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01:47:03

아돌프 히틀러/밈&만평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아돌프 히틀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아돌프 히틀러/밈&만평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f,#fff> 파일:위총.png아돌프 히틀러/밈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창작물 히틀러 갤러리,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히總統의 大獅子喉, 퓌러와 총통, 다운폴/패러디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dd0200,#dd0200> 파일:히틀러투명 (1).svg아돌프 히틀러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생애 · 평가(군사적 능력) · 창작물 · 가족관계 · 여담 · 밈&만평
나치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사상 나치즘(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대독일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원리)
상징 나치식 경례 · 하켄크로이츠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사건사고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 홀로코스트 · 뉘른베르크 법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T4 작전 · 아기공장
조직 및 국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툴레 협회 · 독일 국방군(GFP · 국방군최고사령부 · 육군최고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 해군최고사령부) · 슈츠슈타펠(무장친위대 · 아인자츠그루펜 · 게슈타포) · 돌격대 · 질서경찰 · 아넨에르베 · 아프베어 · 히틀러유겐트 · 나치 독일
선전물 나의 투쟁 · 그대, 히틀러에게 만세를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아돌프 히틀러 거리에 나무가 서 있네
제2차 세계 대전
사건사고 강철 조약 · 독소 불가침조약 · 라인란트 재무장 · 뮌헨 협정 · 폴란드 침공 · 독소전쟁
인물
나치 관련 인물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아돌프 아이히만 · 카를 되니츠 · 루츠 폰 크로지크
추축국 정상 베니토 무솔리니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 비드쿤 크비슬링 · 필리프 페탱 · 밀란 네디치 · 이반 미하일로프 · 안드레이 블라소프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쇼와 덴노 · 도조 히데키
연합국 정상 샤를 드골 · 이오시프 스탈린 · 윈스턴 처칠 · 장제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기타
선거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히틀러 암살계획
장소 브라우나우암인 · 퓌러붕커 · 켈슈타인하우스 · 볼프스샨체
기타 퓌러 · 에바 브라운 · 블론디 · 히틀러 갤러리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히總統의 大獅子喉칫솔 수염
추축국에 관련된 문서는 틀:추축국 참고
제2차 세계 대전에 관련된 문서는 틀:제2차 세계 대전 참고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
파일:히밈.jpg
나치 독일초대 퓌러 아돌프 히틀러
파일:external/36.media.tumblr.com/tumblr_muglpk02da1rwjpnyo1_500.jpg
독소 불가침조약풍자만평[1]
1. 개요2. 상세3. 만평
3.1. 사례
4. 목록5. 만평 목록6. 관련 문서7. 여담

1. 개요

그 이름 이제 수명 다 했지?
아무도 이제 아이에게 "아돌프"라고 이름 짓지 않아.
"우리 작고 귀여운 아돌프"는 없다고.
내가 알고 들어본 사람 중에도 전혀 없지.
학교에는 "로비"나 "카일리"들은 엄청 많지만,
출석 부를 때 이런 경우는 없어.
브리트니? Here! 저스틴? Here!
아돌프? (머리를 내려 히틀러같은 머리스타일을 하고 나치식 경례를 하며) Here!
- 리키 저베이스풍자
나치 독일최고지도자이자 초대 총통(퓌러)이였던 아돌프 히틀러만평 등을 소개하는 문서.

2. 상세

아돌프 히틀러제2차 세계 대전홀로코스트의 주범으로서, 인류사에서 극단적인 악(惡)과 전체주의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히틀러의 이미지는 전후 세계에서 지속적으로 비판적인 풍자와 사회적 경고의 상징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대중문화와 인터넷 환경의 확산은 히틀러의 형상을 다양한 만평 형태로 재해석하게 하였다.

히틀러를 소재로 한 밈은 주로 풍자적·비판적 목적으로 제작되며, 현대 사회의 권위주의적 태도나 과도한 분노, 또는 비합리적인 문화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2004년에 개봉한 독일 영화 다운폴(몰락)의 한 장면에서 히틀러가 분노하는 모습을 차용한 밈으로, 다양한 현대적 사안(정치, 기술, 스포츠 등)에 대한 과장된 분노를 풍자하는 방식으로 변형되었다.

이 밈의 목적은 히틀러 자체를 조롱하거나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 권력의 무력함과 인간적 광기를 풍자하는 데 있다.

3. 만평

3.1. 사례

  • 영국 만평에서는 군정기 상태의 독일"하나의 민족, 두개의 나라, 총통없음(One Volk, Two Reich, No Führer)"이라고 묘사한 바 있다. 나치 독일의 선전 문구였던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총통(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을 패러디한 만평.
  • Godwin's Law 밈
    "온라인 토론이 길어질수록, 히틀러나치에 대한 언급 가능성이 1에 수렴한다"는 명제를 표현하는 인터넷 속담이다. 이는 토론이 극단화되거나 논리적 설득이 실패할 경우 등장하는 비유적 과장 표현을 풍자한다.
  • Hitler Rant Parodies
    앞서 서술한 다운폴 밈의 변형 형태로, 히틀러의 이미지를 권위주의적 반응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사례이다. 다만, 독일유럽 국가에서는 나치 상징물 사용이 법적으로 엄격히 제한되므로, 이러한 콘텐츠는 비판적 풍자임이 명확히 전제되어야 한다.
  • 타임지라이프지 등의 잡지에서는 히틀러를 자주 표지 인물로 등장시켰으며, 특히 1938년 타임지의 "올해의 인물(Man of the Year)" 표지는 히틀러를 풍자적으로 묘사하여 국제적 비판의식을 드러냈다.

4. 목록

4.1.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대_불합격 후_자살.jpg
2021년경부터 인터넷에서 유행한 밈.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이라며 뭔가 비극적인 사연을 지닌 인물을 소개할 것처럼 말해놓고 히틀러를 소개하는 밈이다. 미술대학에 관련된 영상, 게시물 등에는 이 밈을 인용한 댓글을 한두 개씩은 볼 수 있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4.2. 히總統의 大獅子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總統의 大獅子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總統의 大獅子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總統의 大獅子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히총통.png
나치 독일초대 퓌러(총통)아돌프 히틀러와 관련된 밈. 히총통사자후란 뜻이다.

4.3.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uploadfile/terriblethought.jpg
먼나라 이웃나라 독일편에서 유래한 짤방. 실제 아돌프 히틀러가 행한 인종 차별적 행보를 먼나라 이웃나라의 이원복 작가가 압축 정리하여 만화로 창작한 장면으로, 여러 가지 것들을 하나하나 비방하면서 점차 과격한 논조로 치닫다가 마지막에는 '모두 죽여 없애야 한다'는 매우 과격한 결말이 나오는 나름대로 기승전결이 확실한 구도와 마지막에 작가의 오너캐가 저런 대사를 치면서 히틀러의 광기를 비판하는 장면을 넣어 장면 그 자체에 친근감을 부여하여 인기를 끌어 패러디화가 되었다.

4.4. 히틀러 갤러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틀러 갤러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틀러 갤러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틀러 갤러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중 하나. 아돌프 히틀러에 대해 이야기하는 갤러리이다.

4.5. 퓌러와 총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퓌러와 총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퓌러와 총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퓌러와 총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f0200 0%, #dd0200 20%, #dd0200 80%, #bf0200); color: #ffffff;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돌프 히틀러
}}}}}}}}}

다른 한자문화권에서 단순히 공화국의 국가원수를 총통이라고 하는 것과는 달리 대한민국에서는 총통의 뜻이 조금 다른데 이는 일본에서 나치 독일의 수장이었던 아돌프 히틀러의 직책인 퓌러(Führer)를 "총통"으로 번역하면서 그를 수입해 중역한 탓이 크다. '퓌러'가 일반적인 선출직 지도자와는 역할이 너무나 달랐기 때문에 한국에서 총통은 마치 히틀러 같은 독재자를 지칭하는 명칭처럼 사용된다.

4.6. 히총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총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총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총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히총통"은 한국 한정으로 쓰이는 히틀러의 별명이다. 힛총통이라고도 한다. 일제강점기조선일보에 등장한 헤드라인 짤방에서 처음 나왔다. 별명의 유래는 히틀러의 '히' 자와 퓌러의 번역어인 '총통'의 합성어.

4.7. 다운폴/패러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운폴/패러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운폴/패러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운폴/패러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opad> 파일:힛총통비명.jpg
주인공이자 만년 영고라인. 한국의 야인시대 합성물로 따지면 심영김두한의 포지션을 섞은 듯한 모습이라고 보면 된다. 주로 한심한 계획을 짜다 부하들(특히 요들)에게 태클을 당하거나 실패해서 좌절하는 경우가 많으며 히틀러 본인이 정상적인 사람으로 나오더라도 멍청하고 한심한 부하들에게 빡쳐서, 또는 페겔라인 등 다른 부하들 및 주변인물들에게 트롤링을 당해서 분노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Führer'와 발음이 비슷한 'Failüre'[2]라고 불리며, 혹은 'Dolfy', ‘Shitler(대충 해석하면 X틀러...)’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4.8. NEIN, NEIN, NEIN!

파일:히네.gif
2008년에 개봉한 영화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에 나오는 아돌프 히틀러.

작중에서 히틀러가 분노하며 "나인, 나인, 나인, 나인, 나인, 나인!"(NEIN, NEIN, NEIN, NEIN, NEIN, NEIN!)을 외치는 장면이 밈으로 쓰인다.

참고로 "Nein"독일어"아니" 혹은 "안돼"라는 뜻을 가지는 언어이다.

4.9. 나치식 경례를 거부한 남자

파일:나거.jpg
인터넷에 '나치 경례를 거부한 남자'라는 제목의 유머성 게시글이 돌아다닌다. 대충 다른 사람들이 서서 나치 경례를 하는 와중에 한 사람이 혼자 가만히 앉아 있는 사진이며 여기에 '이 남자는 1945년에 히틀러에게 처형되었다' 혹은 '이 남자는 1945년에 히틀러를 저격하였다'는 식으로 설명이 달리는데 보면 알겠지만 해당 인물은 히틀러 본인이다. 히틀러는 자살했으므로 1945년에 히틀러 본인이 죽인 사람은 맞긴 하다. 그럴듯하게 꾸미기 위해 해당 인물을 아돌프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우국충정의 마음으로 히틀러를 처단한 아돌프 의사'아돌프 아이히만?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히틀러가 앉아 있는 사진 외에도 진짜 나치식 경례를 거부한 남자의 사진도 돌아다니고 있다. # '아우구스트 란트메서'라는 사람인데 그는 본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지만 유대인 아내를 두는 바람에 당에서 제적되었다. 나치는 그에게 이혼을 종용했지만 그는 끝내 거부하고 수용소로 향했으며 형벌 부대에 징집된 후 행방불명되었다. 그의 아내는 결국 가스실에서 죽었으나 두 사람 사이의 딸 두 명은 살아남았다.

4.10. 에미넴과 랩 배틀하고 자살한 남자

파일:흩.webp
아돌프 히틀러에미넴과의 랩 배틀 중에 에미넴에게 디스를 당하자, 히틀러가 상처를 받고 그날 밤에 자살했다는 내용.

위의 사진은 아돌프 히틀러가 자살하기 전에 찍은 마지막 사진이라는 밈이다.

4.11. 미대 합격한 히틀러

파일:히므.jpg
홀로코스트? 2차 세계 대전?
너 무슨 소릴 하는 거야?
서둘러, 우리 미술 수업에 늦겠어.

4.12. 형광봉 흔드는 히틀러

파일:혛.gif

4.13. INFJ인 인물들의 건강

파일:잏.webp

5. 만평 목록

5.1. 폴란드 침공

파일:external/www.oldmagazinearticles.com/hitler-stalin-treaty-1939_619.jpg
1939년 9월 20일 영국 일간지 <이브닝 스탠더드>지에 실린 만평 《회동》
데이비드 로우 화백의 작품. 아돌프 히틀러이오시프 스탈린이 공손하게 인사를 나누고 있지만, 서로 가리켜 히틀러는 "이 세상의 쓰레기(the scum of the earth) 아니신가요?", 스탈린은 "노동자들의 빌어먹을 암살자(the bloody assassin of the workers) 되시는 분 아닙니까?"라고 하고 있다. 가운데 쓰러져 있는 사람은 당연히 폴란드. 독소 불가침조약에 대한 냉소적인 시선을 담은 만평이다. 출처 데이비드 로우는 이 밖에도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풍자하는 만평을 그렸는데, 특히 나치를 비꼬는 만평을 많이 그렸다. 저 만평은 제56회 영국 총선 당시 영국 노동당 당수 에드 밀리밴드영국 독립당 당수 나이젤 패라지가 등장하는 만평, 일명 Miliband-Farage Pact에도 오마주되었다.

6. 관련 문서


==#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dd0200,#dd0200> 파일:히틀러투명 (1).svg아돌프 히틀러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생애 · 평가(군사적 능력) · 창작물 · 가족관계 · 여담 · 밈&만평
나치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사상 나치즘(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대독일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원리)
상징 나치식 경례 · 하켄크로이츠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사건사고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 홀로코스트 · 뉘른베르크 법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T4 작전 · 아기공장
조직 및 국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툴레 협회 · 독일 국방군(GFP · 국방군최고사령부 · 육군최고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 해군최고사령부) · 슈츠슈타펠(무장친위대 · 아인자츠그루펜 · 게슈타포) · 돌격대 · 질서경찰 · 아넨에르베 · 아프베어 · 히틀러유겐트 · 나치 독일
선전물 나의 투쟁 · 그대, 히틀러에게 만세를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아돌프 히틀러 거리에 나무가 서 있네
제2차 세계 대전
사건사고 강철 조약 · 독소 불가침조약 · 라인란트 재무장 · 뮌헨 협정 · 폴란드 침공 · 독소전쟁
인물
나치 관련 인물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아돌프 아이히만 · 카를 되니츠 · 루츠 폰 크로지크
추축국 정상 베니토 무솔리니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 비드쿤 크비슬링 · 필리프 페탱 · 밀란 네디치 · 이반 미하일로프 · 안드레이 블라소프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쇼와 덴노 · 도조 히데키
연합국 정상 샤를 드골 · 이오시프 스탈린 · 윈스턴 처칠 · 장제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기타
선거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히틀러 암살계획
장소 브라우나우암인 · 퓌러붕커 · 켈슈타인하우스 · 볼프스샨체
기타 퓌러 · 에바 브라운 · 블론디 · 히틀러 갤러리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히總統의 大獅子喉칫솔 수염
추축국에 관련된 문서는 틀:추축국 참고
제2차 세계 대전에 관련된 문서는 틀:제2차 세계 대전 참고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000> 초대 제2대 제3대
파울 폰 힌덴부르크 아돌프 히틀러 카를 되니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1212, #000000 20%, #000000 80%, #141212); color: #f3e989;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3e989>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필리프 샤이데만 구스타프 바우어 헤르만 뮐러 콘스탄틴 페렌바흐 요제프 비르트
<rowcolor=#f3e989>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빌헬름 쿠노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빌헬름 마르크스 한스 루터 빌헬름 마르크스
<rowcolor=#f3e989>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헤르만 뮐러 하인리히 브뤼닝 프란츠 폰 파펜 쿠르트 폰 슐라이허 아돌프 히틀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000> 제24대 제25대 제26대
아돌프 히틀러 파울 요제프 괴벨스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f0200 0%, #dd0200 20%, #dd0200 80%, #bf0200); color: #ffffff;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돌프 히틀러
}}}}}}}}}

파일: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심볼.svg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안톤 드렉슬러 아돌프 히틀러 마르틴 보어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베르너 폰 프리치 발터 폰 브라우히치 아돌프 히틀러 페르디난트 쇠르너 }}}}}}}}}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지도자들 & 혁명가들 부문 #
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980413_400.jpg
시어도어 루스벨트 블라디미르 레닌 마거릿 생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엘리너 루스벨트
아돌프 히틀러 윈스턴 처칠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다비드 벤구리온 마오쩌둥
마틴 루터 킹 루홀라 호메이니 마거릿 대처 로널드 레이건 미하일 고르바초프
레흐 바웬사 넬슨 만델라 요한 바오로 2세 호찌민 탱크맨
같이 보기: 과학자 & 사상가 부문, 예술가 & 연예인 부문, 건설자 & 거인 부문, 영웅 & 아이콘 부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193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3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attachment/time_1930.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1.jpg파일:attachment/time_1932.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3.jpg파일:attachment/time_1934.jpg
<rowcolor=#fff> 1930년

소금 행진
1931년

3선의 총리
1932년

1932년 미 대선
1933년

뉴딜 정책
1934년

뉴딜 정책
<nopad>파일:attachment/time1935.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6.jpg파일:attachment/time_1937.jpg파일:external/www.history.ucsb.edu/391-02hitlertime.jpg파일:attachment/time_1939.jpg
<rowcolor=#fff> 1935년

이탈리아의 침략
1936년

세 황제의 해
1937년


중일전쟁
1938년

팽창 야욕
1939년

공산주의 팽창
파일:Time_Inc_white.png
}}}}}}}}} ||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colcolor=#fff>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비시 프랑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크비슬링 정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욘돈왕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모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추축국 주요 지도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아돌프 히틀러†S
,총통,
빌헬름 카이텔C
,OKW 최고사령관,
파울 요제프 괴벨스†S
,선전부 장관/총리,
헤르만 괴링CS
,공군 제국원수,
하인리히 힘러S
,SS 국가지도자,
에리히 레더C
,전쟁해군 원수,
카를 되니츠C
,전쟁해군 원수/플렌스부르크 정부 대통령,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에마누엘레 3세->
,국왕,
베니토 무솔리니
,두체/총리,
피에트로 바돌리오->
,총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히로히토
,천황,
고노에 후미마로S
,내각총리대신,
도조 히데키C
,내각총리대신/육군대신,
스즈키 간타로
,내각총리대신,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국민단결정부
호르티 미클로시->
,섭정,
살러시 페렌츠C
,총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미하이 1세->
,국왕,
이온 안토네스쿠C
,총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보리스 3세
,국왕,
시메온 2세
,국왕,
(-> : 전향 혹은 전향 시도 | : 종전 이전 사망 | C : 전후 재판을 받음 | S : 자살 )
}}}}}}}}}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00><colcolor=#fff> 이념 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대독일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원리 · 민족주의(푈키셔 내셔널리즘) · 반공주의 · 반민주주의 · 반자유주의
분파 나치즘 · 슈트라서주의 · 네오나치즘
정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독일 여성 청소년 동맹 · 툴레 협회 · 히틀러유겐트 · 독일노동전선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주데텐 독일인당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우스타샤 · 화살십자당 · 스위스 국민운동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오제바브란트바흐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덴마크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독일계 미국인 동맹 · 미국 나치당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그리스민족연합 · 스웨덴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국가기독당· 국가사회주의 네덜란드 노동자당
군사 조직 국방군,(Wehrmacht), · 국방군최고사령부,(OKW), · 방첩국,(Abwehr), · 육군최고사령부,(OKH), · 야전헌병,(Feldgendarmerie), · 공군최고사령부,(OKL), · 해군최고사령부,(OKM), · 돌격대,(SA), · 친위대,(SS), · 비밀국가경찰,(Gestapo), · 친위대 보안국,(SD), · 아넨에르베,(Ahnenerbe), · 무장친위대,(Waffen-SS), · 아인자츠그루펜,(Einsatzgruppen), · 질서경찰,(OrPo),
인물 아돌프 히틀러(퓌러)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오토 슈트라서 · 아돌프 아이히만· 카를 슈미트 · 조지 링컨 록웰 · 프리츠 쿤 · 카를 하우스호퍼 · 루트비히 뮐러
계획 게르마니아 · 레벤스라움 · 아르한겔스크-아스트라한 선 · 벨라루스 초토화 · 레벤스보른 · T4 작전 · 홀로코스트 · 대게르만국 · 부르군트 SS국
선전물 나의 투쟁 · 의지의 승리 · 올림피아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독일 주간 뉴스 · 푈키셔 베오바흐터
국가 나치 독일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상징 나치식 경례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 콜로브라트 · 철십자 · 하켄크로이츠
나치당 당수 · 아돌프 히틀러 · 추축국 · 네오 나치즘 · 파시즘 · 네오 파시즘
}}}}}}}}} ||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념 국가주의(국가자본주의일부) · 군국주의 · 권위주의(전체주의) ·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대중주의 · 미래주의일부 · 반공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반제국주의일부 · 반민주주의 · 영웅주의 · 제3의 위치 · 제국주의일부 · 협동조합주의
요소 개인숭배(지도자원리) · 경제적 개입주의(군사 케인스주의 · 지도주의) · 계급협조 · 남성성 · 민족다원주의일부 · 반(反)인텔리 · 우생학(사회진화론) · 쇼비니즘 · 우익사회주의 · 음모주의 · 일당독재 · 재생적 국수주의 · 전쟁* · 팽창주의일부(실지회복주의) · 프로파간다 · 혁명(보수혁명 · 혁명적 내셔널리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네오나치즘) · 네오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트럼프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프랑스 파시즘 · 민족 아나키즘 · 에코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국민급진기지 · 조국방위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독일노동전선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스웨덴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 황금 광장 ·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 국민공동통치연합 · 혁신관료파일:모호 아이콘.svg · 네덜란드 국가연대주의 연합 · 흑색 전선(네덜란드)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레히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기타 잇키파일:모호 아이콘.svg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다이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마르틴 하이데거 파일:모호 아이콘.svg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파일:모호 아이콘.svg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뉴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파일:모호 아이콘.svg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 후안 바티스타 몰리나 · 비흐토리 코솔라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파시스트 페미니즘 · 백색 테러 · 멸칭으로서의 파시즘(적색 파시즘)
* 모든 파시스트들이 전쟁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탈리아 파시즘이나 나치즘 등 전간기의 주요 파시스트들은 '전쟁'을 이데올로기적인 수단으로 여겼다. }}}}}}}}}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네덜란드 헤이그 재판

한스 라우터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친위대의 전쟁범죄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비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 마우트하우젠 강제수용소 | 야세노바츠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00,#d00> 상징 하켄크로이츠 · 국가수리 · 나치식 경례 · 독일의 노래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철십자
이념 나치즘 · 파시즘 · 대독일주의 · 반유대주의 · 네오나치즘 · 전체주의 · 국수주의 · 인종주의 · 지도자원리
역사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통과 · 장검의 밤 · 라인란트 재무장 · 1936 베를린 올림픽 · 오스트리아 병합 · 뮌헨 협정 · 수정의 밤 · 폴란드 침공 · 제2차 세계 대전 · 독소전쟁 · 플렌스부르크 정부 · 독일의 항복
정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 국가판무관부 · 퓌러 · 히틀러유겐트 · 대관구(가우) · 역대 나치당 당수· 게르만 기독교인
외교 외교 전반 · 추축국 · 반코민테른 협정 · 독소 불가침 조약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나치 독일의 괴뢰국
경제 경제 · 4개년 계획 · 메포어음 · 아우토반 · 폭스바겐 · 나치 독일의 전범기업
군사 독일 국방군 · 친위대(무장친위대) · 국방군최고사령부 · 돌격대 · 게슈타포 · 아인자츠그루펜 · 6호 전차 티거 · U보트 · 우란프로옉트
전쟁범죄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독일 친위대의 전쟁범죄 · 국방군의 전쟁범죄 · 홀로코스트 · 절멸수용소(아우슈비츠)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T4 작전 · 아기공장 · 반제 회의 · 벨라루스 초토화작전 · 치클론 B ·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인물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하인리히 힘러 · 헤르만 괴링 · 마르틴 보어만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빌헬름 카이텔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아돌프 아이히만 · 베르너 폰 브라운
선전물 푈키셔 베오바흐터 · 의지의 승리 · 나의 투쟁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기타 환타 · 하얀 장미 · 황금당 배지 · 나치의 남미 도주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관련 틀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나치즘 · 파시즘 · 네오 나치즘 · 행정구역과 점령지
}}}}}}}}} ||

7. 여담


[1] 좌측의 인물은 나치 독일아돌프 히틀러, 우측의 인물은 소련이오시프 스탈린이다. 아래쪽에 쓰여있는 글을 해석하자면 "달콤한 신혼 생활은 얼마나 오래 갈까?"이다.[2] 독일어로 발음하면 '파일뤼레'가 되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