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아돌프 히틀러/밈&만평 | ||||||||
|
| 파일:히밈.jpg |
| 나치 독일의 초대 퓌러 아돌프 히틀러의 밈 |
| |
| 독소 불가침조약을 풍자한 만평[1] |
1. 개요
그 이름 이제 수명 다 했지?
아무도 이제 아이에게 "아돌프"라고 이름 짓지 않아.
"우리 작고 귀여운 아돌프"는 없다고.
내가 알고 들어본 사람 중에도 전혀 없지.
학교에는 "로비"나 "카일리"들은 엄청 많지만,
출석 부를 때 이런 경우는 없어.
브리트니? Here! 저스틴? Here!
아돌프? (머리를 내려 히틀러같은 머리스타일을 하고 나치식 경례를 하며) Here!
- 리키 저베이스의 풍자
나치 독일의 최고지도자이자 초대 총통(퓌러)이였던 아돌프 히틀러의 밈과 만평 등을 소개하는 문서.아무도 이제 아이에게 "아돌프"라고 이름 짓지 않아.
"우리 작고 귀여운 아돌프"는 없다고.
내가 알고 들어본 사람 중에도 전혀 없지.
학교에는 "로비"나 "카일리"들은 엄청 많지만,
출석 부를 때 이런 경우는 없어.
브리트니? Here! 저스틴? Here!
아돌프? (머리를 내려 히틀러같은 머리스타일을 하고 나치식 경례를 하며) Here!
- 리키 저베이스의 풍자
2. 상세
아돌프 히틀러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의 주범으로서, 인류사에서 극단적인 악(惡)과 전체주의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히틀러의 이미지는 전후 세계에서 지속적으로 비판적인 풍자와 사회적 경고의 상징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대중문화와 인터넷 환경의 확산은 히틀러의 형상을 다양한 밈과 만평 형태로 재해석하게 하였다.히틀러를 소재로 한 밈은 주로 풍자적·비판적 목적으로 제작되며, 현대 사회의 권위주의적 태도나 과도한 분노, 또는 비합리적인 문화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2004년에 개봉한 독일 영화 다운폴(몰락)의 한 장면에서 히틀러가 분노하는 모습을 차용한 밈으로, 다양한 현대적 사안(정치, 기술, 스포츠 등)에 대한 과장된 분노를 풍자하는 방식으로 변형되었다.
이 밈의 목적은 히틀러 자체를 조롱하거나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 권력의 무력함과 인간적 광기를 풍자하는 데 있다.
3. 만평과 밈
3.1. 사례
- 한 영국 만평에서는 군정기 상태의 독일을 "하나의 민족, 두개의 나라, 총통없음(One Volk, Two Reich, No Führer)"이라고 묘사한 바 있다. 나치 독일의 선전 문구였던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총통(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을 패러디한 만평.
Godwin's Law 밈
"온라인 토론이 길어질수록, 히틀러나 나치에 대한 언급 가능성이 1에 수렴한다"는 명제를 표현하는 인터넷 속담이다. 이는 토론이 극단화되거나 논리적 설득이 실패할 경우 등장하는 비유적 과장 표현을 풍자한다.Hitler Rant Parodies
앞서 서술한 다운폴 밈의 변형 형태로, 히틀러의 이미지를 권위주의적 반응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사례이다. 다만, 독일 및 유럽 국가에서는 나치 상징물 사용이 법적으로 엄격히 제한되므로, 이러한 콘텐츠는 비판적 풍자임이 명확히 전제되어야 한다.- 타임지와 라이프지 등의 잡지에서는 히틀러를 자주 표지 인물로 등장시켰으며, 특히 1938년 타임지의 "올해의 인물(Man of the Year)" 표지는 히틀러를 풍자적으로 묘사하여 국제적 비판의식을 드러냈다.
4. 밈 목록
4.1.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4.2. 히總統의 大獅子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總統의 大獅子喉#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總統의 大獅子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4.3.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4.4. 히틀러 갤러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틀러 갤러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틀러 갤러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중 하나. 아돌프 히틀러에 대해 이야기하는 갤러리이다.
4.5. 퓌러와 총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퓌러와 총통#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퓌러와 총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f0200 0%, #dd0200 20%, #dd0200 80%, #bf0200); color: #ffffff;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돌프 히틀러 | |||
| }}}}}}}}} | ||||
다른 한자문화권에서 단순히 공화국의 국가원수를 총통이라고 하는 것과는 달리 대한민국에서는 총통의 뜻이 조금 다른데 이는 일본에서 나치 독일의 수장이었던 아돌프 히틀러의 직책인 퓌러(Führer)를 "총통"으로 번역하면서 그를 수입해 중역한 탓이 크다. '퓌러'가 일반적인 선출직 지도자와는 역할이 너무나 달랐기 때문에 한국에서 총통은 마치 히틀러 같은 독재자를 지칭하는 명칭처럼 사용된다.
4.6. 히총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총통#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총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히총통"은 한국 한정으로 쓰이는 히틀러의 별명이다. 힛총통이라고도 한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일보에 등장한 헤드라인 짤방에서 처음 나왔다. 별명의 유래는 히틀러의 '히' 자와 퓌러의 번역어인 '총통'의 합성어.
4.7. 다운폴/패러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운폴/패러디#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운폴/패러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opad> |
4.8. NEIN, NEIN, NEIN!
| |
작중에서 히틀러가 분노하며 "나인, 나인, 나인, 나인, 나인, 나인!"(NEIN, NEIN, NEIN, NEIN, NEIN, NEIN!)을 외치는 장면이 밈으로 쓰인다.
참고로 "Nein"은 독일어로 "아니" 혹은 "안돼"라는 뜻을 가지는 언어이다.
4.9. 나치식 경례를 거부한 남자
| |
히틀러가 앉아 있는 사진 외에도 진짜 나치식 경례를 거부한 남자의 사진도 돌아다니고 있다. # '아우구스트 란트메서'라는 사람인데 그는 본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지만 유대인 아내를 두는 바람에 당에서 제적되었다. 나치는 그에게 이혼을 종용했지만 그는 끝내 거부하고 수용소로 향했으며 형벌 부대에 징집된 후 행방불명되었다. 그의 아내는 결국 가스실에서 죽었으나 두 사람 사이의 딸 두 명은 살아남았다.
4.10. 에미넴과 랩 배틀하고 자살한 남자
| |
위의 사진은 아돌프 히틀러가 자살하기 전에 찍은 마지막 사진이라는 밈이다.
4.11. 미대 합격한 히틀러
| |
4.12. 형광봉 흔드는 히틀러
| |
4.13. INFJ인 인물들의 건강
| |
5. 만평 목록
5.1. 폴란드 침공
| |
| 1939년 9월 20일 영국 일간지 <이브닝 스탠더드>지에 실린 만평 《회동》 |
6. 관련 문서
==#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000> 초대 | 제2대 | 제3대 | |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히틀러 | 카를 되니츠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1212, #000000 20%, #000000 80%, #141212); color: #f3e989;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3e989>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필리프 샤이데만 | 구스타프 바우어 | 헤르만 뮐러 | 콘스탄틴 페렌바흐 | 요제프 비르트 | |
| <rowcolor=#f3e989>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 빌헬름 쿠노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빌헬름 마르크스 | 한스 루터 | 빌헬름 마르크스 | |
| <rowcolor=#f3e989>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 헤르만 뮐러 | 하인리히 브뤼닝 | 프란츠 폰 파펜 | 쿠르트 폰 슐라이허 | 아돌프 히틀러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000> 제24대 | 제25대 | 제26대 | |
|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f0200 0%, #dd0200 20%, #dd0200 80%, #bf0200); color: #ffffff;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돌프 히틀러 | |||
| }}}}}}}}} | ||||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안톤 드렉슬러 | 아돌프 히틀러 | 마르틴 보어만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베르너 폰 프리치 | 발터 폰 브라우히치 | 아돌프 히틀러 | 페르디난트 쇠르너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 ||||
| 지도자들 & 혁명가들 부문 # | |||||
| 시어도어 루스벨트 | 블라디미르 레닌 | 마거릿 생어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엘리너 루스벨트 | |
| 아돌프 히틀러 | 윈스턴 처칠 |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 다비드 벤구리온 | 마오쩌둥 | |
| 마틴 루터 킹 | 루홀라 호메이니 | 마거릿 대처 | 로널드 레이건 | 미하일 고르바초프 | |
| 레흐 바웬사 | 넬슨 만델라 | 요한 바오로 2세 | 호찌민 | 탱크맨 | |
| 같이 보기: 과학자 & 사상가 부문, 예술가 & 연예인 부문, 건설자 & 거인 부문, 영웅 & 아이콘 부문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e90606> | 올해의 인물 (193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30's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nopad> | ||||
| <rowcolor=#fff> 1930년 소금 행진 | 1931년 3선의 총리 | 1932년 1932년 미 대선 | 1933년 뉴딜 정책 | 1934년 뉴딜 정책 | |
| <nopad> | |||||
| <rowcolor=#fff> 1935년 이탈리아의 침략 | 1936년 세 황제의 해 | 1937년 와 중일전쟁 | 1938년 팽창 야욕 | 1939년 공산주의의 팽창 | |
| | |||||
| 추축국 주요 지도자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아돌프 히틀러†S ,총통, | 빌헬름 카이텔C ,OKW 최고사령관, | 파울 요제프 괴벨스†S ,선전부 장관/총리, | 헤르만 괴링CS ,공군 제국원수, | |
| 하인리히 힘러S ,SS 국가지도자, | 에리히 레더C ,전쟁해군 원수, | 카를 되니츠C ,전쟁해군 원수/플렌스부르크 정부 대통령, | ||
| | ||||
| 에마누엘레 3세-> ,국왕, | 베니토 무솔리니† ,두체/총리, | 피에트로 바돌리오-> ,총리, | ||
| | ||||
| 히로히토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S ,내각총리대신, | 도조 히데키C ,내각총리대신/육군대신, | 스즈키 간타로 ,내각총리대신, | |
| | ||||
| 호르티 미클로시-> ,섭정, | 살러시 페렌츠C ,총리, | |||
| | ||||
| 미하이 1세-> ,국왕, | 이온 안토네스쿠C ,총리, | |||
| | ||||
| 보리스 3세† ,국왕, | 시메온 2세 ,국왕, | |||
| (-> : 전향 혹은 전향 시도 | † : 종전 이전 사망 | C : 전후 재판을 받음 | S : 자살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