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1:08:05

박영만(독립운동가)


파일:건국훈장애국장약장.jpg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건국훈장애국장.jpg
가네코 후미코 강경근 강계선 강관수 강귀손 강근호 강기찬
강길환 강달주 강덕보 강동렬 강두필 강만식 강만형
강명선 강명희 강문진 강문영 강병관 강병근 강병욱
강병일 강봉우 강봉학 강봉환 강사문 강상봉 강상호
강서희 강석대 강석봉 강석진 강석훈 강성리 강수오
강수원 강순성 강순희 강승경 강승덕 강시만 강신경
강양성 강양오 강연상 강영갑 강영삼 강영수 강영승
강영식 강우범 강운학 강원호 강윤국 강이진 강인수
강일봉 강재천 강정하 강제억 강제희 강종근 강준익
강준학 강진구 강진남 강진석 강진선 강진여 강찬중
강창규 강창보 강철규 강춘근 강춘삼 강태동 강태성
강태영 강태일 강택진 강표도르 강필주 강학서 강한수
강한용 강혜원 강화순 강흥문 강희경 강희옥 견관덕
경권중 경현수 계동화 계석노 계성근 계영기 계용순
고강산 고광채 고광훈 고대선 고덕린 고덕수 고두일
고득수 고병희 고봉준 고사훈 고석진 고성한 고승득
고시복 고앙주 고영신 고예진 고용진 고용환 고웅주
고원직 고윤한 고융건 고응남 고응칠 고익규 고인식
고인재 고정식 고제남 고제신 고진홍 고창희 고채주
고치범 고판홍 고형림 고희순 공덕흡 공사겸 공사일
공석두 공성찬 공심연 공영팔 공예수 공재형 공준서
공창준 곽경렬 곽낙삼 곽낙원 곽무 구찬회 권득수
김광섭 김규식 김도연 김동식 김동진 김문순 김백선
김알렉산드라 김윤경 김응삼 김이원 김재헌 김정익 김준연
김준엽 김양수 나경서 나봉산 나사진 나상원 나상필
나선도 나성화 나수범 나순익 나순호 나승렬 나신택
나영관 나용균 나운규 나의집 나장헌 나정련 나정문
나정화 나종헌 나창운 나희규 남경숙 남계병 남광원
남궁욱 남궁현 남규천 남기동 남기영 남도경 남복이
남상규 남석순 남석술 남세극 남승하 남영진 남왈성
남용순 남원수 남위 남정 남지학 남진두 남태영
노간선 노공일 노광엽 노기영 노내화 노덕세 노도원
노동식 노명이 노병한 노병희 노봉돌 노봉우 노봉현
노석정 노석중 노섭 노성삼 노성원 노성환 노식삼
노영재 노영화 노우선 노재철 노진룡 노치흠 노태연
노하순 노한문 노형규 노환 노희태 도대원 도무환
도병철 도복렬 도중삼 독고무 동민수 동증손 동풍신
루이 마랭 마남룡 마만봉 마용필 마정덕 마정삼 마춘걸
마하도 맹군삼 맹기정 맹달선 맹달섭 맹철호 명도석
모신영 모원규 모원봉 모인화 모충이 목자상 문경록
문남규 문덕길 문덕홍 문동길 문명국 문명주 문무술
문봉래 문봉의 문석조 문석준 문석환 문성각 문성초
문승수 문신영 문영박 문영삼 문용기 문응국 문장호
문재교 문종희 문창선 문치룡 문치백 문학도 문학신
문한범 문홍순 문홍의 문화순 민가현 민동식 민백형
민병길 민병숙 민병태 민수현 민영수 민영숙 민영완
민영주 민영학 민용운 민제호 민찬호 민철훈 민충기
민충식 민치도 민치영 민한식 박갑쇠 박건 박건두
박경락 박경석 박경철 박계락 박관준 박광 박광선
박광천 박구진 박권세 박권영 박귀성 박규명 박규상
박규채 박규호 박근이 박금룡 박기국 박기범 박기수
박기양 박기영 박기운 박기원 박기춘 박길양 박내병
박내원 박내준 박노삼 박노영 박달천 박대인 박대일
박대중 박덕삼 박덕언 박덕여 박도집 박도현 박동규
박동원 박동의 박동주 박동진 박동환 박래봉 박래승
박만선 박만옥 박만화 박맹두 박명규 박명서 박명화
박무 박문거 박문도 박문서 박문섭 박문술 박문용
박문호 박문화 박민홍 박반문 박발술 박병강 박병규
박병익 박병하 박병한 박병호 박병훈 박보국 박복인
박봉관 박봉길 박봉래 박사문 박사범 박사손 박상규
박상기 박상도 박상엽 박상진 박상하 박석용 박현숙
방정환 방한민 배치문 배헌 백남훈 백초월 사문성
서광도 서기준 서기환 서단파 서달선 서동성 서두성
서병순 서병철 서병호 서봉화 서삼진 서상경 서상기
서상락 서상렬 서성군 서성실 서성일 서성학 서소용
서여선 서영백 서영연 서영해 서왈보 서용하 서운선
서윤봉 서윤호 서윤화 서인봉 서장관 서장환 서재기
서재승 서재현 서정기 서정만 서종락 서진구 서창무
서태석 서학이 서한종 석근영 석기만 석기호 석대운
석만금 석오석 석창륜 석창문 석환옥 선경화 선규환
선도명 선백중 선우기 선우섭 선우진 선우택범 설성삼
설진창 성경삼 성경호 성낙붕 성낙중 성낙희 성만리
성만석 성선조 성재평 성재한 성정모 성주경 성진갑
성진호 소갑호 소윤명 소진형 소후옥 소휘천 손건주
손계묵 손계조 손덕화 손두원 손명선 손명조 손몽상
손무경 손병선 손복산 손봉선 손성 손성우 손성원
손성한 손수용 손수조 손승관 손양섭 손영학 손용준
손일민 손일봉 손재순 송몽규 송상도 신하균 안경순
안경준 안관순 안광선 안교봉 안구현 안국길 안군명
안내성 안동식 안두식 안명순 안무순 안병기 안병석
안병준 안병찬 안봉생 안봉선 안봉순 안상용 안상의
안선국 안세진 안숙 안순구 안순서 안순원 안영희
안용국 안용석 안용택 안유순 안윤재 안이현 안인택
안일룡 안장길 안정길 안정명 안정옥 안종각 안종구
안종락 안종린 안종식 안종엽 안종운 안종환 안종후
안중석 안진순 안찬재 안창남 안창렬 안창률 안창제
안최언 안치삼 안택환 안필순 안학룡 안항식 안혁중
안홍 안효준 안후덕 양경삼 양계갑 양도명 양도준
양도헌 양동훈 양병칠 양봉규 우기주 유우석 유자명
유진동 유종환 이경채 이남규 이만집 이범진 이병기(1876)
이병기(1891) 이석영 이성구 이영환 이용태 이운강 이육사
이원순 이은상 이재천 이정호 이탁 임규 장경춘
장경탁 장계진 장관청 장광옥 장국호 장군선 장규섭
장규현 장규황 장금송 장기덕 장기석 장기영(1890) 장기영(1903)
장낙수 장남수 장덕기 장덕로 장덕유 장덕익 장도정
장두언 장명언 장명운 장병구 장병준 장복규 장복흥
장본래 장봉규 장봉래 장봉의 장봉주 장봉학 장봉현
장부암 장붕 장빈삼 장사천 장석천 장석함 장선군
장성순 장성원 장성오 장세용 장세전 장세정 장세파
장세현 장수봉 장순영 장승열 장신국 장여좌 장영준
장응규 장의선 장의찬 장의천 장이호 장익부 장익수
장익염 장익준 장인국 장인서 장준하 정광호 정일형
조봉호 조신성 조응삼 조희제 지복영 차경수 차경신
차경현 차금봉 차도순 차도연 차동석 차병곤 차병규
차병률 차병선 차병한 차봉엽 차연욱 차영철 차영필
차왈보 차용목 차운흥 차원몽 차은표 차인범 차일빈
차재문 차정룡 차정섭 차정집 차진규 차진하 차치명
차학구 채경묵 채경옥 채규대 채남섭 채덕만 채덕승
채동집 채동환 채복만 채봉선 채봉준 채수반 채영서
채영찬 채용환 채운걸 채이석 채정옥 채중보 채창헌
채태묵 채한석 천경도 천보락 천성십 천순호 천홍태
최갑룡 최능익 최윤동 최효일 탁성룡 탁영조 탁일청
탁창국 탁한종 패트릭 도슨 편군선 편덕렬 플로이드 윌리엄 톰킨스 하덕근
하돌임 하상태 하승현 하영옥 하운택 하찬린 하한서
한갑복 한경서 한경석 한경천 한경희 한계석 한국언
한국원 한규량 한규순 한금원 한기석 한기악 한기안
한대홍 한덕용 한도원 한동진 한득주 한락산 한면각
한명만 한명순 한문기 한문백 한사빈 한성수 허석
홍원유 홍원표 황직연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화계(花溪)
본관 밀양 박씨
출생 1914년 5월 19일
평안남도 안주군
사망 1981년 11월 28일
서울특별시
매장지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2. 생애3. 논란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박영만은 1914년 5월 19일 평안남도 안주군에서 부친 박치옥(朴治玉)과 모친 김진옥(金振玉)의 사이에서 5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한의사이자 대지주였고, 그는 어린 시절을 유복하게 보냈다. 고향 안주에서 소학교를 졸업한 뒤 1927년 평안남도 진남포시의 진남포공립상공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러던 1929년 11월 광주학생항일운동에 가담했다가 체포되어 며칠간 구금되었고,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이후 1933년 일본 도쿄로 건너가 일본군 문부성 시행 검정시험에 합격한 후 와세다대학에서 영문과를 전공했다. 그러다 진단학회 및 조선민속학회 회장을 맡고 있던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와 면식이 생긴 그는 송석하의 권유에 따라 매년 방학을 이용하여 전국을 답사하며 민담을 수집해 조선전래동화집(朝鮮傳來童話集)을 집필했다. 그는 이 책을 1937년에 출판하려 했지만, 총독부에게 사전검열을 받을 때 책의 서문이 민족 자주의식을 선양한다는 이유로 일본 경찰에 원고를 압수당하고 며칠간 구금을 당해야 했다.

다행히 이때 압수된 원고는 후에 회수할 수 있었고, 그는 3년 뒤인 1940년 6월 20일 학예사(學藝社)에서 <조선전래동화집> 초판을 출간했다. 이외에도 여러편의 희곡과 소설을 썼지만, 대부분 총독부의 검열을 통과하지 못해 공연이나 출판을 할 수 없었다. 1937년, 박영만은 우두 종두법을 전파한 송촌(松村) 지석영의 일대기를 담은 희곡 <선구자(先驅者)>를 집필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총독부의 검열에 걸려 공연되지 못했으며, 그는 항일의식이 다분히 함축된 희곡을 썼다는 혐의로 종로경찰서에 20여 일간 구금되어 심문을 받아야 했다.

이러한 검열에 불만을 품은 박영만은 1940년 2월 조선문인협회 회원인 이광수, 박영희, 최재서 등을 친일 문인들이라고 성토하는 유인물을 만들어 회원들과 유지들에게 밀송하다가 발각되었다. 이 일로 경찰의 추적을 받자, 그는 금강산, 의정부 영화촬영소, 진남포 등지로 은신하다가 1940년 5월 봉천으로 피신했고, 그곳에서 다시 기차와 도보로 이동한 끝에 톈진으로 도주했다. 이후 산시성에서 시계포를 경영하는 동향인의 집에 가서 은신한 그는 다시 분하를 건너 산시군 유격대에 합류했다.

1940년 11월, 박영만은 말을 타고 산서성 극난파에 도착했다. 며칠 뒤 중국 국영 중앙통신사특파원의 내방을 받아 인터뷰했고, 곧 <한국청년소설가 박영만 망명 도래 극 난파> 라는 제목의 기사가 중국의 주요 신문지상에 보도되었다. 이것을 본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 주석의 명의로 된 신임장을 옌시산 장군에게 송부하였다. 박영만은 곧 옌시산을 만난 뒤 옌시산이 추구하던 토지촌공유제(土地村公有制)에 흥미를 보였고, 옌시산은 그런 그를 산서대학의 교수로 삼아서 잘 대우해줬다.

박영만은 산서대학에 머물 때 문학부 계열의 중국인 학생들에게 2주일 간 한글 강습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1941년 12월, 광복군은 극난파에 총사령관 지청천 장군 명의로 박영만에게 특파원증을 송부해 그를 소환하였고, 이때부터 박영만은 정식으로 광복군에 입적되었다. 1942년 2월 시안에 도착한 그는 광복군 제2지대에 입대하였으며, 광복군 군가인 <압록강 행진곡>을 작사해 광복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자 했다.
우리는 한국 광복군 악마의 원수 쳐물리자. 나가 나가 압록강 건너 백두산 넘어가자
조국 우리나라 지옥이 돼서 모두 도탄에 헤메고 있다
동포는 기다린다 어서 가자 조국에 등잔 밑에 우는 형제가 있다 원수한테 밟힌 꽃포기가 있다
동포는 기다린다 어서 가자 조국에 우리는 한국 광복군 조국을 찾는 용사로다
나가 나가 압록강 건너 백두산 넘어가자
압록강 행진곡

이후 광복군 참령(參領)으로 임명되어 정훈처(政訓處) 선전과원으로 활약했으며, 이범석을 도와 한미합작군사훈련을 실시하도록 주선하였으며, 광복군 총사령부 부령(副領)으로 승진되어 선전과장으로 임명되었다. 특히 그는 영어도매우 잘해 미국 OSS내 한국인 공작반의 광복군측 책임자로 임명되어 미군과 영어로 소통하는 역할을 도맡았다.

8.15 광복 후 귀국한 그는 1948년 1월 15일 한미문화협회 총간사로 취임해 한국의 학생 20여 명을 추천하여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는 임무를 수행했다. 1948년 12월 7일에는 ‘민족정신 앙양 전국문화인 총궐기대회'에 참가했다. 이후 그는 작가로서 제2의 삶을 살아갔다. 1948년 <새로운 성> 상권을 출간하고 1949년에 하권을 출간했으며, 서울중앙방송국[1] 에서 극작가로서 라디오 드라마 극본을 집필하였는데, 대표작으로는 <성웅 이순신>, <홍경래전>이 있다.

또한 광복군 활동 경력을 자주 소설로 다뤘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 <주춧돌>(1963), <광복군: 운명편 상,하>(1967), <광복군: 여명편>(1969), <광복군: 고난편>(1972) 등이 있다. <주춧돌>은 박찬익의 생애를 소설화하여 그린 전기소설이고, <광복군:운명편>은 김학규를 중심으로 제3지대 광복군의 활동을 그린 작품이다. 그리고 <광복군:여명편>은 가상의 인물인 기생 출신의 독립운동가 나영옥을 중심으로 광복군 각 지구를 대표할 수 있는 이들을 열전 식으로 구성한 전기 소설이다. 마지막으로 <광복군: 고난편>은 1940년 이후 이범석을 지대장으로 하는 충칭의 광복군 제2지대 활동, 특히 한미군사합작훈련을 주로 다뤘다. 박영만은 광복군 소설을 쓰면서 제목 앞에 ‘전기소설’, ‘실록소설’이라는 부제를 달기도 했고, 사실 재현과 흥미를 위해 논픽션 소설체를 쓰는 등 문학적 실험을 계속했다.

이렇듯 왕성한 작가 활동을 지속하던 그는 1981년 8월 말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3개월 후인 11월 28일 병상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의 마지막 저작은 <동방의 태양 한민족>으로, 그가 사망한 후인 1982년에 출간되었다. 그의 유해는 경기도 성남시 모란공원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4년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이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박영만에게 건국포장을 수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3. 논란

박영만이 1967년에 출간한 <광복군:운명편> 하편은 일본 관동군에서 복무하던 박정희가 사실은 '비밀 광복군'이었다고 서술한다. 이에 따르면, 박정희는 1945년 2월경 뜻이 맞는 한국인 동료들과 부대 안에 비밀조직을 만들고 훈련 때면 사병들에게 우회적 방식으로 독립사상도 고취했다고 한다. 이어 광복군 제3지대장이던 김학규 장군으로부터 “부대를 장악하고 있다가 적당한 기회에 일본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고 대기하던 중 일제가 예상보다 빨리 항복하는 바람에 거사 시기를 놓쳤다고 한다. 박영만은 <광복군:운명편> 서문에 다음과 같이 기재했다.
대통령이란 그분의 위치가 위치니만큼 오해를 사기 쉬워 도에 넘칠 정도로 그분에 관한 것을 파고들었다. 그러고도 마음이 놓이지 않아 직접 본인의 교열까지 받았다. 박정희 동지는 격무 속에서도 원고를 자세히 읽어 주셨으며, 몇 군데 고쳐 달라는 당부까지 하셨다.

그러나 친일인사 연구가이자 오마이뉴스 편집국장인 정운현이 집필한 <실록 군인 박정희>에 따르면, 박영만은 5.16 군사정변 후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른 뒤 풀려난 박창암 전 혁명검찰부장을 찾아가 대뜸 "같이 박 대통령을 한번 도와보자. 어느 지하운동 리더의 공적을 박 대통령 것으로 만들고 싶으니 도와 달라"고 했지만 거절당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그는 기어이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소개한 <광복군: 운명편> 하권을 출간한 뒤 책을 박정희에게 전달했으나 환대는커녕 "내가 무슨 광복군이냐"며 호통만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독립운동가였던 박영만이 집필한 이 소설은 그후로도 박정희가 사실은 비밀리에 독립운동을 수행했다는 주장의 근거로 인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육군본부는 <창군전사>에서 "박정희, 신현준, 이주일 등은 광복군 제3지대의 비밀 광복군으로서 거사 직전에 해방을 맞이했다"라는 문구를 삽입했다가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박정희 정권에서 합참의장, 국회의원을 지낸 장창국은 1984년에 출간한 <육사 졸업생>에서 박정희가 비밀 광복군에 가담했다고 기술하기도 했다.
[1] KBS의 전신