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0:16:03

이집트/역사

이집트사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집트
북아프리카의 역사
서사하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모로코 리비아 이집트
알제리 수단 튀니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이집트
이집트 문명
선왕조 하이집트 상이집트
초기 왕조 제1왕조
제2왕조
고왕국 제3왕조
제4왕조
제5왕조
제6왕조
제1중간기 - 분열 제7왕조
제8왕조
제9왕조 제11왕조
제10왕조
중왕국 제11왕조
제12왕조
제2중간기 제13왕조
제14왕조 제13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6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7왕조
신왕국 제18왕조
제19왕조
제20왕조 (람세스 왕조)
제3중간기 제21왕조 (타니스 왕조)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제23왕조 제24왕조
제25왕조 (누비아 왕조)
말기 왕조 사르곤 왕조
제26왕조 (사이스 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제27왕조
제28왕조
제29왕조
제30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제31왕조
헬레니즘 아르게아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왕조
고대 로마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팔미라 제국
동로마 제국
사산 왕조
동로마 제국
중세 이슬람 라쉬둔 왕조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툴룬 왕조
아바스 왕조
이흐시드 왕조
파티마 왕조
아이유브 왕조
바흐리 맘루크
중근세 부르지 맘루크
오스만 제국
알 카비르
근대 오스만 제국
프랑스
무함마드 알리 왕조
이집트 헤디브국
대영제국
이집트 왕국
현대 이집트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
이집트 아랍 공화국 }}}}}}}}}


1. 개요2. 고대 이집트
2.1. 이집트 선왕조 ( ~ 기원전 3150년)2.2. 이집트 초기 왕조 (기원전 3150년 ~ 기원전 2686년)2.3. 이집트 고왕국 (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181년)2.4. 이집트 제1중간기 (기원전 2181년 ~ 기원전 2055/2040년)2.5. 이집트 중왕국 (기원전 2055/2040년 ~ 기원전 1802년)2.6. 이집트 제2중간기 (기원전 1802년 ~ 기원전 1550년)2.7.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550년 ~ 기원전 1077년)2.8. 이집트 제3중간기 (기원전 1077년 ~ 기원전 664년)2.9. 이집트 말기 왕조 (기원전 664년 ~ 기원전 332년)
3. 그리스-로마 시대
3.1. 헬레니즘 시대(프톨레마이오스 왕조, 기원전 332 ~ 기원전 30년)3.2. 로마 시대(기원후 641년까지)
4. 이슬람 시대(641~1798)
4.1. 통일 이슬람 제국 시대4.2. 파티마 왕조(963~1169)와 아이유브 왕조(1169~1250), 그리고 십자군 전쟁4.3. 맘루크 왕조(1250~1517)4.4. 오스만 제국 치하의 이집트
5. 근대 이집트6. 현대 이집트
6.1. 가말 압델 나세르의 시대(1952(1954)~1971)6.2. 안와르 사다트(1971~1981)와 호스니 무바라크의 시대(1981~2011)6.3. 이집트 혁명(2011), 그리고 압델 파타 엘 시시 시대(2013년 ~)
7. 연표8. 이집트 파라오 목록9. 관련 문서

1. 개요


메뉴에 한글 자막 버튼(CC)을 클릭해 자막을 볼 것.

이집트역사를 다루는 문서.

2. 고대 이집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대 이집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이집트 선왕조 ( ~ 기원전 3150년)

이집트는 세계에서 최초로 인류가 정착한 지역 중 하나다. 나일강 하류에 자리잡은 이집트는 기원전 9000년~6000년부터 사회를 이루었으며, 이 때부터 통일 이전까지를 이집트 선왕조라고 부른다. 나일강을 따라 형성된 상이집트와, 삼각주 지역에 형성된 하이집트가 되었다. 이 중에서 농지 개간이 더 잘 되는 상이집트가 더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다. 기원전 4천년기에 등장한 나카다 문화를 기점으로 이집트는 문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2.2. 이집트 초기 왕조 (기원전 3150년 ~ 기원전 2686년)

나카다 문화 3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3150년, 상이집트의 나르메르가 하이집트를 정복하며 이집트를 하나로 통일했다. 이때부터는 이집트 초기 왕조라고 한다. 나르메르는 이집트 제1왕조의 창업군주였다.

기원전 30세기 후반에 내란으로 힘든 시기를 겪었으나 기원전 2890년경 헤텝세켐위이집트 제2왕조를 세우며 혼란을 잠재웠다. 순장을 금지한 것이 제2왕조의 가장 대표적인 업적이다.

2.3. 이집트 고왕국 (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181년)

기원전 2686년, 본격적으로 피라미드의 건설을 시도한 조세르가 즉위한 시점부터를 이집트 고왕국이라고 칭한다. 고왕국은 이집트의 첫 번째 전성기였다. 조세르는 이집트 제3왕조의 초대 파라오였다.

우리에게 유명한 피라미드들은 기원전 2613년부터 시작된 이집트 제4왕조 때 지어진 것이다. 제4왕조는 스네프루가 개창하여, 쿠푸, 카프레, 멘카우레 때 가장 거대한 피라미드들이 지어졌다.

기원전 2498년 우세르카프이집트 제5왕조를 개창했고, 이때부터 태양신 가 이집트의 주신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 왕조 때는 제드카레의 지방 분권화 정책으로 인해 분열이 야기되었다.

고왕국의 전성기는 기원전 2345년 시작된 이집트 제6왕조 때에 들어서며 막을 내렸다. 갈수록 지방 세력의 힘이 강해지는 한편 페피 2세라는 무능한 군주가 거의 한 세기에 달하는 통치기간을 자랑했고, 기원전 2184년 페피 2세가 사망한 이후에는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결국 기원전 2181년 제6왕조가 붕괴되며 고왕국 시대는 끝났다.

2.4. 이집트 제1중간기 (기원전 2181년 ~ 기원전 2055/2040년)

기원전 2181년부터 시작된 제1중간기는 대분열의 시대였다. 멩카레가 개창했다고 알려진 이집트 제7왕조는 그 실존여부조차 불확실하며, 실질적 시작은 네페르카레 6세가 개창한 이집트 제8왕조 때부터로 본다. 하지만 이 왕조는 21년 만에 반란으로 무너졌다. 이후 하이집트와 상이집트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하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160년 케티 1세가 세운 이집트 제9왕조가 천 년만에 기존 수도 멤피스를 버리고 헤라클레오폴리스로 천도했다. 기원전 2130년 메리하토르이집트 제10왕조를 세웠다.

상이집트에서는 한동안 총독들의 내전이 이어지다가 기원전 2134년 멘투호테프 1세가 세운 이집트 제11왕조가 등장했고, 인테프 1세가 파라오를 선포하고 인테프 2세가 상이집트를 통합한 다음, 멘투호테프 2세가 기원전 2055년 또는 기원전 2040년 제10왕조를 정복하며, 이집트는 다시 통일되고 중간기는 막을 내렸다.

2.5. 이집트 중왕국 (기원전 2055/2040년 ~ 기원전 1802년)

멘투호테프 2세가 이끄는 제11왕조가 이집트를 통일한 시점부터를 이집트 중왕국이라고 부른다. 중왕국은 이집트의 두 번째 전성기였다.

기원전 1991년 아메넴헤트 1세가 즉위한 시점부터 이집트 제12왕조가 시작된 것으로 본다. 세누스레트 3세아메넴헤트 3세 때 가장 강력한 힘을 보여줬다. 하지만 마지막 파라오 소베크네페루 시기부터 쇠락했다. 소베크네페루가 사망하며 제12왕조는 막을 내린다.

2.6. 이집트 제2중간기 (기원전 1802년 ~ 기원전 1550년)

이집트 제13왕조소베크호테프 1세가 기원전 1802년에 세웠다. 이 시대부터는 기록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굉장히 많은 파라오들이 난립하게 된다.

기원전 18세기경 셈계 민족이 유입되어 세워진 이집트 제14왕조는 13왕조를 상이집트로 몰아냈다. 이들 또한 기록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다. 초대 파라오는 야크빔 세카엔레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다가 기원전 1650년 등장한 힉소스족이 13왕조와 14왕조를 모두 멸망시키고 이집트 제15왕조를 세웠다. 개창자는 살리티스로 알려져 있으며, 100년 간 하이집트를 지배했다.

한편 상이집트에서는 13왕조가 힉소스에 의해 멸망하기는 했으나 바로 철수하면서, 기원전 1649년경 이집트 제16왕조가 세워졌다. 16왕조는 초대 파라오조차 알 수 없으며, 기원전 1582년 힉소스의 재침공으로 멸망했다.

그로부터 2년 정도 지난 기원전 1580년 라호테프이집트 제17왕조를 세웠다. 이들은 정복자 힉소스와 전쟁을 벌였다. 세케넨레 타오카모세 시기에 전쟁이 일어났으며, 세케넨레 타오는 힉소스의 전사들에게 참혹하게 살해당한 일화가 알려져 있는 편이다. 카모세 사후 아흐모세 1세가 즉위하며 17왕조는 18왕조로 이어졌다.

2.7.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550년 ~ 기원전 1077년)

기원전 1550년 아흐모세 1세 즉위 이후부터는 17왕조라고 부르지 않고 이집트 제18왕조라고 부른다. 즉 17왕조와 18왕조는 같은 왕조이며, 통일 이전이냐 통일 이후냐에 따라 나뉘는 것이다. 아흐모세 1세 때 드디어 힉소스를 몰아내고 통일을 완수하며, 이집트는 세 번째 전성기인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접어들었다.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3세와 같은 군주들이 18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기원전 1353년 즉위한 아케나톤은 기존의 다신교를 부정하고 아톤만을 숭배하게 하는 아톤 유일신 신앙을 도입하고, 수도를 아마르나로 옮기는 등의 대규모 개혁을 벌였다. 아케나톤 사후 신하들은 이 개혁의 존재를 지워버리려 시도했다. 이런 혼란기에 등장한 파라오가 황금 마스크로 잘 알려진 투탕카멘(재위기간 기원전 1332년 ~ 기원전 1323년)이다. 투탕카멘 사후에는 아이가 즉위했고, 다음 후계자는 낙트민으로 지명되었으나 기원전 1319년 호렘헤브가 군사정변을 일으켜 낙트민을 몰아내고 파라오가 되었다.

호렘헤브 사후 그의 친구인 람세스 1세가 기원전 1292년 이집트 제19왕조를 개창했다. 19왕조 시기에 이집트는 세계 최강국으로 발돋움했다. 람세스 2세(재위기간 기원전 1279년 ~ 기원전 1213년) 때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람세스 2세 사후에는 아멘메세스의 난이 일어나는 등의 혼란이 있었고, 마지막 파라오인 투스레트가 기원전 1189년 살해당하며 19왕조는 종료되었다.

투스레트를 살해한 세트나크테는 기원전 1189년 이집트 제20왕조를 세웠다. 20왕조는기원전 1186년 즉위한 람세스 3세 때 마지막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기원전 1155년 람세스 3세 암살 미수 사건의 타격으로 사망한 뒤부터는 파라오의 권력이 급감했고, 마지막 파라오 람세스 11세 때는 나라가 분열되는 지경에 이르다가 기원전 1077년 람세스 11세가 사망하며 20왕조는 종료된다.

2.8. 이집트 제3중간기 (기원전 1077년 ~ 기원전 664년)

람세스 11세의 장례를 집전한 스멘데스 1세가 기원전 1077년 이집트 제21왕조를 세웠을 때부터 이집트 제3중간기라고 부른다. 이때부터는 신왕국 시대에 비해 기록이 감소하고, 왕권 또한 추락한 상태였다.

왕조가 단절되자, 사위였던 리비아 계통 셰숑크 1세가 기원전 943년 이집트 제22왕조를 창건했다. 21왕조 때 추락한 왕권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22왕조에서 셰숑크 3세가 즉위한 기원전 837년을 전후로 하여, 타켈로트 2세가 반란을 일으켜 상이집트에 이집트 제23왕조를 세웠다. 하지만 페디바스테트가 일으킨 반란으로 혼란을 겪었다.

기원전 732년에는 테프나크트가 하이집트에서 이집트 제24왕조를 세웠으나, 하술할 사건에 의해 12년만에 멸망했다.

22왕조와 23왕조가 한창 다투던 기원전 744년, 이집트화된 남쪽의 누비아인들의 쿠시 왕국 군주 피이가 스스로 파라오를 선언하면서 이집트 제25왕조를 세웠다. 이들은 기원전 728년 제23왕조를 무너뜨리고, 기원전 720년에는 바켄레네프가 이끌던 24왕조를 멸망시켰으며 기원전 716년에는 22왕조까지 멸망시키면서 이집트를 다시 통일했다. 25왕조는 이집트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흑인 계통의 군주에게 지배받던 시기였다. 마지막 파라오 타하르카 시기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신아시리아의 침입으로 인해 기원전 664년 멸망했다.

2.9. 이집트 말기 왕조 (기원전 664년 ~ 기원전 332년)

아시리아 제국에게 정복당한 이후부터 헬레니즘 제국에게 정복당하기 직전까지를 이집트 말기 왕조라고 부른다. 아시리아는 이집트를 정복한 이후 직접통치를 하지 않고, 괴뢰 국가로서 네코 1세를 파라오로 앉혀 이집트 제26왕조를 수립했다. 네코 2세 때 아시리아는 멸망했으나, 26왕조는 멸망하지 않고 독자적인 행보를 이어나가게 된다. 그러나 프삼티크 3세 시기에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에게 정복당하면서 26왕조는 기원전 525년 무너졌다.

기원전 6세기 중반, 키루스 2세아케메네스 왕조를 거대 제국으로 키웠다. 기원전 525년 아케메네스 왕조의 샤한샤이자 키루스의 아들인 캄비세스 2세는 이집트를 정복하고 본인이 파라오가 되었다. 페르시아의 이 1차 지배기를 이집트 제27왕조라고 부른다. 캄비세스 2세는 폭정을 벌였으나, 다리우스 1세 때는 관용적인 통치가 펼쳐졌다. 이렇게 120년간의 페르시아 지배기가 이어졌다.

기원전 404년 아미르타이오스라는 인물이 페르시아가 혼란한 틈을 타 이집트를 독립시키고 이집트 제28왕조를 세웠다. 하지만 6년 만에 네파루드 1세의 반란으로 멸망했다.

기원전 398년 네파루드 1세는 아미르타이오스를 처형하고 이집트 제29왕조를 세웠다. 하코르, 프삼무테스, 네파루드 2세까지 총 4명의 파라오를 배출했고, 네파루드 2세 때인 기원전 380년 넥타네보 1세가 일으킨 반란으로 18년 만에 멸망했다.

기원전 380년 넥타네보 1세가 세운 이집트 제30왕조는 37년 간 3명의 파라오를 배출했다. 넥타네보 2세 때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기원전 351년 페르시아와의 전쟁이 발발했고, 기원전 343년에 페르시아에게 정복당하면서 멸망했다.

기원전 343년 이집트를 재정복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가 파라오로 오르며 페르시아의 2차 지배기인 이집트 제31왕조 시대가 열렸다. 페르시아에게 반란을 일으켜 수십년 간 독립을 누렸던 이집트를 페르시아는 더 이상 용납할 수 없었고, 31왕조 시기에는 페르시아의 관용 따위는 없었고 약탈, 파괴가 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폭정은 11년 만에 막을 내렸다.

3. 그리스-로마 시대

3.1. 헬레니즘 시대(프톨레마이오스 왕조, 기원전 332 ~ 기원전 3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원전 334년부터 기원전 330년까지 벌어진 알렉산드로스 3세헬레니즘 제국다리우스 3세아케메네스 왕조 간의 전쟁은 헬레니즘 제국의 승리로 끝이 났다. 이 전쟁 도중이던 기원전 332년에 알렉산드로스가 이집트를 정복하면서 11년간의 페르시아 폭정 기간은 막을 내렸고 이집트인들은 자유를 되찾았다.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3세 사후 디아도코이 전쟁이 벌어진 틈을 타, 휘하의 장군이었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기원전 305년에 새 왕조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개창했다.

그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제32왕조) 이집트와 그 수도 알렉산드리아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지로 영화를 누렸다. 이때 이집트는 그리스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분명 마케도니아인의 외부 왕조였으나 토착종교를 존중하고, 개방적인 문화를 관대하게 받아들였다. 왕의 후원 아래 성기를 주제로 삼은 축제도 있었다(...)고 한다. 이 시기의 이집트는 상업이 활발하고, 여성의 상속권이 인정되며, 파로스의 등대와 세계 최고의 박물관/도서관이 있는 당대 최고의 선진문명이었다. 헤론의 초보적 증기기관도 알렉산드리아에서 발명되었다.(단 이는 서기 80년, 로마 제국 시대의 일이다.) 그리고 프톨레마이오스 4세 시대에는 거대한 함선인 포티를 건조하는 위엄을 보였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어디까지나 무력으로 이집트를 점령한 외국인 왕조였고, 그들의 통치력의 근간은 강력한 군사력에 있었다. 이 점에서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은 이후의 정복자들(로마인들, 아랍인들, 튀르크인들)에 비해 훨씬 덜 성공적이었다. 톨레미 파라오들은 이집트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이집트 밖에서 자주 전쟁을 벌였는데(키프로스, 레반트 남부, 킬리키아 등 소아시아 남부 등을 종종 영유했었다.), 그 주적인 셀레우코스 왕조 역시 소수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의 왕조였으므로 서로 제살 깎아먹기식 전쟁을 반복하게 되었다. 결국 BC 2세기쯤 되어 군사력 유지에 한계가 찾아오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그 후 자신의 생존을 동맹국 로마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그 상태로 로마의 그늘 아래서 번영하던 이집트는 결국 카이사르 사후 로마 내전에서 줄을 잘못 섰다가 그대로 아우구스투스에게 점령 당한다. 이로써 650년에 달하는 로마 시대가 시작되었다.

3.2. 로마 시대(기원후 641년까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아이깁투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로마 제국 원수정 시대의 아이깁투스에 대한 내용은 속주 문서
3.11번 문단을
부분을
, 고대 로마 후기의 아이깁투스에 대한 내용은 속주 문서
4.1.5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로마 속주인 이집트를 '아이깁투스(Aegyptus)'라 부른다. 로마 편입 이후에도 이집트는 동방의 중심지이자 제국에서 가장 부유한 속주로서 중대한 위치를 유지했다. 로마의 수도 로마는 밀을 대부분 속주에서 공급받았는데 3대 곡창 중 한 곳이 이집트였기 때문에 이집트는 로마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했다.[1] 몇 차례의 알렉산드리아 방화와 폭동[2], 디오클레티아누스 말년까지 빈번하게 이뤄진 기독교 박해[3], 기독교 국교화 이후의 '이교도' 탄압 박해[4]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때의 이집트는 헬레니즘 시대처럼 그리스 문화와 토착 문화, 기독교가 한데 섞인 매우 독특한 문화가 번영했다. 이집트는 언제나 가장 부유한 지역이었고, 동로마 제국 시대까지도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기독교 공인 이후부터 이슬람 발흥 이전까지의 알렉산드리아는 로마콘스탄티노폴리스, 안티오키아, 예루살렘과 더불어 5대 총대주교좌 중의 하나로서 특히 아프리카 대륙 기독교 세계의 중심지였다.

파일:external/www.christiantoday.co.jp/image.jpg

마르코 복음서의 저자이자 초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라고 전해지는 복음사가 성 마르코가 처음으로 이집트에 와서 선교 활동을 할 때 총독까지 개종했을 정도였으니...성 마르코는 기원 65년에 이집트는 물론 로마 제국 최초의 기독교 학교인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를 설립했다. 로마 제국이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수도를 천도한 이후로 이집트는 제국에서 가장 부유하고 영향력이 큰 지방이었으나, 그 때문에 계속 분리주의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그 분출구는 바로 종교였다. 흔히 알려진 삼위일체를 완전히 정립시킨 공로가 있는 지방이 이집트였으나, 이들은 자신들의 신학을 더욱 밀고나가 합성론이라고 하는 독자적 신학 노선을 밀었다.[5] 5세기에 등장한 합성론은 그때부터 이집트와 시리아의 주된 신학 사상으로 자리잡았으며, 아직까지도 콥트 교회라는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다.[6]

이집트의 이런 번영+위세 덕에 알렉산드리아는 항상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중앙 정부와 반목하는 거대 파벌의 지배하에 있었다. 거기에 더해서, 앞서 말했듯 콥트교 교세가 가장 강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이슬람의 고작 4천 군사[7]가 침입해 오자 오히려 쌍수를 들며 별다른 저항 없이(...) 손쉽게 넘어갔다. 동로마 입장에서 사산 왕조로부터 기껏 탈환했더니 이슬람의 흥기로 어이없게 상실하고 말았다.. 여하간 같은 아프리카라도 무려 아마지그(베르베르계) 현지인 출신 10만(?!) 대군으로 저항했던 키레나이카(오늘날의 리비아지중해 연안), 카르타고, 튀니지와는 사뭇 달랐던 게 이집트의 함락이었다.[8]

한편, 통상 프톨레마이오스를 끝으로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파라오 제도는 폐지되었고 이집트는 로마의 속주로 편입된다...고 보통 알려져 있었지만 영어 위키백과에는 Roman pharaoh라는 개념이 나와 있다. 이에 따르면 파라오라는 칭호가 종종 부여되었지만 철저히 이집트 관내에서나 통용되었고 결코 공식 칭호나 로마 전체에 걸친 전국적인 칭호는 아니었다고 한다. 그래도 파라오라는 개념 자체가 사멸하지 않았던 것은 전통적인 이집트의 종교적 관념상 인간(이집트인)과 하늘의 중개자로서 파라오가 꼭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집트를 포함한 동방지역에 기독교가 확산됨에 따라, 기독교와 양립하기 어려운 파라오라는 개념의 필요성 자체가 퇴조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로마 황제들이 다스리는 땅이 워낙 넓다 보니 제국 기준 동남쪽 구석인 이집트에는 잘해봤자 한 번 가보면 다행이었고 아예 안 가 본 황제들도 제법 있었는데, 이렇게 (어쨌든 이집트적 개념으로 파라오로서 이집트를 묶어줘야 할) 로마 황제가 이집트에 부재한 상황이 수백년간 계속되었던 것도 파라오 개념의 퇴조에 작용했다. 그리하다가 마지막으로 파라오 칭호를 수여받은 황제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얼마 전이자 사두정치 후기의 막시미누스 다이아였다고 한다.[9]

4. 이슬람 시대(641~1798)

파일:카이로 풍경 1.jpg
피라미드와 맘루크 왕조기 이슬람 건축물들

이슬람의 도래로 이집트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이집트 문화에 로마, 그리스, 기독교, 이슬람 문화가 뒤섞이며 현재 이집트 문화의 뿌리를 다지게 되었다. 다만 변하지 않은 사실은 여전히 이집트는 해당 지역에서 가장 번영하고, 강성하며, 알토란 같은 핵심 지역이며 각 왕조 아래서 번영을 지속했다는 점이다.

4.1. 통일 이슬람 제국 시대

이슬람 발흥 이후 640년경, 아랍인의 침공을 받아 자진해서 아랍 치하에 들어서게 되었다. 당시 곡물을 착취받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정와 매우 사이가 나빴던 이집트였기에, 아랍에 자진해서 항복할 기미를 보이자 동로마 제국도 아랍인들에게 무조건 양도했다.

이집트인들은 이로써 자신들의 독립 행보가 이어질 것으로 생각했으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때부터 이집트인의 아랍·이슬람화가 시작되었다. 신학적 견해가 다르더라도 같은 기독교를 믿는 동로마 제국 정부와 이슬람교를 믿는 아랍 정부가 같을 리 없었다. 실제로 지배 초기에 아랍인들은 인두세만 받는 선에서 기독교도들에 대한 유화정책을 시행했으나, 이슬람 통치가 확고히 자리잡은 이후로부터는 관용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딱히 기독교도들에 대한 장기적이고 정책적인 박해가 이루어진 것도 아니어서, 아랍의 지배 초기에는 이집트의 이슬람화가 아주 천천히 진행되었고, 콥트어를 금지하는 법령도 시행되지 않았기에 꽤나 오랜기간 동안 콥트어가 제2언어로 잘 쓰였다. 이집트가 이슬람 치하에 떨어진 것이 7세기 중엽인데, 이집트의 무슬림 인구가 기독교도 인구를 앞지르기 시작한 것은 적어도 12세기 이후의 일이었다.

우선 물로 둘러싸여 제국과의 연결이 어려운 알렉산드리아 대신[10] 멤피스 근교에 푸스타트라는 신도시가 세워져 이집트의 행정•군사 수도가 되었고(642년 건설), 이후 이슬람 제국우마이야 왕조(661~750), 아바스 왕조[11] 시대를 거쳤다. 이 시대의 주요 건축물로는 이븐 툴룬 모스크가 있다.

4.2. 파티마 왕조(963~1169)와 아이유브 왕조(1169~1250), 그리고 십자군 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티마 왕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 후 이집트는 10세기 중후반(969년) 튀니지에서 일어난 시아파 파티마 왕조의 통치기에 들어갔다. 그 원인은 이흐시드 왕조(935~969)를 쇠퇴하게 한 대기근 때문이었다. 이집트를 점령한 뒤 신도시 카이로(알-카히라)를 수도(초기엔 궁성 겸 요새수도)로 정하고 번영을 누리던 파티마 왕조는 십자군 전쟁으로 쇠퇴했다. 이 시대의 건축물로는 지금까지 남아있는 알-아즈하르 모스크와 그 휘하의 알-아즈하르 대학[12]이 있다. 직역하면 "가장 꽃이 만발한"이란 의미이다.

십자군 전쟁 기간 푸스타트와 카이로는 청야작전으로 잿더미가 되었고, 전쟁을 기점으로 이집트의 이슬람 군주들은 기독교도들을 처형하거나 강제 추방하는 등 박해하며, 이도 저도 아니면 노예로 삼았다[13]. 유럽 기독교도들과 내통한다고 의심받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구는 황폐화되었고, 이때부터 이집트 내의 기독교도의 수가 무슬림보다 적어지면서 이집트의 이슬람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유브 왕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 후 십자군 전쟁에서 대활약한 쿠르드족 재상 출신의 술탄 살라흐 앗 딘이 창건한 아이유브 왕조(1169~1250)가 이집트의 주인이 되었다. 이로써 이집트의 시아파 시대는 끝이 나고 순니파 시대가 돌아오게 되었다. 십자군과의 전쟁은 아이유브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여러 차례의 휴전와 개전을 거치며 진행되었다.[14]

4.3. 맘루크 왕조(1250~151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맘루크 왕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러다가 다시 1250년부터는 맘루크들의 쿠데타로 인해 맘루크 왕조(노예왕조[15], 1250~1517)가 들어섰다. 술탄 알 사히르의 후궁 출신으로 여성 명군이었던 샤쟈르 알 두르와 황태자 투란샤 간의 정쟁이 결국 맘루크의 부상을 불러왔던 것이다. 샤자르 알-두르는 80일간 재위한 뒤 잇자 알-딘 아이바크와 결혼하고 아이바크가 술탄이 되었다.

아랍인들의 많은 반란에도 불구하고, 맘루크 왕조는 아인 잘루트 전투(1260년)에서 몽골족인 훌라구 칸의 일 칸국을 물리치고, 다음해 바그다드의 아바스 칼리파를 복원하며 세력을 떨쳤다. 맘루크의 분투로 이슬람 세계는 사라질 수 있는 대위기에서 구해진 것이었다. 이후 맘루크 왕조는 실질적인 이슬람의 종주국으로서[16] 지중해 상권을 장악하며 큰 번영을 누렸다.

맘루크는 1300년을 전후해 이슬람으로 개종한 일 칸국과 시리아, 팔레스타인(특히 다마스커스 공성)을 놓고 여러 차례 대결했으나 결국 맘루크가 승리했으며, 이를 기점으로 더욱 강성해지면서 오스만에 대항해 동로마 제국을 보호하기도 했다. 순니 세력이 들어오면서 쇠퇴했던 알 아즈하르도 다시 순니의 학문적, 문화적 중심지로 번영을 누리게 되었고 카이로는 바그다드를 제치고 이슬람 세계 최고의 도시가 되었다. 십자군 잔당 역시 1291년을 기해 완전히 사라졌다.

1382년 튀르크족 중심의 바흐리 맘루크 왕조가 서카시아인과 그리스계가 주축인 부르지 맘루크 왕조로 정권이 교체되었다. 그러나 맘루크 왕조는 티무르의 강성함때문에 다마스쿠스를 잃었으며, 티무르가 중국 원정을 기획하면서 점령만 면했다. 그러나 티무르 제국이 멸망하면서 맘루크는 다시 세력을 되찾았다. 맘루크는 멸망 직전까지 인도양과 지중해 전반에서 강성한 해군력을 자랑했다.

4.4. 오스만 제국 치하의 이집트

번영했던 맘루크 왕조도 15세기 초 포르투갈인도로 가는 항로를 발견하면서 중개무역에 치명타를 맞고 쇠약해졌고[17], 1517년 갓 동유럽과 페르시아를 정벌하고 돌아온 오스만 제국셀림 1세에게 정복당했다. 이미 동로마 제국의 숨통을 끊은 무기인 대포머스킷 소총으로 무장한 오스만군에 기병 중심의 맘루크는 상대가 되지 않았던 것이다.[18][19]

오스만 제국의 잘나가는 속주였던 이집트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가 시간이 갈수록 약해지면서 군벌(사라지지 않았던 맘루크)들이 득세하였고, 알리 '베이'(군사 지도자) 때는 독립을 선언하기도 하였다(1770년). 그러다가 1798년 6월, 나폴레옹이집트 원정에 걸려 군벌들과 친오스만 총독들이 함께 박살나면서 아주 잠깐 프랑스의 영향권에 들어갔다. 프랑스군은 1801년 철수했지만, 그 과정에서 1799년 로제타 석이 발견되면서 이집트 문화는 다시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5. 근대 이집트

파일:Egypt_under_Muhammad_Ali_Dynasty_map_en.png
무함마드 알리 시대의 팽창 (빗금) / 1880년경 이집트 영토 출처

이집트가 독립하게 된 것은 1805년 오스만 제국에서 내려온 메흐메드 알리가 이집트 총독 자리에 오르면서였다.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의 맘루크 세력을 숙청하고 군 활동의 재량권을 얻은 뒤, 서방과 적극적인 접촉을 가지며 근대화를 추진하여 군사력을 길렀다. 그리고 1832년에는 레반트와 헤자즈를 정복해버림으로써 오스만 제국과 완전히 갈라섰으며, 1839년 시리아 반란을 빌미로 침공한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영국의 중재로 시리아를 반환하고 1841년 독립하게 되었다.

정확히는 "독립"까지는 어폐가 있는 것이, 1922년 이전까지 이집트의 세속군주의 호칭은 '헤디브'(khedive)였다. 뜻은 옛 튀르키예어로 '대리인', '총독'이라는 의미. 공식적으로 (사실상 독립상태지만) 이집트는 여전히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었으며 적어도 '총독' 무함마드 알리까지는 꾸준히 이집트의 수입 중 일부를 이스탄불의 술탄에게 보냈다. 이집트에 대한 오스만의 권리가 공식적으로 사라진 것은 1922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이끄는 터키공화국 대국민의회와 영국간에 체결된 로잔조약에서 터키가 이집트와 키프로스, 이라크 등 옛 오스만 제국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면서부터다.

이후의 이집트는 근대화를 통해 산업적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남북 전쟁 기간 동안 면화가격 폭등으로 엄청난 이득을 보았으나 미국의 면화가 본격적으로 쏟아져 나오면서 재정적인 어려움에 빠져 결국 1882년 내부 반란을 영국군이 대신 진압해준 뒤로 영국의 보호령으로 취급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영국 치하 이집트 참조.

파일:이집트 국기(1882-1922).svg.png
1882년 당시 이집트 국기. 현 튀니지 국기와 비슷하며 오스만 제국-현재 터키월성기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14년, 영국은 이집트를 완전히 왕령식민지로 병합하려 하였으나 이집트인의 격렬한 반대로 무산되고 대신 완전한 영국의 보호령이 된다.[20] 그러나 전 세계에 불어닥치던 민족자결주의 열풍과 함께 자유주의 정당인 와프트당을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1919년 이집트 혁명)이 격렬해져 1922년 이집트 왕국으로 독립했다. 1936년 푸아드 1세가 그해 죽고 아들인 파루크가 제위했지만 겨우 16살 나이였고 영국의 영향력이 워낙 막강해서 수에즈 운하에 주둔한 영국군이 계속 있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에는 영국에 계속 끌려다녔기 때문에 독립국으로서의 지위는 거의 누릴 수 없었다.

한편 근대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입을 목격한 이집트 지식인들은 서구와 이집트의 기술 격차에 큰 충격을 받고 이슬람 사상의 근대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알 아즈하르 대학의 셰이크였던 무함마드 압두는 서구의 모더니즘 철학 사조를 이슬람에 도입하고 중세 이후 순니파 세계에서 사멸되었던 무타질라 학파를 부흥시켜 이슬람 모더니즘 학파의 기원을 이루었다. 이후 근대 이집트는 진보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이슬람 모더니즘이 발전하며 다른 이슬람권 국가들의 근대화 및 지적 발전에 영향을 주게 된다.

19세기 이집트의 이슬람 모더니즘은 이슬람권의 세속주의살라피즘, 이슬람주의에 모두 깊은 영향을 주었다. 20세기 세속주의-민족주의 성향의 이집트 문인 타하 후세인은 파라오의 입장에서 모세와 이스라엘을 비판하는 종래의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가치관과 완전히 대치되는 소설을 쓰고 히파티아에 대한 재평가를 주도하였으며, 무함마드 압두의 제자이자 시리아의 이슬람 모더니즘 학자 라시드 리다는 현대 살라프파의 기반을 다졌다. 반서구 감정이 강했던 이집트 민중의 입장에서 이슬람 모더니즘을 이해했던 하산 알 반나는 전통적인 이슬람 사상에 레닌주의의 민중 해방론과 방법론을 접합하여 무슬림 형제단을 창단하여 이슬람주의의 시작을 알렸다.

6. 현대 이집트

6.1. 가말 압델 나세르의 시대(1952[21](1954)[22]~1971)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공화국의 국기(1952~1958).[23]

그러던 중, 제1차 중동전쟁에서 패전하면서 나라가 시끄러워져 1952년 가말 압델 나세르(1918~1971)와 무함마드 나기브(1901~1984)를 중심으로 한 군 장교들의 쿠데타로 인해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국이 되었다. 하지만 축출당한 파루크 1세는 머리를 써서 엄청난 거액을 술상자에 넣고 술로 위장하여 한가득 챙겨서 여유롭게 다른 나라로 망명했다.[24]

이후 나세르가 권력을 잡고 나기브를 축출한 다음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자 영국+프랑스+이스라엘이 저 못돼먹은 놈 하면서 대대적으로 공격해 들어왔다(제2차 중동전쟁, 혹은 수에즈 사태). 워낙 군사력이 부족해 패배를 눈앞에 뒀으나, 당시 제3세계의 지지를 얻고자 했던 소련이 영국+프랑스에 무력 사용을 불사하겠다며 겁을 주고 미국도 영국과 프랑스에게 냉담하게 대하자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이스라엘은 수에즈 운하에서 철수해 결과적으로 이집트가 승리하게 되었다. 이로서 영국의 영향력이 이집트에서 완전히 사라졌으며, 이에 따라 이집트와 나세르의 주가가 엄청나게 치솟아 인도와 함께 제3세계의 수장노릇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선 거의 싸우는 족족 처발렸고, 한때 시리아와 함께 통일된 아랍 연합 공화국을 만들어 전 이슬람 아랍세계의 통일을 꾀했고 한때 그 꿈이 가까워 보였으나 시리아삽질로 다시 쪼개져 이집트 공화국으로 원상복귀했다.

또한 가말 압델 나세르 전 대통령은 넥타네보 2세 이후 최초의 토착 이집트인 국가원수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집트 역사 이래 그 이전까지는, 모두 외국인이거나 이집트인의 피가 섞였더라도 외래 정체성이 강했던 지도자들이 이집트를 통치했었다.#

6.2. 안와르 사다트(1971~1981)와 호스니 무바라크의 시대(1981~2011)

나세르의 후계자로 안와르 사다트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탈중앙집중화와 족벌경제의 완화, 독재정치의 완화를 내걸었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그나마 1973년에 각오 단단히 하고 소련 지원 속에 제대로 훈련하면서 이를 갈아오며 벌인 제4차 중동전쟁, 또는 10월 전쟁으로 부르는 전쟁으로 이스라엘에게 장난 아닌 타격을 주었다. 이스라엘군 공식적 전사자만 해도 2500명이 넘는다. 6일 전쟁(제3차 중동전쟁) 당시 이스라엘군 전사자가 총 2백 명 수준이었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차이.

초반 전투에서 생긴 이 정도 전사자 수는 이스라엘을 아주 충공깽으로 몰아가고도 남았다. 물론 전쟁 자체는 이스라엘이 대반격전을 펼치는 바람에 수에즈 운하 방어선이 뚫리면서 대위기를 맞이하다가 종전되었으나, 일단 이스라엘에게 더 이상의 양면전쟁은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주었기 때문에 평화협정을 미끼로 하여 이스라엘이 빼앗아간 시나이 반도를 협상으로 되찾고 이스라엘을 인정하게 된다. 역사적인 이스라엘 방문을 실현한 사다트는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수상과 공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으며, 아랍세계에서는 최초로 이스라엘과 평화조약을 맺었다. 서방세계에서 그의 인기는 올라갔으나 국내에서는 반대여론에 대한 탄압 등으로 인기가 추락했고, 그 후 중동평화회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81년 이스라엘과의 평화를 추진하던 안와르 엘 사다트가 공식 행사 도중 이슬람 과격파에게 암살당한 뒤, 부통령이던 무바라크가 대통령직에 올라 2011년까지 대통령직을 맡았다. 무바라크는 30년간 독재정치를 펴며 자식까지 세습하려는 계획에도 골몰했고 가장 탄탄한 독재체제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는데...

6.3. 이집트 혁명(2011), 그리고 압델 파타 엘 시시 시대(2013년 ~)

그러나 2011년 튀니지에서 혁명으로 벤 알리 대통령이 쫓겨나면서(재스민 혁명) 아랍의 봄이 시작되었고, 이집트에도 불씨가 튀어 민중혁명이 발생하였다. 이슬람권의 높은 출산율로 인구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20대 이하의 젊은 층들이 혁명의 주축이 되었고, 인터넷의 보급으로 대규모 시위가 가능해진 것이 아랍권에 혁명 열풍이 불어오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이집트 정부는 시위가 시작된 후 트위터를 차단했지만 이미 네티즌들의 결집을 막을 수 없었다. 정부는 강경진압을 계속하였으나 타오르는 혁명의 불길을 막을 수는 없었고, 무바라크는 끝까지 꼼수를 쓰며 자리보전을 노렸으나 결국 권좌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2011 이집트 혁명 참조.

그리고 2011년 12월 하원 선거에서 70% 가까이를 이슬람 보수파가 차지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미국과 이스라엘, 그리고 군부까지도 비상이 걸렸으나 이걸 막을 명분이 없어 구경만 해야할 판국이다. 독재자를 몰아낸 민중혁명으로 이뤄진 선거를 막을 수도 없기에 군부는 부정선거 의혹을 저질러 민중들의 분노를 이끌어 유혈사태를 만들고 있다. 하지만 군부도 무력으로만 막을 수 없는데 리비아처럼 내전으로 벌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

이집트는 인구가 9천만이 넘어가고 4대 문명의 발상지인 데다 그 후에도 역사적 문화적 위치,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영토를 걸치고 있는 유일한 나라이며, 수에즈 운하를 소유하는 등 여러 모로 아랍동맹에서 중요한 위치다. 통계에 의하면 아랍 미디어의 90% 이상이 이집트에 의존하고 있다고 한다.(드라마, 뉴스 등) 튀니지와는 비교할 수 없는 폭발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집트 혁명의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심지어 사우디아라비아 왕가도 위험하다는 분석도 나왔었다.

2012년 6월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무슬림 형제단무함마드 무르시가 당선되었다. 1952년 파루크 왕을 몰아낸 뒤로 군부 정권이 60년 동안 독식한 뒤로 첫 민주 정권이지만 군부는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헌법재판소도 인정하지 않는 와중에 여론이 군부와 한패인 헌법재판소의 수작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무바라크의 부하였던 샤피크 후보를 지지하던 미국과 이스라엘은 똥씹은 반응.

결국 여론에 밀려서 무르시가 공식적으로 대통령이 되었으나 무르시가 추진하는 새 헌법이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 11월 22일 사법기관의 의회 해산권을 제한하고 샤리아이슬람 근본주의 색채를 지나치게 반영했으며, 대통령령과 선언문이 최종 효력을 갖는다는 내용을 담은 새 헌법 선언문을 발표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는 일명 파라오 헌법 파동이라고 불린다.

이를 두고 "네가 무슨 파라오냐? 이건 뭐 무바라크랑 차이가 뭔데?" 분노어린 반발을 받고 있고 2012년 12월 5일에는 카이로 한복판에서 무르시 반대파들과 지지자들이 충돌하여 6명이 목숨을 잃었다. 야당에서 결사반대하고 있으며 군부도 야당과 손잡겠다면서 으름장을 놓는 중이라 15일로 기획된 헌법 국민투표를 연기하고 해산권 제한을 없애기로 하며 대통령 권한을 의회랑 반반으로 하겠다고 물러서면서 다독이는 중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경제난과 증가하는 실업률, 그리고 무르시 대통령의 무슬림 형제단 중심의 인사[25]는 많은 국민들의 반발을 일으켰고 결국 무르시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인 2013년 6월 30일에는 카이로, 알렉산드리아를 비롯한 이집트 전역에서 100만 명 이상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총기까지 동원한 친정부파와 반정부파 간의 유혈 충돌이 거듭되고 사회 혼란이 극심해지는 가운데, 7월 2일 군부가 대통령을 압박하여 조속한 결단을 촉구하며 최후통첩을 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마침내 2013년 7월 3일, 군부가 다시 쿠데타를 일으켜 무르시 대통령을 사실상 축출하고 과도정부를 세웠다. 이로써 무바라크 축출 이후 일시적으로 정국을 장악한 군부가 물러나고 불과 1년 만에 다시 군부가 권력을 잡게 되었다. 무르시 대통령의 이슬람주의 성향을 꺼리던 미국은 군부의 쿠데타를 대놓고 환영하진 못해도 상당히 기꺼워 하는 상황.

무슬림 형제단과 친하게 지내면서 마찬가지로 이슬람주의 정책을 쓰던 터키 에르도안과 무슬림 형제단 주요 지지국인 카타르의 알사니 국왕은 처음에 반발했지만 민중들 반발을 우려해서인지 나중에는 물러서면서 환영했으며 튀르키예와 카타르가 동맹관계를 설립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무슬림 형제단이 무르시 축출에 반발해 시위를 일으키면서 다시금 이집트는 유혈의 폭풍속으로 치달았다. 급기야 군부는 실탄 사격까지 하면서 무르시 찬성 시위대를 해산시키려했고 결국 600여 명이 사망하는 최악의 유혈사태가 일어나고 말았다. 이집트 군부를 제어하지 못한 미국에게 비난이 쏟아졌고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은 이집트에 대한 원조 중단을 경고하고 나섰다. 무르시가 분명 파라오 헌법 등으로 민주주의 원칙을 저버린 것은 문제이지만, 그렇다고 군부를 다시 나서게 한 것도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많은 상황.

2013년 8월 19일에는 3일 동안 시위로 1300여 명에 육박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전해졌다. 이쯤 되면 리비아나 시리아 테크를 타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을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지만 무슬림 형제단 자체가 법적으로 해체되기 직전이며, 국민들도 외면하는 편인지라 사실상 무슬림 형제단의 참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결국 무르시 정권의 기반이었던 이슬람 극단주의 정당 무슬림 형제단은 2013년 10월 9일 과도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해체당했다. 나아가 군부 주도의 과도정부는 무슬림 형제단테러조직이라고 규정하고 정당 핵심 인물들과 관련자들의 자산을 몰수하는 조치를 취했다.

과도정부는 무르시 전 대통령 시기의 지나친 이슬람 과격 정책들을 약화시키고 군부의 절대적 권한을 강화한 새 헌법을 통과시켰다. 쿠데타의 주역인 압델 파타 엘 시시 원수가 과도정부를 이을 차기 선거의 대권주자로 유력시되었고 결국 이집트 새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이로써 민주화 혁명으로 쫒아낸 군사정권은 이슬람 원리주의자의 부활로 돌아서면서 국민들은 이집트의 이슬람화를 인정하기 싫었기에 원리주의자 무르시를 탄압한 엘시시의 군부를 옹호하여 다시 3년만에 돌아온 군사정권을 지지하고 있는 웃지못할 상황이 되어버렸다.[26]

혁명 3주년 기념일을 전후로 무슬림 형제단 지지 시위대와 친군부 시위대가 충돌해 수백 명이 죽고 다치는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그 외에도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에 의한 테러도 일어나곤 했지만 지금은 재집권한 군부의 권위주의적인 통치 아래서 그럭저럭 안정을 찾은 듯하다. 하지만 이집트의 경제난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테러 또한 계속 일어나고 있어 불안한 상황이다.

2021년 3월 20일에 이집트 관광유물부는 4월 3일 카이로 시내에서 파라오 골든 퍼레이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7. 연표

고대 이집트
말기 왕조 / 그리스 로마 시대
무슬림 시대
근대 이집트
  • 나폴레옹의 정복 (1798 - 1801)
  • 무함마드 알리 왕조 (1805 - 1952)
    - (1882년부터 영국의 보호령)
    - 헤디브 시대 (1867 - 1914)
    - 술탄 시대 (1914 - 1922)
    - 왕 시대 (1922 - 1952)
  • 이집트 아랍 공화국 (1952 - 현재)

8. 이집트 파라오 목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하이집트 <colbgcolor=#fff,#1f2023>헤주호르 니호르 흐세큐 카유 티우 테시 네헵 와즈너 하트호르 니네이스 | 메크 더블팔콘 워시
상이집트 | 핑거 스네일 피시 엘리펀트 스톡 전갈왕 1세 크로커다일 아이리 호르 전갈왕 2세 나르메르 메네스
제1왕조 나르메르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제트 메르네이트 아네지브 세메르케트 카아 스네페르카 호루스 바
제2왕조 헤텝세켐위 네브라 니네체르 누브네페르 호루스 사 웨네그 와제네스 세네지 세트 페리브센 세케리브 페렌마아트 네페르카레 1세 네페르카소카르 후제파 카세켐위
제3왕조 조세르 세켐케트 사나크테 네브카 카바 세제스 카하제트 후니
제4왕조 스네프루 쿠푸 제데프레 카프레 비케리스 멘카우레 솁세스카프 탐프티스
제5왕조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네페레프레 솁세스카레 니우세르레 멩카우호르 제드카레 우나스
제6왕조 테티 우세르카레 페피 1세 메렌레 1세 페피 2세 메렌레 2세 니토크리스 네체르카레 네페르카 네페르
제7왕조 멩카레 네페르카레 2세 네페르카레 3세 제드카레 셰마이 네페르카레 4세 메렌호르 네페르카민 니카레 네페르카레 5세 네페르카호르
제8왕조 네페르카레 6세 네페르카민 아누 카카레 이비 네페르카우레 네페르카우호르 네페리르카레 와지카레 쿠이케르 쿠이 이체누
제9왕조 케티 1세 네페르카레 7세 네브카우레 케티 세투트 임호텝
제10왕조 메리하토르 네페르카레 8세 와카레 케티 메리카레
제11왕조 멘투호테프 1세 인테프 1세 인테프 2세 인테프 3세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4세
누비아 왕조 세게르세니 카카레 이니 이이브켄트레
제12왕조 아메넴헤트 1세 세누스레트 1세 아메넴헤트 2세 세누스레트 2세 세누스레트 3세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4세 소베크네페루
제13왕조 소베크호테프 1세 손베프 네리카레 세켐카레 아메니 케마우 호테피브레 이푸니 아메넴헤트 6세 세멘카레 네브누니 세헤테피브레 세와지카레 네제미브레 소베크호테프 2세 렌세네브 호르 세켐레쿠타위 카바우 제드케페레우 세브카이 세제파카레 웨가프 켄제르 이미레메샤우 세헤테프카레 인테프 세트 메리브레 소베크호테프 3세 네페르호테프 1세 시하토르 소베크호테프 4세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와히브레 이비아우 메르네페르레 아이 이니 1세 상켄레 세와지투 메르세켐레 이네드 세와지카레 호리 소베크호테프 7세 이니 2세 세와헨레 세네브미우 메르케페레 메르카레 세와자레 멘투호테프 세헤켄레 산크프타히
제14왕조 야크빔 세카엔레 야아무 누부세르레 카레흐 아아호테프레 셰시 네헤시 카케레우레 네베파우레 세헤브레 메르제파레 세와지카레 3세 네브제파레 웨벤레 아위브레 2세 헤리브레 네브센레 셰케페렌레 제드케레우레 산키브레 2세 카케무레 네페리브레 카카레 아카레 아나티 제드카레 베브눔 아페피 누야 와자드 셰네흐 셴셰크 카무레 야카레브 야쿠브-하르
제15왕조 샤렉 셈켐 아페라나트 살리티스 사키르-하르 키얀 야나시 아페피 카무디
제16왕조 제후티 소베크호테프 8세 네페르호테프 3세 멘투호테피 네비리라우 1세 네비리라우 2세 세멘레 베비앙크 세켐레 셰드와스트 데두모세 1세 데두모세 2세 몬투엠사프 메란크흐레 멘투호테프 세누스레트 4세 페피 3세
아비도스 왕조 세네브카이 웨프와웨템사프 판트제니 스나아이브
제17왕조 라호테프 네브마아트레 소베켐사프 1세 소베켐사프 2세 인테프 5세 인테프 6세 인테프 7세 세나크텐레 아모세 세케넨레 타오 카모세
제18왕조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2세 투트모세 4세 아멘호테프 3세 아케나톤 스멘크카레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아이 호렘헤브
제19왕조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메르넵타 아멘메세스 세티 2세 십타 투스레트
제20왕조 세트나크테 람세스 3세 람세스 4세 람세스 5세 람세스 6세 람세스 7세 람세스 8세 람세스 9세 람세스 10세 람세스 11세
제21왕조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제22왕조 셰숑크 1세 오소르콘 1세 셰숑크 2세 타켈로트 1세 오소르콘 2세 셰숑크 3세 셰숑크 4세 파미 셰숑크 5세 오소르콘 4세
제23왕조 하르시에세 A 타켈로트 2세 페디바스테트 1세 셰숑크 6세 오소르콘 3세 타켈로트 3세 루다멘 이니
제24왕조 테프나크트 바켄레네프
제25왕조 피이 셰비쿠 샤바카 타하르카 타누타멘
제26왕조 네코 1세 프삼티크 1세 네코 2세 프삼티크 2세 와히브레 아흐모세 2세 프삼티크 3세
제27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캄비세스 2세 바르디야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소그디아누스 다리우스 2세
제28왕조 아미르타이오스
제29왕조 네파루드 1세 하코르 프삼무테스 네파루드 2세
제30왕조 넥타네보 1세 테오스 넥타네보 2세
제31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세스 카바쉬 | 다리우스 3세
아르게아스 왕조 알렉산드로스 3세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4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1세 프톨레마이오스 2세 · 아르시노에 2세 프톨레마이오스 3세 · 베레니케 2세 프톨레마이오스 4세 · 아르시노에 3세 프톨레마이오스 5세 · 클레오파트라 1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 클레오파트라 1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복위) · 프톨레마이오스 7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클레오파트라 2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클레오파트라 3세 · 베레니케 3세 프톨레마이오스 9세 (복위) 베레니케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 클레오파트라 5세 베레니케 4세 · 클레오파트라 6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13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아르시노에 4세 프톨레마이오스 14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프톨레마이오스 15세 · 클레오파트라 7세
세소스트리스 · 아이깁투스 · 사산 · 정통 칼리파
우마이야 · 아바스 · 파티마 · 아이유브
맘루크 · 오스만 · 무함마드 알리 · 대통령
}}}}}}}}}}}}}}}

한국어 위키백과
영어 위키백과

9. 관련 문서


[1] 오죽했으면 아이깁투스(이집트)는 '로마(제국)의 빵바구니'로 불렸다.[2] 115년의 유대 폭동과 172년의 폭동이 유명하다. 두 폭동 사이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알렉산드리아를 재건했으나 다시 황폐해졌다.[3] 마지막 박해는 303~311년. 콥트 교회에서 이 시기를 기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즉위한 284년을 박해의 시대인 순교력 원년으로 규정하고, 매해 순교의 기간을 정해놓았을 정도다.[4] 이 결과 토착신앙은 절멸하게 된다.[5] 흔히 알려진 바와는 달리, 단성론은 합성론자들 사이에서도 이단 취급이다. 다만 외부에서 봤을 때는 단성론과 합성론을 오해할 여지가 있었고,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단성론으로 알려져 있다.[6] 이 떡밥은 심지어 비잔티움의 첩자 같은 대체역사물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질 정도이다.[7] 얼마나 황당한 함락이었냐면, 우마르 칼리파나 메디나 원로들은 이집트 침공을 당장 원하지 않았다. 시리아도 안정되지 않았기 때문. 그러나 아무르 빈 알-아스가 막무가내로 침공을 간청하여 원로들의 만류도 씹고, 닥치고 전광석화로 이집트로 돌격해버렸다. 그렇게 이집트는 쉽게 무너졌지만 해군이 없던 이슬람으로서는 여전히 이집트는 오래 지배하기에 좋은 영토가 아니었다.[8] 영어 위키백과 Exarchate of Africa 중, 'Due to religious and political ambitions, the Exarch Gregory the Patrician (who was related by blood to the imperial family, through the emperor's cousin Nicetas) declared himself independent of Constantinople in 647. At this time the influence and power of the exarchate was exemplified in the forces gathered by Gregory in the battle of Sufetula also in that year where more than 100,000 men of Amazigh origin fought for Gregory.'[9] Roman pharaoh 중, 'Although the Egyptians themselves considered the Romans to be their pharaohs and the legitimate successors of the ancient pharaohs, the emperors themselves never adopted any pharaonic titles or traditions outside of Egypt, as these would have been hard to justify in the Roman world at large. Most emperors probably cared little of the status accorded to them by the Egyptians, with emperors rarely visiting the province more than once in their lifetime. Their role as god-kings was only ever officially acknowledged by the Egyptians themselves.' 및, 'Though not all Roman emperors were recognized as pharaohs, Egyptian religion demanded the presence of a pharaoh to act as the intermediate between humanity and the gods.' 및, 'Though Egypt continued to be a part of the Roman Empire until it was conquered by the Rashidun Caliphate in 641 AD, the last Roman emperor to be conferred the title of pharaoh was Maximinus Daza (reigned 311–313 AD). By his time, the view of Romans as pharaohs had already been declining for some time due to Egypt being on the periphery of the Roman Empire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pharaonic view of Egypt as the center of the world). The spread of Christianity throughout the empire in the 4th century, and the transformation of Egypt's capital Alexandria into a major Christian center, decisively ended the tradition, due to the new religion being incompatible with the traditional implications of being pharaoh.'[10] 이것도 이집트가 본진이었지만(레반트, 간혹 가다 키프로스 섬이나 킬리키아 등 소아시아 남해안에도 세력을 뻗쳤었다.) 지중해 너머의 그리스계 이민집단이 지배세력이었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나, 마찬가지로 지중해 너머의 남유럽(로마 및 콘스탄티노플)에 수도를 두었던 로마 제국의 영역이어서 해로의 연결이 매우 중요했던 그리스-로마 시대와 달리, 시나이 반도 너머 서아시아에 중심지를 두었던 아랍 이슬람 시대에는 육로의 연결이 중요해졌다는 점이 작용했다고 생각된다.[11] 튀르크계 노예 출신의 반독립 툴룬 왕조(868~905)와 이흐시드 왕조(935~969) 포함, 750~969년[12] 972년 건립, 982년 설립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고등교육 시설)이다.[13] 사실 이집트에서 최초의 박해가 시작된 것은 괴짜 군주로 유명한 알 하킴(996~1021, 파티마 왕조 제6대 칼리파) 때의 일이었다(1007년~1012년). 하지만 5년 만에 박해는 취소되고 교회 재산을 돌려주었다니 그야말로 괴짜 군주의 변덕이 아닐 수 없다. 그의 재위는 홀연히 나귀를 타고 궁성을 나갔다가 며칠 후 피묻은 옷과 나귀만 발견된 채로 실종되면서 끝이 났다.[14] 살라딘과 리처드 1세의 1192년 휴전, 프리드리히 2세와 알-카밀이 맺은 1229년의 휴전이 유명하다.[15] 그러나 여러 기준에서 이 시대의 "노예"(튀르크인들과 치르케스인들이 다수였다.)는 결혼, 사유재산, 신앙의 자유가 인정되었고 심지어 공직의 참여가 허가되었으며 노예 해방도 권장되었다. 민족적 차이와 군인, 집사라는 직업적 특징에 더 가까웠던 것이다. 심지어 칼리파의 경우 여자 노예 소생인 경우도 적지 않았다.[16] 칼리파와 술탄의 관계는 교황황제, 천황쇼군의 관계와 유사하다. 특히 맘루크 왕조 치하에서의 아바스 칼리파는 복원된 이래 어떠한 권력도 행사하지 못했으며 그저 맘루크 술탄에 정통성을 부여하는 의전만이 가능했다.[17] 맘루크는 당시 인도까지 해군의 세력을 떨쳤는데, 무역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해 포르투갈 함대를 대포로 공격했다. 맘루크는 초기에는 승전했으나 포르투갈의 지원함대가 도착하면서 패전했다(1508~1509). 이후 홍해 무역이 급감하면서 세수가 줄은 맘루크는 위조화폐를 발행해야하는 처지에 놓였으나 이 때문에 국가 혼란의 악순환만 더 심해졌다.[18] 맘루크는 해군력을 유지하는 데도 오스만의 포를 구입해야 했던 처지였다. 페스트로 이미 맛이 가고 있었음에도 국가의 기강은 그나마 유지하고 있었던 맘루크는 술탄 투만베이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막을 내렸고, 투만베이는 3개월을 더 분전하다가 처형당했다.[19] 사실 대포나 소총 같은 화약 무기로 무장한 부대를 편성하려고 해도, 이미 맘루크 왕조의 핵심 군사력은 기병 부대인 맘루크들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기득권이 침해받을 것을 두려워한 맘루크들의 반발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20] 당시 제1차 세계 대전 중이였으므로 영국은 이집트인들이 자국에 협력하는 것을 원했다.[21] 쿠데타를 일으킨 해[22] 대통령 취임[23] 정확히는 이 당시에도 공식적으로는 이집트 왕국 시절의 국기를 그대로 사용했으며, 이 깃발은 부수적으로 사용한 것에 가깝다.[24] 파루크 왕은 1965년 로마에 있는 고급 레스토랑에서 엄청난 대식가 면모를 자랑하며 최고급 포도주 3병을 들이키며 즐겁게 식사를 하다가, 갑자기 찾아온 심장마비로 쓰러져 45살로 사망했다. 웃기게도 파루크 왕이 망명할 때, 파루크 왕과 사돈이던 이란 팔라비 왕은 망명 요청을 거부했는데 그 팔라비 왕은 파리에 잠시 있다가 이집트로 망명하여 거기에서 죽었다.[25] 무능한 낙하산들을 오로지 무슬림 형제단이라고 정부고위인사로 등용했으니 이 점으로도 많은 욕을 먹었다. 진보언론들이 '그저 알라~알라~이러면 경제가 나아지냐?'라고 컬럼으로 깔 정도였으니.[26] 그러나 일부 이집트 국민들은 이슬람화도 싫지만 세속주의를 추구하는 엘시시가 군인이기 때문에 군사정권도 싫다고 대통령 선거를 기권하였다고 한다.[27] 그러니까 파라오가 이집트를 다스린 게 30세기라는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