205. 유민206. 유반207. 유방208. 유벽209. 유보210. 유복211. 유봉212. 유비213. 유선214. 유선215. 유선216. 유섭217. 유소218. 유순219. 유승220. 유식221. 유심222. 유씨223. 유언224. 유연225. 유엽226. 유영227. 유요228. 유우229. 유은230. 유의231. 유장232. 유정233. 유정234. 유종235. 유주236. 유준237. 유준238. 유찬239. 유초240. 유파241. 유평242. 유표243. 유표244. 유표245. 유현246. 유화247. 유훈248. 육개249. 육경250. 육모251. 육손252. 육울생253. 육윤254. 육적255. 육항256. 윤대목257. 윤례258. 윤묵259. 윤상260. 윤씨261. 윤직262. 윤해263. 은관264. 은례265. 은번266. 은서267. 음기268. 응소269. 응창270. 이각271. 이감272. 이구273. 이규274. 이몽275. 이밀276. 이별277. 이보278. 이복279. 이봉280. 이부281. 이붕282. 이섬283. 이소284. 이숙285. 이승286. 이씨287. 이악288. 이엄289. 이유290. 이의기291. 이이292. 이적293. 이전294. 이조295. 이통296. 이풍297. 이풍298. 이풍299. 이형300. 이회301. 이흠302. 임준

[clearfix]

1. 개요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수들 중 (ㅇ)자로 시작하는 무장들을 정리한 문서.

2. 아귀

파일:아귀.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어다가 무려 22년만에 삼국지 14에서 복귀를 했다. 그나마 무력이 70대 이기 때문에 간간이 쓰는 사람도 있다. 여담으로 이름이 어류 아귀와 같기 때문에 가끔 아구라고 오해하는 사람이 있다.

100만인의 삼국지에서는 저강대왕 일러로 등장한다.

삼국지 6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6/74/35/29/27로 클론 이민족 장수들이 성능이 좋아지면서 피해를 본 장수 중 하나다.

숨겨진 능력치는 의리 6, 야망 8, 수명 6, 냉정 2, 용맹 5, 주전 7이고 성장은 보통이다. 일기토 작전은 일격필살 하나인데 일격필살은 무력 90이 넘어가야 쓸모있어 일기토가 거의 불가능하다. 게임상에서 175년 출생으로 200년의 하북쟁란부터 등장한다. 223년의 소열제 승하 이전 때부터 등장하지 않으며, 175년생으로 설정되어 있어 시나리오상에서는 길게 잡아도 50세가 되기 전에 죽었다는 것이 된다. 다만 수명이 6이라서 실제로 플레이 할 때는 223년을 남기는 경우가 많다. 그때문에 이민족 도시에 아귀 같은 필요없는 무장을 주둔시키면 편하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오른손에 창을 든 채 돌격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6/73/20/18/48인데 삼국지 6과 달리 많이 상향되었다. 개성은 강저, 저돌,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급습, 도발, 친애무장은 마초, 천만,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난폭남.

이번작에서 공개된 무장들 중 오십음도 순으로 2번째다. 여담으로 동료 천만도 삼국지 6에서 출연했했다가 자신과 같이 삼국지 14에 복귀했다. 그런데 저돌과 직정이라는 패널티 개성 덕분에 전장에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3. 아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0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0편,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5/지력 57/정치 52/매력 48의 능력치이며, 전법은 3종류(그 중 하나가 차현), 특기는 기병 하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왼손으로 고삐를 쥔 채 오른손에 든 봉을 높이 치켜올리고 있다.

승상이라는 제갈량이 떠오르는 직책을 감안했는지 통솔력이 72이며, 이민족 장수에게 특히 박한 지력도 78로 뛰어올랐다. 이민족 장수들은 하나같이 50대 이하를 찍는 마당에, 게다가 그것도 가상인물 주제에 이민족 장수들 중에서 지력이 제일 높다. 지력 70대 턱걸이에 비하면 큰 혜택을 받은 셈. 군사 특기도 기본적으로 갖고 있고, 비책인 치유지책과 지휘지책을 가지고 있다. 감시 특기가 달린 질려봉을 보유하고 있어 순찰국에 배치해 감시장으로써의 역할도 가능하다. 활용도 면에서는 오환의 답돈에 버금가는 전천후 장수다. 전법은 철벽돌격.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65/78/53. 특기는 상업 3, 훈련 2, 신속 4. 전수특기는 신속이고 전법이 기방강화였지만 PK에서 강족답게 저강철벽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54, 지력 69, 정치 51,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2, 무력이 11, 지력이 9,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강저,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장사, 전법은 격려, 매성, 친애무장은 월길, 철리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4. 아차새

삼국지 6에서만 등장하는데 게임상으로 198년생으로 설정되어 223년의 소열제 승하 때부터 등장했다가 249년의 북벌 강행부터 등장하지 않는데, 시나리오상에서는 길게 잡아도 40대 후반이나 50대 초반에 죽었다는 것이 된다.

5. 아하소과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0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연의를 따라 한 인물로 나온다. 안 짤리고 등장한다는 데에 의의를 두자.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1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1/76/1/12/32인데 지력이 올돌골과 공동 최하위인 것이 눈에 띈다. 특기 3개는 돌격, 기합, 기염으로 역시 능력치, 성향대로 준 느낌.

그런데 항복하지 않고 자결했음에도 의리가 의사가 아닌 보통이다. 본인 자신은 별 쓸모가 없으나 귀한 돌기병 8천~1만을 사병으로 들고 다니기 때문에 등용할 가치가 충분하다. 일러스트는 대머리인데 몸도 마른 편이라서 티베트 승려같은 묘한 이미지를 풍긴다. 홍석천과 외모가 꽤 닮았다는 반응도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원본에서 짤렸다가 PK에서 이민족으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수염을 기르고 대머리에서 투구를 쓴 모습으로 바뀌었다.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도검을 든 채 요격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76/13/21인데 안 좋은 건 물론이고 특기마저 없지만 전법은 우수하다는 평을 받는 철벽 돌격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신속 3, 일기 1. 전수특기는 신속이고 전법은 창속강화.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75, 지력 12, 정치 20, 매력 3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 지력,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강저, 저돌, 단려,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분전, 교란, 친애무장은 미당대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6. 아회남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hui_Nan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안 짤리고 나오면 다행인 수준.

참고로 삼국지 시리즈에서 편집을 하려다 보면 은근히 자주 볼 수 있는 장수다. 장수 일람에서 일본어 오십음도 순서상 가장 먼저 나오기 때문. 한국에서 정발된 시리즈의 경우 가규가 가장 위에 나오지만 정발되지 않은 삼국지 12 등에서는 이 장수가 가장 위에 있다.[1]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74/지력 29/정치력 22. 병법으로는 보병 최강 전법인 분신하나 뿐이지만 분신 덕분에 이릉대전 이후 인재 부족이 심한 촉나라 군에게 유용한 인재이긴 하다.

기본 의리는 맹획을 배신한 거 치고는 제법 되지만(의리 8, 야망 4)[2] 워낙 지력이 낮아서 어중간한 의리로는 이간질을 버틸 수가 없는 게 문제. 포상은 꾸준히 해주고 통솔력과 지위를 조절해서 시설이나 부대의 대장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그 외에 특이사항이 있는데 데이터가 잘못 만져져서인지는 몰라도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 당당히 1살 장수로 등장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74/지력 26/정치력 32/매력 41에 특기는 일제, 기합, 반격. 총 3개. 전형적인 남만 무장들의 능력치가 딱 저렇다.

삼국지 11부터 이민족임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투구가 아니라 터번을 쓰고 있다. 아랍계, 페르시아계나 인도계처럼 보일 정도.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도검을 들고 왼손으로 밧줄을 든 채 맹획을 붙잡아 끌고 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4/지력 26/정치력 33에 기병이고 만성동갈, 특기는 병심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4/지력 26/정치력 33.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훈련 2, 순찰 1, 분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기병공격진이며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B/궁병 C.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74, 지력 26, 정치 33, 매력 44이며 개성은 남만, 단려, 주의는 할거,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은 금환삼결, 동도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7. 악진

악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8. 악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8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9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2에서는 무력 74를 찍으며, 원술군 맹장 2위를 차지했다.[3]

참고로 기령, 유비보다 쎄다.[4]

삼국지 3에서는 무력부터 60대라 장군이 되는 건 불가능하고, 사실 원술군에서 장군이 가능한 장수는 원술 본인과 기령, 장훈 뿐이다. 물론 지력과 정치력은 이런 부류의 잡장들이야 안 봐도 비디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70/47/34. 병법으로는 분전과 몽충, 정란을 가지고 있는 게 전부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6/68/58/39/52에 특기는 나선 단 1개 뿐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연두색 두건을 쓴 채 검과 방패를 들고 소리치면서 원술 토벌군과 맞서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3/66/61/42.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견수이며 전법은 기방강화.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66, 지력 58, 정치 39,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주의는 할거, 정책은 군제개혁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은 양강, 이풍, 진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9. 악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9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별로 특이한 점은 없지만 과연 세트 메뉴답게 장호대릉이 친애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53/수전지휘 12/무력 56/지력 43/정치력 25/매력 31에 야망 6, 운 7, 냉정 8, 용맹 9라 장군도 못 되고 군사도 못 된다.

이는 친구인 장호도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다. 물론 아버지를 닯아서인지 용맹만 평타 이상이긴 하다. 하지만 끔살당했다는 최후를 반영해서인지 능력치는 장호보다도 더욱 우울하다. 그냥 그저그런 2세 장수일 뿐인데 같은 2세 장수로 비교해도 하위권. 물론 옆동네의 바보 황제같은 동네의 병졸만도 못한 장수보다는 상황이 좀 낫긴 하지만 모든 2세 장수 중 가장 대박친 장수(손책])나 아버지의 재능을 하나씩만 물려받은 2세 장수들(조비, 조창, 조식)에 비해서는 떨어진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5/지력 39/정치력 43으로 능력치와 보유 병법 모두 아버지의 마이너 버전. 병법으로는 분투, 돌진, 정란, 충차를 가지고 있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보병과 기병계 병법만 있고 노병과 궁기병계 병법은 보유하지 않고 있다. 공성계 병법 숙련도가 후기 장수 치고는 300으로 높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5/지력 41/정치력 49/매력 57에 특기는 치안, 돌격, 저지, 삼단, 나선. 총 5개.

전체적인 능력치가 장호(74/73/44/46/56)와 흡사한데, 특기 개수에서 3개(훈련, 돌격, 역공)밖에 없는 장호에 우위를 점한다.

삼국지 12에선 원본에서 짤렸다가 PK에서 추가되었고 아버지와 매우 비슷한 외모의 일러스트로 등장하는데 정황상 반란을 일으킨 제갈탄을 가리키며 꾸짖는 걸로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75/지력 43/정치력 41. 특기는 훈련 3, 순찰 1, 공성 3, 일기 1. 전수특기는 훈련이며 전법은 공격지휘.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75, 지력 40, 정치 42,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강건, 주의는 패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추행, 전법은 돌격, 경파, 친애무장은 장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스탯이 어느정도 되는 편이라 쓸만하다.

10. 악환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_Huan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8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냥 무력만 80대의 잡무관. 하지만 후반기 인물임을 감안한다면 그럭저럭 쓸 만한 무장이다. 역시 그 상관에 그 부하답게 의리가 낮아서 위나라, 오나라의 희망이 되기도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81/지력 47/정치력 22. 병법으로는 분투 하나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83/지력 49/정치력 24/매력 50의 멧돼지형. 특기는 치안, 회복, 반격, 나선. 총 4개.

옹개보단 못하지만 능력치 합이 상관인 고정보다 높다.

삼국지 11의 특기는 극장이다. 무력이 83이라서 크리티컬이 잘 터진다. 어째 쓸데없이 얼굴이 잘생긴 편.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방천극을 잡은 상태에서 휘두르고 있으며 전법은 창군병격.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82/지력 42/정치력 21. 특기는 훈련 1, 신속 1, 연전 1, 일기 3으로 전수특기는 일기이며 전법은 수비명령.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82, 지력 42, 정치 21, 매력 40이며 개성은 호걸, 숲전, 저돌,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은 고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11. 안량

안량(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2. 안명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지력과 정치력은 엄청 낮으며 무력은 63 정도라서 영 쓸모가 없다.

13. 양강

파일:external/kongming.net/477-Liang-Gang.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0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0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원술군의 부장다운 능력치로 같이 죽은 동료들과 비슷한 능력치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5]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70/지력 42/정치력 27/매력 53에 특기는 징병, 일제, 회복. 총 3개.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성벽 위에 농성하면서 오른손으로 성벽을 잡고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9/지력 41/정치력 22. 특기는 훈련 1,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며 전법은 화계. 음성은 정중.

광정 전투 이벤트에서 원술원소를 공격할 방안에 대해 묻자 조조를 공격해 원소 토벌의 발판을 만드는 것을 제안하며, 조조군을 공격했다가 패하자 완성으로 퇴각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완으로 가는 퇴로가 막힌 것을 알린다. 그런데 어째선지 수춘을 지키다가 처형되었는데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지 않고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9, 지력 42, 정치 22, 매력 4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개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철벽, 친애무장은 악취, 이풍, 진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4. 양관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15. 양기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영제 때부터 시중으로 임명될 정도의 신하를 젊은 장수로 등장시켜서 235년에 시작하는 시나리오 6까지 계속 등장할 정도다. 초기의 고증 부족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유저 패치에서 조차 수정되지 않았다.

애초에 시중이라는 직책을 지낼 정도의 인물이 동탁 휘하 시나리오에서 연령이 10대라는 말도 안 되는 부분을 보여주는데다가 초반 시나리오에서는 동탁 세력에 소속되어 있다가 조조 휘하 문관으로 계속 등장하는 걸로 봐서는 위나라의 양기가 합쳐진 것에 가깝지 않을까 싶다.(퓨전?)

2명 다 생몰년도가 확실치 않다 보니 초기의 고증 부족 탓에 생긴 일인 것으로 보인다.

16. 양도

파일:양도(오).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31, 지력 79, 정치 62, 매력 63이며 개성은 안목,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화시, 저지, 강습, 친애무장은 손등, 이형, 종리목,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그런데 형주 남양군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어째선지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출신지인 완이 아닌 신야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17. 양령

삼국지 2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18. 양릉

삼국지 8에서만 등장한다.

19. 양무

파일:양무.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공손도와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26, 지력 67, 정치 77, 매력 70이다. 개성은 진흥, 위무,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저지,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그런데 연주 산양군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영웅집결과 성씨패란 시나리오에서 출신지인 복양이 아닌 진류의 재야로 등장한다. 거기다가 스탯과 진형, 전법이 모두 도움이 안 되어서 주로 내정용으로 쓰이지만 위무라는 개성 덕분에 도시에 배치하면 도적의 출현을 막을 수 있다.

20. 양민

파일:양민.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솔 11, 무력 8, 지력 48, 정치 61, 매력 37이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친 채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장완을 비판하고 있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생년은 204년, 몰년은 253년까지 설정되어 있으며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은데다가 정치가 61짜리 문관이라 내정용으로 쓰이나 의외로 병참개혁 정책 덕분에 선택했을 때 군량 소모를 줄일 수 있다.

21. 양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56.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을 가슴에 올린 채 오른손을 펼치면서 양표를 죽이려는 곽사를 말리고 있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5/32/51/68. 특기는 농업 1, 문화 1, 교섭 3 ,언변 2로 전수특기는 동료 문관형인 마일제와 같은 교섭이며 전법 역시 그와 마찬가지로 궁방약화.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는 노옹. 문관형임에도 불구하고 지력이 낮아서 외교 등을 할 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정용으로 굴려주자. 생몰년도가 174~243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말대로라면 20대에 중랑장을 지냈다는 말이 된다.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뭣보다 일러스트가 백발 노인 이미지에 나이는 서청년이라서 아주 어색하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45, 무력 32, 지력 51, 정치 53,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0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5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주의는 예교, 정책은 종횡술 Lv 1, 진형은 봉시,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137~199년으로 변경되어 그나마 게임 내 나이와 일러스트 괴리감이 없어졌고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2. 양백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형 양송보다 조금 더 나은 능력치를 보여준다. 물론 그래도 능력치는 나쁜 D급 무관이지만 이미지가 확실히 적립되지 않아서 일러스트, 능력치 배분이 조금 들쭉날쭉하다. 삼국지 11까진 갑옷을 입은 모습이었으나 삼국지 12부턴 갑자기 문관으로 등장한다. 그런데 형 양송이 저지른 만행 때문에 유저들에게 포로로 잡히면 형과 함께 자주 처형당하는 안습함을 보여준다. 삼국지 4편과 삼국지 5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31/36/26. 특기는 정찰, 일기 뿐이다.

이래봬도 장로군에서는 장위 다음가는 용장(!)이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31/36/26. 특기는 없으며 전법은 기습 2. 성장 타입은 무력.

능력치 자체는 전작과 거의 같으나 특기 배분도 나빠졌고 숨은 능력치인 용맹이 2로 떨어졌다. 오랫동안 출연하지 않았었던 양앙양임도 나오면서 장로군 내에서도 입지가 상당히 좁아졌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8/46/12/21. 이번작부터 도대체 써먹을 데 없는 형편없는 능력치가 굳어진다.

무력이 46밖에 안 돼서 어지간한 쓰레기 장수도 이렇게 저렇게 쓸 수 있는 이번작에서도 잉여인 장수. 병법도 제사 하나 뿐이지만 장로군에서는 장위와 함께 공성계 병법을 가지고 있으나 사용하기가 어렵다. 형과 마찬가지로 잡는 즉시 처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8/57/10/17/14의 쓰레기급 무관의 능력치에 특기는 화시 단 1개 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뒤로 가리키면서 장로에게 마초를 비난하고 있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4/45/19/26에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상업 1 단 하나 뿐. 병과 적성은 창 B/기 C/궁 C이고 전수특기도 당연히 상업으로 전법은 궁방강화다. 의리는 경시.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4, 무력 45, 지력 19, 정치 26, 매력 18이며 개성은 소심, 나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1, 진형은 장사, 전법은 매성,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마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3. 양봉

파일:삼국지3양봉.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angfeng-rotkx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1.jpg
삼국지 12, 13, 14

대접이 그리 좋지 않다. 친구인 한섬은 백파적스러운 사나운 인상과 복장으로 등장하는데 양봉 본인은 의외로 갑옷을 잘 갖춰입고 나오는 편. 이유는 알기 힘들지만 가끔씩 둘의 궁합 수치가 많이 차이가 날 때도 있다. 삼국지 4편과 삼국지 5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6]

특이사항으로는 여러차례 진영을 바꾸고 연의에서 노략질하다 유비에게 살해당한 것 때문에 숨겨진 능력치인 의리가 최저로 설정된(...) 경우가 많은데 황제를 끝까지 호위한 경력 덕분에 한실 중시로 설정된 경우가 많다. 즉, 의리가 최저이면서 한실을 중시하는 독특한 성향을 가진 무장이다. 그 반대인 의리 최고에 한실 무시도 화만, 조모 정도로 드물다.

삼국지 2에서는 시나리오 2(군웅할거)에서 선택 불가능한 군주로 등장하고, 휘하에 서황이 있다.

삼국지 3에서는 변변치 않은 잡장 스탯인데 능력치는 육전지휘 56/수전지휘 21/무력 63/지력 47/정치력 29/매력 48. 말 그대로 잡장.

1회 단역들 중에서도 이것보다 스탯이 높은 장수들이 수두룩하다. 일례로 사서에는 "곽사를 죽였다" 하나 밖에 안 써 있는 오습도 장군이 될 수 있는데 양봉은 육전지휘고 수전지휘고 무력부터 영 낮아서 장군이 되지 못한다.

삼국지 6에서는 군웅할거에서 독립 군주로 등장한다.

거점인 진양은 인구는 적지만 기병을 징병할 수 있고 휘하는 서황이 홀로 있으므로 서황만 믿고 어떻게든 해봐야 한다. 서황이 아직 완숙하지 않아서 무력이 80대고 지력도 50대지만 이것만으로도 무력은 70대 빼고 모두 쩌리인 양봉보다는 훨씬 낫다. 더욱이 서황의 꿈이 의협이라서 배신도 하지 않는다. 양봉 본인의 꿈도 대의이고, 의리 수치도 높다.

삼국지 7탄부터 양봉의 일러스트 번호가 0번이 되었다.[7]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68/지력 29/정치력 21. 병법으로는 돌파, 정란, 뿐이다.

돌파는 1단계 병법이라 구리고, 정란은 그나마 공성전에서 쓸만하지만 노병계나 궁기병계 병법이 없기 때문에 정작 공성전에 데려가면 상대의 요격으로 야전이라도 발생하지 않는 이상은 무병법 장수로 변한다. 그래도 이번작은 잡장에 대하여 관대한 편인지라 토류 노가다로 숙련치를 쌓아서 최종단계 병법인 돌격을 배우거나, 아니면 후방 도시로 군단을 편성해서 위임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3/지력 34/정치력 28/매력 58로 뭐 하나 써먹을 데가 없는 잉여. 특기는 상업, 돌격. 총 2개다.

돌격은 그렇다 치고 양봉의 정치력은 28인지라 상업 특기는 써먹을 데도 없다. 물론 애매한 무장으로 전 특기 습득 플레이를 하게 된다면 양봉이랑 친해두면 상업 특기 획득 시 도움이 된다는 점은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 서황과 함께 재야 인사이며 낙양에서 거병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거병한 지 얼마 안 돼서 높은 확률로 조조이각군에게 짓밟힌다. 이번작에서는 특히 일러스트가 크게 달라져 일러스트만 보면 상당히 강력한 장수일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현실은 시궁창. 연의에서나 정사에서나 활약상과 존재감 대비 최고의 일러스트라고 평한다.[8]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창을 두 손으로 든 채 소리치면서 분투하고 있으며 전법은 전공격강화로 그나마 쓸 수는 있는 수준이고, 이각과 곽사와 동일한 전법이다. 라이벌 구도로써 같은 전법를 준 듯.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65/지력 31/정치력 14. 특기는 훈련 1, 순찰 1, 공성 1이고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궁방약화. 병과 적성은 창병과 기병이 B/궁병 C.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65, 지력 34, 정치 20,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이 3, 정치력이 6 상승했다. 개성은 동원, 저돌, 적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분전, 견제, 저지, 친애무장은 한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24. 양봉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3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편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영 좋지 않다. 남만돼지들이 보통 무력이라도 좋은 데 비해 무력마저도 50대에 그친다. 삼국지 9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5에서는 후한의 군벌인 양봉이 지명도가 높은데 짤리고 남만의 장수 양봉 본인이 출연을 해서 동명이인 양봉이 삼국지 5에 나오는 줄 착각할 수 있다.

복병, 화계, 진화, 내분, 수습, 난사의 그럭저럭 괜찮은 특기를 가지고 있지만 스탯이 무력 70, 지력 34, 정치 31, 매력 34로 지력이 전형적인 C급이라 실질적인 효용은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54/58/48/40/37에 특기는 혼란, 기염, 주호. 총 3개.

다른 남만 장수들에 비해 지력, 정치가 눈꼽만큼 오른 대신 통솔, 무력이 많이 칼질을 당해서 활용도는 더 낮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박수치면서 음흉하게 웃고 있는데 정황상 맹획을 대접할 때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전법은 만성동갈.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의도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양봉 본인과 관련한 황당한 상황이 있는데, 남만의 무장임에도 불구하고 황건적이 있는 평원의 재야 무장이다. 그리고 평원은 하북의 도시(...). 이 무장 외에 다른 평원의 무장은 주령, 대부분의 황건적, 전작에서 복양[9]에서 등용할 수 있었던 무장들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4/62/53/40. 병과 적성은 없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뿐.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병과 적성은 모두 C이며 전법은 창방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60, 지력 52, 정치 40, 매력 4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남만,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세연구 Lv 2, 진형은 장사, 투석, 전법은 저지, 도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25. 양부

파일:external/kongming.net/083-Yang-F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 PK에서 복귀했는데 전체적으로 지력, 정치력 모두 준수한 인재이며, 마초와 맞서 싸웠다는 점을 반영해서 문관이지만 통솔력도 잡무관 수준은 된다. 후기 시나리오에선 조조군 소속이라 두드러지진 않지만 초기 시나리오에선 197년즈음부터 천수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문관이 무관에 비해 부족한 서량 지역에서는 매우 귀중한 인재다. 단, 상성도가 조조쪽이라 등용이나 충성도 관리 모두 신경써줘야 한다.

삼국지 3은 양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인지 프로필 사진이 투구를 쓰고 있으며 분류상 무관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8 PK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6/지력 83/정치력 82/매력 75. 축성, 변설, 도발, 소문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실용적인 전법이 교란이 5 레벨이라 전장에서도 쓸 만하다.

참고로 똑같이 PK에 추가된 장특 또한 교란이 4 레벨이고 위관도 기습이 5 레벨로 매우 쓸만하다. 아무래도 신캐 보정인 듯. 다만 성장 타입이 어딜봐도 군사형일 거 같은데 지력으로 설정되어서 정치력이 느리게 오른다는 단점은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46/지력 87/정치력 84. 병법으로는 파괴, 덫,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55/지력 85/정치력 81/매력 77로 능력치 총합 366으로 준수하다. 특기는 기술, 보수, 치안, 일제, 은밀, 유인, 지리, 반격, 위압, 반박, 간첩. 총 11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전작에 비해 너프를 당하긴 했지만 통솔력 67/무력 50/지력 83/정치력 78/매력 77, 총합 355로 여전히 나쁘지 않다.

여담으로 이번작에서 마등 부자한테 지력이 높은 무장이 크게 없어선지, 10~11년 쯤 진행을 하고 나면 지력이 95로 성장해 마등 부자의 군사가 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는 왼손에 병서를 든 채 오른손으로 검을 앞으로 내밀고 있는 상태에서 마초에게 호통을 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무력은.... 중간 정도이지만 약하다. 여담이지만 혐오무장으론 마초가 있는데[10] 왠지 조예빠져 있다. 이는 조예도 마찬가지다. 군주와 신하가 서로 혐오무장 관계일 때는 군주가 신하를 죽이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조예는 양부의 말만 듣지 않았지 관직에는 그대로 앉혀놓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승진까지 시켜줬다.[11]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50/지력 83/정치력 78.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설파 7, 교섭 6, 신속 4, 순찰 4, 문화 1.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속공지휘이며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B/궁병 B다. 일러스트에 맞게 음성이 무례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50, 지력 82, 정치 78, 매력 77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교화, 인맥, 소욕, 여망, 주의는 왕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학익, 정란, 충차, 전법은 견제, 저지, 고무, 정란, 충차, 친애무장은 강서, 위강, 장기, 조앙, 혐오무장은 마초다. 그런데 어투가 전작과는 달리 일러스트에 맞지 않게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6. 양서

파일:external/kongming.net/479-Liang-X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0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낮다. 삼국지 12부터 삼국지 14까지의 일러스트는 왠지 흑산적처럼 느껴지는데 자세히 보면 두 손을 올리면서 소리치고 있다. 연의면 내통죄 모함을 써서 어차피 죽을 거 진짜로 내통하자고 하는 모습, 정사면 필사적으로 결백을 하소연하는 모습일 것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4/지력 66/정치력 63으로 죄다 60대의 쩌리.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혼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62/지력 66/정치력 67/매력 60에 특기는 겨우 보수 단 1개 뿐.

삼국지 12에서도 무력은 50대 나머지는 몽땅 다 60대라는 저조한 능력을 보여준다. 전법은 파괴력 약화로 수성 시에는 쓸만하다. 전선에서 내정을 시켜주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6/62/66/68.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화계. 음성은 청년.

평소엔 별 쓸모없지만 기간과 병력이 압도적으로 밀리는 '영걸몽환'에선 주력으로 써야할 때가 많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62, 지력 66, 정치 67, 매력 59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저지, 친애무장은 강유, 윤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무관형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27. 양송

파일:external/kongming.net/085-Yang-So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유선, 전상, 하후무, 한현 등과 함께 F급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 무능력한 인물의 대명사인 F4로 손꼽히며 《삼국지연의》에서 '능력은 약간 있었지만 인간성은 막장이었다.'라고 기술된 것보다도 형편없는 대우다. 장로가 이런 놈에게 속은 것이 말도 안 되게 느껴지는 능력치다. 그나마 지력/정치력이라도 양민 수준은 됐던 초기작과는 달리 후기작으로 갈 수록 일반인만도 못한 능력치로 떨어지고 있다.

이것 때문에 삼국지 도원결의에서는 양노사라며 불리면서 오덕왕 엄백호, 엄선비 엄여처럼 컬트적인 인기를 잠시 끌었다. 그러나 필수요소이자 하드코어 플레이기 하면 떠오르는 엄백호에 비하면 엄여와 양송은 오래가지 못했다.

게다가 게임 내적으로도 다른 F4나 백하팔인보다 죽임을 당하는 빈도가 높다. 유선, 전상, 하후무, 한현 등 자신의 능력치가 별로여도 우월한 능력치의 친족이 있어서 처형했다가는 일족들과 원수가 되는 등 등용하기가 어려워지지만, 양송은 유일하게 하나 있는 친족이 양백인데 그 동생마저도 쓰레기급으로 낮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서 원수가 되든 말든 양백까지 쌍끌이로 죽여도 아무 영향이 없다. 하다 못해 엄백호나 엄여처럼 그나마 쓸만한 부분[12]이 있는 것도 아닌데다가 다른 저질 장수보다도 낮은 의리수치 때문에 배신도 쉽게 하여 도무지 금을 줘가면서 쓸 이유가 없다.

삼국지 3에서는 스텟 총합 꼴찌는 아니지만 무력 45/지력 57/정치력 37/매력 24/육전지휘 26/수전지휘 18이라는 매우 낮은 능력치다.

일단 일러스트는 클론 문관 일러스트라서 문관으로 등용되는데, 정치력이 저 따위라 내정에도 써먹을 수가 없고, 아마 내정을 시키면 군사가 아무것도 안 하는게 낫다고 조언할 것이다 그렇다고 무관으로 전투에서 써먹으려 해도 이번에는 무력과 지휘력이 폐급이라 써먹을 수 없다. 이런 놈이 의리 수치도 최하급(16)이라 CPU가 금 좀 주면 배신도 잘 때린다. 그냥 후방에 개발 안하는 저질 영지에 태수로 앉혀놓고 놀리자.

삼국지 4에서는 통솔 32/무력 45/지력 57/정치 39/매력 37에 특기로 정보, 제조, 유언, 화계를 보유.

삼국지 5에서는 무력 37/지력 39/정치 57/매력 24에 특기로 동사, 수계, 토사, 진법은 형액, 방원을 보유.

삼국지 7, 삼국지 8에서는 그나마 정치만이라도 60대라 쓸만했었고 심지어 삼국지 8에서는 상재 특기까지 있었다.

삼국지 9부터 정치마저 30대를 찍었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1/34/31인데다 병법이 하나도 없다. 잡는 즉시 처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4/32/37/2에 특기는 상업 1개 뿐.

능력치 총합 77로 백하팔인의 일원이며, 코에이가 보는 양송의 인간상을 충실히 반영하여 의리는 가장 낮은 무시, 물욕은 탐욕이다. 당연히 쓸모없지만 그래도 이번작은 명령 횟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상업 셔틀로 쓰면 밥값은 한다.

삼국지 11에서는 유선, 하후무, 한현, 황호, 잠혼, 손호, 마막과 더불어 백하팔인(능력치 총합이 100이 안되는 8명의 인물들)으로 묶인다. 황호처럼 삼국지 11에서의 일러스트가 몹시 비범한데 딱 보면 욕심과 간사함이 덕지덕지 흐르는 얼굴이란 어떤 것인지 바로 알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가 전신을 표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그의 끝없는 물욕을 한층 더 잘 나타낼 수 있게 되었는데 자세히 보면 돼지같은 얼굴에다 황금 요강을 두 손으로 든 채 볼에 대고 좋아라 하고 있다.마이 프레셔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7/5/28/34인데 총합 84로 당당히 백하팔인이며 특기는 상재 1개에 전법은 궁병격봉인. 그래도 상재 특기가 있어 정치력 49짜리가 시장에서 내정하는 효율은 나오는데다 최대 능력치가 50이 안 되므로 녹봉이 최저치(월 50)를 찍기 때문에 시장의 배터리용으로는 쓸만하지만 일러스트가 심각하게 비호감인데다가 아군을 자주 배신 때리는 행위 때문에 등용이 망설여질 것이다. 그냥 참수하여 저 세상으로 보내주자.

삼국지 13에서는 능력치가 전작과 같으며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상업 1 달랑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상업이고 전법은 창방약화로 모든 적성이 C다.[13] 그냥 참수하여 저 세상으로 보내주자.[14]

여담으로 양송이 조조군에서 자금을 횡령하다가 병사장한테 걸려가지고 참수당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 무력 5, 지력 28, 정치 34, 매력 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나 대폭 하락했다. 개성은 징세, 소심, 탐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세출개선 Lv 1, 진형은 투석 하나에다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에 알맞게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28. 양수

파일:삼국지3양수.png
삼국지 3
파일:Yang_Xiu_(1MROTK).png 파일:Yang_Xiu_(ROTK10).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지력이 90대를 넘는 A급 참모로 등장했으나, 후기작들에서는 지력이 조금씩 너프되면서 지력은 보통 80대 초중반에서 왔다갔다 한다. 정치력도 80대 근처라 괜찮은 편이나 매력은 너무 재능을 뽐내고 다녔다는것 때문인지 양의나 누규만큼은 아니지만 잡장 수준으로 매우 낮은 편이고, 통솔력, 무력은 완전 백하팔인 수준이다. 아버지인 양표가 등장하기만 한다면 매력이 높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더불어 친밀, 혐오 시스템이 있는 시리즈에서는 조조의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삼국지연의에서 장송을 존경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인지 그 존경의 대상인 장송보다는 지력이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삼국지 1에서의 능력치는 신체 61/무력 24/지력 96/매력 22/운 15로 순욱과 지력이 같다.

재밌는 점은 187년생으로 실제보다 12살이나 어리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28/수전지휘 16/무력 29/지력 73/정치력 90/매력 48에 야망 8/운 5/냉정 10/용맹 8로 정치력 하나만은 작살나게 좋다.

어째 장완, 동윤, 비의가 달고 나와야 할 능력치를 이 녀석이 달고 나온다.

삼국지 5에서는 지력 92/정치력 84까지 찍고 군사가 되었다. 이 때가 양수 본인의 리즈시절. 물론 무력이 구리기 때문에 전장에서 생각만큼 좋지는 않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28/지력 90/정치 83/매력 51. 특기는 첩보/반계/정찰/선동/허보/혈공 등을 가지고 있다.

양표의 아들이라는 점이 부각돼서인지 반동탁 연합에서는 아버지인 양표빨로 인해 군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성장형이 명사 타입이라 컴퓨터가 잘 처형하지도 않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7/지력 81/정치력 81. 병법으로는 파괴,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작부터 아버지 양표가 삭제되어 헤어져야 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0/무력 7/지력 83/정치력 79/매력 44에 특기는 8개.(상업, 진정, 혼란, 항변, 반박, 논파, 도발, 명사)

지력과 정치력은 평균 이상이지만 지식 뽐내기를 좋아한 성격 탓에 매력이 44로 낮은 편이다. 대체적으로 설전 쪽에 몰려있고 연의의 성격을 반영한 듯 도발 특기를 가지고 나온다. 그 외엔 명사 특기가 있고 내정 쪽으론 상업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책상 위에 병서와 붓이 놓여져 있는 채 두 손을 펼치면서 조식에게 조언을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5/무력 4/지력 83/정치력 79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특기 능력 보유는 상업 1, 설파 8, 교섭 5, 언변 8로 내정 및 외교에 특화되어 있다. 전수특기는 설파다.

전법이 위보선동(방어-30/사기-10/위보)인데 이번작 PK의 경우 방어와 사기를 깎는 범위형 디버프 전법이 매우 강력한 사기 전법이므로 전장에서도 아예 못 쓸 정도는 아니게 되었다. 음성은 정중. 그리고 이번작 PK에서 아버지 양표가 복귀함에 따라 마침내 14년만에 상봉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0, 무력 4, 지력 83, 정치 79, 매력 4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하락했다. 개성은 능리, 지낭,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4, 진형은 학익, 충차,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은 공융, 장송, 정의, 조식, 혐오무장은 오질, 주삭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29. 양습

파일:external/kongming.net/480-Liang-Xi.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0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반적으로 40대의 무력 빼고 능력치가 고루 좋은데 정치가 특히 높은 편.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49/지력 73/정치력 90/매력 84인데 특기는 농업, 상업, 보수, 치안, 진정, 반목, 지리로 총 7개다.

농업, 상업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최상급 내정 요원. 주인공으로 할 경우 시나리오 1부터 플레이 가능이라 직접 플레이하기도 수월하며 187년에 진류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약소 세력들의 희망이 된다. 다만 명사 특기가 처음부터 없어서 직접 플레이할 때 도적을 만났을 때 돈을 주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87인 높은 정치력도 정치력이지만 특기 번식을 가지고 있어 높은 정치와 함께 싱크로를 이뤄 본격 말찍는 공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백성들에게 양잠을 권하는 모습이며 지력 74/ 정치력 87을 찍어 굉장히 도움이 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40/지력 74/정치력 87. 중신특성은 농업중시이며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A/궁병 C이며 전법은 기병돌격. 특기는 상업 2, 농업 6, 교섭 3인 B+급 문관으로 전수특기는 농업이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보통.

정치력이 87이라 관직만 수여해주면 정치력이 90이 넘기 때문에 임무장을 2개 발행할 수 있는 A급 내정중신이 된다. 농업중시 자체는 대단히 좋은 특성까진 아니지만 조조가 군주일때는 조조가 합리철저 특성을 가지고 있어 병참관리를 가진 순유, 조비 등을 쓰지 않는다면 역시 농업중시를 가지고 있는 유복과 함께 기용할만 하다. 기병 특성이 좋고 통솔이 높기 때문에 여차하면 전투력도 나쁘지 않으나,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확률적으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휘말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40, 지력 73, 정치 87, 매력 8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둔전, 진흥, 안목, 친선,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참개혁 Lv 4, 진형은 장사, 정란, 전법은 저지, 진정, 친애무장은 상림, 왕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30. 양씨

파일:Yangshi_%281MROTK%29.webp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Yangshi-rotkx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된 이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복귀했다.

삼국지 11 콘솔판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무력 16/지력 42/정치력 48/매력 72로 매우 잉여스럽고 친애 무장에 왕이가 있다.

마초와 부부 사이인지라 조조 입장에서 자기에게 죽어도 안 온다는 마초를 데리고 올 수 있다.[15] 특기인 번식이 그나마 빛을 발하는 편이나 이마저도 한수 세력 소속이라면 마등이나 염행, 성의와 겹치는 특기라 좀 미묘해진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올리면서 왕이와 담화를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31/무력 24/지력 42/정치력 68. 특기는 상업 3, 문화 3, 교섭 2, 호걸 1(마초 인연 효과).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단일도발.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B/궁병 C. 192년에 마초를 따라 임관한다. 음성은 현명녀. 특별할 것 없는 후방 내정용 문관이지만 마등 세력에서는 한수를 제치고 정치력 1위다. 천수의 동급 정치력을 가진 왕이와 정치 78인 양부 외에는 쓸만한 문관이 없기에 서량 지역을 벗어나기 전까지 꽤 중요한 인재가 되었다.

삼국지 14에서는 통솔 30, 무력 24, 지력 42, 정치 48,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정치력이 2배인 20이나 하락했다. 삼국지 11에 비해서도 매력이 떨어지며 잉여가 되었고, 개성은 경솔[16]이라는 적색 개성 1개 뿐이다.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마초, 혐오무장은 조조다.[17]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감녀로 설정되었다.

그나마 양주지방에 지력과 정치력 높은 인물이 몇 없어서 시작시에는 어쩔 수 없이 써먹게 되지만 기본적으로 성공영, 양추, 한수, 부간 같은 무장에 재야에서 얻을 수 있는 왕이, 소칙, 양부, 방육 같은 인물들이 있는지라... 그나마 영웅집결이라면 그냥 무위 어디쯤에 지역담당관으로 가만히 놔 두는게 가장 유용하다.

31. 양앙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18.jpg
삼국지 12, 13, 14

동료 양임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다. 장로의 무장으로 나오나 정사에서의 기록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양임이 하후연과 일기토에서 오래 버텼지만 양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멋대로 조조군을 추격하다 전사한 일로 양임보다는 능력치가 약간 나쁘고 장위와 비슷하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0/지력 39/정치 36/매력 42. 전법은 난격 2에 기습 1, 공성 1이고 특기는 경비 뿐. 성장형은 무력.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70/지력 34/정치력 36. 병법으로는 양임과 마찬가지로 분전, 돌파, 충차를 가지고 있다.

양앙과 양임이 둘다 노병계나 궁기병계 병법이 없어 장로군은 확장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39/정치력 34/매력 42에 특기는 저지, 삼단. 총 2개 뿐. 장로군 아니면 쓸 일은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전작보다 조금 상향된 통솔력 68/무력 72/지력 38/정치력 35/매력 42로 잡장 중에서도 봐줄 만하지만 적성 A가 단 하나도 없기에 전장에서 효용성은 제로다. 당연히 특기도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두 손으로 고삐를 쥐고 있는데 깜짝 놀라 당황하는 표정을 짓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견수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궁병공격진.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72, 지력 38, 정치 34, 매력 42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저돌, 주의는 할거, 정책은 방원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급습, 철벽, 친애무장은 양임, 장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저돌 개성 때문에 전장에서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32. 양의

파일:삼국지3양의.png
삼국지 3
파일:楊儀.jpg
삼국지 11 일러스트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1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그냥저냥 쓸 만한 내정형 무장이다. 삼국지 3에서는 전 능력 70 전후의 지극히 개성 없는 능력치였으나, 삼국지 9 이후의 시리즈 기준으로는 통솔력이 70 전후, 무력은 낮고(40~50 사이) 지력과 정치력은 80 전후, 매력 바닥(25 미만)을 찍는 어설픈 군사형 무장이 된다. 또한 전통적으로 의리마저 낮기 때문에 지속적인 충성도 관리가 필요하다.

냉정하게 능력만 보면 문관과 무관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90대 전후 능력치를 지닌 위연과는 비교 대상이 될 수 없지만, 양의 자신의 능력치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므로 후기 촉에서는 충분히 쓸만한 무장이다. 의리가 낮을 뿐 상성 자체가 유비유선과 크게 떨어져 있는 것은 아니므로 촉 소속일 때에는 충성도 관리도 비교적 어렵지는 않다. 이는 위연도 동일하다. 양의 본인은 이런 고로 게임 시스템에 따라 핸디캡을 크게 받는데 매력이 존재하는 시리즈마다 피를 본다. 제작진이 위연이 의리가 낮다고 고증하면서도 그리 나쁘게 대하지는 않기 때문에[18] 위연과 사이가 나쁜 양의 본인에게 은근히 홀대를 가한다고 의심할 여지도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3/수전지휘 70/무력 70/지력 61/정치력 72/매력 71에 야망 8, 운 7, 냉정 7, 용맹 7로 전혀 양의 같지가 않다.

후기 시리즈와는 달리 지력이 약하고 무력, 육전지휘, 수전지휘, 매력이 모두 70대 초반이라 장군으로 등용이 가능했지만 군사가 되지는 못했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54/지력 69/정치력 75/매력 33의 능력치로 시궁창 쓰레기 같은 인간성이 그대로 반영되었는지 다른 능력치가 죄다 50~70대인 와중에 매력만 33이다.

그나마 연의상으로 제갈량이 죽고 위연이 난을 일으킨 것을 진압한 것 정도만 반영돼서 바닥은 모면했지만 역시나 매력이 양민 이하인 것은 변함이 없다. 얼굴은 문흠과 비슷하며 바라보는 방향 정도만 다르다. 꿈은 재간인데, 하는 꼬라지를 봐서는, 대의 보다는 할거에 가깝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49/지력 83/정치력 76. 병법으로는 투석,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다.

제법 높은 정치 덕에 재야 장수를 등용하는 걸 보면 참 불합리하게 느껴진다. 혐오무장격인 위연과 동일한 의리2 야망12의 반골형 무장이다. 후방 태수로 놔둔다고 하더라도 이간지랄이 걸리면, 바로 통수치고 다른 세력의 대장이 될 위험성이 높은 관계로, 일치감치 쳐 내는게 답이다. 아니면 포상주지 말고, 한적한 도시에서 거병하게 냅두고, 천하통일하러 영토를 넓혀도 된다. 어차피 양의 혼자로는 아무것도 못하지만, 가끔가다가 무장 몇명 등용하기도 하는데. 무력이 바닥이라, 보통, 건녕이나 운남 같은 도시에 짱박아두면 된다. 삼국지9는 플레이 가능한 세력이 모두 망하거나, 이민족 도시 이외의 모든 도시를 지배하면 천하통일로 끝나기 때문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44/지력 82/정치력 79/매력 17. 특기는 농업, 상업, 진정, 유인, 반박으로 총 5개다.

지력이라도 높고 유인, 진정이 있고 통솔력 68이면 후기장수치고 아주 구리진 않으나, 촉 1군에 끼긴 무리가 있다. 농업, 상업 특기가 있으니 내정용으로 굴리는 것이 무난하다. 다만 매력이 워낙 낮은지라 양의로 재야인재를 등용할 생각은 꿈도 꿀 수가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40/지력 82/정치력 79/매력 23으로 역시 매력이 바닥인 것은 여전하다. 또한 친애무장으로 제갈량이 있다. 위연이나 유파와의 혐오관계와는 달리 양의 본인만 제갈량이 친애무장이다.

일러스트에 투구를 써서 얼핏 보면 무관처럼 보이지만 사실 저 복장은 그냥 문관 복장에 투구만 쓴 거고 통솔과 무력은 능력치가 낮은 후반기 시나리오에서도 하급으로 그나마 지력과 정치력이 봐줄만하니 계략 방어용 부장으로 넣어주거나 아니면 얌전히 후방에 배치해 내정을 시키면 된다. 다만 위연과 혐오무장 관계라 위연의 지력 보충용 부장으로는 쓸 수가 없으니 다른 쪽에 넣어줄 것. 또한 유파와도 혐오무장이나 둘 다 문관이므로 별 의미는 없다. 위연과 마찬가지로 의리는 낮고 야망은 매우 높지만 상성이 맹획 쪽이라 맹획으로 플레이할 때 위연과는 달리 충성 100 상태에서도 포획 시 한 방에 등용이 된다. 이번작에서 의리가 낮고 상성이 가까운 장수는 설령 충성 100이라도 포획 시 바로 등용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양의 상성 61, 위연 상성 80, 맹획 상성 60이라 이런 일이 일어난다. 비슷한 원리로 손견이나 손책태사자감녕 등의 장수를 쉽게 등용할 수 있으며 조조허저전위를 쉽게 등용할 수 있다. 물론 태사자, 감녕, 전위, 허저 등은 의리가 양의 따위와는 비교 안 되게 높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어쩌라고?"라는 포즈을 취하면서 열받게 만드는 표정을 짓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40/지력 82/정치력 79로 병종은 궁병에 전법은 파괴력약화, 특기는 병기 하나 뿐이다. 병과와 능력치를 고려하면 파괴력약화 소유 무장 중 손환 다음으로 좋은 무장이며, 지력 80이 넘으므로 제조소에 넣기에 딱 좋은 무장이다. 사이가 좋지않은 위연에게 티배깅하는 걸로 추측된다. 매력 삭제 최대의 수혜자로, 유우가 매력 삭제의 피해자인 것과 비교된다. 기껏해야 10~20대 수준의 매력이었던 양의 본인은 이로서 바닥 능력치인 분야가 없어졌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수혜자라고 하기보다는 현상유지 정도인데 매력 수치가 삭제됐다면 다른 능력치가 올라가거나 특기가 더 주어지거나 해야하는데 그런 게 없기 때문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무력 40/지력 82/정치 79로 이번작과 동일하다. 병과 적성은 C/C/B. 특기는 상업 1, 농업 3, 문화 2, 설파 7, 언변 5로 후반기 문관 중에서 꽤 훌륭하다.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전법은 궁병동요. 음성은 관리. 성격을 반영했는지 의리가 경시, 물욕이 탐욕으로 설정되어 있다.[19]

삼국지 14에서는 전작들의 일러스트를 우려먹었다.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40, 지력 82, 정치 79, 매력 19로 삼국지 11 때 보다 매력이 4 떨어졌다. 개성은 절약, 운반, 절감, 소심, 나약,[20]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도발, 매성, 진정, 정란, 친애무장은 제갈량, 혐오무장은 위연, 유파다. 정작 양의 본인을 보직해임 시킨 유비는 어째서인지 혐오무장이 아니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33. 양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삼국지연의의 내용대로 설정하여 장로군 최고의 무력을 자랑한다. 지력, 통솔력, 무력 모두 양앙보다도 높다. 이전 시리즈에선 아예 등장도 하지 않거나 장위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는데 늦게나마 제대로[21] 평가 받은 케이스. 물론 그 최고 무력이라는 게 70대 후반인지라 장로군이 얼마나 약체인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0/지력 50/정치 45/매력 56. 전법은 돌격 3, 기습 3, 공성 2로 좋지만 특기는 축성과 정찰 뿐이다. 성장형은 무력.

이 때가 양임 본인의 전성기로, 이후로 양임은 한 번도 무력 80을 넘기지 못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7/지력 53/정치력 45.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충차를 가지고 있다.

양앙과 양임이 둘다 노병계 병법이 없어 장로군은 확장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8/지력 56/정치력 43/매력 54에 특기는 보수, 징병, 반격. 총 3개. 말 그대로 보수 셔틀의 능력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0/78/53/40/56에 적성은 극병이 A고 특기는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무릎에 댄 채 소리치고 있는데 장로의 명을 받고 출진하면서 각오를 다짐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78/지력 56/정치력 40. 어째선지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사기회복. 음성은 용장.

우수한 능력치에 비해 특기와 전법이 부실해서 PK로 한다면 분전, 공성, 견수 특기를 추가해주고 전법도 불굴로 변경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78, 지력 56, 정치 40, 매력 54이며 개성은 산전, 개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화시, 철벽, 친애무장은 양앙, 장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장남이다.

추행진이 있어서 보급로 끊기용으로 쓰인다.

34. 양정

파일:ヨウテイ.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에 창을 든 채 어깨에 메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60, 지력 47, 정치 34, 매력 37이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매성,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단외, 왕윤이다. 어투는 난폭남. 생년은 149년, 몰년은 198년까지 되어있다.

잡무관이라 내정용으로 쓰인다.

35. 양제

파일:external/kongming.net/084-Yang-J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19.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삼국지 5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9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모든 능력치가 65 ~ 70 사이에 분포해있는 밸런스 타입이다. 바꿔말하면 가장 높은 능력치도 70 수준의 특별할 것이 없는 무장이라는 소리도 된다. 실제로 호랑이를 사살할 정도면 상당한 무예를 지녔을텐데 무력이 60대인건 아쉬운 부분.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1/66/72/68. 특별할 게 없지만 병법은 준수하게 보유하고 있는데 기사, 투함, 투석, 혼란, 고무 정도. 특히 투함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9/63/71/68/71로 총합 342에 특기는 농업, 지리, 명사. 총 3개다.

모든 능력치가 60은 넘고 산적을 발라 버릴 명사 특기가 있으니 육성하는 재미는 있겠지만 그 뿐. 농업을 살리기도 정치 68은 좀 어정쩡하고 지리는 전투에 나서지 않는 이상 활용할 일이 없는데 다른 전투용 특기가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무력이 조금 올랐지만 다른 능력치가 너프되면서 67/68/71/66/64에 햡계 336의 능력치가 되었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을 펼친 채 위로 올리면서 소리치고 있는데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8, 지력 71, 정치 66,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모집, 동원, 주의는 패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3, 진형은 어린, 방원, 전법은 연노, 업화, 고무, 친애무장은 사마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36. 양조

파일:external/kongming.net/073-Yang-Zuo.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공손연 휘하의 무장으로 나와 부하들이 공손씨 밖에 없게 되는 역할을 비연과 함께 막는 역할로 나오는데 능력치는 대체적으로 영 좋지 않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63/지력 33/정치력 32.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뿐이나 주사가 없어서 비연보다 많이 구리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2/지력 37/정치력 36/매력 45로 뭐하나 봐줄 게 없다. 그래도 무특기는 아니고 농업 특기 하나 달랑 있는데, 정치력이 36밖에 안 되는지라 별 의미는 없다.

그런데 특이한 건 연의에서 전사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강유가 주로 활약하는 고전분투 시나리오 때 양평의 재야로 있으면서 유일하게 생존해 있는 무장으로 나온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3/무력 61/지력 36/정치력 32/매력 41에 특기는 없다.

이런 무장이라도 공손연 진영에서는 비연과 함께 귀중한 일기토 요원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놀란 얼굴로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위군과 맞서려 하고 있으며 전법은 창병강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궁공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61, 지력 36, 정치 32, 매력 40이며 개성은 개수, 저돌, 동요, 주의는 패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37. 양조

파일:external/kongming.net/074-Yang-Zhao.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6.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보통 공손연군의 무장양조보다는 아주 약간 괜찮으나 이쪽도 영 좋지 않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9/지력 72/정치력 71로 의외로 제법 준수하다. 병법으로는 분전, 돌진, 제사, 몽충,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쓸만한 병법들이 제법 있는데 특히 몽충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1/지력 67/정치력 70/매력 55로 어정쩡하다. 특기는 상업, 일제, 반목. 총 3개다.

정치가 70이라도 되니 특기는 그나마 활용하라고 잘 던져준 편.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5/지력 68/정치력 62/매력 58로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하락했지만 그 대신 모든 능력치가 상향됐다. 적성은 창병 A/극병 B/노병 A/기병 B/병기 B/수군 C로 조금 모자란 만능형이다.

등장이 242년이라 역사 시나리오에서는 얼굴 볼 일이 영 없으나 노병 적성이 A에 진양에서 등장하므로 영웅집결 정원군에서는 중요한 인재로 쓰인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검을 뽑으려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65, 지력 67, 정치 62,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요, 주의는 패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제사,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38. 양직

파일:external/kongming.net/yangji2.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6/53/72/67. 병법으로는 제사, 투석, 덫, 고무를 가지고 있어서 활용도는 모경보다 약한 편이지만 후반기에 쓸만한 무장이 없는 지라 써야 한다.

39. 양추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서량의 흔한 군벌 중 하나로 등장하여 보통 한수마등 휘하에 있게 되며 능력치는 물론 수하팔부 대부분이 그렇듯이 좋지 않다. 초기작만 해도 능력치가 낮았는데, 시리즈를 거듭하며, 지력과 정치를 위주로 서서히 상향을 먹어가면서 수하팔부 중에선 능력치 총합이 제일 높아졌다. 아마도 사신이 되어 조조와 협상을 하고 부하가 되어 높은 관직까지 오른 점을 감안했는 듯하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1/67/16/24/23.

능력치만으로 봤을 때는 양흥의 완벽한 하위호환이지만, 일기토가 일격필살, 거짓퇴각 2개로 생포와 거짓퇴각이 있는 양흥보다 일기토 트리가 좋아서 일기토 만큼은 차별점을 둘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67/52/63. 병법으로는 돌진, 기사, 충차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6과 달리 지력과 정치가 대폭 증가했으며, 정치가 63인데 이건 마등군에서 마등, 한수 다음가는 수준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6/67/61/57/38. 특기는 치안, 돌격, 기습, 회복. 총 4개로 그저 그렇다.

삼국지 6에서는 능력치가 양흥의 하위호환이었는데, 이번작에서는 반대로 양흥의 상위호환이 되었다. 다만 일기토 전법이 회복 뿐이라 나선을 가지고 있는 양흥보다 조금 밀릴 수도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무력 64/지력 58/정체 63/매력 42로 특기는 없고 병종 적성은 창병 C/극병 C/노병 B/기병 A/병기 B/수군 C인데 그나마 다채로운 편이다.

기본팔기 중 지력과 정치가 가장 높은데 아무래도 일찌감치 조조에게 항복하여 제후에 임명되어 천수를 누리고 죽은 것을 반영한 것 같다. 서량 출신 무장 중에서는 비교적 정치가 높은 편이므로 마등이나 한수군에서 내정을 할 때는 능력치에 비해 중요하게 쓰인다. 항복한 이후 원래 다스리던 안정을 그대로 다스리며 제후가 되어 천수를 누리다 죽었다는 기록을 반영한 것인지 남만정벌 시나리오에서는 안정의 태수이자 공적 12500의 평서장군으로 등장하며근데 PK의 한중쟁탈전 시나리오에서는 안정태수가 성공영이다, 똑같이 조조에게 항복한 후선정은에 비해서 수명이 길다. 몰년이 238년으로 설정되어있어 상당히 장수하기 때문에 PK라면 육성을 통해 키워볼만 한 인재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검을 든 채 오른손으로 검날을 대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7/64/60/63에 무특기. 기병에 전법은 속공이다. 여전히 마등군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치로 인해 중요한 내정 요원. 성공영이 상업 특기를 가지고 있기에, 양추 본인은 보통 농장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기방약화.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66, 지력 59, 정치 63, 매력 46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친강,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업화,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40. 양추

파일:external/kongming.net/086-Yang-Cho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2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이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7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그 이유는 장양이 군주로 등장할 경우 그의 밑에 있을 장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능력치도 잉여스럽고 쉽게 배신까지 잘 때린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64/지력 42/정치력 25.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뿐이다.

무력이 낮지 않아 장양의 부장으로 함께 기사를 날려주면 나름 밥값은 한다. 거기에 정란+제사의 휴고까지 붙여주면 굉장히 수월하게 공성을 할 수 있다. 다만 통솔이 낮아 주장으로 쓰면 그대로 녹아버리니 주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1/무력 67/지력 43/정치력 16/매력 13으로 처참하다. 특기는 치안, 역공. 총 2개 뿐이며 의리는 당연히 무시.

그런데 의외로 장양과의 개인궁합, 세력궁합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65/지력 40/정치력 22/매력 32에 특기는 없다.

능력치도 저렇고 의리도 최저치라 쓸모는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장양을 죽이기 위해 두 손으로 칼을 든 상태에서 내려찍고 있다.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삭제된 능력치로 나오며 전법도 색적이라서 도저히 쓸 구석이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그대로이고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다. 전법은 화계이나 지력이 저 모양이라.... 병종 적성도 A조차도 없다. 장양은 기병이 A고, 수고는 창병이 A인데.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2, 무력 65, 지력 42, 정치 20, 매력 23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교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41. 양평

삼국지 2에서만 등장하는데 시나리오 2부터 4까지 장로군에 소속되어 있다.

42. 양표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55.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부터 삼국지 8까지 등장하고 난 이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보통 내정 요원, 등용 셔틀로 쓰이며 진규, 종요, 채옹, 왕찬, 진림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54/수지 18/무력 57/지력 63/정치 72/매력 74로 정치와 매력이 준수해서 내정 올리기에 딱인 인재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41/지력 75/정치력 74/매력 83으로 매력 높은 장수가 드문 편인 동탁군에선 중요한 등용 셔틀.

이각이 군주일 경우 부하들 중에서 유일하게 방원 진형을 가지고 있어서 홍농, 장안으로 쳐들어오는 조조를 관에서 요격할 때 반드시 양표가 있어야만 우주방어가 가능해진다. 이 덕분에 전투적인 측면에서는 종요나 채옹보다도 평가가 좋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아들인 양수가 합류하면서 더욱 전력이 되어준다. 사실 양표보다는 능력치가 유달리 높이 나온 양수를 더 높게 쳐주는 편이다. 아들 양수가 처형된 직후까지도 생존했는데 여기서는 양수와 달리 후기 시나리오에서는 나오지도 않는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은 무력 28/지력 68/정치력 78/매력 71로 책정되어 매우 준수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문제는 동탁군 진영이라 가장 답답한데, 한 왕조 원로 중 가장 긴 수명을 지닌 늙은이로 나오며 이는 사손서, 복완, 마일제 같은 원로보다 더 오래산다. 동탁 사후에는 동민이나 우보 같은 쩌리는 포로로 처단 당하면 십중 팔구는 양표가 유지를 잇는다. 또한 원소의 일문이라서 원소의 가계혈통은 죽이지 않고 바로 살려 보낸다. 동탁의 후계를 이어서 플레이 하고 싶어도 양표의 아들인 양수가 후계를 이으면 친밀도가 또 1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모반엔딩으로 빠질 위험성이 크다. 양수의 원복년도는 196년이므로 양표가 일찍 병사하기를 빌자. 주인공이 명사십선에 오르내릴 정도의 공적과 명성을 유지 하려면 최소 2만 이상 올려둬야 한다. 수명 7만 해도 가뜩이나 짜증나는데 의리는 또 12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친 채 올리면서 싸움을 중재하는데 만류를 듣지 않는 곽사에게 항의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22/무력 17/지력 62/정치력 78이며 특기는 상업 2, 문화 2, 설파 2, 언변 3. 중신특성은 상업중시로 전수특기는 언변보다 1 낮은 상업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2, 무력 17, 지력 69, 정치력 75,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7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교화, 사관,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치료, 친애무장은 공융, 노식, 순욱, 채옹, 혐오무장은 곽사, 동탁, 이각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 계에 자리잡고 부하로는 양민, 양밀, 양백, 양봉, 양봉, 양부, 양송, 양수, 양씨, 양앙, 양의, 양임, 양정, 양제, 양조, 양조, 양추, 양추, 양홍, 양홍, 양회, 양흔, 양희까지 총 23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간옹, 노식, 노육, 부사인, 선우보, 염유, 전속, 전예, 추정 총 9명이 있다.

아들 양수가 처음부터 군사로 설정되어 있지만 지력이 83 인지라 적중률이 떨어지고 인재 수는 많으나 특별하게 우수한 능력치를 가진 무장이 적다는 점. 재야 무장으로 등장하는 인재들을 등용한 뒤 국력을 쌓은 뒤 제일 만만한 세력인 진양의 순씨 세력부터 노리는 것이 좋다.

43. 양호

양호(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44. 양홍

파일:external/kongming.net/081-Yang-Ho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1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원술군의 브레인. 전투 쪽에는 에이스 기령이 있다면 문관에는 양홍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 양홍 정도가 브레인 노릇을 할 수밖에 없는 원술군의 처참한 인재풀이 그저 안타깝기만 하다. 보통 양홍처럼 한 세력의 참모를 맡은 인물은 그래도 정치력을 70 정도는 주는 경우가 많은데 양홍의 정치력은 고작 60이고, 정사 연의 딱히 모난 부분이 없음에도 원술군에 속해있다는 것만으로 마이너스를 받았는지 매력도 40~50 정도밖에 찍지 못한다.

원술군에 워낙 문관이 없고 무장이라고 있는 이들은 대부분 돌대가리이기에 염상, 한윤과 함께 초창기의 원술군의 내정 전반을 맡다가 쓸만한 인재가 나타나면 곧 버려지는 일이 다반사.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14/지력 75/정치력 59. 병법으로는 혼란, 매도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9/무력 17/지력 76/정치력 60/매력 51로 특기는 상업, 반목, 유인, 군사 총 4개다.


원술군 최고의 지략가이고 유일한 군사 특기 보유자이지만 지력이 76밖에 안돼서 조언 성공률도 별로고 통솔력은 19로 바닥이다. 내정 특기도 기술은 없고 상업만 있는데 정치력은 또 60밖에 안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8/15/76/60/45. 특기는 없다.

삼국지 12에서 일러스트는 왼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고 오른쪽 손가락을 아래로 내리면서 원술에게 탈출을 권유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3/무력 15/지력 77/정치력 60으로 전작들보다 통솔력과 지력이 약간 올랐지만 군주군사중신으로 부리기엔 많이 부족하다. 특기는 상업 2, 설파 1.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지휘력 3을 소모해서 범위내 아군의 사기를 30 올려주는 고무로 상당히 쓸 만하니 인재가 부족한 초반에는 전투형 책사로 굴리는 수밖에 없다. 음성은 보통.

원술군 대부분의 무장들은 비자연사로 설정되어 있는데 양홍은 199년 자연사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조금 아쉬운 대목.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3, 무력 15, 지력 76, 정치 60, 매력 4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0,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주의는 할거,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안행, 투석, 전법은 업화, 매성, 친애무장은 장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45. 양홍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54.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맞대려 하고 있는데 황원의 난을 쉽게 진압할 수 있다고 옳거니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45, 무력 52, 지력 64, 정치 52. 특기는 상업 4, 농업 3.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관리. 능력치만 보면 어떻게 황원의 난을 진압했는지 의문일 수준.

전작에서 낮은 능력치가 걸렸는지 삼국지 14의 경우 전체적으로 상향을 받았다. 능력치는 통솔 45, 무력 37, 지력 68, 정치 76, 매력 68로 지력이 4, 정치력이 2배 넘는 24 상승한 대신 무력이 15 하락했지만 지력, 정치, 매력 위주로 상향 받은 셈이다. 개성은 능리, 안목, 주의는 왕도,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업화, 고무, 친애무장은 이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여전히 전투 능력이 낮은 스탯인지라 내정용으로 쓰인다.

46. 양회

해당 항목 참고.

47. 양휘유

파일:양휘유.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성숙해 보이는 얼굴로 두 손을 아래에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0, 무력 14, 지력 71, 정치 65, 매력 74다. 개성은 명경, 재원,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혼란, 고무, 친애무장은 사마사,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현명녀.

생년은 고증대로 214년, 몰년은 278년까지 되어있어 이번작의 사실무장 중 후반기에 가면 마지막까지 생존한 여성 무장이 된다.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48. 양흔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15.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모든 능력치가 60 근방. 애초에 모든 전투에서 패배한 기록도 많고 약라발능의 화친을 끊어서 스스로 죽게 했으니 능력치 배치는 적절하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5/69/63/56. 병법으로는 분전, 정란, 덫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0/67/63/56/63 으로 총합 309에 특기는 겨우 화시 단 1개.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 합은 312로 역시 전작과 큰 차이가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치면서 위로 들어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68/61/58.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기방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8, 지력 61, 정치 58,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화공, 소심, 소침, 주의는 패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제사, 업화,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49. 양흥

파일:external/kongming.net/476-Liang-Xi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0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마등군으로 나오나 한수의 세력이 따로 있다면 한수의 부하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기본팔기가 다 그렇듯이 좋지 않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2/68/17/25/58로 매력이 다른 기본팔기에 비해 높게 측정되어 있다.[22]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51/14/16/24, 합계 105로 조표를 제치고 게임 내 능력치 합계 최저 무장의 자리를 꿰찼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68/22/26. 병법으로는 돌진 하나 뿐이다. 궁기병계 병법은 숙련도가 100이지만 병법이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8/65/22/21/27로 전투가 아니면 써먹을 곳도 없는 능력치다. 특기도 돌격, 나선. 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무력 65/지력 19/정치 22/매력 26으로 기본팔기 중에서도 가장 쓸모가 없는 능력치를 가졌다. 덤으로 기병 적성 A인것만 빼면 다른 적성이 모조리 C이며,[23] 의리까지 낮아 못 써먹을 인재.

하지만 이는 양흥에게는 다소 억울한 책정인데, 양흥은 관중연합군이 완패한 와중에도 좌빙익의 산지를 끼고 해(年)가 넘어가도록 항거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근 현들이 심대한 피해를 입기도 했다. 그리고 종국에는 장합, 서황, 주령 등 여러 명장을 거느리고 있던 하후연과 유능한 풍익태수 정혼의 합동 작전에 패배하여 죽은 것이기 때문에 패사의 원인도 중과부적이었다. 이런 양흥 본인이 관중연합군 와해 이후 장로에게로 도망간 후선, 정은이나 연합군 와해 당시 패사한 이감, 성의, 기록조차 끊긴 마완보다 능력치가 낮게 잡힐 이유가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창을 든 채 돌격하고 있다.

능력치는 61/65/19/22에 무특기로 병과는 기병, 전법은 기군병격으로 마대에게 밀려 전투에 출진할 일은 없을 것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공성 2. 전수특기는 공성으로 전법은 화계.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5, 지력 19, 정치 21, 매력 26으로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패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급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50. 양희

파일:양희.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계한보신찬을 편찬할 때로 보이며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26, 지력 58, 정치 74, 매력 50이며 개성은 법률, 능리, 사관,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정란, 전법 역시 정란, 친애무장은 초주, 혐오무장은 강유다. 어투는 책사남. 생년은 195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51. 어부라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0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통솔, 무력이 70대로 어느 정도 되는 편이지만 나머지 능력은 낮아서 특히 지력이 한 자리 수로 엄청 낮다.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1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8/80/61/49/81.

이민족 장수 주제에 상당히 높은 능력치를 받았다. 특히 매력 81은 상당히 높은데, 이민족 장수들 중에서 맹획과 함께 공동 2위다![24]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68/8/34/64에 특기는 돌격, 기습, 회복. 총 3개 뿐이다.

하지만 사병으로 돌기병 8천을 거느리고 나오기 때문에 재야로 있다면 일단 등용하고 봐야한다. 그러나 유표와 혈연관계라 나중에 그가 휘하로 들어오는데 유표는 재야로 출현할 시엔 역시 돌기병을 사병으로 들고 있으나 자동으로 임관할 때는 돌기병을 가지고 오지 않기 때문에 둘이 시작부터 같이 등장하는 시나리오가 아닐 경우, 유표가 등장할 때쯤 어부라의 돌기병만 먹고 다른 군주 없는 한적한 곳으로 추방하는 것이 좋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보물을 갖게 되자 좋아라 하고 있으며 흉노족의 선우로 등장한다.

그러나 수명 때문에 빨리 사망해서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선우 자리는 동생인 호주천이 맡는다. 전법이 군랑맹진이지만...군주로서만 그를 볼 수 있기에 장수로서 쓸 수 없다. 대신 아들인 좌현왕 유표가 같은 전법을 소유하고 있다. 흉노족은 산월과 더불어 장수가 3명으로 가장 적다. 그리고 지력은 한 자리수를 면했다. 세력권에서 담당하는 구역이 진양, 낙양, 완, 허창, 신야, 여남, 강하 등이다. 특기는 수집과 신속을 가지고 있다. 특기 부분도 매우 보잘것 없는 장수로서 산다면 물욕과 탐욕이 어마어마하다. 영웅집결에서는 쓸 수 없지만 꿩대신 닭으로 호주천이라도 잡으면 된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68/21/38.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전장에서 쓸만한 공격지휘다. 특기는 훈련 3, 신속 3.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병과특성은 창 B, 기 C, 궁 B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책사. 거기다가 무력이 높은데도 무관이 아닌 문관으로 분류되어 있어서 일기토를 하지 못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68, 지력 22, 정치 38, 매력 51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1 하락, 지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흉노, 저돌, 주의는 패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화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52. 엄강

파일:external/kongming.net/417-Yan-Ga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조운, 전예를 제외한 공손찬군 장수들이 그렇듯이 능력치는 좋지 않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60, 수지 26, 무력 66, 지력 45, 정치 32, 매력 38.

공손찬의 부하로 등장하는데 문무 모두 암울하고 쓸모 없기는 한데 초기에는 공손찬군에 장수가 없으니 아쉬운데로 무관으로 굴리게 된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지력, 정치, 매력 순으로 68/45/34/36이다. 특기는 수습, 고무, 진화, 복병, 속공, 강행이며 기본 진형은 추행, 어린이다.

능력치는 미방보다 근소하게 나은 수준이지만 공손찬군 답게 추행 진형과 속공, 강행을 갖추고 있는데다 교전 중에는 어린 진형으로 돌격이 가능해서 전투가 열세만 아니라면 조앙처럼 의외로 도움이 되는 장수. 여담으로 AI 공손찬과 원소가 격돌할 때 사로잡히면 공손월과 함께 백이면 백 참수당한다.[25]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무력 65/지력 44/정치 41/매력 33, 꿈 재간, 성장유형 보통의 평범한 잡장이다. 자세한 항목은 엄강(삼국지 6) 참조.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70/42/54로 병법으로는 돌파, 비사를 가지고 있다.

그저 그런 수준이지만 궁기병 최강 병법인 비사 덕분에 부장으로 쓰면 정말 좋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4/63/41/50/51에 특기는 돌격, 기합. 총 2개 뿐.

공손찬군은 인재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단 이런 정도도 쓰긴 써야 한다.

삼국지 12 일러스트에서는 두 손으로 북채를 든 채 북을 치고 있는데 연의에서 국의와 일기토 하기 전의 모습을 차용한 듯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71/40/51. 특기는 훈련 1,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창병선동. 음성은 청년. 그런데 어째선지 국의와 싸우다가 전사했는데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지 않고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솔직히 이번작은 대충 설정했다고 본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71, 지력 40, 정치 51, 매력 50이며 개성은 교련, 주의는 할거, 정책은 안행강화 Lv 3, 진형은 안행, 추행, 전법은 경파, 교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는데 같은 동료인 선경전해와는 달리 서로 친하다는 사실을 어째선지 코에이가 인지하지 못한 모양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53. 엄백호

엄백호(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54. 엄씨

파일:36140a24c75d5d3c57a2357672aaf67e3b533cf0d93f-5oTnUv_fw658.jp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엄씨.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불쌍한 얼굴을 한 채 두 손을 맞잡고 있으며 아마도 진궁의 계책을 여포에게서 전해듣자 반대한 일화를 묘사한 걸로 보인다. 그래도 용모는 예쁘장하게 묘사한 편으로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20/지력 56/정치력 45/매력 62. 개성은 응원,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세출개선 Lv 2,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여포, 여령기,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녀.

응원 개성이 있지만 기동성이 느린 병기 진형 밖에 없어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55. 엄안

파일:삼국지3엄안.png
삼국지 3
파일:Yan_Yan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53-Yan-Yan.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an_Yan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1.jpg
삼국지 12, 13
파일:엄안14.jpg
삼국지 14
파일:a2921c28848ab2e0690d0970601e96b2.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황충과 노장 이미지로 같이 엮여서 그런지 전반적인 능력치 배분은 비슷하면서 통솔력, 무력에서 한 단계 떨어지니 하위 버전이라는 느낌이 든다. 물론 황충이 워낙 좋을 뿐, 엄안 본인도 괜찮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고, 지력과 정치는 황충보다 더 좋게 매겨지기도 한다. 유장군 내에선 보통 장임 다음가는 성능이다.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7/지력 70/매력 72로 밸런스가 잡힌 무장이다.

무력이 높으면 돌대가리 수준의 무장들이 많은 이번작에서 상당히 유능하다. 그냥 써도 유능하지만 무력 90대 중반의 무장과 일기토로 승리를 거두거나 무기를 수여하면 90대 중반에 육박하기 때문에 조금만 신경써주면 무력만 높은 돌머리들보다 훨씬 낫다. 다만 야망이 57이라서 유장군 플레이 시 시작과 동시에 반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 심지어 충성도 90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87, 수지 73, 무력 86, 지력 71, 정치 68, 매력 76으로 뒤떨어지는 능력치가 없는 만능형으로 나온다.

시나리오 1 기준으로 무력만 따지면 87인 장임에 이어 86인 뇌동과 같은 유언군 2위이며 육상전 전투력으로 따지면 171인 장임, 167인 뇌동을 제치고 173으로 유언군 내에선 단독 1위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82/지력 69/정치력 67이다. 병법으로는 연노, 분투, 정란, 고무를 가지고 있다.

노병 최강의 병법인 연노와 보병계 전법 중 2번째로 강한 분투를 보유하고 있어서 연노와 분신을 가진 장임, 연사와 분투를 가진 이엄과 함께 주력 무장이다. 유장군 플레이는 이 3명을 중심으로 냉포, 오란, 뇌동, 장익, 오의 등이 받쳐주는 형태로 진행된다.

삼국지 10에선 통솔력 79/무력 82/지력 69/정치력 65/매력 74로 능력치가 고른 편. 특기도 11개로(보수, 훈련, 화시, 일제, 진정, 은밀, 저지, 지리, 회복, 기합, 나선) 많은 편이다.

참고로 황충은 통솔력 86/무력 94/지력 66/정치력 58/매력 74에 특기 13개.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83/지력 69/정치력 67/매력 79로 성 위에서 활을 쏘아 장비의 투구를 맞춘 일화를 반영한 듯 특기가 궁장. 거기다가 노병 적성이 S라서 쓸 만한 성능을 자랑한다.

황충과 능력치를 비교하자면, 황충은 지력과 정치력이 삼국지 9탄 시절로 돌아가서, 능력치 총합은 엄안 본인이 377로 366인 황충보다 더 높다. if 시나리오인 '하진포위망'에서 군주로 등장하기도 한다. 영지는 강주에 부하는 황권 한 명이지만 주변에 적이 적어서 충분히 해볼만한 세력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창을 든 상태에서 오른손을 펼친 채 호통치고 있는데 촉으로 유비를 도우러 오는 장비를 막을 때 모습인지 황충과 정군산에서 활약할 때 모습인지 확실치 않다. 아니면 천탕산에서 하후덕과 마주했을 때를 표현했을 수 있다.

전법은 황충과 같은 노당익장이다. 궁병 최강이겠지만, 원사만 있고 호걸이 없어서 약간 아쉽다. 노당익장이 괜찮고, 통솔력과 무력은 80대이라서 꽤 쓸 만한 인재.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81/80/73/66. 특기는 훈련 2, 순찰 5, 분전 5, 공성 2, 견수 3, 일기 4. 중신특성은 창술조련이고 전수특기는 분전으로 전법은 특공지휘. 음성은 노장.

견수도 있고 분전도 터져주는데다 특공지휘 버프를 아군 인접부대에게 다 걸어주기 때문에 쓸 만하다. 원래 오리지널에선 AI가 엄안이고 플레이어가 전군지휘권이 없을 경우 특공지휘를 남발해서 본의 아니게 트롤링이 되었다. 특공지휘는 병력을 소비해서 공격력 버프를 올리는데, 오리지널 당시 특공계 전법은 병력 손실이 너무 커서 주변 아군들이 잡장이나 문관일 경우 안 그래도 푹푹 깎여나가는 병력을 더 소비해버리는 결과를 낳았다. 결과적으로 플레이어가 통솔하는 부대랑 엄안 본대만 빼고 나머지 전투력 약한 부대가 공격하다 말고 오히려 괴멸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PK에서는 특공계 전법의 병력 감소량이 대폭 줄고 성능만 상향돼서 유장 세력의 희망이 됐다.

삼국지 14에서는 투구가 100만인의 삼국지와 동일하게 변경되었으며 두 손을 허리에 올리고 근엄하게 노려보고 있는데 12, 13과 마찬가지로 파군에서 장비와 대치할 때 아니면 천탕산에서 위군과 대치할 때 중 하나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 79, 무력 82, 지력 69, 정치 67, 매력 7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지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원시, 산전, 견뢰, 분쇄, 주의는 왕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4, 진형은 안행, 장사, 충차, 전법은 제사, 연노, 철벽, 교란, 친애무장은 장비, 황충, 혐오무장은 없고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고유 전법으로 적군에게 피해를 입히면서 아군의 방어를 상승시키는 교월궁이라는 무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원시 개성 설명 때 "뜨내기들과 비교하지 마라. 헤쳐온 수라장이 다르니."라는 전용 대사가 뜨는데 오나라의 명장인 황개와 대사를 공유한다.

충차 진형이 있기 때문에 병력이 부족한 초반에는 충차로 도시먹고 중반쯤 자신과 서로 연계 보너스를 받는 황충과 안행진형 소유자들이 생기면 안행 진형으로 교월궁을 날리는 전법이 정석이다.

56. 엄여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an_Yu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엄백호 휘하의 유일한 무장으로 등장한다. 그나마 엄여라도 있기 때문에 엄백호가 혼자 살림을 꾸리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능력치상으로는 무용이 뛰어났다는 묘사로 정사에서의 서술이 좋게 되어 있어서인지, 무력이 70대 후반으로 괜찮아서 그럭저럭 기본은 하는 장수. 손책과 협상한 기록이 있어서 지력과 정치력은 밑바닥인데, 외교 관련 특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6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6/지력 39/정치력 23/매력 39에 보유 진형은 기형, 학익. 특기는 복병, 화계, 화시, 고무, 수계, 난사.

무력을 제외한 능력치가 형편없다. 장수가 없는 초반에 전쟁에 쓰고, 후반에는 특수담당 매복이나 수행으로 사용하면 좋다.

삼국지 7에서는 무력 73/지력 24/정치 16/매력 25에 특기는 일기, 정찰.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8/지력 57/정치력 21. 병법으로는 보병계 최강 병법인 분신,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다.

분신 하나로 A급 부장이 된다. 무력도 낮은 편이 아니기에 엄여가 쓰는 분신은 결코 약하지 않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78/지력 49/정치력 18/매력 12에 특기는 회복, 기합, 주호. 총 3개.

무력만큼은 형보다 쓸 만한데 문제는 삼국지 10은 무력이 가장 덜 중요한 시리즈다. 특기 개수는 형보다 많지만 화시라도 쓸 만한 엄백호보다 낫다고 하긴 좀 뭐하다. 그래도 플레이할 때 산적들 정도는 일기토로 제압이 가능하다는 점은 위안.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78/지력 44/정치력 20/매력 29. 형보다 무력과 지력이 높다. 특기는 형과 같은 잉여 특기 친월.

여담으로 형인 엄백호는 삼국지 9부터 삼국지 11까지 일러스트가 똑같이 나왔지만, 동생은 정사의 평가가 반영된 것인지 이번작에선 자못 위풍당당한 장수형 일러스트로 일신되어 나왔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가 덜떨어진 모습으로 바뀌었는데 아마도 오른손을 펼치면서 죽기 전에 손책과 협상하던 모습으로 추측된다.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78/지력 44/정치력 20. 전작에서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졌다. 전법은 창방어강화이나 지력이 낮아 효용성이 없다. 특기는 변설 하나 뿐. 저 정치력으로 변설 있어봐야 쓸모가 없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78/지력 44/정치력 20.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훈련 1, 수영 2. 전수특기는 수영이고 전법은 기속약화.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78, 지력 48, 정치 19, 매력 2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이 4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친월, 저돌, 경솔,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형과 같은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분전,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57. 엄정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an_Zheng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배신자에게 박한 시리즈의 특성상 말 그대로 처참한 능력치를 보여준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2/59/38/41에 분전 하나 가지고 있는 쓰레기.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0/58/38/31/4에 특기는 기염 단 1개 뿐. 황건적 대부분이 무력 60은 넘긴다는 걸 감안하면 매우 낮은 것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0/55/39/36/12로 황건적 장수 중에서도 독보적 잉여.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장보에게 들이대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0/55/39/36에 전법은 색적. 병과는 창병에 공성 특기가 있긴 하지만 같은 황건적인 손중에게조차 여러 모로 밀린다.

삼국지 13에서도 등장.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공성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공성이고 전법은 창속강화. 151년생이며 189년 자연사로 설정되어 있어서 얼마 못 가 죽는다.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56, 지력 38, 정치 36, 매력 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적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1, 진형은 장사, 전법은 분전,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58. 엄준

파일:external/kongming.net/418-Yan-Ju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4.jpg
삼국지 12, 13, 14

전형적인 정치형 문관 능력치인데 정사에서 말에 오르다 떨어졌다는 기록 때문인지 무력이 심각하게 낮게 나온다. 서주 팽성국 출신이지만 출신지인 하비가 아닌 오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오로 이주했다는 고증이다.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9/무력 4/지력 72/정치력 84.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여러 저서를 쓴 덕에 그 중 하나인 효경전을 처음부터 아이템으로 갖고 나온다. 효과는 정치력 +2.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1/지력 70/정치력 84/매력 76. 특기는 혼란, 반박. 총 2개다.

무력 1로 최하위를 자랑하는데,[26] 삼국지 갤러리에서는 다리 잘린 손빈처럼 엄준은 양팔이 잘려서 무력이 1(…)이라는 드립이 성행하기도 했다.[27] 손빈은 명사가 있어서 도적들을 설전으로 역관광을 시킬 수가 있지만, 엄준은 명사가 없으니 도적을 만나면 돈을 주자. 그리고 삼도에서는 엄준으로 여포를 이기는 도전이 있다.1, 4(4편까지 있다.)
엄준이 무력 100으로 성장하고 일기토 특기를 배우려고 하는데, 여포가 수명이 다해서 231년에 죽었다.(...) 할 짓이 없어서 손권군을 떠나고 유비에게 일기토 특기 수련하다가 유비가 죽고 배드엔딩이 되었다. 그 외엔 정치가 84긴 하지만 특기라고 준 게 달랑 2개인지라(혼란, 반박) 취급이 여러모로 좋지 못하다. 여담으로 이번작까지만 해도 출신지인 하비에서 재야 무장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1에서는 무력이 2로 올랐다. 능력치는 통솔력 13/무력 2/지력 70/정치력 84/매력 72. 특기가 없어서 활용도가 떨어진 인재 중 하나.

삼국지 12 일러스트는 왼손에 경전을 들고 오른손으로 그것을 가리키고 있는 장면인데 연의에서 제갈량과 설전 당시 마치 "이 경전을 읽어보았소?"라고 묻다가 제갈량이 "그딴 걸 읽어서 뭐에 쓸 것이오?"라고 대답을 들었던 모습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력 28/무력 2/지력 71/정치력 84. 효경전 버프(지력+1)로 실질 지력은 72이며, 내정 요원이나 외교관(변설 소유) 정도의 역할이 적당하다. 여담으로 삼국지 9 이후 작품 중 통솔력이 제일 높다.

삼국지 13에서는 전작의 일러스트, 능력치가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특기로 농업 5가 붙어있어 내정 요원으로 사용하면 된다. 교섭 계열 특기도 3~4 정도(설파 4, 교섭 3, 언변 3) 보유하고 있으나 그 외에는 활용처가 전무하다.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위병. 음성은 관리.

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는 소패에서,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건업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도겸군이나 유요군으로 플레이 할 때 등용하면 내정요원으로 쓸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2, 지력 70, 정치 84,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논객, 학자,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4, 진형은 투석, 전법 역시 투석, 친애무장은 보즐, 장승, 제갈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치가 낮은 문관답게 내정용으로 쓰인다.

59. 여개

파일:삼국지3여개.png
삼국지 3
파일:Lu_Kai_-_Shu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1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시리즈에 따라 평만지장도를 가지고 있을 때도 있다. 능력치는 문관형. 여러모로 별 볼 일 없는 삼류 문관이지만 건녕에서 등장하는 시리즈가 많기 때문에 문관이 전무한 맹획 세력에선 등용해서 쓰는 것이 좋다.

삼국지 3에서는 정치가 70대라서 그럭저럭 문관으로 잘 써먹을 수 있다.

평만지장도의 존재 때문인지 범용얼굴이 아닌 고유 얼굴을 갖고 있다.누구는 정치 92를 찍고도 범용얼굴인데... 정작 이 게임에서 평만지장도는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 무력 26, 지력 74, 정치력 82.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30/지력 70/정치력 77/매력 73에 특기는 농업, 고무, 혼란, 지리. 총 4개.

연의의 활약에 걸맞는 특기를 준 듯 보인다. 평만지장도는 217년 시나리오부터 들고 나오며, 효과는 통솔력+1과 지리 특기 부여. 하지만 여개는 평만지장도가 없어도 기본적으로 지리 특기가 있으므로 여개가 부하장수라면 뺏어서 다른 장수한테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삼국지 11에서의 특기는 해독이지만 무특기나 다를 바 없다.

같은 특기 소유자인 타사대왕은 그래도 독천 사이의 외길을 오래도록 걸어야 도착할 수 있는 운남에서 시작하니 초반 방어용으로 쓸 만도 한데, 여개가 위치한 건녕은 그렇게 독천지대의 효능을 톡톡히 볼 만큼 좁거나 멀지도 않다. 평만지장도를 헌납한 일을 반영해서 답파였다면 참 좋았겠지만. 일러스트가 수염이 그려진 모습을 하고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수염이 없어지고 평만지장도를 든 채 제갈량에게 설명하고 있는데 삼국지 10에서 입었던 복장으로 다시 돌아왔다.

능력치는 통솔력 53(+1)/무력 30/지력 67/정치력 77로 위와 같이 보물인 평만지장도[28]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2, 문화 2, 설파 6.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전법은 방어강화. 음성은 정중. 생몰년도가 194~227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3, 무력 30, 지력 66, 정치력 77,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해독, 지리,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3,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저지, 치료, 정란, 친애무장은 왕항, 혐오무장은 옹개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90년으로 변경되었고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해독 개성도 있어서 독늪 지역에 있는 지역을 점령할 때 마음놓고 다닐 수가 있으나 하필 기동력이 느린 방원진이라 독늪 지역 점령용 외에는 거의 없다.

60. 여거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1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모든 능력이 뭔가 부족한 밸런스형으로 나온다. 삼국지 11까지는 문관틱한 일러스트에 어설픈 능력치였지만 삼국지 12에서는 새로운 일러스트가 그려졌는데 자세히 보면 말을 탄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편지를 읽고 있다. 하지만 아버지 여범과 전혀 닮지 않았다.대신 콧수염 위치만 닮았다. 여범은 삼국지 12에서 젊어져서 오히려 얘가 아버지같다 일러스트에서 읽고 있는 쪽지는 아마 손침이 집권했다는 내용이고, 그걸 읽고 놀라는 표정인 듯하다. 거기다가 문관복에서 무관복으로 갑자기 변경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56, 지력 71, 정치 65로 어중간한 편이지만 병법으로는 연사, 투함, 정란, 매도가 있어서 그나마 쓸만하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병법이 모두 똑같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1/58/69/59/63 에 특기는 상업, 화시, 유인, 제독. 총 4개.

통솔이 70을 넘긴 하지만 오나라 소속이고 특기가 좋은 것도 아니라 전투에서 활용하기는 최후반 시나리오가 아니라면 미묘.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0/59/71/62/62로 여전히 말도 안되는 잡장으로 나온다. 특기도 잉여인 조타.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8/69/71/62이고 전법은 백도어에 능한 맹공. 전작에 모든 능력치들이 좀 상향되었다. 이제 오나라의 후반기의 주력 장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2, 순찰 1, 수영 2.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기속약화.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62, 지력 71, 정치 62,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 무력이 7 하락했다. 개성은 노발, 숲전, 조타,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안행, 장사, 투석, 전법은 연노, 투석, 구축, 강습, 친애무장은 주이, 혐오무장은 손침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61. 여건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u_Qian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1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산적 토벌의 스페셜리스트답게 문관치고 통솔이 50대 후반으로 나오고 연의에서 무관으로 나와 무력을 70대를 찍는다. 하지만 인지도가 영 좋지 않아서 전형적인 쩌리 무장. 능력치 중 80을 넘는 게 하나도 없다(...). 순욱으로 시작하는 다단계 피라미드 등용 이벤트[29]로 영입하는 인물들 중에서도 능력치상으로 보았을 때 모개에 비하면 무력 빼고 영 좋지 않다.

삼국지 7부터 삼국지 10까지의 일러스트는 늙은 선비처럼 나왔다. 비록 여건이 조예대 까지 살았긴 해도 정욱이 순욱의 다단계 피라미드 중에서 정욱이 나이가 많았기 때문에 뜬끔없는 이미지이긴 하다. 캐릭터성이 적립된 삼국지 11부터 화살통을 메고 있는 활잡이 이미지로 나와 삼국지 12부터 삼국지 14까지 이어진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5/72/61/70인데 통솔이 아주 눈에 띄게 낮다. 병법으로는 연사, 주사, 정란, 조영을 가지고 있다.

그래도 연사, 주사가 있어서 공성전에서 부장으로 잘 써먹을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8/70/61/70/58. 특기는 9개나(상업, 치안, 징병, 화시, 진정, 은밀, 반목, 유인, 회복) 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능력치가 별로인데다가 정치를 살릴 만한 특기도 상업 1개 밖에 없는데 통솔이 58 밖에 안 되는 주제에 통솔 의존 특기가 4개나 되는 등 여러모로 미묘한 존재. 뭔가 일관성이 없는 능력치로 보통 무관형이라면 통솔, 무력에 특화되고 문관형이라면 지력, 정치에 특화, 제독, 지휘관형이라면 통솔, 지력에 특화되는데 특이하게 전혀 관련이 없어보이는 무력, 정치에 특화되었다. 물론 그래봤자 딱 70 밖에 안되는지라 효용성은 낮다.

삼국지 11에서는 산적토벌 일화를 반영하여 그에게 사수라는 특기를 주는데 이것은 숲에서도 궁노 전법을 쓰는게 가능하게 하는 특기다. 더구나 노병 적성이 A. 주력은 못 되지만 부장으로는 쓸만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설란에게 활을 쏘려는 모습으로 그려졌으며 병과는 일러스트 대로 궁병.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7/70/62/72. 특기는 상업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상업이고 전법은 궁병속공진.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70, 지력 61, 정치 72, 매력 59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교화, 위무, 인정,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안행, 학익, 전법은 연노, 업화, 친애무장은 만총, 모개, 왕상, 유엽,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62. 여건

파일:여건14.jpg
삼국지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71, 지력 35, 정치 30, 매력 34이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여건을 재활용했다. 개성은 축성, 주의는 패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은 당연히 같은 세트메뉴인 서상,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난폭남.

서상과 마찬가지로 축성 개성이 있어서 건설 속도를 빠르게 진행하기가 장점이다.

63. 여공

파일:여공.jpg
삼국지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0을 간신히 찍는 것외에는 영 좋지 않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검을 쥔 채 간사해 보이는 얼굴로 웃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60, 지력 48, 정치 23, 매력 42다. 개성은 산전, 주의는 명리, 정책은 장사강화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제사, 저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손견이 죽는 이벤트를 보면 같이 사망한다.

64. 여광

파일:삼국지3여광.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486-Lu-Kua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1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무력 70을 겨우겨우 찍는 능력치를 대체적으로 지니고 있다. 통솔과 무력을 제외한 기타 능력치와 의리는 거의 최하위급으로 신탐, 신의 형제와 비슷한 취급. 형제가 쌍으로 배신했으며 그 배신도 한번이 아니었기 때문에...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68/수지 27/무력 73/지력 25/정치 21/매력 50이다.

육전지휘가 70 미달이라 일제 공격은 못 하기 때문에 강성 세력이라면 잉여자원이지만 육지 + 무력의 합이 141로 무관 중에서는 준수한 편이라서 약소 세력이라면 전력에 도움이 된다. 정치가 바닥이라 밀정이나 장수 수색용으로는 부적합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68/9/23의 3류 무장. 병법으로는 동생 여상과 함께 돌파, 기사, 몽충을 가지고 있어서 쓸 수는 있다.

여상과 함께 배신을 잘 때리며 컴퓨터도 이를 아는지 포로로 잡히면 매우 높은 확률으로 처형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5/63/17/29/24. 쓰레기 무장이며 특기는 일제 단 1개.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검을 든 채 즐거운 얼굴로 조운과 맞서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6/70/13/22.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수비명령. 음성은 보통.

쓰레기급 능력치를 가지고 있지만 제북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포신군에서는 그래도 등용해서 사용해야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68, 지력 13, 정치 22, 매력 21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아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은 여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65. 여대

파일:Lu_Dai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u_Dai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2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요화와 같이 게임상의 모든 시나리오를 즐길 수 있는 2명 중 1명이다. 수명은 요화(95)보다 길다(96). 능력치는 50~60 중간인 매력를 제외하고 70~80대로 책정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2/지력 68/정치력 73.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누선, 충차,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2/지력 70/정치력 69/매력 56. 특기는 치안, 징병, 화시, 일제, 반목, 저지, 회복. 총 7개다.

능력치에 균형이 잡혀 있고 80대의 통솔력을 살릴 수 있는 치안, 화시, 일제 등의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초기 시나리오에서도 활용도는 괜찮은 편이고 후기 시나리오로 갈수록 가치가 더욱 올라간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2/71/69/75/63에 적성은 창병, 노병, 병기가 A고 수군이 S로 우수한 편이다. 특기는 조타.

수상전은 잉여이지만 수송할 때는 쓸 만한 특기라서 그럭저럭 괜찮다. 다만 유비랑 동갑에 수명이 매우 긴데 성장 유형이 보통형이라 후기에는 능력치를 좀 깎아먹어서 성장 유형을 반영 안 하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무릎을 짚고 있다.

전법은 전방어강화로 수명이 매우 길기 때문에 육성형 무장으로 쓸만한 가치가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1/지력 70/정치력 75로 만능형이다. 특기는 농업 1, 순찰 1, 연전 1.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화염계. 음성은 노장.

전법이 괜찮은 편이라 광릉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장초군에서는 등용을 하게 되면 전투를 할 때 전장에 반드시 데리고 나가야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 무력 71, 지력 69, 정치력 74, 매력 65로 전작과 달리 통솔, 매력이 각각 4, 2 상승한 대신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수전, 숲전, 위무, 소욕, 주의는 왕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충차, 전법은 제사, 대갈, 충차, 강습, 시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66. 여령기

파일:Lu_Lingqi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484-Lu-Lingq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92.jpg
삼국지 12, 1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401.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402.jpg
삼국지 13 PK, 14
파일:461965439c8850a46f3ab4b00e8e7832.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9 콘솔판에서 추가되어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여령기(呂玲綺)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능력치는 손책이나 문앙 같은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2세대 인물들이 그러한 것처럼 아버지의 다운그레이드 형. 통솔과 무력은 여성 무장 중 탑급이나 지력과 정치는 근육뇌인 아버지를 둔 비극을 면치 못했다. 그래도 통솔과 무력이 높아서 손해볼 것 없는 시리즈라 쓸 만하다. 특이하게도 삼국지 10 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30]

삼국지 9 콘솔판에서는 삼국지전기 2의 데이터가 있다면 여령기 본인이 신규 무장으로 등록된다. 능력치는 통솔력 85/무력 90/지력 37/정치력 18로 꽤 좋은 편이며 무엇보다 분투, 돌격, 비사, 연사 등 좋은 공격 병법을 소유하고 있어서 여포군의 무장으로 등록시킬 경우 큰 도움이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89/지력 37/정치력 18/매력 56으로 신캐 및 여캐 보정을 받은 데뷔작 삼국지 9편보다 너프됐지만 지력과 정치는 형편없지만 통솔력과 무력이 여캐들 중 최강을 달린다.

특기로 '자신보다 공격력이 낮은 부대에게 기병전법 성공 시 혼란'의 효과를 가진 사기급 특기인 질주를 들고 나와서 안 그래도 기병 전법으로 쾌적한 여포군의 플레이를 더욱 더 쾌적하게 만들어주었다. 수명이 다소 짧은 게 흠으로 사망년도가 198년[31]이라 사실모드로 하면 부자연사로 설정된 덕분에 사망 예정년도보다 조금 더 사는 것을 감안해도 보통 208년을 넘기지 못한다.

삼국지 12에서는 다시 잘렸다가 대전판에서 부활. 전작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는 일러스트인데 자세히 보면 왼손을 허리에 대고 있다. 전법은 공방일체.

삼국지 13의 본작 오리지널에서는 전작의 일러스트를 우려먹다가 이번작 PK에서 민소매의 일러스트로 새롭게 등장했다. 가공의 인물인데다 몇 년 못 살고 죽는데도 불구하고 메이저 무장이라고 인정받았는지 내정용 일러스트와 전투용 일러스트가 따로 있고 전작에 비해서 굉장히 예뻐졌다. 그 전 일러스트들에서는 미묘한 외모였지만 새로운 일러스트들에서는 엄청난 미인이 됐다. 특히 가슴이 엄청 커져서 수십 명의 여성 무장들 내에서도 손꼽히는 거유. 내정 일러스트는 왼손을 올리고 있는데다가 전작 복장에서 민소매로 어레인지가 됐고, 전투 일러스트에서는 아예 새로운 갑옷으로 갈아입었다. 여포의 딸임을 더 강조하려고 했는지 잘 보면 타고 있는 말이 적토마인데다가 오른손에 방천화극까지 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88/지력 37/정치력 18인데 매력이 삭제된만큼 다른 능력치에 보상이 있을만도 하였으나 오히려 통/무가 너프됐다. 특기는 훈련 5, 순찰 3, 신속 5, 분전 3, 연전 2, 일기 5로 전투 특화형 무장으로서는 호걸을 제외하면 있을 건 다 있다.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A/궁병 A인데 군주인 여포와 군주군무중신인 장료, 고순의 중신특성이 모두 기마조련이라 기병은 S라고 생각하면 된다. 본인의 중신특성은 호단맹진.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불굴. 자부대 방어 +2, 사기 +1, 역경 효과, 사기 유지의 효과를 지닌 전법으로 삼국지 11의 질주, 삼국지 12의 공방일체에 비하면 아쉬운 전법이다. 음성은 용감녀.

그래도 여포군에서는 아버지와-장료-고순 다음으로 총합 4위의 능력치인데 여전히 여성 무장 중 톱급의 능력치이고, 남자 무장들 사이에서도 밥값은 한다. 플레이어 캐릭터로 다루면 능력치 성장+관직+아이템빨 효과로 여성 무장 중 가장 높은 통솔과 무력을 지닌 전투요원이 될 수 있다. 아버지의 천하무쌍이나, 장료의 효장질주에 전법포인트를 투자하면 되니 그렇게까지 큰 흠은 아니고, 어차피 이번작의 여장수들은 제사지휘를 가진 대교, 전용 전법인 요염을 가진 초선, 속방지휘를 가진 왕원희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전법이 미묘한 편이다. 여령기도 마찬가지이고 대표적인 다른 여장수인 손상향, 황월영 등도 전법이 좋지 않다. PK라면 전법을 쓸 만한 거로 바꿔주든가 하자.

오리지널 때는 가상 시나리오를 제외하면 DLC 시나리오인 여포토벌전(198년)에서만 사용가능했으나 PK에서는 군웅할거(195년) 시나리오에서도 14세의 나이로 임관하는 걸로 바꾸어 여령기를 사용 가능하다. 수명은 198년 사망으로 짧은 편이나 다행히 비자연사로 설정되어 정해진 수명보다 20년 더 오래 산다. PK에서 추가된 역사 이벤트인 '여포의 최후'를 거치면 고순, 진궁, 학맹은 사망하지만 여령기와 초선은 죽지 않는다. DLC 시나리오이자 가상 시나리오 중 하나인 193년 한실 삼분전에선 원술이 한실을 장악하며 여포의 지원을 받게 되면서 중군 소속이 되는데 놀랍게도 12살로 플레이가 가능하다.[32]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전작 PK 때의 내정 일러스트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74/지력 37/정치력 18/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0, 무력이 14 하락했다. 개성은 과감 1개 밖에 없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와 추행, 전법은 돌격과 매성, 친애무장은 여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감녀다.

능력치가 심하게 너프되어 평범한 무장으로 전락했지만 적색 개성이 없고 추행 진형으로 통한 보급로 끊어버리기가 편하게 가능하며 여포과 혈연 보정으로 통한 연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전작들과 비해 주장급에서 내려갔지만 서포터 용도로 쓸만하다.

67. 여몽

여몽(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68. 여백사

아주 드물게 이벤트 용으로나 등장하는 정도였는데,[33] 삼국지 11의 콘솔판에서만 특전 무장으로 참가했다. 능력치는 모든 면에서 동백만도 못하지만, 특기로 지닌 부호 덕분에 그냥 도시에 박아두기만 해도 제 몫은 해낸다.

대신 등장시켜도 일반 시나리오에선 수명이 얼마 안 남았으니 주의하자. 연의의 결말에도 불구하고 상성과 친애무장은 조조로 맞춰져 있다. 그거야 죽는 그 순간까지 조조가 그렇게 배은망덕한 짓거리를 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테니 조조 세력에 소속시키면 초반 진행의 몇 안 되는 약점인 자금력이 보완되므로 훨씬 쾌적한 진행이 가능해진다.

69. 여범

파일:Lu_Fan_3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2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의의 영향인지 장군으로 보기는 어려운 스탯이다. 그러나 최근 작부터 통솔은 보통 70은 넘기고 무력이 50대 지력, 정치는 70대로 나온다. 그냥 만능으로 굴릴 수가 있다.

삼국지 1의 시나리오 1에서는 뜬금없이 원술의 부하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25/수지 19/무력 30/지력 72/정치 76/매력 75로 지력과 정치가 모두 70대라서 문관으로만 굴릴 수 있는 능력치지만 정치가 76이나 되기에 내정 올리기에는 매우 유능한 모습을 보여준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61/73/74. 병법으로는 연사, 투함, 정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무력이 나름 올라서 부족하게라도 장군으로 굴릴 수 있으며 특히 투함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3/55/74/73/67로 특기는 상업, 기술, 화시, 유인, 지리, 군사, 명사, 제독. 총 8개다.

특출나진 않지만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평상 시에는 상업, 기술 특기가 있어 내정 요원으로도 무난하고 전장에선 통솔 73인데 군사 특기가 있는 이상 휘하에 다른 에이스급 장수가 있다면 가치가 배로 뛰어오른다.

삼국지 11에서는 전작과 능력치는 비슷한데 특기가 조선.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치고 있는데 아마도 손책을 맞이하는 모습이거나 유비를 안내하는 모습으로 보이며 전법은 방어약화에 병과가 궁병이라 좀 쓸만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3/63/75/75. 특기는 상업 4, 문화 1, 순찰 2, 수영 3.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화염계.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60, 지력 74, 정치 74,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규율, 조달, 점술, 조타, 탐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화시, 정란,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손책, 주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70. 여상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2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무력 70을 겨우겨우 찍는 능력치를 대체적으로 지니고 있다. 형인 여광과 거의 비슷한 능력치. 통솔력과 무력을 제외한 기타 능력치와 의리는 거의 최하위급으로 신탐, 신의 형제와 비슷한 취급된다. 형제가 쌍으로 배신했으며 그 배신도 한 번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64/지력 14/정치력 28로 3류 무장급. 병법으로는 여광과 함께 돌파, 기사, 몽충을 가지고 있어서 쓸 수는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69/지력 13/정치력 19/매력 22로 쓰레기 무장. 특기라고 하나 있는게 치안인데 통솔력이 56인지라 없는 것보다 조금 나은 수준.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창을 든 상태에서 주먹을 쥔 채 위로 올리면서 밝은 얼굴로 장비와 맞서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71/지력 12/정치력 19.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화염계. 음성은 정중.

형과 마찬가지로 쓰레기급 능력치를 가지고 있지만 전법이 괜찮은 편이라 제북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포신군에서는 등용을 하게 되면 전투 요원으로 써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 무력 69, 지력 12, 정치력 19, 매력 2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무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아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은 여광,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형 여광과 마찬가지로 개성, 주의, 진형, 전법이 무려 4개나 똑같지만 정책만은 다르다.

71. 여상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72. 여예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5.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2부터 삼국지 8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는데 연의를 따라 이름이 여의(呂義)로 등장하기도 했다. 능력치는 평범하다.

삼국지 6의 경우 통솔력 65/무력 72/지력 67/정치력 53/매력 48/수명 7의 능력치를 갖고 나온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측면인 상태로 오른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면서 소리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51/지력 65/정치력 63. 특기는 상업 2, 농업 2, 훈련 1, 공성 1.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B/궁병 C. 전수특기는 상업과 농업보다 1 낮은 공성으로 전법은 후방지원.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관리. 능력치가 50~60대인 평범한 문관이나 후반기 인물임을 감안하면 질이 나쁜 무장은 아니다. 특히 지휘포인트 4의 후방지원을 가지고 있어 후반부 촉나라 진영의 유일한 힐러로 활용할 수 있다. 여전히 이름이 연의의 여의로 나오며, 출생년도가 180년으로 설정되어 있고 몰년 오류가 있는데 251년이 아닌 240년이 몰년으로 나온다. 거슬린다면 정사대로 편집해 주자. 여담으로 문관형인데도 무기가 검인데다가 관심도 병기흥미다.

삼국지 14에서는 통솔력 53/무력 32/지력 63/정치 77/매력 51의 능력치로 등장하는데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4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9, 무력이 거의 2배인 19,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악주, 운반, 법률,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왕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60대이던 통솔력은 다소 감소했으나 유능한 지방관이었던 점이 적극 반영되어 정치가 70대 후반으로 높아졌다. 개성 4개 모두 청색 개성이라 더욱 쓸만한 문관인데 운반 개성과 병참개혁 정책이 덕분에 선택했을 때 군량 소모를 줄인 상태로 물자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전작과 달리 여의가 아닌 여예라는 이름으로 제대로 표기되었으며 생몰년도가 182~251년으로 사망년도가 고증대로 변경되었다.

73. 여위황

파일:external/san.nobuwiki.org/450.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0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휘황찬란해 보이는 이름과는 다르게 그저 잡무관의 능력치.

삼국지 3에서는 특이한게 동료인 한거자 등은 모두 사라진 시나리오 3 이후에도 5까지 조조의 부하로 등장한다. 그래도 이전이나 오습처럼 생몰년도가 안 나온 장수면 이해가 가는데, 어차피 잡무장인데 전사한 장수를 굳이 등장시킨 이유가 궁금할 정도다. 범용얼굴에 육전지휘 50대, 수전지휘 20대, 무력 60대쯤이고 나머지 능력치는 죄다 40대 수준이다.

삼국지 4에서는 여위로 오역되어 나왔다. 마찬가지로 잡무장 능력치.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66/32/38.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1/60/28/39/40에 특기는 화시 단 1개. 특이하게 지력이 28밖에 안 되는데 성격은 냉정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동료들인 수원진, 한거자, 조예[34]가 모두 짤렸는데도 불구하고 혼자 살아남았다! 능력치는 못 쓸 정도이지만 왼손으로 검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땅바닥에 짚은 채 방비를 게을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일러스트로 등장에 성공!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58/63/29/39.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으로 전법은 화계다. 음성은 보통. 전체적으로 능력치가 구리지만 원소군이라면 전장에 데리고 나가도 상관없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3, 지력 28, 정치 39, 매력 41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동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동료 수원진, 조예와 개성이 똑같고 전법은 조예와 같으며 공격용 전법이 있지만 스탯이 별로라 운반 셔틀용으로 쓰인다.

74. 여일

파일:여일.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간신다운 얼굴을 한 채 왼손으로 수염을 쓰다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0, 무력 19, 지력 40, 정치 21, 매력 3, 총합 93으로 백하팔인이다. 개성은 법률, 소심, 탐욕,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1,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손권, 혐오무장은 반준, 육손, 이형, 정주, 주거다.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스탯이 백하팔인이지만 태수가 되면 포로의 도망을 막아주는 감수 개성이 있어서 플레이어도 손권처럼 여일 본인에게 높은 관직을 주게 되어 백하팔인 중에서 유일하게 쓸만한 존재다. 따라서 남해 같은 최후방 지역의 태수로 삼아 포로들을 그리로 모아놓고 교도관 역할을 시키면 좋다.

75. 여패

삼국지 2에서만 등장하는데 게임 내에서 등장 시기는 215년으로 능력치는 무력 73, 지력 81, 매력 77이라 행적이 알 수 없는 것과 다르게 과하게 평가받은 편이다.

76. 여포

여포(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77. 염상

파일:external/kongming.net/219-Yan-Xia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양홍, 한윤과 함께 원술군의 문관으로 등장해 원술의 칭제를 반대했다는 나만 정상인 판단력으로 인해 대체적으로 원술군 최고의 정치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며, 지력도 양홍 다음으로 높은 편이 대부분.

삼국지 3에서는 지력 70/정치력 83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196년부터 원술의 영지인 완에서 재야로 나오는데 원술이 따로 군사를 가지고 있지 않은 데다가 인재도 영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리고 원술 세력의 유일한 군사라서 능력치에 비해 중요하게 쓰인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9/무력 26/지력 66/정치력 73. 병법으로는 누선, 조영 뿐이다.

누선을 가지고 있지만 그거 외에 전장에 들고 갈 수 있는 병법이 하나도 없어서 배가 필요하지 않으면 내정만 하게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9/무력 27/지력 69/정치력 74/매력 62에 특기는 농업, 진정, 유인. 총 3개.

원술군에서는 이 정도도 훌륭한 농업 셔틀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0/27/70/74/51. 특기는 없고 병과 적성은 병기만 B.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올리면서 황제를 참칭하려는 원술을 말리려 하고 있다.

기령, 장훈, 한호, 양홍과 더불어 원술군의 쓸 만한 무장이다. 전법은 궁병격봉인이라 잉여이긴 하지만 옆 동네는 궁병특화 손가가 있고 원술군의 주력은 창병이니 중요하게 써야 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0/무력 27/지력 71/정치력 74. 특기는 상업 3, 교섭 1.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위병.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9, 무력 27, 지력 70, 정치 74,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투석, 전법 역시 투석,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78. 염온

파일:염온.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뒤로 묶인 상태에서 마초에게 호통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36/무력 44/지력 55/정치력 57/매력 62다. 개성은 담력 하나 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2, 진형은 추행 하나, 전법은 없으며 친애무장은 위강, 혐오무장은 마초다. 어투는 용장남.

생년은 180년, 몰년은 213년까지 되어있는데 사망년도가 212년이라고 밝혀졌지만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거기다가 추행진 진형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육상전에서 전법을 아예 사용할 수 없지만 이와는 반대로 보급로 끊기용으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여담으로 자가 백검인데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어째선지 아예 나오지 않았다.

79. 염우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어설픈 만능형으로 그래도 황호보다는 훨씬 낫지만 그래봐야 잉여를 면치 못한다. 아예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의리가 낮고 황호와 결탁해 군권을 얻으려고 했던 사실을 반영한 것인지, 야망이 높음으로 설정되어 배신하기가 쉽다.[35]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69/46/54.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으나 병법 숙련도도 0이고 지력도 보다시피...

그래도 무력과 통솔 쪽으로 확실하게 높은 무장형이라, 어중간하던 후속작보다는 그나마 낫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9/64/60/56/20. 특기는 보수, 화시, 혼란, 회복. 총 4개다.

촉나라의 인재가 암만 부족해도 이걸 어디다 쓰나...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2/61/58/59/20로 어중간하기 짝이 없다.

병과 적성은 창병, 극병, 병기가 B이고, 나머지는 전부 C다. 특기는 없으며, 친애무장은 황호, 혐오무장은 강유다.

삼국지 12에선 매우 능글맞은 모습으로 두 손을 맞잡고 황호에게 아부하고 있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2/61/51/59. 전법은 궁방강화이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뿐이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병과 적성은 B/C/C로, 와중에 전법과도 엇나간다.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61, 지력 55, 정치 60, 매력 2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7, 지력이 4,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아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2,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화시, 매성, 친애무장은 황호, 혐오무장은 강유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에 맞게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80. 염유

파일:external/kongming.net/221-Yan-Ro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보통 이민족과 관계되어서 나오나 삼국지 12 같이 이민족 관련 특기가 없는 곳에서는 별 특징이 없다.

삼국지 6에서는 NPC 세력인 오환족에 소속된 장수로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6/54/71/75. 병법으로는 돌파, 비사, 정란, 배반을 가지고 있다.

궁기병계 최강 병법인 비사를 보유하고 있어서 유우 진영이나 유우 진영을 멸망시킨 공손찬, 조조 세력한테는 매우 쓸만하지만 무력이 낮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4/50/70/73/80으로 특기는 치안, 돌격, 화시, 은밀, 유인, 지리. 총 6개다.

무력을 제외하면 만능형에 가까운데 능력치 배분은 좋은 편이지만 특기는 통솔 쪽에 집중되어있는 편. 치안 특기가 있으니 평상 시에는 치안셔틀로 쓰면 되고, 강한 세력이 아니라면 전투에서도 돌격, 화시, 은밀 특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럭저럭 쓸 수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특기가 잉여스러운 친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고삐를 쥔 채 왼손을 펼치면서 위로 올리고 있는데 이민족과 관련된 생애만을 지낸 그 답게 본격 이민족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잘 보면 젊은 시절의 성룡을 닮기도.

전법은 방어약화로 괜찮은 편이나 군주인 유우와 겹치기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1/57/71/73. 이민족과 친했으며 그들과 위나라의 교두보로 활약한 인물이라, 설파나 교섭 특기를 줬으면 좋았을 텐데 특기가 농업 2밖에 없어서 내정 말고는 별 쓸모가 없어졌다.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기병속공진. PK를 한다면 설파와 교섭 특기를 추가해주자.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57, 지력 70, 정치 73, 매력 78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친오, 친선,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안행강화 Lv 3, 진형은 안행, 장사, 전법은 돌격, 제사, 저지, 친애무장은 선우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81. 염포

파일:삼국지3염포.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222-Yan-P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지력은 80대 정치력은 7-80대로 나와서 어느 군주라도 쓸 만한 장수다. 장로군에서는 최고의 지략가로 양임과 함께 문무 에이스를 이루는데, 양임은 무력이 80을 넘기가 어려워 염포 본인의 입지가 더 확고하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27/수전지휘 14/무력 36/지력 80/정치력 78/매력 48에 야망 7, 운 7, 냉정 9, 용맹 6이다.

지력 탓에 순 뻥만치는 군사일 뿐이니 조언은 무시하는 게 좋다. 장로 세력에 군사가 얘뿐이라 울며 겨자먹기로 쓰긴 하지만, 지력이 염포 본인보다 더 좋은 군사를 발굴하는 즉시 그 장수를 담당 군사로 삼고 염포를 문관으로 강등시킨 후 상업 투자를 시키는게 백 배 낫다. 이번작에서 부군사가 하는 일이라고는 타국의 사신이 찾아왔을 때 군사의 조언에 딴지를 거는 것 뿐이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31/지력 80/정치력 86/매력 77의 전형적인 문관이지만 특기가 화계, 혼란, 화시, 분기, 난사, 속공으로 대부분 장수형 특기이며 무력에 의존하는 진형인 언월을 들고 나온다는 점도 독특하다.

장로가 거병하기 이전인 189년 시나리오에서는 뜬금없이 북평에서 재야로 등장한다. 전투에서도 특기나 진형이 무난해서 쓸만하지만 주로 내정 셔틀로 쓰인다. 특히 조조, 유비, 손권같이 장수진이 막강한 메이저 군주라면 염포를 전장에서 쓸 일이 없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31/지력 80/정치 83/매력 67. 전법은 열화 3, 낙석 4, 공성 2. 특기는 경작, 반계, 혼란으로, 특히 산이 많은 익주 지형에서 활약할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27/지력 82/정치력 78. 병법으로는 혼란, 투석 뿐이지만 어쨌든 장로군의 지력 에이스다. 일러스트는 투구를 쓰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1/무력 28/지력 82/정치력 78/매력 69에 특기는 6개인데(농업, 고무, 지리, 항변, 반박, 군사) 그 중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매우 좋다.

다른 부대를 자신의 턴을 소모해서 조종하는 특기로, 양임이나 장위에게 궁병을 맡기고 염포로 대신 조종하면 장로군으로도 충분히 수성이 가능하다. 통솔이 31이라 턴이 잘 안오는 것이 흠이지만 훈련도가 높다면 어느 정도 극복은 가능하다. 전투 외에선 농업 요원으로 유용하고, 지력 82에 군사 특기가 있는 이상 장로군의 참모 포지션.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9/무력 25/지력 82/정치력 79/매력 70.

특기가 장로와 같은 '미도'라 "장로와 염포 둘 중 하나를 얻으면 쌀 걱정은 안 해도 된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 다만 PK에서는 연구로 5명이나 미도를 줄 수 있어서 유니크 함은 떨어졌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콧수염을 달고 나온 상태에서 왼손으로 검을 잡은 채 오른손을 올리면서 장로에게 진언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29/무력 25/지력 82/정치력 79. 준수한 지력에 파괴력약화를 들고 나와서 수성을 잘한다. 특기로는 경작, 군사 단 둘 뿐이지만 장로군 유일한 군사 특기 보유자로 구재지책을 쓸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3, 농업 3, 설파 5, 교섭 4.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궁속약화.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1, 무력 25, 지력 81, 정치 79,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교화, 미도, 절감, 주의는 명리, 정책은 정령철저 Lv 4, 진형은 장사, 정란, 전법은 치료,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82. 염행

파일:Yan_Xing_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마초를 1 대 1 대결로 죽일 뻔했다는 기록 때문에 정사에만 나오는 인물인데도 불구하고 한수 세력에서 무력이 가장 높다. 정사를 안 읽어보고 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저 놈은 뭔데 무력이 저리 높아 하고 놀랄 정도. 마초 세력에도 마초, 방덕에게는 딸리지만 3위권에는 들어갈 정도.[36] 지력도 후기 시리즈에서는 60대로 상승했다. 돌대가리인 서량군에서는 성공영, 한수, 방덕 다음으로 지력이 높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86/지력 38/정치력 33/매력 50에 특기는 6개다.(돌격, 기습, 기염, 반격, 삼단, 나선)

그 중에서 4개가(기염, 반격, 삼단, 나선) 일기토 특기이고 나머지 2개는 돌격과 기습. 무력이 86으로 85인 마대보다 무력이 1 높다. 일기토 특기로 기염, 나선, 반격 등 쓸 만한 것들이 많아서 무력이 96인 마초와 맞짱도 떠 볼 수가 있다. 물론 무력 10차이가 뒤집기 쉬운 건 절대 아니지만. 거기다가 한수의 일족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를 죽일 경우 무력이 높은 염행과 원수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11에서는 마대가 무력 85, 마운록88로 84인 염행보다 높다. 거기다가 염행 본인은 기병 적성이 A이기까지 하다.

미묘하게도 특기는 엄청나게 좋은 번식이지만 무력형 장수인데, 내정용 특기를 받았다. 재미있는 점은 마초가 염행을 상대로 전법을 사용할 때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37] 다만 정사에서의 행적 때문에 성향이 조조 쪽과 비슷하게 설정되어 있어, 한수나 조조가 군주일 때는 상관없는데 마등이나 마초가 군주일 때는 염행의 충성도 관리를 좀 해 줘야 한다. 이 점은 마찬가지로 조조에게 항복했던 성공영도 비슷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두 손으로 창을 휘두르고 있는데 마초를 말에서 떨어뜨렸다는 정사의 서술을 반영한 듯 하다.

무력의 경우 마대는 85, 염행 본인은 84다. 그러나 전법이 사용하면 무력 20이 상승하는 강용이라서 마초든, 방덕이든, 강용 쓴 염행을 이길 수가 없다. 특기들도 일기와 연병, 보수 특기를 보유하고 있어 나름대로 구색은 갖추고 있다.

삼국지 13에서는 전작과 능력치는 동일하고(통솔력 76/무력 84/지력 66/정치력 58) 특기는 훈련 2, 신속 4, 일기 5. 전수특기는 일기로 전법은 기병수비진이다. 병종 적성은 창병 B/기병 A/궁병 C라 기병은 사실상 S라고 보면 된다. 음성은 용장.

다만 이번작에서는 전법이 삼국지 11의 번식, 전작의 강용과는 달리 성능이 좋지 않으니, 전법 포인트는 마초나 방덕 등에게 투자하자. 초반 마등군이라면 주장급으로 나설 것이고, 장수가 좀 늘어나도 무력이 높고, 통솔력과 지력도 나쁜 편은 아니라 부장으로 괜찮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84, 지력 61, 정치 58, 매력 6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지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과감, 호걸, 주의는 패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추행, 전법은 급습, 교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83. 영수

파일:external/kongming.net/369-Ning-Su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5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솔력과 무력은 70내외, 지력은 70대 초반을 찍는 평범한 C+급 무관. 강유가 답중에 둔전하면서 기반을 마련하고 있을 때 도와준 덕분인지 가끔 둔전 같은 특기를 들고 나온다. 간혹 두음법칙의 혼선으로 녕수라는 이름으로 나올 때가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1/지력 72/정치력 38.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충차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70/지력 74/정치력 37/매력 52에 특기는 돌격, 저지, 반격. 총 3개.

가장 높은 능력치는 지력인데 어째 무력 돼지들 같은 특기들을 줬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7/69/72/44/52에 적성은 기병만 A. 특기는 둔전인데, 둔전 보유자 중 정치력이 가장 낮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올린 상태에서 강유에게 조언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72/지력 72/정치력 44. 특기는 순찰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순찰이며 전법은 위병.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69, 지력 72, 정치 41, 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무력과 정치력이 각각 3 하락했다. 개성은 둔전, 주의는 패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강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라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지만 병참개혁 정책 덕분에 선택했을 때 군량 소모를 줄일 수 있다.

84. 영제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13.jpg
삼국지 12, 13

몇 개의 게임 시리즈에서는 영제를 옹립하면 혜택을 볼 수 있기는 하다. 삼국지 6에서는 장각이 이끄는 황건 세력조차 장군직을 임명해 지휘 병력 수를 늘리려면 영제를 옹립해야만 하는 어이없는 상황도 나왔으나, 이후에는 황건 세력으로 플레이해서 영제가 있는 도시를 점령하면 자동으로 폐위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하진 이외의 세력으로 옹립하여 플레이하기에는 하진의 장수진이 빵빵하다. 조조, 원소, 유표 등이 하진의 수하 장수다. 물론 삼국지 10 이후 시리즈부터는 손견, 유비, 유언, 동탁이 종속되어 있지만 독립 세력으로 등장하면서 떨어져 나간다. 그래도 나머지 부하들은 건재해서 장수진이 좋은 편이다. 영제를 옹립하기도 쉽지 않은 편인 데다가 삼국지 시리즈는 삼국지 1부터 삼국지 4탄이 189년에 시작하는 정도를 제외하면 무조건 184년부터 시작하여 영제의 혜택을 받을 기회가 5년밖에 안 되므로 소제에 비하면 그나마 덜하지만 외면받는다.

85. 영호우

파일:영호우.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성격이 좋지 않았다는 것을 반영하여 두 손을 모은 채 째려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38, 지력 66, 정치 50, 매력 19다. 개성은 공명, 오만, 주의는 아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왕릉, 조상, 조표, 혐오무장은 사마의다.

그런데 친애무장에 자신에게 그토록 의지했었던 마륭이 없는 것은 고증에 맞지 않을 정도로 아쉽다.

86. 예형

파일:Mi_Heng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204-Mi-Heng.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초창기 시리즈들에서는 그가 공융과 친했다는 사실이 반영되어 평원 등지에서 재야로서 등장하거나 공융에 소속된 일반 무장이었는데, 중후반기 시리즈들에서는 특수 무장으로서 게임에 등장한다. 예형 본인의 성격이 반영되어 매력은 낮다.

동오의 덕왕이라면서 컬트적인 인기를 가진 엄백호처럼 이쪽도 나름 유명세를 갖춘 인물이지만 동정을 받고 있는 엄백호와는 다르게 애초에 예형은 듣는 사람들의 기분을 나쁘게 하는 말버릇이 게임에서도 그대로 구현되어 플레이어를 구박하기 때문에 동정을 받지도 않는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20/지력 92/정치력 88/매력 23.

지력이 90 이상, 정치가 80 이상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군사가 되어 2만명의 군대를 부릴 수 있으며 참모로서의 능력도 출중하다. 재야로 하북일대를 오가는데, 공융이랑 상성이 좋아 예형을 얻는다면 공융의 부족한 점을 채울 수 있는 문사다. 몇몇 시나리오에선 아예 처음부터 공융의 수하로 등장한다. 공융 외에는 조조, 유표, 엄백호, 유언, 유장, 공주, 왕랑과 상성이 좋으며 원소손견과는 상성이 심하게 좋지 않다. 매력이 심각하게 낮긴 하지만 어차피 예형 본인은 매력 능력치의 비중이 높은 군주로 볼일은 없기 때문에 그렇게 큰 문제는 되지 않으며 역대 시리즈 중에서도 예형의 대표적인 리즈시절인 시리즈로 꼽힌다.

삼국지 6에서는 일반 장수로서 게임에 등장하며,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 평원을 수색하면 찾을 수 있다.

그의 능력은 통솔 77/무력 31/지력 95/정치 87/매력 20의 A급 모사로, 조조나 원소 또는 손책과 같은 세력이 아닌 이상 바로 군사 자리를 꿰찰 수 있다. 다만 꿈이 은둔이기 때문에 어떠한 일을 명하든지 무조건 불만을 가지니 그저 조언을 듣는 역할로만 부리는 것이 좋다.

삼국지 8에서는 명사로 등장하며, 도발을 비롯한 특기를 가르쳐 주는 NPC로 등장하는데, 독설가 다운 면모를 보인다.

역사적으로도 그는 조조와 그 수하들에 대하여 독설을 날렸지만, 게임 내에서는 특별한 소속이 없는 NPC다 보니 모든 인물들에게 면박을 준다. 하지만 예형 본인이이 인물에 대하여 독설을 하는 것은 다른 장수의 능력에 대해 알려주기 위함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상대방의 악명이 높을 경우에 예형은 "오오, 그대는 악명높은 여포님. 건강해 보이는 것 같군." 과 같은 답을 해준다. 단 인물의 악명이 1000 이상일 경우에는 아예 방문이 거부된다.

삼국지 9에서는 신망이 낮은 상태에서 지역을 탐색하면 랜덤으로 나타나 면박을 주는데, 이를 무시하면 실행장수의 지력이 2 상승한다.

신망이 약간 높은 상태(300 이상)에서 만나면 술값이 모자라다며 금 200을 뜯어가기도 하는데 이 경우 신망 2가 상승한다. 두 경우 모두 처단을 고를 경우 실행 장수가 부상을 입고 신망이 떨어진다.

삼국지 10에서는 면박을 습득하기 위한 조건인 설전 30연승이 성취된 상태에서 예형에게 계속 대화를 걸거나 술을 함께 마셔 친해지면, 예형과 설전을 벌일 수 있다.

설전에서 이기게 되면 굉장한 특기인 면박을 습득할 수 있다. 다만 설전은 자신이 매우 불리한 상황에서 시작된다. 예형은 설전의 고수고, 그가 내뱉는 말들은 매우 불쾌하여 플레이어를 분개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소용없다. 너는 내 말을 결코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쳇, 방심했군. 가르쳐주마. 감사하게 생각해라!' 등등. 그러나 면박은 예형만 가르치는 특기가 아니다. 좌자도 이를 가르친다. 좌자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등장하는데다, 플레이어를 계속 구박하는 예형과 달리 여유 넘치고 성격 좋은 노인네이므로, 본인의 정신적 건강을 위해서라면 좌자에게 청하여 배우기를 권한다. 설전 난이도도 같으니 해가 되는 것은 없다. 다만 예형은 주로 하북 지방에서 만날 수 있는 반면, 좌자는 파촉 지방이나 오월 지방 같은 남부 지방에서 만날 수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지력 71 이상인 장수로 인재 탐색을 실행하면 가끔 나타나 설전을 신청한다.

설전에서 이기면 유명한 자신을 이겼다며 기교 포인트 고작 2를 플레이어 세력에 준다. 논쟁에서 지더라도 물리적인 손해는 크지 않다. 하지만 정신적인 손해를 주기 위해 플레이어 세력의 기교 포인트 1을 깎는다. 예형을 무시할 경우 실행 장수의 매력 경험치가 약간 상승할 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참고로 예형의 성격은 '저돌'이며, 분노 게이지가 가득 차면 강력한 일격을 날린다. 그리고 가끔 유적을 파괴하면 예형이 '네가 유적을 파괴했구나. 알려야지!' 라고 말하며 플레이어가 지배한 도시의 치안을 70으로 내린다. 만일 무덤을 파괴하는 사람이 조조라면 적절하다. 당연히 에디터에서는 친애무장이 공융과 양수, 혐오무장이 황조다. 에디터상 설정된 특기는 없다.

삼국지 12에서는 관로, 교국로, 우길, 허소, 황승언과 함께 삭제되어 게임에 등장하지 않는다.

87. 오강

파일:external/kongming.net/537-Wu-Ga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9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은 신통치 않다. 보통 지력과 정치력이 60대를 찍는 D급 문관. 평소라면 후방에 처박아 두는 잉여 문관이겠지만, 등장년도가 후반기라는 버프를 받아 평타는 치는 모습이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39/지력 64/정치력 66. 병법으로는 배반 하나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34/지력 61/정치력 66/매력 72에 특기는 겨우 간첩 단 1개.

하지만 지력이 저 모양이라 쓸데는 없다. 게다가 이번작에서 가장 쓸데없는 짓이 첩보이기 때문에 무특기라고 봐도 무관.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38/지력 65/정치력 65/매력 72에 특기는 없다.

일반적인 무장과 달리 등장이 20세라 역사 시나리오에서는 거의 쓸 일이 없지만 영웅집결에 관구검 세력이 추가되며 잉여는 면했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은 채 눈을 감고 손침에게 구원 요청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이며 특기는 상업 1, 농업 2, 설파 1.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기방강화.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8, 무력 36, 지력 65, 정치 65,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개수,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저지,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88. 오거

파일:external/kongming.net/528-Wu-J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89.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7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게임상 능력치도 그렇고 그런 평가와 끔살 때문인지 미방 수준의 암울한 무장으로 나온다. 형주 장사군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유비의 옛친구라는 기록 때문에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계 지역의 재야 무장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1/무력 61/지력 24/정치력 50. 병법으로는 분전, 누선 뿐이다. 누선 셔틀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63/지력 32/정치력 52/매력 48로 우울하며 특기는 농업 단 1개 뿐인데 정치력이 52라 무특기인 거랑 별 차이가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61/지력 23/정치력 51/매력 54로 더 하향.

초반 시나리오에서는 계에서 등장하므로 인재가 워낙 없는 유우군에서나 조금 쓰인다. 그리고 유비랑 친구인데도 불구하고 어째선지 친애무장에 유비가 없다.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턱수염만 기른 모습으로 나온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검 손잡이를 잡은 채 서 있다.

능력치는 삼국지 11 시절과 같고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며 병과는 기병만 B고 나머지는 C. 전법마저 궁공약화라는 무쓸모 전법이라 잉여 그 자체지만 PK에서 이상위명이 몇 안 되는 금강불괴라 간접적으로 상향되었다. 음성은 보통. 5품관만 올리면 수전교자가 되는데 수전교자만 되어도 자세력 요충이나 도시에서 수비 시 공방 10이 추가로 올라가고 열유함정을 쓸 수 있기 때문에 쓸모가 없지 않다. 특히 군웅할거와 그 이후는 시작부터 5품관 찍은 강릉 태수라서 이미 수전교자가 달성되어 있다. 또한 유표군에 희귀한[38] 연전 전수자라 유표 세력으로 플레이하는 경우 알고보면 깨알같이 쓸모가 있다. 반동탁까지는 유우군 위치인 계에서 시작하는데 유우군도 연전 보유자가 한 명도 없기 때문에 쓸모가 있다. 특히나 유우로 군주 플레이를 하는 경우는 유우 본인이 이미 재상까지 찍고 있기 때문에 공적보고나 상주보다 상위 능력인 발탁을 사용하면 얼마든지 품계를 올릴 수 있어서 쓸모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9, 무력 62, 지력 26, 정치 51,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지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할거,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분전, 매성, 친애무장은 유비, 혐오무장은 뇌공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89. 오경

파일:external/kongming.net/534-Wu-Jing.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9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0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별 볼일 없는 무장으로 나온다. 그동안 어째선지 일러스트는 호감형으로 나오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가, 삼국지 12에서 별 볼일 없는 외모로 재탄생했는데 자세히 보면 얼굴은 밝은 모습이지만 두 손을 올리면서 손짓을 하고 있다. 누나 무열황후 오씨는 등장하지 않고, 가공인물 오국태보다 2살이 많게 설정 되어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0/지력 57/정치력 67/매력 69에 특기는 징병, 화시, 저지. 총 3개.

징병 특기는 일단 좋다. 매력이 69라 조금 미묘하긴 하지만.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9/66/52/65. 특기는 순찰 1, 수영 2. 전수특기는 수영이고 전법은 창속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5, 지력 54, 정치 65,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동원, 주의는 명리,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제사,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90. 오경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시나리오 1에서 동탁군 소속으로 나온다.

91. 오광

파일:1D6E5B4F-D037-424C-9290-2FA81A2256F5.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하묘를 죽이기 위해 검을 뽑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75, 지력 45, 정치 53, 매력 61이다. 개성은 노발, 주의는 패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어린, 방원, 전법은 철벽, 진정, 친애무장은 유언, 하진, 혐오무장은 하묘다. 어투는 호걸남. 생년은 149년, 몰년은 192년까지 되어있어 노식처럼 빨리 사망한다.

92. 오국태

파일:Wu_Guotai_3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538-Wu-Guota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65.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연의에서 유비를 마음에 들어했다는 점 때문에 유비와 친애무장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다. 삼국지 10탄까지는 손권의 계모라는 점 때문에 늙은 이미지로 자주 등장했지만 삼국지 11탄부터는 젊은 모습으로 나오고 있다. 하지만 오국태 본인은 장수했는데 남편인 손견이 요절한 탓에 매 시리즈마다 손견의 누나처럼 나오는 게 문제다.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39]

삼국지 8에서는 손상향과의 결혼 이벤트에서 등장하는데 흰 머리의 할머니 일러스트로 등장한다.

삼국지 10에서는 손견의 배우자가 오국태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상하게도 손견 플레이 시 대면할 수 없다. 오직 이벤트에서만 등장하는데 여전히 할머니 일러스트다.

삼국지 11에서는 외모가 회춘했다. 그러나 미모는 다른 여자 무장들에게 밀린다.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0/21/70/74/81, 특기는 인정.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0/21/70/74. 특기는 상업 1/위풍 1(손견 인연 효과)/수영 2. 전수특기는 수영보다 1 낮은 상업이다.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소침공작. 병과 적성은 모두 C.

여성 무장들의 음성 패턴이 적다보니 배정받은 음성이 '보통'인데, 이는 상대적으로 어린 여성 무장들이 주로 받는 음성이다. 덕분에 외모와 어울리지 않는 심히 발랄한 목소리가 꽤나 깨는 편이다. PK를 한다면 편집기에서 목소리 타입을 '현명'으로 바꿔주면 조금 낫다. 코에이에서 노파 목소리 성우를 추가해줬다면 어울렸을 것이다. 오국태의 이미지를 고려하면 따로 나이든 일러스트가 없는 점도 아쉬운 요소인데, 삼국지 8삼국지 10에서는 노파로 등장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번작에서도 너무 젊게 그려졌다.

한글판에서는 손책, 손권이 자기들에게 이모가 되는 오국태를 고모라고 불러서(!) 손견을 자신의 누이와 결혼한 근친혼인자로 만들어버렸지만 일본어 오바(おば)를 고모로 번역해버린 오류다. 그리고 게임 시스템상 3촌과의 혼인이 막혀있지 않기 때문에 손책, 손권으로 이모 겸 계모가 되는 오국태와 결혼할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0, 무력 21, 지력 67, 정치 74,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응원, 인정,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대갈, 고무, 친애무장은 손견, 손상향, 유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녀다.

93. 오돈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03.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도검을 쥐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64, 지력 62, 정치 54. 특기는 훈련 1, 공성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기병돌격.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62, 지력 49, 정치 46, 매력 45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지력이 13, 정치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주의는 패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급습, 매성, 친애무장은 손관, 윤례, 장패, 창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친애무장이 많아서 연계 보정을 받는다.

94. 오란

파일:삼국지3오란.png
삼국지 3
파일:Wu_Lan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0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뇌동과 함께 실제 활약에 비해 무력이 높은 무장으로 나온다. 뇌동과 오란 본인의 무력이 높은 이유는 아마도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에서 상승왕[40]이라고 불리운 영향을 크게 받은 듯하다. 삼국지 5까지는 무력 80이 넘었고 삼국지 10부터는 무력 80을 다시 유지 중이다. 여하튼 80대인 높은 무력 덕분에 유장군 플레이 시에는 장임, 엄안, 냉포 다음 가는 무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잘 쓸 수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85, 수전지휘 72, 무력 88, 지력 43, 정치력 42, 매력 54에 야망 7, 운 6, 냉정 7, 용맹 8인데 조창에게 간발의 차이로 패배할 정도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실제 오란 본인의 활약상에 비해서는 넘사벽으로 과대평가된 능력치다. 육전지휘는 거의 하후연급이고 무력은 왕쌍과 동일하다. 뇌동도 오란과 비슷하다.[41]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2, 지력 41, 정치 44, 매력 54로 진형은 봉시, 장사라서 산악 지형에 특화되었으며 특기는 화계, 내분, 수습, 복병, 분기, 난사다.

다른 능력치는 보잘 것 없지만 무력은 유장군에서도 준수한 편이며 분기와 난사가 있어서 광역으로 적들에게 타격을 주기 좋다. 다른 S급 ~ A급 무장들과 비교하면 좀 부족하지만 나름 오란 본인의 리즈시절이다.

삼국지 6에서는 통솔력 67, 무력 75, 지력 42, 정치력 52, 매력 48로 아주 오란스러운 능력치로 탈바꿈했다.

역대 오란 중 가장 오란다운 능력치 같지만 본작의 능력치 배분이 매우 짜고 여전히 조홍, 요화, 한당, 고람 등의 무력은 60대라는 것을 감안하면 실상은 과대평가된 능력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실제 모습에 충실한 통솔력 69/무력 76/지력 38/정치력 34.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충차 뿐인 장수다.

유장군에서 얘보다 쓸모 없는 장군은 유순 정도 밖에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80/지력 34/정치력 36/매력 51에 특기는 돌격, 기합, 기염, 삼단. 총 4개로 여러모로 멧돼지형이다.

통솔력이 낮기 때문에 유장군이더라도 주력으로 쓰기엔 무리가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 무력 80, 지력 35, 정치력 36, 매력 50으로 다른 능력치들은 모두 오란 본인의 실제 모습에 충실한 반면 무력이 상당히 과대평가되어 있다.

통솔력과 병과 적성이 낮으므로 육성해서 쓰지 않는 이상 무력 보충용 무장으로 쓰인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창을 든 채 돌격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80/지력 35/정치력 36에 전군속공 전법과 창병 병과를 가졌다. 통솔력이 전작보다 6이나 올랐으며, 그나마 유장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입장에서는 오란 본인이나 뇌동의 무력 고평가가 그나마 숨통을 트여주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무력은 이번작에서는 일기토와 특수공격의 피해량에만 영향을 끼치게 되어, 오란과 뇌동 모두 통솔력이 낮으므로 실제 압도적인 활약을 펼치거나 하지는 못한다. 허나 전투에서 병격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하면 결코 무력이 쓸모없는 능력치는 아니니 불만을 가질 필요는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특기는 훈련 1, 순찰 1, 공성 2, 견수 2. 전수특기는 공성이며 전법은 창병속공진. 병과 적성은 기병과 창병 B, 궁병 C. 음성은 난폭.

병과 적성이 낮은 편이라 썩 좋다고 보기는 곤란하나 유장군이라면 그래도 여전히 주력으로 써야 한다. 부장으로써도 무력이 높고 전투 특기도 있는지라 그나마 가치가 있는 편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 무력 80, 지력 35, 정치력 36, 매력 5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저돌, 주의는 패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매성, 친애무장은 뇌동, 오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95. 오반

파일:삼국지3오반.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530-Wu-B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0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제갈량의 지휘 아래 위연, 고상과 함께 사마의의 위군을 대파했다는 기록에도 불구하고 평범하기 그지없는 C급 무관으로 사촌 형 오의에 비해 많이 홀대받는 편. 유비군은 말할 것도 없고 유언/유장군에도 오반 정도의 인재는 널렸기 때문이다. 영웅집결에선 오의와 함께 유언군으로 나온다.

삼국지 3에서는 당시에 오의의 동생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지 않아서인지 오의와는 가족 관계도 아니며 그냥 재야에서 나올 뿐이다. 능력치는 육전지휘 64/수전지휘 21/무력 65/지력 47/정치력 43/매력 62으로 쓸모는 별로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3/72/53/48.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2/지력 57/정치력 51/매력 67에 특기는 6개.(농업, 화시, 일제, 회복, 기염, 명사)

화시, 일제 특기가 있긴 하지만 유장군이 아닌 이상 전투에서 활용하기엔 조금 애매한 점이 있다. 명사 특기가 있는 건 장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무력 71/지력 56/정치 45/매력 66.

병과 적성은 창병 A/극병 B/노병 B/기병 B/병기 C/수군 B의 무특기 무장이다. 그리고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턱수염만 달고 있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언월도를 든 채 분투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1/지력 59/정치력 45. 특기는 순찰 1, 신속 2.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전법 포인트 3을 사용하는 창병수비진이라는 전법을 가지고 있는데 범위 내 방어력 2단계 상승의 효과를 준다.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71, 지력 56, 정치 48, 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3 상승한 대신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독려, 교련, 주의는 할거, 정책은 학익강화 Lv 3,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분전, 견제, 업화, 친애무장은 오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교련 개성이 있어서 병사를 훈련 시킬 때 사기를 쉽게 늘릴 수 있다.

96. 오범

파일:오범.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사마부의 일러스트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9, 무력 6, 지력 69, 정치 56, 매력 63이다. 개성은 점술,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2,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조달,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97. 오부

파일:오부.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측면인 상태에서 팔짱을 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2, 무력 46, 지력 53, 정치 55, 매력 60이다. 개성은 법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학익, 충차, 전법은 대갈, 저지, 친애무장은 하진,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어투는 위엄남.

98. 오석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99. 오씨

파일:57f94743fbf2b211b1796a0bc48065380dd78e65.jpg
100만인의 삼국지

오빠 오의의 열전에서만 언급이 되고 본인은 등장하지 않다가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직접 등장했다. 미씨손상향에게도 없는 유비와의 투샷이 있다. 성능은 평범하다.

100. 오습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01.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71, 수지 70, 무력 73, 지력 62, 정치 38, 매력 78에 야망 10, 운 7, 냉정 7, 용맹 8로 그냥 장군만 될 수 있는 수준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일러스트는 도끼 2개를 양 손으로 든 채 휘두르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69, 지력 62, 정치 38. 특기는 순찰 1, 분전 3, 연전 1. 전수특기는 분전보다 2 낮은 순찰로 전법은 단일도발. 음성은 책사. 생몰년도가 176~24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64, 지력 42, 정치 28, 매력 3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무력이 5, 지력이 2배, 정치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주의는 패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철벽,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에 비해 생몰년도가 152~198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01. 오언

파일:external/kongming.net/535-Wu-Y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92.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모든 능력치가 70을 넘거나 70에 가까운 오 멸망기 오나라 에이스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3/70/76/66. 병법으로는 연사, 누선, 정란, 교사를 가진 후반기 기준으로 A급의 장수.

교사 병법 덕분에 부장으로 넣어주면 지력이 낮은 무장들이 상태이상에 걸리지 않게 해준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3/68/76/67/65의 올라운더. 특기도 7개나(기술, 보수, 화시, 고무, 저지, 유인, 기염) 돼서 나름대로 쓸 만하다.

기술, 유인 특기는 상대적으로 높은 지력을 살릴 수 있는 특기이고, 화시를 가지고 있어서 궁병대를 맡기면 좋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4/72/77/69/68로 골고루 상향. 특기는 조선.

등장년도가 253년이라 사실 시나리오에서는 거의 볼 일이 없고 보통은 영웅집결 유요군 휘하에서 활약한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검 손잡이를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위로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3, 농업 3, 순찰 1, 수영 1.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이 기공강화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72, 지력 77, 정치 69, 매력 66이며 개성은 축성, 수전, 법률, 견뢰,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안행, 장사, 정란, 전법은 화시, 철벽, 강습, 시람, 친애무장은 설후, 육항,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102. 오연

파일:external/kongming.net/525-Wu-Y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0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특별히 임팩트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묘하게 후기 장수 중에선 무력이 높다. 그래봤자 70대지만.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8 PK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72/52/50/66.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72/52/50.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누선, 정란을 가지고 있다. 누선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7/73/46/48/63인데 특기는 반목, 기합.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서도 전작과 비슷하며 무력은 여전히 73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주먹을 쥔 채 왼손을 펼치면서 손짓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73/42/49.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연전이고 전법은 기공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73, 지력 44, 정치 48,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소침,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안행, 방원, 전법은 화시,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03. 오연

파일:48c5e0df190640c6bb5de9050e57979b.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6에서 등장하는데 171년 출생으로 설정되어 184년의 황건적의 난 때부터 나온다.

삼국지 패도에서 SR 무장으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6/70/31/24/60이다.

104. 오의

파일:삼국지3오의.png
삼국지 3
파일:Wu_Yi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520-Wu-Y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9.jpg
삼국지 12, 13
파일:오의.jpg
삼국지 14
파일:2277a501825dabfa7db753748a632753.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후반기 무장이지만, 최근작부터 의리도가 높은 장수형으로 나오고 통솔력은 79 ~ 80대 초반에 나머지 능력치는 70대로 촉 버전의 이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은 매력이 60대라서 오의 본인이 더 낫고 수명마저 길어서 제갈량 사후 정도까지 오래 산다. 유장군에서 장임엄안 다음가는 에이스로 활약할 수 있으며 인원이 나이들어 죽은 촉에서도 유용하게 굴릴 수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0/수전지휘 70/무력 71/지력 69/정치력 74/매력 75로 그냥 그저 그런 태수 정도.

야망 7, 운 7, 냉정 8, 용맹 8로 냉정과 용맹이 눈꼽만큼 좋은 편이다. 전반적인 능력 평균치가 70대인 평범한 장군으로 등장한다. 태수를 시키면 그럭저럭 굴릴 수 있는 정도.

삼국지 5에서는 평균 70을 넘보는 능력치인데, 특히 진형이 장사, 방원, 안행으로 익주 도시들에서 활약하기에 매우 좋다.

참고로 촉나라 고유인재 중에서 오의보다 무력이 높은 장임과 엄안은 장사, 봉시, 형액을, 이엄은 추행, 학익, 장사, 오란은 장사와 봉시, 뇌동은 추행과 봉시만을 갖고 있어서 대부분 장사+닥돌형인데 비추어 볼 때 오의의 진형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

삼국지 6에서는 꿈이 유지다. 전쟁을 싫어해서 전투에 나오면 퇴각하거나 기력 회복이 잘 안 된다. 덤으로 배신을 잘해서 미묘하게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70/지력 72/정치력 71의 만능형 능력치.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정란, 고무를 가지고 있다.

모략계 병법이 없어 지력 72가 못 쓰는 게 아쉽지만 B+급 무장이며, 초기 장수들이 다 죽은 남만정벌 시나리오에서는 A급 무장이다. 하다보면 처음에 쓸 때는 그냥저냥 굴릴만 하다고 생각되지만 게임 시간상 10년 이상 플레이하다 보면 어느새 주력장수가 되어 있어 저 만능형 능력치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1/지력 71/정치력 70/매력 77로 특기는 8개다.(치안, 징병, 화시, 일제, 진정, 저지, 기염, 명사) 전 능력치가 70을 넘는 균형잡힌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다.

능력치에 비하면 적은 편이지만 화시, 일제, 진정 등 전장에서 유용한 특기를 보유하고 있고, 치안, 징병 등 내정용 특기도 있어 여러모로 활용도는 높다. 명사 특기는 덤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3/지력 68/정치력 70/매력 77, 병과 적성은 창병 A/극병 B/노병 S/기병 B/병기 B/수군 C다.

특기는 보좌로 여전히 화려하진 않지만 균형잡힌 B+급 무장이다. 전작의 능력치에 비해 무력이 소폭 상승한 대신 지력이 소폭 하강한다. 특기인 보좌는 이름과는 정반대로 보유 장수가 군의 주장이 돼야 쓸 수 있는 특기로 오의 본인의 적성이 노병 S라서 엄호하기가 쉬워 A+급 무장이나 다름이 없다.

삼국지 12는 일러스트가 위풍당당한 맹장형으로 그려졌는대 자세히 보면 왼손을 가슴에 대고 있다.

지력은 다시 70대이지만 통솔력이 79로 낮아졌으나 관직빨과 탄원을 통해서 만능형 장수가 될 수가 있다. 전법은 대타격인데, AI간의 싸움을 자주 구경하는 사람이라면 알 수 있겠지만 AI 유장이 유난히 오의 본인의 대타격을 자주 쓴다.[42] 덕분에 무력 낮은 무장이 많은 장로군이나 유표군과의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지만, 무력 괴수가 넘치는 유비군이나 마등군한텐 딜이 안 박힌다.

삼국지 13에서는 통솔력 79/무력 73/지력 70/정치력 70의 능력치를 들고 나온다. 특기는 문화 1, 순찰 1이고 전수특기는 문화다. 전법은 전법포인트 6의 화공계로[43] 상대에게 사기 1단계 하락, 병력 1단계 감소, 화공을 사용하는 전법이다. 음성은 무례.

꽤나 좋은 전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언, 유장군에서는 전투를 할 때 반드시 데리고 나가야 한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오른손에 든 검을 앞으로 치켜올리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82/무력 72/지력 69/정치력 70/매력 7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상승한 대신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태연, 독려, 산전,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안행, 방원, 학익, 장사, 전법은 제사, 연노, 격려, 저지, 친애무장은 뇌동, 오란, 오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스탯이 만능형에 진형은 학익진, 안행진, 장사진과 개성인 태연, 보좌, 산전까지 있어서 젤 쓸만하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자신과 같은 성씨의 이름으로 알려진 오에 자리잡고 부하로는 오강, 오거, 오경, 오광, 오국태, 오돈, 오란, 오반, 오범, 오질까지 총 10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고담, 고소, 고승, 고옹, 곡리, 능조, 능통, 선우단, 우전, 은례, 조무, 화핵 총 12명이 있다. 옆의 건업 사마씨와 오의 전씨에 비해 처음부터 군사가 없어서 인재 탐색으로 통해 고옹부터 등용되면 바로 군사를 교체한 다음에 전력을 쌓도록 하자. 그래도 다른 세력들인 사마씨, 전씨에 비해 무력이 89 이상의 무장이 있는 것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오씨 일족이 유리하다.

삼국지 패도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2/76/74/75/78이다.

105. 오자란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106. 오질

파일:external/kongming.net/543-Wu-Zh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9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매력 바닥권에 다른 능력치도 별 거 없는 문관형 인물. 특히 조비의 꾀주머니인데다 양수의 계책을 간파해낸 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하리만치 지력이 낮다. 기본적으로 연의 바탕에 정사 기록을 양념치는 시리즈고, 정사에서는 뭔가 유능한 모습도 없으니 지력이 낮아도 이상하지는 않다. 매력이 있는 시리즈에서는 매력이 낮게 나오는데, 조비의 총애를 믿고 건방지게 굴었던 걸 반영한 모양이다.

삼국지 6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3/37/69/84/68로 행적에 비해 높은 능력치를 부여받았다. 오질 본인의 전성기.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무력 27/지력 57/정치력 56. 병법으로는 혼란, 덫 뿐이지만 가끔 부장으로 쓰기도 하지만 그게 끝.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무력 34/지력 64/정치력 56/매력 9에 특기는 상업, 혼란. 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선 매력이 대폭 상승 했지만 그래봤자 37이다. 일러스트는 외모 언급 일화를 반영해 전체적으로 말라보이며, 턱수염만 기르고 있다.

삼국지 12 PK에서 추가된 그의 모습은 스토리텔링을 일러스트에 반영한 점으로 인해 오른손에 술잔을 들고 왼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고 있는데 술을 마시며 조진주삭을 모욕하는 모습을 묘사했다. 그래서인지 인게임에서도 조진과 주삭의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29/지력 68/정치력 57. 특기는 교섭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교섭이며 전법은 기병도발. 병과는 모두 C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으로 설정되었다.

써먹기 힘든 잡문관이지만 주삭보다는 지력이 높다. 물론 특기는 주삭이 우월하다. 이번작은 혐오무장 시스템이 없어서 조진, 주삭과 친해지는 대체역사가 가능해진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6, 무력 29, 지력 64, 정치 57, 매력 17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문화, 소심, 오만,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2, 진형은 충차,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사마의, 조비, 주삭, 진군, 혐오무장은 양수, 조식, 최림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 어투로 설정되었다.

107. 오찬

파일:external/san.nobuwiki.org/462.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9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형적인 문관형. 참전 경력이 있어서인지 통솔력이 60이 넘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47/76/74.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충차, 혼란, 덫, 고무를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에서 사각턱이 돋보이는데 이 일러스트는 삼국지 11까지 우려먹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9/41/78/72/68의 문관형. 특기는 농업, 유인, 혼란, 반박. 총 4개다.

통솔이 낮은 편까진 아니지만 전투에서 쓰기엔 미묘한 감이 있다. 농업 특기가 있으니 내정 셔틀로 굴리면 무난.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8/41/78/75/67에 특기는 앙양이다.

특기는 잉여지만 수명이 길기 때문에 남만정벌 시나리오에서는 모사로 활약할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트레이드 마크(?)인 사각턱이 사라지고 지극히 평범한 문관 A의 일러스트로 바뀌었는데 오른손을 주먹쥔 상태에서 째려보는 눈빛을 보내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2, 교섭 4, 언변 4, 수영 2.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주위공격.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41, 지력 78, 정치 72, 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선동, 모집, 친월, 주의는 명리,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안행, 투석, 전법은 화시, 혼란, 투석, 구축, 친애무장은 고소, 손화,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08. 온회

파일:external/kongming.net/248-Wen-Hui.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6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대체로 준수한 내정요원. 남아 있는 기록의 양에 비해 고평가를 받은 인물로, 매우 뛰어난 치적을 세운 목민관인 유복, 두기에 버금가는 능력치의 내정관으로 등장한다. 또한 조조가 온회 본인을 군사에 통달했다고 평가한 일화 및 배잠여공에게 해 준 조언이 정확했다는 점이 반영되어 통솔도 문관 중에서는 높다. 물론 한 지역의 장이었고 그 짧은 기록이 모조리 좋은 기록 뿐이라 근거없는 편애성 고평가라고 하긴 힘들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2/무력 40/지력 78/정치력 85/매력 73으로 특기는 상업, 기술, 보수, 치안, 고무, 저지, 지리, 항변, 명사. 총 9개다.

명사 특기도 있고, 상업, 기술 특기는 준수한 지력, 정치를 살릴 수 있는 특기. 후방에서 내정 셔틀로 써도 좋고 태수로 위임시키면 든든한 보급처가 된다. 하지만 조조가 군사면에서 통달했다고 말한 부분에 비해 통솔 부분이 심히 박하게 나온다.

삼국지 11에서도 전작과 달리 통솔이 20 더해진 통솔력 62/무력 36/지력 73/정치력 86/매력 76의 능력치로 나온다.

특기는 능리이며, 합비에서 물량이 딸려 고생한 것과는 달리 게임 상에서는 물량빨로 손제리를 찍어누를 수가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면서 환하게 웃고 있으며 능력치는 매력이 삭제된 것을 빼면 전작과 동일한데 전방어강화라는 꽤 좋은 전법을 가지고 나와서 전장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36/74/86. 특기는 농업 3, 문화 3, 설파 4, 교섭 5. 전수특기는 교섭으로 전법은 공격명령.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36, 지력 73, 정치 86,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진흥, 능리, 부호, 주의는 왕도, 정책은 호적정비 Lv 4, 진형은 학익, 정란, 투석, 전법은 저지, 정란, 투석, 구축, 친애무장은 맹건, 장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09. 올돌골

파일:Wutugu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523-Wu-Tugu.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02.jpg
삼국지 12, 13
파일:올돌골.jpg
삼국지 14

나와 의형제를 맺는게 어떻겠소?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다른 것보다도 지력 1유명한 캐릭터다. 원작에서는 그냥 야만족스러운 모습만 보여줬을 뿐 특별히 머리가 나쁘다는 묘사는 없었으나 야만인이라는 캐릭터 이미지 덕에 초반부터 적당히 높은 80대 정도의 무력에 10대 정도의 낮은 지력을 지닌 전형적인 근육 돌머리 캐릭터로 등장했다. 그러다가 갑자기 삼국지 9부터 뜬금없이 지력 1로 설정되어 이것이 그를 상징하는 전통이 되어버렸다. 삼국지 12에 가서는 일러스트마저 위에서 보듯이 해괴망측하게 변하여 "짐승도 얘보다는 똑똑하겠다", "말은 제대로 할 수 있는거냐" 등의 이야기를 듣지만 원작을 보면 의외로 말도 멀쩡하게 하고 나름 머리도 굴리려고 노력도 한다. 그래도 오과국의 군주였는데 왠지 군주로 등장하는 작품은 없다시피 하고 부하도 토안해니 밖에 없는데 그나마 이 친구들은 삼국지 5 이후로는 짤렸다가 삼국지 12에서야 재등장한다. 여담으로 성씨가 올씨로 되어 장수제에서 결혼 시 낳은 아이의 성씨가 올씨로 나온다.

삼국지 5에서는 그의 부하 토안, 해니와 동맹국인 맹획, 축융과 함께 특기 등갑을 가지고 나온다.

연의의 설정대로 수상에서 기동력이 증가하고 방어력이 강하지만 불에 약하다는 단점이 별로 좋지 않아 병력 운용에 큰 장점이 없다. 그런데 올돌골이 적으로 나올 경우에는 올돌골 본인이이 분기, 무쌍, 난사를 가지고 있는 데다 특수 능력 중에서 기우를 가지고 있어서 올돌골을 계략으로 잡는 개고생을 해야 한다. 물론 지력이 잉여지만(그래도 이 때는 무려 지력이 10이었다. 가장 낮았던 능력치는 정치 9), 기우는 원체 성공할 확률이 높다. 아무리 등갑이라도 수진 외 진형으로는 수상전에 불리하고, 수신이 없어서 수계 난사에 당하므로 평지전으로 써야 한다.

삼국지 6에서는 무력이 무려 92를 찍었다. 통솔력도 77로 무력 90/통솔력 76의 방덕보다 뛰어나다.

무력 98/통솔력 57의 허저, 90/79의 하후연, 89/79의 서황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고 심지어 오호대장군에 올라갈 수 있는 위연의 94/78에도 비빌 수 있다. 물론 15의 지력 때문에 온갖 계략에 다 걸리지만 하북의 맹장 문추안량도 무력 90대 초중반 / 통솔력 70대 초반 / 지력 30 내외인걸 감안하면 충분히 강자라 불릴만하며 총대장 자리를 주면 위전(거짓전령)이 통하지 않기 때문에 요충지 방어용으로 매우 쓸만하다. 맹획과 함께 남만 출신 장수의 희망. 꿈이 출세이므로 적당히 높은 장군직을 주고 전방 태수자리를 주면 충성도가 높게 유지될 것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 무력 81, 지력 1, 정치력 6으로 이번작부터 지력이 1로 고정되어 나오며 지력 1은 제갈량의 지력 100과 함께 올돌골 본인을 상징하는 스탯이 되었다.

올돌골=짐승 설에 박차를 가해주는 요인 중 하나다. 그나마 등갑군이 없지만 그걸 반영해서 보병계 최강 병법인 분신과 상병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매력 포인트. 부장으로 쓰는 게 더 좋다. 유비로 플레이할 때 올돌골에 이간러쉬를 하면 거의 100프로 성공하기에 올돌골이 독립하거나 유비군에 배신해서 허무하게 운남이 함락되는 웃지 못할 상황도 나온다.

삼국지 10에서는 통솔 74에 무력은 89로 무장으로선 나쁘지 않지만 역시나 지력은 1에 정치는 2, 매력 19. 특기는 총 7개다.(일제, 기합, 반격, 역공, 삼단, 나선, 주호)

특히 일기토 관련 특기 5개(기합, 반격, 역공, 삼단, 나선)나 되는데 다른 특기가 있어봤자 기본 스탯이 후지기 때문에 별 도움이 안 된다.

삼국지 11에서 무력은 86으로 괜찮지만 지력은 또 1이다.

그래도 지력은 부장으로 보완할 수 있으니 무력은 높은데 통솔이 낮은 것보단 낫다. 여기서는 삼국지 5편에서의 특기였던 등갑을 다시 가지고 나오는데 유일하게 등갑 특기를 보유한 인물이라 여기다 금강 특기까지 엮어주면 물리 방어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수상력도 소폭 증가한다. 그러나 등갑은 불에 약하고 올돌골의 지력이 밑바닥에서 으뜸가기 때문에 단독으로 움직였다가는 금세 땔감이 된다. 특히 화신 특기자 주유를 만나면 숯불구이가 되므로 운용하려면 지력 보충용 부장 및 화계 피해를 줄여주는 답파 특기 보유자를 꼭 데리고 다녀야 좀 쓸 만해진다. 그리고 웃기게도 이 특기를 가지고 성에 들어가면 성도 화계에 의한 대미지를 2배로 받는다.

삼국지 12에서는 그 전 시리즈들은 그럭저럭 괜찮았으나, 이번작에서는 아예 인간이길 포기한 듯한 괴악한 일러스트로 나왔는데 두 손으로 도끼를 든 채 혀를 내밀면서 돌격하고 있다.

물론 능력치 중 지력이 1인 것은 여전하다. 전법은 철벽이지만 지력이 너무 낮아 효율이 전 장수들 중에 최악이다. 그러나 PK에서 '이민족' 요소가 도입되면서 남만족 장수가 되어 병과가 등갑군으로 바뀌었다. 등갑 자체의 공방이 전병과 중에서 가장 높고 특수효과인 분노 덕분에 어떤 S급 장수라도 버틸 수 있다. 하지만 등갑군이 '화계', '신화계' 전법에 약하고, 알다시피 올돌골의 지력은 매우 낮아서 영웅집결에서 주유랑 만나는 순간 실시간으로 사르르 녹아버리는 올돌골과 등갑병을 볼 수 있으며 특기로 연병, 신속, 수진을 가지고 있다. 이민족이다 보니 세력 담당 영역권은 오환과 같은 9곳이다. 부하로는 맹획 세력(어디까지나 오로침공전, 영웅집결, 신장전생을 제외한 전 시나리오), 해니, 토안, 유주가 있다. 그런데 이들이 평균 능력치는 올돌골을 상회한다. 그러므로 부하들을 전멸시켜서 본진으로 도망 못 가게 하고 포섭하면 그나마 쓸 만한 무장이 된다. 분쇄타격을 가진 해니와 축융이 꽤 쓸 만하다.

삼국지 13에서는 일러스트나 능력치는 변하지 않았고, 특기는 훈련 4, 위풍 3, 신속 7, 분전 3, 견수 5, 수영 5, 일기 6으로 나름대로 괜찮게 분배됐다. 전수특기는 신속이다. 음성은 난폭.

그런데 문제는 전법이 특공이라는 점인데, 특공은 공격력과 사기가 올라가는 대신 병력이 감소하는 전법이라 평가가 영 좋지 않다.[44] 하필이면 군주인 맹획도 특공지휘라서 좀 많이 문제가 된다. 맹획군이라면 좋은 전법을 가진 장수를 빨리 얻는 것이 급선무. 후반기 촉나라 군으로 플레이할 경우에는 연의에서처럼 죽이지 말고 등용해 제갈량의 부장으로 붙여주면 제갈량의 부족한 무력과 위풍을 보완해준다. 하지만 PK에 와서 특공 전법의 병력 감소량이 20%에서 2%로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에 전장에 투입할만한 가치는 있는 장수가 되었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86, 지력 1, 정치 3, 매력 20이다. 개성은 남만, 등갑, 강건, 저돌, 단려, 주의는 아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방원, 장사, 전법은 돌격, 철벽, 대갈,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110. 옹개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Yong_Kai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1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능력치가 좋은 편은 아니었는데, 삼국지 11에서는 뜬금없이 통솔력이 80을 넘었다. 그러나 삼국지 12에서는 다시 너프되어 평범한 C+ ~ B-급 무장이 되었다.

삼국지 5에서는 삼국정립 시나리오에서 강주태수로 있다. 구호탄랑 계략을 쓸 경우, 높은 확률로 반란을 일으킨다.

삼국지 6에서는 소열제 승하 시나리오에서 건녕의 군주로 등장하는데, 부하들의 능력치, 본인의 능력치는 최하수준에 옆에는 촉나라, 남만족이고 남만족은 이민족이라서 외교가 통하지 않아 금방 멸망하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1/지력 63/정치력 45. 병법으로는 분투, 제사, 충차, 투석, 혼란을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맹획군의 노병계나 궁기병계 병법은 타사대왕을 제외하면 옹개 밖에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7/지력 59/정치력 44/매력 50으로 특기는 상업, 일제, 기염. 총 3개다.

그런데 부하로 두고 쓰기엔 후기 시나리오 장수라고 할지라도 미묘하다. 쓸 만한 특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삼국지 11에서는 전작에 비해 능력치가 크게 상향되어 통솔력 81/무력 75/지력 54/정치 56/매력 68의 능력치를 가지고 나왔다.

전작의 능력치가 거의 그대로 이어진 이번작에선 이례적인 일인데, 안량, 문추를 비롯해 장억이나 상총같은 공적이 확실한 장수도 통솔력이 80을 못 찍는 마당에 왜 81이나 되는 통솔력을 줬는지는 이유를 알 수 없다. 심지어 적성도 창병 극병 A에 사실무장 중 30명도 되지 않는 병기 적성 S를 가지고 있다.[45] 그나마 특기는 쓸모없는 친만.

이번작의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자기 세력이 생겼지만 하필이면 건녕에 위치하고 북쪽에 성도(유언)과 강주(등애), 남쪽의 운남(맹획)이 있어서 플레이 하기에는 상당히 하드코어하다. 더불어 옹개보다 능력치가 더 높은 부하들이 없고 부하들의 의리마저 최저라서 자주 포상을 주어야하는 상황이 주로 발생한다.[46] 이렇게 부하들 능력치가 낮은 데다 쓸 만한 특기를 가진 장수는 극장의 악환만 있고 본인의 특기는 친만이라는 잉여 특기를 가지고 있다. 일단 시작하자마자 유언, 등애 등과 동맹을 맺은 뒤 맹획을 잡아서 인재보강 후 서촉 노리는 것이 좋다.[47] 단 서촉을 주시하는 유비 세력을 주의하자. 참고로 거점인 건녕에는 재야 무장으로 강력한 특기인 기략을 가진 이회가 있다. 일단 2번째 턴에 고정으로 인재탐색을 하면 바로 발견되고, 1턴 지나서 다시 고정으로 등용을 시도하면 어지간하면 수하로 들어온다. 이회를 얻고 나면 게임이 한결 쉬워진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팔짱을 낀 채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75/지력 57/정치력 56에 전법은 쓸모없는 지력상승이다. 오로침공전에서 맹획군으로 등장하는데 유일하게 상재[48]를 가지고 있어서 잘 써먹어야 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기동강화. 음성은 노장. 여전히 독립세력은 없고, 맹획의 부하로 등장한다.

운남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맹획이 건녕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 PK로 한다면 상업 특기를 추가해주자. 그리고 노장 음성 무장 중 생년이 가장 늦는데다(188년) 마지막 노장 음성을 보유하고 있는 인물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6, 무력 75, 지력 60, 정치 56,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3 상승했다. 개성은 선동, 숲전, 친만, 주의는 아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학익, 장사, 투석, 전법은 분전, 업화, 혼란, 투석,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81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영웅집결에서는 다시 건녕의 군주로 복귀하고 부하들과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도 이회 단 1명 뿐으로 인재 수가 여전히 부족하다. 그나마 삼국지 11편 때 시절은 악환과 이회의 특기 빨로 유리했으나 이번작에서는 그런 것이 없기 때문에 좀 암울해졌다. 그나마 맹획군에 비하면 내정은 나아진 편이다.

111. 완우

삼국지 7에서 한시대회에서 시를 평가하는 역할로 나온다.

112. 완적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93.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백안시를 표현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32, 무력 27, 지력 80, 정치 69. 특기는 문화 6, 설파 3, 언변 1. 전수특기는 문화보다 3 낮은 설파이고 전법은 기공약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8, 무력 22, 지력 69, 정치 61,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4, 무력이 5, 지력이 11, 정치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악주, 시상, 주란,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본초학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왕융, 혜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악주, 시상 개성이 있지만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113. 왕경

파일:external/kongming.net/264-Wang-Ji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1/지력 68/정치력 73.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매도,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62/지력 67/정치력 75/매력 77로 특기는 고무, 반목, 명사. 총 3개다.

어째 만능형이면서 문관쪽에 가깝다. 정치력은 무난하지만 내정형 특기는 없고 가장 높은 것은 매력인데 후기 시나리오엔 등용할 만한 장수도 거의 없어서 효용은 생각보다 나쁘다. 그렇다고 60대 통솔력으로 전장에서 활약하는 것을 바라는 것도 무리. 최림에게 발탁된 걸 반영해서 명사 특기가 있다.

삼국지 12에선 짤렸다가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치면서 조모를 말리고 있다.

지력이 70대 초반인데도 군사 특기가 있어 비책을 쓸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3/지력 71/정치력 75. 특기는 농업 2, 순찰 1.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기병속공진.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 무력 63, 지력 68, 정치력 75, 매력 7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안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안행, 전법은 제사, 철벽, 진정, 친애무장은 조모, 최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14. 왕관

파일:왕관(위나라).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노인의 모습으로 등장하면서 두 손으로 을 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12, 지력 66, 정치 78, 매력 75다. 개성은 진흥, 법률, 친선, 소욕,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77년, 몰년은 263년까지 설정되어 있는데 사망년도가 260년이 아닌 263년이라는 것은 명백히 고증오류다.3년 더 수명 연장

115. 왕광

파일:王匡.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520.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9.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6에서 복귀했는데 하내가 도시로 나오는 삼국지 6, 삼국지 7, 삼국지 10, 삼국지 13에서는 군주로, 다른 시리즈에서는 타 세력의 부하로 나온다. 갓 정권을 잡고 전성기에 있는 동탁의 첫 공격 대상이므로 어려운 군주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8/지력 63/정치 58/매력 76에 특기는 정찰, 불화살, 고무, 부호.

부하는 한호뿐인데 동탁 때문에 백이면 백 제일 먼저 멸망하는 세력.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8/지력 60/정치 71/매력 66.

하진이나 장양의 부하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50/지력 61/정치력 71. 병법으로는 노병계 최강 병법인 연노, 정란, 혼란, 배반을 가지고 있다.

강노수를 거느렸다는 사적을 반영해서인지 노병계 최고 병법인 연노를 보유하고 있는데 무력이 낮긴 해도 다른 장수에게 연노를 가르칠 수 있으므로 나쁘지 않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57/지력 64/정치력 67/매력 79에 특기는 상업, 화시, 반목, 명사. 총 4개.

정치력이 67이라 상업 특기는 큰 도움은 안 되고 명사 특기가 있다는 것과, 등용 셔틀로 쓰는 데에 의의를 두자. 군주로 플레이하기엔 수하 장수가 한호와 방열 외에는 없어서 하드코어 하다. 그리고 영웅집결에서는 영웅집결 신세력인 사마의의 거점이 왕광이 있던 하내라서 하진의 부하장수로 떨어지면서 삼국지 10 등장 세력 중 영웅집결에 등장하지 못하는 유일한 세력[49]이 되고 말았다.

삼국지 11에서는 매력이 80으로 하진군에서는 노식(81)을 제외하고는 최고의 매력이기는 한데 하필이면 특기가 잉여 특기인 위압이다.

게다가 반동탁 시나리오 때는 병주가 진양 하나로 통합되어서 독립군주가 아닌 장양의 부하로 나온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일러스트에서 입다문 것으로 재탕되었다.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55/지력 61/정치력 70이며 중신특성은 없다.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B/궁병 B이며 전법은 궁병공격진이다. 특기는 상업 2, 문화 2 밖에 없고 전수특기는 상업이다. 음성은 보통.

다시 반동탁연합과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군주로 등장하는데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는 방열 외에 한호도 있고 재야에 학맹, 사마랑, 노식 등이 있어서 이들을 활용하면 그나마 해볼 만한 하드코어급 군주. 방열만 있고 재야도 없는 영웅집결이 오히려 더 어렵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57, 지력 61, 정치 70, 매력 80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운반, 위무, 여망, 주의는 할거, 정책은 학익강화 Lv 3,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분전, 격려, 매성, 친애무장은 채옹, 하진,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이번작에서 하내가 지역으로 격하된 것에 따라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는 장양군에,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하진군에 소속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116. 왕기

파일:external/kongming.net/260-Wang-J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모든 능력치가 70대이지만 능력치 총합이 높은 편이라 촉나라장억, 위나라의 무장인 이전과 같은 급이다. 게다가 아이템 시요론을 장착하고 있어서 지력 또는 정치에서 부가 능력치를 받는다. 전형적인 문무겸비형 장수의 모습을 보이는 타입. 또한 삼국지 12편에서부터 지력, 정치가 80대로 상향되면서 문관으로도 장수로도 좋은 효율을 보인다.

중년의 무관 이미지로 차용되었는데, 왕기 본인이 무관으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시점이 250년, 즉 60살 쯤이다. 즉 왕릉과 비슷하게 일러스트의 이미지와 본격적으로 활약한 시기가 전혀 안 겹치는 사람들 중 1명.

삼국지 3에서는 장군이 될 수가 있다. 이상하게 수명이 8[50]인데 0으로 취급되어 있어서 수명이 미칠 듯이 짧다. 거의 60대인 장수가 죽는 것마냥 왕기 본인은 40살의 나이로 죽는다. 게다가 리메이크판에서도 고쳐지지 않았다.

삼국지 6에서의 일러스트는 극강의 베이비 페이스(...)다. 진짜로 갓난아기(...)에게 투구만 쓰게 한 모습이다. 문제는 이 인물이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시기는 60세가 넘어서다. 전술 시뮬레이션 모드에 한 번 등장하는데 이 때가 68세(...).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5/지력 75/정치력 76에 병법으로는 분투, 돌파, 제사, 충차를 가진 준수한 장수.

시요론의 정치 +4 보정을 받고 시작하는데 특히 후반기에 등장하는 걸 생각해보면 더더욱 가치가 높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75/지력 74/정치력 76/매력 75. 특기는 농업, 보수, 치안, 돌격, 일제, 진정, 유인, 나선, 위압. 총 9개다.

시요론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질 지력은 +2가 되어 76이다. 총합 능력치 378로 전체 41위. 전투, 내정 어느 쪽으로 돌려도 후기 시나리오에선 쓸 만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8/지력 76/정치력 75/매력 75로 총합 381에 전체 35위.

참고로 이번작에서 전 능력 75 이상인 장수는 곽회, 여몽, 왕기 본인 3명 뿐이다. 적성도 창, 병기 S로 준수하고 특기도 좋은 창장이라서 후반기 무장치고 매우 쓸 만하다. 게다가 모든 능력치가 적당히 높기 때문에 영웅집결 같은 시나리오에서 작정하고 육성하면 전 능력치 100을 찍을 수 있으며, 모든 일을 시켜도 적당히 잘 하는 올라운더 A급 무장. 특히 225년 이후 후반기 시나리오에서 빛을 발하는 장수. 이 특기 때문에 창장 왕기라고 불린다.

삼국지 12에서는 PS3판에서 새로 추가됐는데 일러스트는 검 손잡이를 두 손으로 잡으면서 바닥에 짚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2/지력 86/정치력 85이며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크게 오르면서 더 좋아졌는데[51] 복귀 무장치고 매우 높다. 심지어 전법은 전군병격이기 때문에 전장에서도 매우 쓸만하다. 전작보다 무력이 크게 너프가 되었지만 능력치가 정사 기준으로 상향되었기 때문에 위빠들은 환호한다. 만총 등 전군병격을 가진 무장이 또 있고, 안 그래도 창병이 약간 부실한 위나라에게 더욱 쓸 만하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병과 적성이 A/A/B로 매우 준수한데, 그에 비해 특기는 농업 3, 순찰 1 뿐. 전투특기가 하나도 없는 점이 뼈 아프다.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창병공격진.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9, 무력 75, 지력 76, 정치 77,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무력이 3 상승한 대신 지력이 10, 정치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붕벽, 태연, 진흥, 농정, 학자, 주의는 왕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추행, 충차, 전법은 돌격, 경파, 업화, 저지, 충차, 친애무장은 왕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117. 왕기

파일:external/kongming.net/261-Wang-Xi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8.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동명이인 왕기 백여보다 능력치가 전반적으로 낮다. 하지만 왕기 백여의 능력치가 높은 것이지, 이 쪽도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71/지력 61/정치력 74. 병법으로는 분전, 기사, 조영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6/지력 63/정치력 76/매력 73에 특기는 5개.(농업, 기술, 진정, 유인, 기합)

삼국지 11의 특기는 답파로, 이 때문에 왕기 공석 본인은 답파 왕기로 불린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소리치면서 검을 뽑으려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9/67/61/70. 특기는 농업 2, 순찰 1. 왕기 백여와 마찬가지로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이고 전법은 창방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67, 지력 61, 정치 70, 매력 68이며 개성은 장구,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봉시, 충차, 전법은 급습, 매성,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일본에 사신으로 간 고증을 살렸는지 수군육성 정책과 수상전용 전법을 가지고 있다.

118. 왕도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ang_Tao_%281MROTK%29.png 파일:Wang_Tao_4_(1MROTK).png
삼국지 11 일러스트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콘솔판에서만 등장하는데 특기는 사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80/지력 42/정치력 32/매력 71로 방어력이 다소 낮은 맹장형이다. 기병에 특화된 관색과는 함께 엮어도 별로 득을 보기 어렵고, 영웅집결 같은 가상 시나리오라면 황충의 부장으로 끼워주는 게 베스트다. 적성은 궁병만 A다.

후속작에서는 시스템상 아내가 최대 3명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관색의 처첩 4명 중 왕도 본인과 왕열 자매는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119. 왕도

파일:external/kongming.net/259-Wang-Tao.jpg
삼국지 9, 10, 11 일러스트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가 영 좋진 않으나 다만 사마소에게 진언했던 일화를 반영했는지 지력은 70을 넘는 경우도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2/57/72/50. 지력이 제일 높음에도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8/44/70/54/60에 특기는 겨우 2개.(고무, 유인)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사마소에게 조언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6/59/72/51.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견수로 전법은 궁공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58, 지력 70, 정치 51, 매력 4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격려,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전투 능력이 영 좋지 않아 내정용으로 쓰인다.

120. 왕돈

파일:external/kongming.net/258-Wang-Du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가 묘하게 전위를 닮았다. 물론 인지도만 보면 능력치는 천지차이일 듯 싶으나 전위의 능력치는 무력에 편중되어 있고 왕돈 본인의 능력치는 상대적으로 고르기 때문에 총합만 보면 오히려 전위보다 높다. 물론 고른 쓰레기라 효용도는 전위에 비할 바 못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3/지력 44/정치력 53.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누선, 고무를 가지고 있다. 누선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5/지력 41/정치력 62/매력 53이며 총합 281로 역시 전위보다 총합은 높으나 70이 넘는 능력치가 하나도 없고 특기라곤 고무, 유인. 총 2개 밖에 없다.

삼국지 11에서는 혐오무장으로 손침이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손침을 죽이기 위해 검을 뽑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0/66/46/61. 특기는 훈련 2,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창속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5, 지력 43, 정치 61, 매력 53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봉시, 전법과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손침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21. 왕동

파일:7fde3d9d94b07356055674c3019f7f7f.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6에서만 등장하는데 수명이 역사와는 다르게 빠르게 죽은 것으로 보인다. 조비가 즉위한 후에 죽었기 때문에 적어도 220년 이후에 죽은 것이 분명하지만 게임상에서는 184년의 황건적의 난부터 등장해 207년의 와룡봉추 때부터 등장하지 않으며, 160년생으로 설정되어 있어 시나리오 상으로 길게 잡아도 약 40년 정도 밖에 살지 못했다는 것이 된다.

삼국지 패도에서는 SR 무장으로 등장하며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4/68/41/25/58이다.

122. 왕랑

왕랑(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23. 왕련

파일:왕련.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손가락을 올린 상태에서 제갈량을 말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7, 무력 9, 지력 69, 정치 82, 매력 66이다. 개성은 절약, 조달, 진흥, 안목,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진흥 Lv 4,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치료, 친애무장은 여예,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절약 개성이 있지만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124. 왕루

파일:external/kongming.net/253-Wang-Le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6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유언-유장 휘하의 문관으로 능력치는 평범. 종종 이름이 왕누로 나온다. 유비를 반대하다 목숨까지 끊었던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유장군 소속이다보나 상성 수치가 유비와도 가까워 유비가 혐오무장이나 원수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초기 버전에서는 유비군에 등용이 되기도 한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5/27/82/91/77인데 내정이 무려 91이나 되어서 유장 진영에서 장송과 함께 내정 에이스로 활약할 수 있다.

삼국지 6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0/28/76/89/69로 정치가 89나 된다. 기록이 별로 없는 것 치고 매우 후한 편.

삼국지 8에서의 능력은 무력 30/지력 76/정치 81/매력 70인데 전투 특기로 기습과 낙석을 가지고 있어서 산악지대가 많은 촉 지방에서 약한 무력에 비해 생각보다 괜찮은 활약을 보여준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은 통무지정 순으로 29/31/77/79의 B급 문관. 병법으로는 배반, 매도,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는 왕누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9/30/74/77/72로 전형적인 문관형의 능력치인데, 특기는 혼란, 위압, 항변. 총 3개 밖에 없다.

특이하게도 내정계 특기가 없는 것이 조금 아쉽다. 지력 70대에 위압, 항변만 가지고 설전을 하기엔 어렵다.

삼국지 11에서는 무난한 문관 능력치에 특기는 없다. 특이사항으로는 유비가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에는 오른손에 밧줄을 들고 왼손을 펼치면서 유비를 맞아들이는데 반대하는 모습으로 나왔다.

유장군으로 플레이할 시 법정 장송은 대부분 5턴안에 유비군으로 튀어서 황권이나 왕루 본인이 군사가 된다.

삼국지 13에서는 통무지정 순으로 28/30/79/80. 특기는 농업 3, 설파 4, 교섭 2.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위병. 병과 적성은 모두 C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유장군에서 훌륭한 문관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8, 무력 30, 지력 78, 정치 77,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신중,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치료, 친애무장은 유장, 혐오무장은 당연히 유비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125. 왕릉

파일:Wang_Ling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모든 능력치가 60~70대를 오가는 밸런스형 무장에 정치력이 80대 초반이다. 인재가 드문 후반부 시나리오에서는 괜찮은 인재에 속하나 특기나 적성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실제역사에서 본인이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낸 위나라 시절에는 인재가 너무 많아서 왕릉 본인의 존재는 매우 미미하지만, 초기 시나리오에서는 진양에 재야로 있는데 마침 그곳의 군주인 장양이 인재난이 매우 심각하다. 특히 여포토벌전 198년 장양은 장양, 휴고, 양추 단 3명만 있고 휴고, 양추도 많이 상태가 좋지 않은 무장들이다 보니 그런 장양에게 왕릉은 대체불가급 존재로서 그 위상이 격상된다. 마침 수명도 길다 보니 그 존재감은 더욱더 올라간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1/지력 72/정치력 83.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충차, 혼란, 덫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1/지력 71/정치력 84/매력 75에 특기는 기술, 치안, 돌격, 은밀, 반목, 유인 명사. 총 7개.

정치력이 가장 높지만 막상 정치력 의존 특기가 하나도 없는 것은 좀 아쉽다. 여담으로 일러스트는 무슨 무관처럼 나와서 능력치랑 괴리가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4/64/70/82/71에 적성은 창병과 노병이 A로 나쁘지 않지만 특기가 없다.

군웅할거 때 등장하는데 사망년도가 역사대로 251년으로 지정되어 있어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 게다가 부자연사이니 전사나 참수가 아닌 이상 사망연도보다 더 오래산다. 같은 사망연도의 자연사 사마의보다 오래산다. 왕릉 본인이 가장 활약하는 때는 바로 플레이어가 군웅할거의 장양을 골랐을 때다. 사마의와 상성도 가깝고 수명도 길어 낙양 이주 플레이할 시 사마의와 함께 장양 세력의 미래를 담당하여 육성을 밀어줄만한 인재다. 등장연도가 사망연도인 장양은 적당히 굴리다가 사마의와 왕릉 본인, 가규를 중심으로 세대교체하게 된다. 다만 인재가 넘쳐나는 다른 군주나 영웅집결 같이 수명이 없는 시나리오에서는 정치력만 쓸 만한 무특기 장수가 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도검을 든 상태로 소리치면서 돌격하고 있는데 젊었을 때는 크게 활약이 없으면서 노년에 활약을 한 인물이지만 일러스트가 지나치게 젊게 나왔다. 역시 전법은 쓰레기인 속공.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64/71/82. 특기는 상업 3, 설파 3.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방어강화.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64, 지력 71, 정치 83,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일심, 혈로, 진흥, 모집, 경솔, 주의는 패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4, 진형은 어린, 안행, 학익, 추행, 전법은 제사, 화시, 경파, 교란, 친애무장은 가규, 곽회, 사마랑, 영호우, 왕창, 혐오무장은 만총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거만남이다.

126. 왕매

파일:external/kongming.net/wangmai.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64/지력 57/정치력 43으로 분전, 충차, 투석을 가지고 있다.

127. 왕모

파일:왕모.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비의 일러스트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28, 무력 16, 지력 62, 정치 75, 매력 71이다. 개성은 절약, 교화,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세출개선 Lv 3, 진형은 충차,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74년, 몰년은 226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절약 개성이 있지만 병기 진형 밖에 없고 그런 주제에 스탯이 문관이라 내정용으로 쓰인다.

128. 왕문

파일:Kingmoo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11까지는 같은 일러스트를 썼으나 삼국지 12에서 바뀌었다.

기록이 매우 짧은데도 등장하는 이유는, 원래 공손찬군에는 무장이 조운, 공손월 밖에 없었기 때문에 공손찬 휘하의 장군들을 만들어서라도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게임에서는 휘하 장수 수가 곧 국력이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억지스럽게나마 장수를 늘려 주는 것은 한때 하북 최강의 세력을 자랑한 공손찬 세력을 게임상에서 잘 표현하기 위한 궁여지책이 된다. 반삼국지 작가처럼 마운록처럼 창작해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록이 짧게라도 남아있는 인물을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능력치는 사료가 너무 짧아 평가할 껀덕지가 없으니 좋을 리가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69/지력 37/정치력 36. 병법으로는 돌파, 주사 뿐이다.

비사는 없지만 주사는 가지고 있는데 비사가 위력이 돌파와 같아서 다른 공손찬군 장수들은 돌파를 쓸 일이 거의 없지만 이 놈은 주사 밖에 없어서 돌파를 가끔 쓰게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5/지력 32/정치력 40/매력 52에 특기는 돌격 단 1개.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두 손으로 쥔 채 침울한 표정으로 고개를 숙이고 있는데 아마 전예에게 위와 같은 일침을 들은 직후인 듯 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5/64/31/41. 특기는 훈련 1, 순찰 1, 분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창방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63, 지력 30, 정치 40, 매력 4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 무력, 지력,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소침, 주의는 할거,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안행, 추행,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정령철저 정책 덕분에 초반 선택 시 명령서를 늘릴 수 있다.

129. 왕방

파일:왕방.jpg
삼국지 14

동료 이몽과 함께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콧수염을 양갈래한 채 말을 타고 오른손에 창을 든 상태로 돌격하는 모습으로 나오며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68, 지력 28, 정치 22, 매력 35다. 개성은 공명,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철벽, 경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생년은 153년, 몰년은 192년까지 설정되어 있으며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30. 왕보

파일:삼국지3왕보.png
삼국지 3
파일:Wang_Fu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Wang_Fu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지력, 정치력, 매력이 모두 70대인 평범한 문관으로 등장한다. 초창기에는 연의의 엄청난 버프[52]에 힘입어 통솔이나 매력이 약간 높았다가 너프되어 그냥 문관으로 되었다. 그래도 삼국지 11에서 능력치가 조금 상향되어 정치력과 지력이 70대 후반으로 올라갔다. 특히 연의에서 끝장나게 간지나는 최후를 보여준 덕에 의리는 거의 최고치. 덕분에 후방에 태수를 시켜주면 배신할 일도 없고 내정도 그럭저럭 잘해서 쓸만하다. 그리고 연의 기준으로 생년은 171년, 등장은 190년, 몰년은 정사 기준인 222년이 아닌 연의를 따라 219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4/수전지휘 70/무력 63/지력 73/정치력 68/매력 83.

어디하나 크게 빠지는 것이 없는 만능형의 장수이나, 안타깝게도 무력과 지력이 7씩 부족하여 장군도 군사도 되지 못하는 불쌍한 무장이라 할 수 있다. 저 능력치로 어정쩡하게 군사나 장군이 되어봤자 봉록만 더 먹을 뿐이라 큰 문제가 안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높은 매력을 살려서 태수를 시키는 게 안 된다는 게 문제. 그냥 정치력을 살려서 개발로 쓰는게 가장 효율적이며 전투형 무장이 진짜 절박할 경우 전쟁에서 써도 좋다. 그것도 아니면 군주로 쓰는 것도 괜찮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34/지력 75/정치 73/매력 74로 그저그런 문관이다.

꿈은 대의에 측면공격, 선제공격, 거짓퇴각이 있다. 의리는 연의의 모습을 반영 했는지 14가 된다. 삼국지 3에서 보여준 모습이 어디 갔는지 70이 넘어가던 통솔이 47인데다가 무력이 34가 된다. 매력도 9나 내려갔다. 주로 유장을 플레이 하거나 유장 세력을 침략할 때 그나마 쓸만한 것은 선제공격이 전부라 내정만 시켜주자. 하지만 이번작에서는 내정이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반대로 지력 34에 정치력 47, 무력 75에 통솔 73인 무장보다 가성비가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일러스트는 수염을 기른 평범한 문관의 모습으로 나온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36/지력 77/정치 73/매력 75로 전 보다는 능력치가 상향되었다. 의리는 전 시리즈와 동일하고 특기는 상재, 정찰, 수복, 행동이 있다. 타입은 군사.

통솔이 무력과 합쳐지면서 오히려 내려가 버렸다. 하지만 나머지 능력은 꽤 준수하니 내정셔틀로 열심히 싸주자. 능력치는 평범하지만 의리와 냉정은 최상위권을 찍는 장수. 전략 경향은 균형이며 인물경향은 명성중시다. 일러스트는 전작과 다르게 수염을 기르고 백성처럼 평범한 옷을 입고 있다. 그리고 이 일러스트는 삼국지 10까지 쓰이게 되었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43/지력 76/정치 77/매력 72로 일러스트는 전작과 같다. 성장 경향의 능력은 정치, 전법은 사격, 계략이 있고 의리치는 14, 특기는 축성, 정찰이 있다. 전법은 불화살, 낙석, 제사가 있으며 낙석은 레벨 3을 찍는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의리와 냉정은 최상위권. 용맹은 3, 수명은 3, 유명은 5다. 완벽한 내정형 문관. 역시나 내정 셔틀로 써주면 좋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36/지력 76/정치력 77의 그저그런 문관이지만,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교사를 가지고 있다.

교사를 가지고 있는 거 하나는 좋은데 주로 지력이 낮은 부대에다 넣어주면 상태이상을 방지한 채 진행할 수 있다. 성격은 냉정이며 통솔이 돌아온 시리즈이기 때문에 전작에 낮던 통무 능력치는 어느정도 회복되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43/지력 78/정치력 75/매력 73에 특기는 농업, 고무. 총 2개. 농업 셔틀로 쓰면 되는데 수명이 짧은 게 흠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41/지력 79/정치력 78/매력 73으로, 전작보다 무력이 2 떨어진 것에 비해 나머지 능력치는 소폭 상승했다.

드디어 통솔력이 60대로 올랐으나, 무력이 낮기 때문에 실제로 전장에서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특기는 잉여인 매복이기 때문에 PK에서 내정형 특기로 바꿔주자. 또한 몰년이 219년이긴 하지만 엄연히 자살은 비자연사이기 때문에 실제보다 10년은 더 오래 살아서 왕보 본인의 약점인 수명이 보정된 지라 범용성이 늘었다. 콘솔판 특전 영웅난무 시나리오에서는 관우의 기본 참모로 등장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연의에서 관우에게 반준을 중용하지 말라고 조언할 때 상황으로 보인다.

통솔력 62/무력 41/지력 79/정치력 78의 무난한 문관 스탯으로 나왔으며, 특기로 경작을 가지고 있어서 군량 생산용으로 쓸만하다. 전법은 총맹사(궁군병격)이며, 다른 궁병과 조합하면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2, 설파 1, 교섭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공격약화. 음성은 노옹. PK를 한다면 상업 특기를 제거하고 농업 특기를 대신 추가해 준 뒤, 전수특기도 농업으로 변경해주자. 문관형임에도 특이하게 무기 수집에 관심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40, 지력 78, 정치 77,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 무력, 지력, 정치력이 모두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축성, 능리,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방원, 투석, 전법은 격려, 철벽, 투석, 구축, 친애무장은 관우, 관평, 조루, 주창,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보좌 개성이 좋기 때문에 전장에 자주 나가는 편이다.

131. 왕사

파일:왕사(승종).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부하를 재활용해서 촉나라 인물인데도 입고 는 옷이 파란색이라 위나라 인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43, 지력 61, 정치 74, 매력 81이다. 개성은 조달, 친강, 인정,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운반개발 Lv 4, 진형은 학익, 장사, 전법은 치료,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132. 왕사

파일:왕사(위나라).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촉나라의 진군 장군인 왕사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불량배 같은 얼굴로 팔짱을 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6, 무력 30, 지력 63, 정치 77, 매력 28이며 개성은 조달, 농정, 격분,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업화, 매성, 친애무장은 양습, 혐오무장은 필궤다. 어투는 책사남.

133. 왕상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0.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효행 보정으로 80대 중반쯤인 매력을 제외하면 크게 돋보이는 점은 없는 문관계. 그래도 수명이 길기 때문에 발전의 여지는 있고, 무엇보다 후반부의 인재부족을 생각하면 나름대로 쓸만은 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1/28/68/82. 병법으로는 조영, 배반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5/19/65/76/84로 등용 셔틀. 특기가 단 1개 있는데 하필 통솔 의존인 치안이다.

유독 코에이가 본작에서 존재감이 없는 장수들 특기로 엿먹이는 짓을 많이 했는데 그에 따른 피해자라 할 수 있겠다.

삼국지 12에서는 본편에는 나오지 않았다가 PK에서 복귀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다. 전법은 진정.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3/19/68/78. 특기는 상업 2, 교섭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이 기방약화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19, 지력 68, 정치 77, 매력 8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위무, 소욕, 인정,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은 여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개성들이 적절하게 쓸만한 내정용 개성들이라 좋은 문관이다.

134. 왕상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6.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병서를 들고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간언을 하고 있으며 정황상 유장에게 마초가 날렵하지만 성격이 사납고 어질지 못해서 가까이 하지 말라고 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8/22/71/67. 특기는 농업 2, 교섭 2.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기공약화. 생년이 171년으로 설정되어 있고 음성이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음성이다. 학문을 장려했는데 문화 특기를 갖고 있지 않아서 약간 아쉽지만 농업을 장려한 덕분인지 농업 특기를 가지고 있다. 그야말로 농업 전문가. 그런데 어째선지 왕보사촌 형인데 왕보하고 친밀도가 영 높지 않은 상태인 데다가 남남으로 되어있다. 여담으로 14세인데도 유일하게 시나리오 1에서 쓸 수 있는 인물로 대부분의 사실무장들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15세 때부터 쓸 수 있는데 지명도도 높지 않은 왕상 본인이 해당무장인 것은 조금 특이한 부분. 이상위명도 8명 밖에 가지고 있지 않은 요언혹중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8, 무력 21, 지력 74, 정치 75,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3, 정치력이 8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명경, 진흥, 농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학익, 정란, 전법은 업화, 고무, 진정, 정란, 친애무장은 진밀, 혐오무장은 없고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67년으로 변경되었으며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35. 왕수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지력, 정치가 60~70대의 특색없는 문관으로 나온다. 정사에서의 일화들을 보면 성격이 용맹과감하고 기병을 이끌고 공사로를 쳤던 일화도 있는데 통솔은 50대 정도일 뿐이고 무력은 아예 바닥으로 저평가되어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37/수지 15/무력 42/지력 65/정치 68/매력 69로 괜찮은 수준의 문관.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39/62/67/69.

무력 외에는 그럭저럭 무난하지만 무력이 낮아 무관 일러스트와 영 괴리감이 있다. 그런데 220년 사망한 인물이 234년 시나리오에서 버젓이 살아있다. 제갈량이 등장하는 시나리오부터는 나오지도 않는 양표와는 정반대다. 상성이 좀 특이한데 조조 쪽도 아니고 원소 쪽도 아닌 142다. 그래서 동탁, 원술, 손가랑 상성이 좋은 편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2/65/71/76.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배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배반 외에는 모략계 병법도 없고 해서 그냥 내정용으로 쓰게 된다. 190년 반동탁연합군 시나리오에선 공융군의 희망, 공융이 사느냐 마느냐가 오직 왕수 본인에게 달려있다. 군주 공융은 능력치가 너무 형편없어 정치 조차 64 밖에 안 돼서 등용은 고사하고 탐색도 잘 안되기 때문에 태사자를 비롯한 재야 장수들 탐색과 등용은 오로지 왕수 몫이다. 왕수가 태사자(북해 즉묵)와 손건(북해)을 등용해야 그나마 숨통이 트이고 뒤이어 장흠(수춘), 주태(시상 구강), 허저(여남 초현), 우번(회계), 동습(회계 시신), 능조(말릉 단양)같은 주변 재야 장수들을 빠르게 흡수해야 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3/27/76/78/65. 특기는 농업, 상업, 치안, 혼란, 명사. 총 5개다.

정치 78은 그냥저냥 괜찮은 수치인데 농업, 상업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용이 나름대로 높다. 관도대전 시나리오 때 북해태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투력이 형편 없음에도 원소가 조조에게 전역(관도대전)을 걸 때 부대장으로 출전하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부릅 뜬 두 눈으로 고밀현의 호족인 손씨를 압박하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4/27/77/78로 통솔과 지력이 1 올랐다. 특기는 농업 2, 설파 4.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궁병수비진.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27, 지력 76, 정치 78,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농정, 안목,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고유, 공융, 왕기, 혐오무장은 곽도, 신평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36. 왕숙

파일:external/kongming.net/272-Wang-S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후기에 등장하기 때문에 비중은 제로에 가깝지만, 영웅집결 시나리오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역사대로라면 왕숙 정도의 인재는 차고 넘칠만큼 있는 위나라에서 존재감이 거의 없지만,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왕랑의 아들인만큼 왕랑군 소속이 되기 때문. 70 후반~80까지도 찍는 지력/정치만 해도 우번 다음 자리를 놓고 다투며, 70대 중반의 매력으로 우번의 아들인 우사와 함께 영웅집결 왕랑군의 주된 등용 셔틀이 된다. 왕랑, 우번 모두 지력, 정치에 비해 매력이 구린편이기 때문.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7/26/81/76.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5/21/80/78/76에 특기는 농업, 상업, 혼란, 반박, 명사 5개. 내정, 등용 쪽으로 쓰임새가 많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묶여진 병서를 들어 내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6/22/76/78. 특기는 상업 2, 문화 2, 교섭 3, 언변 5. 전수특기는 언변이고 전법은 동요도발로 병과 적성은 모두 C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후반기 무장임을 감안하면 좋은 문관이다. 하지만 플레이어 대부분 왕숙 본인을 부하로 데리고 있으려는 이유가 따님을 미리 꼬시려는 밑밥 작업이 강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5, 무력 24, 지력 76, 정치 78, 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학자,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업화, 혼란, 친애무장은 송충, 혐오무장은 하안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37. 왕식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해전이 낮은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능력치는 평범한 수준이다.

138. 왕쌍

파일:삼국지3왕쌍.png
삼국지 3
파일:Wang_Shuang_2_(1MROTK).png 파일:王雙.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무력만 높은 무력돼지다. 기본 무력은 80 후반에 시리즈에 따라 유성추의 보정으로 무력이 달라지는데 대체적으로 무력만큼은 문앙급. 하지만 연의에서 위연에게 죽었기 때문인지 유성추 무력을 합하더라도 최종무력은 언제나 위연보다 같거나 살짝 낮게 나왔다.[53] 위연이 대체적으로 서황, 장포 등과 시나리오 1~2위급의 무력을 다투는 후반기 시나리오에서 이 무력은 독보적이지만, 다소 낮은 통솔력을 포함한 다른 능력치는 암울 그 자체. 허저전위는 그나마 통솔력이 높은 시절이 있었지, 왕쌍 본인은 삼국지 3 빼고 그런 거 없다. 삼국지 5에서는 그나마 통솔력이 무력에 통합되어서 좀 나은 편이다.

보물로 유성추와 대완마가 달려 있고 후반기에 등장하는 무력이 높은 장수라 쓸 일이 많은 장수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84/수전지휘 70/무력 88/지력 21/정치력 20/매력 29에 야망 8, 운 7, 냉정 5, 용맹 8이다.

당장 왕쌍 본인의 능력치에 육전지휘와 무력의 위치를 바꾸면 장군이 되지 못한다. 다른 능력치가 좀 우울한데 매력이 22. 무력 70 이상인 상태에서 {(육지+수지)/2}+매력=120인 장군의 조건상 왕쌍의 이 정도 매력은 너무나 치명적이라서 {(84+70)/2}+22=99밖에 안 되기 때문에 장군이 되려면 다른 일반잡장의 경우라면 육전지휘나 수전지휘를 도합 42나 올려야 하지만, 저런데도 불구하고 무력 85가 넘기 때문에 무조건 장군이다. 군소 군주라면 주력 장수로 쓰일만하지만 킹왕짱 조운을 얻거나 손견, 손책 부자한테 항복을 받아내거나 감녕이나 화웅까지는 아니더라도 장료나 위연 정도만 얻어도 바로 버려지는 비운의 장수. 다만 처음부터 나오는 221년 시나리오의 경우 조위도 그렇게 특급 전투 요원들이 많은 상황이 아니라 왕쌍 정도만 해도 요긴하게 쓰인다. 육전지휘, 수전지휘, 매력이 모조리 개판이더라도 무력 하나만으로 장군이 되는 단 두 명뿐인 장수다. 다른 한 명은 무력 100의 여포다.

삼국지 5에서는 기본 무력 89에 유성추 5를 더하면 무려 무력이 94로 위연과 동일하다.

통솔력 역할을 무력이 대신하는 이번작인만큼 정공법으로는 강력하지만 문제는 나머지 능력치가 10~20대에 불과하다. 특히 지력이 18이기 때문에 전장에선 책략에 샌드백이 되어버린다. 진형은 2개밖에 없지만 추행과 봉시라 나쁘지 않고, 무쌍, 분기, 원시, 속공 등의 좋은 특기를 배우니 책략만 어떻게 피해서 잘 굴려보자. 특이하게 내분, 혼란 특기도 배우는데 저 지력으로 써봤자 통하지도 않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89(유성추 +2 = 91)/지력 28/정치력 20으로 일기토용 부장으로나 쓸 만한 능력치이며 병법도 돌진 하나 뿐이다.

영웅집결에서는 농서에서 재야 상태로 있기 때문에 마등이나 동탁 세력의 주 영입대상이 된다.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휴고니즘이 되어서 맹장티를 풀풀 낸다.입에서 파괴광선 나올 기세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도 통솔력 61/무력 89(+2)/지력 18/정치력 20/매력 24에 특히 무력은 89에 유성추 2를 더해 실질무력은 91로 기본무력 92인 위연에 한끝차로 뒤진다. 특기는 8개를 가지고 있는데(돌격, 저지, 회복, 기염, 반격, 역공, 삼단, 나선) 그 중 6개가 일기토 특기고[54] 나머지는 돌격, 저지로 전형적인 멧돼지형 장수다.

물론 나머지 능력치는 기대하지 말자. 극후반부 무장도 아닌데 수명이 긴 것도 아니고.

삼국지 11의 특기는 맹장.

기병 적성이 A이므로 적절하게 지력 보충용 부장을 데리고 다니면 최전선에서 부상 메이커로 활약한다. 일단 포로로 잡으면 얼마 못가 충성도가 뚝뚝 떨어지므로 아군 휘하로 올 가능성도 높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고함을 지른 채 유성추를 휘두르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88/지력 19/정치력 22로 역시 무력만 높다. 유성추를 더하면 무력이 91이 된다. 특기도 감시, 일기 딱 2개다. 무력돼지이긴 하지만 전법이 '대타격'이라서 후반기 무장 중에 왕쌍 보다 무력 높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걸 생각하면 충분히 강력한 장수다. 탄원, 관직빨로 통솔력만 좀 보완해준다면 전투에서도 꽤 괜찮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다. 특기는 훈련 3, 분전 2, 공성 2, 일기 4. 전수특기는 일기로 전법은 기병돌격. 병과 적성은 창병 B/궁병 C/기병 A. 역시 유성추 보정이 +3 들어가서 이번작에서도 무력이 91을 찍었다. 음성은 난폭.

그런데 정작 위연이 이번작에서 무력이 89로 너프되는 바람에 졸지에 자길 쓰러뜨린 위연보다도 무력이 강한 무장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기본 무력은 여전히 위연이 높고 위연이 전체적인 능력치와 병과 적성, 특기가 훨씬 우월하므로 위연이 왕쌍보다 더 좋은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88, 지력 19, 정치 22, 매력 2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호걸, 맹자, 강건, 저돌,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경파, 대갈, 매성, 친애무장은 조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출진 화면에서 맹자 개성 설명 때 "하하하! 이 왕쌍, 한 번 노린 사냥감은 결코 놓치지 않는다!"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139. 왕업

파일:external/kongming.net/263-Wang-Ye.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0.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배신한 행각 때문인지 대접은 영 좋지 않다. 그나마 정치가 70대라 내정만 가능한 문관계인데 어째서인지 내시 비슷한 찌질한 얼굴을 하고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3/6/36/76. 지력 덕에 유일한 병법인 혼란도 묻힌다.

이간 때문에 내정도 시키기 힘든 백하팔인 폐급.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2/6/46/72/50에 특기는 농업 단 1개.

그나마 정치가 72니 써먹을 수는 있는 특기를 줬다. 그런데 웬일인지 이번작에서는 이상하게도 왕찬의 일족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올린 채 불쌍해 보이는 얼굴을 하고 있는데 정황상 조모를 만류하려다 실패하고 전전긍긍하는 모습인 듯 하다.

왕업 본인보다 기록이 많은 왕침삼국지 9편에서만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3/6/35/66. 특기는 농업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이고 전법은 창공약화로 그런데 음성이 젊어보이는 일러스트와는 별개로 어째선지 음성이 노옹이다. PK를 할 때 다른 음성으로 바꾸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2, 무력 6, 지력 35, 정치 68,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명리, 정책은 묵수연구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왕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40. 왕열

파일:Wang_Yue_3_(1MROTK).png 파일:external/bbsimg.ali213.net/013115v6jncvdy5sjho8q9.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삼국지 11 콘솔판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81/지력 42/정치력 35/매력 72으로 자매인 왕도와 능력치가 대동소이하다. 이쪽은 극병만 A. 특기는 난전으로 일단 숲에만 들어가면 두려울 게 없다.

후속작에서는 시스템상 아내가 최대 3명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관색의 처첩 4명 중 왕도, 왕열[55] 자매는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141. 왕원희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angyuanji-100manninrotk.jpg 파일:Wang_Yuanji_4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56.jpg
삼국지 12, 13
파일:왕원희.jpg
삼국지 14

삼국지 1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100만인의 삼국지에서는 대부분이 전작의 일러스트를 재탕한 와중에 보연사, 가남풍과 더불어 드물게 새로 그려진 일러스트을 받았다.

삼국지 12에서는 무쌍 시리즈와 달리 머리는 갈색이지만 컨셉 컬러나 복장은 비슷하다. 냉철해보이는 진삼과는 달리 귀엽고 상냥한 이미지인데 자세히 보면 오른쪽 손가락을 턱에 올린 채 가슴을 가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3/무력 35/지력 73/정치력 75, 전법은 전공격강화. 그나마 전공격강화를 보유한 무장 중에서 지력이 두 번째로 높다. 또 유일하게 군사 특기가 없이 귀모가 있는 특이한 여무장이다. 자고로 군사 특기 없이 귀모만 가지고 있는 무장으로는 오다 노부나가, 악비, 한신과 같은 먼치킨 장수들[56]이다. 혐오무장란에는 1명이 있는데 역사 내용 그대로 종회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에서 변동이 없고 병과 적성은 C/A/B. 특기는 상업 2, 교섭 3, 언변 1(사마소 인연 효과). 전수특기는 교섭이다. 전법은 5포인트를 소모하여 사기, 방어, 기동을 일정 상승 시켜주는 속방지휘로 물론 최상급 전법까지는 아니지만 이번 작에서 여성 무장들의 전법이 제사지휘의 대교나 질주지휘의 마운록을 제외하면 썩 별로인 것을 감안하면 군계일학이다. 음성은 보통녀. 다만 재녀라는 점을 반영했는지 중신특성이 있을 것으로 보였지만 아깝게도 없다. PK로 한다면 상업중시나 화기생재, 아니면 그녀의 성품을 반영해 공정무사를 추가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녀의 행동 및 성격 상 인덕을 주고 전수특기도 인덕으로 줄 법도 하나 사마 가문의 일가, 특히 황제를 죽인 사마소라서 그에게 인연효과로 인덕을 주기에는 난감했을 것이라 판단했을 듯하다. 병과는 여성 무장임에도 기병 적성이 A라서 전투에 꽤나 많이 참가한다. 제갈량, 강유의 북벌 시나리오에서는 장합, 서황, 문앙의 기마조련 특성을 이용해 S 적성을 얻을 수도 있다. 게다가 제갈량, 강유 북벌 시나리오 시점으로 옮기면 능력치로 따질 때 황월영, 신헌영, 장춘화 다음이다.[57] 이런 걸 보면 시아버지의 속전고수를 약간 물려받았다. 전작에서는 귀모가 있는데 여기에는 없다. 성격은 어째서인지 소심이니 편집을 사용한다면 냉정으로 바꿔주는 것도 좋다. 231년에 아버지가 있다면 아버지 소속 세력, 소속 도시로 바로 임관하며 왕숙이 없다면 서주의 낭야에서 재야로 등장한다. 물론 사마소가 있다면 사마소 세력, 사마소 도시로 임관하는 것이 우선이다.

결혼하기가 까다롭지만 축융보다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사실 시나리오에서 왕원희 본인은 231년에 등장하는데 반해 사마소는 225년에 등장하는 것을 이용해야 한다. 231년까지 6년동안 어떻게든 사마소를 죽인다면 남편이 없는 상태로 등장하기 때문에 결혼하기만 하면 끝. 물론 사마의, 장춘화, 사마사와 원수가 되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영웅집결이나 영웅십삼걸에서는 처음부터 사마소와 부부 관계라서 플레이어 말고 논플레이어블 세력의 누군가나 플레이어의 아군 장수가 사마소를 죽여주길 빌어야만 한다. 직접 사마소를 죽여버리면 왕원희와 원수지간이 되나 다른 캐릭터가 죽이면 플레이어와 원수 지정이 안 되는 시스템을 이용한 것이다. 정 귀찮으면 이벤트로 자기 나름대로 결혼하거나 신무장이라면 신무장 작성시 배우자를 왕원희로 미리 지정해 부인으로 만들자. PK에서는 배우자 지정 시 원래 배우자는 삭제되고 신무장이 유일한 배우자가 되도록 바뀌었기 때문에 이쪽이 오히려 깔끔하다. 물론 사마염, 사마유는 여전히 왕원희와 사마소의 아들이라 결혼은 신무장이랑 했는데 아이는 사마소와도 신무장과도 낳는 뭣같은 상황이 되니 이벤트로 죽이던가 하자. PK에서는 사마가문 테마곡을 본인도 받게 되어 장춘화, 손상향과 함께 여성 무장 중에서 테마곡이 있는 몇 안되는 케이스가 되었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공개되자마자 게임성에 대한 비판과 우려와 별개로 극찬을 받았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으로 머리를 만지고 있다. 그리고 머리의 꽃장식도 전작들과 거의 동일.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18, 지력 80, 정치 72, 매력 8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7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9, 무력이 19, 정치력이 3하락했다. 최후기 시나리오라 무장들 능력치가 짜개 책정되어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엄청 높은 능력을 보여준다. 개성은 침착, 재원, 주의는 예교, 정책은 학익강화 Lv 4,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고무, 치료, 투석, 친애무장은 사마소, 혐오무장은 종회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현명녀로 설정되었다.

손권 사후 시나리오에서는 매력 수치에서 아예 양호, 사마유 다음이다. 개성이 별로 없는지라 지역담당관으로 쓰게 되지만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고 재원이 있어서 인재 등용을 담당하는 스카우터 혹은 남편의 심모원려를 연장시키는 차원으로 부장으로 쓰는게 무난할 듯하다. 자고로 영웅집결에서는 할아버지 소속으로 있는데 서로 친애무장인지라 사마소를 왕랑 소속으로 빼내올 수 있다. 다만, 역등용당하면 할아버지 입장에서는 상당히 골치 아파진다. 이유는 왕원희 본인의 비중이 어느 세력에 있는지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사마소가 데려온 후 사마의 소속으로 있을 때는 사마의, 사마사, 사마소 3부자 중심으로 장안 기반 서량(량주), 옹주를 지배하지만 왕랑 소속으로서 사마소를 데려오면 왕원희, 사마소 중심으로 손견 세력을 제외하면 강동권을 지배하기도 한다.

142. 왕위

파일:external/kongming.net/254-Wang-We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충신 보정을 받지 못하고 무관쪽 능력치조차 70을 넘는 것이 없는 허접으로 나온다. 삼국지 4편과 삼국지 5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그냥 문관으로 내정이나 시킬만 하다.

참고로 초반 시나리오에서는 왕위가 2명인데 나머지 1명은 바로 조앙(趙昂)의 이름이 오역된 것.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55/정치력 49. 병법으로는 분전, 몽충 뿐이다. 몽충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65/지력 60/정치력 54/매력 64에 특기는 회복 단 1개 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검을 쥔 채 유종채씨를 죽이러 온 우금조조군을 상대로 맞서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70/지력 62/정치력 52.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창병공격진.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달리 무례로 들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70, 지력 62, 정치 50,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지리, 주의는 패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어린, 안행, 전법은 저지,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43. 왕윤

왕윤(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44. 왕융

파일:external/kongming.net/273-Wang-Ro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6.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평범한 편. 후기 인물이라 안 짤리면 다행이다. 이 게임에서 정말 몇 안되는 4세기까지 살아있는 인물이라 등장인물 중 가장 늦게까지 살아있는 경우가 좀 된다. 302년 사망인 조환이 죽으면 왕씨의 위나라를 볼 수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2/41/77/63/61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5/42/72/70. 병법으로는 누선, 정란, 혼란을 가지고 있다. 전투 능력이 낮으니 누선 셔틀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36/지력 72/정치력 56/매력 48로 평범하지만 전 등장인물 중 사망년이 305년으로 가장 늦다. 특기는 죽림칠현답게 명사 특기가 있지만 나머지 특기가 없어서 총 1개다.

그 다음은 302년에 죽는 조환. 물론 그 연도에 딱딱 죽는 건 아니라 조환이 더 오래 살 때도 있다.

삼국지 11에도 등장해 지력이 72로 70대를 돌파했다. 게다가 자연사일 경우 이번작에서 가장 늦게 죽는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쪽 손가락을 올리면서 가리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36/지력 72/정치력 55. 특기는 설파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설파이고 전법은 기공약화. 음성은 정중. 이번작에서는 어이없는 이유로 호연에게 최후의 생존자 타이틀을 뺏겼는데, 사유는 고증오류(...) 호연의 몰년이 306년[58]에 비자연사 설정이라 326년까지 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36, 지력 72, 정치 55, 매력 46이며 개성은 명성, 문화, 탐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도발, 정란, 구축, 강습, 친애무장은 완적, 왕상, 혜강, 혐오무장은 양호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아서 명성 개성을 통한 내정용으로 땅 색칠할 때 쓰인다.

145. 왕이

파일:Wang_Yi_3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ang_Yi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5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실제로도 역사상 활약을 했던 무장이기에 다른 여성 무장들에 비해 책사쪽으로 투자되어 황월영, 신헌영 다음으로 지력이 높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8/26/82/68/73이다.

천수에서 등장하는 무장치고는 지력이 높지만(82) 능력치로 봐선 장부같은 성향보단 문관의 속성이 더 강하며 손노반, 유씨, 채씨를 제외한 다른 여성 무장들에 비해 정치와 매력은 낮은 편이다. 정치는 68로 그리 낮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다른 여성 장수는 아무런 기록도 없이 당연하듯 70은 받아가는데 정작 역사적 기록이 있는 왕이 본인이 68 밖에 안 되니 낮다고 하는 것이다. 마씨 일가와의 상성은 나쁜 편. (마등계 : 80, 왕이 : 21) 마씨일가와 상성이 나쁜편이지만 그래도 혐오무장은 아니기에 등용 자체는 어찌저찌 된다. 다만 마초와는 혐오무장이라 마등이 죽거나, 죽은 이후 시나리오에서는 등용을 못한다. 특기는 노발. 그런데 잘 보면 왕이는 마초가 혐오무장인데 마초는 왕이가 혐오무장이 아니다. 최신작인 삼국지 14에서는 왕이가 혐오무장으로 추가되며 제대로 수정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허리에 짚은 채 마초를 노려보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3/51/82/68로, 전작에 비해 통솔은 15, 무력은 2배 가까이 오르면서 버프를 받았다. 대표적으로 초선이 매력 삭제로 능력치에서 손해를 본 것과 대조적으로 매력이 높지 않다보니 능력치 보상에서 오히려 이익을 본 사례. 여성 무장 중에서 손 꼽히는 통솔(73)에 지력도 높고 처음부터 군사 특기를 가지고 나오고, 궁병에 전법으로 쓸만한 허유엄살을 들고 나와서 천수 부근 무장 중에서는 꼭 등용해야 할 무장이 되었다.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 중신특성은 화기생재이며 전법은 교란. 교묘하게 양씨를 구슬리고 속인 일화를 반영해서인지 특기는 설파 8, 교섭 7, 언변 3, 신속 2이고 전수특기는 설파로 병과 적성은 창C/기B/궁B. 생몰년도가 171~23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음성은 용감녀.

문관이 부족한 서량 지역에서 양부, 양씨와 함께 귀한 인재다. 이번작에서는 혐오/친애 무장 시스템이 없어서 원수 마초와 결혼도 가능하다. 또한 조앙이 등장하지 않아서 미혼 상태다. 다만 내정 관련 특기가 하나도 없는 것은 약간 아쉬운 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 무력 51, 지력 82, 정치력 63,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정치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재원, 명경,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안행, 방원, 전법은 저지, 도발, 고무, 친애무장은 당연히 남편인 조앙, 혐오무장은 마초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177~235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현명녀로 설정되었다. PK에서는 저지 전법이 삭제된 대신 고유 전법으로 적군에게 저지를 부여하면서 아군의 사기를 상승시키는 기계구조라는 지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다.

상당히 너프를 먹은 손상향이나 거의 반토막 나다시피한 여령기에 비하면 거의 차이가 안 날 정도다. 그런데 개성의 경우 재원,(범위 내의 남성 적부대가 상태이상 시 기간 연장) 명경(본인을 제외한 자신부대가 혼란 시 기간 단축)으로 꽤나 미묘한 것들이라 써먹기 미묘한 편이다. 재미있는 특징으로, 군웅할거 시나리오(194년)로 시작할 경우, 195년에 남편인 조앙을 얻어두면 196년 등장 시에 재야무장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남편 세력에 따라서 임관한다는 것이다.[59] 이보다 이전 시나리오에선 배우자 설정이 안 되어있고 이후 시나리오에선 미발견 재야 무장이기 때문에 194년 시나리오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

146. 왕자복

파일:왕자복.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3, 삼국지 5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68/64/61/78의 준수한 내정 요원이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가슴에 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57, 지력 58, 정치 52, 매력 65이다. 개성은 인맥,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1, 진형은 어린, 전법은 저지, 매성, 친애무장은 동승, 유비, 혐오무장은 조조다. 어투는 보통남.

147. 왕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모든 능력치가 70~80대의 만능형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초기작인 삼국지 4삼국지 5의 경우 무력이 80대였으나 삼국지 8부터는 70대 초반으로 깎였다. 그래도 위나라에서는 A-급의 장수로써 크게 활용이 가능하며 수명이 매우 길다.

삼국지 4에서는 임관된 상태에서 등장한다. 능력치는 통솔력 86/무력 83/지력 79/정치력 72/매력 82에 특기로 외교, 풍문, 화공, 보병, 기병, 해전, 화계, 내분, 연환, 호통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4/지력 80/정치력 64/매력 80에 진형은 학익, 안행, 수진, 특기로 화계, 수계, 분기, 속공, 강행, 수신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83/지력 76/정치력 64/매력 77에 꿈은 대의다.

전술 시뮬레이션 최후의 스테이지인 오 토벌전의 총대장으로 출진한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2/지력 83/정치력 80/매력 84. 보유 특기는 경비, 반계, 노병, 수군, 정찰이다.

이번작을 기점으로 무력이 70대로 하향되었지만 다른 능력치들이 모두 80 이상이다. 능력치 성장 타입은 장군이나 지력과 정치력이 왠만한 참모형 무장 뺨 치는 수준으로 높은데 이 때문에 전능 특기를 얻지 못해도 용맹, 지낭, 지략, 특기를 각각 얻어낸다면 모든 능력치를 100으로 만들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2/무력 73/지력 82/정치력 70. 병법으로는 분투, 연사, 투함, 충차, 파괴를 가지고 있다.

후반기 장수 중에서는 손에 꼽을 만한 능력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71/지력 79/정치력 70/매력 78에 특기는 10개다.(기술, 훈련, 화시, 일제, 진정, 은밀, 지리, 나선, 위압, 제독)

장강을 타고 손호를 잡은 일화를 반영하였는지 제독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총 능력치합 379는 조예와 동급인 공동 39위.[60] 후기 시나리오에선 손꼽히는 인재다.

삼국지 11에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73/지력 77/정치력 71/매력 75.

여전히 균형잡힌 능력치에 병기, 수군 적성이 S, 창병 적성과 노병 적성은 A인 데다가 수명까지 길어서 내정이나 전투 어느 쪽에서든 쓸 만하다. 다만 보유 특기가 조선이라 고증은 잘 되었어도 그다지 효율성이 없다. PK라면 육성으로 강화시킬 여지는 충분히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깃발을 위로 들어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73/지력 77/정치력 71이고, 병과가 기병에 전법은 총돌격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12 때와 동일하다. 전작과는 달리 기병 적성은 낮고 창병과 궁병 적성이 A급이다. 전법은 방원진. 음성은 무례. 여담으로 수군을 이끈 경력이 있는데도 어째선지 수영 특기가 1레벨도 없다가 PK에서 농업 2, 훈련 5, 순찰 1, 분전 3, 수영 5로 고증 오류가 해결됐다.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1, 무력 73, 지력 78, 정치 71, 매력 76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붕벽, 조달, 위무, 조타, 탐욕, 주의는 패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추행, 투석, 전법은 제사, 경파, 투석, 구축, 강습, 시람, 친애무장은 서막, 양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148. 왕진

삼국지 4삼국지 5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좋지 않은 편이다.

삼국지 5의 열전에서 왕진을 죽인 부첨이 전첨으로 오타를 냈다.

149. 왕찬

파일:삼국지3왕찬.png
삼국지 3
파일:Wang_Can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B급 문관 수준이지만 내정형 인재가 많다고 보긴 힘든 유표군인지라 나름대로 도움은 된다. 유표군에서 왕찬 본인보다 나은 문관으로는 괴량, 괴월 정도이며 이적과는 비슷한 수준. 물론 전투는 절대 기대하면 안 된다. 사서에 대놓고 못생겼다고 기록된 인물이지만 일러스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삼국지 5에서는 초기 시나리오에서는 어째서인지 유표군에 있지 않고 평원에 재야로 있다.

따라서 평원에서 시작하는 유비원소로 플레이하면 높은 확률로 등용이 되지만 유비는 그렇다치고 원소는 상성이 조조나 유표와는 정반대라서 등용이 어렵고 등용한다고 해도 상성 때문에 금을 줘도 충성도가 쥐꼬리만큼 차오르고 충성도 관리에 조금 소홀하면 조조한테 바로 빼앗기기 십상이다. 상성은 30이라서 유표보다는 조조와 훨씬 가까운 편이다. 능력치로 본다면 은사인 채옹보다 약간 떨어지는 편이지만 왕찬 정도의 지력과 정치면 인사, 내정, 외교 등 다방면에 굴리기 적합하다. 물론 무력은 시궁창이고 군사도 아니라서 2만 병력을 보유할 수가 없어서 전쟁에 데려가면 곤란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무력 3/지력 81/정치력 83.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뿐이다.

하지만 혼란을 가지고 있어서 의외로 지력 81과 결합하면 전장에서도 제법 괜찮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무력 4/지력 82/정치력 84/매력 57에 특기는 위압, 명사. 총 2개 뿐.

보통 문관 계열에게 기본적으로 있는 설전 특기는 항변, 반박인데, 왕찬 본인은 특이하게 위압만 있다.

삼국지 11에선 지력 79/정치력 80이지만 특기가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턱에 올리면서 생각에 잠기고 있다. 특유의 진한 콧수염과 나긋한 인상 때문에 김흥국과 닮아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5/3/79/80. 특기는 농업 5, 문화 5, 교섭 6, 언변 2.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교란도발.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 무력 3, 지력 79, 정치 80, 매력 5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9 하락했다. 개성은 시상, 문화, 학자, 허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4,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조식, 진림, 채옹,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50. 왕창

파일:external/kongming.net/250-Wang-Cha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60대인 무력을 제외한 다른 능력치가 70대 후반에서 80대 초반을 오가는 밸런스형 무장으로, 그 중 정치력이 가장 높은 축에 속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63, 지력 70, 정치 83이며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정란, 조영, 덫,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61/지력 70/정치력 83/매력 78로 준수하며 특기는 농업, 치안, 징병, 화시, 진정, 고무, 저지, 반박, 명사. 총 9개다.

아이템으로 본인 저서인 치론(지력+2)을 들고 나와서 실질 지력은 72다.

삼국지 11에서도 능력치가 통솔력 74/무력 64/지력 79/정치력 79/매력 75, 병과 적성은 창병 A/극병 B/노병 A/기병 B/병기 B/수군 C. 특기는 저술한 치론의 내용에 근거해 인정 특기를 받았다.

지력이 전작과 달리 9 상승했는데 삼국지 전 장수 중 능력치 총합 65위에 들 정도로 준수한 편이며,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진양의 재야무장으로 나와서 정원 세력으로 플레이할 경우 학소 등과 함께 중요한 인재로 쓰인다. 친애무장으로는 왕릉과 친구였던 곽혁이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고삐를 쥔 채 오른쪽 손바닥을 펼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4/ 무력 64/ 지력 79/ 정치력 79로 매력이 빠졌을 뿐 능력치가 이전작과 같다. 그리고 본인 저서인 치론(지력+2) 버프로 지력은 81로 올라간다. 전법은 공격약화.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특기가 효율이 떨어져 성능은 떨어졌지만 전작과 마찬가지로 정원 세력의 중요한 인재 중 하나.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2, 농업 2.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창병선동.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64, 지력 79, 정치 80,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후위, 명성, 법률, 농정, 학자,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4, 진형은 어린, 안행, 충차, 전법은 제사, 화시, 저지, 충차, 친애무장은 곽혁, 완적, 왕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151. 왕창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152. 왕충

파일:external/kongming.net/251-Wang-Zhong.jpg
삼국지 8~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2.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최하권에 진입할 정도의 쓰레기적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백하팔인까지는 아니지만 거의 근접하다. 잠혼(7~10) 황호(7~10) 문호(8~11)등과 함께 네 시리즈 연속으로 같은 일러스트를 우려먹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0/지력 33/정치 34/매력 39. 전법은 난격 2이며 무특기.

그나마 이 때의 능력치가 제일 높았다. 유대군에서 군주 빼고 무력이 가장 높다는 이유로 반유대연합군에서 자주 참전하나, 난격은 레벨이 낮으면 위력이 많이 떨어지기에 별반 활약은 못 한다. 유대군의 다른 부하로 교란 3에 열화 3도 있는 원유나 교란 2에 화시 3이 있는 교모가 더 쓰기 좋다. 이들도 다 난격 2는 있는데다 무력도 각각 56, 58로 별로 낮지도 않아, 인간이 유대군을 플레이한다면 당연히 우선순위에서 밀린다. 인공지능이 바보짓하는 것. 분명히 시리즈 통틀어 최강의 왕충 본인인데 이 조차도 다른 장수들에 밀리는 지경이니 왕충이 얼마나 안 좋은 장수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5/무력 58/지력 23/정치력 25. 병법으로는 분전 하나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2/무력 58/지력 21/정치력 29/매력 20으로 역시나 쓰레기. 특기는 회복 단 1개 뿐이지만 무특기는 면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9/무력 57/지력 21/정치력 27/매력 49로 역사를 반영하여 조비의 혐오무장으로 들어가 있다.

의리도 낮은 데다가 조조군 소속이라 쓸모는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불쌍해 보이는 얼굴로 두 손을 가슴에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39/무력 57/지력 21/정치력 27.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이 궁방약화였지만 PK에서 금족으로 변경되었다.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C/궁병 B이며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가난해서 인육을 먹었다는 기록의 반영으로 기호품은 보물이고, 물욕은 탐욕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44, 무력 57, 지력 21, 정치 27, 매력 2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 상승했다. 개성은 절감, 소심, 동요, 단려, 주의는 아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1, 진형은 봉시,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유대, 혐오무장은 누규, 조비다. 의외로 사망년도가 214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53. 왕칙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154. 왕침

파일:external/kongming.net/wangshen.jpg
삼국지 9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7.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 무력 14, 지력 66, 정치 70. 병법으로는 혼란 하나 뿐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간사해 보이는 얼굴로 왼쪽 손가락을 얼굴에 대고 있으며 능력치는 58/14/66/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배나 대폭 상향되었다. 특기는 상업 3, 문화 3, 교섭 2, 견수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기방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8, 무력 14, 지력 66, 정치 70,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배나 대폭 하락했다. 개성은 인맥, 사관, 공명, 주의는 명리, 정책은 묵수연구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혼란, 친애무장은 배수, 사마망, 양호, 왕업, 왕창, 조모, 양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55. 왕평

파일:삼국지3왕평.png
삼국지 3
파일:Wang_Ping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274-Wang-Ping.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6.jpg
삼국지 12, 13
파일:왕평.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통적으로 통솔력, 무력, 지력이 골고루 70 후반~80 초반대인 A급 장수로 나온다. 그리고 왕평 본인이 등장해서 활약하는 시기가 촉나라의 에이스 무장들이 서서히 퇴장할 때라 정사에서처럼 촉나라 후반기에는 능력치 성장 및 관직 보정을 받아서 에이스급 장수로까지 입지가 올라간다.

촉나라군 입장에서 분명히 충신임에도 불구하고 위나라에서 넘어온 배신자라는 이유로 의리가 아주 높게 나오지 않는 피해(?)를 입는다.[61]

삼국지 2에서는 무력 73/지력 49/매력 80의 능력치로 등장했다. 포트레이트가 클론 무장스럽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2/수전지휘 70/무력 72/지력 67/정치력 59/매력 81인데 그저 그렇다.

고유 이미지로 등장하는데 그 이미지가 학소와 비슷하게 생겼다. 코에이 시리즈의 장수 지력이 보통 70대 중반을 넘지 못하는 것과 비교해 곽회와 함께 상당히 높은 지력 수치를 보인다. 장익, 장억, 마충 등의 기타 촉 부장 시리즈들과 비교해 그나마 가장 전투용으로 쓸 만한 정도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7/지력 81/정치력 54. 병법으로는 분투, 연사, 정란, 교사[62]를 가지고 있는 아주 좋은 장수.

정치력이 낮지만 내정을 안 시키면 될 일이고 나머지 능력은 80 근처의 좋은 능력치다. 영웅집결에서는 파서에서 재야 상태로 있기 때문에 유장군은 말할 필요도 없고 인재가 많은 유비군에서도 탐색 1순위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6/지력 76/정치력 56/매력 50의 능력치. 특기는 보수, 치안, 화시, 일제, 진정, 은밀, 저지, 지리, 기염, 역공. 총 10개다.

정치력과 매력이 낮은 편이라 능력치 총합에선 살짝 밀리지만, 전투에서는 돌격이 없다는 걸 제외하면 비슷한 급인 장억, 마충보다 더 좋다. 내정은 보수, 치안 특기가 모두 있어서 전방에서 활용하기 좋다. 그래도 이 시대에 이만한 장수가 별로 없다는 걸 생각하면 좋은 편. 일러스트가 드라마 태조 왕건에 나온 환선길을 닮았다.

삼국지 11에서는 특기는 자신의 상관이었던 서황과 같은 침착. 무력이 79로 상향되고 노병 적성이 S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창을 위로 든 채 위연을 막는 모습인데 생김새나 포즈가 영락없는 흑드라군이다.

통솔력 83/무력 79/지력 76/정치력 58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전법은 창병견수. 지력도 나쁘지 않고 혐오무장이 서황으로 설정되어 있다. 특기는 감시, 보수, 냉정.

삼국지 13에선 통솔력 82/무력 78/지력 74/정치력 58로 전작보다 능력치가 하락했다. 보유 특기는 훈련 6, 순찰 2, 분전 6, 연전 5, 견수 6으로 중신특성은 신중견수이며 전수특기는 견수다. 병과 적성은 창, 궁A, 기병 B.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전법은 전법 포인트 4의 철벽으로 자부대 방어를 3단계(100)로 올려준다.

같은 전법을 가진 다른 장수들의 면면을 보면(조인, 학소, 서성 등) 코에이에서는 분명 나쁜 의도로 준 전법은 아닌 것 같지만 실제 플레이를 해보면 사기 관련 옵션이 없어 협공에 쉽게 녹아내린다. 오리지날 시절에는 익주평정에서 사실 시나리오가 끝이기 때문에 가상이 아니면 플레이할 수 없었으나 DLC인 군신 포위망. PK에서 오로침공전과 승상출사 등 후반기 시나리오가 추가되어서 간신히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PK에서는 가상 시나리오라 그런지 253년 강유북벌에서도 한중에 주둔하는 걸로 등장한다. PK에서 이상위명이 금강불괴인데 NPC가 쓸 수 있는 이상위명 금강불괴 보유자 중에 가장 좋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유일하게 황보숭 만이 왕평과 비등한 능력자이면서 금강불괴 소유자지만 등장시기가 전혀 겹치지 않는다.

삼국지 14에서 일러스트는 왼손을 펼친 채 마속을 말리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9/지력 76/정치력 56/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1,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규율, 독려, 산전, 담력,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어린, 안행, 장사, 전법은 연노, 철벽, 저지, 진정, 친애무장은 구부, 혐오무장은 마속, 서황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강유와 함께 후반기 촉나라를 지탱하는 에이스 중 1명으로 안행 + 규율 + 담력으로 밥값 해주는 무장이며 친애무장이 구부인데는 구부는 보좌가 있어서 사실상 없다고 무방이니 다른 무장들하고 의형제 잘 맺어주는 게 키포인트다.

156. 왕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8.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48/지력 65/정치력 68. 특기는 문화 1, 순찰 2, 교섭 2. 중신특성은 화기생재이고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궁공약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43, 지력 57, 정치 64,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5, 지력이 8, 정치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진흥, 진화, 주란,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김의, 조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57. 왕함

파일:external/kongming.net/wanghan.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8 PK와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6/43/47/58.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뿐이지만 영 좋지 않다.

158. 왕항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반적으로 그저 그런 장수. 후기 장수에게 능력치가 박하다는걸 감안하면 쓸만하다.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6/지력 52/정치력 52. 병법으로는 분전, 고무 뿐이다. 일단 고무가 있으니 쓸 수는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58/지력 53/정치력 69/매력 61. 특기는 보수, 고무. 총 2개.

유비군인 이상 잉여일 뿐이지만 무장이 죽어가면 쓰게 된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76/무력 60/지력 61/정치력 62/매력 65으로 통솔이 많이 상승했다.

많은 인물들이 짤린 삼국지 12에서도 인재가 많은 촉나라라는 패널티를 이겨내고 등장하여 생존하는데 성공한다. 일러스트는 두 주먹을 쥔 채 옹개의 반란군과 맞설 준비를 하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과 같은데 삼국지 후반 인물로 치면 굉장히 쓸 만하다.[63]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주위공격.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60, 지력 61, 정치 62, 매력 6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견뢰,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철벽, 저지, 고무, 친애무장은 여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59. 왕해

파일:왕해(여포).jpg
삼국지 14

삼국지 2, 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 동료 허사는 시나리오 2 이후 등장하지 않는데 혼자서 시나리오 6까지 나온다.

삼국지 14에서의 두 손으로 칙서를 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20, 지력 57, 정치 64, 매력 46이며 개성은 논객, 주의는 예교, 정책은 종횡술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은 허사,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163년, 몰년은 199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어투는 보통남이다.

160. 왕혼

파일:external/kongming.net/265-Wang-Hu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43.jpg
삼국지 12, 13, 14

아버지 왕창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반적으로 아버지보다는 떨어지는 능력치. 무력에선 우위를 점하나 정치, 매력에서 밀린다. 또한 왕준을 모함한 전적 때문인지 왕준보다 능력치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도 행적에 비해서는 매력이 높은 편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7/지력 72/정치력 68. 병법으로는 돌파, 제사, 몽충,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7/지력 72/정치력 74/매력 70으로 특기는 징병, 진정, 혼란, 기합, 삼단, 명사, 제독. 총 7개다.

전 능력치가 70을 넘었고 아버지 따라 명사 특기를 들고 나온다. 오나라 정벌에 공헌한 점을 반영하였는지 제독 특기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외엔 특기가 별 게 없어서 활용도는 미묘. 무력이 77이면 나쁘진 않지만 막상 일기토에 쓰기엔 특기도 2개(기합, 삼단) 밖에 없고, 통솔 75에 무력 77이면 나름대로 준수하지만 전장에서 쓸 특기는 진정, 혼란 밖에 없다. 그나마 매력도 70은 찍어주고 징병 특기가 있으니 징병 셔틀로는 그럭저럭 쓸 만하다.

삼국지 11의 특기는 잉여급으로 불리는 수장이나, 역사 시나리오에서 왕혼이 활약할 무렵엔 오나라 진영에 그만한 능력치를 갖춘 장수들이 거의 없을 테니[64] 수상에서는 무적을 자랑하게 된다.

물론 영웅집결 시나리오 같은 경우는 그냥 그만그만하게 굴릴 만한 장수 수준이지만, 왕창처럼 육성으로 강화시켜 운용하는 재미를 기대할 수 있다.

삼국지 12의 경우 본편에서는 짤렸다가 PK에서 다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면서 깔보고 있다.

근데 지력이 63으로 전작에 비해 너프되고 전법이 좀 약한 기동력약화이라서 좀 밀린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71/63/74. 특기는 상업 2, 순찰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창병속공진.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8, 무력 76, 지력 72, 정치 74,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무력이 5, 지력이 9 상승했다. 개성은 소탕, 수전, 교련,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어린, 안행, 투석, 전법은 분전, 견제, 투석, 구축, 강습,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왕준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61. 왕후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이름이 왕구로 나오며 무력 66, 육지 63으로 인재가 부족한 초반에 무관으로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수준.

162. 요립

파일:external/kongming.net/478-Liao-L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1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제갈량방통과 엮어 칭찬을 했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장송, 방통 급으로 못생긴 일러스트를 가지고 있다. 능력치는 정치만 70대 정도고 나머지는 쓰레기급 문관. 후반기 시나리오에서 실제 역사대로 탄핵되어 재야로 등장하지만 인재 한 명 한 명이 소중한 후반기 시나리오에선 내정요원으로 굴려주자. 삼국지 4편, 삼국지 5편, 삼국지 9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 한글판에서는 유입이라는 이름으로 잘못 표기되었다.

능력치는 뭐 그냥 정치 70대의 흔하디 흔한 잡문관들 중 하나다. 도시개발이나 상업투자 용도로 써주면 아주 좋다. 다른 용도로는 쓰기 곤란하다.

삼국지 6에서는 요입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통솔력 65/무력 41/지력 84/정치 68/매력 47이다.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했던 것을 반영한 건지 뭔지 모르지만 통솔이 65에 지력이 84나 된다. 장수가 모자랄 경우 전투에도 그럭저럭 내보낼 수 있고, 참군으로 활용하여 위보를 걸기에 상당히 좋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19/지력 68/정치력 79/매력 25에 특기는 상업, 반목, 혼란. 총 3개. 상업 셔틀로나 쓰라는 소리.

삼국지 11에서부터 일러스트가 흉측하게 생긴 일러스트로 나오게 된다.

삼국지 12에서는 수고의 마수를 피해가지 못해 입을 벌린 일러스트로 나오면서 오른손을 올리고 있는데 정황상 나만한 인물이 제갈량 다음가는 직위에 있어야 하거늘 왜 이런 낮은 자리에 있어야 하냐며 투덜거리는 일화를 묘사한 걸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15/지력 76/정치력 78에 특기는 경작, 수집, 보수, 변설, 병기로 나름대로 준수한 내정 요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1, 교섭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속공명령이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2, 무력 15, 지력 69, 정치 76, 매력 2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0, 지력이 7,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오만,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왕련, 제갈량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163. 요주

파일:요주.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밝은 얼굴로 두 손을 활짝 펼치고 있으며 정황상 제갈량에게 부름을 받고 그를 찾아와 인재를 추천할 때 모습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 42, 무력 30, 지력 66, 정치 64, 매력 75로 개성은 교화, 안목, 여망,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정란, 전법 역시 정란, 친애무장은 장억,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보좌 개성이 있지만 일기토에 걸리고 방어력, 기동력이 낮은 정란 진형 밖에 없어서 유일하게 보좌 개성 소유자 중 전장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내정용으로 쓰인다.

164. 요화

요화(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65. 우금

우금(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66. 우금

파일:삼국지3우김.png
삼국지 3
파일:Niu_Jin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능력치는 잡무관이지만, 연의에서 립서비스로나마 용장으로 평가했기 때문에 오자양장 우금에 비해 무력만은 높다. 후기작에서는 조금 깎여나가 70대 후반의 무력을 유지 중이지만 그래도 오자양장 우금보단 무력이 근소하게 높게 나오고 있다.

초창기 시리즈에선 오자양장 우금보다 훨씬 뛰어난 맹장으로 등장해왔다. 뇌동, 오란과 비슷하게 한것도 없이 립서비스로 과대평가된 케이스. 무력만으로 따지면 문빙이나 조인 급이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73/수지 70/무력 82/지력 35/정치 21/매력 57/야망 7/운 7/냉정 5/용맹 8이니 오자양장 우금보다 못한 활약의 장수가 능력치는 좋다.

무려 무력을 82까지 찍었는데 장군이 될 수가 있는 능력치다. 오자양장 우금은 장군이 못되는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니 코에이는 더욱 까인다.

삼국지 5에서는 분기, 무쌍을 가지고 있고, 허저와 같이 후반기의 맹장이 된다. 무력은 81로 오장양장 우금보다 2가 높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73/무력 80/지력 42/정치력 46의 능력치로 오자양장 우금보다 무력이 높고 병법으로는 분전, 돌진, 충차를 보유하고 있다.

괜찮은 능력치에 궁합이 24이기 때문에 궁합이 23인 장료서황과 추행진으로 같은 부대에 넣고, 혼란 세팅한 문관 2명을 붙여주면 높은 병법 연쇄를 기반으로 상당한 전투력을 발휘한다. 사실상 우금의 최고 전성기라 볼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9/지력 40/정치력 38/매력 42로 전형적인 멧돼지형. 특기까지 5개(돌격, 저지, 회복, 역공, 나선) 모두 무력 의존이다.

여기서도 오자양장 우금(무력 77)보다 무력 2가 높다.

삼국지 11에서의 특기는 연전이다. 여담으로 이번작까지만 해도 일러스트가 수고처럼 입을 벌린 일러스트로 나왔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도검을 든 채 험상궂은 얼굴로 노려보고 있지만 이번작부터 입을 벌리지 않은 채 이를 갈고 있다.

전법은 잉여인 방어강화지만 드디어 오자양장 우금의 울분을 풀었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9/지력 38/정치력 40이며 중신특성은 없다.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A/궁병 C 이며 전법은 공격강화. 특기는 훈련 2, 순찰 1, 신속 1, 분전 3, 견수 3, 일기 2로 전수특기는 분전이다. 생몰년도가 173~226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79, 지력 40, 정치 38, 매력 42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저돌, 경솔, 주의는 아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분전, 교란, 매성, 친애무장은 조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에 비해 사망년도가 240년으로 변경되었으며 어투가 전작과 마찬가지로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167. 우길

파일:삼국지3우길.png
삼국지 3
파일:于吉.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u_Ji_%28ROTK11%29.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삼국지 3에서는 간길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우(于)와 간(干)이 비슷하게 생겨서 오역한 듯. 나그네로 등용할 수 없다.

삼국지 5에서는 선인 특수무장으로 등장하는데 PK 버전 기준으로 무력 9, 지력 99, 정치력 23, 매력 95로 등장한다.

숨겨진 능력치 점수는 의리 15, 야망 0, 냉정 7, 용맹 0, 선악 능력치는 극선, 궁합 능력치는 49, 수명은 7 만점인 상태로 등장한다. 초기 경험치 능력치가 60000점이고 태평청령도라는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데 효과가 몸이 한 달만에 회복 + 도술 특기가 추가된다. 특기는 도술, 기우, 천변, 점술, 환술, 요술에다가 모든 진형을 전부 다 배우고 등장한다.

삼국지 6에서도 태평청령서를 들고 다니며 어쩌다 군주에게 수여한다.

"무고한 나를 죽이면 필시 재앙을 받을 것이다. 그 녀석처럼."이란 말을 자주 쓴다. 손책을 두고 하는 소리인 듯. 이상하게 손책이 죽은 시점 이후에도 등장한다.

삼국지 7에서는 오에서 플레이 가능한 재야 무장으로 등장한다. 200년 시점에서 75세로 등장하므로 125년생으로 설정되어 있는 듯하다.

200년 이후 시나리오에서는 손책에게 죽은 것을 반영하여 등장하지 않는다. 역시 태평청령서를 들고 나오지만 능력치는 무력 14, 지력 72, 정치 64, 매력 84로 매력을 제외하면 높지 않은 편이다. 특기도 의술과 점복뿐으로 가치는 엄청나긴 하지만 몇 없다. 그러나 명성이 어마어마하게 높아서 도겸이나 유요 등 군주의 수명이 짧고 강동에 자리잡는 세력에 등용된 이후 자주 군주 자리를 이어받는다. 이건 우길뿐만 아니라 삼국지7의 명사 재야들의 공통점.

삼국지 8에서는 NPC로 등장을 하는데 이 번호 시리즈에서 가장 따라다니기 힘든 NPC로 손꼽힌다.

플레이어가 군주로 플레이 할 시 양주 지역을 제패하는 조건만 맞춘다면[65] 우길이 나타나는 이벤트도 있는데. 우길을 참수하면 플레이 중인 군주 장수의 수명 단계가 한 번 줄고 중상을 입으며 살리면 천문 특기를 가르쳐 준다. 이때 우길을 살려주면 수상쩍은 느낌의 BGM[66]에서 가족과 친구의 우정을 나누는 이벤트의 BGM으로 바뀐다. 덤으로 돌아다니는 우길과 친밀도까지 오른다.

삼국지 9에서는 말릉을 탐색하면 이벤트로 나와 태평청령서를 준다.

삼국지 10에서는 대화만 나누는 NPC 캐릭터로 등장하는데 에디터로도 능력치를 알 수 없는 NPC 캐릭터로 등장한다.

131년생으로 나오지만 어차피 특수무장이라 별 의미는 없다. 신선 습득 조건을 갖춘 뒤 우길과 친해지면 신선 특기를 가르쳐주고, 더 이야기하다보면 태평청령서를 준다.

삼국지 11에서도 이벤트 무장으로 등장. 데이터상 능력치는 12/6/66/88/95에 특기는 기원. 성격은 의외로 대담으로 되어있다.

손책 관련 이벤트가 없다면 탐색에서 랜덤하게 나와 금을 요구하는데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 금을 줄 경우 소량의 기교 포인트 획득, 안 줄 경우 탐색을 나간 무장이 우길을 도와주게 돼서 대신 약간의 병사를 얻고, 손책처럼 우길을 죽이면 도시의 치안이 20 떨어지고 탐색을 간 무장이 빈사 상태에 빠진다.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손책이 군주이고 손견이 죽은 상태일 경우 설전 이벤트 캐릭터로 등장한다. 자세한 항목은 손책(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고.

168. 우독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3.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든 도검을 앞으로 내민 채 소리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58/무력 72/지력 17/정치 55. 특기는 연전 3, 공성 1. 전수특기는 연전이며 전법은 창공약화. 음성은 용장. 의외로 잡장치고 정치력이 매우 높다! 장연 세력에게 문관 하나 추가하기 위한 모양이다. 이 정도면 전체적으로 정치력이 낮은 장연 세력에서는 내정중신으로 임명해도 문제가 없을 듯 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72, 지력 44, 정치 10, 매력 28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거의 3배인 27이나 상승한 대신 특히 정치력이 4배 넘는 45씩이나 대폭 하락되어 더 이상 내정관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개성은 저돌, 단려, 적도,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급습, 친애무장은 수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169. 우돌

파일:우돌.jpg
삼국지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6에서는 174년 출생으로 나와 200년의 하북쟁란부터 산월족 소속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도끼 손잡이를 잡은 채 소리치면서 돌격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68, 지력 39, 정치 37, 매력 33이며 개성은 산월, 저돌, 주의는 할거, 정책은 장사강화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대갈, 교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생년은 178년, 몰년은 216년까지 되어있다.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170. 우미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4.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검을 뽑으려는 상태에서 손책에게 맞서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5, 무력 61, 지력 28, 정치 19. 특기는 훈련 1, 견수 3. 전수특기는 견수로 전법은 창방강화. 음성은 책사.

일러스트나 능력치나 좋은 편은 아니다. 생몰년도가 160~194년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반동탁연합군 시나리오까지 회계에서 재야로 등장하는데 문제는 군웅할거 이후 유요군 소속으로 나오지 않고 사망처리 되어있는 데다가 영웅집결에서도 마찬가지로 유요군에 소속되어 있지 않고 회계에서 재야로 등장한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67, 지력 33, 정치 38, 매력 41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6, 무력이 6, 지력이 5, 정치력이 19 상승했는데 특히 통솔력이 거의 3배, 정치력이 거의 2배나 올랐다. 개성은 개수, 공명,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3,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화시, 교란, 친애무장은 번능,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171. 우번

파일:삼국지3우번.png
삼국지 3
파일:Yu_Fan_4_(1MROTK).webp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Yu_Fan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지력, 정치가 80대의 우수한 내정 요원이고 시리즈가 계속되면서 미미하게 상승해왔지만 사람을 잘 까서 그런지 매력은 갈수록 부정적으로 재평가되어 최근작에선 보통 바닥을 친다. 삼국지 5에서는 74였는데 삼국지 10에서는 39, 삼국지 11에서는 46이다. 삼국지 12에서는 매력이 없고 등용 확률이 지력에 영향을 받게 되었는데 지력, 정치는 그대로 80대지만 매력이 복귀된 삼국지 14에서는 43으로 내려갔다.

의술에 능했다는 기록과 화타와 친구 사이였다는 연의에서의 설정 때문에 후기작들에서는 치료계 특기를 가지고 나오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7, 삼국지 9, 삼국지 10, 삼국지 14가 대표적이다. 지력, 정치가 80대로 그쪽 라인에서는 대단히 우수하기 때문에 역시 강동 군소세력인 유요, 엄백호로 플레이할 때도 매우 귀중한 존재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8/지력 76/정치 81/매력 48. 성장경향은 지력과 정치에 보너스를 받는 군사.

특기로는 선동, 고무, 의술, 점술을 가지고 있는데, 숫자는 적지만 의술과 점술이 익히기 어려운 특기라 가치가 있다. 무력도 제법 높아 전장에 데리고 다니기에도 많이 딸리진 않는다. PK에서는 오나라 넷째 전장인 형주탈환전의 플레이어로 출진해서 부사인과 미방을 차례로 설득해 배반시키는 이벤트가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7/무력 48/지력 85/정치력 81. 병법으로는 누선, 투석, 혼란, 배반, 매도에 상기한 대로 치료를 가지고 있어서 무척 유용하다.[67]

가히 전체 삼국지 게임 사상 최강의 우번으로, 우번 하나 덕에 손견, 손책, 손권유비조조를 누르고 최강 세력이 될 수 있을 정도다.[68] 좀비처럼 살아나는 손씨 삼대의 부상병들 앞에선 돌격 연계로 군대를 쓸어버리는 마등도, 공성병기 뺨치는 비사연계의 공손찬도 한수 접어야 한다. 다만 컴퓨터 세력일 경우 돌격이나 비사만큼 활용을 못해서 살짝 체감이 덜되긴 한다. 하지만 수비 상황에서는 출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손권세력과 싸울 경우 투함+치료를 정면으로 깬다는 것은 마치 이민족 성을 정란이나 충차가 아닌 추행진으로 공략하겠다는 것과 같은 급의 망상이다. 다른 내정, 책사들과 달리 우번 본인은 단독 운용이 핵심이다. 쿨타임 15일짜리 치료 병법은 우선순위가 떨어져서 다른 장수들과 묶어 편성할 경우 전투 몇번을 해도 보기 힘든 경우가 많고 써도 쿨타임이 15일이라 많이 못쓰기 때문이다. 적진근처까지 이동한 다음 무장들이 먼저 출병해 싸우고 우번은 어느 정도 전투가 진행되었을때 방원진으로 단독 군세를 이끌고 투입되어 치료만 쓰고 물러나면 된다. 말 그대로 의무부대장. 연이은 대규모 교전으로 부상병이 대량발생 했을때 우번의 단독군세를 투입하면 단숨에 아군 전력을 끌어 올릴 수 있다. 통솔이 너무 낮아 위병이나 적에게 병력이 너무 빠르게 감소되는 게 걸린다면 어차피 발동되지 않을 병법(파괴나 교사)을 넣어준 고통솔 장수랑 같이 편성해주는 것도 괜찮다. 그리고 이번작부터 아들 우사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4/무력 43/지력 86/정치력 81/매력 39. 특기는 농업, 유인, 혼란, 위압, 항변, 반박, 도발, 명사, 제독, 간첩, 의사. 총 11개다.

높은 지력과 정치력에 비해 내정용 특기는 농업 하나 밖에 없지만 위압, 항변, 반박, 도발 특기를 보유하고 있어 설전에선 상당히 강한 편이다. 통솔이 낮아 턴이 자주 오지 않는 것이 아쉽지만, 장각과 더불어 의사 특기를 가진 둘 밖에 없는 사실 무장이라 부상병 치료가 가능하다는 건 상당한 장점이다. 특히 부상병 회복 없이 시가전으로 이어질 때 가치가 빛을 발한다.

삼국지 11에선 특기 풍수를 달고 나왔다. 앞에서와는 달리 상잉여특기 보유자이기 때문에 존재감이 많이 격감했다. 지못미.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턱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나오게 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턱수염을 기른 채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는데 전작과 100만인의 삼국지에서는 딱 봐도 독설가라는 걸 알 수 있으나, 이번작부터 묘하게 살짝 인자해보인다.

전법은 맹사봉인이었으나 PK에서는 전법봉인을 부여받았다! 지력도 86으로 높은 편이라 전법봉인이 오래 지속되기에, 초반에 무력형 장수가 없는 왕랑군에서는 전장에도 자주 나선다. 인맥, 수집이 모두 있어서 구인소에 놓으면 좋다. 군사 특기가 없는 게 옥의 티. 왕랑군에서는 당연히 부동의 에이스이며, 오나라 쪽으로 가더라도 밥값은 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3/46/86/81이며 특기는 상업 2, 문화 6, 설파 5, 교섭 6, 언변 6, 수영 3.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동요. 이번작에서도 내정관으로써 매우 좋다. 상업 2, 문화 6이 있으며, 달변가답게 설파 5, 교섭 6, 언변 6이 있고 지력도 86이라서 군락 회유나 외교에서도 좋다. 여담으로 수영 3 특기도 가지고 있다. 중신특성은 아쉽게도 없긴 하지만.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47, 지력 86, 정치 81, 매력 43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했다.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4, 진형은 안행, 정란, 투석, 친애무장은 공융, 동습, 부사인, 섭우, 육적, 정고, 제갈근, 혐오무장은 미방, 우금이다. 이번 작품에서도 역시 점술, 의술, 학자 PK에서는 추가된 간파 개성에 전법으로 도발, 매성, 치료, 투석, 구축을 달고 나왔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9편과 비교하면 치료의 효과가 낮은 편이라 전장에서 활용할 정도는 아닌 편이지만 왕랑군이라면 결국 쓰게 된다.

172. 우보

파일:external/kongming.net/375-Niu-F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7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보통 동탁의 사위가 아닌 아들로 나온다.

시스템상 사위를 구현하기 어려워서[69] 아들로 설정한 듯하다. 때문에 동탁이 자연사했을 때 동탁의 친동생 동민이 멀쩡히 살아있는데도 우보가 군주 자리를 물려받는 상황이 생긴다. 능력치는 언제나 영 좋지 못한 D급 이하의 장수. 무력 하나만 60대에 다른 능력치는 모두 매우 낮으며, 자신이 격파한 이숙보다도 통솔이 낮을 때가 많다. 그래도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장인 동탁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70]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60/지력 20/정치력 25에 병법으로는 돌파 하나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63/지력 12/정치력 18/매력 27에 특기는 돌격 단 1개 뿐. 지력과 정치력이 전작에 비해 하락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8/무력 60/지력 21/정치력 26/매력 37이고 특기는 없다. 통솔력이 5 하락했지만 지력과 정치력이 약간 상승했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정사의 기록대로 오른손에 도끼를 든 채 허세를 부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일기 3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일기이고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1, 무력 60, 지력 19, 정치 21, 매력 3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상승한 대신 지력이 2, 정치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경솔, 나약, 주의는 아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경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173. 우사

파일:우사.jpg 파일:external/kongming.net/405-Yu-Si.jpg
100만인의 삼국지[71]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왕숙과 더불어 왕랑 세력의 등용 셔틀.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는 삼국지 14에서 유민의 일러스트로 재활용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38/80/72.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투석, 혼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0/33/79/71/72에 특기는 보수, 유인, 항변, 명사. 총 4개다.

후기 장수로 통솔 70이면 전장에서도 굴릴수야 있지만 쓸만한 특기가 없다. 영웅집결에선 장수가 5명 밖에 없는 왕랑군의 귀중한 인재이며, 매력은 왕숙(76) 다음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밝은 얼굴로 왼손을 펼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34/74/71. 특기는 농업 1, 교섭 1, 수영 1.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공격약화. 음성은 정중. 그런데 무력 34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34, 지력 74, 정치 71, 매력 71이며 개성은 명경,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정란, 충차, 전법은 정란, 충차,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74. 우전

파일:external/kongming.net/196-Yu-Qu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정사, 연의에서나 간지 넘치는 모습에 비해 능력치는 낮다. 능력적으로 뛰어난 활약을 한 적도 없고 후반부 인물이라 능력치 책정이 박한 듯.

삼국지 6에서는 활약상과는 다르게 꿈이 '안전'이며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55/지력 41/정치력 40/매력 45.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73/지력 42/정치력 36. 병법으로는 분투, 몽충, 매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몽충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6/지력 42/정치력 37/매력 68. 특기는 돌격, 저지, 역공, 삼단으로 총 4개다.

삼국지 11에서의 특기는 금강이다.

삼국지 12에서는 대전판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최후의 결전을 앞둔 채 오른손에 들고 있는 투구를 집어 던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76/40/39. 특기는 훈련 1, 순찰 2, 연전 2, 일기 1. 전수특기는 순찰이고 전법은 공격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76, 지력 40, 정치 38,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일심, 불굴,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투석, 전법은 돌격, 제사,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175. 원담

파일:삼국지3원담.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209-Yuan-T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2.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분홍색이다.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원소의 아들들 모두 능력치가 좋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낮은 능력치를 가지고 등장한다. 보통 통솔, 무력, 매력은 60 전후, 지력과 정치력은 30 전후.[72] 실제로는 후계 구도에서 배제되었음에도 시스템 상 군주가 사망했을 때 부하 장수 중 무조건 장남이 최우선적으로 세력을 물려받게 되어있는 관계로 원소가 역사 이벤트로 사망하지 않고 자연사하거나 전사, 처형된 경우 원담 본인이 원소군을 그대로 물려받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3에서는 그냥 잉여로 등장한다. 가장 높은 능력치가 무력 58이다.

원상, 원희와는 당연히 비교가 안되는 쓰레기. 거기다 수명도 짧아서[73] 후계자로도 안 좋다. 시나리오 1 에서는 원표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그리고 어째서인지 유비랑 동갑이다[74]

삼국지 4에서도 잡장 취급. 기병 특기가 있기는 하나, 이번작은 기병이 가장 쓸모 없는 시리즈다. 거기다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번역자의 오타로 담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는 능력치가 전해보다 전 능력치가 낮게 나왔다.

통솔력 61/무력 54/지력 44/정치력 59/매력 54[75]로 무력 72를 최고로 높은 능력치로 기록한 동생 원상이나 통솔력 70에 지력과 정치력이 60대로 원가 일원 중 수준급 능력을 자랑하는 원희에 비해서 최고로 높은 능력치가 통솔력 61이라 거의 넘사벽 차이의 잉여력을 자랑한다. 능력치 합도 272로 원소 삼남 중 가장 낮고[76] 특기도 궁장과 화시 등 전투적으로 설정된 주제에 기본적인 능력치가 낮아서 쓸모 없다. 그냥 머리수 채우기로 생각하는 게 편하다. 그래도 정치 59로 원상을 이겼다는 게 위안...이 될까?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3/지력 49/정치력 48/매력 74의 평범한 능력치.

이번작에서 성향이 악인(惡人)으로, 후계자가 되면 주민반란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관도대전 이후 시나리오라면 원소의 죽음은 곧 멸망이다.

삼국지 6에서는 콩가루 집안인 원가의 사정을 반영해서인지 원소의 아들들이 가진 꿈이 모두 최상위의 세 가지로 갈라지는데, 원담은 여기서 왕좌를 가지고 있다.

이는 아무래도 서주에서 개발살난 유비를 원소 진영으로 데리고 온 사람이 원담이었기 때문인 듯하다. 여담으로 원희의 꿈은 할거, 원상은 패권이다. 하북쟁란 시나리오를 실행하면 원소가 종종 자연사하는데 이때 역사와는 다르게 장자인 원담이 100% 뒤를 잇는다. 단 짧은 시나리오에서는 원상과 별개의 세력을 구축한 군주로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원상보다 안 좋은 통솔력 58/무력 70/지력 27/정치력 34. 병법으로는 분전, 충차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68/지력 30/정치력 40/매력 57에 특기는 일제, 회복, 명사. 총 3개 뿐이다.

아버지빨 명사 특기 빼면 그냥 쓰레기다. 원소가 후계자로 내세운 원상과 그 결정에 따른 원희는 원소와 세력상성이 일치하지만 원담은 인정하지 않고 저항했기 때문인지 원소와 세력상성이 크게 차이가 난다. 따라서 원소가 이벤트로 사망하지 않고 전사하거나 해서 장남으로 원담이 대를 이으면 세력상성 차이 때문에 부하들의 충성심 하락폭이 크다. 이래저래 쓸모없는 취급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9/지력 30/정치력 35/매력 59. 이번작까지는 아버지 뻘인 조조보다 삭은 얼굴이긴 해도 그나마 정상인다운 일러스트로 나왔으나 능력치는 여전히 쓰레기다.

원소 사망 시 이벤트 발생이나 원가분열 시나리오에서 군주로 나올 때 도시가 지키기 어려운 평원과 북해에 휘하에는 곽도, 신평, 신비, 왕수 등 문관이 전부로 무관은 본인 하나라 대단치 않은 무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담군 제 1의 무장으로 활약하며 혼자서 일기토로 포로를 잡기 위해 이리뛰고 저리뛰는 원담을 볼 수 있다. 그런 고로 어느 면에서나 동생인 원상보다 암울하다.

일단 원가분열 원담은 3가지 루트로 압축되는데,

첫째는 평원으로 전력 집중, 둘째는 북해로 전력 집중, 셋째는 양평으로 빤스런이 있다. 현실적으로 북해나 평원 둘 다 지키는 것은 어렵고 둘 중 하나를 버리고 거기에 집중해야만 한다. 일단 먼저 평원에 모든 전력을 집중시키는 루트는 시작하자마자 평원에 공방을 짓고 곽도에게 정란을 하나 만들게 시키자. 그리고 북해 병력을 평원으로 옮긴 후[77] 등 인재 확보와 업과의 양면전선을 피하기 위해 남피로 쳐들어가자. 남피에 소재하고 있는 장수는 여광, 여상, 진림, 최염, 진진이 있으나 다섯 모두 원담이 일기토로 상대할 수 있을 정도로 약해 태고대 짓고 일기토로 싹 다 잡아들이면 된다. 특히 여광, 여상 형제는 원담군에 전무한 무관형에 의리도 낮아 잘 배반하므로 적어도 둘 중 하나는 꼭 잡는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와중에 곽도가 정란을 완성하면 곽도도 정란끌고 남피로 쳐들어가면 된다. 남피전투가 끝날 때 쯤이면 업에서 원상이 쳐들어오는데 모든 무장과 물자들을 이끌고 남피로 도망가자.[78]남피에서 전력을 가다듬자. 원상은 조조, 원담 뿐 아니라 공손도도 막아야 해서 각 도시마다 인재가 흩어져 있어 도시마다 방어가 취약하기 때문에 조조가 진양을 침공하기 시작하면 원담은 계와 북평을 단번에 빼앗을수 있다. 그렇게 원상군의 인재를 흡수하고 계와 남피에서 우주방어를 하며 조조군 인재를 빼먹으면 거기서부턴 일사천리. 205년에는 신비의 딸 신헌영까지 합류하니 난이도는 더 하락한다. 북해로의 전력집중은 조조를 상대해야하기 때문에 좋지 않다. 인재 확보차 들를 도시도 없어서 원상보다 진용이 출중한 조조를 원담만으로 막아야 하기 때문에 암울하다. 게다가 평원은 북해와 상당히 멀어 하북수복은 중원을 통일할 때 까지 할 수가 없다. 공손씨 일족을 참살하고 양평으로 건너가는 루트는 당장은 약해빠진 원상이나 상대해서 좋겠지만 양면전쟁을 수행하는 원상은 혼자 조조를 막을 수 없어 금방 조조에게 망하는데 이러면 하북을 먹고 승천하는 조조를 양평, 북평에서 막아야하니 상당히 힘들다. 조조군 장수를 하나씩 흡수하는 것도 이쯤되면 조조가 인심장악을 마스터하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

삼국지 12에서는 영락없는 개그맨 이미지로 나오고야 말았다. 후계자가 원상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오른손으로 주먹을 쥔 상태로 소리치면서 열불내는 장면인데 제 3자가 보기에는 우스운 표정이다. 전법은 무력상승으로 쓰레기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9/지력 30/정치력 35. 특기는 훈련 2, 순찰 1, 공성 2.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기방강화다.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 무력 69, 지력 30, 정치력 37, 매력 59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동원, 분쇄, 공명, 직정,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봉시, 안행, 전법은 분전, 저지, 매성, 친애무장은 원소, 유비, 혐오무장은 원상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76. 원상

원상(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77. 원소

원소(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78. 원술

원술(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79. 원요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Yuanyao-rotx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7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별 거 없는 능력치로 나오며 몰년은 206년으로 설정되어 있다.[79] 그러나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원소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80]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5/52/43/54. 제사와 누선을 가지고 있지만 병법 숙련도는 0.

원술 진영에 몇 없는 제사 보유자라 초반 공성에서는 귀중한 존재.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4/42/45/50/59인데 60넘는 능력치가 하나도 없다. 무특기는 면했으나 유일하게 준 상업 특기도 정치가 50밖에 안 돼서야 제대로 써먹을 수가 없다.

삼국지 11에서는 얼굴도 구리게 나와서 많은 사람들이 여령기를 이놈에게 주어야 한다니 하고 좌절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다행히도 원술에게 여포의 딸을 보내는 이벤트는 나오지 않는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가 탐욕스러운 도련님 같은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으로 옷깃을 잡고 있으며 아버지와 비슷한 캐릭터로 설정한 모양이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1/50/41/51. 병과 적성은 C/C/B로 전법은 기공강화다. 특기는 연전 1 하나만 있고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다. 음성은 보통.

원요가 재야 상태에서 자신의 세력에 여령기가 있다면 그녀가 있던 도시 근처에 은근히 알짱거린다.(...) 부하들이 멋대로 등용하기도 하는데 능력도 구리고 봉록만 처먹으니깐 오면 즉시 추방하거나 죽여주자.[81]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1, 무력 48, 지력 41, 정치 48, 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동원, 탐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수군육성 Lv 1, 진형은 안행, 전법은 화시,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80. 원유

파일:袁遺.jpg 파일:external/kongming.net/211-Yuan-Y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1.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7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냥 B급 문관으로 취급된다. 유대의 세력에 속해 있는데, 사실 역사상으로 알려진 부하가 하나도 없어서 군주로 추가하기에도 애매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연주자사라는 확실한 타이틀을 가진 유대를 제외하면 연주의 나머지 군웅들은 유대와 대립했던 교모도 7편 이후 유대의 부하로 설정될 정도로 배치가 꼬여 있다. 그러나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원소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82]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4/지력 70/정치 73/매력 62. 특기는 첩보, 허보, 고무, 단련.

고만고만한 장수들만 있는 유대군에서 군사 노릇하기에 적합하지만, 192년 PK 추가 시나리오에선 지력이 더 높은 포신에게 밀린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6/지력 70/정치 76/매력 66. 전법은 난격 2, 교란 3, 열화 3, 공성 2. 특기는 지략, 상재, 발명, 허보.

특기나 전법 면에서 유대군의 최고 에이스(?)라고 할 만하다. 정작 컴퓨터는 무력이 제일 높다고 난격 2만 있는 왕충을 반동탁연합군에 주로 내보내지만.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43/지력 71/정치력 76. 병법으로는 분전, 투석, 교사, 고무를 가지고 있다.

계략 방어용인 교사를 가지고 있어서 쓸 만하며 이 정도면 A급은 아니어도 B급 문관은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38/지력 73/정치력 76/매력 69로 특기는 농업, 기술, 징병, 고무, 유인, 반박, 군사, 명사. 총 10개다.

그저 그렇지만 의외로 대접이 좋다. 통솔력이 57로 바닥까진 아닌데 군사 특기를 줬기 때문에 전장에서 다른 쓸모 있는 장수만 있다면 원격 조종으로 굴릴 수 있고, 내정쪽으로는 농업, 기술 특기가 유용하다. 유대군에 집어 넣었기 때문에 밸런스를 위해 군사 특기를 준 듯하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56/무력 40/지력 73/정치 76/매력 70에 특기는 지도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칙서를 펼쳐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40/지력 73/정치력 76. 특기는 농업 2, 문화 3, 교섭 1.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화공계. 음성은 정중.

전법이 꽤나 쓸만하기 때문에 유대군으로 한다면 전장에 반드시 나가야 한다.[83] 원술의 유일한 인연무장으로 등장하는데 당연히 1단계 형제. 정사에서 원술의 공격을 받고 도망치다가 군사들에게 살해되었는데 어째선지 비자연사 판정이 아닌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정중 음성 무장 중 생년이 가장 이른 인물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39, 지력 73, 정치 76,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문화, 우유,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81. 원윤

파일:삼국지3원윤.png
삼국지 3
파일:Yuan_Yin_(ROTK11).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의나 정사에서나 별 거 한 일도 없으면서 옥새를 가지고 있던 인물이라는 점으로 등장한다. 원술군 진영에서는 원술, 기령, 장훈, 뇌박과 함께 전 시리즈 개근 중이다. 원술군 진영은 이 5장수를 베이스로 해서 양홍, 염상, 원요, 진란, 양강, 한윤, 악취, 이풍, 교유 등이 B~C급 무장 퀄리티로 끼었다 빠졌다를 반복하는 중.

대부분 별볼일 없는 잡문관으로 살지만 원술군이 멸망하지 않고 오래 버티는 상황에서는 원술과 원술의 아들 원요가 죽은 뒤에 원술의 유일한 친족으로서 세력을 물려받아 군주가 되기도 한다. 초기 시리즈에서는 유표의 아들들인 유기유종이랑 엇비슷한 능력치였지만 삼국지 9를 기점으로 하여 능력치가 상당히 떨어지면서 이들보다도 못한 문관이 되버렸다. 그러나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원소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84]

삼국지 5에서는 원술로 플레이를 시작할 때 참모로 나오는데 능력치도 구려서 참모로써의 역할을 도저히 하지 못하고 인재 등용이나 동맹과 갖은 외교를 할 때도 안될 때도 맞는 말을 해대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유종이랑 비슷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서 애매한 정치력으로 인사 담당이나 외교 담당도 못한다. 그래서 원술로 쉽게 풀어가려면 높은 지력을 가진 군사를 가져와야 한다.

삼국지 9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7/18/42/43이고 가진 병법이 하나도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6/15/39/45/43으로 50조차 넘는 능력치가 하나도 없고 특기는 농업 단 1개 밖에 없지만 정치가 45라 있으나 없으나 그게 그거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7/14/39/41/46이며 병과 적성은 올 C에 무 특기다. 특이하게도 일러스트가 콧수염을 단 모습으로 나왔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모습을 일부 반영하여 환관스러운 모습과 두 손으로 옥새를 든 채 튀고 있다. 능력치는 원술 쪽에서도 특히 구리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2/14/39/41이며 병과 적성은 올 C에 중신특성도 없고 특기도 상업 1 단 하나 뿐이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상업이고 전법은 궁속강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14, 지력 39, 정치 41, 매력 4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우유, 나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1, 진형은 학익,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182. 원춘경

파일:원춘경.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주먹을 반대편 손으로 감싼 채 원소의 명을 받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45, 지력 43, 정치 41, 매력 42이다. 개성은 동원, 주의는 할거, 정책은 방원강화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183. 원환

파일:external/san.nobuwiki.org/787.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에서 복귀했는데 165년 출생에 225년 사망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조조가 죽기 전에 죽은 상태인데다가 조조의 사망년이 220년이므로 명백한 고증오류. 또한 친애무장 설정은 조조와 유비 양쪽 다 없다. 예주 진국 부락현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허창이 아닌 여남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역시 마찬가지로 고증오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0/무력 17/지력 72/정치력 83/매력 83이며 특기 규율을 가지고 있는 뛰어난 문관이다.

조조 수하라면 가치는 좀 떨어지지만 원술이나 여포군에 소속된 시나리오라면 저 두 세력에 부족한 내정관을 메워주는 소중한 장수다. 덤으로 의리 최고에 야망 최저라 배신도 잘 안 한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칙서를 든 채 오른손으로 턱수염을 만지고 있으며 능력치는 삼국지 11 때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다. 농업 3, 설파 4에 전수특기는 설파이고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0, 무력 17, 지력 72, 정치력 83, 매력 83이며 개성은 태연, 교화,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4다.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고무, 치료, 진정, 친애무장은 허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들과 달리 고증대로 사망년도가 219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84. 원희

파일:삼국지3원희.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215-Yuan-X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원소의 아들들 중에서는 압도적으로 높은 능력치 총합을 자랑한다. 기록상으로 볼 때 실제로는 원소의 아들들 중에서 가장 무능했을 인물인데 원담, 원상이 워낙 막장이미지로 굳어져서인지 그 반대급부로 존재감이 없는 원희가 상대적으로 이득을 보는 구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래봐야 원담, 원상이 D급 무장이라면 원희가 B급도 못되는 C급 무장 수준이라는게 문제이지만... 게다가 삼국지 11에서는 원소군에서 얼마 되지 않는 특기 보유자. 비록 쓰레기 특기인 친오를 갖고 있지만.

삼국지 11삼국지 12의 원희 열전칸 史 란에서는 '답돈은 특히 원희를 도왔다.'고 써져 있다. 코에이는 원희에게 친오 특기가 배정된 근거로 내놓고 있는 것 같지만, <무제기>에서는 원소가 답돈을 특히 후대했기에 오환이 도왔다고 적혀 있고, 다른 어떤 기록을 살펴봐도 오환과 원소와의 밀접성을 언급할 뿐 원희가 주체로 서술된 기록은 없다. 잘 해봐야 원희가 유주자사였다는 정황에 근거한 추론으로 보이나, 직접적인 증거도 없는 데다 상술되었듯 원희가 유주를 통치한 정황이 워낙 개판이라 이 또한 비판받는 부분.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는 원소의 삼남 중 그나마 고능력치를 자랑하는 인물로 나왔다.

통솔력 70/무력 54/지력 65/정치력 64/매력 53이라는 원가일원 중 희대의 능력치가 돋보인다. 단, 장특기가 하나도 없어서 병과를 제대로 활용 못하는 것은 당연지사. 그나마 계략이 많으니[85] 머리가 나쁘지만 엄청 잘싸우는 안량이나 문추의 부장으로 둬서 공손찬군의 찌꺼기들한테 계략을 걸어보자.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0/지력 68/정치력 64/매력 73으로 C급 문관이지만 이번작에서 성향이 선인이다.

부인이 유명한 견씨라서 형제 중 유일하게 이득을 본 듯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55/지력 64/정치력 72.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조영을 가지고 있으며 무력을 제외한 다른 능력은 원상, 원담보다 높다.

정치력이 72라 주로 내정을 하게 될 듯.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원상, 원담에 비하면 낫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격 69/무력 54/지력 68/정치력 70/매력 66에 특기는 4개 뿐이지만(화시, 진정, 반목, 명사) 그 중 하나가 그나마 '명사'다.

부인인 견씨가 등장하는데 시나리오 4에서만 원희의 부인으로 설정되어 있다. 조비로 플레이한다면 업을 점령 시에 견씨를 강탈하는 이벤트가 존재한다.[86] 원담, 원상의 성격은 ‘저돌’로 설정되어 있어서 적의 계략에 속절없이 당하는 반면, 원희는 ‘소심’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그나마 형제들에 비해 계략에도 잘 버티는 편이고 세력 상성도 아버지와 크게 다른 원담과는 달리 일치하기 때문에 원소의 후계를 잇는다면 원희가 가장 낫다고 볼수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51/지력 63/정치력 65/매력 64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얼굴에 대면서 뭔가 고뇌하는 듯한 모습인데 형과 아우의 일러스트에 비하면 그나마 낫다. 전법은 사정약화.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문화 1(견씨 인연 효과), 견수 1. 전수특기는 견수이며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책사. 그런데 무력 51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51, 지력 68, 정치 65, 매력 63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5 상승했다. 개성은 친오, 동원, 절감, 소심,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연노, 치료, 정란, 친애무장은 견씨, 혐오무장은 자기 아내를 뺏은 조비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85. 월길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07.jpg
삼국지 12, 13, 14
파일:31272c36885db44dff0475bdb9c68cc5.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0편, 삼국지 11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8에서는 그냥 잡장급 스탯이다. 전술 시뮬레이션 모드의 기산 전투에 등장하며, 11턴이 되면 서강의 정예부대가 위국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서 왔다고 등장한다. 관흥으로 월길 부대가 있는 시야에 접근하면 월길 본인이 관흥에게 일기토를 신청해서 관흥에게 죽는다.

삼국지 12에서의 말을 타고 철추 2개를 든 채 소리치고 있으며 통솔력 81/무력 88(템빨로 +3이 되어 91)/지력 26/정치력 35, 특기는 연병, 일기. 가상 이민족 장수치고는 능력치가 좋다.

비록 연의에서 자기를 죽인 관흥보다 무력이 낮지만, 이건 관흥이 청룡언월도빨을 받았기 때문이고, 템빨을 빼면 관흥의 무력이 86으로 월길이 더 높다. 전법은 용맹과감이지만, 용맹과감의 효과가 그리 좋은 편이 아니고 지력도 낮아서 좀 약하다. 다른 강족들처럼 철벽돌격이었으면 최고였을 텐데 아쉽다. 그래도 특기로 호걸을 가지고 있어서 어중이떠중이 기병들보다는 차라리 월길 본인이 낫다. 병격 시 기병 기본 병격인 돌격 대신 저강족 고유 병격인 난돌(혼란은 덤)이 발생하며, 무력과 파괴력이 상승하는 용맹과감을 사용한 상태라면 무력 100을 가뿐히 넘기고 연격 추가타까지 발생해 제법 짭짤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8/88/26/35로 통솔력이 전작에 비해 3 하락했다. 특기는 훈련 3, 신속 4, 일기 3.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전법이 기공강화였지만 PK에서 강족답게 저강철벽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무례.

능력치가 너프되도 통솔이 70대 후반, 무력이 보물을 포함해서 90대라는 문앙급 능력치를 자랑한다. 주요 활약대인 제갈량의 북벌 때는 통무로 이놈일 이길 사람이 위나라나 촉나라에서는 세손가락, 오나라에서는 아예 전무한 수준이라 거의 A+급 명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 녀석의 강력함은 촉나라로 플레이해서 이 녀석을 낚아채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데 곽회, 하후패, 문흠, 손례, 왕준 같은 위의 중견급 무장을 탈탈 털어먹고 장합, 서황, 등애 같은 위나라의 오자양장급 명장들과 대등하게 싸우는 모습을 보면 호러가 따로없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82, 지력 16, 정치 20, 매력 2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0, 무력이 6, 정치력이 15 하락했다. 개성은 강저, 저돌,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급습, 대갈, 친애무장은 아단, 철리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패도에서 SSR 등급의 무장으로 등장하며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1/88/34/35/38이다.

186. 위강

파일:위강.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3에 등장하고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이야기를 하려 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37, 지력 60, 정치 72, 매력 79다. 개성은 교화, 안목,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연노, 고무, 친애무장은 공융, 양부, 염온, 혐오무장은 마초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68년으로 되어있다.

PK에서 새로 추가된 금마초비상 시나리오에선 군주로 등장하는데, 마초 세력에 둘러싸여 있다. 마초가 워낙 강한 시나리오라 장수의 질은 괜찮지만 난이도가 높다.

187. 위관

파일:external/kongming.net/223-Wei-Guan.jpg
삼국지 8,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등애의 보복이 두려워서 그를 죽였다는 두예가 쓴 기록 때문에 매력이 매우 낮다. 지력, 정치력은 훌륭한 편이나 통솔력은 조금 어정쩡해서 전장에 내보내기엔 미묘하다. 장군직을 지냈다지만 분명한 글씨로 이름을 날린 문인 출신이고 뒷날 서진에서 꽤 출세해서 재상급 인사까지 된 인물인데 일러스트는 장군처럼 그려졌다.

삼국지 8 PK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46/지력 82/정치력 79/매력 42 어중간한 인재이지만 교란 3, 기습 5, 낙석 3, 공성 3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교란과 기습은 가장 좋은 전법이고 범용성이 좋아 위관에게 적절하다. 더블어 등장시기가 늦지만 수명이 길어서 수련을 어느 정도 할 수가 있고 특기에 반계, 혼란, 정찰을 가지고 있다. 그야말로 장특과 함께 리즈시절이다. 기습 5는 등애와 종회, 강유를 기습해 죽인 걸 반영한 것.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53/지력 81/정치력 79로 후반기치고 높게 나온다.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45/지력 81/정치력 78/매력 37에 특기는 상업, 화시, 진정, 반목, 위압, 명사로 총 6개다.

통솔력이 어정쩡한 69에 무력이 낮지만 지력이 80을 넘기 때문에 전장에서 아예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다. 내정 특기로 농업이 있는데 정치력이 78로 괜찮은 편이라 특기를 살릴 수도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46/지력 79/정치력 78/매력 28에 병종 적성(노병, 병기 A)도 등장 시기를 감안하면 야전용으로 쓰기에 그리 나쁘지 않다.

오나라 진영인 반장, 마충을 제외한 포박 특기의 소유자로 등장. 포박이 워낙 사기인 데다 가뜩이나 장수가 없는 후기 삼국지에서 그나마 있는 장수들까지 강탈해가는 사기성 짙은 장수지만 너무 후반에 나오기 때문에 마충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다. 영웅집결에서는 종회군 소속으로 나온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올리면서 등애를 주살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있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능력치는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졌다. 전법이 영 좋지 않은 궁공격강화라서 시장의 가증해결원로 쓰이게 되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가 전작까지는 제법 멋있는데 이번작부터 완전히 추남이 되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2, 설파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궁병속공진. 음성은 책사. 그런데 무력 45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45, 지력 79, 정치 86, 매력 32이며 개성은 포박, 진흥, 법률, 문화, 주의는 명리, 정책은 화계연구 Lv 4, 진형은 안행, 정란, 투석, 전법은 연노, 진정, 정란, 투석, 친애무장은 사마염, 혐오무장은 등애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책사남이다.

서진의 대표적인 명신이였던 점을 감안해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78에서 무려 86으로 8씩이나 대폭 상향 받았다. 매력은 28에서 32로 소폭 상향된 대신 무력이 1 떨어졌다. 장수 개성으로는 위관 본인을 대표하는 포박은 물론이거니와 진흥, 법률, 문화 같은 내정 개성을 부여받아 말 그대로 삼국지 후반기 내정 에이스급으로 쓸 수 있게 되었다.

188. 위막

파일:external/kongming.net/377-Wei-Miao.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8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연의에서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암울한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62/57/55.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충차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8/62/60/56/65에 특기는 치안, 간첩. 총 2개 뿐.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창을 든 채 매서운 눈빛으로 째려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62/57/54. 특기는 훈련 1, 분전 1. 전수특기는 분전이고 전법은 창방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62, 지력 59, 정치 54, 매력 6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신중, 주의는 왕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혼란, 친애무장은 손휴, 혐오무장은 손침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89. 위소

파일:external/kongming.net/180-Wei-Zhao.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내정용 문관.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8/무력 17/지력 68/정치력 74.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을 가지고 있으며 박혁론의 정치력 보정 +3을 받아 실질 정치력은 77.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8/무력 20/지력 68/정치력 73/매력 68의 평범한 문관형. 특기가 상업 단 1개 밖에 없다.

진수처럼 지리 특기가 없으므로 사서 편찬 엔딩을 보려면 지리를 배워야 한다. 특이점으로는 본인이 저술한 박혁론(지력 +2)을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 지력은 70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19/지력 65/정치력 73/매력 70으로 평범한 문관형. 수명은 길기 때문에 발전시킬 여지는 있으나 애매한 인상이 남는다.

삼국지 12에서는 대전판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가 오른손에 자신의 저서인 박혁론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1, 설파 1.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소침공작.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6, 무력 20, 지력 65, 정치 73,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문화, 사관,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장온, 화핵, 혐오무장은 손소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90. 위속

파일:Wei_Xu_(ROTK10).png 파일:Wei_Xu_(ROTK11).png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초기작에 비중없는 능력치로 여포군에서 장료, 고순, 장패에게 밀리는 실정였다가 10편부터 무력이 70대 후반으로 올라가서 최소 2류 무장형 스탯으로 상향받았다. 이는 여포의 사촌에다가 안량과 싸우다가 죽었기 때문. 무장의 양과 질이 굉장히 안 좋은 여포 진영에 있기 때문에 은근히 쓰인다. 사실 성능보다는 낮은 의리치 때문에 전장에서 쓰기 불안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75/29/35. 병법으로는 돌진과 충차 밖에 없지만 돌진 덕에 쓰는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0/79/27/33/31이며 특기는 훈련, 화시, 기합, 반격.총 4개다.

볼 거 없는 능력치지만 3인방 중 무력은 제일 높으며 통솔이 70이라 그나마 훈련 특기는 쓸모가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7/78/31/32/39이며 여전히 3인방 중 무력이 가장 높다.

동급 무장 중에서는 무력이 높은 편에 속하므로 송헌, 후성과의 친애 관계를 살리면 활용할 길은 있다.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수염을 기르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삼국지 6 시절로 회귀했는데 오른손에 창을 든 채 왼손을 올리면서 자랑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7/78/31/32. 병과는 창병에 창군병격이라는 전법을 들고 나왔지만 여포군은 거의 기병 위주다 보니... 게다가 군사인 진궁이 전군병격을 들고 있다. 눈물. 그나마 특기는 연병, 공성, 병기로 제법 되는 편이라 기병 중심인 여포군으로 공성전을 할 시에는 중요하게 쓰인다. PK에선 하비에서 대순을 제조할 수 있으니 활용도가 조금 올라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연전 1로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전법은 공격지휘라서 이번작에서는 송헌, 후성보다 그나마 쓸만하다. 병종 적성은 창병 B, 기병 A, 궁병 C이나 기병은 S가 된다. 그런데 어째선지음성이 일러스트와 맞지 않게 노장으로 들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78, 지력 31, 정치 32, 매력 40이며 개성은 교련, 주의는 할거, 정책은 운반개발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급습, 교란, 친애무장은 송헌, 후성,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91. 위연

위연(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92. 위월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88.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검을 든 상태에서 주먹을 쥔 채 소리치고 있다.

처음 나왔을 때의 능력치나 특기는 형편없었으나 PK 1.0.2.0 패치에서 PK추가 무장들 상향으로 인하여 팔건장의 일원 정도로 강해졌다.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6/지력 39/정치력 26이며 훈련 2, 신속 3, 분전 3, 연전 4를 보유하고 있어 꽤나 쓸만하다. 능력치와 특기가 준수한 편이니 부장으로 넣어서 써주면 편리하다. 전수특기는 연전으로 전법은 기병돌격이다. 음성은 용장. 생몰년도가 165~196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77, 지력 34, 정치 20, 매력 32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지력이 5, 정치력이 6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분쇄, 저돌,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87]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경파, 친애무장은 성렴, 여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사망년도가 198년으로 변경되었고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장남이다.

193. 위유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3.jpg
삼국지 12, 13, 14

주군인 유우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유우군의 가장 믿을 만한 지력 70대의 책사로 등장. 위유 본인만 믿고 유우군을 플레이해야 한다. 하지만 장양, 정원군은 어떻게든 할 수 있다고 쳐도 공손찬군에는 전예가 있고 원소 진영에는 저수, 전풍, 심배, 봉기, 곽도, 심지어 허유에게조차 밀리는 능력치를 가지고 있는데 도저히 답이 없다.

삼국지 7부터 삼국지 10까지 같은 일러스트를 우려먹었는데 연한 연두색 관복을 입은 모습이었지만 특이하게도 삼국지 11에서만 다른 사람으로 그려졌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30/지력 73/정치력 75. 병법으로는 기사, 정란, 혼란을 가지고 있다.

비록 기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무력도 병법 숙련도도 낮아서 있으나 마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3/무력 28/지력 77/정치력 73/매력 66에 특기는 4개 밖에 없지만(농업, 유인, 혼란, 군사) 유우군의 유일한 군사 특기 보유자다.

물론 지력이 70대에 통솔이 33밖에 안 되는지라 사기캐까진 아니지만... 내정쪽으론 농업 특기가 있어 농업 셔틀로 굴릴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아 위로 올리면서 소리를 치고 있는데 삼국지 7부터 삼국지 10까지 사용했었던 일러스트로 다시 돌아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6/29/74/74. 특기는 농업 2, 설파 2.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전장에서 쓸만한 속공지휘.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5, 무력 28, 지력 73, 정치 73,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 무력, 지력, 정치력이 모두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신중, 교화,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업화, 고무,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지만 보좌 개성 덕분에 전장에 자주 나간다.

194. 위자

파일:위자.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황권을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38, 지력 62, 정치 73, 매력 71이다. 개성은 명성, 모집, 부호, 절감,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세출개선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치료, 친애무장은 조조,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5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모두 내정용 개성이라 땅 색칠하기, 병사 모으기 등 다방면에 쓰인다.

195. 위진

파일:위진.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아버지 위자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쪽 손가락을 얼굴에 댄 채 고심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33, 무력 26, 지력 81, 정치 72, 매력 68이다. 개성은 절약, 독려,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공법개혁 Lv 4,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고무,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196. 위풍

파일:external/kongming.net/378-Wei-Fe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2.jpg
삼국지 13, 삼국지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에서 복귀했다.

삼국지 11에서 이 사람의 특기는 위풍 문서의 1.1번이 아니라 명성이다. 헷갈리지 말자.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23/지력 72/정치력 78/매력 86으로 매력이 높은 문관형.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진의와 공모하기 위해 두 손을 올리면서 이야기를 하려하고 있다.

매력만 삭제된 상태에서 삼국지 11과 동일한 능력치. 특기는 문화 2, 설파 8, 교섭 6, 언변 6.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창공강화다. 음성은 책사. 설파가 높으니 취락 포섭에나 쓰면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2, 무력 23, 지력 71, 정치 69,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정치력, 매력이 9 하락했다. 개성은 선동, 명성, 인맥, 오만,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혼란, 도발, 투석, 친애무장은 종요,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197. 유괴

파일:external/kongming.net/497-Liu-Gu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유장군의 부장스러운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유비군에 맞서 끝까지 저항하려 했으나 싸워보지도 못한 채 부하에게 죽임을 당했고 기록도 적어서 능력치는 평균적으로 어중간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4/지력 50/정치력 43으로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매도를 가지고 있다.

지력은 낮지만 이번작 시스템상 극복할 수 있고, 분전만 있고 분투가 없는 게 조금 아쉬우나 연사가 있어서 부장으로 그럭저럭 써먹을 수 있는 장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2/지력 66/정치력 49/매력 63에 특기는 보수, 화시, 고무, 반격, 나선. 총 5개.

유장군축에서도 좋다고 말하긴 애매하나, 그래도 양회, 고패보다는 낫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팔짱을 낀 채 입을 삐쭉거리고 있는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측은 낙성이 완전히 포위당하고 항복 권유를 받자 들은 척도 안 하겠다는 의사를 겉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3/지력 67/정치력 44에 전방어강화라는 매우 좋은 전법을 부여받았다. 지력도 낮은 편이 아니라서 지속 시간도 괜찮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으로 전법은 소침공작이다.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72, 지력 66, 정치 44, 매력 6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견뢰, 주의는 할거,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연노, 철벽, 매성, 친애무장은 유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198. 유기

파일:삼국지3유기.png
삼국지 3
파일:Liu_Qi_(ROTK9).png 파일:Liu_Qi_(ROTK11).png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조조에게 개돼지라며 폄하받은 걸 반영해서 정치력과 매력이 70대 초반인 평범한 C급 문관으로 등장한다. 특히 무력은 병약했던 점을 반영하여 10 내외인 게 보통. 황조 사후 강하를 지킨 것을 반영해 통솔도 40~50 정도에 수군 관련 능력치도 있는 경우가 많지만 무력이 저래선 구색맞추기에 불과하다. 그래도 유표에게 보여준 효심과 유비와의 의리를 지킨 것 덕분에 이복동생 유종보다는 나은 능력치와 의리를 받고 있다. 하지만 병약한데다가 일찍 병사했다는 점을 반영해서 수명이 굉장히 짧다. 어떻게든 써먹어보려고 해도 금방 죽는다.

일러스트는 대대로 어려보이면서도 선한 얼굴로 나오며 초기 시리즈에서는 아버지인 유표나 동생인 유종이랑 상성이 같았지만 유비에게 가담을 한 것을 반영하여 후기 시리즈에서는 유비와 가까운 상성으로 나온다.

삼국지 1에서는 능력치 배분이 엉망이긴 했지만 유기 본인 역시 지력 92에 달하는 특급 문관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지력 75/정치 64/매력 75로 종요와 함께 한 자릿수 무력에 있을 정도로 굉장히 허접한 무력을 가지고 있지만 지력이 75라서 역대 시리즈 중에서는 꽤나 높은 수치다.

아버지인 유표가 죽을 경우 유종과 함께 군주를 계승받지만 군주빨로 2만 병력을 끌고 나와도 워낙 무력이 허접해서 별로 위협이 되지 않는다. 그나마 인사 담당이나 외교 담당으로는 그리 나쁘지는 않고 내정으로 굴리기에도 괜찮아서 전체적으로 본다면 종요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다만 유표군에서 군주를 계승받고 전투에 나설 수가 있기 때문에 군주를 계승받을 일이 없는 종요보다 나은 점은 있다. 진형은 기형과 수진으로 수상전에 뛰어났던만큼 수진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10/지력 56/정치력 72으로 전형적인 내정용 문관. 병법으로는 투함, 정란, 배반이 있다.

하지만 수군 최강 병법인 투함이 있어서 투함 띄우는 용도로 쓰이는데 투함이 워낙 좋아 수상전에는 쓸 만하다. 역대 시리즈 중에서도 그나마 유기의 전성기인 시리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1/무력 9/지력 54/정치력 73/매력 73에 특기는 상업, 명사, 제독. 총 3개.

명사 특기가 있어서 어느 세력이든 고용만 해놓고 방치해도 밥값은 하며 정치력은 괜찮아서 내정 셔틀로 쓸만하다. 통무지가 암울한데다 본작은 수전의 비중도 적어서 전투용으로는 폐급.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2/12/62/71/73. 특기는 없고 강하를 지킨 것을 반영해 수군 적성 A를 갖고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연의에서 적벽 대전 이후에 병에 걸려 쇠약해진 상태로 나온 점을 반영해서인지 일러스트마저 다 죽어가는 모습으로 나왔는데 손으로 입을 가린 채 기침을 하고 있다.

하지만 유기가 병약한 체질이라는 기록은 없고 그저 단명한 걸로 병약한 걸로 묘사한다면 단명의 저주로 유명한 오나라 측 다수의 무장들이 병약하다는 논리가 되기에[88] 유기의 모습을 병약하게 묘사한건 지나친 면이 있다. 전법은 전방어강화로 유기치고는 좋은 전법이기는 한데 유기의 전투 능력치가 매우 좋지 않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2/12/63/71. 특기는 상업 3, 문화 3, 교섭 2, 수영 3.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공격약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10, 지력 62, 정치 71,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 무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개수, 소욕, 허약,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연노, 시람, 친애무장은 유비, 혐오무장은 유종이나 채모 일족이 있을 법 한데 의외로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99. 유기

파일:유기(경여).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을 펼친 채 오른손을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33, 무력 35, 지력 60, 정치력 69, 매력 79다. 개성은 명성, 교화, 소욕,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세출개선 Lv 3, 진형은 방원, 투석, 전법은 구축, 친애무장은 손권, 장온,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200. 유대

유대(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01. 유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7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초기 시나리오에선 재야, 이후 유표조조 수하로 나오며 207년 시나리오에선 보통 다른 형주 4군 태수들처럼 독립한 세력으로도 있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난이도 역시 황충, 위연, 한호가 있는 한현을 뺀 나머지 2명과 비슷한 정도. 그나마 형도영이 황충, 위연을 제외하곤 그나마 가장 전투 능력이 낫고, A급 인재인 장완이 재야로 있는 경우가 많아 조범, 김선보다는 조금 나은 편.

능력치는 처참하게 통솔력 2~30대 전후, 무력 20대. 정치력은 내정 셔틀 써먹을 정도로 5~60대로 고만고만한 문관. 지력은 4~50대 가량으로 측정되어 나온다. 전선에 보낼 필요는 없고 후방에서 부려 먹어주면 평생 고생할 일이 없다. 어중간한 의리치, 매우 낮은 야망 수순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신이 섬기는 세력이 강대해서 내정 셔틀로 써먹을 만하면 평생 눌러앉는 타입이라 전투에는 젬병이다. 형남 4군 군주들 도중에는 가장 비중이 적어서 그런지 아예 F4급에 속하는 한현 다음으로 능력치가 안 좋다.

AI가 할때에는 조범이랑 투닥거리다 김선이 막타쳐서 멸망한다. 유도 본인이 조범이랑 싸워서 이기는 것은 손에 꼽을 정도.

삼국지 2에서는 23국의 군주로 나온다. 유장과 인접하지 않으면 조범이나 한현과 투탁 거리게 되지만, 조범이 손권에게 밀리면 앞날은 예측 할 수 없다.

삼국지 3은 형도영에게 모든 걸 걸어야 할 정도로 암울하다.

다행히 김선의 세력이 엄청 약한 데다가 공지는 문관이므로 무릉부터 제압하면 앞길이 열릴 수도 있다. 군주 중에서는 조범과 단 둘이서만 범용얼굴이다.

삼국지 4도 형도영의 활약을 기대해야 하지만 조범과는 달리 칠 만한 데가 없다.

상성이 원소/손권이라서 동맹은 좀 편하다. 이번작에서는 조범군에 진응이 빠졌기 때문에 할 만하다.

삼국지 5는 단연 형도영이 톱이다. 유현이나 유도 본인이나 합쳐봐야 형도영의 무력에 반도 못 미치므로. 형도영을 전술적으로 써먹는 요령이 필요하다.

삼국지 6은 종속상황부터 시작하기에 더더욱 답답하다.

형도영의 꿈이 출세인데 군주와 꿈이 안 맞아서 불만 달래기가 쉽지 않다. 의외로 유도의 꿈이 재간이라 큰 마찰거리가 없다는 것이 강점이자 특징. 한현, 조범이 유지. 김선이 할거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의외로 할 만하다.

삼국지 7에서는 유표군의 무릉태수로 나온다. 공적도 별 볼 일 없지만 태수부터 시작하므로 난이도는 의외로 낮다.

삼국지 8에서는 농업 특기와 교란 1을 가지고 시작한다.

군주가 아닌 태수로 시작하기 때문에 초반부터 군주와 투탁거릴 일이 없다. 술 먹이고 의형제 신공을 쌓다보면 먼 치킨이 될 수도 있다. 208년 시작 시에는 군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형도영의 돌격 3을 자주 이용해주면 답이 나올 수도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1/25/29/47. 병법으로는 몽충과 조영 뿐이며 내정도 못 시키는 쓰레기. 몽충 셔틀이나 시키자.

영릉 지역의 재야 장수도 영웅집결 기준으로 유파 뿐이라 난감하다. 어떻게든 재야 장수라도 뛰어난 무릉의 김선을 합병해야 그나마 살길이 보인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5/무력 15/지력 23/정치력 51/매력 52로 좋지 않다. 유일하게 준 특기라곤 농업인데, 정치력이 51뿐이라 별로 효과가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5/무력 23/지력 26/정치력 49/매력 53.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내려갔지만 무력이 8, 지력이 3, 매력이 1 올랐다.

사실 시나리오와 영웅집결 모두 영릉에는 장완이라는 A급 인재가 있으므로 장완을 어떻게 해서든 등용해야 활로가 보인다.[89] 개인으로서 적성은 창병 C/극병 C/노병 B/기병 C/병기 C/수군 C. 노병 적성이 B라 1인대 화시 부대로 나서면 그나마 전투에서 쓸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손수건을 든 상태에서 얼굴을 닦고 있는데 정황상 유비가 영릉을 평정하러 왔다는 소식을 듣고 식은땀을 흘려 닦는 상황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력 25/무력 23/지력 26/정치력 49로 매력이 삭제되며 50이 넘는 능력치가 하나도 없게 되었다. 궁병에 궁방어강화를 들고 있으며 특기는 경작 하나 있는 잉여자원인데, 놀랍게도 비책을 4개나 갖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다. 농업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특기는 상업 1, 순찰 1로 군주 중에서도 무쓸모. 병과는 궁병만 B, 전수특기는 상업. 지력도 26에 전법이라고는 궁공약화라는 쓰잘데기 없는 암울군주로 거의 멸망셔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장. PK를 할 시 상업, 순찰 특기 대신에 농업이나 문화를 추가해주고 전수특기도 농업으로 변경해주자.

영웅집결로 플레이 할 경우에는 합포는 무조건 점거해두자. 다만 아들인 유현은 유도의 상위판으로 능력치는 어중간하지만 유도보다는 100배 낫다.

삼국지 14의 능력치는 통솔 25, 무력 23, 지력 26, 정치 49, 매력 52이며 개성은 소심, 동요, 우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세출개선 Lv 1,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 어투로 설정되었다.

영웅집결에서는 부하로는 유현, 형도영 총 2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뇌공, 유민, 유선, 유파, 장완, 장현, 주조 총 7명이 있으며 난이도는 의외로 낮은 편.

형도영은 황충, 위연을 제외하면 형남의 장수들 중 가장 높은 무력을 가지고 있고, 유현도 능력치는 별로지만 모집 특기가 있어서 조범, 김선보다는 유도가 확실히 쉬운 편.

202. 유략

파일:external/san.nobuwiki.org/424.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9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무관. 통솔력이 70대긴 하지만 받쳐주는 다른 능력치, 특기가 부실해서 효용도는 별로 높지 않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0/지력 56/정치력 53. 병법으로는 분투, 제사,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다. 이번작에서는 그런대로 괜찮은 무장.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8/지력 59/정치력 49/매력 52에 특기는 꼴랑 일제, 기염. 총 2개.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대전판에서 부활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을 펼친 채 위로 올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1/66/59/46.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화염계. 음성은 보통. 생몰년도가 206~26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66, 지력 59, 정치 47, 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축성,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주의는 아버지와 같은 패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안행, 전법은 제사, 철벽,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212~279년으로 변경되었는데 이상하게도 사망년도가 남해태수 유략과 같은 해로 설정되었으며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203. 유리

파일:유리(촉).jpg
삼국지 14

삼국지 6부터 삼국지 8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형 유영과 함께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는데 전반적으로 능력치는 낮다. 정치력이나 매력이 가장 높지만 이마저도 50대 정도다.

삼국지 6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6/29/63/70/79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24, 무력 21, 지력 53, 정치력 51, 매력 63이다. 개성은 허약, 주의는 왕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추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마초, 제갈량,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211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추행진 진형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육상전에서 전법을 아예 사용할 수 없지만 보급로 끊기용으로 쓰인다.

204. 유모

파일:유모(유언).jp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유모.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유모 일러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40, 지력 47, 정치 44, 매력 42다. 개성은 허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순회 Lv 1,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오의,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유장 형답게 스탯은 잉여다. 그런데 정신병을 앓다가 요절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생 유장이 군주 자리에 있는 상태에서 생존해 있다는 것은 엄연한 고증오류다.

205. 유민

파일:유민(촉).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우사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70, 지력 67, 정치 51, 매력 56이다. 개성은 산전, 법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2,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연노, 견제, 도발, 친애무장은 왕평,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206. 유반

파일:external/kongming.net/502-Liu-Pan.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7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0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저 용맹하였다는 표현과 태사자와 싸웠다는 것 때문인지 무력은 유표군에서 황충, 위연, 문빙 다음으로 높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나중에 후반부에 남형주 4군이 독립하면 결국 남는 것은 문빙 밖에 없어서 어떻게 보면 무력 2순위다. 더불어 유씨 일족의 2세대 중에서도 유봉에 이은 능력치 총합 2 순위로, 다른 능력치는 유봉과 비슷비슷하지만 매력에서 크게 처진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9/지력 48/정치력 46/매력 53. 특기는 훈련, 일제, 저지, 기염, 반격. 총 5개다.

유표군이라면 그래도 전투에서 굴릴 수준은 되는 능력치이며, 내정용 특기로는 훈련 특기가 유용하다. 무력이 상당히 높아서 유표 일족 중 1명이라도 죽였다가는 바로 원수관계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필드에 돌아다니다가 걸려서 목숨을 잃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상태에서 왼손에 방패를 든 채 오른손으로 검을 내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76/지력 47/정치력 43. 특기는 훈련 1, 공성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5 코스트 화염계다. 음성은 청년.

같은 5 코스트인 화공계보다 효율성은 떨어지지만 유표군의 거의 없는 화계 소유자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벽대전 시나리오 때 장사에 재야로 발견될 때도 있으니 탐색를 해보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78, 지력 47, 정치 43, 매력 53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조타, 분쇄, 주의는 패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교란, 구축, 강습, 친애무장은 황충,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207. 유방

파일:유방.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제갈근을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20, 무력 15, 지력 80, 정치 73, 매력 50이다. 개성은 언독, 문화, 능리, 주의는 명리, 정책은 삼령오신 Lv.4, 진형은 학익, 전법은 업화,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사마의, 손자, 장화, 조상, 조예, 혐오무장은 동료 손자와 마찬가지로 진랑, 하후헌이다. 어투는 책사남. 생년은 176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208. 유벽

파일:Liu_Pi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iu_Pi_2.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9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저그런 B급 무장이지만 군웅할거 시나리오 (189, 190년)부터 죽을 때까지 (201년) 쭉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그럭저럭 쓸 기회가 많을지도 모른다. 상성도 유비쪽이라 초반에 특히나 인재가 부족한 유비군에게는 아주 소중한 인재.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여담이지만 삼국지 3을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황건적의 난 시나리오에서 좀 깨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유가 바로 고작 6살(!)로 나오기 때문(...) 저 나이에 현역이라니 무섭다(..) 황건적 출신답게 공도와 마찬가지로 보병 적성에 능한 모습으로 많이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3/70/43/40.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정란을 가지고 있지만 노병계나 궁기병계 병법은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4/68/51/34/55로 별볼일 없다. 특기는 징병, 돌격, 기습, 저지, 반격, 총 5개.

그래도 유비군은 워낙 인재가 부족해서 이 정도라도 쓰긴 해야한다. 징병 특기가 있지만 매력이 55라 큰 도움은 안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0/72/47/34/55로 별 볼일 없지만 특기 난전을 가지고 있고 창병 적성이 A이기 때문에 숲에서 창병으로 나선첨만 날려도 밥값은 한다.

잉여들이 태반인 황건적 장수 중에서는 장각, 장보 다음으로 좋은 특기를 가지고 있고 유벽 본인과 상성이 가까운 유비 세력에서는 관우장비 때문에 좀 존재감은 덜하지만 그래도 장소만 잘 골라주면 크게 활약할 수 있다. 특히 관도대전 이전 시나리오에서 유비와 관우가 동시에 여남에 존재하면 요화, 공도, 유벽, 배원소, 주창이 충성 100인 상태로 유비군 소속이 되는 이벤트가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도검을 든 채 왼손으로 턱수염을 쓰다듬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72/47/34. 병과는 창병에 전법은 전법은 전공격강화로 괜찮은 전법이지만 지력이 낮아서 큰 활약을 하지는 못한다. 병심과 공성 특기를 갖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3, 훈련 2, 연전 3. 정치력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농업 특기를 3이나 가지고 있다.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화염계다.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72, 지력 51, 정치 34, 매력 5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숲전, 적도, 주의는 할거, 정책은 삼령오신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업화, 도발, 친애무장은 공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209. 유보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유포'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210. 유복

파일:external/kongming.net/508-Liu-Fu.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9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정치력은 80대 중후반, 매력 80대 초중반에 둔전이나 농업 관련 특기를 항상 갖고 나오는 A-급 문관이다. 후방에 배치하여 열심히 내정을 돌리자. 아쉽게도 합비 이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합비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시리즈가 많아서... 그 외에 연의에서 조조에게 허무하게 죽었기에 비자연사를 줄 수도 있었으나 코에이에서도 이 에피소드가 너무 황당하다고 생각했는지 후기 시리즈에서는 208년 자연사로 되어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4/50/73/87/84. 특기 6개다.(농업, 기술, 보수, 치안, 고무, 지리)

대부분의 특기가 내정 쪽에 집중되어 있고 통솔이 낮아서 전투에서 쓸 일은 거의 없겠지만 농업, 기술 특기만으로도 훌륭한 내정 요원이라 쓰임새는 충분하다. 통솔력, 무력이 낮기 때문에 효용은 떨어지지만, 혼자서 합비를 재건한 것을 반영해서 깨알같이 치안과 보수 특기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특기로 둔전이 있다.

초급이나 상급 난이도에서는 군량이 넘쳐나서 쓸모없는 특기이지만 특급에서는 군량과 돈이 드럽게 안 모여서 군사들 먹일 군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굉장히 도움이 되는 특기다. 특히 유복 본인은 조조군 초반기 시나리오부터 등장해서 이벤트가 거의 없는 이번작 특성상 동탁의 40만 대군을 사실상 혼자서 막아야하는 조조군한테 굉장히 도움이 되는 인재. 근데 정치력 80대인 내정가를 항구나 관문에 쳐박고 있기 좀 아깝다.

삼국지 12부터는 합비를 재건할 때 지휘하는 모습을 재현한 일러스트가 생겼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으로 위를 가리키고 있다. 저 새는 해로운 새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49/74/87. 중신특성은 농업중시, 특기는 농업 5, 문화 5, 설파 5, 교섭 6으로 전수특기는 교섭보다 1 낮은 농업이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전법은 후방지원인데 이게 본작 사기 효과 중 하나인 부상병 회복이 달려 있는데다가 사기 회복도 해 주고 지휘 포인트도 4밖에 잡아먹지 않아 의외의 고성능 전법이다. 싸우다 한 번 씩 써 주면 봄에 새순나듯 병사들이 죽죽 차오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순욱의 왕좌의 완벽한 하위호환이긴 하지만, 순욱 같은 모사가 지천에 널려 있는 것도 아니고 왕좌는 순욱만 가지고 있는 전법이라 크게 의미는 없는 수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49, 지력 73, 정치 87, 매력 84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둔전, 진흥, 교화, 위무, 개수,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진흥 Lv 4, 진형은 안행, 방원, 투석, 전법은 견제, 고무, 치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아들 유정이 추가되었다.

개성과 진형, 능력치가 우수한 문관답게 전투 보조용으로 좋고 내정용으로 쓰이며 위무라는 개성 덕분에 도시에 배치하면 후방 내 도적의 출현을 막을 수 있다.

211. 유봉

파일:삼국지3유봉.png
삼국지 3
파일:Liu_Feng_3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iu_Feng_%28ROTK10%29.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iu_Feng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96.jpg 파일:dbqhd.jpg
삼국지 12, 13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B급 무관의 능력치로 등장하는데, 플레이어가 유비가 아닐 때 유비가 수명이 다해 죽게 되면 실제와는 달리 유비의 뒤를 이어서 군주가 되는 시리즈도 있다. 물론 유봉 자신도 얼마 안 가서 사망하게 되지만. 그래도 유선이 뒤를 잇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유봉 자체의 능력치는 유비군이라서 묻히지만 그럭저럭 봐줄만 한 수준은 되기 때문이다. 몇몇 작품에선 비자연사 설정이므로 원래 역사보다 몇십년 더 살아서 유비의 후계자로 쓸 수도 있다. 여담으로 유비 항렬을 1세대로 기준잡을 경우, 유봉 본인은 유씨의 2세대 중에서 최고의 능력치를 가졌다. 유비, 유표의 아들들 능력치가 워낙 처참하고, 그나마 유반은 유봉과 비빌만하지만 매력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 장수제 시리즈일 경우 드물지만 유봉을 골라서 관우를 살리는 속죄 루트로 플레이하는 경우도 존재한다.[90]

삼국지 3에서는 수전지휘가 낮아서 장군은 되지 못하는 무관 능력치인지라 역사대로 죽는다 한들 별 영향도 없다.

다만 유선의 능력치가 워낙 맹탕인지라 유선 대신 군주로 써먹는 유저가 가끔은 있다. 뭐 그래봤자 유봉이 유선보다 잘난 능력치는 무력과 육전지휘 정도에 불과하다. 조비 또는 조예맹획이나[91] 손권에 의해 성도까지 밀렸을 때 성을 방어하는 최후의 발악 용도에서 유선보다 높은 육전지휘 덕분에 눈꼽만큼 오래 농성할 수 있는 게 유일한 장점이다.

능력치도 쓰레기인데다가 유비가 죽으면 유봉 본인이 후계자가 되는데, 문제는 유봉이 항복권고에 응할 확률이 대단히 높다는 점, 관도전이나, 적벽전 시나리오 이후에 군주가 된다면 보통은 땅 한뼘 남을 즈음이고, 유능한 부하들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두손 두발 다 들고 항복해 버린다는 점이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무력 67/지력 57/정치 51/매력 60의 어중간한 잡장이지만, 부장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특기는 화공, 궁병, 화계, 낙석, 수복 5개 뿐인데, 유일하게 쓸만한건 낙석 하나 뿐, 그래도 궁병이 있기 때문에 보병 특기가 없는 부대의 부장 보충용으로는 쓸 수 있다. 박한 푸대접에 보답이라도 하려는지, 능력치는 구리지만 특기부여는 잘 받은편이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0/지력 61/정치력 38/매력 70으로 오히려 유선의 매력 78보다 떨어진다.[92] 그래서 유선이 후계자가 되는 게 더 낫다.

삼국지 6에서는 통솔 60/무력 65/지력 62/정치 40/매력 70 의 평범한 장수 능력치를 지녔으며 꿈은 출세다.

한중왕 유비 시나리오에서 유비를 플레이할 경우 유선이 220년에 장수진에 합류하게 되면 몇몇 장수가 회의를 청해 온다.[93] 후계자를 유선이나 유봉 중 하나로 결정해 달라는 내용이고, 이 경우 꿈이 왕좌-대의 등의 장수들은 유선, 패권-정복 등의 장수들은 유봉을 지지하는 쪽으로 갈린다.[94] AI의 경우 유선이 장수진에 합류한 이후 유비가 사망했다면 유선이 군주직을 계승하지만, 이 회의를 통해 유봉을 후계자로 결정하고 AI에게 맡길 경우 유비 사후 유봉이 군주직을 계승하게 된다. 다만 유선이 다른 능력치가 파멸적임에도 군주에게 중요한 매력[95]이 92나 되며, 꿈이 유비와 같은 계열이기 때문에 유선이 무난한 편.

다만, 삼국지 특성상 패권무장이 많기 때문에, 사마의장합 같은 무장들을 기용하는게 더 나을수도 있다. 단, 유선으로 후계자를 선택시, 유봉이 미칠듯이 징징거리며, 충성도가 떨어지거나 불만이 쌓일수가 있다. 유봉이 군주가 될 경우, 자연스레 제갈량, 조운, 황충이 파벌을 일으키며, 부하들간의 불만도가 엄청나게 쌓인다. 유봉을 지지하는 장수는 법정, 위연, 방통 등이 해당사항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그게 귀찮으면, 유봉을 전장터로 보내서 포로로 잡히게 해놓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어차피 아들인데다가 포로 반환 요구를 안하면, 죽어도 항복을 안하는지라, 탈옥해 오지 않는 이상, 처형당했다는 경력 회고록이 뜬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3/지력 43/정치 42/매력 62로 전형적인 무관인데 지력과 정치가 대폭 너프를 먹었다. 특기는 5개인데 정찰, 무쌍, 일기, 불화살, 난사 5개로 숨은 성격은 의리 9, 야망 3, 용맹 6이다.

일반 잡장 주제에 무쌍과 일기를 가지고 있어서 유용해 보일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궁병 외에는 다른 병과를 선택 할 수가 없다. 그래도 군주인 유비가 아버지라고 친밀도는 81부터 시작하는게 가장 큰 장점, 어차피 조조에게 한 칼에 목이 달아나는 특성상, 유비군에 끝까지 살아야 할 이유는 없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8/지력 46/정치 54/매력 75로 전작과 비교하면 소폭 상향되었다. 특기는 축성, 보병, 노병, 정찰 뿐이고, 전법도 돌격 4/제사 2/열화 2/공성 3이다. 여전히 애매한 잡장 1 수준이지만, 수명빈도가 더 늘어나서 부자연사로 230년 중후반까지는 살아남는다.

219년 시나리오에서는 태수로 승진했지만, 221년 이후로는 숙청으로 이미 이 세상이 아닌 셈이다. 더군다나 맹달, 신탐, 신의, 이 불순분자들의 야망수치가 유봉을 훨씬 능가하기 떄문에, 친밀도 관리를 해봤자, 그런데 관심이 있군, 이라는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면서, 친밀도 상승 자체가 거부된다. 역사적 행보로는 무조건 조조군에 들어갈 확률이 매우 높아서, 이들을 달래기도 쉽지 않다. 믿을만한게 왕평 하나 뿐인데, 다른 재야장수를 부하로 부린다고 해봤자, 언뜻보면 좋아보이지만, 문제는 배신쟁이들로 인해, 적과 내통하거나 조조에게 귀순해 버린다는 점이다. 유봉의 지력이 시밤쾅이다 보니, 선동, 파괴공작을 막아내는게 쉽지 않고, 설령 막아낸다 한들, 유봉가지고 위나 오나라 영토를 들쑤시는 파격적인 행동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거기다가 이간은 충성도가 깎였으면 깎였지, 올라가지는 않기 떄문에, 적의 이간 러쉬를 막을 재간이 없다.

그나마 3품관이라, 군단장까지 올릴 수 있는 2품관은 꽤 가까운 편이다. 다만, 오호장군의 공적치가 33000이라는 파격적인 공적치임을 감안할떄, 유봉이 군단장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거기다가 유봉이 아비빨로 군주가 되어봤자, 오호장군들중 대부분은 독립해 버리기 떄문에, 이를 달래기도 쉽지 않을 뿐더러, 설령 토벌하여 귀순시킨다고 쳐도, 이번에는 오와 위 양쪽에서 협공 해 오기 떄문에, 전선이 완전히 무너진다. 악명을 1이라도 올렸다면? 오호장군 전체가 독립세력으로 돌아 서 버린다. 이 떄문에 플레이어로는 상당히 골치아프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76/무력 77/지력 45/정치력 47의 능력치를 가진 B급 무관으로 나오며 병법으로는 분투, 돌파, 제사, 충차를 가지고 있다.

분투와 돌파, 제사 덕분에 나름대로 써먹을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9/지력 48/정치력 58/매력 77. 특기는 보수, 훈련, 돌격, 일제, 기습, 저지, 역공, 삼단, 나선. 총 9개다.

후기 장수였다면 저 통솔력으로도 촉의 준 에이스급이 가능했겠지만, 애석하게도 유봉 본인이 활약하는 적벽염상(207년)/의신횡사(211년)/영웅대결(217년) 시나리오는 촉의 인재가 가장 넘쳐나는 시기다. 유봉의 능력치만 보면 관평보다 조금 떨어지는 정도니 쓰려면 충분히 쓸 수 있긴 하지만, 그땐 유비군 자체가 암울해서 치고 나갈 일도 드물고 사실모드라면 살아남기 바쁘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유봉을 고르거나, 유비일 때 아예 작정하고 고르지 않는 이상 쓸 일이 별로 없다. 사실모드로 할 경우 역사 이벤트 콤보에서는 유비가 유봉을 처벌하려 할 때 유봉을 살릴 수 있을지에 대해 선택지가 뜬다. 유비로 플레이할 때 뿐 아니라 촉 소속 장수로 플레이하면 볼 수 있는 이벤트이며, 살릴 것을 진언하면 유비는 두말없이 유봉을 용서하고 죽이지 않는다. 유비의 양자라서 유비의 가문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봉을 죽이면 유비와는 원수 관계가 되지만, 유비의 아들, 손자와는 원수 관계가 되지 않는다.[96] 이는 관우의 양자로 설정된 관평도 마찬가지다.
파일:external/betagam.net/%C0%AF%BA%C0%B4%D4%BE%C6%21.jpg
인터넷에서는 삼국지 10발번역에서 유래된 "유봉님아 출진하시오!"라는 짤방으로 유명하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75/무력 79/지력 44/정치 50/매력 76의 능력치를 들고 나오는데, 무력도 80대를 넘보는 79를 마크했으며 상당히 좋은 특기인 창장을 달고 나와서 유비 세력의 준 에이스급으로까지 격상되었다.

PK에서는 연구를 통해 무력과 통솔력을 추가하고 일부 육성을 더 하면 최대 통솔력 95, 무력 95까지 노릴 수 있어 창장의 시너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유관장의 아들 중 급 특기를 가진 것은 유봉이 유일하다. 다만 창병 적성이 S가 아닌 A라서 좀 아쉬운 면이 있다.[97] 일러스트가 굉장히 잘생기면서도 날카롭게 나왔는데, 혹자는 유선 출생 후 생긴 뒤끝과 분노가 눈빛에 서려 있다 카더라.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작미파에서 제갈량의 지시를 받아 미방과 함께 정상에서 깃발을 든 부대를 이끌고 허저 등을 교란하는 장면에서 따온 듯.

전법인 기군병격이라 쓸 만하지만 지력 때문에 조루성이 있다. 여담이지만 전작까지만 해도 제법 미소년이지만 이번작에서 갑자기 못생겨졌다.[98]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삼국지 11 때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이며, 특기는 훈련 3, 순찰 3, 신속 1, 공성 2, 견수 3.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화염계라서 제법 쓸 만한 편이다. 적성은 창병과 기병이 A, 궁병 C로 괜찮은 편. 음성은 용장.

보통 관우가 군사중신으로 있기 때문에 창병 적성은 S를 찍는다. 만약 방덕처럼 유비와 상성이 좋은 기마조련 보유 장수를 확보했다면 기병 적성도 S가 나오니 문관형 장수들과 부장으로 짝을 이뤄서 창병이나 기병으로 출전하면 좋다.

삼국지 14에선 다시 삼국지 11의 준수한 미남 일러스트로 복귀했으며 전체적으로는 전작들 복장을 적당히 섞은 느낌인데 자세히 보면 측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오른손에 창을 든 채 왼손을 펼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79, 지력 44, 정치 50, 매력 76이며 개성은 앙양, 과감, 모집,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투석, 전법은 돌격, 교란, 투석, 구축, 친애무장은 관평, 혐오무장은 맹달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장남이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부친 유비의 부하로 소속되어 있는데 유비와 같은 성을 가진 무장 중에서 무력이 제일 높다.

212. 유비

유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13. 유선

유선(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14. 유선

파일:유선3.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는 잡문관으로 정치력이 그럭저럭 수준이니 상업 투자를 시키면 좋지만 다른 능력치들과 달리 매력은 70대나 될 정도로 높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죽간을 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37, 무력 18, 지력 66, 정치 75, 매력 65다. 개성은 교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안행, 충차, 전법은 도발, 진정, 친애무장은 등의,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60년, 몰년은 227년까지 되어있다.

215. 유선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4.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상당히 문약한 이미지다. 능력치 역시 이미지만큼이나 좋지 않고 다행히 백하팔인 수준까진 아니지만 그나마 높은 편에 속하는 정치나 매력도 50대에 불과하다. 오히려 한 게 없이 무예를 즐겼다면서도 삼국지 9를 제외하면 무력은 바닥이고 정치와 매력은 되려 행적에 비해 좋게 받는 편이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9/무력 52/지력 36/정치 51.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뿐이다.

무예를 즐겼다는 걸 감안했는지 제사 병법이 있으나 특기는 없어 써먹기는 힘들다. 굳이 쓰자면 정란 셔틀로 쓸 수는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9/21/39/44/55의 저조한 능력치에 아버지도 특기가 있는데 본인은 무특기다.

물론 아버지도 별 쓸모없는 주호 특기 밖에 안 가지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능력치 합은 아버지의 거의 2배.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21/36/51/55. 특기는 당연히 없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찌질함이 느껴지는데 불쌍해 보이는 얼굴로 두 손을 모으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8/21/36/51. 특기는 상업 2, 문화 3, 인덕 1. 전수특기는 문화이고 전법은 궁공약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 무력 21, 지력 36, 정치 51, 매력 55이며 개성은 소심, 우유, 나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세출개선 Lv 1,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16. 유섭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1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기령 다음가는 맹장으로 나오지만 보통 무력만 높은 것이 대부분. 그나마 전사한 탓에 비자연사 책정을 받아 수명이 긴 편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79/31/29.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몽충을 가지고 있다.

다른 진영이었으면 별거 없는 능력이지만 원술에게는 기령과 함께 영웅집결 시나리오의 희망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2/79/26/23/29에 특기는 회복, 나선. 총 2개.

이벤트가 워낙 스무스하게 잘 일어나는 이번작인지라 1, 2 시나리오에서만 등장하는데, 그나마도 1~2년 후면 반동탁 이벤트가 일어나기 때문에 화웅한테 끔살. 다만 유저가 유섭으로 플레이하면 화웅과 일기토를 하지 않는다. 화웅으로 플레이했을 시 관우와 일기토가 있는 것과는 대조적.

삼국지 11에서는 당연히 특기가 없다. 무력이 괜찮은 편이니 일기토 셔틀로 쓰면 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왼손으로 고삐를 쥔 채 오른손에 든 창을 위로 올리고 있다.

마방어강화라는 전법을 들고 나왔는데 이거 쓰느니 이풍의 전방어강화를 쓰는 게 낫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79/24/23. 특기는 훈련 1,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기병공격진.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79, 지력 24, 정치 23, 매력 30이며 개성은 호걸, 공명, 주의는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17. 유소

파일:external/kongming.net/512-Liu-Shao.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정치력이 가장 높은 문관형인데 통솔력이 바닥까진 아니다. 그렇다고 전장에서 굴릴 수 있다는 건 아니지만 영 미묘한 밸런스 패치(...). 삼국지 8부터 삼국지 11에서의 일러스트는 웬일인지 수염을 기르지 않은 상태에서 실실 웃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2/지력 72/정치력 86로 만능형 장수다.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정란, 혼란, 덫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51/지력 73/정치력 82/매력 65에 특기는 농업, 반목, 반박, 논파. 총 4개.

통솔력 66이면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반목 하나 들고 전장에 내보내긴 무리가 있고, 정치력 82를 살린 농업 셔틀이 무난하며 공적 좀 오르면 후방에 태수로 박아놓는 게 좋다.

삼국지 11편에서의 특기는 시상.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콧수염이 생겼으며 왼손에 도검을 든 채 오나라군과 맞서 싸우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53/74/79. 특기는 농업 3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이며 전법은 사기회복. 음성은 청년. 그런데 무력 53인데도 불구하고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52, 지력 73, 정치 79,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시상, 법률, 교화, 학자, 주의는 왕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안행, 학익, 투석, 전법은 연노, 업화, 매성, 투석,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개성 시상+안행 진형 조합 덕분에 서포터 용으로 쓰인다.

218. 유순

파일:삼국지3유순.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모든 능력치가 40~60대인 C급 장수로 등장한다. 차라리 일부 능력치가 낮더라도 잘 하는 분야가 하나라도 있으면 써먹을 여지가 있는데 오히려 이런 전투에도 내정에도 쓰기 애매한 능력치를 갖고 나와서 매력 하나만은 높은 아버지 유장만도 못하다. 유비군을 1년이나 막았는데도 평가가 상당히 박하다. 그나마 시리즈를 거치며 조금씩 능력치가 오르고는 있다.

유장군이 오래 살아남아서 유장이 자연사할 경우 군주가 되기도 하는데, 유장의 수명이 긴 편이라 플레이어가 유장을 잡은 게 아닌 이상 AI 유장군이 유장이 죽을 때까지 존속될 일이 드물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51/지력 40/정치력 51로 낮은 수준. 병법으로는 제사, 고무 뿐이다.

아버지 유장 휘하에서 아버지를 버리고 유비에게 자체 귀순하는 불효막심한 패륜 사례도 있다.등용이 아니라! 귀순!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57/지력 46/정치력 37/매력 65. 특기는 상업, 일제, 고무, 명사. 총 4개다.

능력치는 역시나 애매하지만, 존재만으로도 밥값을 하는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등용할 가치는 충분하다.[99] 때문에 유순의 가치가 가장 높은 시리즈.

삼국지 11에서는 통솔 62/무력 45/지력 40/정치 50/매력 56에 특기는 없다. 병과 적성은 극병, 노병만 B에 나머지는 모두 C.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남만의 장신구를 목에 건 상태에서 이마에 왼손을 대고 있는데 할아버지 유언과 아버지 유장도 남만 장신구를 걸쳤다. 상황 자체는 유비의 공세를 더 이상 버티기 힘들어지자 이걸 어쩌나 여기는 걸로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능력치가 50~60대 사이라 잉여해보이지만 전법이 철벽이라 방어측에서 성문이 뚤리면 성벽 아래로 내려가서 탱킹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지력이 약간 낮고 궁병이라 최후의 방어선으로 보는 게 좋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46/41/50. 전작과 달리 무력과 지력이 하락했지만 통솔력과 정치력이 대폭 상승해 있다.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견수이며 전법은 창속약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54, 지력 45, 정치 50,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 무력이 8, 지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교련, 견뢰, 주의는 할거, 정책은 학익강화 Lv 2, 진형은 학익, 장사, 전법은 분전, 철벽, 친애무장은 방희, 유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19. 유승

파일:external/kongming.net/513-Liu-Che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70.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잘생긴 외모로 나오며 멀쩡하게 생겼지만 속은 허하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는 능력치가 통솔력 59/무력 64/지력 36/정치력 34인 쓰레기다.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몽충을 가지고 있다. 몽충 셔틀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69/지력 29/정치력 35/매력 55에 특기는 겨우 치안 단 1개.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손침과 맞서려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5/65/33/33.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견수로 전법은 화계.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5, 무력 66, 지력 30, 정치 33, 매력 54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경솔, 주의는 패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급습, 친애무장은 손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경솔이라는 패널티 개성 때문에 전장에서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220. 유식

파일:external/kongming.net/liushi.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2/23/72/68이며 병법으로는 혼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221. 유심

파일:external/kongming.net/510-Liu-Chen.jpg
삼국지 9, 10, 11
파일:유심12탄.jpg
삼국지 12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71.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 충절을 높게 사서인지 백하팔인인 아버지와는 다르게 인재가 드문 후반부에 등장하는 장수치고는 그럭저럭 쓸만한 편인 문관의 능력치를 부여했다. 덤으로 나오는 시리즈마다 항상 의리 부분은 최상급. 전반적으로 유비의 아들들, 손자들 중에서 가장 능력치가 좋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12탄과 삼국지 13탄의 일러스트가 좀 다른데 삼국지 12탄 일러스트는 단검을 들고 자결하려는 일러스트였는데 삼국지 13탄에서는 뒷짐을 지고 있는 일러스트로 바뀌었다. 심의에 걸렸기 때문이거나 범용성을 위해서인 듯하다. 그래서인지 입고 있는 의복도 왕자답게 무늬가 추가되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수무지정매 순으로 62/20/63/61/64/81.

매력 외에는 평범한 능력치이나, 의리 수치가 98이고[100] 용맹이 무려 13이다.[101]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2/무력 65/지력 70/정치 72.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정란,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5/58/65/62/75이며 그저 그런 문관인데 특기라고 준건 어째 하나같이 능력치에 걸맞지 않은 치안, 고무, 항변. 총 3개.

치안과 고무는 통솔에 의존하는데 통솔 45인 유심 본인을 전투에 데리고 나갈 일이 언제 있을 것이며, 지력이 65에 설전 특기가 항변 하나밖에 없고 명사 특기도 없는데 직접 플레이할 때나 수하로 부릴 때나 설전 할 일이 어디 있어야...

삼국지 11에서는 통솔 60, 무력 62, 지력 69, 정치 73, 매력 82의 준수한 능력치를 가지고 나오며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15, 무력과 지력이 각각 4, 정치력이 11, 매력이 7 상승했다.

특기는 노발이지만 알다시피 잉여 특기다. 반면 아버지는 강운. 왠지 모르게 슬프다.

삼국지 12의 전법이 전공격강화여서 그나마 쓸만한 무장으로 탈피했다. 지력도 70대라서 아버지보다 더 좋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0/62/70/73. 특기는 농업 3, 문화 3, 순찰 2.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속공명령.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2, 지력 67, 정치 70, 매력 80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3 하락했다. 개성은 11 시절과 같은 노발,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대갈, 저지, 친애무장은 유비, 혐오무장은 황호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222. 유씨

파일:Liushi_%281MROTK%29.webp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iu_Shi_RTKXI.jpg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9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유씨(劉氏)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여성 무장영 좋지 않은 편에 속하고 일러스트도 다른 여성 무장들이 아름다운 외모인 것에 비해 삼국지 12편부터는 그냥 넙적대대한 얼굴이 되어버렸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특기 없이 통솔력 3/무력 8/지력 66/정치력 49/매력 69.

일반적인 여성 무장과는 다르게 매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일러스트는 그냥 정숙해보이는 귀부인 모습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직접 첩들을 죽인 일화를 참고하여 섬칫한 미소를 지으며 오른손에 칼을 들고 있다.

삼국지 13에서는 통솔력 23/무력 8/지력 67/정치력 59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병과 적성은 모두 C에 특기는 농업 2, 공성 1(원소 인연 효과)이다.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궁병선동. 음성은 어째선지 용감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8, 무력 17, 지력 67, 정치 59, 매력 68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0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오만, 주의는 아도, 정책은 세출개선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도발, 친애무장은 원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요염녀로 설정되었다.

223. 유언

유언(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24. 유연

파일:Liu_Yan_-_Wei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유연.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오랫만에 재등장한데 이어 삼국지 14에서 28년 만에 정규 시리즈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40/수지 20/무력 45/지력 50/정치 57/매력 32.

시나리오 1처럼 초창기의 조조라면 인재가 많은 건 아니기 때문에 어떻게든 내정 쪽으로 굴릴 수는 있지만 세력이 좀만 커져도 낮은 정치력으로 인해 밀정으로나 쓰일 잡문관. 특이하게도 시나리오 4에서 뜨끔없게도 유도의 부하로 나온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63, 지력 45, 정치 40, 매력 51이다. 개성은 개수, 소심,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제사, 철벽,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전에 나왔던 삼국지 3에 비해 생년은 166년, 몰년은 221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225. 유엽

파일:삼국지3유엽.png
삼국지 3
파일:Liu_Ye_2_(1MROTK).png 파일:Liu_Ye_(ROTK9).png 파일:Liu_Ye_(ROTK11).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9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책사 계열의 능력치를 보이는데 정치력은 다른 책사들에 비해 좀 낮은 편인 70대다. 삼국지 9까지는 지력도 80대 초반에 불과하였으나 삼국지 10부터 90대 초반까지 올라갔다. 연의의 관도대전에서의 일화를 적극 반영했는지 매 시리즈마다 공성(성벽), 기술, 병기 관련 특기를 달고 나오는 게 일반적이다. 게임상에서는 전형적인 참모형이지만 정사에서는 소시적에 꽤 한가락 하고 다닌 무법자의 면모를 보인 것을 감안하면 무력이 좀 더 평가되어도 좋을 듯한 인물.[102]

삼국지 6에서는 그나마 쓸만한 능력치가 지력 79/정치 76/매력 77에 꿈은 유지, 성장은 보통이다. 특수능력으로 병법과 첩보를 갖고 있다.

특별한 것 하나 없는 그럭저럭 괜찮은 문관에 불과하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25/지력 86/정치 70/매력 68에 첩보, 발명, 반계, 회복, 신산, 수공, 혈공이며 숨은 속성인 성장유형은 지력, 전략경향은 호전경향, 인물경향은 능력중시.

통솔이 삭제됐지만 무력이 너무 낮아져서 전장에 내보내기 어렵다. 대신 발명 특기가 유용하고 드물어서 병기생산용으로 구르게 된다. 여담으로 한글화 번역과정에서 이름인 엽(曄)에서 일(日) 자를 떼놓고 읽는 바람에 '유화(劉華)'로 표기되는 오역의 희생양이 되었다.[103] 그나마 PK에선 시정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6/무력 68/지력 88/정치력 72로 역대 시리즈의 유엽 중에서는 기이할 정도로 무력이 높게 책정되었다. 병법으로는 상병을 제외한 모든 공성계 병법 이외에 분전과 혼란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성숙련도가 600.[104]

조조군 특성상 의외로 공성계 병법 + 정란을 모두 갖춘 장수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예를 들어 연사가 있는 하후연은 충차만 있는 식) 유엽을 참군으로 삼은 부대는 상당히 강력하다. 본작에서 정란 + 혼란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참모형 장수는 무조건 A-급은 먹고 들어간다.

삼국지 10의 능력치는 통솔력 39/무력 23/지력 93/정치력 75/매력 71로 지력이 엔간한 군사들보다도 높다. 특기는 농업, 기술, 반목, 혼란, 반박, 논파, 군사, 명사, 간첩으로 총 9개다.

물론 유엽이 주로 소속되어있는 조조군엔 지력 98의 가후부터 시작해서 참모감들이 넘쳐나서 존재감이 옅긴 하지만. 군사, 명사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숨겨진 사기캐이기도 하다. 다만 통솔력이 39로 낮고 쓸만한 특기는 반목, 혼란 정도라 전장에서 아주 사기까진 아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6/무력 32/지력 92/정치력 73/매력 69. 여전히 지력이 높다. 특기는 연의의 일화를 반영한 듯한 사정.

악진공성과 조합하면 악진의 무력&통솔력과 유엽의 지력 덕택에 어마어마한 시너지 효과가 나온다. 원소군에 있었다면 벽력차를 좀 휘둘렀을 듯.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32/지력 92/정치력 73이다. 전법은 전공성강화로, 보유자 중에서 가장 지력이 높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다. 보유특기는 상업 2, 교섭 7, 언변 7, 인덕 2, 위풍 1, 병기 5, 귀모 4다. 전수특기는 교섭, 언변보다 2 낮은 병기, 전법은 적부대의 공격과 사기를 각각 30, 10씩 떨어뜨리는 동요였지만 PK에서 대도발로 변경됐다. 음성은 정중. 중신특성은 공정무사로, 거의 신산귀모만큼 드문 중신특성인데다 세력 내 전 무장의 충성도 관리가 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게임 내에서 조조를 쳐서 유엽을 등용했을 시, AI가 십중팔구 군사중신으로 발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높은 지력과 인덕 보유로 재야 장수 설득 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 외에 전투 요원으로서는 절망적인 병과 적성과(올 C) 통솔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전투력이 높지만 지력이 떨어지는 맹장들의 부장으로 출진하는 것을 추천.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0, 무력 32, 지력 92, 정치 73,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6 하락했다. 개성은 발명, 명경, 지낭,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병기강화 Lv 5, 진형은 방원, 정란, 충차, 투석, 전법은 업화, 정란, 충차, 투석, 친애무장은 곽가, 노숙, 만총, 여건, 혐오무장은 맹달, 위풍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226. 유영

파일:유영(촉).jpg
삼국지 14

삼국지 4삼국지 5를 제외한 삼국지 3부터 삼국지 8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는 이보다 넘사벽으로 활약이 많은 문앙을 제치고 등장했으며 전반적으로 능력치는 낮고 정치나 매력이 가장 높지만 이마저도 50대 정도다. 그도 그럴 것이 이번작은 딱 제갈량 사망 직후 까지만 다루기 때문이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들어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36, 무력 25, 지력 49, 정치력 55, 매력 65이며 아주 좋은 능력치는 아니나 형 유선보다는 훨씬 높다. 개성은 절약, 주의는 왕도,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제갈량, 혐오무장은 황호다. 어투는 보통남. 코에이가 설정한 생몰년도는 210~269년.

정령철저 정책 덕분에 초반 선택 시 명령서를 늘릴 수 있다.

227. 유요

유요(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28. 유우

유우(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29. 유은

파일:유은.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노장의 모습을 한 채 팔짱을 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4/지력 68/정치력 43/매력 64다. 개성은 산전, 견뢰, 주의는 패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봉시, 방원, 장사, 전법은 철벽, 교란, 저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230. 유의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3.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왼손으로 바닥을 짚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54/18/50. 특기는 훈련 1, 순찰 3, 견수 3, 수영 1. 전수특기는 순찰로 전법도 주군인 공손도와 마찬가지로 창공강화다. 생몰년도가 160~205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음성이 특이하게도 용장으로 설정되었다.

주군보다 능력치가 낮고 구리지만 공손도군은 인재의 수 자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귀중한 인재로서 쓸 수 밖에 없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55, 지력 21, 정치 48, 매력 4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1, 지력이 3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조타,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돌격,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31. 유장

유장(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32. 유정

파일:유정(삼국지).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밝은 얼굴로 오른손을 펼친 채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35, 지력 64, 정치 81, 매력 74이며 개성은 조달, 진흥, 농정, 교화, 개수,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4, 진형은 안행, 방원, 전법은 철벽,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아버지처럼 능력치가 내정용으로는 적합하다.

233. 유정

삼국지 7에서 한시 대회에서 시를 평가하는 역할로 나온다.

234. 유종

파일:삼국지3유종.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490-Liu-Co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7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삼국지연의를 따라 195년생으로 설정, 지력이나 정치력은 60대 중반에 머무르고 전투관련 능력치는 매우 낮다. 어느 능력치든 눈에 띌만한 것이 없지만 그래도 백하팔인이랑 비교하면 실례일 정도로 나쁜 편은 아니다. 유종 본인의 나이를 감안한다면 그렇게 나쁜 능력치는 아니며 지력이나 정치력 60대 정도면 평균은 해준다. 소년 이미지 때문인지 꽤나 귀여운 얼굴로 나온다. 하지만 삼국지 12편에서는 정사 보정인지 어느 정도 나이가 있어 보인다. 형인 유기와 마찬가지로 전투용으로는 도저히 써먹지를 못해서 대체로 내정 셔틀로 쓰인다. 그나마 형은 수상전과 관련된 특기라도 있기라도 하지, 이 쪽은 뭐 내세울 것이라고는 전혀 없고 수명도 짧은 편이라서 아군으로 둬도 있으나 마나인 존재지만 그래도 형에 비하면 수명이 심하게 짧은 편은 아니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30/지력 60/정치 61/매력 78로 다른 시리즈에 비하면 능력치가 평균적으로 조금이나마 괜찮은 편이다.

형인 유기처럼 전투로 쓰기에는 매우 적합하지 않은데다가 수행을 보낸다고 해도 기대하면 안 된다. 인사나 외교로 써도 큰 효과를 보기가 어려워 내정이나 특수로 쓰이게 된다. 전체적으로는 굉장히 계륵이고 유표를 멸망시키면서 어찌어찌 아군으로 들어오게 해도 큰 도움이 안 되며 도시의 태수로 짱박아두는 편이다. 물론 유종 본인이 임관하기도 전에 유표가 멸망하고 유표가 플레이어에게 등용되면 혈연이나 자식이 해가 되면 자동으로 임관하는 게임 특성상 유종도 역시 자동으로 임관한다. 유표가 죽으면 형인 유기보다 우선으로 군주가 되기도 하는데 2만 병력을 보유해도 전투적인 능력치가 형편없어서 유장이나 유요보다도 약하다. 능력치로는 공손공과 비슷하거나 조금 나은 수치지만 어차피 유표군은 괴량이나 괴월 같은 좋은 참모들이 있어서 유종 따위를 굴릴 일이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2/무력 22/지력 66/정치력 61.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조영, 혼란을 가지고 있다.

지력은 형보다 높다지만 그래봤자 쓰레기이고 정치력이 낮은 게 더 문제다. 형은 투함을 띄울 수 있는 데 이 녀석은 누선 밖에 못 띄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20/지력 66/정치력 56/매력 63에 특기는 기술, 명사. 총 2개 뿐.

등장하는 시나리오라곤 삼고초려 시나리오뿐인데 수명마저 짧고 영웅집결에서 쓰자니 유표군에 저 정도 능력치를 가진 인물은 널렸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4/무력 22/지력 64/정치력 65/매력 70의 평범한 문관형이다. 일러스트는 그나마 곱상하게 나온다.

콘솔판 추가 시나리오인 영웅난무에서는 유표에게서 독립하여 신야에서 군주로 나온다. 부하는 채씨, 채모, 채중, 채화, 장윤, 부손, 왕위, 왕찬. 도시도 작고 부하들 능력치도 낮은데 신야에는 재야도 없다. 더 문제는 양호, 유언, 마등, 순욱, 손권이 주변에 있다는 것. 정상적으로 해서는 답이 없는 세력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손을 가로젓고 있는데 정황상 연의에서 자신을 후계자로 추종한 외가인 채씨 일파를 꾸짖을 때 모습으로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4/무력 22/지력 65/정치력 65. 특기는 농업 1, 문화 2, 수영 1. 전수특기는 문화이며 전법은 기방약화. 그런데 어째선지 음성이 일러스트에 맞지 않게 책사로 들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2, 무력 22, 지력 64, 정치 65,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우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시람, 친애무장은 채모, 채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35. 유주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9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2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창을 들고 주먹쥔 왼손을 든 채 소리치고 있다. 전법은 만성동갈.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7/78/42/35. 특기는 훈련 1, 견수 2로 전수특기는 견수이고 전법은 창병선동이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용장. 정사와는 달리 생몰년이 167~225년으로 되어있는데 거슬린다면 편집해 정사대로 233년으로 변경해주자.

영창에서 재야로 등장하며 다른 세력에서는 쓸모가 없겠지만 인재가 부족한 사섭군 진영에서 사용하다 보면 사휘와 함께 무력을 담당하는 장수로 자리잡을 수 있다. 특히 사섭군은 전투 관련 담당 장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유주를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사섭군의 든든한 전투 요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73, 지력 38, 정치 28,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무력이 5, 지력이 4, 정치력이 7 하락했다. 개성은 남만, 저돌,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189~233년으로 정사 고증을 반영해 사망년도가 제대로 수정되었으며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한데 저돌이라는 패널티 개성이 있어서 전장에서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236. 유준

파일:external/kongming.net/liujun.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219년 출생으로 설정되어 239년부터 재야 장수로 나와 합포에서 등장한다.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58/지력 40/정치력 57.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투석을 가지고 있다.

237. 유준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238. 유찬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무력과 통솔력 70대 중반에 나머지도 정치력을 제외하면 모두 60대를 기록하고 있는 B-급 무장. 심지어 수명도 길다.

다만 고증오류가 있다. 생년도가 정사에 간접적으로 기록된 인물임에도 172년생(!)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9, 삼국지 11, 삼국지 13 모두 생년이 172년으로 되어있는데 황건적과 싸운 기록을 반영하기 위함으로 추정되나 정작 등장년도는 200년 부근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오류는 삼국지 14에 가서야 비로소 183년으로 수정되면서 해결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 무력 74, 지력 64, 정치력 58. 병법으로는 분투,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다.

아들도 가진 노병계 병법이 없어 아쉽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 무력 75, 지력 66, 정치력 55, 매력 65로 특기는 기술, 훈련, 일제, 저지, 회복, 기염 총 6개다.

좋다고 말하기엔 애매하지만 훈련 특기가 있으니 훈련 셔틀로 쓰면 적어도 밥값은 한다.

삼국지 11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8/75/64/57/62이며 그럭저럭 쓸 만하고 적성도 창병, 극병, 수군 A로 준수하다. 그러나 특기는 눈물이 날 정도로 잉여스러운 추진.

그래도 능력치는 좋은 편이니 특기를 갈아 버리거나 능력치를 성장시키면 된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그가 머리를 풀고 고함을 지르며 싸웠다는 사실을 반영했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는 검을, 왼손에는 창을 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8, 무력 81, 지력 64, 정치력 57인데 무력이 81로 전작과 달리 정봉보다 높은 무력치을 찍었다. 특기는 병심, 연병, 호걸, 전법은 전공격강화. 다른 건 제쳐두고라도 이번작의 모든 장수를 통틀어서 단 4명 밖에 없는 호걸 궁병(나머지 셋이 태사자, 황충, 하후연)이라는 점 하나만으로도 등용해서 후회하지 않을 인재. 아쉬운 점이라면 생몰년이 명확한 인물이라서 활약했을 때는 분명히 노익장이었음이 분명한데, 일러스트는 청년이라는 괴리감이다. 물론 유찬 본인의 동년배인 육손의 영향을 받아서 이렇게 나온 것이지만.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고 특기는 순찰 1, 신속 1, 일기 3. 전수특기는 일기로 전법은 속방지휘. 두예, 조비와 같은 전법이다. 음성은 청년. 생몰년도가 172~255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좋은 전법이지만 주군인 손권의 견수지휘가 상위호환이라서 묻힌다. 물론 손권이 없는 후반기 시나리오나 왕랑 등 강동의 약소국에서는 도움이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77, 지력 65, 정치 56,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3, 무력이 4,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악주, 노발, 조타, 공명, 주의는 패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어린·봉시, 전법은 분전·대갈·강습, 친애무장은 능통,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들과 달리 드디어 출생년도가 183년으로 고증을 반영하여 제대로 수정되었고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239. 유초

파일:유초.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비파를 든 채 연주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36, 지력 53, 정치 62, 매력 70이다. 개성은 악주, 교화, 낭비, 주의는 할거, 정책은 삼령오신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철벽, 고무, 친애무장은 장기, 조예,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악주 개성을 가지고 있지만 패널티 개성인 낭비 때문에 전장에 보내기가 꺼려진다.

240. 유파

파일:external/kongming.net/499-Liu-Ba.jpg
삼국지 11 일러스트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7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내정 요원으로 나온다. 초기작에서는 유비에게 비판적이었기에 네임벨류가 부족해서 능력치가 영 좋지 않았지만, 후기작으로 갈수록 내정 능력이 뛰어난 것을 반영해서 조금씩 능력치가 올라가고는 있다. 친애/혐오무장 시스템이 있는 작품일 때 유비가 추가될 법도 한데 혐오무장에 유비를 추가해 버린다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유비 세력에서 유파 본인을 등용할 수 없는 데다가 혹시 등용한다 해도 충성도가 뚝뚝 떨어져 쓰기 힘들어질 것이기에 실제 역사처럼 유비를 싫어하면서도 유비 세력에 종군해 잘만 그 재능을 펼쳐 보였던 역사를 구현하는 게 영 어려워 혐오무장에 유비를 추가하지 않은 것 같다.

삼국지 3에서는 육전지휘 53/수전지휘 25/무력 54/지력 70/ 정치력 62/매력 49로 등장한다.

상업 투자를 통한 좋은 금 공급원이다. 에디트로 손질해서 지력과 정치력을 맞바꿔 놓으면 그야말로 최고의 금 공급원. 특이하게도 수명이 길어서 시나리오 6에서도 66세의 나이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9/무력 20/지력 72/정치력 80.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매도가 있긴 하지만 내정 위주로 굴리는 게 낫다.

굳이 중용되는 때가 있다면 적벽대전 시나리오에서 형남 4군 군주로 할 경우. 이 지역을 배회하는 재야 장수가 유파 본인 뿐인데 이 지역의 지력 70을 넘기는[105] 무장 역시 유파 1명 뿐이라서 형남4군 어느 세력을 하든 최우선 등용 장수가 되어 버린다. 그런데 가끔 재수 좋게도 장완이 익주에서 이쪽으로 넘어오는 경우가 벌어지면 이마저도 빛이 바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3/무력 22/지력 74/정치력 78/매력 58의 능력치로 등장. 특기는 상업, 기술, 반목, 혼란, 반박, 논파, 명사. 총 7개다.

명사 특기가 있는 걸 제외하면 변변치 않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22/지력 74/정치력 81/매력 57이며 병종 적성이 전부 C이고 특기가 없다.

정사의 기록과 달리 유비와 혐오무장 관계가 아니다. 어쨌든 유비 밑에서 벼슬은 했으니까. 다만 장비, 양의하고는 혐오무장 관계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아빠 다리를 하고 앉아있는 상태로 왼손으로는 병서를 든 채 오른손으로는 붓을 치켜올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선 통솔력 29/무력 22/지력 75/정치력 81의 능력치를 갖고 있다. 병과 적성은 모두 C에 특기로 상업 5, 문화 2, 설파 3을 갖고 있다. 음성은 관리.

시리즈가 갈수록 능력치가 상승하고 있지만 미미한 수준. 실제 역사에서 촉한의 화폐 개혁을 주도한 점을 감안했는지 상업이 5레벨인 것은 고무적이지만, 상업 5레벨 정도는 이름 좀 있는 문관이다 싶으면 다 보유하고 있거나 그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심지어 천생 무관인 관우도 상업 5를 달고 있다. 이 쪽은 재물의 신으로 추앙 받은 것을 감안한 것 같긴 하지만 전수 특기 또한 상업이며, 이번작에서 흔치 않은 중신 특성도 상업중시 특성을 달고 있다. 전법은 오리지널에서도 쓸만 했던 전법이지만 PK 들어선 값어치가 상당히 오른 가성비 최강 전법 고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22, 지력 74, 정치 81, 매력 5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6,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법률, 능리, 소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학익, 정란,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양의, 장비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241. 유평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9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C급 만능형.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9/지력 72/정치력 62. 병법으로는 분투, 몽충, 충차, 조영, 혼란을 가지고 있다.

간언을 하는 역할 때문인지 지력이 통솔력보다 높으며 혼란을 보유하고 있지만 모략계 병법 숙련도는 0.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67/정치력 57/매력 62에 특기는 치안, 일제. 총 2개.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손호에게 간언하고 있으며 통솔력 70/무력 71/지력 68/정치력 57에 특기는 순찰 3, 병과 적성은 창 B/궁 C/기 C,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궁방약화를 받았다.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70, 지력 68, 정치 57,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개수, 주의는 아버지 유찬, 형 유략과 같은 패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충차, 전법은 견제, 충차, 구축,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정봉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후반기 기준으로 B급 무관지만 수상전 외에는 공격용 전법이 없기 때문에 전법의 서 노가다가 필요하다.

242. 유표

유표(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43. 유표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0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당시에는 연의의 이름인 좌현왕으로 등장하다가 삼국지 7편부터 유표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1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62/67/48/52/63으로 그저 그렇고, 특기는 돌격 단 1개 뿐이다.

하지만 사기 병과 중 하나인 돌기병을 무려 7000이나 들고 재야로 나오기 때문에 일단 등용해 보고 후방에 처박히는 존재다. 여담으로 적 세력 소속일 때 그 세력 군주가 죽으면 이 유표 본인이 군주 자리를 잇는 경우가 많다. 여담으로 정말 흔치않은 탈모 일러스트 소유자다.(...) 아예 대머리인 아하소과목록대왕 같은 무장도 있지만 유표처럼 머리가 듬성듬성있는 일러스트는 정말 드물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를 보면 들고 있는 옷은 보쌈해 온 채염의 옷 아니면 조조가 채염을 다시 국가로 귀환시킬 때 줬던 재물 중 하나로 추정된다.

아버지 어부라가 빨리 사망해서 숙부인 호주천과 함께 흉노족의 단 둘 뿐인 무장으로 있는 경우가 많다. 전법은 아버지와 같은 군랑맹진. 사실상 군랑맹진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무장이다. 아버지나 숙부와는 달리 특기가 무려 4개에다가 능력치도 가족들 중 가장 높은 편이다. 다만 상성을 따지고 보자면 친 조조파로, 조조에게 잡히면 무조건 투항한다고 보면 된다. 이민족이면서 유일하게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철리길도 있으나 이민족 군주라서 그쪽은 등용이 아예 안 되므로 쓸모면으로 따지자면 유표 본인은 사로 잡는게 이익이다. 명사 특기가 달린 응정금관과 호걸 특기가 달린 청동마수검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보물 고블린 취급하며 냅다 목을 쳐버리는 유저들도 왕왕 있는데, 아직 자세력에 전장에서 쓸만한 궁병이 없다면 각 잡고 제대로 활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으며 최소한 월급값은 하는 편이다.

삼국지 13에서는 73/74/48/52로 등장한다. 특기는 훈련 6, 위풍 1(응정금관+1), 신속 5에 창병 적성 B/기병 적성 A/궁병 적성 S로 병과 적성 S를 하나 이상 받는 인물이 많지 않다는 걸 고려하면 의외의 혜택을 받았다. 전수특기는 훈련이며 전법이 창방약화였지만 PK에서 흉노족답게 자신이 궁병으로 출전했을 경우 자군 사기를 올리고 전방위사격을 가하는 흉노난사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책사. 생몰년도가 173~252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원래는 채염을 첩으로 두고 아이도 봤는데 게임상에서는 등장하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채염과 결혼상태가 아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60, 지력 51, 정치 62,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3, 정치력이 10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0, 무력이 14 하락했다. 개성은 흉노, 강건,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추행강화 Lv 2,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돌격, 고무, 친애무장은 채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181~279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244. 유표

파일:삼국지3유표(촉한).png
삼국지 3 일러스트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시나리오 4에서는 재야, 시나리오 5부터 유비군에 소속되었다. 능력치는 육전지휘 12/수전지휘 6/무력 15/지력 51/정치력 63/매력 52.

245. 유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가공인물인 데다가 존재감도 없으니 능력치는 기대하지 말자. 후기 장수라는 걸 감안해도 쓸 데가 없다. 물론 유도로 플레이한다면 휘하장수가 형도영이랑 얘 밖에 없으니 쓸 수 밖에 없지만. 가상인물이기도 하고, 유비군에 속해서 종군했다는 언급이 있고, 그 뒤에는 언급이 없기 때문인지 수명이 매우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3/무력 60/지력 52/정치력 45. 병법으로는 제사와 몽충 뿐이지만 은근히 수군계 병법이 없는 유비군으로서는 나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삼국지 10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61/지력 56/정치력 43/매력 51에 특기는 훈련 단 1개 뿐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6/지력 51/정치력 40/매력 52.

삼류 무관이지만 유도군이라면 최우선적으로 유현의 노병 적성을 B로 올려 줘야 지원 공격을 통한 피해량 뻥튀기가 가능해진다. 수명이 무려 252년까지로 되어있어 늙어죽을 걱정은 안 해도 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도검을 쥔 채 오른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는데 정황상 형도영에게 유비군을 공격하라 지시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6/지력 51/정치력 40, 병과는 기병이며 전법은 파괴력약화다. 특기는 연병과 병기.

삼국지 13에서의 전법은 화계이나 지력이 저 모양이라.... 그래도 어차피 형남에서는 대부분 다 같이 돌대가리들이라 초반에는 쓸 만하다. 특기는 농업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이며 병종 적성은 창병과 기병이 B다. 음성은 어째선지 무례. 훈련 특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아쉽지만 PK로 할 때 훈련 특기를 추가해주고 전수특기도 훈련으로 변경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66, 지력 51, 정치 42, 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모집, 소침,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도발, 친애무장은 형도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모집 개성을 가지고 있어 높지 않은 무력에도 불구하고 병사를 모집하기 좋다. 13편에서도 그렇고 능력치에 비해 과분한 특기를 받은 편. 덕분에 유도 세력은 최강인 한현을 제외하면 조범, 김선보다는 확실히 쉽게 진행할 수 있다. 촉한 후반까지 살아남는 모집 개성 보유자로서 땅이 적은 촉한에 보물 같은 존재가 되어준다.

246. 유화

파일:external/kongming.net/496-Liu-He.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2.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복귀했는데 유우군에서 쓸 수 있는 장수라서 의미가 있지만 그것이 끝.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소심한 얼굴로 두 손을 모은 채 고개를 돌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21/무력 16/지력 59/정치력 68. 특기는 문화 2, 언변 3. 전수특기는 언변이며 전법은 창병수비진. 음성은 보통. 생몰년도가 165~216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생몰년이 알려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어째선지 이상하게도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1, 무력 16, 지력 59, 정치 68, 매력 74이며 개성은 모집, 인맥,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전작에 비해 사망년도가 203년으로 변경되었다.[106]

247. 유훈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iu_Xun_-_Wei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냥 전형적인 원술의 부장으로 등장한다. 물론 능력치도 영 좋지 않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63/지력 35/정치력 25.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조영, 매도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1/무력 64/지력 50/정치력 47/매력 54에 특기는 기술, 일제. 단 2개 뿐. 그런데 지력과 정치력이 전작보다 상승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63/지력 35/정치력 16/매력 32로 전작과 달리 전체적으로 능력치가 하락했는데 특히 지력, 정치력, 매력이 대폭 하락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허리에 대면서 왼손으로 주먹을 쥐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삼국지 11 때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이며 특기는 농업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으로 전법은 화계. 음성은 난폭.

삼국지 10편 때와는 달리 반동탁연합 시나리오부터 군웅할거 시나리오까지도 원술군 소속이 아닌 소패에서 재야로 등장한다. 물론 능력치가 쓰레기급이지만 전법이 괜찮은 편이라 도겸군으로 플레이 한다면 등용을 해서 전투용으로 써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63, 지력 35, 정치 16, 매력 3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저돌, 낭비, 오만,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견제, 업화, 구축, 친애무장은 조조, 황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재야에 나왔던 전작의 고증오류를 이번작에서 원술군에 처음부터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수정했다.

248. 육개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ukai-rotkx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3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승상이라서 지력과 매력이 높은 편이고 특히 정치는 80대 후반에서 90대 초반으로 등장하는 시나리오 기준으론 매우 높은 편. 수명도 길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57/지력 83/정치력 86. 병법으로는 제사, 투함, 정란, 조영, 파괴, 혼란, 배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투함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59/지력 78/정치력 85/매력 73. 정치 85는 253년 시나리오에선 오나라 전체 1위이며, 특기 9개는(농업, 상업, 화시, 고무, 유인, 반박, 군사, 명사, 제독) 할 일이 없는 일기토를 제외하고 골고루 배치되어 있다.

군사, 명사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숨겨진 사기캐. 그나마 통솔이 65로 별로 높은 편이 아니라 사기도가 조금 줄긴 하지만. 군사 특기가 있는 이상 전투에 데리고 가도 어느 정도 몫은 해준다.

삼국지 11에서도 통솔력 65/무력 61/지력 78/정치력 85/매력 73으로 전작과 비슷한 준수한 능력치이지만 문제는 특기가 없다. 그리고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수염이 있는 둥글한 얼굴에다 험상궂은 모습으로 나온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상소를 왼손에 쥐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5/61/79/85로 지력이 전작에 비해 1 상승해 있다. 특기는 상업 5, 농업 1, 순찰 2, 신속 2, 수영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위보. 음성은 어째선지 험상궂어 보이는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61, 지력 78, 정치 85,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숲전, 능리, 친월,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기강화 Lv 4, 진형은 장사, 투석, 전법은 업화, 투석,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등수, 맹종, 혐오무장은 만욱이다. 이번작부터 자신의 동생인 육윤이 추가되었으며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49. 육경

파일:external/kongming.net/lujing.jpg
삼국지 8, 9

삼국지 8 PK와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삼국지 8 PK를 기준으로 가장 늦게 나오는 장수다.

삼국지 9에선 통솔력 72/무력 65/지력 76/정치력 75라는 미친 능력을 자랑한다. 상식적으로 이것을 설명할 근거는 오군 육씨 가문빨 밖에 없다. 게다가 분투, 연사, 투함, 정란, 덫을 가진 B+급 장군으로 나온다.

무력이 10 정도 낮은 걸 제외하면 거의 장억, 장익, 마충과 맞먹는 능력인데, 시대를 고려하면 당연히 희소성 때문에 육경이 훨씬 좋다. 저들이 정사에서나 연의에서나 촉나라의 2세대를 담당한 명장들임에 반해 육경은 행적이라고 해봤자 나라 망하는 전쟁에서 적군을 막아내지 못하고 전사하는 엑스트라에 가까운 인물인데도 능력치가 저렇다.이래서 부모 잘 만나야 한다고 하는건가

250. 육모

파일:육모.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그냥 남자 사람 수준.

육손의 형제인데 불구하고 정규 시리즈에서는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가 삼국지 14에서 정식으로 처음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위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1, 무력 12, 지력 71, 정치 68, 매력 78이다. 개성은 교화,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은 고승,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251. 육손

육손(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52. 육울생

파일:29c709950a7b020888a3cda46cd9f2d3562cc84b.jpg 파일:external/bbsimg.ali213.net/18395294sh4uez97007ws1.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7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된 이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복귀했는데 일러스트는 공통적으로 긴 생머리를 하고 있다.

삼국지 11 콘솔판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2/무력 33/지력 71/정치력 70/매력 80으로 무력과 통솔력은 낮지만 나머지 능력은 대체적으로 준수한 편. 계략의 보조계 특기인 명경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 PK에서릐 일러스트는 왼손을 위로 올리면서 오른손으로 옷깃을 만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22/무력 33[107]/지력 71/정치력 70. 특기는 상업 2, 농업 2, 문화 2이고 병과 적성은 모두 C. 중신특성은 없고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기병선동. 음성은 보통녀.

그런데 출생이 212년이라 사실상 못 볼 때가 훨씬 많다(...). 219년, 군신포위망 시나리오 시작부터 볼 수 있는데, 설정을 잘못했는지 8살인데 오나라에 임관해 있다. 13세에 결혼시키는 집안인데 그 정도야 뭐 어쩔 수 없는 게 저 해가 육울생의 아버지인 육적이 사망한 년도이기 때문이다. 남편 장백이 등장하지 않아서 모든 시나리오에서 미혼 상태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22, 무력 33, 지력 61, 정치 50, 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0, 정치력이 2배나 하락했다. 개성은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녀다.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이지만 정령철저라는 정책 덕분에 초반 선택 시 명령서를 늘릴 수 있다.

253. 육윤

파일:육윤.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검을 뽑으려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60, 지력 73, 정치 66, 매력 70이다. 개성은 숲전, 위무,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세연구 Lv 3, 진형은 학익, 장사, 정란, 전법은 견제, 업화, 혼란, 구축, 친애무장은 손화,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254. 육적

파일:육적.jpg 파일:external/kongming.net/533-Lu-J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41.jpg
삼국지 12, 13
파일:육적(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내정용 문관. 그나마도 박한 평가다. 사실 역사상으로는 젊은 나이에 요절한 거 치고는 업적도 꽤 크고 청렴하고 정직한 성격으로 평가도 높았던 양반인데 정치력은 그렇다쳐도 매력마저도 바닥이다. 이는 연의에서 제갈량한테 항복을 외치는 장면으로 나왔기 때문인 듯 한데 실제로 장소를 포함한 항복론 주장자들은 보즐을 제외하고는 죄다 매력이 낮거나 의리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108] 위에 일화를 코에이가 몰랐던 것으로 보이는데 설령 뒤늦게 알게된다 쳐도 육적 본인이 인기 장수는 아닌지라 반영될 가능성이 극히 적다.

삼국지 5에서는 어째선지, 초기 시나리오부터 등장해서 추풍 오장원까지 생존한다. 수명도 7. 일러스트도 새치가 있는 문관이다.

가히 오나라 버전이자 문관 버전인 요화라고 할 수 있다. 알다시피 육적 본인은 조비마량보다도 나이가 어린데 황건적의 난이 진압될 무렵에 태어났고 손책이 죽고 손권이 뒤를 이었을 때도 아직 미성년이었고 여몽과 같은 해에 죽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무력 6/지력 68/정치력 72. 병법으로는 배반, 매도 뿐이지만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2/무력 7/지력 65/정치력 69/매력 39. 특기는 농업, 혼란, 천문, 반박, 명사. 총 5개다.

명사 특기를 제외하면 쓸 곳이 없지만 특이하게도 오나라에서 감택과 함께 천문 특기를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1에서도 전형적인 후방 문관의 스탯을 가지고 있는데, 특이하게 특기가 풍수다.

풍수 설명에도 나와 있지만, 이 특기는 전방 주력도시에서 빛을 발한다. 영웅집결에서는 엄백호가 있는 오의 재야 장수로 숨어 있다.

삼국지 12 일러스트에서는 회귤유친 고사로 인해 왼손에 을 들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0/7/72/72. 특기는 상업 7, 설파 1, 언변 5, 수영 3. 중신특성은 상업중시로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화염계. 음성은 보통. 뭔가 안 어울리는 특기가 있는데 PK로 한다면 상업을 빼고 대신 농업 특기를 추가해준 뒤, 중신특성을 농업중시로 전수특기를 농업으로 변경해주자.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육적 일러스트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7, 지력 65, 정치 72, 매력 4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 지력이 7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학자,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어린, 충차, 전법은 충차, 구축, 친애무장은 고소, 방통, 우번, 전종,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55. 육항

육항(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56. 윤대목

파일:external/kongming.net/177-Yin-Dam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미욱한 심부름꾼 역할 이상도 이하도 아닌 이미지인데 후기에 등장시킬 장수가 어지간히 없어서 그랬는지 꾸준히 나온다. 첫 등장한 삼국지 4에서는 지력 72도 찍어 봤고,[109] 삼국지 7까지도 지력 69, 매력 73으로 나쁘지 않았지만 삼국지 8부터는 처참한 능력치를 기록하고 있다. 문관이라서 무력과 통솔이 쓰레기인 건 뭐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문관 주제에 지력이 40도 안된다는건 이건 당최 이런 인물을 어디다 써먹으라고 내놨는지도 모르겠다. 어지간한 B급 무관들도 통솔과 무력이 70대에 지력이 50~60인 마당에...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49/지력 69/정치 77/매력 43으로 후기작을 먼저 접한 사람이라면 13에서 백하팔인에 합류한 그 인물과 동일 인물이 맞나 의심스러울 정도로 괜찮은 능력치를 보여준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5/무력 9/지력 33/정치 51의 쓰레기. 병법으로는 배반 하나 뿐이지만 33의 지력으로는 있으나마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무력 10/지력 37/정치 50/매력 56에 특기는 꼴랑 혼란 1개.

삼국지 12에선 오리지널은 물론 PK에서도 안 나오면서 드디어 짤리는가 싶었으나, 대전판에서 부활했다는데 일러스트는 불쌍해 보이는 얼굴을 한 채 고개를 돌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는 매력이 삭제되면서 백하팔인에 합류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9/33/51. 특기는 농업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이며 전법은 창공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 무력 9, 지력 34, 정치 50, 매력 48로 전작에 비해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주의는 명리, 정책은 호적정비 Lv 1,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문흠, 조상, 혐오무장은 사마사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257. 윤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2.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검 손잡이를 잡고 이를 악문 채 돌격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8, 지력 47, 정치 40. 특기는 순찰 1, 신속 1, 견수 1. 전수특기는 견수로 전법은 기병공격진. 음성은 무례.

특이하게도 이상위명이 귀신 으로 정해진 단 3명의 무장 중 하나이긴 한데, 그 3명 중에 능력치가 가장 구리다. 사실상 조운 전용 위명이 귀신인데, 그렇다고 조운만 딱 부여해주면 좀 그러니 생색내기 식으로 부여해준 듯. 플레이어라면 누계 격파 부대수 50을 비롯한 조건들을 채워야 하고, AI 라면 이품관을 찍어야 귀신 위명을 달성 가능한데 능력치가 워낙 낮아 둘 다 보기 힘들다. 물론 플레이어가 재상 위명을 달성하여 품관을 올려준다면 가능. 그러나 의미가 없는 행동이고 절대 귀신 위명빨을 못 받는 능력치와 특기, 전법이다. 생몰년도가 174~222년에 비자연사 설정인데, 아무래도 '윤례=윤로'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8, 지력 47, 정치 44, 매력 4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정치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산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2,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분전, 교란, 친애무장은 손관, 오돈, 장패, 창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65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추행진이 있어서 보급로 끊기가 편하다.

258. 윤묵

파일:윤묵.jpg 파일:尹默.jpg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초기작 때 정치가 80대~90대로 높았지만 후기작부터 유선을 가르쳤다라는 대목 때문인지 능력이 좋게 나오지 않는다. 높았던 정치력은 80이 안되고 지력, 매력은 60대에서 빌빌댄다. 전반적으로 능력치가 곽유지와 비슷하다.

삼국지 3에서는 범용 얼굴임에도 불구하고 능력치가 꽤 좋은데 육전지휘 22/수전지휘 7/무력 20/지력 73/정치력 87/매력 30/야망 3/운 6/냉정 7/용맹 4다.

숨겨진 능력치는 전형적인 문관다운 면모를 보인다. 다만 유장 세력에서 군사라고는 윤묵 본인이 전부이니 울며 겨자먹기로 써야할 판이다. 정치력으로 군사가 되었기 때문에 군사로서 조언은 거의 무시해도 된다.

모바일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45/지력 83/매력 88인 반면 유선은 무력 20/지력 21/매력 18이다. 사용 가능 전술은 간파, 사기, 혼란인데 간파에서 유독 잠재능력을 선보인다.

삼국지 4에서는 이례적으로 정치력이 90이다.

덕분에 초반 유비 시나리오에서 가장 정치력이 높고 후반까지도 유용하게 쓰인다.여담으로 가장 존재감이 있던 시절인데 207년 시나리오부터 유비 진영 군사는 제갈량이고 시중은 윤묵 본인이 있기 때문이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17/지력 73/정치력 85/매력 47로 이상하게 매력만 낮다. 특기는 화계, 혼란, 내분, 기우, 진화, 침착이며 보유 진형은 형액과 방원이다.

전투에는 도저히 쓸 수 없지만 인사담당으로는 굉장히 좋은 인재. 왜인지는 모르지만 전체 장수를 검색해보면 항상 가장 맨 위에 올라와 있다.

삼국지 6에서는 통솔력 19/무력 28/지력 73/정치력 87/매력 38로 정치력 마지막 전성기를 찍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3/무력 17/지력 65/정치력 78이다. 병법으로는 조영, 석병 뿐이다.

능력치는 물론 내정용으로 밖에 못 쓸 정도지만 의외로 꽤 드문 병법인 석병을 가지고 있다. 대신이라고 하긴 뭐 하지만 전장에 들고 갈 수 있는 병법이 하나도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1/무력 15/지력 65/정치력 77/매력 62로 특기는 상업, 석진. 총 2개 뿐. 특이하게 석진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1/무력 15/지력 65/정치 77/매력 62로 특기 발명을 달고 등장한다. 공성 병기를 만든다면 능력치에 비해 의외로 쓸모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고 있으며 지력 66에 정치력 76으로 전법은 지력상승.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6/무력 15/지력 66/정치력 77. 특기는 농업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이며 전법은 동요도발. 음성은 관리. PK로 한다면 농업 특기를 빼고 상업 특기를 대신 추가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1, 무력 15, 지력 65, 정치 76,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석병, 학자,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정란, 투석, 전법 역시 정란, 투석, 친애무장은 송충,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59. 윤상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Yin_Shang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좋지 않다.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1/무력 54/지력 60/정치력 67의 문관.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매도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46/지력 57/정치력 68/매력 53에 특기는 보수, 화시. 총 2개 뿐.

볼 거 없는 능력치 중에서도 40대로 제일 허접한 게 통솔력, 무력인데 특기라고 준 거 조차 의존하는 능력치가 저거니 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허리에 댄 채 어두운 얼굴을 하고 있다.

가장 높은 지력, 정치력이 60대라는 저조한 능력치로 등장하며 전법 또한 궁공격강화로 쓸 일이 없는 무장. 내정이나 시키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1/44/62/66. 특기는 교섭 2, 언변 1. 전수특기는 교섭이고 전법이 창방강화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46, 지력 60, 정치 66, 매력 53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한 대신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법률, 주의는 왕도, 정책은 호적정비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화시, 매성, 친애무장은 강유, 양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60. 윤씨

파일:20c8dd3d70cf3bc76d77a5b3c600baa1cc112abf.jpg
100만인의 삼국지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윤씨(尹氏)라는 이름으로 등장.

261. 윤직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4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단지 반란을 일으키지 말라고 조언했다는 이유만으로 지력 70대를 찍었다. 공손연가범 다음에 가는 최고의 모사로 시리즈에 따라 종종 군사가 된다.

삼국지 5, 삼국지 6에서는 공손연의 독립 이벤트로 인해 가범과 함께 공손연을 말리다가 죽는 역할로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1/42/70/63. 병법으로는 기사,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후속작인 삼국지 10과는 달리 가범보다 많이 처지며 주사도 없고 기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모략이나 책략계 병법이 없어 저 70이란 지력을 써먹지를 못 한다... 사실 가범도 모략이나 책략계 병법이 없지만 무력 59의 주사와 무력 42의 기사의 차이는...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7/39/74/63/62에 특기도 5개(농업, 진정, 반목, 저지, 군사) 밖에 없지만 그 중 하나가 무려 군사 특기다.

물론 지력이 74라 조언 효과는 크게 기대하기 힘들고, 통솔도 47이라 전투에서의 활용도도 그리 크진 않지만 인재가 부족한 공손연군이라 그래도 얘라도 쓰는 게 낫다.

그리고 수많은 무장들이 짤린 삼국지 12에서도 살아남았다!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친 채 올리면서 반란을 일으키려는 공손연을 말리기 위해 간언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6/42/73/64. 특기는 교섭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교섭이며 전법은 궁방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6, 무력 42, 지력 72, 정치 64,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주의는 할거,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혼란,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62. 윤해

파일:윤해.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창을 든 채 무서운 얼굴을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4, 무력 56, 지력 42, 정치력 44, 매력 43이다. 개성은 직정, 주의는 할거, 정책은 병참개혁 Lv 1, 진형은 어린, 전법은 철벽,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61년, 몰년은 204년까지 되어있다.

잡무관이지만 병참개혁 정책 덕분에 선택했을 때 군량 소모를 줄일 수 있다.

263. 은관

파일:은관.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25, 지력 63, 정치 69, 매력 58이며 개성은 능리,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진흥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도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책사남.

264. 은례

파일:은례.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점술 도구를 두 손으로 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5, 무력 14, 지력 72, 정치 63, 매력 64다. 일러스트 대로 개성이 점술이며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혼란, 도발, 친애무장은 고소, 조달,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265. 은번

파일:은번.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18, 지력 67, 정치 67, 매력 69다. 개성은 선동, 법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진흥 Lv 2, 진형은 장사, 충차, 전법은 혼란, 충차, 친애무장은 주거, 학보, 혐오무장은 반준, 양도다. 어투는 책사남. 생년은 195년, 몰년은 233년까지 되어있는데 역사와는 달리 생년이 209년으로 설정되지 않았다.

266. 은서

파일:은서14.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서성 일러스트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68, 지력 37, 정치 41, 매력 42다. 개성은 위무, 저돌, 주의는 할거, 정책은 봉시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대갈, 친애무장은 조엄, 주개,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267. 음기

파일:음기.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불쌍한 얼굴로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2, 무력 27, 지력 64, 정치 75, 매력 65, 개성은 논객,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업화,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생년은 152년, 몰년은 206년까지 되어있고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고 일기토에 휘말리기 쉬운 어린 진형 밖에 없어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여담으로 교활남 어투 보유자 중에서 매력이 제일 높다.

268. 응소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5.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자신이 저술한 풍속통의로 추정된 작품을 든 채 손으로 턱을 잡고 고심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26, 지력 72, 정치 76. 특기는 상업 2, 농업 1, 문화 5, 교섭 1. 전수특기는 문화이며 전법은 창공약화.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46, 지력 73, 정치 67,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배인 20,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5, 정치력이 9 하락했다. 개성은 문화, 위무, 학자,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제사, 업화,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연주 쪽 도시가 줄어들어서 유대의 세력에 소속되어 있다.

269. 응창

삼국지 7에서 한시대회에서 시를 평가하는 역할로 나온다.

270. 이각

이각(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71. 이감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38.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9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취급은 좋지 않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110]

삼국지 6에서 다른 관중 10장들은 나오는데, 후선과 함께 안 나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70/지력 32/정치력 38. 병법으로는 돌진, 정란 뿐이다.

비참한 죽음 때문인지 궁기병계 병법 숙련도도 0. 당연히 병법도 없다. 마완, 장횡과 함께 마등, 한수의 장수 중에서는 좀 드문 케이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67/지력 33/정치력 36/매력 34의 낮은 능력치에 특기는 돌격, 기합. 총 2개 뿐.

마등군은 무력 돼지들도 넘쳐나는데 이런 녀석 쓸 일은 없다. 그런데 기본팔기 중에서 특이하게 주량이 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69/지력 33/정치력 37/매력 45로 무력만 조금 높은 잉여 무장이다.

특기는 없고 병과 적성은 기병 A, 극병 B를 제외하고는 모두 C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채 오른손으로 커다란 도끼를 들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연전이고 전법은 궁속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8, 지력 33, 정치 36, 매력 45로 전작과 달리 무력과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패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저지, 매성, 친애무장은 정은, 후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72. 이구

파일:external/kongming.net/liqiu.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71/53/58.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투석, 배반을 가지고 있다.

출생년도는 227년으로 설정되어 247년부터 재야 장수로 건녕에 등장한다. 숙부 이회에 비하면 무력은 높지만 나머지 능력치와 병법은 영 좋지 않게 등장한다.

273. 이규

삼국지 2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는 시나리오 1 때 초에서 재야로 등장하는데 그것도 부하 장수가 1명도 없는 공주가 지배하고 있는 도시다. 공주군에서는 이규 본인을 먼저 등용하고 나서야 빛을 발휘한다.

274. 이몽

파일:이몽.jpg
삼국지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58, 수지 23, 무력 65, 지력 57, 정치 42, 매력 25.

기본적으로는 무관이지만 전장에 내보낼 수준이 안 되니 문관으로 바꾸고 내정에 힘을 보태게 하는 편이 훨씬 낫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허리에 댄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도끼를 든 채 어깨에 메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66, 지력 33, 정치 16, 매력 34다. 개성은 저돌, 경솔, 주의는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생년은 151년, 몰년은 192년까지 되어있는데 연의, 정사 둘다 해당되는 기준인 사망년도가 195년이 아닌 192년이라서 고증오류로 보이며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275. 이밀

파일:이밀.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책상 위에 놓여있는 죽간에다가 오른손에 든 붓으로 글씨를 쓰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4, 무력 6, 지력 65, 정치 71, 매력 58이며 개성은 일러스트대로 문화, 능리,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사마염,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석감과 더불어 둘 뿐인 진나라의 추가 인물이다.

276. 이별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며 삼국지연의의 경우처럼 이별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277. 이보

파일:external/kongming.net/lifu.jpg
삼국지 9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5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67/57/47.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뿐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허리에 댄 채 얼굴을 찡그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61/67/57/47. 특기는 문화 2, 공성 3, 견수 1. 전수특기는 공성이고 전법은 창방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4, 지력 52, 정치 35, 매력 3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지력이 5, 정치력이 12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명리,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혼란, 도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78. 이복

파일:이복.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41, 지력 62, 정치 68, 매력 65다. 개성은 조달, 능리, 주의는 예교, 정책은 운반개발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고 생년은 177년, 몰년은 238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어투는 보통남.

279. 이봉

파일:이봉.jpg
삼국지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창을 든 채 당황해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5, 지력 38, 정치 49, 매력 54다. 개성은 단려,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공법개혁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경파, 친애무장은 설란,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난폭남. 생년은 157년으로 되어있다.

잡무관이지만 동료 설란과는 달리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이각의 부하로 소속되어 있는데 자신을 싫어하는 이전과 함께 있는 상태다.

280. 이부

파일:external/kongming.net/539-Li-F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58.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1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조조를 기만한 어찌보면 기념비적인 인물인데도 그 외엔 이렇다할 행적이 없어서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 그 때문인지 가끔씩만 등장하는데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1/36/74/73/69의 평범한 문관에 특기는 없으며 상성은 원소 쪽이다.

아쉽게도 딱 알맞는 특기인 비책은 부여받지 못했다. 또한 70여세까지 생존한 정사와 달리 210년에 49세로 자연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올린 상태에서 심배에게 계책을 제안하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통무지정 순인 31/36/74/73. 특기는 상업 1, 농업 3, 설파 2.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웬일인지 전장에서 쓸만한 속방지휘다.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1, 무력 36, 지력 74, 정치 71, 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절약, 능리,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저지, 치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281. 이붕

삼국지 4, 삼국지 5에서 등장한다.

삼국지 5의 열전에서 이붕을 죽인 부첨이 부검으로 오타를 냈다.

282. 이섬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육지 62/수지 25/무력 78/지력 59/정치 50/매력 33으로 삼촌인 이각에 비하면 괜찮은 능력치를 받았다.

무력과 육지의 합이 140으로 준수한 편이라 잡무관으로 좋은 편이며 정치력이 완전 바닥을 기는 것도 아니라서 장수수색 셔틀이나 밀정으로도 쓰일 수 있다.

283. 이소

파일:이소.jpg
삼국지 14

이조와 함께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형과는 달리 관모를 쓴 채 왼손을 펼치면서 위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4, 무력 28, 지력 68, 정치 64, 매력 71이다. 개성은 명성과 능리, 주의는 형과 같은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88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284. 이숙

파일:Li_Su_(ROTK11).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5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환지계 관련 이벤트에서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능력치 선정이 매우 미묘하여 무관으로도 문관으로도 분류하기 애매한 편이다. 통솔은 40대, 무력과 지력은 60대, 나머지는 30대 이하의 능력치로 나온다. 임기응변을 보면 변설 특기를 받을 수도 있었겠지만, 변설은 고사하고 특기조차 하나도 없는 경우가 많다.

여포를 배반하게 만들고 동탁을 변설로 속인 부분에서 지력이, 용맹이 뛰어난 동탁을 벤죽이진 못했지만 부분에서 무력이 높게 평가되고, 폭군 동탁의 신하로 있다가 개인적인 이유로 배신을 했기 때문에 정치력과 매력이, 우보에게 패한 것 때문에 통솔력이 각각 낮아져 문관도 무관도 아닌 이런 이상한 능력치가 되어버린 듯 하다. 무관에 특화시켰어도 사망한 이유부터가 우보를 토벌할 때 토벌에 실패해서 여포에게 처형당한 것이니 별 활약도 없는 패장인 이상 후한 능력치를 받지 못할 것은 분명한 노릇.[111]

삼국지 5에서 시나리오 2에서 장안천도 이벤트를 보고 192년 연환계 이벤트의 발생조건으로 왕윤, 여포, 이숙 본인이 필요하다.

물론 동탁으로 플레이 시에는 연환계 이벤트는 보지 않는게 좋다. 연환계 이벤트를 피하려면 왕윤, 여포, 이숙 중 1명을 추방시키면 되는데 여포는 말이 필요없는 사기 캐릭터라서 내보내면 절대 안 되고 왕윤도 정치력이 우수한 문관이라 내보내면 곤란하니 십중팔구 이숙을 추방시킨다. 물론 시작부터 장안천도 이벤트만 거부하면 연환계 이벤트는 아예 발생하지도 않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68/지력 61/정치력 17. 병법으로는 돌파, 혼란 뿐이다.

무장과 책사 양면으로 활약할 수 있긴 한데 두 쪽다 참 한심하다. 특히 모략계 병법 숙련도는 0.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61/지력 64/정치력 30/매력 26에 특기는 상업, 반목, 간첩. 총 3개.

여포를 끌어들인 걸 반영한 듯한 능력치와 특기인데, 그래봤자 능력치가 구린 이상 별 쓸모는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6/69/59/15/36에 병과 적성은 기병만 B. 특기는 당연히 없고 친애무장으로 여포가 있다.

삼국지 12부터 일러스트가 관복을 입은 문관 이미지로 등장하는데 자세히 보면 찌질한 얼굴을 한 채 두 손을 모으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6/69/61/45. 특기는 설파 1, 교섭 1.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창공약화.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비교적으로 상향되었다. 여담으로 음성이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정중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67, 지력 60, 정치 30, 매력 2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이 2, 지력이 1, 정치력이 15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나약,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2, 진형은 봉시, 안행, 전법은 연노, 도발, 친애무장은 여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와 맞게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285. 이승

파일:external/kongming.net/541-Li-She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5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문관이지만, 사마의에게 크게 낚인 호구라서 정치에 비해 지력이 매우 낮게 나온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3/23/29/72. 병법도 조영 밖에 없으니 내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3/26/32/71/55에 특기는 상업, 반목. 총 2개. 후방에서 상업 셔틀로나 쓰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2/22/29/69/51인데 더 안 좋아졌다. 물론 하후무 따위보단 훨씬 좋지만.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주먹을 쥐고 있는데 사마의의 가치부전에 넘어가 해 맑게 웃는 장면이다. 능력치는 삼국지 11 시절과 같다. 특기는 상업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상업이고 전법은 기공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정중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22, 지력 29, 정치 69,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소심, 우유,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병기강화 Lv 1,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투석, 친애무장은 제갈탄, 조상, 필궤, 하안, 하후현, 혐오무장은 사마의다. 전작에 비해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286. 이씨

파일:0c3aefedab64034fc51930b0b8c3793108551df5.jp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ishi_%281MROTK%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71.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된 이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복귀했다.

삼국지 11 콘솔판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4/무력 18/지력 68/정치력 74/매력 78로 남편 마막보다 모든 능력치가 더 높다. 심지어 무력마저도.

특기가 효율성 바닥인 노발이라 미묘하지만 정치력과 매력이 70대이므로 인재가 드문 후반에는 후방 지역의 내정용으로 쓸 만한 인재. 당연히 남편과 달리 의리도 최고 수준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항복을 하려는 남편 마막에게 쓴소리를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34/무력 18/지력 68/정치력 74이고 중신특성은 없다. 병과 적성은 C/C/B. 특기는 상업 1(마막 인연 효과), 농업 1, 언변 3. 전수특기는 언변이고 전법은 고무.[112] 음성은 현명녀. 참고로 이 게임의 여성 사실 무장 중 가장 출생연도가 늦다. 그 다음은 왕원희.

삼국지 14에서는 조씨정의 등장(225년생으로 2년 어리다)으로 여성진 막내에서 벗어났지만 등장시기는 오히려 1년 늦다(...).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12, 지력 66, 정치 70, 매력 7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9, 무력이 6, 지력이 2, 정치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노발 하나 뿐이라 전투에는 써먹을 순 없지만, 등장 시기를 생각한다면 지력과 정치력, 매력이 꽤 괜찮은 수준이라 지역담당관으로는 상당히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다.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매성으로 특히 남편에 비하면 엄청 쓸만하다(...)[113]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고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현명녀다.

287. 이악

파일:이락.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삼국지 3에서 두음법칙의 잘못된 적용 때문에 이악으로 오역되어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2, 수전지휘 27, 무력 80, 지력 54, 정치 47, 매력 39다.

무력이 80이나 되지만 수전과 매력이 개판이라 무력이 높은 편인데도 장군은 되지 못한다. 육전지휘와 수전지휘를 다 합쳐 73씩이나 올려야 하니 아예 수전지휘를 100으로 꽉꽉 채우거나 육전지휘를 100으로 만들고 수전지휘를 62로 만들든가 해야 장군이 될 수 있다. 밸런스를 맞추려면 육전지휘 90에 수전지휘 72(또는 육전 72 수전 90) 정도 되어야 하는데 이러면 육전 또는 수전으로 따지자면 손견 내지는 하후돈과 동급인 실로 탄탄한 통솔력을 지닌 장수가 된다.

삼국지 14에서도 이락이 아닌 이악으로 표기되었고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창을 든 채 소리치면서 요격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70, 지력 36, 정치 13, 매력 17이다. 개성은 공명, 적도, 탐욕, PK에서는 강탈과 난폭이라는 개성들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화시, 견제, 친애무장은 한섬, 혐오무장은 동승이다. 어투는 난폭남.

288. 이엄

파일:삼국지3이엄.png
삼국지 3
파일:Li_Yan_2_(1MROTK).png 파일:이엄11.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50.jpg
삼국지 12, 13
파일:이엄(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의에서 제갈량육손을 막아낼 수 있다는 평을 했고 황충과 대등하게 일기토를 한 전적으로, 무력이 80대 중반에 지력, 정치는 70대 중반인 출중한 능력치를 가진다. 열전에도 육손에 버금갔다는 말은 꼭 들어간다. 다만, 제갈량에게 손권이 쳐들어간다고 거짓말을 했기 때문인지 매력이 매우 낮은 능력치로 나온다. 물론 같은 만능형인 강유에 비하면 정치빼고 낮지만. 또한 앞의 평은 근래의 후기작에서의 이야기고 초기작에선 오히려 매력은 어느 정도 되면서 정치가 낮았다가 이후 정치와 매력이 맞바뀐 듯한 능력치로 나오고 있다.

삼국지 1에서는 마치 삼국지 3에서의 서성과 마찬가지로 스텟이 암울할 정도로 처참하게 낮다. 여기서만 유일하게 백하팔인이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5/지력 74/정치력 54/매력 71/육지 72/수지 70으로 평범한 장수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6/지력 80/정치력 44/매력 72으로 드디어 엄청나게 쓸만한 장군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7/지력 82/정치력 41/매력 80이다.

익주 장수답게 장사진형을 가지고 있고 촉 장수 중에서 드물게도 추행진행을 가지고 있는 게 장점. 기본 지력도 높은데 침착 특기까지 있어 책략에 잘 안 걸리며 무쌍, 응사, 토석 등의 특기가 있어서 방어전에서 상당히 강력하다. 활용도에 따라서는 장비, 관우보다 더 좋을 수도 있다.

삼국지 6에서는 통솔력 80/무력 84/지력 81/정치력 48/매력 78으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3 떨어졌지만, 나머지 능력치는 약간 올랐다.

꿈은 패권이라서 본 시니라오나 짧은 시나리오인 "제갈량의 북벌"에서 황제들이 이엄 본인을 추방하라고 명령이 나오면 로드신공하거나 무시해서 황제가 되어보자.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5/지력 82/정치력 80/매력 68로 이번작부터 정치가 크게 상향되었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6/지력 75/정치력 80/매력 74.

능력치가 고루 높고 전법도 돌격 3, 난격 4, 교란 3, 낙석 3, 공성 3으로 알차게 가지고 있어서 다방면에 활용도가 높아 유장 세력과 후기 촉나라의 희망이 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1/무력 83/지력 72/정치력 74로 병법으로는 분투, 연사, 조영, 혼란을 가지고 있지만 그 정도의 능력치라면 분신, 연노를 배워서 휼륭한 전투 만능형이 될 수 있다.

다만 의리가 약간 낮아서 이간에 쉽게 걸리는 것이 문제이지만. 초기 시나리오에선 감녕과 함께 완에 재야로 있어서 약소 세력의 희망이 된다. 원술이 완을 점거하고 있는 190년 시나리오에선 역시 완에 재야로 있는 황충, 감녕과 함께 원술군 에이스로 활약할 수 있으며 194년 시나리오에선 완이 공백지니 어느 군주로 하든 일단 완에 탐색을 보내 감녕과 이엄을 등용하는게 좋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83/지력 80/정치력 81/매력 52로 특기가 13개다.(농업, 기술, 보수, 치안, 일제, 진정, 저지, 지리, 회복, 반격, 역공, 삼단, 주호)

삼국지 8에서 74였던 매력이 이 시리즈부터 눈에 띄게 하락하였는데 매력을 제외한 모든 능력치가 80대라 여러 방면에서 두루 활약할 수 있다. 내정, 전투 양쪽으로 유장군의 에이스급이며 유비군에 들어가서도 제 몫을 할 수 있는 장수라고 할 수 있다. 단, 지력이 80이나 되면서 설전 특기는 전무하다.

삼국지 11에서의 통솔력 83/무력 84/지력 75/정치력 74/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가 깎였다. 능력치 총합은 368로, 손례와 함께 공동 71위에 랭크되어 있다. 특기는 극장인데 노병 적성이 S에 정작 극병 적성은 A인 매우 특이한 능력치를 갖고 있다.

극장 특기 중 무력 2위이므로 후기 시나리오에서는 웬만한 적에게 다 크리티컬이 터진다. 노병 적성 S 덕분에 여차하면 노병으로 출진할 수도 있다. 특기와 적성 배분이 어울리지 않아 애매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노병 적성 S 덕분에 빠르게 토루를 이용한 기교작업을 시작할 수 있으며 영웅집결에서는 유비로 플레이 시 재야에 이엄이 등장하자 마자 관우를 보내면 바로 등용할 수 있다. 애초에 극장을 가진 장수 중 적성 S인 장수는 진무 뿐이며, 진무에 비해 무력 이외의 모든 능력치가 훨씬 높아 극병 적성 S인 부장만 붙여 준다면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굉장히 좋은 장수다. 게다가 촉나라는 유비입촉에서는 사마가, 남만정벌에서는 관흥이라는 아주 적절한 부장 후보가 존재한다. 몇 년 전장에서 굴리다 보면 극병 적성이 S로 상승하므로 단독 활용도 가능하다. 지력도 75로 적절하여 PK라면 지력 육성 한 번만 해 주면 지력이 80으로 상승하여 굳이 지력 보충용 부장을 달 필요가 없어진다.

삼국지 12에서 갑자기 촐싹대는 이미지로 나오는데 자세히 보면 병을 밧줄에 묶은 채 메고 있으면서 병서를 들고 있다. 이전 시리즈의 일러스트를 보다가 이 버전을 보면 대략 할 말이 없다.

능력치는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올랐다.[114] 이엄이 가진 내정 특기로는 경작, 감시, 보수 3가지가 있고 전투 특기는 원사 하나밖에 없다. 전법이 대타격이고 무력도 꽤 높아서 양민학살에 도움이 된다. 유장 세력의 에이스들이자 B+급 장수들인 엄안, 장임과 더불어 전투 특기가 원사 하나밖에 없지만 3명 다 통솔력, 무력이 80대이고 지력이 70대, 병종이 궁병이라 성을 수비할 때 좋다. 그렇지만 엄안, 장임은 연병 특기가 있어서 모병에 쓸만하지만 이엄 본인은 연병 특기가 없는 것이 흠이다. 전작들에서 이엄의 매력이 낮았던 것을 반영하여 그에게 연병 특기를 안 줬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엄의 무력을 90으로 올린 다음 전투로 피해를 본 도시의 순찰국에 배속시키면 그가 가진 감시, 보수 특기 덕에 매우 좋다. 본작에서 유비로 플레이할 시 창병을 지휘하는 무장들[115]은 많고 유비군 S급 무장인 관우, 조운, 마초의 병종이 기병이지만 궁병을 지휘할 타자가 황충, 제갈량 밖에 부족해서 뭔가 아쉬웠다. 그러나 후기 시나리오에서 이엄, 엄안을[116] 얻게 되면[117] 성도에서 연노를 제작하고 제갈량, 황충, 이엄, 엄안 등에게 연노를 장착하고 전투에 나서면 든든하다. 여담으로 AI 들은 무력 + 10 짜리 최강보물인 참사검을 얻었을때 부하로 이엄이 있으면 백이면 백 이엄을 준다.

삼국지 13에서는 통솔력 81/무력 80/지력 76/정치력 74로 능력치가 하향되었는데 통솔력이 2, 무력이 4 하락했다. 특기는 상업 1, 훈련 4, 순찰 5, 신속 1, 연전 5, 중신특성은 궁술조련으로 전수특기는 순찰이다. 병종 적성은 창병 B, 기병 C, 궁병 A. 전법은 자신의 공격과 사정거리를 올리는 강궁이다. 음성은 청년. 여담으로 이번작까지 출생년도가 172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전작보다는 성능이 떨어졌지만 그냥 있으면 나쁘진 않은 수준이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84/지력 76/정치력 74/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무력이 4 상승했는데 삼국지 12 때의 능력치로 돌아왔다. 개성은 견수, 축성, 운반, 법률, 오만, 주의는 패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4, 진형은 어린, 안행, 학익, 정란, 전법은 화시, 연노, 철벽, 매성, 정란, 친애무장은 맹달, 비관, 유비, 제갈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68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289. 이유

파일:삼국지3이유.png
삼국지 3
파일:Li_Ru_3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544-Li-Ru.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51.jpg
삼국지 12, 13
파일:이유.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동탁군 넘버 1, 2를 다투는 모사. 동탁이 조정을 장악하기 전인 시나리오 1에선 이유 빼고는 지력 높은 장수 찾기가 힘들고, 동탁이 조정을 장악해서 하진군 장수들을 흡수한 이후엔 가후, 순유에 약간 밀리는 편이지만 그래도 90 초반의 지력이라서 쓸 만하다.

연의 기준 반동탁연합군을 와해시키고 그 조조를 계략으로 패배시킨 인물이라 항상 90대 초반의 높은 지력을 부여받고 있다. 책략만 강조되어서 정치력은 70대로 글쟁이급이며 매력은 당연히 바닥에 전법이나 특기 면에서 다소 부실한 점이 있지만 시스템상 90대 초반의 지력 자체가 도움이 될 때가 많고, 영웅집결 같은 시나리오에서는 상기한 가후나 순유가 없기 때문에 동탁군에서는 없어서 안 될 소중한 A급 참모가 된다.

설정으로 확인해보면 간신배스러운 일러스트와는 달리, 괴리감을 느끼게 할 정도로 의리도가 보통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아 배신을 잘 안 한다. 연의에선 동탁에게 충성을 다하다가 왕윤에게 죽었으니 이해가 안 가는 건 아니다. 한나라 입장에서 보면 저만간 간신이 없다고 생각할 법 하지만 동탁 입장에서는 낙양 입성 등 온갖 책략을 보여주며 자신을 도와줬기에 이 만한 충신이 없기 때문.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27/지력 91/매력 43.

같은 동탁군인 가후(지력 95)에게 밀리는 감이 있지만, 그래도 지력이 90이 넘기 때문에 내정으로 쓰기 알맞다. 게다가 멍청이들로 가득한 동탁군이기 때문에 이유 같은 장수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다.

삼국지 3에선 지력 90에 정치력 72, 육전지휘 77로 태수로 굴려도 좋고 군사로도 A급이지만 가후가 동탁의 부하인 관계로 담당 군사로 쓰기엔 좀 뭐하다.

처음에는 동탁과 같이 11. 낙양에 있고 가후가 '13. 장안'에 있는데 둘이 위치를 바꾸거나 해서 난감한 입장이다. 뛰어난 군사인 건 맞지만 가후의 그늘에 가려 빛을 못본다.

삼국지 5에서의 지력은 91. 어차피 다른 능력치는 볼 것 없고 지력 하나로 먹고 사는 전형적인 모사형 장수.

딱히 정치력을 발휘한 모습은 연의에서 나타나지 않으나, 억지로 정치력을 대폭 상승해주었기 때문에 군사 신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력이 너무 낮고 특기가 별로라 전투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2만 병력을 가질 수 있는 군사들은 대부분 이유보다 성능이 좋다. 시나리오 시작 시 동탁의 참모로 있지만, 제2 시나리오인 '낙양 불타오르다' 시나리오에서는 동탁 세력 내에 지력 97의 가후도 있고, 순욱이나 곽가와 같은 최상급 지력을 가진 인물들이 재야로 돌아다니므로 이들이 동탁 세력권으로 들어올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유는 평범한 계략담당관 신세가 되기 일쑤다. 상성이 매우 특이한 편인데 자신의 주군인 동탁은 상성이 1이지만 이쪽은 원술이나 장수처럼 140이 넘어간다. 물론 환형 구조라서 동탁하고는 겨우 1~2 정도밖에 차이가 안나니 같은 상성이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61/무력 29/지력 94/정치력 70의 능력치를 가진 A급 책사로 등장한다.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조영,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으며 모략계 병법 숙련도도 높은 편.

연환지계 이벤트를 보고 난 뒤에는 동탁, 동민과 함께 바로 저 세상으로 떠난다.

삼국지 10에선 통솔력 66/무력 29/지력 93/정치력 76/매력 35의 능력치에 특기는 무려 14개.(상업, 기술, 화시, 진정, 은밀, 반목, 유인, 혼란, 지리, 위압, 반박, 도발, 군사, 간첩)

군사 특기를 보유하고 통솔력이 66이라 전장에서 쓰기도 좋고 상업, 기술 특기가 있으니 내정용으로도 좋다. 문제는 명사 특기가 없고 무력이 바닥이라 직접 플레이 시엔 도적들이 매우 귀찮다. 간첩 특기가 있으니 도망치기가 가능하긴 한데, 문제는 이게 실패 위험이 있고 실패할 경우엔 전 재산을 털린다. 의리가 여기선 보통이긴 한데 개인궁합(98), 세력궁합(1)이 완벽하게 동탁과 일치하는지라 동탁을 배신할 일은 전혀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26/지력 93/정치력 75/매력 38이고 특기는 징수다.

동탁의 징세와 합쳐져서 초반부터 전쟁준비를 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효과를 낸다. 시나리오 1에서는 동탁군 최고의 모사지만, 동탁이 낙양을 장악한 시나리오에는 가후와 순유가 있어서 중요도가 감소한다. 물론 쓸만한 책사라는 건 변함이 없고 친애무장에 동탁이 들어가서 동탁을 배신할 일이 없다고 무방하다.

삼국지 12에서는 동탁의 명령으로 소제를 독살하기 위해 오른손에 독약을 든 채 준비한 모습이 일러스트로 나왔는데 저 늙어 보이는 얼굴은 《후한기》를 반영한 것.

전법은 매복지독. 주위 적에게 지력차 대미지를 입히며 전투력 하강까지 부여하는 무서운 전법이다. 매복지독 보유자 가운데 지력이 가장 높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전작과 동일하며 능력치는 통솔력 31/무력 26/지력 93/정치력 75를 지닌 지력 A급 문관에 중신 특성은 적중작적을 가지고 있다. 보유 특기는 상업 3, 설파 8, 언변 6으로 전수특기는 설파다. 보유 전법은 선동, 범위 내의 적군 방어력과 사기를 하락시키는데 PK에서는 전법이 단일도발로 바뀌어 있다. 음성은 관리.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 동탁이 승상의 작위에 있기 때문에 군주 하위 품계의 관직을 줄 수 있는 이번작 특성상 이유의 지력 스탯이 관직의 영향으로 100을 넘어간다. 이유로 할 경우 연환계 이벤트가 벌어지지 않고, 부자연사 판정이라 212년까지 살 수 있긴 한데 어째 인연무장이 하나도 없고 장인인 동탁과도 인연이 맺어져있지 않아 인연맺고 다니기는 조금 귀찮은 편. 종합하면 지력이 높고 시작부터 군사중신으로 굴릴수 있긴 한데 특기, 특성이 구려서 애매한 장수. 동탁군 소속이라 군사중신으론 가후, 순유를 쓰면 되기 때문에 임무장 2개의 군사라는 장점이 티가 안난다. 그나마 컬렉션 과제중에 적중작적 성공시키기는 젤 편한 편. 시작부터 군사중신에 지력도 높아서 반동탁연합군 시작 직후엔 충성도가 낮은편인 마등군의 염행 등을 노리면 높은 확률로 성공시킬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관모를 쓰고 어두운 이미지에다가 간사한 얼굴을 한 채 오른손을 올려서 동탁에게 계책을 올리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통솔력 61/무력 26/지력 93/정치 75/매력 35로 잡혀있는데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배인 30 상승했다. 개성은 혼란기간 증가인 선동, 11 당시 특기를 그대로 가져온 징세, 계략 커맨드에서 효율이 좋은 책사와 내정 제안에 많이 등장하는 지낭의 파란색 개성 4개와 영토 점령범위 확대에 필요한 병사 요구량이 증가되는 적색 개성인 악명의 총 5개 개성을 부여받았다. 주의는 명리, 정책으로는 지세연구 5단계가 있는데 정황상 장안 천도 당시 형양에서 서영을 비롯한 장수들을 매복배치했던 것을 토대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진형은 안행, 방원, 정란, 충차, 전법으로는 짐독, 업화, 매성, 정란이 있으며 이 중 고유 전법인 짐독은 소제, 하씨에게 독으로 죽였던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전법명이고 상대에게 피해를 줌과 더불어 모든 상태이상을 주는 이유의 전용 전법이다. 친애무장은 동탁, 혐오무장은 초선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290. 이의기

파일:삼국지3이의.png
삼국지 3

삼국지 3에서는 나그네로 나오며. 성의 내정 정보를 알려준다. 혹은. 아군 무장을 죽이기도 한다. ○○님 께서는 북두신에 홀리신 모양이시군요 or ○○님껜 죽을 상이... 아까운 사람인데... 이 말을 보고 난 이후에 다음 계절에는 수명에 관계없이 무조건 사망한다. 주 대상은 범용 얼굴을 가진 장수이거나 원윤, 미방 등 고유얼굴이 있어도 비중이 적은 장수들이다.

291. 이이

파일:삼국지3이이.png
삼국지 3
파일:Li_Yi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521-Li-Y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3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사정과 마찬가지로 무력이 70대인걸 제외하곤 별로 볼 게 없으나, 삼국지 3에서는 무력이 80인데 큰 의미는 없는 게 삼국지 3에서는 개나소나 다 무력 80이다.[118] 여담으로 삼국지 7부터 삼국지 10까지의 일러스트는 잘생긴 미남으로 나와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60, 수지 45, 무력 80, 지력 24, 정치 18, 매력 40으로 무력이 좋은 편에 속하는데도 장군이 되지 못한다.

시나리오 1에서는 장사에 재야 무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견이 캐서 쓰면 좋다...만 능조가 더 좋아서 묻힌다. 부족한 육전지휘 및 수전지휘가 55. 참 심각하다. 차주같은 어중이 떠중이 장수도 되는 장군이 되질 못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76/28/25. 병법으로는 돌파, 제사, 몽충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2/77/21/18/17. 특기는 돌격, 저지, 역공, 삼단. 총 4개다.

전형적인 무력 돼지인데 특기도 일기토 쪽에 몰려있다. 그래도 통솔이 약간이나마 있어서 무력 말고는 백하팔인이 되어버리는 진짜 무력돼지인 호거아보다는 좀 나으려나? 대신 호거아는 무력이 80을 웃돈다.

삼국지 11에서부터 일러스트가 수염을 단 채 입을 벌리는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었고 거기다가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역시 험상궂은 모습을 한 채 두 손으로 도끼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입을 벌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77/19/18. 특기는 훈련 2, 순찰 3, 공성 1, 수영 5. 전수특기는 수영이고 전법은 창병속공진.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77, 지력 20, 정치 18, 매력 21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숲전, 저돌,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대갈, 구축, 친애무장은 담웅, 사정, 손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292. 이적

파일:삼국지3이적.png
삼국지 3
파일:Yi_Ji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0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알려진 직함이 소문장군이어서 그런지, 초기 작품에선 통솔이 그럭저럭 높은 수준이었으나 시리즈가 지나면서 통솔력이 잉여가 되었다. 전반적으로 지력은 80전후, 정치는 85전후의 훌륭한 문관이며 매력도 비슷한 수준으로 등용 측면에서도 나쁘지 않은 편.

통솔력 개념이 처음으로 등장했다고 할 수 있는 삼국지 3에선 육전 72/수전 70으로 꽤 괜찮은 능력치를 받았다. 여담으로 삼국지 3 DOS용에서는 유적이라 오기되었다.

하지만 삼국지 4에서는 전작과 달리 통솔이 57로 떨어졌다.

삼국지 5에서는 정치력과 매력이 80대여서 인사, 외교에 적합하다. 통솔이 없어졌는데 무력은 크게 나아지지 않은 27이라 전투에선 써먹을 수가 없다.

통솔이 부활한 삼국지 6에선 4와 비슷하게 통솔이 55다.

다시 통솔이 없어진 삼국지 7에선 그래도 무력이 46으로 올라 전투면에선 삼국지 5보단 양호해졌다.

삼국지 8부터 무력이 28로 크게 떨어졌으며, 이후로 현재까지 통솔, 무력이 모두 20~30대에 그치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5/무력 24/지력 73/정치력 85. 병법으로는 파괴,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다.

배반과 고무를 보유하고 있으니 내정하다가 필요하면 불러다 쓰자.

삼국지 10에선 통솔력 31/무력 23/지력 75/정치력 85/매력 86의 전형적인 문관계. 특기는 농업, 상업, 고무, 항변, 반론, 반박, 명사, 간첩. 총 8개다.

왠지 미축, 손건과 비슷하다. 설전에선 반론, 반박 특기가 있지만 지력이 70대인지라 아주 강력하진 않고, 농업, 상업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내정용으로 좋다. 문관계답게 명사 특기는 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9/무력 24/지력 80/정치력 86/매력 84로 지력이 대폭 상향되었다.

특기는 안력으로 잉여하지만 능력치만으로도 좋은 문관이라 할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온화한 표정으로 왼손을 펼치면서 가슴에 올리고 있는데 정황상 유비에게 오나라 사신으로 자신이 가겠다고 말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삭제된 매력을 제외하고 전작과 능력치가 동일하다. 전법은 파괴력약화로 수성 전용 전법이나 낮은 통솔과 무력 때문에 전장에 나갈 일은 거의 없다.

삼국지 13에서도 능력치가 그대로이고 병종 적성이 올 C이며 전법이 기병동요였으나 PK에서 금족으로 변경되었지만 잉여라 전장에 나갈 일은 없다. 특기는 상업 5, 농업 4, 문화 5, 설파 5, 교섭 5, 언변 4로 인덕을 제외하면 다 가지고 있다.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중신특성도 상업중시가 있으니 내정관으로써는 매우 좋은 편. 음성은 책사.

정치력 4만 올릴경우 임무장이 2개가 되니 관직, 보물, 동지 등을 이용해 보자. 소패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도겸군으로 등용해 사용을 한다면 내정 요원으로 쓸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9, 무력 23, 지력 77, 정치 86, 매력 85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법률, 안목, 논객,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4, 진형은 학익, 전법은 진정, 구축, 친애무장은 마량, 마속, 유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마씨의 오상 이벤트로 마량, 마속 형제를 등용하는데 활약한다.

293. 이전

이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94. 이조

파일:이조.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37, 지력 57, 정치 69, 매력 75다. 개성은 명성과 문화,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정란, 전법 역시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85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295. 이통

파일:Li_Tong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5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9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정사에서의 용맹을 어느 정도 반영해서 무력이 80대를 찍는 전형적인 무관의 능력치로 나오며 정치력, 매력도 바닥까진 아니고 일정 수치 이상은 찍어 꽤 만능형인 무장이다. 형주 남양군 출신이지만 여남에서 군벌로 성장했기 때문에 여남의 재야로 나와 공주군의 에이스로 군림한다.

삼국지 3에서는 육지 62/수지 25/무력 67/지력 56/정치 43/매력 54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무력과 육지의 합이 129로 그다지 쓸모 있는 무관은 아니지만 약소 세력이라면 이통보다 좋은 무관 구하기가 쉽지만은 않아서 그럭저럭 굴릴만은 하다. 연령 오류가 있어서 190년에 여남에서 재야 장수로 등장하는데 168년 출생임에도 190년에 34세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72/무력 81/지력 48/정치력 54의 능력치. 병법으로는 돌진, 기사, 몽충을 가지고 있다.

위나라 무장으로서는 의외로 수상전에 능한 몽충을 보유하고 있으며 숙련도도 0이 아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84/지력 52/정치력 49/매력 64. 특기는 징병, 돌격, 기습, 회복, 기합, 반격, 나선. 총 8개다.

전투에선 돌격, 기습 특기를 제외하면 조금 애매하지만 무력이 84나 되는 만큼 일기토에선 강점을 보인다. 재야로 주로 등장하니 약소 세력의 희망이 될 수 있는 존재.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81/지력 57/정치력 63/매력 73.

능력치도 통솔력과 무력이 약간 하락했지만 지력, 정치력, 매력이 상승하여 지력이 5, 정치력이 14, 매력이 9 올랐다. 창장이란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119] 통솔이 73라는 점이 아쉽지만 장특기가 없는 세력에서는 쓸만한데, 특히 이통이 재야로 소속된 여남 도시에 공주에게 등용되면 맹장으로 활약할 수 있다. 그야말로 공주한테는 꿈과 희망.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영락없는 창천항로에서 완성 전투 이후 두 번째로 장수와 붙을 당시 조조의 명령에 따라 장수군의 후미를 찌르고 있는 당시의 장면이다. 전법은 전군속공. 능력치는 그대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지력 빼고 전작과 같지만 지력이 62로 5 상승했다. 특기는 순찰 3, 신속 2, 일기 2. 전수특기는 순찰로 전법은 속공지휘다.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81, 지력 57, 정치 63, 매력 6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다시 5 하락했다. 개성은 소탕, 징세, 동원, 저돌, 주의는 패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급습, 경파, 구축, 친애무장은 조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능력치가 삼국지 11 시절로 하락되었지만 여전히 좋은 편이며 공군을 30% 올려주는 개성 소탕, 병력 1000 늘려주는 개성 동원이 있어서 여전히 공주군의 에이스, 메인 세력에 갈시에 밥값하는 준에이스 무장으로 활약한다. 지력 57에 개성 징세도 있어 내정도 하는 편이다. 다만 적색 개성 저돌 때문에 추행으로 보급로 끊어버리기가 안 되며 앞서 나가다가 방어력이 낮은 봉시 진형으로 인해 전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부대를 미리 출격하고 이통 본인은 그 다음에 출격하는 것이 좋다.

296. 이풍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5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0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역시 그냥 60~70의 능력치를 가진 장수로 등장. 여포와 1대 1로 싸워본 적이 있어서인지 다른 원술군 부장들보다는 좀 나은 능력치로 나온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7/지력 50/정치력 24/매력 53의 전형적인 무력형. 한데 특기는 4개 뿐이면서(훈련, 돌격, 진정, 저지) 정작 일기토 특기는 하나도 없다.

훈련 특기는 그나마 쓸 만 하고, 원술군은 워낙 쓰레기들이 많은 지라 전장에서도 굴릴 만하다. 특이한 것은 이름이 같다는 이유인지 뜬금없이 위나라의 관료인 이풍과 혈연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쪽을 처형하면 다른 한 쪽과 원수관계가 되어버린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채 두 손으로 창을 위로 올리면서 분투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69/무력 74/지력 50/정치 22로 나쁘지 않으며 전법도 쓸만한 전방어강화라 기령, 장훈과 함께 원술군의 쓸만한 전투 요원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공성 3. 전수특기는 공성이고 전법은 속공명령. 음성은 용장. 그런데 어째선지 수춘을 지키다가 처형되었는데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지 않고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74, 지력 50, 정치 22, 매력 53이며 개성은 조달, 주의는 패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경파, 친애무장은 악취, 양강, 진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297. 이풍

파일:external/kongming.net/546-Li-Feng2.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1.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문관형.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 신무장 얼굴로 나왔으니 설명은 생략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4/무력 34/지력 69/정치력 71. 병법으로는 혼란, 매도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3/무력 25/지력 71/정치력 72/매력 66/에 특기는 농업, 명사. 총 2개.

다만 시대가 시대인지라 무난하게 쓸 수 있다. 특기도 능력치에 맞게 나왔다. 웃긴 것은 이름이 같다는 이유인지 뜬금없이 원술의 부하인 이풍과 혈연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쪽을 처형하면 다른 한 쪽과 원수관계가 되어버린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이마에 대고 있으며 통솔력 25/무력 35/지력 67/정치력 71. 특기는 상업 3, 문화 3.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궁방약화.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33, 지력 66, 정치 71, 매력 6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안목, 소욕,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가충, 장집, 조방, 조상, 하후현, 혐오무장은 사마사, 사마소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행동불능으로 만드는 혼란 전법이 있지만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298. 이풍

파일:external/kongming.net/545-Li-Fe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내정형 문관. 그 정치도 70대긴 하지만 이풍 본인이 나올 때 쯤 촉나라의 인재난은 심각하기 때문에 이풍을 써먹어야 한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46/지력 68/정치력 75.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뿐이지만 모략이나 지식, 책략계 병법이 하나도 없어 68 지력은 그대로 묻힌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50/지력 68/정치력 75/매력 66. 특기는 농업, 고무, 반목. 총 3개다.

정치 75로도 고전분투 시나리오에선 번건, 동궐, 장억에 이어 촉한의 정치력 넘버 4에 들어간다.

삼국지 11에서는 운반 특기를 가지고 나와 조금 쓸만한 편.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48/지력 67/정치력 72. 특기는 순찰 3, 교섭 1, 연전 3. 전수특기는 순찰이며 전법은 기병선동. 음성은 청년. 그런데 무력 48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는 통솔 55/무력 48/지력 67/정치 72/매력 66로 전작과 달리 능력치 하락이 없고 개성이 모집, 운반만 가지고 있는데 본작에서 모집 개성이 희귀하고 수송이 필수인 운반 개성의 중요성이 늘어난 만큼 큰 힘을 발휘하는 효율이 높은 후방 보급 담당이다.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참개혁 Lv3, 진형은 안행, 장사, 전법은 화시,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99. 이형

파일:이형(숙평).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치면서 거꾸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30, 무력 24, 지력 63, 정치 70, 매력 52다. 개성은 법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매성, 친애무장은 양도, 혐오무장은 여일이다. 생년은 204년, 몰년은 263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어투는 보통남.

300. 이회

파일:삼국지3이회.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3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무력만 조금 낮은 만능형 장수로 등장한다. 일러스트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서 시리즈가 바뀔 때마다 이미지가 크게 변화하는데 초반에 비하면 외모 뿐 아니라 능력치도 심각하게 변했다. 삼국지 9삼국지 10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장억, 장익과 비슷한 외모로 등장하며 삼국지 11에서는 중후하고 멋진 일러스트로 나왔지만 삼국지 12에서는 요코야마 미츠테루에 영향을 받은 일러스트로 역변했다. 아마도 연의에서 마초를 설득하러 갔을 때 마초가 몰래 자객을 숨겨놓자 이를 이미 눈치채고 두 눈을 감은 채 오른손을 펼쳐 올리면서 대응하는 일화를 반영한 것 같지만.

삼국지 2에서는 지력이 90으로 법정보다도 지력이 높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72, 수지 70, 무력 70, 지력 88, 정치 76, 매력 78에 야망 7, 운 7, 냉정 7, 용맹 7.

다른 세력으로 가면 얄짤없는 담당군사 재목이지만 위촉오에서는 그정도까지 재목은 아니다. 능력치가 군사, 장군 모두 가능한 올라운더로 지력이 88씩이나 찍혀 나오는데 나머지 능력치는 모조리 70대다. 다만, 그만큼 어중간한 면이 있다.

삼국지 4에는 지력 86, 삼국지 5에서는 지력 87에 매력 81로 나왔지만, 삼국지 6부터는 80을 넘는 능력치가 하나도 없어졌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77/무력 65/지력 76/정치력 75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충차, 투석, 혼란,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장으로도 많이 사용되며 모략 및 책략계 병법도 있어서 책사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정치력이 75라 내정하기도 나쁘지 않다. 그야말로 올라운더 장수. 그리고 이번작에서 조카 이구가 잠깐 등장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60/지력 77/정치력 76/매력 72에 특기는 9개다.(농업, 기술, 치안, 화시, 고무, 저지, 지리, 항변, 반박)

전투에서도 쓸만은 하지만 농업, 기술, 치안 특기를 살린 내정 요원으로 좀 더 적합하다.

삼국지 11에서는 전작에 비해 모든 능력치가 상향된 통솔력 79/무력 65/지력 78/정치력 77/매력 80에 총합 379로 등지와 함께 능력치 총합 공동 39위다.

적성 면에서도 병기 적성, 노병 적성이 S로 준수하며 무엇보다 특기가 기략이라서 정말 쓸만하다. 또한 마초와 친애무장 관계며 194년에 등장함에도 211년 시나리오까지는 아무 세력에도 사관하지 않은 상태라 어느 세력이든 영입 가능성이 있다는 장점도 있다. 기략을 활용하기에는 지력이 조금 아쉽고 단독으로 쓰자니 무력이 낮지만, 무력이 높고 보좌를 지닌 관평과 의형제를 맺고 노병대로 다니거나, PK라면 무력과 지력을 보충해주면 전투로도 쓸 만한 미니 제갈량이 된다. 특히 컴퓨터는 높은 확률로 이회 본인을 지력 95까지 육성한다.[120]

삼국지 12의 능력은 전작에서 지력이 1 올랐으며 전법은 도발. 전작처럼 사기 특기가 있는 건 아니나 통솔, 지력, 정치가 모두 준수하여 잘 쓸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농업 2, 문화 3, 순찰 3이 있어서 내정에서는 괜찮다. 문관치고 무력도 높고 순찰 특기도 있어서 쓸만하다. 전수특기는 문화이고 전법은 궁병수비진.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병종 적성은 창병 B, 기병 C, 궁병 A로 그럭저럭인 수준이나 문제는 전법이 별로고 전투 특기가 하나도 없다.

연의에서 이회가 군을 지휘해 싸우는 모습이 안 나와서 전투 특기가 없다고 어찌 넘어가도 연의와 정사 모두 뛰어난 말솜씨로 자신이 유비를 납득시킨 점과 마초를 귀순시킨 공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파와 언변이 없는 것도 아쉽다. 이번 작에서는 그냥 내정이나 굴려야 할 신세. PK로 한다면 설파와 언변 특기를 추가해주자.

삼국지 14 일러스트는 전작을 그대로 쓴다.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65/지력 78/정치력 77/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붕벽, 태연, 조달, 숲전,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3, 진형은 안행, 학익, 장사, 투석, 전법은 화시, 연노, 경파, 투석, 친애무장은 마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301. 이흠

파일:external/kongming.net/lixin.jpg
삼국지 9 일러스트
파일:이흠.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8 PK와 삼국지 9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 PK에서 무려 17년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8/지력 49/정치력 43의 별 볼일 없는 장수다.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삼국지 9와는 달리 연두색 두건을 상태에서 두 손으로 창을 든 채 위나라군과 분투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75, 지력 45, 정치 44, 매력 54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7,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3, 지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축성, 산전, 주의는 패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철벽, 교란, 친애무장은 구안,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용장남. 생년은 215년, 몰년은 250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나 그 대신 축성 개성이 있어서 건설 속도를 빠르게 진행하기가 장점이다. 여담으로 동료인 구안은 삼국지 9 시절 일러로 나온 것과 달리 이흠 본인의 일러는 삼국지 9 시절과 완전히 다르다.

302. 임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2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오랫만에 재등장한데 이어 삼국지 13에서 24년 만에 정규 시리즈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3/수전지휘 26/무력 67/지력 54/정치력 50/매력 60.

100만인의 삼국지에서는 얼굴 일러스트가 삼국지 12 신무장 얼굴이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양 손으로 두 개의 검을 든 채 요격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0/지력 53/정치력 41이다. 농업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기방강화. 음성은 용장. 둔전제 실무를 맡은 인물치고는 능력치가 낮다.

삼국지 14에서는 통솔 67/무력 60/지력 62/정치 71/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9, 정치력이 3배인 30 상승했다.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철벽, 치료, 정란, 개성은 둔전, 운반, 절감, 친애무장은 조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1] 다만 삼국지 13, 14에서는 정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회남이 가장 위에 나온다.[2] 사실 제갈량의 은혜에 감복해서 벌인 일이니 일반적인 배신자랑 동일시하기는 어렵다.[3] 1위는 바로 군주 원술.[4] 삼국지 2에서는 기령의 무력이 60대로 설정되어 약간 어이가 없다. 근데 더 웃긴 건 유표무력 70대를 찍는다는 것. 참고로 유비 무력은 70.[5] 그것도 세트 메뉴인 악취, 이풍, 진기와 달리 혼자만 짤렸었다.[6] 삼국지 5의 경우 콤비인 한섬은 살아남았지만 본인은 짤렸다.[121] 근데 이 양봉보다 지명도가 떨어지는 남만의 양봉은 나왔다.[7] 삼국지 시리즈의 일러스트 순서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삼국지 7에서 지정된 일러스트 순서가 최신작까지 이어지고 있다.[8] 다만 모든 것이 불리한 상황에서 싸움에 도가 튼 이각, 곽사를 상대로 상당히 잘 싸운 것은 맞다.[9] 11탄 영웅집결에서 황건의 시작 도시다.[10] 그래서 마초가 군주일 때는 절대 등용을 못한다. 마등으로는 등용할 수 있다.[11] 비슷한 예로 유파장비는 혐오무장이어도 군주인 유비는 혐오무장이 아니다.[12] 무력, 통솔력이 밥값은 하는 수준의 수치다.[13] 그리고 음성이 관리에 이상위명도 재상인데 일러스트에 비해 너무 안 맞는 것도 웃긴 편이다. 특히 관리 음성은 자세력 군주에게 처형 당할때 건 타세력 군주에게 처형당할 때 건 대사가 '아무래도 이건 무자비 하군요' 등의 존댓말 하는 대사로 보여서 당황해 보이기 때문에 처형이 일상일 양송은 꼭 바꿔주는 게 좋다.[14] 왜 양송을 참수해도 문제가 없냐면 능력치가 쓰레기인 다른 장수들은 그래도 자신과는 달리 우월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는 인연들이 있어서 포로로 잡았다고 함부로 죽이지 못하는데 양송은 동생인 양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제가 모두 문관형인데다가 쓰레기급 능력치마저 가지고 있어서 망설임 없이 참수할 수 있다. 게다가 게임할 때 꼴보기 싫다면 자세력을 시작했을 때 바로 처형을 시키자.[15] 이는 여포로 플레이할 때 관우, 장비를 데려오기 위해 유비를 꾀어서 그 둘을 등용하는 원리랑 같다.[16] 자신부대와 태수인 거점이 혼란에 빠지면 기간연장이다.[17] 처음에 출시됐을 때는 없었으나 1.04 패치로 추가되었다. 덕분에 조조군으로 플레이 할 경우 삼국지 11 콘솔판 때 양씨를 등용하면 마초를 손쉽게 데려올 수 있었던 시절과는 달리 이번 작에서는 무슨 수를 써도 양씨를 등용할 수가 없어 마초 또한 데려올 수 없게 되었다.[18] 예를 들어 위연은 시리즈마다 일러스트도 새로 그려주는 인물인데 양의 본인은 삼국지 12~삼국지 14까지 일러를 재탕했다.[19] 양의가 권력욕이 강했으니 물욕도 강했을 거라고 여긴 설정이거나 게임 시스템이 권력욕을 인물 특성에 제대로 반영할 수 없어 물욕을 탐욕으로 설정하는 걸로 대신한 모양이다.[20] 사실 이 적색 개성들이 고증이라고 할 수 없는 게 소심하고 나약했다면 그렇게 작정하고 어그로를 끌어대는 짓도 못 했을 거다.[21] 물론 연의 기준이지만 말이다.[22] 다른 기본팔기는 매력이 40도 안 된다. 양흥 다음으로 높은게 성의인데 매력이 38(...).[23] 성의와 양추는 기병 적성 A 외에도 다른 적성 2개가 B이며, 다른 기본팔기들도 장횡을 제외하면 적어도 적성이 B인게 1개씩은 있다.[24] 1위는 매력 84로 자신의 동생인 호주천이다.[25] 등용 자체를 시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6] 황호, 잠혼도 무력이 2다.[27] 사실은 위에 언급된 낙마했다는 일화를 반영해서 무력을 낮게 준 것으로 보인다.[28] 통솔력 1 상승에 특기 공성 부여다.[29] 순욱-곽가-유엽-여건-모개로 이어진다.[30] 삼국지 10에서 등장하지 않는 이유는 한 때 스페셜 CD 무장으로 쌍둥이 남매인 오빠 여문기와 등장한다는 설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한국의 한 유저가 일본판에만 등장하는 스페셜 CD를 한글로 번역 작업을 하면서, 여성 무장들과 함께 개인적으로 끼워넣은 무장들이다. 실제로 오리지널 일본판 스페셜 CD를 열어보면 대교, 소교 등의 여성 무장들이나 여령기, 여문기 등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까지는 코에이도 정식으로 등장시킬 생각은 크게 없던 모양이다.[31] 사실 더 큰 흠은, 등장년도 역시 196년이라는 것. 삼국지 11 오리지날 기준으로는 처음부터 등장하는 시나리오가 없이 군웅할거에서 196년까지 기다려야 한다.[32] 그 외에는 전만이 13세, 하후은이 14세이지만 플레이가 가능하다.[33] 예를 들어 삼국지 10. 시랑군림 시나리오에서 조조로 플레이하면 쉽게 볼 수 있다. 일반 NPC 상인의 일러스트를 공유하며, 선택지를 통해 여백사를 죽이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할 경우 진궁조조군에 남는다.[34] 다만 조예는 삼국지 3 이후로 짤려있었다.[35] 황호와 결탁한 이미지가 작용했겠지만 그래도 성도가 공격을 받을 때 지원군을 이끌고 구원하러 갔던 인물인데 억울하긴 하다.[36] 마대, 마운록과 비슷한 무력으로 나온다.[37] "어릴 적 이야기를 언제까지 주절거릴 생각이냐!", "지금 싸운다면 내가 이긴다!"[38] 시나리오에 따라 유일하거나 김선과 더불어 유이하다.[39] 특히 삼국지 12에서는 여성 무장 중 유일하게 짤렸었다.[40] 常勝王, 항상 이긴다는 뜻이다.[41] 한당 뿐만이 아니라 우금요화도 비슷한 잡장으로 만들었다.[42] 양민학살이나 초반 전투에서는 엄안의 노당익장보다 오의의 대타격이 훨씬 낫긴 하다. 그러나 오의의 무력이 어중간하고, 중반만 넘어가도 엄안의 노당익장이 더 쓸만하다.[43] PK로 넘어와선 5로 줄었다.[44] 참고로 역대 최고 능력치를 받은 고순이(통무가 모두 80 후반대로, 이 정도면 관직 버프와 경험치, 아이템 보정만 잘 받으면 주장으로 쓰기에 무리가 없을 정도다) 특공 때문에 뭔가 애매한 장수가 되어버렸다. 하물며 올돌골은...[45] 삼국지 11에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군주로 등장하기 때문에 그에 맞게 상향시켜줬다는 추측이 있다.[46] 게다가 부하들은 주포, 자기를 배신한 고정, 연의에서 자기를 죽인 악환 등이다.[47] 맹획을 잡으려면 운남과 건녕 사이의 칸에 진을 건설할 경우 100일치 병량만 들고 와서는 1~2대 정도 때리고는 병량 부족으로 궤멸한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텅텅빈 운남을 먹을 수 있다.[48] 금수입이 증가한다.[49] 이후 사마의의 영웅집결 거점은 11에서 낙양을 거쳐 12 이후로는 장안으로 옮겨가게 된다. 10 당시에는 하진이 낙양에서 거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50] 최대 수명은 7이다.[51] 총합이 320유비보다 4 정도 높다. 기거에 자신의 저서 시요론을 장착한다면 지력은 89로 오른다.[52] 수군절도사, 관우의 상담역, 반준의 배신 간파 등이다.[53] 계책에 의한 기습 효과가 어느 정도 있었기 때문에 압도적인 차이는 나지 않는다.[54] 기합을 제외한 모든 일기토 특기를 가지고 있다.[55] 본인을 포함해서다.[56] 이외에 전국시대에서 화우계로 유명한 전단, 조나라 최후의 명장인 이목, 살무사 사이토 도산도 해당된다.[57] 이 넷 중 전투 한정으로 치면 사실상 1위다.[58] 실제역사에선 301년.[59] 반에디터 등을 이용해, 미성년 미등장 여무장들에게 남편을 지정해 놓으면 역시 재야나 부모 따라가는게 아니라 남편세력에 자동임관하는 것을 볼 수 있다.[60] 물론 조예는 본인이 군주로 나올 경우 아이템, 옥새 빨을 받아 더 능력치가 올라간다.[61] 근데 따지고보면 의리가 높아야할 이유는 전혀 없긴 하다. 왕평부터가 다른 사람이랑 어울리지 못하는 타입이었다고 나오는지라 딱히 인간대 인간으로 의리를 지킨 장면은 나오지 않고 항장으로써 특출나게 뛰어난 충성심을 보여준 적도 없었다. 항장인데도 의리치가 높게 평가되는 경우는 항복 이후에도 전 주군에 대한 그리움을 잊지 않았던 황권, 비록 항장 출신이지만 아예 조국을 위해 목숨을 내던져버린 강유, 인간적으로 의리나 신의있는 모습을 보여준(그리고 세력 자체가 멸망해버려서 항복하는 수 밖에 없었던) 장료같은 케이스인데 왕평은 해당 사항이 없다. 비슷한 이유로 장합 같은 경우도 곽도의 농간으로 반쯤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이반한 거고 그 이후로는 위나라 장수로 쭉 활약했음에도 의리치가 높게 나오지 않는다. 왕평만 이런 취급을 받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62] 소속 부대가 상태 이상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매우 좋은 방어 병법. 책사 중에도 소수만이 가지고 있는 기술로, 왕평이 교사를 담당하면 그만큼 제갈량조운이 다른 파괴적인 병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훌륭한 메리트다. 분투와 연사도 좋은 병법이지만 삼국지 9의 왕평의 최대 장점은 바로 교사인 셈이다.[63] 삼국지 12 PK 마지막 역사 시나리오인 오로침공전에서 촉무장 중 통솔 70이 넘어가는 무장은 겨우 25명 뿐이다. 참고로 위는 46명, 오는 27명이다.[64] 물론 심영은 빼고[65] 손책이 아니더라도 이 이벤트가 뜬다.[66] 실제 삼국지에서도 우길이 민심을 끌어들인다고 손책이 의심까지 했었다.[67] 삼국지 9에서 치료는 환술, 요술과 함께 가장 희귀한 병법 Top 3 안에 든다. 그 효과 또한 여러 부대 부상병 동시 치료, 부상입은 장수 회복, 상태이상 치유 등 여러 기능들이 고성능으로 발휘되는 알짜배기 병법이다.[68] 우번 외에 치료를 가진 무장들은 하나같이 특정 시나리오나 특정 세력에서만 사용가능하고, 배우려고 해도 중후반에 명품을 들여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유비나 조조는 자체적으로 치료를 가진 무장이 없다.[69] 사위 관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동탁의 딸이자 우보의 아내인 인물을 등장시켜야 하는데 이 인물에 대한 기록이 딱히 없어서 우보 하나를 위해 완전 창작으로 여자 무장 하나를 추가하긴 어렵다. 그리고 이런식으로 전통적인 같은 가문 내의 친척 관계는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되어 있으나 인척 관계는 엉성하게 구현되어 있다. 때문에 유비손상향과 결혼한 상태에서도 손씨 일족과의 대화문이 별로 달라지지 않는다.[70]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71] 이 일러스트는 삼국지 14의 유민의 일러스트로 재활용된다.[72] 위에 언급되었다시피 지력이나 정치력은 낮아도 통솔이나 무력은 높게 나와야함에도 이미지가 안 좋아서인지 항상 낮게 나온다. 원담, 그리고 그와 청주에서 치열하게 맞붙었고 결국 원담에 의해 쫓겨났던 전해는 군사적으론 상당히 거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국지 시리즈에선 취급이 그리 좋지 않은 편. 그나마 공손찬은 정사에서 위용 덕분에 무력이 어느 정도는 높아지고, 연의에서 이미지 세탁 덕분에 나머지 능력치도 괜찮게 나오는 편이지만, 기록이 적은 전해나 안 좋은 기록이 워낙 많은 원담은 뛰어난 무장으로 나오는 경우가 없다. 전해는 C급, 원담은 D급에 가깝다.[73] 아버지보다 먼저 죽는 경우도 많다.[74] 원소와 원담의 출생연도는 불명이지만, 아버지 원소는 155년생인 조조와 어린 시절부터 친구 사이였다. 원담이 유비(161년생)과 동갑이라면 원소는 140년대 초반생이거나 최소한 중반생일텐데 이와 도저히 맞지 않는 묘사다.[75] 전해는 동일의 순으로 68/65/56/61/63. 이 정도면 거의 급이 다르다. 물론 특기수는 동일하지만 말이다.[76] 원상은 301로 2등, 원희는 306으로 1등이다.[77] 다만 북해에는 오질이 미발견 재야로 있으니 잊지 말고 꼭 등용하자. 물론 제일 높은 지력도 70이 안 되는 쓰레기 잡문관이지만 이 정도의 인재도 꼭 필요한게 원담이다. 특급 난이도 기준으로 1월 1일에 왕수로 탐색하면 나오고 2월 1일에 신평으로 등용 가능하다.[78] 평원은 업, 복양, 북해의 집중 포화공격을 받는데 지형도 방어하기도 나빠서 약소 세력인 원담이 지키기 최악이다. 복양 북해병력은 항구방어 꼼수로 묶어둔다 치지만 업에서 지원이 오면 평원은 양면전쟁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가난한 평원의 경제력으로서는 감당을 못한다. 대신 남피는 평원 한곳에서만 오기 때문에 방어하기 한결 편하다.[79] 원요의 딸은 손분과 결혼했는데, 손분의 신분을 고려하면 둘의 나이차는 크지 않았을 것이다. 손분은 적어도 224년 이후에 태어났으므로, 원요가 206년에 죽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80]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81] 하지만 문제는 부친 원술이 있다는 것이다. 원술의 경우 아들 원요에 비해 정치력을 제외하면 어느 정도 능력치가 있어서 인재가 부족한 세력으로 플레이할 때 이 녀석을 죽일 경우 내정하기가 곤란해질 수 있다.[82]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83] 정욱도 허보라는 쓸만한 전법을 가지고 있지만 유대하고 관계가 -100이라 등용이 안 되기 때문에 원유 본인이 필수다.[84]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85] 화계, 수복, 진화, 혼란이다.[86] 시나리오 4에서 원담, 원상 분열 이벤트를 보고난 후에 조비가 있는 군세로 업을 탈취하면 바로 발동하고 관계 설정이 바뀐다.[87] 처음에 출시됐을 때는 추행강화였으나 1.04 패치로 변경되었다.[88] 특히 여몽은 평소에 지병이 있다는 기록까지 있지만 아무도 병약한 인물로 보지 않는다.[89] 다만 장완과는 상성 차이가 꽤 많이 난다. 혐오는 아니라서 등용 자체는 가능하긴 하지만 쉽지는 않다.[90] 이 설정으로 쓰여진 웹소설이 아래 항목의 삼국지 유봉전이다.[91] 유비의 입장에서 맹획 정도는 어택땅으로도 밀어버릴 정도로 손쉬운 상대다.[92] 삼국지 5 특징상 매력이 높을수록 수하 무장들의 충성도 관리가 쉽다. 괜히 유비(매력 99)가 무서운 게 아니다.[93] 대표적으로 꿈이 패권인 위연이 그렇다.[94] 마침 유선의 꿈은 왕좌계열(왕좌-대의-재간)의 대의, 유봉의 꿈은 패권계열(패권-정복-출세)의 출세다. 이 점을 절묘하게 노린 듯. 할거 계열이나 의협의 꿈을 지닌 장수들은 보류를 요청한다.[95] 사실 군주는 능력치가 엄청 좋지 않은 이상 수도에 눌러앉아 회견이나 하는 편이 제일 좋다. 특히 한중왕 유비나 오장원의 지는 별 쯤 되면 충분히 세력이 크기 때문에 중반부부터 군주는 회견머신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적 포로를 등용할 때는 군주의 매력이 제일 중요한 요소가 된다.[96] 만약 유봉이 성년이고 유선이 미성년일 때 유비가 죽거나, 플레이어가 유비일 때 유봉과 유선이 둘 다 성년이라면 유비가 죽을 경우 유봉으로 이어할 수 있다.[97] 유저 MOD 중에서는 나선첨의 사기성 때문에 원래 돌출-나선첨-이단첨 순으로 사용가능한 전법을 돌출-이단첨-나선첨 순서로 바꿔놓는 경우가 왕왕있다. 그럴 경우 최대의 피해자가 유봉.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개인 모드일 뿐이고 PK 2.1 등 메이저한 모드에서도 이런 식으로 임의로 전법을 교체하진 않으므로 진짜 특이 케이스라 큰 의미는 없다.[98] 정작 100만인의 삼국지에서는 11보다 더 꽃미남이 됐다.[99] 삼국지 10에서는 세력 내 명사 특기 보유자 수가 어느 이상 되어야 관직을 올릴 수 있다. 때문에 능력치와 다른 특기까지 모두 암울한 장수라도 명사 특기 1개만 있다면 눈에 불을 켜고 등용하게 된다.[100] 초선을 제외하면 제갈량과 함께 게임 전체 공동 2위다.[101] 관우, 마초, 하후돈 등과 동급이다.[102] 그나마 삼국지 4에서 무력이 66인 걸 비롯, 삼국지 9까지는 66~68에 이르는 상당한 무력을 자랑했으나 삼국지 10에서 갑자기 20대로 수직하락 했다.[103] 이 엽 자가 드물게 쓰는 한자도 아니다. 사람 이름에 '엽'이 붙으면 曄 아니면 燁을 쓰는데, 두 글자 모두 '빛날 엽'으로 새긴다. 야구선수 이승엽의 경우 燁을 쓴다.[104] 공성숙련도가 600인 유엽 본인, 제갈량, 마균의 공통점은 상병 병법이 없다는 것이다.[105] 군사를 일단 할 수라도 있다.[106] 원래는 사망년도가 193년도 였으나 패치를 통해 203년으로 수정되었다.[107] 8살에 이 무력이다. 별거 아닌거 같지만 대부분의 어머니뻘 성인 여성 무장보다 훨씬 강하다(...)[108] 구체적으로 보면 보즐은 딱히 능력적으로 손해본 게 없으나 장소는 특기가 형편 없거나 성격이 소심으로 설정되어 있고(보통 이 정도 책사는 성격이 냉정이다) 육적 본인은 능력치도 낮고 성격도 그리 좋지 못하게 설정되어 있다.[109] 그래봤자 문관인 윤대목 본인의 최대 지력이 무장인 손견의 최소 지력보다도 낮다. 손견 최소 지력이 74다.[110] 그것도 기본팔기 중 혼자만 짤렸었다.[111] 심지어 우보는 통솔이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이다. 즉, 이숙 본인보다 낮다. 오히려 승패를 따지면 이숙의 저 통솔도 높은 것이다. 물론 우보의 통솔을 60정도로 높이고 이숙도 50으로 높이는 방안도 있겠지만 우보 항목에 가봐도 알겠지만 이쪽도 군사적 능력이 영 형편없는 인물인지라 말이다.[112] 고무는 지휘포인트 3 포인트만으로 사기를 30 올려주는 전법으로 단 3포인트로 대군악진에 맞먹는 효과를 보여준다. 사기관리가 중요해진 PK버전 최고의 저코스트 고효율 전법이다. 통솔과 병종적성이 낮고 전투관련 특기가 하나도 없지만 전법만 보고 주장으로 편제하거나 부장전법 사용 가능 모드를 사용해 전투에 투입할 만하다. 전반기 여성무장은 채씨가 고무를 가지고 있고 후반기 여성 무장은 이씨가 그 포지션을 가져간다. 이래 봬도 후반기 촉 A급 무장이기 때문에 쓸모없는 마막 처형 시 주의가 필요하다.[113] 통솔력만 19로 살짝 높고, 무력은 12로 동일, 나머지 능력치는 6/35/15로 뭔가 사기결혼 아닌가 싶을 정도의 능력치다(...)[114] 구체적인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84/지력 76/정치력 74.[115] 대표적인 장수가 유비, 장비, 관평, 위연 등.[116] 유장군 에이스 장임은 유비를 혐오하기 때문에 에디터로 편집하지 않는 이상 등용할 수 없다. 또 나헌도 있지만 등장시기가 늦다.[117] 파워업키트 기준으로다.[118] 담웅, 이이, 주창, 번조, 왕쌍, 맹획, 공손찬 등등 무력 80을 넘는 장수들이 엄청나게 흔하다.[119] 자기보다 무력이 낮은 부대에게 전법 성공 시 크리티컬이 뜬다. 특히 나선첨은 크리티컬 히트 시에 교란 효과가 있다.[120] 컴퓨터의 무장 육성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데, 지력 75 이상이며 능력치가 평균적으로 높은 무장을 지력 95까지 육성한다. 따라서 한수, 전예, 정보, 성공영, 이회 등 능력 총합이 높으며 이른 시기부터 등장하여 활동 기간이 긴 무장이 높은 확률로 지력 95가 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21] 다만 한섬의 열전에는 이름이 언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