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2:04:33

장로회

장로교회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장로회/교단 목록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라틴 십자가.svg
기독교의 종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3px -1px -11px;"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파
]]
[[칼케돈 공의회|
비칼케돈파
]]
서방교회
동방교회
개신교[[성공회|
성공회
]]
가톨릭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
[[네스토리우스파|
네스토리우스파
]]
역사상 종파: 영지주의 · 마르키온파 · 몬타누스파 · 아리우스파 · 도나투스파 · 펠라기우스파 · 카타리파 · 배상제회
기타 종파: 메시아주의 유대교 · 비삼위일체파 (몰몬교 · 여호와의 증인 · 유니테리언)
같이 보기: 그리스도교의 총대주교좌 · 네스토리우스파 · 오리엔트 정교회 · 동방 가톨릭 교회 · 개신교의 주요 교파 }}}}}}}}}

개신교의 주요 교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비복음주의 성공회 비복음주의 고교회파 초교파{{{#!wiki<tablebgcolor=#fff,#000> 독립교회 }}}
복음주의{{{#!wiki 발도파
후스파
롤라드파
가톨릭 복음주의 }}}
침례회
감리회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재림교회 *
구세군
루터교회
개혁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회중교회
장로회
재침례파
* 재림교회(a.k.a 안식교)는 안식일이 결부된 구원론과 엘런 화이트에 대한 직통 계시론 때문에 이단 논쟁이 심하다.
에큐메니컬 성향 교단에서는 정통의 일원으로, 구원론 및 계시론에 민감한 교단에서는 이단으로 분류한다.
국내 개신교계는 조직신학(교의학)에 민감하기에 대체로 이단으로 받아들인다.
같이 보기: 기독교의 종파 · 대한민국의 개신교 교단 }}}}}}}}}

장로회
Presbyterianism
파일:장로교 십자가.svg
장로교 십자가[1]
계통 <colbgcolor=#fff,#212121><colcolor=#000,#ddd>아브라함 계통 종교
종교 기독교
종파 개신교
교파 장로회
창시 <colbgcolor=#535353>주요인물앤드류 멜빌
존 녹스
장 칼뱅
창시 시기1559년 ([age(1559-01-01)]주년)
지역 주요
신앙 지역
전 세계
규모 신도 약 4천만 명[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한국어<colcolor=#000,#ddd>장로회, 장로교, 장로교회
한자長老會
영어Presbyterian Church, Presbyterianism
일본어[ruby(長老派教会, ruby=ちょうろうはきょうかい)]
프랑스어Presbytérianisme
독일어Presbyterianische Kirche
러시아어Пресвитерианство
스페인어Iglesia Presbiteriana
이탈리아어Chiesa presbiteriana
라틴어Presbyterian Ecclesia
}}}}}}}}} ||

1. 개요2. 문화적 배경3. 역사4. 장로회와 개혁교회의 차이5. 특징
5.1. 조직 특성5.2. 신학적 특성
5.2.1. TULIP 교리
6. 한국의 장로회
6.1. 한국 장로교의 분파 형성과정6.2. 국내 주요 장로회 교단 목록
7. 스코틀랜드의 장로회8. 미국의 장로회
8.1. 미국의 회중교회8.2. 미국의 네덜란드계 개혁교회
9. 네덜란드 개혁교회10. 대만기독장로교회11. 나무위키에 항목이 존재하는 인물
11.1. 목회자, 선교사, 신학자11.2. 장로 이하 평신도

[clearfix]

1. 개요

장로회()는 영국 북부 스코틀랜드에서 탄생한 개신교 교파 중 하나로, 종교개혁가 장 칼뱅의 영향을 받은 개혁교회의 일파이다. 다만 넓은 의미에서 요즘은 칼뱅주의 개혁교회 전체를 장로회로 통칭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개신교 교파 중 상당수를 차지하나 전 세계적으로는 아니다. 그러나 결코 작은 교파는 아니며, 오순절교회·감리회·성공회·루터교회·침례회와 함께 개신교 6대 주요 교파에 속한다. 네덜란드, 독일 일부 주, 남아공, 스위스, 체코(칼뱅주의에 강한 영향을 받은 후스파), 태평양 섬나라들에서도 칼뱅파 교단의 교세가 강한 편이다.

장 칼뱅스위스 제네바에서, 츠빙글리의 뒤를 이은 취리히의 불링거와 함께 종교개혁을 이어나갔는데, 이것이 '개혁교회'의 시초가 된다. 이후 네덜란드에서는 개혁교회가 네덜란드 독립전쟁의 구심점이 되었고, 프랑스에서는 위그노라 불리며 가톨릭에 맞섰으며, 나바라에서는 왕실의 종교였다.[3] 독일의 구 리페 후국의 국교(Lippische Landeskirche)였고[4], 오스만 헝가리에르데이 공국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서 가톨릭 사제들이 도주했던 공백을 메우는 구심점이 되어 독특하게 감독제를 띠게 되었다.

'장로회'는 스코틀랜드의 개혁교회로서, 칼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존 녹스에 의해 세워졌다. 존 녹스를 비롯한 영국의 종교개혁자들은 제네바 성경을 번역했고, 영국 국교회[5]의 개혁[6]에 참여했다. 이후 이들의 후예들은 청교도가 되어 회중교회·독립교회·침례교회 등의 일부를 이루었다. 일반적으로 칼뱅주의 신학을 따르는 교회들 가운데, 유럽대륙의 교회들을 개혁교회라 하고, (존 녹스에 의한) 스코틀랜드의 교회들을 장로교회라고 부른다.

국내에서 개신교 신자 비율의 70%를 차지하는 가장 큰 교파이기도 하다. 전 세계에서 한국만 장로회가 최대 교파인 건 아니지만 이정도 비율을 보이는 것은 한국이 유일하다. 전 세계적으로 따져보자면 주권국은 아니지만 스코틀랜드에서도 40% 정도가 스코틀랜드 장로회 소속으로 장로회가 최대의 종파이고, 대만도 장로회 신자 비율이 개신교 신자 중 50%를 넘어간다.

현재 한국교회에서 '장로교'라는 단어의 현실적인 용례를 생각해보자면, 넓은 의미로는 칼뱅의 신학 노선을 따르는 모든 분파를 뜻하고, 좁은 의미로는 장로 정치 체계를 갖춘 스코틀랜드 교회(Church of Scotland)만을 가리킨다. 다만 본 문서에서는 대륙식 개혁교회에 관한 서술도 같이 섞여 있다.

신학적 특성상 공식적으로 통일된 상징은 없다.[7] 한국의 장로교단 마크들은 밑의 교단 목록들을 참조할 것. 미국의 경우 미국 최대 장로교회인 Presbyterian Church (USA)를 비롯하여 배경에 성화가 불타고 있는 십자가[8]를 사용하거나 혹은 스코틀랜드 장로회가 종종 사용하는 불타는 떨기 문양[9]을 흔하게 사용하는 편이다. 후술할 도르트신조 TULIP 교리 때문에 튤립도 자주 사용하는 편.

2. 문화적 배경

잉글랜드 왕국은 역사적으로 국왕에 의한 강력한 중앙집권제를 채택해왔으며, 앵글로색슨족의 문화도 수직적인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면이 강하다. 그리하여 자연스레 잉글랜드에서 만들어진 기독교 교파인 성공회, 감리회, 구세군 등은 감독 정치를 핵심으로 하는 수직적인 체계를 갖추었다.[10]

반면에, 스코틀랜드 왕국은 주로 산악 또는 고원지대에서 지방분권적 체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수평적 인간관계와 자유를 중시하는 성향 때문에 교회의 지도자를 회중이 선출하는 방식의 장로회가 각광받게 된 것이다. 스코틀랜드의 경우, 인구 밀도가 낮은 고원과 산악 지대에서 각 클랜(clan)별로 특정 지역에 흩어져서 거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장로교회는 감독 정치가 아닌 장로 정치를 채택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장로교 자체는 고지대가 아닌 비교적 저지대[11]에 속하는 지방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로우랜드도 도시 자치정부, 영지에 안 살고 도시민화 된 귀족, 부유한 상인들과 교육 받은 부르주아가 전통 귀족을 대신해 자리잡고 있어 사회 분위기가 수평적이라 하이랜드에 비해 클랜이 형식적이긴 했지만 왕실의 권위와 권력이 현격하게 약하고, 고위 성직자들보다 평신도나 평신도 출신 신학자들의 힘이 강한 건 마찬가지였다. 현대에 들어서는 오히려 고지대에 속한 시골 교회들에서 더 원형에 가까운 장로교회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요컨대, 개혁교회/장로교회는 역사/문화적으로 외부로부터의 간섭에 저항적이고, 중앙권력이 상대적으로 느슨하며, 해당 지역 내에서도 각 지방마다의 특색이 강해서 서로 확실한 우열이 없었던 스코틀랜드, 스위스, 네덜란드 등에서 주로 채택되었던 개신교 교회라 할 수 있다.

3. 역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청교도
,
,
,
,
,

16세기 중엽에 장 칼뱅은 성경에서 말하는 장로회 제도를 본격적으로 확립하였으며, 이러한 바탕에서 전 유럽에 영향력을 끼쳐, 프랑스, 네덜란드, 스코틀랜드개혁교회라고 불리는 칼뱅주의 교회들이 세워지게 된다.

특히 스코틀랜드에서는 1560년 스코틀랜드 장로교를 국교로 지정하며, 이후 잉글랜드미국으로 전파되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때부터 청교도 혁명에 이르는 시기에, 칼뱅의 신학을 바탕으로 한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12](Westminster Catechism)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그리고 교회헌법과 예배지침이 마련되며 이는 이후의 미국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한 현재의 장로회의 토대가 된다. 쉽게 말하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을 따르는 교회는 장로교회라고 할 수 있다.

4. 장로회와 개혁교회의 차이

보통은 개혁교회가 장로회보다 더 넓은 의미이다. 그러나 근래는 장로회와 개혁교회를 넓은 의미에서 같은 교파로 분류하며, 국제 기독교 통계에 있어서도 개혁교회의 범주에 장로회를 포함시켜 같은 교파로 분류하는 추세이다.[13]

신학적으로 칼뱅주의를 따른다 해도 교회 내의 의사결정을 장로제가 아닌 회중제로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헝가리[14]의 사례처럼 감독제가 될 수도 있지만, 이미 각 장로교 교단들과 개혁교회 교단들이 같은 국제조직에 가입하여 친선 교류하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타 교파로 분류하기엔 무리가 있다. 헝가리의 경우는 후스파가 칼뱅주의를 받아들여 개혁교회가 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독특하게 발전한 편이다.

칼뱅의 교리적 주장 전체가 개혁교회의 지표라 할 수는 없다. 당장 하이델베르크 문서들이나, 웨스터민스터 문서들도 제네바의 문서를 복붙한 것이 아니다. 개혁교회의 뿌리로 여겨지는 스위스에서도 취리히의 츠빙글리, 바젤의 외콜람파디우스가 1세대이며, 칼뱅은 그 이후이다. 스트라스부르의 1세대 개혁가인 마르틴 부처도 꼽을 수 있으며, 온건루터파(또는 멜랑히톤파)도 하이델베르크 문서에 참여했다. 칼뱅주의가 개혁교회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이유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 보다 가깝기 때문에 구심점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으리라 여겨졌기 때문이다.

장로제 교회만을 가리킬 경우 스코틀랜드식 전통을 따르고 있으면 '장로교회'이며, 반대로 대륙식(스위스, 네덜란드) 전통을 따르고 있으면 '개혁교회'라 불린다. 그러나 이미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근래에는 같은 교파로 분류되고 있는 상황이다.[15]

보통 칼뱅주의를 따르고 장로제를 취하면서 유럽 대륙에서 형성된 개신교단은 '네덜란드 개혁교회'[16]와 '스위스 개혁교회'(Evangelisch-Reformierte)[17] 등이 있는데, 이들은 교회 인테리어, 예배 방식에 있어 스코틀랜드 식, 한국 식과는 차이가 있다. 이런 차이가 미국에도 반영되어 'Reformed Church' 이름의 칼뱅파 개신교단들과 'Presbyterian Church'라는 이름의 칼뱅파 개신교단들이 별개로 존재한다. 물론 미국 내 상황과 달리 개혁교회 이름을 쓰건 장로교회 이름을 쓰건 같은 국제 기독교 조직에 가맹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통적으로 네덜란드와 독일의 칼뱅주의 교회에서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Heidelberg Catechism), 벨직 신앙고백(Belgic Confession)[18], 도르트 신조(Dordtse Leerregels)[19]를 신앙규범으로 삼았는데 위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제정한) 웨스트민스터 계열 문서보다 이 세 가지 문서를 더 중요시하는 칼뱅주의 교파들은 대륙식 개혁교회라 봐도 틀리지 않다. 스위스에서는 헬베티아 신앙고백서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을 제외하면 개혁주의를 따르는 교회들은 시편찬송가(psalter)를 부르는 것이 권장되며, 실제로도 보수적인 교회들은 일반적인 찬송가를 부르지 않거나 시편찬송가 위주로 일반찬송가를 1~2곡 정도 곁다리 삼아 부르는 경우가 많다.

5. 특징

5.1. 조직 특성

성공회감리회가 어느 정도 주교제 교회의 전례를 따라 주교/감독을 두어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가지고 있다면[20], 장로회는 철저한 장로 정치 시스템에 따라 상위 치리회의 치리를 통한 정치체제를 따르고 있다. 목사와 장로들로 이루어진 당회는 노회의 치리를 받고, 각 노회는 총회의 치리를 받는 구조다.

한국은 개교회주의와 장로회 헌법 체제가 섞여있지만 원칙적으로 장로회 시스템에서는 개교회주의는 인정되지 않으며, 개교회주의는 회중교회침례회의 특징이다. 장로회의 정치체제에 의하면 개교회들의 연합체인 노회가 개교회 이상의 권한을 가지고 있고, 노회의 상위기구인 총회가 그 이상의 최고권한을 가지고 있다. 노회 아래의 개교회는 노회의 치리를 받으며 노회와 개교회는 총회의 치리를 받는다. 즉 장로회는 단일 교단만 존재한다면 개교회주의가 절대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론상 교단의 헌법으로 통일된 장로회의 정치체제는 개교회주의를 가질 수 없다.

하지만 이런 특징은 통일된 헌법과 신학이 맞지 않으면 자신의 신학에 맞는 새로운 교단을 세워서 분리독립하는 사례를 만들어냈다. 그래서 외국의 장로회도 한국만큼은 아니어도 여러 개로 쪼개져있다. 가장 잘 알려진 사례는 미국의 북장로회와 남장로회의 차이.

게다가 후술하겠지만 대한민국은 장로회의 전래 과정에서 다양한 신학 성향을 가진 선교사들이 유입되었기에 대한예수교장로회뿐만 아니라 대한예수교성경장로회 등 다른 교단도 세워졌으며 가장 교세가 컸던 대한예수교장로회도 신학성향의 차이로 고신계, 기장, 통합, 합동계, 대신계, 백석으로 쪼개졌고 한국은 교단 설립이 매우 쉽기 때문에 분열을 막기 위해 개교회주의가 어느정도 허용될 수 밖에 없었다. 미국 장로회도 비슷한 이유로 신학 노선의 차이로 계속 분열되고 있는 모양새이다.

세속 정치로 따지면 간접/대의민주주의에 가까운 형태이며 실제로도 각 교단별로 교회헌법이란 것이 존재한다. 장로회에서는 교단 교회법을 이렇게 일컫는다. 이론적으로 교회 정치에서 장로는 세속 정치로 치면 국회의원급 위치라 볼 수 있다.

현재 각 장로교 교단들이 보수, 중도, 진보 신학의 빅텐트인 세계교회협의회(WCC), 중도 보수에 가까운 세계복음주의연맹(WEA)의 회원 교단으로 개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매우 보수적인 단체인 국제기독교협의회(ICCC)에도 몇몇 장로교 교단들이 참여한다.

5.2. 신학적 특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혁주의 신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장 칼뱅의 영향을 받아 신학적으로 개혁주의를 따르며, 신구약성서를 신앙과 행위에 대한 무오한 유일의 법칙[21]으로 본다. 신앙고백과 요리문답서들은 어디까지나 성경의 무오성을 입증해주는 보조적 문서로 볼 뿐이다.

장로회에서는 교회의 지도자 직위에 대하여 성서가 다음과 같이 가르친다고 본다.
  • 교회의 지도자 직임을 받은 자를 장로라고 한다.[22]
  • 목사는 장로 위에 있는 직임이 아니라, '가르치고 성례[23]를 집전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장로'에 해당한다.[24]
  • 성경에 등장하는 '감독'이란 말은 '장로'의 또 다른 표현이다.[25]
  • 장로는 교회의 회중이 선출한다.

특히 앞서 설명했듯이, 장로회의 신학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요리문답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원문 참조.

기본적으로, 장로회를 포함한 개혁교회는 학문과 문화를 하나님이 준 일반은총[26]이라고 여기기 때문에 굉장히 지적이고 변증적인 신앙을 추구하며, 하나님의 주권이 세상에 있는 모든 영역에 미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굳이 인간이 열성을 표하는 예배와 신앙보다 차분하고 안정적인 예배와 신앙을 추구한다. 그래서 장로회는 굉장히 차분하며 지성을 추구한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프린스턴 대학교 같은 이미지라고 보면 된다. 이렇다보니 자연과학계 및 공학계에서 종사하는 학자나 인력들이 기독교를 믿게 된다면 장로회를 믿는 경우가 매우 많다. 다른 개신교 교파보다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을 추천하기 때문. 네덜란드 계열 개혁교회는 이러한 점이 더욱 강하다는 이미지가 존재한다. 이렇다보니 신앙주의에 대해서 가장 우려하는 개신교 교파이기도 하다.[27] 물론 과학을 얼마나 받아들이냐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장로회 신자라고 하더라도 창조과학을 신봉하면서 자연과학을 싫어하는 경우도 많다.

칼뱅이 주장했던 직업소명설 덕분에 직업윤리(워크에식)를 가장 강조하는 개신교 교파이기도 하다.. 상술한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강조하는 특성과 일반은총론 때문에 현실세계에 애착이 가장 강한 개신교 교파이고, 덕분에 부르주아 계층에게 가장 호응을 얻은 교파이며, 오늘날에도 기업인, 금융인을 비롯한 상경 계열 직업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장로회를 믿는 경우가 많다. (ex) 도널드 트럼프[28]) 하지만 이중예정론 덕분에 현실에서 고통받고 있거나 가난에 고통받는 사람이어도 장로회를 통해 위로를 얻는 경우도 많다.

한국 개신교에서 장로회의 교세가 가장 커진 이유는 개혁주의(칼빈주의, 신칼빈주의)의 지성을 추구하는 면이 마치 성리학에서 지성을 추구하는 면과 크게 닮았으며, 성경을 중시하는 신앙이 마치 유교에서 유교 경전을 중시하는 것과 닮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교를 점차 대체해가기 쉬웠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가정을 성경공부의 장소로 만드는 것으로 중시하는 것과 신학교 및 종합대학 설립에 가장 크게 기여하여 목사 양성을 굉장히 중시한 것도 이유로 꼽히고 있다. 장로회 특유의 인간의 삶과 세상에 애착을 보이는 특성이 한국인 특유의 일과 여가에 진심인 특성과 잘 맞물리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5.2.1. TULIP 교리

칼뱅주의 5대 교리를 지칭한다. 이 5대 교리를 총칭해서 TULIP으로 부르는 것으로, 그 중요성은 성결교회의 4중 복음, 감리회의 신인 협동설과 맞먹는다.
  1. 인간의 전적 부패/타락(Total Depravity)
  2. 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al Election)
  3. 제한 속죄(Limited Atonement)
  4. 불가항력적 은혜(Irresistible Grace)
  5. 성도의 궁극적 구원(Perseverance of the Saints)

1619년 네덜란드에서 칼뱅주의자들은 행위구원론을 주장한 아르미니우스주의 5개 교리에 대항하여 도르트신조를 발표했는데, 구원론에 대한 칼뱅주의의 입장을 잘 보여주었고 5개 항으로 정리하였다. 장 칼뱅이 직접 발표한 교리는 아니지만 칼뱅주의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고 장로회, 개혁교회의 핵심 교리가 되었다.

이에 대한 비판은 개혁주의 신학/비판 문서 참조.

6. 한국의 장로회

전 세계 개혁교회 총 신자 2,300여만 명[29] 중 500만 명이 한국에 분포한다고 한다. 주로 수도권영남, 호남에서 세가 강하다. 특히 영남[30]과 호남[31]에서는 장로회가 초강세. 또한 제주도에서는 전체 교회 중 60% 이상이 통합 측 교회이다.[32] 수도권에서는 서울특별시 일원과 경기도 북동부 지역이 장로회의 우세 지역에 속한다.[33] 충청권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 이남 지역[34]충청남도 남부의 전라북도 접경 지역[35], 대전광역시[36] 등에서 장로회가 비교적 강한 편이고 청주시 이북의 충북 북부 지역과 충남의 대부분 지역, 서울특별시서대문구[37], 경상북도울진군[38], 인천광역시, 경기도 남서부 지역[39], 세종특별자치시, 강원도[40] 등지에서는 장로회가 약세이다.

1882년, 만주에서 선교하던 스코틀랜드 장로회의 존 로스 목사가 요한복음누가복음을 번역하여 출간함으로써 한국과 첫 관계를 맺게 된다. 그 후 1885년 미국 북장로회 소속의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목사 등의 선교활동으로 처음 들어온 것으로 본다. 그런 이유로 연세대학교에 가면 언더우드관이 있다. 한편 미국 남장로회 소속의 유진 벨 목사가 전라도 광주부 양림동1904년 광주양림교회를 세워 호남 선교의 거점으로 삼았다. 그런 이유로 광주광역시 양림동에 선교사 주택과 묘역 등이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1907년에 대한예수교장로회 독노회가 창설되었으며, 1912년에 첫 번째 총회를 개최한다.

파일:942_1220_1525.jpg

미국 북장로회, 남장로회, 호주장로회, 캐나다 연합교회, 미국 북감리회, 남감리회 등은 위 지도와 같이 각자의 선교영역을 분담하기도 했는데, 이는 후일 장로회 교단의 분열[41] 및 지역별 교단 교세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조선인들에게 신사참배를 강요했는데 이는 조선 내의 개신교 교파들에게도 예외가 아니었다. 신사참배는 죽은 사람에게 절하고 천황을 신격화한다는 점에서 기독교 교리상 명백한 우상숭배였기 때문에 초창기 개신교인들은 당연히 저항했다. 그러나 1930년대 들어 탄압이 심해지면서 투옥되어 옥사하는 목회자와 평신도들이 여럿 나왔고 성결교회재림교회는 교단 차원에서 신사참배를 인준했음에도 신사참배 이행불량을 이유로 결국 강제 해산되었으나 장로회는 주기철 목사를 필두로 신사참배를 끝까지 거부하고 투옥된 소수의 목회자들을 제외하고 목회자 대부분이 일제의 방침에 따라 1945년 8.15 광복 때까지 신사참배에 가담하였다.[42] 물론 통합, 합동 등 현재의 예장총회 계열 교회나 목회자 모두를 친일반민족행위(신사참배) 가담자로 단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43][44]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패망하면서 신사참배 거부를 이유로 투옥되었던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은 석방되어 교회로 돌아왔고, 일본 기독교회에 흡수되어 사라졌던 장로회는 1947년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이름 아래 단일 총회로 재건되었다.

6.1. 한국 장로교의 분파 형성과정

하지만 이후 다수파에 의한 일방적 소수파 축출 및 노선 차이로 인한 다수파 내의 분열을 겪으며 여러 분파로 나뉘게 되었다. 이는 한국 장로회 특유의 개교회주의와도 관련이 있다. 상술하였듯 본래 장로회는 단일 교단만 존재한다면 개교회주의 성향이 아니나 한국의 종교 환경에서는 교단 설립이 쉬워서 분열이 크게 우려되는 특성상 개교회주의와 장로 정치제가 혼합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장로회 교단 분열사 문서 참조.

위 항목에 서술된 내용을 보면 갈라지는 것만이 부각되어 보일 수 있지만, 통합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백석 교단의 역사 자체가 통합의 역사이며, 고신과 합동의 통합 시도가 있었고 신학교 통합이 이루어지기에 이르기도 했었다. 그리고 통합 측과 합동 측 소속 목회자와 교인들이 서로 티격태격 헐뜯고 싸우며 서로를 이단시하는 것까지는 아니다.한국장로교총연합회 같은 경우는 한국기독교장로회부터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까지 성향이 극과 극인 교단들조차 가입 원년멤버인 등 주요 장로교단들이 두루 가입하고 있다.

6대 교단의 대체적인 신학 성향과 주요 입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45]
장로회 교단 별 신학적 성향과 입장
<rowcolor=#000> 교단 상징 교단 성서비평학 교회일치운동 여성목사 종교세 세습금지법 이중직 목사[46] 교세(2018년 기준)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기장 [47] 교인: 235,077명
교회: 1,631개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48] 통합 [49] [50] [51] 교인: 2,714,314명
교회: 9,096개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백석 × [52] [53] ×[54] 교인: 1,507,547명
교회: 7,373개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55] 합동[56] × ×[57] × ×[58] × [59] 교인: 2,688,858명
교회: 11,922개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신 × ×[60] × [61] × [62] 교인: 60,888명[63]
교회:1277개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고신[64] × ×[65] ×[66] ×[67] [68] × 교인: 452,932명
교회: 2,067개
독자 로고를 사용하는 일부 교회가 아닌 경우, 교회 마크로 어떤 교단에 소속되어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초록색 두루마리 모양의 바탕에 빨간색 십자가가 있는 마크는 통합의 마크이고, 파란색과 연두색 사각형 사이에 하얀색 십자가가 있는 마크는 합동의 마크이다. 기장은 파란색 원에 왼쪽 구석이 보라색이며 경계선이 '기' 자로 형상화된 마크를 사용한다.

이렇게 교단 마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당수의 이단이나 사이비 교단이 장로회를 사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꼭 이단이나 사이비 교단 때문이 아니더라도 우리나라 장로회는 분파가 많아서 심볼이 없으면 구별이 안 된다. 밝혀진 바로는, 신천지 위장교회가 그대로 베껴 쓰거나, 광고물 제작업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한다. 그러나 교단 심볼은 저작권과 특허로 등록되어있기에 함부로 사칭하면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 보수 장로회에서 박형룡 목사의 영향력이 강력하던 시절에는 한국 보수 장로회에서 개교회주의 등의 교회론을 비롯한 여러 신학적 특징이 미국 보수 침례회에서 유래했다는 점 때문에 한국의 장로회 일부를 특수 침례회와의 혼종 교단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주장도 일부 있었다. 시간이 지나며 박형룡 목사의 영향력이 어느정도 줄어들면서 이러한 주장도 사그라들었지만 여전히 대한민국 보수 장로회에서 미국 침례회(특히 남침례회)의 영향력은 막대한 편이다.

6.2. 국내 주요 장로회 교단 목록

7. 스코틀랜드의 장로회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1em"
{{{#!folding [ 정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웨일스 공비 · 프린세스 로열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말버러 공작 · 케임브리지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영국의 경찰제도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가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스코틀랜드 경찰청 · 영국 철도경찰 · 영국 국방부경찰 · 영국 원자력경찰대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UK ETA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JUSCANZ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역사 전반역사 전반()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영국 통일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시대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엘리자베스 시대 · 찰스 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국가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왕조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세력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TERF의 섬}}}}}}}}}{{{#!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문화 전반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종교 ·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 · 장로회(스코틀랜드 교회) · 영국/관광
예술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로빈 후드 전설 · 마더 구스 · 캔터베리 이야기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언어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어리 · 콘월어 · 영어영문학과(영어교육과)
음식요리(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애프터눈 티) · 홍차 · · 아침식사 · 피시 앤드 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스포츠축구(어소시에이션 풋볼) · 프리미어 리그 · FA(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대표팀) · NIFL · IFA(대표팀) · 럭비(RFU · SRU · WRU · IRFU) · 프리미어십 럭비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 · 윔블던 · 영국 그랑프리 · F1
서브컬처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영국인 캐릭터
기타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킬트}}}}}}}}}{{{#!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군사 전반국방부(국방위원회) · 영국군(스코틀랜드군) · 해외 주둔군 · 계급 · 전투식량/영국군 · 징병제(폐지) ·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 · NATO · 군기분열식
장비군복(레드 코트) · 군장/영국군 · 군함(1차대전 · 2차대전 · 현대전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항공기(2차대전) · 핵무기(튜브 앨로이스, AWE)
부대육군(연대 · 제3사단 · 제1사단 · 왕립 독일인 군단 · 원정군 · 블랙와치 · 사관학교) · 통합해군(해군 · 해병대 · 함대 보조전대 · 대함대 · 본토함대 · 사관학교) · 공군(제617비행대대 · 독수리 비행대대 · 사관학교) · 전략사령부 · 근위대 · 특수작전부대(E Squadron · SAS · 제21SAS연대 · SBS · SRR · SFSG · JSFAW · 제18정보통신연대) · 코만도 · 구르카 · 레인저연대 · 낙하산연대 · 연합합동원정군}}}}}}}}}}}}


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상징.svg
스코틀랜드 국민교회 로고

장로회 명칭의 원조인 스코틀랜드의 경우 국민교회인 '스코틀랜드 국민교회(Church of Scotland)'와 완전한 독립 교파들인 '스코틀랜드 자유교회(Free Church of Scotland)', 'Free Presbyterian Church of Scotland' 등이 존재하며, 현지말 스코트어로는 'the Kirk'라고 부른다.

'Church of Scotland'의 경우 성공회에 붙을 법한 작명법이며, 실제로도 '국민교회'라 불리지만 이는 의전상, 전통적인 위상을 고려한 명예 호칭에 가깝다. 영국 국교회도 말이 좋아 국교회지 딱히 정부와 맞물려 뭔가 하는건 왕실 관련 해서 의전상 역할이라 하지만, 이 쪽은 공식적인 신학적 교회구조도 온전한 장로 교회이기 때문에 이런 의전상의 위치도 현격하게 낮다. 물론 대표적으로 에든버러 대학교 내에 위치한 현재 장로교회 장로 총회 건물 (General Assembly Hall)이 스코틀랜드 자치 정부 수립 이전까진 자치 정부 수립을 주장한 의원들의 비공식 의사당 역할을 했는 등 스코틀랜드 정치, 국가적 정체성과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여하튼 공식적인 위치는 단순히 역사적 다수 교파로서 명예직인 '국민 교회' 일 뿐이다. 일례로 영국에서 왕족들은 거의 대부분 성공회 세례를 받은 성공회 교인이지, 스코틀랜드 장로회 교인인 경우는 거의 없다.[69] 단, 영국 국왕과 왕족은 빅토리아 여왕 때부터 스코틀랜드 밸모럴 성에 거주할 시 국민교회 소속의 크래디 커크에서 예배드린다. 또 영국 국왕은 잉글랜드에서는 성공회 최고통치자, 스코틀랜드에서는 장로회 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진다.

심지어 역사적 다수 교파로서 명예만 있는 국민교회 위치도 갈수록 위험해지고 있다(...). 통계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신자수도 태반은 여전히 일단 태어났으면 세례 자체는 받는게 일반적이었던 70-80년대생 이름만 신자로 등록된 사람들까지 다 합쳐서 그렇지 실질적으로 정기적인 종교행사 참석률 같은 좀 더 실질적인 지표상으론 현대 스코틀랜드에선 아일랜드계 이민자 중심으로 그나마 교세가 유지되는 가톨릭에 비해 훨씬 밀리고, 에든버러, 글래스고 양대 대도시 밖에선 별로 많지도 않은 마찬가지 이민자 중심 현지 무슬림들에 비교해도 존재감이 약하다. 좁은 의미에서 장로교회의 총본산 치고 현대 스코틀랜드 국민교회는 하루가 멀다고 신자 감소로 문닫은 교회들이 늘어가는지라 현지 교회들이 신학대학, 목사 양성 과정에서 유학온 한국인이나 아프리카, 최근 들어선 중남미 유학생들을 격하게 환대하며 교인 커뮤니티에서 외국인 비중이 점점 늘어가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수있다.

8. 미국의 장로회

파일:PCUSA 상징.svg
미국의 가장 규모가 큰 주류 장로회는 미국 장로회(PCUSA)[70]이다. 2018년 말 조사로 약 120만명의 정식 교인이 가입해있다. 신자들을 모두 추산하면 약 3백만명 정도 되는 듯.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서 2010년에는 동성애 성향인 사람의 교회 직분을 허용했고 2014년에는 총회와 각 노회 투표를 통과해 동성결혼 주례도 허용하고 있다. 1983년에 3백만 교인에서 35년만에 교인 60% 감소하여 2018년에는 1백30만으로 줄었고 2021년 기준 1백19만 명의 신자가 있다.

사실 19세기부터 1920년대까지는 PCUSA 자체가 꽤 보수적인 교단이었다. 산하 신학교인 프린스턴 신학교도 1910년대까지는 '구 프린스턴 신학'이라는 성경 중심적 신학관으로 유명했으며 당시의 프린스턴은 성서무오설을 체계화한 신학교 중 하나로도 평가되었다. 한국 개신교계에서도 널리 회자되는 존 메이첸이나 B. 워필드, 찰스 하지같은 신학자들도 원래는 프린스턴 소속이었다.

그러나 성서비평학을 지지하던 '모더니즘' 신학자들도 없진 않았다. 처음에는 정통주의자들이 교단 분위기를 주도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 들어오는 신학생들은 성서비평학과 모더니즘을 편들게 되었고, 기존의 정통주의적 신학자들과 충돌하는 일이 자주 벌어지게 되었다. 두 세력의 분쟁은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가장 치열해졌다.

결국 정통주의 세력들은 프린스턴을 탈퇴하여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를 차리게 되었고 교단도 정통장로교회(Orthodox Presbyterian Church, OPC)란 이름으로 분리되었다. 교세는 약 4만명이다.

정통주의자들이 탈퇴한 PCUSA는 1930년대부터 신정통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른 미국의 주류 교단들처럼 사회 문제에 적극적이고 진보적인 성향을 띄게 되었다. 1958년에는 성향이 비슷한 '북미연합장로회'와 합쳐서 '연합장로회(UPCUSA)'란 이름으로 바꾸었지만 1981년에는 또다시 복음장로교회(미국)(EPC)가 분리되는 바람에 25년만에 U자를 다시 뗀 PCUSA로 이름을 환원해야 했다. 복음장로회(EPC)는 약 18만의 교인을 가지고 있다.
파일:PCA 상징.svg
PCUSA 외에 1973년에 남장로교회를 탈퇴한 미국 장로교(PCA) 교단[71]이 있는데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교단중에 하나이다. 현재 약 40만의 교인이 소속되어 있고 산하에 약 250개의 한인교회와 9개의 한인노회가 있다. 저명한 목회자 팀켈러, 전도폭발의 재임스 케네디, 그리고 프란시스 쉐이퍼 등이 이 교단 출신이다. 신앙노선이 같은 OPC와 통합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하였다.

2012년에는 동성결혼 주례나 동성애자 안수 논의를 놓고 너무 치우쳐버렸다고 생각한 보수 성향의 목사와 신학자들이 PCUSA를 탈퇴한 뒤 ECO(복음언약장로회)란 온건보수 성향[72] 교단을 만드는 일까지 벌어졌다. ECO 교단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근본주의적 신학과 포스트모던 신학에 모두 거부 반응을 보이는 보수 성향 교회들이 PCUSA에서 옮겨오기 때문이다. 교세는 약 12만 명이다.

8.1. 미국의 회중교회

'장로교와 개혁교회의 차이' 문단에서 상술했듯 칼뱅주의를 따르고(물론 극초기 이야기, 현재는 구원론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펼친다) 침례가 아닌 일반적인 세례를 주면서 교회 정치체계만 회중제를 따르는 교회는 그냥 '회중교회'라고 부르는데, 초기 미국 동부의 교회들은 의외로 장로교가 아닌 회중교회들이 많았었다.

사실 미국 내 청교도들은 장로제보다는 직접적인 회중 자치를 중시하는 분리주의자들이 대다수였고,[73] 당연히 이들이 세운 교회도 대다수가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urch)이며 이곳과 연관된 대학이 하버드 대학교예일 대학교이다.

19세기 이후로 대표적인 리버럴 교단이 되어 보수 위치에 있던 장로회와 대립했었고, 1957년 독일계 개혁교단인 '복음개혁교회'(E&R Church)와 합치게 되면서 그리스도연합교회(UCC)가 되었다.[74]

이 교단의 전도나 선교에 대해서 흥미로운 사실이 있는데, 미국 건국의 주체였었고, 비교적 늦게 유입된 장로교와 몇가지 합의를 했다는 것이다.
  • 1 미국 동부는 회중교회가, 서부는 장로교회가 맡는다.
  • 2 한반도와 만주 그리고 대만은 장로교회가, 중국과 동남아 그리고 일본은 회중교회가 맡는다.

위 사항으로 인해 한국과 대만에는 장로교 선교사들이 들어왔고, 일본과 중국은 회중교회 선교사들이 들어왔다. 일본에서는 조합교회로 이어졌다.[75] 위의 합의는 절대적으로 준수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한국에도 일본 조합 교회가 들어 왔는데, 성결교회와는 반대로 일본 정부의 앞잡이가 되어 내선일체에 앞장 섰고 당연히 광복 이후 강제 해산되었다.

한국기독교장로회와 연관이 깊은데 일단 문익환 목사가 유학한 도쿄신학교는 회중교회의 일본 선교사인 S.R.브라운이 세운 신학원을 바탕으로 초교파적인 신학교가 된 곳으로 보인다.[76] 그의 부인이 다닌 요코하마 신학교도 일본 조합교회의 모체가 되는 도시샤대학의 설립의 배경이 된 곳.

미국에서 보수적이던 장로교단과 리버럴화의 전조를 보이던 회중교회의 마지막 합작품인 구역을 나눈 아시아 선교가 있었던 셈인데 그 영향으로 일본 유학을 간 문익환 등이 성서비평학을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한국의 다른 신학자들과 달리 국가신토를 너무 가볍게 여겼으므로, 한국 개신교에서 성서비평학이 금기시되는 원인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UCC의 최근 경향은 미국 메인라인 개신교 중에서도 리버럴의 중심이다. 페미니즘, 동성애, 인종차별, 낙태 문제에 관해 그 어떤 메인라인 교단들보다도 과감하게 좌파적 목소리를 내는 편.

한편 리버럴화에 반발한 극소수의 회중교회들은 CCCC 혹은 4C교단이라 하는 회중교단을 설립했으며 'Conservative'란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자칭 주류인 UCC와 비교하면 동성애를 금지하는 등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신사도 운동의 창시자인 피터 와그너가 첫 목사 안수를 받은 교단인지라 한국인 입장에서는 이 교단도 호불호가 갈릴 수가 있다.

8.2. 미국의 네덜란드계 개혁교회

미국에서 'Reformed' 명칭을 쓰는 교단들은 대체로 네덜란드계 이민자들과 연관이 있다.

전통적인 옛 '주류 교단'[77]으로 간주되는 RCA(미국 개혁교회)[78], 온건 정통주의 성향의 CRCA(미국 기독개혁교회), 보수 정통주의 성향인 PRCA(미국 개신개혁교회), FRCNA(북미 자유개혁교회), NRCA(미국 화란개혁주의교회)와 HNRC(헤리티지 화란개혁주의교회)[79]가 있다.

미국 개혁교회는 장로교와 교리가 유사했으나, 19세기 선교 구역이 정해질 때 회중교회와 같이 동남아와 일본을 대상으로 파송하기로 합의했다.

9. 네덜란드 개혁교회

맨 위에서 썼듯이 네덜란드는 유럽 대륙에서 몇 안되게 칼뱅주의가 크게 번성했던 나라였고, 스위스와 다르게 2010년대에도 보수적인 성향의 교회들이 다소 남아있다.

20세기 초까지는 네덜란드에서 전체 인구의 60%를 차지했던 최대 종교였으나 2차대전 후로는 급격하게 세력을 잃었으며 시류에 따라 리버럴화가 진행되었다. 오늘날 개혁교회를 믿는 사람들은 전인구의 약 10% 남짓에 불과하며 보수적인 교단은 절반 수준인 5%도 되지 않는다. 또한 네덜란드 전체 개신교의 교세도 20세기에 이미 가톨릭에게 역전 당했다.[80] 한국과 상황이 정반대인 셈.

한국과 달리 장로가 임기제인 경우가 흔하며[81] 목사도 한 교회에 오래 머물러있지 않고 여기 저기 청빙되어 자주 인사 이동을 하는 스타일이다.

원어로 '개혁교회'에 해당하는 단어를 무엇으로 쓰느냐, 혹은 띄어쓰기를 쓰느냐에 따라 아예 다른 교단을 가리킬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일례로 헤르포름더(Hervormde)와 헤레포르메이르더(Gereformeerde)는 네덜란드어에서는 뉘앙스상 철처하게 구별되는데 영어로는 둘다 리폼드(Reformed)로 써지기 때문에 상당히 헷갈린다.[82]

타 국가의 개혁주의 교단들이 그렇듯 교리나 신학적 성향을 놓고 분열과 통합을 반복한 적이 있었는데 아래와 같다.
  • 원래 네덜란드 개신교의 주류였던 '국교회'[83]와 1882년 아브라함 카이퍼의 의해 분리되었던 화란개혁교회 총회파[84]는 1962년부터 '함께가는 길'(Samen op weg)이란 이름으로 재통합 운동을 시작했고 여기에 네덜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ELKN)가 가세하여 2004년 PKN(네덜란드 개신교회)란 이름으로 정식 통합했다. 그러나 여전히 개교회별로는 특징이 구별되며 이 안에 보수 파벌인 고백연맹(Confessionele vereniging)과 '개혁주의 연맹'(Gereformeerde Bond)이 존재하고 있다.[85] 신학교로는 PthU와 암스테르담, 레이던, 흐로닝언 등의 국립대학 내 신학부가 있다.
  • 1834년 국교회의 신학적 성향을 문제삼으며 자발적으로 '분리와 (신조로의) 복귀'를 추구했던 '기독개혁교회'(CGK)[86]는 1892년 카이퍼주의자들과 통합하지 않은 소수의 교회들을 중심으로 잔류하여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이 교단도 자유파와 보수파가 한 교단 내에 공존하고 있으며, 보수파는 'Bewaar het Pand'[87]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신학교는 헬데를란트 주 아펄도른(Apeldoorn)에 있다.
  • 1944년에는 화란개혁교회(총회파)에서 '해방파'(Liberated/Vrijgemaakt)[88]가 분리되었는데 신학적인 논쟁 탓이 컸다. 당시 신학교 교수였던 클라스 스킬더(Klaas Schilder)는 카이퍼 신학의 문제점들(가정적 중생[89], 보편은혜[90], 영원칭의[91])에 관해 단호한 입장을 취해오고 있었으나 이것 때문에 결국 신학교와 교단에서 그를 지지한 사람들과 함께 강제로 쫒겨나서 새로이 만들어진 것이다.[92] 해방파 교단 역시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으며 한국의 예장고신 교단과 자매관계이다. 1967년에는 여기서 다시 NGK란 교단이 분리되어 나왔는데,[93] 2010년대 이후로 해방파 개혁교회와 기독개혁교회, NGK가 화해 및 협력 분위기로 바뀌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리버럴화 되어간다는 우려도 생기는 편. 결국 2017년 6월 총회에서 여성안수 허용안이 통과되었고, NGK와 빠르면 2023년에 교단을 통합하기로 결정되었다. 신학교는 오버레이설 주 캄펀(Kampen)에 있다.
  • 2015년 기준으로 네덜란드에서 가장 보수적 개혁주의에 가까운 형태를 고집하는 교단으로는 2004년 교단 통합에 반대한 기존 국교회들이 모여서 만든 '복구파 개혁교회'(Restored Reformed Church/Hersteld Hervormde Kerk)와 1907년 G. H. 케르스턴에 의해서 분리된 Gereformeerde Gemeente(영어로는 Reformed Congregations)[94]가 있다.

10. 대만기독장로교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만기독장로교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만기독장로교회 상징.svg
台灣基督長老教會 / The Presbyterian Church in Taiwan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만에서도 장로회가 개신교 최대의 교파이며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1865년에 영국 선교사 맥스웰이 처음 상륙하여 교회를 세웠는데, 미국 선교사들이 주를 이루던 한국 장로회와 달리 대만 장로회는 주로 영국과 캐나다 선교사들이 주를 이루어 선교하였다. 물론 대만에도 다른 교단들이 들어와 있긴 하지만, 대만의 개신교 자체가 교세가 워낙 약하고 대부분의 다른 교단들이 장로회에 비해 한참 늦은 1950년대 이후 들어오다 보니 장로회에 비해 교세가 약한 편. 이로 인해 대만에서도 개신교 하면 대부분이 장로회로 인식하는 현실이며, 전체 개신교 신자의 절반 가까운 인구가 장로회 신자라고 한다.

크게 합동계,고신계,통합계, 백석계, 기장계, 대신계의 6개 분파로 나뉜 한국 장로회[95]와는 달리 대만의 장로회는 단일 교단이며, 한국의 장로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적 성향을 갖고 있다.[96] 한국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한국기독교장로회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많지는 않지만 1960년대부터 꾸준히 조금씩 교류가 이루어지는 편이다.

11. 나무위키에 항목이 존재하는 인물

11.1. 목회자, 선교사, 신학자

11.2. 장로 이하 평신도


[1] 미국 제대군인부 산하 국립묘지국에서 묘비에 새길 수 있는 종교 상징들 중 장로교의 상징으로 공인한 십자가이다. 켈트 십자가의 일종으로 국내에서 켈트 십자가는 성당이나 천주교의 상징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외국에서는 장로교의 상징으로도 쓰인다. 다만 국내 장로교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상징이다. 여담으로 미국 국립묘지국에서는 그냥 켈트 십자가, 가톨릭 켈트 십자가, 장로교 십자가의 모양을 살짝 다르게 하여 구분하고 있다.국립묘지관리국 <신앙의 상징>. 장로교 십자가에 대해서는 켈트 십자가 문서의 장로교 십자가 문단 참조.[2] 영어 위키백과 #. 개혁교회까지 포함하면 약 8천만명~1억명 이상이다.(출처: 영어 위키백과 WCRC 문서 및 WCRC 홈페이지) 위키백과에 따르면 8천만명, WCRC 홈페이지에 따르면 약 1억명의 교인이 소속되어 있다. WCRC만 8천만-1억 명으로 추산되니 개혁교회 국제회의, 세계개혁교류회 등 타연합체 소속 교단의 교세를 합하면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 기독교 통계에 있어 개혁교회와 장로교회는 같은 개혁주의(칼뱅주의)자라는 맥락에서 같은 개혁교회로 묶어 통계를 내는 것이 근래 추세이며 국제조직명도 '개혁교회'가 들어 있는 만큼 교세는 장로회, 대륙식 개혁교회(네덜란드스위스의 경우가 대표적), 발도파 등을 포함한 수치이다. 한국에는 약 700만 명 이상의 신자가 있다고 한다.(대륙식 개혁교회 교단도 한국에 있긴 한데 워낙 교세가 미약하다.) 교단별로 나누면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240만,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240만,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150만,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40만, Korean Presbyterian Church 30만 명 등이다.[3] 나바라 왕국이 현대 스페인, 프랑스 양쪽에 걸쳐져있는 바스크 지역에 기반했던 건 사실이지만 정치적, 문화적 엘리트 언어는 중세부터 줄곧 카스티야어, 프랑스어였기 때문에 '바스크족의 독립국가'라 부르는 건 시대착오적인 민족주의 뉘앙스가 강하다. 무엇보다 예나 지금이나 막상 바스크족 본인들은 그 유명한 예수회 창립자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부터 시작해서 좌파적 반교권주의가 성횡했던 내전기 공화파 스페인에서도 가톨릭의 사회적 영향력은 그대로 보전했을 만큼 가톨릭 정체성이 강한 집단이라 애초에 바스크어를 쓰지도 않았던 왕가의 종교와는 따로 분리해서 봐야한다.[4] 다른 북독일 연방 소속 국가들처럼 종교개혁 초기에는 루터교회를 받아들였으나, 1605년 통치자 시몬 6세 백작(이때는 아직 백국이었다)이 개혁교회로 개종하면서 "Cuius regio, eius religio"(그의 왕국에, 그의 종교", 즉 영방의 통치자가 지역의 종교를 결정한다는 원칙)을 내세워 국교로 만들었다.[5] 현재 성공회의 전신(前身)[6] 존 녹스는 성공회 신학자들과 함께 '42개 신조'와 '공동기도문'(현재 이름은 성공회기도서)을 만들었다. 42개 신조는 이후 칼뱅주의적인 요소가 더욱 가미되어 종교개혁 당시 성공회 교리의 기반이 되었던 '39개 신조'가 되었고, 공동기도문은 수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까지도 성공회 교인에게 신앙 생활의 기본이 되고있다. 그는 이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성공회로부터 로체스터 교구의 주교 직책을 제안받았으나, 거절하고 영국의 개혁교회를 이끌었다.[7] 사실 칼뱅도 루터처럼 개인 문장을 사용했다. 심장을 쥐고 있는 손 모양으로 그려져 있는데, 정작 루터의 장미 문장에 비하면 인지도가 낮다.[8] 파일:PCUSA 상징.svg절대 KKK 같은 불타는 십자가가 아니다![9] 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깃발.svg[10] 잉글랜드 내에서 이러한 체계에 반발한 사람들은 아예 교인 개개인의 의사가 모두 반영되는 회중제를 주장했고, 이러한 주장에서 침례교와 회중연합교회가 생겨났다. 그러나 이들은 대다수가 지금의 북아메리카로 쫒겨나다시피 했다.[11] 존 녹스가 주로 활동했던 지방은 로우랜드였고 하이랜드는 당시만 해도 주변 클랜들의 땅을 마구 뺏어 먹으며 클랜들 중 원톱으로 군림했으며, 개신교 매파 중 하나였던 클랜 캠밸에 대한 반발로 오히려 친가톨릭에 스튜어트 왕가를 지지하는 경향이 강했다.[12] 요리(要理)문답서이다. 요리(料理)가 아니다. "중요한 이치"라는 뜻. 번역자에 따라 "교리"문답서라고 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13] 예로 세계 교회 협의회 회원 교단 검색에서 '개혁교회' 범주만 존재하며, 장로회 교단도 개혁교회 범주에 속해있다.[14] 앞서 언급한 오스만 헝가리에르데이 공국.[15] 이와 비슷하게 근래에는 오순절교회를 제외한 웨슬리안 교파(감리회, 성결교회, 구세군)도 Methodist(감리회)로 묶어서 부르는 추세이다.[16] 네덜란드어에서 개혁교회를 가리키는 말로는 'Hervormde'와 'Gereformeerde'가 있는데 원칙적으로는 같은 단어이지만 19세기 이후로 전자는 국교화된 전통적인 개혁교단을, 후자는 미국, 한국의 장로교처럼 헌금으로 운영되는 독립 개혁교단을 뜻하게 되었다. 한국 개신교에서 대체로 '화란개혁교회'라고 하면 후자를 가리킨다.[17] 역사적인 이유로 독일어권에서 개혁주의라고 하면 스위스나 혹은 동프리슬란트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독일과 달리 스위스 개신교단은 한국과 구성이 비슷하다.(개혁주의+감리회)[18] 여기서 말하는 'Belgic'이란 표현은 지금의 벨기에가 아닌 16세기 기준으로 지금의 네덜란드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다. 그래서 네덜란드어로는 'Nederlandse Geloofsbelijdenis'이다.[19] 당시 네덜란드에서 쿠테타로 집권한 칼뱅주의자들이 아르미니우스파(항변파)를 축출하는 과정에서 나온 신조이다.[20] 물론 감리회가톨릭이나 성공회에 비하면 중앙집권적인 성격이 약한 부분이 있다.[21] 여기서 말하는 성서무오설을 극단적인 축자영감설로 보기는 힘들다. 칼뱅 항목 참조. 물론 극단적인 복음주의자들은 축자영감설을 바탕으로 한 성서무오설을 완전히 신봉하는 경우도 많다.[22] 여기서 장로회라는 이름이 연유되었다.[23] 개신교회가 인정하는 두 가지의 성사인 성찬과 세례.[24] 목사가 아직 청빙되지 않은 교회의 경우 그냥 장로가 예배를 집전할 수 있다. 다만 즉흥적인 설교는 불가능하며 전임 목사가 써놓았던 원고를 그대로 읽어야 한다.[25] 여기서 감리회의 해석과 차이를 보인다. 감리회에서 성경의 '감독'은 말 그대로 '감독'으로서 해당 지역의 감리교회 전체를 치리한다. 성공회나 천주교의 주교에 해당하는 위치이다. 장로교에서 감독은 장로들의 연합체인 회의(당회, 노회, 총회) 기간에 회의를 진행하는 사회자 역할(Moderator)을 수행하는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보편교회의 주교에 해당하는 감독의 역할을 감당하는 것은 장로들의 연합체인 교회의 회의(총회, 노회)이며, 이는 보편교회의 시노드(Synod)에 해당한다.[26] 구원에 이르는 필요조건이 아니지만,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라고 보면 된다. 세상의 학문과 문화에 대해서 얼마나 따를지는 목사와 신학자와 신자마다 범위가 다르다.[27] 그래서 신앙주의 계열 개신교인들은 장로회의 신앙을 '도마(사도 토마스)의 믿음'(요 20:25)이라고 비하하며, 장로회를 이단 취급하기도 한다. 물론 국내에서는 이런 발언을 하면 장로회 교인들에게 쪽수로 밀리므로(...) 암암리에 하는 편.[28] 단, 2020년에 들어서 초교파라고 선언했다. 해당 문서 프로필 종교 부분 각주 참조.[29] 장로제를 취한 교단만을 따지자면 1,100만여 명이지만, 근래 개혁교회와 장로회를 엄밀히 구분해서 통계에 잡기보다는 같은 교파의 범주에 놓고 통합해서 통계에 잡는 추세이다. 미국 UCLA 교수이자 개신교회사 전공 학자인 옥성득 교수도 양자를 같은 교파의 범주에 넣어 분류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장로회 보수 성향 교단들 상당수가 이미 각국 개혁교회 간 국제조직에 가맹해있다.[30] 대구광역시는 합동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부산광역시는 합동과 고신이 많으나 근소적으로 합동이 고신보다 많다. 울산광역시는 통합과 고신이 많으나 통합의 교세가 좀더 강한 편이다. 그 외 경북 중남부 지역은 합동이, 북부 및 동해안 지역은 통합이, 창원시를 비롯한 경상남도는 고신이 강세이다. 예외적으로 경남 밀양시산청군은 통합이 비교적 강세이며 강원도에서 이관된 경북 울진군은 장로회 자체가 교세가 약하고 감리회침례회가 강세이다.[31] 전남의 경우 광주광역시는 통합측의 호남신학대학교와 합동측의 광신대학교가 함께 있어 양측의 세가 비슷하고,서부(목포시 등)는 광신대학교(합동전 개혁측) 영향으로 합동의 비율이 높으며 동부(순천시, 여수시 등)는 통합의 비율이 높다. 전북은 군산시김제시는 합동이, 임실군은 기장이, 남원시무주군, 장수군은 통합이 압도적으로 많고 그 외의 지역은 통합, 합동, 기장이 비교적 고루 분포한다. 호남지역은 기장, 즉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가 국내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이고 전주시임실군에서는 흔하게 목격할 수 있다.[32] 60~65% 정도가 통합측, 그리고 25% 정도가 감리회, 나머지는 기타 교단들이다. 과거 서북청년회만행으로 개신교에 대한 반감이 매우 큰 지역적 특성 때문인지 합동, 고신 등 보수성이 강한 장로회 교단들은 제주도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내륙에서는 비교적 흔한 순복음교회침례회의 경우 제주도에서는 아예 이단처럼 인식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33] 서울특별시는 장로회 대부분의 교단이 거의 고른 분포를 보이나 자치구에 따라 분포 비율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용산구성동구, 서초구의 경우 합동측이 상대적으로 우세하나 마포구영등포구, 관악구, 광진구 등은 오히려 통합측이 우세한 편이다. 경기도의 경우 장로회 우세 지역은 비교적 교단 분포가 고른 편이나 광주시오산시, 용인시 처인구는 합동이 압도적으로 많고 한강 이북 지역인 의정부시, 동두천시, 양주시의 경우 통합의 비율이 좀더 높다. 양평군의 경우는 통합과 기장의 비율이 높다.[34] 청주시, 괴산군, 증평군,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및 과거 괴산군 소속이었던 충주시 수안보면. 특히 청주시한국기독교장로회 계열의 미션스쿨세광고등학교가 존재할 정도로 기장의 교세가 가장 강한 지역 중 하나이며 영동군은 충청도 전역에서 고신측의 교세가 가장 강한 지역이다.[35] 서천군, 부여군, 보령시, 계룡시, 금산군 등. 서천군은 합동측, 금산군은 통합측이 강세이며 특히 부여군보령시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들이 많이 분포한다. 다만 논산시의 경우 예외적으로 감리회 강세 지역이다.[36] 한반도 선교 초기 감리회 선교 구역이었음에도 장로회의 교세가 꽤 강한 조금 특이한 경우이다. 뜬금없겠지만 일제강점기 장로회-감리회 선교구역 분할 철폐 직후인 1938년 감리회 선교지로서는 상당히 일찍 장로교회가 세워졌고 해방과 6.25 전쟁을 거치면서 월남한 이북 출신 장로회 신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장로회가 급성장하였다. 특히 기독교연합봉사회, 대전시기독교연합회 등 개신교 연합체의 성립과 한남대학교, 대전신학대학교(이상 통합측)의 설립, 1960년대 창설된 대한예수교장로회 은혜측의 총회 소재지였다는 점도 대전에서 장로회가 강한 교세를 유지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후 은혜 측은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으로 흡수되었다. 참고로 대전에서 장로회 교단의 교세는 통합측, 합동측, 백석측, 개혁측 순서로 강하며 대신측고신측도 꽤 교세가 있는 편이다.[37] 감리교신학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의 영향으로 감리회가 강세이다. 다만 북부지역(홍제동, 홍은동)은 합동측이, 서부지역(북가좌동, 남가좌동)은 통합측이 나름 선전중이며, 신촌전철역 인근에는 서대문구를 대표하는 대형 통합측 장로교회인 신촌장로교회가 있다. 대표적인 서대문구의 감리교회로는 창천교회, 대현교회, 북성교회, 서대문교회, 연희교회, 홍제교회, 홍은교회, 아현교회 등이 있다.[38] 1963년 이전에는 강원도에 속하여 있었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감리회 선교지였고 이 영향으로 지금도 감리회가 강세이다. 또한 구한말부터 동아기독교가 교회를 세운 영향으로 침례회 또한 교세가 강하다.[39]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 수원시, 평택시, 오산시 등.[40] 강원도는 약 60~70% 정도의 교회가 감리교 소속이라 그렇다. 왜냐하면 남감리회, 북감리회가 강원도 전 지역을 전도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장로교는 그나마 많은 곳이 통합 측으로 합동 측보다 훨씬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예장 고신 교회는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물론 있긴 있으나 상당히 드문 편이다.[41] ex. 상대적으로 더 진보적인 캐나다 선교사 주도의 선교가 이뤄진 함경도 출신들의 기장 교단, 상대적으로 더 보수적인 호주 선교사 주도의 선교가 이루어진 경상남도 출신들의 고신 교단 등.[42] 신사참배에 가담한 다수의 장로회 목회자들은 총독부의 허가를 얻어 당시 경성부(서울)에 신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이것이 조선신학교이다.[43] 성결교회에서 신사참배에 저항하다가 투옥되었던 목회자들이 1952년 설립한 임마누엘 예수교 소속 교회들 상당수가 1967년 통합측으로 이적한 바 있으며, 1960년 고신과 승동파가 합쳐 합동 교단을 설립했다가 1963년 고신이 환원할 당시 본래 고신 소속이었으나 환원된 고신에 가담하지 않고 합동에 그대로 남은 교회들도 다수 존재한다. 이후에도 '수진자'로 불리는 산정현교회 등의 신사참배 저항 신자들이 세운 교회들이 통합, 합동 등의 교단으로 다수 이적한 사례가 있다. 그 외에도 대신, 백석, 브니엘 등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이름을 사용하지만 6.25 이후 기존의 장로교 교단들과는 별도로 독자적으로 성립된 여러 교단들이 존재한다.[44] 1997년 통합, 2016년 합동에서 순교자 주기철 목사의 복권 및 신학교 학적 복원을 선언하였다. 통합 교단의 한경직 목사는 생전에 공식적으로 신사참배 및 친일 행적을 회개한 바 있고, 2016년에는 통합측 채영남 총회장이 고신측 이인덕 경남노회장과 만나 과거사를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서로 화해하는 자리를 갖기도 했다. 또한 기장 교단도 2007년 총회에서 신사참배를 공식적으로 회개하는 결의를 채택하고 매년 신사참배 회개주일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에큐메니컬 운동을 받아들인 한국기독교장로회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2000년대 이후 친일 청산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는 반면, 고신과 비슷한 보수 신앙을 고수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및 그 분파들은 2016년 주기철 목사 복권 선언 외에 친일 행적 청산을 위한 노력에 소극적이거나 심지어 침묵, 외면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45] 매년 바뀌는 교단차원의 입장들은 교회개혁실천연대의 카드뉴스 등 각 교계신문들의 교단별 총회 결산기사를 통해 계속 업데이트할 예정.[46] 군종장교, 경찰목사, 교수목사, 교목, 의료선교사는 어느 교단에서도 제한이 없다.[47] 관련 규정이 없어서 제한 없이 이중직 목사를 할 수 있다.[48] 1986년 제71회 총회에서 제정되어 지금은 대다수의 통합측 교회가 현판과 차량, 공문서, 홈페이지의 교회명에 삽입, 예장통합 소속 교회임을 표시하여 다른 예장계열 교회들과 구분하고 있다. 특허청에 의장등록이 되어 있어(특허청 표장등록 제42-0004489호) 예장통합 소속이 아닌 교회가 이 로고를 사용하면 불법이다. 그래서인지 군소교단 교회 또는 사이비(특히 신천지) 위장 교회들 중 예장합동을 사칭하는 교회가 부지기수인데 비해 예장통합을 사칭하는 교회는 극히 드물다. 물론 전혀 없는 것은 아니어서 간혹 예장통합을 사칭하는 교회도 있기는 하다.[49] 통합교단 산하의 신학대학원에서는 모두 성서석의방법론이라는 과목과 성서학개론 과목들을 통해 성서비평을 가르치고 있다.[50] 명성교회의 세습을 인정하면서 사실상 유명무실화 되었다. 다른 교회에게는 세습금지법을 들이밀면 큰 교회, 작은 교회 차별한다는 말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108회 총회부터 직접적으로 세습금지법 폐지가 논의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폐지될 확률이 높다.[51] 미자립교회에 한해 허용한다.[52] WCC에 가입하지는 않았으나 부산에서의 WCC 개최에 찬성하였다.[53] 원래 백석은 중도교단이라서 여성 목사 안수에 찬성했다.[54] 세습 대신 승계라는 용어를 사용할 만큼 세습에 관대하다.[55] 2008년 총회에서 새롭게 변경된 로고이다. 기존의 로고는 파란 지구본 안에 월계수 덩굴이 감긴 붉은 십자가 형상을 하고 있었다. 관련 자료 1, 관련 자료 2.[56] 기타 합동으로부터 분리된 보수성향의 군소교단들 역시 합동 교단과 신학 및 입장이 대동소이하다.[57] WCC 가입 분쟁시 예장고신과 합동하여 반대했다.[58] 종교인 자발적 납부 과세 제도를 추진하는 한편, 2018년도 총회에서도 "종교인 소득 졸속 과세법 폐기를 위한" 결의를 확인한 바 있다.[59] 생계형 직업에 한해 허용한다.[60] 애초에 WCC에 반대하는 조직인 ICCC의 도움으로 대신이 탄생하였다.[61] 갑종근로소득세로 채택할 정도로 예장 계열 교단 중에서 가장 적극적인 편이다.[62] 총회 규정은 금지인데 현실은 인정하고 있다.[63] 백석과의 통합과 분열 이전 교인수는 45,3000명이었다. 2018년 이후에는 백석과 백석대신에서 대신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늘어나서 이 수치보단 더욱 많다.[64]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과 신학적 성향 및 각종 입장이 유사하거나 공동 보조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합신 교단은 이미 1990년대부터 고신 교단과 많은 교류를 해왔으며, 서로 성향과 입장이 비슷한데다가 각자의 지리적 기반이 미묘하게 달라 교단 통합까지 염두에 두고 대화와 연구를 하는 관계이다.[65] WCC 가입 분쟁 시 예장합동과 합동하여 반대했다.[66] 보수 교단임에도 여성에게 목사 안수를 허용하기로 결정한 네덜란드개혁교회(RCN)에 결정 재고를 권고하기도 하였다. 이는 이미 2017년에 결정된 사항으로, 오랜 협력관계였던 고신 측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결정임에도 그나마도 얼마 남지 않은 외국의 보수 성향 협력 교단이 하나 더 사라질 수도 있는 사항인지라 2년째 재고 권고만 할 뿐, 교류 단절은 주저하는 모양새이다.[67] 합신 교단과 함께 헌법소원까지 준비 중이다. #[68] 2022년 세습금지법이 담긴 헌법개정안이 통과되었다. 2023년 총회에서 개정헌법이 공포되었다. 다른 교단들은 대형교회의 영향력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로 세습을 인정하는 분위기인데 고신 교단이 세습금지법을 제정한 것은 상당히 놀라운 일이다.[69] 그런데 영국 왕실 구성원들이 절찬리에 스코틀랜드 장로회를 찾는 경우가 하나 있는데 바로 이혼재혼을 할 때였다. 헨리 8세가 이혼하려고 만든 종교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영국 성공회는 최근까지 전 배우자가 살아있는 사람의 재혼을 거의 허락하지 않아왔기 때문이다. 성공회 자체가 가톨릭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는 교파이기에 가톨릭의 혼인 조당 개념이 일부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이 규정은 2000년대 초반에 폐지되었고, 찰스 3세카밀라 파커 보울스는 성공회 교회에서 재혼을 할 수 있었다.[70] 한국 예장통합과 교류한다.[71] 한국 예장합동과 교류한다. 성향도 예장합동처럼 보수적으로, NIV 편찬에 반영된 정치적 올바름에 반대하여 ESV(English Standard Version)라는 독자 성경번역을 만들어 쓰고 있다.[72] 바르멘 선언을 교단의 정식 신앙고백으로 인정하며 예배 형태도 기존의 PCUSA와 크게 다르지 않다.[73] 이들은 이미 '사보이 선언'을 하면서 장로교와는 갈라선 상태였다. 1685년 영국 사보이 궁전에 모여서 웨스트민스터 문서들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언하며 고백서의 내용을 일부 수정했고, 회중교회만을 위한 '사보이 신앙고백서'를 작성하기도 했다.[74] 크리스천 교회(제자회)(DoC)와는 무관하다.[75] 일본 조합교회는 1941년 다른 교단들과 합동하여 현재의 '일본기독교단'으로 이어지고 있다.[76] 2차대전 이후 아오가쿠 등 다른 대학의 신학부들이 이곳으로 이관되었으며, 명칭도 도쿄신학대학으로 바뀌었다.[77] Mainline Protestant, 후기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에 호의적인 대형 개신교 교단들을 말한다. 21세기 기준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78] 수정교회로 유명한 로버트 슐러가 이 교단 소속이었다.[79] 1993년 NRCA에서 분리된 교단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정도 알려진 조엘 비키(Joel Beeke) 목사가 이 교단 소속이다.[80] 2020년대 기준 네덜란드에서 개신교와 가톨릭의 교세 비율은 대략 3:4 정도로 나온다.[81] 다만 임기가 지나도 다시 뽑히는 것이 가능하다.[82] 그리고 이러한 뉘앙스 차이는 남아공 개혁교회에도 똑같이 적용된다.[83] Nederlandse Hervormde Kerk, 한국 신학계에서는 분리된 '화란개혁교회'와 구별하기 위해 '국가개혁교회'나 '갱생교회' 등으로 번역하기도 한다.[84]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 분리 초기에는 국교회의 자유주의화를 애통해한다는 뜻에서 애통(Doleantie)파 교단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하술된 기독개혁교회의 다수파와 통합하면서 이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2004년 교단 재통합 전까지 썼던 '총회파'(Synodaal)라는 표현은 해방파와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별칭이다.[85] 이 파벌에 속한 국교회들은 오후예배 시간이 존재한다.(일반 국교회는 오전예배만 있음)[86] Christelijke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 분리 초기에는 '십자가 밑의 개혁교회'(Gereformeerde Kerk onder het Kruis)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곧 위와 같은 명칭으로 바꾸었다.[87] 디모데전서 6장 20절(네게 부탁한 것을 지키고...)에서 따온 것이다.[88]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 (vrijgemaakt)[89] 모태신앙은 열매를 맺기 전부터 기본적으로 거듭났다고 봐야 한다는 주장.[90] 유기되어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도 최소한의 '은혜'는 입는다는 주장. 옹호 측에서는 보수적인 교회라도 적극적으로 사회를 변혁시킬수 있다는 근거로 사용했으나 반대 측에서 이 이론은 알미니안주의와 다를 것이 없으며 교회를 세속화시킬수 있다고 논박한다.[91] 카이퍼가 주장한 영원칭의론은 일반적인 칼뱅주의자들의 칭의론과 달리 한번 선택받은 사람은 그냥 그 의를 받아들이기만 하면 된다는 주장에 가깝다. 일견 그럴듯하지만 반대 측에서는 신자의 책임감을 약화시키고 이신칭의론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고 바라보는 편이다.[92] 이들은 당시의 네덜란드 교회헌법 31조를 들어 자신들이 당한 권징이 부당한것이라고 호소했고 그 때문에 '31조파'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93] 상기한 네덜란드 개신교회에 통합되지 않은 교단치고는 진보적인 편에 속한다.[94] 아직까지도 한국에서는 저명성이 없는 교단이라 공식 번역명칭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하튼 이 이름을 가진 네덜란드 교회들은 교리적으로는 분명 아무런 문제가 없는 정상적인 교단임에도 교회 안은 물론이고 뾰족탑에도 십자가를 달지 않으며, 예배를 드릴 때 여자들은 챙 달린 모자를 꼭 써야 하는 등 20세기 전반의 네덜란드식 개혁주의 스타일을 잘 유지하고 있는 편이다.[95] 한국 장로회의 교단수는 100개 이상이다. 매해마다 계속 변하며 칼뱅주의와 거리가 멀고 기성교회를 공격하는 이단도 장로회 타이틀만 달면 문체부에서 꼬박꼬박 장로회에 포함시켜주는 폐단도 있어서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96] 언제까지나, 한국 장로회에 비해서일 뿐이다. 여기도 동성 결혼 합법화에 극렬히 반대한 단체 중 하나다.[97] 1970년대 대한예수교장로회 종합총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노컷뉴스.[98] 예장통합. 신앙이 상당히 독실한 편이다.[99] 예장합동.[100] 성리학에서 개종. 새문안교회 신자였으며, 새문안교회는 대한민국 장로회의 모교단인 예장통합 소속이다.[101] 본디는 무신론자였으나 2000년대 중반쯤 신앙을 가지게 되었다.[102] 예장통합.[103] 원래 불교였으나 개신교 신자인 현재의 아내를 만나고 이후 개종했다.[104] 구리성광교회 집사로 신앙이 제법 독실한 편이다.[105] 압구정 쪽에 있는 고신 측 교회를 다니고 있다.[106] 전라도 지역은 한국기독교장로회 초강세 지역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