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20:07:45

광역자치단체

시도(행정구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자치시 · · 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 자치구 · · 자치시(도농복합시 · 대도시 특례(특례시))
3단계 행정구 · 행정시
4단계 · (행정면 · 법정면) · (행정동 · 법정동)
5단계 (행정리 · 법정리) ·
6단계 }}}}}}}}}


1. 개요2. 상세3. 행정기구4. 광역자치단체장
4.1. 광역자치단체장 목록
5.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목록6. 외국의 유사 단체7. 둘러보기

1. 개요

/ Regional Local Government : RLG[1]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의 한 종류다.

지방자치법 제2조 1항이 정하는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를 가리킨다.

2. 상세

광역자치단체는 대한민국 정부 직할이고, 기초자치단체[2]나 다층형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 안에, 광역시··다층형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 안에, 자치구[3]특별시·광역시 안에 들어간다. 또한 단층형 특별자치도특별자치시는 단층형 광역자치단체로서 산하에 기초자치단체를 둘 수 없다.

법인으로써는 기초자치단체산하 관계에 놓여있다. 기초자치단체는 시·군·자치구의 기관에 불과한 일반구·읍·면·동이나 특별자치도 소속 행정시와는 달리, 지리적으로만 광역자치단체의 구역 안에 있을 뿐 광역자치단체에 상하로 소속(예속)되는 것이 아니라 산하 관계에 놓인 별개의 법인이어서, 광역자치단체와 같이 법인격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누린다. 흔히 '종로구서울특별시 소속', '수원시경기도 소속', '춘천시강원특별자치도 소속' 등 기초자치단체가 광역자치단체의 '소속'이란 표현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소속'이 아닌 '산하'라고 표현해야 맞다. 따라서 특별시·광역시·도 산하 자치시·자치구·군은 상급 지자체와 별개로 독자적인 재산권, 집행권, 인사권[4]을 행사한다. 또한 광역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 구역 내의 기초자치단체가 이권 싸움을 벌이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한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관할 사무 측면에서 보면 특정 범위 이상의 인허가권이나 도시 계획 운영권 등을 광역자치단체에서 관할하고, 정부와의 소통도 광역자치단체를 통해서 해야 하며, 기초의 부단체장(부시장·부군수·부구청장)을 광역자치단체에서 내려보내는 등 예속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5] 특히 보다 면적이 작고, 통합된 광역행정을 구현하는 행정구역 특성상 특별·광역시 내의 자치구·은 도 내의 시·군보다 더욱 광역에 예속되어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일부 광역자치단체는 산하에 기초자치단체가 없는 단층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제주특별자치도[6]가 이러한 케이스에 속한다. 따라서 기초자치단체와 다르게 실질적으로 필수기관이라 볼 수 있다.

광역자치단체의 재원은 그 지역의 지방세와 약간의 국고보조금인데, 정작 실상은 현실은 시궁창.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와 몇몇 자치시 등을 제외한 지역은 인구감소와 경제침체를 맞고 있어서 국고보조금 없으면 파산할 지경이다.

행정구역 개편시 광역자치단체 간 경계구역 조정이 기초자치단체 간의 경계조정보다 법률적으로 더 까다롭다. 단순한 미세경계조정 차원[7]이라면 대통령령으로도 가능하지만[8], 폐치분합[9] 수준[10]의 경계 조정은 법률의 개정이 수반되기 때문. 광명시서울특별시 편입 문제나 경산시대구광역시 편입 문제에서 이들 도시의 편입이 '법률적으로 힘들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 행정중심복합도시 사업으로 인해 충청남도충청북도에서 분리된 세종특별자치시처럼 정치적으로 크게 지지받는 사안이 없으면 어렵다. 도 산하 시가 광역시에 편입된 경우는 광주직할시(현 광주광역시)에 편입된 송정시 뿐이다. 다만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22조 2항은 시도 경계를 넘는 기초자치단체 간 통합이 가능하다고 규정되어 있기에 광역자치단체를 달리하지만 생활권을 공유하는 시군구끼리 통합하는 것은 의견 조율이 된다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11] 이와 비슷하게 수원, 안양, 부천, 성남, 창원 등이 독자적 또는 주변 ·과의 통합을 통해 광역자치단체인 광역시로 분리되려고 하지만, 이 역시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항이기에 실현되지 않고 있다.

한편, 서울 집중화가 가속되고 지방소멸이 현실화되면서 각 지역이 메가시티화 또는 행정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행정통합을 추진했으나 좌초되었다. 통합을 선언한 또 다른 지역인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는 2026년 대구경북특별시로 출범을 목표하고 있다. 2024년에 발표한 대구경북특별시 통합안을 보면 특별시 내에 자치구, 자치군, 자치시가 모두 공존하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구조가 된다.

부울경 메가시티 계획이 좌초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도 행정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부울경 중 울산광역시는 이 계획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부산, 경남 행정통합은 부울경메가시티 계획에도 서부경남이 소외되는 것은 변함이 없다는 경상남도의 주장에 따라 새로이 추진하는 것으로, 부산, 경남이 유지된 상태의 주 형태의 새로운 행정구역을 만드는 안[12]과 대구경북특별시와 같은 형태의 통합을 고려하는 안 등이 있다. 구체적인 통합 청사진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앞으로의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유선전화 지역번호가 광역자치단체와 일대일 대응한다. 원래 기초자치단체 단위 지역번호 시절엔 일대일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는 일대일 대응한다. 따라서 광역자치단체 나열 순서 중에서 행정안전부 공식 순서, 가나다순과 함께 지역번호 순서 배열도 나름대로의 중립적 설득력이 있다. 다만 부천시[13], 과천시·광명시[14], 계룡시[15], 경산시[16] 등의 예외는 지금도 유지되고 있다.

국립대학은 국립학교 설치령에 의해 소재한 광역자치단체 외에는 캠퍼스를 설치할 수 없다. 하지만 대학 간 통폐합을 통해 타 광역자치단체에 캠퍼스를 두는 사례들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어 전남대(광주)가 여수대(전남)를 통합해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를 만든 사례 등이 있다.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의 사례도 있다. 또한, 충북 지역 지방거점국립대인 충북대가 한국교통대와의 통합이 확정되면서, 충북의 거점국립대가 경기도에도 캠퍼스를 두는 형태가 될 수도 있게 되었다. 다만 국립대는 엄연히 중앙정부 산하이기에 시립ㆍ도립 대학교와 다르게 지자체에 직접 얽혀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인 .kr의 산하에 지역 도메인들이 있는데 광역자치단체 약칭의 로마자 표기에 따라 할당된다.[17] 예를 들면 서울특별시에는 .seoul.kr, 전라남도[18]에는 .jeonnam.kr이라는 도메인이 할당돼 있다. 이 주소체계가 주로 쓰이는 일본은 "www.city.minato.tokyo.jp"[JP]처럼 지자체 계층 구조를 반영한 예전 미국식 도메인 체계를 아직도 표준으로 쓰는데, 한국도 2000년대 초까지는 미국식 도메인 체계를 반영해 주로 "www.junggu.seoul.kr/"[KR] 식의 주소를 사용했었다. 다만, 모든 국민이 로마자 표기법을 숙지하고 있는 게 아닌 데다가 도메인 글자 수가 많은 걸 싫어하기 때문에 2010년대 이후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들은 서울특별시 본청 도메인 기준으로 "www.seoul.go.kr"처럼[21] 대한민국 정부 도메인인 .go.kr을 쓰는 경우가 많으며, 일단 "지역명.kr" 도메인은 등록주체 기준으로 지역에 연고를 법인 및 개인에게도 개방되어있긴 하지만, 민간에서도 도메인 선점 등의 이유가 없다면 .kr 도메인도 잘 안 쓰는 판인 데다가 광역자치단체별로 할당된 지역도메인은 굉장히 생소해 이런 지역 도메인(지역명.kr)은 보편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3. 행정기구

구분 실, 국, 본부의 수
종류 인구
서울특별시 16 ~ 18개
광역시 350만 ~ 400만 14 ~ 16개
300만 ~ 350만 13 ~ 15개
250만 ~ 300만 12 ~ 14개
200만 ~ 250만 11 ~ 13개
100만 ~ 200만 10 ~ 12개
세종특별자치시 10개
경기도 20 ~ 22개
300만 ~ 400만 11 ~ 13개
200만 ~ 300만 10 ~ 12개
100만 ~ 200만 9 ~ 11개
제주특별자치도 14개
  • 과는 일반적으로 12명 이상의 정원이 필요한 업무량이 있을 때 설치된다.
  • 국은 일반적으로 4개 과 이상의 하위 조직이 필요할 때 설치된다.
  • 실과 본부는 업무의 성질상 국으로는 행정 처리가 곤란할 때 설치 된다. 실과 본부 아래에 국을 둘 수 있다.

4. 광역자치단체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역자치단체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광역자치단체장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서울 부산 대구 인천
오세훈 박형준 홍준표 유정복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기정 이장우 김두겸 최민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김동연 김진태 김영환 김태흠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김관영 김영록 이철우 박완수
제주
오영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기: 2022년 7월 1일 ~ 2026년 6월 30일(예정)
1960-1961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5.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특별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특별자치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세종특별자치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파일:충청북도 휘장.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특별자치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미수복지역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svg
황해도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광역자치단체가 아니다. }}}}}}}}}

자치단체명 시/도청소재지 인구[22] 단체장 선 수 소속
서울특별시 중구 9,343,304 오세훈 4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부산광역시 연제구 3,271,062 박형준 재선
대구광역시 중구[동인청사], 북구[산격청사] 2,364,892 홍준표 초선
인천광역시 남동구 3,017,928 유정복 재선
광주광역시 서구 1,410,548 강기정 초선
파일:zsdkl3gasdg.svg
대전광역시 서구 1,440,094 이장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울산광역시 남구 1,098,540 김두겸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 조치원읍[25] 389,978 최민호
경기도 수원시, 의정부시[26] 13,686,731 김동연
파일:zsdkl3gasdg.svg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릉시[27] 1,519,545 김진태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충청북도 청주시, 제천시[28], 옥천군[29] 1,590,704 김영환
충청남도 홍성군[30] 2,136,010 김태흠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1,740,753 김관영
파일:zsdkl3gasdg.svg
전라남도 무안군[31], 순천시[32] 1,790,421 김영록 재선
경상북도 안동시[33], 포항시[34] 2,535,971 이철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35] 3,231,132 박완수 초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670,837 오영훈
파일:zsdkl3gasdg.svg

광역자치단체의 이름은 2음절 약칭으로 쓰는 경우가 자주 있다. 방위(남, 북)가 붙은 곳은 맨 앞 글자와 방위를 조합하고, 그렇지 않은 곳은 행정단위를 뺀 이름 부분을 사용한다. 특이하게 '전북'의 경우는 원래 '전라북도'를 줄인 것이 '전북'이었으나, 특별자치도로 전환하면서 이름을 '전북특별자치도'로 했기 때문에 약칭이 정식 명칭으로 변했다.

아래에 기재된 이북 5도는 명목상 행정구역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일 뿐, '자치' 기능이 없으므로 '광역행정구역'이긴 하지만 '광역자치단체'라고는 할 수 없다. 지방자치단체(광역·기초 모두)는 법인이지만, 이북5도 및 그 산하 시·군은 행정자치부 이북5도위원회가 관할하므로 법인이 아닌 기관이다. 다만 명목상 광역자치단체와 동급의 행정구역이므로 이 항에 함께 기재한다.
행정구역명 시/도청소재지 단체장 소속
황해도 해주시 기덕영

[[무소속(정치)|
무소속
]]
평안남도 평양시 정경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평안북도 신의주시 이세웅

[[무소속(정치)|
무소속
]]
함경남도 함흥시 손양영

[[무소속(정치)|
무소속
]]
함경북도 청진시 지성호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 외국의 유사 단체

6.1. 미국, 캐나다

파일:USA_Counties.svg

대한민국, 일본 등 단일국가의 기준으로 보면 (State, Province)가 광역자치단체에 상당하지만, 미국과 캐나다는 국토가 굉장히 넓으며 여러 주가 모여서 결성된 연방제 국가이기 때문에 고도의 자치권을 보유한 주가 사실상 하나의 국가나 다름없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미국과 캐나다 내에서는 각 주 아래의 카운티(County)[A]를 광역자치단체로 보며[37] 카운티의 권한이 약하거나 카운티가 없는 주는 아예 독립시(Independent City)를 광역자치단체로 본다.
국가/주 대한민국 미국의 주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카운티[A]
독립시
기초자치단체 (도, 특별자치도)
(광역시, 도, 특별자치도)
(특별시, 광역시)
시티
타운/타운십
빌리지 등

6.2. 중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e1c25>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fff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00; font-size: 0.7em; color: #ffff00"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파일:중국 행정구역.svg

중국의 최상위 행정구역은 성급행정구(省级行政区)이다. 22개 성(省)[39], 4개 직할시(直辖市), 5개 자치구(自治区), 2개 특별행정구(特别行政区)로 구성되어 있다.

6.3. 일본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f,#1c1d1f>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都) 도(道) 부(府)
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도쿄도 문장_White.svg
도쿄도
파일:홋카이도 문장.svg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
파일:교토부 문장.svg
교토부
파일:오사카부 문장.svg
오사카부
현(県)
파일:아오모리현 문장.svg
아오모리현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이와테현
파일:미야기현 문장.svg
미야기현
파일:아키타현 문장.svg
아키타현
파일:야마가타현 문장.svg
야마가타현
파일:후쿠시마현 문장.svg
후쿠시마현
파일:이바라키현 문장.svg
이바라키현
파일:도치기현 문장.svg
도치기현
파일:군마현 문장.svg파일:군마현 문장_White.svg
군마현
파일:사이타마현 문장.svg
사이타마현
파일:치바현 문장.svg
치바현
파일:가나가와현 문장.svg
가나가와현
파일:니가타현 현장.png
니가타현
파일:도야마현 문장.svg
도야마현
파일:이시카와현 현기표장.svg
이시카와현
파일:후쿠이현 문장.svg파일:후쿠이현 문장_White.svg
후쿠이현
파일:야마나시현 문장.svg파일:야마나시현 문장_White.svg
야마나시현
파일:나가노현 문장.svg
나가노현
파일:기후현 문장.svg
기후현
파일:시즈오카현 문장.svg파일:시즈오카현 문장_White.svg
시즈오카현
파일:아이치현 문장.svg
아이치현
파일:미에현 문장.svg
미에현
파일:시가현 문장.svg
시가현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현
파일:나라현 문장.svg
나라현
파일:와카야마현 문장.svg
와카야마현
파일:돗토리현 문장.svg
돗토리현
파일:시마네현 문장.svg
시마네현
파일:오카야마현 문장.svg
오카야마현
파일:히로시마현 문장.svg
히로시마현
파일:야마구치현 문장.svg
야마구치현
파일:도쿠시마현 문장.svg
도쿠시마현
파일:카가와현 문장.svg
카가와현
파일:에히메현 현기.svg
에히메현
파일:고치현 문장.svg
고치현
파일:후쿠오카현 문장.svg
후쿠오카현
파일:사가현 심볼마크.svg
사가현
파일:나가사키현 문장.svg
나가사키현
파일:구마모토현 문장.svg
구마모토현
파일:오이타현 문장.svg파일:오이타현 문장_White.svg
오이타현
파일:미야자키현 문장.svg
미야자키현
파일:가고시마현 문장.svg
가고시마현
파일:오키나와현 문장.svg
오키나와현
}}}}}}}}}

파일:일본 행정구역 한글.svg
일본어 버전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행정구역 일본어.sv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도부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의 최상위 행정구역은 도도부현(都道府県)이다. 1개 도(都), 1개 도(道), 2개 부(府), 43개 현(県)으로 구성되어 있다.

7.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 고유종
과학기지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헌법 · 10차 개헌(내각제 담론)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무역
지표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중진국 함정 · 선진국 담론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한국인 · 외국계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JUSCANZ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


[1] Metropolitan government라고도 한다.(특히 특별시, 광역시의 경우)[2] 제주특별자치도 산하 제주시서귀포시는 현재 자치시가 아닌 행정시이다. 즉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므로 행정시의 시장선출직 공무원이 아니다.[3] 기초자치단체인 자치시 아래 행정구는 자치구가 아닌 구로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따라서 행정구의 구청장선출직 공무원이 아니다.[4] 공무원 임면권, 징계권, 승진임용권 등[5] 보통 인구 100만 명이 넘는 시의 부시장 2인 중 1인을 제외한 부시장, 부군수, 부구청장, 일반구 구청장은 대부분 광역자치단체의 사람으로 보직된다. 비슷하게 광역의 부단체장 2인 중 1인은 정부에서 추천한 국가직 공무원으로 보직된다.[6] 제주시서귀포시는 기초자치단체가 아닌 행정시다.[7] 2015년 위례신도시 쪽 경계조정.[8] 이것도 최근의 일이지, 2009년 4월 지방자치법 개정 이전에는 시·도 경계조정은 법률에 의하였다.[9] 광명시서울특별시에 편입된다면, 법률적으로는 경기도 광명시라는 자치시가 폐지되고 서울특별시 광명구라는 자치구가 신설되어 거기에 편입이 이루어지는 식이 된다. 즉, 일종의 폐치분합.[10] 하나의 자치시를 통째로 인접한 특별시광역시에 편입시키는 수준.[11] 예를 들자면 광명시금천구가 서로 통합하는 경우.[12] 이렇게 되면 광역자치단체의 단위보다 상위 단위의 행정구역이 신설될 수 있다.[13] 인천광역시와 같은 032.[14] 서울특별시와 같은 02.[15] 대전광역시와 동일한 042.[16] 대구광역시와 동일한 053.[17] 2000년까지는 종전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정확히는 오리지널이 아닌 1984년식 변종)에 따른 철자에서 보조 부호인 어깻점(')과 반달표(˘)를 제거한 철자대로 서브 도메인을 할당했었다. 현재는 바뀐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일괄 변경되었다. 서울특별시(.seoul.kr), 울산광역시(.ulsan.kr) 충청남도(.chungnam.kr), 충청북도(.chungbuk.kr)만 서브 도메인의 변경이 없다. 참고로 1984년식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서울은 Sŏul이 아니라 예외로 관행 표기인 Seoul을 쓰게 했기 때문에 변동이 없는 것이다. 충남과 충북은 로마자 표기법 변경에 따라 Ch'ungnam, Ch'ungbuk에서 Chungnam, Chungbuk으로 바뀌었지만, 기존 도메인에서 어깻점을 생략했기 때문에 도메인상 변동이 없다.[18]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전라'는 \[절라\]로 읽히므로 Jeolla로 적히지만(Jeollanam-do, Jeollabuk-do) 약칭인 전남과 전북의 '전' 부분은 \[전\] 그대로 읽히므로 약칭은 Jeonnam, Jeonbuk으로 적힌다. 현행 로마자 표기법은 원칙적으로 철자를 옮기는 전자법(轉字法, transliteration)이 아니라 발음을 옮기는 전사법(轉寫法, transcription)에 기초하고 있다.[JP] 오른쪽부터 읽어서 일본(jp)의 도쿄도(tokyo) 미나토구(city.minato)라고 읽는다.[KR] 역시 오른쪽부터 읽어서 대한민국(kr) 서울특별시(seoul) 중구(junggu) 순으로 읽는다.[21] 단, 서울특별시의회는 지역도메인(seoul.kr)을 사용한 "smc.seoul.kr"이 대표도메인이다.[2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동인청사] 중구 동인동1가에 위치한 대구광역시청사 중 한 곳으로, 1909년 이래 2022년까지 대구의 유일한 시청사였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문서로.[산격청사] 북구 산격동에 위치한 대구광역시청사 중 한 곳으로, 1966년 이래 2016년까지 경상북도청사로, 이후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시청별관으로 사용되다가, 2022년부터 본청사 중 한 곳으로 승격된 곳이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문서로.[25] 제2청사. 연기군 시절부터 군청 소재지였던 곳으로 세종시 출범 후에도 시청이 보람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약 3년간 시청 소재지였다.[26] 북부청사.[27] 제2청사[28] 북부출장소.[29] 남부출장소.[30] 내포신도시 문서로.[31] 남악신도시 문서로.[32] 동부청사.[33] 2016년 2월 안동시 풍천면으로 이전. 자세한 사항은 경북도청신도시 문서로.[34] 환동해안본부를 제2청사로 승격 예정[35] 서부청사. 구한말~일제강점기 초기 경남도청 소재지였기도 하다.[A] 일부 주에서는 패리시(Parish), 버러(Borough), 디스트릭트(District) 등 카운티가 아닌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37] 한국의 행정구역 중 의 영어 표기가 County인 탓에, 한국의 군을 미국/캐나다의 카운티로 생각했다간 상당히 혼란스러워진다. 둘은 엄연히 다른 단위의 행정구역이며, 한국의 군에 상당하는 미국/캐나다의 행정구역은 타운/타운십(Town/Township)이 적절하다. 하지만 타운/타운십은 한국에서 /으로 번역된다. 한국의 행정기관에서 미국의 주를 한국의 와 같은 광역자치단체로 해석했기 때문에, 카운티는 군이 되고 타운/타운십은 읍/면이 된 것이다.[A] 일부 주에서는 패리시(Parish), 버러(Borough), 디스트릭트(District) 등 카운티가 아닌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39] 명목상 행정구역인 타이완성을 포함하면 2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